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64758B1 - 물/에너지/식량 자원의 상호 연계 분석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물/에너지/식량 자원의 상호 연계 분석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64758B1
KR101764758B1 KR1020170004605A KR20170004605A KR101764758B1 KR 101764758 B1 KR101764758 B1 KR 101764758B1 KR 1020170004605 A KR1020170004605 A KR 1020170004605A KR 20170004605 A KR20170004605 A KR 20170004605A KR 101764758 B1 KR101764758 B1 KR 1017647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mand
resource
resources
direct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046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두선
정기문
위착소노 알버트
Original Assignee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700046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6475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647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647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4Forecasting or optimisation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or management purposes, e.g. linear programming or "cutting stock problem"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7Strategic management or analysis, e.g. setting a goal or target of an organisation; Planning actions based on goals; Analysis or evaluation of effectiveness of goa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6Energy or water supply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conom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rket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물/에너지/식량 자원의 상호 연계 분석 시스템 및 방법이 개시된다. 소정 지역의 인구(population)와, 물 자원, 에너지 자원 및 식량 자원의 인당 평균 소비량을 각각 입력받는 기초 자료 입력 모듈; 상기 기초 자료 입력 모듈에서 입력받은 인구 및 인당 평균 소비량에 따라 물 자원, 에너지 자원 및 식량 자원 각각의 직접 수요 요구량을 산출하는 직접 수요 요구량 산출 모듈; 상기 직접 수요 요구량 산출 모듈에서 산출된 물 자원의 직접 수요 요구량을 생산하는 데 필요한 에너지 자원 및 식량 자원의 간접 수요 요구량과, 상기 직접 수요 요구량 산출 모듈에서 산출된 에너지 자원의 직접 수요 요구량을 생산하는 데 필요한 식량 자원 및 물 자원의 간접 수요 요구량과, 상기 직접 수요 요구량 산출 모듈에서 산출된 식량 자원의 직접 수요 요구량을 생산하는 데 필요한 물 자원 및 에너지 자원의 간접 수요 요구량을 각각 산출하는 간접 수요 요구량 산출 모듈; 상기 직접 수요 요구량 산출 모듈에서 산출된 각 자원의 직접 수요 요구량 및 상기 간접 수요 요구량 산출 모듈에서 산출된 각 자원의 간접 수요 요구량을 합산하여 자원별 전체 수요 요구량을 산출하는 전체 수요 요구량 산출 모듈을 구성한다.

Description

물/에너지/식량 자원의 상호 연계 분석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OF ANAYLZING WATER-ENERGY-FOOD NEXUS}
본 발명은 자원간 상호 연계성 분석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물/에너지/식량(water/energy/food, WEF) 자원의 상호 연계성에 대한 분석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기후 변화와 인구 증가 등의 요인으로 인해 자원의 고갈이나 부족 현상을 겪고 있다. 이러한 자원 부족이나 고갈은 환경 문제와도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으며, 지역의 지자체나 국가 단위의 자원 정책 결정에도 관련성이 매우 높다.
물(water) 자원, 에너지(energy) 자원, 식량(food) 자원은 국가 단위 또는 지자체 단위에서 관리되는 중요한 자원의 하나이다.
지역 단위의 지자체나 국가 단위에서는 자원의 생산에 필요한 생산 시설의 과부족을 미리 예측하여 그 과부족에 대처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자원 수요를 정확하게 판단하는 데에는 과거의 모델(model)에서는 정확도가 높지 않고 정확한 판단을 내리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예를 들어, 피자(pizza) 한 조각을 만드는 데에는 밀가루뿐만 아니라 물 그리고 피자를 굽는데 필요한 에너지가 요구된다. 피자 한 조각에는 이를 생산하기 위해 필요한 상당한 양의 물과 에너지가 요구된다. 다른 예로서, 마시는 물 1 톤(ton)을 생산, 공급하기 위해서는 많은 양의 전기 에너지가 소모된다.
이와 같이, 어느 하나의 자원에 대하여 최종 소비자의 직접적인 소모량뿐만 아니라 이를 생산하기 위해 다른 자원의 소모가 뒤따르게 된다.
이처럼 하나의 자원의 생산에 요구되는 직접 필요한 수요량과 간접 필요 수요량을 정확하게 분류하여 분석하여야 각 자원의 생산에 요구되는 총 자원의 요구량이 산출될 수 있다.
아직까지는 이러한 자원 간 상호 연관성을 정확하게 연계하여 해석하는 모델이 없으며, 이를 이용하여 정책 입안이나 자원 배분에 활용하는 예도 없다.
10-1020638 10-1055291
본 발명의 목적은 물/에너지/식량 자원의 상호 연계 분석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물/에너지/식량 자원의 상호 연계 분석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에 따른 물/에너지/식량 자원의 상호 연계 분석 시스템은, 소정 지역의 인구(population)와, 물 자원, 에너지 자원 및 식량 자원의 인당 평균 소비량을 각각 입력받는 기초 자료 입력 모듈; 상기 기초 자료 입력 모듈에서 입력받은 인구 및 인당 평균 소비량에 따라 물 자원, 에너지 자원 및 식량 자원 각각의 직접 수요 요구량을 산출하는 직접 수요 요구량 산출 모듈; 상기 직접 수요 요구량 산출 모듈에서 산출된 물 자원의 직접 수요 요구량을 생산하는 데 필요한 에너지 자원 및 식량 자원의 간접 수요 요구량과, 상기 직접 수요 요구량 산출 모듈에서 산출된 에너지 자원의 직접 수요 요구량을 생산하는 데 필요한 식량 자원 및 물 자원의 간접 수요 요구량과, 상기 직접 수요 요구량 산출 모듈에서 산출된 식량 자원의 직접 수요 요구량을 생산하는 데 필요한 물 자원 및 에너지 자원의 간접 수요 요구량을 각각 산출하는 간접 수요 요구량 산출 모듈; 상기 직접 수요 요구량 산출 모듈에서 산출된 각 자원의 직접 수요 요구량 및 상기 간접 수요 요구량 산출 모듈에서 산출된 각 자원의 간접 수요 요구량을 합산하여 자원별 전체 수요 요구량을 산출하는 전체 수요 요구량 산출 모듈을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기초 자료 입력 모듈이, 상기 지역의 물 자원, 에너지 자원 및 식량 자원 각각에 대한 생산 능력 기초 자료를 추가로 입력받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기초 자료 입력 모듈에서 입력받은 생산 능력 기초 자료를 토대로 자원별 생산 가능량을 산출하는 자원별 생산 가능량 산출 모듈을 더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전체 수요 요구량 산출 모듈에서 산출된 자원별 전체 수요 요구량과 상기 자원별 생산 가능량 산출 모듈에서 산출된 자원별 생산 가능량을 대비하여 상기 지역의 자원 과부족을 판단하는 자원 과부족 판단 모듈을 더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에 따른 물/에너지/식량 자원의 상호 연계 분석 방법은, 기초 자료 입력 모듈이 소정 지역의 인구(population)와, 물 자원, 에너지 자원 및 식량 자원의 인당 평균 소비량을 각각 입력받는 단계; 직접 수요 요구량 산출 모듈이 상기 기초 자료 입력 모듈에서 입력받은 인구 및 인당 평균 소비량에 따라 물 자원, 에너지 자원 및 식량 자원 각각의 직접 수요 요구량을 산출하는 단계; 간접 수요 요구량 산출 모듈이 상기 직접 수요 요구량 산출 모듈에서 산출된 물 자원의 직접 수요 요구량을 생산하는 데 필요한 에너지 자원 및 식량 자원의 간접 수요 요구량과, 상기 직접 수요 요구량 산출 모듈에서 산출된 에너지 자원의 직접 수요 요구량을 생산하는 데 필요한 식량 자원 및 물 자원의 간접 수요 요구량과, 상기 직접 수요 요구량 산출 모듈에서 산출된 식량 자원의 직접 수요 요구량을 생산하는 데 필요한 물 자원 및 에너지 자원의 간접 수요 요구량을 각각 산출하는 단계; 전체 수요 요구량 산출 모듈이 상기 직접 수요 요구량 산출 모듈에서 산출된 각 자원의 직접 수요 요구량 및 상기 간접 수요 요구량 산출 모듈에서 산출된 각 자원의 간접 수요 요구량을 합산하여 자원별 전체 수요 요구량을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기초 자료 입력 모듈이 소정 지역의 인구와, 물 자원, 에너지 자원 및 식량 자원의 인당 평균 소비량을 각각 입력받는 단계는, 상기 지역의 물 자원, 에너지 자원 및 식량 자원 각각에 대한 생산 능력 기초 자료를 추가로 입력받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자원별 생산 가능량 산출 모듈이 상기 기초 자료 입력 모듈에서 추가로 입력받은 생산 능력 기초 자료를 토대로 자원별 생산 가능량을 산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자원 과부족 판단 모듈이 상기 전체 수요 요구량 산출 모듈에서 산출된 자원별 전체 수요 요구량과 상기 자원별 생산 가능량 산출 모듈에서 산출된 자원별 생산 가능량을 대비하여 상기 지역의 자원 과부족을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술한 자원간 물/에너지/식량 자원의 상호 연계 분석 시스템 및 방법에 의하면, 물 자원, 에너지 자원, 식량 자원의 상호 간의 사용 및 생산과 관련하여 얼마나 많은 양의 다른 자원이 요구되는지의 관점에서 자원 상호 연계성을 분석하도록 구성됨으로써, 각 자원의 상호 필요량에 의한 정확한 수요량을 예측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특정 지역이나 국가의 각 자원의 생산 가능량과 대비하여 각 자원의 과부족을 미리 판단하고 예측하도록 구성됨으로써, 각 자원을 지역별로 효율적으로 배분할 수 있으며, 생산 시설을 미리 확충하는 계획을 입안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특히, 미래 인구 성장률, 자원의 생산 가능량, 기후 변화 등의 다양한 요소들을 반영하여 그 자원 수요량을 정확하게 예측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예를 들어, 미래 인구 성장률, 기술의 변화, 생활 패턴의 변화에 따른 자원 수요량을 정확하게 예측할 수 있고, 기후 변화, 가채 자원의 변동 등에 의해 생산 가능량을 정확하게 예측하고, 자원 수급 전망에 대한 보다 정밀한 분석을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에너지/식량 자원의 상호 연계 분석 시스템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원의 요구량 및 생산 가능량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원의 과부족을 시뮬레이션하여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에너지/식량 자원의 상호 연계 분석 방법의 흐름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제1, 제2, A, B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에너지/식량 자원의 상호 연계 분석 시스템의 블록 구성도이고,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원의 요구량 및 생산 가능량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에너지/식량 자원의 상호 연계 분석 시스템(100)은 기초 자료 기초 자료 입력 모듈(110), 직접 수요 요구량 산출 모듈(120), 간접 수요 요구량 산출 모듈(130), 전체 수요 요구량 산출 모듈(140), 자원별 생산 가능량 산출 모듈(150), 자원 과부족 판단 모듈(160)을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물/에너지/식량 자원의 상호 연계 분석 시스템(100)은 물 자원, 에너지 자원, 식량 자원의 상호 간의 사용 및 생산과 관련하여 얼마나 많은 양의 다른 자원이 요구되는가와 관련된 자원 상호 연계성을 분석하여 특정 지역이나 국가에서 요구되는 실제 자원 수요량을 정확하게 산출하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면, 기존의 경우 특정 지역의 인구 1인당 소비하는 물 자원, 식량 자원, 에너지 자원을 어느 정도 예측이 가능할 수 있다. 그렇지만, 인구 1인이 1년에 소비하는 쌀 소비량을 기준으로 이를 생산하기 위해 1년간 얼마나 많은 양의 물 자원과 에너지 자원이 소비되는지를 고려하거나 이를 정확하게 분석하고 있지는 않다.
이에, 물/에너지/식량 자원의 상호 연계 분석 시스템(100)은 인구 대비 수요하는 물 자원이나, 식량 자원, 에너지 자원에 더불어 각 자원을 생산하기 위해 요구되는 다른 자원의 수요량을 산출하도록 하여 그 지역에서 요구되는 각 자원의 전체 수요량을 산출하도록 구성된다. 즉, 각 자원의 직접 수요 요구량과 간접 수요 요구량을 별도로 산출하여 자원 수요량을 정확하게 분석하고 예측하도록 구성된다.
이하, 세부적인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기초 자료 입력 모듈(110)은 소정 지역이나 국가의 인구(population)와, 물 자원, 에너지 자원 및 식량 자원의 인당 평균 소비량을 각각 입력받도록 구성될 수 있다.
기초 자료 입력 모듈(110)은 지역의 물자원, 에너지 자원 및 식량 자원 각각에 대한 생산 능력 기초 자료를 추가로 입력받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생산 능력 기초 자료는 지역의 자원별 생산 가능량을 산출하기 위한 기초 입력 자료이다.
생산 능력 기초 자료는 자원별로 원료, 설비, 효율, 생산 공법 등의 자료로 구성될 수 있다. 지역의 물 자원에 대해서는 생산 시설, 댐, 저수지, 상수원 시설 등의 생산 능력과 생산 효율, 생산 공법 등의 자료를 의미하며, 에너지 자원의 경우 화력 발전소, 수력 발전소 등의 시설과 발전소 용량 그리고 그 생산 능력과 생산 효율, 생산 공법 등을 의미하며, 식량 자원의 경우 농산물별 농작지 면적, 경작 횟수 등과 그 생산 능력과 생산 효율, 생산 공법 등을 의미한다.
직접 수요 요구량 산출 모듈(120)은 기초 자료 입력 모듈(110)에서 입력받은 인구 및 인당 평균 소비량에 따라 물 자원, 에너지 자원 및 식량 자원 각각의 직접 수요 요구량을 산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직접 수요 요구량 산출 모듈(120)은 해당 지역이나 국가의 인구수와 인당 소비량을 곱하여 해당 지역에서 최종 소비자에 의해 물 자원, 에너지 자원 및 식량 자원을 산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간접 수요 요구량 산출 모듈(130)은 직접 수요 요구량 산출 모듈(120)에서 산출된 직접 수요 요구량을 생산하기 위해 필요한 다른 자원의 요구량을 산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피자(pizza) 한 조각을 만드는 데 사용되는 물 자원과 불이나 전기와 같은 에너지 자원을 산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해당 지역이나 국가의 최종 소비자가 소모하는 자원뿐만 아니라 이러한 자원을 생산하기 위해 요구되는 다른 자원의 간접 수요 요구량이 해당 지역이나 국가에서 최종적으로 요구되는 전체 수요 요구랑이 될 수 있기 때문에 이를 산출하도록 구성된다.
구체적으로는 간접 수요 요구량 산출 모듈(130)이 직접 수요 요구량 산출 모듈(120)에서 산출된 물 자원의 직접 수요 요구량을 생산하는 데 필요한 에너지 자원 및 식량 자원의 간접 수요 요구량을 산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간접 수요 요구량 산출 모듈(130)은 직접 수요 요구량 산출 모듈(120)에서 산출된 에너지 자원의 직접 수요 요구량을 생산하는 데 필요한 식량 자원 및 물 자원의 간접 수요 요구량을 산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간접 수요 요구량 산출 모듈(130)은 직접 수요 요구량 산출 모듈(120)에서 산출된 식량 자원의 직접 수요 요구량을 생산하는 데 필요한 물 자원 및 에너지 자원의 간접 수요 요구량을 산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전체 수요 요구량 산출 모듈(140)은 직접 수요 요구량 산출 모듈(120)에서 산출된 각 자원의 직접 수요 요구량 및 간접 수요 요구량 산출 모듈(130)에서 산출된 각 자원의 간접 수요 요구량을 합산하여 자원별 전체 수요 요구량을 산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자원별 생산 가능량 산출 모듈(150)은 기초 자료 입력 모듈(110)에서 입력받은 생산 능력 기초 자료를 토대로 자원별 생산 가능량을 산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자원별 생산 가능량 산출 모듈(150)은 물 자원, 에너지 자원, 식량 자원 각각의 생산 능력 기초 자료를 토대로 지역의 전체 자원별 생산 가능량을 산출할 수 있다. 각 자원별로 원료, 설비, 효율, 생산 공법 등의 생산 능력 기초 자료를 토대로 지역 또는 국가의 자원별 생산 가능량을 산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2에서는 이러한 각 자원의 직접 수요 요구량과 간접 수요 요구량을 도식화하여 나타내고 있다. 도 2에서는 실선으로 표시된 것은 각 자원의 직접 수요 요구량을 나타내며 점선으로 표시된 것은 각 자원을 생산하는 데 필요한 다른 자원의 간접 수요 요구량을 나타낸다.
자원별 생산 가능량 산출 모듈(150)은 지역이나 국가의 물 자원, 에너지 자원 및 식량 자원 각각에 대해 저수지나 수자원 시설 등의 물 생산 가능량, 화력 발전소나 수력 발전소 등의 전기 에너지 생산 가능량, 농지 면적과 생산률 등을 고려하여 그 지역이나 국가의 자원별 생산 가능량을 산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3은 이러한 각 자원의 생산 시설과 이에 따른 생산 가능량을 예시하고 있다.
자원 과부족 판단 모듈(160)은 전체 수요 요구량 산출 모듈(140)에서 산출된 자원별 전체 수요 요구량과 자원별 생산 가능량 산출 모듈(150)에서 산출된 자원별 생산 가능량을 대비하여 지역의 자원 과부족을 판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에, 지역별 또는 국가별로 해당 지역이나 국가의 자원별 과부족이 판단되어 해당 지자체나 국가는 자원의 과부족에 대한 판단과 예측을 할 수 있게 된다.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원의 과부족을 시뮬레이션하여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4는 물 자원, 도 5는 에너지 자원, 도 6은 식량 자원에 대하여 각각의 자원별 전체 자원 수요량과 자원별 생산 가능량을 대비하여 과부족을 알 수 있도록 나타내고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에너지/식량 자원의 상호 연계 분석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기초 자료 입력 모듈(110)이 소정 지역의 인구(population)와, 물 자원, 에너지 자원 및 식량 자원의 인당 평균 소비량을 각각 입력받는다(S101).
여기서, 기초 자료 입력 모듈(110)이 지역의 물 자원, 에너지 자원 및 식량 자원 각각에 대한 생산 능력 기초 자료를 추가로 입력받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 직접 수요 요구량 산출 모듈(120)이 기초 자료 입력 모듈(110)에서 입력받은 인구 및 인당 평균 소비량에 따라 물 자원, 에너지 자원 및 식량 자원 각각의 직접 수요 요구량을 산출한다(S102).
다음으로, 간접 수요 요구량 산출 모듈(130)이 직접 수요 요구량 산출 모듈(120)에서 산출된 물 자원의 직접 수요 요구량을 생산하는 데 필요한 에너지 자원 및 식량 자원의 간접 수요 요구량과, 직접 수요 요구량 산출 모듈(120)에서 산출된 에너지 자원의 직접 수요 요구량을 생산하는 데 필요한 식량 자원 및 물 자원의 간접 수요 요구량과, 직접 수요 요구량 산출 모듈(120)에서 산출된 식량 자원의 직접 수요 요구량을 생산하는 데 필요한 물 자원 및 에너지 자원의 간접 수요 요구량을 각각 산출한다(S103).
다음으로, 전체 수요 요구량 산출 모듈(140)이 직접 수요 요구량 산출 모듈(120)에서 산출된 각 자원의 직접 수요 요구량 및 간접 수요 요구량 산출 모듈(130)에서 산출된 각 자원의 간접 수요 요구량을 합산하여 자원별 전체 수요 요구량을 산출한다(S104).
다음으로, 자원별 생산 가능량 산출 모듈(150)이 기초 자료 입력 모듈(110)에서 추가로 입력받은 생산 능력 기초 자료를 토대로 자원별 생산 가능량을 산출한다(S105).
다음으로, 자원 과부족 판단 모듈(160)이 전체 수요 요구량 산출 모듈(140)에서 산출된 자원별 전체 수요 요구량과 자원별 생산 가능량 산출 모듈(150)에서 산출된 자원별 생산 가능량을 대비하여 지역의 자원 과부족을 판단한다(S106).
이상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10: 기초 자료 입력 모듈
120: 직접 수요 요구량 산출 모듈
130: 간접 수요 요구량 산출 모듈
140: 전체 수요 요구량 산출 모듈
150: 자원별 생산 가능량 산출 모듈
160: 자원 과부족 판단 모듈

Claims (8)

  1. 소정 지역의 인구(population)와, 물 자원, 에너지 자원 및 식량 자원의 인당 평균 소비량을 각각 입력받고, 상기 지역의 물 자원, 에너지 자원 및 식량 자원 각각에 대한 생산 능력 기초 자료를 입력받는 기초 자료 입력 모듈;
    상기 기초 자료 입력 모듈에서 입력받은 인구 및 인당 평균 소비량에 따라 물 자원, 에너지 자원 및 식량 자원 각각의 직접 수요 요구량을 산출하는 직접 수요 요구량 산출 모듈;
    상기 직접 수요 요구량 산출 모듈에서 산출된 물 자원의 직접 수요 요구량을 생산하는 데 필요한 에너지 자원 및 식량 자원의 간접 수요 요구량과, 상기 직접 수요 요구량 산출 모듈에서 산출된 에너지 자원의 직접 수요 요구량을 생산하는 데 필요한 식량 자원 및 물 자원의 간접 수요 요구량과, 상기 직접 수요 요구량 산출 모듈에서 산출된 식량 자원의 직접 수요 요구량을 생산하는 데 필요한 물 자원 및 에너지 자원의 간접 수요 요구량을 각각 산출하는 간접 수요 요구량 산출 모듈;
    상기 직접 수요 요구량 산출 모듈에서 산출된 각 자원의 직접 수요 요구량 및 상기 간접 수요 요구량 산출 모듈에서 산출된 각 자원의 간접 수요 요구량을 합산하여 자원별 전체 수요 요구량을 산출하는 전체 수요 요구량 산출 모듈;
    상기 기초 자료 입력 모듈에서 입력받은 생산 능력 기초 자료를 토대로 자원별 생산 가능량을 산출하는 자원별 생산 가능량 산출 모듈;
    상기 전체 수요 요구량 산출 모듈에서 산출된 자원별 전체 수요 요구량과 상기 자원별 생산 가능량 산출 모듈에서 산출된 자원별 생산 가능량을 대비하여 상기 지역의 자원 과부족을 판단하고, 각 자원을 지역별로 효율적으로 배분하고 자원별 생산 시설을 미리 확충하는 계획을 입안하는 자원 과부족 판단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생산 능력 기초 자료는,
    상기 지역의 물 자원에 대해서는 생산 시설, 댐, 저수지 및 상수원 시설의 생산 능력, 생산 효율 및 생산 공법이고, 상기 지역의 에너지 자원에 대해서는 화력 발전소 및 수력 발전소를 포함하는 발전 시설의 발전소 용량, 생산 능력, 생산 효율 및 생산 공법이고, 상기 지역의 식량 자원에 대해서는 농산물별 농작지 면적, 경작 횟수, 생산 능력, 생산 효율 및 생산 공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에너지/식량 자원의 상호 연계 분석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기초 자료 입력 모듈이 소정 지역의 인구(population)와, 물 자원, 에너지 자원 및 식량 자원의 인당 평균 소비량을 각각 입력받고, 상기 지역의 물 자원, 에너지 자원 및 식량 자원 각각에 대한 생산 능력 기초 자료를 입력받는 단계;
    직접 수요 요구량 산출 모듈이 상기 기초 자료 입력 모듈에서 입력받은 인구 및 인당 평균 소비량에 따라 물 자원, 에너지 자원 및 식량 자원 각각의 직접 수요 요구량을 산출하는 단계;
    간접 수요 요구량 산출 모듈이 상기 직접 수요 요구량 산출 모듈에서 산출된 물 자원의 직접 수요 요구량을 생산하는 데 필요한 에너지 자원 및 식량 자원의 간접 수요 요구량과, 상기 직접 수요 요구량 산출 모듈에서 산출된 에너지 자원의 직접 수요 요구량을 생산하는 데 필요한 식량 자원 및 물 자원의 간접 수요 요구량과, 상기 직접 수요 요구량 산출 모듈에서 산출된 식량 자원의 직접 수요 요구량을 생산하는 데 필요한 물 자원 및 에너지 자원의 간접 수요 요구량을 각각 산출하는 단계;
    전체 수요 요구량 산출 모듈이 상기 직접 수요 요구량 산출 모듈에서 산출된 각 자원의 직접 수요 요구량 및 상기 간접 수요 요구량 산출 모듈에서 산출된 각 자원의 간접 수요 요구량을 합산하여 자원별 전체 수요 요구량을 산출하는 단계;
    자원별 생산 가능량 산출 모듈이 상기 기초 자료 입력 모듈에서 추가로 입력받은 생산 능력 기초 자료를 토대로 자원별 생산 가능량을 산출하는 단계;
    자원 과부족 판단 모듈이 상기 전체 수요 요구량 산출 모듈에서 산출된 자원별 전체 수요 요구량과 상기 자원별 생산 가능량 산출 모듈에서 산출된 자원별 생산 가능량을 대비하여 상기 지역의 자원 과부족을 판단하고, 각 자원을 지역별로 효율적으로 배분하고 자원별 생산 시설을 미리 확충하는 계획을 입안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생산 능력 기초 자료는,
    상기 지역의 물 자원에 대해서는 생산 시설, 댐, 저수지 및 상수원 시설의 생산 능력, 생산 효율 및 생산 공법이고, 상기 지역의 에너지 자원에 대해서는 화력 발전소 및 수력 발전소를 포함하는 발전 시설의 발전소 용량, 생산 능력, 생산 효율 및 생산 공법이고, 상기 지역의 식량 자원에 대해서는 농산물별 농작지 면적, 경작 횟수, 생산 능력, 생산 효율 및 생산 공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에너지/식량 자원의 상호 연계 분석 방법.
  6. 삭제
  7. 삭제
  8. 삭제
KR1020170004605A 2017-01-12 2017-01-12 물/에너지/식량 자원의 상호 연계 분석 시스템 및 방법 KR1017647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04605A KR101764758B1 (ko) 2017-01-12 2017-01-12 물/에너지/식량 자원의 상호 연계 분석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04605A KR101764758B1 (ko) 2017-01-12 2017-01-12 물/에너지/식량 자원의 상호 연계 분석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64758B1 true KR101764758B1 (ko) 2017-08-03

Family

ID=596554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04605A KR101764758B1 (ko) 2017-01-12 2017-01-12 물/에너지/식량 자원의 상호 연계 분석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64758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4261B1 (ko) * 2017-11-14 2018-07-03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물-에너지-식량 연계 해석에 기초하여 자원정책 결정을 지원하는 시스템 및 방법
KR20190046340A (ko) 2017-10-26 2019-05-07 주식회사 케이엘넷 에너지 데이터를 블록화하여 제공하는 지리 정보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분석결과 제공 방법
CN116012044A (zh) * 2023-01-17 2023-04-25 中国科学院地理科学与资源研究所 一种多尺度粮食安全供需预警的方法、装置及存储介质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47514B1 (ko) * 2012-06-08 2014-01-03 오동섭 농산물 수확량 예측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농산물 수확량의 예측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47514B1 (ko) * 2012-06-08 2014-01-03 오동섭 농산물 수확량 예측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농산물 수확량의 예측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46340A (ko) 2017-10-26 2019-05-07 주식회사 케이엘넷 에너지 데이터를 블록화하여 제공하는 지리 정보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분석결과 제공 방법
KR101874261B1 (ko) * 2017-11-14 2018-07-03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물-에너지-식량 연계 해석에 기초하여 자원정책 결정을 지원하는 시스템 및 방법
CN116012044A (zh) * 2023-01-17 2023-04-25 中国科学院地理科学与资源研究所 一种多尺度粮食安全供需预警的方法、装置及存储介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Baringo et al. A stochastic adaptive robust optimization approach for the generation and transmission expansion planning
Nosair et al. Flexibility envelopes for power system operational planning
Chen et al. Electric demand response management for distributed large-scale internet data centers
KR101764758B1 (ko) 물/에너지/식량 자원의 상호 연계 분석 시스템 및 방법
Tang et al. Efficient scenario generation of multiple renewable power plants considering spatial and temporal correlations
Thatte et al. Robust optimization based economic dispatch for managing system ramp requirement
Kaneriya et al. Data consumption-aware load forecasting scheme for smart grid systems
Ezeigweneme et al. Telecommunications energy efficiency: optimizing network infrastructure for sustainability
Macian-Sorribes et al. Definition of efficient scarcity-based water pricing policies through stochastic programming
Carvallo et al. The economic value of a centralized approach to distributed resource investment and operation
Ashrafi et al. Developing a semi-distributed decision support system for great Karun water resources system
Pedro-Monzonís et al. Key issues for determining the exploitable water resources in a Mediterranean river basin
Margellos et al. A robust reserve scheduling technique for power systems with high wind penetration
US20240256746A1 (en) Scheduling method and system for operation of reservoirs to recharge freshwater for repelling saltwater intrusion under changing conditions
Jiang et al. A holistic techno-economic evaluation framework for sizing renewable power plant in a hydro-based hybrid generation system
Wang et al. Day-ahead allocation of operation reserve in composite power systems with large-scale centralized wind farms
Soares et al. Optimal generation and transmission expansion planning addressing short-term constraints with co-optimization of energy and reserves
Busch et al. Analysis of the water-power nexus in the Southern African Power Pool
CN116865256A (zh) 一种虚拟电厂优化调控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Menke et al. Investigating trade-offs between the operating cost and green house gas emissions from water distribution systems
Reinders et al. Co-evolution of smart energy products and services: A novel approach towards smart grids
Ploussard et al. Hydro-economics tradeoff surfaces to guide unit commitment in production cost models
Nykamp et al. Forecast the grid oriented battery operation to enable a multi-use approach and discussion of the regulatory framework
Lin et al. Conception and evaluation methodology of water resources carrying capacity based on three-level analysis
Okundamiya et al. Optimisation models for hybrid energy systems–a review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