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74117B1 - 멀티―빔 안테나 시스템 - Google Patents

멀티―빔 안테나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74117B1
KR101874117B1 KR1020110129028A KR20110129028A KR101874117B1 KR 101874117 B1 KR101874117 B1 KR 101874117B1 KR 1020110129028 A KR1020110129028 A KR 1020110129028A KR 20110129028 A KR20110129028 A KR 20110129028A KR 101874117 B1 KR101874117 B1 KR 1018741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etwork
radiation
beam antenna
radiation sources
antenna syste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290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64029A (ko
Inventor
장-프랑수아 핀토스
알리 루지흐
도미니크 로 하인 통
Original Assignee
톰슨 라이센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톰슨 라이센싱 filed Critical 톰슨 라이센싱
Publication of KR201200640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640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741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741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21/00Antenna arrays or systems
    • H01Q21/06Arrays of individually energised antenna units similarly polarised and spaced apart
    • H01Q21/08Arrays of individually energised antenna units similarly polarised and spaced apart the units being spaced along or adjacent to a rectilinear path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3/00Arrangements for changing or varying the orientation or the shape of the directional pattern of the waves radiated from an antenna or antenna system
    • H01Q3/26Arrangements for changing or varying the orientation or the shape of the directional pattern of the waves radiated from an antenna or antenna system varying the relative phase or relative amplitude of energisation between two or more active radiating elements; varying the distribution of energy across a radiating aperture
    • H01Q3/2605Array of radiating elements provided with a feedback control over the element weights, e.g. adaptive arrays
    • H01Q3/2647Retrodirective array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9/00Combinations of primary active antenna elements and units with secondary devices, e.g. with quasi-optical devices, for giving the antenna a desired directional characteristic
    • H01Q19/28Combinations of primary active antenna elements and units with secondary devices, e.g. with quasi-optical devices, for giving the antenna a desired directional characteristic using a secondary device in the form of two or more substantially straight conductive elements
    • H01Q19/32Combinations of primary active antenna elements and units with secondary devices, e.g. with quasi-optical devices, for giving the antenna a desired directional characteristic using a secondary device in the form of two or more substantially straight conductive elements the primary active element being end-fed and elongate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25/00Antennas or antenna systems providing at least two radiating patterns
    • H01Q25/002Antennas or antenna systems providing at least two radiating patterns providing at least two patterns of different beamwidth; Variable beamwidth antennas

Landscapes

  • Variable-Direction Aerials And Aerial Arrays (AREA)
  • Radio Transmission System (AREA)

Abstract

본 발명은 N개의 방사 소자(11a, 11b)의 네트워크를 포함하되, 여기서 N은 짝수이고, 상기 네트워크의 상기 소자들은 전송선(11, 12)을 통해서 2개씩 접속되어 있는 것인 멀티-빔 안테나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상기 시스템은 M개의 방사원(S1, S2, S3)을 추가로 포함하되, 여기서 M은 1과 동일하거나 혹은 1보다 큰 정수이며, 상기 방사원(들)은 각각 상기 네트워크의 중심으로부터의 거리(Li)에서 위치결정되어 있고, 해당 거리(Li)는 엄밀히 원거리 장이라 불리는 장의 거리 미만이며, i는 1 내지 M이다.
이 시스템은 특히 MIMO 장치에서 이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멀티―빔 안테나 시스템{SYSTEM OF MULTI-BEAM ANTENNAS}
본 발명은 멀티-빔 안테나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무선 통신의 맥락에서, 특별히 전자파의 전파 조건이 다중 경로로 인해 매우 불리해지고 있는 무선 도메스틱 네트워크(wireless domestic network)에서 이용될 수 있는 멀티-빔 안테나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무선 도메스틱 네트워크, 지능형 네트워크 혹은 유사한 유형의 네트워크 등과 같은 새로 출현하는 응용을 위하여, 공간의 특정 방향으로 방사된 파워를 집중시킬 수 있는 안테나인 지향성 안테나(directive antenna)의 사용은 특히 매력적인 것으로 입증되어 있다. 그러나, 물리학적 법칙이 안테나의 최소 크기를 강요하고, 이 크기는 안테나가 더욱 지향성이거나 그의 동작 주파수(operating frequency)가 낮음에 따라 모두 더욱 중요해지고 있다.
지금까지, 지향성 안테나의 사용은 매우 고주파수에서, 종종 고정된 빔을 이용해서 작동하는 응용에 제한된 채로 있었고, 레이더 응용 혹은 위성 응용의 것들과 같은 크기 규제를 지니지 않는다. 그러나, 이들 응용 유형에 대해서, 안테나 장치는 다수의 빔을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지만, 종종 복합적이고 값비싼 다수의 모듈로 구성되어 있다. 역으로, 소위 역-지향성 안테나라 불리는 안테나 장치는 지향성 빔을 공간의 특정 방향에 있어서 매우 간단하게 형성될 수 있게 한다. 역-지향성 안테나 네트워크는, 해당 네트워크의 각 안테나가 특징적인 경로-길이차, 즉, 위상차를 지니는 공급원의 입사 신호를 수신한다는 사실에 의거하고 있다. 이 위상차는 발광원의 방향의 특성이다. 사실상, 전송될 신호는 공급원의 방향에서 발광되므로, 전송 시 각 안테나 간의 위상차가 귀환 경로 상의 경로-길이차를 예상하기 위하여 수신 측의 것과 반대이면 충분하다.
역-지향성 안테나 중에서, 가장 잘 알려진 네트워크는 특히 미국 특허 공보 제2 908 002호(1959년 10월 6일)에 기재된 "Van-Atta" 네트워크라 불리는 네트워크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Van-Atta형 역-지향성 네트워크는 해당 네트워크의 중심축(Oy)에 대해서 대칭인 다수의 방사 소자들(radiating elements)(1a, 1b, 2a, 2b, 3a, 3b)로 구성되어 있다. 이들 방사 소자는 쌍으로 접속되며, 즉, 방사 소자(1a)는 전송선(transmission line)(1)을 통해서 방사 소자(1b)와 접속되고, 방사 소자(2a)는 전송선(2)을 통해서 방사 소자(2b)와 접속되며, 방사 소자(3a)는 전송선(3)을 통해서 방사 소자(3b)와 접속되며, 이들 전송선은 동일한 전기적 길이(electrical length)를 지니며, 안테나는 네트워크의 중심축에 대해서 대칭으로 대향하고 있다. 이 경우, 전송선에 의해 유래된 위상차는 이와 같이 해서 모든 방사 소자 상에서 동일하며, 두 연속된 방사 소자 간의 위상차는 신호의 수신 시 및 가장 가까운 부호에 대해서 역방향의 신호의 송신 시에 있어서 동일하다. 이와 같이 해서, 전송측 네트워크의 방사 소자의 신호 간의 위상차는 수신측 네트워크의 방사 소자의 신호들 간의 위상차와 반대이다. 따라서, 전송된 신호의 역-지향성이 얻어진다.
그러나, 이 방법은 몇몇 상당한 결점을 지닌다. 신호의 역-지향성을 얻기 위하여, 입사파의 앞부분은 평탄해야만 한다. 또한, 안테나 네트워크는 네트워크 중심에 대해서 평탄하거나 다소 대칭이어야만 한다. 입사파의 앞부분이 평탄해야만 하므로, 방사 소자들의 네트워크는 송신기 공급원으로부터 멀리 떨어진 장 영역(field area)에 위치되어 있을 필요가 있다. 그 결과, Van-Atta형 네트워크의 응용은 지금까지는 위성 혹은 레이더 유형 응용뿐이었다.
이들 유형의 역-지향성 네트워크에 대한 연구 결과, 본 발명은 무선 통신에서, 특히, 무선 도메스틱 네트워크에서, 또는 무선 링크를 통해서 통신하는 피어 투 피어 유형(peer to peer type) 네트워크에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MIMO (Multiple Input Multiple Output) 시스템의 범주에서뿐만 아니라 지향성 안테나를 이용해서 작동하는 처리 시스템과 연관된 단일의 안테나를 구비한 안테나 시스템에서 이용될 수 있는 멀티-빔 안테나의 시스템을 작성하기 위하여 방사 소자의 네트워크의 원리를 이용하는 것을 제안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N개의 방사 소자의 네트워크를 포함하되, 여기서 N은 짝수이고, 상기 네트워크의 상기 소자들은 전송선을 통해서 2개씩 접속되어 있는 것인 멀티-빔 안테나 시스템으로서, M개 이상의 방사원(radiating source)을 포함하며, 여기서 M은 1과 동일하거나 혹은 1보다 큰 정수이며, 상기 방사원(들)은 각각 상기 네트워크의 중심으로부터의 거리(Li)에서 위치결정되어 있고, 여기서 해당 거리(Li)는 엄밀히 원거리 장(far field)이라 불리는 장(field)의 거리 미만이며, i는 1 내지 M이다. 원거리 장 및 근거리 장(close field)의 개념은 특별히 논문[IEEE Antennas and Propagation Magazine vol. 46, No. 5, October 2004 entitled "Radiating Zone Boundaries of Short λ/2 and λ Dipoles"]에 기재되어 있다. 따라서, 파장에 대한 작은 치수의 방사원에 대해서, 거리(Li)는 1.6λ 미만이고, 여기서 λ는 동작 주파수에서의 파장이다(공기 중에서 λ=λ0, 상이한 매질에서 λ=λg이므로,
Figure 112011096461394-pat00001
로 되고, 여기서 εr 및 μr은 상기 매질의 유전율(permittivity) 및 투자율(permeability)이다).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따르면, 상기 네트워크의 상기 소자들은 동일한 전기적 길이를 지니는 전송선을 통해서 대칭적으로 2개씩 접속되어 있고, 방사원의 개수는 엄밀히 1보다 많다. 바람직하게는, MIMO 시스템의 범주에서, 방사원의 개수는 MIMO 시스템의 입력의 개수와 동일하다.
다른 실시형태에 따르면, 멀티-빔 안테나 시스템은 방사원을 포함하고, 빔들의 지향성은 상기 전송선들 중 적어도 하나 내로 통합(integrating)됨으로써 얻어지며, 능동 회로(active circuit)에 의해 상기 전송선의 위상차를 변경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예를 들어, 능동 회로는 톰슨 라이센싱 명의로 2010년 11월 23일에 출원된 프랑스 특허 출원 제09 58282호에 기재된 것들의 유형의 필터 혹은 하이브리드 결합기(hybrid coupler)일 수 있다.
다른 실시형태에 따르면, 일정한 위상차를 도입하여 주파수 필터링을 가능하게 하는 수동 필터(passive filter)가 2개씩 접속된 전송선에 도입되어서, 상기 네트워크의 상기 소자들이 예를 들어 수신 측에서 잡음 제거의 향상을 가능하게 하거나, 전송 측에서 방사원으로부터 기생 방사(parasite radiation)의 저감을 가능하게 한다.
본 발명의 상이한 실시형태에 따르면, 상기 네트워크의 방사 소자들은 모노폴들(monopoles), 패치들(patches), 슬롯들(slots), 혼 안테나들(horn antennas) 혹은 유사한 소자들 중에서 선택된 소자들에 의해 구성된다. 마찬가지로, 상기 방사원들은 또한 모노폴들, 다이폴들(dipoles), 패치들, 슬롯들, 혼 안테나들 혹은 유사한 소자들 중에서 선택된 공급원에 의해 구성된다.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따르면, 상기 네트워크의 방사 소자들로서 모노폴들을 사용할 경우에, 해당 모노폴들은 치수 d=λ/4를 지니며, 여기서 λ는 상기 동작 주파수에서의 파장이다. 또, 각 방사 소자의 거리는 λ/4배이며, 여기서 λ는 상기 동작 주파수에서의 파장이다.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는 일없이 다른 거리도 고려가능한 것은 명백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시스템이 수개의 방사원을 지닐 경우, 해당 방사원들 중 하나는 상기 방사 소자들의 네트워크의 대칭축을 따라서 위치결정되고, 나머지 방사원들은 각도(θi)만큼 어긋나 있으며(offset), 여기서 i는 2 내지 M이다. 다른 실시형태에 따르면, 상기 방사원들은 상기 네트워크의 중심축에 대해서 대칭이면서 각도(θi)만큼 어긋나 있으며, 이때 i는 2 내지 M이다.
본 발명의 기타 특성 및 이점들은 몇몇 실시형태의 이하의 설명을 읽음으로써 분명해질 것이며, 이 설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행해질 것이다.
도 1은 이미 설명된 Van Atta형 역-지향성 네트워크의 개략적 예시도;
도 2a는 본 발명에 따른 멀티-빔 안테나 시스템의 제1실시형태의 개략적 사시도;
도 2b는 도 2a의 멀티-빔 안테나 시스템의 확대 부분을 예시한 도면;
도 3은 이용된 공급원들(즉, 방사원들)에 따라서 그리고 네트워크의 소자들 간의 거리의 제1값에 대해서 도 2에 도시된 것 등과 같은 멀티-빔 시스템의 방사 패턴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이용된 방사원들에 따라서 네트워크의 소자들 간의 거리의 제2값에 대해서 도 2에 도시된 것 등과 같은 제2실시형태의 방사 패턴을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형태의 개략적 사시도;
도 6a 및 도 6b는 이용된 방사원에 따른 도 5의 실시형태의 3D 방사 패턴을 도시한 도면;
도 7a 및 도 7b는 도 6a 및 도 6b의 패턴의 방사원의 직교 평면에 따른 2D 단면도.
우선, 본 발명에 따른 멀티-빔 안테나 시스템의 제1실시형태의 설명을 도 2,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행할 것이다. 접지면을 구비한 대형 치수의 기판(10) 상에, Van Atta형 모노폴들의 네트워크 및 수개의 공급원, 즉, 방사원을 포함하는 시스템이 구현되어 있고, 상기 모노폴들은 이하에 더욱 상세히 설명하는 바와 같이 상기 방사원에 근접한 장에 위치결정되어 있다.
도시된 실시형태에서, 상기 기판은 길이 L = 4.6λ의 정사각형이고, 여기서 λ는 동작 주파수에서의 파장이다(공기 중 λ= λ0). 도 2b에 더욱 상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안테나 부분은, 도시된 실시형태에 있어서, 높이 h ~ λ0/4의 모노폴들에 의해 형성된 4개의 소자(11a), (11b), (12a), (12b)의 네트워크를 구성한다. 이들 모노폴(11a), (12a), (12b), (11b)은 각각 거리(d)만큼 분리되어 있고, 도시된 실시형태에 있어서 Van Atta형으로 이루어진 마이크로스트립 기술에서 구현된 선들의 네트워크를 통해서 2개씩 접속되어 있으며, 즉, 2개의 모노폴을 연결하는 선은 동일한 위상을 얻기 위하여 동일한 전기적 길이로 되어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2개의 외측 모노폴(11a), (11b)은 선(11)을 통해 접속되는 한편, 모노폴(12a)은 선(12)을 통해 모노폴(12b)에 접속되어, 전체가 축(Oy)에 대해서 대칭이다.
위에 나타낸 실시형태에서, Van Atta형 네트워크가 이용되지만, 상기 방사원으로 귀환되는 빔의 방향의 제어를 가능하게 하는 상이한 네트워크도 이용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명확하다. 게다가, 도시된 네트워크의 상기 소자들은 모노폴들이다. 그러나, 당업자에게는, 상기 네트워크를 위해 다른 소자 유형, 특히 이하에 설명하는 바와 같이 패치 혹은 슬롯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수개의 방사원이 네트워크로부터 거리(Li)에서 모노폴 네트워크와 반대쪽에 위치결정되어 있다. 거리(Li)는 안테나 시스템의 전체 크기를 감소시키는 방식으로 선택된다. 이 경우에, 이것은 원거리 장의 거리 미만이다. 치수가 파장(λ0)과 근사하거나 해당 파장 미만인 안테나에 대해서, 거리(Li)는 1.6λ0 미만이며, 여기서, λ0는 동작 주파수에서의 파장이다. 따라서, 도 2b에 도시된 실시형태에서, 네트워크의 대칭축에 대응하는 축(Oy)과 관련하여 중심에 있는 제1방사원(S1)은 네트워크의 중심으로부터 거리(L)에 위치결정되어 있고, 제2방사원(S2)은 네트워크의 중심으로부터 거리(LS1)에 위치결정되어 있으며, 제3방사원(S3)은 네트워크의 중심으로부터 거리(LS1)에서 방사원(S1)에 대해서 (S2)에서 대칭적으로 위치결정되어 있다. 그 결과, 방사원(S1), (S2)은 방사원(S1)에 대해서 각도(θi)만큼 어긋나 있다.
도시된 실시형태에서, 방사원(S1), (S2), (S3)은 높이 λ0/4의 모노폴들로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당업자에게는, 다른 방사원 유형도 고려될 수 있음은 명백하다. 소형 멀티-빔 안테나 시스템을 얻기 위하여 고려되는 조건들 중 하나는 N개의 방사 소자의 네트워크가 방사원 혹은 방사원들에 근접한 장의 영역에 위치되어 있는 점이다. 이 조건은 네트워크의 중심으로부터 λ0와 1.6λ0 사이에 포함된 거리에서 방사원을 배치함으로써 얻어지며, 이때 λ0는 방사원이 λ0와 근사하거나 λ0 미만인 치수를 지닌다면 동작 주파수에서의 파장이다. 반대의 경우에 있어서, 원거리 장의 거리는 당업자에게 공지된 식 2*D20에 의해 구해지며, 여기서 D는 안테나의 가장 큰 치수이다.
도 2b의 실시형태는 캄퍼니 ANSYS의 3D (HFSS) 전자 시뮬레이터를 이용해서 시뮬레이션되었다. 상호 결합을 고려해서, 시뮬레이션은 네트워크 소자들 간의 편차를 위하여 2개의 상이한 값, 즉, 제1실시형태에 대해서는 d = λ0/2, 제2실시형태에 대해서는 d = λ0/4를 이용해서 수행되었으며, 다른 치수, 즉, 거리 L = 0.4λ0, 거리 LS1 = λ0 및 각도 θ1 = 60°는 상기 두 실시형태에 대해서 동일하다.
도 3은 제1실시형태에 대해서 얻어진 결과를 나타내는 한편, 도 4는 제2실시형태에 대해서 얻어진 결과를 나타내고 있다.
이들 도면에 있어서, 여기된 방사원은 흑색 원으로 표시되어 있다. 방사원이 여기되면, 방위면에서 전방향 방식으로 방사된다. 그 결과, 방사원이 네트워크를 조명하고, 네트워크의 각 소자가 신호의 일부를 포획한다. 이것은 대응하는 마이크로스트립 선을 통해서 그 자체가 접속된 소자를 향하여 재주입된다. 얻어진 패턴은 네트워크와 방사원의 방사의 중첩이다. 단, 도 3에 있어서는, 패턴은 여기된 방사원의 위치에 따라서 상이한 방향으로 배향되며, 이것은 네트워크의 지향성 방사가 얻어짐에 따라서 도 2b에 도시된 시스템에 의해서 멀티-빔 시스템이 얻어질 수 있게 한다. 이 방사는 방사원의 방사를 최소화하기 위하여 네트워크 내에 능동 부품을 삽입함으로써 변형될 수 있다. 네트워크 및 방사원의 기여는 (강력한 +/- 결합하는) 방사원과 네트워크 간의 거리를 변화시킴으로써 또한 예를 들어 전송선의 레벨에서 네트워크 내로 쌍방향 증폭 회로를 삽입함으로써 변경될 수 있다. 그 결과, 네트워크가 여기 방사원보다 강한 기여를 지닐 것임을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것은 또한 증폭이 사슬의 더욱 상류에서 일어남에 따라 잡음에 대해서 수신 측에 있어서의 이점을 제공한다. 결과적으로 이것은 전체 장치의 신호 대 잡음비를 증가시킬 수 있다.
제2실시형태에서, 네트워크의 소자간 거리는 보다 낮다. 방사원들이 네트워크의 중심에 대해서 동일 거리에 배치되어 있으므로, 네트워크의 양극단의 소자들 간의 위상 및 진폭차는 따라서 줄어든다. 단,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얻어진 방사 패턴은 그들의 지향성에 관하여 더욱 강조된다. 사실상, 얻어진 최대 방사는, 방사원(S2), (S3)에 대해서 도시된 바와 같이, 방사원의 방향이 아니라 상이한 방향이다. 본 발명에 따른 멀티-빔 안테나의 시스템을 이용함으로써, 다수의 빔을 동시에 특정 방향에서 얻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이 시스템은 MIMO형 장치와 용이하게 통합될 수 있고, MIMO의 각 입력은 방사원(S1), (S2) 혹은 (S3) 중 하나에 혹은 빔 선택 장치를 통해서 접속되어 있다.
이하, 본 발명자들은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를 설명할 것이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예를 들어 3개의 전도성 층의 유형 FR4(εr=4.4, tanδ=0.02)의 다층 기판으로 구성된 기판(20) 상에, 4 "패치"형 방사 소자의 네트워크가 제작되어 있다. 패치(21a), (22a), (22b), (21b)는 기판 상에 인쇄된 반파 패치들(half-wave patches)로, 5.7㎓의 주파수에서 거리(λ0/2)만큼 서로 이간되어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들 패치는 동일한 전기적 길이의 전송선(21), (22)을 통해서 2개씩((21a)와 (21b), (22a)와 (22b)) 접속되어 있다. 이들 전송선은, 도시된 실시형태에서, 폭 2.69㎜, 두께 1.4㎜의 마이크로스트립 기술로 제조된 선을 통해서 구성되어 있다. 이들은 어떠한 교차도 피하기 위하여 기판의 양면 상에 배열되어 있고, 아래쪽에 있는 선이 금속화된 구멍을 통해서 네트워크 소자들에 접속되어 있다.
도 5의 실시형태에서, 방사원들은 주파수 5.7㎓ 및 직경 1㎜에서 길이 λ0/2의 두 다이폴(23), (24)에 의해 구성된다. 다이폴(23), (24)은 네트워크의 중심으로부터 1.1λ0의 거리 및 네트워크의 중심을 통해 통과하는 법선에 대해서 60°의 각도에서 위치결정되어 있다.
전술한 안테나 시스템의 시뮬레이션은 설명된 다른 실시형태에 대해서 이용되던 동일한 툴(tool)을 이용해서 수행되었다. 도 6a 및 도 7a는 다이폴(23)이 이용된 경우에 얻어진 방사 패턴을 도시하는 한편, 도 6b 및 도 7b는 다이폴(24)이 이용된 경우에 얻어진 방사 패턴을 도시하고 있다. 빔의 각도 편차는 선택된 공급원의 방향에서 이들 상이한 패턴 상에서 명백하게 보여질 수 있다.
이와 같이 해서, 하나 혹은 수개의 방사원에 근접한 장에서 Van Atta형 혹은 유사한 유형의 방사 소자들의 네트워크를 연결함으로써, 해당 네트워크의 거동이 완벽하게 역-지향성이 아니더라도, MIMO 장치에서 특별히 이용될 수 있는 멀티-빔 시스템을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Claims (9)

  1. N개의 방사 소자(radiating element)(11a, 11b, 12a, 12b, 21a, 21b, 22a, 22b)의 네트워크를 포함하되, 상기 N은 짝수이고, 상기 네트워크의 상기 소자들은 전송선(transmission line)(11, 12; 21, 22)을 통해서 2개씩 접속되어 있는 것인 멀티-빔 안테나 시스템으로서,
    M개의 방사원(radiating source)(S1, S2, S3; 23, 24)을 추가로 포함하되, 상기 M은 1과 동일하거나 혹은 1보다 큰 정수이며, 상기 방사원(들)은 각각 상기 네트워크의 중심으로부터의 거리(Li)에서 위치결정되어 있고, 해당 거리(Li)는 엄밀히 원거리 장(far field)이라 불리는 장(field)의 거리 미만이며, 상기 Li 중의 i는 1 내지 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빔 안테나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의 상기 소자들은 동일한 전기적 길이(electrical length)를 지니는 전송선을 통해서 대칭적으로 2개씩 접속되어 있고, 방사원의 개수는 엄격하게 1보다 많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빔 안테나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멀티-빔 안테나 시스템은 방사원을 포함하고, 빔들의 지향성(directivity)은 상기 전송선들 중 적어도 하나 내로 통합(integrating)됨으로써 얻어지며, 능동 회로(active circuit) 혹은 수동 회로(passive circuit)에 의해 상기 전송선의 위상차를 변경시키는 것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빔 안테나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능동 회로는 하이브리드 결합기들(hybrid couplers) 또는 필터들 중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빔 안테나 시스템.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수동 회로는 수동 필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빔 안테나 시스템.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의 상기 방사 소자들은 모노폴들(monopoles), 패치들(patches), 슬롯들(slots) 또는 혼 안테나들(horn antennas) 중에서 선택된 소자들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빔 안테나 시스템.
  7.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방사원들은 모노폴들, 다이폴들(dipoles), 패치들, 슬롯들 또는 혼 안테나들 중에서 선택된 방사원들(sources)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빔 안테나 시스템.
  8.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이 수개의 방사원을 지닐 경우, 해당 방사원들 중 하나는 상기 방사 소자들의 네트워크의 대칭축을 따라서 위치결정되고, 나머지 방사원들은 각도(θi)만큼 어긋나 있으며(offset), 상기 θi 중의 i는 2 내지 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빔 안테나 시스템.
  9.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이 수개의 방사원을 지닐 경우, 해당 방사원들은 상기 네트워크의 중심축에 대해서 대칭이면서 각도(θi)만큼 어긋나 있으며, 상기 θi 중의 i는 2 내지 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빔 안테나 시스템.
KR1020110129028A 2010-12-08 2011-12-05 멀티―빔 안테나 시스템 KR10187411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1060239 2010-12-08
FR1060239A FR2968846A1 (fr) 2010-12-08 2010-12-08 Systeme d'antennes multifaisceaux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64029A KR20120064029A (ko) 2012-06-18
KR101874117B1 true KR101874117B1 (ko) 2018-07-03

Family

ID=442235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29028A KR101874117B1 (ko) 2010-12-08 2011-12-05 멀티―빔 안테나 시스템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8773318B2 (ko)
EP (1) EP2463957B1 (ko)
JP (1) JP5836097B2 (ko)
KR (1) KR101874117B1 (ko)
CN (1) CN102544772B (ko)
BR (1) BRPI1107131B1 (ko)
FR (1) FR296884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968847A1 (fr) * 2010-12-08 2012-06-15 Thomson Licensing Systeme d'antennes multifaisceaux compact
CN105098383B (zh) 2014-05-14 2019-01-25 华为技术有限公司 多波束天线系统及其相位调节方法和双极化天线系统
EP3185359B1 (en) 2014-09-22 2019-11-06 Huawei Technologies Co. Ltd. Antenna system
RU2617794C2 (ru) * 2015-08-25 2017-04-26 федеральное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е автономное образовательное учреждение высшего образования "Южный федеральный университет" (Южный федеральный университет) Приемопередающая антенная решетка модуля позиционирования и дальней связи мобильного многофункционального аппаратно-программного комплекса длительного кардиомониторирования и эргометрии
RU2617796C2 (ru) * 2015-08-25 2017-04-26 федеральное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е автономное образовательное учреждение высшего образования "Южный федеральный университет" (Южный федеральный университет) Антенная решетка наклонной поляризации модуля позиционирования и дальней связи мобильного многофункционального аппаратно-программного комплекса длительного кардиомониторирования и эргометрии
KR101721102B1 (ko) * 2015-12-29 2017-03-29 국방과학연구소 안테나를 포함하는 Van-atta 배열
WO2021255594A1 (en) * 2020-06-16 2021-12-23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Patterned article including metallic bodies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68088A (ja) 2005-09-02 2007-03-15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応答器
WO2008126857A1 (ja) 2007-04-10 2008-10-23 Nec Corporation マルチビームアンテナ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958282A (ko) 1950-03-06
US2908002A (en) 1955-06-08 1959-10-06 Hughes Aircraft Co Electromagnetic reflector
US3757335A (en) * 1968-02-29 1973-09-04 Ibm Communication and control system
US3731313A (en) * 1971-09-09 1973-05-01 Tokyo Shibaura Electric Co Van-atta array antenna device
US3755815A (en) * 1971-12-20 1973-08-28 Sperry Rand Corp Phased array fed lens antenna
JPH07198838A (ja) * 1993-10-08 1995-08-01 Westinghouse Electric Corp <We> 自動車用ナビゲーション装置
US5479176A (en) * 1994-10-21 1995-12-26 Metricom, Inc. Multiple-element driven array antenna and phasing method
CN1788389A (zh) * 2002-02-01 2006-06-14 Ipr特许公司 非周期阵列天线
US8466776B2 (en) * 2010-07-01 2013-06-18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Administrator Of The National Aeronautics And Space Administration Extended range passive wireless tag system and method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68088A (ja) 2005-09-02 2007-03-15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応答器
WO2008126857A1 (ja) 2007-04-10 2008-10-23 Nec Corporation マルチビームアンテナ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BRPI1107131B1 (pt) 2021-11-03
FR2968846A1 (fr) 2012-06-15
CN102544772A (zh) 2012-07-04
CN102544772B (zh) 2016-08-03
JP2012124901A (ja) 2012-06-28
EP2463957B1 (en) 2019-10-09
US8773318B2 (en) 2014-07-08
BRPI1107131A2 (pt) 2015-07-28
EP2463957A1 (en) 2012-06-13
US20120146879A1 (en) 2012-06-14
JP5836097B2 (ja) 2015-12-24
KR20120064029A (ko) 2012-06-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74117B1 (ko) 멀티―빔 안테나 시스템
US9853485B2 (en) Antenna for wireless charging systems
US8854270B2 (en) Hybrid multi-antenna system and wireless communication apparatus using the same
CN102255119B (zh) 一种投影人工磁镜
KR101727846B1 (ko) 옥내 애플리케이션용 밀리미터파 조준선 다중 입출력 통신 시스템
JP5548779B2 (ja) アンテナ装置
US20110090131A1 (en) Printed Dual-Band Yagi-Uda Antenna and Circular Polarization Antenna
CN103367918B (zh) 一种基于准表面等离子体波导的频率扫描阵列天线
Oh et al. Compact, low profile, common aperture polarization, and pattern diversity antennas
JP2006033837A (ja) 広帯域の無指向性放射装置
CN111987435A (zh) 一种低剖面双极化天线、阵列天线及无线通信设备
Rahim et al. UWB monopole antenna with circular polarization
EP1267446A1 (en) Device for the reception and/or the transmission of electromagnetic signals with radiation diversity
Tan et al. A wideband beamforming antenna array for 802.11 ac and 4.9 GHz in modern transportation market
KR20160042740A (ko) 안테나, 안테나 패키지 및 통신 모듈
Cao et al. Multi‐beam SIW leaky‐wave antenna with 2‐D beam scanning capability for millimeter‐wave radar applications
EP3459141A1 (en) Communications antenna with dual polarization
JP2007074098A (ja) アンテナ装置
CN114221109A (zh) 一种宽带高增益磁电偶极子透射阵天线单元及透射阵天线
Isaac et al. Miniaturised MIMO antenna array of two vertical monopoles embedded inside a planar decoupling network for the 2.4 GHz ISM band
CN110546761A (zh) 用于无线设备应用的体积天线元件的超级定向阵列
KR102039398B1 (ko) 복수의 주파수 대역에서 동작하는 통합 안테나
CN102570052B (zh) 多波束天线的紧凑系统
Vasina et al. Beam‐and polarisation‐reconfigurable SIW ring‐slot antenna array
Jeong et al. Printed dipole antenna array with reconfigurable feeding network for wide elevation angle of U2X communication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