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70384B1 - 전해수 생성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물걸레 청소기 - Google Patents

전해수 생성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물걸레 청소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70384B1
KR101870384B1 KR1020160161991A KR20160161991A KR101870384B1 KR 101870384 B1 KR101870384 B1 KR 101870384B1 KR 1020160161991 A KR1020160161991 A KR 1020160161991A KR 20160161991 A KR20160161991 A KR 20160161991A KR 101870384 B1 KR101870384 B1 KR 1018703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de
fastening
electrolytic water
housing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619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62088A (ko
Inventor
정우중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디앤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디앤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디앤티
Priority to KR10201601619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70384B1/ko
Publication of KR201800620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620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703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703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3/00Implement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3/10Scrubbing; Scouring; Cleaning; Polishing
    • A47L13/20Mops
    • A47L13/22Mops with liquid-feeding devic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6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 C02F1/461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 C02F1/46104Devices therefor; Their operating or servicing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2601/00Washing method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particular treatment
    • A47L2601/06Electrolysed water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6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 C02F1/461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 C02F1/46104Devices therefor; Their operating or servicing
    • C02F1/46109Electrodes
    • C02F2001/46119Cleaning the electrod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46Apparatus for electrochemical processes
    • C02F2201/461Electrolysis apparatus
    • C02F2201/46105Details relating to the electrolytic devices
    • C02F2201/4612Controlling or monitoring
    • C02F2201/46125Electrical variables
    • C02F2201/4613Inversing polarity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Water Treatment By Electricity Or Magnetism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해수 생성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물걸레 청소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물걸레 청소기의 본체부에 설치되고, 내부로 전해질 용액이 유입되는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고, 한 쌍이 양극 또는 음극으로 각각 형성되어 유입된 상기 전해질 용액을 전기분해하여 전해수를 생성하는 전극 어셈블리를 포함하고, 상기 전극 어셈블리는 표면에 부유물이 석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서로의 극성이 바뀌도록 제어될 수 있다.

Description

전해수 생성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물걸레 청소기{Apparatus for manufacturing ionic water and wet cleaner including the same}
본 발명은 전해수 생성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물걸레 청소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천연살균수인 전해수를 생성하여 청소부위에 분사함으로써 살균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는 전해수 생성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물걸레 청소기에 관한 것이다.
바닥면을 청소하기 위한 도구로서 다양한 종류의 진공청소기 및 스팀청소기가 이용되고 있다. 상기 스팀청소기는 바닥면에 스팀을 분사하면서 걸레로 닦아주는 장치로서, 바닥면을 스팀을 이용하여 깨끗하게 청소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하지만, 최근 들어 아파트 등의 바닥이 장판이 아닌 강화마루 등으로 깔리다 보니 스팀청소기를 이용할 경우 마루가 뒤틀리거나 변색되는 문제가 있었다.
최근에는 스팀이 분사되지는 않지만 바닥면을 간편하게 걸레질할 수 있는 다양한 타입의 물걸레 청소기가 출시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물걸레 청소기의 경우 사용자가 직접 물에 적신 걸레를 하부에 부착하여 청소를 하기 때문에 살균 효과는 스팀청소기에 비하여 떨어지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걸레를 이용하여 청소를 하면서 살균 기능도 수행할 수 있는 물걸레 청소기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531229호(2015.06.18. 등록)
본 발명은 천연살균수인 전해수를 생성하여 청소부위에 분사함으로써 살균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는 전해수 생성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물걸레 청소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의한 전해수 생성장치는 물걸레 청소기의 본체부에 설치되고, 내부로 소금물이 유입되는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고, 한 쌍이 양극 또는 음극으로 각각 형성되어 유입된 상기 소금물을 전기분해하여 전해수를 생성하는 전극 어셈블리를 포함하고, 상기 전극 어셈블리는 표면에 부유물이 석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서로의 극성이 바뀌도록 제어될 수 있다.
상기 전극 어셈블리는, 양극 또는 음극이 형성되는 제1 전극; 상기 제1 전극과 다른 극성을 가지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1 전극과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2 전극; 및 상기 제1 전극 및 제2 전극을 차례로 관통하여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체결시키는 한 쌍의 체결유닛을 포함하고, 한 쌍의 상기 체결유닛은 상기 제1 전극 또는 제2 전극에만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체결될 수 있다.
상기 체결유닛은, 상기 제1 전극에만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상기 제1 전극에 체결되는 제1 체결유닛; 및 상기 제2 전극에만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상기 제2 전극에 체결되는 제2 체결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체결유닛은, 상기 제1 전극과 접촉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 체결너트; 상기 제1 전극에 형성된 제1 체결공을 관통하여 상기 제1 체결너트와 체결되고, 상기 제2 전극과 접촉하지 않고 상기 제2 전극에 형성된 제2 통공을 관통하는 제1 체결볼트; 및 상기 제1 전극과 제2 전극의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제1 체결볼트의 외면을 감싸는 제1 패킹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통공은 상기 제1 체결공보다 상대적으로 큰 직경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2 체결유닛은, 상기 제2 전극과 접촉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2 체결너트; 상기 제2 전극에 형성된 제2 체결공을 관통하여 상기 제2 체결너트와 체결되고, 상기 제1 전극과 접촉하지 않고 상기 제1 전극에 형성된 제1 통공을 관통하는 제2 체결볼트; 및 상기 제1 전극과 제2 전극의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제2 체결볼트의 외면을 감싸는 제2 패킹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통공은 상기 제2 체결공보다 상대적으로 큰 직경을 가질 수 있다.
상기 하우징의 상부에는 마개가 결합되는데, 상기 마개에는 상기 하우징 내부의 가스를 배출시키기 위한 가스홀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의 하부에는, 상기 하우징 내부의 전해수를 배출시키기 위한 배출포트; 및 상기 하우징에서 생성된 전해수를 이동시키기 위해 워터펌프와 연결되는 연결포트가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의한 물걸레 청소기는 내부에 제어부가 설치되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일측에 설치되는 전해수 생성장치; 및 상기 본체부의 하부에 설치되고, 상기 제어부의 동작에 의해 회전되는 회전판이 구비되어 바닥을 청소하는 헤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본체부의 내부에는 상기 전해수 생성장치와 워터펌프 사이의 전해수 공급을 일시적으로 차단하기 위한 차단밸브가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천연살균수인 전해수를 생성하여 청소부위에 분사함으로써 살균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걸레 청소기의 후면을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해수 생성장치의 사시도.
도 3은 전극 어셈블리의 분해사시도.
도 4는 전극 어셈블리가 결합된 것을 보인 정면도.
도 5는 전해수 생성장치가 물걸레 청소기의 본체부에 설치된 것을 보인 사시도.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전해수 생성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물걸레 청소기의 일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걸레 청소기의 후면을 보인 사시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물걸레 청소기는 내부에 제어부(12)가 설치되는 본체부(10); 본체부(10)의 일측에 설치되는 전해수 생성장치(30); 및 본체부(10)의 하부에 설치되고, 제어부(12)의 동작에 의해 회전되는 회전판(22)이 구비되어 바닥을 청소하는 헤드부(20)를 포함할 수 있다.
본체부(10)는 상하방향으로 긴 바 형상으로 만들어진다. 그리고, 본체부(10)의 상부에는 손잡이가 구비되어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도록 하며, 사용자는 손잡이를 파지한 상태로 물걸레 청소기를 이동시키며 청소를 하게 된다. 도면에는 구체적으로 도시하지 않았지만, 손잡이 부분에는 전원버튼이 구비되고, 전원버튼은 전해수의 생성 및 회전판(22)의 동작을 온오프시킬 수 있다.
헤드부(20)는 실질적으로 걸레가 부착되어 청소를 하는 부분이다. 이를 위해 헤드부(20)의 하면에는 한 쌍의 회전판(22)이 회전가능하게 구비되고, 회전판(22)에는 각각 걸레가 부착되어 함께 회전되면서 바닥을 닦게 된다. 회전판(22)의 작동은 이미 공지된 기술이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전해수 생성장치(30)는 물걸레 청소기의 본체부(10) 후면에 설치된다. 전해수 생성장치(30)는 물걸레 청소기의 후면 부분에 약간 돌출된 공간에 설치될 수 있다. 전해수 생성장치(30)는 살균효과를 가진 전해수를 생성하는 부분으로서, 본 실시예에서 전해수 생성장치(30)는 자체적으로 전해수만 생성하고 직접 전해수를 분사하지는 않는다. 전해수 생성장치의 구체적인 구성에 대해서는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해수 생성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3은 전극 어셈블리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4는 전극 어셈블리가 결합된 것을 보인 정면도이고, 도 5는 전해수 생성장치가 물걸레 청소기의 본체부에 설치된 것을 보인 사시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전해수 생성장치는 물걸레 청소기의 본체부(10)에 설치되고, 내부로 전해질 용액이 유입되는 하우징(31,32); 및 하우징(31,32)의 내부에 설치되고, 한 쌍이 양극 또는 음극으로 각각 형성되어 유입된 전해질 용액을 전기분해하여 전해수를 생성하는 전극 어셈블리(40)를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31,32)은 내부에 전해수 생성을 위한 소정의 공간을 가지며, 상부 하우징(31)과 하부 하우징(32)으로 구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하우징(31,32)을 2개로 구성한 것은 내부에 전극 어셈블리(40)를 설치한 상태에서 양자를 융착 등을 이용하여 결합하기 위함이다.
하우징(31,32)은 내부에 물 및 전해질을 포함한 전해질 용액을 공급받아 저장한다. 여기에서, 물은 수돗물 등의 식수가 사용되고, 전해질은 나트륨이온과 염화이온을 갖는 소금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즉, 하우징(31,32)은 소금물을 저장하는 물통으로 사용된다. 그리고, 도면에는 구체적으로 도시되지 않았지만 하우징(31,32)의 주변에는 LED 램프가 설치되어 전해수가 생성될 때 광을 조사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되면, 전해수가 생성될 때 은은한 느낌을 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부 하우징(31)의 상부에는 하우징(31,32)을 차폐하기 위한 마개(34)가 구비된다. 마개(34)는 상부 하우징(31)에 나사 형태로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 마개(34)에는 하우징(31,32) 내부의 가스를 배출시키기 위한 가스홀(35)이 형성될 수 있다.
마개(34)가 하우징(31,32)을 밀봉한 상태에서 전해수가 생성되면 가스에 의해 내부압력이 높아질 수 있다. 이때, 전해수 생성장치(30)와 연결된 워터펌프(14)에서 가스압력을 견디지 못하면 전해수가 헤드부(2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배출된 전해수는 정상적인 동작에 의해 배출되는 것이 아니므로 전체적인 제품의 품질 저하를 가져올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마개(34)에 가스홀(35)을 형성하여 내부에서 발생한 가스가 필요에 따라 쉽게 배출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물론, 아래에서 설명할 차단밸브(미도시)가 전해수 생성장치와 워터펌프(14) 사이에 구비되면 가스홀(35)은 굳이 형성되지 않아도 될 수 있다.
하부 하우징(32)의 하부에는 전해수를 배출시키기 위한 배출포트(36); 및 전해수를 이동시키기 위해 워터펌프(14)와 연결되는 연결포트(38)가 구비된다. 배출포트(36)는 도 5에 도시된 배출마개(90) 쪽과 연결되는 라인에 연결되어 전해수를 배출시키게 된다. 즉, 사용자는 전해수를 생성하여 사용하는 과정에서 청소가 완료되거나 남은 전해수를 다른 청소용도로 사용할 때 배출마개(90)를 열어 전해수를 배출시킬 수 있다. 연결포트(38)는 도 2에 도시된 워터펌프(14)와 라인을 연결하기 위해 구비되는 부분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하우징(31,32)의 내부에서 생성된 전해수는 직접 외부로 분사되지 않고 워터펌프(14)를 통해 헤드부(20)로 이동되어 분사된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전극 어셈블리는, 양극 또는 음극이 형성되는 제1 전극(50); 제1 전극(50)과 다른 극성을 가지도록 형성되고, 제1 전극(50)과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2 전극(60); 및 제1 전극(50) 및 제2 전극(60)을 차례로 관통하여 하우징(31,32)의 내부에 체결시키는 한 쌍의 체결유닛(70,72,74,80,82,84, 이하에서는 편의상 도면부호를 생략함)을 포함할 수 있다.
체결유닛은 본 실시예에서 제1 전극(50) 또는 제2 전극(60)에만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체결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이하의 체결유닛의 구체적인 구성을 살펴보면서 설명하기로 한다.
제1 전극(50) 및 제2 전극(60)은 얇은 판상으로 만들어지며,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가지도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제1 전극(50) 및 제2 전극(60)을 이와 같이 수평방향으로 배치한 것은, 제1 전극(50) 및 제2 전극(60)을 수직방향으로 배치하게 되면 하우징(31,32) 내부 공간을 많이 차지하게 되고 전해수가 생성되는 과정을 사용자가 관찰하는 것을 가릴 수 있기 때문이다.
하우징(31,32)의 내부에 소금물이 유입된 상태에서 제어부(12)가 제1 전극(50) 및 제2 전극(60)으로 전류를 공급하면 극성을 띠면서 전해질 용액을 전기분해하게 된다. 전기분해된 전해질 용액은 전해수로 생성되며, 이는 워터펌프(14)를 통해 헤드부(20)로 이동되어 분사된다.
한편, 제1 전극(50) 및 제2 전극(60)은 표면에 부유물이 석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서로의 극성이 바뀌도록 제어될 수 있다. 전해수 생성장치에서 전기분해에 의하여 전해수를 생성하는 과정에서 제1 전극(50) 및 제2 전극(60)의 표면에는 소금 결정체와 같은 부유물이 석출되어 달라붙을 수 있다. 이와 같이 되면, 전해수 생성효율이 떨어지게 되고, 제1 전극(50) 및 제2 전극(60)을 세척하는 데에도 어려움이 있을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제1 전극(50) 및 제2 전극(60)의 극성을 소정의 시간 간격으로 바꾸도록 제어하도록 구성하였다. 제1 전극(50) 및 제2 전극(60)의 극성이 바뀌면 제1 전극(50) 및 제2 전극(60) 주변의 부유물이 순환되기 때문에, 부유물이 석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1 전극(50) 및 제2 전극(60)의 극성 전환은 제어부(12)에 구비된 릴레이(미도시)와 같은 부품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체결유닛은, 제1 전극(50)에만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제1 전극(50)에 체결되는 제1 체결유닛(70,72,74); 및 제2 전극(60)에만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제2 전극(60)에 체결되는 제2 체결유닛(80,82,84)을 포함할 수 있다. 각각의 체결유닛은 볼트, 너트, 패킹으로 구성된다. 이하에서 설명할 체결유닛의 구성은 일 예로 제시한 것에 불과하고 각각의 전극(50,60)에만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는 구성이라면 어떠한 구성이라도 채용될 수 있다.
먼저, 제1 체결유닛(70,72,74)은, 제1 전극(50)과 접촉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 체결너트(72); 제1 전극(50)에 형성된 제1 체결공(52)을 관통하여 제1 체결너트(72)와 체결되고, 제2 전극(60)과 접촉하지 않고 제2 전극(60)에 형성된 제2 통공(64)을 관통하는 제1 체결볼트(70); 및 제1 전극(50)과 제2 전극(60)의 사이에 배치되어 제1 체결볼트(70)의 외면을 감싸는 제1 패킹(74)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2 체결유닛(80,82,84)은, 제2 전극(60)과 접촉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2 체결너트(82); 제2 전극(60)에 형성된 제2 체결공(62)을 관통하여 제2 체결너트(82)와 체결되고, 제1 전극(50)과 접촉하지 않고 제1 전극(50)에 형성된 제1 통공(64)을 관통하는 제2 체결볼트(80); 및 제1 전극(50)과 제2 전극(60)의 사이에 배치되어 제2 체결볼트(80)의 외면을 감싸는 제2 패킹(84)을 포함할 수 있다.
위의 구성 중에 체결볼트(70,80) 및 체결너트(72,82)는 제1 전극(50) 또는 제2 전극(6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체결되는 부분이다. 즉, 체결볼트(70,80)는 전극(50,60)에 체결된 상태에서 하부 하우징(32)의 외부로 노출되고, 노출된 부분은 제어부(12)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이다.
이때,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체결볼트(70)는 제2 전극(60)과는 접촉하지 않도록 제2 통공(64)을 관통하게 되고, 제2 체결볼트(80)는 제1 전극(50)과는 접촉하지 않도록 제1 통공(54)을 관통하게 된다. 이는 제1 통공(54) 및 제2 통공(64)이 제1 체결공(52) 및 제2 체결공(62)보다 상대적으로 큰 직경을 가지도록 형성되기 때문이다.
위에서 설명한 체결볼트(70,80) 및 체결너트(72,82)는 전기전도성이 뛰어나고 부식에 강한 티타늄 소재로 만들어질 수 있다.
한편, 본 도면에는 구체적으로 도시하지 않았지만, 도 2를 참조하면, 본체부(10)의 내부에는 전해수 생성장치와 워터펌프(14) 사이의 전해수 공급을 일시적으로 차단하기 위한 차단밸브(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하우징(31,32)이 밀봉된 상태에서 전해수가 생성되면 가스에 의해 내부압력이 높아질 수 있는데, 이때 워터펌프(14)에서 가스압력을 견디지 못하면 전해수를 헤드부(20)를 통해 외부로 배출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일정 가스압력이 높아질 경우 차단밸브가 작동하도록 하여 워터펌프(14) 쪽에 과도하게 압력이 작용하는 것을 방지하고자 한 것이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특정의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 본체부 12 : 제어부
14 : 워터펌프 20 : 헤드부
22 : 회전판 30 : 전해수 생성장치
31 : 상부 하우징 32 : 하부 하우징
34 : 마개 35 : 가스홀
36 : 배출포트 38 : 연결포트
40 : 전극 어셈블리 50 : 제1 전극
52 : 제1 체결공 54 : 제1 통공
60 : 제2 전극 62 : 제2 체결공
64 : 제2 통공 70 : 제1 체결볼트
72 : 제1 체결너트 74 : 제1 패킹
80 : 제2 체결볼트 82 : 제2 체결너트
84 : 제2 패킹 90 : 배출마개

Claims (11)

  1. 물걸레 청소기의 본체부에 설치되고, 내부로 전해질 용액이 유입되는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고, 한 쌍이 양극 또는 음극으로 각각 형성되어 유입된 상기 전해질 용액을 전기분해하여 전해수를 생성하는 전극 어셈블리를 포함하고,
    상기 전극 어셈블리는 표면에 부유물이 석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서로의 극성이 바뀌도록 제어되며,
    상기 전극 어셈블리는,
    양극 또는 음극이 형성되는 제1 전극;
    상기 제1 전극과 다른 극성을 가지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1 전극과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2 전극; 및
    상기 제1 전극 및 제2 전극을 차례로 관통하여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체결시키는 한 쌍의 체결유닛을 포함하고,
    한 쌍의 상기 체결유닛은 상기 제1 전극 또는 제2 전극에만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체결되며,
    상기 체결유닛은,
    상기 제1 전극에만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상기 제1 전극에 체결되는 제1 체결유닛; 및
    상기 제2 전극에만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상기 제2 전극에 체결되는 제2 체결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체결유닛은,
    상기 제1 전극과 접촉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 체결너트;
    상기 제1 전극에 형성된 제1 체결공을 관통하여 상기 제1 체결너트와 체결되고, 상기 제2 전극과 접촉하지 않고 상기 제2 전극에 형성된 제2 통공을 관통하는 제1 체결볼트; 및
    상기 제1 전극과 제2 전극의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제1 체결볼트의 외면을 감싸는 제1 패킹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해수 생성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통공은 상기 제1 체결공보다 상대적으로 큰 직경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해수 생성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체결유닛은,
    상기 제2 전극과 접촉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2 체결너트;
    상기 제2 전극에 형성된 제2 체결공을 관통하여 상기 제2 체결너트와 체결되고, 상기 제1 전극과 접촉하지 않고 상기 제1 전극에 형성된 제1 통공을 관통하는 제2 체결볼트; 및
    상기 제1 전극과 제2 전극의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제2 체결볼트의 외면을 감싸는 제2 패킹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해수 생성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통공은 상기 제2 체결공보다 상대적으로 큰 직경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해수 생성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상부에는 마개가 결합되는데, 상기 마개에는 상기 하우징 내부의 가스를 배출시키기 위한 가스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해수 생성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하부에는,
    상기 하우징 내부의 전해수를 배출시키기 위한 배출포트; 및
    상기 하우징에서 생성된 전해수를 이동시키기 위해 워터펌프와 연결되는 연결포트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해수 생성장치.
  10. 내부에 제어부가 설치되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일측에 설치되는 제 1 항, 제 5 항, 제 6 항, 제 7 항, 제 8 항 또는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전해수 생성장치; 및
    상기 본체부의 하부에 설치되고, 상기 제어부의 동작에 의해 회전되는 회전판이 구비되어 바닥을 청소하는 헤드부를 포함하는 물걸레 청소기.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의 내부에는 상기 전해수 생성장치와 워터펌프 사이의 전해수 공급을 일시적으로 차단하기 위한 차단밸브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걸레 청소기.
KR1020160161991A 2016-11-30 2016-11-30 전해수 생성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물걸레 청소기 KR1018703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1991A KR101870384B1 (ko) 2016-11-30 2016-11-30 전해수 생성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물걸레 청소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1991A KR101870384B1 (ko) 2016-11-30 2016-11-30 전해수 생성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물걸레 청소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62088A KR20180062088A (ko) 2018-06-08
KR101870384B1 true KR101870384B1 (ko) 2018-06-27

Family

ID=626001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61991A KR101870384B1 (ko) 2016-11-30 2016-11-30 전해수 생성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물걸레 청소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70384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12457A (ko) 2018-07-27 2020-02-05 주식회사 디앤티 틸트된 듀얼 헤드부를 갖는 물걸레 청소기
KR20200061980A (ko) 2018-11-26 2020-06-03 정우중 전해수 물걸레 청소기용 물통
KR102626887B1 (ko) 2023-03-20 2024-01-19 클레온(주) 모듈화된 워터 이오나이저를 이용한 실내 노면세척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600318A (en) * 2019-07-22 2022-04-27 Thane Ip Ltd Multi-use sanitizing mop and sprayer
KR102247187B1 (ko) * 2020-04-27 2021-04-30 김승재 전해수 물걸레 청소기 및 그 구성 방법
KR102465646B1 (ko) * 2020-08-27 2022-11-11 (주)쓰리엠탑 살균수모듈을 갖는 3 몹 로봇 걸레청소기
KR102473114B1 (ko) * 2021-05-14 2022-12-01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산화환원 전해 이온수를 이용한 물걸레 청소기 및 이를 포함하는 물걸레 청소기 세트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35359A (ja) * 2001-10-31 2003-05-13 Sanyo Electric Co Ltd 洗浄機、及び電解水の生成装置
KR101387836B1 (ko) * 2012-05-15 2014-04-22 이정렬 전기 분해용 전극
KR101576189B1 (ko) * 2015-04-01 2015-12-09 주식회사 디앤티 전해세척수 생성장치가 구비된 물걸레 청소기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662782B2 (en) * 2008-09-26 2014-03-04 Bissell Homecare, Inc. Surface cleaning device with a bleach generator
KR101531229B1 (ko) 2013-12-17 2015-06-24 햄스코케이테크전해 주식회사 전해수 청소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35359A (ja) * 2001-10-31 2003-05-13 Sanyo Electric Co Ltd 洗浄機、及び電解水の生成装置
KR101387836B1 (ko) * 2012-05-15 2014-04-22 이정렬 전기 분해용 전극
KR101576189B1 (ko) * 2015-04-01 2015-12-09 주식회사 디앤티 전해세척수 생성장치가 구비된 물걸레 청소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12457A (ko) 2018-07-27 2020-02-05 주식회사 디앤티 틸트된 듀얼 헤드부를 갖는 물걸레 청소기
KR20200061980A (ko) 2018-11-26 2020-06-03 정우중 전해수 물걸레 청소기용 물통
KR102626887B1 (ko) 2023-03-20 2024-01-19 클레온(주) 모듈화된 워터 이오나이저를 이용한 실내 노면세척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62088A (ko) 2018-06-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70384B1 (ko) 전해수 생성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물걸레 청소기
BRPI0707720A2 (pt) produto de reaÇço, e, fluido
CN102292491B (zh) 结合带电活化液体的清洗系统
BRPI0707587A2 (pt) mÉtodo e aparelho para receber um lÍquido de limpeza
KR101576189B1 (ko) 전해세척수 생성장치가 구비된 물걸레 청소기
BRPI0707575A2 (pt) aparelho e mÉtodo de limpeza de superfÍcie
BRPI0707588A2 (pt) dispositivo de limpeza de superfÍcie màvel, e, mÉtodo para produzir um lÍquido eletroquimicamente ativado
KR20080090942A (ko) 세탁기
KR20110048504A (ko) 휴대 분무기용 전기분해 전지 및 dc-dc 변환기
WO2022237132A1 (zh) 清洁设备的基站及清洁系统
GB2385779A (en) Vacuum cleaner with electrolysed fluid cleaning means
BRPI0707585A2 (pt) dispositivo de limpeza de superfÍcie màvel, e, mÉtodo de limpeza de superfÍcie
JP2012501385A (ja) 電解セル及び液体を通して点灯するインジケータライトを有する装置
CN102372341A (zh) 电解离子水生成方法及其生成装置
BRPI0707717A2 (pt) aparelho e mÉtodo para produzir um lÍquido eletroquimicamente ativado
KR20080101623A (ko) 전기분해조의 자동 세척장치
CN215626968U (zh) 一种净水箱及清洁设备
KR102007787B1 (ko) 스마트 수소수 생성장치
CN211749311U (zh) 一种多喷自电解消毒扫地机
KR101493741B1 (ko) 전극 교체형 전해수 제조장치
CN209644824U (zh) 一种具有电解功能的喷洒拖把
KR200309987Y1 (ko) 전기분해장치
CN207823504U (zh) 超声波清洗槽
JPH06296967A (ja) 遊離塩素水製造方法及びその装置
KR100929118B1 (ko) 전해수 생성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