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76505B1 - 베타 사이클로덱스트린 기반의 푸코잔틴 미세분말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베타 사이클로덱스트린 기반의 푸코잔틴 미세분말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76505B1
KR101876505B1 KR1020160146678A KR20160146678A KR101876505B1 KR 101876505 B1 KR101876505 B1 KR 101876505B1 KR 1020160146678 A KR1020160146678 A KR 1020160146678A KR 20160146678 A KR20160146678 A KR 20160146678A KR 101876505 B1 KR101876505 B1 KR 1018765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cosanthin
fine powder
cyclodextrin
fucoxanthin
solu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466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50026A (ko
Inventor
김상민
판철호
구송이
목일균
엄재인
Original Assignee
한국과학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과학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과학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601466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76505B1/ko
Publication of KR201800500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500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765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765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P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NOT FULLY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A23P10/00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characterised by the products
    • A23P10/30Encapsulation of particles, e.g. foodstuff addi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P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NOT FULLY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A23P10/00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characterised by the products
    • A23P10/40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characterised by the products free-flowing powder or instant powder, i.e. powder which is reconstituted rapidly when liquid is adde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48Preparations in capsules, e.g. of gelatin, of chocolate
    • A61K9/50Microcapsules having a gas, liquid or semi-solid filling; Solid microparticles or pellets surrounded by a distinct coating layer, e.g. coated microspheres, coated drug crystals
    • A61K9/51Nanocapsules; Nanoparticles
    • A61K9/5107Excipients; Inactive ingredients
    • A61K9/513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Dendrimers
    • A61K9/5161Polysaccharides, e.g. alginate, chitosan, cellulose derivatives; Cyclodextri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0Natural extracts
    • A23V2250/202Algae extrac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50Polysaccharides, gums
    • A23V2250/51Polysaccharide
    • A23V2250/5112Cyclodextri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14Extraction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Epidemi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Nanotechn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yc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명세서에는 베타 사이클로덱스트린 기반의 푸코잔틴 미세분말 및 이의 제조방법이 개시된다. 상기 푸코잔틴 미세분말은 사이클로덱스트린으로 코팅 또는 캡슐화된 것으로서 나노 크기의 평균 입경을 갖고 화학적 안정성이 높아 유제품 또는 물에 쉽게 분산, 용해되며 생체에 효과적으로 흡수되어 푸코잔틴의 높은 생리활성을 구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베타 사이클로덱스트린 기반의 푸코잔틴 미세분말 및 이의 제조방법{FUCOXANTHIN FINE POWDER BASED ON BETA CYCLODEXTRIN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본 명세서에는 베타 사이클로덱스트린 기반의 푸코잔틴 미세분말 및 이의 제조방법이 개시된다.
푸코잔틴 (fucoxanthin)은 카로티노이드 (carotenoid) 색소류 잔토필의 일종으로서, 갈조식물과 황색식물에 함유되어 있고 에폭사이드와 수산기들을 갖는 알렌 구조 (allene structure)를 가지고 있다. 생리활성 면에서, 푸코잔틴은 비만, 당뇨, 암, 그리고 염증 등에 효과가 있다고 보고된 바 있다 (Maeda H, Tsukui T, Sashima T, Hosokawa M and Miyashita K. (2008). Seaweed carotenoid, fucoxanthin, as a multi-functional nutrient. Asia Pac J Clin Nutr, 17:196-199).
푸코잔틴의 생산은 대부분 육상식물 및 해양 거대조류 (다시마 등), 혹은 이를 섭취하는 생물의 내장에서 추출하여 왔으나, 함유량이 매우 적어 생산 원가가 매우 비싼 단점이 있다. 최근에는, 미세조류에서 기존 원료 대비 10배에서 최대 200배 이상을 함유하고 있는 것이 확인되어 이러한 색소류의 생산이 육상식물 및 거대조류로부터 미세조류로 확대되고 있다.
한편, 푸코잔틴은 폴리엔 (polyene) 구조로 인하여 빛, 열 그리고 산소에 대해서 매우 불안정하다 (Delgado-Vargas F, Jimenez AR and Paredes-Lopez O. (2000). Natural pigments: carotenoids, anthocyanins, and betalains-characteristics, biosynthesis, processing, and stability. Crit Rev Food Sci Nutr, 40:173-289). 따라서, 푸코잔틴의 높은 생리활성을 얻기 위해서는, 푸코잔틴이 화학적으로 안정해야 하고 생체에 흡수가 효과적으로 잘 되어야 한다.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0-0030895호
일 측면에서, 본 명세서는 푸코잔틴을 화학적으로 안정화시키고 용해도 및 생체 이용률을 높이기 위해 사이클로덱스트린으로 코팅 또는 캡슐화한 나노 입자 크기의 푸코잔틴 미세분말을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다른 측면에서, 본 명세서는 푸코잔틴을 화학적으로 안정화시키고 용해도 및 생체 이용률을 높이기 위해 사이클로덱스트린으로 코팅 또는 캡슐화한 나노 입자 크기의 푸코잔틴 미세분말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일 측면에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은 (1) 푸코잔틴을 알코올 용매에 용해시켜 푸코잔틴 용액을 제조하는 단계; (2) 사이클로덱스트린 용액을 제조하는 단계; 및 (3) 상기 푸코잔틴 용액 및 사이클로덱스트린 용액을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푸코잔틴 미세분말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1)단계에서 푸코잔틴은 해조류 또는 미세조류에서 분리된 것이고 80% 이상의 순도를 갖는 것일 수 있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1)단계에서 알코올 용매는 탄소수 1 내지 6의 알코올 용매일 수 있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알코올 용매는 에탄올 용매일 수 있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사이클로덱스트린은 베타 사이클로덱스트린일 수 있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푸코잔틴 미세분말은 푸코잔틴과 사이클로덱스트린을 각각 1 : 50 내지 300의 중량비로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방법은 (3)단계에서 혼합한 혼합 용액을 40 내지 60 ℃에서 교반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방법은 (3)단계에서 혼합한 혼합 용액을 2 내지 20 시간 동안 교반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방법은 (3)단계에서 혼합한 혼합 용액을 2 내지 10 ℃에서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저장 시간은 10 내지 40 시간일 수 있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방법은 (3)단계에서 혼합한 혼합 용액을 여과한 후 건조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측면에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은 푸코잔틴을 포함하는 코어; 및 상기 코어의 외면에 형성되고, 사이클로덱스트린을 포함하는 외층;을 포함하는 용해도가 증진된 푸코잔틴 미세분말을 제공한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푸코잔틴 미세분말은 1 ㎛ 이하의 평균 입경을 갖는 것일 수 있다.
일 측면에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은 푸코잔틴을 화학적으로 안정화시키고 용해도 및 생체 이용률을 높이기 위해 사이클로덱스트린으로 코팅 또는 캡슐화한 나노 입자 크기의 푸코잔틴 미세분말을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다른 측면에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은 푸코잔틴을 화학적으로 안정화시키고 용해도 및 생체 이용률을 높이기 위해 사이클로덱스트린으로 코팅 또는 캡슐화한 나노 입자 크기의 푸코잔틴 미세분말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본 명세서에 따른 푸코잔틴 미세분말은 나노 크기의 평균 입경을 가져 유제품 또는 물에 쉽게 분산 및 용해되며 화학적 안정성이 높아 생체에 효과적으로 흡수되어 푸코잔틴의 높은 생리활성을 구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서 제조한 푸코잔틴 미세분말의 외관 사진을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서 제조한 푸코잔틴 미세분말의 확대 이미지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서 제조한 푸코잔틴 미세분말의 강도에 의한 크기 분포를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서 제조한 푸코잔틴 미세분말 (CD-FX)의 포집 효율을 나타낸 것이다. CAS-FX는 카세인과 복합체를 이룬 푸코잔틴 미세분말을 의미하며, CS-CAS-FX는 키토산으로 코팅된 CAS-FX를 의미한다.
도 5는 종래 푸코잔틴 분말 (FX-fr)의 물에 대한 용해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서 제조한 푸코잔틴 미세분말의 물에 대한 용해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7은 위장관 모사액의 위액 (gastric juice) 및 장액 (intestinal juice)에서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서 제조한 푸코잔틴 미세분말로부터 용출되는 푸코잔틴의 함량을 비교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일 측면에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은 (1) 푸코잔틴을 알코올 용매에 용해시켜 푸코잔틴 용액을 제조하는 단계; (2) 사이클로덱스트린 용액을 제조하는 단계; 및 (3) 상기 푸코잔틴 용액 및 사이클로덱스트린 용액을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푸코잔틴 미세분말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1)단계에서 푸코잔틴은 80% 이상, 더욱 구체적으로 80 내지 99%의 순도를 갖는 것일 수 있다.
하기 화학식 1의 구조를 갖는 푸코잔틴은 갈조류가 띠는 갈색의 원인물질이며 엽록체의 부분색소이기도 하다. 푸코잔틴은 갈조식물과 황색식물에 함유되어 있으며, 예컨대 미역, 모자반, 다시마, 톳 등의 해조류, 페오닥틸룸 트리코르누툼 (Phaeodactylum tricornutum), 아이소크리시스 갈바나 (Isochrysis galbana), 체토세로스 그라실리스 (Chaetoceros gracilis), 사이린드로데카 클로스테리움 (Cylindrotheca closterium), 오돈텔라 아루리타 (Odontella aurita) 등의 미세조류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푸코잔틴은 당해 기술분야에서 이용되는 통상의 방법에 따라 추출 또는 분리될 수 있으며, 시판되는 것 등의 제한이 없이 사용 가능하다.
[화학식 1]
Figure 112016108036436-pat00001
사이클로덱스트린 (CD)은 D-글루코피라노스가 α-1,4-글루코시드 결합에 의해 원형으로 결합된 환상물질로서, 흰색의 결정 또는 결정성 가루로 냄새가 없고 약간의 단맛이 난다. 연결된 D-글루코스의 중합도에 따라 α-CD (6개), β-CD (7개), γ-CD (8개) 등이 존재하고 9-10개의 것도 알려져 있다. 사이클로덱스트린은 환상형의 도넛 구조로 이루어져 내부는 소수성, 외부는 친수성을 갖는 독특한 특성을 가지고 있고, 이러한 특성으로 인해 포접 기능을 가지며 각종 유성 물질의 유화 및 균질화를 통해 안정한 유화액을 만들어 준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사이클로덱스트린은 베타 사이클로덱스트린인 것이 푸코잔틴의 포집 효율 면에서 바람직할 수 있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푸코잔틴 미세분말은 푸코잔틴과 사이클로덱스트린을 각각 1 : 50 내지 300, 또는 1 : 50 내지 250, 또는 1 : 50 내지 200, 또는 1 : 50 내지 150, 또는 1 : 50 내지 100의 중량비로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푸코잔틴의 포집 효율을 높이고 화학적 안정성이 우수한 나노 크기의 푸코잔틴 미세분말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방법은 (3)단계에서 혼합한 혼합 용액을 40 내지 60 ℃, 또는 40 내지 50 ℃에서 교반하여 균질화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방법은 (3)단계에서 혼합한 혼합 용액을 2 내지 20 시간 동안 교반하여 균질화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균질화는 혼합물의 각 성분들을 분산시켜 전체를 균질하게 하는 공정을 의미한다. 상기와 같이 균질화함으로써 사이클로덱스트린으로 둘러싸인 푸코잔틴 미세분말 구조를 형성하여 푸코잔틴의 화학적 안정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방법은 (3)단계에서 혼합한 혼합 용액을 2 내지 10 ℃에서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저장 시간은 10 내지 40 시간일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저장 단계를 포함하여 푸코잔틴의 포집 효율을 높이고 화학적 안정성이 우수한 나노 크기의 푸코잔틴 미세분말을 제조할 수 있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방법은 (3)단계에서 혼합한 혼합 용액을 여과한 후 건조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방법은 혼합 용액을 분무건조 (spray drying)하여 푸코잔틴 미세분말을 제조할 수 있다. 분무건조는 혼합 용액을 뜨거운 바람 중에 분무 분산시켜 열풍으로 수분을 제거하고 급속히 건조시켜 파우더 상태의 생성물을 얻는 건조법을 의미한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방법은 70% 이상, 구체적으로 70 내지 99%, 또는 70 내지 90%, 또는 70 내지 80%의 푸코잔틴 포집 효율을 가질 수 있다.
다른 측면에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은 푸코잔틴을 포함하는 코어; 및 상기 코어의 외면에 형성되고, 사이클로덱스트린을 포함하는 외층;을 포함하는 용해도가 증진된 푸코잔틴 미세분말을 제공한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푸코잔틴 미세분말은 푸코잔틴이 사이클로덱스트린으로 둘러싸인 구조를 갖는 것일 수 있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푸코잔틴 미세분말의 형태는 구형 (bulb shape)일 수 있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푸코잔틴 미세분말은 1 ㎛ 이하의 평균 입경을 갖는 것일 수 있다. 다른 측면에서, 상기 푸코잔틴 미세분말은 100 nm 이상, 200 nm 이상 또는 300 nm 이상이면서 900 nm 이하, 800 nm 이하, 700 nm 이하, 600 nm 이하, 500 nm 이하, 400 nm 이하 또는 300 nm 이하의 평균 입경을 갖는 것일 수 있다. 평균 입경은 미세분말 입자들의 평균 직경을 말한다.
본 명세서는 해조류 또는 미세조류에서 분리된 80% 이상의 순도를 갖는 푸코잔틴을 높은 포집 효율로 코팅 또는 캡슐화하여 화학적 안정성이 우수한 푸코잔틴 미세분말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상기 푸코잔틴 미세분말은 pH, 빛, 열 및 산소 등에 대한 화학적 안정성이 높다.
또한, 본 명세서에 따른 푸코잔틴 미세분말은 나노 크기의 평균 입경을 갖는 것으로서 푸코잔틴의 용해도를 증가시키고 푸코잔틴의 분산성을 높여 용해 시 응집 현상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한다. 따라서, 유제품 또는 물에 쉽게 용해 및 분산되어 식품 소재로 활용이 높고 생체에 효과적으로 흡수되어 높은 생리활성을 구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다른 측면에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은 상기 푸코잔틴 미세분말을 포함하는 식품 또는 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실시예 1. 푸코잔틴 미세분말의 제조
BioOne Co. Ltd. (Gangneung-si, Gangwon-do, Korea)로부터 Phaeodactylum tricornutum 유래 푸코잔틴 분획 분말 (이하 FX-fr로 지칭) 및 Sigma-Aldrich (St. Louis, MO, USA)로부터 베타 사이클로덱스트린 (Beta cyclodextrin)을 입수하여 하기 시험에 사용하였다.
30 mg의 푸코잔틴 분말 (FX-fr)을 5 mL의 에탄올 용매에 용해시켜 푸코잔틴 용액을 제조하고, 2 g의 베타 사이클로덱스트린을 40 mL의 물에 용해시켜 베타 사이클로덱스트린 용액을 제조하였다. 이후, 상기 제조한 2개의 용액을 혼합하고 혼합 용액을 50 ℃에서 7시간 동안 교반하여 푸코잔틴과 사이클로덱스트린 복합체를 형성하였다. 교반 과정이 끝난 혼합 용액은 4 ℃에서 24시간 동안 저장한 후 페이퍼 여과하고 여과액을 5 mL의 물과 5 mL의 에탄올로 3번 세척하였다. 이후, 동결 건조하여 노란색을 띠는 사이클로덱스트린 기반의 푸코잔틴 미세분말 (이하 CD-FX로 지칭)을 수득하여 도 1에 나타내었다.
시험예 1. 푸코잔틴 미세분말의 표면 관찰
상기 제조된 푸코잔틴 미세분말의 형태는 300 ㎛ (좌), 1 ㎛ (우)의 스케일 바에서 전계방사형 주사전자현미경 (Field emission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FE-SEM; SU70, Hitachi, Tokyo, Japan)으로 관찰하였다.
그 결과,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CD-FX는 구형에 가까운 형태를 갖는 것을 확인하였다.
시험예 2. 푸코잔틴 미세분말의 특성 분석
상기 제조된 푸코잔틴 미세분말의 입자 크기는 NanoZS (Malvern Instruments, Worcestershire, UK)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또한, 푸코잔틴 미세분말의 포집 효율 (Encapsulation efficiency)은 실질적인 입자 내 함유된 푸코잔틴의 함량으로서, 정확히 측정된 양 (0.1 g)을 에탄올에 분산 및 용해시키고 1시간 동안 초음파 처리하여 하기 식과 같이 측정되었다. 이론적 함량은 제조 과정 동안 어떠한 손실 없이 모든 푸코잔틴이 입자 내 포집되었음을 가정한 것이다.
포집 효율 (Encapsulation efficiency, %) = 포집된 푸코잔틴의 실제 함량(actual amount) / 이론적 함량(theoretical amount) × 100
강도에 의한 크기 분포를 측정한 결과, 본 명세서에 따른 푸코잔틴 미세분말은 약 1 ㎛ 이하의 나노 입자 크기를 갖는 확인하였다(도 3 참조). 이에 따라, 본 명세서에 따른 푸코잔틴 미세분말은 음료 제형에 적용 시 용해도를 높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수용액 내 분산성을 높여 하층부에 응집 현상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실시예에서 제조된 푸코잔틴 미세분말은 약 80%에 해당하는 푸코잔틴 포집 효율을 나타내어 푸코잔틴이 사이클로덱스트린에 의해 캡슐화 또는 코팅되어 안정한 상태로 존재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사이클로덱스트린은 푸코잔틴의 우수한 포집 효율과 미세분말 나노입자의 높은 안정성을 제공한다.
시험예 3. 푸코잔틴 미세분말의 용해도 관찰
상기 제조된 푸코잔틴 미세분말과 종래 푸코잔틴 분말 FX-fr을 동일한 농도로 물에 첨가하여 동일한 온도 및 시간 조건에서 용해도를 관찰하였다.
그 결과, 도 5 및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CD-FX는 침전 현상을 보이지 않고 물에 잘 분산되어 완전히 용해된 반면, FX-fr은 분산되지 못하고 튜브 벽과 바닥에 응집물을 형성하여 물에 완전히 용해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푸코잔틴 미세분말은 사이클로덱스트린을 사용함에 따라 캡슐화된 지용성 성분의 물에 대한 용해도가 친수성 코팅 물질에 의해 개선됨을 알 수 있었다.
한편, PDI는 이질성 지수를 나타내며, PDI 값이 높을수록 이질성이 높은 분산 상태를 나타낸다.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CD-FX는 안정하고 동질의 양호한 분산 상태를 갖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시험예 4. 푸코잔틴 미세분말의 화학적 안정성 분석
푸코잔틴은 낮은 pH와 산소에 의해 쉽게 분해될 수 있고, 위장관에서 소화 과정 동안 푸코잔틴은 위산과 산화적 화학 물질에 의해 이러한 요인에 노출된다. 따라서, 소화 과정 동안 푸코잔틴의 소화 안정성은 식품 소재 개발에 있어서 중요한 요소이다.
본 시험예에서는 위장관 모사액, pH 2의 위액 (gastric juice)과 pH 7의 장액 (intestinal juice)에서 푸코잔틴 미세분말로부터 용출되는 푸코잔틴의 함량을 분석하여 상기 실시예에서 제조한 푸코잔틴 미세분말의 화학적 안정성을 시험하였다.
그 결과,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위액에서는 미세분말 내 푸코잔틴이 용출되지 않고 보호된 채로 존재하지만 장액에서는 사이클로덱스트린의 코팅이 풀어지면서 푸코잔틴이 용출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에 따라, 본 명세서에 따른 푸코잔틴 미세분말은 위산에 의해 보호되어 장에 도달된 후 푸코잔틴을 용출시켜 생체에 효과적으로 흡수되어 높은 생리활성을 구현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즉, 본 명세서에 따른 푸코잔틴 미세분말은 우수한 소화 안정성 및 생체 접근률을 나타내는 효과가 있다.
시험예 5. 푸코잔틴 함량 분석
본 명세서에서 푸코잔틴은 다이오드 어레이 디텍터 (1200 series, Agilent, Santa Clara, CA, USA)와 연결된 고압 액체 크로마토그래피 (High pressure liquid chromatography)로 정량하였다. 분리를 위해 YMC C-30 카로티노이드 컬럼 (150 × 4.6 mm 내경, 3 μm 입자 크기, Waters, Milford, MA, USA)을 사용하였고, 메탄올 및 물 용매 시스템을 이동상으로 35 ℃의 컬럼 온도로 0.7 mL/min의 유량에서 실시하였다. 메탄올/물 비율은 20분 이상 90:10 내지 100:0으로 증가시켰고 다음 5분간 100% 메탄올에서 고정하였다. 450 nm에서 얻은 크로마토그램을 푸코잔틴의 정량 분석에 사용하였다.
시험예 6. 통계적 분석
모든 시험은 3번 반복하였고 모든 데이터는 평균±표준편차로 나타내었다. 평균 간 유의적 차이는 t-test 및 one-way ANOVA (P < 0.05)로 분석되었다.
이상, 본 발명내용의 특정한 부분을 상세히 기술하였는바,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이러한 구체적인 기술은 단지 바람직한 실시태양일 뿐이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이 아닌 점은 명백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질적인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들과 그것들의 등가물에 의해 정의된다고 할 것이다.

Claims (13)

  1. 푸코잔틴 미세분말의 제조방법으로,
    (1) 푸코잔틴을 에탄올 용매에 용해시켜 푸코잔틴 용액을 제조하는 단계;
    (2) 사이클로덱스트린 용액을 제조하는 단계;
    (3) 상기 푸코잔틴 용액 및 사이클로덱스트린 용액을 혼합 및 교반하여 균질화하는 단계; 및
    (4) 상기 균질화한 혼합 용액을 2 내지 10 ℃에서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푸코잔틴 미세분말은 푸코잔틴과 사이클로덱스트린을 각각 1 : 50 내지 300의 중량비로 포함하며,
    상기 푸코잔틴 미세분말은 푸코잔틴이 사이클로덱스트린으로 코팅된 구형 (bulb shape)의 나노입자인 것인, 푸코잔틴 미세분말의 제조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1)단계에서 푸코잔틴은 해조류 또는 미세조류에서 분리된 것이고 80% 이상의 순도를 갖는 것인, 푸코잔틴 미세분말의 제조방법.
  3. 삭제
  4. 삭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사이클로덱스트린은 베타 사이클로덱스트린인, 푸코잔틴 미세분말의 제조방법.
  6. 삭제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3)단계에서 교반 온도는 40 내지 60 ℃인, 푸코잔틴 미세분말의 제조방법.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3)단계에서 교반 시간은 2 내지 20 시간인, 푸코잔틴 미세분말의 제조방법.
  9. 삭제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4)단계에서 저장 시간은 10 내지 40 시간인, 푸코잔틴 미세분말의 제조방법.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4)단계에서 저장 과정이 완료된 혼합 용액을 여과한 후 건조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푸코잔틴 미세분말의 제조방법.
  12. 제 1항, 제 2항, 제 5항, 제 7항, 제 8항, 제 10항 및 제 11항 중 어느 한 항의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된 용해도가 증진된 푸코잔틴 미세분말.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푸코잔틴 미세분말은 100 내지 800 nm의 평균 입경을 갖는 것인, 용해도가 증진된 푸코잔틴 미세분말.
KR1020160146678A 2016-11-04 2016-11-04 베타 사이클로덱스트린 기반의 푸코잔틴 미세분말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8765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46678A KR101876505B1 (ko) 2016-11-04 2016-11-04 베타 사이클로덱스트린 기반의 푸코잔틴 미세분말 및 이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46678A KR101876505B1 (ko) 2016-11-04 2016-11-04 베타 사이클로덱스트린 기반의 푸코잔틴 미세분말 및 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50026A KR20180050026A (ko) 2018-05-14
KR101876505B1 true KR101876505B1 (ko) 2018-07-09

Family

ID=621882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46678A KR101876505B1 (ko) 2016-11-04 2016-11-04 베타 사이클로덱스트린 기반의 푸코잔틴 미세분말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7650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93821B1 (ko) * 2018-09-11 2020-03-26 한국과학기술연구원 페오닥틸럼 추출물을 제조하는 방법
KR102093820B1 (ko) * 2018-09-11 2020-03-26 한국과학기술연구원 페오닥틸럼 분획물을 대량 생산하는 방법
CN115287781B (zh) * 2022-08-12 2024-02-02 江苏蓝果临床营养科技有限公司 一种岩藻黄质纳米纤维的制备及其在减肥降脂中的应用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506685A (ja) * 1996-12-12 2001-05-22 ビーエーエスエフ アクチェンゲゼルシャフト キサントフィル類の安定な水性分散液および安定な水−分散性乾燥粉末、それらの製造および使用
KR20100047267A (ko) * 2007-07-20 2010-05-07 이노비아 안정성 분말 조성물 제조방법
KR20110059697A (ko) * 2009-07-10 2011-06-03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기능성 나노 전분 복합체 및 제조 방법
KR101400962B1 (ko) * 2012-04-30 2014-05-28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푸코잔틴의 화학적 안정성과 피부 침투성을 증진시키는 마이크로에멀젼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506685A (ja) * 1996-12-12 2001-05-22 ビーエーエスエフ アクチェンゲゼルシャフト キサントフィル類の安定な水性分散液および安定な水−分散性乾燥粉末、それらの製造および使用
KR20100047267A (ko) * 2007-07-20 2010-05-07 이노비아 안정성 분말 조성물 제조방법
KR20110059697A (ko) * 2009-07-10 2011-06-03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기능성 나노 전분 복합체 및 제조 방법
KR101400962B1 (ko) * 2012-04-30 2014-05-28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푸코잔틴의 화학적 안정성과 피부 침투성을 증진시키는 마이크로에멀젼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ChemBioEng Rev. 2015, Vol.2, No.6, pp.393-405 *
ChemBioEng Rev. 2015, Vol.2, No.6, pp.393-405*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50026A (ko) 2018-05-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Sidhu et al. Role of biogenic capping agents in the synthesis of metallic nanoparticles and evaluation of their therapeutic potential
Focsan et al. Supramolecular carotenoid complexes of enhanced solubility and stability—The way of bioavailability improvement
Rakmai et al. Physico-chemical characterization and evaluation of bio-efficacies of black pepper essential oil encapsulated in hydroxypropyl-beta-cyclodextrin
Patel et al. Quercetin loaded biopolymeric colloidal particles prepared by simultaneous precipitation of quercetin with hydrophobic protein in aqueous medium
Sun et al. The stability and bioaccessibility of fucoxanthin in spray-dried microcapsules based on various biopolymers
KR101876505B1 (ko) 베타 사이클로덱스트린 기반의 푸코잔틴 미세분말 및 이의 제조방법
Durante et al. Tomato oil encapsulation by α-, β-, and γ-Cyclodextrins: A comparative study on the formation of supramolecular structures, antioxidant activity, and carotenoid stability
Hu et al. Cyclodextrin–phytochemical inclusion complexes: Promising food materials with targeted nutrition and functionality
Esmaeilzadeh Kenari et al. Phenolic profile and antioxidant activity of free/bound phenolic compounds of sesame and properties of encapsulated nanoparticles in different wall materials
Kim et al. β-CD-mediated encapsulation enhanced stability and solubility of astaxanthin
US20210161830A1 (en) Active substance carrier comprising biopolymer
Soleimanifard et al. Nanoencapsulation of propolis extract by sodium caseinate-maltodextrin complexes
WO2021088983A1 (zh) 一种高生物利用度的7,8-二羟基黄酮复合纳米生物材料及其制备方法和用途
Hu et al. Simple strategy preparing cyclodextrin carboxylate as a highly effective carrier for bioactive compounds
Mohammadi et al. Nanophytosome as a promising carrier for improving cumin essential oil properties
da Silva Crozatti et al. Extraction, microencapsulation, and application of anthocyanins from juçara palm fruit (Euterpe edulis Mart.): enhancement of natural pigment
Wang et al. Dual-modified starch nanoparticles containing aromatic systems with highly efficient encapsulation of curcumin and their antibacterial applications
KR101871328B1 (ko) 키토산으로 표면이 개질된 커큐민이 적재된 고체 지질 나노입자
Baliyan et al. Nanoencapsulation development for interactive foods
Hosseini et al. Design and preparation of oral jelly candies of acetaminophen and its nanoparticles
KR20160000088A (ko) 폴리감마글루타민산 유도체 및 이를 함유한 제제
Gupta et al. Novel food materials: Fundamentals and applications in sustainable food systems for food processing and safety
Xu et al. Preparation, optimization, characterization, and in vitro bioaccessibility of a lutein microparticle using spray drying with β‐cyclodextrin and stevioside
KR101875571B1 (ko) 키토산으로 코팅된 카세인 기반의 푸코잔틴 미세분말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876507B1 (ko) 카세인 기반의 푸코잔틴 미세분말 및 이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