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73687B1 - 초소형 광각 렌즈 시스템 - Google Patents

초소형 광각 렌즈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73687B1
KR101873687B1 KR1020170096670A KR20170096670A KR101873687B1 KR 101873687 B1 KR101873687 B1 KR 101873687B1 KR 1020170096670 A KR1020170096670 A KR 1020170096670A KR 20170096670 A KR20170096670 A KR 20170096670A KR 101873687 B1 KR101873687 B1 KR 1018736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ns
glass filter
filter member
disposed
curva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966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종대
조창호
조성구
Original Assignee
배재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배재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배재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700966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7368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736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736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3/00Optical objectives specially designed for the purposes specified below
    • G02B13/001Miniaturised objectives for electronic devices, e.g. portable telephones, webcams, PDAs, small digital cameras
    • G02B13/0015Miniaturised objectives for electronic devices, e.g. portable telephones, webcams, PDAs, small digital cameras characterised by the lens design
    • G02B13/002Miniaturised objectives for electronic devices, e.g. portable telephones, webcams, PDAs, small digital cameras characterised by the lens design having at least one aspherical surface
    • G02B13/004Miniaturised objectives for electronic devices, e.g. portable telephones, webcams, PDAs, small digital cameras characterised by the lens design having at least one aspherical surface having four lens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9/00Optical objectives characterised both by the number of the components and their arrangements according to their sign, i.e. + or -
    • G02B9/34Optical objectives characterised both by the number of the components and their arrangements according to their sign, i.e. + or - having four components only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Len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초소형 광각 렌즈 시스템은, 촬영 물체로부터 반사된 광선이 입사되는 유리 필터 부재, 상기 유리 필터 부재의 후면부에 전면부가 밀착되게 배치되고 (-)의 굴절능을 가지도록 형성되며 후면부가 (+)의 곡률로 형성된 제1 렌즈, 상기 제1 렌즈의 후방에 이격되게 배치되고 (+)의 굴절능을 가지도록 형성되며 전면부와 후면부가 (+)의 곡률로 형성된 제2 렌즈, 상기 제2 렌즈의 후방에 이격되게 배치된 조리개 부재, 상기 조리개 부재의 후방에 이격되게 배치되고 (+)의 굴절능을 가지도록 형성되며 전면부와 후면부가 (-)의 곡률로 형성된 제3 렌즈, 및 상기 제3 렌즈의 후방에 이격되게 배치되고 (+)의 굴절능을 가지도록 형성되며 전면부와 후면부가 (-)의 곡률로 형성된 제4 렌즈를 포함하는 초소형 광각 렌즈 시스템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초소형 광각 렌즈 시스템 {SUBMINIATURE TYPE WIDE ANGLE LENS SYSTEM}
본 발명은 초소형 광각 렌즈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초소형의 크기로 광각 촬영이 가능할 수 있고, 외부의 충격이나 열에 의한 변형을 방지할 수 있는 초소형 광각 렌즈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각종 산업 분야에서는 다양한 정보를 정확하게 획득하는 것이 매우 중요해지고 있다. 상기와 같이 정보를 정확하게 획득하면, 현재 상황을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으며, 그에 대한 대응을 적절하게 수립할 수 있다.
최근에는 촬영 기술의 향상을 통하여 촬영 영상으로 각종 정보를 획득하는 것이 일반화되고 있다.
예를 들면, 치과 분야에서는 구강 내의 정보를 얻기 위하여 구강 촬영을 실시하고 있다. 오늘날 치과에서는 기존의 일반 카메라를 사용하여 구강의 내부를 촬영하고 있다.
하지만, 일반 카메라의 물체점 또는 물점(object point)은 10cm~무한대까지 놓이게 되고, 카메라의 크기도 크다는 문제점이 있다. 그렇기 때문에, 기존의 일반 카메라는 구강 속에 직접 삽입하여 촬영하는 것이 구조적으로 매우 어렵다. 실제로, 간호사 또는 의사 등의 보조자가 구강 촬영을 위하여 환자의 구강을 촬영 부위에 따라 힘을 주어 벌리고, 초점을 맞추어 가며 구강 외부에서 촬영을 실시하고 있다. 그로 인해서, 구강 내의 촬영 시간이 많이 걸리고, 환자들의 불편한 점도 많았다.
뿐만 아니라, 구강의 내부는 매우 좁기 때문에 기존의 일반 카메라를 사용하여 구강 안을 촬영하는 경우, 치아 개개의 정보는 쉽게 얻을 수 있으나, 구강 내에서 치아의 정보를 전체적으로 얻기가 매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구강 안의 치아에 대한 많은 정보를 얻기 위해서는, 카메라 렌즈의 초점거리가 짧아야 된다. 그런데, 카메라 렌즈의 초점거리가 짧으면 시야각이 좁아져서 치아의 많은 정보를 얻을 수 없고, 시야각을 넓히면 초점거리가 길어져 입안이라는 공간의 한계에 제약을 받는다. 따라서, 물체가 멀리 떨어져 있지 아니한 5cm~10cm 정도의 구강이라는 좁은 영역에 위치한 치아나 잇몸을 촬영하기 위하여, 넓은 시야각과 짧은 초점거리를 구비함과 아울러 구강 속에 삽입할 정도의 초소형으로 형성된 렌즈가 필요하다.
또한, 구강 속에 삽입하는 경우, 구강의 좁은 영역에 렌즈 바로 옆의 광원으로부터 빛이 공급되어 렌즈에 열이 발생될 수 있다. 일례로, 플라스틱 사출 방식의 렌즈를 사용하는 경우, 렌즈의 열팽창 등에 의해 렌즈의 광학적 특성을 변화시킬 수 있고, 그로 인해서 렌즈의 초점거리 및 광학성능이 변할 수 있다. 따라서, 렌즈의 변형을 방지하기 위한 대책이 필요하다.
상기와 같이 좁은 공간의 내부에서 광각의 근접 촬영이 가능하고 외부의 충격과 열에 의한 변형도 방지 가능한 렌즈의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그로므로, 촬영 횟수를 줄여 촬영속도를 높일 수 있고, 그에 따라 환자들의 편의도 향상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한국공개특허 제10-2015-0057011호(발명의 명칭: 광원일체형 카메라, 공개일: 2015.05.28)에는, 소형화가 가능하고, 사용자가 선택적으로 원하는 대상을 촬영할 수 있는 광원일체형 카메라가 개시되어 있다. 또한, 한국등록특허 제10-1412627호(발명의 명칭: 왜곡이 보정된 광각 촬영 렌즈 시스템, 등록일: 2014.06.20)에는, 렌즈의 굴절능, 형태, 주광선의 입사각, 렌즈 간의 간격 등을 적절히 설계하여 소형 경량이면서 왜곡이 보정된 고해상도의 화상을 제공할 수 있도록 설계된 왜곡이 보정된 화각이 90도 이상인 광각 촬영 렌즈 시스템이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구강과 같이 협소한 공간에 삽입이 가능한 초소형의 크기로 형성할 수 있는 초소형 광각 렌즈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촬영 효율 및 촬영 속도를 높이기 위하여 근거리에서 광각 촬영을 실시할 수 있는 초소형 광각 렌즈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외부로부터 작용되는 열 또는 충격 등에 의한 렌즈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는 초소형 광각 렌즈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촬영 물체로부터 반사된 광선이 입사되는 유리 필터 부재, 상기 유리 필터 부재의 후면부에 전면부가 밀착되게 배치되고 (-)의 굴절능을 가지도록 형성되며 후면부가 (+)의 곡률로 형성된 제1 렌즈, 상기 제1 렌즈의 후방에 이격되게 배치되고 (+)의 굴절능을 가지도록 형성되며 전면부와 후면부가 (+)의 곡률로 형성된 제2 렌즈, 상기 제2 렌즈의 후방에 이격되게 배치된 조리개 부재, 상기 조리개 부재의 후방에 이격되게 배치되고 (+)의 굴절능을 가지도록 형성되며 전면부와 후면부가 (-)의 곡률로 형성된 제3 렌즈, 및 상기 제3 렌즈의 후방에 이격되게 배치되고 (+)의 굴절능을 가지도록 형성되며 전면부와 후면부가 (-)의 곡률로 형성된 제4 렌즈를 포함하는 초소형 광각 렌즈 시스템을 제공한다.
즉, 본 실시예에서는, 유리 필터 부재가 제1 렌즈의 전방에 배치된 구조이므로 외부에서 전달되는 열 또는 충격으로부터 제1 렌즈, 제2 렌즈, 제3 렌즈, 및 제4 렌즈를 보호할 수 있고, 유리 필터 부재와 제1 렌즈가 서로 밀착되게 배치된 구조이므로 초소형 광각 렌즈 시스템의 전체 사이즈를 줄일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본 실시예에서는, 제1 렌즈, 제2 렌즈, 제3 렌즈, 제4 렌즈의 굴절능 및 표면의 곡률을 적절히 설정하여 렌즈 시스템을 초소형 및 광각으로 구현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초소형 광각 렌즈 시스템은, 상기 유리 필터 부재의 일측에 이격되게 배치되고 상기 촬영 물체에 상기 광선을 제공하기 위한 광원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초소형 광각 렌즈 시스템은, 상기 제4 렌즈를 통과한 광선이 도달되도록 상기 제4 렌즈의 후방에 이격되게 배치된 이미지 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측면에 따르면, 상기 유리 필터 부재는 평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제1 렌즈의 전면부는 평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측면에 따르면, 상기 유리 필터 부재는 유리 소재의 비구면 렌즈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제1 렌즈, 상기 제2 렌즈, 상기 제3 렌즈, 또는 상기 제4 렌즈는 플라스틱 소재의 비구면 렌즈로 형성될 수 있다.
일측면에 따르면, 상기 유리 필터 부재는 무반사 코팅 또는 적외선 차단 필터 코팅 중 적어도 하나로 코팅될 수 있다.
일측면에 따르면, 상기 제2 렌즈의 굴절률은 상기 제1 렌즈의 굴절률보다 더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또는, 상기 제2 렌즈의 굴절률은 상기 제1 렌즈의 굴절률, 상기 제3 렌즈의 굴절률, 및 상기 제4 렌즈의 굴절률보다 더 크게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제2 렌즈는 1.6 이상 내지 1.7 이하의 굴절률을 가지는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렌즈, 상기 제3 렌즈, 및 상기 제4 렌즈는 1.5 이상 내지 1.6 미만의 굴절률을 가지는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일측면에 따르면, 상기 유리 필터 부재, 상기 제1 렌즈, 상기 제2 렌즈, 상기 조리개 부재, 상기 제3 렌즈, 및 상기 제4 렌즈는 직경 3mm 이내의 초소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측면에 따르면, 화각은 120도 이상의 광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초소형 광각 렌즈 시스템은, 유리 필터 부재의 후면부와 제1 렌즈의 전면부를 서로 밀착시킨 구조이므로, 초소형 광각 렌즈 시스템의 전체 사이즈를 감소시켜 초소형화를 구현할 수 있으며, 초소형 크기의 구현으로 인하여 일반 카메라로 접근이 어려운 위치의 촬영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초소형 광각 렌즈 시스템은, 플라스틱 소재로 형성된 제1~4 렌즈의 최외각 부위에 유리 소재의 유리 필터 부재를 배치한 구조이므로, 유리 필터 부재에 의해서 외부로부터 제1~4 렌즈에 전달되는 열 또는 충격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고, 열이나 긁힘 등에 약한 제1~4 렌즈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초소형 광각 렌즈 시스템은, 제1 렌즈, 제2 렌즈, 조리개 부재, 제3 렌즈, 제4 렌즈의 굴절능과 표면 곡률을 적절히 설정하여 화각 80도 이상의 광각으로 형성된 구조이므로, 근거리에서도 넓은 영역을 한번에 촬영할 수 있으며, 그로 인해서 촬영 속도를 높일 수 있어 촬영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초소형 광각 렌즈 시스템의 주요부가 도시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초소형 광각 렌즈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초소형 광각 렌즈 시스템의 MTE 곡선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초소형 광각 렌즈 시스템의 왜곡 곡선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이하에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이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 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초소형 광각 렌즈 시스템(100)의 주요부가 도시된 도면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초소형 광각 렌즈 시스템(100)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초소형 광각 렌즈 시스템(100)의 MTE 곡선을 나타낸 그래프이고,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초소형 광각 렌즈 시스템(100)의 왜곡 곡선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과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초소형 광각 렌즈 시스템(100)은 유리 필터 부재(110), 제1 렌즈(120), 제2 렌즈(130), 조리개 부재(140), 제3 렌즈(150), 및 제4 렌즈(160)를 포함할 수 있다.
참고로, 본 실시예에서는, '(+)의 굴절능'을 광선(R1, R2)의 폭을 확장시키는 굴절능으로 정의하고, '(-)의 굴절능'을 광선(R1, R2)의 폭을 수렴시키는 굴절능으로 정의하기로 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광선(R1, R2)이 입사되는 렌즈 표면에 대한 '(+)의 곡률'이 광선의 폭을 수렴시키는 렌즈 표면의 곡률로 정의하고, 광선(R1, R2)이 입사되는 렌즈 표면에 대한 '(-)의 곡률'이 광선의 폭을 확장시키는 렌즈 표면의 곡률로 정의하기로 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광선(R1, R2)이 출사되는 렌즈 표면에 대한 '(+)의 곡률'이 광선의 폭을 확장시키는 렌즈 표면의 곡률로 정의하고, 광선(R1, R2)이 출사되는 렌즈 표면에 대한 '(-)의 곡률'이 광선의 폭을 수렴시키는 렌즈 표면의 곡률로 정의하기로 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초소형 광각 렌즈 시스템(100)은 화각(A)이 80도 이상인 광각 렌즈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유리 필터 부재(110), 제1 렌즈(120), 제2 렌즈(130), 조리개 부재(140), 제3 렌즈(150), 및 제4 렌즈(160)의 굴절능 및 표면 곡률을 적절하게 설계함으로써, 초소형 광각 렌즈 시스템(100)가 광각 렌즈로 형성될 수 있다. 이하, 본 실시예에서는 초소형 광각 렌즈 시스템(100)의 화각(A)이 120도인 것으로 설명한다.
도 2에서는, 초소형 광각 렌즈 시스템(100)을 통과하는 광선(R1, R2)의 광 경로 및 폭의 변화가 도시되어 있다. 특히, 화각(A)이 0도인 광선(R1) 및 화각(A)이 120도인 광선(R2)에 대한 광 경로 및 폭 변화가 각각 도시되어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초소형 광각 렌즈 시스템(100)의 직경(D)이 3mm 이내로 매우 작은 초소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에서는 유리 필터 부재(110), 제1 렌즈(120), 제2 렌즈(130), 조리개 부재(140), 제3 렌즈(150), 및 제4 렌즈(160)는 동일한 광축을 따라 일렬로 배치되므로, 유리 필터 부재(110), 제1 렌즈(120), 제2 렌즈(130), 조리개 부재(140), 제3 렌즈(150), 및 제4 렌즈(160)도 3mm 이내의 직경(D)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하, 본 실시예에서는 초소형 광각 렌즈 시스템(100)의 직경(D)이 2mm 내외로 더욱 작게 형성된 것으로 설명한다.
상기와 같이 초소형 광각 렌즈 시스템(100)의 전체 사이즈가 매우 작게 형성되면, 초소형 광각 렌즈 시스템(100)의 설치 공간에 대한 제약이 줄어들고, 특히 구강과 같이 협소한 공간에 대한 접근성 및 촬영의 작업성이 향상될 수 있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유리 필터 부재(110)는 촬영 물체(O)로부터 반사된 광선(R1, R2)이 입사될 수 있다. 즉, 유리 필터 부재(110)는 초소형 광각 렌즈 시스템(100)의 다른 구성들보다 촬영 물체(O)에 가장 근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유리 필터 부재(110)에는 촬영 물체(O)의 광선(R1, R2)이 가장 먼저 입사될 수 있고, 그와 동시에 외부의 열이나 충격 등이 가장 먼저 전달될 수 있다.
여기서, 유리 필터 부재(110)는 유리 소재의 비구면 렌즈로 형성될 수 있다. 유리 필터 부재(110)는 유리 소재의 평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유리 필터 부재(110)의 전면부(112)와 후면부(114)는 평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유리 필터 부재(110)가 단순한 평판 형상으로 제조되면, 유리 필터 부재(110)의 제조시 작업이 용이하여 제조 시간 및 제조 단가를 크게 감소시킬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유리 필터 부재(110)는 제1~4 렌즈(120, 130, 150, 160)의 플라스틱 소재보다 열 또는 긁힘 등에 강한 유리 소재로 형성되므로, 외부로부터 전달되는 열 또는 충격 등을 차단하여 제1~4 렌즈(120, 130, 150, 160)의 변형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유리 필터 부재(110)에는 무반사(AR, Anti-Reflection) 코팅 또는 적외선 차단 필터(IR cut filter) 코팅 중 적어도 하나의 코팅이 이루어질 수 있다. 유리 필터 부재(110)에 무반사 코팅이 이루어지면, 반사 광선(R1, R2)이 유리 필터 부재(110)의 표면에 입사되는 과정에서 반사 광선(R1, R2)의 일부가 반사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유리 필터 부재(110)에 적외선 차단 필터 코팅이 이루어지면, 반사 광선(R1, R2) 중 적외선 영역을 차단하여 가시광선 영역만을 통과시킬 수 있다. 이하, 본 실시예에서는 무반사 코팅과 적외선 차단 필터 코팅이 유리 필터 부재(110)에 모두 코팅된 것으로 설명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제1 렌즈(120)는 유리 필터 부재(110)의 후방부(114)에 밀착되는 구조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제1 렌즈(120)는 (-)의 굴절능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제1 렌즈(120)는 플라스틱 소재의 비구면 렌즈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렌즈(120)는 1.5 이상 내지 1.6 미만의 굴절률을 가지는 플라스틱 소재(예를 들면, 상품명 Z-E48R)로 형성될 수 있다. 이하, 본 실시예에서는 제1 렌즈(120)가 굴절률 1.53 근방의 Z-E48R 소재를 이용하여 사출 성형된 것으로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 렌즈(120)의 전면부(122)가 무한대의 반지름을 갖는 평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제1 렌즈(120)의 후면부(124)가 (+)의 곡률을 갖는 곡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참고로, 렌즈 표면의 반지름 증가 및 곡률 감소는 렌즈의 표면 형상이 평면에 가까워짐을 의미하고, 렌즈 표면의 반지름 감소 및 곡률 증가는 렌즈의 표면 형상이 더욱더 볼록해지거나 오목해짐을 의미한다.
여기서, 제1 렌즈(120)의 전면부(122)는 유리 필터 부재(110)의 후면부(114)에 대응하는 평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제1 렌즈(120)의 전면부(122)는 유리 필터 부재(110)의 후면부(114)에 면접촉 방식으로 밀착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제1 렌즈(120)의 전면부(122)와 유리 필터 부재(110)의 후면부(114)가 서로 밀착된 상태로 배치되면, 제1 렌즈(120)와 유리 필터 부재(110)는 일체로 형성된 단일 부품처럼 하나의 구성요소로 조립될 수 있다. 따라서, 초소형 광각 렌즈 시스템(100)의 조립 작업시 마스크 개수를 줄일 수 있고, 조립 작업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제조 단가도 절감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제1 렌즈(120)와 유리 필터 부재(110)의 사이에는 별도의 이격 공간이 형성되지 않는 구조이므로, 제1 렌즈(120)와 유리 필터 부재(110)가 서로 이격되게 배치된 경우보다 초소형 광각 렌즈 시스템(100)의 전체 사이즈를 현저하게 감소시킬 수 있다. 특히, 본 실시예에 따른 초소형 광각 렌즈 시스템(100)은 초소형의 크기로 제작되므로, 제1 렌즈(120)와 유리 필터 부재(110) 사이의 이격 공간을 제거하는 것만으로도 전체 사이즈의 감소 효과를 충분히 실현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렌즈(120)의 후면부(124)는 (+)의 곡률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제1 렌즈(120)가 (-) 굴절능을 구비함과 아울러 제1 렌즈(120)의 후면부(124)가 (+)의 곡률로 형성되면, 유리 필터 부재(110)를 통과한 광선(R1, R2)의 폭이 확대될 수 있으며, 광각으로 입사되는 광선(R1, R2)의 광 경로도 크게 변경될 수 있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제2 렌즈(130)는 제1 렌즈(120)의 후방에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제2 렌즈(130)는 (+)의 굴절능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제2 렌즈(130)의 전면부(132)와 후면부(134)가 (+)의 곡률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렌즈(130)가 (+)의 굴절능을 구비하면, 제2 렌즈(130)를 통과하는 광선(R1, R2)의 폭이 수렴될 수 있다.
제2 렌즈(130)의 전면부(132)와 후면부(124)를 (+)의 곡률로 형성된 곡면으로 형성하면, 제2 렌즈(130)의 전면부(132)는 광선(R1, R2)을 수렴시킬 수 있고, 제2 렌즈(130)의 후면부(134)는 광선(R1, R2)을 확장시킬 수 있다. 이때, 제2 렌즈(130)의 전면부(132)의 반지름은 제2 렌즈(130)의 후면부(134)의 반지름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제2 렌즈(130)의 전면부(132)는 제2 렌즈(130)의 후면부(134)보다 더 볼록한 형상으로 전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고, 제2 렌즈(130)의 전면부(132)와 후면부(124)의 곡률에 따른 광선(R1, R2)의 변화도 전체적으로 수렴될 수 있다.
한편, 제2 렌즈(130)는 플라스틱 소재의 비구면 렌즈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2 렌즈(130)는 1.6 이상 내지 1.7 이하의 굴절률을 가지는 플라스틱 소재(예를 들면, 상품명 OKP4HT)로 형성될 수 있다. 이하, 본 실시예에서는 제2 렌즈(130)가 굴절률 1.64 근방의 OKP4HT 소재를 이용하여 사출 성형된 것으로 설명한다.
상기와 같이 제2 렌즈(130)의 굴절률은 제1 렌즈(120)의 굴절률, 제3 렌즈(150)의 굴절률, 및 제4 렌즈(160)의 굴절률보다 더 크게 형성될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제2 렌즈(130)의 굴절률은 제1 렌즈(120)의 굴절률보다 더 크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제2 렌즈(130)는 (+)의 굴절능을 가지기 때문에 제1 렌즈(120)를 통과하면서 폭이 확대된 광선의 폭을 더 이상 확대되지 않도록 제어하는 역할을 수행해야 하기 때문이다. 즉, 본 실시예에서는 제1 렌즈(120)에서 발산된 광선(R1, R2)이 제2 렌즈(130)에 의해서 발산이 제어되어 수렴되는 구조이며, 그로 인해서 초소형 광각 렌즈 시스템(100)에서 획득되는 이미지의 전체적인 색수차를 줄일 수 있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조리개 부재(140)는 제2 렌즈(130)의 후방에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즉, 조리개 부재(140)는 제2 렌즈(130)와 제3 렌즈(150)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조리개 부재(140)는 촬영 물체(O)로부터 반사된 광선(R1, R2)의 다발 모양을 결정할 수 있다. 조리개 부재(140)의 중앙부에는 소정의 크기로 조리개 구멍(142)이 형성될 수 있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제3 렌즈(150)는 조리개 부재(140)의 후방에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제3 렌즈(150)는 (+)의 굴절능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제3 렌즈(150)의 전면부(152)와 후면부(154)가 (-)의 곡률로 형성될 수 있다.
제3 렌즈(150)가 (+)의 굴절능을 구비하면, 제3 렌즈(150)를 통과하는 광선(R1, R2)의 폭이 수렴될 수 있다.
제3 렌즈(150)의 전면부(152)와 후면부(154)를 (-)의 곡률로 형성된 곡면으로 형성하면, 제3 렌즈(150)의 전면부(152)는 광선(R1, R2)을 확장시킬 수 있고, 제3 렌즈(150)의 후면부(154)는 광선(R1, R2)을 수렴시킬 수 있다. 이때, 제3 렌즈(150)의 전면부(152)의 반지름은 제3 렌즈(150)의 후면부(154)의 반지름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제3 렌즈(150)의 전면부(152)는 제3 렌즈(150)의 후면부(154)보다 더 평탄한 평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제3 렌즈(150)의 전면부(152)와 후면부(154)의 곡률에 따른 광선(R1, R2)의 변화도 전체적으로 수렴될 수 있다.
전술한 제1 렌즈(120)와 마찬가지로, 제3 렌즈(150)는 플라스틱 소재의 비구면 렌즈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3 렌즈(150)는 1.5 이상 내지 1.6 미만의 굴절률을 가지는 플라스틱 소재(예를 들면, 상품명 Z-E48R)로 형성될 수 있다. 이하, 본 실시예에서는 제3 렌즈(150)가 굴절률 1.53 근방의 Z-E48R 소재를 이용하여 사출 성형된 것으로 설명한다.
상기와 같은 제3 렌즈(150)는 제2 렌즈(130)를 통과한 광선(R1, R2)이 후술할 이미지 센서(180)의 원하는 위치에 도달하도록 광선(R1, R2)의 방향을 제어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참고로, 제3 렌즈(150)와 제2 렌즈(130)의 사이에는 조리개 부재(140)가 배치된 구조이며, 제3 렌즈(150)와 제2 렌즈(130)의 표면 곡률은 조리개 부재(140)를 기준으로 서로 반대 방향으로 형성되어 초소형 광각 렌즈 시스템(100)의 왜곡이 감소될 수 있다. 즉, 제3 렌즈(150)의 전면부(152)의 곡률은 제2 렌즈(130)의 전면부의 곡률과 반대로 형성되고, 제3 렌즈(150)의 후면부(154)의 곡률은 제2 렌즈(130)의 후면부의 곡률과 반대로 형성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제4 렌즈(160)는 제3 렌즈(150)의 후방에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제4 렌즈(160)는 (+)의 굴절능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제4 렌즈(160)의 전면부(162)와 후면부(164)가 (-)의 곡률로 형성될 수 있다.
제4 렌즈(160)가 (+)의 굴절능을 구비하면, 제4 렌즈(160)를 통과하는 광선(R1, R2)의 폭이 수렴될 수 있다.
제4 렌즈(160)의 전면부(162)와 후면부(164)를 (-)의 곡률로 형성된 곡면으로 형성하면, 제4 렌즈(160)의 전면부(162)는 광선(R1, R2)을 확장시킬 수 있고, 제4 렌즈(160)의 후면부(164)는 광선(R1, R2)을 수렴시킬 수 있다. 이때, 제4 렌즈(160)의 전면부(162)의 반지름은 제4 렌즈(160)의 후면부(164)의 반지름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제4 렌즈(160)의 전면부(162)는 제4 렌즈(160)의 후면부(164)보다 더 평탄한 평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제4 렌즈(160)의 전면부(162)와 후면부(164)의 곡률에 따른 광선(R1, R2)의 변화도 전체적으로 수렴될 수 있다.
전술한 제1 렌즈(120)와 마찬가지로, 제4 렌즈(160)도 플라스틱 소재의 비구면 렌즈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4 렌즈(160)는 1.5 이상 내지 1.6 미만의 굴절률을 가지는 플라스틱 소재(예를 들면, 상품명 Z-E48R)로 형성될 수 있다. 이하, 본 실시예에서는 제3 렌즈(150)가 굴절률 1.53 근방의 Z-E48R 소재를 이용하여 사출 성형된 것으로 설명한다.
상기와 같은 제4 렌즈(160)는 제3 렌즈(150)를 통과한 광선(R1, R2)이 이미지 센서(180)에 더욱 모이도록 집광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즉, 제4 렌즈(160)는 제3 렌즈(150)를 통과한 광선(R1, R2)의 초점이 이미지 센서(180)의 적정 위치에 도달하도록 제3 렌즈(150)와 이미지 센서(180)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초소형 광각 렌즈 시스템(100)은 광원 부재(170) 및 이미지 센서(1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광원 부재(170)는 유리 필터 부재(110)의 일측에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광원 부재(170)는 유리 필터 부재(110)로부터 소정 거리 이격된 위치에서 촬영 물체(O)에 빛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광원 부재(170)는 LED, 형광등, 전등 등과 같이 다양한 종류의 발광 소자가 사용될 수 있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초소형 광각 렌즈 시스템(100)의 초소형화에 대응하여 광원 부재(170)도 LED에 의해 초소형으로 형성된 것으로 설명한다.
광원 부재(170)는 외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빛을 발생시킬 수 있으며, 그 과정에서 다량의 열이 발생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광원 부재(170)에서 발생된 열이 제1~4 렌즈(120, 130, 150, 160)에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광원 부재(170)와 제1~4 렌즈(120, 130, 150, 160)의 사이에 단열 구조를 설치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다만, 본 실시예에 따른 초소형 광각 렌즈 시스템(100)이 2mm 이하의 매우 작은 직경으로 제작되므로, 단열 구조를 설치하는데 한계가 있다.
그렇기 때문에, 본 실시예에서는 제1~4 렌즈(120, 130, 150, 160)의 전방에 유리 소재의 유리 필터 부재(110)를 배치함으로써, 광원 부재(170)에서 발생된 열이 제1~4 렌즈(120, 130, 150, 160)에 직접적으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광원 부재(170)에서 발생된 광선(R1, R2) 중에서 유리 필터 부재(110)가 불필요한 적외선을 차단함으로써, 제1~4 렌즈(120, 130, 150, 160)로 조사되는 광선(R1, R2)에 의해 렌즈들이 열 변형되는 현상도 방지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이미지 센서(180)는 제4 렌즈(160)의 후방에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이미지 센서(180)에는 제4 렌즈(160)를 통과한 광선(R1, R2)이 도달될 수 있다. 이미지 센서(180)는 제4 렌즈(160)를 통과한 광선(R1, R2)을 감지하여 촬영 물체(O)의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이미지 센서(180)는 초소형 광각 렌즈 시스템(100)의 초소형화로 인하여 초소형의 센서가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이미지 센서(180)는 CCD 센서 또는 CMOS 센서 등이 사용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초소형 광각 렌즈 시스템(100)에서는 유리 필터 부재(110), 제1 렌즈(120), 제2 렌즈(130), 제3 렌즈(150), 제4 렌즈(160)가 비구면 렌즈로 형성되는데, 제1~4 렌즈(120, 130, 150, 160)의 중앙 부위에 (-) 또는 (+)의 곡률로 형성된 곡면이 형성된다. 상기와 같은 제1~4 렌즈(120, 130, 150, 160)의 중앙 부위는 광선(R1, R2)을 제어하기 위한 유효 영역이지만, 그 이외의 제1~4 렌즈(120, 130, 150, 160)의 가장자리 부위는 광선(R1, R2)의 제어와 관련 없는 비유효 영역이다. 제1~4 렌즈(120, 130, 150, 160)의 비유효 영역이 형성된 렌즈의 가장자리 부위를 이용하여 렌즈들을 조립 및 지지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비구면 렌즈와 관련된 수학식 1은 다음과 같다.
Figure 112017073447322-pat00001
여기서, 'c'는 곡률반경이고, 'K'는 코닉상수이며, 'A, B, C, D, E' 는 비구면 상수이다. 즉, 비구면 렌즈의 형상은 광축으로부터의 높이 'y' 의 함수 'z (sag)' 로 주어진다.
아래의 표 1에서는 본 실시예에 따른 화각(A) 120도의 초소형 광각 렌즈 시스템(100)에 사용되는 유리 필터 부재(110), 제1~4 렌즈(120, 130, 150, 160), 조리개 부재(140), 이미지 센서(180)에 대한 반지름, 두께, 및 재질을 나타내고 있다.
렌즈면 반지름 두께 재질
유리 필터 부재의 전면부(112) 무한대 1.0 B270_SCH
유리 필터 부재의 후면부(114) 무한대 0.0
제1 렌즈의 전면부(122) 무한대 0.738 Z-E48R
제1 렌즈의 후면부(124) 0.386 0.423
제2 렌즈의 전면부(132) 0.700 0.573 OKP4HT
제2 렌즈의 후면부(134) 4.516 0.162
조리개 부재(140) 무한대 0.1
제3 렌즈의 전면부(152) -3.767 0.591 Z-E48R
제3 렌즈의 후면부(154) -0.452 0.1
제4 렌즈의 전면부(162) -1.725 0.5 Z-E48R
제4 렌즈의 후면부(164) -1.156 0.7
이미지 센서(180) 무한대 0.0
여기서, '반지름'은 수학식 1의 곡률반경(c)의 역수이고, '두께'는 광축 상에서 면과 면 사이의 거리이다. 또한, 반지름과 두께의 단위는 'mm'인 것으로 정의한다.
아래의 표 2에서는 표 1의 비구면 렌즈들의 비구면 계수를 나타내고 있다.
렌즈면 K A B C D
제1 렌즈의 후면부(124) -2.156 3.896 -14.564 80.231 -151.896
제2 렌즈의 전면부(132) -6.477 3.101 -11.843 69.631 -193.948
제2 렌즈의 후면부(134) 0 1.461 1.772 -417.772 2571.975
제3 렌즈의 전면부(152) 0 -3.196 36.668 -162.150 2094.687
제3 렌즈의 후면부(154) -2.280 -1.401 8.076 -83.030 267.297
제4 렌즈의 전면부(162) 0 2.557 -8.685 10.688 -0.936
제4 렌즈의 후면부(164) 1.359 1.614 -1.541 -5.287 9.064
한편, 도 3과 도 4에는 표 1과 표 2에 기재된 비구면 렌즈를 구비한 초소형 광각 렌즈 시스템(100)에 대한 MTF(Modulation Transfer Function) 곡선 및 왜곡 곡선이 각각 도시되어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MTF 곡선에서 0도부터 60도까지의 광선들이 모두 120 cycles/mm 근방에서 50% 이상의 MTF 값을 나타내고 있음을 볼 수 있다. 이는 모든 각도로 입사하는 광선들이 모두 전체적으로 양질의 이미지를 얻을 수 있었음을 나타낸다.
도 4를 참조하면, 50도 이후에서 60도까지 화면의 귀퉁이 부분에서는 왜곡이 -20% 정도 이상으로 나타나지만, 화면에서 볼 수 있는 대부분의 부분에서는 입사하는 광선(R1, R2)의 왜곡이 대략 0.01% ~ -3.5%로 거의 눈으로 왜곡을 구분하기 어려운 것으로 나타난다.
상기와 같이 도 3과 도 4의 실험 결과를 분석해보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초소형 광각 렌즈 시스템(100)은 양질의 이미지를 획득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도시된 초소형 광각 렌즈 시스템(100)의 작동 및 성능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광원 부재(170)에 전원을 공급하여 광원 부재(170)가 촬영 물체(O)에 빛을 조사한다.
이때, 유리 필터 부재(110)는 광원 부재(170)에서 발생되는 열을 차단하여 유리 필터 부재(110)의 후방에 배치된 제1~4 렌즈(120, 130, 150, 160)의 열변형을 막을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유리 필터 부재(110)는 외부의 충격이나 긁힘 등을 차단하여 제1~4 렌즈(120, 130, 150, 160)의 물리적 변형도 방지할 수 있다.
초소형 광각 렌즈 시스템(100)의 광각 촬영이 가능한 구조로 인하여, 광원 부재(170)의 빛 중에서 일부의 광선(R1, R2)은 촬영 물체(O)에서 반사된 후 유리 필터 부재(110)에 120도의 화각(A)으로 입사되는 것이 가능하다.
즉, 촬영 물체(O)에서 반사된 광선(R1, R2)은 유리 필터 부재(110)에 수렴하는 형상으로 입사되므로, 초소형 광각 렌즈 시스템(100)으로 입사되는 광선(R1, R2)은 촬영 물체(O)의 넓은 영역에 대한 영상 정보를 포함한다.
이때, 유리 필터 부재(110)의 무반사 코팅으로 인해서 광선(R1, R2)이 유리 필터 부재(110)의 전면부(112)에 입사되는 과정에서 일부가 반사되는 현상이 방지되며, 유리 필터 부재(110)의 적외선 차단 필터 코팅으로 인해서 광선(R1, R2)의 적외선 영역이 제거된다. 즉, 유리 필터 부재(110)를 통과한 광선(R1, R2)은 가시광선 영역만이 존재한다.
유리 필터 부재(110)를 통과한 광선(R1, R2)은 유리 필터 부재(110)의 후면부(114)에 밀착된 제1 렌즈(120)의 전면부(122)로 입사한다. 제1 렌즈(120)는 광선(R1, R2)의 폭을 확대하고, 큰 화각(A)으로 입사된 광선(R1, R2)의 광경로를 크게 바꾼다.
제1 렌즈(120)를 통과한 광선(R1, R2)은 제2 렌즈(130)의 전면부(132)로 입사한다. 제2 렌즈(130)는 제1 렌즈(120)에서 폭이 확대된 광선(R1, R2)이 더 이상 확대되지 않도록 제어한다. 특히, 제2 렌즈(130)의 굴절률이 다른 렌즈들의 굴절률보다 크게 형성되므로, 제2 렌즈(130)는 초소형 광각 렌즈 시스템(100)에 획득되는 이미지의 전체적인 색수차를 감소시킨다.
제2 렌즈(130)를 통과한 광선(R1, R2)은 조리개 부재(140)의 조리개 구멍(142)을 통과한다. 조리개 부재(140)는 광선(R1, R2)의 다발 모양을 결정한다.
조리개 부재(140)를 통과한 광선(R1, R2)은 제3 렌즈(150)의 전면부(152)로 입사한다. 제3 렌즈(150)는 광선의 방향을 이미지 센서(180)의 적정 위치로 조절한다. 또한, 제3 렌즈(150)는 조리개 부재(140)를 기준으로 제2 렌즈(130)와 반대 방향으로 대칭되게 형성되므로, 초소형 광각 렌즈 시스템(100)의 왜곡을 줄인다.
제3 렌즈(150)를 통과한 광선(R1, R2)은 제4 렌즈(160)의 전면부(162)로 입사한다. 제4 렌즈(160)는 광선(R1, R2)을 더욱 수렴시켜 이미지 센서(180)의 적정 위치에 도달시킨다.
이미지 센서(180)는 제4 렌즈(160)를 통과한 광선(R1, R2)을 전달 받아서 전기적 신호로 변환한다. 즉, 이미지 센서(180)는 광선(R1, R2)에 포함된 촬영 물체(O)의 영상 정보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시켜 다양한 종류의 영상 재생 장치로 전달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초소형 광각 렌즈 시스템(100)에서는 촬영 물체(O)에서 반사된 광선(R1, R2)이 유리 필터 부재(110), 제1 렌즈(120), 제2 렌즈(130), 조리개 부재(140), 제3 렌즈(150), 제4 렌즈(160)를 차례로 통과한 후 이미지 센서(180)에 도달한다.
상기와 같은 초소형 광각 렌즈 시스템(100)은 구강과 같은 협소한 공간에서 광각 촬영을 수행하기 위한 다양한 분야의 촬영 장치에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초소형 광각 렌즈 시스템(100)은, 치과 등과 같은 의료 분야의 환부 촬영, 애완동물 관리 분야 및 축산/수의 분야의 동물 촬영, 또는 산업 현장에서 접근이 어려운 위치의 촬영 등에 널리 사용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0: 초소형 광각 렌즈 시스템
110: 유리 필터 부재
120: 제1 렌즈
130: 제2 렌즈
140: 조리개 부재
150: 제3 렌즈
160: 제4 렌즈
170: 광원 부재
180: 이미지 센서
A: 화각
O: 촬영 물체
R1, R2: 광선

Claims (11)

  1. 촬영 물체로부터 반사된 광선이 입사되는 유리 필터 부재;
    상기 유리 필터 부재의 후면부에 전면부가 밀착되게 배치되고, (-)의 굴절능을 가지도록 형성되며, 후면부가 (+)의 곡률로 형성된 제1 렌즈;
    상기 제1 렌즈의 후방에 이격되게 배치되고, (+)의 굴절능을 가지도록 형성되며, 전면부와 후면부가 (+)의 곡률로 형성된 제2 렌즈;
    상기 제2 렌즈의 후방에 이격되게 배치된 조리개 부재;
    상기 조리개 부재의 후방에 이격되게 배치되고, (+)의 굴절능을 가지도록 형성되며, 전면부와 후면부가 (-)의 곡률로 형성된 제3 렌즈; 및
    상기 제3 렌즈의 후방에 이격되게 배치되고, (+)의 굴절능을 가지도록 형성되며, 전면부와 후면부가 (-)의 곡률로 형성된 제4 렌즈;를 포함하며,
    상기 유리 필터 부재는 평판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1 렌즈의 전면부는 평면 형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소형 광각 렌즈 시스템.
  2. 촬영 물체로부터 반사된 광선이 입사되는 유리 필터 부재;
    상기 유리 필터 부재의 후면부에 전면부가 밀착되게 배치되고, (-)의 굴절능을 가지도록 형성되며, 후면부가 (+)의 곡률로 형성된 제1 렌즈;
    상기 제1 렌즈의 후방에 이격되게 배치되고, (+)의 굴절능을 가지도록 형성되며, 전면부와 후면부가 (+)의 곡률로 형성된 제2 렌즈;
    상기 제2 렌즈의 후방에 이격되게 배치된 조리개 부재;
    상기 조리개 부재의 후방에 이격되게 배치되고, (+)의 굴절능을 가지도록 형성되며, 전면부와 후면부가 (-)의 곡률로 형성된 제3 렌즈;
    상기 제3 렌즈의 후방에 이격되게 배치되고, (+)의 굴절능을 가지도록 형성되며, 전면부와 후면부가 (-)의 곡률로 형성된 제4 렌즈; 및
    상기 유리 필터 부재의 일측에 이격되게 배치되고, 상기 촬영 물체에 상기 광선을 제공하기 위한 광원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유리 필터 부재는 평판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1 렌즈의 전면부는 평면 형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소형 광각 렌즈 시스템.
  3. 촬영 물체로부터 반사된 광선이 입사되는 유리 필터 부재;
    상기 유리 필터 부재의 후면부에 전면부가 밀착되게 배치되고, (-)의 굴절능을 가지도록 형성되며, 후면부가 (+)의 곡률로 형성된 제1 렌즈;
    상기 제1 렌즈의 후방에 이격되게 배치되고, (+)의 굴절능을 가지도록 형성되며, 전면부와 후면부가 (+)의 곡률로 형성된 제2 렌즈;
    상기 제2 렌즈의 후방에 이격되게 배치된 조리개 부재;
    상기 조리개 부재의 후방에 이격되게 배치되고, (+)의 굴절능을 가지도록 형성되며, 전면부와 후면부가 (-)의 곡률로 형성된 제3 렌즈;
    상기 제3 렌즈의 후방에 이격되게 배치되고, (+)의 굴절능을 가지도록 형성되며, 전면부와 후면부가 (-)의 곡률로 형성된 제4 렌즈; 및
    상기 제4 렌즈를 통과한 광선이 도달되도록 상기 제4 렌즈의 후방에 이격되게 배치된 이미지 센서;를 포함하며,
    상기 유리 필터 부재는 평판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1 렌즈의 전면부는 평면 형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소형 광각 렌즈 시스템.
  4. 삭제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유리 필터 부재는 유리 소재의 비구면 렌즈로 형성되며,
    상기 제1 렌즈, 상기 제2 렌즈, 상기 제3 렌즈, 또는 상기 제4 렌즈는 플라스틱 소재의 비구면 렌즈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소형 광각 렌즈 시스템.
  6.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유리 필터 부재는 무반사 코팅 또는 적외선 차단 필터 코팅 중 적어도 하나로 코팅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소형 광각 렌즈 시스템.
  7.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렌즈의 굴절률은 상기 제1 렌즈의 굴절률보다 더 크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소형 광각 렌즈 시스템.
  8.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렌즈의 굴절률은 상기 제1 렌즈의 굴절률, 상기 제3 렌즈의 굴절률, 및 상기 제4 렌즈의 굴절률보다 더 크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소형 광각 렌즈 시스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렌즈는 1.6 이상 내지 1.7 이하의 굴절률을 가지는 소재로 형성되고,
    상기 제1 렌즈, 상기 제3 렌즈, 및 상기 제4 렌즈는 1.5 이상 내지 1.6 미만의 굴절률을 가지는 소재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소형 광각 렌즈 시스템.
  10.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유리 필터 부재, 상기 제1 렌즈, 상기 제2 렌즈, 상기 조리개 부재, 상기 제3 렌즈, 및 상기 제4 렌즈는 직경 3mm 이내의 초소형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소형 광각 렌즈 시스템.
  11.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화각이 120도 이상의 광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소형 광각 렌즈 시스템.
KR1020170096670A 2017-07-31 2017-07-31 초소형 광각 렌즈 시스템 KR1018736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6670A KR101873687B1 (ko) 2017-07-31 2017-07-31 초소형 광각 렌즈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6670A KR101873687B1 (ko) 2017-07-31 2017-07-31 초소형 광각 렌즈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73687B1 true KR101873687B1 (ko) 2018-07-02

Family

ID=629142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96670A KR101873687B1 (ko) 2017-07-31 2017-07-31 초소형 광각 렌즈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73687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032468A (ja) * 2010-07-29 2012-02-16 Fujifilm Corp 撮像レンズおよび撮像装置
JP5644947B2 (ja) * 2011-07-26 2014-12-24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広角レンズ,撮像光学装置及びデジタル機器
US9535233B2 (en) 2014-10-24 2017-01-03 Genius Electronic Optical Co., Ltd. Optical imaging lens and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the sam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032468A (ja) * 2010-07-29 2012-02-16 Fujifilm Corp 撮像レンズおよび撮像装置
JP5644947B2 (ja) * 2011-07-26 2014-12-24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広角レンズ,撮像光学装置及びデジタル機器
US9535233B2 (en) 2014-10-24 2017-01-03 Genius Electronic Optical Co., Ltd. Optical imaging lens and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the sam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313319B (zh) 折叠式摄影机透镜设计
CN107643584B (zh) 光学成像系统
JP6750128B2 (ja) 大きな絞りを有するコンパクト屈曲レンズ
KR101649467B1 (ko) 촬영 렌즈 광학계
TWI528049B (zh) 定焦鏡頭
EP2706391A1 (en) Optical unit and endoscope
CN107817577A (zh) 光学成像系统
TWI471593B (zh) 光學成像鏡頭及應用此鏡頭之電子裝置
CN107765408A (zh) 光学成像系统
TW202004247A (zh) 光學成像系統
KR101660218B1 (ko) 촬영 렌즈 광학계
CN110275273A (zh) 光学成像系统
KR20130113796A (ko) 촬영 렌즈 광학계
KR101729470B1 (ko) 촬영 렌즈 광학계
KR200458772Y1 (ko) 두 개의 렌즈를 갖는 컴팩트한 짧은 후면 촛점 이미지렌즈 시스템
KR101100615B1 (ko) 렌즈광학계
KR100672876B1 (ko) 광각 카메라용 광학계
KR101873687B1 (ko) 초소형 광각 렌즈 시스템
KR20110068108A (ko) 촬상 렌즈
KR101547462B1 (ko) 촬영 렌즈 광학계
KR20100037948A (ko) 캡슐 내시경 광학계
KR102206565B1 (ko) 광각렌즈 시스템 및 이를 구비하는 촬영 시스템
KR101578647B1 (ko) 촬영 렌즈 광학계
KR20100080978A (ko) 촬상 렌즈
KR102408931B1 (ko) 렌즈 광학계 및 촬상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