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73532B1 - 발광 오브젝트를 이용한 영상 정보의 동기화 방법 및 이를 실행하는 영상 동기화 시스템 - Google Patents

발광 오브젝트를 이용한 영상 정보의 동기화 방법 및 이를 실행하는 영상 동기화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73532B1
KR101873532B1 KR1020160095237A KR20160095237A KR101873532B1 KR 101873532 B1 KR101873532 B1 KR 101873532B1 KR 1020160095237 A KR1020160095237 A KR 1020160095237A KR 20160095237 A KR20160095237 A KR 20160095237A KR 101873532 B1 KR101873532 B1 KR 1018735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emitting
image information
period
color
reference col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952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12890A (ko
Inventor
김회율
김중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버추얼무브먼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버추얼무브먼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버추얼무브먼트
Priority to KR10201600952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73532B1/ko
Publication of KR201800128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128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735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735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04Synchronising
    • H04N5/06Generation of synchronising signals
    • H04N5/067Arrangements or circuits at the transmitter end
    • H04N5/073Arrangements or circuits at the transmitter end for mutually locking plural sources of synchronising signals, e.g. studios or relay st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42Synchronization processes, e.g. processing of PCR [Program Clock Referen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222Studio circuitry; Studio devices; Studio equip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765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 H04N5/77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between a recording apparatus and a television camer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44Colour synchronis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발광 오브젝트를 이용한 영상 정보의 동기화 방법 및 이를 실행하는 영상 동기화 시스템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영상 동기화 시스템은 소정의 발광 주기로 미리 정해진 색들이 발광하는 발광 오브젝트; 및 복수의 카메라 장치로부터 수신된 영상 정보의 동기화 작업을 수행하는 서버를 포함하며, 상기 서버는, 통신 모듈; 상기 통신 모듈을 통해 상기 복수의 카메라 장치로부터 상기 발광 오브젝트를 촬영한 각각의 영상 정보를 수신하는 영상 수신부; 상기 각각의 영상 정보에서 상기 미리 정해진 색들 중 어느 하나인 기준 색으로 상기 발광 오브젝트가 발광된 시점을 확인하는 색상 확인부; 및 상기 각각의 영상 정보에서 상기 기준 색의 발광이 확인된 시점을 기준으로 상기 영상 수신부에서 수신된 영상 정보를 동기화하는 동기화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발광 오브젝트를 이용한 영상 정보의 동기화 방법 및 이를 실행하는 영상 동기화 시스템{METHOD FOR SYNCHRONIZATION OF VIDEO INFORMATION USING LUMINOUS BALL AND VIDEO SYNCHRONIZATION SYSTEM IMPLEMENTING THE SAME}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영상 정보 동기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 투구(PITCHING) 현장에서 사용되는 오브젝트를 이용하여 복수의 카메라 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영상을 동기화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영상 또는 이미지에서 3차원 정보를 획득하기 위해서는 복수의 카메라 장치가 필요하다. 이러한 복수의 카메라 장치는 서로 다른 위치에 배치되기 때문에, 같은 피사체를 동시에 촬영하더라도 딜레이 현상 등으로 인하여 서버에서 수신되는 각 영상정보는 다른 시각에 촬영된 것으로 인식될 수 있다. 이렇게 동기화되지 않은 영상 정보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부정확한 3차원 정보가 획득될 수 있기 때문에 동기화 작업이 요구된다.
이러한 동기화 작업은 트리거 발생기와 같은 추가적인 동기화 장치를 카메라 시스템 또는 서버에 설치함으로써 각 영상 정보를 동기화하는 과정으로 수행되곤 한다.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0969576호(2010.07.12)
종래 동기화 작업은 추가적인 동기화 장치를 설치함으로써 그에 따른 추가 비용이 발생하게 되며, 불필요한 동작들을 통해 영상 정보를 동기화하는데 과도한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동기화 장치와 같은 외부 장치를 사용하는 경우 최대로 연결이 가능한 카메라 개수가 제한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투구(PITCHING) 현장에서 주기적으로 발광하는 오브젝트(예: 야구공)을 이용하여 영상을 동기화하는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영상 동기화 시스템은 소정의 발광 주기로 미리 정해진 색들이 발광하는 발광 오브젝트; 및 복수의 카메라 장치로부터 수신된 영상 정보의 동기화 작업을 수행하는 서버를 포함하며, 상기 서버는, 통신 모듈; 상기 통신 모듈을 통해 상기 복수의 카메라 장치로부터 상기 발광 오브젝트를 촬영한 각각의 영상 정보를 수신하는 영상 수신부; 상기 각각의 영상 정보에서 상기 미리 정해진 색들 중 어느 하나인 기준 색으로 상기 발광 오브젝트가 발광된 시점을 확인하는 색상 확인부; 및 상기 각각의 영상 정보에서 상기 기준 색의 발광이 확인된 시점을 기준으로 상기 영상 수신부에서 수신된 영상 정보를 동기화하는 동기화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영상 동기화 시스템에서 상기 색상 확인부는, 상기 각 카메라 장치에서 촬영을 시작하는 시간 차이를 확인하고, 확인된 시간 차이가 상기 발광 주기 이하의 시간을 가지는 경우, 상기 발광 주기 이하의 시간을 가지도록 설정된 비교확인 구간에서 상기 각 영상 정보 상에서 상기 기준 색의 발광 시점을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영상 동기화 시스템에서 상기 색상 확인부는, 각 영상 정보의 촬영 시작 시점부터 미리 설정된 시점까지의 구간 동안 상기 기준 색의 발광 시점을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영상 동기화 시스템에서 상기 색상 확인부는, 상기 각 영상 정보의 촬영 시작 시점부터 미리 설정된 시점까지의 구간 동안 상기 기준 색이 중복하여 확인되는 경우, 중복된 기준 색 중 가장 빠른 시점에 해당하는 기준 색의 발광 시점을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영상 동기화 시스템에서 상기 발광 오브젝트는 투구 현장에서 사용되는 발광 공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서버는 통신 모듈; 발광 오브젝트가 소정의 발광 주기에 따라 미리 정해진 색들로 발광되는 영상 정보를 상기 통신 모듈을 통해 복수의 카메라 장치로부터 각각 수신하는 영상 수신부; 수신된 각각의 영상 정보에서 상기 미리 정해진 색들 중 어느 하나인 기준 색으로 상기 발광 오브젝트가 발광된 시점을 확인하는 색상 확인부; 및 상기 각각의 영상 정보에서 상기 기준 색의 발광이 확인된 시점을 기준으로 상기 영상 수신부에서 수신된 영상 정보를 동기화하는 동기화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서버에서 상기 색상 확인부는, 상기 각 카메라 장치에서 촬영을 시작하는 시간 차이를 확인하고, 확인된 시간 차이가 상기 발광 주기 이하의 시간을 가지는 경우, 상기 발광 주기 이하의 시간을 가지도록 설정된 비교확인 구간에서 상기 각 영상의 기준 색의 발광 시점을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서버에서 상기 색상 확인부는, 각 영상 정보의 촬영 시작 시점부터 미리 설정된 시점까지의 구간 동안 상기 기준 색의 발광 시점을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서버에서 상기 색상 확인부는, 상기 각 영상 정보의 촬영 시작 시점부터 미리 설정된 시점까지의 구간 동안 상기 기준 색이 중복하여 확인되는 경우, 중복된 기준 색 중 가장 빠른 시점에 해당하는 기준 색의 발광 시점을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영상 정보 동기화 방법은 서버에서 복수의 카메라 장치를 통해 수신되는 영상 정보를 동기화하는 방법으로서, 발광 오브젝트가 소정의 발광 주기에 따라 미리 정해진 색들로 발광되는 영상 정보를 상기 복수의 카메라 장치로부터 각각 수신하는 단계; 수신된 각각의 영상 정보에서 상기 미리 정해진 색들 중 어느 하나인 기준 색으로 상기 발광 오브젝트가 발광된 시점을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각각의 영상 정보에서 상기 기준 색의 발광이 확인된 시점을 기준으로 상기 영상 수신부에서 수신된 영상 정보를 동기화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소정의 발광 주기로 미리 정해진 색들이 발광하는 발광 오브젝트를 이용하여 동기화 작업을 수행함으로써, 별도의 동기화 장치 없이 복수의 영상을 동기화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영상 동기화 시스템 및 카메라 장치의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서버의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서버에서 야구공의 발광 주기를 이용하여 영상 정보의 동기화 작업을 수행하는 순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야구공의 발광주기를 기반으로 동기화 작업의 수행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발광 오브젝트를 이용한 영상의 동기화 방법, 이를 실행하는 서버(200) 및 영상 동기화 시스템(10)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영상 동기화 시스템(10) 및 카메라 장치(300)의 개략도이다.
영상 동기화 시스템(10)은 복수의 카메라 장치(100_1 내지 100_N), 서버(200) 및 발광 오브젝트(30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서는 카메라 장치(100)와 서버(200)가 독립적 구성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한정되지 않는 예로서, 영상 동기화 시스템(10)은 카메라 장치(100)와 서버(200)가 하나의 모듈 또는 시스템으로서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카메라 장치(100)와 서버(200)는 전기적으로 구성되는 내부적인 신호 전달 체계에 의해서 상호간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도 1에서 영상 동기화 시스템(10)은 복수의 카메라 장치(100_1 내지 100_N)를 포함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영상 동기화 시스템(10)은 서버(200) 및 발광 오브젝트(300)만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복수의 카메라 장치(100_1 내지 100_N)는 외부 장치로서 서버(200)에 발광 오브젝트(300)를 촬영한 영상 정보를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카메라 장치(100)는 현실세계 3차원 공간의 오브젝트를 촬영 또는 촬상하여 2차원 평면에 투영(projection)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카메라 장치(100)는 광학부, 이미지 센서 및 신호처리부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이러한 카메라 장치(100)로서 예컨대, 초고속 카메라가 사용될 수 있다.
광학부는 mecha-shutter, 모터 및 액츄에이터에 의해 구동될 수 있으며, 상기 액츄에이터에 의해 주밍(zooming) 및 포커싱(focusing) 등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광학부는 주변의 이미지를 촬상 또는 촬영할 수 있다.
이미지 센서는 광학부에 의해 촬상 또는 촬영되는 이미지를 감지하여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이러한 이미지 센서는 CMOS 또는 CCD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미지 처리부는 카메라 장치에서 출력되는 프레임 이미지들을 버퍼링하며, 프리뷰 모드시에는 카메라 장치에서 출력되는 프레임 이미지를 표시이미지 크기로 스케일링처리할 수 있다.
또한, 카메라 장치(100)는 수집된 영상 또는 이미지를 서버(200)로 전송할 수 있는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통신 모듈은 유선 통신(예: 단자 또는 커텍터 등) 또는 무선 통신(예: 블루투스, WIFI 등)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카메라 장치(100)는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서버(200)와 데이터 송수신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3차원 정보(예: 3차원 영상) 획득을 위해, 복수의 카메라 장치(100)들은 동일한 종류 및 스펙의 하드웨어/소프트웨어가 사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이러한 복수의 카메라 장치(100)들은 초고속 카메라 장치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의 카메라 장치들(300)은 발광 오브젝트(예: 발광하는 야구 공)를 촬영하여 각각의 영상 정보를 생성할 수 있고, 생성된 각각의 영상 정보를 서버(200)로 전송할 수 있다.
서버(200)는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 장치(1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거나 통신 연결되어 상기 카메라 장치(100)로부터 주기적으로 발광하는 발광 오브젝트의 영상정보(예: 영상 또는 이미지)를 수신하고, 수신된 영상 정보를 기반으로 영상정보의 동기화 기능을 수행하는 전자 장치 또는 프로그램이다. 이러한 서버(200)의 구체적인 구성은 이어지는 도 2를 통해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발광 오브젝트(300)는 소정의 발광 주기에 따라 미리 정해진 색들이 발광하는 오브젝트일 수 있다. 한정되지 않는 예로서, 이러한 발광 오브젝트(300)는 예컨대, 주기적으로 발광하는 공(예: 야구 공)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발광 오브젝트(300)는 발광부(미도시)를 포함하는 공(예: 야구 공)으로 구현될 수 있다. 발광부는 미리 정해진 발광 주기에 따라 복수의 색으로 발광되도록 설계될 수 있으며, 발광 오브젝트(300)는 이러한 발광부에 대하여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모듈(예: 배터리)을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 발광 오브젝트(300)는 발광부를 제어하는 발광제어부(예: 프로세서) 및 상기 구성들을 연결하는 회로 소자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발광 오브젝트(300)는 특정 구간동안 발광되는 각각의 색의 밝기를 동일하게 유지시키도록 발광부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야구 공이 소정 주기 내에서 빨간 색, 초록 색, 파란 색, 주황 색으로 발광되는 경우, 빨간 색으로 발광되는 구간에서는 상기 빨간 색의 밝기가 동일하게 유지되도록 발광부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발광 오브젝트(300)는 발광되는 색의 밝기가 변화되는 구간에서 변화 전 발광되는 색을 턴 오프하고, 변화 후 발광되는 색을 턴 온 시킬 수 있다. 서버(200)는 후술할 바와 같이 야구 공의 발광 색을 기반으로 영상 정보를 동기화시켜야 하기 때문에, 발광되는 빛의 밝기가 색 전환 전/후에 따라 점차적으로 변화되는 경우에는 발광되는 색을 정확히 인지하기가 어려울 수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발광 오브젝트(300)의 특정 색상의 턴 오프 동작 및 다음 특정 색상의 턴 온 동작은 동시에 또는 미소한 소정 구간내에 수행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서버(200)의 구성도이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서버(200)는 통신부(210), 제어부(220), 영상 수신부(221), 색상 확인부(223), 동기화부(225) 및 저장부(230)를 포함할 수 있다. 한정되지 않는 실시예로서, 서버(200)는 도 2의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일부를 생략하거나 추가적인 구성요소를 더 구비할 수 있다.
통신부(210)는 카메라 장치(100)와 서버(200)간의 통신을 연결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통신부(210)는 무선 통신 또는 유선 통신을 통해서 네트워크(300)에 연결되어 카메라 장치(100)로부터 투구 현장에서 주기적으로 발광하는 야구 공이 포함된 영상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한정되지 않는 예로서, 서버(200)와 카메라 장치(100)가 하나의 모듈로 구성되는 경우, 통신부(210)는 구성요소들 간의 통신을 전달하는 회로(예: 버스)로 구현될 수 있다.
제어부(220)는 서버(200)의 전원공급 제어 등과 같은 전반적인 동작 및 서버(200)의 내부 구성 간의 신호 흐름을 제어하고 데이터를 처리하는 데이터 처리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제어부(220)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고, 이러한 프로세서는 중앙처리장치(central processing unit(CPU)),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application processor(AP)), 또는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communication processor(CP)) 중 하나 또는 그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영상 수신부(221)는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 장치(100)로부터 투구 현장에서 촬영되는 발광 오브젝트(300)의 영상 정보를 각각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영상 수신부(221)는 통신부(210)를 통해 영상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영상 정보는 카메라 장치(100)에서 촬상 또는 촬영된 정지 영상(예: 이미지) 또는 동영상일 수 있고, 이러한 영상 정보는 투구 연습과 같은 현장에서 투수에 의해 던져진 공의 움직임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영상 정보는 소정의 발광 주기로 미리 정해진 색들이 발광하는 영상이 포함된다.
예를 들어, 야구장과 같은 투구 현장에서 복수의 카메라 장치(100)는 미리 설정된 촬영 각도를 가지고 상호간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카메라 장치(100)는 투수가 공을 던진 후 타자가 공을 치기까지 또는 포수가 공을 잡기까지의 투구 과정을 초고속으로 촬영하여 투구 영상(예: 영상 정보)을 생성할 수 있고, 영상 수신부(221)는 카메라 장치(100)에서 생성된 영상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영상 수신부(221)는 상기와 같이 수신된 영상 정보를 제어부(220), 색상 확인부(223), 동기화부(225) 또는 저장부(230)로 전달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색상 확인부(223)는 복수의 카메라 장치(100)로부터 수신된 각각의 영상 정보에서 기준색으로 발광 오브젝트가 발광된 시점을 확인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색상 확인부(223)는 각각의 영상 정보에서 발광 오브젝트를 검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색상 확인부(223)는 공지의 오브젝트 검출 알고리즘 또는 이미지 분석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영상 정보에 포함된 발광 오브젝트를 검출할 수 있고, 검출된 발광 오브젝트를 기반으로 발광 오브젝트의 색상 또는 기준색을 확인할 수 있다. 한편, 기준색은 예컨대, 발광 오브젝트(300)에서 소정의 발광 주기로 발광되는 미리 정해진 색들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색상 확인부(223)는 영상 정보들을 동기화하기 위한 임의의 색인 기준색을 결정할 수 있다. 이러한 결정 동작은 미리 정해진 정책 또는 사용자의 입력을 기반으로 수행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한편, 각각의 카메라 장치(100)들은 상호 이격된 서로 다른 위치에 있으므로, 통신 지연등의 문제로 인해 영상 정보를 서버(200)로 전송하는 시간이 각각의 카메라 장치(100)마다 지연되어 달라질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현상은 각 영상 정보에서 기준색을 확인하는데 오류를 발생시킬 수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한 다양한 실시예의 전제 동작으로서, 색상 확인부(223)는 각각의 카메라 장치(100)에서 촬영되는 시작 시점이 얼마나 차이가 있는지를 1차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200)는 복수의 카메라 장치(100)로 카메라 촬영 요청 신호를 전송한 시각과 각 카메라 장치(100)로부터 수신된 영상 정보의 시작 시점을 비교함으로써 촬영시작 시점의 차이를 확인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촬영시작 시점의 차이가 발광 오브젝트(300)의 발광 주기보다 적은 경우와 큰 경우를 구분하여 기준색을 확인하는 다양한 실시예를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촬영시작 시점의 차이가 발광 오브젝트(300)의 발광 주기보다 적은 경우에는, 서버(200)에서 비교확인 구간을 조절하거나 비교확인 구간의 시작 시점/종결 시점을 조절함으로써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비교확인 구간과 발광 주기와의 관계를 고려해볼때, 각각의 영상 정보마다 기준색을 확인하는 구간(즉, 상기 비교확인 구간)이 상대적으로 발광 주기보다 길게 설정된 상태라면, 발광 주기가 다소 짧거나 발광되는 색의 종류가 다소 적은 경우에는 특정 영상 정보에서 2개의 주기에 걸친 기준 색이 확인되는 오류가 발생할 수 있다.
다시 말해, 비교확인 구간이 발광 주기보다 긴 경우에는 통신 장애등으로 인한 영상 정보의 지연 이슈로 인하여 2개의 연속된 주기동안 동일한 색으로 발광되는 시점이 2개로 확인될 수 있다. 이 경우, 확인된 결과에 따르면 기준 색은 동일하나 어떤 주기에서 발광된 기준색이냐에 따라 시간 정보가 다르게 되어 서버(200)의 동기화 작업에 차질이 생길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서, 색상 확인부(223)는 발광주기 이하의 시간을 가지도록 설정된 비교확인 구간에서 기준색의 발광 시점을 확인함으로써, 통신 장애 등으로 인해 영상 정보의 전송이 지연되더라도 기준색이 중복되어 확인되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추가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색상 확인부(223)는 복수의 카메라 장치(100)로부터 수신되는 각 영상 정보의 촬영 시작 시점부터 미리 설정된 시점까지의 구간 동안 상기 기준 색의 발광 시점을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구간 동안 기준 색이 중복하여 확인되는 경우, 색상 확인부(223)는 중복 된 기준 색 중 가장 빠른 시점에 해당하는 기준 색의 발광 시점을 확인할 수 있다.
즉, 비교확인 구간의 시작 시점을 영상 정보의 시작 시점에 대응되도록 설정하는 경우, 비교확인 구간의 길이를 발광주기 이하로 설정할 필요없이 중복된 기준 색의 택일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나아가, 색상 확인부(223)는 비교확인 구간의 종결 시점을 영상 정보의 종결 시점에 대응되도록 설정하고, 해당 비교확인 구간 동안 중복된 기준 색이 확인되는 경우 최종 시점에 해당하는 기준 색의 발광 시점을 확인함으로써 마찬가지로 중복된 기준 색의 택일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다음으로, 촬영시작 시점의 차이가 발광 오브젝트(300)의 발광 주기보다 큰 경우에는, 발광 오브젝트(300)의 발광 주기의 설정을 변경함으로써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촬영시작 시점의 차이가 발광 오브젝트(300)의 발광 주기보다 큰 것으로 확인이 된 경우, 영상 동기화 시스템(10)의 관리자는 발광 오브젝트(300)의 발광 주기를 각 카메라 장치(100)의 촬영시작 시점의 차이보다 더 크도록 발광 오브젝트(300)를 설정할 수 있다. 설정이 완료되면, 서버(200)는 전술한 비교확인 구간의 조절 또는 비교확인 구간의 시작 시점/종결 시점의 조절을 통해 통신 장애로 인한 기준색 확인 과정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한편, 색상 확인부(223)는 각 영상 정보에서 확인된 기준 색 정보를 제어부(220), 동기화부(225) 또는 저장부(230)로 전달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동기화부(225)는 색상 확인부(223)에서 확인된 기준 색 발광 시점을 기준으로 복수의 영상 정보들을 동기화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동기화부(225)는 확인된 기준 색에 해당하는 시점들로부터 영상이 시작되도록 각 영상 정보를 가공 또는 편집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가 이러한 동기화 작업의 형태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동기화부(225)는 동기화 처리된 영상 정보들을 제어부(220) 또는 저장부(230)로 전달할 수 있다.
저장부(230)는 제어부(220), 서버(200) 또는 영상 동기화 시스템(10)의 다른 구성요소들로부터 수신되거나 생성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저장부(230)는 예를 들어, 메모리(memory), 캐시(cash), 버퍼(buffer)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소프트웨어, 펌웨어, 하드웨어 또는 이들 중 적어도 둘 이상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저장부(230)는 카메라 장치 DB(231) 및 영상 DB(233)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카메라 장치 DB(231) 및 영상 DB(233)는 저장부(230)상에서 구분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으며, 하나의 모듈로서 구성될 수도 있다.
카메라 장치 DB(231)는 카메라 장치(100)와 관련된 하드웨어 정보, 소프트웨어 정보 및 각 카메라 장치(100)의 식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하드웨어 정보, 소프트웨어 정보 및 식별 정보는 영상 동기화 시스템(10)의 구현 시 저장되거나 임의의 시점에서 카메라 장치(100)의 변경 또는 추가에 의해 업데이트될 수 있다.
영상 DB(233)는 카메라 장치(100)로부터 수신된 영상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영상 DB(233)는 비교확인 구간 정보, 기준색 정보, 동기화부(225)에서 동기화 처리된 영상 정보 및 이와 관련된 메타데이터(예: 로그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전술한 영상 수신부(221), 색상 확인부(223) 및 동기화부(225)는 서버(200)의 제어부(220)의 각 기능을 논리적으로 또는 기능적으로 분류한 구성일 수 있다. 따라서, 영상 수신부(221), 색상 확인부(223) 및 동기화부(225)와 제어부(220)는 하나의 모듈로서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영상 수신부(221), 색상 확인부(223), 동기화부(225) 및 제어부(220)의 기능은 저장부(230, 예: 메모리)에 저장된 루틴, 명령어(instruction) 또는 프로그램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나아가, 이러한 루틴, 명령어 또는 프로그램은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저장매체에도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저장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도록 프로그램 및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저장매체를 포함한다. 그 예로는, 롬(Read Only Memory), 램(Random Access Memory), CD(Compact Disk), DVD(Digital Video Disk)-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데이터 저장장치, 플래쉬 메모리 장치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저장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 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서버(200)에서 발광 오브젝트(300, 예: 야구공)의 발광 주기를 이용하여 영상 정보의 동기화 작업을 수행하는 순서도이다. 도 3에서 수행되는 각 단계의 구체적인 설명을 위해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야구공의 발광주기를 기반으로 동기화 작업의 수행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먼저, S310 단계에서, 서버(200)는 영상 정보를 복수의 카메라 장치(100)로부터 각각 수신할 수 있다. 이러한 영상 정보는 도 4와 같이 발광 오브젝트(300)인 야구공이 소정의 발광 주기에 따라 미리 정해진 색들로 발광되는 영상일 수 있다. 도 4에서는 예시적으로 2개의 영상 정보를 도시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다음으로, S330 단계에서, 서버(200)는 영상 정보에서 기준 색으로 발광 오브젝트가 발광된 시점을 확인할 수 있다. 서버(200)는 영상 정보들을 동기화하기 위한 기준색을 결정하고, 각 영상정보에서 상기 기준색에 해당하는 시점들을 확인할 수 있다.
S330 단계 상에서 또는 S330 단계 수행 이전에, 서버(200)는 카메라 장치(100)로부터 수신된 영상 정보에서 발광 오브젝트를 확인하기 위해 오브젝트 검출 동작을 추가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200)는 다양한 오브젝트 검출 알고리즘 또는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영상 정보에 포함된 발광 오브젝트를 검출할 수 있고, 검출된 발광 오브젝트를 기반으로 발광 오브젝트의 색상을 확인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각 카메라 장치(100)의 촬영시작 시점의 차이가 발광 오브젝트(300)의 발광 주기보다 적은 경우, 서버(200)는 발광 주기 이하의 시간을 가지도록 설정된 비교확인 구간에서 상기 기준 색의 발광 시점을 확인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도 3에서 서버(20))가 각 영상 정보의 촬영 시작 시점부터 미리 설정된 시점까지의 구간 동안만 기준 색의 발광 시점을 확인할 수 있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상기 각 영상 정보의 촬영 시작 시점부터 미리 설정된 시점까지의 구간 동안 상기 기준 색이 중복하여 확인되는 경우, 서버(200)가 중복된 기준 색 중 가장 빠른 시점에 해당하는 기준 색의 발광 시점을 확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다음으로, S350 단계에서, 서버(200)는 확인된 시점을 기반으로 각 영상정보들을 동기화시킬 수 있다. 서버(200)는 각 영상 정보의 시작 시점이 상기 기준색에 해당하는 시점이 되도록 각 영상 정보들을 가공 또는 편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에서 일정 주기로 4개의 색상이 발광되는 야구 공에 대한 영상 정보 2개(A 영상 정보 및 B 영상 정보)가 도시된다. 도 4의 영상 정보에는 야구공만 도시되어 있으나, 각 영상 정보에는 야구공을 포함한 투구 현장에서의 영상이 더 포함된다. 각 영상 정보는 2개의 카메라 장치(300)에서 수신된 상태이며, 전송상의 딜레이 문제로 각 영상 정보의 시점이 동기화되지 않은 상태이다.
전술한 실시예에 따라, 서버(200)는 각 영상 정보 상에서 특정 색(A 및 A’)을 기준색으로 결정하고, 상기 기준색으로 발광되는 시작 시점을 동기화를 위한 시점으로 결정할 수 있다. 그러면, 서버(200)는 B 영상 정보의 시작 시점을 기준색에 해당하는 시점이 되도록 B 영상정보를 가공할 수 있다. 이에 의해, A 영상정보와 B 영상정보의 동기화 작업이 완료될 수 있다.
한편, 각 카메라 장치(100)의 촬영시작 시점의 차이가 발광 오브젝트(300)의 발광 주기보다 큰 경우에는 발광 오브젝트(300)의 발광 주기가 촬영시작 시점의 차이보다 더 크도록 조절될 수 있다.
전술한 도면들과 실시예들을 통해, 별도의 동기화 장치 없이 복수의 영상을 효과적이고 간편하게 동기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사용된 용어 “모듈”또는 “~부”는, 예를 들어,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펌웨어(firmware) 중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하는 단위(unit)를 의미할 수 있다. “모듈” 또는 “~부”는 예를 들어, 유닛(unit), 로직(logic), 논리 블록(logical block), 부품(component) 또는 회로(circuit) 등의 용어와 바꾸어 사용(interchangeably use)될 수 있다. “모듈” 또는“~부”는 일체로 구성된 부품의 최소 단위 또는 그 일부가 될 수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기능을 수행하는 최소 단위 또는 그 일부가 될 수도 있다. “모듈” 또는“~부”는 기계적으로 또는 전자적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모듈” 또는“~부”는, 알려졌거나 앞으로 개발될, 어떤 동작들을 수행하는 ASIC(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 칩, FPGAs(field-programmable gate arrays) 또는 프로그램 가능 논리 장치(programmable-logic device)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모듈 또는 프로그래밍 모듈은 전술한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거나, 일부가 생략되거나, 또는 추가적인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모듈, 프로그래밍 모듈 또는 다른 구성요소에 의해 수행되는 동작들은 순차적, 병렬적, 반복적 또는 휴리스틱(heuristic)한 방법으로 실행될 수 있다. 또한, 일부 동작은 다른 순서로 실행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다른 동작이 추가될 수 있다.
10: 영상 동기화 시스템 100: 카메라 장치
200: 서버 300: 발광 오브젝트

Claims (10)

  1. 소정의 발광 주기로 미리 정해진 복수의 색들이 순차적으로 발광하는 발광 오브젝트; 및
    복수의 카메라 장치로부터 수신된 영상 정보의 동기화 작업을 수행하는 서버를 포함하며, 상기 서버는,
    통신 모듈;
    상기 통신 모듈을 통해 상기 복수의 카메라 장치로부터 상기 발광 오브젝트를 촬영한 각각의 영상 정보를 수신하는 영상 수신부;
    상기 각각의 영상 정보에서 상기 미리 정해진 복수의 색들 중 어느 하나인 기준 색으로 상기 발광 오브젝트가 발광된 시점을 확인하는 색상 확인부; 및
    상기 각각의 영상 정보에서 상기 기준 색의 발광이 확인된 시점을 기준으로 상기 영상 수신부에서 수신된 영상 정보를 동기화하는 동기화부를 포함하고,
    상기 각 카메라 장치의 촬영시작 시점의 차이가 상기 발광 주기 이하인 경우, 상기 색상 확인부는 상기 발광 주기 이하의 시간을 가지도록 설정된 비교확인 구간에서 상기 각각의 영상 정보 상에서 상기 기준 색으로 상기 발광 오브젝트가 발광된 시점을 확인하고,
    상기 각 카메라 장치에서 상기 촬영시작 시점의 차이가 상기 발광 주기보다 큰 경우, 상기 발광 오브젝트의 발광 주기의 설정이 변경되고,
    상기 발광 오브젝트는 투구 현장에서 사용되는 발광 공이고, 상기 각각의 영상 정보는 투수에 의해서 던져진 상기 발광 공의 움직임을 포함하는,
    영상 동기화 시스템.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색상 확인부는,
    각 영상 정보의 촬영 시작 시점부터 미리 설정된 시점까지의 구간 동안 상기 기준 색의 발광 시점을 확인하는 영상 동기화 시스템.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색상 확인부는,
    상기 각 영상 정보의 촬영 시작 시점부터 미리 설정된 시점까지의 구간 동안 상기 기준 색이 중복하여 확인되는 경우, 중복된 기준 색 중 가장 빠른 시점에 해당하는 기준 색의 발광 시점을 확인하는 영상 동기화 시스템.
  5. 삭제
  6. 통신 모듈;
    발광 오브젝트가 소정의 발광 주기에 따라 미리 정해진 복수의 색들이 순차적으로 발광하는 영상 정보를 상기 통신 모듈을 통해 복수의 카메라 장치로부터 각각 수신하는 영상 수신부;
    수신된 각각의 영상 정보에서 상기 미리 정해진 복수의 색들 중 어느 하나인 기준 색으로 상기 발광 오브젝트가 발광된 시점을 확인하는 색상 확인부; 및
    상기 각각의 영상 정보에서 상기 기준 색의 발광이 확인된 시점을 기준으로 상기 영상 수신부에서 수신된 영상 정보를 동기화하는 동기화부를 포함하고,
    상기 각 카메라 장치의 촬영시작 시점의 차이가 상기 발광 주기 이하인 경우, 상기 색상 확인부는 상기 발광 주기 이하의 시간을 가지도록 설정된 비교확인 구간에서 상기 각각의 영상 정보 상에서 상기 기준 색으로 상기 발광 오브젝트가 발광된 시점을 확인하고,
    상기 각 카메라 장치에서 상기 촬영시작 시점의 차이가 상기 발광 주기보다 큰 경우, 상기 발광 오브젝트의 발광 주기의 설정이 변경되고,
    상기 발광 오브젝트는 투구 현장에서 사용되는 발광 공이고, 상기 각각의 영상 정보는 투수에 의해서 던져진 상기 발광 공의 움직임을 포함하는,
    서버.
  7. 삭제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색상 확인부는,
    각 영상 정보의 촬영 시작 시점부터 미리 설정된 시점까지의 구간 동안 상기 기준 색의 발광 시점을 확인하는 서버.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색상 확인부는,
    상기 각 영상 정보의 촬영 시작 시점부터 미리 설정된 시점까지의 구간 동안 상기 기준 색이 중복하여 확인되는 경우, 중복된 기준 색 중 가장 빠른 시점에 해당하는 기준 색의 발광 시점을 확인하는 서버.
  10. 서버에서 복수의 카메라 장치를 통해 수신되는 영상 정보를 동기화하는 방법으로서,
    발광 오브젝트가 소정의 발광 주기로 미리 정해진 복수의 색들이 순차적으로 발광하는 영상 정보를 상기 복수의 카메라 장치로부터 각각 수신하는 단계;
    수신된 각각의 영상 정보에서 상기 미리 정해진 복수의 색들 중 어느 하나인 기준 색으로 상기 발광 오브젝트가 발광된 시점을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각각의 영상 정보에서 상기 기준 색의 발광이 확인된 시점을 기준으로 상기 수신된 영상 정보를 동기화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각 카메라 장치의 촬영시작 시점의 차이가 상기 발광 주기 이하인 경우, 상기 발광 주기 이하의 시간을 가지도록 설정된 비교확인 구간에서 상기 각각의 영상 정보 상에서 상기 기준 색으로 상기 발광 오브젝트가 발광된 시점을 확인하고,
    상기 각 카메라 장치에서 상기 촬영시작 시점의 차이가 상기 발광 주기보다 큰 경우, 상기 발광 오브젝트의 발광 주기의 설정이 변경되고,
    상기 발광 오브젝트는 투구 현장에서 사용되는 발광 공이고, 상기 각각의 영상 정보는 투수에 의해서 던져진 상기 발광 공의 움직임을 포함하는,
    영상 정보 동기화 방법.
KR1020160095237A 2016-07-27 2016-07-27 발광 오브젝트를 이용한 영상 정보의 동기화 방법 및 이를 실행하는 영상 동기화 시스템 KR1018735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5237A KR101873532B1 (ko) 2016-07-27 2016-07-27 발광 오브젝트를 이용한 영상 정보의 동기화 방법 및 이를 실행하는 영상 동기화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5237A KR101873532B1 (ko) 2016-07-27 2016-07-27 발광 오브젝트를 이용한 영상 정보의 동기화 방법 및 이를 실행하는 영상 동기화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12890A KR20180012890A (ko) 2018-02-07
KR101873532B1 true KR101873532B1 (ko) 2018-08-28

Family

ID=612038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95237A KR101873532B1 (ko) 2016-07-27 2016-07-27 발광 오브젝트를 이용한 영상 정보의 동기화 방법 및 이를 실행하는 영상 동기화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73532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252401A (ja) * 2007-03-29 2008-10-16 Fujifilm Corp 撮像システム、撮像方法、および撮像プログラム
JP2009147597A (ja) 2007-12-13 2009-07-02 Nec Corp 撮影システム、および、カメラ
JP2012124574A (ja) * 2010-12-06 2012-06-28 Toshiba Corp ネットワークカメラシステムおよびこれに利用する映像情報時刻同期方法
KR101430918B1 (ko) 2013-05-14 2014-08-18 주식회사 아빅스코리아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이미지 획득장치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9576B1 (ko) 2009-12-17 2010-07-12 (주)유디피 카메라 파라미터 캘리브레이션 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252401A (ja) * 2007-03-29 2008-10-16 Fujifilm Corp 撮像システム、撮像方法、および撮像プログラム
JP2009147597A (ja) 2007-12-13 2009-07-02 Nec Corp 撮影システム、および、カメラ
JP2012124574A (ja) * 2010-12-06 2012-06-28 Toshiba Corp ネットワークカメラシステムおよびこれに利用する映像情報時刻同期方法
KR101430918B1 (ko) 2013-05-14 2014-08-18 주식회사 아빅스코리아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이미지 획득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12890A (ko) 2018-0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9196560A1 (zh) 图像处理装置测试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KR20200138298A (ko) 이미지 처리 방법,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 및 전자 기기
US20140198229A1 (en) Image pickup apparatus, remote control apparatus, and methods of controlling image pickup apparatus and remote control apparatus
US20200322544A1 (en) Electronic device, method, and computer-readable medium for providing bokeh effect in video
JP2019087791A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11023717B2 (en) Method, apparatus, device and system for processing commodity identification and storage medium
KR20190051175A (ko) 지능형 협업 서버, 시스템 및 이의 협업 기반 분석 방법
CN105306882B (zh) 找出处理单元连接的传感器单元使用的设置的方法和装置
US20120157159A1 (en) Communication apparatus using image sensor and error correction method
KR101297759B1 (ko) 감시 카메라 시스템의 적외선 led 제어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1450119B1 (ko) 카메라의 조명모듈 제어 방법 및 그 장치
JP5974819B2 (ja) 補助撮像装置及びプログラム
KR101873532B1 (ko) 발광 오브젝트를 이용한 영상 정보의 동기화 방법 및 이를 실행하는 영상 동기화 시스템
JP2011009803A (ja) 光無線通信装置、光無線通信携帯端末、送信装置、光無線通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CN105657269A (zh) 智能终端拍照方法及装置
CN107667522B (zh) 形成活动图像的方法和装置
US10670373B2 (en) Firearm training system
CN111279352B (zh) 通过投球练习的三维信息获取系统及摄像头参数算出方法
EP3163369B1 (en) Auto-focus control in a camera to prevent oscillation
JP2000050145A (ja) 自動追尾装置
CN109714529A (zh) 图像采集装置的滤光片切换方法、装置及存储介质
WO2019080907A1 (zh) 移动终端的控制方法、装置、移动终端和存储介质
CN112637445B (zh) 一种基于多台高频相机三维运动同步测量方法
US11743444B2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temporal synchronization of videos
KR101845612B1 (ko) 투구 연습을 통한 3차원 정보 획득 시스템 및 카메라 파라미터 산출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