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75816B1 - 집진장치 - Google Patents

집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75816B1
KR101875816B1 KR1020160146975A KR20160146975A KR101875816B1 KR 101875816 B1 KR101875816 B1 KR 101875816B1 KR 1020160146975 A KR1020160146975 A KR 1020160146975A KR 20160146975 A KR20160146975 A KR 20160146975A KR 101875816 B1 KR101875816 B1 KR 1018758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nding plate
gas
bending
adhesive layer
adhes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469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50150A (ko
Inventor
조한재
Original Assignee
조한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한재 filed Critical 조한재
Priority to KR10201601469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75816B1/ko
Publication of KR201800501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501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758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758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5/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by gravity, inertia, or centrifugal forces
    • B01D45/04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by gravity, inertia, or centrifugal forces by utilising inertia
    • B01D45/08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by gravity, inertia, or centrifugal forces by utilising inertia by impingement against baffle separator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Filtering Materials (AREA)

Abstract

가스에 함유된 오염물질 입자 등을 보다 효과적으로 처리 가능한 집진장치가 제공된다. 집진장치는, 가스가 유동하는 유로 내부에 배치되며, 가스와 접촉하여 가스의 유동방향을 변경 가능한 복수 개의 굴절판, 및 굴절판 표면의 적어도 일부에 형성되어 굴절판에 점착력을 부여하는 점착층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집진장치{Dust collecting apparatus}
본 발명은 집진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가스에 함유된 오염물질 입자 등을 보다 효과적으로 처리 가능한 집진장치에 관한 것이다.
오염물질은 기중에 입자 형태로 분포할 수 있다. 특히, 산업시설 등에서 연료를 연소하거나 연소된 연료를 활용하여 기관 등을 구동하는 경우 오염물질 입자를 함유한 가스가 대량 생성될 수 있다. 이러한 가스는 연도를 통해서 시설 외부로 배출된다.
연도 등 가스의 배출경로에는 이러한 오염물질을 처리하는 장치가 구비될 수 있다. 가스에 함유된 오염물질이 적절히 처리되지 않고 배출되면 심각한 공해를 일으킬 수 있으므로 오염물질 처리장치는 반드시 필요하다. 특히, 산업시설 등에서 배출되는 가스에는 오염물질 입자가 과량 함유되어 있어 보다 효과적인 처리설비가 요구된다.
또한, 산업시설의 종류에 따라서는 상대적으로 처리가 곤란한 오염물질 입자가 생성될 수 있어 보다 효과적인 처리설비가 필요하다. 산업시설의 종류에 따라서 여러 가지 다양한 오염물질이 발생하므로 이러한 오염물질들을 보다 효과적으로 처리 가능한 설비가 필요하다. 그러나 종래 필터를 이용한 처리설비 등으로 만족스러운 처리효과를 얻기 어려웠다.
즉 종래의 경우, 가스에 함유된 오염물질 입자 등을 처리하기 위해 부직포 등으로 형성된 필터를 설치하여 사용하였으나 처리효과가 미흡하여 개선이 필요하였다. 특히, 산업시설에 따라 이러한 필터만으로 처리하기 곤란한 오염물질이 가스에 함유되어 배출될 수 있는 바 보다 효과적인 처리장치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475866호, (2014.12.23), 도 1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가스에 함유된 오염물질 입자 등을 보다 효과적으로 처리 가능한 집진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러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집진장치는, 가스가 유동하는 유로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가스와 접촉하여 가스의 유동방향을 변경 가능한 복수 개의 굴절판; 및 상기 굴절판 표면의 적어도 일부에 형성되어 상기 굴절판에 점착력을 부여하는 점착층을 포함한다.
상기 굴절판은 금속, 플라스틱, 세라믹, 및 목재 중 적어도 하나로 이루어진 판재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굴절판은 외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가스의 흐름과 교차되며 적어도 일부에 점착물질이 도포된 돌출편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굴절판은 적어도 하나의 굴절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굴절판은 복수 개의 굴절부가 서로 연결되어 지그재그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집진장치는, 서로 인접한 상기 굴절판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굴절판 사이의 공간에 개재되며 점착력을 갖는 연결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결체는 상기 굴절판 표면에 형성된 상기 점착층으로부터 점착물질이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연결체는, 상기 점착층으로부터 점착물질이 중력에 의해 연장되어 형성되되, 상기 굴절판이 주기적 또는 비주기적으로 회전되어, 상기 굴절판에 대한 연장방향이 주기적 또는 비주기적으로 변경되며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연결체는 상기 점착층에 인장력을 가하여 상기 점착층으로부터 점착물질을 인장시켜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점착층은 실리콘계 수지, 아크릴계 수지, 고무계 수지, 및 에폭시계 수지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집진장치로 가스에 함유된 오염물질 입자를 보다 효과적으로 포집하여 처리할 수 있다. 가스가 유동하는 유로 내 본 발명의 집진장치를 설치하여 다양한 종류의 오염물질 입자를 보다 효과적으로 처리할 수 있다. 특정 산업시설에서 가스에 섞여 배출되는 미세먼지와 같은 상대적으로 처리가 어려운 오염물질 입자 등도 본 발명의 집진장치를 이용하여 매우 효과적으로 처리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집진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집진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집진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에에 의한 집진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집진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6은 도 4의 집진장치의 정면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기 위한 방법들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단지 청구항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집진장치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하고, 도 4 및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집진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집진장치의 평면도이고, 도 3은 도 1의 집진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집진장치(1)는 가스가 유동하는 유로(미도시) 내부에 배치되며, 가스와 접촉하여 가스의 유동방향을 변경 가능한 복수 개의 굴절판(10), 및 굴절판 표면의 적어도 일부에 형성되어 굴절판에 점착력을 부여하는 점착층(20)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 상에서 가스가 유동하는 '유로' 는 보일러 자체, 보일러 내부, 배기관, 덕트, 또는 연돌 등의 가스 유동이 가능한 여러 형태의 통로구조를 포함하는 것으로서 본 발명의 집진장치(1)는 이러한 통로구조 내에 형성된다.
특히,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집진장치(1)는 복수 개의 굴절판(10)과 굴절판(10)에 형성된 점착층(20)을 포함한다. 점착층(20)은 굴절판(10) 표면의 일부 또는 전부에 형성될 수 있다. 점착층(20)은 굴절판(10)에 점착력을 부여하여 굴절판(10)의 가스 접촉구조와 점착층(20)의 점착력이 상승효과를 일으키며 오염물질 입자를 효과적으로 처리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특히, 비정기적 오염물질 배출원 등을 포함하는 다양한 오염물질 배출환경에 적용하여 종래 여과집진기술로 처리가 어려웠던 배출환경에서도 본 발명의 집진장치(1)로 용이하게 처리할 수 있다.
이하, 이러한 특징을 갖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집진장치(1)에 대해 각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 설명을 통해서 본 발명의 여러 특징이 명확하게 파악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집진장치(1)는 복수 개의 굴절판(10)을 포함한다. 굴절판(10)은 굴절구조를 이용하여 가스와 접촉하며 가스의 유동방향을 변경한다. 굴절판(10)은 양 단부가 각각 유로(전술한 통로구조를 의미한다)의 가스 유입측과 가스 배출측을 향하여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배치됨으로써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굴절판(10)의 단부를 통해서 가스를 유입할 수 있다(도 2 하단의 화살표 참조). 굴절판(10)은 복수 개가 서로 나란히 배열될 수 있다.
굴절판(10)은 프레임(미도시) 등에 연결되어 서로 나란히 배열될 수 있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집진장치(1)는 굴절판(10)을 고정하는 프레임 등의 고정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프레임은 유로 등의 내측에 연결되어 굴절판(10)의 위치를 고정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굴절판(10)을 고정하기 위한 고정구조는 프레임을 포함하는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고 프레임의 형상 또한 유로구조나 집진장치(10)가 설치되는 시설의 구조 등에 대응하여 적절히 변형될 수 있다.
가스는 굴절판(10) 측으로 유입된 후 굴절판(10)과 접촉하며 유동방향이 변경된다. 예를 들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방향(도 2 하단의 화살표 참조)으로 가스가 유입되더라도 굴절판(10) 사이에서 굴절판(10)과 접촉하며 유동방향이 변경된다. 즉, 굴절판(10)의 굴절구조에 의해 유동저항이 발생하여 굴절판(10)의 굴절구조에 대응하는 방향으로 진행방향이 변경된다. 이때 가스에 함유된 오염물질 입자가 굴절판(10)과 관성충돌하며 가스로부터 제거될 수 있다. 굴절판(10)은 적절한 굴절구조를 이용하여 가스 유동속도를 크게 저하시키지 않으면서도 오염물질 입자의 관성충돌을 유도할 수 있다. 굴절판(10)은 예를 들어 경사면(10b)과 경사면(10b)의 사이에 형성된 굴절부(10a)를 포함하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굴절판(10)은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다른 방향으로 경사를 형성하는 경사면(10b)과 경사면(10b)이 연결된 연결지점에 형성된 굴절부(10a)를 포함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가스는 굴절판(10) 사이에서 경사면(10b)과 굴절부(10a)를 따라 반복적으로 유동방향이 변경되며 굴절판(10)과 접촉할 수 있다. 경사면(10b)은 적절한 경사를 통해 가스 유속을 유지하면서도 가스와 접촉하여 유동방향을 변경하는 저항체의 역할을 할 수 있다. 굴절판(10)은 적어도 하나의 굴절부(10a)를 포함할 수 있으며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 개의 굴절부(10a)가 경사면(10b) 등을 통해 서로 연결되어 지그재그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지그재그 형상으로 형성된 굴절판(10)을 서로 나란히 배열함으로써 서로 인접한 굴절판(10)의 사이에 지그재그 형상의 유동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굴절판(10) 사이로 유입된 가스는 유동공간 내에서 반복적으로 유동방향을 바꿔가며 서로 다른 굴절판(10)과 접촉할 수 있다. 이를 통해 가스 내 함유된 오염물질 입자가 서로 다른 굴절판(10)과 반복적으로 관성 충돌하며 처리될 수 있다.
그러나 굴절판(10)의 구조를 이와 같이 한정하여 이해할 필요는 없다. 굴절판(10)은 적어도 하나의 굴절부(10a)를 포함하여 가스와 접촉하며 유동방향을 변경할 수 있는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굴절판(10)은 지그재그 형태로 길게 연장되어 나란히 배치될 수 있으나 분절되어 분산 배치될 수도 있다. 곡면, 평면, 경사면 등을 포함하는 여러 가지 다양한 형태의 굴절판(10)을 형성하여 집진장치(1)를 구성할 수 있다.
굴절판(10)은 강성을 갖는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굴절판(10)은 금속, 플라스틱, 세라믹, 및 목재 중 적어도 하나로 이루어진 판재로 형성될 수 있다. 금속판이나 플라스틱 판재, 세라믹으로 이루어진 판재, 목재로 이루어진 판재 등을 변형하거나 적절히 가공하여 굴절판(10)을 형성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플라스틱 재질, 금속재질, 세라믹 재질, 목재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재질을 포함하는 형태로 굴절판(10)을 형성할 수도 있다. 또한,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적절한 강성을 가져 스스로 굴절형태를 유지할 수 있는 다른 재질로 굴절판(10)을 형성할 수도 있다. 적절한 재질로 형성된 경우 굴절판(10)은 적어도 일부가 탄성을 가질 수도 있다. 여러 가지 다양한 재질로 굴절판(10)을 형성할 수 있다.
점착층(20)은 굴절판(10)의 표면에 형성된다. 점착층(20)은 굴절판(20) 표면의 적어도 일부에 점착물질이 도포되어 형성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굴절판(10)의 표면 전체에 점착층(20)이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굴절판(10) 전체에 점착력을 부여할 수 있다. 그러나 필요한 경우 굴절판(10) 표면의 일부에만 점착층(20)을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점착층(20)은 예를 들어, 점착성을 갖는 물질을 굴절판(10) 표면에 도포하거나, 도포 후 경화시켜 부착한 것일 수 있다. 점착층(20)은 경화되어 부착된 후에도 점착성을 유지하는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점착층(20)은 예를 들어, 실리콘계 수지, 아크릴계 수지, 고무계 수지, 및 에폭시계 수지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점착층(20)을 형성하는 물질(즉, 점착물질)은 오염물질(예 대기오염물질)이 점착되어 고정되는 물질일 수 있다. 오염물질은 점착물질에 고정될 수 있는 한 제한되지 않으며, 먼지 등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실리콘계 수지 등을 용매에 녹인 상태에서 굴절판(10) 표면에 도포하고 건조시키는 방식 등에 의해 점착층(20)을 굴절판(10) 표면에 형성할 수 있다. 그 밖에도 여러 가지 적절한 방식으로 굴절판(10) 표면에 점착층(20)을 형성하고 굴절판(10)에 점착능력을 부여할 수 있다.
점착층(20)은 굴절판(10)의 양 면에 모두 형성될 수 있다(도 1에 확대 도시된 단면도 참조). 점착층(20)은 양 면 사이의 모서리 부분 등에도 형성될 수 있다. 점착층(20)은 액상의 점착물질에 굴절판(10)을 침지시키는 방식으로 굴절판(10) 표면 전체에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필요한 경우 스프레이 방식 등으로 점착물질을 굴절판(10) 표면에 분사하여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와 같이 집진장치(1)가 연결체(도 6의 30참조)를 포함하는 경우 침지하여 형성하는 방식이 매우 유용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점착층(20)은 굴절판(10)의 돌출편(11) 등의 구조에도 형성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굴절판(10)은 외측으로 돌출되어 가스의 흐름과 교차되는 돌출편(11)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러한 돌출편(11)의 적어도 일부에 점착물질이 도포될 수 있다. 점착물질이 도포된 부분은 점착층(20)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돌출편(11)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리와 같은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굴절판(10)의 폭 방향으로 넓게 확장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굴절판(10)에 유동저항을 증가시키는 구조를 형성할 수 있으며 이러한 구조에도 역시 점착물질을 도포하여 오염물질 처리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다. 돌출편(11)은 먼지 등 오염물질의 제거 및 세척, 재생 또는 교체를 위하여 탈 부착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집진장치(1)는 이와 같이 굴절판(10) 표면에 점착층(20)이 형성되어 굴절판(10)의 가스 접촉구조와 점착층(20)의 점착력이 상승효과를 일으키며 오염물질 입자를 처리하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굴절판(10)의 굴절구조에 의해 가스가 접촉되며 유동방향이 변경되고 가스에 함유된 오염물질 입자가 굴절판(10)에 관성 충돌하게 된다. 이때 점착층(20)에 의해 굴절판(10)에 점착력이 부여되어 상대적으로 질량이 크거나 입경이 큰 오염물질 입자도 점착력으로 보다 효과적으로 포집할 수 있다.
점착층(20)이 없는 경우 굴절판(10)은 단순히 관성충돌 효과에만 의지하여 오염물질 입자를 처리해야 하므로 상대적으로 질량이나 입경 등이 큰 입자는 처리하기 어려울 수 있다. 즉, 상대적으로 관성이 큰 입자들은 굴절판(10)과 접촉한 후에도 속도를 가질 수 있으므로 굴절판(10)에 관성 충돌한 오염물질 입자를 점착층(20)의 점착력으로 정지시켜 보다 효과적으로 포집하는 것이 가능하다. 특히, 굴절판(10)은 전술한 바와 같은 경사구조 등을 통해 가스의 유속을 적절히 유지하면서도, 점착층(20)의 점착력에 의해 관성 충돌한 오염물질 입자를 보다 효과적으로 포집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집진장치(1)로 가스에 함유된 오염물질 입자를 보다 효과적으로 처리할 수 있다.
이하,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집진장치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설명이 간결하고 명확하도록 전술한 실시예와 차이나는 부분에 대해 중점적으로 설명하고 별도로 언급되지 않는 나머지 부분에 대한 설명은 전술한 설명으로 대신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에에 의한 집진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의 집진장치의 평면도이며, 도 6은 도 4의 집진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집진장치(1-1)는 서로 인접한 굴절판(10) 사이에 연결되어 굴절판(10) 사이의 공간에 개재되며 점착력을 갖는 연결체(30)를 포함한다. 연결체(30)는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다른 굴절판(10) 사이의 공간에 입체적인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연결체(30)는 점착력을 가져 굴절판(10) 사이로 유입되는 가스와 직접 접촉하며 점착력에 의해 오염물질 입자를 포집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집진장치(1-1)는 연결체(30)가 형성된 구조로 보다 효과적으로 오염물질 입자를 처리할 수 있다. 연결체(30)는 서로 인접한 굴절판(10) 사이의 공간(즉, 가스 유동공간)에 개재되어 가스와 보다 효과적으로 접촉한다. 연결체(30)는 도시된 바와 같이 비정형적인 형상으로 서로 인접한 굴절판(10)의 사이에 연결될 수 있다. 연결체(30)는 이를 테면, 굴절판(10) 사이에 점착력을 갖는 웹(web)과 같은 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그러나 연결체(30)의 형상이 이와 같이 한정될 필요는 없으며 굴절판(10) 사이에 점착력을 갖는 다양한 형태의 연결체(30)를 형성할 수 있다.
연결체(30)는 점착력을 가져 집진장치(1-1)의 점착력을 효과적으로 강화한다. 특히, 연결체(30)는 굴절판(10) 사이의 공간 상에 개재되어 집진장치(1-1)의 점착력이 부여된 영역을 굴절판(10) 외측까지 확장할 수 있다. 연결체(30)는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느다란 섬유 또는 필라멘트와 같은 구조로 굴절판(10) 사이를 연결할 수 있어 그 사이에 형성된 유동공간을 통해 가스를 용이하게 통과시킬 수 있다. 따라서 가스의 유동저항을 크게 증가시키지 않으면서도 보다 증가된 점착력으로 오염물질 입자를 처리할 수 있다.
이러한 연결체(30)는 굴절판(10) 표면에 도포된 점착층(20)으로부터 점착물질이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도 4에 도시된 확대도 참조) 굴절판(10) 표면에 형성된 점착층(20)으로부터 점착물질이 연장되어 섬유 또는 필라멘트와 같은 가느다란 구조로 연결체(30)가 형성될 수 있다. 연결체(30)는 점착층(20)을 이루는 물질과 동일한 물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점착성을 갖는 다른 물질로 형성될 수도 있다. 연결체(30)는 예를 들어, 실리콘계 수지, 아크릴계 수지, 고무계 수지, 및 에폭시계 수지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물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연결체(30)는 점착층(20)으로부터 점착물질이 중력에 의해 연장 형성될 수 있다. 특히, 굴절판(10)이 주기적 또는 비주기적으로 회전되어, 굴절판(10)에 대한 연장방향이 주기적 또는 비주기적으로 변경되며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연결체(30)는 굴절판(10) 점착층(20)에 인장력을 가하여 점착층(20)으로부터 점착물질을 인장시켜 형성할 수도 있다. 이하, 연결체(30)의 형성방식에 대해 예를 들어 설명한다.
연결체(30)는 굴절판(10)을 점착물질에 침지하는 방식을 이용하여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 개의 굴절판(10)을 서로 인접하게 나란히 배치한 상태에서 액상의 점착물질에 침지하되 굴절판(10) 사이의 간격을 적절히 조정하여 굴절판(10) 사이에 충분한 양의 점착물질이 수용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상태로 굴절판(10)을 인출하면 점착물질의 점착성에 의해 굴절판(10) 사이에 점착물질이 유지되고 중력에 의해 연장되어 굴절판(10) 표면의 점착층(20)으로부터 점착물질이 연장되어 연결체(30)가 형성된다. 이때, 복수 개의 굴절판(10)들이 서로 중력방향과 그 반대방향에 놓이도록 정렬시켜 굴절판(10) 사이에 연결체(30)가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연결체(30)는 이와 같이 점착물질을 이용하여 매우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다. 이때 굴절판(10)을 고정하여 회전시킬 수 있는 구조물(미도시) 등을 이용하여 굴절판(10)을 회전시키면 회전하는 굴절판(10) 사이에서 굴절판(10)에 대한 연장방향이 바뀌며 보다 입체적인 형태로 연결체(30)가 형성된다. 또한 이와 같이 회전시켜 굴절판(10)에 대한 연장방향을 주기적, 또는 비주기적으로 반복하여 변경함으로써 연결체(30)의 두께도 보다 균일하게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이 회전시키면서 연결체(30)를 자연스럽게 경화시킬 수 있다.
또한, 연결체(30)는 점착층(20)에 인장력을 가하는 방식으로 형성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전술한 바와 같이 복수 개의 굴절판(10)을 점착물질에 침지시키되 인출하여 서로 인접한 굴절판(10)의 적어도 일부를 접촉시켰다가 다시 분리하는 방식으로 굴절판(10) 표면의 점착층(20)에 인장력을 가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역시 점착층(20)으로부터 점착물질을 인장시켜 굴절판(10) 사이로 연장된 연결체(30)를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예에 한정될 필요 없이 이와 다른 또 다른 적절한 방식으로 연결체(30)를 형성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연결체(30)가 형성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집진장치(1-1) 역시 굴절판(10)의 가스 접촉구조와 굴절판(10)에 형성된 점착층(20)의 점착력이 상승효과를 일으키며 오염물질 입자를 처리하게 된다. 전술한 것처럼, 굴절판(10)의 굴절구조에 의해 가스가 접촉되며 유동방향이 변경되고 가스에 함유된 오염물질 입자가 굴절판(10)에 관성 충돌하게 된다. 점착층(20)에 의해 굴절판(10)에 점착력이 부여되어 있으므로 상대적으로 질량이 크거나 입경이 큰 오염물질 입자도 점착력으로 보다 효과적으로 포집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집진장치(1-1)는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은 연결체(30)가 형성된 구조로 인해 장치 전체의 점착 성능이 크게 증가된다. 연결체(30)는 굴절판(10)의 사이에 연결되어 굴절판(10) 외측까지 점착력이 부여된 영역을 확장하며 가스에 함유된 오염물질 입자와 접촉한다. 따라서 굴절판(10) 사이로 통과되는 가스는 오염물질 입자가 굴절판(10) 사이의 공간 상에서 연결체(30)와 직접 접촉하며 보다 효과적으로 처리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집진장치(1-1)로 가스에 함유된 오염물질 입자를 매우 효과적으로 처리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 1-1: 집진장치
10: 굴절판 10a: 굴절부
10b: 경사면 11: 돌출편
20: 점착층 30: 연결체

Claims (10)

  1. 가스가 유동하는 유로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가스와 접촉하여 가스의 유동방향을 변경 가능한 복수 개의 굴절판; 및
    상기 굴절판 표면의 적어도 일부에 형성되어 상기 굴절판에 점착력을 부여하는 점착층을 포함하고,
    서로 인접한 상기 굴절판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굴절판 사이의 공간에 개재되며 점착력을 갖는 연결체를 더 포함하며,
    상기 연결체는 상기 굴절판 표면에 형성된 상기 점착층으로부터 점착물질이 연장되어 형성된 집진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굴절판은 금속, 플라스틱, 세라믹, 및 목재 중 적어도 하나로 이루어진 판재로 형성된 집진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굴절판은 외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가스의 흐름과 교차되며 적어도 일부에 점착물질이 도포된 돌출편을 더 포함하는 집진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굴절판은 적어도 하나의 굴절부를 포함하는 집진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굴절판은 복수 개의 굴절부가 서로 연결되어 지그재그 형상으로 형성된 집진장치.
  6. 삭제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체는, 상기 점착층으로부터 점착물질이 중력에 의해 연장되어 형성되되, 상기 굴절판이 주기적 또는 비주기적으로 회전되어, 상기 굴절판에 대한 연장방향이 주기적 또는 비주기적으로 변경되며 형성된 집진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체는 상기 점착층에 인장력을 가하여 상기 점착층으로부터 점착물질을 인장시켜 형성한 집진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점착층은 실리콘계 수지, 아크릴계 수지, 고무계 수지, 및 에폭시계 수지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집진장치.
KR1020160146975A 2016-11-04 2016-11-04 집진장치 KR1018758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46975A KR101875816B1 (ko) 2016-11-04 2016-11-04 집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46975A KR101875816B1 (ko) 2016-11-04 2016-11-04 집진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50150A KR20180050150A (ko) 2018-05-14
KR101875816B1 true KR101875816B1 (ko) 2018-07-06

Family

ID=621879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46975A KR101875816B1 (ko) 2016-11-04 2016-11-04 집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7581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12124B1 (ko) * 2022-09-19 2023-03-21 주식회사 서강엔지니어링 비산도료 멀티필터링시스템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41338A (ja) * 1994-11-24 1996-06-04 Duskin Co Ltd 付着物の除去効率を高めたフィルタ及び同フィルタの再生方法
JPH0956839A (ja) * 1995-08-29 1997-03-04 Setsuo Kuroki フイルター
JP2003170015A (ja) * 2001-12-11 2003-06-17 Sekisui Jushi Co Ltd 浮遊粒子状物質捕集装置
JP2004154753A (ja) * 2002-11-06 2004-06-03 Ichiro Yanaka パーティクル捕集エレメント
US7270690B1 (en) * 2002-09-12 2007-09-18 Harbison-Fischer, Inc. Separator with vane assembly and filter arrangement
KR20100006690A (ko) * 2008-07-10 2010-01-21 전주대학교 산학협력단 유해성 미스트 제거장치
KR20100090597A (ko) * 2009-02-06 2010-08-16 (주)지오퓨어텍 기모필터와 기모필터를 장착한 기모필터장치 그리고 기모필터장치를 구비한 공기조화기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41338A (ja) * 1994-11-24 1996-06-04 Duskin Co Ltd 付着物の除去効率を高めたフィルタ及び同フィルタの再生方法
JPH0956839A (ja) * 1995-08-29 1997-03-04 Setsuo Kuroki フイルター
JP2003170015A (ja) * 2001-12-11 2003-06-17 Sekisui Jushi Co Ltd 浮遊粒子状物質捕集装置
US7270690B1 (en) * 2002-09-12 2007-09-18 Harbison-Fischer, Inc. Separator with vane assembly and filter arrangement
JP2004154753A (ja) * 2002-11-06 2004-06-03 Ichiro Yanaka パーティクル捕集エレメント
KR20100006690A (ko) * 2008-07-10 2010-01-21 전주대학교 산학협력단 유해성 미스트 제거장치
KR20100090597A (ko) * 2009-02-06 2010-08-16 (주)지오퓨어텍 기모필터와 기모필터를 장착한 기모필터장치 그리고 기모필터장치를 구비한 공기조화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50150A (ko) 2018-05-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110247A (en) Micromachined impactor pillars
DK1112124T5 (da) Elektrostatisk membranudskiller
US7270697B2 (en) Electrostatic precipitator
KR101732702B1 (ko) 배기가스 오염물질 저감장치
KR101875816B1 (ko) 집진장치
CN100506392C (zh) 电集尘器
CN114345554A (zh) 用于极化空气净化器的波纹状过滤介质
KR101144230B1 (ko) 펄스 제트를 구비한 방전 전극선 세정용 습식 정전 집진기
KR102116381B1 (ko) 다중이용시설용 습식공기정화장치
KR101685147B1 (ko) 분진 여과장치
KR101725385B1 (ko) 수직 멀티 베인형 싸이클론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세정탑 시스템
JP2014500790A5 (ko)
KR200442816Y1 (ko) 집진장치
JPH07332180A (ja) ガスフィルターおよびそのリサイクル法
KR20210046110A (ko) 미세먼지 집진장치
JP2019058904A (ja) エアフィルタおよびそれを用いた空気清浄装置
RU2279303C1 (ru) Инерционный пылеотделитель с колеблющимися элементами
KR20150066413A (ko) 관성과 흡착의 방법으로 유해석면 초 미세입자를 제거하는 장치
KR101525033B1 (ko) 원심분리형 축류식 집진장치
KR20200061561A (ko) 굴뚝 분진 저감장치
KR20200131582A (ko) 분진 수집 시스템의 원형 필터 결합 구조
US11566553B1 (en) Hydroactive vortex scrubber and reactor
JP2003265916A (ja) 集塵ベッセル
KR102160302B1 (ko) 습식 전기집진기의 집진판 수막 형성장치
KR20210009725A (ko) 집진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