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73719B1 - 내진 수배전반 - Google Patents

내진 수배전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73719B1
KR101873719B1 KR1020180015609A KR20180015609A KR101873719B1 KR 101873719 B1 KR101873719 B1 KR 101873719B1 KR 1020180015609 A KR1020180015609 A KR 1020180015609A KR 20180015609 A KR20180015609 A KR 20180015609A KR 101873719 B1 KR101873719 B1 KR 1018737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s
enclosure
spring
bus duct
transform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156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인길
Original Assignee
윈텍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윈텍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윈텍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156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7371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737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737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5/00Suppression of vibrations in systems; Means or arrangements for avoiding or reducing out-of-balance forces, e.g. due to motion
    • F16F15/02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 F16F15/04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using elastic mea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26Casing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H02B1/50Pedestal- or pad-mounted casing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54Anti-seismic devices or install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Installation Of Bus-Ba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진 수배전반에 관한 것으로서, 외력에 의한 흔들림시에 변압기반 함체와 차단기반 함체의 진동을 버스덕트와 분리시킴으로써 조인트 동판 버스바와 버스바의 진동을 일체시키는 내진 수배전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변압기반 함체 또는 차단기반 함체의 상측영역에서 함체에 대해 상대적으로 서로 분리 배치되며, 버스덕트가 상부에서 결합됨으로써 외력에 의한 흔들림시에 함체와 버스덕트가 서로 독립적으로 흔들리도록 하는 분리 베이스부, 및 분리 베이스부와 함체의 사이 공간에 복수로 수직 배치되어 외력에 의한 흔들림시에 진동을 흡수하고, 외력에 의한 흔들림시에 버스덕트 내에 배치된 버스바가 버스덕트와 전기적으로 접촉될 때 버스덕트를 흐르는 전기가 함체로 흘러 함체에 전기가 충전되지 않도록 절연하는 절연 스프링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진 수배전반이 개시된다.

Description

내진 수배전반{A switchgear having earthquake-proof performance}
본 발명은 내진 수배전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외력에 의한 흔들림시에 변압기반 함체와 차단기반 함체의 진동을 버스덕트와 분리시킴으로써 조인트 동판 버스바와 버스바의 진동을 일체시키는 내진 수배전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대용량 변압기의 무게는 대략 5톤 이상으로 매우 무거우며, 변압기반(100) 내의 변압기(110)는 통상적으로 시멘트 바닥에 설치된다. 이에 따라 외력에 의한 흔들림 발생시에 변압기반의 무게와 변압기의 무게가 서로 다르기 때문에 변압기(110)가 처음의 위치에서 이탈될 수 있다. 변압기(110)가 처음의 위치에서 이탈되는 경우에는 일예로서 조인트 동판 버스바(140)에 연결 접속된 버스바(311,312)의 조인트 연결부위 또는 부싱(도면 미도시) 등이 파괴될 수 있다.
또한, 외력에 의한 흔들림이 발생되면 변압기반 함체의 진동과 버스덕트(300)의 진동은 서로 다르다. 왜냐하면, 버스덕트(3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산볼트(21,22,23)에 의해 고정되기 때문에 시계추처럼 진동이 매우 심하게 나타난다. 이와 같이 변압기반 함체의 진동과 버스덕트(300)의 진동이 서로 매우 다르기 때문에 버스덕트(300) 내에 있는 버스바(311,312)에 진동 충격이 가해져 휨과 갈라짐이 발생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종래에는 조인트 동판 버스바(140)가 변압기반 함체에 고정되기 때문에 조인트 동판 버스바(140)와 연결 접속되는 버스바(311,312)의 결합 조인트 연결부위가 진동에 의해 크게 파손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외력에 의한 흔들림이 발생되면 버스바가 버스덕트와 전기적으로 접촉되어(이하에서는 버스덕트의 누전사고시로 함) 버스바의 전기가 변압기반 함체 또는 차단기반 함체에 충전될 수 있어 감전사고의 위험이 도사리고 있으며, 더 나아가 함체에 전기가 충전되는 것을 방지하더라도 버스덕트의 누전사고시에 버스덕트에 전기가 흐르고 있는 것을 외부로 알리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KR 10-1690087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KR 10-1820473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KR 10-1688777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KR 10-1778155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KR 10-1690087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KR 10-0569577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KR 10-1726367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KR 20-0434542
따라서,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외력에 의한 흔들림시에 변압기반 함체와 차단기반 함체의 진동을 버스덕트와 분리시킴으로써 조인트 동판 버스바와 버스바의 진동을 일체시켜 버스바와 연결부위의 파손을 방지하는 발명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버스덕트의 누전사고시에 버스바의 전기가 변압기반 함체 또는 차단기반 함체로 흐르지 않도록 절연함으로써 감전사고를 예방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버스덕트의 누전사고시에 버스덕트에 전기가 흐르고 있음을 외부로 알려 감전사고를 예방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목적들은 상기에 언급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전술한 본 발명의 목적은, 변압기반 함체 또는 차단기반 함체의 상측영역에서 함체에 대해 상대적으로 서로 분리 배치되며, 버스덕트가 상부에서 결합됨으로써 외력에 의한 흔들림시에 함체와 버스덕트가 서로 독립적으로 흔들리도록 하는 분리 베이스부, 및 분리 베이스부와 함체의 사이 공간에 복수로 수직 배치되어 외력에 의한 흔들림시에 진동을 흡수하고, 외력에 의한 흔들림시에 버스덕트 내에 배치된 버스바가 버스덕트와 전기적으로 접촉될 때 버스덕트를 흐르는 전기가 함체로 흘러 함체에 전기가 충전되지 않도록 절연하는 절연 스프링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진 수배전반을 제공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또한, 절연 스프링부는, 진동을 흡수하는 스프링, 스프링이 안착되는 제1 안착홈과 제1 결합부를 구비하며, 스프링의 일측 단부에서 제1 안착홈에 스프링이 안착되도록 삽입되는 제1 지지부, 스프링이 안착되는 제2 안착홈과 제2 결합부를 구비하며, 스프링의 타측 단부에서 제2 안착홈에 스프링이 안착되도록 삽입되는 제2 지지부, 제1 결합부와 서로 결합되는 제3 결합부 및 분리 베이스부와 결합되는 제4 결합부를 구비하는 제1 절연부, 및 제2 결합부와 서로 결합되는 제5 결합부 및 함체의 상측영역에 구비된 스프링 지지부와 결합되는 제6 결합부를 구비하는 제2 절연부를 포함하며, 외력에 의한 흔들림시에 스프링에 의해 수평 흔들림, 상하 비대칭 흔들림, 상하 대칭 흔들림을 완충하고, 제1 절연부 및 제2 절연부에 의해 버스덕트를 흐르는 전기가 함체로 흐르지 않도록 절연한다.
또한, 외력에 의한 흔들림시에 버스덕트 내에 배치된 버스바가 버스덕트와 전기적으로 접촉될 때 버스덕트의 누전 여부를 알리는 누전 알림부를 더 포함한다.
또한, 버스덕트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며, 버스바의 각각의 상 중에 어느 하나의 상이 버스덕트와 전기적으로 접촉될 때 접촉된 버스바의 상 전압이 흐르는 버스덕트 접속부, 및 버스바의 각각의 상과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제1,2,3 버스바 접속부를 더 포함한다.
또한, 버스덕트 접속부의 상 전압이 제1,2,3 버스바 접속부의 어느 하나의 상 전압과 동일한 경우에 누전 알림부에서 누전 여부를 알린다.
또한, 누전 알림부는 버스덕트 접속부와 서로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N상을 이루는 1차 중선선단자부, 제1,2,3 버스바 접속부의 R,S,T상 중에 어느 하나와 각각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1차측 제1,2,3 상전압을 이루는 1차 상 단자부를 구비하는 1차 단자부, 및 1차 단자부에서 공급된 1차측 제1,2,3 상전압이 각각 유기되는 2차 상 단자부를 구비하는 2차 단자부를 포함한다.
또한, 1차 중선선 단자부와 각각의 1차 상 단자부가 서로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1차측 제1,2,3 상전압을 이루며, 2차 상 단자부 각각은 복수의 발광부와 서로 전기적으로 접속되며, 버스바가 버스덕트와 전기적으로 접촉되지 않는 경우에는 정상적인 경우로서 각각의 발광부에서 2차측 상전압에 상응하는 밝기로 발광된다.
또한, 버스바가 버스덕트와 전기적으로 접촉될 때 1차 중성선 단자부가 R,S,T상 중에 어느 하나의 상전압으로 바뀜으로써 1차 중성선 단자부의 상과 대응되는 2차측 상전압이 변동되고, 변동된 2차측 상전압에 상응하도록 발광부가 동작됨으로써 누전 여부를 알린다.
또한, 버스바가 버스덕트와 전기적으로 접촉되지 않은 정상적인 경우에 비해 전기적으로 접촉된 누전사고인 경우의 발광부의 밝기가 더 밝아진다.
한편, 본 발명의 목적은 외력에 의한 흔들림시에 변압기가 변압기반 함체내에서 위치 이동하지 않도록 변압기를 변압기반 함체에 고정하는 변압기 지지대, 및 변압기반 함체의 상측영역에서 변압기반 함체에 대해 상대적으로 서로 분리 배치되며, 버스덕트가 상부에서 결합됨으로써 외력에 의한 흔들림시에 변압기반 함체와 버스덕트가 서로 별개로 흔들리도록 하는 분리 베이스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진 수배전반을 제공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또한, 변압기 지지대는, 변압기반 함체에 고정되며 상부에 변압기가 놓이는 베이스 지지대, 변압기의 상측영역에서 수평방향으로 변압기를 지지하는 수평지지대, 및 변압기의 외측영역에서 수직 지지되는 수직지지대를 구비함으로써 변압기가 변압기반 함체에 일체로 고정됨으로써 외력에 의한 흔들림시에 함체내에서 위치 이동하지 않는다.
또한, 변압기 함체의 상측방향으로 돌출된 단자, 변압기 함체의 상측영역에서 수평방향으로 변압기 철심을 고정하는 변압기 상측프레임, 단자와 접속되는 TR 연결단자, TR 연결단자와 접속되는 조인트 동판 버스바, 버스덕트 내에 형성되며, 조인트 동판 버스바에 접속되는 버스바, 및 조인트 동판 버스바에 접속되는 애자를 더 포함한다.
또한, 수평지지대는 복수의 변압기 상측프레임과 수평방향으로 나란하게 배치 결합되어 변압기를 수평 지지하며, 수직지지대는 변압기의 외측영역에서 변압기반 함체의 하부 프레임에 지지되면서 수평지지대와 서로 결합되며, 베이스 지지대, 수평지지대, 및 수직지지대에 의해 변압기가 변압기반 함체에 고정 결박된다.
또한, 분리 베이스부는 변압기반 함체의 폭보다 작으며, 변압기반 함체의 상부 프레임의 상측영역에 독립적으로 분리 배치되고 상부면에 버스덕트가 결합됨으로써 외력에 의한 흔들림시에 변압기반 함체와 버스덕트가 일체로 진동하지 않고 서로 개별적으로 진동을 하도록 한다.
또한, 분리 베이스부는 하부면에 애자가 지지되는 애자 지지부를 더 포함하며, 외력에 의한 흔들림시에 버스바와 조인트 동판 버스바가 일체로 진동하고, 버스덕트는 분리 베이스부에 의해 변압기반 함체에 대해 상대적으로 분리 진동된다.
또한, 외력에 의한 흔들림시에 분리 베이스부의 수평방향 진동을 흡수하는 수평 스프링, 및 분리 베이스부의 수직방향 진동을 흡수하는 수직 스프링을 더 포함한다.
또한, 외력에 의한 흔들림시에 버스바와 조인트 동판 버스바는 수평 스프링 및 수직 스프링에 의해 진동이 흡수된다.
또한, 변압기반의 전압이 버스바를 통해 차단기반으로 공급되며, 분리 베이스부는 변압기반 함체의 상측영역과 차단기반 함체의 상측영역에서 각각의 함체에 대해 상대적으로 분리 배치된다.
또한, 버스덕트는 변압기반 함체의 상측영역에 분리 배치된 제1 분리 베이스부와 차단기반 함체의 상측영역에 분리 배치된 제2 분리 베이스부의 상면에 각각 결합됨으로써 각각의 함체의 진동과 버스덕트의 진동이 서로 분리된다.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버스덕트의 누전사고시에 버스바의 전기가 변압기반 함체 또는 차단기반 함체로 흐르지 않도록 절연함으로써 감전사고를 예방하는데 효과가 있다.
또한, 버스덕트의 누전사고시에 버스덕트에 전기가 흐르고 있음을 외부로 알려 감전사고를 예방하는데 효과가 있다.
또한, 버스덕트의 누전사고시에 R,S,T상 중에 어느 상이 버스덕트와 누전되었는지 여부를 손쉽게 확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외력에 의한 흔들림시에 변압기가 최초 설치 위치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버스바와 조인트 동판 버스바의 연결부위가 파손되지 않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변압기반 함체와 차단기반 함체의 진동을 버스덕트와 분리시킴으로써 조인트 동판 버스바와 버스바의 진동을 일체시켜 버스바와 연결부위의 파손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 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변압기반의 정면도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변압기반의 측면도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변압기반과 차단기반의 측면도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절연 스프링부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절연 스프링부의 배치에 의해 수평 좌우 흔들림을 완충하는 것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절연 스프링부의 배치에 의해 상하 비대칭 흔들림을 완충하는 것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절연 스프링부의 배치에 의해 상하 대칭 흔들림을 완충하는 것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상전압 및 선간전압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버스덕트 접속부 및 제1,2,3 버스바 접속부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누전 알림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또한, 이하에 설명하는 일실시예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내용을 부당하게 한정하지 않으며, 본 실시 형태에서 설명되는 구성 전체가 본 발명의 해결 수단으로서 필수적이라고는 할 수 없다. 또한, 종래 기술 및 당업자에게 자명한 사항은 설명을 생략할 수도 있으며, 이러한 생략된 구성요소(방법) 및 기능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아니하는 범위내에서 충분히 참조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내진 수배전반은 지진 또는 지반 침하로 인한 흔들림시에(외력에 의한 흔들림의 일예임) 첫째로, 버스덕트(300)와 변압기반 함체(또는 차단기반 함체)의 진동을 서로 개별적으로 진동하도록 하고, 더 나아가 조인트 동판 버스바(140)와 버스바(311)에 전달되는 진동을 흡수하도록 한 발명이다. 둘째로, 변압기반(100)에 위치한 변압기(110)가 흔들림으로 인해 처음 위치에서 이탈하지 않도록 한 발명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대략적으로 분리 베이스부(200,201, 202)와 변압기 지지대(161,...,177)를 구비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변압기반의 변압기 지지대)
일반적으로 대용량 변압기의 무게는 대략 5톤 이상으로 매우 무거우며, 변압기반(100) 내의 변압기(110)는 통상적으로 시멘트 바닥에 설치된다. 이에 따라 외력에 의한 흔들림 발생시에 변압기반의 무게와 변압기의 무게가 서로 다르기 때문에 변압기(110)가 처음의 위치에서 이탈될 수 있다. 변압기(110)가 처음의 위치에서 이탈되는 경우에는 일예로서 조인트 동판 버스바(140)에 연결 접속된 버스바(311)의 조인트 연결부위 또는 부싱(또는 2차측 단자) 등이 파괴될 수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는 변압기 지지대를 설치하여 변압기(110)의 위치가 바뀌지 않도록 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변압기 지지대는 베이스 지지대(161), 수직지지대(171,...,173), 연결지지대(174) 및 흔들림방지 지지대(176,177)로 구성된다. 베이스 지지대(161)는 변압기반 함체의 하부 프레임(182)에 고정된다. 변압기(110)는 베이스 지지대(161)에 놓이면서 고정된다. 변압기(110)의 외측영역에는 수직지지대(171,172,173)가 배치된다. 수직지지대는 변압기의 외측 4곳에 수직 배치된다. 따라서 수직지지대는 제1,2,3,4 수직지지대로 구성된다. 또한, 수직지지대의 하부는 변압기반 함체의 하부 프레임에 각각 고정 결합되며, 각각의 수직지지대의 상부는 연결지지대(174)에 의해 서로 연결 결합된다. 연결지지대는 제1,2 연결지지대로 구성된다. 흔들림방지 지지대(176)는 수평방향으로 제1 변압기 상측프레임(121)에 고정 결합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변압기 상측프레임은 제1,2 변압기 상측프레임(121,122)으로 구성되며, 변압기 철심을 고정하기 위해 철심을 사이에 두고 변압기(110)의 상부영역에 수평방향으로 배치된다. 변압기 상측프레임(121,122) 각각과 흔들림방지 지지대(176,177)가 수평방향으로 결합 고정된다. 변압기(110)의 하측에는 변압기 하측프레임이 철심을 고정하기 위해 철심을 사이에 두고 수평방향으로 배치된다. 흔들림방지 지지대(176,177)는 수직지지대 (171 ,...,173) 또는 연결지지대(174)와 서로 결합 고정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흔들림방지 지지대(176,177)가 수평방향으로 배치 고정되어 변압기(110)를 고정 구속하고, 베이스 지지대(161)가 변압기(110)를 변압기반 함체에 고정 구속함으로써 외력에 의한 흔들림시에 변압기(110)가 초기 설치된 위치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조인트 동판 버스바(140)에 접속된 버스바(311)의 결합 조인트 연결부위가 파손되지 않도록 한다.
(변압기반의 분리 베이스부 또는 분리 이격부)
외력에 의한 흔들림이 발생되면 변압기반 함체의 진동과 버스덕트(300)의 진동은 서로 다르다. 왜냐하면, 버스덕트(3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산볼트(21,22,23)에 의해 고정되기 때문에 시계추처럼 진동이 매우 심하게 나타난다. 이와 같이 변압기반 함체의 진동과 버스덕트(300)의 진동이 서로 매우 다르기 때문에 버스덕트(300) 내에 있는 버스바(311,312)에 진동 충격이 가해져 휨과 갈라짐이 발생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종래에는 조인트 동판 버스바(140)가 변압기반 함체에 고정되기 때문에 조인트 동판 버스바(140)와 연결 접속되는 버스바(311)의 결합 조인트 연결부위가 진동에 의해 파손되는 문제가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버스바(311)의 진동을 흡수하도록 하면서도 조인트 동판 버스바(140)와 버스바(311)의 결합 조인트 연결부위의 파손을 방지하도록 하는 구성이 이하에서 개시된다.
변압기(110)의 상측방향으로 2차측 단자(111,112,113,114)가 형성되며, TR 연결단자(131,132,133,134)는 각각의 2차측 단자와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 접속된다. TR 연결단자는 편조선(또는 플렉시블 케이블)으로서 변압기 자체의 진동이 심하기 때문에 조인트 동판 버스바에 전기적으로 각각 연결 접속된다. 한편, R상을 가정하여 설명하면, 제1 단자(111)는 제1 TR 연결단자(131)와 접속되고, 제1 TR 연결단자(131)는 제1 조인트 동판 버스바(140)에 접속된다. 제1 조인트 동판 버스바(140)는 버스바(311)와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S상을 가정하여 도 2를 참고하여 설명하면, 제2 단자(112)는 제2 TR 연결단자(132)와 접속되고, 제2 TR 연결단자(132)는 제2 조인트 동판 버스바에 접속된다. 제2 조인트 동판 버스바는 제2 버스바(312)에 접속된다. T상 및 N상의 경우에도 마찬가지이다. 따라서 변압기(110)의 2차측 전압이 4개의 버스바를 통해 후술하는 차단기반(400)의 차단기(410)로 공급된다. 조인트 동판 버스바(140)는 변압기 상측프레임(121,122)과 동일하게 변압기(110)에 대해 수평방향으로 배치된다. 제1 조인트 동판 버스바(140)의 양측에는 애자(151,152)가 각각 전기적으로 접속 결합된다. 따라서 각각의 조인트 동판 버스바의 양측에는 애자가 2개씩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에 의해 본원발명의 조인트 동판 버스바(140)는 종래와 같이 변압기반 함체에 결합되는 것이 아니라 변압기반(100)의 함체 상측 내부 공간에 놓이게 된다.
한편, 변압기반 함체와 버스덕트(300)의 진동을 서로 분리하고, 조인트 동판 버스바(140)와 버스바(311,312)의 진동을 서로 일체시키면서 진동을 흡수하도록 하기 위해 분리 베이스부(200,201)가 변압기반 함체의 상측영역에 배치된다. 종래에는 버스덕트(300)가 변압기반 함체의 상면에 결합 고정되었으나 변압기반 함체와 버스덕트(300)의 진동을 서로 분리하기 위해 분리 베이스부(200,201)의 상면에 버스덕트(300)가 결합 고정되도록 한다.
분리 베이스부(200,201)의 하면에는 애자 지지부(211,212)가 구비되어 애자를 지지한다. 따라서 조인트 동판 버스바(140)는 애자(151,152)와 전기적으로 접속 결합되고, 애자(151,152)는 분리 베이스부의 애자 지지부(211,212)에 각각 결합 고정되기 때문에 진동에 의한 흔들림시에 버스바(311)와 조인트 동판 버스바(140)가 분리 베이스부(200,201)의 진동에 따라 서로 일체로 진동하며, 더 나아가 후술하는 바와 같이 분리 베이스부에 구비된 진동흡수 스프링(또는 진동흡수부)에 의해 진동이 흡수됨으로써 버스바의 뒤틀림 및 파손을 방지하고 버스바와 조인트 동판 버스바의 조인트 연결부위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진동흡수 스프링은 수평방향의 진동을 흡수하는 수평 스프링(221,222)과 수직방향의 진동을 흡수하는 수직 스프링(231,232)이 분리 베이스부(200,201)의 각각의 모서리 영역에 배치된다. 즉,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 스프링(221,222)은 분리 베이스부(200,201)의 모서리 영역의 홈 공간에서 분리 베이스부의 일측부와 변압기반 함체의 일측부 사이에서 수평방향으로 지지되어 진동시 분리 베이스부의 수평방향 진동을 흡수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 스프링(231,232)은 분리 베이스부(200,201)의 모서리 영역의 홈 공간에서 분리 베이스부의 상측부와 변압기반 함체의 제1,2 수직 스프링 지지부(241,242) 사이에서 수직방향으로 지지되어 진동시 분리 베이스부의 수직방향 진동을 흡수한다. 제1,2 수직 스프링 지지부(241,242)는 변압기반 함체의 상부 프레임(181)의 공간 영역에 수직 스프링에 대응하는 위치에 돌출 형성된다. 다만, 필요에 따라 수평 스프링 또는 수직 스프링 중 어느 하나의 진동흡수 스프링이 생략될 수도 있다.
따라서, 외력에 의해 진동이 발생되면 버스바, 조인트 동판 버스바, 분리 베이스부가 서로 일체로 진동하고, 진동흡수 스프링에 의해 수평방향 및 수직방향 진동이 흡수된다.
(차단기반의 분리 베이스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단기반 함체의 상측영역에도 변압기반과 마찬가지로 분리 베이스부(202)가 배치되어 차단기반 함체와 버스덕트(300)의 진동을 서로 분리한다. 즉, 버스덕트(300)는 제1 분리 베이스부(201)와 제2 분리 베이스부(202)의 상면에 각각 결합 고정됨으로써 변압기반 함체와 차단기반 함체의 진동과 버스덕트(300)의 진동을 서로 분리시킨다. 따라서 제2 분리 베이스부(202)에 대한 설명은 상술한 제1 분리 베이스부(200,201)의 설명에 갈음하기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내에서 차단기반과 변압기반의 차이점은 변압기반의 2차측 전기가 버스바(310)를 통해 전달되어 차단기(410)에 공급되는 것으로서 애자, 조인트 동판 버스바, TR 연결단자는 서로 동일한 개념에서 설명될 수 있다.
외력에 의한 진동시에 변압기반 함체와 차단기반 함체는 버스덕트(300)와 서로 분리되어 개별적으로 진동한다. 또한, 변압기의 2차측 전기를 차단기(410)로 공급하는 버스바(310)는 변압기반의 조인트 동판 버스바와 차단기반의 조인트 동판 버스바와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 접속된다. 따라서 외력에 의한 진동시에 버스바, 각각의 조인트 동판 버스바 와 제1,2 분리 베이스부(201,202)는 서로 일체로 진동하면서 수직방향 및 수평방향 진동이 진동흡수 스프링에 의해 흡수된다. 상술한 진동흡수 스프링은 진동을 흡수할 수 있는 와이어 또는 댐퍼 등으로 대체될 수 있다.
(절연 스프링부)
버스덕트(300) 내부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버스바(310)가 배치되며, 버스바(310)는 변압기반(100)의 2차측에서 차단기반(400)으로 각 상의 전압을 공급한다. 이때, 버스바(310)는 R상의 제1 버스바(311), S상의 제2 버스바(312), T상의 제3 버스바(313) 및 N상의 제4 버스바(314)로 이루어진다. R,S,T상은 A,B,C상으로도 불리운다.
지진 발생시에 버스덕트(400)의 흔들림에 의해 제1,2,3 버스바(311,312,313) 중 어느 하나의 버스바가 버스덕트(300)와 전기적으로 접촉(누전 또는 지락사고시)되면 버스덕트(300), 분리 베이스부(202), 및 차단기반 함체(400)는 모두 도전성 재료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버스바(310)에서 버스덕트(300)로 전달된 전기(또는 상전압)가 차단기반 함체(400)에 전달되어 차단기반 함체(400)가 충전됨으로써 감전사고를 일으킬 수 있다. 즉, 제1,2,3 버스바(311,312,313) 중 어느 하나의 버스가 버스덕트(300)와 전기적으로 접촉된 경우 차단기반 함체(400)에 전기가 전달하지 못하도록 절연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러한 필요성은 변압기반 함체(100)의 경우에도 동일하게 적용되며 상세한 설명은 차단기반 함체(400)의 설명에 갈음하기로 한다. 이하에서는 이러한 절연 기능을 수행함과 동시에 지진 발생시에 분리 베이스부(202)의 흔들림을 완충하는 절연 스프링부(500,501,502)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절연 스프링부(500,501,502)는 분리 베이스(200,201,202)와 상측영역의 함체(100,400)의 사이 공간상에 복수로 수직 배치된다. 이때, 도 10에는 차단기반 함체(400)를 예로 들어 도시되어 있으나, 변압기반 함체(100)의 경우에도 동일한 원리가 적용되며 변압기반(100)의 경우에는 이하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연 스프링부(501,502)는 분리 베이스부(202)의 좌측 단부영역 및 우측 단부영역에 배치된다. 도면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절연 스프링부(501,502)는 분리 베이스부(202)의 4개소 또는 4모서리 영역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연 스프링부(500,501,502)는 대략적으로 스프링(510), 제1,2 지지부(520,530), 제1,2 절연부(540,550)로 구성된다. 스프링(510, 또는 탄성부)은 대략 절연 스프링부의 중간영역에 배치되어 지진 발생시에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 좌우 흔들림을 완충하거나, 또는 도 7과 같이 상하 비대칭 흔들림을 완충하거나, 또는 도 8과 같이 상하 대칭 흔들림을 완충하도록 한다. 여기서 흔들림을 완충하는 것은 지진 발생시에 지진에 의한 진동을 흡수하는 것과 동일한 의미이다.
제1 지지부(520)는 스프링(510)이 안착되는 제1 안착홈(521, 또는 요홈)과 후술하는 제1 절연부(540)와 상호 결합되는 제1 결합부(522)를 구비한다. 제1 지지부(52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안착홈(521)에 스프링(510)이 안착되도록 스프링(510) 내측으로 끼움 삽입된다. 제1 안착홈(521)은 제1 지지부(520)의 일측 영역에 형성되며, 제1 안착홈(521)의 타측 영역에 제1 결합부(522)가 형성된다. 제1 결합부(522)는 나사산을 형성할 수 있고, 제1 절연부(540)에 나사산 결합될 수 있다. 제2 지지부(530)는 스프링(510)이 안착되는 제2 안착홈(531, 또는 요홈)과 후술하는 제2 절연부(550)와 상호 결합되는 제2 결합부(532)를 구비한다. 제2 지지부(53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안착홈(531)에 스프링(510)이 안착되도록 스프링(510) 내측으로 끼움 삽입된다. 제2 안착홈(531)은 제2 지지부(530)의 일측 영역에 형성되며, 제2 안착홈(531)의 타측 영역에 제2 결합부(532)가 형성된다. 제2 결합부(532)는 나사산을 형성할 수 있고, 제2 절연부(550)에 나사산 결합될 수 있다. 제1,2 안착홈(521,531)에 스프링(510)이 안착되어 고정 지지됨으로써 스프링(510)이 지진에 의해 진동을 흡수하는 경우에도 스프링(510)이 제1,2 지지부(520,530)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장점이 있다. 제1,2 지지부(520,530)는 서로 스프링(510)을 사이에 두고 대향하여 배치된다.
제1 절연부(540)는 제1 지지부의 제1 결합부(522)와 서로 나사산 결합되는 제3 결합부(541) 및 분리 베이스부(200,201,202)와 서로 나사산 결합되기 위한 제4 결합부(542)를 구비한다. 제3,4 결합부(541,542)는 각각의 결합부와 서로 결합되기 위한 대응되는 나사산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3,4 결합부(541,542)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절연부(540)의 양 단부에 형성된다. 제2 절연부(550)는 제2 지지부의 제2 결합부(532)와 서로 나사산 결합되는 제5 결합부(551) 및 함체의 상측영역에 구비된 스프링 지지부(241,242)와 서로 나사산 결합되기 위한 제6 결합부(552)를 구비한다. 제5,6 결합부(551,552)는 각각의 결합부와 서로 결합되기 위한 대응되는 나사산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5,6 결합부(551,552)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절연부(550)의 양 단부에 형성된다. 제1,2 절연부(540,550)는 스프링(510) 및 제1,2 지지부(520,530)를 사이에 두고 서로 대향하여 배치된다. 버스바가 버스덕트에 전기적으로 접촉시에 제1 절연부(540)에 의해 분리 베이스부(200,201,202)에서 스프링(510)으로 전달되는 전기를 절연할 수 있으며, 제2 절연부(550)에 의해 스프링(510)에서 차단기반 함체(400)로 전달되는 전기를 절연할 수 있다. 따라서 제1,2 절연부(540,550)는 버스바가 버스덕트에 전기적 접촉시에 차단기반 함체(400)에 전기가 충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감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술한 제1,2 절연부(540,550)는 애폭시 애자로 구현될 수 있다.
지진 발생시에 버스덕트의 흔들림에 의해 제1,2,3 버스바(311,312,313) 중 어느 하나의 버스바가 버스덕트에 전기적으로 접촉되면 도 3과 같이 단순 진동흡수 스프링이 구비된 경우에는 접촉된 버스바의 전기는 "버스바->버스덕트->분리 베이스부->스프링->수직 스프링 지지부->차단기반 함체"로 전달되어 차단기반 함체에 전기가 충전되는 위험이 있다. 그러나 절연 스프링부(500)가 구비된 경우에는 제1,2 절연부(540,550)에 의해 "분리 베이스부에서 스프링"으로 전기가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여 차단기반 함체(400)에 전기가 충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러한 구성 및 동작 원리는 변압기반 함체(100)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으며, 도면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변압기반의 분리 베이스부(201)와 함체(100) 사이 공간에 절연 스프링부(500)를 설치하여 버스바가 버스덕트에 전기적으로 접촉된 경우 변압기반 함체(100)에 전기가 충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누전 알림부)
상술한 바와 같이 지진으로 인해 버스바가 버스덕트에 전기적으로 접촉되더라도 절연 스프링부(500,501,502)에 의해 함체(100,400)에 전기가 충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러나 여전히 버스덕트에 전기가 흐르는 것을 방지할 수는 없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버스덕트에 전기가 통전하고 있는지 여부를 외부로 알려주는 것과, 더 나아가 제1,2,3 버스바(311,312,313) 중에 어느 버스바가 버스덕트와 전기적으로 접촉되었는지 여부를 손쉽게 알려주는 구성을 이하에서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이하에서 설명되는 도 10은 차단기반(400)을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동일한 원리가 변압기반(100)에도 적용될 수 있으며, 차단기반의 설명에 갈음하기로 한다.
도 9에는 각 R,S,T 상간 상전압 및 선간 전압에 대한 일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 9에 도시된 일예를 토대로 이하에서 누전 알림부(700)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버스덕트(300)는 변압기반(100)과 차단기반(400)에 서로 연결되어 있으며, 버스덕트(300) 내부에는 제1,2,3,4 버스바(311,...,314)가 구비된다. 버스덕트(300)는 버스덕트 접속부(611)와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버스바가 버스덕트에 전기적으로 접촉되지 않은 정상적인 모드의 경우에는 버스덕트 접속부(611)는 N상과 동일하다. 이때, 지진 발생 등으로 버스바가 버스덕트에 전기적으로 접촉된 비정상적인 모드의 경우에는 버스덕트 접속부(611)는 버스바 중에 버스덕트와 전기적으로 접촉된 상과 동일하다. 즉, 도 11을 참고하여 설명하면 버스바 중에 R상의 제1 버스바(311)가 버스덕트에 전기적으로 접촉되었다고 가정하면, 버스덕트 접속부(611)는 N상에서 R상의 전압으로 바뀌게 된다, 마찬가지로 S상의 제2 버스바(312) 또는 T상의 제3 버스바(313)가 각각 버스덕트에 전기적으로 접촉되면 버스덕트 접속부(611)는 N상에서 S상 또는 T상의 전압으로 바뀌게 된다.
제1,2,3 버스바 접속부(621,622,623)는 차단기반(400)의 내부로 인입된 제1,2,3 버스바(311,312,313)와 각각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이때, 제1,2,3 버스바 접속부(621,622,623)는 각각의 조인트 동판 버스바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조인트 동판 버스바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각각의 R,S,T 단자에 전기적으로 접속됨으로써 실질적으로 제1,2,3 버스바(311,312,313)와 각각 전기적으로 접속될 수 있다.
도 11을 참고하여 설명하면, 누전 알림부(700)는 1차 단자부, 2차 단자부, 발광부(731,732,733) 및 알림부(740)로 구성된다. 1차 단자부는 버스덕트 접속부(611)와 서로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N상을 이루는 1차 중선선 단자부(714), 제1,2,3 버스바 접속부(621,622,623)의 R,S,T상 중에 어느 하나와 각각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1차측 제1,2,3 상전압을 이루는 제1,2,3 1차 상 단자부(711,712,713)로 이루어진다. 또한, 2차 단자부는 1차 단자부에서 공급된 1차측 제1,2,3 상전압이 각각 유기되는 제1,2,3 2차 상 단자부(721,722,723)로 이루어진다.
1차 단자부는 1차 중선선 단자부(71)와 각각의 제1,2,3 1차 상 단자부(711,712,713)가 서로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1차측 제1,2,3 상전압을 이룬다. 또한, 제1,2,3 2차 상 단자부(721,722,723) 각각은 복수의 발광부(731,732,733)와 서로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이때, 어느 하나의 버스바(311,312,313)가 버스덕트(300)와 전기적으로 접촉되지 않는 경우에는 정상적인 경우로서 각각의 발광부(731,732,733)에서 상전압에 상응하는 밝기로 발광한다. 즉,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버스덕트에 누전 사고가 없는 경우에는 2차측의 각 상(R,S,T 상전압)에 전압이 127볼트 걸리게 되고 이에 상응하는 밝기가 제1,2,3 발광부(731,...,733)에 의해 동작된다. 그러나 지진 등에 의해 어느 하나의 버스바(311,312,313) 중 제1 버스바(311)가 버스덕트(300)와 전기적으로 접촉된 경우에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2차측 R상의 상전압은 0볼트이고, 나머지 S상 및 T상의 2차측 상전압은 220볼트로 된다. 따라서 제1 발광부(731)가 오프되며, 사용자는 제1 발광부의 불빛이 오프됨을 인식함으로써 버스덕트에 누전이 있음을 알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제2 버스바(312) 또는 제3 버스바(313)가 버스덕트(300)와 전기적으로 접촉된 경우에는 S상 또는 T상의 2차측 상전압이 0볼트가 될 것이다. 또한, 어느 하나의 버스바가 버스덕트와 누전된 경우에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누전되지 않을 때에 비해 발광부의 밝기가 달라질 수 있다. 즉, 정상적일 때에는 각 상에 걸리는 전압이 127볼트로서 이에 상응하는 각 발광부(731,732,733)의 밝기가 동작되고, R상에 누전사고가 발생한 경우에는 S상 및 T상의 2차측 상전압이 220볼트로서 이에 상응하는 각 발광부(732,733)의 밝기가 동작된다.
알림부(740)는 차단기반 함체의 정면에 설치되거나 또는 사용자가 알아보기 쉬운 함체에 설치되어 버스덕트의 누전사고시 R,S,T상 중에 어느 상이 누전되었는지 편리하게 표시하여 준다. 제어부(도면 미도시)는 2차측 상전압을 각각 감지하고 있다고 0볼트로 떨어진 상전압이 인식되면 이를 알림부(740)로 전송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종래 기술 및 당업자에게 자명한 사항은 설명을 생략할 수도 있으며, 이러한 생략된 구성요소(방법) 및 기능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아니하는 범위내에서 충분히 참조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각부의 구성 및 기능에 대한 설명은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서로 분리하여 설명하였을 뿐 필요에 따라 어느 한 구성 및 기능이 다른 구성요소로 통합되어 구현되거나, 또는 더 세분화되어 구현될 수도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했지만, 본 발명이 이것에 한정되지는 않으며, 다양한 변형 및 응용이 가능하다. 즉, 본 발명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많은 변형이 가능한 것을 당업자는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능 및 그 구성 또는 본 발명의 각 구성에 대한 결합관계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하였음에 유의해야 할 것이다.
10 : 천장
21 : 제1 전산볼트
22 : 제2 전산볼트
23 : 제3 전산볼트
100 : 변압기반
110 : 변압기
111 : 제1 단자(2차측, R상)
112 : 제2 단자(2차측, S상)
113 : 제3 단자(2차측, T상)
114 : 제4 단자(2차측, S상)
121 : 제1 변압기 상측프레임(제1 고정 프레임)
122 : 제2 변압기 상측프레임(제2 고정 프레임)
131 : 제1 TR 연결단자
132 : 제2 TR 연결단자
133 : 제3 TR 연결단자
134 : 제4 TR 연결단자
140 : 조인트 동판 버스바(수평버스바)
151 : 제1 애자
152 : 제2 애자
161 : 베이스 지지대
171 : 제1 수직지지대
172 : 제2 수직지지대
173 : 제3 수직지지대
174 : 제1 연결지지대(수직지지대 연결)
176 : 제1 흔들림방지 지지대(제1 수평지지대)
177 : 제2 흔들림방지 지지대(제2 수평지지대)
181 : 변압기반 함체의 상부 프레임
182 : 변압기반 함체의 하부 프레임
200,201,202 : 분리 베이스부(이격 베이스부)
211 : 제1 애자 지지부
212 : 제2 애자 지지부
221 : 제1 수평 스프링
222 : 제2 수평 스프링
231 : 제1 수직 스프링
232 : 제2 수직 스프링
241 : 제1 수직 스프링 지지부
242 : 제2 수직 스프링 지지부
300 : 버스덕트(철판 덕터)
310 : 버스바(동판 버스덕트)
311 : 제1 버스바(R상)
312 : 제2 버스바(S상)
313 : 제3 버스바(T상)
314 : 제4 버스바(N상)
400 : 차단기반
410 : 차단기(Air Circuit Breaker)
481 : 차단기반 상부 프레임
500, 501,502 : 절연 스프링부
510 : 스프링
520 : 제1 지지부
521 : 제1 안착홈
522 : 제1 결합부
530 : 제2 지지부
531 : 제2 안착홈
532 : 제2 결합부
540 : 제1 절연부
541 : 제3 결합부
550 : 제2 절연부
551 : 제4 결합부
611 : 버스덕트 접속부
621,622,623 : 제1,2,3 버스바 접속부
700 : 누전 알림부
711 : 제1 1차 상 단자부(R상)
712 : 제2 1차 상 단자부(S상)
713 : 제3 1차 상 단자부(T상)
714 : 1차 중성선 단자부
721 : 제1 2차 상 단자부(R상)
722 : 제2 2차 상 단자부(S상)
723 : 제3 2차 상 단자부(T상)
731 : 제1 발?부
732 : 제2 발광부
733 : 제3 발광부
740 : 알림부

Claims (9)

  1. 변압기반 함체 또는 차단기반 함체의 상측영역에서 상기 함체에 대해 상대적으로 서로 분리 배치되며, 버스덕트가 상부에서 결합됨으로써 외력에 의한 흔들림시에 상기 함체와 상기 버스덕트가 서로 독립적으로 흔들리도록 하는 분리 베이스부, 및
    상기 분리 베이스부와 상기 함체의 사이 공간에 복수로 수직 배치되어 상기 외력에 의한 흔들림시에 진동을 흡수하고, 상기 외력에 의한 흔들림시에 상기 버스덕트 내에 배치된 버스바가 상기 버스덕트와 전기적으로 접촉될 때 상기 버스덕트를 흐르는 전기가 상기 함체로 흘러 상기 함체에 전기가 충전되지 않도록 절연하는 절연 스프링부를 포함하며,
    상기 절연 스프링부는,
    진동을 흡수하는 스프링,
    상기 스프링이 안착되는 제1 안착홈과 제1 결합부를 구비하며, 상기 스프링의 일측 단부에서 상기 제1 안착홈에 상기 스프링이 안착되도록 삽입되는 제1 지지부,
    상기 스프링이 안착되는 제2 안착홈과 제2 결합부를 구비하며, 상기 스프링의 타측 단부에서 상기 제2 안착홈에 상기 스프링이 안착되도록 삽입되는 제2 지지부,
    상기 제1 결합부와 서로 결합되는 제3 결합부 및 상기 분리 베이스부와 결합되는 제4 결합부를 구비하는 제1 절연부, 및
    상기 제2 결합부와 서로 결합되는 제5 결합부 및 상기 함체의 상측영역에 구비된 스프링 지지부와 결합되는 제6 결합부를 구비하는 제2 절연부를 포함하며,
    외력에 의한 흔들림시에 상기 스프링에 의해 수평 흔들림, 상하 비대칭 흔들림, 상하 대칭 흔들림을 완충하고, 상기 제1 절연부 및 제2 절연부에 의해 상기 버스덕트를 흐르는 전기가 상기 함체로 흐르지 않도록 절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진 수배전반.
  2. 삭제
  3. 변압기반 함체 또는 차단기반 함체의 상측영역에서 상기 함체에 대해 상대적으로 서로 분리 배치되며, 버스덕트가 상부에서 결합됨으로써 외력에 의한 흔들림시에 상기 함체와 상기 버스덕트가 서로 독립적으로 흔들리도록 하는 분리 베이스부,
    상기 분리 베이스부와 상기 함체의 사이 공간에 복수로 수직 배치되어 상기 외력에 의한 흔들림시에 진동을 흡수하고, 상기 외력에 의한 흔들림시에 상기 버스덕트 내에 배치된 버스바가 상기 버스덕트와 전기적으로 접촉될 때 상기 버스덕트를 흐르는 전기가 상기 함체로 흘러 상기 함체에 전기가 충전되지 않도록 절연하는 절연 스프링부,
    상기 외력에 의한 흔들림시에 상기 버스덕트 내에 배치된 버스바가 상기 버스덕트와 전기적으로 접촉될 때 상기 버스덕트의 누전 여부를 알리는 누전 알림부,
    상기 버스덕트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며, 상기 버스바의 각각의 상 중에 어느 하나의 상이 상기 버스덕트와 전기적으로 접촉될 때 접촉된 버스바의 상 전압이 흐르는 버스덕트 접속부, 및
    상기 버스바의 각각의 상과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제1,2,3 버스바 접속부를 포함하며,
    상기 절연 스프링부는,
    진동을 흡수하는 스프링,
    상기 스프링과 일측에서 결합되는 제1 지지부,
    상기 스프링과 타측에서 결합되는 제2 지지부,
    상기 제1 지지부와 결합되는 제1 절연부, 및
    상기 제2 지지부와 결합되는 제2 절연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절연부 및 제2 절연부에 의해 상기 버스덕트를 흐르는 전기가 상기 함체로 흐르지 않도록 절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진 수배전반.
  4. 삭제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버스덕트 접속부의 상 전압이 상기 제1,2,3 버스바 접속부의 어느 하나의 상 전압과 동일한 경우에 상기 누전 알림부에서 누전 여부를 알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진 수배전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누전 알림부는,
    상기 버스덕트 접속부와 서로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N상을 이루는 1차 중선선단자부, 상기 제1,2,3 버스바 접속부의 R,S,T상 중에 어느 하나와 각각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1차측 제1,2,3 상전압을 이루는 1차 상 단자부를 구비하는 1차 단자부, 및
    상기 1차 단자부에서 공급된 상기 1차측 제1,2,3 상전압이 각각 유기되는 2차 상 단자부를 구비하는 2차 단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진 수배전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1차 중선선 단자부와 각각의 상기 1차 상 단자부가 서로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상기 1차측 제1,2,3 상전압을 이루며,
    상기 2차 상 단자부 각각은 복수의 발광부와 서로 전기적으로 각각 접속되며,
    상기 버스바가 상기 버스덕트와 전기적으로 접촉되지 않는 경우에는 정상적인 경우로서 각각의 발광부에서 2차측 상전압에 상응하는 밝기로 각각 발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진 수배전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버스바가 상기 버스덕트와 전기적으로 접촉될 때 상기 1차 중성선 단자부가 상기 R,S,T상 중에 어느 하나의 상전압으로 바뀜으로써 상기 1차 중성선 단자부의 상과 대응되는 2차측 상전압이 변동되고, 변동된 2차측 상전압에 상응하도록 발광부가 동작됨으로써 누전 여부를 알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진 수배전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버스바가 상기 버스덕트와 전기적으로 접촉되지 않은 정상적인 경우에 비해 전기적으로 접촉된 누전사고인 경우의 발광부의 밝기가 더 밝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진 수배전반.
KR1020180015609A 2018-02-08 2018-02-08 내진 수배전반 KR1018737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5609A KR101873719B1 (ko) 2018-02-08 2018-02-08 내진 수배전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5609A KR101873719B1 (ko) 2018-02-08 2018-02-08 내진 수배전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73719B1 true KR101873719B1 (ko) 2018-07-03

Family

ID=629182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15609A KR101873719B1 (ko) 2018-02-08 2018-02-08 내진 수배전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7371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61503B1 (ko) * 2020-10-23 2021-06-07 주식회사 유원엔지니어링 지중배전선 접속용 감전방지형 배전함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6724B1 (ko) * 2011-07-19 2012-01-18 (주)파워버스 보조 배터리와 블랙박스를 구비한 스마트 분전반
KR101557099B1 (ko) * 2015-03-20 2015-10-05 서평전기공업(주) 내진용 배전반(특고압배전반, 저압배전반, mcc반, 분전반)
KR101739101B1 (ko) * 2016-11-16 2017-05-24 주식회사 동지하이텍 내진 기능의 케이블 지지 장치를 갖춘 배전반
KR101765535B1 (ko) 2017-05-17 2017-08-07 주식회사 현대콘트롤전기 내진을 위한 케이블 인입선 완충장치를 구비하는 수배전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6724B1 (ko) * 2011-07-19 2012-01-18 (주)파워버스 보조 배터리와 블랙박스를 구비한 스마트 분전반
KR101557099B1 (ko) * 2015-03-20 2015-10-05 서평전기공업(주) 내진용 배전반(특고압배전반, 저압배전반, mcc반, 분전반)
KR101739101B1 (ko) * 2016-11-16 2017-05-24 주식회사 동지하이텍 내진 기능의 케이블 지지 장치를 갖춘 배전반
KR101765535B1 (ko) 2017-05-17 2017-08-07 주식회사 현대콘트롤전기 내진을 위한 케이블 인입선 완충장치를 구비하는 수배전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61503B1 (ko) * 2020-10-23 2021-06-07 주식회사 유원엔지니어링 지중배전선 접속용 감전방지형 배전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39226B1 (ko) 내진 및 방진기능형 수배분전반
KR101800871B1 (ko) 내진 서포트
KR101797438B1 (ko) 면진 기능을 가지는 수배전반
KR101969871B1 (ko) 내진기능을 갖는 전기설비용 케이스
KR101232336B1 (ko) 수배전반용 진동패드 및 그 진동패드가 구성된 수배전반의 하부구조
KR101538314B1 (ko) 텐션와이어 제진장치가 장착된 내진 배전반
KR101818920B1 (ko) 수배전반용 내진장치
CN110678951B (zh) 直流断路器、直流断路器用的机械断路装置、以及直流断路器用的半导体断路装置
KR101681111B1 (ko) 내진기능을 갖는 배전반
KR100882296B1 (ko) 진동흡수형 수배전반
WO2014112135A1 (ja) ガス絶縁スイッチギヤ
KR20090117086A (ko) 내진형 폐쇄 수배전반
KR101873720B1 (ko) 내진 수배전반
TW201409884A (zh) 開關裝置及開關裝置之組裝方法
KR101873719B1 (ko) 내진 수배전반
KR101995249B1 (ko) 함체용 내진장치
KR101765539B1 (ko) 몰드 변압기
KR101607240B1 (ko) 면진장치 및 이를 구비한 수배전반, 분전반, 모터 제어반
JP6781514B2 (ja) ガス遮断器、及びガス絶縁開閉装置用遮断器
KR101296603B1 (ko) 경사각 지지 부재가 적용된 내진 배전반
KR101541655B1 (ko) 구성기기 무게별 진동 흡수 강체 모드가 적용된 제진형 내진 수배전반
KR101740949B1 (ko) 내진구조를 갖는 배전반, 전동기제어반
JP2011250529A (ja) 受配電設備
KR101607817B1 (ko) 수배전반의 내진장치
KR101607241B1 (ko) 양축형 면진장치 및 이를 구비한 수배전반, 분전반, 모터 제어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