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71140B1 - 다목적 벨트 - Google Patents

다목적 벨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71140B1
KR101871140B1 KR1020180009077A KR20180009077A KR101871140B1 KR 101871140 B1 KR101871140 B1 KR 101871140B1 KR 1020180009077 A KR1020180009077 A KR 1020180009077A KR 20180009077 A KR20180009077 A KR 20180009077A KR 101871140 B1 KR101871140 B1 KR 1018711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lt
fixed
leg fixing
user
fixing pa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090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양모
Original Assignee
양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모 filed Critical 양모
Priority to KR10201800090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7114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711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71140B1/ko
Priority to PCT/KR2018/011548 priority patent/WO2019146873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FTRAVELLING OR CAMP EQUIPMENT: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 A45F5/00Holders or carriers for hand articles; Holders or carriers for use while travelling or camping
    • A45F5/02Fastening articles to the garment
    • A45F5/021Fastening articles to the garment to the belt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FTRAVELLING OR CAMP EQUIPMENT: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 A45F3/00Travelling or camp articles;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 A45F3/005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by means of a single strap around the waist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00Devices for lowering persons from buildings or the like
    • A62B1/06Devices for lowering persons from buildings or the like by making use of rope-lowering devices
    • A62B1/16Life-saving ropes or belt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35/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Similar equipment for limiting displacement of the human body, especially in case of sudden changes of motion
    • A62B35/0043Lifelines, lanyards, and anchors therefore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FTRAVELLING OR CAMP EQUIPMENT: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 A45F3/00Travelling or camp articles;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 A45F3/14Carrying-straps; Pack-carrying harnesses
    • A45F2003/144Pack-carrying waist or torso belt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FTRAVELLING OR CAMP EQUIPMENT: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 A45F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F
    • A45F2200/05Holder or carrier for specific articles
    • A45F2200/0575Portable tool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3/00Devices or single parts for facilitating escape from buildings or the like, e.g. protection shields, protection screens;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smoke penetrating into distinct parts of buildings
    • A62B3/005Rescue tools with forcing action

Abstract

본 발명은 벨트에 관한 것으로서, 위급상황 시 도끼, 망치 등과 같은 부피가 큰 도구를 벨트와 평행한 방향으로 고정될 수 있도록 형성됨에 따라 작은 움직임으로 신속하게 분리하기 용이하며, 사용자의 움직임을 방해하지 않는 장점이 있는 다목적 벨트에 관한 발명이다.

Description

다목적 벨트{MULTIPURPOSE BELT}
본 발명은 벨트에 관한 것으로서, 인명구조장비를 포함하는 다목적 벨트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재난구조용 벨트의 경우, 바지를 입는 방식과 같이 다리 쪽의 안전벨트를 착용하고 허리와 어깨의 벨트를 착용 후 자신의 신체에 맞게 조절하는 방식이었다.
이러한 방식은 하체를 움직여가며 착용하여야 하기 때문에 긴급 상황에서 신속하게 착용하기에 어려운 점이 있었다.
더욱이, 종래의 벨트를 한 상태에서 망치 또는 도끼와 같은 부피가 큰 구조용품을 사용해야 할 때, 구조용품이 다리부근에 위치되도록 형성되어 있어 구조대의 빠른 움직임을 저해하고, 벨트로부터 구조용품의 분리 시 큰 동작을 요하게 되어 구조시간이 길어지는 단점이 있었다.
이러한 단점을 보완하기 위한 종래의 기술을 살펴보면, 미국 특허공보 제4,106,679호(이하 ‘선행문헌 1’)의 “툴 홀더”에서, 벨트의 일측에 도끼가 구비될 수 있도록 일측에 만곡부가 형성된 툴 홀더에 대해 개시하고 있다.
선행기술 1의 발명을 이용할 경우, 툴 홀더에 의해 망치, 도끼 등을 사용자의 허리에 휴대할 수 있는 장점이 있지만, 지면을 기준으로 세로방향으로 고정되도록 형성됨에 따라 사용자의 움직임을 저해하고, 길이가 긴 물체를 분리하는데 오랜 시간이 걸리게 되어 신속한 사용이 용이하지 못한 단점이 있다.
다른 종래의 기술을 살펴보면, 미국 특허공보 제4,184,617호(이하 ‘선행문헌 2’)의 “생존 벨트”에서, 전투용 도끼머리, 로프, 컴퍼스, 금속성매치, 낚시 바늘 등을 포함하고, 이러한 도구가 벨트형태로 지원될 수 있도록 전투용 도끼머리는 전투용 도끼 헤드 홀더부재로 작용하는 벨트부분으로 지원되는 생존벨트에 대해 개시하고 있다.
선행문헌 2의 발명을 이용할 경우, 위급상황에서 전투용 도끼머리, 로프 등을 이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지만, 전투용 도끼머리를 이용할 경우, 벨트를 푸는 동작을 취함에 따라 단시간 안에 이용이 용이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다른 종래의 기술을 살펴보면, 미국 특허공보 제2016/0016017호(이하 ‘선행문헌 3’)의 “소방관의 개인 탈출 시스템”에서, 소방관이 고층빌딩의 고층 위치에서 신속하고 용이하게 탈출할 수 있도록 내부 주머니에 로프가 구비되고, 후크에 망치, 도끼와 같은 공구류를 구비하여 신속하게 탈출할 수 있는 소방관의 개인 탈출 시스템에 대해 개시하고 있다.
선행문헌 3의 발명을 이용할 경우, 내부 주머니에 로프가 구비되어 사용자의 신속한 탈출에 용이한 장점이 있지만, 공구류가 지면을 기준으로 세로방향으로 고정될 수 있도록 후크가 형성됨에 따라 사용자의 움직임을 저해하고, 공구류를 후크로부터 분리하는데 상당한 시간이 걸리게 되어 신속한 사용이 용이하지 못한 단점이 있다.
다른 종래의 기술을 살펴보면,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34381호(이하 ‘선행문헌 4’)의 “다목적 벨트”에서, 야외 활동 시 여러 가지 물품을 수납할 수 있는 수납공간이 형성된 벨트에 대해 개시하고 있다.
선행문헌 4의 발명을 이용할 경우, 벨트 외측으로 수납주머니를 부착하여 여러 가지 물건을 수납함으로써 필요한 물품만 휴대할 수 있는 장점이 있지만, 탈출 등 위급상황 시 탈출도구를 적절히 휴대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선행기술문헌>
미국 특허공보 제4,106,679호
미국 특허공보 제4,184,617호
미국 특허공보 제2016/0016017호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34381호
본 발명은 상기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위급상황 시 필요한 도끼, 망치 등과 같은 부피가 큰 도구들을 벨트와 평행한 방향으로 고정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작은 움직임으로 신속하게 부피가 큰 도구를 벨트로부터 분리하기 용이한 장점이 있다.
더욱이, 주머니가 더 형성됨에 따라 위급상황 시 필요한 물품을 신속하게 이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어깨에 메지 않고 사용자의 허리에 고정될 수 있도록 형성됨으로써 위급상황 시 신속한 착탈이 용이한 장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몸체에 감김으로써 고정될 수 있도록 형성된 제1벨트; 상기 제1벨트 일측면에 고정 형성된 제2벨트; 및 상기 제2벨트 타측면에 공구가 제2벨트와 평행되는 방향으로 고정되도록 고정 형성된 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고정부를 기준으로 좌측 또는 우측방향 중 선택되는 어느 한 방향으로 이격되고, 상기 제2벨트에 고정 형성된 로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이, 상기 고정부를 기준으로 좌측 또는 우측방향 중 선택되는 어느 한 방향으로 이격되고, 상기 제2벨트에 고정 형성된 랜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고정부를 기준으로 좌측 또는 우측방향 중 선택되는 어느 한 방향으로 이격되고, 상기 제2벨트에 고정 형성된 무전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2벨트 일측면 하측에 지면방향으로 하나 이상 연장 형성된 다리고정부; 및 상기 다리고정부가 상기 제1벨트 또는 제2벨트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에 체결되도록 상기 다리고정부 말단에 형성된 다리고정부체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이, 상기 고정부를 기준으로 좌측 또는 우측 중 선택되는 어느 방향으로 이격 형성되어 내부에 상비약(구급약), 칼, 위치추적 장치, 클립, 장갑 또는 수납품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것을 수납할 수 있도록 형성된 주머니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위급상황 시 도끼, 망치 등과 같은 부피가 큰 도구를 벨트와 평행한 방향으로 고정될 수 있도록 형성됨에 따라 작은 움직임으로 신속하게 부피가 큰 도구를 벨트로부터 분리하기 용이할 뿐만 아니라, 주머니가 더 형성되어 위급상황 시 필요한 물품을 신속하게 이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더욱이, 어깨에 메는 것으로 사용자의 몸에 고정되지 않고, 허리를 감싸는 형태로 형성됨으로써 위급상황 시 신속한 착탈이 용이한 장점이 있다.
또한, 선택적으로 고층에서 하강이 필요할 경우, 간단한 동작으로 로프를 고정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사용자의 움직임을 방해하지 않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다목적 벨트의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다목적 벨트를 착용한 사용자의 앞모습 및 뒷모습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목적 벨트의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목적 벨트의 정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목적 벨트의 정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목적 벨트의 정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목적 벨트의 정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목적 벨트를 착용한 사용자의 앞모습 및 뒷모습이다.
<부호의 설명>
100: 제1벨트, 110: 버클, 120: 길이조절부
200: 제2벨트, 201: 밀착유지부, 210: 고정부
300: 공구
400: 로프, 410: 제1클립
500: 랜턴, 510: 제1수납부, 511: 제1수납부지지대
600: 무전기, 610: 제2수납부, 611: 제2수납부지지대
700: 다리고정부 710: 다리고정부체결부
800: 주머니, 801: 덮개, 810: 보조주머니, 820: 체결부, 821: 제2클립, 822: 장갑, 830: 제3수납부, 831: 제3수납부지지대
이하, 실시예들을 통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목적, 특징, 장점은 이하의 실시예들을 통해 쉽게 이해될 것이다.
본 발명은 여기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 여기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및 기술적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이하의 실시예들에 의하여 본 발명이 제한되어서는 안 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및 기술적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이 포함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즉,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이라면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또는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이 가해질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면들에서 요소의 크기 또는 요소들 사이의 상대적인 크기는 본 발명에 대한 명확한 이해를 위해서 다소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다. 또한, 도면들에 도시된 요소의 형상이 제조 공정상의 변이 등에 의해서 다소 변경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 개시된 실시예들은 특별한 언급이 없는 한 도면에 도시된 형상으로 한정되어서는 안 되며, 어느 정도의 변형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한편, 본 발명의 여러 가지 실시예들은 명확한 반대의 지적이 없는 한 그 외의 어떤 다른 실시예들과 결합될 수 있다. 특히 바람직하거나 유리하다고 지시하는 어떤 특징도 바람직하거나 유리하다고 지시한 그 외의 어떤 특징 및 특징들과 결합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다양한 양상들, 특징들, 실시예들 또는 구현예들은 단독으로 또는 다양한 조합들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사용된 용어는 특정의 실시예를 기술하기 위한 것일 뿐 청구범위에 의해서 한정하려는 것은 아님을 이해하여야 한고,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모든 기술용어 및 과학용어는 다른 언급이 없는 한 통상의 기술을 가진 사람에게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실시예 1>
본 발명에 따른 다목적 벨트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벨트(100), 제2벨트(200) 및 고정부(210)를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더욱 자세히 설명하면, 제1벨트(100)는 몸체에 감김으로써 고정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1벨트(100)는 하단벨트로서 사용자의 허리에 감길 수 있도록 일자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어깨에 메는 것으로 사용자의 몸에 고정되지 않고 허리를 감싸는 형태로 형성됨으로써 위급상황 시 신속한 착탈이 용이한 장점이 있다.
더욱이, 제1벨트(100)의 소재는 천연섬유, 가죽, 합성수지 등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일 수 있으나, 가장 바람직하게는 화재진압 등의 위급상황에 적절히 대응될 수 있도록 아크릴, 폴리우레탄, 레이온, 아세테이트, 나일론, 폴리에스테르, 아라미드, 폴리에틸렌 등 중 어느 하나의 합성섬유 등으로 제조된 웨빙(webbing)으로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나일론, 폴리에스테르, 아라미드, 폴리에틸렌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합성섬유 등으로 제조된 것일 수 있다.
나아가, 방염(防炎) 또는 난연(難燃)재료 등으로 제조된 웨빙(webbing)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때, 제1벨트(100)의 방염 또는 난연이 용이하게 수행되기 위해 폴리크랄, 모나크릴, 폴리염화비닐 등의 난연섬유 또는 섬유에 인산염을 입히거나 브롬, 염소, 붕소, 인 등의 난연성 원소를 함유하는 유기화합물을 결합시킨 섬유가 이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또한, 제1벨트(100)는 KS G ISO10333-1에 의한 웨빙을 사용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나아가, 방염 또는 난연재료의 섬유로 제조된 웨빙을 이용할 경우, KS K 0571에 의한 웨빙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이, 제1벨트(100) 양 단에 하나 이상의 버클(110)이 더 포함될 수 있다.
즉, 버클(110)을 체결함으로써 사용자의 허리에 고정시킬 수 있도록 형성되어 사용자의 몸체에 제1벨트(100) 및 후술될 제2벨트(200)가 밀착 고정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사용자의 몸체 크기에 알맞도록 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버클(110)과 이격되도록 제1벨트(100) 일측에 형성된 길이조절부(120)가 더 포함될 수 있다.
길이조절부(120)의 좌측 또는 우측 중 선택되는 어느 측에 연장 형성된 제1벨트(100)를 길이방향으로 조이거나 반대방향으로 연장시킴으로써 제1벨트(100)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 제2벨트(200)는 제1벨트(100) 일측면에 고정 형성될 수 있다.
더욱 자세히 설명하면, 제2벨트(200)는 제1벨트(100)보다 폭이 넓고 쿠션 소재로 형성되어 사용자의 허리 등을 보호함과 동시에 착용감을 향상시키고, 후술될 고정부(210)가 용이하게 고정될 수 있고, 최종적으로 제조되는 다목적 벨트의 무게를 용이하게 분산시킬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더욱이, 제2벨트(200)의 두께는 가운데 부분이 양 단부보다 두껍게 형성되어 고정부(210)가 사용자의 복부, 허리 또는 등에 안정적이게 고정되어 사용자의 움직임에 방해가 되지 않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또한, 제2벨트(200)의 소재는 천연섬유, 가죽, 합성수지 등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일 수 있으나, 가장 바람직하게는 화재진압 등의 위급상황에 적절히 대응될 수 있도록 아크릴, 폴리우레탄, 레이온, 아세테이트, 나일론, 폴리에스테르, 아라미드, 폴리에틸렌 등 중 어느 하나의 합성섬유 등으로 제조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폴리크랄, 모나크릴, 폴리염화비닐 등의 난연섬유 또는 섬유에 인산염을 입히거나 브롬, 염소, 붕소, 인 등의 난연성 원소를 함유하는 유기화합물을 결합시킨 섬유가 이용된 제2벨트(200)가 방염 또는 난연을 용이하게 수행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또한, 제2벨트(200)의 타측면에 하나 이상 형성된 밀착유지부(201)가 더 포함될 수 있다.
밀착유지부(201)의 내측을 제1벨트(100)가 관통하도록 고리형태로 형성됨으로써 제1벨트(100)와 제2벨트(200)의 밀착을 유지시킬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 고정부(210)는 제2벨트(200) 타측면에 공구(300)가 제2벨트(200)와 평행되는 방향으로 고정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고정부(210)의 좌측 또는 우측 중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측면이 개방된 형태로 형성됨으로써 고정부(210)에 공구(300)가 관통 고정될 수 있다.
따라서 공구(300)를 고정부(210)의 좌측 또는 우측방향으로 슬라이딩시킴으로써 분리하여 위급상황 시 빠르게 대응할 수 있는 것이다.
선택적으로, 고정부(210)의 상측 또는 하측 중 선택되는 어느 측면이 개방되도록 형성될 경우, 내측 또는 외측 중 선택되는 어느 한 측면에 공구(300)를 지지할 수 있는 공구지지부(미도시)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이때, 공구지지부는 스냅단추 또는 벨크로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는 중력에 의해 공구(300)가 다목적 벨트로부터 이탈되지 못하도록 고정시킴과 동시에 위급상황 시 공구(300)를 상측 또는 하측방향으로 슬라이딩시킴으로써 고정부(210)로부터 용이하게 분리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공구(300)는 길이가 길거나 부피가 큰 망치, 도끼 또는 칼 등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일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더욱이, 공구(300)를 바람직하게 제2벨트(200)에 고정시키기 위해 공구(300)의 손잡이를 고정부(210)에 인입되도록 고정시킴으로써 작은 움직임으로 신속하게 도구를 분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공구(300)의 고정방향에 의해 사용자의 다리 움직임을 저해하지 않게 되어 공구(300)에 의해 사용자의 다리가 다치는 등의 2차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실시예 2>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부(210)를 기준으로 좌측 또는 우측방향 중 선택되는 어느 한 방향으로 이격되고, 제2벨트(200)에 고정 형성된 로프(400)가 더 포함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밀착유지부(201)에 고정 형성될 수 있으나, 가장 바람직하게는 밀착유지부(201)에 로프(400)를 고정하기 위한 제1클립(410)이 더 포함될 수 있다.
이는, 로프(400)의 단부에 형성되어 밀착유지부(201)로부터 로프(400)의 분리 및 고정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제1클립(410)으로부터 다목적 벨트에 로프(400)를 고정시킴으로써 위급상황 시 고층에서의 탈출 등의 로프(400)가 필요한 경우, 신속하게 로프(400)를 밀착유지부(201)에 고정시킴으로써 신속하게 로프(400)의 사용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더욱이, 고층에서 하강이 필요할 경우, 간단한 동작으로 로프를 고정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사용자의 움직임을 방해하지 않는 장점이 있다.
<실시예 3>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부(210)를 기준으로 좌측 또는 우측방향 중 선택되는 어느 방향으로 이격되고, 제2벨트(200)에 고정 형성된 랜턴(500)이 더 포함될 수 있다.
이때, 랜턴(500)의 고정을 견고하게 유지시키기 위해 제1수납부(510)가 더 포함될 수 있다.
더욱이, 제1수납부(510)의 내측에 공간이 확보되며, 일측면에 제1벨트(100)가 관통되도록 형성되고, 제2벨트(200) 타측면에 고정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제1수납부(510) 내부에 랜턴(500)이 인입됨으로써 고정될 수 있는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랜턴(500)의 신속한 사용을 위해 랜턴(500)이 복부, 허리 또는 등에 위치할 수 있도록 제2벨트(200) 단부와 가깝게 형성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제1수납부(510)의 소재는 PE(polyethylene), PP(polypropylene) 또는 PU(polyurethane) 중 선택되는 한 가지 이상으로 형성된 부직포, 폴리에스테르(polyester), 면, 스판덱스(spandex), 나일론(nylon) 중 선택되는 한 가지 이상의 직물로 형성될 수 있으나, 그물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제1수납부(510)가 그물형태로 형성됨으로써 내부에 이물질이 머무르지 못하고 관통하여 내부를 청결하게 유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랜턴(500)이 사용자의 허리에 고정 형성되어 작은 움직임으로 신속하게 랜턴(500)을 다목적 벨트로부터 분리하여 전방을 밝힐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선택적으로, 제1수납부(810)의 고정을 견고히 하기 위하여 PP(Polypropylene), PE(Polyethylene), PES(Polyethersulfone), PVC(Polyvinyl chloride), ABS(acrylonitrile-butadiene-styrene), PS(polystyrene), PC(Polycarbonate), PMMA(polymethyl methacrylate), PET(polyethylene terephthalate), PBT(poly-butylene-terephthalate), PA(Polyamide)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고분자수지로 형성된 제1수납부지지대(511)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제1수납부지지대(511)가 더 포함됨으로써 제1수납부(510)의 고정을 견고히 하고, 내측에 공간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장점이 있다.
<실시예 4>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부(210)를 기준으로 좌측 또는 우측방향 중 선택되는 어느 한 방향으로 이격되고, 제2벨트(200)에 고정 형성된 무전기(600)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이때, 무전기(600)의 고정을 견고하게 유지시키기 위해 제2수납부(610)가 더 포함될 수 있다.
더욱이, 제2수납부(610)의 내측에 공간이 확보되며, 일측면에 제1벨트(100)가 관통되도록 형성되고, 제2벨트(200)의 타측면에 고정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제2수납부(620) 내부에 무전기(600)가 인입됨으로써 고정될 수 있는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무전기(600)의 신속한 사용을 위해 무전기(600)가 복부, 허리 또는 등에 위치할 수 있도록 제2벨트(200) 단부와 가깝게 형성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제2수납부(620)의 소재는 PE(polyethylene), PP(polypropylene) 또는 PU(polyurethane) 중 선택되는 한 가지 이상으로 형성된 부직포, 폴리에스테르(polyester), 면, 스판덱스(spandex), 나일론(nylon) 중 선택되는 한 가지 이상의 직물로 형성될 수 있으나, 그물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제2수납부(610)가 그물형태로 형성됨으로써 내부에 이물질이 머무르지 못하고 제2수납부(610)를 관통하여 내부를 청결하게 유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무전기(600)가 사용자의 허리에 고정 형성되어 작은 움직임으로 신속하게 무전기(600)를 다목적 벨트로부터 분리하여 대응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선택적으로, 제2수납부(610)의 고정을 견고히 하기 위하여 PP(Polypropylene), PE(Polyethylene), PES(Polyethersulfone), PVC(Polyvinyl chloride), ABS(acrylonitrile-butadiene-styrene), PS(polystyrene), PC(Polycarbonate), PMMA(polymethyl methacrylate), PET(polyethylene terephthalate), PBT(poly-butylene-terephthalate), PA(Polyamide)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고분자수지로 형성된 제2수납부지지대(611)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제2수납부지지대(611)가 더 포함됨으로써 제2수납부(610)의 고정을 견고히 하고, 내측에 공간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장점이 있다.
<실시예 5>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리고정부(700) 및 다리고정부체결부(710)가 더 포함될 수 있다.
더욱 자세히 설명하면, 다리고정부(700)는 제2벨트(200) 일측면 하측에 지면방향으로 하나 이상 연장 형성될 수 있다.
다리고정부(700)의 일 실시예로서, 제2벨트(200) 일측면 하측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다리고정부(700)의 단부는 양 갈래로 갈라지도록 형성되어 상측은 사용자의 허리 및 둔부를 지지하고, 하측은 사용자의 허벅지 부분을 감싸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로서, 다리고정부(700)가 서로 이격되도록 둘 이상이 형성됨으로써 각각의 단부가 사용자의 허벅지부분을 감쌀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다리고정부(700)를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제2벨트(200) 내측에 형성된 주머니에 인입하여 보관하거나 제2벨트(200) 일측면에 일측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고리를 포함하여 보관함으로써 사용자의 다리 움직임을 방해하지 않도록 형성될 수 있다.
만약, 다리고정부(700)를 보관할 때에 고리가 적용될 경우, 벨크로 등과 같이 분리가 쉬운 형태의 고리를 사용함으로써 위급상황 시 신속한 사용을 도모할 수 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더욱이, 다리고정부(700)의 소재는 제1벨트(100)와 동일한 소재를 적용함으로써 사용자의 필요에 알맞게 적용가능 하도록 형성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다리고정부체결부(710)는 다리고정부(700)가 제1벨트(100) 또는 제2벨트(200)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에 체결되도록 다리고정부(700) 말단에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다리고정부체결부(710)는 클립형태로 형성되어 사용자의 복부 등에 다리고정부(700)가 고정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더욱이, 사용자의 체형에 알맞도록 다리고정부체결부(710)와 이격되는 위치에 길이조절부(120)가 더 포함될 수 있다.
따라서 고층에서 하강이 필요할 경우, 간단한 동작으로 다리고정부(700)를 체결하여 탈출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하, 다리고정부(700) 및 다리고정부체결부(710)의 작동 방법에 대해 설명하면,
다리고정부(700)를 제2벨트(200)로부터 꺼내어 단부가 하측방향으로 향하도록 한다.
그 다음 다리고정부체결부(710)가 사용자의 다리사이를 관통할 수 있도록 하여 다리고정부체결부(710)가 사용자의 복부 등에 위치할 수 있도록 한다.
그 다음 다리고정부체결부(710)를 밀착유지부(201)에 체결함으로써 다리고정부(700)가 사용자의 허벅지에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사용자의 체형에 알맞도록 길이조절부(120)를 조작하여 조절한다.
그 다음 로프(400)를 이용하여 위급상황에서 탈출한다.
<실시예 6>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부(210)를 기준으로 좌측 또는 우측 중 선택되는 어느 방향으로 이격 형성되어 내부에 상비약, 칼, 위치추적장치, 클립, 장갑(822) 또는 수납품 등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것을 수납할 수 있도록 형성된 주머니(800)가 포함될 수 있다.
수납품에는 개인장비나 기호품 등 다양한 물품이나 장비가 포함될 수 있다.
이때, 주머니(800)의 일측면은 제1벨트(100)가 관통되고 제2벨트(200)의 타측면에 고정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주머니(800)가 더 형성되어 위급상황 시 필요한 물품을 신속하게 이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더욱이, 주머니(800)는 다양한 종류의 응급용품을 휴대하기 위해 보조주머니(810), 체결부(820) 및 제3수납부(830)를 더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보조주머니(810)는 주머니(800)의 좌측, 우측 또는 정면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측면에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보조주머니(810)가 더 포함됨으로써 다양한 물품을 휴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더욱이, 주머니(800) 및 보조주머니(810) 상측에 상측을 감싸는 형태로 덮개(801)가 더 형성될 수 있다.
이는, 화재 등으로 인한 이물질이 주머니(800) 또는 보조주머니(810) 내측에 침투하지 못하도록 덮개(801)의 단부가 주머니(800) 또는 보조주머니(810)로부터 착탈이 용이하도록 형성되어 주머니(800) 또는 보조주머니(810) 내측을 청결하게 유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다음으로, 체결부(820)는 덮개(801)의 타측에 고리형태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체결부(820)가 형성됨으로써 후술될 제2클립(821)이 주머니(800)에 고정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제2클립(821)의 상측은 체결부(820)에 고정됨으로써 주머니(800)에 고정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고, 하측에 장갑(822)을 휴대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장갑(822)을 주머니(800) 내측에 휴대하지 않고, 제2클립(821)을 이용하여 휴대함으로써 다양한 물품을 주머니(800) 내측에 휴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장갑(822)의 착탈이 신속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는 것이다.
다음으로, 제3수납부(830)는 주머니(800)의 좌측 또는 우측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측면에 돌출 형성되어 응급상황 시 필요한 물통 등을 휴대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3수납부(830)는 PE(polyethylene), PP(polypropylene) 또는 PU(polyurethane) 중 선택되는 한 가지 이상으로 형성된 부직포, 폴리에스테르(polyester), 면, 스판덱스(spandex), 나일론(nylon) 중 선택되는 한 가지 이상의 직물로 형성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그물 형태로 형성됨으로써 내측에 이물질이 머무르지 못하게 형성됨으로써 제3수납부(830)의 청결을 유지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선택적으로, 제3수납부(830)의 고정을 견고히 하기 위하여 PP(Polypropylene), PE(Polyethylene), PES(Polyethersulfone), PVC(Polyvinyl chloride), ABS(acrylonitrile-butadiene-styrene), PS(polystyrene), PC(Polycarbonate), PMMA(polymethyl methacrylate), PET(polyethylene terephthalate), PBT(poly-butylene-terephthalate), PA(Polyamide)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고분자수지로 형성된 제3수납부지지대(831)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제3수납부지지대(831)가 더 포함됨으로써 제3수납부(830)의 고정을 견고히 하고, 내측에 공간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은 벨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자세하게는 인명구조, 위급상황 등의 현장에서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도록 형성된 다목적 벨트에 관한 것으로 산업상 이용가능한 발명이다.

Claims (6)

  1. 몸체에 감김으로써 고정될 수 있도록 형성된 제1벨트;
    상기 제1벨트 일측면에 고정 형성된 제2벨트; 및
    사용자의 하체 부분의 움직임을 원활히 할 수 있도록 상기 제2벨트 타측면에 좌측 또는 우측 중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측면이 개방된 형태로 형성되어 길이가 길거나 부피가 큰 망치, 도끼 또는 칼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를 좌측 또는 우측방향으로 슬라이딩시킴으로써 분리시킬 수 있도록 제2벨트와 평행되는 방향으로 고정되도록 스냅단추 또는 벨크로인 공구지지부를 포함하여 고정 형성된 고정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벨트.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를 기준으로 좌측 또는 우측방향 중 선택되는 어느 한 방향으로 이격되고, 상기 제2벨트에 로프를 분리 및 고정시키기 위해 제1클립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벨트.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를 기준으로 좌측 또는 우측방향 중 선택되는 어느 한 방향으로 이격되고, 상기 제2벨트에 고정 형성된 랜턴을 내부에 인입시키기 위해 내측에 공간이 확보된 제1수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벨트.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를 기준으로 좌측 또는 우측방향 중 선택되는 어느 한 방향으로 이격되고, 상기 제2벨트에 고정 형성된 무전기를 내부에 인입시키기 위해 내측에 공간이 확보된 제2수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벨트.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벨트 일측면 하측에 지면방향으로 하나 이상 연장 형성된 다리고정부; 및
    상기 다리고정부가 상기 제1벨트 또는 제2벨트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에 체결되도록 상기 다리고정부 말단에 형성된 다리고정부체결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벨트.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를 기준으로 좌측 또는 우측 중 선택되는 어느 방향으로 이격 형성되어 내부에 상비약, 칼, 위치추적 장치, 클립, 장갑 또는 수납품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것을 수납할 수 있도록 형성된 주머니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벨트.
KR1020180009077A 2018-01-25 2018-01-25 다목적 벨트 KR1018711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9077A KR101871140B1 (ko) 2018-01-25 2018-01-25 다목적 벨트
PCT/KR2018/011548 WO2019146873A1 (ko) 2018-01-25 2018-09-28 다목적 벨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9077A KR101871140B1 (ko) 2018-01-25 2018-01-25 다목적 벨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71140B1 true KR101871140B1 (ko) 2018-07-20

Family

ID=631032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09077A KR101871140B1 (ko) 2018-01-25 2018-01-25 다목적 벨트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871140B1 (ko)
WO (1) WO201914687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693180B (zh) * 2019-11-14 2020-10-30 湖南派高箱包制造有限公司 一种用于野外森林逃生用爬树背包
CN114401024B (zh) * 2022-01-21 2023-05-26 山东战狼警用装备有限公司 一种对讲机远程通信方法及系统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11703A (en) * 1993-08-24 1996-04-30 W.G.H., Inc. Tradesman's tool belt
JP2004249062A (ja) * 2002-12-27 2004-09-09 Prop:Kk 安全帯のロープ巻取器
JP2013241720A (ja) * 2012-05-21 2013-12-05 Korea Inst Of Geoscience & Mineral Resources 野外調査用装備ベルト
JP2016041053A (ja) * 2014-08-19 2016-03-31 運動科学研究所株式会社 作業機体吊持用ベルト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3465Y1 (ko) * 2015-09-08 2017-05-18 주식회사 토마스존 다기능 벨트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11703A (en) * 1993-08-24 1996-04-30 W.G.H., Inc. Tradesman's tool belt
JP2004249062A (ja) * 2002-12-27 2004-09-09 Prop:Kk 安全帯のロープ巻取器
JP2013241720A (ja) * 2012-05-21 2013-12-05 Korea Inst Of Geoscience & Mineral Resources 野外調査用装備ベルト
JP2016041053A (ja) * 2014-08-19 2016-03-31 運動科学研究所株式会社 作業機体吊持用ベル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9146873A1 (ko) 2019-08-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010051A (en) Apparatus for releasably carrying recreational equipment
US6698636B2 (en) Waist pouch
US20070152007A1 (en) Modular Pack System
US10939709B2 (en) X-shaped utility garment
US10231493B1 (en) Modular vest system
US10099831B2 (en) Storage system
US10973309B2 (en) Jacket and combination backpack
US8397966B2 (en) System and methods for cordage storage/deployment and articles
US10034533B1 (en) Backpack system
US10588367B2 (en) Rope belt with a buckle having holes
KR101871140B1 (ko) 다목적 벨트
US20170246485A1 (en) Firefighter protective garment with removable pouches
US10918195B2 (en) Utility belt assembly
US9326555B1 (en) Worker knee pads with tool pockets such as for roofers and flooring installers
US6298944B1 (en) Method of forming multi-purpose hunting apparel
US20110215126A1 (en) Convertible adjustable strap and harness system
US10034468B1 (en) Fishing rod carrying bag
US20220090878A1 (en) Firearm article suspension system
US20040159691A1 (en) Apparatus having a bottom opening pocket
KR101219771B1 (ko) 구급낭이 부착된 특전배낭
US20110099772A1 (en) Key and Electronic Device Locator/Holder
US9055797B2 (en) Size adjustable carrying apparatus
KR102578941B1 (ko) 용도별 수납 가방의 독립 사용이 가능하도록 탈, 부착 설치되는 배낭
JP3201897U (ja) バッグの収納仕切兼ウエストバッグ
JP2001128724A (ja) 帯状体用収納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