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70574B1 - 광학 기술을 이용하는 촬영 기기 및 이를 이용한 촬영 방법 - Google Patents

광학 기술을 이용하는 촬영 기기 및 이를 이용한 촬영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70574B1
KR101870574B1 KR1020170083502A KR20170083502A KR101870574B1 KR 101870574 B1 KR101870574 B1 KR 101870574B1 KR 1020170083502 A KR1020170083502 A KR 1020170083502A KR 20170083502 A KR20170083502 A KR 20170083502A KR 101870574 B1 KR101870574 B1 KR 1018705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ser
photographable range
photographing
subject
ran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835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채수현
Original Assignee
채수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채수현 filed Critical 채수현
Priority to KR10201700835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70574B1/ko
Priority to PCT/KR2018/007324 priority patent/WO2019004736A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705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705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04N5/23216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18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for optical projection, e.g. combination of mirror and condenser and objective
    • G02B27/2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for optical projection, e.g. combination of mirror and condenser and objective for imaging minute objects, e.g. light-point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2Control of parameters via user interfaces
    • H04N5/225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없이도 원하는 사진 촬영을 수행할 수 있는 촬영 기기 및 이를 이용한 촬영 방법을 제공하는 것으로서, 레이저들을 이용하여 포커싱 포인터 및 가변 가능한 촬영 가능 범위를 구현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사진 촬영을 용이하게 수행시킬 수 있으며, 하나의 포커싱 포인터뿐만 아니라 복수의 포커싱 포인터들을 사용할 수 있고 촬영 가능 범위도 가변시킬 수 있으므로, 사진 촬영시 다양한 구도 등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광학 기술을 이용하는 촬영 기기 및 이를 이용한 촬영 방법{Photographic apparatus using optical technology and photographic method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광학 기술을 이용하는 촬영 기기, 예를 들어 디지털 카메라 및 이를 이용한 촬영 방법에 관한 것이다.
디지털 카메라가 터치 패널 등의 디스플레이 소자를 탑재하면서 촬영 내용의 시인성이 향상되었다. 그러나, 터치 패널 등의 디스플레이 소자를 탑재하면, 상기 디지털 카메라는 사이즈 측면에서 제약이 발생할 수밖에 없다.
따라서, 사이즈 측면에서 제약이 발생하지 않도록, 개선된 디지털 카메라가 요구된다.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없이도 원하는 사진 촬영을 수행할 수 있는 촬영 기기 및 이를 이용한 촬영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촬영 기기를 이용한 촬영 방법은 레이저를 이용하여 촬영 기기의 외부로 사진이 촬영될 범위를 표시하는 촬영 가능 범위를 형성하는 단계; 촬영 기기에 장착된 제 1 레이저 발생기로부터 출력된 제 1 레이저를 이용하여 피사체로의 포커싱 포인터를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형성된 촬영 가능 범위에 기초하여 촬영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촬영 가능 범위는 상기 포커싱 포인터 형성 후 상기 촬영 기기에 장착된 제 2 레이저 발생기들로부터 출력된 제 2 레이저들을 이용함에 의해 시각적으로 표시되고, 상기 포커싱 포인터는 상기 촬영 기기와 상기 피사체 사이의 거리에 따라 시각적으로 표시되며, 상기 촬영 전 상기 촬영 가능 범위의 확대 또는 축소가 가능하며, 상기 촬영 기기에는 움직임 센서가 설치되며, 상기 촬영 가능 범위의 가변은 상기 포커싱 포인터 형성 후 상기 촬영 기기를 상기 피사체로부터 멀어지도록 움직이는 것을 상기 움직임 센서가 감지하면 상기 촬영 가능 범위가 축소되고, 상기 촬영 기기를 상기 피사체를 향해 움직이는 것을 상기 움직임 센서가 감지하면 상기 촬영 가능 범위가 확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영 기기를 이용한 촬영 방법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촬영 기기를 이용한 촬영 방법은 촬영 기기에 장착된 제 1 레이저 발생기로부터 출력된 제 1 레이저를 이용하여 복수의 피사체들로의 복수의 포커싱 포인터들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포커싱 포인터들이 내부에 위치하도록, 상기 촬영 기기에 장착된 제 2 레이저 발생기들로부터 출력된 제 2 레이저들을 이용하여 사진이 촬영될 범위를 표시하는 촬영 가능 범위를 시각적으로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촬영 가능 범위 형성 후 촬영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제 1 레이저가 상기 피사체들을 번갈아서 조사하되, 상기 피사체들마다 기설정 시간과 기설정 횟수로 조사한 경우, 상기 피사체들마다 상기 포커싱 포인터들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영 기기를 이용한 촬영 방법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촬영 기기는 움직임 센서가 설치된 본체; 상기 본체에 결합된 렌즈; 상기 본체에 형성된 제 1 레이저 발생기; 및 상기 본체에 형성된 제 2 레이저 발생기들을 포함하되, 상기 제 1 레이저 발생기는 제 1 레이저를 이용하여 상기 피사체로의 포커싱 포인터를 형성하고, 상기 제 2 레이저 발생기들은 제 2 레이저들을 피사체의 주변으로 조사함에 의해 촬영 가능 범위를 시각적으로 표시하며, 상기 촬영 가능 범위는 사용자의 움직임에 의해 가변 가능하고, 상기 촬영 가능 범위의 가변은 상기 포커싱 포인터 형성 후 상기 본체를 상기 피사체로부터 멀어지도록 움직이는 것을 상기 움직임 센서가 감지하면 상기 촬영 가능 범위가 축소되고, 상기 본체를 상기 피사체를 향해 움직이는 것을 상기 움직임 센서가 감지하면 상기 촬영 가능 범위가 확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영 기기가 가능하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촬영 기기는 피사체로 사진 구도의 중심을 잡기 위한 포커싱 포인터가 형성되도록, 제 1 광을 상기 피사체로 조사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 1 광학 장치: 사진이 촬영될 범위를 나타내는 촬영 가능 범위를 촬영 기기의 외부에 시각적으로 표시하도록 제 2 광을 출력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 2 광학 장치; 상기 촬영 가능 범위가 형성된 후 촬영하는 촬영부; 상기 포커싱 포인터를 제어하는 포커싱 제어부; 및 상기 촬영 가능 범위를 제어하는 촬영 가능 범위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촬영 가능 범위는 가변 가능하며, 상기 포커싱 제어부는 복수의 피사체들에 대해 복수의 포커싱 포인터들을 형성하도록, 상기 제 1 광학 장치를 제어하고, 상기 제 1 광이 상기 피사체들을 번갈아서 조사하되, 상기 피사체들마다 기설정 시간과 기설정 횟수로 조사한 경우, 상기 피사체들마다 상기 포커싱 포인터들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영 기기가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촬영 기기 및 이를 이용한 촬영 방법은 레이저들을 이용하여 포커싱 포인터 및 가변 가능한 촬영 가능 범위를 구현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사진 촬영을 용이하게 수행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촬영 기기는 하나의 포커싱 포인터뿐만 아니라 복수의 포커싱 포인터들을 사용할 수 있고 촬영 가능 범위도 가변시킬 수 있으므로, 사진 촬영시 다양성(다양한 구도 등)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를 이용한 사진 촬영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최대 촬영 가능 범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촬영 가능 범위 조절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촬영 가능 범위 조절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레이저 발생기들의 배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레이저 발생기들의 배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레이저 발생기들의 배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를 이용한 사진 촬영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구성된다" 또는 "포함한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여러 구성 요소들, 또는 여러 단계들을 반드시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하며, 그 중 일부 구성 요소들 또는 일부 단계들은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고, 또는 추가적인 구성 요소 또는 단계들을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촬영 기기, 예를 들어 디지털 카메라에 관한 것으로서, 광(예를 들어 레이저)을 이용하여 피사체를 자동 포커싱하고 촬영 범위를 나타내는 촬영 가능 범위(프레임)를 시각적으로 표시하는 촬영 기기를 제안한다.
최근 디지털 카메라가 소형화되면서 모니터 또는 터치 패널 등과 같은 디스플레이를 탑재하기가 어려워지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소형화에 맞춰서 디스플레이 없이도 촬영 가능 범위를 용이하게 시각적으로 특정할 수 있는 촬영 기기가 요구된다.
본 발명은 레이저를 이용하여 촬영 가능 범위를 시각적으로 표시하며, 따라서 디스플레이가 없어도 사진 촬영이 가능하다.
또한, 사용자가 시각적으로 촬영 가능 범위를 확인할 수 있으므로, 촬영 기기의 렌즈 윈도우를 보지 않아도 촬영될 사진의 구도를 알 수 있어서 원하는 구도의 촬영을 실현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술하겠다. 다만,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촬영 기기를 카메라로 가정하겠다. 그러나, 상기 촬영 기기는 사진 촬영을 할 수 있는 한 카메라로 제한되지 않으며, 캠코더 등을 포함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를 이용한 사진 촬영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최대 촬영 가능 범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촬영 가능 범위 조절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촬영 가능 범위 조절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촬영 기기(예를 들어 카메라, 100)는 본체(110) 및 렌즈(112)를 포함하며, 기존의 카메라와 달리 피사체로 포커싱 포인터를 표시하고, 상기 포커싱 포인터를 기준으로 촬영 가능 범위를 시각적으로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카메라(100)는 제 1 레이저를 이용하여 피사체를 자동 포커싱한다. 구체적으로는, 사용자가 상기 제 1 레이저가 상기 피사체에 조사되도록 카메라(100)를 상기 피사체로 맞추면, 카메라(100)는 상기 피사체로 자동 포커싱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카메라(100)는 제 1 광학 장치, 예를 들어 제 1 레이저 발생기를 이용하여 상기 제 1 레이저를 상기 피사체로 조사하고, 그런 후 상기 피사체로부터 반사된 반사광을 측정하여 상기 피사체까지의 거리를 측정할 수 있다.
물론, 카메라(100)는 기설정 시간 이상 동안 상기 제 1 레이저를 상기 피사체로 조사한 경우에만 상기 피사체까지의 거리를 계산할 수 있다. 이는 시간 제한 없이 상기 피사체까지의 거리를 계속적으로 계산하면, 카메라(100)에 불필요한 부하가 걸릴 수 있기 때문이다.
이어서, 카메라(100)는 상기 계산된 거리에 맞춰서 포커싱 포인터(200)를 상기 피사체 방향으로 시각적으로 표시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사용자는 카메라(100)가 상기 피사체로 포커싱되었음을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포커싱 포인터(200)는 특별한 형상, 사이즈 및 색상으로 제한되지는 않으며, 사용자에게 시각적으로 잘 보여지는 한 다양한 형상, 사이즈 및 색상을 가질 수 있다.
한편, 포커싱 과정시 카메라(100)를 들고 있는 사용자가 움직일 수 있기 때문에, 정확한 포커싱 지점을 확정하기 어려울 수도 있다. 따라서, 카메라(100)는 정확한 포커싱 지점을 확정하기 위하여, 사용자의 움짐임을 고려하여 거리 계산시 거리 보정을 수행하고 위치 특정시 위치 보정을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어느 정도 움직일지라도 상기 보정 기능에 의해 특정 위치로 용이하게 포커싱이 이루어질 수 있다.
계속하여, 상기 자동 포커싱 후 촬영 가능 범위(122)가 시각적으로 표시된다. 여기서, 상기 촬영 가능 범위(122)는 촬영 후 획득되는 사진의 프레임에 해당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카메라(100)는 적어도 하나의 제 2 레이저를 이용하여 카메라(100)의 외부에 촬영 가능 범위(122)를 시각적으로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다양한 촬영 가능 범위(122)가 존재하며, 이러한 촬영 가능 범위(122)는 사용자의 입력(명령)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다만, 촬영 가능 범위(122)는 최소 촬영 가능 범위(122a) 및 최대 촬영 가능 범위(122c)가 기본적으로 설정될 수 있다. 이 경우, 최소 촬영 가능 범위(122a) 및 최대 촬영 가능 범위(122c) 사이에 연속적인 촬영 가능 범위(122b)가 존재하게 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촬영 가능 범위(122)는 포커싱 포인터(120)를 기준으로 정사각형 또는 직사각형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실제적으로는, 카메라(100)가 4개의 방향으로 제 2 레이저들을 조사하며, 상기 제 2 레이저들이 조사된 지점들을 가상의 선으로 연결하면 정사각형 또는 직사각형 형상의 촬영 가능 범위(122)가 형성될 수 있다. 물론, 촬영 가능 범위(122)는 사각형 형상으로 제한되지는 않으며,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한편, 촬영 가능 범위(122)는 카메라(100)의 버튼 등과 같은 물리적 구조물 또는 소프트웨어적인 개체를 조작하여 조절될 수 있다. 즉, 촬영 가능 범위(122)는 사용자의 입력(명령)에 따라 조절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촬영 가능 범위(122)는 자동으로 조절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포커싱 후 카메라(100)를 그의 몸 방향으로 당기면 렌즈(112)가 줌인되고, 몸 반대 방향으로 밀면 렌즈(112)가 줌아웃될 수 있다. 이러한 동작을 위해서, 움직임 센서가 카메라(100)에 설치될 수 있다.
다른 예로, 사용자가 포커싱 후 카메라(100)를 우측으로 회전시키면 렌즈(112)가 줌인되고, 좌측으로 회전시키면 렌즈(112)가 줌아웃될 수 있다. 이러한 동작을 위해서, 자이로 센서가 카메라(100)에 설치될 수 있다.
즉, 촬영 가능 범위(122)는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수동으로 조절될 수도 있고, 카메라(100)의 움직임에 따라 자동으로 조절될 수도 있다. 다만, 상기 조절 방법은 특별히 제한되지는 않으며,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이하, 피사체 포커싱 및 촬영 가능 범위 조절 과정을 예를 들어 상술하겠다.
도 2를 참조하면, 카메라(100)가 제 1 레이저를 피사체(200)로 조사하면 피사체(200)로의 자동 포커싱이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자동 포커싱은 위에 언급한 바와 같이 거리 측정을 통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물론, 상기 자동 포커싱 방법은 자동 포커싱이 수행될 수 있는 한 제한이 없다.
이어서, 카메라(100)는 예를 들어 4개의 제 2 레이저들을 기설정된 방향들(200a, 200b, 200c 및 200d)로 출력하여 최대 촬영 가능 범위(122c)를 설정할 수 있다. 여기서, 포커싱 후 최대 촬영 가능 범위(122c)를 형성할 수 있도록, 상기 제 2 레이저들을 출력하는 레이저 발생기들의 틸팅 각도 및 제 2 레이저의 세기가 미리 설정될 수 있다.
또한, 피사체(200)가 최대 촬영 가능 범위(122c)의 중앙 부근에 위치하도록, 포커싱 포인터(120)가 최대 촬영 가능 범위(122c)의 중앙에 위치할 수 있다. 물론, 포커싱 포인터(120)가 피사체(200)의 중앙에 위치한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며, 포커싱 포인터(120)는 피사체(200)를 조준하는 한 위치적인 제한이 없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자동 포커싱 후 최대 촬영 가능 범위(122c)가 즉시 형성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작은 촬영 가능 범위(122)로부터 점차적으로 확대되어 최대 촬영 가능 범위(122c)가 형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상기 제 2 레이저들을 출력하는 레이저 발생기들이 확대되는 촬영 가능 범위(122)에 맞춰서 틸팅될 수 있다.
이러한 포커싱 및 최대 촬영 가능 범위(122c)를 형성하면, 사용자가 최대 촬영 가능 범위(122c) 및 최대 촬영 가능 범위(122c) 내에서 피사체(200)의 상대적인 크기를 인지할 수 있다.
사용자가 피사체(200)의 크기가 전체 구도에서 작다고 인지하여 피사체(200)의 크기를 전체 구도에서 크게 설정하길 원하면, 사용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줌인 기능을 동작시킬 것이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는 카메라(100)에 형성된 물리적 또는 소프트웨어적인 조작 대상물(예를 들어 버튼)을 조작하여 줌인 기능을 수행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특정 버튼을 지속적으로 누르면 촬영 가능 범위(122)가 최대 촬영 가능 범위(122c)로부터 순차적으로 축소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상기 버튼을 누르는 힘을 해제하면 촬영 가능 범위(122n)가 고정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레이저 발생기들은 촬영 가능 범위(122)가 축소되도록 최대 촬영 가능 범위(122c)의 내부 방향으로 제 2 레이저들을 출력시킬 수 있다. 이러한 동작을 위하여, 상기 레이저 발생기들이 틸팅 또는 이동이 가능하여야 한다.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후술하겠다.
다른 예로, 사용자가 특정 레버를 우측에서 좌측으로 이동시키면 촬영 가능 범위(122)가 최대 촬영 가능 범위(122c)로부터 순차적으로 축소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상기 레버의 이동을 중지하면 촬영 가능 범위(122n)가 고정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는 촬영 가능 범위(122)의 축소를 시각적으로 인지하고 촬영 가능 범위(122) 내의 피사체(200)의 구도 및 크기를 인지할 수 있으며, 따라서 피사체(200)가 원하는 구도 또는 크기를 가진다고 판단되는 경우, 촬영 가능 범위(122)를 고정시킬 것이다. 이 때, 상기 레이저 발생기들은 제 2 레이저들을 소정 지점들(300a, 300b, 300c 및 300d)로 조사하고 있을 것이다.
도 4를 참조하여 다른 실시예를 살펴보면, 카메라(100)는 자동 포커싱 후 최소 촬영 가능 범위(122a)를 형성할 수 있다.
이어서, 사용자의 명령에 따라 촬영 가능 범위(122a)를 확대하여 원하는 촬영 가능 범위(122k)를 실현할 수 있다.
정리하면, 본 실시예의 카메라(100)는 제 1 레이저를 이용하여 자동 포커싱을 수행한 후 최대 촬영 가능 범위(122c) 또는 최소 촬영 가능 범위(122a)를 자동으로 형성하며, 그런 후 사용자의 명령에 따라 촬영 가능 범위(122)를 축소/확대하여 원하는 촬영 가능 범위를 설정할 수 있다.
다만, 이러한 촬영 가능 범위(122)는 실내 등과 같이 피사체(200) 후방에 벽 등이 위치하였을 경우에 사용자가 명확하게 인지할 수 있지만, 야외 등과 같이 피사체(200) 후방이 터진 장소에서는 사용자가 촬영 가능 범위(122)를 명확하게 인지하지 못할 가능성도 있다.
따라서, 야외 등과 같은 공간에서는, 상기 레이저 발생기들은 연속적으로 레이저들을 출력하는 방식이 아닌, 불연속적으로 레이저들을 출력할 수 있다. 불연속적으로 레이저들을 출력하면, 사람의 시각 특성 상 촬영 가능 범위(122)가 이미지적으로 훨씬 더 잘 각인될 수 있다.
레이저를 연속적으로 출력할 지 불연속적으로 출력할 지의 여부는 사용자의 명령에 따라 수동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고, 카메라(100)에 센서가 장착되고 상기 센서의 판단에 따라 자동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한편, 도 2 및 도 3에서는 촬영 가능 범위(122)를 표시할 때 포커싱 포인터(120)를 계속적으로 표시하였지만, 포커싱 포인터(120)는 최대 촬영 가능 범위(122c)가 형성된 후에는 표시되지 않을 수 있다. 포커싱 포인터(120)가 표시되지 않아도 사용자가 이미 피사체(200)로 포커싱되어 있음을 인지하고 있고, 촬영 가능 범위(122c) 내에서 피사체(200)가 명확하게 시각적으로 보여지기 때문이다.
또한, 위에서는 촬영 가능 범위(122)의 확대/축소에 대하여 언급하였지만, 사용자가 피사체(200)의 위치를 조정하고자 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피사체(200)가 구도 내에서 중앙이 아닌 우측에 위치시키길 원하면, 사용자가 포커싱 포인터(120)를 좌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으며, 이 경우 촬영 가능 범위(122)가 자동으로 포커싱 포인터(120)를 따라서 이동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포커싱 포인터(120) 및 촬영 가능 범위(122)를 조정하여 원하는 구도 및 피사체(200)의 상대적인 크기를 실현할 수 있다.
게다가, 카메라(100)에는 인물 촬영 모드, 파노라마 모드 등 다양한 모드들이 설정되어 있는데, 이러한 모드에 따라 포커싱 포인터(120)의 형상 또는 색상, 촬영 가능 범위(122)의 사이즈 또는 레이저의 색상 등이 달라질 수 있다. 이러한 기능은 모드에 따라 최적의 촬영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도 있고, 사용자가 자신이 어떤 모드를 선택했는지도 인지할 수 있게 하여 준다.
물론, 모드의 선택은 사용자가 카메라(100)를 조작을 통하여 이루어질 수도 있지만, 사용자의 움직임에 따라 자동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어떤 방식으로 모드가 선택되든, 선택된 모드에 따라 포커싱 포인터(120) 또는 촬영 가능 범위(122)가 가변될 수 있다.
이하, 자동 포커싱 및 촬영 가능 범위 설정이 가능한 카메라(100)의 물리적 구조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술하겠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레이저 발생기들의 배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의 (A)를 참조하면, 카메라(100)는 본체(100) 및 줌인/아웃되는 렌즈(112)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자동 포커싱을 위하여 제 1 광(제 1 레이저)를 발생시키는 제 1 광학 장치들, 예를 들어 제 1 레이저 발생기(502) 및 촬영 가능 범위 설정을 위하여 제 2 광들(제 2 레이저들)을 발생시키는 제 2 광학 장치들, 예를 들어 제 2 레이저 발생기들(510, 512, 514 및 516)은 본체(110)의 전면측 또는 렌즈(112)의 전면측에 형성될 수 있다. 실제 구현을 고려하면, 레이저 발생기들(502, 510, 512, 514 및 516)은 줌인/아웃되는 렌즈(112)보다는 본체(110)의 전면측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레이저 발생기들(502, 510, 512, 514 및 516)은 렌즈 영역(500)의 외부에 배치될 수 있다.
제 1 레이저 발생기(502)는 제 2 레이저 발생기들(510 및 516)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한편,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피사체에 의해 반사된 제 1 레이저의 반사광을 수광할 수 있는 수광부가 본체(110)의 전면측에 더 형성될 수도 있다. 이는 카메라(100)와 피사체 사이의 거리를 측정하기 위해서이다.
제 2 레이저 발생기들(502)은 도 5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각형 촬영 가능 범위를 형성하기 위하여 사각형 형태로 배열될 수 있다.
특히, 촬영 가능 범위의 확대/축소를 위하여, 제 2 레이저 발생기들(502)은 틸팅 가능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즉, 제 2 레이저 발생기들(502)는 본체(110)에 고정된 상태로 촬영 가능 범위에 맞춰서 틸팅될 수 있다.
정리하면, 본 실시예의 레이저 발생기들은 카메라(100)에 직접적으로 설치되며, 틸팅 가능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위에서는, 사각형의 촬영 가능 범위를 예로 하였으나, 다른 형태로 촬영 가능 범위가 설정될 수 있으며, 상기 촬영 가능 범위에 맞춰서 레이저 발생기들의 배열 및 틸팅 구조가 가변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레이저 발생기들의 배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자동 포커싱을 위한 제 1 레이저 발생기(600)는 본체 또는 렌즈에서 제 2 레이저 발생기들(602 및 608)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제 2 레이저 발생기들(602, 604, 606 및 608)은 사각형 형태로 배열되되, 해당 가이드(610, 612, 614 또는 616) 상에서 이동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제 2 레이저 발생기들(602, 604, 606 및 608)은 촬영 가능 범위를 축소시킬 때 해당 가이드(610, 612, 614 및 616)를 따라서 중앙 방향으로 이동하고, 촬영 가능 범위를 확대시킬 때 해당 가이드(610, 612, 614 및 616)를 따라서 외곽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즉, 촬영 가능 범위의 확대/축소는 제 2 레이저 발생기들(602, 604, 606 및 608)을 가이드들(610, 612, 614 및 616)을 따라서 이동시킴에 의해 실현될 수 있다.
물론, 제 2 레이저 발생기들(602, 604, 606 및 608)은 정확한 촬영 가능 범위 설정을 위하여 틸팅 가능한 추가 구조를 가질 수도 있다. 이 경우, 원하는 촬영 가능 범위를 형성하기 위하여, 제 2 레이저 발생기들(602, 604, 606 및 608)은 가이드들(610, 612, 614 및 616)을 따라서 이동하면서 자동 틸팅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레이저 발생기들의 배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의 (A) 및 (B)를 참조하면, 바디(710)에 제 1 레이저 발생기(720) 및 제 2 레이저 발생기들(722, 724, 726 및 728)이 형성된 구조물(700)이 렌즈(112)에 결합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즉, 레이저 발생기들이 카메라(100)에 직접적으로 형성되었던 다른 실시예들과 달리, 본 실시예에서는 레이저 발생기들(720, 722, 724, 726 및 728)이 별도의 구조물(700)에 형성되며, 상기 구조물이 카메라(100)에 결합될 수 있다. 결합 방법으로는 구조물(710)의 일부가 렌즈(112)에 부착되는 방법 등과 같은 다양한 결합 방법들이 사용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를 이용한 사진 촬영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이전 실시예들에서와 달리, 본 실시예의 카메라는 복수의 포커싱 포인터들, 바람직하게는 2개의 포커싱 포인터들(800 및 802)을 구현할 수 있다.
복수이 포커싱 포인터들은 사용자가 복수의 피사체들을 기준으로 하여 구도를 잡기 위해 필요하다. 예를 들어, 피사체들의 중앙 지점이 사진의 중앙이 되도록 만들면, 복수의 피사체들이 구도의 중심이 될 수 있다. 이는 2개의 포커싱 포인터들(800 및 802)을 상기 피사체들에 대응하여 형성함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피사체들은 사진에서 중앙을 기준으로 좌측 및 우측에 각기 배열된다.
복수의 포커싱 포인터들을 이용하여 사진 구도를 형성하는 방법은 하나의 포커싱 포인터를 이용하여 해당 피사체를 중심으로 구도를 형성한 사진에 비하여 특정 피사체가 덜 부각되겠지만 복수의 피사체들의 사진에서 의미있게 부각되어 균형감이 더 돋보이게 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카메라가 제 1 레이저를 제 1 피사체로 조사하여 제 1 포커싱 포인터를 형성하고, 그런 후 상기 제 1 레이저를 제 2 피사체로 조사하여 제 2 포커싱 포인터를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포커싱 포인터의 형성은 상기 제 1 레이저가 해당 피사체로 조사된 후 특정 버튼 클릭 등 사용자의 명령이 입력됨에 수동으로 이루어지거나 상기 제 1 레이저가 상기 피사체로 기설정 시간 이상 지속적으로 조사되었을 때 자동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 1 레이저가 상기 제 1 피사체와 상기 제 2 피사체를 번갈아서 기설정 시간 또는 회수 이상 조사한 경우, 상기 피사체들로 포커싱 포인터들(800 및 802)이 자동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포커싱 포인터들을 형성한 후, 최대 촬영 가능 범위 또는 최소 촬영 가능 범위(804)가 형성될 수 있다.
정리하면, 본 실시예의 카메라를 이용한 사진 촬영 방법은 복수의 포커싱 포인터들을 형성한 후 촬영 가능 범위를 형성할 수 있다.
위에서는, 2개의 포커싱 포인터들만을 예로 하였으나, 3개 이상의 포커싱 포인터들이 형성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카메라(100)는 제어부(900), 렌즈(112), 광학 장치들(902), 촬영부(904), 포커싱 제어부(906), 촬영 가능 범위 제어부(908) 및 저장부(910)를 포함할 수 있다.
렌즈(112)는 본체(100)에 연결되며, 렌즈 기능을 수행한다.
광학 장치들(902)은 포커싱 포인터 또는 촬영 가능 범위 설정을 위한 광을 출력하고 제어하며, 예를 들어 레이저 발생기들이다.
촬영부(904)는 사진 촬영과 관련된 전반의 기능을 제어한다.
포커싱 제어부(906)는 포커싱 포인터를 형성하는 동작을 제어한다.
촬영 가능 범위 제어부(908)는 최대 촬영 가능 범위, 최소 촬영 가능 범위 등 다양한 촬영 가능 범위의 구현을 위한 동작을 제어한다.
저장부(910)는 포커싱 설정, 촬영 가능 범위 설정 등과 같은 각종 데이터를 저장한다.
제어부(900)는 카메라(100)의 구성요소들의 동작을 전반적으로 제어한다.
한편, 전술된 실시예의 구성 요소는 프로세스적인 관점에서 용이하게 파악될 수 있다. 즉, 각각의 구성 요소는 각각의 프로세스로 파악될 수 있다. 또한 전술된 실시예의 프로세스는 장치의 구성 요소 관점에서 용이하게 파악될 수 있다.
또한 앞서 설명한 기술적 내용들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실시예들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하드웨어 장치는 실시예들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상기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예시의 목적을 위해 개시된 것이고, 본 발명에 대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안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부가가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수정, 변경 및 부가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100 : 카메라 110 : 본체
112 : 렌즈 120 : 포커싱 포인터
122a : 최소 촬영 가능 범위 122b : 촬영 가능 범위
122c : 최대 촬영 가능 범위

Claims (20)

  1. 레이저를 이용하여 촬영 기기의 외부로 사진이 촬영될 범위를 표시하는 촬영 가능 범위를 형성하는 단계;
    촬영 기기에 장착된 제 1 레이저 발생기로부터 출력된 제 1 레이저를 이용하여 피사체로의 포커싱 포인터를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형성된 촬영 가능 범위에 기초하여 촬영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촬영 가능 범위는 상기 포커싱 포인터 형성 후 상기 촬영 기기에 장착된 제 2 레이저 발생기들로부터 출력된 제 2 레이저들을 이용함에 의해 시각적으로 표시되고, 상기 포커싱 포인터는 상기 촬영 기기와 상기 피사체 사이의 거리에 따라 시각적으로 표시되며,
    상기 촬영 전 상기 촬영 가능 범위의 확대 또는 축소가 가능하며,
    상기 촬영 기기에는 움직임 센서가 설치되며,
    상기 촬영 가능 범위의 가변은 상기 포커싱 포인터 형성 후 상기 촬영 기기를 상기 피사체로부터 멀어지도록 움직이는 것을 상기 움직임 센서가 감지하면 상기 촬영 가능 범위가 축소되고, 상기 촬영 기기를 상기 피사체를 향해 움직이는 것을 상기 움직임 센서가 감지하면 상기 촬영 가능 범위가 확대되고,
    상기 촬영 기기는 상기 촬영 기기의 외곽 부분에 사각형 형태로 배열된 가이드들을 포함하며,
    상기 제 2 레이저 발생기들은 상기 가이드들을 따라서 이동 가능하고,
    상기 가이드들은 상기 촬영 기기의 중심 부분을 향하여 상기 제 2 레이저 발생기들의 이동 경로를 형성하며,
    상기 촬영 가능 범위의 축소는 상기 제 2 레이저 발생기들이 상기 가이드들을 따라서 상기 중심 부분을 향하여 이동함에 의해 이루어지고,
    상기 촬영 가능 범위의 확대는 상기 제 2 레이저 발생기들이 상기 가이드들을 따라서 상기 외곽 부분을 향하여 이동함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영 기기를 이용한 촬영 방법.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촬영 기기가 실내에서 촬영할 경우 상기 제 2 레이저 발생기들은 연속적으로 상기 제 2 레이저들을 출력하며, 상기 촬영 기기가 야외에서 촬영할 경우 상기 제 2 레이저 발생기들은 불연속적으로 상기 제 2 레이저들을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영 기기를 이용한 촬영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피사체로부터 반사된 제 1 레이저의 반사광을 통한 상기 피사체의 위치 또는 거리 측정 후 상기 위치 또는 거리를 보정하며, 상기 보정된 위치 또는 거리로 상기 포커싱 포인터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영 기기를 이용한 촬영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레이저 발생기들 중 적어도 하나는 틸팅 가능한 구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영 기기를 이용한 촬영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포커싱 포인터 형성 후 상기 포커싱 포인터의 이동이 가능하고, 상기 포커싱 포인터의 이동시 해당 촬영 가능 범위도 함께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영 기기를 이용한 촬영 방법.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움직임 센서가 설치된 본체;
    상기 본체에 결합된 렌즈;
    상기 본체에 형성된 제 1 레이저 발생기; 및
    상기 본체에 형성된 제 2 레이저 발생기들을 포함하되,
    상기 제 1 레이저 발생기는 제 1 레이저를 이용하여 피사체로의 포커싱 포인터를 형성하고,
    상기 제 2 레이저 발생기들은 제 2 레이저들을 피사체의 주변으로 조사함에 의해 촬영 가능 범위를 시각적으로 표시하며,
    상기 촬영 가능 범위는 사용자의 움직임에 의해 가변 가능하고,
    상기 촬영 가능 범위의 가변은 상기 포커싱 포인터 형성 후 상기 본체를 상기 피사체로부터 멀어지도록 움직이는 것을 상기 움직임 센서가 감지하면 상기 촬영 가능 범위가 축소되고, 상기 본체를 상기 피사체를 향해 움직이는 것을 상기 움직임 센서가 감지하면 상기 촬영 가능 범위가 확대되며,
    상기 본체는 상기 본체의 외곽 부분에 사각형 형태로 배열된 가이드들을 포함하며,
    상기 제 2 레이저 발생기들은 상기 가이드들을 따라서 이동 가능하고,
    상기 가이드들은 상기 본체의 중심 부분을 향하여 상기 제 2 레이저 발생기들의 이동 경로를 형성하며,
    상기 촬영 가능 범위의 축소는 상기 제 2 레이저 발생기들이 상기 가이드들을 따라서 상기 중심 부분을 향하여 이동함에 의해 이루어지고,
    상기 촬영 가능 범위의 확대는 상기 제 2 레이저 발생기들이 상기 가이드들을 따라서 상기 외곽 부분을 향하여 이동함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영 기기.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KR1020170083502A 2017-06-30 2017-06-30 광학 기술을 이용하는 촬영 기기 및 이를 이용한 촬영 방법 KR1018705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3502A KR101870574B1 (ko) 2017-06-30 2017-06-30 광학 기술을 이용하는 촬영 기기 및 이를 이용한 촬영 방법
PCT/KR2018/007324 WO2019004736A1 (ko) 2017-06-30 2018-06-28 광학 기술을 이용하는 촬영 기기 및 이를 이용한 촬영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3502A KR101870574B1 (ko) 2017-06-30 2017-06-30 광학 기술을 이용하는 촬영 기기 및 이를 이용한 촬영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70574B1 true KR101870574B1 (ko) 2018-07-23

Family

ID=631027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83502A KR101870574B1 (ko) 2017-06-30 2017-06-30 광학 기술을 이용하는 촬영 기기 및 이를 이용한 촬영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870574B1 (ko)
WO (1) WO2019004736A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06388A (ja) * 2004-10-06 2006-04-20 Olympus Corp 撮影範囲投影表示装置及び電子機器
JP2007057553A (ja) * 2005-08-22 2007-03-08 Konica Minolta Photo Imaging Inc 撮像装置
JP2012042583A (ja) * 2010-08-17 2012-03-01 Nikon Corp 電子機器及びカメラ
JP2017034576A (ja) * 2015-08-05 2017-02-09 株式会社日立製作所 画像撮影システム、撮影装置、および画像処理装置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55191A (ko) * 1999-02-04 2000-09-05 이중구 고정된 시야내에서 촬영 범위가 가변되도록 하는 카메라 및 그 방법
KR100767108B1 (ko) * 2006-08-11 2007-10-17 삼성전자주식회사 촬영모드에 따라 다른 방식으로 영상처리하는 이동형촬영장치 및 그 방법
KR101011803B1 (ko) * 2009-05-14 2011-02-07 경민선 촬영 영역 표시 기능을 구비하는 카메라
KR20150009731A (ko) * 2013-07-17 2015-01-27 권오봉 레이저 포인터가 부착된 스마트 기기 및 그를 이용한 거리/크기 측정 방법
KR101523046B1 (ko) * 2014-10-27 2015-05-27 이주성 영상처리기반의 거리 측정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06388A (ja) * 2004-10-06 2006-04-20 Olympus Corp 撮影範囲投影表示装置及び電子機器
JP2007057553A (ja) * 2005-08-22 2007-03-08 Konica Minolta Photo Imaging Inc 撮像装置
JP2012042583A (ja) * 2010-08-17 2012-03-01 Nikon Corp 電子機器及びカメラ
JP2017034576A (ja) * 2015-08-05 2017-02-09 株式会社日立製作所 画像撮影システム、撮影装置、および画像処理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9004736A1 (ko) 2019-01-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032603B2 (ja) 3次元計測装置
USRE46976E1 (en) Image processing device, image processing method, and image processing program
US20210302753A1 (en) Control apparatus, control method, and program
JP2016114668A (ja) 撮像装置および制御方法とプログラム
JP2015119277A (ja) 表示機器、表示方法及び表示プログラム
JP6035947B2 (ja) 画像表示装置、画像表示方法および画像表示プログラム
JP2010147715A (ja) 撮像装置
US10587809B2 (en) Continuous shooting device, continuous shooting method and continuous shooting control method using preliminary and calculated parameter values
JP4764959B1 (ja) 撮影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CN107517345B (zh) 拍摄预览方法及拍摄设备
JP2007324976A (ja) デジタルカメラ
CN111699412B (zh) 利用激光跟踪测距仪的驱动测量、来计算三维数值驱动控制仪器的三维驱动数值的方法
JP6326631B2 (ja) 撮像装置
KR101870574B1 (ko) 광학 기술을 이용하는 촬영 기기 및 이를 이용한 촬영 방법
JP6261366B2 (ja) 撮影装置、ストロボ画像事前取得方法及びストロボ画像事前取得プログラム
JP6834988B2 (ja) 制御装置
JP2009092409A (ja) 3次元形状測定装置
JP2005308777A (ja) 撮影装置及びそのプログラム
JP2005266223A (ja) カメラ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JP2003037767A (ja) デジタルカメラ
JP2015149611A (ja) 撮影機器、撮影支援方法及び撮影支援プログラム
JP5353126B2 (ja) 撮像装置
KR101700360B1 (ko) 공통화각 표시 기능을 갖는 디지털 촬영 장치, 이의 제어 방법 및 상기 방법을 기록한 기록 매체
JP2012060552A (ja) カメラおよび電子機器
US7751698B2 (en) Photographic device with image generation func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