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71630B1 - 그리트유량밸브 - Google Patents

그리트유량밸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71630B1
KR101871630B1 KR1020170044116A KR20170044116A KR101871630B1 KR 101871630 B1 KR101871630 B1 KR 101871630B1 KR 1020170044116 A KR1020170044116 A KR 1020170044116A KR 20170044116 A KR20170044116 A KR 20170044116A KR 101871630 B1 KR101871630 B1 KR 1018716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it
passage
air
casing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441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용대
Original Assignee
김용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용대 filed Critical 김용대
Priority to KR10201700441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7163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716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716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CABRASIVE OR RELATED BLASTING WITH PARTICULATE MATERIAL
    • B24C7/00Equipment for feeding abrasive material; Controlling the flowability, constitution, or other physical characteristics of abrasive blasts
    • B24C7/0046Equipment for feeding abrasive material; Controlling the flowability, constitution, or other physical characteristics of abrasive blasts the abrasive material being fed in a gaseous carrier
    • B24C7/0069Equipment for feeding abrasive material; Controlling the flowability, constitution, or other physical characteristics of abrasive blasts the abrasive material being fed in a gaseous carrier with means for preventing clogging of the equipment or for preventing abrasive entering the airwa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CABRASIVE OR RELATED BLASTING WITH PARTICULATE MATERIAL
    • B24C9/00Appurtenances of abrasive blasting machines or devices, e.g. working chambers, arrangements for handling used abrasive materi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liding Val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블라스팅 공정시 연마제로 사용되는 그리트의 분사량을 조절하여 분사할 수 있는 그리트유량밸브에 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그리트가 분사될 때 그리트의 유동저항을 감소시켜 그리트를 원활하게 분사시킬 수 있는 그리트유량밸브에 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그리트유량밸브는 그리트통로케이싱과, 공기통로케이싱과, 청소공덮개부와, 커버와, 개폐수단과, 구속수단 및 분사관을 포함한다. 상기 그리트통로케이싱은 일측에 그리트가 유입되기 위한 유입통로와 타측에 상기 그리트가 수직으로 유동되어 다시 상기 그리트가 유입된 방향과 동일하게 수직으로 꺽여서 유출되기 위한 유출통로와 상기 유입통로에 관통된 청소공이 형성된다. 상기 공기통로케이싱은 공기가 유입된 후 유출할 수 있는 공기통로가 형성되어 상기 그리트통로케이싱에 결합된다. 청소공덮개부는 상기 청소공을 개폐한다. 상기 커버는 상기 공기통로를 통과하여 유출된 공기를 수용하도록 상기 공기통로케이싱에 결합한다. 상기 개폐수단은 상기 공기통로를 통과하여 상기 커버 내에 유입된 공기의 압력으로 슬라이딩을 하여 상기 유입통로의 일단을 개폐할 수 있도록 상기 커버 내부에서 상기 그리트통로케이싱에 삽입되도록 장착된다. 상기 구속수단은 상기 개폐수단의 슬라이딩 거리를 제한한다. 상기 분사관은 압축공기가 유입되어 상기 유출통로에서 배출되는 상기 그리트를 분사시킬 수 있도록 측면이 상기 유출통로에 장착된다. 그리고 여기서 상기 그리트유량밸브는 일단에 경사면이 형성되고, 상기 유입통로로 유입된 그리트가 둔각으로 유동되어 상기 유출통로로 안내될 수 있도록 상기 경사면에 충돌하게 상기 유입통로에 삽입되어 상기 청소공덮개부에 장착된 안내블럭을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그리트의 유동저항을 감소시킬 수 있도록 상기 개폐수단에 의하여 개폐되는 상기 유입통로의 일단은 상기 안내블럭의 경사면과 마주보며 상기 유출통로로 배출되는 일측에서 절삭되며, 상기 그리트통로케이싱의 내측에 위치한 상기 유출통로의 일단은 상기 공기통로케이싱에 위치한 일측에서 절삭된다.

Description

그리트유량밸브{GRIT FLOW VALVE}
본 발명은 블라스팅 공정시 연마제로 사용되는 그리트의 분사량을 조절하여 분사할 수 있는 그리트유량밸브에 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그리트가 분사될 때 그리트의 유동저항을 감소시켜 그리트를 원활하게 분사시킬 수 있는 그리트유량밸브에 대한 것이다.
도 2는 공개실용신안 제20-2010-00007242호에 공개된 종래의 그리트 유량밸브이다.
도 2에 개시된 종래의 그리트 유량밸브는 그리트통로케이싱(20)과, 공기통로케이싱(30)과, 청소공덮개부(40)과, 커버(50)와, 개폐수단(60)과, 구속수단(70)을 포함한다.
그리트통로케이싱(20)에는 유입통로(21)와, 유출통로(23)와, 청소공(25)이 형성되어 있다. 유입통로(21)는 그리트통로케이싱(20)의 일측에 형성되어 그리트가 유입되며, 유출통로(23)는 유입통로(21)에서 유입된 그리트가 수직으로 유동된 후 다시 그리트가 유입된 방향과 동일하게 수직으로 꺽여서 유출될 수 있도록 그리트통로케이싱(20)의 타측에 형성된다. 청소공(25)은 유입통로(21)에 관통되도록 형성된다.
공기통로케이싱(30)은 그리트통로케이싱(20)에 결합되며 공기통로(31)가 형성된다.
청소공덮개부(40)는 청소공(25)이 형성된 그리트통로케이싱(20)에 결합한다. 청소공덮개부(40)는 평소에는 그리트통로케이싱(20)에 결합하여 청소공(25)을 폐쇄시킨다. 그리고 필요시 청소공덮개부(40)를 그리트통로케이싱(20)과 분리시킨 후 청소공(25)을 개방하여 그리트통로케이싱(20) 내부를 청소한다.
커버(50)는 공기통로케이싱(30)에 형성된 공기통로(31)를 통하여 유입된 공기를 수용할 수 있도록 공기통로케이싱(30)과 나사결합된다.
개폐수단(60)은 피스톤(61)과, 실부재(63)와, 이동샤프트(65)와, 스프링(67)을 구비한다. 피스톤(61)은 공기통로(31)를 통과하여 압축공기가 유입된 경우 슬라이딩을 할 수 있도록 커버(50)의 내부에 창작된다. 이동샤프트(65)는 공기통로케이싱(30)에 삽입되며, 일단에는 피스톤(61)이 결합하며, 타단에는 실부재(63)가 결합한다. 스프링(67)은 커버(50) 내부에 장착되며 일단은 커버(50) 내벽을 지지하고 타단은 피스톤(61)을 지지한다. 그러므로 공기통로(31)를 통과하여 압축공기가 유입되면 피스톤(61)이 상승한다. 피스톤(61)이 상승하면, 이동샤프트(65) 및 실부재(63)가 상승하여 그리트통로케이싱(20)의 유입통로(21)가 개방되어 유출통로(23)와 연통된다. 그러면 그리트가 유입통로(21)를 통하여 유출통로(23)로 분출될 수 있다. 그러나 압축공기가 유입되지 아니하면 스프링(67)의 힘에 의하여 피스톤(61)이 하강하여 실부재(63)가 밸브시트(3)에 접촉하여 유입통로(21)는 폐쇄된다. 따라서 그리트가 유입통로(21)를 통하여 유출통로(23)로 분출되지 못한다.
구속수단(70)은 밸브스템(71)과 핸들(73)을 구비한다. 밸브스템(71)은 커버(50)에 삽입되어 피스톤(61)의 슬라이딩 거리를 제한한다. 핸들(73)은 밸브스템(71)의 일단에 체결된다. 즉 핸들(73)을 돌리면 밸브스템(71)이 커버(50)에 삽입된 량을 조절할 수 있다. 밸브스템(71)이 커버(50) 내부에 삽입되어 있으므로 피스톤(60)이 어느 정도까지 슬라이딩을 하면 밸브스템(71)에 의하여 더 이상 상승하지 못한다. 그러므로 밸브스템(71)의 삽입된 량을 조절하여 피스톤(61)의 슬라이딩 량을 제어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종래의 그리트유량밸브에 의하면 그리트가 유입통로에서 유입되어 유출통로를 통하여 배출될 때 그리트통로케이싱(20) 내부에 수직으로 방향을 두번 전환하여 배출된다. 그래서 방향을 전환할 때마다 그리트와 그리트통로케이싱(20)과 마찰이 심하여 유동저항이 발생되고 그리트가 그리트통로케이싱(20) 내부에 쌓인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은 그리트통로케이싱(20) 내부에서 그리트의 유동저항을 감소시킬 수 있는 그리트유량밸브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그리트유량밸브는 그리트통로케이싱과, 공기통로케이싱과, 청소공덮개부와, 커버와, 개폐수단과, 구속수단 및 분사관을 포함한다. 상기 그리트통로케이싱은 일측에 그리트가 유입되기 위한 유입통로와 타측에 상기 그리트가 수직으로 유동되어 다시 상기 그리트가 유입된 방향과 동일하게 수직으로 꺽여서 유출되기 위한 유출통로와 상기 유입통로에 관통된 청소공이 형성된다. 상기 공기통로케이싱은 공기가 유입된 후 유출할 수 있는 공기통로가 형성되어 상기 그리트통로케이싱에 결합된다. 청소공덮개부는 상기 청소공을 개폐한다. 상기 커버는 상기 공기통로를 통과하여 유출된 공기를 수용하도록 상기 공기통로케이싱에 결합한다. 상기 개폐수단은 상기 공기통로를 통과하여 상기 커버 내에 유입된 공기의 압력으로 슬라이딩을 하여 상기 유입통로의 일단을 개폐할 수 있도록 상기 커버 내부에서 상기 그리트통로케이싱에 삽입되도록 장착된다. 상기 구속수단은 상기 개폐수단의 슬라이딩 거리를 제한한다. 상기 분사관은 압축공기가 유입되어 상기 유출통로에서 배출되는 상기 그리트를 분사시킬 수 있도록 측면이 상기 유출통로에 장착된다. 그리고 여기서 상기 그리트유량밸브는 일단에 경사면이 형성되고, 상기 유입통로로 유입된 그리트가 둔각으로 유동되어 상기 유출통로로 안내될 수 있도록 상기 경사면에 충돌하게 상기 유입통로에 삽입되어 상기 청소공덮개부에 장착된 안내블럭을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그리트의 유동저항을 감소시킬 수 있도록 상기 개폐수단에 의하여 개폐되는 상기 유입통로의 일단은 상기 안내블럭의 경사면과 마주보며 상기 유출통로로 배출되는 일측에서 절삭되며, 상기 그리트통로케이싱의 내측에 위치한 상기 유출통로의 일단은 상기 공기통로케이싱에 위치한 일측에서 절삭된다.
또한, 상기의 그리트유량밸브에 있어서, 상기 분사관은 상기 유출통로에서 배출되는 상기 그리트가 상기 분사관의 출구로 안내될 수 있도록 상기 압축공기가 유입되는 상기 분사관의 입구측에서 상기 유출통로에 장착된 측면에 상기 압축공기가 배출되는 방향으로 경사진 가이드판이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그리트유량밸브는 안내블럭을 구비할 뿐만 아니라 그리트통로케이싱의 유입통로의 일단의 일측과 유출통로의 일단의 일측이 절삭되어 있다. 그래서 그리트가 유동되면서 방향을 전환할 때 유동저항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이로인하여 그리트통로케이싱 내부에 그리트가 누적되는 것을 완화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그리트가 분사되는 분사관에 가이드핀이 형성된다. 따라서 압축공기에 의하여 그리트가 원활하게 분사되도록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그리트유량밸브의 일 실시예이고,
도 2는 종래의 그리트유랭밸브의 실시예이다.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그리트유량밸브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그리트유량밸브는 그리트통로케이싱(20)과, 공기통로케이싱(30)과, 청소공덮개부(40)와, 커버(50)와, 개폐수단(60)과, 구속수단(70)과, 분사관(75) 및 안내블럭(38)을 포함한다.
여기서 공기통로케이싱(30)과, 청소공덮개부(40)와, 커버(50)와, 개폐수단(60) 및 구속수단(70)은 도 2에 개시된 종래의 그리트유량밸브와 동일하다. 그래서 이하에서는 도 2에 개시된 종래의 그리트유량밸브와 동일한 구성부분에 관해서는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트통로케이싱(20)은 유입통로(21)와, 유출통로(23) 및 청소공(25)이 형성된다. 유입통로(21)는 그리트통로케이싱(20)의 일측에 그리트가 유입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유출통로(21)는 유입통로(21)로 유입된 그리트가 수직으로 꺽여서 유동된 후 다시 유입통로(21)와 동일한 방향으로 유출되도록 수직으로 꺽여서 유출되게 그리트통로케이싱(20)의 타측에 형성된다. 청소공(25)은 유입통로(21)에 관통되도록 형성된다.
안내블럭(80)은 그리트의 유동 저항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유입통로(21)로 유입된 그리트가 유출통로(23)로 유동될 때 둔각으로 유동되어 유출통로(23)로 안내되도록 한다. 이를 위하여 안내블럭(80)은 일단에 경사면(81)이 형성되고, 유입통로(21)로 유입된 그리트가 경사면(81)에 충돌하여 유출통로(23)로 유동되도록 유입통로(21)에 삽입되어 청소공덮개부(40)에 장착된다. 따라서 안내블럭(80)이 장착되면 그리트는 화살표 1과 같이 유동된다. 그래서 유입통로(21)에서 유출통로(23)로 그리트가 유동될 때 90°의 각도로 유동되는 것이 아니라 안내블럭(80)으로 안내되어 둔각으로 유동된다. 그래서 유동저항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이때 그리트가 유동될 때 개폐수단(60)으로 개폐되는 유입통로(21)의 일단(22)과, 그리트통로케이싱(20)의 내부에 위치한 유출통로(23)의 일단(24)에서 마찰이 많이 발생한다. 그래서 유입통로(21)의 일단(22)은 그리트와 마찰이 많은 안내블럭(80)의 경사면(81)과 마주보는 일측(22a)이 절삭되고, 유출통로(23)의 일단(24)은 공기통로케이싱(30)에 위치한 일측(24a)에서 절삭된다. 그러면 그리트가 화살표 1과 같이 유동될 때 그 유동저항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
분사관(75)은 측면이 유출통로(23)에 결합된다. 그래서 그리트는 유출통로(23)에서 분사관(75)으로 배출된다. 분사관(75)에는 화살표 3과 같이 고압의 압축공기가 유입되어 유출통로(23)에서 공급되는 그리트를 분사시킨다. 이때 유출통로(23)에서 공급되는 그리트를 효율적으로 분사시키기 위하여 분사관(75)에는 가이드판(76)이 형성된다. 가이드판(76)는 분사관(75)의 압축공기가 유입되는 입구측에위치한 유출통로(23)가 장착되는 측면에 형성되며, 이때 가이드판(76)은 압축공기가 배출되는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형성된다. 그래서 압축공기의 유동저항을 감소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유출통로(23)에서 배출되는 그리트를 분사관(75)의 출구로 안내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종래의 그리트유량밸브의 경우 그리트가 유동될 때 급격한 각도변화를 겪으므로 유동저항이 심할 뿐만 아니라 그리트통로케이싱(20) 내부에 그리트 등이 분출되지 않고 쌓이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 의하면 그리트가 유동될 때 그리트통로케이싱(20) 내부에서 유동저항을 감소시킬 수 있고 이로 인하여 그리트가 그리트통로케이싱(20) 내부에 쌓여서 유동통로를 막는 현상을 완화시킬 수 있다.
20 : 그리트통로케이싱 21 : 유입통로
22 : 유입통로의 일단 23 : 유출통로
24 : 유출통로의 일단 25 : 청소공
30 : 공기통로케이싱 31 : 공기통로
40 : 청소공덮개부 50 : 커버
60 : 개폐수단 70 : 구속수단
75 : 분사관 76 : 가이드판
80 : 안내블럭 81 : 경사면

Claims (2)

  1. 일측에 그리트가 유입되기 위한 유입통로와 타측에 상기 그리트가 수직으로 유동되어 다시 상기 그리트가 유입된 방향과 동일하게 수직으로 꺽여서 유출되기 위한 유출통로와 상기 유입통로에 관통된 청소공이 형성된 그리트통로케이싱과, 공기가 유입된 후 유출할 수 있는 공기통로가 형성되어 상기 그리트통로케이싱에 결합된 공기통로케이싱과, 상기 청소공을 개폐하기 위한 청소공덮개부와, 상기 공기통로를 통과하여 유출된 공기를 수용하도록 상기 공기통로케이싱에 결합한 커버와, 상기 공기통로를 통과하여 상기 커버 내에 유입된 공기의 압력으로 슬라이딩을 하여 상기 유입통로의 일단을 개폐할 수 있도록 상기 커버 내부에서 상기 그리트통로케이싱에 삽입되도록 장착된 개폐수단과, 상기 개폐수단의 슬라이딩 거리를 제한하기 위한 구속수단과, 압축공기가 유입되어 상기 유출통로에서 배출되는 상기 그리트를 분사시킬 수 있도록 측면이 상기 유출통로에 장착된 분사관을 포함한 그리트유량밸브에 있어서,
    일단에 경사면이 형성되고, 상기 유입통로로 유입된 그리트가 둔각으로 유동되어 상기 유출통로로 안내될 수 있도록 상기 경사면에 충돌하게 상기 유입통로에 삽입되어 상기 청소공덮개부에 장착된 안내블럭을 더 포함하며,
    상기 그리트의 유동저항을 감소시킬 수 있도록 상기 개폐수단에 의하여 개폐되는 상기 유입통로의 일단은 상기 안내블럭의 경사면과 마주보며 상기 유출통로로 배출되는 일측에서 절삭되며, 상기 그리트통로케이싱의 내측에 위치한 상기 유출통로의 일단은 상기 공기통로케이싱에 위치한 일측에서 절삭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리트유량밸브.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사관은 상기 유출통로에서 배출되는 상기 그리트가 상기 분사관의 출구로 안내될 수 있도록 상기 압축공기가 유입되는 상기 분사관의 입구측에서 상기 유출통로에 장착된 측면에 상기 압축공기가 배출되는 방향으로 경사진 가이드판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리트유량밸브.
KR1020170044116A 2017-04-05 2017-04-05 그리트유량밸브 KR1018716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4116A KR101871630B1 (ko) 2017-04-05 2017-04-05 그리트유량밸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4116A KR101871630B1 (ko) 2017-04-05 2017-04-05 그리트유량밸브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71630B1 true KR101871630B1 (ko) 2018-06-27

Family

ID=627897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44116A KR101871630B1 (ko) 2017-04-05 2017-04-05 그리트유량밸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7163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679238A (zh) * 2018-06-29 2018-10-19 深圳聚纵科技有限公司 气动砂阀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92813A (ja) * 1993-04-01 1994-10-21 Nec Home Electron Ltd 空気清浄機
KR20100000742U (ko) * 2008-07-15 2010-01-25 김용대 그리트유량밸브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92813A (ja) * 1993-04-01 1994-10-21 Nec Home Electron Ltd 空気清浄機
KR20100000742U (ko) * 2008-07-15 2010-01-25 김용대 그리트유량밸브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679238A (zh) * 2018-06-29 2018-10-19 深圳聚纵科技有限公司 气动砂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189880B (zh) 手持式喷头保持装置
US5363873A (en) Anti-clog water valve
TW200720577A (en) Pilot-type two-port valve
ATE393344T1 (de) Ventil zur lieferung eines gasimpulses
PT2100200E (pt) Regulador de caudal volumétrico
MX2008008586A (es) Valvula de control con injerto integrado que proporciona un asiento para valvula de guias de tapon.
CA2604947A1 (en) Fluid flow control valve with composition seal
KR101871630B1 (ko) 그리트유량밸브
US4854347A (en) Faucet valve with noise reducing slots and blades in preclosing apertures
KR101285748B1 (ko) 유수 제어기능을 갖는 전자석 밸브
JP2007270927A5 (ko)
US20180010597A1 (en) Pump for dispensing a liquid
EP1697669A4 (en) FLOW CONTROL VALVE
CA2513358C (en) Fluid hydrant with sleeve
US20160053579A1 (en) Dual stem injection valve
KR100967935B1 (ko) 절수형 밸브
KR200431986Y1 (ko) 앵글 체크 밸브
MX2009003952A (es) Valvula de control de nivel de fluido.
KR101013152B1 (ko) 액체 분사장치
JP7373020B2 (ja) ドレン弁及び吐水装置
CN219994422U (zh) 一种节流截止阀
CN219221365U (zh) 一种大口径静音止回阀
CN111013837B (zh) 喷头及喷洒系统
KR102013578B1 (ko) 컴비네이션 글러브 컨트롤 밸브
KR100864100B1 (ko) 파일롯밸브를 갖춘 유체 제어용 밸브유니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