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71053B1 - Handgrip comprising Dumbbell fuction - Google Patents
Handgrip comprising Dumbbell fuction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871053B1 KR101871053B1 KR1020160137426A KR20160137426A KR101871053B1 KR 101871053 B1 KR101871053 B1 KR 101871053B1 KR 1020160137426 A KR1020160137426 A KR 1020160137426A KR 20160137426 A KR20160137426 A KR 20160137426A KR 101871053 B1 KR101871053 B1 KR 101871053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upling
- dumbbell
- members
- socket
- pressing members
- Prior art date
Links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6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6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6
- 230000003203 everyday effect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3
- XEEYBQQBJWHFJM-UHFFFAOYSA-N Iron Chemical compound [Fe] XEEYBQQBJWHFJM-UHFFFAOYSA-N 0.000 description 4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36541 health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29910052742 ir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747 exhibi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3127 knee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257 mal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3205 muscle Anatomy 0.000 description 1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260 weight control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03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 A63B23/12—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for upper limbs or related muscles, e.g. chest, upper back or shoulder muscles
- A63B23/16—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for upper limbs or related muscles, e.g. chest, upper back or shoulder muscles for hands or fingers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004—Exercising devices moving as a whole during exercise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2—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resilient force-resisters
- A63B21/04—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resilient force-resisters attached to static foundation, e.g. a user
- A63B21/0407—Anchored at two end points, e.g. installed within an apparatus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6—User-manipulated weights
- A63B21/072—Dumb-bells, bar-bells or the like, e.g. weight discs having an integral peripheral handle
- A63B21/0726—Dumb bells, i.e. with a central bar to be held by a single hand, and with weights at the end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악력에 의해 가압할 수 있도록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기둥형상으로 구비되는 한 쌍의 가압부재; 상기 가압부재들 사이에 배치되고,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기둥형상으로 구비되는 결합부재; 상기 가압부재들과 상기 결합부재 사이에 일정한 간격으로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복수의 스프링; 및 상기 결합부재의 양측에 배치되어 페트병이 결합되는 한 쌍의 소켓부재를 포함하는 아령 기능을 구비하는 악력기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르면, 일상에서 구하기 쉬운 페트병을 이용하여 아령 기능을 수행하므로, 실용도가 높고 경제적이다.A pair of pressing members provided in a columnar shape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so as to be pressurized by a gravitational force; An engaging member disposed between the pressing members and provided in a columnar shape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 plurality of spring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regular intervals between the pressing members and the engaging members; And a pair of socket members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coupling member and coupled with a PET bott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dumbbell function is performed using PET bottles that are easy to obtain in everyday life, practicality is high and economical.
Description
본 발명은 악력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다기능 악력기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orce actuator, and more particularly, to a multi-function force actuator.
웨이트 트레이닝을 위한 대표적인 운동기구로 아령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Dumbbells are widely used as a typical exercise equipment for weight training.
일반적인 아령은 하중을 가하기 위해 주로 철로 만들어진 좌우 한쌍의 추와 상기 추의 중심을 연결하는 손잡이봉으로 구성되어 있다.A general dumbbell consists of a pair of left and right weights mainly made of iron and a handle bar connecting the center of the weights to apply the load.
이와 같은 구조의 아령은 손잡이봉을 손으로 잡고 상하좌우 또는 전후를 들어올리거나 흔들어 근육에 하중을 가하는 방식으로 운동을 하며, 이로써 팔, 어깨, 등의 근력과 근지구력 등을 키울 수 있게 된다.A dumbbell with this structure can move up and down, right, left, up and down, or shake it to apply a load to the muscles, thereby increasing strength and endurance of the arm, shoulder, and back.
아령의 기본적인 구조는 오랜 기간 동안 거의 변화가 없었으나, 추의 무게가 고정되어 있는 것이 아니라 추를 더 결합하거나 분리하여 중량을 바꿀 수 있는 중량 조절 기능이 추가되었다.The basic structure of the dumbbells has remained almost unchanged over a long period of time, but the weight of the weight is not fixed, but weight control is added to change the weight by further combining or separating the weights.
그리고, 손의 악력을 증대시키기 위한 손 운동의 목적으로 소위 악력기가 사용되고 있다.A so-called hand force is used for the purpose of hand movement to increase hand grip.
운동기구 중에는 손으로 쥐는 힘인 악력을 증진시키기 위한 악력기가 널리 사용되고 있는데, 일반적인 악력기는 한쌍의 그립과 스프링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그립을 손으로 쥐었다 놓아다 하면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손의 악력이 키워지는 운동이 된다.Among the exercise equipment, a hand gripper is widely used to improve the hand grip strength. The common gripper is composed of a pair of grips and springs. When the grip is held by hand and released, the hand grip strength is increased by the elasticity of the spring It becomes a movement.
이렇게, 아령과 악력기는 널리 사용되는 운동기구이나 악력기와 아령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는 기구는 널리 보급되지 않았다.In this way, dumbbells and gymnastics are not widely used, and instruments that can perform both dumbbells and gymnastics are not widely available.
그리고, 바벨 등의 추를 구매하지 않아도 실생활에서 쉽게 구할 수 있는 재활용 품을 이용한 경제적으로 효과적이고 실용적인 기구가 요구된다.In addition, there is a need for an economically effective and practical apparatus using recycled products which can be easily obtained from real life without purchasing a weight such as a barbell.
본 발명의 목적은 페트병을 결합하여 아령 기능을 나타낼 수 있는 아령 기능을 구비하는 악력기를 제공하는 것이다.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gripper having a dumbbell function capable of exhibiting dumbbell function by combining PET bottles.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하나의 특징에 따른 아령 기능을 구비하는 악력기는, 악력에 의해 가압할 수 있도록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기둥형상으로 구비되는 한 쌍의 가압부재; 상기 가압부재들 사이에 배치되고,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기둥형상으로 구비되는 결합부재; 상기 가압부재들과 상기 결합부재 사이에 일정한 간격으로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복수의 스프링; 및 상기 결합부재의 양측에 배치되어 페트병이 결합되는 한 쌍의 소켓부재를 포함한다.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gripper having a dumbbell function, comprising: a pair of pressing members disposed in a columnar shape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so as to be pressed by a grip; An engaging member disposed between the pressing members and provided in a columnar shape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 plurality of spring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regular intervals between the pressing members and the engaging members; And a pair of socket members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engaging member and to which the PET bottle is coupled.
여기서, 상기 소켓부재와 상기 결합부재는, 슬라이딩 결합할 수 있도록 구비된다.Here, the socket member and the coupling member are provided so as to be capable of sliding engagement.
그리고, 상기 결합부재는, 양측에 상기 소켓부재가 높이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도록 결합레일을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upling member may include coupling rails on both sides so that the socket member can be movably coupled in the height direction.
또한, 상기 결합부재는, 양측에 상기 소켓부재가 길이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도록 결합레일을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upling member may include coupling rails on both sides so that the socket member can be movably coupl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그리고, 상기 소켓부재는, 상기 결합레일에 삽입되는 결합돌기를 포함한다.
The socket member includes a coupling protrusion inserted into the coupling rail.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다른 하나의 특징에 따른 아령 기능을 구비하는 악력기는, 악력에 의해 가압할 수 있도록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기둥형상으로 구비되는 한 쌍의 가압부재; 상기 가압부재들 사이에 배치되고,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기둥형상으로 구비되는 결합부재; 상기 가압부재들과 상기 결합부재 사이에 일정한 간격으로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복수의 스프링; 및 상기 결합부재의 양측에 배치되어 바벨이 결합되는 한 쌍의 결합봉을 포함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gripper having a dumbbell function, comprising: a pair of pressing members disposed in a columnar shape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so as to be pressed by a grip; An engaging member disposed between the pressing members and provided in a columnar shape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 plurality of spring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regular intervals between the pressing members and the engaging members; And a pair of coupling rods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coupling member and coupled to the barb.
그리고, 상기 결합봉에 삽입결합되고, 상기 바벨이 상기 결합봉에서 이탈하지 않도록 막아주는 스토퍼를 더 포함한다.And a stopper inserted into the coupling rod to prevent the barb from being detached from the coupling rod.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아령 기능을 구비하는 악력기에 따르면,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첫째, 일상에서 구하기 쉬운 페트병을 이용하여 아령 기능을 수행하므로, 실용도가 높고 경제적이다.First, it performs dumbbell function using PET bottles that are easy to obtain from everyday life, and is highly practical and economical.
둘째, 페트병의 물 양을 조절하여 무게를 조절할 수 있으므로, 각기 다른 무게를 가지는 추가 요구되지 않으므로 경제적으로 효율적이다.Second, since the amount of water in the PET bottle can be adjusted to control the weight, it is economically efficient since it is not required to have different weight.
셋째, 소켓부재와 결합부재가 슬라이딩으로 결합되어 탈부착할 수 있으므로, 필요시에만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어 실용적이다.Third, since the socket member and the engaging member can be slidably engaged and detached, they can be combined and used only when necessary, which is practical.
넷째, 결합레일과 결합돌기가 일치하도록 삽입 결합되므로 안정적인 결합을 유지할 수 있다.Fourth, since the coupling rails and the engaging projections are inserted and joined together, stable engagement can be maintained.
다섯째, 헬스클럽 등의 체육 시설에서 이용하는 바벨을 이용하여 결합봉에 결합하므로, 호환성이 높아 실용적이다.Fifth, it is practical because it is highly compatible because it is connected to a coupling rod by using a barbell used in a physical education facility such as a health club.
여섯째, 스토퍼를 구비하여 결합봉에서 바벨이 이탈하지 않게 막아주므로, 사용자가 안전하게 아령 기능을 사용할 수 있다. Sixth, the stopper is provided to prevent the barb from coming off from the coupling rod, so that the user can safely use the dumbbell function.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아령 기능을 구비하는 악력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소켓부재를 제외한 아령 기능을 구비하는 악력기의 사시도이다.
도 3은 소켓부재를 제외한 아령 기능을 구비하는 악력기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소켓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소켓부재의 평면도이다.
도 6은 아령 기능을 구비하는 악력기의 적용 예시도이다.
도 7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아령 기능을 구비하는 악력기의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에 도시된 아령 기능을 구비하는 악력기의 적용 예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 knee gymnastic device having a dumbbell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grip force machine having a dumbbell function except for a socket member. FIG.
FIG. 3 is a perspective view of a grip force machine having a dumbbell function except for a socket member. FIG.
4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socket member shown in Fig.
5 is a plan view of the socket member shown in Fig.
6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application example of a knob having a dumbbell function.
FIG. 7 is a perspective view of a knee-jerking machine having a dumbbell functio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8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application example of a knob having a dumbbell function shown in FIG.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때, 첨부된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요소는 가능한 동일한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마찬가지 이유로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 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개략적으로 도시되었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Note that, in the drawings, the same components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symbols as possible. Further, the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that ma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omitted. For the same reason, some of the components in the drawings are exaggerated, omitted, or schematically illustrated.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아령 기능을 구비하는 악력기의 사시도이고, 도 2는 소켓부재를 제외한 아령 기능을 구비하는 악력기의 사시도이며, 도 3은 소켓부재를 제외한 아령 기능을 구비하는 악력기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소켓부재의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소켓부재의 평면도이고, 도 6은 아령 기능을 구비하는 악력기의 적용 예시도이다.
FIG.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hand gripping machine provided with a dumbbell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gripping machine having a dumbbell function excluding a socket member, Fig. 4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socket member shown in Fig. 1, Fig. 5 is a plan view of the socket member shown in Fig. 4, and Fig. 6 is an application example of a grip force machine having a dumbbell function.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아령 기능을 구비하는 악력기(100)는 가압부재(110), 결합부재(120), 스프링(130) 및 소켓부재(140)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S. 1 to 6, a
가압부재(110)는 한 쌍으로 구비되고, 사용자의 악력에 의해 가압할 수 있도록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기둥형상으로 마련된다.The
결합부재(120)는 가압부재(110)들 사이에 배치되고,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기둥형상으로 구비된다.The
스프링(130)은 복수로 구비되고, 가압부재(110)들과 결합부재(120) 사이에 일정한 간격으로 서로 이격되어 배치된다.The plurality of
소켓부재(140)는 한 쌍으로 구비되고, 결합부재(120)의 양측에 배치되어 페트병(P)이 결합된다.The
결합부재(120)와 소켓부재(140)는 슬라이딩으로 결합된다.The
결합부재(120)는 소켓부재(140)와 슬라이딩 결합을 위해 결합레일(121)을 포함한다.The
결합레일(121)은 결합부재(120)의 양측에 배치되고, 소켓부재(140)가 높이방향 또는 길이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도록 구비된다.The
도 2는 소켓부재(140)가 높이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도록 형성된 결합레일(121)을 구비한 결합부재(120)이고, 도 3은 소켓부재(140)가 길이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도록 형성된 결합레일(121)을 구비한 결합부재(120)이다.2 is an
그리고, 소켓부재(140)는 결합레일(121)에 삽입되는 결합돌기(141)를 포함한다. The
도 4에 도시된 것처럼 소켓부재(140)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결합레일(121)에 슬라이딩 결합할 수 있도록 결합레일(121)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As shown in FIG. 4, the
소켓부재(140)는 원형으로 구비되므로, 회전시켜 결합돌기(141)를 결합레일(121)의 방향에 맞춰 결합할 수 있다.Since the
그리고, 결합레일(121)과 결합돌기(141)은 흔들거리지 않도록 아주 정확하게 들어맞으며, 슬라이딩 결합시 뻑뻑하게 이동되므로 견고한 결합을 유지할 수 있다.The
또한, 소켓부재와 결합부재가 슬라이딩으로 결합되어 탈부착할 수 있으므로, 필요시에만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어 실용적이다.Further, since the socket member and the engaging member are slidably engaged and detachable, they can be combined and used only when necessary, which is practical.
이렇게, 아령 기능을 구비하는 악력기(100)는 일상에서 구하기 쉬운 페트병을 결합하여 아령 기능을 수행하므로, 실용도가 높고, 페트병의 물 양을 조절하여 무게를 조절할 수 있어, 각기 다른 무게를 가지는 추가 요구되지 않으므로 경제적으로 효율적이다.
In this way, the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아령 기능을 구비하는 악력기의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7에 도시된 아령 기능을 구비하는 악력기의 적용 예시도이다.FIG. 7 is a perspective view of a knife force gauge having a dumbbell functio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8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application example of a knife force gauge having the dumbbell function shown in FIG.
도 7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아령 기능을 구비하는 악력기(200)는 가압부재(210), 결합부재(220), 스프링(230) 및 결합봉(240)을 포함한다.7 to 8, the
여기서, 가압부재(210), 결합부재(220) 및 스프링(230)은 앞서 설명한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을 가지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Here, the
결합봉(240)은 결합부재(220)의 양측에 배치되고, 바벨(B)이 결합된다.The engaging
여기서, 바벨(B)은 일반적으로 헬스클럽 등의 체육시설에서 사용하는 중앙에 홀이 형성된 원반 형상의 철제일 수 있다.Here, the barbell (B) may be a disc-shaped iron in which a hole is formed at the center, which is generally used in a sports facility such as a health club.
그리고, 아령 기능을 구비하는 악력기(200)는 스토퍼(250)를 더 포함한다.In addition, the
스토퍼(250)는 결합봉(240)에 삽입 결합되고, 바벨(B)이 결합봉(240)에서 이탈하지 않도록 막아준다.The
이렇게, 아령 기능을 구비하는 악력기(200)는 헬스클럽 등의 체육 시설에서 이용하는 바벨(B)을 결합봉(240)에 결합하여 아령 기능을 수행하므로, 호환성이 높아 실용적이다.In this way, since the
그리고, 스토퍼(250)가 결합봉(240)에서 바벨(B)이 이탈하지 않도록 막아주기 때문에 사용자가 안전하게 아령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It should be noted that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disclo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drawings are only illustrativ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facilitate the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other modifications based on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possible in addition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herein.
110, 210...가압부재 120, 220...결합부재
130, 230...스프링 140...소켓부재
240...결합봉 250...스토퍼110, 210 ... pressing
130, 230 ...
240 ... Coupling
Claims (7)
상기 가압부재들 사이에 배치되고,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기둥형상으로 구비되는 결합부재;
상기 가압부재들과 상기 결합부재 사이에 일정한 간격으로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복수의 스프링; 및
상기 결합부재의 양측에 배치되어 페트병이 결합되는 한 쌍의 소켓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소켓부재와 상기 결합부재는,
슬라이딩 결합할 수 있도록 구비되며,
상기 결합부재는,
양측에 상기 소켓부재가 높이방향 또는 길이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도록 결합레일을 포함하고,
상기 소켓부재는,
상기 결합레일에 삽입되는 결합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령 기능을 구비하는 악력기.A pair of pressing members provided in a columnar shape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so as to be pressurized by a gravitational force;
An engaging member disposed between the pressing members and provided in a columnar shape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 plurality of spring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regular intervals between the pressing members and the engaging members; And
And a pair of socket members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engaging member and to which a PET bottle is coupled,
The socket member and the engaging member,
And is slidably coupled,
The coupling member
And a coupling rail on both sides so that the socket member can be movably coupled in a height direction or a length direction,
The socket member includes:
And a coupling protrusion inserted into the coupling rail.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137426A KR101871053B1 (en) | 2016-10-21 | 2016-10-21 | Handgrip comprising Dumbbell fuction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137426A KR101871053B1 (en) | 2016-10-21 | 2016-10-21 | Handgrip comprising Dumbbell fuction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80043957A KR20180043957A (en) | 2018-05-02 |
KR101871053B1 true KR101871053B1 (en) | 2018-07-19 |
Family
ID=621837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60137426A KR101871053B1 (en) | 2016-10-21 | 2016-10-21 | Handgrip comprising Dumbbell fuction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871053B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2386860A (en) * | 2020-10-27 | 2021-02-23 | 杨平 | Dumbbell of multi-functional training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731068U (en) * | 1993-11-15 | 1995-06-13 | 広幸 舟橋 | Grip dumbbell |
KR200343440Y1 (en) * | 2003-11-19 | 2004-03-02 | 안덕(주) | A portable grip for dumbbell exercise |
KR200384425Y1 (en) * | 2005-03-04 | 2005-05-16 | 박금자 | Dumbbell Having Griping Tool |
Family Cites Familie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74577Y1 (en) | 2013-05-03 | 2014-10-06 | 김혜숙 | Hand grip with grooves |
KR20150009508A (en) | 2014-12-26 | 2015-01-26 | 장종현 | Gripper having a finger-pressure |
-
2016
- 2016-10-21 KR KR1020160137426A patent/KR101871053B1/en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731068U (en) * | 1993-11-15 | 1995-06-13 | 広幸 舟橋 | Grip dumbbell |
KR200343440Y1 (en) * | 2003-11-19 | 2004-03-02 | 안덕(주) | A portable grip for dumbbell exercise |
KR200384425Y1 (en) * | 2005-03-04 | 2005-05-16 | 박금자 | Dumbbell Having Griping Tool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80043957A (en) | 2018-05-0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9724556B1 (en) | Exercise bar | |
JP6353980B2 (en) | Leg press | |
US20140179498A1 (en) | Abdominal track exercise device | |
US20140221173A1 (en) | Exercise weight lifting bar | |
US20170216650A1 (en) | Plate loaded abduction-adduction press bar | |
US10561890B2 (en) | Exercise apparatus, kit and method | |
US9180338B2 (en) | Exercise device for push ups | |
US9604113B2 (en) | Athletic swing training weight and method | |
US10874894B2 (en) | Fitness equipment | |
US8167780B2 (en) | Physical training device and method | |
US20130316882A1 (en) | Total Workout Device | |
KR101876796B1 (en) | Flank core exercise equipment that can exercise balance | |
KR101871053B1 (en) | Handgrip comprising Dumbbell fuction | |
KR101561144B1 (en) | Multifunctional dumbbell | |
GB2468462A (en) | Antigravity muscle exerciser and methods of using same | |
US8920293B1 (en) | Resistance exercise device | |
WO2014194923A1 (en) | Impact plyometric expander (variants) | |
KR20170001582U (en) | Exercise apparatus for Core muscle's strength and stretching | |
KR101626221B1 (en) | Multi health machine | |
EP3463595B1 (en) | Exercising device | |
CN103623537A (en) | Tensile-force-adjustable wrist force trainer | |
CN104080519A (en) | Exercise machines for dips and twists | |
US9694232B2 (en) | Workout bench | |
KR101636694B1 (en) | Elastic Band Having Finger Holder and Foot Holder | |
KR101457353B1 (en) | muscular exercise equipment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61021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7110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80615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8061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8061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