KR101876954B1 - 고객동향 모니터링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 Google Patents

고객동향 모니터링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76954B1
KR101876954B1 KR1020180025060A KR20180025060A KR101876954B1 KR 101876954 B1 KR101876954 B1 KR 101876954B1 KR 1020180025060 A KR1020180025060 A KR 1020180025060A KR 20180025060 A KR20180025060 A KR 20180025060A KR 101876954 B1 KR101876954 B1 KR 1018769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information
tag
blocks
produ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250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진혁
김병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위스포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위스포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위스포츠
Priority to KR10201800250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7695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769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769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3/00Burglar, theft or intruder alarms
    • G08B13/02Mechanical actuation
    • G08B13/14Mechanical actuation by lifting or attempted removal of hand-portable articl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08B21/182Level alarms, e.g. alarms responsive to variables exceeding a threshold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08B21/24Reminder alarms, e.g. anti-loss alar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31/00Predictive alarm systems characterised by extrapolation or other computation using updated historic data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Burglar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객동향 모니터링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객동향 모니터링장치는, 임의 장소를 구분한 복수의 블록의 각 블록에 배치되는 상품에 장착된 태그 장치의 장치 정보를 수신하는 통신 인터페이스부, 그리고 복수의 블록 및 복수의 블록을 이용하여 결정된 도난경보조건을 각각 설정하고 수신한 장치 정보에 근거하여, 설정한 도난경보조건이 만족할 때 도난 경보를 발생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고객동향 모니터링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Apparatus for Monitoring Moving of Client and Driv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고객동향 모니터링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가령 상품을 판매하는 매장에서 고객의 움직임을 정밀하게 측정하여 마케팅과 도난 방지에 이용하려는 고객동향 모니터링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에 관한 것이다.
해외명품의 매출은 경기에 큰 영향을 받지않고 오히려 고가의 제품들이 더더욱 판매가 잘되는 이른바 “베블런 효과”가 나타나고 있다. 고가의 명품매장을 이용하는 고객이 늘어나면서 상품 도난 및 분실 사고 또한 빈번하게 발생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따라, 최근 매장에서는 상품 도난 및 분실을 방지하기 위해 도난 방지 장치가 이용되고 있다.
종래의 도난 방지 장치는 비교적 고가의 물건에 다양한 형태로 부착되어 정상적인 해제 절차를 거치지 않고 방지 장치 인식 지역, 예컨대 감지대를 통과하면 경보음을 발생시키는 장치이다. 이러한 도난 방지 장치는 통상 감지 수단으로서 내부에 별도의 센서가 장착된 태그와, 매장의 출입구에 태그의 내부에 구비되는 센서를 감지할 수 있도록 하는 송/수신기와, 안테나 등을 구비하게 된다. 따라서, 무단으로 상품이 반출될 때 감지대에서 자동으로 정보를 인식하고 경고음을 발생시켜 경고하게 함으로써 매장에서 발생되는 상품의 도난 및 분실을 방지하게 된다.
그런데, 이러한 경고음이 발생되면 매장 내의 고객들에게 불쾌감을 줄 수 있고, 본의 아니게 감지대 근처에 도달한 고객의 품위를 손상시키게 될 수 있다. 즉, 감지대 근처를 지날 때 감지대의 오작동 또는 감지대와 태그의 근거리 접근에 의해 감지대가 작동할 수 있고, 본의 아니게 경고음이 발생하게 된 고객은 당황스러움과 함께 품위가 손상될 수도 있다. 이러한 문제는 특히 고가의 상품을 취급하는 명품 매장에서 브랜드의 가치를 저하시킬 뿐만 아니라 내방 고객의 수를 감소시키는 원인이 될 수 있다.
특허문헌1: KR등록특허 제10-1618678호(2016.04.29) 특허문헌2: KR공개특허 제10-2016-0136140호(2016.11.29) 특허문헌3: KR공개특허 제10-2017-0057744호(2017.05.25) 특허문헌4: KR등록특허 제10-1792248호(2017.10.25)
본 발명의 실시예는 가령 상품을 판매하는 매장에서 고객의 움직임을 정밀하게 측정하여 마케팅과 도난 방지에 이용하려는 고객동향 모니터링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객동향 모니터링장치는, 임의 장소를 구분한 복수의 블록(block)의 각 블록에 배치되는 상품에 장착된 태그 장치의 장치 정보를 수신하는 통신 인터페이스부, 및 상기 복수의 블록 및 상기 복수의 블록을 이용하여 결정된 도난경보조건을 각각 설정하고, 상기 수신한 장치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설정한 도난경보조건이 만족할 때 도난 경보를 발생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신한 장치 정보가 지정된 개수의 블록 범위를 벗어나 감지될 때 상기 도난경보조건을 만족한다고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블록 범위를 벗어난 상품을 추적하는 방식으로 상기 도난 경보를 발생시킬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추적 중인 상품이 최초 배치된 위치로 복귀할 것으로 판단될 때, 상기 추적을 해제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추적 중인 상품이 출입구 블록에서 감지될 때 상기 상품의 도난으로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각 블록의 통신을 관할하여 상기 태그 장치의 장치 정보를 제공하는 적어도 하나의 액세스포인트에 대한 식별 정보를 더 이용하여 상기 도난경보조건을 만족하는지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태그 장치로부터 상기 태그 장치의 움직임 정보가 제공될 때 상기 제공된 움직임 정보를 근거로 상기 지정된 개수의 블록 범위를 벗어나는지 판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객동향 모니터링장치의 구동방법은, 임의 장소를 구분한 복수의 블록의 각 블록에 배치되는 상품에 장착된 태그 장치의 장치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복수의 블록 및 상기 복수의 블록을 이용하여 결정된 도난경보조건을 각각 설정하고, 상기 수신한 장치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설정한 도난경보조건이 만족할 때 도난 경보를 발생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도난 경보를 발생시키는 단계는, 상기 수신한 장치 정보가 지정된 개수의 블록 범위를 벗어나 감지될 때 상기 도난경보조건을 만족한다고 판단할 수 있다.
상기 도난 경보를 발생시키는 단계는, 상기 블록 범위를 벗어난 상품을 추적하는 방식으로 상기 도난 경보를 발생시킬 수 있다.
상기 구동방법은, 상기 추적 중인 상품이 최초 배치된 위치로 복귀할 것으로 판단될 때, 상기 추적을 해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동방법은, 상기 추적 중인 상품이 출입구 블록에서 감지될 때 상기 상품의 도난으로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도난 경보를 발생시키는 단계는, 상기 각 블록의 통신을 관할하여 상기 태그 장치의 장치 정보를 제공하는 적어도 하나의 액세스포인트에 대한 식별 정보를 더 이용하여 상기 도난경보조건을 만족하는지 판단할 수 있다.
상기 도난 경보를 발생시키는 단계는, 상기 태그 장치로부터 상기 태그 장치의 움직임 정보가 제공될 때 상기 제공된 움직임 정보를 근거로 상기 지정된 개수의 블록 범위를 벗어나는지 판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는, 고객동향 모니터링장치의 구동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에 있어서, 상기 고객동향 모니터링장치의 구동방법은 임의 장소를 구분한 복수의 블록의 각 블록에 배치되는 상품에 장착된 태그 장치의 장치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복수의 블록 및 상기 복수의 블록을 이용하여 결정된 도난경보조건을 각각 설정하고, 상기 수신한 장치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설정한 도난경보조건이 만족할 때 도난 경보를 발생시키는 단계를 실행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품의 이동상태를 분석하고 최종 출구 쪽으로의 이동을 파악하여 상품이 외부로 유출되기 전에 관리자의 스마트폰이나 단말기에 경보음 및 진동을 발생시켜 이를 확인하고 도난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으며, 태그에서나 외부에서 별도의 경고음이나 알람이 발생하지 않기 때문에 다른 고객에게 불쾌감을 주지 않을 것이다.
또한, 상품의 이동 횟수, 이동 거리를 데이터베이스화하여 고객의 선호상품을 분석하여 제공함으로써 마케팅 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가령, 효과적 제품 전시나 인기 제품을 파악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다.
나아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매장 내 제품의 효율적인 관리와 편익을 제공하여 근무 효율도 증대시킬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고객동향 모니터링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고객동향 모니터링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도 2의 시스템을 상품판매매장에 적용한 사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는 도 2의 태그장치의 세부 구조를 예시한 도면,
도 5는 도 4의 구조를 갖는 태그장치의 실물을 보여주는 사진,
도 6은 도 1 또는 도 2의 관리자장치의 세부구조를 예시한 도면,
도 7은 도 1 또는 도 2의 관리자장치의 다른 세부구조를 예시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객동향 모니터링장치의 구동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다른 고객동향 모니터링장치의 구동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 그리고
도 10 내지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임의 장소에 복수의 블록 및 복수의 블록을 이용한 도난경보조건을 설정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고객동향 모니터링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고객동향 모니터링시스템(90)은 태그장치(100), 관리자장치(110), 통신망(120) 및 서비스제공장치(130)의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하며, 보안대(1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한다는 것은 서비스제공장치(130)와 같은 일부 구성요소가 생략되어 시스템이 구성되거나, 통신망(120)을 구성하는 액세스포인트(AP)(120a) 혹은 네트워크장치가 관리자장치(110)에 통합되어 구성될 수 있는 것 등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발명의 충분한 이해를 돕기 위하여 전부 포함하는 것으로 설명한다. 전자에서와 같이 가령 도난방지 서비스나 고객동향 분석 서비스를 위한 서비스제공장치(130)가 생략되거나, 위의 기능을 관리자장치(110)에서 수행하는 것은 도 2에서 자세히 다룰 것이므로, 도 1에서는 내용을 간략하게 살펴본다.
도 1의 관리자장치(110)는 계산대에서 매장의 매니저나 직원이 매장의 전사적인 관리를 수행하는 데스크탑 컴퓨터, 랩탑컴퓨터, 태블릿PC 등의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전사적 관리시스템은 즉 프로그램은 관리자장치(110)의 내부에 저장되어 구동될 수 있지만, 서비스제공장치(130)에 접속하여 서비스받을 수 있다. 따라서, 관리자장치(110)가 통신망(120)을 경유하여 서비스제공장치(130)에 접속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를 제공받는다고 볼 수 있다.
예컨대, 매장 내의 상품에 각각 장착되는 태그장치(100)는 가령 자신의 장치 식별정보(ID)를 실시간 혹은 주기적으로 송신하여 자신의 존재를 알린다. 그러면, 매장 내의 각 블록에 배치되는 무선공유기와 같은 액세스포인트(120a)는 수신된 태그장치(100)의 태그정보, 가령 장치(식별)정보를 수신하여 서비스제공장치(130)로 제공하게 된다. 여기서, 태그장치(100)는 가방, 백, 신발 등에 상품 설명 내지 캐런티 카드화 형태로 제작하여 꽂아 두거나 파공하여 걸어둘 수 있도록 하여 소비자들에게 도난방지 태그를 보여주지 않도록 해 호감도를 높인다.
통신망(120)은 유무선 통신망을 모두 포함한다. 가령 통신망(120)으로서 유무선 인터넷망이 이용되거나 연동될 수 있다. 여기서 유선망은 케이블망이나 공중 전화망(PSTN)과 같은 인터넷망을 포함하는 것이고, 무선 통신망은 CDMA, WCDMA, GSM, EPC(Evolved Packet Core), LTE(Long Term Evolution), 와이브로(Wibro) 망 등을 포함하는 의미이다. 물론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망(120)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향후 구현될 차세대 이동통신 시스템의 접속망으로서 가령 클라우드 컴퓨팅 환경하의 클라우드 컴퓨팅망 등에 사용될 수 있다. 가령, 통신망(120)이 유선 통신망인 경우 통신망(120) 내의 액세스포인트(120a)는 전화국의 교환국 등에 접속할 수 있지만, 무선 통신망인 경우에는 통신사에서 운용하는 SGSN 또는 GGSN(Gateway GPRS SupportNode)에 접속하여 데이터를 처리하거나, BTS(Base Station Transmission), NodeB, e-NodeB 등의 다양한 중계기에 접속하여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다.
통신망(120)은 액세스포인트(120a)를 포함한다. 액세스포인트(120a)는 건물 내에 많이 설치되는 펨토(femto) 또는 피코(pico) 기지국과 같은 소형 기지국을 포함한다. 여기서, 펨토 또는 피코 기지국은 소형 기지국의 분류상 태그장치(100)나 관리자장치(110)를 최대 몇 대까지 접속할 수 있느냐에 따라 구분된다. 물론 액세스포인트(120a)는 태그장치(100)나 관리자장치(110)와 지그비 및 와이파이(Wi-Fi) 등의 근거리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근거리통신 모듈을 포함한다. 액세스포인트(120a)는 무선통신을 위하여 TCP/IP 혹은 RTSP(Real-Time Streaming Protocol)를 이용할 수 있다. 여기서, 근거리 통신은 와이파이 이외에 블루투스, 지그비, 적외선(IrDA), UHF(Ultra High Frequency) 및 VHF(Very High Frequency)와 같은 RF(Radio Frequency) 및 초광대역 통신(UWB) 등의 다양한 규격으로 수행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액세스포인트(120a)는 데이터 패킷의 위치를 추출하고, 추출된 위치에 대한 최상의 통신 경로를 지정하며, 지정된 통신 경로를 따라 데이터 패킷을 다음 장치, 예컨대 서비스제공장치(130)로 전달할 수 있다. 액세스포인트(120a)는 일반적인 네트워크 환경에서 여러 회선을 공유할 수 있으며, 예컨대 라우터(router), 리피터(repeater) 및 중계기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서비스제공장치(130)는 다양한 데이터(예: 빅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화하기 위한 DB(130a)를 포함하며, 특정 매장에 설정된 도난경보조건을 참조하여 수신된 태그정보를 근거로 상품의 움직임을 파악하고, 도난경보조건을 만족할 때 관리자장치(110)로 이를 도난경보로서 통지해 줄 수 있다. 가령, 서비스제공장치(130)는 매장의 블록을 지정하여 해당 블록 내에 위치한 상품을 각각 구분하여 관리하도록 하여 해당 개수 및 위치를 파악할 수 있도록 하고, 그 해당 블록에서 특정 제품이 이동하여 다른 블록으로 이동해 가는 경우 1차적으로 관리자장치(110)로 상품의 이동이 있음을 알리고, 또한 그 이동 공간이 가령 2개의 블록을 이동하는 경우 관리자장치(110)에 2차 경고와 함께 추적관리하도록 하여 최종 입구 블록으로 이동하는 경우 도난 경보발생을 알리게 된다. 그리고, 2차 경고에 따라 해당 상품을 추적관리하는 도중에 직원이나 매니저 등 관리자의 단말과 인접한 거리에 소정시간 머무르는 경우(예: 물어보는 것으로 판단) 또는 원 위치로 돌아가는 경우(예: 제자리로 돌려놓는 것으로 판단)에는 추적관리를 중단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제공장치(130)가 도난경보조건을 설정하는 과정은 다양할 수 있다. 일 예로, 서비스제공장치(130)는 <표 1>에서와 같이 각 블록마다의 상품과 태그정보를 매칭시키고, 각 블록의 영역을 관할하는 액세스포인트(120a)들에 대한 정보를 함께 매칭시켜 저장해 둘 수 있다. 이때, 액세스포인트(120a)는 적어도 하나가 포함될 수 있는데, 이와 같이 액세스포인트(120a)가 매장 내의 복수 영역 즉 블록을 관할하는 방법은 또 다양할 수 있기 때문에 어느 하나에 특별히 한정하지는 않을 것이다. 다시 말해, 매장 내에 액세스포인트(120a)가 하나만 존재한다 하더라도, 액세스포인트(120a)는 태그장치(100)로부터 수신하는 태그정보의 신호세기를 근거로 각 블록을 판단할 수도 있기 때문에 어떻게 관할하는지 특별히 한정하지는 않을 것이다. 이는 단지 어떻게 그 매장 내의 복수 블록을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느냐에 관련되기 때문이다. 이에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각 블록에 4개의 액세스포인트(120a)를 설치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표 1]
Figure 112018021270612-pat00001
다시 말해, 4개의 액세스포인트(120a)들이 매장 내의 각 블록을 좀더 정밀하게 관할한다고 볼 수 있다. 이는 하나의 정보를 근거로 판단하는 것보다는 복수의 정보를 근거로 판단하는 것이 정확도가 더 높다는 논리의 다름아니다.
서비스제공장치(130)는 도난경보조건을 판단할 때, 각 블록의 4개의 액세스포인트(120a)가 모두 올려주는 즉 제공하는 태그정보를 활용할 수 있지만, 그 중 신호세기가 가장 큰 쪽의 액세스포인트(120a)의 태그정보를 대표적으로 활용할 수도 있다. 또한, 서비스제공장치(130)는 각 블록의 즉 동일 블록 내에 존재하는 복수의 액세스포인트(120a)들이 서로 통신을 통해 신호세기가 가장 큰 액세스포인트(120a)가 전송하는 태그정보를 활용하는 것도 얼마든지 가능할 수 있다. 물론 여기서는 신호세기를 예로 들었지만, 거리를 계산하는 방법 등을 통해서도 그 대표성을 판단하여 활용할 수도 있으므로, 어느 하나에 특별히 한정하지는 않을 것이다.
예컨대, <표 1>에서 볼 때 상품1에 장착된 태그장치1의 태그정보가 제7 액세스포인트(AP7)에서 전송되었다면 서비스제공장치(130)는 상품1이 한개 블록을 벗어났다고 판단할 수 있다. 또한, 태그장치1의 태그정보를 제11 액세스포인트(AP11)에서 전송하였다면 서비스제공장치(130)는 상품1이 두개 블록을 벗어났다고 판단하여 도난경보조건을 만족했다고 결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서비스제공장치(130)는 해당 상품1의 움직임을 실시간으로 추적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서비스제공장치(130)는 액세스포인트(120a)가 태그정보를 제공할 때 자신의 장치정보(ID)도 함께 제공하기 때문에 기설정된 도난경보조건을 근거로 위의 상황을 판단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서비스제공장치(130)는 매장과 같은 임의 장소를 복수의 블록으로 구분하고 구분한 각 블록을 이용하여 설정한 도난경보조건을 근거로 도난경보를 발생시키거나 고객의 매장 내 움직임 정보를 마케팅에 활용할 수 있게 된다.
다른 방법으로서 서비스제공장치(130)는 태그장치(100)가 자체적으로 센서를 구비함으로써 그 센서를 통해 측정된 상품 혹은 태그장치(100)의 움직임 정보를 액세스포인트(120a)로 제공해 주는 것이다. 액세스포인트(120a)는 태그장치(100)의 장치정보와 움직임 정보를 함께 태그장치(100)로부터 수신한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서비스제공장치(130)는 그 움직임 정보를 근거로 위에서 이미 설명한 바 있는 도난경보조건을 만족하는지를 판단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위의 첫째 방법은 서비스제공장치(130)가 위의 맵 정보를 근거로 움직임 정보를 얻는다는 점에서 두번째 방법과 조금 차이가 있다고 볼 수 있다. 가령, 첫째의 경우 서비스제공장치(130)는 각 블록의 사각 꼭지점에 대한 좌표값을 모두 알고 있기 때문에 현재 수신된 태그장치(100)의 태그정보의 좌표값이 얼마인지에 따라 특정 상품이 어느 블록에 있는지 알 수도 있기 때문에 이는 후자의 움직임 정보를 이용하는 방식과 유사하다고 볼 수 있다. 이하, 도 2에서는 계속해서 후자의 방법을 설명할 것이므로, 더 이상의 설명은 생략한다. 물론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서비스제공장치(130)는 위의 첫째 방법에 병행하여 움직임 정보는 태그장치(100)의 손실 여부만을 판단하기 위해 활용할 수도 있는 것이므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어느 하나의 방식에 특별히 한정하지는 않을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고객동향 모니터링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3은 도 2의 시스템을 상품판매매장에 적용한 사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고객동향 모니터링시스템(190)은 태그장치(200), 액세스포인트(혹은 중계장치)(210), 관리자장치(220), 단말기(230) 및 피플 카운터(240)의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하며, 여기서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한다는 것은 앞서서의 의미와 동일하다.
태그장치(200)는 가령 비콘 통신이 가능한 통신 모듈, 제어부 및 저장부를 포함하며, 전원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비콘 통신을 수행하는 경우, 태그장치(200)는 제어부의 제어 하에 자신의 장치정보 가령 장치식별정보(ID)를 외부로 주기적으로 전송한다. 즉 방사한다고 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비용 등의 측면을 고려할 때 비콘 통신이 바람직하지만, 이외에도 블루투스나 와이파이와 같은 다양한 통신이 가능할 수 있으므로 위의 비콘 통신에 특별히 한정하지는 않을 것이다. 도 2의 고객동향 모니터링시스템(190)에서도 도 1에서와 같이 태그장치(200)가 단순히 자신의 장치정보만을 전송하고 관리자장치(220)가 도 1의 서비스제공장치(130)와 같은 동작을 수행하는 것이 얼마든지 가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라 태그장치(200)는 센서를 더 포함함으로써 가방이나 의류 등 상품에 각각 장착되어 대상 상품의 움직임을 감지하고, 이에 따라 태그장치(200)가 자신의 장치정보와 움직임정보를 함께 전송하는 경우도 가능하다. 여기서, 센서는 태그장치(200)의 방향이나 거리 또는 각도 등을 측정할 수 있는 거리센서, 각도센서, 자이로센서, 가속도센서 등 다양한 센서들이 활용될 수 있다.
액세스포인트(210)는 태그장치(200)의 태그정보, 가령 장치정보를 수신하는 수신기로서 무선공유기 등을 포함한다. 액세스포인트(210)는 임의 장소 가령 상품을 판매하는 매장의 통신을 관할하기 위하여 매장에 하나만 설치될 수 있지만, 도 3에서와 같이 매장을 복수의 블록으로 구분하여 각 블록의 통신을 관할하기 위해 각 블록마다 복수의 액세스포인트(210)가 설치될 수 있다. 하나만 설치되는 경우, 신호세기를 통해 각 블록을 인지할 수 있고, 복수의 액세스포인트(210)를 이용하는 경우는 측정의 정확도를 더욱 높이기 위해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신호세기를 이용하지 않는다 하더라도, 각 블록의 액세스포인트(210)가 모두 공통되게 특정 상품에 해당되는 태그정보를 제공했다면 해당 상품은 원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고 판단한다. 그러나, 복수의 액세스포인트(210) 중 하나라도 특정 상품에 대한 태그정보를 제공하지 않으면 해당 상품은 원 위치를 벗어났다고 판단하는 것이다. 이때 신호 세기를 함께 이용함으로써 정확도를 높일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액세스포인트(210)는 태그장치(200)의 태그정보를 수신하여 관리자장치(220)로 전송할 때 자신의 장치정보를 함께 전송한다. 또한, 위의 움직임정보를 더 이용하도록 고객동향 모니터링시스템(190)이 설계된 경우에는 해당 움직임정보도 함께 전송한다. 물론 여기서 움직임정보는 상품에 장착된 태그장치(200)의 파손여부만을 판단하기 위해 활용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움직임정보를 상품의 이동추적에 활용하는 것으로 특별히 한정하지는 않을 것이다.
관리자장치(220)는 가령 매장을 복수의 블록으로 구분하고, 구분된 각 블록에 배치되는 상품과 태그장치(200)의 태그정보를 매칭하여 저장하고, 또 각 블록을 관장하는 액세스포인트(210)의 장치를 함께 매칭시켜 저장한다. 이에 따라 앞서 설명한 대로, 수신되는 태그정보, 액세스포인트(210)의 장치정보를 근거로 특정 상품이 도난 예비경보 단계를 발생시키기 위한 조건을 만족하는지 등을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도난예비 경보 단계는 상품의 추적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관리자장치(220)는 위의 방법 이외에도 움직임정보를 기저장함으로써 움직임정보를 이용하여 위의 조건 만족여부를 판단할 수도 있다. 이때 움직임정보는 좌표값, 방향, 거리, 또는 각도 등 다양한 형태가 이용될 수 있는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그 중 적어도 하나를 활용하여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다. 일례로 방향과 거리로 인접하는 블록을 판단하고 이를 통해 2개 블록 이상을 벗어날 때 도난 예비경보를 발생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는 시스템 설계자에 따라 다양하게 설계될 수 있는 것이므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어느 하나에 특별히 한정하지는 않는다.
만약, 도난 예비경보를 발생시키기 위한 조건을 만족할 때, 관리자장치(220)는 해당 상품에 대한 추적을 수행할 수 있다. 다시 말해, 해당 상품이 진짜 도난될 상황에 있는지를 좀더 모니터링하는 것이다. 만약, 고객이 해당 상품을 가지고 점원 등 관리자에게 문의를 할 수도 있기 때문에 이러한 상황을 정확히 판단하기 위해서이다. 이에 따라, 관리자장치(220)는 해당 상품이 계산대의 피플 카운터(240)로 이동하거나 점원이 소지하는 단말기(230)로 이동한 후 원 위치로 복귀하는 경우에는 도난 예비경보를 해제하고, 관련 데이터는 고객의 동향을 파악하기 위한 데이터로 저장해 두게 된다.
관리자장치(220)는 서버 등 다양한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가령, 매장 자체적으로 구비하는 컴퓨터 본체 등의 서버를 포함할 수 있다. 혹은 계산대에 위치하는 관리자 컴퓨터를 포함할 수도 있다. 관리자장치(220)는 다양한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어느 하나의 형태에 특별히 한정하지는 않을 것이다.
관리자장치(220)는 매장 내에 적어도 하나 마련될 수 있다. 예컨대 매장이 복층으로 구성된 경우 관리자장치(220)는 각층마다 하나씩 마련되어 각 층 내의 액세스포인트(210)로부터 수신되는 신호를 처리할 수 있다. 관리자장치(220)는 복수의 액세스포인트(210)로부터 수신된 태그장치(200)의 신호를 이용하여 움직임을 추적하게 된다.
관리자장치(220)는 단말기(230) 및/또는 피플 카운터(240)와 통신을 수행하여 관리자의 영상표시장치(예: 컴퓨터 등) 또는 관리자 단말기(230)에 처리 결과 또는 현재 상태를 표시할 수 있다. 도 2에서는 관리자장치(220)가 인접하는 단말기(230)나 피플 카운터(240)와 P2P(peer to peer) 등의 다이렉트 통신을 수행하는 것으로 도시하고 있지만, 액세스포인트(210) 등을 포함하는 통신망을 경유하여 통신을 수행하는 것도 얼마든지 가능하므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어느 하나에 특별히 한정하지는 않을 것이다.
단말기(230)나 피플 카운터(240)는 데스크탑 컴퓨터, 랩탑 컴퓨터, 태블릿 PC, 스마트폰 등 다양한 기기를 포함한다. 관리자장치(220)가 도난 예비경보를 발생한 상태에서 특정 상품을 추적하고, 최종적으로 도난상황이라 판단될 때 매니저나 점원이 소지하는 단말기(230)로 해당 상황을 통보해 줄 수 있다. 또한, 상품의 이동이 있다고 판단될 때, 다시 말해 해당 상품이 최초 배치된 블록을 벗어날 때 이를 관리자장치(220)가 단말기(230)로 통지해 줄 수도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관리자용 스마트폰이나 단말기(230)에 내장된 프로그램에서 각 태그장치(200)의 움직임 횟수, 움직임 거리 등이 입력되면 각 태그장치(200)가 장착된 상품에 대한 고객의 선호도를 파악하여 마케팅 자료로 활용할 수 있다. 이를 위해 관리자의 스마트폰이나 단말기(230)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에서 추적한 태그장치(200)의 위치이동 신호를 저장하여 데이터베이스화한다.
단말기(230)는 적어도 한 명의 관리자가 휴대하며 경보 기능, 관리자들 사이의 통신 기능, 디스플레이 기능 등을 가질 수 있다. 단말기(230)는 적어도 하나의 메인 단말기와 복수의 서브 단말기를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메인 단말기는 데스크에 마련될 수 있고, 서브 단말기는 매장 내의 각 코너에 상주하는 복수의 관리자(예: 점원)가 휴대할 수 있다. 메인 단말기는 데스크 상에 마련된 소정 사이즈의 디스플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서브 단말기는 소형 단말기 형태로 마련되어 각 코너의 관리자가 휴대할 수 있으며, 상품의 도난 발생 소지가 있을 경우 해당 상품이 위치하는 관리자의 서브 단말기에 경보가 전달될 수 있다. 이때 경보는 음향, 진동, 발광 등의 방식으로 전달될 수 있다. 한편, 서브 단말기는 관리자 개인의 스마트폰 등의 단말장치를 포함한다. 또한, 스마트폰을 이용하는 경우 매장의 영업이 종료된 후에도 상품의 움직임에 따른 신호를 스마트폰으로 수신할 수 있다. 즉 관리자는 매장의 영업이 종료된 후 관리자장치(220)를 퇴근 모드로 전환할 수 있고, 퇴근 모드로 전환된 경우 상품의 이동에 따른 움직임 신호가 관리자의 스마트폰에 전달되어 관리자가 원거리에서도 이를 인지할 수 있게 된다.
도 3에서 같이, 임의 장소인 매장은 복수의 블록으로 구분되어 있다. 각 블록은 도 3에서 볼 때 4개의 액세스포인트(210)들이 관할하고 있다. 관리자장치(220)는 각 블록에 배치된 상품에 장착되는 태그장치(200)의 태그정보와 상품을 매칭시켜 저장하고, 액세스포인트(210)들에 대한 정보를 더 저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관리자장치(220)는 고객이 특정 상품에 호감을 보이는지, 또 해당 상품을 들고 다른 상품과 비교하여 최종적으로 어떠한 상품을 선택하는지, 혹은 상품을 절취 또는 절도하려는 의사가 있는지 등을 판단해 볼 수 있다. 이때, 태그장치(200)는 움직임을 측정하기 위한 센서를 더 구비함으로써 관리자장치(220)는 이 움직임정보를 통해 특정 상품의 움직임을 더욱 정밀하게 측정할 수 있다. 관리자장치(220)는 이러한 움직임정보를 통해 인접하는 블록을 판단할 수도 있을 것이고, 몇개 블록을 벗어나는지 등을 판단할 수도 있을 것이다. 가령, 움직임정보가 남동향이고 거리가 1m였다면, 이를 기저장된 블록 형태의 맵에 매칭해보고, 해당 맵에 저장된 정보를 활용하여 도난 예비경보 단계를 만족하는지 판단하는 것이다.
관리자장치(220)는 도 3에서 볼 때 가령 2개 블록을 벗어날 때 도난 예비경보 단계로 판단하여 해당 상품에 대한 추적을 수행한다. 추적 과정에서 해당 상품이 점원이 소지하는 단말기(230)로 이동하는 경우 문의로 판단하여 원 위치로 복귀될 때 추적 동작을 해제할 수 있고, 만약 입출구 블록(D)로 이동하는 경우, 절취나 도난 의도가 있는 것으로 판단하여 적절한 조치를 취한다. 여기서, 적절한 조치란 매니저나 점원이 소지하는 사용자장치(예: 컴퓨터, 스마폰 등)로 통지해 주거나, 보안대의 직원에게 알리는 등의 과정을 포함한다.
도 4는 도 2의 태그장치의 세부 구조를 예시한 도면이고, 도 5는 도 4의 구조를 갖는 태그장치의 실물을 보여주는 사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움직임정보를 이용하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라 태그장치(200)는 구동부(400)와 고정부(410)를 포함하며, 구동부(400)는 센서부(401), 전원부(402), 스위치(403), 제어부(404), 경보부(405) 및 통신인터페이스부(406)의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한다"는 것은 센서부(401)나 경보부(405)와 같은 일부 구성요소가 생략되어 구성되거나, 스위치(403)와 같은 일부 구성요소가 제어부(404)와 같은 다른 구성요소에 통합되어 구성될 수 있는 것 등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발명의 충분한 이해를 돕기 위하여 전부 포함하는 것으로 설명한다.
도 4에 도시된 태그장치(200)의 구동부(400)는 인에이블된 후 소정 주기(예: 2초)마다 신호(예: 비콘신호)를 발생시킨다. 태그장치(200)는 각각 고유 ID(identification) 정보를 가지고 있는데, 태그장치(200)가 장착되는 상품 정보와 매칭됨으로써 태그장치(200)의 ID 정보를 통해 상품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예컨대, 의류 상품에 장착된 태그장치(200)는 해당 의류 상품과 매칭되는 고유 ID 정보를 가지고 있어 태그장치(200)의 움직임이 감지되었을 경우 태그장치(200)의 고유 ID 정보를 확인할 수 있고 이와 매칭되는 상품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고객이 소정 상품을 절취하려 할 때 경보가 발생되면 태그장치(200)에 따른 고유 ID 정보를 확인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어떤 상품이 도난되려는지 즉시 확인할 수 있다. 태그장치(200)는 전원버튼을 포함하고 있으며 전원을 온시키면 태그장치(200)가 인에이블된다.
도 4 및 도 5에서 볼 때,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태그장치(200)는 폴리 계열 즉 플라스틱 등으로 제작된 신용카드 형태로 제작될 수 있는데, 전원부(402)는 센서부(401), 통신인터페이스부(406) 등을 구동시키기 위한 전원을 공급한다. 전원부(402)는 예컨대 종이 타입의 얇은 배터리를 이용하여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스위치(403)는 전원부(402)로부터 센서부(401) 등에 전원이 인가되도록 하고 그에 따라 태그장치(200)가 인에이블되도록 한다. 스위치(403)는 별도로 마련된다. 센서부(401)는 전원부(402)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에 의해 구동되며 태그장치(200)의 위치를 송신한다. 센서부(401)는 앞서 언급한 대로 거리센서, 각도센서, 방향센서, 자이로센서, 가속도센서 등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404)는 태그장치(200)의 구동부(400)를 구성하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제어할 수 있다. 가령, 제어부(404)는 센서부(401)에서 센싱한 센싱값, 가령 움직임정보를 수신하여 자신의 식별정보와 함께 통신인터페이스부(406)를 통해 액세스포인트(210)로 전송한다. 또한, 전원부(402)에서 전원이 입력될 때, 제어부(404)는 스위치(403)를 개방시켜 전원을 센서부(401)나 경보부(405), 통신인터페이스부(406)로 제공할 수 있다. 통상 센서부(401) 등은 칩의 형태로 집적화(IC)되기 때문에 적절한 바이어스전압이 필요하고, 전원부(402)에서 입력된 전원은 그 바이어스전압의 역할을 수행한다고 볼 수 있다.
경보부(405)는 음향출력, 진동 및 발광 등의 다양한 방식으로 동작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상 상품을 구입하려는 고객이 당황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발광 등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이러한 경보부(405)는 부가적인 측면이 강하므로 태그장치(200)에서 생략되어도 무관할 것이다.
고정부(410)는 가령 신용카드 형태로 구성되는 구동부(400)를 보호하기 위한 보호케이스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도 5에서와 같이 폴리 계열의 보호케이스로 구성되어 구동부(400)가 삽입되도록 구성될 수 있을 것이다.
도 6은 도 1의 서비스제공장치 또는 도 2의 관리자장치의 세부구조를 예시한 도면이다.
설명의 편의상 도 6을 도 2의 관리자장치(220)와 함께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관리자장치(220)는 통신인터페이스부(600) 및 고객동향 모니터링부(610)의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하며, 여기서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한다는 것은 앞서서의 의미와 동일하다.
통신인터페이스부(600)는 가령 매장 내에 구비되는 액세스포인트(210)와 통신을 수행한다. 예컨대, 통신인터페이스부(600)는 액세스포인트(210)로부터 태그장치(200)의 태그정보 즉 태그장치(200)의 장치정보 및 액세스포인트(210)의 장치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이때, 통신인터페이스부(600)는 태그장치(200)가 움직임정보를 함께 전송하는 경우, 해당 움직임정보도 함께 수신할 수 있다.
통신인터페이스부(600)는 매장 내의 각 블록을 관할하는 액세스포인트(210)가 어떠한 형태로 정보를 전달하는냐에 따라 해당 정보를 수신하여 고객동향 모니터링부(610)에 제공한다. 통신 트래픽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통신인터페이스부(600)는 액세스포인트(210)가 가급적 적은 정보를 전달하도록 설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시 말해, 액세스포인트(210)는 각 블록을 관할하는 태그장치(200)에 변동이 있을 때 해당 정보를 전송하도록 하거나, 대표적인 액세스포인트(210)가 정보를 전달하도록 하는 등의 설계에 따라 그에 상응하는 정보를 통신인터페이스부(600)는 수신할 수 있다.
예컨대, 제1 블록의 액세스포인트(210)가 자신이 관할하는 태그장치(200)의 장치정보 이외에 새로운 장치정보가 감지된 경우를 가정해 보자. 이의 경우, 새로운 태그장치(200)의 장치정보와 함께 이를 고객동향 모니터링부(610)로 제공한다.
이와 같이 통신인터페이스부(600)에서 정보가 제공되면, 고객동향 모니터링부(610)는 수신된 태그정보를 근거로 기설정된 도난경보 예비단계의 조건을 만족하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물론 고객동향 모니터링부(610)는 그 태그정보에 움직임정보가 함께 제공되는 경우 도난경보 예비단계를 판단하기 위해 해당 움직임정보를 더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움직임정보가 제공되느냐 제공되지 않느냐의 문제는 고객동향 모니터링부(610)가 연산을 더 수행하느냐 적게 수행하느냐에 관련될 수 있기 때문에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움직임정보를 더 활용하느냐 활용하지 않느냐에 특별히 한정하지는 않을 것이다.
다시 말해, 액세스포인트(210)가 새로 유입된 태그장치(200)의 태그정보를 제공할 때, 신호세기에 대한 정보도 함께 제공한다면 고객동향 모니터링부(610)는 그 신호세기를 통해 거리를 계산할 수 있고, 그 계산된 거리를 통해 더 정확한 판단이 가능할 수 있을 것이다. 가령, 신호세기를 이용하여 거리를 측정하는 방식은 이미 잘 알려진 바 있다. 가령, 삼각측량법이나 Friis 공식, 신호의 도착시간(TOA) 정보를 이용하는 방식들도 대표적이다. 복수의 액세스포인트(210)를 활용하는 경우 삼각측량법은 정확한 위치를 도출하기에 유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고객동향 모니터링부(610)는 다양한 형태로 도난경보 예비단계를 만족하는지 등에 대한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발명의 충분한 이해를 돕기 위해 태그장치(200)에서 태그정보 즉 장치정보를 제공할 때, 센서를 통해 획득한 움직임정보를 추가로 제공함으로써 이를 활용하는 것으로 예를 들어 설명한 바 있다. 이는 어디까지나 하나의 예에 불과한 것이고, 앞서 또 다른 예로 설명한 바와 같이 시스템의 구축 비용을 절약할 수 있다면 다양한 형태 중 적어도 하나의 형태가 선택되어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무엇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객동향 모니터링부(610)는 도난경보 예비단계의 조건을 만족하는지를 판단하기 위한 설정 데이터를 기저장한다는 것이다. 물론 기저장하지 않는 상태에서 외부에서 가져오는 것도 얼마든지 가능하다. 이와 같이 미리 준비된 데이터를 근거로 고객동향 모니터링부(610)는 외부에서 태그정보가 수신될 때, 수신된 태그정보 즉 태그장치(200)의 장치정보 등에 근거해 위의 만족 여부를 판단하게 된다. 여기서, 그 예비단계의 조건 여부는 임의의 장소인 매장을 복수의 블록으로 구분하고, 그 구분된 복수의 블록을 활용하여 결정되고 설정된다는 것이다. 이는 고객이 어떠한 상품에 진입하고 어떠한 상품에 관심을 보이는지 고객의 동향을 면밀히 관찰하고 그를 통해 고객의 동향에 대한 데이터를 확보하여 마케팅에 활용할 수 있기 때문에 매우 중요하게 판단될 수 있다.
이와 함께 고객동향 모니터링부(610)는 상품을 절취하려는 악의적인 고객도 함께 분별하되, 다른 고객들에게 불쾌감을 주지 않도록 하기 위해 보다 정밀한 측정과 분석이 필요하게 된다. 고객동향 모니터링부(610)는 이를 위하여 가령 2개 이상의 블록 범위를 벗어날 때, 해당 상품의 움직임을 추적하고, 추적 결과 관리자나 점원에게 문의로 판단될 때는 원 위치로 복귀 여부를 판단하여 추적 동작을 해제한다. 반면, 입출구 블록으로 이동한 것이 감지되면 입출구 블록에서 경보를 발생시키기보다는 다른 고객의 기분을 상하게 하지 않기 위하여 관리자가 소지하는 단말장치(예: 스마트폰)나 카운터에 위치하는 단말장치나 보안대의 보안보원에게 이를 통지하여 절취에 대한 적절한 조치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도 7은 도 1 또는 도 2의 관리자장치의 다른 세부구조를 예시한 도면이다.
설명의 편의상 도 7을 도 2와 함께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관리자장치(220')는 통신인터페이스부(700), 제어부(710) 및 고객동향 파악부(720)의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하며, 여기서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한다는 것은 앞서서의 의미와 동일하다.
도 6의 관리자장치(220)와 비교해 보면, 도 7의 관리자장치(220')는 제어 기능과 고객동향 파악을 위한 기능을 이원화한다는 데에 그 차이가 있다. 다시 말해, 제어부(710)는 관리자장치(220')를 구성하는 통신인터페이스부(700) 및 고객동향 파악부(720)를 제어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반면, 고객동향 파악부(720)는 도 6의 고객동향 모니터링부(610)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객동향 파악을 위하여 특정 상품에 장착된 태그장치(200)의 태그정보를 근거로 기설정된 도난 예비경보 조건을 만족하는지 등을 판단하여 판단 결과 조건을 만족할 때 예비경보를 발생시키게 된다. 예비 경보 단계는 상품의 추적 과정을 포함하며, 추적 결과 최종적으로 도난 상황이라 판단될 때 경보를 발생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고객동향 파악부(720)는 고객동향의 처리 결과를 제어부(710)에 제공하면, 제어부(710)는 해당 처리 결과 가령 예비경보 등에 대한 정보가 통신인터페이스부(700)를 통해 가령 매장의 관리자나 점원, 혹은 보안요원에게 통지될 수 있도록 제어하게 된다. 어떠한 방식으로 통지를 할 것인지와 관련해서는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기 때문에 더 이상의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그 이외에, 도 7의 통신인터페이스부(700), 제어부(710) 및 고객동향 파악부(720)과 관련한 자세한 내용은 도 6의 통신인터페이스부(600) 및 고객동향 모니터링부(610)와 크게 다르지 않으므로 그 내용들로 대신하고자 한다.
한편, 제어부(710)는 도면에 별도로 도시하여 나타내지는 않았지만, 관리자장치(220')의 초기 동작시 고객동향 파악부(720)에 저장되어 있는 프로그램을 불러내어 내부 메모리에 저장한 후 이를 고객동향을 파악하기 위해 내부 메모리에 저장된 프로그램을 실행할 수 있다. 이에 근거해 볼 때, 제어부(710)는 CPU와, 롬(ROM) 또는 램(RAM) 등의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CPU는 가령 마이크로프로세서 즉 마이컴으로서 연산회로(ALU)와 제어회로를 포함할 수 있고, 명령 해석부나 레지스터 그룹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는 당업자에게 자명한 사항이므로 편의상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메모리는 램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근거해 볼 때, 고객동향 파악부(720)는 롬을 포함한다고 볼 수 있다. 여기서, 롬은 EEPROM을 포함하며 이에 따라 고객동향 파악부(720)는 프로그램의 기록 및 삭제가 용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객동향 모니터링장치의 구동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설명의 편의상 도 8을 도 1과 함께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제공장치(130)는 고객동향 모니터링장치로서 복수의 블록으로 구분한 임의 장소의 각 블록에 배치되는 상품에 장착되는 태그 장치(100)의 장치 정보를 수신한다(S800).
이에 앞서, 서비스제공장치(130)는 복수의 블록 및 복수의 블록을 이용하여 결정된 도난경보조건을 각각 설정할 수 있으며, 태그장치(100)의 장치정보가 수신되면 수신한 장치정보에 근거하여 도난경보조건이 만족될 때 도난 경보를 발생시킨다(S810). 여기서 도난경보는 도난 예비경보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도난경보조건이란 가령 태그장치(100)가 장착된 상품이 2개 이상의 블록 범위를 벗어났는지를 포함할 수 있다. 그 범위를 벗어났다고 판단되면, 서비스제공장치(130)는 해당 상품에 대한 추적 동작을 수행하고, 추적 결과 고객이 해당 상품을 구입하기 위해 계산하려 하거나 상품에 대하여 매니저나 직원에게 문의하고 원 위치로 복귀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해당 추적 동작을 해제한다. 또한, 서비스제공장치(130)는 특정 상품이 최초 지정된 블록을 벗어날 때에는 그 사실을 매장의 관리자에게 통지해 줄 수 있다.
만약, 해당 상품을 추적한 결과 출입구 블록을 지나는 것으로 판단되면 서비스제공장치(130)는 상품의 절취 의도가 있는 것으로 판단하여 관련 정보를 매니저, 직원이나 보안요원에 해당 사실을 통지해 주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고객의 이동경로를 아주 정밀하게 측정함으로써 고객이 어떠한 상품에 관심을 보이고, 또 어떠한 가격대의 상품에 관심을 보이는지 고객의 특성이나 취향을 관찰하고 관련 정보를 획득하여 마케팅에 활용할 수 있게 된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서는 별도의 촬영장치(예: CCTV 등)와 병행하여 어떠한 고객이 어떠한 상품에 관심을 보이는지 더욱 정밀히 판단할 수 있다. 또는, 최종적으로 상품을 구입한 고객의 정보를 바탕으로 경로를 역추적함으로써 별도의 촬영장치를 활용하지 않아도 고객의 동향을 쉽게 판단할 수 있을 것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다른 고객동향 모니터링장치의 구동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설명의 편의상 도 9를 도 2와 함께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관리자장치(220)는 고객동향 모니터링장치로서, 태그장치(200)를 상품에 장착하여 태그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설정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S900). 이와 같이 장착에 따라 상품과 태그정보를 매칭시켜 데이터베이스화할 수 있다. 물론 매칭 과정은 통상 기계어로서 인식 가능한 2진 코드를 이용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태그장치(200)가 장착된 해당 상품이 움직이면 움직임을 검출하게 되는데, 관리자장치(220)는 태그장치(200)에서 검출된 움직임 정보를 수신하게 된다(S910).
예컨대, 관리자장치(220)는 움직임 정보를 근거로 태그에 고객이 인위적인 손상을 발생시켰는지 등을 판단할 수 있고, 만약 인위적인 손상이라 판단되면 경보를 발생시킨다(S930). 여기서 인위적인 손상이란 태그정보가 감지되는 장소가 상품이 배치된 위치와 전혀 무관한 곳으로 판단될 때 등의 상황을 포함할 수 있다.
인위적인 손상이 아니라 판단되면, 관리자장치(220)는 각 블록의 통신을 관할하는 수신기 즉 액세스포인트(210)로부터 움직임 검출신호를 수신한다(S940). 가령 관리자장치(220)는 이벤트가 발생한 순서대로 검출신호를 수신한다(S950).
이어 관리자장치(220)는 수신된 검출신호를 근거로, 또 기저장된 정보를 더 참조하여 태그의 움직임을 추적할 수 있다(S960).
또한, 관리자장치(220)는 움직임의 추적 결과 태그신호가 감지되지 않을 때에는 경보를 발생시킬 수 있고(S930), 반면 매장의 매니저나 직원에게 문의로 판단되고, 또 원 위치로 복귀된다고 판단될 때와 같이 정상적인 상황일 때에는 해당 태그장치(200)의 움직임에 대한 정보를 데이터베이스화하게 된다(S980).
관리자장치(220)는 태그장치(200)의 움직임 추적 결과를 이용하여 태그장치(20))의 움직임 빈도를 데이터베이스화여 저장한다. 즉 각 태그장치(200)는 고유의 ID 정보를 가지고 있고 각 태그장치(200)의 움직임 횟수, 움직임 거리 등을 파악하면 각 태그장치(200)가 장착된 상품에 대한 고객의 선호도를 파악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 10 내지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임의 장소에 복수의 블록 및 복수의 블록을 이용한 도난경보조건을 설정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설명의 편의상 도 10 내지 도 14를 도 2와 함께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관리자장치(220) 또는 단말기(230)(이하, 관리자장치로 설명함)는 도 10에서와 같이 자유로운 존(Zone) 설정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고객이 원하는 매장 내 어디든 다양한 형태(polygon)의 구역을 설정하고 구역명을 자유롭게 정의할 수 있게 된다(도 10의 (b) 참조). 정의한 구역을 간단한 클릭 한번으로 수정 및 삭제할 수 있게 된다(도 10의 (c) 참조). 이러한 존 관리 기능을 통한 매장별 주요 구역에 대한 효과적인 관리와 존에 상황별 이벤트를 지정하여 매장 내 제품의 도난 또는 분실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관리자장치(220)는 도 11에서와 같이 존별 이벤트 관리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존 생성시 정의하는 이벤트는 이벤트 관리부분에서 미리 관리자의 요구대로 이벤트 메시지를 생성하고 지정한 존의 상태(in, out)에 따라서 실시간 추가 및 반영이 가능할 수 있게 된다. 존 관리 기능을 통한 매장 별 주요 구역에 대한 효과적인 관리와 존에 상황별 이벤트를 지정하여 매장 내 제품의 도난 또는 분실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1의 (a)는 이벤트 추가 화면을 나타내고 도 11의 (b)는 이벤트 리스트화면을 나타내고 있다.
나아가, 관리자장치(220)는 도 12에서와 같이 설정한 이벤트의 신속한 전달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2는 매장 내 실시간 트래킹 화면을 나타내는 것으로 매장 내 전시 판매되는 제품에 내장된 비콘 태그와 제품의 정보를 매칭하여 제품별 전시 위치 파악 및 이동 상황을 실시간으로 확인이 가능하다. 비콘 태그에 지정된 제품이 설정 존에서 벗어나거나 진입시 사전에 정의된 메시지가 매장 직원 및 관리자에게 신속히 전송되어 제품의 분실 및 유실을 사전에 예방할 수 있다. 존 설정 영역에서 미리 설정한 조건에 따라 영역에 비콘 신호 이벤트 발생시 매장 직원 및 관리자에게 신속한 메시지가 전송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관리자장치(220)는 도 13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히트맵 분석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비콘 태그에 지정된 제품의 이동 데이터를 분석하여 히트맵을 통해 해당 제품의 인기도 및 전시 영역의 분석이 가능할 수 있다. 매장 내 개별 제품에 삽입된 비콘 태그의 이동 히트맵을 통해서 매장 내 방문자의 선택 제품과 인기 제품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관리자장치(220)는 도 14에서와 같이 매장 도면 등록이 가능할 수 있다. 캐드 도면을 웹 화면에서 웹 화면에 사용 가능한 손쉬운 형식으로 변경이 가능하다. 이미지 형식을 지원하여 별도의 도면 제작 없이 품질높은 화면 UI(User Interface)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매장 내 도면 등록을 실제 도면 형식(예: 캐드 도면) 및 이미지 형식 등을 지원하여 사용자에게 정확하고 품질 높은 위치 트래킹 화면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관리자장치(220)는 상기와 같은 기능들을 추가로 수행할 수 있게 됨에 따라, 도 2의 관리자장치(220)에 연동하는 단말기(230)의 요청에 따라 다양한 정보를 등록하고 등록된 정보를 확인하는 등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 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하거나 결합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그 모든 구성요소들이 각각 하나의 독립적인 하드웨어로 구현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들의 그 일부 또는 전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하나 또는 복수 개의 하드웨어에서 조합된 일부 또는 전부의 기능을 수행하는 프로그램 모듈을 갖는 컴퓨터 프로그램으로서 구현될 수도 있다. 그 컴퓨터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코드들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의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비일시적 저장매체(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a)에 저장되어 컴퓨터에 의하여 읽혀지고 실행됨으로써, 본 발명의 실시 예를 구현할 수 있다.
여기서 비일시적 판독 가능 기록매체란, 레지스터, 캐시(cache), 메모리 등과 같이 짧은 순간 동안 데이터를 저장하는 매체가 아니라, 반영구적으로 데이터를 저장하며, 기기에 의해 판독(reading)이 가능한 매체를 의미한다. 구체적으로, 상술한 프로그램들은 CD, DVD, 하드 디스크, 블루레이 디스크, USB, 메모리 카드, ROM 등과 같은 비일시적 판독가능 기록매체에 저장되어 제공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100, 200: 태그장치 110, 220: 관리자장치
120: 통신망 120a, 210: 액세스포인트
130: 서비스제공장치 140: 보안대
230: 단말기 240: 피플 카운터
400: 구동부 410: 고정부
401: 센서부 402: 전원부
403: 스위치 404, 710: 제어부
405: 경보부 406, 600, 700: 통신인터페이스부
610: 고객동향 모니터링부 720: 고객동향 파악부

Claims (8)

  1. 임의 장소를 구분한 복수의 블록(block)의 각 블록에 배치되는 상품에 장착된 태그 장치의 장치 정보를 수신하는 통신 인터페이스부; 및
    상기 복수의 블록으로서 상기 상품이 배치되는 복수의 제1 블록, 상기 상품이 미배치되는 복수의 제2 블록, 관리자장치가 위치하는 제3 블록 및 출입구의 제4 블록을 각각 설정하고, 상기 설정한 복수의 제1 블록 내지 상기 제4 블록을 이용하여 도난경보조건을 설정하며, 상기 수신한 장치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설정한 도난경보조건이 만족할 때 도난 경보를 발생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신한 장치 정보가 지정된 개수의 블록 범위를 벗어나 감지될 때 상기 도난경보조건을 만족한다고 판단하여 상기 블록 범위를 벗어난 상품을 추적하는 방식으로 상기 도난 경보를 발생시키고,
    상기 복수의 제1 블록 내지 상기 제4 블록의 각각은,
    상기 각 블록의 복수 지점에 관계되는 복수의 좌표값, 또는 상기 각 블록의 통신을 관할하는 복수의 액세스포인트에 관련되는 복수의 식별정보를 이용하여 설정되는 고객동향 모니터링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추적 중인 상품이 최초 배치된 위치로 복귀할 것으로 판단될 때, 상기 추적을 해제하는 고객동향 모니터링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추적 중인 상품이 상기 제4 블록에서 감지될 때 상기 상품의 도난으로 판단하는 고객동향 모니터링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각 블록의 통신을 관할하여 상기 태그 장치의 장치 정보를 제공하는 상기 액세스포인트에 대한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지 더 판단하여 상기 도난경보조건을 만족하는지 판단하는 고객동향 모니터링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태그 장치로부터 상기 태그 장치의 움직임 정보가 제공될 때 상기 제공된 움직임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지정된 개수의 블록 범위를 벗어나는지 판단하는 고객동향 모니터링장치.
  8. 임의 장소를 구분한 복수의 블록의 각 블록에 배치되는 상품에 장착된 태그 장치의 장치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복수의 블록으로서 상기 상품이 배치되는 복수의 제1 블록, 상기 상품이 미배치되는 복수의 제2 블록, 관리자장치가 위치하는 제3 블록 및 출입구의 제4 블록을 각각 설정하고, 상기 설정한 복수의 제1 블록 내지 상기 제4 블록을 이용하여 도난경보조건을 설정하며, 상기 수신한 장치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설정한 도난경보조건이 만족할 때 도난 경보를 발생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도난 경보를 발생시키는 단계는,
    상기 수신한 장치 정보가 지정된 개수의 블록 범위를 벗어나 감지될 때 상기 도난경보조건을 만족한다고 판단하여 상기 블록 범위를 벗어난 상품을 추적하는 방식으로 상기 도난 경보를 발생시키고,
    상기 복수의 제1 블록 내지 상기 제4 블록의 각각은,
    상기 각 블록의 복수 지점에 관계되는 복수의 좌표값, 또는 상기 각 블록의 통신을 관할하는 복수의 액세스포인트에 관련되는 복수의 식별정보를 이용하여 설정되는 고객동향 모니터링장치의 구동방법.
KR1020180025060A 2018-03-02 2018-03-02 고객동향 모니터링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KR1018769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5060A KR101876954B1 (ko) 2018-03-02 2018-03-02 고객동향 모니터링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5060A KR101876954B1 (ko) 2018-03-02 2018-03-02 고객동향 모니터링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76954B1 true KR101876954B1 (ko) 2018-07-10

Family

ID=629160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25060A KR101876954B1 (ko) 2018-03-02 2018-03-02 고객동향 모니터링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7695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725089A (zh) * 2019-03-19 2020-09-29 北京北方华创微电子装备有限公司 报警配置方法及装置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24497A (ko) * 2009-05-19 2010-11-29 (주) 유니콤티디 능동형 도난방지 시스템
JP2013257835A (ja) * 2012-06-14 2013-12-26 Sharp Corp 盗難防止対応サーバおよびシステム
KR20160109256A (ko) * 2015-03-10 2016-09-21 정희석 도난 방지 태그를 이용한 쇼핑 정보 수집 시스템 및 방법
KR20170057744A (ko) * 2015-11-17 2017-05-25 주식회사 아이디어스튜디오 스마트 기기의 도난 방지 장치
JP2018502400A (ja) * 2014-09-18 2018-01-25 インダイム ソリューションズ, エルエルシーIndyme Solutions, Llc 商品移動センサシステムおよびその使用方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24497A (ko) * 2009-05-19 2010-11-29 (주) 유니콤티디 능동형 도난방지 시스템
JP2013257835A (ja) * 2012-06-14 2013-12-26 Sharp Corp 盗難防止対応サーバおよびシステム
JP2018502400A (ja) * 2014-09-18 2018-01-25 インダイム ソリューションズ, エルエルシーIndyme Solutions, Llc 商品移動センサシステムおよびその使用方法
KR20160109256A (ko) * 2015-03-10 2016-09-21 정희석 도난 방지 태그를 이용한 쇼핑 정보 수집 시스템 및 방법
KR20170057744A (ko) * 2015-11-17 2017-05-25 주식회사 아이디어스튜디오 스마트 기기의 도난 방지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725089A (zh) * 2019-03-19 2020-09-29 北京北方华创微电子装备有限公司 报警配置方法及装置
CN111725089B (zh) * 2019-03-19 2023-08-18 北京北方华创微电子装备有限公司 报警配置方法及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915567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RFID-based retail management
US20230017398A1 (en) Contextually aware customer item entry for autonomous shopping applications
US20210407267A1 (en) Theft prediction and tracking system
US9306660B2 (en) Dynamic interactive zone driven proximity awareness system
US20080246613A1 (en) System and method for wireless security theft prevention
KR101501032B1 (ko) 비콘을 이용한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서비스 제공 방법
US10922742B2 (en) Locating products using tag devices
KR100754548B1 (ko) 전자 태그 위치 측위 이동통신 단말기 및 위치정보 제공시스템 및 서비스 방법
US10380858B2 (en) Method and montoring device for monitoring a tag
US20160093182A1 (en) Store intelligence sensor platform for improving customer experience and data analytics
US20140225734A1 (en) Inhibiting alarming of an electronic article surviellance system
US10423924B2 (en) Detection of misplaced objects and association with qualified target in venue for object return
JPWO2018198376A1 (ja) デジタルスマートセキュリティシステム、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11676462B2 (en) Validating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alarm event tags
US9226224B1 (en) Method and system for obtaining information about Wi-Fi enabled telecommunications devices
US10453318B1 (en) Reduction of theft in a venue based on a dynamically updated high-shrink item library
US11568725B2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nd/or collecting information relating to objects
US11067683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locating items within a facility
KR101876954B1 (ko) 고객동향 모니터링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US9396425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locating objects using RFID technology and alerting mechanisms
CN105718828A (zh) 警告连续运动的安全标签
GB2508087A (en) Shopping aid
US20170124827A1 (en) Identifying an Association between a User of a Mobile Device and an Item of Merchandise
JP6931323B2 (ja) 移動体管理システムおよび移動体管理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