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71892B1 - 모터 냉각 구조 - Google Patents

모터 냉각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71892B1
KR101871892B1 KR1020160049300A KR20160049300A KR101871892B1 KR 101871892 B1 KR101871892 B1 KR 101871892B1 KR 1020160049300 A KR1020160049300 A KR 1020160049300A KR 20160049300 A KR20160049300 A KR 20160049300A KR 101871892 B1 KR101871892 B1 KR 1018718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rotation
motor
blade
st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493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20868A (ko
Inventor
박태봉
김대광
이기옥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맥시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맥시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맥시스
Priority to KR10201600493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71892B1/ko
Publication of KR201701208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208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718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718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9/00Arrangements for cooling or ventilating
    • H02K9/02Arrangements for cooling or ventilating by ambient air flowing through the machine
    • H02K9/04Arrangements for cooling or ventilating by ambient air flowing through the machine having means for generating a flow of cooling medium
    • H02K9/06Arrangements for cooling or ventilating by ambient air flowing through the machine having means for generating a flow of cooling medium with fans or impellers driven by the machine shaft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5/00Casings; Enclosures; Supports
    • H02K5/04Casings or enclosur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thereof
    • H02K5/10Casings or enclosur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thereof with arrangements for protection from ingress, e.g. water or fing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otor Or Generator Cooling System (AREA)

Abstract

전기를 인가받고, 내부가 원통형으로 형성되는 고정자; 고정자의 내부에 수용되고, 코일이 권취되는 하나 이상의 권취부가 고정자의 내주면을 향해 연장형성되며, 인가된 전기에 반응하여 회전을 하는 회전자; 회전자와 회전의 축방향으로 결합되는 회전축; 및 회전축과 결합되어 회전하는 방향으로 회전축과 함께 회전되는 회전플레이트를 포함하고, 회전플레이트는 코일의 발열에 의하여 가열되는 공기를 회전 시에 강제대류시키기 위해, 회전플레이트의 중심으로부터 방사상으로 배열되는 복수 개의 블레이드를 포함하고, 블레이드는 방사상으로 곡률이 감소되면서 기 결정된 길이만큼 연장형성이 되는 모터 냉각 구조가 제공된다.

Description

모터 냉각 구조{COOLING STRUCTURE FOR MOTOR}
본 발명은 모터 냉각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기모터는, 작동 시에 전기에너지의 일부를 열손실로 방출한다. 이러한 열손실은 모터의 기계적 특성을 저하시키고 수명을 단축시키는 원인이 되는 바, 모터를 설계함에 있어서, 열손실을 줄이고 발생된 열을 효율적으로 냉각시키는 것이 중요한 과제로 되고 있다. 전기모터를 냉각시키는 방법으로는 유체식 냉각방법이 제안되고 있다. 예를 들어, 전기모터의 고정자에 축방향을 따라 복수 개의 냉각유로가 형성되고, 전기모터의 일부에는 상기 각각의 냉각유로와 연통되는 축방향 구멍 및 각 축방향 구멍을 서로 연결하는 직각방향 구멍을 형성하여 상기 각각의 냉각유로가 서로 직렬로 연결하며, 직렬로 연결된 냉각유로에 냉각 유체를 유통시킴으로써 전기모터를 냉각시키는 구성을 갖는다. 그러나 이러한 유체식 냉각방법은 발생된 열을 효율적으로 냉각시킬 수 있다는 장점은 있으나, 회전자를 지지하는 구성에 축방향 구멍 또는 직각방향 구멍을 형성함으로써, 상기 구성의 강도를 저하시키고, 진동에 대한 저항특성을 저하 시킨다는 단점이 지적되고 있다. 그리고, 다른 예로는, 전기모터의 고정자에 축방향을 따라 복수 개의 냉각유로를 형성하고, 고정자의 양면에는 상기 각 냉각유로와 직각방향으로 연통되는 구멍을 형성하며, 고정자의 전후에는 상기 구멍과 연통되는 연통유로를 갖는 유로 가이드 플레이트를 수직하게 설치함으로써 상기 냉각유로를 직렬로 연결한 구성을 갖는다. 그러나 이러한 유체식 냉각방법은 유로 가이드 플레이트를 수직하게 설치하기 위한 설치공간을 확보해야 하는 바, 설치공간이 제한되는 전기모터에는 적용하기 어렵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 2003-0056638호 (2003. 07. 04)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전기모터의 동작 중 내부에서 발생하는 열을, 모터의 회전축에 연결된 회전플레이트에 블레이드를 형성시켜서 강제대류를 유도하고 강제대류로 인해 전기모터 내부와 외부와의 열교환을 시켜서 냉각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모터 내외부로 공기의 유로를 확보하고 수분의 출입을 통제하는 공냉식 냉각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모터의 회전을 이용하여 모터를 냉각시킬 수 있는 회전플레이트를 포함하여 회전축의 회전수와 비례하여 증가 및 감소되는 열에 대응하여 냉각정도가 결정되는 냉각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회전플레이트에 형성되는 블레이드의 형상이, 열교환을 위해 모터 내부의 가열된 공기가 외부로 토출될 수 있는 토출구 측으로 안내하기 위해 기 결정된 각도로 형성되는 블레이드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모터의 내부와 외부 간의 공기 출입이 가능한 흡입구 및 토출구에 멤브레인이 위치되어 공기의 흐름은 유지하고 수분의 흐름은 차단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기를 인가받고, 내부가 원통형으로 형성되는 고정자; 고정자의 내부에 수용되고, 코일이 권취되는 하나 이상의 권취부가 고정자의 내주면을 향해 연장형성되며, 인가된 전기에 반응하여 회전을 하는 회전자; 회전자와 회전의 축방향으로 결합되는 회전축; 및 회전축과 결합되어 회전하는 방향으로 회전축과 함께 회전되는 회전플레이트를 포함하고, 회전플레이트는 코일의 발열에 의하여 가열되는 공기를 회전 시에 강제대류시키기 위해, 회전플레이트의 중심으로부터 방사상으로 배열되는 복수 개의 블레이드를 포함하고, 블레이드는 방사상으로 곡률이 감소되면서 기 결정된 길이만큼 연장형성이 되는 모터 냉각 구조가 제공된다.
그리고, 블레이드는 회전플레이트에 대하여 회전이 되는 방향을 향하는 면이 회전방향(R)에 대하여 적어도 한 면은 예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블레이드는 방사상으로 연장형성되고, 방사상으로 연장될수록 공기와 접촉되는 면적이 증가될 수 있다.
또한, 회전플레이트는 통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통공은 회전방향(R)에 대하여 사선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모터 냉각 구조는 공기는 통과 가능하고, 수분은 통과 불가능한 멤브레인(membrane)을 하나 이상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멤브레인은 공기의 흐름을 기준으로 회전플레이트의 전측 및 후측에 형성되고, 전측에 위치되는 멤브레인은 모터의 외부로부터 공기가 유입될 수 있도록 형성되고, 후측에 위치되는 멤브레인은 모터의 내부로부터 배출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전기모터의 동작 중 내부에서 발생하는 열을, 모터의 회전축에 연결된 회전플레이트에 블레이드를 형성시켜서 강제대류를 유도하고 강제대류로 인해 전기모터 내부와 외부와의 열교환을 시켜서 냉각시킬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모터 내외부로 공기의 유로를 확보하고 수분의 출입을 통제하는 공냉식 냉각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모터의 회전을 이용하여 모터를 냉각시킬 수 있는 회전플레이트를 포함하여 회전축의 회전수와 비례하여 증가 및 감소되는 열에 대응하여 냉각정도가 결정되는 냉각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회전플레이트에 형성되는 블레이드의 형상이, 열교환을 위해 모터 내부의 가열된 공기가 외부로 토출될 수 있는 토출구 측으로 안내하기 위해 기 결정된 각도로 형성되는 블레이드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모터의 내부와 외부 간의 공기 출입이 가능한 흡입구 및 토출구에 멤브레인이 위치되어 공기의 흐름은 유지하고 수분의 흐름은 차단하는 것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터 냉각 구조의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터 냉각 구조에서 가열된 공기가 이동되는 경로를 나타낸 모터의 단면도
도 3의 (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레이드의 곡률을 나타낸 도면, (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블레이드의 곡률을 나타낸 도면
도 4의 (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레이드가 형성하는 공기포집부를 나타낸 도면, (b)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블레이드가 형성하는 공기포집부를 나타낸 도면.
도 5의 (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레이드의 정면도를 나타낸 도면, (b)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블레이드의 정면도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플레이트에 형성되는 통공을 나타낸 도면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이는 예시에 불과하며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청구범위에 의해 결정되며, 이하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효율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일 수단일 뿐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모터는 회전방향(R)에 따라 블레이드의 형성방향이 다를 수가 있으므로, 필요에 따라 회전방향(R)을 도면에 표시함으로써 블레이드의 형성방향이 결정되었지만 그와 반대방향으로 회전할 경우 회전중심을 기준으로 반대로 형성될 수 있고 정회전 및 역회전이 가능한 모터의 경우, 도시된 회전방향(R)을 향하는 면의 형상이 정회전 및 역회전 시에 공기를 배출 가능하도록 양면에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이하에서 후술할 회전플레이트의 블레이드 형상이 다양하게 예시되는데, 예시되는 다양한 블레이드의 형상을 통칭하여 블레이드(410)로 기재하고 각각의 예시는 블레이드(410a, 410b, 410c, 410d, 410e, 410f)로 기재한다. 또한, 이하에서 복수 개로 예시한 회전플레이트(400a, 400b)를 통칭하는 경우에는 회전플레이트(400)로 기재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터 냉각 구조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모터 냉각 구조는 고정자(100), 회전자(200), 회전축(300) 및 회전플레이트(400)를 포함한다. 회전플레이트(400)와 결합되는 회전축(300)은 회전자(200)의 중심축에 위치되어 회전자(200)와 고정될 수 있고, 회전자(200)는 고정자(100)의 내부에 위치될 수 있다.
이러한 모터 냉각 구조는 케이싱(500; 510, 520) 내부에 수용될 수 있고, 이를 도 1을 통하여 예시한다. 상술한 모터 냉각 구조의 결합구조에 따르면, 본 발명의 모터 냉각 구조에서는 회전축(300)과 결합된 회전플레이트(400)가 회전축(300)의 회전에 의하여 회전되는 과정에서 고정자(100) 내부에서 회전자(200)에 의해 가열된 공기를 모터 냉각 구조의 외측으로 토출시킬 수 있다. 상기 토출은 회전플레이트(400)에 형성되는 블레이드(도 2의 410)에 의하여 토출되며 구체적으로는 도 2 내지 6을 참조하여 후술한다.
한편, 케이싱(500)을 포함하는 경우에는 케이싱(500)에 상기 공기가 토출되는 토출구가 마련될 수 있으며, 당업자에 의해 공기가 토출됨에 따라 흡입되는 흡입구도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상기 공기가 흡입되고 토출되는 방향을 기준으로 회전플레이트(400)의 전측과 후측에 각각 흡입구 및 토출구가 위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흡입구는 제1케이싱(510) 측에 형성될 수 있고, 토출구는 제2케이싱(520) 측에 형성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흡입구와 토출구는 멤브레인을 통한 공기의 흡입 또는 토출이 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는 모터 냉각 구조의 외측으로부터 모터 냉각 구조의 내부로 수분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고 공기의 흐름만 가능하게 하기 위한 것으로, 회전플레이트(400)의 회전에 의하여 강제대류를 발생시키고 상기 강제대류에 의해 발생하는 공기의 흐름에 의해 모터 냉각 구조의 내부 및 외부로의 수분 출입을 통제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이러한 공기의 대류를 통한 냉각 과정은 수냉식의 모터와 함께 병행되어 모터를 냉각할 수도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터 냉각 구조에서 가열된 공기가 이동되는 경로를 나타낸 모터의 단면도이다.
도 2는 모터 외부의 공기가 모터 내부를 경유해서 모터 외부로 토출되는 경로를 설명하기 위하여, 모터 외부에서 내부로 공기가 흐르거나 모터 내부에서 외부로 공기가 흐르기 위한 출입구에 멤브레인이 위치되는 경우를 예시하여 설명한다.
도 2를 참조하면, 고정자(100) 내부에 회전자(200)가 위치되고, 회전자(200)의 중심에 회전축(300)이 결합될 수 있다. 회전축(300)은 고정자(100)의 양단부와 결합되는 커버(110, 120)에 형성되는 축공에 지지될 수 있다. 상기 양단부와 결합되는 커버(110, 120) 중 제1커버(110)는 통공이 형성되어 모터 외부와 공기가 흐를 수 있도록 형성되며 제1케이싱(510)에 위치될 수 있는 멤브레인과 인접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한편, 회전플레이트(400)와 인접배치되는 커버인, 도 2에 예시한 바에 따르면 제2커버(120)는, 고정자(100)의 내부에서 가열되는 공기가 토출되도록 통공(121)이 형성될 수 있다. 통공(121)을 경유한 공기는 회전플레이트(400)에 형성된 통공(420)을 경유하여 제2케이싱(520)에 위치되는 멤브레인을통하여 외부로 토출될 수 있다.
상술한 바에 따른 모터는 내부에서 외부로 토출되는 공기의 유로가 두 가지 이상 형성될 수 있다. 그 중 도 2에 예시한 두 개의 유로(230, 240)를 예로 들면, 제1유로(230)는 고정자(100)와 회전자(200) 간에 형성되는 공간에서 가열되는 공기가 두 개의 통공(121, 420)을 순차적으로 경유하여 모터 외부로 토출되는 유로가 될 수 있다.
그리고 제2유로(240)는 회전자(200)와 회전축(300) 간에 형성될 수 있는 공간에 위치되는 공기가 가열되어, 두 개의 통공(121, 420)을 순차적으로 경유하여 모터 외부로 토출되는 유로가 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두 경우 이외에도 모터 내부 구조에 따라 당업자에 의하여 공기가 흡입되는 흡입구 및 공기가 토출되는 토출구의 위치를 결정함으로써 다양한 유로가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리고, 도시된 바와 같이 유로(230, 240)는 제1케이싱(510)에 위치되는 흡입구 기능을 하는 멤브레인으로부터 제2케이싱(520)에 위치되는 토출구 기능을 하는 멤브레인으로 향하는 유로가 형성되듯, 흡입구와 토출구의 위치에 따라 공랭가능한 경로를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이러한 경우 모터 냉각 구조의 외부로부터 내부로 공기가 이동되고, 상기 공기가 다시 외부로 이동함으로서, 모터 구조 내부에서 공기가 순환되면서 냉각되는 폐쇄형 냉각구조가 아닌 개방형 냉각구조가 될 수 있다. 그러므로 상기 흡입구 및 토출구 기능을 하는 부재를 포함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폐쇄형 냉각구조가 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유로(230, 240)를 따라 공기가 토출되기 위하여 회전플레이트(400)에는 토출구 측으로 공기흐름을 형성하는 블레이드(410)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블레이드(410)의 구조는 도 3 이하를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3의 (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레이드(410)의 곡률을 나타낸 평면도, (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블레이드(410)의 곡률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회전축(300)과 연결되어 회전축(300)이 회전할 때 동일한 회전수로 회전되는 회전플레이트(400)와 회전플레이트(400)로부터 토출구 측으로 돌출형성되어 상기 회전 시에 강제대류를 일으키는 강제대류부재 즉, 블레이드(410a, 410b)가 예시된다. 블레이드(410a, 410b)는 강제대류를 일으키기 위하여 기 결정된 곡률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기 결정된 곡률은 회전플레이트(400)의 중심으로부터 지름방향으로 연장형성될 때, 상기 지름방향에 대하여 형성각도가 점점 줄어드는 곡률을 의미한다. 즉, 기 결정된 곡률은 점점 감소되는 곡률을 의미하며, 상기 감소는 곡률이 0에 수렴되기까지와 곡률이 음의 수가 된 이후에 지속적으로 감소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곡률이 0에 수렴되는 것은 곡면이 평면이 되는 것을 의미하고, 음의 수가 되는 것은 곡면의 휘어진 방향이 바뀌는 것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블레이드(410a)는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플레이트(400)의 중심으로부터 지름방향으로 연장형성되고, 지름방향에 대하여 회전플레이트(400)의 중심과 인접한 부분의 곡률각(α)으로부터 연장형성되는 지름방향으로 점점 줄어들어, 지름방향의 블레이드 단부 측에 형성된 곡률각(α')이 더 작게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다른 예로는 (b)와 같이 블레이드(410b)가 상기 지름방향으로 연장형성되면서 지름방향에 대하여 형성되는 곡률각(β, β')은 증가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는 곡면이 휘어진 방향이 반대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이므로 이는 상술한 상기 감소의 의미에 따라, 곡률이 0에 수렴한 뒤에 음의 방향으로 증가된 것에 해당하여 곡률이 점차 감소된 것을 의미한다.
또한, (a)와 (b)는 지름방향을 향하는 면의 면적이 다르게 형성될 수 있다. (a)의 경우에는 회전플레이트(400)가 향하는 면으로 공기를 이동시키는데 유리한 블레이드(410a)의 구조가 될 수 있고, (b)의 경우에는 회전플레이트(400)의 중심으로부터 방사상으로 공기를 이동시키기 위한 블레이드(410b)의 구조가 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서는 공기가 방사되는 방향에 공기가 토출되는 토출구가 위치되어 모터의 외측으로 가열된 공기를 즉시 배출할 수 있는 구조에 유리할 수 있다. 이러한 공기의 토출에 의해 모터의 내부 공기압력이 떨어져서 공기의 흡입구를 통해 모터를 냉각시킬 수 있는 모터 외부의 공기가 흡입구로 흡입될 수 있다.
도 4의 (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레이드(410c)가 형성하는 공기포집부(440)를 나타낸 측단면도, (b)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블레이드(410d)가 형성하는 공기포집부(440')를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블레이드(410c, 410d)는 회전플레이트(400)에 대하여 적어도 일면이 예각(θ)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예각(θ)은 회전플레이트(400, 400a)를 기준으로 회전방향(R)에 대하여 예각(θ)으로 형성되고, 회전플레이트(400, 400a)에 형성되는 통공(420)과 인접한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도 4의 (a) 및 (b)를 참조하면, 블레이드(410c, 410d)는 회전플레이트(400)의 회전방향(R)에 대하여 예각(θ, θ')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예각(θ, θ')은 블레이드(410a, 410b)가 회전방향(R)을 기준으로 전방에 공기를 포집하는 공기포집부(440, 440')를 형성하고 포집된 공기를 회전플레이트(400a, 400b)로부터 방사상으로 이동시키기 위하여 형성된 구조로, 회전플레이트(400a, 400b)의 분당회전수 및 공기유입량 등을 고려하여 값이 결정될 수 있다.
또한, (a) 및 (b)는 회전플레이트(400a, 400b) 상에 형성되는 블레이드(410c, 410d)의 단면이 도시된 것으로, 연장형성되는 단면에 있어서 다양하게 변형실시 될 수 있으며, 도시된 (a) 및 (b)는 공기포집부(440, 440')가 형성될 수 있음을 설명하기 위한 다양한 예시 중 두 가지에 불과할 수 있다.
특히, (a)에서는 블레이드(410c)가 회전플레이트(400a)의 회전방향(R)에 대하여 전(前)면에 해당하는 면이 회전플레이트(400)로부터 예각(θ)으로 형성되어, 공기포집부(440)가 회전플레이이트(400a)와 블레이드(410c)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한편, (b)의 경우에는 블레이드(410d)가 일지점에서 절곡되어 절곡된 지점을 기준으로 상단에 위치된 블레이드(410d)의 일부가 회전플레이트(400)로부터 회전방향(R)에 대하여 예각(θ')으로 형성될 수 있고, 하단에 위치된 블레이드(410d)의 일부는 회전플레이트(400b)로부터 회전방향(R)에 대하여 둔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b)의 경우에는 공기포집부(440')가 (a)와 비교했을 때 더욱 상단에 형성될 수 있다.
도 5의 (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레이드(410e)의 정면도를 나타낸 도면, (b)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블레이드(410f)의 정면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블레이드(410e, 410f)는 회전플레이트(400)의 지름방향으로 갈수록 회전방향(R)에 대하여 공기와 접촉되는 단면적이 넓게 형성될 수 있다. 동일한 회전수에 의하여 회전되는 회전플레이트(400) 상에 방사상으로 배열된 블레이드(410e, 410f)는 지름방향으로 더 연장형성된 지점일수록 블레이드(410e, 410f)의 구간 통과속도는 빠를 수 있다. 따라서, 회전 중심으로부터 외측으로 갈수록 더 넓은 면적으로 형성된 블레이드(410e, 410f)에 의하여 더 많은 양의 공기를 외측으로 토출시킬 수 있다.
이러한 경우 (a)와 같이 블레이드(410e)가 공기와 접촉되는 면적이 곡선으로 형성되며 넓게 형성될 수 있고, (b)와 같이 블레이드(410f)가 공기와 접촉하는 면적이 직선으로 형성되며 넓게 형성될 수 있다.
나아가, 블레이드(410e, 410f)의 회전방향(R)에 대한 상기 전면의 면적이 회전플레이트(400)의 지름방향으로 연장될수록 넓어지는 블레이드(410e, 410f)의 형상의 경우, 공기가 토출되는 토출구가 상기 지름방향에 인접하여 형성되거나 지름방향을 경유하여 공기가 토출구로 토출되는 경우에 형성될 수도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플레이트(400)에 형성되는 통공(420)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회전플레이트(400)에는 통공(420)이 형성될 수 있고, 상기 통공(420)은 기 결정된 각도가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기 결정된 각도는 회전플레이트(400)의 회전방향(R) 기준으로 둔각으로 형성되며, 상기 둔각에 의해 형성된 경사면이 공기의 이동경로 기준으로 후측을 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는 고정자(100) 내부에 가열된 공기를 외측으로 동일 시간동안 더 많은 양을 토출시키기 위하여 공기를 안내하는 구조가 될 수 있으며, 도 2 내지 도 5를 참조로 상술한 블레이드(410)의 역할을 보조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 결정된 각도 및 둔각을 공기안내각(421)이라 할 때, 통공(420)의 공기안내각(421)은 회전플레이트(400)의 회전방향(R) 및 회전수 등을 고려하여 결정 될 수 있다. 그리고, 공기안내각(421)은 회전플레이트(400)가 두꺼울수록 공기안내각(421)에 의하여 이동되는 공기의 양이 증가할 수 있으므로, 기 결정된 두께 이상의 회전플레이트(400)로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상기 기 결정된 두께는 모터의 내부 구조와 부피 등을 고려하여 결정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5를 통하여 예시한 블레이드(410)의 복수 개의 형상은 하나의 블레이드(410)에 적용되어 형성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블레이드(410)가 도 3의 (b)와 같이 회전플레이트(400)의 지름방향으로 연장형성될수록 곡률이 감소하면서 도 4의 (b)와 같이 블레이드(410d)에 예각이 형성되어 전방에 공기포집부(440')를 형성하고, 도 5의 (a)화 같이 상기 지름방향에 블레이드(410)가 인접할수록 공기 접촉면적이 넓게 형성되는 블레이드(410e)가 동시에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블레이드(410)의 형상은 도 2 내지 도 6을 통한 예시들이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적용 변경실시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대표적인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한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0 : 고정자
110 : 제1커버
120 : 제2커버
121 : 통공
122 : 축공
200 : 회전자
210 : 코일
220 : 권취부
230 : 제1유로
240 : 제2유로
300 : 회전축
400, 400a, 400b : 회전플레이트
410, 410a, 410b, 410c, 410d, 410e, 410f : 블레이드
420 : 통공
421 : 공기안내각
430 : 결합공
440, 440' : 공기포집부
α, α', β, β': 블레이드
θ : 예각
500 : 케이싱
510 : 제1케이싱
520 : 제2케이싱
R : 회전방향

Claims (6)

  1. 전기를 인가받고, 내부가 원통형으로 형성되는 고정자;
    상기 고정자의 내부에 수용되고, 코일이 권취되는 하나 이상의 권취부가 상기 고정자의 내주면을 향해 연장형성되며, 인가된 상기 전기에 반응하여 회전을 하는 회전자;
    상기 회전자와 상기 회전의 축방향으로 결합되는 회전축; 및
    상기 회전축과 결합되어 상기 회전하는 방향으로 상기 회전축과 함께 회전되는 회전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플레이트는 상기 코일의 발열에 의하여 가열되는 공기를 상기 회전 시에 강제대류시키기 위해 상기 회전플레이트의 중심으로부터 방사상으로 배열되는 복수 개의 블레이드를 포함하고,
    상기 블레이드는 상기 방사상으로 곡률이 감소되면서 기 결정된 길이만큼 연장형성이 되고,
    상기 블레이드는 상기 회전플레이트에 대하여 상기 회전이 되는 방향을 향하는 면이 회전방향(R)에 대하여 적어도 한 면은 예각으로 형성되는, 모터 냉각 구조.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블레이드는 상기 방사상으로 연장형성되고, 상기 방사상으로 연장될수록 상기 공기와 접촉되는 면적이 증가하는, 모터 냉각 구조.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회전플레이트는 통공을 더 포함하고,
    상기 통공은 상기 회전방향(R)에 대하여 둔각으로 형성되는, 모터 냉각 구조.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모터 냉각 구조는 상기 공기의 출입은 가능하고, 수분의 출입은 차단하는 멤브레인(membrane)을 하나 이상 포함하는, 모터 냉각 구조.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멤브레인은 상기 공기의 흐름을 기준으로 상기 회전플레이트의 전측 및 후측에 형성되고,
    상기 전측에 위치되는 상기 멤브레인은 모터의 외부로부터 상기 공기가 유입될 수 있도록 형성되고, 상기 후측에 위치되는 상기 멤브레인은 상기 모터의 내부로부터 상기 공기가 배출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모터 냉각 구조.
KR1020160049300A 2016-04-22 2016-04-22 모터 냉각 구조 KR1018718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9300A KR101871892B1 (ko) 2016-04-22 2016-04-22 모터 냉각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9300A KR101871892B1 (ko) 2016-04-22 2016-04-22 모터 냉각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20868A KR20170120868A (ko) 2017-11-01
KR101871892B1 true KR101871892B1 (ko) 2018-08-02

Family

ID=603828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49300A KR101871892B1 (ko) 2016-04-22 2016-04-22 모터 냉각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71892B1 (ko)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22402A (ja) * 1994-01-27 1995-08-18 Toshiba Corp 全閉外扇形回転電機
KR100839471B1 (ko) 2001-12-28 2008-06-18 두산인프라코어 주식회사 전기모터의 냉각구조
US7676880B2 (en) * 2002-05-15 2010-03-16 Trico Products Corporation Direct drive windshield wiper assembly
KR101187223B1 (ko) * 2005-04-06 2012-10-02 한라공조주식회사 축류팬
KR101214190B1 (ko) * 2008-11-04 2013-01-09 한국델파이주식회사 자동차용 교류 발전기의 필드 코일 및 리드 와이어의 결선을 위한 냉각팬
KR102195806B1 (ko) * 2014-04-29 2020-12-28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로터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모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20868A (ko) 2017-11-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133293B1 (en) Air blower and air conditioner having the same
JP4872456B2 (ja) ポンプ及び液体供給装置
US9587841B2 (en) Turbo fan and ceiling type air conditioner using the same
US20030209024A1 (en) Turbo fan and air conditioner having the same applied thereto
KR20180088905A (ko) 모터 회전자 홀더 및 모터
KR101973672B1 (ko) 냉각구조가 개선된 터보 블로워
US9335059B2 (en) Ceiling type air conditioner
KR20110089717A (ko) 전동기 및 이의 냉각유닛
EP3135918B1 (en) Centrifugal fan
JP2013050031A (ja) 多翼送風機および空気調和機
CN103765732A (zh) 电动机
CN111725928B (zh) 旋转电机及转子轴
KR20160136959A (ko) 냉각성능이 향상된 펌프
JP2015162936A (ja) 全閉型電動機
KR102057957B1 (ko) 터보팬 및 이를 사용한 천정형 공기조화기
KR101871892B1 (ko) 모터 냉각 구조
KR20180082270A (ko) 원심 압축기
CN111049319B (zh) 全闭外扇型旋转电机以及外部气体风扇组
CN111053476B (zh) 刀组件和具有其的料理机
EP4358370A1 (en) Rotating electric machine case and rotating electric machine
CN116247847A (zh) 转子组件及电机
KR101756979B1 (ko) 냉각성능이 향상된 펌프
JP2020162204A (ja) 回転電機および回転電機システム
CN107040090B (zh) 叶轮组件、集成式电机和家用电器
JPH11101194A (ja) 遠心送風機及び該遠心送風機を備えた空気調和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