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73382B1 - 럭비 스크럼 연습장치 - Google Patents

럭비 스크럼 연습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73382B1
KR101873382B1 KR1020170036432A KR20170036432A KR101873382B1 KR 101873382 B1 KR101873382 B1 KR 101873382B1 KR 1020170036432 A KR1020170036432 A KR 1020170036432A KR 20170036432 A KR20170036432 A KR 20170036432A KR 101873382 B1 KR101873382 B1 KR 1018733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plate
plate
coupled
rugby
scru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364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준상
Original Assignee
유준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준상 filed Critical 유준상
Priority to KR10201700364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7338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733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733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2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resilient force-resisters
    • A63B21/04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resilient force-resisters attached to static foundation, e.g. a user
    • A63B21/0407Anchored at two end points, e.g. installed within an apparatu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 A63B22/2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using rollers, wheels, castors or the like, e.g. gliding means, to be moved over the floor or other surface, e.g. guide tracks, during exercising
    • A63B22/201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using rollers, wheels, castors or the like, e.g. gliding means, to be moved over the floor or other surface, e.g. guide tracks, during exercising for moving a support element in reciprocating translation, i.e. for sliding back and forth on a guide track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03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 A63B23/04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for lower limbs
    • A63B23/040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for lower limbs involving a bending of the knee and hip joints simultaneously
    • A63B23/047Walking and pulling or pushing a load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43/00Specific ball sports not provided for in A63B2102/00 - A63B2102/38
    • A63B2243/0066Rugby; American football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럭비 스크럼 연습장치는, 수평으로 뉘어진 평판 형상의 베이스판; 전후 방향으로 연장된 중공관 형상으로 형성되되 상기 베이스판의 상면으로부터 상향 이격되도록 상기 베이스판에 고정결합되는 다수 개의 수평프레임; 후단이 상기 수평프레임의 선단측에 삽입되어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딩되며, 선단측에 수직판이 구비되는 슬라이드프레임; 상기 수직판의 전방면에 착탈 가능한 구조로 결합되는 쿠션블록; 상기 베이스판의 좌우측에 구비되는 한 쌍의 전방바퀴; 수평으로 뉘어진 평판 형상으로 형성되되 선단측이 상기 베이스판의 후단측에 회동 가능한 구조로 결합되는 회동판; 상기 회동판에 장착되는 후방바퀴;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한 구조로 상기 베이스판의 상면 중 후방측에 결합되는 슬라이드바; 상기 슬라이드바가 후방으로 슬라이딩되었을 때 상기 슬라이드바의 일부가 끼워맞춤 방식으로 삽입되도록 상기 회동판의 상면에 구비되는 삽입브라켓;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럭비 스크럼 연습장치 {Rugby scrum practice device}
본 발명은 럭비에 사용되는 스크럼 대형을 연습하기 위한 운동장비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사용자의 상해 발생 우려가 없고 이동 및 고정이 간편하여 사용이 편리한 럭비 스크럼 연습장치에 관한 것이다.
럭비는 타원형 볼을 사용하여 정해진 시간내에 규칙이 허용하는 범위내에서 많은 득점을 함으로써 두 팀간에 승부를 겨루는 운동경기로서, 격렬한 몸싸움이 발생되므로 강한 근력이 요구된다.
럭비에는 스크럼(scrum)과 라인아웃(line out)이라는 2가지 기본 대형이 있는데, 이 가운데 스크럼은 한 팀의 선수들이 서로 팔을 건 상태에서 상대 팀을 앞으로 밀치는 대형을 말한다. 그 진영은 첫 번째 열에 3명, 두 번째 열에 4명, 세 번째 열에 1명으로 짜여진다. 이 상태에서 공이 양 팀 스크럼 사이로 던져지면, 선수들은 발을 이용해 그 공을 차지하기 위한 경쟁을 펼친다.
이처럼 스크럼 사이로 공이 토스 되었을 때, 스크럼 하프백은 자기 편의 포워드 뒤로 돌아간다. 공이 스크럼에 있는 동안, 포워드의 앞줄 뒤로 공이 발뒤꿈치로 밀쳐지기 전에 다른 선수가 공을 다루게 되면 반칙이 된다. 각 측면의 지정된 후커만이 발로 공을 컨트롤 하는 것이 허용된다. 때로는 이 포메이션을 세트 스크럼(set scrum) 또는 타이트 스크럼(tight scrum)이라고 부르는데, 필드하키나 라크로스의 페이스오프와 비슷하거나 농구의 점프볼과 유사하다.
이와 같은 스크럼 대형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강한 근력과 지구력이 요구되는바, 스크럼 연습에 많은 시간이 할애되고 있다. 그러나 현재까지는 스크럼 연습을 위한 스크럼 전용 연습장치가 제안된 바 없으므로, 개별적인 스크럼 연습이 불가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물론, 사용자의 근력을 키우기 위한 다양한 종류의 운동장비가 다양한 종류로 제안된바 있으나, 현재까지 제안된 운동장비는 스크럼 대형을 유지하는 연습에는 적합하지 아니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KR 10-1431426 B1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럭비의 스크럼 연습을 효과적으로 할 수 있고, 이동 및 정지가 용이하여 사용이 편리하며, 내구성이 우수한 럭비 스크럼 연습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럭비 스크럼 연습장치는, 수평으로 뉘어진 평판 형상의 베이스판; 전후 방향으로 연장된 중공관 형상으로 형성되되 상기 베이스판의 상면으로부터 상향 이격되도록 상기 베이스판에 고정결합되는 다수 개의 수평프레임; 후단이 상기 수평프레임의 선단측에 삽입되어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딩되며, 선단측에 수직판이 구비되는 슬라이드프레임; 상기 수직판의 전방면에 착탈 가능한 구조로 결합되는 쿠션블록; 상기 베이스판의 좌우측에 구비되는 한 쌍의 전방바퀴; 수평으로 뉘어진 평판 형상으로 형성되되 선단측이 상기 베이스판의 후단측에 회동 가능한 구조로 결합되는 회동판; 상기 회동판에 장착되는 후방바퀴;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한 구조로 상기 베이스판의 상면 중 후방측에 결합되는 슬라이드바; 상기 슬라이드바가 후방으로 슬라이딩되었을 때 상기 슬라이드바의 일부가 끼워맞춤 방식으로 삽입되도록 상기 회동판의 상면에 구비되는 삽입브라켓;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수평프레임의 내부에 삽입되어, 상기 슬라이드프레임의 후단에 전방 탄성력을 인가하는 탄성체를 더 포함한다.
상기 회동판의 후단측에는 개구부가 형성되고,
상기 개구부를 덮도록 상기 회동판에 결합되되 가운데 부위가 상기 회동판의 상면으로부터 상향 이격되는 장착브라켓과, 좌우측이 하향 절곡되어 상기 후방바퀴의 회전축이 회전 가능한 구조로 결합되며 수직방향 중심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한 구조로 상기 장착브라켓에 결합되는 바퀴프레임을 더 포함한다.
수직방향 회전축을 중심으로 자전 가능한 구조로 일단이 상기 장착브라켓의 가운데 부위에 결합되는 자전봉과, 수평방향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한 구조로 상기 자전봉의 타단에 결합되는 힌지봉을 구비하는 견인손잡이; 상기 바퀴프레임의 상면으로부터 상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장착브라켓의 가운데 부위를 관통하여 상기 자전봉에 일체로 결합되는 삽입봉;을 더 포함한다.
상기 베이스판의 좌우측 상면으로부터 상향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수직프레임; 상기 베이스판의 좌우측에 각각 구비되되 상기 전방바퀴가 착탈 가능하도록 수평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하측샤프트; 상기 한 쌍의 수직프레임에 구비되되 상기 전방바퀴가 착탈 가능하도록 수평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상측샤프트; 길이방향이 좌우를 향하도록 배열된 원형관 형상으로 형성되되 길이방향 양측이 상향으로 절곡 또는 만곡되어 상기 베이스판의 저면에 결합되는 다수 개의 안착유닛;을 더 포함하여, 상기 한 쌍의 전방바퀴가 상기 상측샤프트에 결합되고 상기 후방바퀴가 상측으로 이동하도록 상기 회동판이 회전되었을 때, 상기 다수 개의 안착유닛이 지면에 안착된다.
본 발명에 의한 럭비 스크럼 연습장치는, 럭비의 스크럼 연습을 효과적으로 수행시킬 수 있고, 이동 및 정지가 용이하여 사용이 편리하며, 내구성이 우수하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럭비 스크럼 연습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럭비 스크럼 연습장치의 후면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럭비 스크럼 연습장치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베이스판과 회동판의 결합구조를 도시하는 부분 사시도이다.
도 5는 후방바퀴가 회동판에 결합되는 구조를 도시하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럭비 스크럼 연습장치의 사용상태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8은 슬라이드프레임과 수평프레임의 결합구조를 도시하는 부분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럭비 스크럼 연습장치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럭비 스크럼 연습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럭비 스크럼 연습장치의 후면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럭비 스크럼 연습장치의 분해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의한 럭비 스크럼 연습장치는 많은 수의 사람을 모으지 아니하더라도 스크럼 연습을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운동장비로서, 단순히 근력을 키우는 것이 아니라 스크럼 연습에 최적화되어 보다 효과적인 스크럼 연습이 가능해지고, 이동 및 고정이 용이하여 사용이 편리하다는 점에 가장 큰 특징이 있다.
즉, 본 발명에 의한 럭비 스크럼 연습장치는, 수평으로 뉘어진 평판 형상의 베이스판(100)과, 전후 방향으로 연장된 중공관 형상으로 형성되되 상기 베이스판(100)의 상면으로부터 상향 이격되도록 상기 베이스판(100)에 고정결합되는 다수 개의 수평프레임(110)과, 후단이 상기 수평프레임(110)의 선단측에 삽입되어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딩되며 선단측에 수직판(210)이 구비되는 슬라이드프레임(200)과, 상기 수직판(210)의 전방면에 착탈 가능한 구조로 결합되는 쿠션블록(220)과, 상기 베이스판(100)의 좌우측에 구비되는 한 쌍의 전방바퀴(150)와, 수평으로 뉘어진 평판 형상으로 형성되되 선단측이 상기 베이스판(100)의 후단측에 회동 가능한 구조로 결합되는 회동판(300)과, 상기 회동판(300)에 장착되는 후방바퀴(400)를 기본 구성요소로 구비한다.
상기 다수 개의 쿠션블록(220)은 일정 간격 이격되도록 배치되는바, 사용자는 두 개의 쿠션블록(220) 사이에 자신의 머리를 넣고 양쪽 어깨를 쿠션블록(220)에 밀착시킴으로써 스크럼 연습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에 도시된 바와 같이 4개의 쿠션블록(220)이 구비되면, 3명의 사용자가 동시에 스크럼 연습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쿠션블록(220)은 일정 수준 이상의 쿠션을 갖도록 푹신하게 제작되는바 사용자의 어깨 부상을 방지할 수 있고, 수직판(210)에 착탈 가능한 구조로 결합되므로 노후 시 새것으로 교체 가능하다는 점에 구성상의 특징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수평프레임(110)과 슬라이드프레임(200)과 수직판(210)과 쿠션블록(220)이 각각 4개씩 구비되는 경우만을 도시하고 있으나, 수평프레임(110)과 슬라이드프레임(200)과 수직판(210)과 쿠션블록(220)의 개수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다양하게 증감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베이스판(100)은 사람이 올라설 수 있도록 상면이 평평하게 형성되고, 상기 베이스판(100)에는 베이스판(100) 상면에 올라선 사람이 손으로 잡을 수 있는 고정손잡이(140)가 구비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베이스판(100)의 상면이 평면을 형성되고 고정손잡이(140)가 구비되면, 연습 지도자는 고정손잡이(140)를 잡고 베이스판(100)에 올라서서 사용자들의 자세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으므로, 스크럼 자세 코칭을 정확하게 할 수 있다는 장점도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럭비 스크럼 연습장치는, 전방바퀴(150) 및 후방바퀴(400)가 장착되어 운반이 매우 용이하다는 점에 또 다른 특징이 있다. 이때 전방바퀴(150)와 후방바퀴(400)가 지면에 닿아 있는 상태에서 사용자가 쿠션블록(220)에 강한 충격력을 인가하면, 본 발명에 의한 럭비 스크럼 연습장치가 전체적으로 뒤로 밀려나는 현상이 발생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럭비 스크럼 연습장치는, 이동 시에만 전방바퀴(150)와 후방바퀴(400)가 지면에 닿고, 스크럼 연습을 할 때에는 전방바퀴(150)와 후방바퀴(400)가 지면으로 이격된다는 점에 또 다른 특징이 있다. 이와 같이 스크럼 연습 시 전방바퀴(150)와 후방바퀴(400)가 지면과 이격되는 구조는 이하 도 4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한편, 본 발명에 의한 럭비 스크럼 연습장치는 주로 야외에서 사용되는바, 눈이나 비를 맞더라도 부식되거나 손상되지 아니하도록 기상변화에 내구성이 우수한 도료로 도장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장시간 사용을 하지 아니하는 경우, 별도의 커버로 씌워져 보관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언급한 도장재료와 커버재질은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는바, 도장재료와 커버재질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4는 베이스판과 회동판의 결합구조를 도시하는 부분 사시도이고, 도 5는 후방바퀴가 회동판에 결합되는 구조를 도시하는 분해사시도이며,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럭비 스크럼 연습장치의 사용상태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본 발명에 의한 럭비 스크럼 연습장치는, 스크럼 연습 시 후방바퀴(400)가 지면으로 이격되도록 상기 후방바퀴(400)가 장착된 회동판(300)의 선단이 체결힌지(310)에 의해 베이스판(100)의 후단에 결합된다. 이때, 베이스판(100)과 회동판(300)이 체결힌지(310)에 의해서만 연결되면, 베이스판(100)의 상면과 회동판(300)의 상면이 하나의 평면을 이루도록 전개되었을 때 연결부위가 아래로 처지는 현상이 발생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럭비 스크럼 연습장치는,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한 구조로 상기 베이스판(100)의 상면 중 후방측에 결합되는 슬라이드바(160)와, 상기 슬라이드바(160)가 후방으로 슬라이딩되었을 때 상기 슬라이드바(160)의 일부가 끼워맞춤 방식으로 삽입되도록 상기 회동판(300)의 상면에 구비되는 삽입브라켓(320)이 구비된다.
도 4의 좌측에 위치한 슬라이드바(160)와 같이 후단이 삽입브라켓(320)에 삽입되면, 상기 슬라이드바(160)가 파단되거나 휘어지지 아니하는 한 베이스판(100)과 회동판(300)의 연결부위가 아래로 처지지 아니하게 된다. 물론, 회동판(300)을 회전시키고자 하는 경우에는 도 4의 우측에 위치한 슬라이드바(160)와 같이 후단을 삽입브라켓(320)으로부터 인출시킴으로써, 상기 슬라이드바(160)가 회동판(300)의 회전에 간섭되지 아니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후방바퀴(400)가 회동판(300)에 직접 장착되면, 상기 후방바퀴(400)의 구름방향 조절이 불가하므로 본 발명에 의한 럭비 스크럼 연습장치의 이동방향을 조절할 수 없는 문제가 발생된다.
따라서 상기 회동판(300)의 후단측에는 개구부(302)가 형성되고, 상기 개구부(302)를 덮도록 상기 회동판(300)에 결합되되 가운데 부위가 상기 회동판(300)의 상면으로부터 상향 이격되는 장착브라켓(330)과, 좌우측이 하향 절곡되어 상기 후방바퀴(400)의 회전축이 회전 가능한 구조로 결합되며 수직방향 중심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한 구조로 상기 장착브라켓(330)에 결합되는 바퀴프레임(410)이 추가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상기 후방바퀴(400)가 장착되는 바퀴프레임(410)이 회전 가능한 구조로 장착브라켓(330)에 결합되면, 사용자는 바퀴프레임(410)을 좌우로 회전시킴으로써 본 발명에 의한 럭비 스크럼 연습장치의 전체적인 이동 방향을 자유롭게 조정할 수 있게 된다는 장점이 있다.
한편, 사용자가 바퀴프레임(410)을 보다 용이하게 회전시킬 수 있도록, 상기 바퀴프레임(410)에 연결되는 별도의 견인손잡이(500)를 추가로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견인손잡이(500)는, 수직방향 회전축을 중심으로 자전 가능한 구조로 일단이 상기 장착브라켓(330)의 가운데 부위에 결합되는 자전봉(510)과, 수평방향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한 구조로 상기 자전봉(510)의 타단에 결합되는 힌지봉(52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바퀴프레임(410)의 상면에는 장착브라켓(330)의 가운데 부위를 관통하여 상기 자전봉(510)에 일체로 결합될 수 있도록 상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되는 삽입봉(420)이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삽입봉(420)이 자전봉(510) 내부에 삽입된 후 상기 삽입봉(420)과 자전봉(510)이 체결핀(530)에 의해 일체로 결합되면, 사용자는 힌지봉(520)을 손으로 잡과 좌우로 움직여 후방바퀴(400)의 구름방향을 조절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에 의한 럭비 스크럼 연습장치의 전체적인 이동방향으로 자유롭게 운전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사용자가 손으로 잡는 힌지봉(520)이 자전봉(510)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므로 즉, 힌지봉(520)이 비스듬히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으므로, 사용자는 힌지봉(520)을 잡고 본 발명에 의한 럭비 스크럼 연습장치를 쉽게 끌 수 있다는 장점도 있다.
한편, 상기 베이스판(100)의 좌우측 상면에는 상향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수직프레임(120)이 구비되고, 상기 베이스판(100)의 좌우측에는 상기 전방바퀴(150)가 착탈 가능하도록 수평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하측샤프트(152)가 구비되며, 상기 한 쌍의 수직프레임(120)에는 상기 전방바퀴(150)가 착탈 가능하도록 수평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상측샤프트(154)가 구비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럭비 스크럼 연습장치를 이동시킬 때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바퀴(150)를 하측샤프트(152)에 장착시키고 회동판(300)을 수평으로 배열함으로써, 전방바퀴(150)와 후방바퀴(400)만이 지면에 접촉되도록 한다. 반대로 스크럼 연습을 하고자 할 때에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전방바퀴(150)를 상측샤프트(154)에 장착시키고 회동판(300)을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전방바퀴(150)와 후방바퀴(400)가 지면에 접촉되지 아니하도록 한다. 이때 힌지봉(520)은 임의로 움직이지 아니하도록 거치부(170)에 거치된다.
이때, 본 발명에 의한 럭비 스크럼 연습장치는, 사용자가 쿠션블록(220)을 어깨로 가압하면서 스크럼 연습을 할 때 뒤로 밀리지 아니하도록 베이스판(100)이 지상에 안착됨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베이스판(100)의 저면이 직접 지면에 안착되면, 운동장의 잔디가 훼손될 우려가 있는바, 길이방향이 좌우를 향하도록 배열된 원형관 형상으로 형성되되 길이방향 양측이 상향으로 절곡 또는 만곡되어 상기 베이스판(100)의 저면에 결합되는 다수 개의 안착유닛(130)이 추가로 구비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베이스판(100) 저면에 원형관 형상의 안착유닛(130)이 구비되면, 베이스판(100)의 저면 전체가 지면에 안착되는 것이 아니라 외측면이 곡면으로 형성된 안착유닛(130)이 지면에 안착되는바, 잔디의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7은 슬라이드프레임(200)과 수평프레임(110)의 결합구조를 도시하는 부분단면도이다.
사용자가 스크럼 연습을 할 때에는 자신의 신체 일부를 쿠션블록(220)에 부딪히는 동작을 하는바, 사용자의 신체 일부가 쿠션블록(220)에 부딪히는 과정에서 상해를 입을 수도 있다. 물론, 쿠션블록(220)이 매우 푹신하게 제작되면 자용자의 신체가 쿠션블록(220)에 강하게 부딪히더라도 충격력이 모두 흡수될 수 있지만, 쿠션블록(220)이 과도하게 푹신하게 제작되면 효과적인 스크럼 연습이 불가하므로 상기 쿠션블록(220)은 어느 정도 강도를 갖도록 제작되어야 한다.
본 발명에 의한 럭비 스크럼 연습장치는, 쿠션블록(220)이 어느 정도의 강도를 갖도록 제작되더라도 사용자의 신체가 쿠션블록(220)에 부딪혔을 때 충격력이 흡수될 수 있도록, 상기 슬라이드프레임(200)이 탄성적으로 지지되는 구조로 제작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슬라이드프레임(200)은 후단이 수평프레임(110)의 선단을 통해 수평프레임(110)의 내부로 삽입되며, 상기 수평프레임(110)의 내부에는 슬라이드프레임(200)의 후단에 전방 탄성력을 인가하는 탄성체(112)가 구비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수평프레임(110) 내부에 탄성체(112)가 지지되면 사용자의 신체가 쿠션블록(220)에 부딪혔을 때 슬라이드프레임(200)이 탄성 지지를 받으면서 뒤로 밀리므로, 쿠션블록(220)으로 인가되는 충격력을 효과적으로 흡수할 수 있게 된다.
이때,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탄성체(112)가 코일스프링으로 적용되고 있는 경우만을 도시하고 있으나, 상기 탄성체(112)는 슬라이드프레임(200)을 탄성적으로 지지할 수만 있다면 어떠한 종류의 탄성물질로도 대체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를 사용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습득한 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많은 수정과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100 : 베이스판 110 : 수평프레임
112 : 탄성체 120 : 수직프레임
130 : 안착유닛 140 : 고정손잡이
150 : 전방바퀴 152 : 하측샤프트
154 : 상측샤프트 160 : 슬라이드바
200 : 슬라이드프레임 210 : 수직판
220 : 쿠션블록 300 : 회동판
302 : 개구부 310 : 체결힌지
320 : 삽입브라켓 330 : 장착브라켓
332 : 관통홀 400 : 후방바퀴
410 : 바퀴프레임 420 : 삽입봉
500 : 견인손잡이 510 : 자전봉
520 : 힌지봉 530 : 체결핀

Claims (5)

  1. 수평으로 뉘어진 평판 형상의 베이스판(100); 전후 방향으로 연장된 중공관 형상으로 형성되되 상기 베이스판(100)의 상면으로부터 상향 이격되도록 상기 베이스판(100)에 고정결합되는 다수 개의 수평프레임(110); 후단이 상기 수평프레임(110)의 선단측에 삽입되어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딩되며, 선단측에 수직판(210)이 구비되는 슬라이드프레임(200); 상기 수직판(210)의 전방면에 착탈 가능한 구조로 결합되는 쿠션블록(220); 상기 베이스판(100)의 좌우측에 구비되는 한 쌍의 전방바퀴(150); 수평으로 뉘어진 평판 형상으로 형성되되 선단측이 상기 베이스판(100)의 후단측에 회동 가능한 구조로 결합되는 회동판(300); 상기 회동판(300)에 장착되는 후방바퀴(400);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한 구조로 상기 베이스판(100)의 상면 중 후방측에 결합되는 슬라이드바(160); 상기 슬라이드바(160)가 후방으로 슬라이딩되었을 때 상기 슬라이드바(160)의 일부가 끼워맞춤 방식으로 삽입되도록 상기 회동판(300)의 상면에 구비되는 삽입브라켓(320); 을 포함하며,
    상기 회동판(300)의 후단측에는 개구부(302)가 형성되고,
    상기 개구부(302)를 덮도록 상기 회동판(300)에 결합되되 가운데 부위가 상기 회동판(300)의 상면으로부터 상향 이격되는 장착브라켓(330)과, 좌우측이 하향 절곡되어 상기 후방바퀴(400)의 회전축이 회전 가능한 구조로 결합되는 바퀴프레임(41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럭비 스크럼 연습장치.
  2. 삭제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수직방향 회전축을 중심으로 자전 가능한 구조로 일단이 상기 장착브라켓(330)의 가운데 부위에 결합되는 자전봉(510)과, 수평방향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한 구조로 상기 자전봉(510)의 타단에 결합되는 힌지봉(520)을 구비하는 견인손잡이(500);
    상기 바퀴프레임(410)의 상면으로부터 상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장착브라켓(330)의 가운데 부위를 관통하여 상기 자전봉(510)에 일체로 결합되는 삽입봉(420);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럭비 스크럼 연습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판(100)의 좌우측 상면으로부터 상향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수직프레임(120);
    상기 베이스판(100)의 좌우측에 각각 구비되되 상기 전방바퀴(150)가 착탈 가능하도록 수평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하측샤프트(152);
    상기 한 쌍의 수직프레임(120)에 구비되되 상기 전방바퀴(150)가 착탈 가능하도록 수평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상측샤프트(154);
    길이방향이 좌우를 향하도록 배열된 원형관 형상으로 형성되되 길이방향 양측이 상향으로 절곡 또는 만곡되어 상기 베이스판(100)의 저면에 결합되는 다수 개의 안착유닛(130);
    을 더 포함하여,
    상기 한 쌍의 전방바퀴(150)가 상기 상측샤프트(154)에 결합되고 상기 후방바퀴(400)가 상측으로 이동하도록 상기 회동판(300)이 회전되었을 때, 상기 다수 개의 안착유닛(130)이 지면에 안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럭비 스크럼 연습장치.
KR1020170036432A 2017-03-22 2017-03-22 럭비 스크럼 연습장치 KR1018733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6432A KR101873382B1 (ko) 2017-03-22 2017-03-22 럭비 스크럼 연습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6432A KR101873382B1 (ko) 2017-03-22 2017-03-22 럭비 스크럼 연습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73382B1 true KR101873382B1 (ko) 2018-07-03

Family

ID=629180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36432A KR101873382B1 (ko) 2017-03-22 2017-03-22 럭비 스크럼 연습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73382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158003A1 (en) * 2000-02-07 2003-08-21 Corkhill Matthew Benedict Scrum machine
US20110165972A1 (en) * 2010-01-04 2011-07-07 Forrest Sr Charles P Blocking sled with pivotable auxiliary pad
US20150231475A1 (en) * 2014-02-18 2015-08-20 Heritage Industries Sports sled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158003A1 (en) * 2000-02-07 2003-08-21 Corkhill Matthew Benedict Scrum machine
US20110165972A1 (en) * 2010-01-04 2011-07-07 Forrest Sr Charles P Blocking sled with pivotable auxiliary pad
US20150231475A1 (en) * 2014-02-18 2015-08-20 Heritage Industries Sports sled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527185A (en) Athletic training device
US8777781B2 (en) Variable gravity training device
CA2460882C (en) Hockey checking practice dummy
US8167743B1 (en) Football training system
US8277331B2 (en) Golf training method and apparatus
WO2012139005A2 (en) Batting training device
US20080188331A1 (en) Swing training device
US7033290B1 (en) Sports training assembly and a method for using the same
JPH04501081A (ja) ゴルフパット練習装置
KR101873382B1 (ko) 럭비 스크럼 연습장치
US5417420A (en) Table golfer and golf course
KR100290984B1 (ko) 골프동작연습기
US11291899B1 (en) Feedback-based swing trainer
US6918855B2 (en) Skating training aid
US9375623B2 (en) Method for training and improving overhand throwing
US20030176228A1 (en) Multipurpose sports training aid and method of use
KR101468415B1 (ko) 복싱 플레이 장치
US20060252568A1 (en) Elevated golf club foot
KR200259041Y1 (ko) 골프자세 교정 및 연습기
KR101059376B1 (ko) 다양한 잔디선택이 가능한 골프연습장치
KR100755923B1 (ko) 골프연습기
JP5442250B2 (ja) 運動練習用具
US10688369B2 (en) Lacrosse face-off/draw control training device
JP3118597U (ja) 球技用ゴール装置
US20070167250A1 (en) Golf swing and training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