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73623B1 - 흉터억제용 피부부목패치 제제의 제작 방법 및 그 조성물 - Google Patents

흉터억제용 피부부목패치 제제의 제작 방법 및 그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73623B1
KR101873623B1 KR1020150150244A KR20150150244A KR101873623B1 KR 101873623 B1 KR101873623 B1 KR 101873623B1 KR 1020150150244 A KR1020150150244 A KR 1020150150244A KR 20150150244 A KR20150150244 A KR 20150150244A KR 101873623 B1 KR101873623 B1 KR 1018736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ar
skin
patch
sheet
spli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502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49184A (ko
Inventor
이승철
Original Assignee
동국대학교 경주캠퍼스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국대학교 경주캠퍼스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동국대학교 경주캠퍼스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501502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73623B1/ko
Publication of KR201700491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491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736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736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70Web, sheet or filament bases ; Films; Fibres of the matrix type containing drug
    • A61K9/7007Drug-containing films, membranes or shee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02Adhesive bandages or dressin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70Carbohydrates; Sugars; Derivatives thereof
    • A61K31/715Polysaccharides, i.e. having more than five saccharide radicals attached to each other by glycosidic linkages; Derivatives thereof, e.g. ethers, esters
    • A61K31/716Gluc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3/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inorganic active ingredien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Materials For Medical 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흉터 억제용 피부부목패치 제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자외선을 차단하고 피부를 견인하여 흉터가 벌어지는 현상을 막는 물리적 치료와 함께 흉터를 억제 및/또는 치료할 수 있는 약물 성분을 흉터 내에 전달하는 화학적 치료를 동시에 가능하게 하는 흉터 억제용 피부부목패치 제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흉터 억제용 피부부목패치 제제는 기존 제품들의 단점을 개선하면서 흉터 억제에 필수적인 3가지 요소인 흉터의 벌어짐을 막는 것, 자외선 차단, 흉터압박효과를 동시에 달성함으로써 흉터를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흉터 억제용 피부부목패치 제제는 흉터 부위에 간단히 부착할 수 있는바, 간단하고 손쉽게 이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흉터억제용 피부부목패치 제제의 제작 방법 및 그 조성물{Manufacturing skin splinting patch materials and its methods and composition for reducing or prevention of scar formation}
본 발명은 흉터 억제용 피부부목패치 제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다층(multilayered)으로 된 흉터 억제 제제로서 첫째, 자외선을 효과적으로 차단하고 둘째, 피부에 맞게 열, 물, 또는 공기 중에 노출되어 피부에 맞게 고형화되는 피부 부목을 이용하여 흉터 및 흉터 주위의 피부를 견인 및 압박하여 흉터가 벌어지는 현상과 흉터가 과생성되어 부풀어 오르는 현상을 막는 물리적 치료를 동시에 시행하여 흉터를 효과적으로 억제 및/또는 치료할 수 있는 부목으로서, 하층부위에 피부 접착기능이 있으면서 동시에 추가 흉터 억제 약물 성분을 흉터 내에 전달하는 화학적 치료를 동시에 가능하게 하는 흉터 억제용 피부부목패치 제제에 관한 것이다.
흉터는 피부 색소의 변성 및 scar remodeling 과정에서 발생된다. 흉터가 생긴 부위의 피부는 필수적으로 collagen의 cross linking이 완성되지 않은 상태가 일정시간 지속되면서, 이른바 remodelling 과정을 겪게 되는데, 흉터 조직에 있어서는 tensile strength가 약한 상태로 지속되다가 결코 정상 상태인 100%까지 흉터의 tensile strength가 회복되지는 않고 수년이 지나도 흉터의 피부 조직이 약해진 상태로 scar remodeling 과정을 마치게 된다, 또한 열상의 상처에서는 시간이 지나면서 피하에 봉합을 위해 사용한 흡수성 또는 비흡수성 봉합사가 체내로 서서히 흡수되거나 파괴되면서 상처의 양측 피부 피판을 당겨주던 봉합사의 힘이 소실되게 되고, 이로 인해서 열상 흉터가 생긴 부위는 피부의 긴장선을 따라서 벌어지고, collagen remodelling 과정에서 collagen cross linking이 균일하지 못하기 때문에 피부가 약하면서 탄력성이 떨어지고, 흉터 주위의 피부가 움직이게 되면 흉터는 결합력이 상대적으로 부족해서 흉터가 벌어지게 된다. 또한, 소아 또는 청소년의 경우에 생긴 흉터는 환자가 나이가 들면서 정상의 피부조직과 달리 흉터는 정상의 피부처럼 늘어나거나 성장하지 못하기 때문에 흉터가 피내 또는 피하에서 벌어지는 현상이 발생되면서 점차 흉터가 벌어지는 현상이 발생될 뿐만 아니라, 인간의 피부에서 가슴, 팔, 어깨와 같이 피부가 잘 늘어나지 않고 그 긴장도가 높으면서, 피지선이 풍부한 부위에는 과도한 피부의 당김현상으로 인해서 조직학적으로 흉터의 세포들을 자극하게 되어서, 지속적으로 견인되는 피부에서 지속적으로 흉터의 성장이 이루어지게 되어 켈로이드나 비후성 반흔이 잘 생기게 된다. 즉, 열상 흉터가 있는 피부는 양측의 피부의 결합력이 점차 약하게 되어 시간이 지나면서 흉터가 발생되고 피부 주위의 tension이 상대적으로 강한 부위는 흉터가 벌어지는 현상과 함몰 현상 및 과도한 또는 통제되지 않은 피부부속기(skin appendage)에 의한 피부 재생산 과정을 통해서 흉터가 부풀어 오르는 이른바 비후성 반흔 또는 켈로이드 반흔이 나타내게 된다. 그리고, 열상 봉합을 할 때에 사용한 흡수성 봉합사와 인간의 피부의 면역 세포들간의 미세 염증반응이 생기면서 때로는 피저선(sebaceous glands)이 나 피부부속기 성분(skin appendages)의 과도한 상피화 활동, 과도한 혈관의 증식으로 인해 흉터조직의 과성장 또는 저성장을 통해서 흉터가 정상과 다르게 현저하게 나타나게 된다.
따라서, 이렇게 흉터를 줄이기 위해서는 일단 눈에 보이는 각종 흉터가 가시적으로 발생하기 전에 흉터를 억제할 필요성이 있으며 이를 위한 방법은 근본적으로 흉터가 생기는 조직학적 변화 및 물리적인 피부의 특성의 변화를 이해하여 흉터를 악화시키는 원인을 차단하는 것이다.
현재, 흉터를 줄이기 위해서 다양한 흉터 억제제(콘트라투벡스 (Contractubex) 또는 스카벡스 겔, 스카리드겔, 더마트릭스 울트라, 시카케어 등)들이 상품화되어 시중에 판매되고 있으나, 상기 제품들은 효과 대비 비용이 고가일 뿐만 아니라 흉터 억제 효과도 매우 미미하고 흉터 발생의 근본적인 메카니즘에 대해서 근본적인 해결을 위한 과학적 접근이 아니라는 문제점이 있다. 흉터 억제를 위해서는 우선 흉터 변색(Dyspigmentation)을 막기 위한 자외선 차단, 효과적으로 흉터의 벌어짐을 막는 피부견인치료와 흉터가 정상의 피부보다 부풀어 오르는 현상을 물리적으로 막는 효과적인 흉터 압박 요법이 가장 중요하다. 하지만 기존 제품들은 임상적으로 이러한 원리를 제대로 구현하지 못하여 그 흉터 억제 효과가 매우 부족하였다.
상기에서 기재된 바와 같이, 기존 제품들의 단점을 개선하면서 물리적 및 화학적인 방법을 동시에 적용하여 흉터를 억제하기 위한 제제의 개발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고, 이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으나, 아직 효과적인 흉터 억제 및 치료제 개발은 미비한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상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접착성 조성물을 포함하여 피부 흉터 부위에 직접 접촉하여 부착되는 제1 시트(100); 및 상기 제1 시트(100) 위에 적층되고, 가소성 조성물을 포함하는 가변형 피부부목제제인 제2 시트(200)를 포함하고, 제2 시트(200)위에 적층되거나 제2 시트(200) 내에 분산되는 자외선 차단 부재(300)를 더 포함함으로써, 자외선 차단, 흉터의 벌어짐을 막는 것, 흉터압박을 동시에 수행하면서 흉터를 효과적으로 억제하는 흉터 억제용 피부부목패치 제제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접착성 조성물을 포함하여 피부 흉터 부위에 직접 접촉하여 부착되는 제1 시트(100); 및 상기 제1 시트(100) 위에 적층되고, 가소성 조성물을 포함하는 가변형 피부부목제제인 제2 시트(200)를 포함하는 흉터 억제용 피부부목 패치 제제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로, 자외선을 차단하기 위한 자외선 차단 부재(3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로, 상기 차단부재(300)는 상기 제2 시트(200) 위에 적층되거나, 제2 시트(200) 내에 분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예로, 상기 제1 시트(100)는 피부 흉터를 치료하는 약물 성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예로, 상기 접착성 조성물은 실리콘 겔, 하이드로콜로이드(hydrocolloid), 및 폴리마이드(polymide) 수지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예로, 상기 자외선 차단 부재는 산화아연(zinc oxide), 페트롤라튬 (red petrolatum), 이산화티타늄(titanium dioxide), 다이벤조일메탄(dibenzoylmethane), 벤조페논(benzophenon), 옥시벤존(oxybenzone), 멕소릴(Mexoryl-LX), 아보벤존(avobenzone), CM-글루칸(CM-Glucan), 파라아미노벤조산(para-aminobenzoic acid; PABA), 캠퍼 유도체(camphor derivatives), 옥틸메톡시신나메이트(Octyl methoxycinnamate), 페닐벤지미다졸설포닉애씨드(Phenyl benzimidazole Sulfonic acid), 옥토크릴렌(Octocrylene) 및 옥틸살리실레이트(Octyl salicylates)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예로, 상기 가소성 조성물은 폴리카프로락톤(polycaprolactone), 폴리우레탄(polyurethane), 또는 이들의 혼합물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예로, 상기 약물 성분은 CM-글루칸(CM-Glucan)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예로, 상기 패치 제제는 롤(roll) 형태로 케이스 내에 수용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흉터 억제용 피부부목 패치 제제는 기존 제품들의 단점을 개선하면서 흉터 억제에 필수적인 3가지 요소인 흉터의 벌어짐을 막는 것, 자외선 차단, 흉터압박효과를 동시에 달성함으로써 흉터를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흉터 억제용 피부부목 패치 제제는 흉터 부위에 간단히 부착할 수 있는바, 간단하고 손쉽게 이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흉터 억제용 피부부목 패치 제제(10)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흉터 억제용 피부부목 패치 제제(10)에서, 자외선 차단 부재(300)가 제2 시트(200) 내에 분산되어 구현된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흉터 억제용 피부부목 패치 제제(10)가 케이스(밀봉장치)에서 인출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흉터 억제용 피부부목 패치 제제(10)를 흉터 부위에 부착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흉터 억제용 피부부목 패치 제제(10)를 흉터 부위에 부착한 상태의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 및 도 7은 9개월간 각 그룹의 환자를 대상으로 Vancouver Scar Scale를 적용하여 각종 흉터에 대해서 평가한 결과를 통계학적으로 분석한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유사한 기능 및 작용을 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도면 전체에 걸쳐 동일한 부호를 사용한다.
덧붙여,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 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 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 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피부에 생긴 각종 상처에서 흉터가 생기는 원리는 흉터가 생긴 부위의 색소의 변화, 흉터의 함몰 또는 돌출의 발생 및 홍반의 지속으로 인한 것이다. 홍반의 경우에는 시간이 지나면서 줄어들지만 일반적으로 상처의 종류에 따라서 다르지만 3개월-9개월 이상 또는 화상의 경우에는 1-2년의 기간이 지나서 점차 사라지게 된다. 이러한 홍반 반응은 피부의 상처가 생기고 나서 생기는 미세염증반응과 조직학적인 혈관 신생 또는 재생의 과정에 의한 것이다. 이렇게 다양한 외상에 의해서 흉터가 발생될 경우, 효과적인 흉터 발생 억제를 위해서는 우선 색소의 변성을 최소화하고 흉터의 Remodeling 기간 동안에 흉터가 벌어지지 않으면서도 Collagen cross-linking을 균일하게 만들고, 과도한 흉터가 생겨서 흉터가 돌출되지 않고 평평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필수적인 요소이다.
다시 말해, 흉터를 효과적으로 예방하고 또한 이미 생긴 흉터를 최대한 정상적인 피부에 가깝게 유지하여 흉터를 억제하기 위해서는 1) 멜라닌 색소의 변색을 막기 위한 자외선 차단, 2) 흉터가 벌어지는 현상을 물리적으로 막는 것 및 3) 흉터가 울퉁불퉁해지거나 튀어나오는 것을 물리적인 힘으로 막는 것이 필요하다.
본 발명자들은 흉터 억제에 필수적인 상기의 3가지 요소를 동시에 수행할 수 있는 흉터 억제제의 개발을 위해 연구 노력한 결과, 상층에는 자외선 차단용 조성물과 열 또는 공기 가소성 플라스틱 또는 부목이 되는 물질을 포함하고, 하층에는 피부에 밀착되어 피부를 견고하게 견인할 수 있는 점착성을 가진 물질을 적용한 복층 구조의 패치 또는 피부 부목 형태의 패치 제제가 흉터를 억제하는데 매우 효과적임을 확인하고, 이에 기초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흉터 억제용 피부부목 패치 제제(10)의 분해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흉터 억제용 피부부목 패치 제제(10)는 제1 시트(100), 제2 시트(200) 및 자외선 차단부재(300)로 구성될 수 있다.
제1 시트(100)는 피부 흉터 부위에 직접적으로 부착되어 흉터 부위가 벌어지는 것을 억제하기 위한 것으로서, 이를 위해 피부에 부착될 수 있는 접착성 조성물을 포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1 시트는 피부 흉터 부위에 밀착되면서 주위의 피부의 tensile strength가 보조되어 피부를 견인함으로써 흉터가 벌어지는 것을 막을 수 있다. 이때 사용할 수 있는 접착성 조성물의 종류로는, 예컨대, 실리콘 겔(silicone gel), 하이드로콜로이드(hydrocolloid), 폴리마이드 수지(polymide resin) 등을 사용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실리콘(silicone)과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polytetrafluoroethylene)의 혼합된 실리콘 겔을 사용할 수 있다. 하지만, 사용할 수 있는 접착성 조성물의 종류가 이것으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피부에 어떠한 자극을 주지 않으면서 안정성이 증명되고, 접착성이 있는 물질은 어느 것이나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또한, 제1 시트(100)는 피부 흉터를 억제 및/또는 치료하는 약물 성분을 더 포함할 수도 있고, 이를 통해 흉터가 벌어지는 것을 억제함과 동시에 상기 약물 성분을 흉터 내로 전달하여 흉터를 신속하게 효과적으로 억제 또는 치료할 수 있다. 이때 사용할 수 있는 약물 성분으로는, 바람직하게는, CM-글루칸(CM-Glucan)을 사용할 수 있으나, 이것으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제2 시트(200)는 상기 제1 시트(100) 위에 적층되어 구성되고, 물리적 부목 역할을 하기 위한 것으로서, 이를 위해 열, 물, 또는 공기에 의해서 그 형태가 조절되는 가소성 조성물(플라스틱) 또는 정형외과 또는 성형외과에서 사용되는 비골골절 또는 각종 사지 뼈의 골절이 발생되었을 때 사용하는 뼈를 고정하는 깁스의 재료가 되는 Cast 또는 Splint에 이용되는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흉터가 생기는 원인 중 하나는, 외상으로 인해서 상처가 생긴 피부의 멜라닌 색소의 소실로 인한 저색소증 또는 손상 후의 지속적인 자외선에 노출 또는 미세염증반응과 외부에 의한 자극 및 멜라닌 세포의 변성에 의한 멜라닌 색소의 과다 축적과 생화학적 반응을 통한 과색소침착증이 발생되어, 흉터 부위의 피부의 색이 정상색과 달라지기 때문이다.
이러한 원인을 해소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흉터 억제용 피부부목 패치 제제(10)는 자외선 차단 부재(300)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자외선 차단 부재(3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시트(200) 위에 독립적으로 적층되어 구현되거나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시트 내에 분산되어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흉터 억제용 피부부목 패치 제제(10)는 자외선 차단 부재(300)를 포함하여 흉터의 자외선 노출을 차단함으로써 멜라신 색소의 변색을 막을 수 있다. 이때, 사용할 수 있는 자외선 차단 부재(300)의 종류로는,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산화아연(zinc oxide), 페트롤라튬 (red petrolatum), 이산화티타늄(titanium dioxide), 다이벤조일메탄(dibenzoylmethane), 벤조페논(benzophenon), 옥시벤존(oxybenzone), 멕소릴(Mexoryl-LX), 아보벤존(avobenzone), CM-글루칸(CM-Glucan), 파라아미노벤조산(para-aminobenzoic acid; PABA), 캠퍼 유도체(camphor derivatives), 옥틸메톡시신나메이트(Octyl methoxycinnamate), 페닐벤지미다졸설포닉애씨드(Phenyl benzimidazole Sulfonic acid), 옥토크릴렌(Octocrylene) 및 옥틸살리실레이트(Octyl salicylates)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과 같은 화학적 흡수제인 유기물 또는 물리적 산란제인 무기물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흉터가 생기는 원인 중 다른 하나는, 흉터가 정상의 피부처럼 안정적인 미세구조적인 형상이 되기 이전에는 지속적인 혈관 생성 또는 국소적인 미세염증반응과 collagen remodeling이 발생되면서 홍반이 발생하고, 흉터가 발생된 피부는 정상의 피부와는 다른 융기 또는 함몰의 상태가 존재하고, 일정 기간 동안 딱딱한 상태를 유지하면서 부드럽고 편평하지 않은 scar remodeling 과정을 겪게 되기 때문이다.
이러한 원인을 해소하기 위해, 제2 시트(200)는 외부에서 열 또는 공기에 노출되거나 또는 물을 묻히게 되면 쉽게 휘어지거나 모양이 변하는 물질인 열가소성 플라스틱 또는 정형외과나 성형외과에서 사용되는 Aquasplint, Cast, Splint용 경화성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이로 인해, 흉터 부위에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흉터 억제용 피부부목패치 제제(10)를 적용하고 사용자가 물, 공기, 또는 열을 가하면서 피부에 밀착시켜서 눌러줌으로써, 물리적으로 흉터에 대해서 압력을 주고 부목역할을 하여 효과적으로 켈로이드 또는 비후성 반흔과 같은 흉터의 과도한 형성 또는 흉터가 울퉁불퉁해지는 것을 막아줄 수 있다. 이때, 사용할 수 있는 가소성 조성물은 바람직하게는 열가소성 플라스틱, 보다 바람직하게는, 폴리카프로락톤(polycaprolactone), 폴리우레탄(polyurethane), 또는 Aqua splint 또는 Dermosplint에 사용되는 물질과 정형외과에서 골절 부목을 위해서 사용되는 석고 또는 Splint 와 Cast를 제작할 때 사용되는 물질들의 혼합물을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설명의 편의상, 도 1 및 도 2는 사각형의 형태를 가지는 제1 시트(100) 및 제2 시트(200)를 도시하고 있으나, 제1 시트(100) 및 제2 시트(200)의 형상이 이것으로 제한되지 않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적절히 선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흉터 억제용 피부부목 패치 제제(10)는 롤(roll) 형태로 케이스 내에 수용되어 저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흉터 억제용 피부부목패치 제제(10)가 케이스(공기, 열 또는 물을 막는 피부부목패치제제가 사용전에 미리 변형되지 않도록 하는 밀봉장치)에서 인출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흉터 억제용 피부부목패치 제제(10)는 롤(roll) 형태로 구현되어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진 케이스 내에 수용되어 저장될 수 있고, 필요한 길이만큼 피부부목패치 제제(10)를 인출한 후, 케이스 일측에 배치된 절단 수단을 통해 자른 후, 흉터 부위에 부착함으로써 사용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흉터 억제용 피부부목 패치 제제(10)를 흉터 부위에 부착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흉터 억제용 피부부목패치 제제(10)를 흉터 부위에 부착한 상태의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흉터 억제용 피부부목패치 제제(10)는 흉터가 발생한 임의의 피부 부위에 부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흉터 억제용 피부부목패치 제제(10)에 의해 커버되는 피부표면 영역은 흉터를 치료하는데 충분해야 하며 바람직하게는 약 1~100cm2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5~50cm2일 수 있다.
또한,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흉터에 대하여 다소 넓게 피부부목패치 제제(10)를 부착하고, 공기, 물, 또는 열을 가해서 패치 제제(10)를 물리적으로 피부에 밀착시키면, 제2 시트(200)에 포함된 열, 공기, 물에 의해서 변형되는 가소성 피부부목패치 제제가 시간이 지나면서 천천히 고형화 되면서, 제1 시트(100)를 흉터와 피부에 더 압박하면서 밀착시키게 되는 동시에 흉터가 있는 상처 부위의 굴곡에 맞게 변형되어 제1 시트(100)를 지속적으로 압박하면서 흉터의 과성장을 막음과 동시에 발생된 흉터를 평평하게 만드는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검은색 화살표). 또한, 자외선 차단 부재(300)에 의해 흉터 부위가 자외선 노출로부터 보호됨으로써 멜라신 색소의 변색을 막을 수 있다(빨간색 화살표). 더욱이, 제1 시트(200)에 포함된 약물 성분이 흉터 내로 전달되어 물리적인 치료와 동시에 화학적인 흉터 치료도 실시할 수 있다(파란색 화살표).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제시한다. 그러나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을 보다 쉽게 이해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일 뿐, 하기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의 내용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실시예 1. 흉터 부목 패치 제제 제조
최하층에는 실리콘 겔(Cicca Care, Smith and Nephew, USA)을 포함한 제1 시트(하층) 또는 Hydrocolloid sheet 인 DuoDerm Exrathin(Convatec, USA)을 사용하였다. 흉터가 심할 경우에는 실리콘 겔시트를 흉터가 심하지 않은 경우에는 Hydrocolloid sheet 를 이용하였고, 그 위에 열가소성 플라스틱(Dermosplint 또는 Aquasplint로 흔히 코뼈 골절의 부목으로 뜨거운 물을 이용해서 열을 가한 후 그 모양을 피부의 모양에 맞게 변형시킬 수 있는 물질)을 포함하는 제2 시트(상층)를 서로 적층하고 최상부에 건물의 창이나 유리 또는 자동차 유리에서 사용되는 자외선 차단제를 최상부에 부착하여 흉터 부목 패치 제제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2. 패치 제제의 흉터 억제 효능 검증
총 60명의 흉터 환자를 20 명씩 무작위로 배정하여 하기와 같이 3개의 그룹으로 나누었다.
그룹 A : 실시예 1에서 제조된 피부부목패치 제제를 적용
그룹 B : 실리콘 겔 시트(시카케어) 만을 테이프로 부착
그룹 C : 흉터 연고만 적용 (환자군은 켈로코트, 콘트라투벡스 등 환자가 원하는 실리콘 겔 연고를 임의로 선택하게 하였다)
9개월간 각 그룹의 환자를 대상으로 Vancouver Scar Scale를 적용하여 각종 흉터에 대해서 평가한 결과, 통계학적으로 일원배치 분산분석(One Way Anova Test)를 시행한 결과 (SPSS 12.0), 도 6 및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그룹 A가 다른 그룹에 비해 탁월한 흉터 억제 효과를 나타냄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룹1:A그룹, 그룹2: B그룹, 그룹3: C그룹).
보다 구체적으로, 본 피부부목패치 제제를 사용한 경우에 흉터 치료의 만족도는 7.94로 B그룹의 6.0 및 C그룹의 5.14에 비해서 유의확률 =0.002<0.01(F=6.844 자유도=2) 로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만족도가 높았으며, 홍반, 흉터의 부드러운 정도, 흉터가 편평한 정도에서도 그 효과가 탁월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상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이나 응용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 :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흉터 억제용 피부부목 패치 제제
100 : 제1 시트 200 : 제2 시트
300 : 자외선 차단 부재

Claims (9)

  1. 접착성 조성물로 실리콘 겔을 포함하여 피부 흉터 부위에 직접 접촉하여 부착되는 제1시트(100); 및
    상기 제1시트(100) 위에 적층되고,
    Aqua splint 또는 Dermosplint를 포함하는 제2시트(200)를 포함하는, 흉터 억제용 피부부목패치 제제.
  2. 제1항에 있어서, 자외선을 차단하기 위한 자외선 차단 부재(30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흉터 억제용 피부부목패치 제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부재(300)는 상기 제2 시트(200) 위에 적층되거나, 제2 시트(200) 내에 분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흉터 억제용 피부부목패치 제제.
  4. 삭제
  5. 삭제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자외선 차단 부재는 산화아연(zinc oxide), 페트롤라튬 (red petrolatum), 이산화티타늄(titanium dioxide), 다이벤조일메탄(dibenzoylmethane), 벤조페논(benzophenon), 옥시벤존(oxybenzone), 멕소릴(Mexoryl-LX), 아보벤존(avobenzone), CM-글루칸(CM-Glucan), 파라아미노벤조산(para-aminobenzoic acid; PABA), 캠퍼 유도체(camphor derivatives), 옥틸메톡시신나메이트(Octyl methoxycinnamate), 페닐벤지미다졸설포닉애씨드(Phenyl benzimidazole Sulfonic acid), 옥토크릴렌(Octocrylene) 및 옥틸살리실레이트(Octyl salicylates)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흉터 억제용 피부부목패치 제제.
  7. 삭제
  8. 삭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패치 제제는 롤(roll) 형태로 케이스 내에 수용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흉터 억제용 피부부목패치 제제.
KR1020150150244A 2015-10-28 2015-10-28 흉터억제용 피부부목패치 제제의 제작 방법 및 그 조성물 KR1018736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50244A KR101873623B1 (ko) 2015-10-28 2015-10-28 흉터억제용 피부부목패치 제제의 제작 방법 및 그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50244A KR101873623B1 (ko) 2015-10-28 2015-10-28 흉터억제용 피부부목패치 제제의 제작 방법 및 그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49184A KR20170049184A (ko) 2017-05-10
KR101873623B1 true KR101873623B1 (ko) 2018-07-02

Family

ID=587441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50244A KR101873623B1 (ko) 2015-10-28 2015-10-28 흉터억제용 피부부목패치 제제의 제작 방법 및 그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7362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76351B1 (ko) * 2023-02-23 2023-09-08 주식회사 두빛나래바이오 고정력이 향상된 핑거 스프린트 조립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04208B1 (ko) * 2017-10-30 2019-07-29 주식회사 애니테이프 자외선 차단 기능이 있는 하이드로-콜로이드 핫멜트 습윤성 드레싱 테이프의 제조 방법
KR102004212B1 (ko) * 2018-02-28 2019-07-29 주식회사 애니테이프 흡수력이 향상된 하이드로-콜로이드 핫멜트 습윤성 드레싱 테이프의 제조 방법
KR101972267B1 (ko) * 2018-07-25 2019-04-24 심재완 코 부목
CN113209001B (zh) * 2021-05-17 2024-04-16 哈尔滨医科大学 祛疤微针贴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50071978A1 (en) 2013-09-06 2015-03-12 Alice Chang Clothing and covering system with various function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50071978A1 (en) 2013-09-06 2015-03-12 Alice Chang Clothing and covering system with various function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76351B1 (ko) * 2023-02-23 2023-09-08 주식회사 두빛나래바이오 고정력이 향상된 핑거 스프린트 조립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49184A (ko) 2017-05-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73623B1 (ko) 흉터억제용 피부부목패치 제제의 제작 방법 및 그 조성물
US11389561B2 (en) Methods for applying a skin treatment
Rivera et al. Clinical aspects of full-thickness wound healing
Soni et al. Comparing cyanoacrylate tissue adhesive and conventional subcuticular skin sutures for maxillofacial incisions—a prospective randomized trial considering closure time, wound morbidity, and cosmetic outcome
Singer et al. A review of the literature on octylcyanoacrylate tissue adhesive
Bruns et al. Using tissue adhesive for wound repair: a practical guide to dermabond
JP4117933B2 (ja) 粘着性の、表面適合ドレープを患者の手術切開部位に形成する組成物を製造するための、重合性シアノアクリレートエステルの使用
CA2306078A1 (en) Methods for draping surgical incision sites using a biocompatible prepolymer
US20220305172A1 (en) Kits,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wound treatment and management
MX2015002816A (es) Composiciones mejoradas para la cicatrizacion de heridas que comprenden microesferas.
Urie et al. Antimicrobial laser-activated sealants for combating surgical site infections
PT1515734E (pt) Preparação baseada em mel para cuidados de pele
WO2014003844A1 (en) Biocompatible polyacrylate compositions and methods of use
CN104983495A (zh) 一种正压硅凝胶弹力祛疤带及制备方法
CN104983722A (zh) 一种皮肤祛疤修复喷膜剂的组合物及其制备方法
US20160338969A1 (en) Biocompatible polyacrylate compositions and methods of use
US10660985B2 (en) Kits,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wound treatment and management
WO2018052951A1 (en) Kits,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wound treatment and management
RU2467767C1 (ru) Композиция для лечения ран и изделия на ее основе
RU58353U1 (ru) Адаптационно-компрессионная гемостатическая повязка
RU2331443C2 (ru) Гемостатическая компрессирующая повязка и лекарственная гемостатическая композиция
George et al. Use of a barrier film (3M Cavilon No Sting Barrier Film) to reduce local skin complications around peripherally inserted central catheter lines: a randomised prospective controlled study
Chan et al. Accelerated healing of carbon dioxide laser burns in rats treated with composite polyurethane dressings
US20090297616A1 (en) Wound Care Composition
Selim et al. Histological and Immunohistochemical Study on the Effect of Cyanoacrylate Topical Adhesive on Healing of Skin Wounds Versus Vicryl Suture Among Rabbi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