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71820B1 - 와이어가 내부를 통과하는 후크형 폴더블 힌지장치 - Google Patents

와이어가 내부를 통과하는 후크형 폴더블 힌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71820B1
KR101871820B1 KR1020170036177A KR20170036177A KR101871820B1 KR 101871820 B1 KR101871820 B1 KR 101871820B1 KR 1020170036177 A KR1020170036177 A KR 1020170036177A KR 20170036177 A KR20170036177 A KR 20170036177A KR 101871820 B1 KR101871820 B1 KR 1018718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inge
wire
hook
neck
ma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361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현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블루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블루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블루콤
Priority to KR10201700361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7182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718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718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11/00Pivots; Pivotal connections
    • F16C11/04Pivotal connec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ivots And Pivotal Connec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와이어가 내부를 통과하는 후크형 폴더블 힌지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와이어가 폴더블 힌지장치 내부를 통과하도록 함으로써, 부품 최소화가 가능하며, 종래의 와이어, 힌지장치를 각각 병렬 구조로 결합하는 힌지장치들보다는 두께를 더욱 슬림화할 수 있으며, 폴더블 힌지 동작시에 와이어 정리도 용이하면서 와이어가 외부에 노출되지 않아 와이어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와이어가 내부를 통과하는 후크형 폴더블 힌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와이어가 내부를 통과하는 후크형 폴더블 힌지장치{Hook type folderable hinge device through which wire passes}
본 발명은 와이어가 내부를 통과하는 후크형 폴더블 힌지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와이어가 폴더블 힌지장치 내부를 통과하도록 함으로써, 부품 최소화가 가능하며, 종래의 와이어, 힌지장치를 각각 병렬 구조로 결합하는 힌지장치들보다는 두께를 더욱 슬림화할 수 있으며, 폴더블 힌지 동작시에 와이어 정리도 용이하면서 와이어가 외부에 노출되지 않아 와이어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와이어가 내부를 통과하는 후크형 폴더블 힌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힌지장치는 예를 들면, 노트북 컴퓨터나 핸드폰 등에 채용되어 사용되는 것으로, 본체부에 대해 디스플레이부가 전후 및 좌우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이다.
도 1에는 종래 기술에 의한 힌지를 채용한 휴대용 전자기기의 구성이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다.
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본체부(1)는 그 내부에 전자기기를 구성하는 각종 부품이 설치되는 부분이다.
상기 본체부(1)는 납작한 판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본체부(1)의 상면에는 입력장치인 키보드(3)와 터치패드(5)가 구비된다.
상기 본체부(1)의 후단에는 힌지(7)가 설치되는데, 상기 힌지(7)에는 디스플레이부(9)가 연결된다.
따라서, 상기 디스플레이부(9)는 상기 힌지(7)에 의해 본체부(1)에 대해 화살표 A 방향(전후방향) 및 B 방향(좌우방향)으로 회전된다.
상기 디스플레이부(9) 역시 납작한 판상으로 형성되는데, 그 전면에는 표시화면(10)이 구비된다.
상기 표시화면(10)은 각종 정보가 표시되는 부분이다.
상기 표시화면(10)으로는 일반적으로 액정패널이 사용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휴대용 전자기기에서는 상기 디스플레이부(9)가 상기 본체부(1)에 대해 전후 방향으로 그리고 좌우방향으로 회전된 상태에서 사용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에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즉, 상기 본체부(1)와 디스플레이부(9)사이는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기적 신호가 전달되어야 한다.
따라서, 상기 본체부(1)와 디스플레이부(9)사이를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구성이 필요한다.
일반적으로 본체부(1)와 디스플레이부(9) 사이의 전기적 연결을 상기 힌지를 관통하는 전선(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이루어진다.
하지만, 상기 디스플레이부(9)가 힌지(7)를 기준으로 전후 좌우로 회전되기 때문에, 상기 디스플레이부(9)와 본체부(1) 사이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전선 중 상기 힌지(7)를 빠져나와 상기 디스플레이부(9)에 구비되는 부품으로 연결되는 부분은 반복적으로 하중을 받게 된다.
즉, 상기 전선이 상기 힌지(7)를 통과함에 있어 각각 전후회전 및 좌우회전의 중심에 정확하게 위치하지 않게 되면 상기 디스플레이부(9)의 회전에 의해 전선이 회전되는 정도가 심하게 되면서 전선이 쉽게 손상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또한, 상기 힌지(7)를 관통하여 나온 전선을 안내하기 위한 구조가 없으면, 힌지(7)를 본체부(1) 및 디스플레이부(9)와 조립하는 과정에서 전선이 특정 위치에 안착되어 있지 않게 되어 조립작업의 작업성이 떨어지는 문제점도 있다.
한편, 종래의 힌지장치에 와이어를 구성하기 위해서는 와이어와 힌지장치를 각각 병렬 구조로 결합하여야 하기 때문에 와이어가 포함된 힌지장치는 두께가 두꺼워질 수밖에 없으며, 폴더블 힌지 동작시에 와이어 정리가 되지 않은 상태에서 외부에 노출되기 때문에 이에 따른 와이어의 파손이 발생할 수밖에 없었다.
따라서, 와이어가 외부에 노출되지 않은 상태에서 폴더블 동작할 수 있는 힌지 장치가 필요하게 되었다.
대한민국등록특허공보 10-0980388호(2010.09.07)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와이어가 폴더블 힌지장치 내부를 통과하도록 함으로써, 부품 최소화가 가능하며, 종래의 와이어, 힌지장치를 각각 병렬 구조로 결합하는 힌지장치들보다는 두께를 더욱 슬림화할 수 있으며, 폴더블 힌지 동작시에 와이어 정리도 용이하면서 와이어가 외부에 노출되지 않아 와이어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평상시에 폴더블 힌지장치 내부에 구성된 코일스프링(600)의 탄성에 의하여 폴더블 힌지장치의 힌지풀후크(200)를 힌지넥(100)에 후크 체결되도록 하여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으며, 코일스프링의 압축 방향으로 잡아당겨서 힌지풀후크(200)를 일정 각도 범위 내에서 폴더블 회전시켜 체결을 해제시키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즉, 힌지넥에 회전축을 구성하고, 상기 회전축에 메인힌지수단이 힌지 결합되어 일정 각도 범위 내에서 폴더블 동작할 수 있도록 하되, 힌지풀후크에 스토퍼를 구성하여 스토퍼에 의해 코일스프링의 텐션으로 고정되며, 힌지풀후크를 잡아 당기면 코일스프링이 압축되고, 회전축이 노출된 상태에서 회전 운동을 한 후, 코일스프링의 텐션으로 고정되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가 내부를 통과하는 후크형 폴더블 힌지장치는,
중앙에 와이어(700)가 관통할 수 있는 관통공을 형성하고 있으며, 일측 끝단에 회전축(110)을 구성하고 있으며, 상기 회전축과 일정 거리 이격된 위치에 형성되어 힌지풀후크(200)에 형성된 힌지넥결합부(210)를 결합시키기 위한 힌지풀후크결합홈(12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힌지넥(100)과,
상기 힌지넥(100)의 회전축(110)에 일측이 결합되어 일정각도 범위 내에서 폴더블 회전할 수 있으며, 상기 힌지넥(100)을 관통한 와이어(700)를 관통시키도록 구성되는 메인힌지수단과,
상기 메인힌지수단의 내부에 위치한 와이어(700)의 둘레를 따라 형성되어 탄성을 제공하기 위한 코일스프링(600)과,
상기 메인힌지수단을 감싸도록 메인힌지수단 외측으로 형성되며, 일측에 힌지넥(100)에 형성된 힌지풀후크결합홈(120)에 삽입되는 힌지넥결합부(210)가 형성되고, 타측에 일정 간격 이격되어 적어도 한 개 이상의 스토퍼결합홀(220)이 형성되어 있는 힌지풀후크(200)와,
상기 힌지풀후크(200)의 스토퍼결합홀(220)에 결합되는 스토퍼(400),를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본 발명의 과제를 해결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와이어가 내부를 통과하는 후크형 폴더블 힌지장치는,
와이어가 폴더블 힌지장치 내부를 통과하도록 함으로써, 부품 최소화가 가능한 효과를 제공하게 된다.
또한, 종래의 와이어, 힌지장치를 각각 병렬 구조로 결합하는 힌지장치들보다는 두께를 더욱 슬림화할 수 있으며, 폴더블 힌지 동작시에 와이어 정리도 용이하면서 와이어가 외부에 노출되지 않아 와이어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하게 된다.
또한, 평상시에 폴더블 힌지장치 내부에 구성된 코일스프링(600)의 탄성에 의하여 폴더블 힌지장치의 힌지풀후크(200)를 힌지넥(100)에 후크 체결되도록 하여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으며, 코일스프링의 압축 방향으로 잡아당겨서 힌지풀후크(200)를 일정 각도 범위 내에서 폴더블 회전시켜 체결을 해제시키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잡아당기는 동작만으로도 손쉽게 후크 체결 및 풀림 동작을 수행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하게 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힌지를 채용한 전자기기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와이어가 내부를 통과하는 후크형 폴더블 힌지장치의 평상시의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3은 폴더블 동작시의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와이어가 내부를 통과하는 후크형 폴더블 힌지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와이어가 내부를 통과하는 후크형 폴더블 힌지장치의 폴더블 힌지(회전) 동작 과정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이실시예에 따른 와이어가 내부를 통과하는 후크형 폴더블 힌지장치의 평상시의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7은 폴더블 동작시의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8은 이실시예에 따른 와이어가 내부를 통과하는 후크형 폴더블 힌지장치의 폴더블 힌지(회전) 동작 과정을 나타낸 예시도이며, 도 9는 회전축과 회전축에 결합되는 메인힌지수단의 홀 형상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와이어가 내부를 통과하는 후크형 폴더블 힌지장치가 적용된 예시도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와이어가 내부를 통과하는 후크형 폴더블 힌지장치는,
중앙에 와이어(700)가 관통할 수 있는 관통공을 형성하고 있으며, 일측 끝단에 회전축(110)을 구성하고 있으며, 상기 회전축과 일정 거리 이격된 위치에 형성되어 힌지풀후크(200)에 형성된 힌지넥결합부(210)를 결합시키기 위한 힌지풀후크결합홈(12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힌지넥(100)과,
상기 힌지넥(100)의 회전축(110)에 일측이 결합되어 일정각도 범위 내에서 폴더블 회전할 수 있으며, 상기 힌지넥(100)을 관통한 와이어(700)를 관통시키도록 구성되는 메인힌지수단과,
상기 메인힌지수단의 내부에 위치한 와이어(700)의 둘레를 따라 형성되어 탄성을 제공하기 위한 코일스프링(600)과,
상기 메인힌지수단을 감싸도록 메인힌지수단 외측으로 형성되며, 일측에 힌지넥(100)에 형성된 힌지풀후크결합홈(120)에 삽입되는 힌지넥결합부(210)가 형성되고, 타측에 일정 간격 이격되어 적어도 한 개 이상의 스토퍼결합홀(220)이 형성되어 있는 힌지풀후크(200)와,
상기 힌지풀후크(200)의 스토퍼결합홀(220)에 결합되는 스토퍼(40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코일스프링(600)은,
일측이 스토퍼(400)의 외면에 접촉되어 있으며, 타측이 메인힌지수단의 끝단에 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힌지풀후크(200)를,
힌지넥(100)으로부터 이격시킬 경우에 코일스프링(600)이 압축되며, 일정각도 범위 내에서 폴더블 회전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회전된 힌지풀후크(200)를 힌지넥(100) 측으로 회전시킬 경우에 코일스프링(600)의 압축이 해제되면서 힌지풀후크(200)의 힌지넥결합부(210)가 힌지넥(100)의 힌지풀후크결합홈(120)에 삽입되어 힌지풀후크(200)가 힌지넥(100)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메인힌지수단은,
제1평판부(520);와
상기 제1평판부(520)의 일측에 형성되어 회전축(110)을 삽입시키기 위한 제1회전축삽입홀(505);과
상기 제1회전축삽입홀(505)과 일정거리 이격된 위치에 형성되어 스크류(300)의 끝단을 삽입시키기 위한 제1스크류삽입홈(510);과
상기 제1스크류삽입홈(510)의 하측으로 와이어(700)를 안착시키도록 형성되는 제1와이어안착부(515);와
상기 제1평판부(520)의 타측에 형성되되, 중앙 부위에 와이어관통홀(530)을 형성하고 있는 와이어관통부(525);와
상기 와이어관통부(525)의 끝단에 돌출되게 형성되어 제2메인힌지부(550)에 형성된 돌출결합부결합홀(575)에 결합시키는 돌출결합부(535);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제1메인힌지부(500)와,
제2평판부(570);와
상기 제2평판부(570)의 일측에 형성되어 회전축(110)을 삽입시키기 위한 제2회전축삽입홀(555);과
상기 제2회전축삽입홀(555)과 일정 거리 이격된 위치에 형성되어 스크류(300)를 삽입시키기 위한 제2스크류삽입홀(560);과
상기 제2평판부(570)의 타측에 형성되되, 상기 돌출결합부(535)를 삽입시켜 결합하는 돌출결합부결합홀(575);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제2메인힌지부(550)와,
상기 제2스크류삽입홀(560)을 관통하여 제1스크류삽입홈(510)에 삽입되어 제1메인힌지부와 제2메인힌지부를 결합시키기 위한 스크류(30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스토퍼(400)는,
본체판(410);과,
상기 본체판(410)의 중앙부위에 형성되어 와이어(700)를 관통시키기 위한 스토퍼와이어관통홀(420);과
상기 스토퍼와이어관통홀(420)의 하측으로 연이어 형성되되, 어느 한 스토퍼결합홀(220)에 결합되는 스토퍼결합부(43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와이어가 내부를 통과하는 후크형 폴더블 힌지장치의 실시예를 통해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와이어가 내부를 통과하는 후크형 폴더블 힌지장치의 평상시의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3은 폴더블 동작시의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 내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인 와이어가 내부를 통과하는 후크형 폴더블 힌지장치는, 힌지넥(100)과, 메인힌지수단과, 코일스프링(600)과, 힌지풀후크(200)와, 스토퍼(4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와 같은 힌지장치의 특징은 크게 와이어가 힌지장치 내부를 관통하는 구조를 가지고 있어 와이어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으며, 폴더블 동작시에 와이어 정리가 용이한 장점을 제공하게 된다.
또한, 힌지풀후크를 잡아 당겨서 후크 체결 및 풀림 동작을 수행하는 폴더블 힌지 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장점을 제공하기 위하여 하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게 된다.
즉, 힌지넥(100)은 중앙에 와이어(700)가 관통할 수 있는 관통공을 형성하고 있으며, 일측 끝단에 회전축(110)을 구성하고 있게 된다.
이때, 회전축은 중앙에 와이어가 관통되도록 형성되기 때문에 양측면에 각각 회전축이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회전축과 일정 거리 이격된 위치에 힌지풀후크결합홈(120)을 형성하게 되는데,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예를 들어, 회전축의 후측으로 일정거리 이격된 위치에 돌출판(125)을 구성하고, 돌출판의 중앙측으로 힌지풀후크(200)에 형성된 힌지넥결합부(210)가 결합되도록 힌지풀후크결합홈(120)을 형성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회전축(110)은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메인힌지수단이 결합되어 일정각도 범위 내에서 폴더블 회전할 수 있도록 힌지넥의 회전축(110)은 바람직하게는 반원형 형상(b)를 가질 수 있으며, 회전축에 결합되는 메인힌지수단의 형상은
Figure 112017028430256-pat00001
형상(a)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평상시에는
Figure 112017028430256-pat00002
형상으로 회전축에 힌지 결합되어 있다가 회전축을 중심으로 폴더블 회전시에는
Figure 112017028430256-pat00003
형상으로 변화하게 된다.
이는 회전시 부드럽게 회전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의 경우에는 90도 회전을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으므로 90도를 초과하는 회전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즉, 홀의 중심에서 대략 270도 각도를 취하고 있으며, 홀이 아닌 부위에 의해 더 이상의 회전을 방지하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와이어가 내부를 통과하는 후크형 폴더블 힌지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한편, 상기 메인힌지수단은 힌지넥(100)의 회전축(110)에 일측이 결합되어 일정각도 범위 내에서 폴더블 회전할 수 있으며, 상기 힌지넥(100)을 관통한 와이어(700)를 관통시키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기능을 수행하기 위하여, 바림직한 실시예에 따른 구성수단은 하기와 같다.
즉, 메인힌지수단은,
제1평판부(520);와
상기 제1평판부(520)의 일측에 형성되어 회전축(110)을 삽입시키기 위한 제1회전축삽입홀(505);과
상기 제1회전축삽입홀(505)과 일정거리 이격된 위치에 형성되어 스크류(300)의 끝단을 삽입시키기 위한 제1스크류삽입홈(510);과
상기 제1스크류삽입홈(510)의 하측으로 와이어(700)를 안착시키도록 형성되는 제1와이어안착부(515);와
상기 제1평판부(520)의 타측에 형성되되, 중앙 부위에 와이어관통홀(530)을 형성하고 있는 와이어관통부(525);와
상기 와이어관통부(525)의 끝단에 돌출되게 형성되어 제2메인힌지부(550)에 형성된 돌출결합부결합홀(575)에 결합시키는 돌출결합부(535);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제1메인힌지부(500)와,
제2평판부(570);와
상기 제2평판부(570)의 일측에 형성되어 회전축(110)을 삽입시키기 위한 제2회전축삽입홀(555);과
상기 제2회전축삽입홀(555)과 일정 거리 이격된 위치에 형성되어 스크류(300)를 삽입시키기 위한 제2스크류삽입홀(560);과
상기 제2평판부(570)의 타측에 형성되되, 상기 돌출결합부(535)를 삽입시켜 결합하는 돌출결합부결합홀(575);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제2메인힌지부(550)와,
상기 제2스크류삽입홀(560)을 관통하여 제1스크류삽입홈(510)에 삽입되어 제1메인힌지부와 제2메인힌지부를 결합시키기 위한 스크류(30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자면, 상기 제1메인힌지부(500)는 제1평판부(520)를 구성하게 되는데, 일실시예에서는 사각형상의 평판부를 구성하고 있으나, 다양한 형상으로 구성되는 것은 당연한 것이다.
이때, 상기 제1평판부(520)의 일측에 제1회전축삽입홀(505)을 형성하게 되는데, 이는 회전축(110)에 삽입되는 형상을 가지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Figure 112017028430256-pat00004
형상(a)을 가지고 있다.
이때, 상기 제1스크류삽입홈(510)은 제1회전축삽입홀(505)과 일정거리 이격된 위치에 형성하여 스크류(300)의 끝단을 삽입시키게 되는 것이다.
이때, 제1와이어안착부(515)를 상기 제1스크류삽입홈(510)의 하측으로 연이어 와이어(700)를 안착시키도록 형성하게 되는데, 와이어의 외면이 안착되도록 와이어의 형상에 맞는 형상의 홈으로 형성되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는 반원형의 홈을 형성하고 있지만, 필요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홈으로 형성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상기 제1평판부(520)의 타측에 연이어 와이어관통부(525)를 형성하게 되는데, 이때 중앙 부위에는 와이어관통홀(530)을 형성하고 있게 된다.
즉, 실시예에서는 도넛 형상의 와이어관통부를 형성하게 되어 와이어관통홀을 통해 와이어가 관통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와이어관통부(525)의 끝단에는 돌출되게 돌출결합부(535)를 형성하게 되는데 이는 제2메인힌지부(550)에 형성된 돌출결합부결합홀(575)에 결합시키기 위한 것이다.
상기와 같이, 돌출결합부(535)를 돌출결합부결합홀(575)에 결합시킴으로써, 결합의 안정성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제2메인힌지부(550)는 제2평판부(570)를 구성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제2평판부(570)의 일측에 회전축(110)을 삽입시키기 위한 제2회전축삽입홀(555)을 형성하게 되는데, 상기한 제1회전축삽입홀(505)과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게 될 것이다.
이때, 제2스크류삽입홀(560)을 제2회전축삽입홀(555)과 일정 거리 이격된 위치에 형성시켜 스크류(300)를 삽입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2평판부(570)의 타측에 돌출결합부결합홀(575)을 형성하게 되어 상기 돌출결합부(535)를 삽입시켜 결합시키게 되는 것이다.
또한, 스크류(300)를 통해 제2스크류삽입홀(560)을 관통하여 제1스크류삽입홈(510)에 삽입시킴으로써, 제1메인힌지부와 제2메인힌지부를 단단히 결합시키게 되는 것이다.
또한, 코일스프링(600)은 상기 메인힌지수단의 내부에 위치한 와이어(700)의 둘레를 따라 형성되어 탄성을 제공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코일스프링(600)은, 일측이 스토퍼(400)의 외면에 접촉되어 있으며, 타측이 메인힌지수단의 끝단에 결합되어 있게 된다.
또한, 상기 힌지풀후크(200)는 상기 메인힌지수단을 감싸도록 메인힌지수단 외측으로 형성되며,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측에 힌지넥(100)에 형성된 힌지풀후크결합홈(120)에 삽입되는 힌지넥결합부(210)가 형성되고, 타측에 일정 간격 이격되어 있는 적어도 한 개 이상의 스토퍼결합홀(220)이 형성되어 있게 된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실시예에서는 상기 스토퍼결합홀(220)의 경우에는 상측에 한 곳, 하측에 두 곳으로 형성되어 있는데, 다른 예로서는 상측에 한 곳에 하측에 한 곳에 형성되거나, 또 다른 예로서는 상측에 한 곳만 형성할 수도 있으며, 이는 스토퍼의 형상에 따라 다양하게 스토퍼결합홀을 형성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스토퍼(400)는 상기 힌지풀후크(200)의 스토퍼결합홀(220)에 결합되는 것이다.
또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스토퍼(400)는,
본체판(410);과,
상기 본체판(410)의 중앙부위에 형성되어 와이어(700)를 관통시키기 위한 스토퍼와이어관통홀(420);과
상기 스토퍼와이어관통홀(420)의 하측으로 연이어 형성되되, 어느 한 스토퍼결합홀(220)에 결합되는 스토퍼결합부(430);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즉,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체판(410)과 본체판(410)의 중앙부위에 스토퍼와이어관통홀(420)을 형성하여 와이어(700)를 관통시키게 된다.
이때, 스토퍼와이어관통홀(420)의 하측으로 연이어 스토퍼결합부(430)를 형성하게 되어 어느 한 스토퍼결합홀(220)에 결합되게 되는 것이다.
실시예에서는 스토퍼결합부(430)가 양측에 형성되어 있으므로 스토퍼결합홀(220)은 두 개가 대응되게 형성되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와이어가 내부를 통과하는 후크형 폴더블 힌지장치의 폴더블 힌지(회전) 동작 과정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힌지풀후크(200)를, 힌지넥과 멀어지도록 잡아당겨 힌지넥(100)으로부터 이격시킬 경우에 코일스프링(600)이 압축되며, 일정각도 범위 내에서(여기서는 90도 회전) 폴더블 회전되게 된다.
반대로, 상기 회전된 힌지풀후크(200)를 힌지넥 방향으로 밀면서 살짝 잡아당기면 힌지풀후크(200)가 힌지넥으로부터 풀리게 되고 이때, 힌지넥(100) 측으로 회전시킬 경우(여기서는 90도 역회전)에는 코일스프링(600)의 압축이 해제되면서 힌지풀후크(200)의 힌지넥결합부(210)가 힌지넥(100)의 힌지풀후크결합홈(120)에 삽입되어 힌지풀후크(200)가 힌지넥(100)에 결합되게 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잡아 당기는 동작만으로도 손쉽게 후크 체결 및 풀림 동작을 수행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하게 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이실시예에 따른 와이어가 내부를 통과하는 후크형 폴더블 힌지장치의 평상시의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7은 폴더블 동작시의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8은 이실시예에 따른 와이어가 내부를 통과하는 후크형 폴더블 힌지장치의 폴더블 힌지(회전) 동작 과정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6 내지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실시예에 따른 폴더블 힌지장치의 경우에는 힌지넥(100)과, 메인힌지수단과, 힌지풀후크(200)의 형상이 사각형상을 가지고 있는 것을 나타낸 것이다.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실시예의 경우에도 일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동일한 동작 과정을 거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폴더블 힌지장치의 외관 형상은 원형, 사각형, 다각형 등과 같이,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음을 보여준 것이다.
특히, 이실시예의 경우에는 힌지풀후크결합홈(120)의 돌출판(125)의 상측에 형성되어 있으며, 이에 결합되는 힌지풀후크(200)의 힌지넥결합부(210)가 힌지풀후크결합홈에 삽입될 수 있는 형상을 가지고 있는데, 사각형상의 돌출형을 가지게 된다.
즉, 힌지풀후크결합홈(120)과 이에 결합되는 힌지넥결합부(210)의 형상도 다양하게 설계 변경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준 것이다.
한편, 도 10에 도시한 실시예로서, 본 발명의 와이어가 내부를 통과하는 후크형 폴더블 힌지장치를 넥 밴드에 적용할 경우에, 폴더블 회전되어 접어서 보관할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하게 된다.
종래의 넥밴드연결부가 상당히 긴 관계로 보관 상에 애로사항이 존재하였지만,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힌지 장치를 적용하게 되면 접힐 수 있게 되어 보관 공간을 상당히 절약할 수 있게 된다.
즉, 넥밴드부(1000)의 양측 끝단에 힌지장치의 일측을 결합시키고, 힌지장치의 타측을 넥밴드연결부(1100)의 일측에 각각 결합시키게 된다.
이때, 넥밴드연결부를 잡아당겨 체결을 해제시키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잡아당기는 동작만으로도 손쉽게 후크 체결 및 풀림 동작을 수행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하게 되어 접어서 보관할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하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와이어가 내부를 통과하는 후크형 폴더블 힌지장치는 와이어의 파손이나 손상없이 힌지 동작하는 기능을 필요로 하는 전자기기 장치에 적용이 가능하게 되는데,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패널, 스마트폰, 넥 밴드형 이어폰, 웨어러블 단말기, 노트북, 태블릿 피씨 등 다양한 전자기기 장치에 적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결국, 상기와 같은 구성 및 동작을 통해, 와이어가 폴더블 힌지장치 내부를 통과하도록 함으로써, 부품 최소화가 가능한 효과를 제공하게 된다.
또한, 종래의 와이어, 힌지장치를 각각 병렬 구조로 결합하는 힌지장치들보다는 두께를 더욱 슬림화할 수 있으며, 폴더블 힌지 동작시에 와이어 정리도 용이하면서 와이어가 외부에 노출되지 않아 와이어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내용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된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100 : 힌지넥
200 : 힌지풀후크
300 : 스크류
400 : 스토퍼
500 : 제1메인힌지부
550 : 제2메인힌지부
600 : 코일스프링
700 : 와이어

Claims (3)

  1. 와이어가 내부를 통과하는 후크형 폴더블 힌지장치에 있어서,
    중앙에 와이어(700)가 관통할 수 있는 관통공을 형성하고 있으며, 일측 끝단에 회전축(110)을 구성하고 있으며, 상기 회전축과 일정 거리 이격된 위치에 형성되어 힌지풀후크(200)에 형성된 힌지넥결합부(210)를 결합시키기 위한 힌지풀후크결합홈(12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힌지넥(100)과,
    상기 힌지넥(100)의 회전축(110)에 일측이 결합되어 일정각도 범위 내에서 폴더블 회전할 수 있으며, 상기 힌지넥(100)을 관통한 와이어(700)를 관통시키도록 구성되는 메인힌지수단과,
    상기 메인힌지수단의 내부에 위치한 와이어(700)의 둘레를 따라 형성되어 탄성을 제공하기 위한 코일스프링(600)과,
    상기 메인힌지수단을 감싸도록 메인힌지수단 외측으로 형성되며, 일측에 힌지넥(100)에 형성된 힌지풀후크결합홈(120)에 삽입되는 힌지넥결합부(210)가 형성되고, 타측에 일정 간격 이격되어 적어도 한 개 이상의 스토퍼결합홀(220)이 형성되어 있는 힌지풀후크(200)와,
    상기 힌지풀후크(200)의 스토퍼결합홀(220)에 결합되는 스토퍼(40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가 내부를 통과하는 후크형 폴더블 힌지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풀후크(200)를,
    힌지넥(100)으로부터 이격시킬 경우에 코일스프링(600)이 압축되며, 일정각도 범위 내에서 폴더블 회전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회전된 힌지풀후크(200)를 힌지넥(100) 측으로 회전시킬 경우에 코일스프링(600)의 압축이 해제되면서 힌지풀후크(200)의 힌지넥결합부(210)가 힌지넥(100)의 힌지풀후크결합홈(120)에 삽입되어 힌지풀후크(200)가 힌지넥(100)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가 내부를 통과하는 후크형 폴더블 힌지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가 내부를 통과하는 후크형 폴더블 힌지장치는,
    디스플레이 패널, 스마트폰, 넥 밴드, 넥 밴드형 이어폰, 웨어러블 단말기, 노트북, 태블릿 피씨 중 어느 하나에 적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가 내부를 통과하는 후크형 폴더블 힌지장치.

KR1020170036177A 2017-03-22 2017-03-22 와이어가 내부를 통과하는 후크형 폴더블 힌지장치 KR1018718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6177A KR101871820B1 (ko) 2017-03-22 2017-03-22 와이어가 내부를 통과하는 후크형 폴더블 힌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6177A KR101871820B1 (ko) 2017-03-22 2017-03-22 와이어가 내부를 통과하는 후크형 폴더블 힌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71820B1 true KR101871820B1 (ko) 2018-06-27

Family

ID=627897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36177A KR101871820B1 (ko) 2017-03-22 2017-03-22 와이어가 내부를 통과하는 후크형 폴더블 힌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71820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349005B1 (de) * 1988-07-01 1994-01-19 Langbein, Reinhold Scharnier
JPH10286229A (ja) * 1997-04-16 1998-10-27 Olympus Optical Co Ltd 内視鏡用撮像装置
KR200256809Y1 (ko) * 2001-09-03 2001-12-24 김순동 힌지를 이용한 각도조절장치
KR20070119737A (ko) * 2005-04-12 2007-12-20 티펜 액쿼지션, 엘.엘.씨. 폴딩 힌지
KR100980388B1 (ko) * 2008-04-01 2010-09-07 (주)나라테크놀로지 휴대폰 폴더의 전자파를 저감하기 위한 클릭 힌지장치
JP2015136021A (ja) * 2014-01-16 2015-07-27 株式会社フェニックス エンジニアリング 肩乗せ式イヤホン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349005B1 (de) * 1988-07-01 1994-01-19 Langbein, Reinhold Scharnier
JPH10286229A (ja) * 1997-04-16 1998-10-27 Olympus Optical Co Ltd 内視鏡用撮像装置
KR200256809Y1 (ko) * 2001-09-03 2001-12-24 김순동 힌지를 이용한 각도조절장치
KR20070119737A (ko) * 2005-04-12 2007-12-20 티펜 액쿼지션, 엘.엘.씨. 폴딩 힌지
KR100980388B1 (ko) * 2008-04-01 2010-09-07 (주)나라테크놀로지 휴대폰 폴더의 전자파를 저감하기 위한 클릭 힌지장치
JP2015136021A (ja) * 2014-01-16 2015-07-27 株式会社フェニックス エンジニアリング 肩乗せ式イヤホン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840559B2 (ja) コネクタ
US10114420B2 (en) Flexible screen extension structure, flexible screen assembly, and terminal
US9799982B1 (en) Auto-positioning structure for upper cover of network plug
TWI545851B (zh) 防連接器脫落之裝置
WO2007060952A1 (ja) コネクタ抜け止めホルダ、コネクタ保持金具、コネクタ抜け止め構造、補強型装置側コネクタ及びfa機器
US20150042567A1 (en) Mounting device and electronic apparatus
CN102315574A (zh) 连接件
JP2015069963A (ja) 端子台
US20180159253A1 (en) Cpu retainer mounted upon pcb
US20210135413A1 (en) Signal communication socket
US8141266B2 (en) Wire length measurement device
KR101871820B1 (ko) 와이어가 내부를 통과하는 후크형 폴더블 힌지장치
KR101893953B1 (ko) 와이어가 내부를 통과하는 폴더블 힌지장치
KR101844398B1 (ko) 폴더블 힌지장치를 구성한 넥밴드형 헤드셋
JP4053950B2 (ja) 同軸コネクタ、及び、これに用いるコネクタ及びノート型パソコン
US7110253B2 (en) Fixing seat for interface card
JP2014029769A (ja) コネクタ装置
US7402055B2 (en) Circuit board type connector
JP6738029B1 (ja) 電子機器システムおよび支持装置
US8508931B2 (en) Recorder set and holder
US20040137779A1 (en) Connector
US20190198264A1 (en) Keyswitch device and method for assembling the same
JP2017050114A (ja) 電気コネクタ
KR101893976B1 (ko) 와이어가 내부를 통과하는 버튼형 폴더블 힌지장치
US10797454B1 (en) Loss prevention structure for adapt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