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73897B1 - 콘텐츠 제작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콘텐츠 제작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73897B1
KR101873897B1 KR1020160166805A KR20160166805A KR101873897B1 KR 101873897 B1 KR101873897 B1 KR 101873897B1 KR 1020160166805 A KR1020160166805 A KR 1020160166805A KR 20160166805 A KR20160166805 A KR 20160166805A KR 101873897 B1 KR101873897 B1 KR 1018738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nt
input button
generated
user
in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668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65656A (ko
Inventor
전수영
권지용
이원규
Original Assignee
스타십벤딩머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타십벤딩머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스타십벤딩머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668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73897B1/ko
Priority to PCT/KR2017/014410 priority patent/WO2018106069A1/ko
Publication of KR201800656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656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738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738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5Assembly of content; Generation of multimedia applications
    • H04N21/854Content authoring

Abstract

본 발명은 콘텐츠 제작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제 1 측면에 따르면, 콘텐츠를 제작하는 콘텐츠제작장치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의 제작에 이용되는 콘텐츠인 콘텐츠객체가 매칭되는 적어도 하나의 입력버튼을 포함하는 제작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제작인터페이스제공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입력버튼에 발생된 사용자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콘텐츠 제작에 이용되는 콘텐츠객체를 편집하는 콘텐츠편집부 및 편집된 콘텐츠객체를 기초로 상기 콘텐츠를 생성하는 콘텐츠생성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콘텐츠 제작 방법 및 장치{APPARATUS AND METHOD FOR CREATING CONTENTS}
본 발명은 콘텐츠 제작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영상, 음향 또는 이미지 등의 콘텐츠를 제작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객체를 선택하고, 선택된 콘텐츠객체를 기초로 새로운 콘텐츠를 생성 편집하는 콘텐츠 제작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스마트폰과 같은 개인용 휴대장치가 보급됨에 따라 이를 이용한 다양한 서비스가 제공되고 있다.
특히, 블로그 또는 SNS와 같은 서비스가 제공되고, 스마트폰의 카메라 또는 데이터 처리 성능이 향상됨에 따라 과거 특정인이 콘텐츠를 생산하여 불특정 다수에게 일방적으로 배포하는 것이 아닌 콘텐츠를 소비하던 개인이 콘텐츠를 생산하는 것이 일반화되었다.
이와 같은 콘텐츠 제작환경의 변화에 따라 콘텐츠 제작을 위한 다양한 애플리케이션이 개발되어 서비스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애플리케이션들은 과거 콘텐츠를 생산하는 전문가가 사용하던 다양한 기능을 제공함에 따라 일반인들이 콘텐츠를 제작하는 것이 직관적이지 않아 쉽게 사용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와 관련하여 한국공개특허공보 제 10-2011-0043936 호는 이러닝 콘텐츠 자가 제작 시스템과 방법에 관한 것으로 동체 추적 카메라로 강사 스스로 자신의 강의를 촬영하고 e-러닝 강의를 모니터상에서 실시간 지정국 언어로 변환하여 자막으로 현출하며, 기존의 칠판이나 전자칠판에 의한 동적 설명을 비동적 전자차트로 대치함으로써 e-러닝의 다국어 서비스를 구현할 뿐, 상술된 문제점을 해결하지 못한다.
따라서 상술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기술이 필요하게 되었다.
한편, 전술한 배경기술은 발명자가 본 발명의 도출을 위해 보유하고 있었거나, 본 발명의 도출 과정에서 습득한 기술 정보로서, 반드시 본 발명의 출원 전에 일반 공중에게 공개된 공지기술이라 할 수는 없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사용자가 선택한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를 직관적인 사용자인터페이스를 통해 쉽게 편집할 수 있는 콘텐츠 제작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간단한 조작방법으로 콘텐츠를 제작에 필요한 시각 또는 청각 효과를 부가할 수 있는 콘텐츠 제작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제 1 측면에 따르면, 콘텐츠를 제작하는 콘텐츠제작장치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콘텐츠객체가 각각 매칭되는 적어도 하나의 입력버튼을 포함하는 제작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제작인터페이스제공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입력버튼에 발생된 사용자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콘텐츠객체를 편집하는 콘텐츠편집부 및 편집된 콘텐츠객체를 기초로 상기 콘텐츠를 생성하는 콘텐츠생성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2 측면에 따르면, 콘텐츠제작장치가 콘텐츠를 제작하는 방법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콘텐츠객체가 각각 매칭되는 적어도 하나의 입력버튼을 포함하는 제작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입력버튼에 발생된 사용자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콘텐츠객체를 편집하는 단계 및 편집된 콘텐츠객체를 기초로 상기 콘텐츠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사용자가 선택한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를 직관적인 사용자인터페이스를 통해 쉽게 편집할 수 있는 콘텐츠 제작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간단한 조작방법으로 콘텐츠를 제작에 필요한 시각 또는 청각 효과를 부가할 수 있는 콘텐츠 제작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콘텐츠제작장치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 내지 도 5 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콘텐츠제작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6 내지 도 9 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콘텐츠제작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이를 설명하기에 앞서, 아래에서 사용되는 용어들의 의미를 먼저 정의한다.
이하에서 ‘콘텐츠’는 사람의 시각 또는 청각 중 적어도 하나로 인식되는 정보로 구성되는 데이터로 예를 들어, 이미지, 영상 또는 음악 등이 포함될 수 있다.
그리고 ‘콘텐츠객체’는 상술된 콘텐츠를 제작하는데 이용되는 콘텐츠로 이미지, 영상 또는 음악 등이 포함될 수 있으며, 콘텐츠제작장치(10)를 통해 촬영되는 영상 또는 타 콘텐츠제작장치에 의해 촬영되어 수신되는 영상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위에 정의한 용어 이외에 설명이 필요한 용어는 아래에서 각각 따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콘텐츠제작장치(10)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콘텐츠제작장치(10)는, 제작인터페이스를 구성하는 복수의 입력버튼에 각각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 또는 네트워크를 통해 타 서버로부터 수신되는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를 매칭하고, 각 입력버튼에 대해 사용자입력이 발생된 시점 또는 사용자입력의 유지시간에 기초하여 기 설정된 방법으로 각 입력버튼에 매칭된 콘텐츠객체를 편집하여 새로운 콘텐츠의 제작을 할 수 있다.
이러한 콘텐츠제작장치(10)는 콘텐츠 제작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된 전자단말기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콘텐츠제작장치(10)는 서버-클라이언트 시스템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서버-클라이언트 시스템으로 콘텐츠제작장치(10)가 구현된다면 콘텐츠제작장치(10)는 사용자와의 인터랙션을 위한 클라이언트가 설치된 전자단말기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전자단말기는, 사용자와의 인터랙션이 가능한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는 컴퓨터나 휴대용 단말기, 텔레비전,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등을 포함하고, 휴대용 단말기는 예를 들어,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무선 통신 장치로서,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스마트폰(Smart Phone), 모바일 WiMAX(Mobile Worldwide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텔레비전은 IPTV(Internet Protocol Television), 인터넷 TV(Internet Television), 지상파 TV, 케이블 TV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예를 들어, 시계, 안경, 액세서리, 의복, 신발 등 인체에 직접 착용 가능한 타입의 정보처리장치로서, 직접 또는 다른 정보처리장치를 통해 네트워크를 경유하여 원격지의 서버에 접속하거나 타 단말과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서버-클라이언트 시스템의 서버는, 클라이언트가 설치된 전자단말기와 네트워크를 통해 통신이 가능한 컴퓨팅장치로 구현될 수 있으며,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저장장치가 포함될 수 있거나 또는 제 3 의 서버(미도시)를 통해 데이터를 저장할 수도 있다.
상술된 바와 같은 전자단말기 또는 서버-클라이언트 시스템 중 어느 하나의 형태로 구현되는 콘텐츠제작장치(10)는 제작인터페이스제공부(110), 콘텐츠편집부(120) 및 콘텐츠생성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우선, 콘텐츠제작장치(10)는 제작인터페이스제공부(110)를 포함할 수 있다. 제작인터페이스제공부(110)는 콘텐츠 제작에 이용되는 콘텐츠객체가 매칭되는 적어도 하나의 입력버튼으로 구성되는 제작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제작인터페이스제공부(110)는 콘텐츠객체에 의해 제작되는 콘텐츠를 실시간으로 출력하는 출력영역을 제작인터페이스의 일 영역에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제작인터페이스제공부(110)는 적어도 하나의 입력버튼 각각에 매칭될 콘텐츠객체에 대해 사용자로부터 선택받을 수 있다.
이때 사용자로부터 선택된 콘텐츠객체는 콘텐츠제작장치(10)에 저장된 콘텐츠이거나 또는 네트워크(N)를 통해 타 콘텐츠제작장치 또는 제 3 의 서버로부터 제공되는 콘텐츠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작인터페이스제공부(110)는 사용자로부터 제작인터페이스를 통해 제공되는 적어도 하나의 입력버튼 중 어느 하나를 선택받으면, 콘텐츠제작장치(10)에 저장된 콘텐츠를 제공하거나 또는 사용자가 콘텐츠객체를 생성할 수 있도록 구비된 카메라의 동작버튼을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가 어느 하나의 콘텐츠객체를 선택하면, 제작인터페이스제공부(110)는 선택받은 입력버튼에 선택된 콘텐츠객체를 썸네일(Thumb nail)형태로 표시할 수 있다.
또는 예를 들어, 제작인터페이스제공부(110)는 제 1 콘텐츠제작장치와 네트워크(N)로 연결된 제 2 콘텐츠제작장치로부터 제공되는 콘텐츠객체를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도록 제공할 수 있고, 선택된 제 2 콘텐츠제작장치의 콘텐츠객체를 제작인터페이스를 구성하는 각 입력버튼에 매칭하여 표시할 수 있다.
한편, 콘텐츠제작장치(10)는 콘텐츠편집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콘텐츠편집부(120)는 적어도 하나의 입력버튼에 발생된 사용자입력에 기초하여, 콘텐츠 제작에 이용되는 콘텐츠객체를 편집할 수 있다.
즉, 콘텐츠편집부(120)는 사용자입력이 발생된 입력버튼의 개수 또는 발생된 사용자입력의 유지 시간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콘텐츠생성부(130)로 제공되는 콘텐츠객체를 기 설정된 방법에 따라 변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콘텐츠편집부(120)는 콘텐츠객체의 색을 반전하거나 복수의 콘텐츠객체를 합성 등을 통해 콘텐츠객체를 변환하거나 또는 서로 다른 콘텐츠객체가 매칭된 2개의 입력버튼에 사용자입력이 동시에 발생되면, 콘텐츠편집부(120)는 2개 입력버튼 각각에 매칭된 콘텐츠객체를 중첩할 수 있다.
또는 예를 들어, 입력버튼에 기 설정된 시간이상 사용자입력이 발생되면, 콘텐츠편집부(120)는 사용자입력이 발생된 입력버튼에 매칭되는 콘텐츠객체의 상하를 반전할 수도 있다.
그리고 콘텐츠편집부(120)는 변환된 콘텐츠객체를 편집할 수 있다.
하나의 실시예에 따라, 콘텐츠편집부(120)는 콘텐츠를 구성하는 콘텐츠객체인 바탕객체를 사용자로부터 설정받을 수 있고, 설정받은 바탕객체에 사용자입력이 발생된 입력버튼에 매칭된 콘텐츠객체를 결합할 수 있다.
즉, 상술된 제작인터페이스제공부(110)를 통해 제공된 복수의 입력버튼 중 어느 하나에 사용자입력이 발생되면, 콘텐츠편집부(120)는 사용자입력이 발생된 입력버튼에 매칭된 콘텐츠객체를 바탕객체로써 설정할 수 있고, 각 입력버튼에 발생되는 사용자입력에 따라 설정된 바탕객체에 콘텐츠객체를 중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콘텐츠편집부(120)는 사용자로부터 아기 이미지를 바탕객체로써 선택받을 수 있고, 사용자입력이 발생한 입력버튼에 매칭되는 콘텐츠객체를 아기 이미지의 일 영역에 겹쳐서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콘텐츠편집부(120)는 바탕객체에 겹쳐서 표시할 콘텐츠객체의 위치를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위치 또는 기 설정된 위치 중 어느 하나의 위치에 표시할 수 있다.
또는 예를 들어, 콘텐츠편집부(120)는 사용자로부터 영상을 바탕객체로써 선택받을 수 있고, 영상이 플레이되는 중 입력버튼에 사용자입력이 발생되면, 입력버튼에 사용자입력이 발생된 시점의 영상에 입력버튼에 매칭되는 콘텐츠객체를 중첩하여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영상은 콘텐츠제작장치(10)에 저장된 영상이거나 또는 콘텐츠제작장치(10)에 구비된 카메라를 통해 촬영되는 영상일 수 있으며, 네트워크(N)를 통해 타 콘텐츠제작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영상일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 콘텐츠편집부(120)는 적어도 하나의 입력버튼 각각에 사용자입력이 발생되는 순서에 따라 사용자입력이 발생된 입력버튼에 매칭된 콘텐츠객체를 전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2 사용자입력이 발생되면, 콘텐츠편집부(120)는 제 1 사용자입력이 발생된 입력버튼에 매칭되는 제 1 콘텐츠객체에서 제 2 사용자입력이 발생된 입력버튼에 매칭되는 제 2 콘텐츠객체로 전환할 수 있다.
이때, 실시예에 따라 콘텐츠편집부(120)는 사용자입력이 발생하는 순서에 따라 콘텐츠객체를 기 설정된 방법 예를 들어 페이드 인아웃(fade-in out)등의 방법으로 순차적으로 전환하며 콘텐츠객체를 편집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사용자가 입력버튼을 클릭하는 것만으로 입력버튼에 매칭되는 콘텐츠객체를 다양하게 변형하여 편집할 수 있다.
한편, 콘텐츠제작장치(10)는 콘텐츠생성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콘텐츠생성부(130)는 콘텐츠객체를 기초로 콘텐츠를 생성할 수 있다.
즉, 콘텐츠제작장치(10)는 콘텐츠편집부(120)로부터 편집되는 콘텐츠객체를 이용하여 콘텐츠를 생성할 수 있다.
하나의 실시예에 따라, 콘텐츠생성부(130)는 콘텐츠편집부(120)로부터 콘텐츠객체가 중첩된 바탕객체를 기초로 콘텐츠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콘텐츠편집부(120)가 콘텐츠제작장치(10)의 카메라에 의해 촬영되는 영상에 사용자입력이 발생한 콘텐츠객체인 이모티콘이 실시간으로 중첩하면, 콘텐츠생성부(130)는 이모티콘이 중첩된 영상을 콘텐츠로 실시간 생성할 수 있다.
또는 예를 들어, 콘텐츠편집부(120)가 바탕객체인 이미지에 사용자입력이 발생한 콘텐츠객체인 스티커를 실시간으로 중첩하면, 콘텐츠생성부(130)는 스티커가 중첩된 이미지를 콘텐츠로 생성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콘텐츠생성부(130)는 사용자입력이 발생된 순서에 따라 전환되는 콘텐츠객체를 순차적으로 나열하여 콘텐츠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콘텐츠생성부(130)는 제 1 입력버튼에 발생되는 사용자입력에 따라 제 1 입력버튼에 매칭된 제 1 콘텐츠객체를 기 설정된 방법에 따라 변환할 수 있고, 변환된 제 1 콘텐츠객체를 포함하는 콘텐츠를 생성할 수 있다.
이후, 사용자입력이 제 2 입력버튼에 발생되어 콘텐츠객체가 전환되면, 콘텐츠생성부(130)는 제 1 콘텐츠객체에 이어서 제 2 콘텐츠객체를 포함시켜 콘텐츠를 생성할 수 있다.
이때, 콘텐츠생성부(130)는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입력에 의해 콘텐츠에 포함되는 콘텐츠객체와 병렬적으로 바탕객체를 포함시켜 콘텐츠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콘텐츠생성부(130)는 배경음악을 바탕객체로 사용자로부터 선택받을 수 있고, 배경음악과 함께 사용자입력에 따른 콘텐츠객체를 포함하는 콘텐츠를 생성할 수 있다.
이렇게 함으로써 사용자는 콘텐츠객체가 매칭된 입력버튼을 누르는 간단한 조작만으로 다양한 효과가 적용된 콘텐츠객체를 배경음악에 따라 실시간으로 편집하여 영상을 제작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5 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제작방법은 도 2 에 도시된 콘텐츠제작장치(10)에서 시계열적으로 처리되는 단계들을 포함한다. 따라서, 이하에서 생략된 내용이라고 하더라도 도 2 에 도시된 콘텐츠제작장치(10)에 관하여 이상에서 기술한 내용은 도 3 내지 도 5 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제작방법에도 적용될 수 있다.
우선, 콘텐츠제작장치(10)는 콘텐츠의 제작에 이용되는 콘텐츠인 콘텐츠객체가 매칭되는 적어도 하나의 입력버튼을 포함하는 제작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S2001).
예를 들어, 콘텐츠제작장치(10)는 사용자입력에 따라 콘텐츠객체가 매칭되는 적어도 하나의 입력버튼과 생성되는 콘텐츠가 표시되는 콘텐츠표시창이 포함된 제작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도 6 은 제작인터페이스가 콘텐츠제작장치(10)에 표시된 예시도로 이를 참조하면, 콘텐츠제작장치(10)는 콘텐츠객체(601)가 매칭되는 복수의 입력버튼(602)과 입력버튼에 발생되는 사용자입력에 따라 선택된 콘텐츠객체에 의해 제작되는 콘텐츠가 표시되는 콘텐츠표시창(603)을 포함하는 제작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콘텐츠제작장치(10)는 사용자로부터 제작인터페이스를 통해 제공되는 적어도 하나의 입력버튼에 매칭되는 콘텐츠객체를 선택받을 수 있다(S2002).
하나의 실시예에 따라, 콘텐츠제작장치(10)는 콘텐츠제작장치(10)에 저장되어 있는 콘텐츠객체를 제공할 수 있고,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콘텐츠객체를 입력버튼에 매칭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콘텐츠제작장치(10)는 기 저장된 영상, 이미지 또는 음악을 콘텐츠객체로써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고, 사용자로부터 각 입력버튼에 매칭되는 콘텐츠객체를 설정받을 수 있다.
도 6 을 참조하면, 콘텐츠제작장치(10)는 제 1 입력버튼에 ‘아기영상(601)’, 제 2 입력버튼에 ‘솔방울 스티커’(604) 그리고 제 3 입력버튼에 ‘크리스마스 스티커’(605)를 각각 선택받아 매칭시킬 수 있고, 각 콘텐츠객체의 썸네일을 입력버튼에 표시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콘텐츠제작장치(10)는 각 입력버튼에 매칭되는 콘텐츠객체로써 콘텐츠제작장치(10)와 네트워크(N)로 연결된 타 콘텐츠제작장치로부터 전송되는 콘텐츠객체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콘텐츠제작장치(10)는 사용자로부터 각 입력버튼에 매칭될 타 콘텐츠제작장치를 선택받을 수 있고, 콘텐츠제작장치(10)는 입력버튼에 사용자로부터 선택받은 타 콘텐츠제작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영상을 콘텐츠객체로써 매칭시킬 수 있다.
그리고 콘텐츠제작장치(10)는 적어도 하나의 입력버튼에 발생된 사용자입력에 매칭되는 콘텐츠객체를 기초로, 상기 사용자입력에 따라 콘텐츠객체를 편집할 수 있다(S2003).
하나의 실시예로 콘텐츠제작장치(10)는 입력버튼에 발생되는 사용자입력에 따라 콘텐츠객체를 기 설정된 방법에 따라 편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제 1 콘텐츠객체가 매칭된 제 1 입력버튼을 클릭한 상태로 제 2 콘텐츠객체가 매칭된 제 2 입력버튼을 동시에 클릭하는 경우, 콘텐츠제작장치(10)는 제 1 콘텐츠객체와 제 2 콘텐츠객체를 중첩되도록 편집할 수 있다.
또는 예를 들어, 콘텐츠제작장치(10)는 제 1 콘텐츠객체와 제 2 콘텐츠객체를 일정한 시간 간격으로 교차되어 표시되도록 편집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 콘텐츠제작장치(10)는 사용자입력에 따라 콘텐츠객체를 중첩하여 편집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콘텐츠제작장치(10)는 사용자입력이 발생된 입력버튼에 매칭된 콘텐츠객체와 결합하여 콘텐츠를 구성하는 콘텐츠객체인 바탕객체를 사용자로부터 설정받을 수 있다.
그리고 콘텐츠제작장치(10)는 설정된 바탕객체에 사용자입력이 발생된 입력버튼에 매칭된 콘텐츠객체를 중첩하여 표시되도록 바탕객체를 편집할 수 있다. 이때, 실시예에 따라, 콘텐츠제작작장치(10)는 사용자로부터 바탕객체에 중첩될 콘텐츠객체의 크기 또는 위치 등을 설정받을 수 있다.
이후, 콘텐츠제작장치(10)는 편집된 콘텐츠객체를 기초로 콘텐츠를 생성할 수 있다(S2004).
즉, 콘텐츠제작장치(10)는 S2003단계에서 편집되는 콘텐츠객체를 기초로 실시간으로 콘텐츠를 제작할 수 있다.
하나의 실시예에 따라, 콘텐츠제작장치(10)는 S2003단계에서 사용자입력이 발생한 순서에 따라 편집되는 콘텐츠객체를 기초로 콘텐츠를 생성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콘텐츠제작장치(10)는 S2003 단계에서 콘텐츠객체가 중첩되도록 편집된 바탕객체를 기초로 콘텐츠를 생성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5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제작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이하에서는 도 3 내지 도 5 를 참조하여 콘텐츠제작방법을 각 실시예에 따라 설명한다. 다만,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 2 에서 중복되는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3 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제작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이를 참조하면, 콘텐츠제작장치(10)는 제작인터페이스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으며(S3001), 사용자로부터 제작인터페이스에 포함된 입력버튼에 매칭될 콘텐츠객체를 선택받을 수 있다(S3002).
이때, 콘텐츠객체는 콘텐츠제작장치(10)에 저장된 콘텐츠객체 또는 콘텐츠제작장치(10)에 구비된 카메라 또는 마이크를 통해 촬영되거나 녹음된 콘텐츠객체일 수 있으며, 이와 달리 콘텐츠제작장치(10)와 네트워크(N)로 연결된 타 콘텐츠제작장치로부터 제공되는 콘텐츠객체일 수 있다.
그리고 콘텐츠제작장치(10)는 입력버튼에 매칭된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객체 중 어느 하나를 바탕객체로 사용자로부터 선택받을 수 있다(S3003).
하나의 실시예에 따라, 콘텐츠제작장치(10)는 콘텐츠제작장치(10)에 저장된 영상을 바탕객체로 선택받을 수 있다.
도 6 을 참조하면, 콘텐츠제작장치(10)는 제 1 입력버튼에 매칭된 ‘아기영상’(601)을 바탕객체로 선택받을 수 있고, 선택된 ‘아기영상’(601)은 콘텐츠표시창(603)에 표시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콘텐츠제작장치(10)는 콘텐츠제작장치(10)에 구비된 카메라로부터 실시간으로 촬영되는 영상 또는 타 콘텐츠제작장치(10)로부터 실시간으로 촬영되어 전송되는 영상을 바탕객체로 선택받을 수 있다.
도 7 은 실시간으로 촬영되는 영상을 바탕객체로 설정한 예시도로 이를 참조하면, 콘텐츠제작장치(10)는 제 1 입력버튼에 매칭된 카메라를 바탕객체로 선택받을 수 있고, 카메라로부터 촬영되는 영상(701)이 콘텐츠표시창(702)에 표시될 수 있다.
그리고 콘텐츠제작장치(10)는 사용자입력에 따라 각 입력버튼에 매칭된 콘텐츠객체를 바탕객체에 중첩할 수 있다(S3004).
이때, 실시예에 따라, 콘텐츠제작장치(10)는 사용자로부터 콘텐츠객체가 중첩될 바탕객체의 위치 또는 크기 등을 설정받을 수 있다.
도 7 을 참조하면, 콘텐츠제작장치(10)는 영상(701)이 표시된 콘텐츠표시창(702)의 콘텐츠객체가 중첩될 중첩영역을 설정할 수 있도록 설정인터페이스(703)를 제공할 수 있고, 설정인터페이스(703) 통해 사용자가 영역의 각 지점(704)을 조절함으로써 영역의 크기 또는 위치를 설정받을 수 있다.
그리고 콘텐츠제작장치(10)는 사용자입력이 발생된 입력버튼에 매칭된 콘텐츠객체를 바탕객체에 중첩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바탕객체인 영상이 재생되는 동안에 사용자입력이 발생되면, 콘텐츠제작장치(10)는 사용자입력이 발생된 때의 영상 프레임에 콘텐츠객체를 중첩할 수 있고, 입력버튼에 사용자입력이 유지되는 시간동안의 영상 프레임에 콘텐츠객체를 중첩할 수 있다.
또는 이와 달리 콘텐츠제작장치(10)는 일시적인 사용자입력이 발생하여도 사용자입력이 발생된 입력버튼에 매칭된 콘텐츠객체를 기 설정된 시간동안 영상에 중첩할 수 있다
도 6 을 참조하면, 콘텐츠제작장치(10)는 아기영상(606)이 재생되는 동안 사용자입력이 발생한 입력버튼(604, 605) 각각에 매칭된 ‘솔방울 스티커’(606)와 ‘크리스마스 스티커’를 아기영상(607)에 입력버튼(604, 605)에 대한 사용자입력이 유지되는 동안 중첩할 수 있다.
또는 도 7 을 참조하면, 콘텐츠제작장치(10)는 콘텐츠객체인 ‘안녕하세요’(705)를 바탕객체인 영상(701)에 기 설정된 시간동안 중첩하여 표시할 수 있다.
이후, 콘텐츠제작장치(10)는 콘텐츠객체가 중첩된 바탕객체를 기초로 콘텐츠를 생성할 수 있다(S3005).
즉, 콘텐츠제작장치(10)는 콘텐츠표시창을 통해 S3004단계를 통해 콘텐츠객체가 중첩된 바탕객체가 표시되면, 표시된 바탕객체를 저장함으로써 콘텐츠를 생성할 수 있다.
도 4 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제작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이를 참조하면, 콘텐츠제작장치(10)는 제작인터페이스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으며(S4001), 사용자로부터 제작인터페이스에 포함된 입력버튼에 매칭될 콘텐츠객체를 선택받을 수 있다(S4002).
그리고 콘텐츠제작장치(10)는 사용자입력에 기초하여, 콘텐츠객체를 기 설정된 방법에 따라 변환할 수 있다(S4003).
즉, 콘텐츠제작장치(10)는 사용자입력이 발생된 입력버튼의 수, 입력버튼의 위치 및 사용자입력의 유지시간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입력버튼에 매칭된 콘텐츠객체를 기 설정된 방법에 따라 변환할 수 있다.
하나의 실시예에 따라 콘텐츠제작장치(10)는 사용자입력이 발생된 적어도 하나의 입력버튼 각각에 매칭된 콘텐츠객체를 조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입력버튼과 제 2 입력버튼에 사용자입력이 동시에 발생되면, 콘텐츠제작장치(10)는 제 1 입력버튼 및 제 2 입력버튼 각각에 매칭된 콘텐츠객체로부터 일부영역을 추출하여 조합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콘텐츠제작장치(10)는 사용자입력의 유지시간에 따라 콘텐츠객체의 표시방법을 변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입력버튼에 발생된 사용자입력이 3초를 초과하여 유지되는 경우, 콘텐츠제작장치(10)는 사용자입력이 발생된 때로부터 3초 동안 콘텐츠객체를 변환하지 않지만, 3초가 초과되면 콘텐츠객체를 상하 반전 또는 좌우 반전 등과 같이 변환할 수 있다.
그리고 콘텐츠제작장치(10)는 S4003단계를 통해 변환된 콘텐츠객체를 기초로 콘텐츠를 생성할 수 있다(S4004).
즉, 콘텐츠제작장치(10)는 사용자입력이 발생한 순서에 따라 제작인터페이스를 통해 표시되는 콘텐츠객체를 콘텐츠로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콘텐츠제작장치(10)는 제작인터페이스의 객체표시창을 통해 표시되는 콘텐츠객체를 실시간으로 저장함으로써 콘텐츠를 생성할 수 있다.
도 8 은 복수의 타 콘텐츠제작장치(10)로부터 제공되는 콘텐츠객체가 표시된 제작인터페이스를 표시한 예시도이다.
이를 참조하면, 콘텐츠제작장치(10)는 S4002단계에서 각 입력버튼에 매칭된 콘텐츠객체로 타 콘텐츠제작장치로부터 촬영되는 영상(801, 802, 803, 804, 805, 806)을 매칭할 수 있다. 그리고 제 1 입력버튼에 사용자입력이 발생되면, 콘텐츠제작장치(10)는 제 1 입력버튼에 매칭된 제 1 영상(801)이 콘텐츠표시창(803)에 표시할 수 있고, 콘텐츠표시창(807)에 표시된 제 1 영상(801)을 포함하여 콘텐츠를 생성할 수 있다.
이때, 실시예에 따라 콘텐츠제작장치(10)는 사용자가 제 1 입력버튼에 사용자입력이 지속되는 시간동안 제 1 영상(801)을 콘텐츠에 포함하거나 또는 사용자가 제 1 입력버튼에 사용자입력을 한 후 제 2 입력버튼에 사용자입력을 가하기 전까지 제 1 영상(801)을 콘텐츠에 포함시킬 수 있다.
이후, 콘텐츠제작장치(10)는 사용자입력에 따라 생성되는 콘텐츠에 포함될 콘텐츠객체를 전환할 수 있다(S4005).
즉, 제 1 입력버튼에 발생된 사용자입력이 제 2 입력버튼에 발생되면, 콘텐츠제작장치(10)는 제 1 입력버튼에 매칭된 제1 콘텐츠객체에서 제 2 입력버튼에 매칭된 제 2 콘텐츠객체로 전환할 수 있고, S4004단계에서 생성되는 콘텐츠에 포함되는 제 1 콘텐츠객체를 제 2 콘텐츠객체로 전환하여 콘텐츠를 생성할 수 있다.
도 8 을 참조하면, 제 1 입력버튼에 매칭된 제 1 영상(801)이 매칭된 제 1 입력버튼에 발생된 사용자입력이 제 2 입력버튼에 발생되면, 콘텐츠제작장치(10)는 콘텐츠표시창(807)에 표시된 제 1 영상(801)을 제 2 입력버튼에 매칭된 제 2 영상(802)으로 전환할 수 있고, 생성되는 콘텐츠에 포함되는 콘텐츠객체를 제 1 영상(801)에서 제 2 영상(802)으로 전환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제작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우선 콘텐츠제작장치(10)는 제작인터페이스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으며(S5001), 사용자로부터 제작인터페이스에 포함된 입력버튼에 매칭될 콘텐츠객체를 선택받을 수 있다(S5002).
그리고 콘텐츠제작장치(10)는 입력버튼에 매칭된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객체 중 어느 하나를 바탕객체로 사용자로부터 선택받을 수 있다(S5003).
이후, 콘텐츠제작장치(10)는 콘텐츠제작장치(10)에 구비되거나 또는 별도로 연결된 카메라를 통해 촬영되는 촬영객체를 바탕객체의 일 영역에 중첩할 수 있다(S5004).
예를 들어, 콘텐츠제작장치(10)는 바탕객체가 재생되는 동안 이를 시청하는 사용자의 모습을 카메라를 통해 촬영할 수 있고, 사용자를 촬영한 촬영객체를 바탕객체의 일 영역에 중첩할 수 있다.
도 9 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제작장치(10)의 화면을 도시한 예시도이다.
이를 참조하면, 콘텐츠제작장치(10)는 바탕콘테츠인 ‘뮤직비디오’(901)의 일 영역에 콘텐츠제작장치(10)에 연결된 카메라를 통해 촬영되는 사용자영상(902)을 중첩할 수 있다.
그리고 콘텐츠제작장치(10)는 제작인터페이스에서 재생되는 촬영객체에 중첩될 콘텐츠객체를 사용자로부터 선택받을 수 있고(S5005), 선택된 콘텐츠객체를 촬영객체에 중첩할 수 있다(S5006).
예를 들어, 콘텐츠제작장치(10)는 사용자입력이 발생하는 입력버튼에 매칭된 콘텐츠객체를 기 설정된 방법에 따라 촬영객체에 기 설정된 시간동안 중첩할 수 있다.
도 9 를 참조하면, 콘텐츠제작장치(10)는 사용자가 선택한 콘텐츠객체인 ‘AWESOME’(903)을 사용자를 촬영한 촬영객체(902)의 일영역에 중첩하여 표시(904)할 수 있다.
이후, 콘텐츠제작장치(10)는 바탕객체와 콘텐츠객체가 중첩된 촬영객체의 크기를 상호반전하여 콘텐츠를 생성할 수 있다(S5007).
도 9 를 참조하면, 콘텐츠제작장치(10)는 뮤직비디오(901)를 기존 촬영객체(902)의 위치 및 크기로 변환할 수 있고, 촬영객체(902)을 기존 뮤직비디오(901)의 위치 및 크기로 변환하여 뮤직비디오(901)와 촬영객체(902)의 위치 및 크기를 반전하여 콘텐츠(905)를 생성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특정 영상을 보고 반응하는 콘텐츠인 리액션비디오를 입력버튼의 클릭만으로 쉽게 편집하여 생성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5 를 통해 설명된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제작방법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 모듈과 같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가능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기록 매체의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가용 매체일 수 있고, 휘발성 및 비휘발성 매체,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컴퓨터 저장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저장 매체는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기타 데이터와 같은 정보의 저장을 위한 임의의 방법 또는 기술로 구현된 휘발성 및 비휘발성,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는 콘텐츠제작방법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 가능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또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은 프로세서에 의해 처리되는 프로그래밍 가능한 기계 명령어를 포함하고, 고레벨 프로그래밍 언어(High-level Programming Language),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 언어(Object-oriented Programming Language), 어셈블리 언어 또는 기계 언어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컴퓨터 프로그램은 유형의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예를 들어, 메모리, 하드디스크, 자기/광학 매체 또는 SSD(Solid-State Drive) 등)에 기록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는 콘텐츠제작방법은 상술한 바와 같은 컴퓨터 프로그램이 컴퓨팅 장치에 의해 실행됨으로써 구현될 수 있다. 컴퓨팅 장치는 프로세서와, 메모리와, 저장 장치와, 메모리 및 고속 확장포트에 접속하고 있는 고속 인터페이스와, 저속 버스와 저장 장치에 접속하고 있는 저속 인터페이스 중 적어도 일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성분들 각각은 다양한 버스를 이용하여 서로 접속되어 있으며, 공통 머더보드에 탑재되거나 다른 적절한 방식으로 장착될 수 있다.
여기서 프로세서는 컴퓨팅 장치 내에서 명령어를 처리할 수 있는데, 이런 명령어로는, 예컨대 고속 인터페이스에 접속된 디스플레이처럼 외부 입력, 출력 장치상에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제공하기 위한 그래픽 정보를 표시하기 위해 메모리나 저장 장치에 저장된 명령어를 들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서, 다수의 프로세서 및(또는) 다수의 버스가 적절히 다수의 메모리 및 메모리 형태와 함께 이용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는 독립적인 다수의 아날로그 및(또는) 디지털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칩들이 이루는 칩셋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메모리는 컴퓨팅 장치 내에서 정보를 저장한다. 일례로, 메모리는 휘발성 메모리 유닛 또는 그들의 집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다른 예로, 메모리는 비휘발성 메모리 유닛 또는 그들의 집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메모리는 예컨대, 자기 혹은 광 디스크와 같이 다른 형태의 컴퓨터 판독 가능한 매체일 수도 있다.
그리고 저장장치는 컴퓨팅 장치에게 대용량의 저장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저장 장치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매체이거나 이런 매체를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SAN(Storage Area Network) 내의 장치들이나 다른 구성도 포함할 수 있고, 플로피 디스크 장치, 하드 디스크 장치, 광 디스크 장치, 혹은 테이프 장치, 플래시 메모리, 그와 유사한 다른 반도체 메모리 장치 혹은 장치 어레이일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콘텐츠제작장치
110: 제작인터페이스제공부
120: 콘텐츠편집부
130: 콘텐츠생성부

Claims (17)

  1. 콘텐츠를 제작하는 콘텐츠제작장치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콘텐츠객체가 각각 매칭되는 적어도 하나의 입력버튼을 포함하는 제작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제작인터페이스제공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입력버튼에 발생된 사용자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콘텐츠객체를 편집하는 콘텐츠편집부; 및
    편집된 콘텐츠객체를 기초로 상기 콘텐츠를 생성하는 콘텐츠생성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작인터페이스제공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입력버튼 각각에 콘텐츠객체를 설정하고,
    상기 콘텐츠편집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입력버튼 각각에 대해 발생된 상기 사용자의 사용자입력의 횟수 및 유지시간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입력이 발생된 입력버튼에 대응되는 콘텐츠객체를 편집하고,
    상기 콘텐츠생성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입력버튼 각각에 대해 발생되는 사용자입력의 순서에 따라 각 입력버튼에 매칭된 콘텐츠객체가 포함되는 콘텐츠를 생성하는, 콘텐츠제작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편집부는,
    상기 사용자입력이 발생된 입력버튼에 매칭된 콘텐츠객체와 결합하여 상기 콘텐츠를 구성하는 콘텐츠객체인 바탕객체를 상기 사용자로부터 설정받는, 콘텐츠제작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편집부는,
    상기 사용자입력이 발생된 입력버튼에 매칭되는 콘텐츠객체를 상기 바탕객체의 일 영역에 중첩하는, 콘텐츠제작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편집부는,
    상기 사용자입력이 발생된 적어도 하나의 입력버튼에 매칭되는 콘텐츠객체를 상기 사용자입력에 따라 기 설정된 방법으로 변환하는, 콘텐츠제작장치.
  5. 삭제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편집부는,
    상기 콘텐츠제작장치에 연결된 카메라를 통해 촬영되는 콘텐츠객체인 촬영객체를 상기 바탕객체의 일 영역에 중첩하고, 상기 사용자입력이 발생된 입력버튼에 매칭되는 콘텐츠객체를 상기 촬영객체의 일 영역에 중첩하는, 콘텐츠제작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생성부는,
    상기 바탕객체와 상기 촬영객체 각각의 크기 및 위치 중 적어도 하나를 반전하여 상기 콘텐츠를 생성하는, 콘텐츠제작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작인터페이스제공부는,
    상기 제작인터페이스를 구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입력버튼 각각에 매칭되는 콘텐츠객체를 입력받는, 콘텐츠제작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객체는,
    타 콘텐츠제작장치로부터 전송되는 콘텐츠객체를 포함하는, 콘텐츠제작장치.
  10. 콘텐츠제작장치가 콘텐츠를 제작하는 방법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콘텐츠객체가 각각 매칭되는 적어도 하나의 입력버튼을 포함하는 제작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입력버튼 각각에 대해 발생된 사용자의 사용자 입력의 횟수 및 유지시간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입력이 발생된 입력버튼에 대응되는 콘텐츠객체를 편집하는 단계; 및
    편집된 콘텐츠객체를 기초로 상기 콘텐츠를 생성하되,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입력버튼 각각에 대해 발생되는 사용자입력의 순서에 따라 각 입력버튼에 매칭된 콘텐츠객체를 포함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콘텐츠제작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객체를 편집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입력이 발생된 입력버튼에 매칭된 콘텐츠객체와 결합하여 상기 콘텐츠를 구성하는 콘텐츠객체인 바탕객체를 상기 사용자로부터 설정받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콘텐츠제작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객체를 편집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입력이 발생된 적어도 하나의 입력버튼에 매칭되는 콘텐츠객체를 상기 바탕객체의 일 영역에 중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콘텐츠제작방법.
  13.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를 편집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입력이 발생된 적어도 하나의 입력버튼에 매칭되는 콘텐츠객체를 기 설정된 방법에 따라 변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콘텐츠제작방법.
  14. 삭제
  15.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를 편집하는 단계는,
    상기 콘텐츠제작장치에 연결된 카메라를 통해 촬영되는 콘텐츠객체인 촬영객체를 상기 바탕객체의 일 영역에 중첩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입력이 발생된 입력버튼에 매칭되는 콘텐츠객체를 상기 촬영객체의 일 영역에 중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콘텐츠제작방법.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바탕객체와 상기 촬영객체 각각의 크기 및 위치 중 적어도 하나를 반전하여 상기 콘텐츠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콘텐츠제작방법.
  17. 제 10 항 내지 제 13 항, 제 15 항 및 제 16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방법을 수행하기 위해 기록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KR1020160166805A 2016-12-08 2016-12-08 콘텐츠 제작 방법 및 장치 KR1018738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6805A KR101873897B1 (ko) 2016-12-08 2016-12-08 콘텐츠 제작 방법 및 장치
PCT/KR2017/014410 WO2018106069A1 (ko) 2016-12-08 2017-12-08 콘텐츠 제작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6805A KR101873897B1 (ko) 2016-12-08 2016-12-08 콘텐츠 제작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65656A KR20180065656A (ko) 2018-06-18
KR101873897B1 true KR101873897B1 (ko) 2018-08-02

Family

ID=624916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66805A KR101873897B1 (ko) 2016-12-08 2016-12-08 콘텐츠 제작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873897B1 (ko)
WO (1) WO2018106069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46540A (ko) 2018-10-25 2020-05-07 포스 크리에이티브 파티(주) 콘텐츠 제작 관리 통합 방법, 이를 구현하기 위해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KR20230070408A (ko) * 2021-11-11 2023-05-23 구글 엘엘씨 편집 환경에서 다수의 미디어 요소들을 갖는 미디어 콘텐츠를 제시하기 위한 방법들 및 시스템들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9705B1 (ko) * 2007-06-29 2008-04-07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영상통화에서의 멀티미디어 컨텐츠 공유 방법 및 시스템,그리고 이에 적용되는 서버
KR101672691B1 (ko) * 2015-07-23 2016-11-07 주식회사 시어스랩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플랫폼에서 이모티콘 생성 방법 및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271489B2 (en) * 2002-10-31 2012-09-18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Photo book system and method having retrievable multimedia using an electronically readable code
KR100993621B1 (ko) * 2008-10-30 2010-11-11 에스케이텔레시스 주식회사 영상통화 대체영상 설정방법 및 장치
KR20120140427A (ko) * 2011-06-21 2012-12-31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멀티미디어 포토 북 제공 장치 및 방법
KR101663085B1 (ko) * 2014-05-09 2016-10-07 주식회사 싱크수트 휴대형 스마트기기에서의 동영상 기반의 알파채널 영상합성을 이용한 비디오 카드 제작 시스템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9705B1 (ko) * 2007-06-29 2008-04-07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영상통화에서의 멀티미디어 컨텐츠 공유 방법 및 시스템,그리고 이에 적용되는 서버
KR101672691B1 (ko) * 2015-07-23 2016-11-07 주식회사 시어스랩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플랫폼에서 이모티콘 생성 방법 및 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46540A (ko) 2018-10-25 2020-05-07 포스 크리에이티브 파티(주) 콘텐츠 제작 관리 통합 방법, 이를 구현하기 위해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KR20230070408A (ko) * 2021-11-11 2023-05-23 구글 엘엘씨 편집 환경에서 다수의 미디어 요소들을 갖는 미디어 콘텐츠를 제시하기 위한 방법들 및 시스템들
JP7440664B2 (ja) 2021-11-11 2024-02-28 グーグル エルエルシー 編集環境において複数のメディア要素を有するメディアコンテンツを提示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システム
KR102648288B1 (ko) * 2021-11-11 2024-03-14 구글 엘엘씨 편집 환경에서 다수의 미디어 요소들을 갖는 미디어 콘텐츠를 제시하기 위한 방법들 및 시스템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65656A (ko) 2018-06-18
WO2018106069A1 (ko) 2018-06-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341694B2 (en) Data processing method and live broadcasting method and device
CN105190511B (zh) 图像处理方法、图像处理装置和图像处理程序
US20190342241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manipulating and/or concatenating videos
CN105872810B (zh) 一种媒体内容分享方法和装置
WO2020107297A1 (zh) 视频剪辑控制方法、终端设备和系统
JP4377886B2 (ja) 画像通信中の画像合成方法及び装置
KR101799894B1 (ko) 원격 협조 방법, 클라이언트, 프로그램 및 저장매체
KR20190013308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1528312B1 (ko) 영상 편집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CN111246300B (zh) 剪辑模板的生成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CN103842936A (zh) 将多个实况视频剪辑和静态照片记录、编辑和合并为成品组合作品
CN103595925A (zh) 照片合成视频的方法和装置
JP2022552333A (ja) 動画ファイルの生成方法、装置、端末及び記憶媒体
JP2020523694A (ja) 顔特徴点の測位方法及び装置
CN105208288A (zh) 一种照片的拍摄方法及移动终端
CN106101576B (zh) 一种增强现实照片的拍摄方法、装置及移动终端
KR101873897B1 (ko) 콘텐츠 제작 방법 및 장치
JP2024513640A (ja) 仮想対象のアクション処理方法およびその装置、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CN113542624A (zh) 生成商品对象讲解视频的方法及装置
US9325776B2 (en) Mixed media communication
US10972811B2 (en) Image processing device and image processing method
JP2006024137A (ja) Uiコンテンツ生成方法、uiコンテンツ生成装置及びuiコンテンツ生成システム
JP2021531520A (ja) ウェアラブル制御機器、仮想・拡張現実システム及び制御方法
CN109756783B (zh) 海报的生成方法及装置
CN103442202B (zh) 视频通信方法及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