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72941B1 - 지진계를 이용한 필로티 건물의 지진보험 손해보상 알림 시스템, 지진계를 이용한 필로티 건물의 지진보험 손해보상 알림 방법 및 그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 Google Patents

지진계를 이용한 필로티 건물의 지진보험 손해보상 알림 시스템, 지진계를 이용한 필로티 건물의 지진보험 손해보상 알림 방법 및 그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72941B1
KR101872941B1 KR1020180017792A KR20180017792A KR101872941B1 KR 101872941 B1 KR101872941 B1 KR 101872941B1 KR 1020180017792 A KR1020180017792 A KR 1020180017792A KR 20180017792 A KR20180017792 A KR 20180017792A KR 101872941 B1 KR101872941 B1 KR 1018729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gnitude
building
earthquake
seismometer
pilot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177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노진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두잇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두잇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두잇
Priority to KR10201800177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7294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729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729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VGEOPHYSICS; GRAVITATIONAL MEASUREMENTS; DETECTING MASSES OR OBJECTS; TAGS
    • G01V1/00Seismology; Seismic or acoustic prospecting or detecting
    • G01V1/16Receiving elements for seismic signals; 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receiving elements
    • G01V1/162Detai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40/00Finance; Insurance; Tax strategies; Processing of corporate or income taxes
    • G06Q40/08Insuranc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Econom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Technology Law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Geology (AREA)
  • Remote Sensing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physics (AREA)
  • Geophysics And Detection Of Object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진계를 이용한 필로티 건물의 지진보험 손해보상 알림 방법은, 지진이 발생되는 경우, 상기 필로티 건물 - 상기 필로티 건물은, 섬유를 벨트 형태 또는 시트 형태로 직조한 후, 상기 필로티 건물의 기둥을 감싸거나 부착시키는 공법인 포대내진공법(SRF: SuperReinforcement with Flexibility) 이 적용되어 내진 보강이 이루어진 건물임 - 의 1층에 설치된 지진계 - 상기 지진계는, 지진이 발생되는 경우 상기 필로티 건물의 진동을 감지함 - 를 통해 상기 지진의 진도의 크기를 획득하고, 획득된 상기 지진의 진도의 크기 값에 기초하여 상기 필로티 건물이 보험금의 지급 대상이 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며, 판단 결과를 상기 필로티 건물의 관련인의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방법으로, 상기 지진계에 의해 상기 지진의 진도의 크기가 획득되지 않거나 상기 지진계에 의해서 획득된 상기 지진의 진도의 크기 값이 보험사의 관리서버로 전송되지 않는 경우, 상기 필로티 건물의 1층 이외의 층에 설치된 지진계에 의해 획득된 상기 지진의 진도의 크기 값을 미리 정해진 기준값과 비교하는 제1 단계; 및 상기 제1 단계에 의해 도출되는 비교값에 기초하여 상기 필로티 건물이 보험금의 지급 대상이 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판단한 결과를 상기 필로티 건물의 관련인의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제2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지진계를 이용한 필로티 건물의 지진보험 손해보상 알림 시스템, 지진계를 이용한 필로티 건물의 지진보험 손해보상 알림 방법 및 그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Earthquake insurance compensation notification system of the pilotty building usingseismometer, earthquake insurance compensation notification method of the pilotty building using seismometer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having program to execute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지진계를 이용한 필로티 건물의 지진보험 손해보상 알림 시스템, 지진계를 이용한 필로티 건물의 지진보험 손해보상 알림 방법 및 그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 대한 것이다.
최근 발생한 포항 등의 지진으로 인하여 필로티 건물의 기둥이 반파되는 등 파손이 발생되어 필로티 건물에 입주하고 있는 입주자들은 불안에 떨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이에 일부 전문가들은 필로티 건물의 기본적인 설계 개념은 망각한 채 1층에 전단벽을 추가로 설치하거나 H빔의 형틀에 브래싱을 갖는 강성보강이 유일한 답이라고 생각하여 엄청난 보강공사를 실시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그러나, 지진에 의한 흔들림이란 1층이 강해지면 1층에서 피해가 발생하지 않는 것으로 멈추지 않고 다음의 약한 부위를 찾아가게 되기 마련이며, 필로티 건물에 있어서는 다음의 약한 부위가 상부층을 의미하게 된다.
즉, 필로티 건물에 있어서 1층을 보강하면 다음에는 피해의 발생 부위가 상부층으로 이동하게 되며, 결국, 강성보강을 선택하게 되면 2층도 보강해야 되고 3층도 보강해야 되며, 이는 경제적인 관점에서 실질적인 보강이 불가능하다는 것을 의미하게 된다.
그리고, 보강을 한다고 하더라도 지진에 대한 절대적인 안전성이 확보되는 것도 아니다.
상기와 같은 이유로, 강성보강보다는 내진설계의 개념에 충실하게 지진에 대하여 무조건 강하게 저항하는 것이 아니라 띠철근의 간격 및 띠철근의 폐합조건으로 기둥의 연성을 확보하는 방안이 더 바람직한 방안이긴 하나, 내진설계의 철근구조세목을 준수하고 있지 못한 기존의 기둥에 대한 내진보강에 있어서 콘크리트의 내부에 띠철근을 추가로 설치하는 것은 비현실적이기 때문에 외부에서 피복 콘크리트를 보호하는 방법을 생각하지 않을 수 없다.
이러한 이유로 포대내진공법(SRF: SuperReinforcement with Flexibility)이 개발되었으며, 포대내진공법이란 폴리에스테르 섬유 등을 벨트 형태 또는 시트 형태로 직조한 구조물용 포대로 기둥을 감싸거나 벽에 직접 붙이는 보강공법이다.
포대내진공법은 질기면서도 부드러운 포대를 사용함으로써 콘크리트의 변형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만일 변형이 발생한 경우라도 유연하게 균형을 잡아 건물을 지지하고 생존 공간을 유지하여 붕괴를 방지할 수 있는 획기적인 공법이다.
다만, 포대내진공법이 적용된 필로티 건물이라 하더라도 지진이 발생되면 건물의 손상이 발생될 수도 있으며, 이 경우, 필로티 건물의 건물주는 누군가에게 지진에 대한 피해 보상을 받기를 원하게 된다.
그러나, 현재로써는 지진으로 인한 포대내진공법이 적용된 필로티 건물의 피해 보상에 대해서는 전무한 실정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포대내진공법이 적용된 필로티 건물이 지진에 의해 피해가 발생되는 경우 합리적인 방법에 의해 피해 보상이 가능하도록 하는 지진계를 이용한 필로티 건물의 지진보험 손해보상 알림 시스템, 지진계를 이용한 필로티 건물의 지진보험 손해보상 알림 방법 및 그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진계를 이용한 필로티 건물의 지진보험 손해보상 알림 방법은, 지진이 발생되는 경우, 상기 필로티 건물 - 상기 필로티 건물은, 섬유를 벨트 형태 또는 시트 형태로 직조한 후, 상기 필로티 건물의 기둥을 감싸거나 부착시키는 공법인 포대내진공법(SRF: SuperReinforcement with Flexibility) 이 적용되어 내진 보강이 이루어진 건물임 - 의 1층에 설치된 지진계 - 상기 지진계는, 지진이 발생되는 경우 상기 필로티 건물의 진동을 감지함 - 를 통해 상기 지진의 진도의 크기를 획득하고, 획득된 상기 지진의 진도의 크기 값에 기초하여 상기 필로티 건물이 보험금의 지급 대상이 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며, 판단 결과를 상기 필로티 건물의 관련인의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방법으로, 상기 지진계에 의해 상기 지진의 진도의 크기가 획득되지 않거나 상기 지진계에 의해서 획득된 상기 지진의 진도의 크기 값이 보험사의 관리서버로 전송되지 않는 경우, 상기 필로티 건물의 1층 이외의 층에 설치된 지진계에 의해 획득된 상기 지진의 진도의 크기 값을 미리 정해진 기준값과 비교하는 제1 단계; 및 상기 제1 단계에 의해 도출되는 비교값에 기초하여 상기 필로티 건물이 보험금의 지급 대상이 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판단한 결과를 상기 필로티 건물의 관련인의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제2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진계를 이용한 필로티 건물의 지진보험 손해보상 알림 방법의 상기 제1 단계는, 상기 필로티 건물의 1층 이외의 층에 설치된 지진계에 의해 획득된 상기 지진의 진도의 크기 값 중 가장 큰 값을 상기 미리 정해진 기준값과 비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진계를 이용한 필로티 건물의 지진보험 손해보상 알림 방법의 상기 제1 단계는, 상기 필로티 건물의 1층 이외의 층에 설치된 지진계에 의해 획득된 상기 지진의 진도의 크기 값의 평균값을 상기 미리 정해진 기준값과 비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는 지진계를 이용한 필로티 건물의 지진보험 손해보상 알림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진계를 이용한 필로티 건물의 지진보험 손해보상 알림 시스템은, 지진이 발생되는 경우, 상기 필로티 건물 - 상기 필로티 건물은, 섬유를 벨트 형태 또는 시트 형태로 직조한 후, 상기 필로티 건물의 기둥을 감싸거나 부착시키는 공법인 포대내진공법(SRF: SuperReinforcement with Flexibility) 이 적용되어 내진 보강이 이루어진 건물임 - 의 1층에 설치되어 상기 필로티 건물의 진동을 감지하고 상기 지진의 진도의 크기를 획득하는 지진계; 상기 지진계에 의해 획득된 상기 지진의 진도의 크기 값을 상기 지진계로부터 전송 받는 보험사의 관리서버; 및 상기 지진계에 의해 상기 지진의 진도의 크기가 획득되지 않거나 상기 지진계에 의해서 획득된 상기 지진의 진도의 크기 값이 보험사의 관리서버로 전송되지 않는 경우, 상기 필로티 건물의 1층 이외의 층에 설치된 지진계에 의해 획득된 상기 지진의 진도의 크기 값을 미리 정해진 기준값과 비교하고, 비교한 결과값에 기초하여 상기 필로티 건물이 보험금의 지급 대상이 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판단한 결과를 상기 필로티 건물의 관련인의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보상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진계를 이용한 필로티 건물의 지진보험 손해보상 알림 시스템의 상기 보상 제어부는, 상기 필로티 건물의 1층 이외의 층에 설치된 지진계에 의해 획득된 상기 지진의 진도의 크기 값 중 가장 큰 값을 상기 미리 정해진 기준값과 비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진계를 이용한 필로티 건물의 지진보험 손해보상 알림 시스템의 상기 보상 제어부는, 상기 필로티 건물의 1층 이외의 층에 설치된 지진계에 의해 획득된 상기 지진의 진도의 크기 값의 평균값을 상기 미리 정해진 기준값과 비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지진계를 이용한 필로티 건물의 지진보험 손해보상 알림 시스템, 지진계를 이용한 필로티 건물의 지진보험 손해보상 알림 방법 및 그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 의하면, 필로티 건물의 관련인에 대하여 합리적인 지진보험을 제공하여 필로티 건물에 대하여 포대내진공법에 의한 내진보강을 실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포대내진공법이 적용된 필로티 건물이 지진에 의해 피해가 발생되는 경우 보험금의 지급 대상이 되는지 여부를 합리적인 기준에 의해 결정되도록 하여 보험금 지급 관련 분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지진계를 이용한 필로티 건물의 지진보험 손해보상 알림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지진계를 이용한 필로티 건물의 지진보험 손해보상 알림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지진계를 이용한 필로티 건물의 지진보험 손해보상 알림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지진계를 이용한 필로티 건물의 지진보험 손해보상 알림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
도 5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지진계를 이용한 필로티 건물의 지진보험 손해보상 알림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구성도.
도 6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지진계를 이용한 필로티 건물의 지진보험 손해보상 알림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고,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른 구성요소를 추가, 변경, 삭제 등을 통하여, 퇴보적인 다른 발명이나 본 발명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원 발명 사상 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또한, 각 실시예의 도면에 나타나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의 기능이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지진계를 이용한 필로티 건물의 지진보험 손해보상 알림 시스템, 지진계를 이용한 필로티 건물의 지진보험 손해보상 알림 방법 및 그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에 앞서, 필로티 건물에 있어서 포대내진공법(SRF: SuperReinforcement with Flexibility)에 의한 내진보강에 대해 설명한다.
필로티 건물은 벽면이 없이 하중을 견디는 기둥으로만 설치된 개방형 건물로, 기둥만 있고 사방이 트여있기 때문에 개방감, 공간감을 부여해 넓어 보이는 효과가 있는 구조물이다.
필로티 공간은 보통 주차공간으로 쓰이며, 아파트의 경우 사생활 문제 등으로 1층을 선호하지 않기 때문에 아예 1층은 필로티 공간으로 비워두기도 한다.
특히 필로티 공간은 층수에서 제외돼 건축법상 높이 제한 규정을 피할 수 있어 최근 다세대주택이나 오피스텔 등에 널리 쓰이고 있다.
상기와 같은 필로티 건물은 최근 발생한 포항 등의 지진으로 인하여 기둥이 파손되는 문제가 발생되었으며, 이로 인해 필로티 건물에 입주하고 있는 입주자들은 불안에 떨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따라서, 필로티 건물은 지진피해를 예방하여 입주자들의 불안감을 해소하기 위해 내진보강이 절실한 실정이며, 필로티 건물의 내진보강을 위한 방법 중 포대내진공법(SRF: SuperReinforcement with Flexibility)은 그 효과가 입증된 내진보강공법이다.
포대내진공법은 폴리에스테르 섬유 등을 벨트 형태 또는 시트 형태로 직조한 구조물용 포대로 기둥을 감싸거나 벽에 직접 붙이는 보강공법이며, 질기면서도 부드러운 포대를 사용함으로써 콘크리트의 변형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만일 변형이 발생한 경우라도 유연하게 균형을 잡아 건물을 지지하고 생존 공간을 유지하여 붕괴를 방지할 수 있는 획기적인 공법이다.
그러나, 포대내진공법에 의한 내진보강도 필로티 건물의 관련인, 즉, 건물주 입장에서는 비용이 발생되는 부분이기 마련이며, 이러한 이유로 포대내진공법에 의한 내진보강을 해야 할 지에 대해 최종 결정을 못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그리고, 포대내진공법에 의한 내진보강이 그 효과가 입증되었더라도 아직까지는 건물주에게 지진에 대한 완벽한 대비라는 인식을 심어주기에는 부족한 것이 현실이다.
이에 본 발명은 건물주가 필로티 건물에 포대내진공법에 의한 내진보강을 부담 없이 할 수 있도록, 보험과 포대내진공법을 연계한 지진 대비 모델을 제안하고자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지진계를 이용한 필로티 건물의 지진보험 손해보상 알림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구성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지진계를 이용한 필로티 건물의 지진보험 손해보상 알림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지진계를 이용한 필로티 건물의 지진보험 손해보상 알림 시스템(100)은 지진 발생시 발생되는 필로티 건물의 손해를 보상하기 위한 알림 시스템으로, 지진계(110), 보험사의 관리서버(130) 및 보상 제어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지진계(110)는 지진이 발생되는 경우, 상기 필로티 건물 - 상기 필로티 건물은, 섬유를 벨트 형태 또는 시트 형태로 직조한 후, 상기 필로티 건물의 기둥을 감싸거나 부착시키는 공법인 포대내진공법(SRF: SuperReinforcement with Flexibility) 이 적용되어 내진보강이 이루어진 건물임 - 에 설치되어 상기 필로티 건물의 진동을 감지하고 상기 지진의 진도의 크기를 획득하는 구성요소일 수 있다.
상기 지진계(110)는 공지의 지진계 중 어느 하나일 수 있으며, 지진이 발생되는 경우 필로티 건물의 진동을 감지하고 감지된 결과값에 기초하여 상기 지진의 진도의 크기를 획득할 수 있는 지진계라면 모두 적용 가능할 수 있다.
다만, 감지된 상기 필로티 건물의 진동에 기초하여 상기 지진의 진도의 크기 값은 후술할 지진계 제어부(120)에 의해 도출 가능하여도 무방하다.
상기 지진계(110)는 상기 필로티 건물에 설치된 지진계 중 1층에 설치된 지진계일 수 있으며, 이는 필로티 건물의 특성에 기인한다.
즉, 필로티 건물의 기본 원리는 본래 1층에서 부분적인 손상을 유도하여 오히려 상부층의 안전을 도모하는 설계의 개념이므로, 지진 발생시 1층의 피해가 가장 클 수 밖에 없다.
따라서, 필로티 건물에 있어서 지진 발생시 1층에 설치된 지진계가 가장 큰 진동을 감지할 수 밖에 없으며, 진동 감지의 측면에서 상기 지진계(110)는 상기 필로티 건물에 설치된 지진계 중 1층에 설치된 지진계가 바람직한 것이다.
상기 관리서버(130)는 보험사의 관리서버로, 상기 지진계(110)에 의해 획득된 상기 지진의 진도의 크기 값을 상기 지진계(110)로부터 전송 받는 서버일 있다.
상기 지진계(110)는 상기 관리서버(130)와 유무선 네트워크 연결이 가능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유무선 연결이 가능하도록 하는 통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관리서버(130)는 상기 지진계(110)가 획득한 지진의 진도의 크기 값을 지진계 제어부(120)를 통해 전송 받을 수도 있으며, 상기 지진계 제어부(120)는 상기 지진계(110)로부터 감지된 진동의 크기에 기초하여 진도의 크기 값을 산출하고 산출된 값을 상기 관리서버(130)로 전송할 수 있도록 하는 통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상기 지진계 제어부(120)는 상기 지진계(110)가 진도의 크기 값을 획득한 경우 상기 지진계(110)가 획득한 진도의 크기 값을 상기 지진계(110)로부터 전송 받아 상기 관리서버(130)로 전송할 수도 있고, 상기 지진계(110)가 상기 관리서버(130)로 직접 상기 지진의 진도의 크기 값을 전송하는 경우, 상기 지진계 제어부(120)는 생략 가능한 구성요소일 수 있다.
보상 제어부(140)는 상기 보험사의 관리서버(130)로 전송된 상기 지진의 진도의 크기 값을 미리 정해진 기준값과 비교하고, 비교한 결과값에 기초하여 상기 필로티 건물이 보험금의 지급 대상이 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판단된 결과를 상기 필로티 건물의 관련인의 사용자 단말(150)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단말(150)은 유무선 네트워크에 접속 가능한 휴대형 단말일 수 있으며, 휴대전화, 스마트폰, 태블릿 PC, 노트북, PDA 등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특정 보험사는 필로티 건물의 관련인 중 포내내진공법에 의해 내진보강이 이루어진 필로티 건물의 관련인과 지진 보험 계약을 체결할 수 있으며, 보험 계약 상 보험금의 지급 대상 조건을 필로티 건물에 설치된 지진계(110)에 의해 획득된 진도의 크기 값을 조건으로 할 수 있다.
즉, 상기 미리 정해진 기준값은 포내내진공법에 의해 내진보강이 이루어진 필로티 건물의 관련인과 특정 보험사와의 보험 계약에 따라 달라지는 값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진도의 크기 6일 수 있는 것이다.
상기 보상 제어부(140)는 상기 사용자 단말(150)과의 유무선 네트워크 연결을 위해 통신수단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사용자 단말(150)은 상기 보상 제어부(140)로부터의 보험금 지급 대상 여부를 다양한 표시 형태로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보상 제어부(140)는 상기 관리서버(130)가 지진계(110) 또는 지진계 제어부(120)로부터 전송된 지진의 진도의 크기 값이 5.5인 경우, 사용자 단말(150)로 보험금 지급 대상이라고 전송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150)에는 이에 대하여 문자메세지로 표시될 수 있다.
반면에, 상기 보상 제어부(140)는 상기 관리서버(130)가 지진계(110) 또는 지진 제어부(120)로부터 전송된 지진의 진도의 크기 값이 6.1인 경우, 사용자 단말(150)로 보험금 지급 대상이 아니라고 전송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150)에는 이에 대하여 문자메세지로 표시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지진계(110)가 상기 필로티 건물의 1층에 설치된 제1 지진계 및 제2 지진계를 포함하는 경우, 어떤 지진계가 획득된 지진의 진도의 크기 값을 상기 미리 정해진 기준값과 비교하는지 설명한다.
상기 보험사의 관리서버(130)는 상기 제1 지진계에 의해서 획득된 상기 지진의 진도의 크기 값 및 상기 제2 지진계에 의해서 획득된 상기 지진의 진도의 크기 값 중 상대적으로 더 큰 진도의 크기 값을 전송 받을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보험사의 관리서버(130)는 지진계 제어부(120)로부터 상기 제1 지진계 및 상기 제2 지진계로부터 각각이 획득한 지진의 진도의 크기 값 중 상대적으로 더 큰 진도의 크기 값을 전송 받을 수 있으며, 상기 보상 제어부(140)는 상기 보험사의 관리서버(130)가 전송 받은 더 큰 진도의 크기 값을 미리 정해진 기준값과 비교하고, 비교한 결과값에 기초하여 상기 필로티 건물이 보험금의 지급 대상이 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판단된 결과를 상기 필로티 건물의 관련인의 사용자 단말(150)로 전송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보험사의 관리서버(130)는 는 상기 제1 지진계 및 상기 제2 지진계 각각으로부터 획득한 지진의 진도의 크기 값 모두를 전송 받거나 지진계 제어부(120)로부터 상기 제1 지진계 및 상기 제2 지진계로부터 각각이 획득한 지진의 진도의 크기 값 모두를 전송 받을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보상 제어부(140)는 상기 보험사의 관리서버(130)가 전송 받은 진도의 크기 값을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더 큰 진도의 크기 값을 상기 미리 정해진 기준값과 비교하고, 비교한 결과값에 기초하여 상기 필로티 건물이 보험금의 지급 대상이 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판단된 결과를 상기 필로티 건물의 관련인의 사용자 단말(150)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보험사의 관리서버(130)는 상기 제1 지진계에 의해서 획득된 상기 지진의 진도의 크기 값 및 상기 제2 지진계에 의해서 획득된 상기 지진의 진도의 크기 값의 평균값을 전송 받을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보험사의 관리서버(130)는 지진계 제어부(120)로부터 상기 제1 지진계 및 상기 제2 지진계로부터 각각이 획득한 지진의 진도의 크기 값의 평균값을 전송 받을 수 있으며, 상기 보상 제어부(140)는 상기 보험사의 관리서버(130)가 전송 받은 평균값을 미리 정해진 기준값과 비교하고, 비교한 결과값에 기초하여 상기 필로티 건물이 보험금의 지급 대상이 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판단된 결과를 상기 필로티 건물의 관련인의 사용자 단말(150)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보험사의 관리서버(130)는 상기 제1 지진계 및 상기 제2 지진계 각각으로부터 획득한 지진의 진도의 크기 값 모두를 전송 받거나 지진계 제어부(120)로부터 상기 제1 지진계 및 상기 제2 지진계로부터 각각이 획득한 지진의 진도의 크기 값 모두를 전송 받을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보상 제어부(140)는 상기 제1 지진계에 의해서 획득된 상기 지진의 진도의 크기 값 및 상기 제2 지진계에 의해서 획득된 상기 지진의 진도의 크기 값의 평균값을 상기 미리 정해진 기준값과 비교하고, 비교한 결과값에 기초하여 상기 필로티 건물이 보험금의 지급 대상이 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판단된 결과를 상기 필로티 건물의 관련인의 사용자 단말(150)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보상 제어부(140)는 사용자 단말(150)로 보험금의 지급 대상이 되는지 여부를 판단한 결과를 전송하기 전에 상기 지진계(110)로부터 전송된 상기 지진의 진도의 크기 값이 상기 포대내진공법이 적용되어 내진보강이 이루어진 필로티 건물에 대한 것인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이로 인해 보험금 지급 대상 여부가 더욱 확실해질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지진계를 이용한 필로티 건물의 지진보험 손해보상 알림 방법을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지진계를 이용한 필로티 건물의 지진보험 손해보상 알림 방법은 지진이 발생되는 경우, 상기 필로티 건물에 설치된 지진계(110)를 통해 상기 지진의 진도의 크기를 획득하는 제1 단계(S110), 상기 지진계(110)에 의해서 획득된 상기 지진의 진도의 크기 값을 보험사의 관리서버(130)로 전송하는 제2 단계(S120), 상기 보험사의 관리서버(130)로 전송된 상기 지진의 진도의 크기 값을 미리 정해진 기준값과 비교하는 제3 단계(S130) 및 상기 제3 단계(S130)에 의해 도출되는 비교 값에 기초하여 상기 필로티 건물이 보험금의 지급 대상이 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판단된 결과를 상기 필로티 건물의 관련인의 사용자 단말(150)로 전송하는 제4 단계(S14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단계(S110)는 지진이 발생되면 포대내진공법이 적용되어 내진보강이 이루어진 필로티 건물의 1층에 설치된 지진계(110)가 상기 필로티 건물의 진동을 감지하고 상기 지진의 진도의 크기를 획득하는 단계이다.
상기 제2 단계(S120)는 지진계(110)가 획득한 상기 지진의 진도의 크기 값을 보험사의 관리서버(130)로 전송하는 단계로, 지진계(110) 또는 지진계 제어부(120)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제3 단계(S130) 및 상기 제4 단계(S140)는 보상 제어부(140)에 의해 구현되는 단계일 수 있다.
한편, 상기 필로티 건물의 1층에 설치된 지진계(110)가 제1 지진계 및 제2 지진계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제2 단계(S120)는 상기 제1 지진계에 의해서 획득된 상기 지진의 진도의 크기 값 및 상기 제2 지진계에 의해서 획득된 상기 지진의 진도의 크기 값 중 상대적으로 더 큰 진도의 크기 값을 상기 보험사의 관리서버(130)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보험사의 관리서버(130)는 지진계 제어부(120)로부터 상기 제1 지진계 및 상기 제2 지진계로부터 각각이 획득한 지진의 진도의 크기 값 중 상대적으로 더 큰 진도의 크기 값을 전송 받을 수 있으며, 상기 제3 단계(S130) 및 상기 제4 단계(S140)를 통해 상기 보상 제어부(140)는 상기 보험사의 관리서버(130)가 전송 받은 더 큰 진도의 크기 값을 미리 정해진 기준값과 비교하고, 비교한 결과값에 기초하여 상기 필로티 건물이 보험금의 지급 대상이 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판단된 결과를 상기 필로티 건물의 관련인의 사용자 단말(150)로 전송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2 단계(S120)에서 상기 보험사의 관리서버(130)는 상기 제1 지진계 및 상기 제2 지진계 각각으로부터 획득한 지진의 진도의 크기 값 모두를 전송 받거나 지진계 제어부(120)로부터 상기 제1 지진계 및 상기 제2 지진계로부터 각각이 획득한 지진의 진도의 크기 값 모두를 전송 받을 수 있으며, 이 경우, 제3 단계(S130)를 통해 상기 보상 제어부(140)는 상기 보험사의 관리서버(130)가 전송 받은 진도의 크기 값을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더 큰 진도의 크기 값을 상기 미리 정해진 기준값과 비교하고, 제4 단계(S140)를 통해 상기 보상 제어부(140)는 비교한 결과값에 기초하여 상기 필로티 건물이 보험금의 지급 대상이 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판단된 결과를 상기 필로티 건물의 관련인의 사용자 단말(150)로 전송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2 단계(S120)에서 상기 보험사의 관리서버(130)는 지진계 제어부(120)로부터 상기 제1 지진계 및 상기 제2 지진계로부터 각각이 획득한 지진의 진도의 크기 값의 평균값을 전송 받을 수 있으며, 상기 제3 단계(S130) 및 상기 제4 단계(S140)를 통해 상기 보상 제어부(140)는 상기 보험사의 관리서버(130)가 전송 받은 평균값을 미리 정해진 기준값과 비교하고, 비교한 결과값에 기초하여 상기 필로티 건물이 보험금의 지급 대상이 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판단된 결과를 상기 필로티 건물의 관련인의 사용자 단말(150)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단계(S120)에서 상기 보험사의 관리서버(130)는 상기 제1 지진계 및 상기 제2 지진계 각각으로부터 획득한 지진의 진도의 크기 값 모두를 전송 받거나 지진계 제어부(120)로부터 상기 제1 지진계 및 상기 제2 지진계로부터 각각이 획득한 지진의 진도의 크기 값 모두를 전송 받을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제3 단계(S130) 및 상기 제4 단계(S140)를 통해 상기 제1 지진계에 의해서 획득된 상기 지진의 진도의 크기 값 및 상기 제2 지진계에 의해서 획득된 상기 지진의 진도의 크기 값의 평균값을 상기 미리 정해진 기준값과 비교하고, 비교한 결과값에 기초하여 상기 필로티 건물이 보험금의 지급 대상이 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판단된 결과를 상기 필로티 건물의 관련인의 사용자 단말(150)로 전송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4단계(S140)는 상기 지진계(110)로부터 전송된 상기 지진의 진도의 크기 값이 상기 포대내진공법이 적용되어 내진보강이 이루어진 필로티 건물에 대한 것인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지진계를 이용한 필로티 건물의 지진보험 손해보상 알림 시스템 및 지진계를 이용한 필로티 건물의 지진보험 손해보상 알림 방법에 의하면, 포대내진공법에 의한 내진보강을 보험과 연계함으로써 필로티 건물의 건물주 등과 같은 관련인은 부담을 최소화하면서 건물의 내진보강을 실시할 수 있다.
또한, 포대내진공법이 적용된 필로티 건물이 지진에 의해 피해가 발생되는 경우 지진계(110)에 의해 획득되는 지진의 진도의 크기 값을 기초로 하여 보험금의 지급 대상이 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므로, 보험금 지급 관련 분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지진계를 이용한 필로티 건물의 지진보험 손해보상 알림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구성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지진계를 이용한 필로티 건물의 지진보험 손해보상 알림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지진계를 이용한 필로티 건물의 지진보험 손해보상 알림 시스템(200) 및 지진계를 이용한 필로티 건물의 지진보험 손해보상 알림 방법은 도 1 및 도 2를 참조로 설명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지진계를 이용한 필로티 건물의 지진보험 손해보상 알림 시스템(100) 및 지진계를 이용한 필로티 건물의 지진보험 손해보상 알림 방법과 비교할 때, 필로티 건물의 1층에 설치된 지진계(210)에 의해 지진의 진도의 크기가 획득되지 않거나(점선으로 표시함) 상기 지진계(210)에 의해서 획득된 상기 지진의 진도의 크기 값이 보험사의 관리서버(230)로 전송되지 않는 경우(점선으로 표시함)의 보험금 지급 대상 여부를 알려주는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지진계를 이용한 필로티 건물의 지진보험 손해보상 알림 시스템(200)은 지진 발생시 발생되는 필로티 건물의 손해를 보상하기 위한 알림 시스템으로, 지진계(210), 보험사의 관리서버(230) 및 보상 제어부(24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진계(210) 및 보험사의 관리서버(230)는 이미 도 1 및 도 2를 참조로 설명한 바 있으므로, 이하에서는 상기 보상 제어부(240) 위주로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보상 제어부(240)는 상기 지진계(210)에 의해 상기 지진의 진도의 크기가 획득되지 않거나 상기 지진계(210)에 의해서 획득된 상기 지진의 진도의 크기 값이 보험사의 관리서버(230)로 전송되지 않는 경우, 관공서에 설치된 지진계(260)에 의해 획득된 상기 지진의 진도의 크기 값을 미리 정해진 기준값과 비교하고, 비교한 결과값에 기초하여 상기 필로티 건물이 보험금의 지급 대상이 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판단한 결과를 상기 필로티 건물의 관련인의 사용자 단말(250)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관공서는 지자체 또는 기상청 등 다양한 공적 기관 중 하나일 수 있다.
상기 보상 제어부(240)는 관공서에 설치된 지진계(210)에 의해 획득된 상기 지진의 진도의 크기 값을 상기 미리 정해진 기준값과 비교하기 위해, 상기 관공서의 서버 등에 상기 지진의 진도의 크기 값을 요청할 수 있으며, 상기 보상 제어부(240)는 상기 관공서의 서버 등으로부터 상기 지진의 진도의 크기 값이 전송되면, 이를 미리 정해진 기준값과 비교할 수 있다.
또는, 상기 보상 제어부(240)는 대중에게 공지되는 상기 관공서에 설치된 지진계(260)에 의해 획득되는 상기 지진의 크기 값을 이용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지진계(210)에 의해 상기 지진의 진도의 크기가 획득되지 않거나 상기 지진계(210)에 의해서 획득된 상기 지진의 진도의 크기 값이 보험사의 관리서버(230)로 전송되지 않는 경우는 상기 지진계(210)가 파손되어 지진 발생에 대한 상기 필로티 건물의 진동을 감지할 수 없는 경우, 상기 지진계(210)가 상기 필로티 건물의 진동을 감지하되 상기 지진의 진도의 크기 값을 산출할 수 없는 경우 또는 지진 제어부(220)가 상기 지진의 진도의 크기 값을 산출할 수 없는 경우 등일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보상 제어부(240)는 지진계가 설치된 관공서 중 상기 필로티 건물과 가장 가까운 곳에 위치한 관공서에 설치된 지진계(260)에 의해 획득된 상기 지진의 진도의 크기 값을 상기 미리 정해진 기준값과 비교할 수 있다.
한편, 포대내진공법(SRF: SuperReinforcement with Flexibility) 이 적용되어 내진보강이 이루어진 필로티 건물에는 1층 이외의 층에 진동을 감지하는 지진계가 설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필로티 건물의 1층에 설치된 지진계(210)에 의해 상기 지진의 진도의 크기가 획득되지 않거나 상기 필로티 건물의 1층에 설치된 지진계(210)에 의해서 획득된 상기 지진의 진도의 크기 값이 보험사의 관리서버(230)로 전송되지 않고, 상기 필로티 건물의 1층 이외의 층에 설치된 지진계에 의해 획득된 상기 지진의 진도의 크기 값이 상기 보험사의 관리서버(230)로 전송되는 경우, 상기 보상 제어부(240)는 상기 필로티 건물의 1층 이외의 층에 설치된 지진계에 의해 획득된 상기 지진의 진도의 크기 값과 상기 관공서에 설치된 지진계(260)에 의해 획득된 상기 지진의 진도의 크기 값의 평균값을 상기 미리 정해진 기준값과 비교할 수 있다.
또는, 상기 필로티 건물의 1층 이외의 층에 설치된 지진계에 의해 획득된 상기 지진의 진도의 크기 값과 상기 관공서에 설치된 지진계(260)에 의해 획득된 상기 지진의 진도의 크기 값 중 상대적으로 더 큰 진도의 크기 값을 상기 미리 정해진 기준값과 비교할 수 있다.
이후에는 비교된 결과값에 기초하여 상기 필로티 건물이 보험금의 지급 대상이 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판단된 결과를 상기 필로티 건물의 관련인의 사용자 단말(250)로 전송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지진계를 이용한 필로티 건물의 지진보험 손해보상 알림 방법을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지진계를 이용한 필로티 건물의 지진보험 손해보상 알림 방법은 포대내진공법(SRF: SuperReinforcement with Flexibility) 이 적용되어 내진 보강이 이루어진 필로티 건물의 1층에 설치된 지진계(210)에 의해 상기 지진의 진도의 크기가 획득되지 않거나 상기 지진계(210)에 의해서 획득된 상기 지진의 진도의 크기 값이 보험사의 관리서버(230)로 전송되지 않는 경우, 관공서에 설치된 지진계(260)에 의해 획득된 상기 지진의 진도의 크기 값을 미리 정해진 기준값과 비교하는 제1 단계(S210) 및 상기 제1 단계(S210)에 의해 도출되는 비교 값에 기초하여 상기 필로티 건물이 보험금의 지급 대상이 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판단한 결과를 상기 필로티 건물의 관련인의 사용자 단말(250)로 전송하는 제2 단계(S2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단계(S210)를 통해 상기 미리 정해진 기준값과 비교되는 상기 지진의 진도의 크기 값은 지진계가 설치된 관공서 중 상기 필로티 건물과 가장 가까운 곳에 위치한 관공서에 설치된 지진계(260)에 의해 획득된 상기 지진의 진도의 크기 값일 수 있다.
한편, 상기 필로티 건물의 1층 이외의 층에 설치된 지진계에 의해 획득된 상기 지진의 진도의 크기 값이 상기 보험사의 관리서버(230)로 전송되는 경우, 상기 제1 단계(S210)를 통해 상기 보상 제어부(240)는 상기 필로티 건물의 1층 이외의 층에 설치된 지진계에 의해 획득된 상기 지진의 진도의 크기 값과 상기 관공서에 설치된 지진계(260)에 의해 획득된 상기 지진의 진도의 크기 값의 평균값을 상기 미리 정해진 기준값과 비교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제1 단계(S210)를 통해 상기 보상 제어부(240)는 상기 필로티 건물의 1층 이외의 층에 설치된 지진계에 의해 획득된 상기 지진의 진도의 크기 값과 상기 관공서에 설치된 지진계에 의해 획득된 상기 지진의 진도의 크기 값 중 상대적으로 더 큰 진도의 크기 값을 상기 미리 정해진 기준값과 비교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지진계를 이용한 필로티 건물의 지진보험 손해보상 알림 시스템 및 지진계를 이용한 필로티 건물의 지진보험 손해보상 알림 방법에 의하면, 포대내진공법에 의해 내진보강이 이루어진 필로티 건물의 1층에 설치된 지진계(210)에 의해 상기 지진의 진도의 크기가 획득되지 않거나 상기 지진계(210)에 의해서 획득된 상기 지진의 진도의 크기 값이 보험사의 관리서버(230)로 전송되지 않는 경우라도 관공서의 지진계(260)를 기초로 하여 보험금의 지급 대상이 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으므로, 보험금 지급 관련 분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도 5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지진계를 이용한 필로티 건물의 지진보험 손해보상 알림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구성도이며, 도 6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지진계를 이용한 필로티 건물의 지진보험 손해보상 알림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지진계를 이용한 필로티 건물의 지진보험 손해보상 알림 시스템(300) 및 지진계를 이용한 필로티 건물의 지진보험 손해보상 알림 방법은 도 1 및 도 2를 참조로 설명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지진계를 이용한 필로티 건물의 지진보험 손해보상 알림 시스템(100) 및 지진계를 이용한 필로티 건물의 지진보험 손해보상 알림 방법과 비교할 때, 필로티 건물의 1층에 설치된 지진계(310)에 의해 지진의 진도의 크기가 획득되지 않거나(점선으로 표시함) 상기 지진계(310)에 의해서 획득된 상기 지진의 진도의 크기 값이 보험사의 관리서버(330)로 전송되지 않는 경우의 보험금 지급 대상 여부를 알려주는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지진계를 이용한 필로티 건물의 지진보험 손해보상 알림 시스템(300)은 지진 발생시 발생되는 필로티 건물의 손해를 보상하기 위한 알림 시스템으로, 지진계(310), 보험사의 관리서버(330) 및 보상 제어부(34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진계(310) 및 보험사의 관리서버(330)는 이미 도 1 및 도 2를 참조로 설명한 바 있으므로, 이하에서는 상기 보상 제어부(340) 위주로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보상 제어부(340)는 상기 지진계(310)에 의해 상기 지진의 진도의 크기가 획득되지 않거나 상기 지진계(310)에 의해서 획득된 상기 지진의 진도의 크기 값이 보험사의 관리서버(330)로 전송되지 않는 경우, 상기 필로티 건물의 1층 이외의 층에 설치된 지진계(370)에 의해 획득된 상기 지진의 진도의 크기 값을 미리 정해진 기준값과 비교하고, 비교한 결과값에 기초하여 상기 필로티 건물이 보험금의 지급 대상이 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판단한 결과를 상기 필로티 건물의 관련인의 사용자 단말(350)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보상 제어부(340)는 상기 필로티 건물의 1층 이외의 층에 설치된 지진계(370)에 의해 획득된 상기 지진의 진도의 크기 값을 상기 미리 정해진 기준값과 비교하기 위해, 상기 필로티 건물의 1층 이외의 층에 설치된 지진계(370) 또는 지진계 제어부(320)에 상기 지진의 진도의 크기 값을 요청할 수 있으며, 상기 보상 제어부(340)는 상기 지진계 제어부(320) 등으로부터 상기 지진의 진도의 크기 값이 전송되면, 이를 미리 정해진 기준값과 비교할 수 있다.
다만, 상기 지진의 진도의 크기 값을 요청하는 구성요소는 반드시 보상 제어부(340)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보험사의 관리 서버(330)가 상기 지진의 진도의 크기 값을 요청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지진계(310)에 의해 상기 지진의 진도의 크기가 획득되지 않거나 상기 지진계(310)에 의해서 획득된 상기 지진의 진도의 크기 값이 보험사의 관리서버(330)로 전송되지 않는 경우는 필로티 건물의 1층에 설치된 상기 지진계(310)가 파손되어 지진 발생에 대한 상기 필로티 건물의 진동을 감지할 수 없는 경우, 필로티 건물의 1층에 설치된 상기 지진계(310)가 상기 필로티 건물의 진동을 감지하되 상기 지진의 진도의 크기 값을 산출할 수 없는 경우 또는 지진 제어부(320)가 상기 지진의 진도의 크기 값을 산출할 수 없는 경우 등일 수 있다.
한편, 상기 보험사의 관리서버(330)는 필로티 건물의 1층 이외의 층에 설치된 복수의 지진계(370), 예를 들어, 2층에 설치된 지진계 및 3층에 설치된 지진계로부터 각각의 지진의 진도의 크기 값을 모두 전송 받거나, 지진계 제어부(320)로부터 필로티 건물의 2층에 설치된 지진계 및 3층에 설치된 지진계가 획득한 지진의 진도의 크기 값을 모두 전송 받는 경우, 상기 보상 제어부(340)는 획득된 상기 지진의 진도의 크기 값 중 가장 큰 값을 상기 미리 정해진 기준값과 비교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상 제어부(340)는 획득된 상기 지진의 진도의 크기 값의 평균값을 상기 미리 정해진 기준값과 비교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보험사의 관리서버(340)는 전술한 바와 같이 2층에 설치된 지진계 및 3층에 설치된 지진계로부터 각각의 지진의 진도의 크기 값을 모두 전송 받을 수 있으나, 지진계 제어부(320)로부터 2층에 설치된 지진계 및 3층에 설치된 지진계 각각으로부터 획득한 지진의 진도의 크기 값의 평균값 또는 상대적으로 큰 값만을 전송 받을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보상 제어부(340)는 상기 보험사의 관리 서버(330)가 전송 받은 값을 미리 정해진 기준값과 비교하여, 이를 기초로 상기 필로티 건물이 보험금의 지급 대상이 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판단한 결과를 상기 필로티 건물의 관련인의 사용자 단말(350)로 전송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지진계를 이용한 필로티 건물의 지진보험 손해보상 알림 방법을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지진계를 이용한 필로티 건물의 지진보험 손해보상 알림 방법은 포대내진공법(SRF: SuperReinforcement with Flexibility) 이 적용되어 내진 보강이 이루어진 필로티 건물의 1층에 설치된 지진계(310)에 의해 상기 지진의 진도의 크기가 획득되지 않거나 상기 지진계(310)에 의해서 획득된 상기 지진의 진도의 크기 값이 보험사의 관리서버(330)로 전송되지 않는 경우, 상기 필로티 건물의 1층 이외의 층에 설치된 지진계(310)에 의해 획득된 상기 지진의 진도의 크기 값을 미리 정해진 기준값과 비교하는 제1 단계(S410) 및 상기 제1 단계(S410)에 의해 도출되는 비교값에 기초하여 상기 필로티 건물이 보험금의 지급 대상이 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판단한 결과를 상기 필로티 건물의 관련인의 사용자 단말(350)로 전송하는 제2 단계(S3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단계(S310)는 상기 필로티 건물의 1층 이외의 층에 설치된 지진계에 의해 획득된 상기 지진의 진도의 크기 값 중 가장 큰 값을 상기 미리 정해진 기준값과 비교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제1 단계(S310)는 상기 필로티 건물의 1층 이외의 층에 설치된 지진계(370)에 의해 획득된 상기 지진의 진도의 크기 값의 평균값을 상기 미리 정해진 기준값과 비교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단계(S310)를 통해 보상 제어부(340)가 미리 정해진 기준값과 비교하는 지진의 진도의 크기 값은 도 5를 참조로 설명한 바와 같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지진계를 이용한 필로티 건물의 지진보험 손해보상 알림 시스템 및 지진계를 이용한 필로티 건물의 지진보험 손해보상 알림 방법에 의하면, 포대내진공법에 의해 내진보강이 이루어진 필로티 건물의 1층에 설치된 지진계(310)에 의해 상기 지진의 진도의 크기가 획득되지 않거나 상기 지진계(310)에 의해서 획득된 상기 지진의 진도의 크기 값이 보험사의 관리서버(330)로 전송되지 않는 경우라도 필로티 건물의 1층 이외의 층에 설치된 지진계(370)를 기초로 보험금의 지급 대상이 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으므로, 보험금 지급 관련 분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 실시예 내지 제3 실시예에 따른 지진계를 이용한 필로티 건물의 지진보험 손해보상 알림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실시예를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 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 하드웨어 장치는 실시예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기준으로 본 발명의 구성과 특징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 명백한 것이며, 따라서 이와 같은 변경 또는 변형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을 밝혀둔다.
100, 200, 300: 필로티 건물의 지진보험 손해보상 알림 시스템
110, 210, 310: 지진계
120, 220, 320: 지진계 제어부
130, 230, 330: 보험사의 관리서버
140, 240, 340: 보상 제어부
150, 250, 350: 사용자 단말

Claims (7)

  1. 지진이 발생되는 경우, 필로티 건물 - 상기 필로티 건물은, 섬유를 벨트 형태 또는 시트 형태로 직조한 후, 상기 필로티 건물의 기둥을 감싸거나 부착시키는 공법인 포대내진공법(SRF: SuperReinforcement with Flexibility) 이 적용되어 내진 보강이 이루어진 건물임 - 의 1층에 설치된 지진계 - 상기 지진계는, 지진이 발생되는 경우 상기 필로티 건물의 진동을 감지함 - 를 통해 상기 지진의 진도의 크기가 획득되고, 획득된 상기 지진의 진도의 크기 값에 기초하여 상기 필로티 건물이 보험금의 지급 대상이 되는지 여부가 판단되며, 판단 결과가 상기 필로티 건물의 관련인의 사용자 단말로 전송되도록 하는, 지진계를 이용한 필로티 건물의 지진보험 손해보상 알림 방법에 있어서,
    상기 지진계에 의해 상기 지진의 진도의 크기가 획득되지 않거나 상기 지진계에 의해서 획득된 상기 지진의 진도의 크기 값이 상기 지진계 또는 지진계 제어부에 의해 보험사의 관리서버로 전송되지 않는 경우, 상기 필로티 건물의 1층 이외의 층에 설치된 지진계에 의해 획득된 상기 지진의 진도의 크기 값이 보상 제어부에 의해 미리 정해진 기준값과 비교되는 제1 단계; 및
    상기 제1 단계에 의해 도출되는 비교값에 기초하여 상기 필로티 건물이 보험금의 지급 대상이 되는지 여부가 상기 보상 제어부에 의해 판단되고, 판단된 결과가 상기 보상 제어부에 의해 상기 필로티 건물의 관련인의 사용자 단말로 전송되는 제2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보상 제어부는,
    상기 보험사의 관리서버로 전송된 상기 지진의 진도의 크기 값이 상기 미리 정해진 기준값보다 작은 경우, 보험금의 지급 대상이 되는 것으로 판단하며,
    상기 보험사의 관리서버로 전송된 상기 지진의 진도의 크기 값이 상기 미리 정해진 기준값보다 큰 경우, 보험금의 지급 대상이 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하는 지진계를 이용한 필로티 건물의 지진보험 손해보상 알림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계는,
    상기 필로티 건물의 1층 이외의 층에 설치된 지진계에 의해 획득된 상기 지진의 진도의 크기 값 중 가장 큰 값이 상기 보상 제어부에 의해 상기 미리 정해진 기준값과 비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진계를 이용한 필로티 건물의 지진보험 손해보상 알림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계는,
    상기 필로티 건물의 1층 이외의 층에 설치된 지진계에 의해 획득된 상기 지진의 진도의 크기 값의 평균값이 상기 보상 제어부에 의해 상기 미리 정해진 기준값과 비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진계를 이용한 필로티 건물의 지진보험 손해보상 알림 방법.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5. 지진이 발생되는 경우, 필로티 건물 - 상기 필로티 건물은, 섬유를 벨트 형태 또는 시트 형태로 직조한 후, 상기 필로티 건물의 기둥을 감싸거나 부착시키는 공법인 포대내진공법(SRF: SuperReinforcement with Flexibility) 이 적용되어 내진 보강이 이루어진 건물임 - 의 1층에 설치되어 상기 필로티 건물의 진동을 감지하고 상기 지진의 진도의 크기를 획득하는 지진계;
    상기 지진계에 의해 획득된 상기 지진의 진도의 크기 값을 상기 지진계로부터 전송 받는 보험사의 관리서버; 및
    상기 지진계에 의해 상기 지진의 진도의 크기가 획득되지 않거나 상기 지진계에 의해서 획득된 상기 지진의 진도의 크기 값이 상기 보험사의 관리서버로 전송되지 않는 경우, 상기 필로티 건물의 1층 이외의 층에 설치된 지진계에 의해 획득된 상기 지진의 진도의 크기 값을 미리 정해진 기준값과 비교하고, 비교한 결과값에 기초하여 상기 필로티 건물이 보험금의 지급 대상이 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판단한 결과를 상기 필로티 건물의 관련인의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보상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보상 제어부는,
    상기 보험사의 관리서버로 전송된 상기 지진의 진도의 크기 값이 상기 미리 정해진 기준값보다 작은 경우, 보험금의 지급 대상이 되는 것으로 판단하며,
    상기 보험사의 관리서버로 전송된 상기 지진의 진도의 크기 값이 상기 미리 정해진 기준값보다 큰 경우, 보험금의 지급 대상이 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하는 지진계를 이용한 필로티 건물의 지진보험 손해보상 알림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보상 제어부는,
    상기 필로티 건물의 1층 이외의 층에 설치된 지진계에 의해 획득된 상기 지진의 진도의 크기 값 중 가장 큰 값을 상기 미리 정해진 기준값과 비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진계를 이용한 필로티 건물의 지진보험 손해보상 알림 시스템.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보상 제어부는,
    상기 필로티 건물의 1층 이외의 층에 설치된 지진계에 의해 획득된 상기 지진의 진도의 크기 값의 평균값을 상기 미리 정해진 기준값과 비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진계를 이용한 필로티 건물의 지진보험 손해보상 알림 시스템.
KR1020180017792A 2018-02-13 2018-02-13 지진계를 이용한 필로티 건물의 지진보험 손해보상 알림 시스템, 지진계를 이용한 필로티 건물의 지진보험 손해보상 알림 방법 및 그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KR1018729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7792A KR101872941B1 (ko) 2018-02-13 2018-02-13 지진계를 이용한 필로티 건물의 지진보험 손해보상 알림 시스템, 지진계를 이용한 필로티 건물의 지진보험 손해보상 알림 방법 및 그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7792A KR101872941B1 (ko) 2018-02-13 2018-02-13 지진계를 이용한 필로티 건물의 지진보험 손해보상 알림 시스템, 지진계를 이용한 필로티 건물의 지진보험 손해보상 알림 방법 및 그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72941B1 true KR101872941B1 (ko) 2018-07-02

Family

ID=629138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17792A KR101872941B1 (ko) 2018-02-13 2018-02-13 지진계를 이용한 필로티 건물의 지진보험 손해보상 알림 시스템, 지진계를 이용한 필로티 건물의 지진보험 손해보상 알림 방법 및 그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72941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94574A (ja) * 2002-03-29 2003-10-15 Tokai Rika Co Ltd 建物診断装置及び建物の強度診断方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94574A (ja) * 2002-03-29 2003-10-15 Tokai Rika Co Ltd 建物診断装置及び建物の強度診断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Bournas et al. Performance of industrial buildings during the Emilia earthquakes in Northern Italy and recommendations for their strengthening
Priestley et al. Towards a capacity-design assessment procedure for reinforced concrete frames
Erdik et al. Earthquake risk assessment for Istanbul metropolitan area
Inel et al. Re-evaluation of building damage during recent earthquakes in Turkey
Lagaros et al. Evaluation of ASCE-41, ATC-40 and N2 static pushover methods based on optimally designed buildings
Ventura et al. Dynamic characteristics of a base isolated building from ambient vibration measurements and low level earthquake shaking
TW201435322A (zh) 建築物安全性驗證系統及建築物安全驗證方法
Demirci et al. Seismic drift demands in multi‐storey cross‐laminated timber buildings
Michel et al. Probabilistic mechanics-based loss scenarios for school buildings in Basel (Switzerland)
Otani Earthquake resistant design of reinforced concrete buildings past and future
Cilsalar et al. Parametric study of seismic collapse performance of lightweight buildings with spherical deformable rolling isolation system
Zhang et al. Performance assessment of moment resisting frames during earthquakes based on the force analogy method
Gattulli et al. Dissipative coupling for the seismic enhancement of adjacent structures
KR101872941B1 (ko) 지진계를 이용한 필로티 건물의 지진보험 손해보상 알림 시스템, 지진계를 이용한 필로티 건물의 지진보험 손해보상 알림 방법 및 그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KR101872940B1 (ko) 지진계를 이용한 필로티 건물의 지진보험 손해보상 알림 시스템, 지진계를 이용한 필로티 건물의 지진보험 손해보상 알림 방법 및 그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KR101872938B1 (ko) 지진계를 이용한 필로티 건물의 지진보험 손해보상 알림 시스템, 지진계를 이용한 필로티 건물의 지진보험 손해보상 알림 방법 및 그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JP5355341B2 (ja) 災害に基づく保険事故の発生予測装置及び方法
CN113684941B (zh) 地铁上盖低频隔振减振结构及其设计方法
JPH1181703A (ja) 災害対策を考慮した外部耐震補強構法
JP6684598B2 (ja) 被災情報管理システム
Cardone et al. Direct displacement loss assessment of existing RC buildings pre-and post-seismic retrofitting: A case study
Liao et al. Study on the fragility of building structures in Taiwan
Lago et al. A novel seismic design strategy for structures with complex geometry
Athanasiou et al. Nonlinear wind and earthquake loads on tall steel-braced frame buildings
Holmes Risk assessment and retrofit of existing building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