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75678B1 - 조립성이 향상된 콘센트 - Google Patents

조립성이 향상된 콘센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75678B1
KR101875678B1 KR1020170021038A KR20170021038A KR101875678B1 KR 101875678 B1 KR101875678 B1 KR 101875678B1 KR 1020170021038 A KR1020170021038 A KR 1020170021038A KR 20170021038 A KR20170021038 A KR 20170021038A KR 101875678 B1 KR101875678 B1 KR 1018756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e
socket
connection
terminal
shiel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210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길홍
Original Assignee
(주)대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대성 filed Critical (주)대성
Priority to KR10201700210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7567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756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756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22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 H01R13/24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8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01R13/70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switch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5/00Coupling parts adapted for simultaneous co-operation with two or more identical counterparts, e.g. for distributing energy to two or more circuits

Landscapes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플러그에 전원을 공급하도록 연결된 접속핀의 조립성을 향상시키고, 콘센트의 내부 구조를 단순화할 수 있는 조립성이 향상된 콘센트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플러그의 몸체가 삽입되는 소켓과, 상기 소켓의 바닥부에 형성된 단자홀을 구비하고, 전원 공급부가 내장된 본체; 및 상기 전원 공급부와 통전되어 있는 연결부와, 상기 연결부에서 상기 단자홀로 끼워진 플러그의 단자가 접촉되는 접속부로 이루어진 접속핀;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접속핀은, 상기 연결부가 수직방향으로 직립하여, 연결부의 상단과 하단이 각각 본체 내부에 끼움 구조로 조립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센트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조립성이 향상된 콘센트{MULTI-TAP CONCENT}
본 발명은 플러그에 전원을 공급하도록 연결된 접속핀의 조립성을 향상시키고, 콘센트의 내부 구조를 단순화할 수 있는 조립성이 향상된 콘센트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플러그의 몸체가 삽입되는 소켓과, 상기 소켓의 바닥부에 형성된 단자홀을 구비하고, 전원 공급부가 내장된 본체; 및 상기 전원 공급부와 통전되어 있는 연결부와, 상기 연결부에서 상기 단자홀로 끼워진 플러그의 단자가 접촉되는 접속부로 이루어진 접속핀;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접속핀은, 상기 연결부가 수직방향으로 직립하여, 연결부의 상단과 하단이 각각 본체 내부에 끼움 구조로 조립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센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벽체 매립형 콘센트에 플러그를 연결하여 길이를 연장하는데 사용되는 멀티탭 콘센트는, 플러그의 몸체가 삽입되는 소켓과, 상기 소켓의 바닥부에 형성된 단자홀이 하나 이상 구비되어, 전자기기에 전원을 공급하는데 사용된다.
도 8에 도시된 공개특허 제10-2015-0005152호 등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멀티탭 콘센트(이하 콘센트로 통칭함.)는, 본체 내부에 전원 공급을 위한 접속핀이 구비되어, 접속핀의 접속부가 소켓별로 연결됨으로써, 접속부에 플러그의 단자가 끼워져 전원의 공급이 이루어진다.
이때 플러그를 연결할 수 있는 소켓의 개수가 많아질수록, 접속부가 구비된 접속핀의 개수 역시 증가하게 되어, 내부의 배선 연결 구조가 복잡해지는 문제점이 있으며, 소켓 별로 전원의 공급을 on/off하는 개별 스위치가 구비될 경우 그 내부 구조는 더욱 복잡해져, 콘센트의 조립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즉, 하나의 전원 공급부로부터 상용전원을 소켓 별로 공급하기 위해선, 전원 공급부에 접속핀들을 전기적으로 병렬 연결되도록 한 상태에서 접속핀들마다 접속부를 전기적으로 연결해야 하므로, 이를 위한 각 부품들을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해 사용되는 배선 개수나 접속핀들의 연결 구조가 복잡해지고,
특히 전원 공급과 별도로, 접지를 위한 접지핀의 전기적 연결 구조를 감안하면, 콘센트의 내부 구조가 더욱 복작해져, 전기적 연결 및 부품의 조립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어 생산성이 떨어지며, 복잡한 전기 연결 구조로 인해 고장이 유발되기 쉽고, 과부하 차단을 위한 전기적 연결 구조를 구현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의 출원인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접속부들을 단일 접속핀에 일체로 연결한 콘센트에 관한 기술을 출원한 바 있다.
본 출원인의 특허출원(출원번호 제10-2016-0081006호)은, 종래의 일반적인 콘센트에 비해 전기적 연결 구조를 단순화시켜 조립성 및 안전성 향상을 도모하였는데,
소켓의 개수가 늘어날수록(소켓의 개수가 3구 이상), 이에 대응하여 각 접속핀의 길이 역시 길어지게 되고, 이에 따라 길이가 길어진 접속핀을 하우징 내부에 안정적으로 고정하기 위해, 별도의 부품 추가 및 사용되는 부품의 개수 증가로 인해 조립성 향상의 효과가 줄어드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단자홀에 구비된 접속부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해, 하우징 내부에 소켓별로 보호캡을 이용한 차폐수단을 구비할 경우, 차폐수단이 장착된 내부 몸체와, 접속핀들 간의 간섭이 발생하여 부품 조립이 어려우며, 내부 몸체와 별개로 접속핀들을 고정하는 구조가 복잡해지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체 내부의 전기적 연결을 단순화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접속핀을 길이에 상관없이 보다 쉽고 빠르게 조립할 수 있도록, 접속핀의 연결부를 수직방향으로 직립하여, 연결부의 상단과 하단이 각각 본체 내부에 끼움 구조로 조립되어 있는 콘센트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은, 접속핀의 고정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지며 접속부들 사이를 물리적으로 차단할 수 있도록, 본체의 하부 하우징 바닥부 상면에 연결부의 하단이 끼워지는 하부 조립돌기가 상향 돌출되어 있고, 소켓 하부의 저면에 연결부와 접속부가 각각 끼워지는 상부 조립돌기와 상부 고정돌기가 하향 돌출되어 있는 콘센트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나아가 본 발명은, 접속부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한 보호캡의 장착 및 보호캡의 안정적인 작동이 가능하고, 차폐수단과 접속핀의 물리적인 접촉 및 간섭이 발생하지 않도록, 상면에 차폐수단이 장착된 내부 몸체의 저면에 상부 조립돌기와 상부 고정돌기가 구비되어 있는 콘센트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보호캡의 자동 개폐 구조를 단순화시켜 고장 발생을 방지함과 아울러, 콘센트 내부에 보호캡을 비롯한 차폐수단의 조립이 쉽도록, 내부 몸체의 상면에 결합된 가이드부재와, 상기 가이드부재의 슬라이딩 공간부에서 좌우 슬라이드 이동하도록 결합된 보호캡 및 상기 보호캡을 차폐 방향으로 탄성지지하는 탄성체를 포함하는 콘센트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콘센트는,
플러그의 몸체가 삽입되는 소켓과, 상기 소켓의 바닥부에 형성된 단자홀을 구비하고, 전원 공급부가 내장된 본체; 및
상기 전원 공급부와 통전되어 있는 연결부와, 상기 연결부에서 상기 단자홀로 끼워진 플러그의 단자가 접촉되는 접속부로 이루어진 접속핀;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접속핀은, 상기 연결부가 수직방향으로 직립하여, 연결부의 상단과 하단이 각각 본체 내부에 끼움 구조로 조립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콘센트에서,
상기 본체는,
바닥부의 상면에서 상향 돌출되어, 상기 연결부의 하단이 끼워지는 하부 조립돌기와,
소켓 하부의 저면에서 각각 하향 돌출되어, 상기 연결부의 상단이 끼워지는 상부 조립돌기와, 상기 접속부가 끼워지며 플러그의 단자가 끼워지는 끼움홀이 형성된 상부 고정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콘센트는,
소켓 하부에 내장되고, 좌우 슬라이드 이동을 통해 단자홀과 끼움홀 사이를 개폐하는 차폐수단이 상면에 장착되고, 상기 상부 조립돌기와 상기 상부 고정돌기가 저면에 구비된 내부 몸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콘센트에서,
상기 차폐수단은,
상기 내부 몸체 상면에 결합되고, 슬라이딩 공간부와, 상기 슬라이딩 공간부의 바닥부에 관통 형성된 통과공을 구비한 가이드부재와,
상기 슬라이딩 공간부에서 좌우 슬라이드 이동하도록 결합되고, 단자홀과 통과공 사이를 차폐하는 차폐부와, 단자홀과 통과공 사이를 연통시키는 개방부를 구비한 보호캡 및
상기 보호캡를 차폐 방향으로 탄성 지지하는 탄성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콘센트는, 전기적 연결 구조를 단순화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접속핀의 조립성을 향상시켜 콘센트의 제작이 용이하고, 특히 볼트 등 추가적인 결합부재를 사용할 필요 없이, 하우징들의 결합만으로 접속핀이 고정되어, 접속핀의 길이에 상관없이 접속핀의 조립 작업 및 조립 시간을 최소한으로 줄여 콘센트의 조립 및 전기적 연결이 쉽고 빠르며,
접속핀이 부분적으로 하우징 내부에 동시에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안전성이 뛰어나고,
보호캡을 이용한 차폐수단의 장착을 위해 내부 몸체를 결합할 때 내무봄체와 접속핀 간의 물리적인 접촉 및 간섭이 발생하지 않으며,
접속핀을 이용해 내부 몸체 및 차폐수단을 정위치에 고정하여 조립할 수 있어, 콘센트 내부 부품들의 조립이 원스텝으로 한 번에 이루어져 조립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콘센트의 외관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콘센트의 1차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차폐수단을 도시한 요부 조립 사시도 및 작동 상태별 평면도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차폐수단의 2차 분해 사시도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는 콘센트를 실시예별로 도시한 외관 사시도들.
도 8은 종래의 일반적인 콘센트 연결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구현예(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 특히 십의 자리 및 일의 자리 수, 또는 십의 자리, 일의 자리 및 알파벳이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기능을 갖는 부재를 나타내고, 특별한 언급이 없을 경우 도면의 각 참조부호가 지칭하는 부재는 이러한 기준에 준하는 부재로 파악하면 된다.
또 각 도면에서 구성요소들은 이해의 편의 등을 고려하여 크기나 두께를 과장되게 크거나(또는 두껍게) 작게(또는 얇게) 표현하거나, 단순화하여 표현하고 있으나 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구현예(태양, 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기재한 ~제1~, ~제2~ 등은 서로 다른 구성 요소들임을 구분하기 위해서 지칭할 것일 뿐, 제조된 순서에 구애받지 않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청구범위에서 그 명칭이 일치하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콘센트를 설명함에 있어 편의를 위하여 엄밀하지 않은 대략의 방향 기준을 도 2 및 도 3을 참고하여 특정하면, 중력이 작용하는 방향을 하측으로 하여 보이는 방향 그대로 상하좌우를 정하고, 다른 도면과 관련된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청구범위에서도 다른 특별한 언급이 없는 한 이 기준에 따라 방향을 특정하여 기술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립성이 향상된 콘센트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콘센트는, 크게 상부 하우징(10)과 하부 하우징(20)으로 이루어진 본체(C), 플러그 단자가 접촉하여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접속핀(30), 차폐수단(B)을 구성하기 위한 내부 몸체(40), 가이드부재(50), 보호캡(6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본체(C)는, 상부 하우징(10)과 하부 하우징(20)이 박스형으로 상호 결합되어 이루어지는 것으로,
상부 하우징(10)의 상면에는, 플러그의 몸체가 삽입되는 소켓(11)과, 상기 소켓(11)의 바닥부에 형성된 단자홀(12)이 구비되어 있으며, 이러한 소켓(11)은 본체(C)의 길이방향으로 복수개 구비되어, 복수개의 플러그를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도 1, 도 6, 도 7에는 각각 소켓(11)의 개수가 3개 또는 4개로 이루어진 3구형 콘센트와 4구형 콘센트가 도시되어 있으나, 이러한 소켓(11)의 개수 및 배치 형태(일렬 배치 또는 이열 배치)에 제한은 없으며,
특히, 도 1과 같이 소켓(11)들 전체, 즉 콘센트 자체의 전원 공급을 on/off 하기 위해, 본체(C)의 일측에 전원 스위치(17)가 구비되거나,
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원 스위치(17)와 별개로, 소켓(11)별로 전원 공급을 on/off 할 수 있는 개별 스위치(18)가 구비되거나
또는 도 7과 같이 본체(C)의 일측면에 USB 단자를 끼울 수 있는 USB 포트(19)가 구비되는 등,
본체(C)의 세부적인 구성 내지 구조는 다양하게 제작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은, 전원 스위치(17) 및 개별 스위치(18)를, 종래의 일반적인 텀블러형 버튼(좌우 시소 운동을 통해 전원 공급 및 차단이 이루어지는 형태)이 아닌, 도 2와 같은 푸시 버튼(17a)으로 구성하여 사용이 보다 편리하도록 하였다.
이를 위해 전원 케이블(22)과 연결된 전원 공급부(23)에는, 누름형 스위치 부재(17b)가 구비되어 있으며, 푸시 버튼(17a)을 이용해 누름형 스위치 부재(17b)를 한번 누르면 전원 공급부(23)가 on 되어 소켓(11)들에 전원이 공급되고, 다시 푸시 버튼(17a)을 누르면 전원 공급부(23)가 off 되어 소켓(11)들에 공급되는 전원이 차단된다.
아울러 상기 단자홀(12)의 양측에는 소켓(11)의 바닥부가 단자홀 방향으로 하향 경사지도록 오목 형성된 안내홈(12a)이 형성되어, 플러그를 소켓(11)에 끼울 때 플러그 단자가 단자홀(12)에 보다 쉽게 삽입되도록 한다.
상기 하부 하우징(20)의 바닥부 상면에는, 내부 몸체(40)의 결합을 위한 다수개의 구조물을 상부로 돌출되어 있는데,
특히 본 발명은 상향 돌출된 하부 조립돌기(21)들이 본체(C)의 길이방향으로 하부 하우징(20)의 바닥부 상면에 이열 배치되어, 접속핀(30)들의 연결부(31) 하단이 하부 조립돌기(21)들 사이에 끼워져 조립된다.
상기 접속핀(30)은, 전원 공급부(23)와, 소켓(11)부에 결합된 플러그를 개별적으로 연결하여 전원 공급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으로,
일단이 상기 전원 공급부(23)와 통전(도면에서는 배선 연결이 생략되어 있음.)되어 있는 연결부(31)와, 상기 연결부(31)에서 상기 단자홀(12)로 끼워지는 플러그 단자가 접촉되는 접속부(32)로 이루어진다.
특히 본 발명의 접속핀(30)은 연결부(31)의 일부가 반원형으로 굴곡진 우회부를 형성하고, 우회부 상단에 플러그 단자가 끼워지는 링부를 연결하여, 일(一)자 형 접속핀(30)이 소켓(11)별 단자홀(12)들을 일직선으로 가로지르는 형태로 배치하여 구조를 단순화시켰다.
아울러 본 발명의 접속핀(30)은, 상기 연결부(31)가 수직방향으로 직립하여, 연결부(31)의 상단과 하단이 각각 본체(C) 내부에 끼움 구조로 조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일(一)자 형 접속핀(30)을 세워서 연결부(31)의 상단과 하단을 본체(C) 내부에 끼움 결합하여 볼트 등의 별도 부재를 사용할 필요 없이 접속핀(30)을 쉽게 조립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를 위해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C)는, 하부 하우징(20)의 바닥부 상면에 하부 조립돌기(21)들이 상향 돌출되어, 하부 조립돌기(21) 사이로 상기 연결부(31)의 하단이 끼워지며,
상부 하우징(10)의 소켓(11) 하부의 저면에 상부 조립돌기(44)와 상부 고정돌기(45)가 각각 하향 돌출되어, 상부 조립돌기(44) 사이로 상기 연결부(31)의 상단이 끼워지며, 상부 고정돌기(45) 사이로 상기 접속부(32)의 링부가 끼워진다.
따라서 상부 하우징(10)과 하부 하우징(20)의 조립만으로, 접속핀(30)의 조립 및 고정이 이루어져 조립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면에서는, 차폐수단(B)이 장착되는 내부 몸체(40)이 추가 구성됨에 따라, 상기 상부 조립돌기(44)와 상기 상부 고정돌기(45)가 내부 몸체(40)의 저면에 구비되어 있는 것이 대표적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러한 내부 몸체(40)의 구성이 추가되지 않을 경우 상부 조립돌기(44) 및 상부 고정돌기(45)는 상부 하우징(10)의 소켓(11) 바닥부 저면에 구비됨이 자명하고, 이에 따라 본 발명의 권리 해석이 제한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아울러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도 6과 같이 개별 스위치(18)가 구비되어 있는 경우, 접속핀들 중 하나는 연결부가 개별 스위치들을 경유하는 형태로 연결되며, 접속부는 연결부에서 분기된 연장 연결부의 끝단부에 구비되어 상부 고정돌기(45)에 끼워지며,
이때에도 접속핀이 일체형이냐 아니냐에 상관없이, 접속핀이 세워져 본체(C) 내부에 끼움 구조로 결합되는 형태이면,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한편 상기 내부 몸체(40)는, 소켓(11)의 하부에 구비되어, 접속부(32)의 고정 및 차폐수단(B)의 장착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으로,
좌우 슬라이드 이동을 통해 단자홀(12)과 끼움홀(46) 사이를 개폐하는 차폐수단(B)이 상면에 장착되고, 상기 상부 조립돌기(44)와 상기 상부 고정돌기(45)가 저면에 구비되어 있다.
이러한 내부 몸체(40)는 상기 단자홀(12)에 대응하는 끼움홀(46)이 구비되어 있으며, 끼움홀(46) 둘레로 상부 고정돌기(45)가 하향 돌출되어, 단자홀(12)로 끼워지는 플러그 단자가 끼움홀(46)에 끼워진 접속부(32)에 물리적으로 접촉하면서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또한 내부 몸체(40)의 상면에는, 끼움홀(46)들 사이를 가로질러 형성된 장착부(42)가 오목 형성되어 있고, 이 장착부(42)에 접지핀(41)이 수용되어 결합되며, 접지핀(41)의 양 끝단부는 소켓(11)의 내측면으로 노출되어 플러그와 접지가 이루어진다.
미설명 도면 부호 43은, 소켓(11)별 접지핀(41)들이 분기되어 연결되어 있는 접지 공유핀으로, 접지 고유핀(43)의 일단이 전원 공급부(23)의 접지부와 배선으로 연결되어, [전자기기 - 콘센트 - 상용전원]의 상호 접지가 이루어진다.
이러한 접지 공유핀(43)은, 내부 몸체(40)들의 장착부(42) 일측을 가로지르는 형태로 배치되고, 접지 공유핀 위에 접지핀(41)이 물리적으로 접촉하면서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결합된다.
이어서 상기 접속부(32)로의 이물질 유입을 차단하는 차폐수단(B)을 설명한다.
상기 차폐수단(B)은, 상기 내부 몸체(40)의 상면에 장착되어, 좌우 슬라이드 이동을 통해 단자홀(12)과 끼움홀(46) 사이를 개폐하는 것으로,
상기 내부 몸체(40) 상면에 결합되고, 슬라이딩 공간부(51)와, 상기 슬라이딩 공간부(51)의 바닥부에 관통 형성된 통과공(52)을 구비한 가이드부재(50)와,
상기 슬라이딩 공간부(51)에서 좌우 슬라이드 이동하도록 결합되고, 단자홀(12)과 통과공(52) 사이를 차폐하는 차폐부(61)와, 단자홀(12)과 통과공(52) 사이를 연통시키는 개방부(62)를 구비한 보호캡(60) 및
상기 보호캡(60)을 차폐 방향으로 탄성 지지하는 탄성체(미도시)를 포함한다.
상기 가이드부재(50)는, 상부가 개구된 바스켓 형상의 부재로써, 측벽부로 둘러싸인 슬라이딩 공간부(51) 양측에, 단자홀(12)과 끼움홀(46)에 대응하는 통과공(52)이 상하로 관통 형성되어 있어, 단자홀(12)로 끼워지는 플러그 단자가 통과공(52)을 통과하여 끼움홀(46)에 끼워진다.
또한 가이드부재(50)의 측벽부에는 일부가 개구되어 형성된 걸림홈(53)이 구비되고,
상기 내부 몸체(40)의 상면에는 상기 걸림홈(53)과 대응하는 위치에 걸림돌기(47)가 상향 돌출되어,
걸림돌기(47)가 걸림홈(53)에 후크 결합하여 내부 몸체(40)와 가이드부재(50)가 서로 결합된다.
아울러 가이드부재(50)의 양 통과공(52) 사이에는, 체결돌기(54)가 상향 돌출되어, 보호캡(60)의 가이드홈(63)에 체결돌기(54)가 후크 결합 형태로 끼워져, 가이드부재(50)와 보호캡(60)의 서로 결합되며, 이때 체결돌기(54)는 보호캡(60)의 좌우 슬라이드 이동을 안내하게 된다.
상기 보호캡(60)은, 상기 슬라이딩 공간부(51)에서 좌우 슬라이드 이동하여, 단자홀(12)과 끼움홀(46)(보다 엄밀하게는 통과공(52)) 사이를 개폐하는 것으로,
차폐부(61)들은 보호캡(60)의 상면에 상향 돌출되어 있고, 이 차폐부(61)들 사이에 보호캡(60)의 좌우 슬라이딩 방향으로 형성된 가이드홈(63)이 상하로 관통하여 구비되며, 가이드홈(63)의 일측에 통과공(52)과 대응하는 크기로 관통 형성된 개방부(62)가 구비된다.
그리고 차폐부(61)의 상면에는, 보호캡(60)의 폐쇄 방향으로 하향 경사진 경사면(61a)이 구비되어 있으며,
보호캡(60)의 저면에는, 슬라이딩 공간부(51)의 바닥부 상면에 접촉하여 지지되는 지지돌기(65)가 하향 돌출되어,
플러그 단자가 상기 경사면(61a)에 접촉하여 보호캡(60)을 슬라이딩 공간부(51)의 일측으로 밀면, 보호캡(60)이 개방 이동하면서 지지돌기(65)에 의해 보호캡(60)의 좌우 균형을 맞추고, 이를 통해 보호캡(60)과 가이드부재(50) 사이의 마찰력을 감소시켜, 보호캡(60)의 좌우 슬라이드 이동을 용이하게 한다.
이러한 보호캡(60)의 가이드홈(63)에, 가이드부재(50)의 체결돌기(54)가 끼워져, 보호캡(60)이 슬라이딩 공간부(51)에 안착되면,
도 3의 [B]와 같이 보호캡(60)이 좌측으로 폐쇄 이동한 상태에서는, 차폐부(61)가 단자홀(12)의 하부에 위치하면서 보호캡(60) 자체가 통과공(52)을 폐쇄시켜, 단자홀(12)을 통해 이물질의 끼움홀(46)의 접속부(32)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고,
플러그 단자를 단자홀(12)에 끼우면, 플러그 단자가 차폐부(61)의 경사면(61a)을 가압하여, 도 3의 [C]와 같이 보호캡(60)이 우측으로 개방 이동되면서 통과공(52)을 개방시켜, 단자홀(12)로 끼워지는 플러그 단자는, 개방부(62)와 통과공(52)을 지나 끼움홀(46)에 진입하여, 접속부(32)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원이 공급된다.
이때 보호캡(60)은 개방 시 일측(도면 상 우측)으로 슬라이드 이동하는 형태이므로, 1개의 개방부(62)만이 보호캡(60)이 개방되는 방향에 구비된 차폐부(61)의 타측에 배치되어,
보호캡(60)이 개방 이동하였을 때, 2개의 플러그 단자 중 하나는 개방부(62)로, 다른 하나는 보호캡(60)이 이동하여 형성된 빈 공간으로 통과하여 끼움홀(46)에 끼워진다.
상기 탄성체는 상기 보호캡(60)을 폐쇄 방향으로 탄성 지지하여, 콘센트에서 플러그 단자를 빼냈을 때, 탄성체에 의해 보호캡(60)를 폐쇄 위치로 자동 복귀시켜, 단자홀(12)의 차폐가 이루어진다.
이러한 탄성체는 다양한 방식으로 구현 가능한데, 본 발명은,
슬라이딩 공간부(51)의 일측 측벽부를 외측으로 돌출시켜 보조 공간부를 형성하고,
보조 공간부에 배치된 보호캡(60)의 일측 외측면에 제1 끼움돌기(64)를 돌출 형성하고,
제1 끼움돌기(64)에 대응하여, 제1 끼움돌기(64)의 반대편. 보조 공간부의 타측 내측면에 제2 끼움돌기(55)를 돌출 형성하여,
제1, 제2 끼움돌기(64)(55)들 사이에 탄성체로써 코일스프링을 결합함으로써,
보호캡(60)이 슬라이딩 공간부(51)의 타측 폐쇄 방향으로 탄성 지지되어, 플러그 단자의 제거 시, 보호캡(60)의 자동 복귀가 이루어진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단순 결합 구조로 조립되는 차폐수단(B)을 내부 몸체(40)에 결합한 후, 접속핀(30)을 하부 조립돌기(21)에 끼운 상태에서, 접속핀(30) 위에 차폐수단(B)이 장착된 내부 몸체(40)를 조립하여 접속핀(30)의 연결부(31)와 접속부(32)가 상부 조립돌기(44)와 상부 고정돌기(45)에 끼워져 고정되며, 하부 하우징(20)에 상부 하우징(10)을 결합하여, 본체(C) 내부에 접속핀(30)이 끼움 구조로 고정되면서 콘센트의 조립이 완료되어, 조립성이 향상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특정 형상과 구조를 갖는 조립성이 향상된 콘센트를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하고, 이러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은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 : 본체 B : 차폐수단
10 : 상부 하우징 11 : 소켓
12 : 단자홀 12a : 안내홈
17 : 전원 스위치 17a : 푸시 버튼
17b : 누름형 스위치 부재 18 : 개별 스위치
19 : USB 포트
20 : 하부 하우징 21 : 하부 조립돌기
22 : 전원 케이블 23 : 전원 공급부
30 : 접속핀 31 : 연결부
32 : 접속부 40 : 내부 몸체
41 : 접지핀 42 : 장착부
43 : 접지 공유핀 44 : 상부 조립돌기
45 : 상부 고정돌기 46 : 끼움홀
47 : 걸림돌기 50 : 가이드부재
51 : 슬라이딩 공간부 52 : 통과공
53 : 걸림홈 54 : 체결돌기
55 : 제2 끼움돌기 60 : 보호캡
61 : 차폐부 61a : 경사면
62 : 개방부 63 : 가이드홈
64 : 제1 끼움돌기 65 : 지지돌기

Claims (4)

  1. 플러그의 몸체가 삽입되는 소켓(11)과, 상기 소켓(11)의 바닥부에 형성된 단자홀(12)을 구비하고, 전원 공급부(23)가 내장된 본체(C);
    상기 전원 공급부(23)와 통전되어 있는 연결부(31)와, 상기 연결부(31)에서 상기 단자홀(12)로 끼워진 플러그의 단자가 접촉되는 접속부(32)로 이루어진 접속핀(30); 및
    소켓(11) 하부에 내장되고, 좌우 슬라이드 이동을 통해 단자홀(12)과 끼움홀(46) 사이를 개폐하는 차폐수단(B)이 상면에 장착된 내부 몸체(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접속핀(30)은, 상기 연결부(31)가 수직방향으로 직립하여, 연결부(31)의 상단과 하단이 각각 본체(C) 내부에 끼움 구조로 조립되어 있고,

    상기 차폐수단(B)은,
    상기 내부 몸체(40) 상면에 결합되고, 슬라이딩 공간부(51)와, 상기 슬라이딩 공간부(51)의 바닥부에 관통 형성된 통과공(52)을 구비한 가이드부재(50)와,
    상기 슬라이딩 공간부(51)에서 좌우 슬라이드 이동하도록 결합되고, 단자홀(12)과 통과공(52) 사이를 차폐하는 차폐부(61)와, 단자홀(12)과 통과공(52) 사이를 연통시키는 개방부(62)를 구비한 보호캡(60) 및
    상기 보호캡(60)를 차폐 방향으로 탄성 지지하는 탄성체를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부재(50)의 양 통과공(52) 사이에는 체결돌기(54)가 상향 돌출되고,
    상기 보호캡(60)은 차폐부(61)들 사이에 보호캡(60)의 좌우 슬라이딩 방향으로 형성된 가이드홈(63)이 상하로 관통하여 구비되어,
    상기 보호캡(60)의 가이드홈(63)에 체결돌기(54)가 후크 결합 형태로 끼워져, 가이드부재(50)와 보호캡(60)의 서로 결합되면서, 상기 체결돌기(54)가 보호캡(60)의 좌우 슬라이드 이동을 안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센트.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C)는,
    바닥부의 상면에서 상향 돌출되어, 상기 연결부(31)의 하단이 끼워지는 하부 조립돌기(21)와,
    소켓(11) 하부의 저면에서 각각 하향 돌출되어, 상기 연결부(31)의 상단이 끼워지는 상부 조립돌기와,
    상기 접속부(32)가 끼워지며 플러그의 단자가 끼워지는 끼움홀(46)이 형성된 상부 고정돌기(4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센트.

  3. 삭제
  4. 삭제
KR1020170021038A 2017-02-16 2017-02-16 조립성이 향상된 콘센트 KR1018756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1038A KR101875678B1 (ko) 2017-02-16 2017-02-16 조립성이 향상된 콘센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1038A KR101875678B1 (ko) 2017-02-16 2017-02-16 조립성이 향상된 콘센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75678B1 true KR101875678B1 (ko) 2018-07-09

Family

ID=629188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21038A KR101875678B1 (ko) 2017-02-16 2017-02-16 조립성이 향상된 콘센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75678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0196Y1 (ko) * 2018-08-17 2019-10-08 만 석 김 소켓의 어스 접속편장치
KR20220017709A (ko) * 2020-08-05 2022-02-14 문공식 콘센트
KR20220017712A (ko) * 2020-08-05 2022-02-14 문공식 콘센트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323935A (ja) * 2002-05-01 2003-11-14 Jimbo Electric Co Ltd 電気接続器の器体の組み立て構造
KR20110065800A (ko) * 2009-12-10 2011-06-16 김미현 멀티탭 콘센트
JP2015076406A (ja) * 2013-10-10 2015-04-20 鍾逸 金 コンセント安全装置
KR101573487B1 (ko) * 2015-04-17 2015-12-02 김윤희 플러그 단자의 이물질 제거 및 보호캡의 자동 복귀가 가능한 콘센트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323935A (ja) * 2002-05-01 2003-11-14 Jimbo Electric Co Ltd 電気接続器の器体の組み立て構造
KR20110065800A (ko) * 2009-12-10 2011-06-16 김미현 멀티탭 콘센트
JP2015076406A (ja) * 2013-10-10 2015-04-20 鍾逸 金 コンセント安全装置
KR101573487B1 (ko) * 2015-04-17 2015-12-02 김윤희 플러그 단자의 이물질 제거 및 보호캡의 자동 복귀가 가능한 콘센트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0196Y1 (ko) * 2018-08-17 2019-10-08 만 석 김 소켓의 어스 접속편장치
KR20220017709A (ko) * 2020-08-05 2022-02-14 문공식 콘센트
KR20220017712A (ko) * 2020-08-05 2022-02-14 문공식 콘센트
KR102385069B1 (ko) * 2020-08-05 2022-04-08 문공식 콘센트
KR102385066B1 (ko) * 2020-08-05 2022-04-08 문공식 콘센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366463B2 (en) Safety structure for electric receptacles and power strips
KR101875678B1 (ko) 조립성이 향상된 콘센트
KR101721080B1 (ko) 전기 플러그
KR101916327B1 (ko) 일체형 접지단자를 구비한 매입형 콘센트
US20170077644A1 (en) Flippable electrical connector
US20130130524A1 (en) Electrical device with a clamshell electrical connector
US9236679B2 (en) Electric coupling element
US20160197420A1 (en) Power adapter
KR20100123594A (ko) 커넥터
US20100130042A1 (en) Connector socket, a connector plug, and an appliance fitted with a connector
KR101573487B1 (ko) 플러그 단자의 이물질 제거 및 보호캡의 자동 복귀가 가능한 콘센트
US8011940B1 (en) Power socket device having switches
US20050164544A1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grounded shutter member
JP4133431B2 (ja) 電気接続プラグ
KR101933505B1 (ko) 플러그용 분리 레버를 구비한 멀티탭 콘센트
CN110676661A (zh) 一种插座
US20120127650A1 (en) Sata connector and disk box assembly
US20150140842A1 (en) Receptacle connector
KR101977190B1 (ko) 콘센트안전장치
CN219534946U (zh) 具有隔离结构的保护门组件
CN217788812U (zh) 一种接线器
US11721938B1 (en) Electrical plug retaining assembly
US20240055793A1 (en) Charging socket with compact and secure protection for conductors against foreign objects
KR101974508B1 (ko) 원터치 와이어 접속수단을 구비한 멀티 탭 콘센트
CN216750407U (zh) 一种接电耦合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