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74850B1 - 고압 케이블용 고압 단말제 및 상기 고압 케이블용 고압 단말제 제조 금형 - Google Patents

고압 케이블용 고압 단말제 및 상기 고압 케이블용 고압 단말제 제조 금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74850B1
KR101874850B1 KR1020170067365A KR20170067365A KR101874850B1 KR 101874850 B1 KR101874850 B1 KR 101874850B1 KR 1020170067365 A KR1020170067365 A KR 1020170067365A KR 20170067365 A KR20170067365 A KR 20170067365A KR 101874850 B1 KR101874850 B1 KR 1018748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mold member
discoloration
voltage cable
co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673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67394A (ko
Inventor
임장호
Original Assignee
임장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장호 filed Critical 임장호
Publication of KR201800673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673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748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748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5/00Cable fittings
    • H02G15/02Cable termin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4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incorporating preformed parts or layers, e.g. injection moulding around inserts or for coating articles
    • B29C45/14639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incorporating preformed parts or layers, e.g. injection moulding around inserts or for coating articles for obtaining an insulating effect, e.g. for electrical compon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6Making multilayered or multicoloured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26Mould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14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joining or terminating cab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개시되는 고압 케이블용 고압 단말제가 단말제 몸체와 함께 변색부를 포함함에 따라, 상기 고압 케이블용 고압 단말제가 적용된 고압 케이블 단자부에서 이상 과열이 발생되는 경우, 이러한 이상 과열이 외부에서 즉각적으로 인지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고압 케이블용 고압 단말제 및 상기 고압 케이블용 고압 단말제 제조 금형{High voltage terminal cap for high voltage cable and manufacturing mold for thereof}
본 발명은 고압 케이블용 고압 단말제 및 상기 고압 케이블용 고압 단말제 제조 금형에 관한 것이다.
고압 케이블용 고압 단말제는 고압 케이블의 접속부인 단자부를 감싸 절연시키는 것으로, 고압(high voltage)이 걸리는 특성상, 고압 케이블용 고압 단말제와 고압 케이블 단자부 사이가 밀착되어야 한다.
고압 케이블용 고압 단말제와 고압 케이블 단자부의 구성물질은 금속과 절연체로 서로 달라서, 서로 간에 접착성이 없고, 그에 따라 고압 케이블용 고압 단말제와 고압 케이블 단자부 사이에 틈새가 생기기 쉬운데, 만약 이러한 틈새가 생기면, 그 틈새 부분에서 부분 방전이 일어나, 고압 케이블용 고압 단말제가 침식 작용을 받게 되고, 그에 따라 고압 케이블용 고압 단말제의 절연 성능 저하가 초래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고압 케이블용 고압 단말제에 있어서는, 고압 케이블 단자부와의 사이에 틈새가 발생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중요한다.
위와 같이 고압 케이블 단자부와 밀착될 수 있도록, 다양한 고압 케이블용 고압 단말제가 개발되어 왔는데, 그 일 예로 제시될 수 있는 것이 아래 제시된 특허문헌의 그 것이다.
그러나, 종래의 고압 케이블용 고압 단말제에 의하면, 단순히 절연 기능에 국한되는 것이 대부분이고, 고압 케이블용 고압 단말제가 적용된 고압 케이블 단자부에서 이상 과열이 발생되는 경우, 이러한 이상 과열을 감지할 수 없는 단점이 있었다.
공개실용신안 제 20-1991-0008061호, 공개일자: 1991.05.31., 고안의 명칭: 고압케이블용고무단말접속재의수밀구조
본 발명은 고압 케이블용 고압 단말제가 적용된 고압 케이블 단자부의 이상 과열이 외부에서 즉각적으로 인지될 수 있는 고압 케이블용 고압 단말제 및 상기 고압 케이블용 고압 단말제 제조 금형을 제공하는 것을 일 목적으로 한다.
삭제
삭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고압 케이블용 고압 단말제 제조 금형은 고압 케이블 단자부의 절연을 위한 단말제 몸체와, 상기 고압 케이블 단자부의 온도 변화에 따라 변색될 수 있되, 상기 단말제 몸체와 연결된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고압 케이블 단자부를 상기 단말제 몸체와 함께 감싸는 변색 몸체를 포함하는 변색부를 포함하는 고압 케이블용 고압 단말제를 제조하기 위해 적용되는 것으로서,
상기 단말제 몸체와 상기 변색 몸체 형성을 위해, 상기 단말제 몸체와 상기 변색 몸체의 내부 형태에 대응되는 형태로 형성되는 코어 부재; 상기 단말제 몸체 형성을 위해 상기 코어 부재가 삽입되면서 얹히는 단말측 하부 금형 부재; 상기 단말제 몸체 형성을 위해 상기 단말측 하부 금형 부재에 삽입된 상기 코어 부재를 덮는 단말측 상부 금형 부재; 상기 변색 몸체 형성을 위해 상기 코어 부재가 삽입되면서 얹히는 변색측 하부 금형 부재; 및 상기 변색 몸체 형성을 위해 상기 변색측 하부 금형 부재에 삽입된 상기 코어 부재를 덮는 변색측 상부 금형 부재;를 포함ㅎ하고,
상기 단말측 하부 금형 부재와 상기 변색측 하부 금형 부재는 하부 연결체에 의해 서로 연결되고, 상기 단말측 상부 금형 부재와 상기 변색측 상부 금형 부재는 상부 연결체에 의해 서로 연결되고, 상기 코어 부재는 상기 하부 연결체와 상기 상부 연결체에 삽입될 수 있는 연결체 삽입부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체 삽입부가 상기 하부 연결체와 상기 상부 연결체 사이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코어 부재에서 상기 단말측 하부 금형 부재와 상기 단말측 상부 금형 부재 사이에 놓인 부분에 상기 단말제 몸체가 성형되고, 상기 단말측 상부 금형 부재와 상기 변색측 상부 금형 부재가 분리되고, 상기 단말제 몸체가 성형된 상기 코어 부재가 상기 연결체 삽입부를 회전축으로 하여 회전되어 상기 코어 부재가 뒤집어진 형태로 상기 변색측 하부 금형 부재와 상기 변색측 상부 금형 부재 사이에 놓인 상태에서, 상기 코어 부재에 상기 단말제 몸체와 연결되는 상기 변색 몸체가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고압 케이블용 고압 단말제 및 상기 고압 케이블용 고압 단말제 제조 금형에 의하면, 고압 케이블용 고압 단말제가 단말제 몸체와 함께 변색부를 포함함에 따라, 상기 고압 케이블용 고압 단말제가 적용된 고압 케이블 단자부에서 이상 과열이 발생되는 경우, 이러한 이상 과열이 외부에서 즉각적으로 인지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고압 케이블용 고압 단말제가 적용된 모습을 보이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고압 케이블용 고압 단말제에 대한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고압 케이블용 고압 단말제 제조 금형이 분리된 모습을 보이는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고압 케이블용 고압 단말제 제조 금형이 분리된 모습을 보이는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고압 케이블용 고압 단말제 제조 금형이 단말제 몸체를 성형하기 위해 결합된 모습을 보이는 단면도.
도 6은 도 5에 도시된 고압 케이블용 고압 단말제 제조 금형에서 단말제 몸체가 성형되는 모습을 보이는 단면도.
도 7은 도 6에 도시된 고압 케이블용 고압 단말제 제조 금형이 단말제 몸체 성형 후 분리된 모습을 보이는 단면도.
도 8은 도 7에 도시된 고압 케이블용 고압 단말제 제조 금형에서 코어 부재가 변색 몸체 성형을 위해 뒤집어진 모습을 보이는 단면도.
도 9는 도 8에 도시된 고압 케이블용 고압 단말제 제조 금형이 변색 몸체를 성형하기 위해 결합된 모습을 보이는 단면도.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고압 케이블용 고압 단말제 제조 금형에서 변색 몸체가 성형되는 모습을 보이는 단면도.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고압 케이블용 고압 단말제 제조 금형이 변색 몸체 성형 후 분리된 모습을 보이는 단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고압 케이블용 고압 단말제에 대한 단면도.
도 13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고압 케이블용 고압 단말제에 대한 단면도.
도 14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고압 케이블용 고압 단말제에 대한 단면도.
도 15는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고압 케이블용 고압 단말제의 일부에 대한 도면.
도 16은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고압 케이블용 고압 단말제의 일부에 대한 단면도.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고압 케이블용 고압 단말제 및 상기 고압 케이블용 고압 단말제 제조 금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고압 케이블용 고압 단말제가 적용된 모습을 보이는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고압 케이블용 고압 단말제에 대한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고압 케이블용 고압 단말제 제조 금형이 분리된 모습을 보이는 평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고압 케이블용 고압 단말제 제조 금형이 분리된 모습을 보이는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고압 케이블용 고압 단말제 제조 금형이 단말제 몸체를 성형하기 위해 결합된 모습을 보이는 단면도이고, 도 6은 도 5에 도시된 고압 케이블용 고압 단말제 제조 금형에서 단말제 몸체가 성형되는 모습을 보이는 단면도이고, 도 7은 도 6에 도시된 고압 케이블용 고압 단말제 제조 금형이 단말제 몸체 성형 후 분리된 모습을 보이는 단면도이고, 도 8은 도 7에 도시된 고압 케이블용 고압 단말제 제조 금형에서 코어 부재가 변색 몸체 성형을 위해 뒤집어진 모습을 보이는 단면도이고, 도 9는 도 8에 도시된 고압 케이블용 고압 단말제 제조 금형이 변색 몸체를 성형하기 위해 결합된 모습을 보이는 단면도이고,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고압 케이블용 고압 단말제 제조 금형에서 변색 몸체가 성형되는 모습을 보이는 단면도이고,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고압 케이블용 고압 단말제 제조 금형이 변색 몸체 성형 후 분리된 모습을 보이는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11을 함께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고압 케이블용 고압 단말제(50)는 단말제 몸체(51)와, 변색부(55)를 포함한다.
상기 단말제 몸체(51)는 고압 케이블 단자부(10)의 절연을 위해, 상기 고압 케이블 단자부(10)에 씌워진 것으로, 상기 고압 케이블 단자부(10)에 밀착됨이 바람직하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단말제 몸체(51)는 상기 고압 케이블 단자부(10)를 밀착하여 감싸는 부분과, 상기 고압 케이블 단자부(10)를 밀착하여 감싸는 부분에서 외측으로 삿갓 형태로 돌출되는 복수 개의 부분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단말제 몸체(51)는 실리콘 등으로 투명 또는 반투명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단말제 몸체(51)가 투명 또는 반투명으로 이루어지면, 상기 단말제 몸체(51)에 의해 감싸진 상기 고압 케이블 단자부(10)의 상태, 예를 들어 연결 상태 등이 상기 단말제 몸체(51)를 통해 외부에서 쉽게 인지될 수 있게 된다.
물론, 상기 단말제 몸체(51)는 실리콘 등으로 불투명하게 이루어질 수도 있다.
도면 번호 54는 상기 고압 케이블용 고압 단말제(50)를 관통 형성되어, 상기 고압 케이블 단자부(10)가 관통되는 관통 홀이다.
상기 변색부(55)는 상기 고압 케이블 단자부(10)의 온도 변화에 따라 변색될 수 있는 것으로, 온도에 따라 변색될 수 있는 카멜레온 안료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변색부(55)는 변색 몸체(52)와, 몸체측 변색체(53)로 구성된다.
상기 변색 몸체(52)는 상기 단말제 몸체(51)의 일 단부, 예를 들어 상단부에서 상기 단말제 몸체(51)와 연결된 형태로 형성되되, 상기 고압 케이블 단자부(10)를 상기 단말제 몸체(51)와 함께 감싸는 것이다.
상기 몸체측 변색체(53)는 상기 변색 몸체(52)와 별개로 분리된 형태가 되도록, 상기 단말제 몸체(51)의 일부에 배치된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몸체측 변색체(53)는 원형, 일정 길이의 선형, 상기 단말제 몸체(51)의 외주를 따라 형성되는 띠형 등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변색부(55)는 복수 개로 구성되고, 상기 변색부(55)를 구성하는 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고압 케이블 단자부(10)의 온도에 따라 색상이 가변된 상태가 그대로 유지되는 비가역성으로 형성되고, 나머지는 상기 고압 케이블 단자부(10)의 온도에 따라 색상이 가변되었다가 온도가 정상으로 환원되면 다시 색상도 원래 색으로 환원되는 가역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변색부(55)는 복수 개로 구성되고, 상기 변색부(55)를 구성하는 요소들, 예를 들면 상기 변색 몸체(52)와 상기 몸체측 변색체(53)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고압 케이블 단자부(10)의 온도에 따라 색상이 가변된 상태가 그대로 유지되는 비가역성으로 형성되고, 다른 하나는 상기 고압 케이블 단자부(10)의 온도에 따라 색상이 가변되었다가 온도가 정상으로 환원되면 다시 색상도 원래 색으로 환원되는 가역성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변색부(55)는 복수 개로 구성되고, 상기 변색부(55)를 구성하는 요소들, 예를 들면 상기 변색 몸체(52) 중 적어도 하나와 상기 몸체측 변색체(53) 중 적어도 하나는 각각 상기 고압 케이블 단자부(10)의 온도에 따라 색상이 가변된 상태가 그대로 유지되는 비가역성으로 형성되고, 나머지는 상기 고압 케이블 단자부(10)의 온도에 따라 색상이 가변되었다가 온도가 정상으로 환원되면 다시 색상도 원래 색으로 환원되는 가역성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변색부(55)를 구성하는 요소들, 예를 들면 상기 변색 몸체(52)와 상기 몸체측 변색체(53) 모두 비가역성으로 형성되거나, 모두 가역성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변색부(55)를 구성하는 요소들이 복수 개이되, 상기 변색 몸체(52)로만 구성되거나, 상기 몸체측 변색체(53)로만 구성될 수도 있고, 이러한 경우의 복수 개의 상기 변색부(55) 모두가 비가역성 또는 모두가 가역성으로 형성될 수도 있고, 그 일부는 가역성으로 나머지는 비가역성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변색부(55)는 단수 개로 구성될 수도 있고, 단수 개의 상기 변색부(55)가 가역성으로 또는 비가역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상기 고압 케이블용 고압 단말제(50)가 상기 단말제 몸체(51)와 함께 상기 변색부(55)를 포함함에 따라, 상기 고압 케이블용 고압 단말제(50)가 적용된 상기 고압 케이블 단자부(10)에서 이상 과열이 발생되는 경우, 이러한 이상 과열이 외부에서 즉각적으로 인지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고압 케이블용 고압 단말제 제조 금형(100)은 상기 고압 케이블용 고압 단말제(50)를 제조하기 위해 적용되는 것으로서, 코어 부재(140)와, 단말측 하부 금형 부재(160)와, 단말측 상부 금형 부재(120)와, 변색측 하부 금형 부재(170)와, 변색측 상부 금형 부재(130)를 포함한다.
도면 번호 126, 138, 166, 177은 각각 상기 단말측 상부 금형 부재(120), 상기 변색측 상부 금형 부재(130), 상기 단말측 하부 금형 부재(160) 및 상기 변색측 하부 금형 부재(170)의 각 몸체들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단말측 하부 금형 부재(160)와 상기 변색측 하부 금형 부재(170)는 하부 연결체(101)에 의해 서로 연결되고, 상기 단말측 상부 금형 부재(120)와 상기 변색측 상부 금형 부재(130)는 상부 연결체(103)에 의해 서로 연결되며, 상기 하부 연결체(101)와 상기 상부 연결체(103) 상에는 각각 후술되는 연결체 삽입부(105)가 삽입될 수 있는 연결체 삽입부 삽입홀(102, 104)이 서로 연통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코어 부재(140)는 상기 단말제 몸체(51)와 상기 변색 몸체 형성을 위해 상기 단말제 몸체(51)와 상기 변색 몸체(52)의 내부 형태에 대응되는 형태로 형성되는 것으로, 전체적으로 봉 형태로 형성된다.
상세히, 상기 코어 부재(140)는 상기 단말제 몸체(51)와 상기 변색 몸체 형성을 위한 코어측 몸체 형성부(142)와, 상기 코어측 몸체 형성부(142)에서 연장되는 코어 연장체(141, 144)와, 상기 연결체 삽입부(105)를 포함한다.
상기 코어측 몸체 형성부(142)는 상기 단말제 몸체(51)와 상기 변색 몸체(52)의 내부 형태대로 형성되고, 상기 코어측 몸체 형성부(142)의 일부에 상기 단말제 몸체(51)를 이루는 물질, 예를 들어 투명 또는 반투명 실리콘이 입혀진 후 굳어짐으로써, 상기 단말제 몸체(51)가 형성되도록 하고, 상기 코어측 몸체 형성부(142)의 타부에 상기 변색 몸체(52)를 이루는 물질인 카멜레온 안료가 입혀진 후 굳어짐으로써, 상기 변색 몸체(52)가 형성되도록 한다.
상기 코어 연장체(141, 144)는 상기 코어측 몸체 형성부(142)에서 연장되는 것으로, 일정 길이의 봉 형태로 형성되어, 작업자가 상기 코어 연장체(141, 144)를 손으로 잡고 상기 코어 연장체(141, 144)를 상기 단말측 하부 금형 부재(160)와 상기 변색측 하부 금형 부재(170) 중 어느 하나에 결합시키거나 그로부터 분리할 수 있도록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코어 연장체(141, 144)는 상기 코어측 몸체 형성부(142)의 양 말단에서 각각 하나씩 연장될 수 있다.
상기 단말측 하부 금형 부재(160)는 상기 단말제 몸체 형성을 위해 상기 코어 부재(140)가 삽입되면서 얹히는 것이고, 상기 단말측 상부 금형 부재(120)는 상기 단말측 하부 금형 부재(160)와 맞물려서, 상기 단말제 몸체 형성을 위해 상기 단말측 하부 금형 부재(160)에 삽입된 상기 코어 부재(140)를 덮는 것이다.
상세히, 상기 단말측 하부 금형 부재(160)는 상기 코어측 몸체 형성부(142)가 삽입되되 상기 단말제 몸체(51)가 형성될 수 있도록 상기 코어측 몸체 형성부(142)의 외면과 상기 단말제 몸체(51)의 두께만큼 이격 형성되는 크기로 형성되는 단말제 몸체 형성 하부 홀(162)과, 상기 코어 연장체(141, 144)가 삽입되는 단말측 코어 삽입 하부 홀(161, 163)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단말측 상부 금형 부재(120)는 상기 코어측 몸체 형성부(142)가 삽입되되 상기 단말제 몸체(51)가 형성될 수 있도록 상기 코어측 몸체 형성부(142)의 외면과 상기 단말제 몸체(51)의 두께만큼 이격 형성되는 크기로 형성되는 단말제 몸체 형성 상부 홀(122)과, 상기 코어 연장체(141, 144)가 삽입되는 단말측 코어 삽입 상부 홀(121, 123)을 포함한다.
상기 단말제 몸체 형성 하부 홀(162)과 상기 단말제 몸체 형성 상부 홀(122) 내에 상기 코어측 몸체 형성부(142)가 삽입되도록 상기 단말측 하부 금형 부재(160)와 상기 단말측 상부 금형 부재(120)가 교합된 상태에서, 서로 연통된 상기 단말제 몸체 형성 하부 홀(162)과 상기 단말제 몸체 형성 상부 홀(122) 및 상기 코어측 몸체 형성부(142) 사이의 공간에 상기 단말제 몸체(51)를 이루는 물질이 주입됨으로써, 상기 코어측 몸체 형성부(142)를 감싸는 형태로 상기 단말제 몸체(51)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물질 주입이 가능하도록, 상기 단말제 몸체 형성 상부 홀(122)에는 단말제 몸체 주입 홀(125)이 형성된다. 상기 단말제 몸체 주입 홀(125)은 외부로부터 상기 단말제 몸체(51)를 이루는 물질을 공급받아 상기 단말제 몸체 형성 상부 홀(122) 내로 주입해주는 것이다.
상기 단말제 몸체 형성 상부 홀(122)과 상기 단말제 몸체 형성 하부 홀(162)은 서로 연통되어 있어서, 상기 코어측 몸체 형성부(142) 외면에 상기 단말제 몸체(51)를 이루는 물질이 씌워질 수 있게 된다.
상기 단말측 코어 삽입 하부 홀(161, 163)과 상기 단말측 코어 삽입 상부 홀(121, 123)에 상기 코어 연장체(141, 144)가 삽입되어 있다가 작업자에 의해 들리면서 상기 코어 부재(140)가 상기 단말측 하부 금형 부재(160)로부터 쉽게 분리될 수 있게 된다.
상기 변색측 하부 금형 부재(170)는 상기 변색부(55) 형성을 위해 상기 코어 부재(140)가 삽입되면서 얹히는 것이고, 상기 변색측 상부 금형 부재(130)는 상기 변색부(55) 형성을 위해 상기 변색측 하부 금형 부재(170)에 삽입된 상기 코어 부재(140)를 덮는 것이다.
상세히, 상기 변색측 하부 금형 부재(170)는 상기 단말제 몸체(51)가 형성된 상태의 상기 코어측 몸체 형성부(142)가 삽입되는 단말제 몸체 삽입 하부 홀(173)과, 상기 코어측 몸체 형성부(142)에서 상기 단말제 몸체(51)가 형성되지 아니한 부분이 삽입되되 상기 변색 몸체(52)가 형성될 수 있도록 상기 코어측 몸체 형성부(142)의 외면과 상기 변색 몸체(52)의 두께만큼 이격 형성되는 크기로 형성되는 변색 몸체 형성 하부 홀(172)과, 상기 코어 연장체(141, 144)가 삽입되는 변색측 코어 삽입 하부 홀(171, 174)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변색측 상부 금형 부재(130)는 상기 단말제 몸체(51)가 형성된 상태의 상기 코어측 몸체 형성부(142)가 삽입되는 단말제 몸체 삽입 상부 홀(133)과, 상기 코어측 몸체 형성부(142)에서 상기 단말제 몸체(51)가 형성되지 아니한 부분이 삽입되되 상기 변색 몸체(52)가 형성될 수 있도록 상기 코어측 몸체 형성부(142)의 외면과 상기 변색 몸체(52)의 두께만큼 이격 형성되는 크기로 형성되는 변색 몸체 형성 상부 홀(132)과, 상기 코어 연장체(141, 144)가 삽입되는 변색측 코어 삽입 상부 홀(131, 134)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변색측 하부 금형 부재(170)와 상기 변색측 상부 금형 부재(130) 중 적어도 하나에는 상기 변색측 하부 금형 부재(170)와 상기 변색측 상부 금형 부재(130) 중 적어도 하나와 상기 코어 부재(140) 사이의 이격 틈으로 상기 카멜레온 안료를 서로 이격된 복수의 지점에서 함께 주입해주는 복수 개의 변색 몸체용 안료 주입 홀(176)이 형성된다.
상세히, 상기 각 변색 몸체용 안료 주입 홀(176)은 상기 변색 몸체 형성 하부 홀(172)과 연통되도록 형성되되, 서로 다른 위치에서 각각 상기 변색 몸체 형성 하부 홀(172)과 연통되고, 상기 각 변색 몸체용 안료 주입 홀(176)은 상기 변색 몸체 형성 상부 홀(132) 주변부를 상하로 관통하는 복수 개의 안료 공급 홀(135)과 각각 연통된다.
상기 안료 공급 홀(135)은 외부로부터 상기 변색 몸체(52)를 이루는 물질을 공급받아 상기 각 변색 몸체용 안료 주입 홀(176) 내로 공급해주는 것이다.
상기 각 변색 몸체용 안료 주입 홀(176)은 상기 코어 부재(140)를 중심으로 대칭된 위치에 형성된다.
상기 변색 몸체 형성 하부 홀(172)과 상기 변색 몸체 형성 상부 홀(132) 내에 상기 코어측 몸체 형성부(142)가 삽입되도록 상기 변색측 하부 금형 부재(170)와 상기 변색측 상부 금형 부재(130)가 교합된 상태에서, 서로 연통된 상기 변색 몸체 형성 하부 홀(172)과 상기 변색 몸체 형성 상부 홀(132) 및 상기 코어측 몸체 형성부(142)에서 상기 단말제 몸체(51)가 형성되지 아니한 부분 사이의 공간에 복수 개의 상기 각 변색 몸체용 안료 주입 홀(176)을 통해 상기 변색 몸체(52)를 이루는 물질이 주입됨으로써, 상기 변색 몸체(52)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상기 고압 케이블용 고압 단말제 제조 금형(100)에서 상기 변색측 하부 금형 부재(170)와 상기 변색측 상부 금형 부재(130) 중 적어도 하나에는 상기 변색측 하부 금형 부재(170)와 상기 변색측 상부 금형 부재(130) 중 적어도 하나와 상기 코어 부재(140) 사이의 이격 틈으로 상기 카멜레온 안료를 서로 이격된 복수의 지점에서 함께 주입해주는 복수 개의 변색 몸체용 안료 주입 홀(176)이 형성됨으로써, 상기 변색측 하부 금형 부재(170)와 상기 변색측 상부 금형 부재(130) 중 적어도 하나와 상기 코어 부재(140) 사이의 이격 틈에 균일하게 상기 카멜레온 안료가 주입될 수 있고, 그에 따라 단수의 지점에서 상기 카멜레온 안료가 주입될 때 상기 카멜레온 안료가 번져 상기 단말제 몸체(51)까지 번지는 현상이 방지될 수 있어서, 정밀하고 깔끔한 변색 몸체(52) 제조가 가능하다.
상기 변색 몸체 형성 상부 홀(132)과 상기 변색 몸체 형성 하부 홀(172)은 서로 연통되어 있어서, 상기 코어측 몸체 형성부(142) 외면에 상기 변색 몸체(52)를 이루는 물질이 씌워질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코어 부재(140)에는 별도로 이미 성형된 상기 몸체측 변색체(53)가 삽입될 수 있는 변색체 삽입 홀(146)이 형성된다. 상세히는, 상기 코어측 몸체 형성부(142)에 상기 변색체 삽입 홀(146)이 일정 깊이로 함몰된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변색체 삽입 홀(146)에 이미 성형된 상기 몸체측 변색체(53)가 삽입된다.
상기 변색체 삽입 홀(146)에 이미 성형된 상기 몸체측 변색체(53)가 삽입되고, 상기 코어 부재(140)가 상기 단말측 하부 금형 부재(160)와 상기 단말측 상부 금형 부재(120) 사이에 삽입되며,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단말제 몸체 주입 홀(125)을 통해 상기 단말제 몸체(51)를 이루는 물질이 공급되어 굳어짐으로써, 이미 성형된 상태로 삽입된 상기 몸체측 변색체(53)와 일체화된 상기 단말제 몸체(51)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상기 몸체측 변색체(53)가 별도로 미리 성형된 다음 상기 코어 부재(140)에 형성된 상기 변색체 삽입 홀(146)에 삽입되고 상기 코어 부재(140)가 상기 단말측 하부 금형 부재(160)와 상기 단말측 상부 금형 부재(120) 사이에 삽입되며,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단말제 몸체 주입 홀(125)을 통해 상기 단말제 몸체(51)를 이루는 물질이 공급되어 굳어짐으로써, 이미 성형된 상태로 삽입된 상기 몸체측 변색체(53)와 일체화된 상기 단말제 몸체(51)가 형성될 수 있고, 그에 따라 별도로 상기 몸체측 변색체(53)를 이루는 물질을 용융 상태로 상기 고압 케이블용 고압 단말제 제조 금형(100)에 주입하여 굳히는 방식에 의할 때 발생되는 상기 몸체측 변색체(53)를 이루는 물질이 상기 단말제 몸체(51) 쪽으로 번져서 외관을 훼손하고 품질이 저하되는 현상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변색체 삽입 홀(146) 외부로 상기 몸체측 변색체(53)가 비돌출되도록 상기 변색체 삽입 홀(146)의 깊이가 상기 몸체측 변색체(53)의 높이에 대응되도록(같도록) 형성됨으로써, 상기 단말제 몸체(51)의 내면에 상기 몸체측 변색체(53)가 밀착된 형태로 형성된다.
물론, 이러한 형태 외에, 상기 변색체 삽입 홀(146)의 깊이가 상기 몸체측 변색체(53)의 높이에 비해 상대적으로 얕게 형성됨으로써, 상기 변색체 삽입 홀(146)에 삽입된 상기 몸체측 변색체(53)가 돌출되어, 상기 몸체측 변색체(53)의 돌출된 부분이 결국 상기 단말제 몸체(51) 내부로 일정 깊이 삽입되거나, 상기 단말제 몸체(51)를 관통하여 상기 단말제 몸체(51) 외부로 노출되는 형태도 제시될 수 있다.
상기 단말측 하부 금형 부재(160)와 상기 단말측 상부 금형 부재(120)에서 분리된 상기 코어 부재(140)는 뒤집어진 형태로 상기 변색측 하부 금형 부재(170)와 상기 변색측 상부 금형 부재(130)에 결합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코어 부재(140)를 구성하는 상기 연결체 삽입부(105)는 상기 하부 연결체(101)와 상기 상부 연결체(103)에 의해 형성된 상기 연결체 삽입부 삽입홀(102, 104)에 삽입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연결체 삽입부(105)가 상기 하부 연결체(101)와 상기 상부 연결체(103) 사이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코어 부재(140)에서 상기 단말측 하부 금형 부재(160)와 상기 단말측 상부 금형 부재(120) 사이에 놓인 부분인 상기 코어측 몸체 형성부(142)에 상기 단말제 몸체(51)가 성형된다.
그런 다음, 상기 단말측 상부 금형 부재(230)와 상기 변색측 상부 금형 부재(130)가 분리되고, 상기 단말제 몸체(51)가 성형된 상기 코어 부재(140)가 상기 연결체 삽입부(105)를 회전축으로 하여 회전되어, 상기 코어 부재(140)가 뒤집어진 형태로 상기 변색측 하부 금형 부재(170)와 상기 변색측 상부 금형 부재(130) 사이에 놓이고, 그러한 상태에서, 상기 코어 부재(140)의 상기 코어측 몸체 형성부(142)에 상기 단말제 몸체(51)와 연결되는 상기 변색 몸체(52)가 성형된다.
한편, 상기 코어 연장체(141, 144)에는 상기 코어 연장체(141, 144)를 관통하는 코어측 가이드 홀(145)이 형성되고, 하나의 상기 단말측 코어 삽입 하부 홀(163), 하나의 상기 단말측 코어 삽입 상부 홀(123), 하나의 상기 변색측 코어 삽입 하부 홀(174) 및 하나의 상기 변색측 코어 삽입 상부 홀(134)에는 각각 상기 코어측 가이드 홀(145)에 삽입될 수 있는 단말측 가이드 하부 돌기(165), 단말측 가이드 상부 돌기(124), 변색측 가이드 하부 돌기(175) 및 변색측 가이드 상부 돌기(137)가 각각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단말측 가이드 상부 돌기(124) 및 상기 변색측 가이드 상부 돌기(137)는 삭제될 수도 있다.
상기 코어 부재(140)가 상기 단말측 하부 금형 부재(160)와 상기 단말측 상부 금형 부재(120)에 결합될 때, 상기 코어측 가이드 홀(145)에 상기 단말측 가이드 하부 돌기(165)와 상기 단말측 가이드 상부 돌기(124)가 삽입됨으로써, 상기 코어 부재(140)가 상기 단말측 하부 금형 부재(160)와 상기 단말측 상부 금형 부재(120)에 안내되면서 결합될 수 있게 되고, 그에 따라 정확하고 간편하게 결합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코어 부재(140)가 상기 변색측 하부 금형 부재(170)와 상기 변색측 상부 금형 부재(130)에 결합될 때, 상기 코어측 가이드 홀(145)에 상기 변색측 가이드 하부 돌기(175)와 상기 변색측 가이드 상부 돌기(137)가 삽입됨으로써, 상기 코어 부재(140)가 상기 변색측 하부 금형 부재(170)와 상기 변색측 상부 금형 부재(130)에 안내되면서 결합될 수 있어서, 정확하고 간편하게 결합될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상기 고압 케이블용 고압 단말제 제조 금형(100)을 이용한 고압 케이블용 고압 단말제(50) 제조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상기 고압 케이블용 고압 단말제 제조 금형(100)을 마련한다.
그런 다음, 상기 변색체 삽입 홀(146)에 이미 성형된 상기 몸체측 변색체(53)를 삽입하고, 상기 코어 부재(140)를 사이에 두고 상기 단말측 하부 금형 부재(160)와 상기 단말측 상부 금형 부재(120)를 교합시킨 상태에서, 상기 단말제 몸체(51)를 이루는 물질을 주입함으로써, 상기 단말제 몸체(51)를 상기 코어 부재(140) 상에 형성한다. 이 때, 상기 단말제 몸체(51)를 이루는 물질이 상기 몸체측 변색체(53)를 덮는 형태로 상기 단말제 몸체(51)와 상기 몸체측 변색체(53)가 서로 결합된다.
그런 다음, 상기 단말측 상부 금형 부재(120)와 상기 변색측 상부 금형 부재(130)를 들어올리고, 상기 코어 부재(140)를 상기 단말측 하부 금형 부재(160)로부터 분리시키며 회전시키며, 상기 변색측 하부 금형 부재(170) 상에 뒤집어진 형태로 결합시킨다.
그런 다음, 상기 단말제 몸체(51)가 형성된 상기 코어 부재(140)를 사이에 두고 상기 변색측 하부 금형 부재(170)와 상기 변색측 상부 금형 부재(130)를 교합시킨 상태에서, 상기 변색 몸체(52)를 이루는 물질을 주입함으로써, 상기 변색 몸체(52)가 형성된다.
그런 다음, 상기 변색측 상부 금형 부재(130)를 들어올리고, 상기 코어 부재(140)를 상기 변색측 하부 금형 부재(170)로부터 분리시킨 다음, 상기 단말제 몸체(51)와 상기 변색부(55)가 형성된 상기 고압 케이블용 고압 단말제(50)를 상기 코어 부재(140)로부터 분리한다.
상기와 같이, 상기 고압 케이블용 고압 단말제 제조 금형(100)이 상기 단말제 몸체(51)와 상기 변색부(55) 형성을 위해 상기 단말제 몸체(51)와 상기 변색부(55)의 형태에 대응되는 형태로 형성되는 코어 부재(140); 상기 단말제 몸체 형성을 위해 상기 코어 부재(140)가 삽입되면서 얹히는 단말측 하부 금형 부재(160); 상기 단말제 몸체 형성을 위해 상기 단말측 하부 금형 부재(160)에 삽입된 상기 코어 부재(140)를 덮는 단말측 상부 금형 부재(120); 상기 변색부(55) 형성을 위해 상기 코어 부재(140)가 삽입되면서 얹히는 변색측 하부 금형 부재(170); 및 상기 변색부(55) 형성을 위해 상기 변색측 하부 금형 부재(170)에 삽입된 상기 코어 부재(140)를 덮는 변색측 상부 금형 부재(130);를 포함하고, 이러한 고압 케이블용 고압 단말제 제조 금형(100)을 이용하여 상기 고압 케이블용 고압 단말제(50)를 제조함에 따라, 상기 고압 케이블용 고압 단말제(50)가 적용된 고압 케이블 단자부(10)의 이상 과열이 발생된 경우, 상기 이상 과열이 외부에서 즉각적으로 인지될 수 있게 된다.
상기 코어 부재(140)가 상기 하부 연결체(101)와 상기 상부 연결체(103)에 삽입될 수 있는 상기 연결체 삽입부(105)를 포함함에 따라, 상기 코어 부재(140)를 간편하게 회전시켜 주면서 성형 작업을 할 수 있어서, 성형 작업이 간편하고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들에 따른 고압 케이블용 고압 단말제 및 상기 고압 케이블용 고압 단말제 제조 금형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러한 설명을 수행함에 있어서, 상기된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서 이미 기재된 내용과 중복되는 설명은 그에 갈음하고, 여기서는 생략하기로 한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고압 케이블용 고압 단말제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는, 몸체측 변색체 없이, 변색 몸체(62)만 적용된다.
또한, 상기 변색 몸체(62)는 단말제 몸체(61)의 일 단부, 예를 들어 상단부에서 상기 단말제 몸체(61)와 연결된 형태로 형성되되, 고압 케이블 단자부를 상기 단말제 몸체(61)와 함께 감싸는 것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고압 케이블용 고압 단말제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는, 몸체측 변색체 없이, 변색 몸체(72)만 적용된다.
또한, 상기 변색 몸체(72)는 단말제 몸체(71)의 일 단부, 예를 들어 하단부에서 상기 단말제 몸체(71)와 연결된 형태로 형성되되, 고압 케이블 단자부를 상기 단말제 몸체(71)와 함께 감싸는 것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고압 케이블용 고압 단말제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고압 케이블용 고압 단말제(80)는 고압 케이블 단자부를 절연시키는 물질과, 상기 고압 케이블 단자부의 온도 변화에 따라 변색될 수 있는 변색 물질이 혼합되어 일체로 성형됨으로써, 상기 고압 케이블용 고압 단말제(80) 전체에서 상기 고압 케이블 단자부를 절연시킴과 함께, 상기 고압 케이블 단자부의 온도 변화에 따라 색상이 가변될 수 있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고압 케이블용 고압 단말제의 일부에 대한 도면이고, 도 16은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고압 케이블용 고압 단말제의 일부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 15 및 도 16을 함께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는, 변색 몸체(92)가 단말제 몸체(91) 상의 서로 다른 위치에 복수 개 형성되되, 상기 단말제 몸체(91)의 내부에 형성되어 고압 케이블 단자부가 관통되는 관통 홀(94)로부터 서로 다른 거리로 이격되도록 형성된다.
상세히, 상기 각 변색 몸체(92)는 상기 단말제 몸체(91)에서 상기 고압 케이블 단자부를 밀착하여 감싸는 부분에서 외측으로 삿갓 형태로 돌출되는 부분의 삿갓 곡면 상에 상기 관통 홀(94)로부터 서로 다른 거리로 이격 형성된다.
더욱 상세히, 상기 각 변색 몸체(92)는 상기 단말제 몸체(91)에서 고압 케이블 단자부를 밀착하여 감싸는 부분에서 외측으로 삿갓 형태로 돌출되는 부분의 삿갓 곡면 표면 상의 상대적 상부에 형성되되 상기 관통 홀(94)로부터 제 1 이격 거리(d1)로 이격 형성되는 제 1 변색 몸체(92a)와, 상기 단말제 몸체(91)에서 고압 케이블 단자부를 밀착하여 감싸는 부분에서 외측으로 삿갓 형태로 돌출되는 부분의 삿갓 곡면 표면 상에서 상기 제 1 변색 몸체(92a)에 비해 상대적 하부에 형성되되 상기 관통 홀(94)로부터 제 2 이격 거리(d2)로 이격 형성되는 제 2 변색 몸체(92b)와, 상기 단말제 몸체(91)에서 고압 케이블 단자부를 밀착하여 감싸는 부분에서 외측으로 삿갓 형태로 돌출되는 부분의 삿갓 곡면 표면 상에서 상기 제 2 변색 몸체(92b)에 비해 상대적 하부에 형성되되 상기 관통 홀(94)로부터 제 3 이격 거리(d3)로 이격 형성되는 제 3 변색 몸체(92c)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이격 거리(d1)에 비해 상기 제 2 이격 거리(d2)는 상대적으로 큰 값이고, 상기 제 2 이격 거리(d2)에 비해 상기 제 3 이격 거리(d3)는 상대적으로 큰 값으로 형성된다.
상기 변색 몸체(92) 중 일부는 상기 고압 케이블 단자부의 온도에 따라 색상이 가변된 상태가 그대로 유지되는 비가역성으로 형성되고, 상기 변색 몸체(92) 중 다른 일부는 상기 고압 케이블 단자부의 온도에 따라 색상이 가변되었다가 온도가 정상으로 환원되면 다시 색상도 원래 색으로 환원되는 가역성으로 형성될 수 있다. 물론, 상기 변색 몸체(92)는 모두 비가역성으로 또는 모두 가역성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상기 변색 몸체(92)가 상기 단말제 몸체(91) 상의 서로 다른 위치에 복수 개 형성되되, 상기 변색 몸체(92)의 내부에 형성된 상기 관통 홀(94)로부터 서로 다른 거리로 이격되도록 형성됨에 따라, 상기 관통 홀(94)에 관통되는 상기 고압 케이블 단자부의 이상 발열 정도에 따라 복수 개의 상기 변색 몸체(92) 중 상대적으로 상기 관통 홀(94)에 근접된 것부터 순차적으로 온도가 변하게 되고, 그에 따라 복수 개의 상기 변색 몸체(92) 중 색상이 변한 개수에 따라 이상 발열의 정도가 육안으로 간편하게 확인될 수 있게 된다.
상기에서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하여 도시되고 설명되었지만,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렇지만 이러한 수정 및 변형 구조들은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되는 것임을 분명하게 밝혀두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고압 케이블용 고압 단말제 및 상기 고압 케이블용 고압 단말제 제조 금형에 의하면, 고압 케이블용 고압 단말제가 적용된 고압 케이블 단자부의 이상 과열이 외부에서 즉각적으로 인지될 수 있으므로, 그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높다고 하겠다.
50 : 고압 케이블용 고압 단말제
51 : 단말제 몸체
55 : 변색부
100 : 고압 케이블용 고압 단말제 제조 금형
120 : 단말측 상부 금형 부재
130 : 변색측 상부 금형 부재
140 : 코어 부재
160 : 단말측 하부 금형 부재
170 : 변색측 하부 금형 부재

Claims (15)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고압 케이블 단자부의 절연을 위한 단말제 몸체와,
    상기 고압 케이블 단자부의 온도 변화에 따라 변색될 수 있되, 상기 단말제 몸체와 연결된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고압 케이블 단자부를 상기 단말제 몸체와 함께 감싸는 변색 몸체를 포함하는 변색부를 포함하는 고압 케이블용 고압 단말제를 제조하기 위해 적용되는 것으로서,
    상기 단말제 몸체와 상기 변색 몸체 형성을 위해, 상기 단말제 몸체와 상기 변색 몸체의 내부 형태에 대응되는 형태로 형성되는 코어 부재;
    상기 단말제 몸체 형성을 위해 상기 코어 부재가 삽입되면서 얹히는 단말측 하부 금형 부재;
    상기 단말제 몸체 형성을 위해 상기 단말측 하부 금형 부재에 삽입된 상기 코어 부재를 덮는 단말측 상부 금형 부재;
    상기 변색 몸체 형성을 위해 상기 코어 부재가 삽입되면서 얹히는 변색측 하부 금형 부재; 및
    상기 변색 몸체 형성을 위해 상기 변색측 하부 금형 부재에 삽입된 상기 코어 부재를 덮는 변색측 상부 금형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단말측 하부 금형 부재와 상기 변색측 하부 금형 부재는 하부 연결체에 의해 서로 연결되고,
    상기 단말측 상부 금형 부재와 상기 변색측 상부 금형 부재는 상부 연결체에 의해 서로 연결되고,
    상기 코어 부재는 상기 하부 연결체와 상기 상부 연결체에 삽입될 수 있는 연결체 삽입부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체 삽입부가 상기 하부 연결체와 상기 상부 연결체 사이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코어 부재에서 상기 단말측 하부 금형 부재와 상기 단말측 상부 금형 부재 사이에 놓인 부분에 상기 단말제 몸체가 성형되고,
    상기 단말측 상부 금형 부재와 상기 변색측 상부 금형 부재가 분리되고, 상기 단말제 몸체가 성형된 상기 코어 부재가 상기 연결체 삽입부를 회전축으로 하여 회전되어 상기 코어 부재가 뒤집어진 형태로 상기 변색측 하부 금형 부재와 상기 변색측 상부 금형 부재 사이에 놓인 상태에서, 상기 코어 부재에 상기 단말제 몸체와 연결되는 상기 변색 몸체가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방식에 의한 고압 케이블용 고압 단말제 제조 금형.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KR1020170067365A 2016-12-12 2017-05-31 고압 케이블용 고압 단말제 및 상기 고압 케이블용 고압 단말제 제조 금형 KR10187485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60168570 2016-12-12
KR1020160168570 2016-12-12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50935A Division KR101956622B1 (ko) 2017-11-13 2017-11-13 고압 케이블용 고압 단말제 및 상기 고압 케이블용 고압 단말제 제조 금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67394A KR20180067394A (ko) 2018-06-20
KR101874850B1 true KR101874850B1 (ko) 2018-07-05

Family

ID=627695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67365A KR101874850B1 (ko) 2016-12-12 2017-05-31 고압 케이블용 고압 단말제 및 상기 고압 케이블용 고압 단말제 제조 금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74850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43948B1 (ko) * 2016-05-17 2016-07-29 임장호 배선용 압착단자의 절연 캡 제조 금형 및 상기 배선용 압착단자의 절연 캡 제조 금형을 이용한 배선용 압착단자의 절연 캡 제조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10008061Y1 (ko) 1989-05-15 1991-10-12 우인전자 주식회사 가스밸브의 차단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43948B1 (ko) * 2016-05-17 2016-07-29 임장호 배선용 압착단자의 절연 캡 제조 금형 및 상기 배선용 압착단자의 절연 캡 제조 금형을 이용한 배선용 압착단자의 절연 캡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67394A (ko) 2018-06-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43948B1 (ko) 배선용 압착단자의 절연 캡 제조 금형 및 상기 배선용 압착단자의 절연 캡 제조 금형을 이용한 배선용 압착단자의 절연 캡 제조 방법
JP2019093634A (ja) コネクタ及びその製造方法
CN104412461A (zh) 连接器
US6590487B2 (en) Moulded coil and production method thereof
KR101874850B1 (ko) 고압 케이블용 고압 단말제 및 상기 고압 케이블용 고압 단말제 제조 금형
KR101956622B1 (ko) 고압 케이블용 고압 단말제 및 상기 고압 케이블용 고압 단말제 제조 금형
KR101877284B1 (ko) 차단 부재를 포함하는 배선용 압착단자의 절연 캡 제조 금형
KR101848328B1 (ko) 정밀한 변색 몸체 제조를 위한 배선용 압착단자의 절연 캡 제조 금형
KR101825374B1 (ko) 몸체측 변색체를 포함하는 배선용 압착단자의 절연 캡 제조 금형
KR101872884B1 (ko) 대량 생산이 가능한 배선용 압착단자의 절연 캡 제조 금형 및 상기 배선용 압착단자의 절연 캡 제조 금형에 의해 제조된 배선용 압착단자의 절연 캡
KR20180053879A (ko) 회전 방식에 의한 배선용 압착단자의 절연 캡 제조 금형
KR102534511B1 (ko) 분리 부재를 포함하는 배선용 압착단자의 절연 캡 제조 금형
KR101842677B1 (ko) 단자보호커버 및 상기 단자보호커버 제조 금형
KR101700172B1 (ko) 배선용 압착단자의 절연 캡 제조 금형 및 상기 배선용 압착단자의 절연 캡 제조 금형을 이용한 배선용 압착단자의 절연 캡 제조 방법
KR101928047B1 (ko) 배선용 압착단자의 발열 센싱 절연 캡 및 상기 배선용 압착단자의 발열 센싱 절연 캡 제조 금형
KR102027472B1 (ko) 변색 몸체와 절연 캡 몸체의 결합력이 향상된 배선용 압착단자의 절연 캡의 성형 금형 유닛 및 상기 배선용 압착단자의 절연 캡의 성형 금형 유닛에 의해 제조된 배선용 압착단자의 절연 캡
KR200492237Y1 (ko) 분리 타입 부스 바용 절연 캡 및 상기 분리 타입 부스 바용 절연 캡 성형을 위한 성형 금형 유닛
KR20180002511U (ko) 단자보호커버 및 상기 단자보호커버 제조 금형
KR20190093841A (ko) 변색 몸체와 절연 캡 몸체의 결합력이 향상된 부스 바용 절연 캡 및 상기 부스 바용 절연 캡 성형을 위한 성형 금형 유닛
KR20180071203A (ko) 단자보호커버 및 상기 단자보호커버 제조 금형
KR200493161Y1 (ko) 배선용 압착단자의 절연 캡 대량 생산용 제조 금형
US20140120347A1 (en) Injection molded element and production method
KR200492115Y1 (ko) 변색 몸체와 절연 캡 몸체의 결합력이 향상된 부스 바용 절연 캡 및 상기 부스 바용 절연 캡 성형을 위한 성형 금형 유닛
JP2002127188A (ja) 端子防水処理用の射出成形金型
JPH118007A (ja) 電気コネクタ組立体及びそ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