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75545B1 - 자동 초점기 - Google Patents

자동 초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75545B1
KR101875545B1 KR1020110090065A KR20110090065A KR101875545B1 KR 101875545 B1 KR101875545 B1 KR 101875545B1 KR 1020110090065 A KR1020110090065 A KR 1020110090065A KR 20110090065 A KR20110090065 A KR 20110090065A KR 101875545 B1 KR101875545 B1 KR 1018755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wire
base
bobbin
dispos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900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26726A (ko
Inventor
이성민
Original Assignee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900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75545B1/ko
Publication of KR201300267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267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755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755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3/00Viewfinders; Focusing aids for cameras; Means for focusing for cameras; Autofocus systems for cameras
    • G03B13/32Means for focusing
    • G03B13/34Power focusing
    • G03B13/36Autofocus system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02B7/026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using retaining rings or spring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02B7/04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chanism for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 G02B7/09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chanism for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adapted for automatic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2Bodies
    • G03B17/12Bodies with means for supporting objectives, supplementary lenses, filters, masks, or turret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7/00Control of exposure by setting shutters, diaphragms or filters, separately or conjointly
    • G03B7/22Control of exposure by setting shutters, diaphragms or filters, separately or conjointly in accordance with temperature or height, e.g. in aircraft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Lens Barrels (AREA)

Abstract

자동 초점기는 중앙부에 개구가 형성된 베이스; 상기 베이스 상면에 배치된 제1 터미널 및 상기 베이스 상면에 배치되며 상기 제1 터미널과 절연된 제2 터미널을 포함하는 터미널; 상기 베이스 상에 고정되며 중앙에 개구가 형성되고 상면 모서리에 와이어 가이드부가 형성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하우징을 따라 업-다운되며 상기 와이어 가이드부와 마주하는 걸림턱이 외주면에 형성된 보빈; 상기 와이어 가이드부 및 상기 걸림턱 사이에 개재된 탄성 부재; 및 상기 제1 및 제2 터미널들에 양단부가 각각 접속되며 일부는 상기 와이어 가이드부를 통해 상기 보빈의 상기 걸림턱에 걸리는 형상기억합금 와이어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자동 초점기{AUTO FOCUSING APPARATUS}
본 발명은 자동 초점기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휴대용 통신장치, 소형 PC 등에는 이미지 또는 동영상을 저장하는 카메라 모듈이 설치되고 있고, 카메라 모듈은 외부광을 이미지로 변경하는 이미지 센서 모듈 및 외부광을 이미지 센서 모듈에 포커싱 하는 렌즈를 포함한다.
종래 카메라 모듈은 렌즈 및 이미지 센서 모듈 사이의 거리를 조절할 수 없어 사용자가 원하는 고품질 이미지를 얻기 어려웠으나, 최근 카메라 모듈의 렌즈 및 이미지 센서 모듈 사이의 거리를 조절할 수 있는 자동 초점기에 의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고품질 이미지 획득이 가능하게 되었다.
종래 자동 초점기는 가동자에 코일을 권선하고, 가동자 주변에 마그네트를 배치하여 코일에 전류를 인가함에 따라 발생된 자기장 및 마그네트로부터 발생된 자기장의 작용에 의하여 발생된 힘에 의하여 가동자를 구동한다.
그러나, 종래 자동 초점기의 경우 코일 및 마그네트를 이용하기 때문에 구성 요소가 매우 복잡하며 작은 사이즈에 복잡한 구성이 배치되기 때문에 조립이 어렵고 조립 시간에 많이 소요되며, 조립 불량이 빈번하게 발생 되는 문제점을 갖는다.
본 발명은 형상기억합금 와이어를 이용하여 가동자를 구동하며, 형상기억합금 와이어에 구동신호를 인가하는 터미널의 구조 또한 개선하여 구성 요소를 단순화시키고, 조립 시간 및 조립 불량을 방지 또는 억제한 자동 초점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일실시예로서, 자동 초점기는 중앙부에 개구가 형성된 베이스; 상기 베이스 상면에 배치된 제1 터미널 및 상기 베이스 상면에 배치되며 상기 제1 터미널과 절연된 제2 터미널을 포함하는 터미널; 상기 베이스 상에 고정되며 중앙에 개구가 형성되고 상면 모서리에 와이어 가이드부가 형성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하우징을 따라 업-다운되며 상기 와이어 가이드부와 마주하는 걸림턱이 외주면에 형성된 보빈; 상기 와이어 가이드부 및 상기 걸림턱 사이에 개재된 탄성 부재; 및 상기 제1 및 제2 터미널들에 양단부가 각각 접속되며 일부는 상기 와이어 가이드부를 통해 상기 보빈의 상기 걸림턱에 걸리는 형상기억합금 와이어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초점기에 의하면, 형상기억합금 와이어의 온도에 따른 신축을 이용하여 렌즈가 장착된 보빈을 승하강 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구성 부품을 감소, 조립 공정수 및 조립 불량을 감소시키고, 형상기억합금 와이어와 연결된 터미널을 베이스에 배치하여 다양한 불량 요소를 해소하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 초점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커버 캔을 제외한 자동 초점기의 조립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A' 부분 확대도이다.
도 4는 도 2의 'B' 부분 확대도이다.
도 5는 도 1의 가이드 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1의 가이드 부재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나 형상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고려하여 특별히 정의된 용어들은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 초점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커버 캔을 제외한 자동 초점기의 조립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A' 부분 확대도이다. 도 4는 도 2의 'B' 부분 확대도이다. 도 5는 도 1의 가이드 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1의 가이드 부재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자동 초점기(100)는 베이스(10), 터미널(20), 하우징(30), 보빈(40), 탄성 부재(50) 및 형상기억합금 와이어(60)를 포함한다. 이에 더하여, 자동 초점기(100)는 판 스프링(70) 및 커버 캔(80)을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10)는, 예를 들어, 직육면체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되며, 베이스(10)의 중앙부에는 개구(11)가 형성된다.
직육면체 플레이트 형상을 갖는 베이스(10)의 상면에 형성된 4 개의 모서리들 중 하나의 모서리에는 2 개의 돌기(12)들이 돌출되며, 돌기(12)들은 후술 될 판 스프링(70) 중 하부 판 스프링(72)에 결합 된다.
터미널(20)은 베이스(10)의 상면 상에 배치되며, 터미널(20)은 제1 터미널(25) 및 제2 터미널(29)을 포함한다. 제1 및 제2 터미널(25,29)들은 금속판을 프레스 가공하여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제1 터미널(25) 및 제2 터미널(29)은 후술 될 형상기억합금 와이어(60)에 구동 신호를 인가하는 역할을 한다.
제1 터미널(25)은, 평면상에서 보았을 때, 'L' 자 형상으로 형성되며 제1 터터미널(25)은 베이스(10)의 상면의 2 개의 변을 따라 배치된다.
제1 터미널(25)의 일측에는 제1 접속 단자(21)가 형성되며 상기 일측과 대향하는 타측에는 제1 터미널 단자(22)가 형성된다.
제1 터미널 단자(22)는 후술 될 형상기억합금 와이어(60)의 일측단이 통과 및 형상기억합금 와이어(60)를 클램핑 하기 위한 관통홀이 형성될 수 있다.
제2 터미널(29)은, 평면상에서 보았을 때, 막대 형상으로 형성되며, 제2 터미널(29)의 일측에는 제1 접속 단자(21)와 인접하게 배치된 제2 접속 단자(26)가 형성되고, 상기 일측과 대향하는 타측에는 제2 터미널 단자(27)가 형성된다.
제2 터미널(29)의 타측에 형성된 제2 터미널 단자(27)에는 후술 될 형상기억합금 와이어(60)의 타측단이 통과 및 형상기억합금 와이어(60)를 클램핑 하기 위한 관통홀이 형성될 수 있다.
베이스(10)의 상면에 각각 배치된 제1 터미널(25)의 제1 터미널 단자(22) 및 제2 터미멀(29)의 제2 터미널 단자(27)는, 평면상에서 보았을 때, 베이스(10)의 상면에 상호 대각선 방향으로 배치된다.
터미널(20)의 제1 및 제2 터미널(25,29)들은 베이스(10) 및 후술 될 하우징(30) 사이에 개재되어 베이스(10) 및 하우징(30)에 의하여 고정될 수 있다.
이와 다르게, 터미널(20)의 제1 및 제2 터미널(25,29)들은 베이스(10)를 사출 공정에 의하여 사출할 때 베이스(10)와 함께 사출되어 베이스(10)와 일체로 형성되어도 무방하다.
하우징(30)은 베이스(10)의 상면 상에 배치되며, 하우징(30)은 상면 및 하면이 각각 개구된 사각 통 형상으로 형성된다.
하우징(30) 중 베이스(10)의 상면과 마주하는 하면에는 제1 결합부(31)가 형성되며, 하우징(30)의 하면과 마주하는 베이스(10)의 상면에는 제1 결합부(31)와 결합되는 제2 결합부(13)가 형성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제1 결합부(31)는 하우징(30)의 하면으로부터 돌출된 결합 돌기일 수 있고, 제2 결합부(13)는 상기 결합 돌기가 삽입되는 결합홈일 수 있다. 이와 다르게, 제1 결합부(31)는 하우징(30)의 하면으로부터 오목하게 형성된 결합홈일 수 있고, 제2 결합부(13)는 결합홈과 결합 되는 결합 돌기일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각 통 형상을 갖는 하우징(30)의 상면에 형성된 4 개의 모서리들 중 어느 하나의 모서리의 상단에는 와이어 가이드부(32)가 형성될 수 있다.
와이어 가이드부(32)의 하부에 대응하는 모서리는 개구된다. 와이어 가이드부(32)의 하부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된 개구(33)에는 후술 될 보빈(40)의 걸림턱이 배치된다.
와이어 가이드부(32)는 하우징(30)의 어느 하나의 모서리 상단에 형성되며, 와이어 가이드부(32)의 상면으로부터는 보스(33a)가 돌출되며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와이어 가이드부(32)의 보스(33a)에는 후술 될 형상기억합금 와이어(60)가 통과하는 관통홀(34a)들이 형성된 가이드 부재(34)가 결합된다.
한편, 와이어 가이드부(32)는 하우징(30)의 어느 하나의 모서리 상단에 형성되며, 와이어 가이드부(32)의 상면으로부터는 보스(33a)가 돌출되며,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와이어 가이드부(32)의 보스(33a)에는 후술 될 형상기억합금 와이어(60)가 걸리는 걸림부(35a)들이 형성된 가이드 부재(35)를 포함하여도 무방하다.
와이어 가이드부(32)의 하면에는 후술 될 탄성 부재(50)와 결합되는 보스(36)가 형성된다.
보빈(40)은 하우징(30)의 내측면에 배치되며, 보빈(40)은 하우징(30)의 높이 방향을 따라 승강 가능한 구조로 형성된다.
보빈(40)은, 예를 들어, 상면 및 하면이 개구 된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며, 보빈(40)의 내측면에는 렌즈가 결합 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보빈(40) 및 렌즈는, 예를 들어, 나사 체결 방식에 의하여 상호 결합 될 수 있다.
보빈(40)의 외측면 하단에는, 예를 들어, 복수개의 가이드부(42)가 형성되며, 각 가이드부(42)는 보빈(40)의 외측면 하단을 따라 복수개가 등 간격으로 형성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3 개의 가이드부(42)들이 보빈(40)의 외측면 하단을 따라 90°간격으로 형성된다.
한편, 보빈(40)이 하우징(30)의 내부에서 틸트(tilt) 없이 승하강 될 수 있도록 하우징(30)의 내부에는 3 개의 가이드부(42)들과 대응하는 위치에 가이드 홈(37)이 형성된다.
보빈(40) 중 하우징(30)의 와이어 가이드부(32)의 하부에 형성된 개구(33)와 대응하는 위치에는 보빈(40)의 외주면으로부터 돌출된 걸림턱(44)이 형성되며, 걸림턱(44)에는 후술 될 형상기억합금 와이어(60)가 걸린다.
걸림턱(44)의 상면에는 후술 될 탄성 부재(50)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 보스(45)가 형성된다.
탄성 부재(50)는, 예를 들어, 코일 스프링을 포함하며, 탄성 부재(50)의 일측 단부는 와이어 가이드부(32)의 하면에 형성된 보스(36)에 결합되고, 탄성 부재(50)의 상기 일측 단부와 대향 하는 타측 단부는 걸림턱(44)에 형성된 고정 보스(45)에 결합 된다.
형상기억합금 와이어(60)의 일측 단부는 제1 터미널(25)의 제1 터미널 단자(22)에 클램핑되고, 형상기억합금 와이어(60)의 상기 일측 단부와 대향 하는 타측 단부는 제2 터미널(29)의 제2 터미널 단자(27)에 접속되며, 형상기억합금 와이어(60)의 일부는 와이어 가이드부(32)를 통해 보빈(40)의 걸림턱(44)에 걸린다.
구체적으로, 형상기억합금 와이어(60)는 라인 형상으로 형성된 제1 와이어부(62), 라인 형상으로 형성된 제2 와이어부(64) 및 U 자 형상으로 형성된 제3 와이어부(66)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제1 내지 3 와이어(62,64,66)들은, 예를 들어, 일체로 형성된다.
제1 와이어부(62)는 제1 터미널(25)의 제1 터미널 단자(22)를 통과하며, 제1 터미널 단자(22)의 적어도 일부는 제1 터미널 단자(22)를 통과한 제1 와이어부(62)를 클램핑한다.
제2 와이어부(64)는 제2 터미널(29)의 제2 터미널 단자(27)를 통과하며, 제2 터미널 단자(27)의 적어도 일부는 제2 터미널 단자(27)를 통과한 제2 와이어부(64)를 클램핑한다.
제3 와이어부(66)는 'U' 자 형상으로 형성되며, 제3 와이어부(66)는 제1 및 제2 와이어부(62,64)와 일체로 형성된다.
제1 와이어부(62) 및 제2 와이어부(64)는 각각 가이드 부재(34)의 관통홀(34a)을 통과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형상기억합금 와이어(60)는 형상기억합금 와이어(60)의 온도에 대응하여 길이가 선형적으로 신축되는 특성을 갖는다. 따라서, 제1 터미널(25) 및 제2 터미널(29)을 통하여 특정 레벨의 전원이 인가되면 형상기억합금 와이어(60)의 저항에 의하여 형상기억합금 와이어(60)로부터는 열이 발생 되고, 열에 의하여 형상기억합금 와이어(60)는 인가된 전원의 레벨에 대응하여 수축된다.
형상기억합금 와이어(60)가 수축되어 길이가 감소 될 경우, 형상기억합금 와이어(60)에 걸린 보빈(40)의 걸림턱(44)은 길이가 감소 된 형상기억합금 와이어(60)에 의하여 베이스(10)에 대하여 이격 되는 방향으로 이격 되고, 이로 인해 보빈(40)에 장착된 렌즈 및 베이스(10)의 후면에 배치된 이미지 센서 모듈(미도시) 사이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다.
도 1을 다시 참조하면, 커버 캔(80)은 하우징(30) 및 보빈(40)을 덮고 보빈(40)을 상부를 노출하는 개구(82)를 갖고, 커버 캔(80)은 베이스(10)의 측면에 결합된다.
이상에서 상세하게 설명한 바에 의하면, 형상기억합금 와이어의 온도에 따른 신축을 이용하여 렌즈가 장착된 보빈을 승하강 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구성 부품을 감소, 조립 공정수 및 조립 불량을 감소시키고, 형상기억합금 와이어와 연결된 터미널을 베이스에 배치하여 다양한 불량 요소를 해소하는 효과를 갖는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이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적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범위의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다음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자동 초점기 10...베이스
20...터미널 30...하우징
40...보빈 50...탄성 부재
60...형상기억합금 와이어 70...판 스프링
80...커버 캔

Claims (15)

  1. 베이스;
    상기 베이스 상면에 배치된 제1 터미널 및 상기 베이스 상면에 배치되며 상기 제1 터미널과 이격된 제2 터미널을 포함하는 터미널;
    상기 베이스 상에 고정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부에 배치되는 보빈;
    상기 제1 및 제2 터미널들에 연결되며, 상기 보빈을 광축방향으로 이동시키는 형상기억합금 와이어;
    상기 보빈의 외주면으로부터 반경방향 외측으로 돌출되는 걸림턱;
    상기 걸림턱과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고, 상기 하우징의 상면 코너에 형성되는 와이어 가이드부; 및
    상기 걸림턱과 상기 와이어 가이드부 사이에 배치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형상기억합금 와이어는 적어도 일부가 상기 광축방향과 평행하게 배치되고, 상기 형상기억합금 와이어의 상기 광축방향과 평행하게 배치되는 부분이 상기 와이어 가이드부와 상기 걸림턱 사이에 배치되는 자동 초점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터미널은 상기 베이스의 측면을 따라 연장된 제1 접속 단자를 포함하고, 상기 제2 터미널은 상기 베이스의 상기 측면을 따라 연장된 제2 접속 단자를 포함하는 자동 초점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터미널은 상기 형상기억합금 와이어의 일측단과 결합되는 제1 터미널 단자를 포함하고, 상기 제2 터미널은 상기 형상기억합금 와이어의 상기 일측단과 대향하는 타측단과 결합되는 제2 터미널 단자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및 제2 터미널 단자들은 상기 베이스의 대각선 방향 모서리에 각각 배치된 자동 초점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터미널들 및 상기 형상기억합금 와이어는 상호 클램핑 되어 결합되는 자동 초점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빈은 상기 보빈의 외측면으로부터 동일 간격으로 돌출된 복수개의 가이드부들을 포함하고 , 상기 하우징에는 상기 가이드부들을 수용하는 가이드 홈이 배치된 자동 초점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빈의 상면 및 상기 상면과 대향하는 하면에 배치되어 상기 보빈을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판 스프링들을 더 포함하는 자동 초점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 가이드부는 상기 하우징의 상단에 배치되며, 상기 와이어 가이드부의 상면으로부터는 보스가 돌출되고 상기 와이어 가이드부의 상기 보스에는 상기 형상기억합금 와이어가 통과하는 관통홀들이 형성된 가이드 부재가 결합되는 자동 초점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 가이드부는 상기 하우징의 상단에 배치되며, 상기 와이어 가이드부의 상면으로는 보스가 돌출되고, 상기 와이어 가이드부의 상기 보스에는 상기 형상기억합금 와이어가 걸리는 걸림 돌기들이 형성된 가이드 부재를 포함하는 자동 초점기.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빈의 내측에는 렌즈가 결합 되고 상기 보빈 및 상기 렌즈는 상호 나사 체결 방식으로 결합 되는 자동 초점기.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하면에는 상기 베이스와 결합 되는 제1 결합부가 형성되고, 상기 베이스에는 상기 제1 결합부와 결합되는 제2 결합부가 형성된 자동 초점기.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및 상기 보빈을 덮고 상기 보빈을 상부를 노출하는 개구를 갖는 커버 캔을 더 포함하는 자동 초점기.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터미널들은 상기 베이스 상에 고정된 자동 초점기.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터미널들은 상기 베이스와 일체로 사출된 자동 초점기.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터미널은 상기 베이스와 상기 하우징의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베이스와 상기 하우징에 의해 고정되는 자동 초점기.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형상기억합금 와이어는 라인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1터미널과 연결되는 제1와이어부, 라인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2터미널과 연결되는 제2와이어부 및 상기 광축방향과 평행하게 배치되는 부분을 포함하는 제3와이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3와이어부는 상기 와이어 가이드부와 상기 걸림턱에 동시에 접촉되는 자동 초점기.

KR1020110090065A 2011-09-06 2011-09-06 자동 초점기 KR1018755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90065A KR101875545B1 (ko) 2011-09-06 2011-09-06 자동 초점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90065A KR101875545B1 (ko) 2011-09-06 2011-09-06 자동 초점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26726A KR20130026726A (ko) 2013-03-14
KR101875545B1 true KR101875545B1 (ko) 2018-07-06

Family

ID=481778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90065A KR101875545B1 (ko) 2011-09-06 2011-09-06 자동 초점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7554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14859A1 (ko) * 2020-07-13 2022-01-20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렌즈구동장치, 카메라 모듈 및 광학기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87207B1 (ko) * 2014-09-29 2016-12-28 크루셜텍 (주) 카메라용 자동 초점 장치의 와이어-터미널 조립체
EP3040753B1 (en) * 2014-12-30 2024-02-21 LG Innotek Co., Ltd. Lens moving apparatus
TWI618949B (zh) 2016-04-01 2018-03-21 台灣東電化股份有限公司 鏡頭驅動機構及其控制方法
CN206584105U (zh) * 2016-04-01 2017-10-24 台湾东电化股份有限公司 镜头驱动机构
KR101938273B1 (ko) * 2016-07-01 2019-01-15 자화전자(주) 광학기기용 회동 구동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카메라 모듈
IT201700074728A1 (it) * 2017-07-04 2019-01-04 Actuator Solutions GmbH Attuatore per auto-focus di modulo di fotocamera
GB201801007D0 (en) * 2018-01-22 2018-03-07 Cambridge Mechatronics Ltd Inclined SMA wire AF
US11454221B2 (en) 2018-01-22 2022-09-27 Cambridge Mechatronics Limited Shape memory alloy actuation apparatus
CN108318992A (zh) * 2018-04-13 2018-07-24 湖南新视电子技术有限公司 一种摄像头微型驱动马达
CN108303779A (zh) * 2018-04-13 2018-07-20 湖南新视电子技术有限公司 一种适于摄像头驱动马达的镜头座组件
KR102642902B1 (ko) * 2018-11-21 2024-03-04 삼성전기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99567A (ko) * 2007-05-10 2008-11-13 주식회사 하이소닉 소형 카메라장치
KR20110042604A (ko) * 2009-10-19 2011-04-27 삼성전기주식회사 렌즈 구동 모듈
JP2011127585A (ja) * 2009-11-17 2011-06-30 Morioka Seiko Instruments Inc アクチュエータの製造方法、アクチュエータ、駆動モジュールの製造方法、駆動モジュールおよび電子機器
WO2011105214A1 (ja) * 2010-02-25 2011-09-01 ミツミ電機株式会社 レンズ駆動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99567A (ko) * 2007-05-10 2008-11-13 주식회사 하이소닉 소형 카메라장치
KR20110042604A (ko) * 2009-10-19 2011-04-27 삼성전기주식회사 렌즈 구동 모듈
JP2011127585A (ja) * 2009-11-17 2011-06-30 Morioka Seiko Instruments Inc アクチュエータの製造方法、アクチュエータ、駆動モジュールの製造方法、駆動モジュールおよび電子機器
WO2011105214A1 (ja) * 2010-02-25 2011-09-01 ミツミ電機株式会社 レンズ駆動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14859A1 (ko) * 2020-07-13 2022-01-20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렌즈구동장치, 카메라 모듈 및 광학기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26726A (ko) 2013-03-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75545B1 (ko) 자동 초점기
US11936971B2 (en) Lens moving apparatus
KR101498356B1 (ko) 렌즈 액츄에이터
KR101860156B1 (ko) 카메라 모듈
CN107222081B (zh) 音圈电动机
CN112637458B (zh) 透镜驱动装置、相机模块和光学设备
CN112034585B (zh) 透镜移动装置
JP2017508181A (ja) レンズ駆動モータ
KR101766743B1 (ko) 휴대단말기용 카메라 액추에이터 및 카메라 모듈
KR102559023B1 (ko) 렌즈 구동장치 및 이를 구비한 카메라 모듈
KR102224476B1 (ko) 렌즈구동모터
KR20230022195A (ko) 카메라 모듈
KR102492627B1 (ko) 렌즈 구동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KR102428594B1 (ko) 카메라 모듈
KR101971713B1 (ko) 보이스 코일 모터
KR20210134575A (ko) 렌즈구동모터
KR102063980B1 (ko) 보이스 코일 모터
KR102422824B1 (ko) 보이스 코일 모터
KR102521614B1 (ko) 렌즈 구동 모터,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과 핸드폰
KR102186477B1 (ko) 보이스 코일 모터
KR102349229B1 (ko) 렌즈 구동 모터,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과 핸드폰
KR102323624B1 (ko) 렌즈구동모터
KR20200004902A (ko) 보이스 코일 모터
KR20160000729A (ko) 렌즈 구동 장치
KR20210021648A (ko) Vcm 타입 액추에이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