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74261B1 - 물-에너지-식량 연계 해석에 기초하여 자원정책 결정을 지원하는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물-에너지-식량 연계 해석에 기초하여 자원정책 결정을 지원하는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74261B1
KR101874261B1 KR1020170151712A KR20170151712A KR101874261B1 KR 101874261 B1 KR101874261 B1 KR 101874261B1 KR 1020170151712 A KR1020170151712 A KR 1020170151712A KR 20170151712 A KR20170151712 A KR 20170151712A KR 101874261 B1 KR101874261 B1 KR 1018742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source
amount
demand
resources
fo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517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두선
정기문
위착소노 알버트
Original Assignee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701517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7426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742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742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4Forecasting or optimisation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or management purposes, e.g. linear programming or "cutting stock problem"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6Energy or water suppl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8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for sector-wide applications
    • Y02P80/10Efficient use of energy, e.g. using compressed air or pressurized fluid as energy carrier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rket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물-에너지-식량 연계 해석에 기초하여 자원정책 결정을 지원하는 시스템 및 방법을 개시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자원정책 결정 지원 시스템은 자원 활용 결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자원 활용 결정부는 상기 산출된 자원 수입 가능량 및 상기 산출된 자원 수출 가능량을 포함하는 자원 거래와 상기 판단된 자원 과부족을 연계 해석하여 자원 이용 효율을 평가하고, 상기 평가된 자원 이용 효율에 대한 평가 수치를 최적화 알고리즘의 목적함수로 결정하며, 상기 어느 하나의 단위 지역에서의 자원 배분 제한 범위를 상기 최적화 알고리즘의 제약 조건으로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목적함수 및 상기 결정된 제약 조건에 기초하여 결정변수를 산출하며, 상기 결정된 목적함수 및 상기 산출된 결정변수에 기초하여 자원 수급 방안을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자원 수급 방안에 기초하여 상기 어느 하나의 단위 지역에서의 상기 물 자원, 상기 에너지 자원 및 상기 식량 자원 각각의 생산량, 공급량 및 교역량을 결정할 수 있다.

Description

물-에너지-식량 연계 해석에 기초하여 자원정책 결정을 지원하는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FOR SUPPORTING DECISION OF RESOURCE POLICY BASED ON COUPLED ANALYSIS OF WATER, ENERGY, AND FOOD}
본 발명은 물, 에너지 및 식량자원 간(water, energy, and food, WEF) 연계 해석에 기초하여 자원정책 결정을 지원하기 위한 기술적 사상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물, 에너지 및 식량 자원을 상호 연계 해석하여 데이터를 산출하고, 산출된 데이터에 기초하여 특정 지역에서의 자원 활용 정책에 대한 결정을 지원하는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기후 변화와 인구 증가 등의 요인으로 인해 자원의 고갈이나 부족 현상이 발생하고 있다. 이러한 자원의 고갈이나 부족 현상은 환경 문제와도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으며, 지역의 지자체나 국가 단위의 자원정책 결정에도 관련성이 매우 높을 수 있다.
특히, 물(water) 자원, 에너지(energy) 자원, 식량(food) 자원은 국가 단위 또는 지자체 단위에서 관리되는 중요한 자원들 중 하나일 수 있다.
따라서, 지역 단위 또는 국가 단위에서는 자원의 생산에 필요한 생산 시설의 과부족을 미리 예측하여 과부족 현상에 대한 대처가 요구될 수 있다.
그러나, 자원 수요를 정확하게 판단하기 위해 종래 기술에 따른 모델에서는 정확도가 높지 않고 정확한 판단을 제공하기 어려움이 존재한다.
또한, 물 자원, 에너지 자원 및 식량 자원은 시간적 또는 공간적 조건에 따라 그 가치가 서로 다르게 나타나며, 각 자원의 활용과정에 따라 공정 및 유통 구조가 상이하다.
물 자원, 에너지 자원 및 식량 자원과 같이 특정 자원의 생산 및 공급 과정에서 타 자원이 소모되는 경우 (예, 식량을 생산하고 공급하기 위해서는 물과 에너지가 소비되고, 전기를 생산하기 위해서는 물(냉각수)이 소비되고, 상수도를 처리하고 공급하기 위해서는 에너지가 소비된다), 최적화된 자원 생산 계획과 같은 정책을 수립하기 위해서는 세 가지 자원(물, 에너지 및 식량)을 정량적으로 평가하여 비교할 수 있는 지표를 산출할 수 있어야 한다.
따라서, 물 자원, 에너지 자원 및 식량 자원에 대한 소모량을 산출하여, 산출된 소모량에 기초하여 물 자원, 에너지 자원 및 식량 자원에 대한 이용 효율을 평가할 수 있는 개념 및 지표가 도입되었다.
다만, 효율을 중시하는 현대사회에서는 전 지구적으로 물 자원, 에너지 자원 및 식량 자원 중 각 지역별 특성에 맞는 자원을 중점적으로 개발하고, 이를 타 지역으로 수출하고 부족한 자원을 수입하는 등, 과거에 비해 자원의 자체적인 확보보다 거래의 개념이 확대되는 추세이다.
예를 들어, 중동 지역의 산유국에서는 석유(에너지) 자원을 집중적으로 생산하여, 이를 해외에 수출하는 대신, 자력으로 확보하기 어려운 물 자원 및 식량 자원 등을 대부분 수입에 의존하고 있다.
현대의 발전된 과학기술을 통해 사막지역에서도 물 자원 및 식량 자원 등을 확보할 수 있게 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주요 산유국에서 이러한 자원 공급 특성을 유지하는 것은 자원을 자급하기 위한 자본과 기술의 무리한 투자보다, 국제사회의 자원 이동 특성을 고려하는 것이 상대적으로 효율적인 자원 확보 방법임을 나타낸다고 볼 수 있다.
그 중, 우리나라는 주로 에너지 자원 및 식량 자원의 상당 부분을 수입에 의존하고 있으며, 이와 같은 상황에서 보다 효율적인 자원 교역 전략을 수립하는 것은 국가적 차원의 자원 확보 안정성 및 경제적 이익을 크게 좌우할 수 있다.
또한, 대부분의 국가에서는 물, 에너지 및 식량(water-energy-food, W-E-F) 자원의 연계성과 관계된 공급 및 수요 현황이 상세히 파악되지 않으며, 분류체계조차 마련되어 있지 않은 실정이다.
따라서, W-E-F자원과 관련된 데이터뿐만 아니라 세계 주요국의 WEF 자원 수요 및 생산에 대한 데이터를 수집하고, 수집된 데이터를 활용하여 자원의 생산, 공급, (지역 및 국가 간)교역 등 국가 정책을 수립할 시 참고할 수 있는 공학적 의사결정도구가 제안될 필요성이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1347514호, "농수산물 수확량 예측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농산물 수확량의 예측방법" 한국등록특허 제10-1764758호, "물/에너지/식량 자원의 상호 연계 분석 시스템 및 방법" 한국공개특허 제10-2016-0121036호, "에너지 거래 장치 및 방법"
강두선 외 2인, "Water-Energy-Food Nexus 해석을 위한 데이터베이스 구축 및 모형개발", 한국수자원학회지 Vol.49, No.11, 2016.11., pp40-47
본 발명은 물, 에너지 및 식량 자원 간 연계 해석에 기초하여 자원정책 결정을 지원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자원 간 연계의 직관적인 파악 및 이를 정량화하고, 물, 에너지, 식량 연계 해석을 통한 적용 대상지역의 자원 이용효율을 평가하여, 자원 이용효율 극대화, 생산 및 공급 비용 최소화를 목적으로 한 자원의 최적 배분을 수행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기후변화, 자원고갈, 도시화 등 외부요인에 따른 사회-경제적 영향 평가와 대안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지역과 국가 간 자원교역을 통한 자원 안보를 모색하고, 국가 자원안보 정책수립을 위한 기술적 기초자료 제공 및 의사결정시스템을 구축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물, 에너지 및 식량 자원의 생산, 공급 및 소비의 전(whole)과정에서 발생하는 자원 간 상호 연계성에 대하여 분석하여 물, 에너지 및 식량 자원의 생산 가능량 및 수요량을 정확하게 산출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특정 지역이나 국가의 자원 생산 가능량과 소비량을 대비하여, 자원의 과부족 여부를 결정하여 자원을 효율적인 공급방안을 마련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물, 에너지, 식량 자원을 상호 연계 분석하고, 분석된 데이터에 미래 인구 성장률, 1인당 자원소비량, 기후 변화와 같은 다양한 변화 요소를 반영하여 향후 자원의 수급율을 정확히 예측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자원정책 결정 지원 장치는 복수의 단위 지역에서의 물 자원, 에너지 자원 및 식량 자원을 연계 해석하여 상기 복수의 단위 지역 중 어느 하나의 단위 지역에서의 자원 과부족을 판단하는 연계 해석 판단부, 상기 판단된 자원 과부족 및 상기 복수의 단위 지역 중 상기 어느 하나의 단위 지역으로부터 다른 어느 하나의 지역으로의 자원 수출에 소비되는 재화에 기초하여 상기 어느 하나의 단위 지역에서의 자원 수입 가능량을 산출하는 자원 수입 가능량 산출부, 상기 판단된 자원 과부족 및 상기 복수의 단위 지역 중 상기 다른 어느 하나의 지역으로부터 상기 어느 하나의 단위 지역으로의 자원 수입에 소비되는 재화에 기초하여 상기 어느 하나의 단위 지역에서의 자원 수출 가능량을 산출하는 자원 수출 가능량 산출부 및 상기 산출된 자원 수입 가능량 및 상기 산출된 자원 수출 가능량을 포함하는 자원 거래와 상기 판단된 자원 과부족을 연계 해석하여 자원 이용 효율을 평가하고, 상기 평가된 자원 이용 효율에 대한 평가 수치를 최적화 알고리즘의 목적함수로 결정하며, 상기 어느 하나의 단위 지역에서의 자원 배분 제한 범위를 상기 최적화 알고리즘의 제약 조건으로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목적함수 및 상기 결정된 제약 조건에 기초하여 결정변수를 산출하며, 상기 결정된 목적함수 및 상기 산출된 결정변수에 기초하여 자원 수급 방안을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자원 수급 방안에 기초하여 상기 어느 하나의 단위 지역에서의 상기 물 자원, 상기 에너지 자원 및 상기 식량 자원 각각의 생산량, 공급량 및 교역량을 결정하는 자원 활용 결정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연계 해석 판단부는 기초 자료 입력부, 자원별 생산 가능량 산출부, 직접 수요 요구량 산출부, 간접 수요 요구량 산출부, 전체 수요 요구량 산출부 및 자원 과부족 판단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기초 자료 입력부는, 상기 복수 지역에서의 물 자원, 에너지 자원 및 식량 자원에 대한 인당 평균 소비량을 입력 받고, 상기 자원별 생산 가능량 산출부는, 상기 복수의 지역에서의 자원 생산 환경을 고려하여 상기 물 자원, 상기 에너지 자원 및 상기 식량 자원의 자원별 생산 가능량을 산출하며, 상기 직접 수요 요구량 산출부는, 상기 입력된 인당 평균 소비량 및 상기 산출된 자원별 생산 가능량에 기초하여 상기 물 자원, 상기 에너지 자원 및 상기 식량 자원 각각의 직접 수요 요구량을 산출하고, 상기 간접 수요 요구량 산출부는, 상기 물 자원의 직접 수요 요구량을 제공하기 위한 상기 에너지 자원 및 상기 식량 자원의 간접 수요 요구량을 산출하고, 상기 에너지 자원의 직접 수요 요구량을 제공하기 위한 상기 물 자원 및 상기 식량 자원의 간접 수요 요구량을 산출하며, 상기 식량 자원의 직접 수요 요구량을 제공하기 위한 상기 물 자원 및 상기 에너지 자원의 간접 수요 요구량을 산출하며, 상기 전체 수요 요구량 산출부는, 상기 직접 수요 요구량 및 상기 간접 수요 요구량을 합산하여 전체 수요 요구량을 산출하고, 상기 자원 과부족 판단부는, 상기 산출된 자원별 생산 가능량 및 상기 산출된 전체 수요 요구량에 기초하여 상기 어느 하나의 단위 지역에서의 자원 과부족을 판단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자원 활용 결정부는, 상기 자원 수출 가능량 및 상기 자원 수입 가능량도 고려하여 상기 자원의 과부족에 기초하여 결정된 자원의 생산량, 공급량 및 교역량을 업데이트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자원 활용 결정부는, 상기 업데이트된 생산량, 상기 업데이트된 공급량 및 상기 업데이트된 교역량에 기초하여 상기 물 자원, 상기 에너지 자원 및 상기 식량 자원의 공급 우선 순위, 자원 교역 제한량 및 지역별 자원 최소 자급율 중 어느 하나를 결정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자원 활용 결정부는 상기 결정된 공급 우선 순위, 상기 결정된 자원 교역 제한량 및 상기 지역별 자원 최소 자급율 중 어느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어느 하나의 단위 지역에서의 공급 충족률, 생산 지속성 및 경제적 편익을 결정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자원 활용 결정부는, 상기 복수의 지역에서의 기후 변화 정보, 인구 변화 정보, 자원 생산 시설 정보를 고려하여 상기 업데이트된 생산량, 상기 업데이트된 공급량 및 상기 업데이트된 교역량을 추가 업데이트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자원 활용 결정부는, 상기 물 자원, 상기 에너지 자원 및 상기 식량 자원에 대한 연계 해석 결과에 기초하여 경제적 편익, 공급 안정성 및 생산 지속 가능성을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경제적 편익, 상기 결정된 공급 안정성 및 상기 결정된 생산 지속 가능성 중 어느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자원 이용효율을 평가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자원정책 결정 지원 방법은 연계 해석 판단부에서, 복수의 단위 지역에서의 물 자원, 에너지 자원 및 식량 자원을 연계 해석하여 상기 복수의 단위 지역 중 어느 하나의 단위 지역에서의 자원 과부족을 판단하는 단계, 자원 수입 가능량 산출부에서, 상기 판단된 자원 과부족 및 상기 복수의 단위 지역 중 상기 어느 하나의 단위 지역으로부터 다른 어느 하나의 지역으로의 자원 수출에 소비되는 재화에 기초하여 상기 어느 하나의 단위 지역에서의 자원 수입 가능량을 산출하는 단계, 자원 수출 가능량 산출부에서, 상기 판단된 자원 과부족 및 상기 복수의 단위 지역 중 상기 다른 어느 하나의 지역으로부터 상기 어느 하나의 단위 지역으로의 자원 수입에 소비되는 재화에 기초하여 상기 어느 하나의 단위 지역에서의 자원 수출 가능량을 산출하는 단계, 자원 활용 결정부에서, 상기 산출된 자원 수입 가능량 및 상기 산출된 자원 수출 가능량을 포함하는 자원 거래와 상기 판단된 자원 과부족을 연계 해석하여 자원 이용 효율을 평가하는 단계, 상기 자원 활용 결정부에서, 상기 평가된 자원 이용 효율에 대한 평가 수치를 최적화 알고리즘의 목적함수로 결정하며, 상기 어느 하나의 단위 지역에서의 자원 배분 제한 범위를 상기 최적화 알고리즘의 제약 조건으로 결정하는 단계, 상기 결정된 목적함수 및 상기 결정된 제약 조건에 기초하여 결정변수를 산출하며, 상기 결정된 목적함수 및 상기 산출된 결정변수에 기초하여 자원 수급 방안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결정된 자원 수급 방안에 기초하여 상기 어느 하나의 단위 지역에서의 상기 물 자원, 상기 에너지 자원 및 상기 식량 자원 각각의 생산량, 공급량 및 교역량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자원정책 결정 지원 방법은 상기 자원 활용 결정부에서, 상기 자원 수출 가능량 및 상기 자원 수입 가능량도 고려하여 상기 자원의 과부족에 기초하여 결정된 자원의 생산량, 공급량 및 교역량을 업데이트하는 단계, 상기 자원 활용 결정부에서, 상기 업데이트된 생산량, 상기 업데이트된 공급량 및 상기 업데이트된 교역량에 기초하여 상기 물 자원, 상기 에너지 자원 및 상기 식량 자원의 공급 우선 순위, 자원 교역 제한량 및 지역별 자원 최소 자급율 중 어느 하나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결정된 공급 우선 순위, 상기 결정된 자원 교역 제한량 및 상기 지역별 자원 최소 자급율 중 어느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어느 하나의 단위 지역에서의 공급 충족률, 생산 지속성 및 경제적 편익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복수의 지역에서의 기후 변화 정보, 인구 변화 정보, 자원 생산 시설 정보를 고려하여 상기 업데이트된 생산량, 상기 업데이트된 공급량 및 상기 업데이트된 교역량을 추가 업데이트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자원정책 결정 지원 시스템은 물-에너지-식량 연계 해석에 기초하여 자원정책 결정을 지원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자원정책 결정 지원 시스템은 자원 간 연계의 직관적인 파악 및 정량화가 가능하고, 물, 에너지, 식량 연계 해석을 통한 적용 대상지역의 자원 이용효율을 평가하여, 자원 이용효율 극대화, 생산 및 공급 비용 최소화를 목적으로 한 자원의 최적 배분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자원정책 결정 지원 시스템은 기후변화, 자원고갈, 도시화 등 외부요인에 따른 사회-경제적 영향 평가와 대안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자원정책 결정 지원 시스템은 지역과 국가 간 자원교역을 통한 자원 안보를 모색하고, 국가 자원안보 정책수립을 위한 기술적 기초자료를 제공하고 지원하는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자원정책 결정 지원 시스템은 물, 에너지 및 식량 자원의 생산, 공급 및 소비의 전과정에서 발생하는 자원 간 상호 연계성에 대하여 분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자원정책 결정 지원 시스템은 물, 에너지 및 식량 자원의 생산 가능량 및 수요량을 정확하게 산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자원정책 결정 지원 시스템은 특정 지역이나 국가의 자원 생산 가능량과 소비량을 대비하여, 자원의 과부족 여부를 결정하여 자원을 효율적으로 공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자원정책 결정 지원 시스템은 특정 지역이나 국가의 자원 생산 가능량과 소비량을 대비하여, 자원의 과부족 여부를 결정하여 생산 시설의 확충 계획의 입안을 지원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자원정책 결정 지원 시스템은 물, 에너지, 식량 자원을 상호 연계 분석하고, 분석된 데이터에 미래 인구 성장률, 1인당 자원소비량, 기후 변화와 같은 다양한 변화 요소를 반영하여 향후 자원의 수급율을 정확하게 예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자원정책 결정 지원 시스템은 국가 또는 지역간의 자원 교역 활동을 고려하여 특정 지역의 자원 생산량, 자원 공급량 및 자원 교역량을 결정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원정책 결정 지원 시스템의 블록도를 도시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지역 간의 물, 에너지 및 식량 자원의 교역과 관련된 다이어그램을 도시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국내의 지역들 간의 자원 교역과 관련된 지도를 도시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해외의 지역들과의 자원 교역과 관련된 지도를 도시한다.
도 5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원정책 결정 지원 방법과 관련된 흐름도를 도시한다.
이하,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 예들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기재된다.
실시 예 및 이에 사용된 용어들은 본 문서에 기재된 기술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해당 실시 예의 다양한 변경, 균등물, 및/또는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하기에서 다양한 실시 예들을 설명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원정책 결정 지원 시스템의 블록도를 도시한다.
구체적으로,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원정책 결정 지원 시스템의 구성 요소들을 예시한다.
도 1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원정책 결정 지원 시스템(100)은 연계 해석 판단부(110), 자원 수입 가능량 산출부(120), 자원 수출 가능량 산출부(130) 및 자원 활용 결정부(14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연계 해석 판단부(110)는 복수의 단위 지역에서의 물 자원, 에너지 자원 및 식량 자원을 연계 해석하여 복수의 단위 지역 중 어느 하나의 단위 지역에서의 자원 과부족을 판단한다.
즉, 연계 해석 판단부(110)는 물 자원, 에너지 자원 및 식량 자원에 대한 자원별 생산 가능량 및 전체 수요 요구량을 산출하고, 산출된 자원별 생산 가능량과 산출된 전체 수요 요구량을 비교하여 자원 과부족을 판단한다.
여기서, 전체 수요 요구량은 물 자원, 에너지 자원 및 식량 자원에 대한 직접 수요 요구량 및 간접 수요 요구량을 합산하여 산출될 수 있다.
일례로, 연계 해석 판단부(110)는 자원 과부족을 판단하고, 자원 수입 가능량 산출부(120) 및 자원 수출 가능량 산출부(130)로 자원 과부족 판단 결과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자원 과부족 판단 결과는 물 자원, 에너지 자원 및 식량 자원 각각의 잉여 자원 또는 부족 자원에 대한 판단 결과를 포함한다.
일례로, 단위 지역은 복수의 지역 중 자원정책 결정 지원 시스템(100)에 의하여 임의로 지정된 지역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자원 수입 가능량 산출부(120)는 자원 과부족에 대한 판단 결과에 기초하여 복수의 지역 중 어느 하나의 지역에서의 자원 수입 가능량을 산출한다. 여기서, 자원 과부족 판단 결과는 연계 해석 판단부(110)에 의하여 판단된 자원 과부족을 포함한다.
일례로, 자원 수입 가능량 산출부(120)는 물 자원, 에너지 자원 및 식량 자원 중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직접 수요 요구량을 제공하기 위한 간접 수요 요구량이 클 경우, 해당 자원에 대한 수입 가능량을 증가 시킨다.
예를 들어, 자원 수입 가능량 산출부(120)는 물 자원에 해당하는 직접 수요 요구량을 제공하기 위하여 소모되는 에너지 자원에 해당하는 간접 수요 요구량이 클 경우, 물 자원에 대한 수입 가능량을 증가 시킨다.
즉, 자원 수입 가능량 산출부(120)는 물 자원을 직접 생산하는 경우보다 물 자원을 수입하는 경우가 실익이 높다고 판단하여 자원 수입 가능량을 증가 시킨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자원 수입 가능량 산출부(120) 자원 과부족 판단 결과에 기초하여 다른 어느 하나의 지역으로부터 어느 하나의 단위 지역으로의 자원 수입 가능량을 산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자원 수입 가능량 산출부(120)는 직접 수요 요구량을 제공하기 위한 간접 수요 요구량이 작을 경우, 해당 자원에 대한 수입 가능량을 감소 시킨다.
예를 들어, 자원 수입 가능량 산출부(120)는 물 자원에 해당하는 직접 수요 요구량을 제공하기 위하여 소모되는 에너지 자원 또는 식량 자원에 해당하는 간접 수요 요구량이 작을 경우, 물 자원에 대한 자원 수입 가능량을 감소 시킨다.
즉, 자원 수입 가능량 산출부(120)는 물 자원을 수입하는 경우보다 물 자원을 직접 생산하는 경우가 실익이 높다고 판단하여 자원 수입 가능량을 감소 시킨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자원 수입 가능량 산출부(120)는 직접 수요 요구량을 제공하기 위한 간접 소비에 해당하는 간접 수요 요구량이 클 경우, 해당 자원을 수입하는 것이 보다 유리하다고 판단하여 해당 자원에 대한 자원 수입 가능량을 증가 시킬 수 있다.
반대로, 자원 수입 가능량 산출부(120)는 직접 수요 요구량을 제공하기 위한 간접 소비에 해당하는 간접 수요 요구량이 작을 경우, 해당 자원을 수입하지 않고, 단위 지역 내에서 직접 수요 요구량을 자체적으로 처리하는 것이 상대적으로 유리하다고 판단하여 자원 수입 가능량을 감소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자원 수입 가능량 산출부(120)는 복수의 지역 중 다른 어느 하나의 지역으로부터 어느 하나의 단위 지역으로의 자원 수입에 소비되는 재화 및 자원 과부족 판단 결과에 기초하여 자원 수입 가능량을 산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자원 수출 가능량 산출부(130)는 자원 과부족 판단 결과에 기초하여 복수의 지역 중 어느 하나의 단위 지역에서의 자원 수출 가능량을 산출할 수 있다. 여기서, 자원 과부족 판단 결과는 연계 해석 판단부(110)에 의하여 판단된 자원 과부족을 포함한다.
일례로, 자원 수출 가능량 산출부(130)는 직접 수요 요구량 및 간접 수요 요구량에 따라 소모된 자원 외의 잉여 자원량을 자원 수출 가능량을 산출할 수 있다.
일례로, 자원 수출 가능량 산출부(130)는 직접 수요 요구량을 제공하기 위한 간접 수요 요구량이 클 경우, 해당 자원에 대한 자원 수출 가능량을 감소시킨다.
즉, 자원 수출 가능량 산출부(130)는 직접 수요 요구량에 대한 간접 수요 요구량에 따라 해당 자원의 수출 가능량을 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자원 수출 가능량 산출부(130)는 직접 수요 요구량을 제공하기 위한 간접 소비에 해당하는 간접 수요 요구량이 클 경우, 해당 자원에 대한 자원 수출 가능량을 제한하여 자원 수출 가능량을 감소시킨다.
반대로, 자원 수출 가능량 산출부(130)는 직접 수요 요구량을 제공하기 위한 간접 소비에 해당하는 간접 수요 요구량이 작을 경우, 해당 자원에 대한 직접 수요 요구량을 충족하고, 잉여 자원들을 자원 수출 가능량으로서 산출할 수 있다.
일례로, 자원 수출 가능량 산출부(130)는 복수의 지역 중 어느 하나의 단위 지역으로부터 다른 어느 하나의 지역으로의 자원 수출에 소비되는 재화 및 자원 과부족 판단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자원 수출 가능량을 산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자원 수출 가능량 산출부(130)는 전체 수요 요구량에 기초하여 복수의 지역 중 어느 하나의 단위 지역으로부터 다른 어느 하나의 지역으로의 자원 수출 가능량을 산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자원 활용 결정부(140)는 자원 과부족 판단 결과, 자원 수입 가능량 및 자원 수출 가능량에 기초하여 어느 하나의 단위 지역에서의 물 자원, 에너지 자원 및 식량 자원 각각의 생산량, 공급량 및 교역량을 결정할 수 있다. 여기서, 자원 과부족 판단 결과는 연계 해석 판단부(110)에 의하여 판단된 자원 과부족을 포함한다.
일례로, 자원 활용 결정부(140)는 자원 수출 가능량 및 자원 수입 가능량도 고려하여 자원 과부족에 기초하여 기 결정된 자원의 생산량, 공급량 및 교역량을 업데이트할 수 있다. 여기서, 기 결정된 자원의 생산량, 공급량 및 교역량은 연계 해석 판단부(110)에 의하여 판단된 자원 과부족만을 이용하여 결정된 자원의 생산량, 공급량 및 교역량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자원 활용 결정부(140)는 업데이트된 생산량, 업데이트된 공급량 및 업데이트된 교역량에 기초하여 물 자원, 에너지 자원 및 식량 자원의 공급 우선 순위, 자원 교역 제한량 및 지역별 자원 최소 자급율 중 어느 하나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자원 활용 결정부(140)는 공급 우선 순위, 자원 교역 제한량 및 지역별 자원 최소 자급율 중 어느 하나에 기초하여 복수의 지역 중 어느 하나의 지역에서의 공급 충족률, 생산 지속성 및 경제적 편익을 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자원 활용 결정부(140)는 복수의 지역에서의 기후 변화 정보, 인구 변화 정보, 자원 생산 시설 정보를 고려하여 업데이트된 생산량, 업데이트된 공급량 및 업데이트된 교역량을 추가 업데이트할 수 있다.
일례로, 자원 활용 결정부(140)는 물 자원, 에너지 자원 및 식량 자원에 대한 연계 해석 결과에 기초하여 경제적 편익, 공급 안정성 및 생산 지속 가능성을 결정하고, 결정된 경제적 편익, 결정된 공급 안정성 및 결정된 생산 지속 가능성 중 어느 하나에 기초하여 자원 이용효율을 평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자원 활용 결정부(140)는 자원 수입 가능량 및 자원 수출 가능량을 포함하는 자원 거래와 판단된 자원 과부족을 연계 해석하여 자원 이용 효율을 평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자원 활용 결정부(140)는 자원 이용 효율에 대한 평가 수치를 최적화 알고리즘의 목적함수로 결정하고, 어느 하나의 단위 지역에서의 자원 배분 제한 범위를 최적화 알고리즘의 제약 조건으로 결정하며, 결정된 목적함수 및 결정된 제약 조건에 기초하여 결정변수를 산출하고, 결정된 목적함수 및 산출된 결정변수에 기초하여 자원 수급 방안을 결정할 수 있다.
일례로, 자원 활용 결정부(140)는 자원 수입 가능량 및 자원 수출 가능량을 포함하는 자원 거래와 판단된 자원 과부족을 연계 해석하여 자원 이용효율을 최적화하는 자원 사용량 및 사용방안을 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연계 해석 판단부(110)는 기초 자료 입력부(111), 자원별 생산 가능량 산출부(112), 직접 수요 요구량 산출부(113), 간접 수요 요구량 산출부(114), 전체 수요 요구량 산출부(115) 및 자원 과부족 판단부(116)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기초 자료 입력부(111)는 소정 지역의 인구와, 물 자원, 에너지 자원 및 식량 자원의 인당 평균 소비량을 각각 입력 받고, 지역의 물 자원, 에너지 자원 및 식량 자원 각각에 대한 생산 능력 기초 자료를 입력 받는다.
또한, 기초 자료 입력부(111)는 지역의 물 자원, 에너지 자원 및 식량 자원 각각에 대한 생산 능력 기초 자료를 추가로 입력 받을 수 있다.
이러한 생산 능력 기초 자료는 지역의 자원별 생산 가능량을 산출하기 위한 기초 입력 자료이다.
생산 능력 기초 자료는 자원별로 원료, 설비, 효율, 생산 공법 등의 자료로 구성될 수 있다. 지역의 물 자원에 대해서는 생산 시설, 댐, 저수지, 상수원 시설 등의 생산 능력과 생산 효율, 생산 공법 등의 자료를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에너지 자원의 경우 화력 발전소, 수력 발전소 등의 시설과 발전소 용량 그리고 그 생산 능력과 생산 효율, 생산 공법 등을 의미하며, 식량 자원의 경우 농산물별 농작지 면적, 경작 횟수 등과 그 생산 능력과 생산 효율, 생산 공법 등을 의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자원별 생산 가능량 산출부(112)는 기초 자료 입력부(111)에서 입력받은 생산 능력 기초 자료를 토대로 자원별 생산 가능량을 산출할 수 있다.
또한, 자원별 생산 가능량 산출부(112)는 물 자원, 에너지 자원, 식량 자원 각각의 생산 능력 기초 자료를 토대로 지역의 전체 자원별 생산 가능량을 산출할 수 있다. 각 자원별로 원료, 설비, 효율, 생산 공법 등의 생산 능력 기초 자료를 토대로 지역 또는 국가의 자원별 생산 가능량을 산출할 수 있다.
또한, 자원별 생산 가능량 산출부(112)는 지역이나 국가의 물 자원, 에너지 자원 및 식량 자원 각각에 대해 저수지나 수자원 시설 등의 물 생산 가능량, 화력 발전소나 수력 발전소 등의 전기 에너지 생산 가능량, 농지 면적과 생산률 등을 고려하여 그 지역이나 국가의 자원별 생산 가능량을 산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직접 수요 요구량 산출부(113)는 복수의 지역에서의 물 자원, 에너지 자원 및 식량 자원에 대한 직접 수요 요구량을 산출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직접 수요 요구량 산출부(113)는 복수의 지역에서의 물 자원, 에너지 자원 및 식량 자원에 대한 인당 평균 소비량을 산출한다.
일례로 직접 수요 요구량 산출부(113)는 복수의 지역에서의 자원 생산 환경을 고려하여 물 자원, 에너지 자원 및 식량 자원의 생산 가능량을 산출한다.
또한, 직접 수요 요구량 산출부(113)는 산출된 인당 평균 소비량 및 산출된 생산 가능량에 기초하여 물 자원, 에너지 자원 및 식량 자원 각각의 직접 수요 요구량을 산출한다.
예를 들어, 직접 수요 요구량은 복수의 지역에서의 물 자원, 에너지 자원 및 식량 자원이 최종 소비자에 의하여 직접적으로 소모되는 수치와 관련될 수 있다.
일례로, 직접 수요 요구량 산출부(113)는 기초 자료 입력부(111)에서 입력받은 인구 및 인당 평균 소비량에 따라 물 자원, 에너지 자원 및 식량 자원 각각의 직접 수요 요구량을 산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직접 수요 요구량 산출부(113)는 해당 지역이나 국가의 인구수와 인당 소비량을 곱하여 해당 지역에서 최종 소비자에 의해 물 자원, 에너지 자원 및 식량 자원을 산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간접 수요 요구량 산출부(114)는 물 자원, 에너지 자원 및 식량 자원에 대한 직접 수요 요구량을 공급하기 위한 간접 수요 요구량을 산출할 수 있다.
즉, 간접 수요 요구량 산출부(114)는 복수의 지역에서의 물 자원, 에너지 자원 및 식량 자원을 이용하여 직접 수요 요구량에 만족하는 물 자원, 에너지 자원 및 식량 자원을 공급하기 위해 소모되는 간접 수요 요구량을 산출할 수 있다.
일례로, 간접 수요 요구량 산출부(114)는 물 자원의 직접 수요 요구량을 제공하기 위한 에너지 자원 및 식량 자원의 간접 수요 요구량을 산출할 수 있다.
또한, 간접 수요 요구량 산출부(114)는 에너지 자원의 직접 수요 요구량을 제공하기 위한 물 자원 및 식량 자원의 간접 수요 요구량을 산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간접 수요 요구량 산출부(114)는 식량 자원의 직접 수요 요구량을 제공하기 위한 물 자원, 에너지 자원의 간접 수요 요구량을 산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물 자원은 다수 지역들에서의 지표수 및 지하수와 같은 수자원을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에너지 자원은 다수 지역들에서 발전, 교통 및 난방에 이용되는 석탄 및 석유와 같은 연료 자원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식량 자원은 다수 지역들에서 작물 재배 면적, 축사 시설, 식량 생산 설비와 같은 식량 생산 환경 자원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간접 수요 요구량 산출부(114)는 직접 수요 요구량 산출부(113)에서 산출된 직접 수요 요구량을 생산하기 위해 필요한 다른 자원의 요구량에 해당하는 간접 수요 요구량을 산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간접 수요 요구량 산출부(114)는 피자(pizza) 한 조각을 만드는데 사용되는 물 자원과 불이나 전기와 같은 에너지 자원을 산출할 수 있다.
일례로, 해당 지역이나 국가의 최종 소비자가 소모하는 자원뿐만 아니라 이러한 자원을 생산하기 위해 요구되는 다른 자원의 간접 수요 요구량이 해당 지역이나 국가에서 최종적으로 요구되는 전체 수요 요구량으로 산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전체 수요 요구량 산출부(115)는 직접 수요 요구량 산출부(113) 및 간접 수요 요구량 산출부(114)에서 산출된 직접 수요 요구량 및 간접 수요 요구량을 합산하여 자원별 전체 수요 요구량을 산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자원 과부족 판단부(116)는 전체 수요 요구량 산출부(115)에서 산출된 자원별 전체 수요 요구량과 자원별 생산 가능량 산출부(112)에서 산출된 자원별 생산 가능량을 대비하여 지역의 자원 과부족을 판단할 수 있다.
일례로, 자원 과부족 판단부(116)는 복수의 단위 지역에서의 물 자원, 에너지 자원 및 식량 자원을 연계 해석하여 산출된 직접 수요 요구량 및 간접 수요 요구량 및 자원별 생산 가능량에 기초하여 복수의 단위 지역 중 어느 하나의 단위 지역에서의 자원 과부족을 판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자원정책 결정 지원 시스템(100)은 특정 지역이나 국가의 자원 생산 가능량과 소비량을 대비하여, 자원의 과부족 여부를 결정하여 생산 시설의 확충 계획의 입안을 지원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자원정책 결정 지원 시스템(100)은 물, 에너지, 식량 자원을 상호 연계 분석하고, 분석된 데이터에 미래 인구 성장률, 1인당 자원소비량, 기후 변화와 같은 다양한 변화 요소를 반영하여 향후 자원의 수급율을 정확하게 예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자원정책 결정 지원 시스템(100)은 국가 또는 지역간의 자원 교역 활동을 고려하여 특정 지역의 자원 생산량, 자원 공급량 및 자원 교역량을 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자원정책 결정 지원 시스템(100)은 지역과 국가 간 자원교역을 통한 자원 안보를 모색하고, 국가 자원안보 정책수립을 위한 기술적 기초자료 제공 및 지원하는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지역 간의 자원 교역과 관련된 다이어그램을 도시한다.
구체적으로,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원정책 결정 지원 시스템이 복수의 지역 간의 자원(물 자원, 에너지 자원 및 식량 자원) 교역과 관련된 데이터를 획득하여, 획득된 데이터에 기초하여 제공할 수 있는 다이어그램을 예시한다.
도 2를 참고하면, 제1 지역(200)은 제2 지역(220)과 물 자원, 에너지 자원 및 식량 자원(water-energy-food, W-E-F) 교역(210)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제2 지역(220)은 제3 지역(240)과 제2 지역(220) 간 W-E-F 교역(230)을 수행한다.
또한, 제3 지역(240)은 제1 지역(200) 및 제3 지역(240) 간 W-E-F 교역(250)을 수행한다.
일례로, 자원 교역 다이어그램은 자원을 생산량, 직접 공급하거나 교역할 것인지에 따라 달라지는 비용/편익에 대한 정량적 파악을 지원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지역(200), 제2 지역(220) 및 제3 지역(240)은 W-E-F 자원을 상호 간의 교역을 통하여 자원에 대한 직접 수요 요구량 및 간접 수요 요구량에 만족하는 자원의 교역량을 결정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국내의 지역들 간의 자원 교역과 관련된 지도를 도시한다.
구체적으로, 도 3은 지역 거래의 보다 작은 범위로서 국가 내의 지역 별 자원 교역을 예시한다.
특정 자원을 타 지역에 공급하고자 하는 경우, 해당 지역의 자원 잉여 상황 및 타 지역의 자원 부족 상황을 파악한 후, 국가 내의 지역 별 자원 교역이 시행될 수 있다.
즉, 해당 지역 내의 자원 별 잉여량 또는 과부족량을 산정한 후, 물, 에너지, 식량의 자원 특성에 따른 생산/공급 비용과 함께, 지역 내 공급 편익과 교역 시 얻을 수 있는 편익 등을 고려하여 각각의 비용과 편익을 산정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해외의 지역들과의 자원 교역과 관련된 지도를 도시한다.
구체적으로, 도 4는 지역 거래의 넓은 범위로서 국가 별 자원 교역을 예시한다. 특정 자원을 타 국가에 공급하고자 하는 경우, 해당 지역의 자원 잉여 상황 및 타 국가의 자원 부족 상황을 파악한 후, 타 국가의 지역들과의 자원 교역이 시행될 수 있다.
도 4를 참고하면, 한국은 루트(401)을 통하여 물 자원을 거래할 수 있다. 즉, 한국은 루트(401)을 통하여 인도네시아로부터 제품의 생산, 사용 폐기 전(whole)과정에서 사용되는 워터 풋프린트(water footprint) 지표에 따라 계산되는 물 자원 외에 잉여 물 자원을 직접적으로 수입하거나 수출할 수 있다.
또한, 한국은 루트(402)를 통하여 에너지 자원을 거래할 수 있다. 즉, 한국은 루트(402)를 통하여 인도로부터 석유 및 석탄과 같은 화석 연료의 원재료를 수입할 수 있다.
또한, 한국은 루트(403)를 통하여 식량 자원을 거래할 수 있다. 즉, 한국은 루트(403)를 통하여 중국과 가공 음식(processed food), 냉동 음식(frozen food) 패키지(package) 등과 같은 식량 자원을 교역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원정책 결정 지원 방법과 관련된 흐름도를 도시한다.
구체적으로,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원정책 결정 지원 방법이 물 자원, 에너지 자원 및 식량 자원을 연계 해석하여 단위 지역에서의 자원 과부족을 판단하고, 자원 과부족에 따라 자원 수입 가능량 및 자원 수출 가능량을 산출하고, 자원의 과부족, 산출된 자원 수입 가능량 및 자원 수출 가능량을 고려하여 자원의 생산량, 공급량 및 교역량을 결정하는 절차를 예시한다.
도 5를 참고하면, 단계(501)에서 자원정책 결정 지원 방법은 물-에너지-식량 연계 해석에 기초하여 단위 지역에서 자원 과부족을 판단한다.
즉, 자원정책 결정 지원 방법은 복수의 단위 지역에서의 물 자원, 에너지 자원 및 식량 자원을 연계 해석하여 산출된 직접 수요 요구량 및 간접 수요 요구량을 합산하여 전체 수요 요구량을 산출하고, 기초 자료에 기초하여 산출된 자원별 생산 가능량과 전체 수요 요구량을 비교하여, 단위 지역에서의 특정 자원의 과부족을 판단한다.
단계(502)에서 자원정책 결정 지원 방법은 단위 지역에서의 자원 수입 가능량을 산출한다.
즉, 자원정책 결정 지원 방법은 전체 수요 요구량 및 자원별 생산 가능량의 비교 결과에 따라 판단되는 자원 과부족에 기초하여 부족 자원을 판단하고, 부족 자원을 자원 수입 가능량으로 산출할 수 있다.
단계(503)에서 자원정책 결정 지원 방법은 단위 지역에서의 자원 수출 가능량을 산출 할 수 있다.
즉, 자원정책 결정 지원 방법은 전체 수요 요구량 및 자원별 생산 가능량의 비교 결과에 따라 판단되는 자원 과부족에 기초하여 잉여 자원을 판단하고, 잉여 자원을 자원 수출 가능량으로 산출할 수 있다.
단계(504)에서 자원정책 결정 지원 방법은 자원 거래와 자원 과부족을 연계 해석하여 자원 이용 효율을 평가한다.
즉, 자원정책 결정 지원 방법은 자원 수입 가능량 및 자원 수출 가능량을 포함하는 자원 거래와 자원 과부족을 연계 해석하여 자원 이용 효율을 평가한다.
단계(505)에서 자원정책 결정 지원 방법은 목적 함수 및 제약 조건을 결정한다.
즉, 자원정책 결정 지원 방법은 자원 이용 효율에 대한 평가 수치를 최적화 알고리즘의 목적함수로 결정하며, 어느 하나의 단위 지역에서의 자원 배분 제한 범위를 최적화 알고리즘의 제약 조건으로 결정한다.
단계(506)에서 자원정책 결정 지원 방법은 자원 수급 방안을 결정한다.
즉, 자원정책 결정 지원 방법은 목적함수 및 제약 조건에 기초하여 결정변수를 산출하며, 목적함수 및 결정변수에 기초하여 자원 수급 방안을 결정한다.
단계(507)에서 자원정책 결정 지원 방법은 생산량, 공급량 및 교역량을 결정한다.
즉, 자원정책 결정 지원 방법은 자원 수급 방안에 기초하여 어느 하나의 단위 지역에서의 물 자원, 에너지 자원 및 식량 자원 각각의 생산량, 공급량 및 교역량을 결정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원정책 결정 지원 방법과 관련된 흐름도를 도시한다.
구체적으로,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원정책 결정 지원 방법이 복수의 지역내에서 자원에 대한 연계 해석에 따라 자원 수출 가능량 및 자원 수입 가능량을 결정하는 절차를 예시한다.
도 6을 참고하면, 단계(601)에서 자원정책 결정 지원 방법은 다수 지역의 인구 정보, 인당 평균 소비량 정보, 및 자원생산 환경 정보를 저장한다. 즉, 자원정책 결정 지원 방법은 기초 자료 입력부를 통해 입력되는 다수 지역의 인구와 물, 에너지, 식량 자원의 인당 평균 소비량과 대상 지역 별 물, 에너지, 식량 자원의 생산 가능량을 산출하기 위한 자원 생산 환경 및 자원의 직접 수요 요구량에 대한 각 공급원 별 생산 비율 입력 자원생산 환경을 저장한다. 예를 들어, 물 자원은 지표수 및 지하수를 포함할 수 있고, 에너지 자원은 석탄 및 석유와 같은 발전 및 교통에 이용되는 연료량을 포함할 수 있으며, 식량 자원은 작물 재배면적, 축사 시설 등 식량 생산 설비 및 환경 규모와 관련된 자원을 포함할 수 있다.
단계(602)에서 자원정책 결정 지원 방법은 직접 수요 요구량을 산출한다. 즉, 자원정책 결정 지원 방법은 기초 자료 입력부의 입력 자료를 통한 대상 지역별 물 자원, 에너지 자원, 식량 자원을 연계 해석하여 직접 수요 요구량을 산출할 수 있다.
단계(603)에서 자원정책 결정 지원 방법은 간접 수요 요구량을 산출한다. 즉, 자원정책 결정 지원 방법은 산출된 직접 수요 요구량을 충족시키기 위한 타 자원의 간접 수요 요구량을 산출한다. 또한, 자원정책 결정 지원 방법은 물 자원의 직접 수요 요구량을 위한 에너지, 식량 자원의 간접 수요 요구량을 산출하고, 에너지 자원의 직접 수요 요구량을 위한 물, 식량 자원의 간접 수요 요구량을 산출하며, 식량 자원의 직접 수요 요구량을 위한 물, 에너지 자원의 간접 수요 요구량을 산출한다.
단계(604)에서 자원정책 결정 지원 방법은 전체 수요 요구량을 산출한다. 즉, 자원정책 결정 지원 방법은 물, 에너지, 식량 자원에 대한 직접 수요 요구량 및 간접 수요 요구량을 합산하여 전체 수요 요구량을 산출한다.
단계(605)에서 자원정책 결정 지원 방법은 생산 가능량을 산출한다. 즉, 자원정책 결정 지원 방법은 기초 자료 입력부의 입력 자료를 통한 대상 지역별 물, 에너지, 식량 자원의 생산 가능량을 산출한다.
단계(606)에서 자원정책 결정 지원 방법은 단위 지역 내에서, 자원의 생산 및 공급 과정에 소비되는 재화를 평가한 제1 수치를 산출한다. 즉, 자원정책 결정 지원 방법은 각 대상 지역 내 물, 에너지, 식량 자원에 대한 직접 수요 요구량 및 간접 수요 요구량을 충족시키기 위해 생산, 공급 과정에서 소비된 재화를 평가한 제1 수치를 산출한다. 예를 들어, 제1 수치는 물 자원, 에너지 자원 및 식량 자원의 직접/간접 소비와 관련된 수치를 포함할 수 있다.
단계(607)에서 자원정책 결정 지원 방법은 각 단위 지역 간, 자원의 수입/수출에 소비되는 재화를 평가한 제2 수치를 산출한다. 즉, 자원정책 결정 지원 방법은 각 대상 지역을 대상으로 수입을 통한 자원 공급과 수출을 통한 자원 수요 항목을 추가하며, 각 대상 지역 간 자원 별 수입/수출에 소비되는 재화를 평가한 제2 가치를 산출한다.
단계(608)에서 자원정책 결정 지원 방법은 제1 수치와 제2 수치를 비교한다. 즉, 자원정책 결정 지원 방법은 제2 수치가 제1 수치보다 클 경우 단계(609)로 진행하고, 제2 수치가 제1 수치보다 작을 경우 단계(611)로 진행할 수 있다.
단계(609)에서 자원정책 결정 지원 방법은 잉여 자원을 수출 가능량으로 설정할 수 있다. 즉, 자원정책 결정 지원 방법은 제1 수치가 제2 수치에 대비하여 작은 경우, 직접 수요 요구량을 충족한 이후, 미래의 자원 가치 및 대상 지역 내의 간접 소비의 합산과 수출 편익을 비교하고, 수출 편익이 더 큰 경우, 잉여 자원을 수출 가능량으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자원정책 결정 지원 방법은 생산 가능량과 전체 수요 요구량을 비교하여 판단되는 자원 과부족에 기초하여 잉여 자원을 판단할 수 있다.
단계(610)에서 자원정책 결정 지원 방법은 타지역의 목표 수입량에 기초하여 수출 가능량을 제한하고, 간접 수요 요구량에 대하여 최종 수출 가능량의 생산에 소요되는 자원을 반영시켜 업데이트한다. 또한, 자원정책 결정 지원 방법은 수입 가능량에 기초하여 수출 자원을 제한하고, 제한된 수출 자원을 생산하기 위한 간접 수요 요구량을 전체 수요 요구량에 반영하여, 전체 수요 요구량을 업데이트한다. 또한, 자원정책 결정 지원 방법은 수출 가능량 내에서 타 지역의 목표 수입량에 대해서만 수출 가능량을 모의하도록 제한 하고, 제한된 수입 가능량을 수출하는데 이용된 간접 수요 요구량을 전체 수요 요구량에 합산하여 연계 해석할 수 있다.
단계(611)에서 자원정책 결정 지원 방법은 부족 자원을 수입 목표량으로 결정한다. 즉, 자원정책 결정 지원 방법은 직접/간접 수요 요구량에 대하여 부족 자원을 수입 목표량으로 설정할 수 있다.
단계(612)에서 자원정책 결정 지원 방법은 타지역 수출 가능량에 기초하여 수입 목표량을 제한하고, 생산 가능량에 대하여 최종 수입 목표량을 반영시켜 업데이트 한다. 또한, 자원정책 결정 지원 방법은 제한된 수입 목표량에 대한 초과 부분은 대상 지역 내의 생산량에 반영한다.
즉, 자원정책 결정 지원 방법은 타 지역의 수출 가능량 내에서만 수입 가능량을 모의하도록 제한하며, 제한된 수입 목표량을 통해 충족하지 못한 직접 수요 요구량에 대해서는 지역 내에서 생산하도록 제한된 수입 가능량에 대한 초과 부분은 대상 지역 내의 생산량에 반영한다.
또한, 자원정책 결정 지원 방법은 제한된 수입 가능량에 대하여 직접 수요 요구량과 연계 해석할 수 있다.
단계(613)에서 자원정책 결정 지원 방법은 업데이트된 데이터에 기초하여 물/에너지/식량 연계 해석을 수행한다. 즉, 자원정책 결정 지원 방법은 단계(610) 및 단계(612)에서 업데이트된 최종 수출 가능량과 최종 수입 목표량과 관련된 업데이트 데이터에 기초하여 물/에너지/식량 연계 해석을 수행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원정책 결정 지원 방법은 최종 수출 가능량 및 최종 수입 목표량이 반영된 데이터에 대하여 물/에너지/식량 연계 해석을 수행함으로써, 자원 이용효율 극대화, 생산 및 공급 비용 최소화를 목적으로 한 자원의 최적 배분을 수행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원정책 결정 지원 방법과 관련된 흐름도를 도시한다.
구체적으로, 도 7은 자원정책 결정 지원 방법이 최적화 알고리즘을 통해 효율적인 자원 수급 방안을 제안하여 자원정책 결정을 지원하는 절차를 예시한다.
예를 들어, 도 7에서 설명하는 절차는 도 1에서 설명된 자원 활용 결정부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다.
도 7을 참고하면, 단계(701)에서 자원정책 결정 지원 방법은 자원 공급/수요 관련 기초 입력자료를 최적화 알고리즘의 결정변수로 지정할 수 있다.
즉, 자원정책 결정 지원 방법은 기초 자료 입력부를 통하여 입력되는 기초 입력 자료를 알고리즘의 결정 변수로 지정할 수 있다.
단계(702)에서 자원정책 결정 지원 방법은 결정변수의 대상에 포함되지 않는 자원 공급/수요 관련 기초 입력자료를 통합 데이터 베이스로부터 입력받는다.
예를 들어, 기초 입력 자료는 물 자원에 대해서는 생산 시설, 댐, 저수지 및 상수원 시설의 생산 능력, 생산 효율 및 생산 공법을 포함하고, 에너지 자원에 대해서는 화력 발전소 및 수력 발전소를 포함하는 발전 시설의 발전소 용량, 생산 능력, 생산 효율 및 생산 공법을 포함하며, 식량 자원에 대해서는 농산물별 농작지 면적, 경작 횟수, 생산 능력, 생산 효율 및 생산 공법을 포함할 수 있다.
단계(703)에서 자원정책 결정 지원 방법은 대상 지역의 자원 연계 해석을 수행한다. 즉, 자원정책 결정 지원 방법은 단계(701) 및 단계(702)를 통하여 결정된 기초 입력 자료에 대하여 물/에너지/식량 연계 해석을 수행하여 직/간접 수요 요구량을 산출할 수 있다.
단계(704)에서 자원정책 결정 지원 방법은 대상 지역의 자원 연계 해석 수행 결과에 기초하여, 자원 이용효율에 대한 평가 수치를 최적화 알고리즘의 목적함수로서 결정 및 산출할 수 있다.
즉, 자원정책 결정 지원 방법은 대상 지역의 자원에 대한 직/간접 수요 요구량에 기초하여 자원 이용효율에 대한 평가 수치를 최적화 알고리즘의 목적함수로서 결정 및 산출할 수 있다.
또한, 자원정책 결정 지원 방법은 대상 지역의 자원 연계 해석 결과에 기초하여 다른 어느 하나의 지역에 대하여 산출된 자원 수출 가능량 및 자원 수입 가능량을 결정변수로서 결정 및 산출할 수 있다.
또한, 자원정책 결정 지원 방법은 자원 이용 효율에 대한 평가 수치를 최적화 알고리즘의 목적함수로 결정한다.
단계(705)에서 자원정책 결정 지원 방법은 대상 지역의 자원공급정책과 관련된 자원 배분의 제한 범위를 최적화 알고리즘의 제약조건으로 결정할 수 있다.
즉, 자원정책 결정 지원 방법은 단위 지역에서의 자원 배분 제한 범위를 최적화 알고리즘의 제약 조건으로 결정한다.
또한, 자원정책 결정 지원 방법은 자원 수출 가능량 및 자원 수입 가능량도 고려하여 자원의 과부족에 기초하여 결정된 자원의 생산량, 공급량 및 교역량을 업데이트하기 위한 최적화 알고리즘의 제약조건으로 결정할 수 있다.
즉, 자원정책 결정 지원 방법은 자원 수출 가능량 및 자원 수입 가능량을 고려하여 자원의 생산량, 공급량 및 교역량을 업데이트할 수 있다.
단계(706)에서 자원정책 결정 지원 방법은 최적화 알고리즘을 통해, 최대 또는 최소화된 목적함수 및 결정변수를 획득할 수 있다.
즉, 자원정책 결정 지원 방법은 업데이트된 생산량, 공급량 및 교역량에 기초하여 물 자원, 에너지 자원 및 식량 자원의 공급 우선 순위, 자원 교역 제한량 및 지역별 자원 최소 자급율 중 어느 하나를 결정하여 결정변수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자원정책 결정 지원 방법은 목적함수 및 제약 조건에 기초하여 결정변수를 산출할 수 있다.
단계(707)에서 자원정책 결정 지원 방법은 최적화 알고리즘을 통해 획득한 목적함수 및 결정변수를 바탕으로, 효율적인 자원 수급 방안을 제안함으로써 자원정책 결정을 지원한다.
예를 들어, 자원정책 결정 지원 방법은 목적함수 및 결정변수에 기초하여 자원 수급 방안, 자원교역량 등을 결정할 수 있다.
즉, 자원정책 결정 지원 방법은 결정된 공급 우선 순위, 자원 교역 제한량 및 지역별 자원 최소 자급율 중 어느 하나에 기초하여 어느 하나의 지역에서의 공급 충족률, 생산 지속성 및 경제적 편익을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자원정책 결정 지원 방법은 복수의 지역에서의 기후 변화 정보, 인구 변화 정보, 자원 생산 시설 정보를 고려하여 업데이트된 생산량, 공급량 및 교역량을 추가 업데이트할 수 있다.
따라서, 자원정책 결정 지원 방법은 기후변화, 자원고갈, 도시화 등 외부요인에 따른 사회-경제적 영향 평가와 대안을 제공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원정책 결정 지원 방법과 관련된 흐름도를 도시한다.
구체적으로, 도 8은 자원정책 결정 지원 방법이 물/에너지/식량에 대한 연계 해석에 기초하여 최적화된 자원 사용량을 제시하고, 제시된 최적 자원 사용량을 바탕으로 자원 이용 효율을 평가하고, 자원 이용효율을 최적화하는 자원 사용량 및 사용방안을 결정하여 자원정책 결정 지원 데이터를 제공하는 절차를 예시한다.
도 8을 참고하면, 단계(801)에서 자원정책 결정 지원 방법은 통합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물/에너지/식량 연계 해석을 위한 기초 입력자료를 구성한다.
즉, 자원정책 결정 지원 방법은 복수의 지역에 대한 인구와 물, 에너지, 식량 자원의 인당 평균 소비량 입력, 추가적으로 대상 지역 별 물, 에너지, 식량 자원의 생산 가능량을 산출하기 위한 자원생산 환경 입력, 자원의 직접 수요(수출 포함) 요구량에 대한 각 공급원 별 생산(수입 포함) 비율 입력과 관련된 기초 입력자료를 구성한다.
단계(802)에서 자원정책 결정 지원 방법은 기초 입력자료에 대하여 기후변화, 인구변화, 자원정책, 자원환경 변화에 대한 시나리오 자료를 구성한다.
즉, 자원정책 결정 지원 방법은 기후변화, 인구변화, 자원정책 변화를 포함하는 자원환경 변화에 대한 시나리오 자료를 구성하고, 구성된 시나리오 자료를 기초 입력자료에 반영할 수 있다.
단계(803)에서 자원정책 결정 지원 방법은 물/에너지/식량 연계 해석을 수행한다.
즉, 자원정책 결정 지원 방법은 물/에너지/식량과 관련된 기초 입력자료에 기후변화, 인구변화, 자원정책 변화가 반영된 시나리오에 해당하는 물/에너지/식량에 대한 연계 해석을 수행한다.
또한, 자원정책 결정 지원 방법은 직접/간접 수요 요구량에 기초한 자원 과부족, 자원 과부족과 관련된 수출 가능량 및 수입 가능량을 산출하기 위한 물/에너지/식량에 대한 연계 해석을 수행한다.
또한, 자원정책 결정 지원 방법은 물/에너지/식량에 대한 연계 해석에 기초하여 단계(804), 단계(805) 및 단계(806) 중 어느 하나의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단계(804)에서 자원정책 결정 지원 방법은 물/에너지/식량 연계 해석 결과에 기초하여, 경제적 편익, 공급 안정성, 지속 가능성과 관련된 자원 이용효율을 평가한다.
즉, 자원정책 결정 지원 방법은 자원 이용효율 극대화, 생산 및 공급 비용 최소화에 기초하여 자원 이용효율을 평가할 수 있다.
즉, 자원정책 결정 지원 방법은 물 자원, 상기 에너지 자원 및 상기 식량 자원에 대한 연계 해석 결과에 기초하여 경제적 편익, 공급 안정성 및 생산 지속 가능성을 결정하고, 결정된 경제적 편익, 공급 안정성 및 생산 지속 가능성 중 어느 하나에 기초하여 자원 이용효율을 평가할 수 있다.
단계(805)에서 자원정책 결정 지원 방법은 자원거래를 포함한 연계 해석 결과에 기초하여, 자원 이용효율을 평가한다.
즉, 자원정책 결정 지원 방법은 하나의 지역과 특정 지역 간의 자원거래 및 국가 간의 자원거래를 포함한 연계 해석 결과에 기초하여, 자원 이용효율을 평가할 수 있다.
또한, 자원정책 결정 지원 방법은 자원 수입 가능량 및 자원 수출 가능량을 포함하는 자원 거래와 자원 과부족을 연계 해석하여 자원 이용 효율을 평가할 수 있다.
또한, 자원정책 결정 지원 방법은 수출 가능량 및 수입 가능량을 포함하는 물-에너지-식량 연계 해석 결과에 기초하여, 자원 이용효율을 평가할 수 있다.
단계(806)에서 자원정책 결정 지원 방법은 최적화 알고리즘에 기초하여, 물/에너지/식량 연계 해석 시스템을 이용해 목적하는 자원 이용효율을 최적화하는 자원 사용량 및 사용방안을 결정할 수 있다.
즉, 자원정책 결정 지원 방법은 자원 수입 가능량 및 자원 수출 가능량을 포함하는 자원 거래와 자원 과부족을 연계 해석하여 자원 이용효율을 최적화하는 자원 사용량 및 사용방안을 결정할 수 있다.
단계(807)에서 자원정책 결정 지원 방법은 자원정책 결정 지원 데이터를 제공한다. 즉, 자원정책 결정 지원 방법은 단계(804), 단계(805)에 따라 평가된 이용효율에 기초하여 단계(806)에서 자원 사용량 및 사용방안을 결정함에 따라 자원정책 결정 지원 데이터를 생성한 후, 생성된 자원정책 결정 지원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자원정책 결정 지원 방법은 자원교역이 가능한 대상국가 선정 및 교역 가능량을 추정하여 제시함으로써, 경제적이고 효과적인 자원 교역을 지원할 수 있다.
발명의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다양한 실시 예들이 내포하는 기술적 사상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0: 자원정책 결정 지원 시스템 110: 연계 해석 판단부
111: 기초 자료 입력부 112: 자원별 생산 가능량 산출부
113: 직접 수요 요구량 산출부 114: 간접 수요 요구량 산출부
115: 전체 수요 요구량 산출부 116: 자원 과부족 판단부
120: 자원 수입 가능량 산출부 130: 자원 수출 가능량 산출부
140: 자원 활용 결정부

Claims (10)

  1. 복수의 단위 지역에서의 물 자원, 에너지 자원 및 식량 자원을 연계 해석하여 상기 복수의 단위 지역 중 어느 하나의 단위 지역에서의 자원 과부족을 판단하는 연계 해석 판단부;
    상기 판단된 자원 과부족 및 상기 복수의 단위 지역 중 상기 어느 하나의 단위 지역으로부터 다른 어느 하나의 지역으로의 자원 수출에 소비되는 재화에 기초하여 상기 어느 하나의 단위 지역에서의 자원 수출 가능량을 산출하는 자원 수출 가능량 산출부;
    상기 판단된 자원 과부족 및 상기 복수의 단위 지역 중 상기 다른 어느 하나의 지역으로부터 상기 어느 하나의 단위 지역으로의 자원 수입에 소비되는 재화에 기초하여 상기 어느 하나의 단위 지역에서의 자원 수입 가능량을 산출하는 자원 수입 가능량 산출부; 및
    상기 산출된 자원 수입 가능량 및 상기 산출된 자원 수출 가능량을 포함하는 자원 거래와 상기 판단된 자원 과부족을 연계 해석하여 자원 이용 효율을 평가하고, 상기 평가된 자원 이용 효율에 대한 평가 수치를 최적화 알고리즘의 목적함수로 결정하며, 상기 어느 하나의 단위 지역에서의 자원 배분 제한 범위를 상기 최적화 알고리즘의 제약 조건으로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목적함수 및 상기 결정된 제약 조건에 기초하여 결정변수를 산출하며, 상기 결정된 목적함수 및 상기 산출된 결정변수에 기초하여 자원 수급 방안을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자원 수급 방안에 기초하여 상기 어느 하나의 단위 지역에서의 상기 물 자원, 상기 에너지 자원 및 상기 식량 자원 각각의 생산량, 공급량 및 교역량을 결정하는 자원 활용 결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자원 활용 결정부는, 상기 판단된 자원 과부족과 관련된 자원의 생산 및 공급 과정에 소비되는 재화를 평가한 제1 수치를 산출하고, 상기 자원 수출 및 수입에 소비되는 재화를 평가한 제2 수치를 산출하며, 상기 제1 수치 및 상기 제2 수치를 비교하여 상기 산출된 자원 수출 가능량 및 상기 산출된 자원 수입 가능량 중 하나를 업데이트하고, 상기 업데이트된 자원 수출 가능량 및 상기 업데이트된 자원 수입 가능량을 고려하여 상기 결정된 자원의 생산량, 공급량 및 교역량을 업데이트하며, 상기 업데이트된 생산량, 상기 업데이트된 공급량 및 상기 업데이트된 교역량에 기초하여 상기 물 자원, 상기 에너지 자원 및 상기 식량 자원의 공급 우선 순위, 자원 교역 제한량 및 지역별 자원 최소 자급율 중 어느 하나를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공급 우선 순위, 상기 결정된 자원 교역 제한량 및 상기 지역별 자원 최소 자급율 중 어느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어느 하나의 단위 지역에서의 공급 충족률, 생산 지속성 및 경제적 편익을 결정하며, 상기 복수의 지역에서의 기후 변화 정보, 인구 변화 정보, 자원 생산 시설 정보를 고려하여 상기 업데이트된 생산량, 상기 업데이트된 공급량 및 상기 업데이트된 교역량을 추가 업데이트하고, 상기 결정된 공급 충족률, 생산 지속성 및 경제적 편익에 기초하여 상기 물 자원, 상기 에너지 자원 및 상기 식량 자원의 이용효율을 평가하는
    자원정책 결정 지원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계 해석 판단부는,
    기초 자료 입력부, 자원별 생산 가능량 산출부, 직접 수요 요구량 산출부, 간접 수요 요구량 산출부, 전체 수요 요구량 산출부 및 자원 과부족 판단부를 포함하는
    자원정책 결정 지원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기초 자료 입력부는, 상기 복수의 단위 지역에서의 물 자원, 에너지 자원 및 식량 자원에 대한 인당 평균 소비량을 입력 받고,
    상기 자원별 생산 가능량 산출부는, 상기 복수의 단위 지역에서의 자원 생산 환경을 고려하여 상기 물 자원, 상기 에너지 자원 및 상기 식량 자원의 자원별 생산 가능량을 산출하며,
    상기 직접 수요 요구량 산출부는, 상기 입력된 인당 평균 소비량 및 상기 산출된 자원별 생산 가능량에 기초하여 상기 물 자원, 상기 에너지 자원 및 상기 식량 자원 각각의 직접 수요 요구량을 산출하고,
    상기 간접 수요 요구량 산출부는, 상기 물 자원의 직접 수요 요구량을 제공하기 위한 상기 에너지 자원 및 상기 식량 자원의 간접 수요 요구량을 산출하고, 상기 에너지 자원의 직접 수요 요구량을 제공하기 위한 상기 물 자원 및 상기 식량 자원의 간접 수요 요구량을 산출하며, 상기 식량 자원의 직접 수요 요구량을 제공하기 위한 상기 물 자원 및 상기 에너지 자원의 간접 수요 요구량을 산출하며,
    상기 전체 수요 요구량 산출부는, 상기 직접 수요 요구량 및 상기 간접 수요 요구량을 합산하여 전체 수요 요구량을 산출하고,
    상기 자원 과부족 판단부는, 상기 산출된 자원별 생산 가능량 및 상기 산출된 전체 수요 요구량에 기초하여 상기 어느 하나의 단위 지역에서의 자원 과부족을 판단하는
    자원정책 결정 지원 시스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연계 해석 판단부에서, 복수의 단위 지역에서의 물 자원, 에너지 자원 및 식량 자원을 연계 해석하여 상기 복수의 단위 지역 중 어느 하나의 단위 지역에서의 자원 과부족을 판단하는 단계;
    자원 수출 가능량 산출부에서, 상기 판단된 자원 과부족 및 상기 복수의 단위 지역 중 상기 어느 하나의 단위 지역으로부터 다른 어느 하나의 지역으로의 자원 수출에 소비되는 재화에 기초하여 상기 어느 하나의 단위 지역에서의 자원 수출 가능량을 산출하는 단계;
    자원 수입 가능량 산출부에서, 상기 판단된 자원 과부족 및 상기 복수의 단위 지역 중 상기 다른 어느 하나의 지역으로부터 상기 어느 하나의 단위 지역으로의 자원 수입에 소비되는 재화에 기초하여 상기 어느 하나의 단위 지역에서의 자원 수입 가능량을 산출하는 단계;
    자원 활용 결정부에서, 상기 판단된 자원 과부족과 관련된 자원의 생산 및 공급 과정에 소비되는 재화를 평가한 제1 수치를 산출하고, 상기 자원의 수출 및 수입에 소비되는 재화를 평가한 제2 수치를 산출하며, 상기 제1 수치 및 상기 제2 수치를 비교하여 상기 산출된 자원 수출 가능량 및 상기 산출된 자원 수입 가능량 중 하나를 업데이트하는 단계;
    상기 자원 활용 결정부에서, 상기 업데이트된 자원 수입 가능량 및 상기 업데이트된 자원 수출 가능량을 포함하는 자원 거래와 상기 판단된 자원 과부족을 연계 해석하여 자원 이용 효율을 평가하는 단계;
    상기 자원 활용 결정부에서, 상기 평가된 자원 이용 효율에 대한 평가 수치를 최적화 알고리즘의 목적함수로 결정하며, 상기 어느 하나의 단위 지역에서의 자원 배분 제한 범위를 상기 최적화 알고리즘의 제약 조건으로 결정하는 단계;
    상기 결정된 목적함수 및 상기 결정된 제약 조건에 기초하여 결정변수를 산출하며, 상기 결정된 목적함수 및 상기 산출된 결정변수에 기초하여 자원 수급 방안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결정된 자원 수급 방안에 기초하여 상기 어느 하나의 단위 지역에서의 상기 물 자원, 상기 에너지 자원 및 상기 식량 자원 각각의 생산량, 공급량 및 교역량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결정된 목적함수 및 상기 산출된 결정변수에 기초하여 자원 수급 방안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자원 활용 결정부에서, 상기 자원 수출 가능량 및 상기 자원 수입 가능량도 고려하여 상기 자원의 과부족에 기초하여 결정된 자원의 생산량, 공급량 및 교역량을 업데이트하는 단계;
    상기 자원 활용 결정부에서, 상기 업데이트된 생산량, 상기 업데이트된 공급량 및 상기 업데이트된 교역량에 기초하여 상기 물 자원, 상기 에너지 자원 및 상기 식량 자원의 공급 우선 순위, 자원 교역 제한량 및 지역별 자원 최소 자급율 중 어느 하나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결정된 공급 우선 순위, 상기 결정된 자원 교역 제한량 및 상기 지역별 자원 최소 자급율 중 어느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어느 하나의 단위 지역에서의 공급 충족률, 생산 지속성 및 경제적 편익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복수의 지역에서의 기후 변화 정보, 인구 변화 정보, 자원 생산 시설 정보를 고려하여 상기 업데이트된 생산량, 상기 업데이트된 공급량 및 상기 업데이트된 교역량을 추가 업데이트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결정된 공급 충족률, 생산 지속성 및 경제적 편익에 기초하여 상기 물 자원, 상기 에너지 자원 및 상기 식량 자원의 이용효율을 평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자원정책 결정 지원 방법.
  10. 삭제
KR1020170151712A 2017-11-14 2017-11-14 물-에너지-식량 연계 해석에 기초하여 자원정책 결정을 지원하는 시스템 및 방법 KR1018742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1712A KR101874261B1 (ko) 2017-11-14 2017-11-14 물-에너지-식량 연계 해석에 기초하여 자원정책 결정을 지원하는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1712A KR101874261B1 (ko) 2017-11-14 2017-11-14 물-에너지-식량 연계 해석에 기초하여 자원정책 결정을 지원하는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74261B1 true KR101874261B1 (ko) 2018-07-03

Family

ID=629181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51712A KR101874261B1 (ko) 2017-11-14 2017-11-14 물-에너지-식량 연계 해석에 기초하여 자원정책 결정을 지원하는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74261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926076A (zh) * 2022-06-06 2022-08-19 上海西派埃智能化系统有限公司 一种自来水厂能力与负荷在线实时评估方法及系统
CN116384714A (zh) * 2023-06-05 2023-07-04 厦门久本科技有限公司 一种建筑施工现场综合智能化管理方法、系统及存储介质
CN117273446A (zh) * 2023-09-19 2023-12-22 北京师范大学 局地能源危机级联影响评价方法、系统、电子设备和存储介质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64758B1 (ko) * 2017-01-12 2017-08-03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물/에너지/식량 자원의 상호 연계 분석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64758B1 (ko) * 2017-01-12 2017-08-03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물/에너지/식량 자원의 상호 연계 분석 시스템 및 방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926076A (zh) * 2022-06-06 2022-08-19 上海西派埃智能化系统有限公司 一种自来水厂能力与负荷在线实时评估方法及系统
CN114926076B (zh) * 2022-06-06 2024-06-07 上海西派埃智能化系统有限公司 一种自来水厂能力与负荷在线实时评估方法及系统
CN116384714A (zh) * 2023-06-05 2023-07-04 厦门久本科技有限公司 一种建筑施工现场综合智能化管理方法、系统及存储介质
CN116384714B (zh) * 2023-06-05 2023-08-18 厦门久本科技有限公司 一种建筑施工现场综合智能化管理方法、系统及存储介质
CN117273446A (zh) * 2023-09-19 2023-12-22 北京师范大学 局地能源危机级联影响评价方法、系统、电子设备和存储介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Boza et al. Artificial intelligence to support the integration of variable renewable energy sources to the power system
Oree et al. Generation expansion planning optimisation with renewable energy integration: A review
Wu et al. An integrated decision-making model for sustainable photovoltaic module supplier selection based on combined weight and cumulative prospect theory
Wu et al. Predicting and optimization of energy consumption using system dynamics-fuzzy multiple objective programming in world heritage areas
Hilorme et al. Smart grid concept as a perspective for the development of Ukrainian energy platform
Önüt et al. Multiple criteria evaluation of current energy resources for Turkish manufacturing industry
CN108491969A (zh) 基于大数据的空间负荷预测模型构建方法
Fu et al. Planning of distributed renewable energy systems under uncertainty based on statistical machine learning
CN101976841B (zh) 电力系统各级负荷预测指标的均衡匹配方法
Ji et al. Multi-stage stochastic fuzzy random programming for food-water-energy nexus management under uncertainties
Yang et al. A mixed activity-based costing and resource constraint optimal decision model for IoT-oriented intelligent building management system portfolios
KR101874261B1 (ko) 물-에너지-식량 연계 해석에 기초하여 자원정책 결정을 지원하는 시스템 및 방법
CN102509173B (zh) 一种基于马尔科夫链的电力系统负荷准确预测方法
Ala et al. A novel neutrosophic-based multi-objective grey wolf optimizer for ensuring the security and resilience of sustainable energy: a case study of Belgium
Mrówczyńska et al. A new fuzzy model of multi-criteria decision support based on Bayesian networks for the urban areas' decarbonization planning
Huang et al. Dynamic analysis method to open the “black box” of urban metabolism
Prabatha et al. Community-level decentralized energy system planning under uncertainty: A comparison of mathematical models for strategy development
CN113706208A (zh) 一种综合能源服务套餐配置方法
Xue et al. Cost optimization control of logistics service supply chain based on cloud genetic algorithm
Zarrinpoor et al. Designing a sustainable biofuel supply chain by considering carbon policies: a case study in Iran
Elkamel et al. Multi-agent modeling for linking a green transportation system with an urban agriculture network in a food-energy-water nexus
CN104517160A (zh) 基于容量利用特征的新型电力市场预测系统和方法
Şişman A comparison of ARIMA and grey models for electricity consumption demand forecasting: The case of Turkey
Halynska et al. Combined model of optimal electricity production: Evidence from Ukraine
CN105321001A (zh) 售电数据处理方法和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