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70144B1 - 소프트웨어 정의 네트워크 모니터링 방법,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 - Google Patents

소프트웨어 정의 네트워크 모니터링 방법,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70144B1
KR101870144B1 KR1020160092525A KR20160092525A KR101870144B1 KR 101870144 B1 KR101870144 B1 KR 101870144B1 KR 1020160092525 A KR1020160092525 A KR 1020160092525A KR 20160092525 A KR20160092525 A KR 20160092525A KR 101870144 B1 KR101870144 B1 KR 1018701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interest
network
reception
cli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925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10439A (ko
Inventor
황인욱
김선호
이완신
김성민
송용주
Original Assignee
아토리서치(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토리서치(주) filed Critical 아토리서치(주)
Priority to KR10201600925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70144B1/ko
Publication of KR201800104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104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701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701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3/00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testing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3/20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testing data switching networks the monitoring system or the monitored elements being virtualised, abstracted or software-defined entities, e.g. SDN or NFV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3/00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testing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3/06Generation of reports
    • H04L43/062Generation of reports related to network traffic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3/00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testing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3/02Capturing of monitoring dat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3/00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testing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3/06Generation of repor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3/00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testing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3/08Monitoring or testing based on specific metrics, e.g. QoS, energy consumption or environmental paramet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2866Architectures; Arrangements
    • H04L67/30Profiles
    • H04L67/306User profi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소프트웨어 정의 네트워크 모니터링 방법,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에 관한 것이다. 본 서버의 소프트웨어 정의 네트워크 모니터링 방법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클라이언트로부터 관심 객체 정보 및 수신 설정 정보를 포함하는 관심정보 수신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관심정보 수신요청을 이용하여 관심정보 테이블을 생성하는 단계, 임의의 네트워크 정보가 변경되면, 상기 관심정보 테이블을 이용하여 상기 변경된 네트워크 정보의 송신 대상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변경된 네트워크 정보가 송신 대상인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변경된 네트워크 정보를 수신요청한 관심 클라이언트에 상기 변경된 네트워크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일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클라이언트는 시각화된 사용성 높은 모니터링 응용 프로그램을 이용하는 경우에도 원하는 네트워크 정보를 실시간에 가깝게 제공받을 수 있다. 또한, 네트워크 모니터링을 위해 서버와 클라이언트 간 전송되는 데이터양을 최소화함으로써, 관제 서버의 부하를 최소화하고 클라이언트가 필요로 하는 정보를 적시에 클라이언트에게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소프트웨어 정의 네트워크 모니터링 방법,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SOFTWARE DEFINED NETWORK MONITORING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 PROGRAM}
본 발명은 소프트웨어 정의 네트워크 모니터링 방법,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소프트웨어 정의 네트워크의 모니터링에 있어서 서버가 클라이언트로 네트워크 정보를 효율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소프트웨어 정의 네트워크 모니터링 방법,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에 관한 것이다.
최근의 네트워크 모니터링 시스템은 그래픽 이미지를 통해 네트워크 장비를 시각화함으로써 사용자 편의를 도모하고, 네트워크 장비에 대한 정보 및 전체 네트워크에 관한 정보들을 상세하게 제공하는 방향으로 개발되는 추세이다.
종래 네트워크 모니터링 응용 프로그램은 폴링(polling) 또는 웹소켓을 이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폴링은 클라이언트가 관제 서버의 네트워크 정보를 주기적으로 수신하는 방식으로, 반응 속도가 느리고, 네트워크 정보가 변화되지 않은 경우에도 서버에 부하가 발생한다는 단점이 있다.
웹 소켓을 이용한 실시간 모니터링 웹의 경우 폴링 방식에 비해 빠르게 네트워크의 변동 사항을 확인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으나, 구체적인 관심 객체를 한정할 수 없어, 방대한 양의 모니터링 정보 중에서 필요한 정보만을 효율적으로 관찰할 수 없다는 단점이 있다.
전술한 웹 기반 네트워크 모니터링 시스템의 한계는, 클라이언트가 실시간으로 모니터링 하고자 하는 특정 장비들의 시각화된 정보, 예를 들어 3D로 구현된 네트워크 장비들과 그들의 상태 정보, 그래픽으로 구현된 네트워크 토폴로지 등의 제공을 어렵게 한다. 따라서 시각화된 정보를 제공하는 네트워크 모니터링 응용 프로그램은 웹 기반으로 동작하기 보다는 운영 체제를 기반으로 동작하는 것이 안정적이다.
이 경우에도 관제 서버에 접속한 다수의 클라이언트들이 실시간으로 다양한 이벤트 처리를 요청하게 되면, 관제 서버에서 클라이언트로 전송되는 정보량이 급증해 서버에 부하가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많은 네트워크 장비들을 중앙에서 제어할 수 있는 소프트웨어 정의 네트워크의 모니터링에 있어서 클라이언트가 실시간에 가깝게 변화를 감지할 수 있도록 하면서도 서버의 성능에 영향을 주지 않을 수 있는 효율적인 방안이 요구된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클라이언트가 원하는 네트워크 정보를 실시간에 가깝게 제공받을 수 있는 소프트웨어 정의 네트워크 모니터링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일 목적으로 한다.
또한, 소프트웨어 정의 네트워크 모니터링을 위해 서버-클라이언트 간 전송되는 데이터량을 최소화할 수 있는 소프트웨어 정의 네트워크 모니터링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고,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이해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서버의 소프트웨어 정의 네트워크 모니터링 방법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클라이언트로부터 관심 객체 정보 및 수신 설정 정보를 포함하는 관심정보 수신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관심정보 수신요청을 이용하여 관심정보 테이블을 생성하는 단계, 임의의 네트워크 정보가 변경되면, 상기 관심정보 테이블을 이용하여 상기 변경된 네트워크 정보의 송신 대상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변경된 네트워크 정보가 송신 대상인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변경된 네트워크 정보를 수신요청한 관심 클라이언트에 상기 변경된 네트워크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일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클라이언트의 소프트웨어 정의 네트워크 모니터링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가 임의의 관심 객체를 조회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관심 객체에 대한 관심 객체 정보 및 수신 설정 정보를 이용하여 관심정보 수신요청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관심정보 수신요청을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관심정보 수신요청에 대응되는 네트워크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다른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서버의 네트워크 모니터링 장치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클라이언트로부터 관심 객체 정보 및 수신 설정 정보를 포함하는 관심정보 수신요청을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관심정보 수신요청을 이용하여 관심정보 테이블을 생성하는 관심정보 테이블 생성부, 네트워크 장비, 네트워크 정보 수집 서버 또는 데이터베이스 중 어느 하나에서 네트워크 정보를 획득하는 네트워크 정보 수집부, 임의의 네트워크 정보가 변경되면, 상기 관심정보 테이블을 이용하여 상기 변경된 네트워크 정보의 송신 대상 여부를 판단하는 제어부, 상기 변경된 네트워크 정보가 송신 대상인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변경된 네트워크 정보를 수신요청한 관심 클라이언트에 상기 변경된 네트워크 정보를 송신하는 송신부를 포함하는 는 것을 다른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클라이언트의 네트워크 모니터링 장치에 있어서,
사용자로부터 조회 신호를 입력받는 입력부, 사용자가 임의의 관심 객체를 조회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관심 객체에 대한 관심 객체 정보 및 수신 설정 정보를 이용하여 관심정보 수신요청을 생성하는 제어부, 상기 관심정보 수신요청을 상기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관심정보 수신요청에 대응되는 네트워크 정보를 수신하는 통신부를 포함하는 것을 일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클라이언트는 시각화된 사용성 높은 모니터링 응용 프로그램을 이용하는 경우에도, 원하는 네트워크 정보를 실시간에 가깝게 제공받을 수 있다.
또한, 소프트웨어 정의 네트워크 모니터링을 위해 서버와 클라이언트 간 전송되는 데이터량을 최소화함으로써, 관제 서버의 부하를 최소화하고 클라이언트가 필요로 하는 정보를 적시에 클라이언트에게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소프트웨어 정의 네트워크 모니터링 장치가 사용되는 환경의 일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서버의 소프트웨어 정의 네트워크 모니터링 장치의 일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클라이언트의 소프트웨어 정의 네트워크 모니터링 장치의 일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서버-클라이언트간 소프트웨어 정의 네트워크 모니터링 방법의 일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서버의 관심정보 테이블 생성 단계의 일 실시 예를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서버의 송신 대상 판단 단계의 일 실시 예를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서버의 변경된 네트워크 정보 송신 단계의 일 실시 예를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서버-클라이언트간 소프트웨어 정의 네트워크 모니터링 방법의 다른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전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후술되며, 이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를 가리키는 것으로 사용된다. 명세서 및 특허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모든 범위 및 비 한계는 임의의 방식으로 조합될 수 있다. 다른 식으로 규정하지 않는 한, 단수에 대한 언급은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고, 단수 표현에 대한 언급은 또한 복수 표현을 포함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특허청구의 범위에서 명시된 모든 조합은 임의의 방식으로 조합될 수 있다.
먼저, 본 명세서에서 정의된 용어와 그 실시 예를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 모니터링하는 '네트워크'는 '소프트웨어 정의 네트워크'일 수 있다. 따라서, '네트워크 모니터링'은 소프트웨어 정의 네트워크의 모니터링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네트워크 모니터링 장치'는, 유닉스 계열 운영 체제 또는 윈도우 운영 체제 위에서 구동하는 응용 프로그램에 의해 동작하는 소프트웨어 정의 네트워크 모니터링 장치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네트워크 정보'는 관리 대상이 되는 네트워크에서 조회 및/또는 추출 가능한 모든 데이터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 토폴로지, 플로우 정보, 네트워크 장비들의 기본 정보 및 상태 정보 등 관심 객체 정보, 관심 객체의 식별 정보 등 후술하는 정보들은 모두 네트워크 정보에 포함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관심 객체 정보'는 클라이언트가 모니터링 하고자 하는 대상을 특정할 수 있는 정보를 의미한다. 즉, 전술한 네트워크 정보가 관심 객체 정보가 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관심 객체 정보'는 '관심 객체의 식별 정보' 또는 '관심 객체에 대한 모니터링 대상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관심 객체'는 모니터링 대상, 즉 네트워크 장비 또는 네트워크 토폴로지와 같은 객체를 의미하며, '관심 객체의 식별 정보'는 관심 객체를 식별할 수 있는 식별 정보, 예를 들어 이동통신 기지국, 기지국 제어기, 게이트웨이 장비, 스위치(switch), 호스트(host), 라우터(router), 랙(rack)과 같은 네트워크 장비에 부여된 고유 번호, 네트워크 장비의 물리적 위치(x, y 좌표) 또는 주소와 같이 장비를 식별할 수 있는 정보를 의미한다. 관심 객체가 특정 네트워크 장비가 아닌 네트워크 그 자체 또는 네트워크 토폴로지인 경우, 관심 객체 식별 정보는 네트워크의 식별 정보가 될 것이다.
'관심 객체에 대한 모니터링 대상 정보(이하, '모니터링 대상 정보'라 한다.)'는 각 관심 객체에 대해 사용자가 모니터링 하고자 하는 세부 항목을 의미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모니터링 대상 정보'는 '관심 객체의 기본 정보', '관심 객체의 상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관심 객체의 기본 정보'는 관심 객체들의 기본적인 정보로, 예를 들어, 관심 객체가 스위치, 라우터와 같은 네트워크 장비인 경우, 네트워크 장비의 IP주소, MAC 주소, 위치, 연결 상태를 포함할 수 있다. '관심 객체의 상태 정보'는 네트워크의 상태에 따라 변화하는 정보로, CPU 사용량, 메모리 사용량, 디스크 사용량, 포트별 트래픽량, 해당 네트워크 장비의 트래픽량(Kbps, Mbps), 랙의 온도 또는 팬(fan)의 속도가 포함될 수 있으며, 가장 높은 트래픽을 갖는 출발지-목적지 정보(source IP to destination IP)도 포함될 수 있다.
모니터링 대상 정보의 다른 실시 예로, 관심 객체가 네트워크의 링크(link)인 경우, 모니터링 대상 정보는 링크를 지나가는 최고 트래픽 정보, 전체 트래픽 수를 포함할 수 있다. 모니터링 대상 정보의 또 다른 실시 예로, 관심 객체가 네트워크 토폴로지인 경우 모니터링 대상 정보는 해당 네트워크에 포함된 스위치의 수, 링크의 수, 랙의 개수, 네트워크 최상위 트래픽 발생 장비들의 IP주소, 장비들의 물리적 위치(x,y 좌표) 변경 정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이밖에도, 보안에 위협이 되는 것으로 서버가 감지할 수 있는 각종 이벤트 발생 여부도 모니터링 대상 정보에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체 네트워크 또는 일부 네트워크를 관심 객체로 설정하고, 해당 네트워크에서 발생하는 ARP 스푸핑(ARP Spoofing: 근거리 통신망에서 주소 결정 프로토콜 메시지를 이용하여 상대방의 데이터 패킷을 중간에서 가로채는 공격), 포트 스캐닝(port scanning- 공격자가 특정 사이트 내에 존재하는 서버나 호스트들의 생존 여부 및 제공되는 서비스를 식별하기 위한 행위) 등과 같은 공격을 모니터링 대상 정보로 설정할 수 있다.
모니터링 대상 정보의 또 다른 실시 예로는 트래픽, CPU 사용량, 메모리 등이 사용자가 설정한 기준 이상이 되면 알림 메시지를 전송하는 기능, 해킹 등의 공격을 받았을 때 알림 메시지를 전송하는 기능이 포함될 수 있다. 이는 단순히 변경된 네트워크 장비의 상태 정보를 요청하는 것과는 별개로, 네트워크 관리자가 반드시 확인해야 하는 정보에 대한 알림 메시지를 서버(100)가 푸시(push)할 수 있도록 한다. 이 후 클라이언트(200)가 이러한 알림 메시지를 서버(100)로부터 수신하면, 클라이언트의 응용 프로그램의 설정에 따라, 이를 텍스트, 이미지 또는 알림음으로 표시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수신 설정 정보'는 관심 객체 정보에 해당하는 네트워크 정보가 변경된 경우 변경된 네트워크 정보의 송신 적합성을 판단하기 위해 클라이언트에 의해 설정되는 값을 의미하며, 보다 구체적으로, 클라이언트에 의해 설정된 '모니터링 대상 정보의 수신 기준' 또는 '수신 주기'를 포함한다. 수신 설정 정보는 각 관심 객체 정보에 적합하게 기설정된 것일 수 있으나, 사용자(관리자)의 필요에 의해 재설정 또는 변경 가능하다.
'모니터링 대상 정보의 수신 기준'은 전술한 모니터링 대상 정보가 변경될 때, 어느 정도 수준으로 변경된 데이터가 클라이언트가 수신하고자 하는 데이터인지 판단하기 위한 기준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클라이언트가 스위치 1의 트래픽량을 관심 객체 정보로 모니터링(구독 또는 수신)하며, 클라이언트 단의 네트워크 모니터링 응용 프로그램이 트래픽량의 변화를 색으로 나타내는 경우를 가정한다. 예를 들어, 클라이언트가 0에서 300Mbps는 초록색, 300Mbps에서 900Mbps는 노란색, 900Mbps 이상은 빨간색으로 표시하고자 하며, 10Mbps 단위의 트래픽량 변화에 대해서는 크게 신경쓰지 않는다면, 클라이언트는 모니터링 대상 정보의 수신 기준을 300Mbps, 900Mbps으로 설정할 수 있다. 이는 300Mbps, 900Mbps를 기준으로 한 트래픽량의 변화가 있을 때만 트래픽량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겠다는 것을 의미한다. 서버는 이처럼 클라이언트가 설정한 수신 기준에 따라 변경된 네트워크 정보의 송신 적합성을 판단한다. 예를 들어, 스위치 1의 트래픽량이 400Mbps에서 500Mbps로 변경되면, 이는 수신 기준에 부합하지 않으므로 이러한 변경 사항은 클라이언트로 전송되지 않으며, 스위치 1의 트래픽량이 400Mbps에서 1000Mbps로 변경되면, 수신 기준을 만족하므로 트래픽량이 1000Mbps로 변경되었다는 정보가 클라이언트로 전송될 수 있다. 모니터링 대상 정보의 수신 기준은 클라이언트에 의해 설정될 수도 있고, 설정되지 않을 수도 있다. 만약 클라이언트가 변화 범위에 상관없이 관심 객체에 대한 모니터링 대상 정보의 변경 사항 전체를 수신하고자 한다면, 수신 기준을 설정하지 않을 수 있다. 이러한 수신 기준 설정은 클라이언트의 네트워크 모니터링 응용 프로그램이 네트워크 정보의 범위에 따라 색깔만 다르게 표시해주거나, 일정한 범위를 벗어난 경우에만 이를 알려주도록 설계된 경우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수신 설정 정보에 포함되는 '수신 주기'는 클라이언트에 의해 설정되는 값으로, 관심 객체 정보의 수신 주기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클라이언트가 랙 1의 정보를 2000ms마다 한 번씩 수신하고자 한다면, 클라이언트는 수신 주기를 2000ms로 설정할 수 있으며, 서버는 2초에 한 번씩 랙 1의 정보를 클라이언트로 송신할 것이다. 수신 주기는 관심 객체 또는 관심 객체에 대한 모니터링 대상 정보별로 다르게 설정될 수 있다. 이는 잦은 업데이트에 따른 서버/클라이언트의 부하를 방지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소프트웨어 정의 네트워크 모니터링 장치가 사용되는 환경의 일 실시 예를 설명한다. 본 발명의 서버(100)와 클라이언트(200)는 네트워크 모니터링 장치를 포함할 수 있으며, 네트워크 모니터링 장치 그 자체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편의상 서버의 네트워크 모니터링 장치(100)와 서버(100), 클라이언트의 모니터링 장치(200)와 클라이언트(200)를 동일한 것으로 기재하였으나, 실시 예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네트워크 모니터링 장치는 별도의 모듈로 서버 또는 클라이언트에 포함될 수도 있다. 다만,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네트워크 모니터링 장치는 네트워크 모니터링 응용 프로그램이 설치된 컴퓨터, 즉 네트워크 모니터링 응용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장치이므로, 실제로 서버와 클라이언트 그 자체로 보아도 무방하다.
도 1 은 서버(100)가 네트워크(10)로부터 네트워크 정보를 수집하여 클라이언트(200)에 제공하는 환경의 일 실시 예이나, 서버(100)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처리를 통해 다른 네트워크 수집용 서버로부터 획득한 네트워크 정보 또는 내/외부 데이터베이스에서 획득한 네트워크 정보를 클라이언트(200)의 필요에 따라 맞춤형으로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네트워크(10)는 기존의 물리 네트워크뿐 아니라, 가상 네트워크, 소프트웨어 정의 네트워크(Software Defined Network)를 포함한다. 소프트웨어 정의 네트워킹(Software Defined Networking, 이하 SDN 이라 함)은 네트워크의 모든 장비를 지능화된 중앙관리시스템에 의해 관리하는 기술을 의미하며, 소프트웨어 정의 네트워크는 SDN 기술을 이용하여 관리되는 네트워크를 의미한다. SDN 기술에서는 기존 하드웨어 형태의 네트워크 장비에서 자체적으로 수행하는 패킷 처리와 관련된 제어 동작을 소프트웨어 형태로 제공하는 컨트롤러가 대신하여 처리하도록 한다. 따라서 네트워크(10)가 소프트웨어 정의 네트워크인 경우, 서버(100)는 네트워크 모니터링뿐 아니라, 플로우룰(flow rule)을 생성하여 네트워크를 제어할 수 있는 컨트롤러 서버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서버의 소프트웨어 정의 네트워크 모니터링 장치의 일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서버의 네트워크 모니터링 장치(100)(이하, 서버(100))는 수신부(110), 관심정보 테이블 생성부(130), 네트워크 정보 수집부(150), 제어부(170), 송신부(190)를 포함한다.
수신부(110)는 클라이언트(200)로부터 관심 객체 정보 및 수신 설정 정보를 포함하는 관심정보 수신요청, 연결 상태 확인 메시지 또는 상태 정보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 서버(100)의 수신부(110)는 유무선 통신 모듈을 이용하여 클라이언트(200)와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예를 들어, 서버(100)-클라이언트(200) 간 TCP 연결이 이루어지면, 수신부(110)는 클라이언트(200)로부터 관심 객체 정보를 포함하는 상태 정보 요청을 수신할 수 있으며, 관심 객체 정보 및 수신 설정 정보를 포함하는 관심정보 수신요청을 수신할 수도 있다. 상태 정보 요청은 관심 객체의 식별 정보만을 포함하며, 수신부(110)가 스위치 1에 대한 상태 정보 요청을 수신하면 서버(100)는 스위치 1에 대한 모든 모니터링 대상 정보 즉, 관심 객체의 기본 정보 및 상태 정보를 클라이언트(200)로 전송한다. 일 실시 예로, 네트워크 모니터링을 위한 서버(100) 접속 시 관심 객체의 현재 상태를 확인하고자 하는 것이 일반적이므로, 상태 정보 요청은 클라이언트(200)의 최초 서버(100) 접속 시 디폴트로 동작할 수 있도록 설정될 수 있다.
관심정보 수신요청은 관심 객체 정보 및 수신 설정 정보를 포함하며, 관심 객체 정보 및 수신 설정 정보에 대한 설명은 전술한 바와 같다.
연결 상태 확인 메시지는 정기 및/또는 비정기적으로 클라이언트로부터 전송되는 메시지로, 서버(100)에는 네트워크 정보를 수신하는 것으로 설정되어 있으나 비정상 종료 등으로 정보를 수신할 수 없는 클라이언트(200)와의 연결 및 관심정보 수신요청을 삭제함으로써 리소스 낭비를 줄이기 위한 용도로 사용된다. 서버(100)는 기 설정된 시간 이내에 연결 상태 확인 메시지가 클라이언트(200)로부터 수신되지 않으면, 해당 클라이언트(200)의 관심정보 수신요청을 삭제할 수 있다.
관심정보 테이블 생성부(130)는 클라이언트로부터 수신한 관심정보 수신요청을 이용하여 관심정보 테이블을 생성한다. 관심정보 테이블의 생성은 관심정보 테이블 엔트리의 추가 또는 변경을 포함한다.
관심정보 테이블은 클라이언트별로 관심 객체 정보와 수신 설정 정보를 매칭한 자료 구조로, 아래 [표 1]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관심정보 테이블 생성부(130)는 관심정보 수신요청에 포함된 클라이언트의 식별 정보, 관심 객체 정보 및 수신 설정 정보를 이용하여 관심정보 테이블 엔트리를 생성하고, 관심정보 테이블 엔트리를 관심정보 테이블에 추가하여 관심정보 테이블을 생성할 수 있다. 관심정보 테이블 엔트리의 각 필드에는 아래 [표 1]의 실시 예와 같이 클라이언트의 식별정보, 관심 객체 식별 정보, 모니터링 대상 정보, 수신 기준, 수신 주기가 포함될 수 있다. 즉, 각 관심정보 테이블 엔트리는 각 클라이언트로부터 수신한 관심정보 수신요청에 대응되는 것으로 볼 수 있으며, 관심정보 테이블 엔트리는 하나 이상의 관심정보 테이블 엔트리, 즉 하나 이상의 관심정보 수신요청을 포함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클라이언트 식별정보 관심 객체 정보 수신 설정 정보
관심 객체 식별 정보 모니터링 대상 정보 수신 기준 수신 주기(ms)
Client 1 Server 1 - - 400
Client 1 Rack 2 traffic 300Mpbs이상 2000
Client 2 Flow 1 all 100-300-900 3000
Client 3 Link 3 all - 500
네트워크 정보 수집부(150)는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 장비 또는 네트워크 정보를 수집하는 다른 서버로부터 네트워크 정보를 획득하거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네트워크 정보를 호출할 수 있다. 네트워크 정보 수집부(150)가 획득하거나 호출하는 네트워크 정보는 전술한 바와 같이 관리 대상이 되는 네트워크에서 조회 및/또는 추출 가능한 모든 데이터를 의미하며, 네트워크 장비의 위치 정보, 네트워크 토폴로지 정보 및 플로우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임의의 네트워크 정보가 변경되면, 관심정보 테이블을 이용하여 상기 변경된 네트워크 정보가 송신 대상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보다 자세하게, 제어부(170)는 임의의 네트워크 정보가 변경되면 관심정보 테이블에서 변경된 네트워크 정보에 대응되는 관심정보 테이블 엔트리를 탐색하고, 탐색 결과 관심정보 테이블에 관심정보 테이블 엔트리가 존재하는 경우 관심정보 테이블 엔트리에 포함된 제 1 수신 설정 정보와 변경된 네트워크 정보를 비교하고, 비교 결과 변경된 네트워크 정보가 제 1 수신 설정 정보에 포함된 모니터링 대상 정보의 수신 기준을 만족하면 변경된 네트워크 정보를 송신 대상으로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70)는 변경된 네트워크 정보에 대응되는 관심정보 테이블 엔트리에 포함된 클라이언트 및 수신 주기를 확인하고, 송신부(190)가 관심정보 테이블 엔트리에 포함된 수신 주기에 따라 변경된 네트워크 정보를 해당 관심정보 수신요청을 송신한 클라이언트에 송신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표 1을 참조하여 클라이언트 2 가 서버(100)로 관심정보 수신요청을 송신한 경우를 가정한다. 플로우 1이 150에서 200으로 변경되면, 제어부(170)는 관심정보 테이블에서 플로우 1에 대응되는 관심정보 테이블 엔트리를 탐색한다. 제어부(170)는 플로우 1을 수신하는 클라이언트가 포함된 관심정보 테이블 엔트리를 찾으면, 해당 관심정보 테이블 엔트리에 포함된 제 1 수신 설정 정보와 변경된 네트워크 정보를 비교한다. 제 1 수신 설정 정보가 100, 300, 900을 기준으로 100과 300 사이의 변화는 수신하지 않는 것으로 설정되어 있으므로, 150에서 200으로의 변경은 수신 기준을 만족하지 않으며, 송신 대상에 해당하지 않는다. 만약 플로우 1 이 150에서 400으로 변경되었다면, 수신 기준을 만족하므로 제어부(170)는 해당 네트워크 정보를 송신 대상으로 결정하고, 해당 관심정보 테이블 엔트리에 포함된 클라이언트와 수신 주기를 확인한다. 상기 관심정보 테이블 엔트리에 포함된 관심 클라이언트는 클라이언트 2이고 수신 주기는 3초이므로, 제어부(170)는 이전 정보 전송 시각으로부터 3초 되는 시각에 플로우 1이 400으로 변경되었다는 정보를 송신할 수 있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클라이언트(200)로부터 관심정보 해제요청이 수신되면, 관심정보 테이블에서 관심정보 해제요청에 대응되는 관심 객체 정보 및 수신 설정 정보를 삭제할 수 있다. 또한, 기 설정된 시간 내에 관심정보 테이블에 포함된 임의의 클라이언트로부터 연결 확인 메시지가 수신되지 않으면, 관심정보 테이블에서 연결 확인 메시지를 송신하지 않은 클라이언트에 대응되는 관심 객체 정보 및 수신 설정 정보를 삭제할 수도 있다.
송신부(190)는 제어부(170)에서 송신 대상으로 판단된 네트워크 정보를 해당 네트워크 정보를 수신요청한 관심 클라이언트에 송신한다. 송신부(190)는 수신부(110)와 동일한 통신 모듈을 사용하여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클라이언트의 네트워크 모니터링 장치의 일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클라이언트의 네트워크 모니터링 장치(200)(이하, 클라이언트(200))는 입력부(210), 제어부(250), 통신부(270)를 포함한다.
입력부(210)는 사용자로부터 조회 신호를 입력받기 위한 클라이언트(200)와 사용자 사이의 입력 인터페이스를 의미한다. 입력부(210)를 통해 조회 신호가 입력되면, 제어부(250)는 조회 신호에 따라 클라이언트(200)를 제어할 수 있다. 조회 신호는 사용자가 임의의 관심 객체 또는 관심 객체의 모니터링 대상 정보를 조회하는 것으로 인식될 수 있는 제어 동작을 의미한다.
입력부(210)는 기계식 입력 수단(키보드, 마우스, 버튼, 돔 스위치(dome switch), 조그 휠, 조그 스위치 등) 또는 터치식 입력 수단(소프트웨어적인 처리를 통해 터치 스크린에 표시되는 가상 키(virtual key), 소프트 키(soft key) 또는 비주얼 키(visual key), 터치 스크린 이외의 부분에 배치되는 터치 키(touch key))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가상 키 또는 비주얼 키는 다양한 형태를 가지며 터치스크린 상에 표시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그래픽(graphic), 텍스트(text), 아이콘(icon), 비디오(video)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 실시 예로, 클라이언트(200)가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경우, 입력부(210)는 네트워크를 디스플레이에 시각화하여 출력한 형태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에서 햅틱(haptic) 또는 택타일(tactile) 접촉에 기초하여 사용자로부터 입력을 수신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접촉을 감지하기 위한 터치스크린 제어기(저항형, 정전용량형, 적외선형 등 다양할 수 있음) 또는 접촉 모듈(사용자의 접촉을 검출하고 접촉에 따른 결정 등을 수행하는 기능을 가진 것으로 소프트웨어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가 임의의 관심 객체 또는 모니터링 대상 정보에 대응되는 이미지를 선택하거나, 해당 이미지를 화면의 주요 영역으로 이동시키는 등의 동작을 수행하면, 제어부(250)는 사용자가 상기 이미지에 대응되는 관심 객체 또는 모니터링 대상 정보를 조회하는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관심 객체 또는 모니터링 대상 정보를 관심 객체 정보로 지정할 수 있다.
제어부(250)는 입력부(210)에서 입력받은 조회 신호에 대응되는 관심 객체 정보 및 수신 설정 정보를 이용하여 관심정보 수신요청을 생성한다. 조회 신호에 따라 사용자가 조회하고자 하는 관심 객체 또는 관심 객체에 대한 모니터링 대상 정보가 특정될 것이므로, 제어부(250)는 이에 대한 관심 객체 정보 및 수신 설정 정보를 이용하여 관심정보 수신요청을 생성할 수 있다. 이때, 수신 설정 정보는 기 설정되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것일 수 있다. 관심정보 수신요청은 해당 관심정보 수신요청을 생성하는 클라이언트의 식별 정보, 관심 객체 정보, 수신 설정 정보를 포함한다. 제어부(250)는 관심정보 수신요청뿐 아니라 상태 정보 요청을 생성할 수 있다. 상태 정보 요청은 입력된 관심 객체 정보를 이용하여 생성할 수 있으며, 상태 정보 요청을 서버(100)로 송신하면, 서버(100)는 관심 객체 정보에 포함되는 관심 객체의 기본 정보 및 상태 정보 전체를 클라이언트(200)에 전송한다.
통신부(270)는 생성된 관심정보 수신요청을 서버(100)로 전송하고, 서버(100)로부터 관심정보 수신요청에 대응되는 네트워크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이 때, 서버로부터 수신하는 상기 관심정보 수신요청에 대응되는 네트워크 정보는 서버가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 장비 또는 네트워크 수집 서버, 또는 데이터베이스에서 획득한 네트워크 정보 중 변경된 임의의 네트워크 정보로, 서버가 관심정보 테이블을 이용하여 송신 대상인 것으로 판단한 것이다. 관심정보 테이블은 관심정보 수신요청을 이용하여 서버(100)가 생성하고, 서버에 저장된 클라이언트별 관심 객체 정보 및 수신 설정 정보일 수 있다. 통신부(270)는 관심정보 수신요청뿐 아니라, 상태 정보 요청을 전송하기도 하며, 정기 또는 비정기적으로 연결 상태 확인 메시지를 전송함으로써 서버(100)와의 연결 및 수신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270)는 서버(100)에 관심정보 해제요청을 송신하기도 한다. 또한, 통신부(270)는 수신 설정 정보에 포함된 수신 주기에 따라 상기 관심정보 수신요청에 대응되는 네트워크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4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서버-클라이언트의 네트워크 모니터링 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서버-클라이언트의 네트워크 모니터링 방법의 일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사용자(300)가 관심 객체 정보 및 수신 설정 정보를 입력하면(S10), 예를 들어, 화면상에서 관심 객체를 선택 또는 조회하는 등의 사용자 동작을 수행하면, 클라이언트(200)는 클라이언트의 식별 정보, 관심 객체 정보 및 수신 설정 정보를 포함하는 관심정보 수신요청을 생성하고(S50), 관심정보 수신요청을 서버(100)로 전송한다(S100).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클라이언트(200)는 관심 객체의 기본 정보 및 상태 정보를 요청하는 상태 정보 요청을 서버(100)에 전송할 수도 있다. 특히 서버-클라이언트가 TCP 연결된 경우, TCP 연결이 성공적으로 이루어지면 디폴트로 상태 정보 요청이 서버로 송신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서버(100)는 관심정보 수신요청을 수신하면, 관심정보 수신요청을 이용하여 관심정보 테이블을 생성한다(S200). 그리고 네트워크(10)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 장비로부터 네트워크 정보를 수집하는데(S300), 단계 S300은 서버(100)에서 지속적으로 이루어지는 동작으로, 단계 S200의 결과로 실행되는 것은 아니며, 실행 순서와 관계없이 서버(100)의 설정에 의해 지속적으로 수행되는 작업이다. 단계 S300의 수집은 서버(100)가 네트워크 정보를 수집하는 다른 서버로부터 네트워크 정보를 획득하거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네트워크 정보를 호출하여 실행될 수도 있다. 네트워크 정보 수집부(150)가 획득하거나 호출하는 네트워크 정보는 전술한 바와 같이 관리 대상이 되는 네트워크에서 조회 및/또는 추출 가능한 모든 데이터를 의미하며, 네트워크 장비의 위치 정보, 네트워크 토폴로지 정보 및 플로우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서버(100)는 단계 S300의 작업을 수행하다가, 수집된 네트워크 정보들 중에서 임의의 네트워크 정보가 변경된 것으로 판단되면(S400), 관심정보 테이블을 이용하여 변경된 네트워크 정보가 송신 대상인지 판단한다(S500). 만약 판단 결과, 변경된 네트워크 정보가 송신 대상인 것으로 판단되면, 변경된 네트워크 정보를 수신요청한 관심 클라이언트에 상기 변경된 네트워크 정보를 송신한다(S600). 서버의 변경된 네트워크 정보 송신은 초기 관심정보 수신요청을 제외하면 클라이언트의 별도 요청 없이 푸시(push) 방식으로 이루어지며, 그 결과 클라이언트는 자신이 설정한 특정 관심 객체 및 모니터링 대상에 대해서만 정보를 수신함으로써 서버-클라이언트 간 통신 부하를 최소화 하면서도 원하는 정보를 실시간에 가깝게 확인할 수 있다.
도 5는 서버의 관심정보 테이블 생성 단계(S200)의 일 실시 예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서버(100)는 관심정보 수신요청을 송신한 클라이언트의 식별 정보를 추출하고(S230), 클라이언트의 식별 정보에 관심정보 수신요청에 포함된 관심 객체 정보 및 수신 설정 정보를 대응시켜 관심정보 테이블 엔트리를 생성하며, 관심정보 테이블 엔트리를 관심정보 테이블에 추가(S250)하여 관심정보 테이블을 생성할 수 있다.
도 6은 서버의 송신 대상 판단 단계(S500)의 일 실시 예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서버(100)는 임의의 네트워크 정보가 변경되면, 관심정보 테이블에서 변경된 네트워크 정보에 대응되는 관심정보 테이블 엔트리를 탐색하고(S530), 탐색 결과 관심정보 테이블에 상기 관심정보 테이블 엔트리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관심정보 테이블 엔트리에 포함된 제 1 수신 설정 정보와 변경된 네트워크 정보를 비교한 후(S550), 비교 결과 변경된 네트워크 정보가 제 1 수신 설정 정보에 포함된 모니터링 대상 정보의 수신 기준을 만족하는 지 판단하여(S570), 모니터링 대상 정보의 수신 기준을 만족하는 변경된 네트워크 정보를 송신 대상으로 판단(S590)할 수 있다.
도 7은 서버의 변경된 네트워크 정보 송신 단계(S600)의 일 실시 예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서버(100)는 변경된 네트워크 정보에 대응되는 관심정보 테이블 엔트리에 포함된 제 1 클라이언트 및 제 1 수신 주기를 확인한 후(S630), 제 1 수신 주기에 따라 변경된 네트워크 정보를 제 1 클라이언트에 송신할 수 있다(S650).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서버-클라이언트간 네트워크 모니터링 방법의 다른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네트워크 모니터링 방법은 클라이언트(200)가 서버(100)에 관심정보 해제요청을 전송하면(S700), 서버(100)는 관심정보 해제요청에 대응되는 관심 객체 정보 및 수신 설정 정보를 삭제(S750)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는 관심정보 테이블에서 관심정보 해제 요청에 대응되는 관심정보 테이블 엔트리를 삭제하여 실행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 예로 클라이언트(200)는 서버(100)에 정기적 또는 비정기적으로 연결 확인 메시지를 전송하는데(S800), 만약 기 설정된 시간 내에 서버(100)로 연결 확인 메시지가 수신되지 않으면(S900), 서버(100)는 연결 확인 메시지를 송신하지 않은 클라이언트에 대응되는 관심 객체 정보 및 수신 설정 정보를 삭제(S950)함으로써, 비정상적으로 종료된 클라이언트로 인해 불필요하게 서버의 자원이 소모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전술한 서버-클라이언트 간 네트워크 모니터링 방법은 소프트웨어 정의 네트워크 모니터링 응용 프로그램에 있어서, 전술한 네트워크 모니터링 방법 중 어느 하나의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에 의하여 실행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10: 소프트웨어 정의 네트워크
100: 네트워크 모니터링 관제 서버
200: 클라이언트

Claims (23)

  1. 서버의 소프트웨어 정의 네트워크 모니터링 방법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클라이언트로부터 관심 객체 정보 및 수신 설정 정보를 포함하는 관심정보 수신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관심정보 수신요청을 이용하여 관심정보 테이블을 생성하는 단계;
    임의의 네트워크 정보가 변경되면, 상기 관심정보 테이블을 이용하여 상기 변경된 네트워크 정보가 송신 대상인지 판단하는 단계;
    상기 변경된 네트워크 정보가 송신 대상인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변경된 네트워크 정보를 수신요청한 관심 클라이언트에 상기 변경된 네트워크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관심 객체 정보는 상기 클라이언트가 모니터링 하고자 하는 관심 객체의 식별 정보 또는 상기 관심 객체에 대한 모니터링 대상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수신 설정 정보는 상기 변경된 네트워크 정보의 송신 적합성을 판단하기 위해 클라이언트에 의해 설정된 상기 모니터링 대상 정보의 수신 기준 또는 수신 주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서버의 소프트웨어 정의 네트워크 모니터링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심정보 테이블 생성 단계는,
    상기 관심정보 수신요청에 포함된 클라이언트의 식별 정보, 관심 객체 정보 및 수신 설정 정보를 이용하여 관심정보 테이블 엔트리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관심정보 테이블 엔트리를 상기 관심정보 테이블에 추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서버의 소프트웨어 정의 네트워크 모니터링 방법.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대상 여부 판단 단계는,
    임의의 네트워크 정보가 변경되면, 상기 관심정보 테이블에서 상기 변경된 네트워크 정보에 대응되는 관심정보 테이블 엔트리를 탐색하는 단계;
    상기 탐색 결과 상기 관심정보 테이블에 상기 관심정보 테이블 엔트리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관심정보 테이블 엔트리에 포함된 제 1 수신 설정 정보와 상기 변경된 네트워크 정보를 비교하는 단계;
    상기 비교 결과 상기 변경된 네트워크 정보가 상기 제 1 수신 설정 정보에 포함된 모니터링 대상 정보의 수신 기준을 만족하면, 상기 변경된 네트워크 정보를 송신 대상으로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서버의 소프트웨어 정의 네트워크 모니터링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관심 클라이언트에 상기 변경된 네트워크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는,
    상기 변경된 네트워크 정보에 대응되는 관심정보 테이블 엔트리에 포함된 제 1 클라이언트 및 제 1 수신 주기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제 1 수신 주기에 따라 상기 변경된 네트워크 정보를 상기 제 1 클라이언트에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서버의 소프트웨어 정의 네트워크 모니터링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클라이언트로부터 관심정보 해제요청이 수신되면, 상기 관심정보 테이블에서 상기 관심정보 해제요청에 대응되는 관심 객체 정보 및 수신 설정 정보를 삭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서버의 소프트웨어 정의 네트워크 모니터링 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기 설정된 시간 내에 상기 관심정보 테이블에 포함된 임의의 클라이언트로부터 연결 확인 메시지가 수신되지 않으면, 상기 관심정보 테이블에서 상기 연결 확인 메시지를 송신하지 않은 클라이언트에 대응되는 관심정보 테이블 엔트리를 삭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서버의 소프트웨어 정의 네트워크 모니터링 방법.

  8. 클라이언트의 소프트웨어 정의 네트워크 모니터링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가 임의의 관심 객체를 조회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관심 객체에 대한 관심 객체 정보 및 수신 설정 정보를 이용하여 관심정보 수신요청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관심정보 수신요청을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관심정보 수신요청에 대응되는 네트워크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관심 객체 정보는 상기 클라이언트가 모니터링 하고자 하는 관심 객체의 식별 정보 또는 상기 관심 객체에 대한 모니터링 대상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수신 설정 정보는 상기 네트워크 정보의 송신 적합성을 판단하기 위해 클라이언트에 의해 설정된 상기 모니터링 대상 정보의 수신 기준 또는 수신 주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클라이언트의 소프트웨어 정의 네트워크 모니터링 방법.
  9. 삭제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로부터 수신하는 상기 관심정보 수신요청에 대응되는 네트워크 정보는
    상기 서버가 획득한 네트워크 정보 중 변경된 임의의 네트워크 정보로, 상기 서버가 관심정보 테이블을 이용하여 송신 대상으로 판단한 것이며,
    상기 관심정보 테이블은 상기 관심정보 수신요청을 이용하여 서버가 생성한 클라이언트별 관심 객체 정보 및 수신 설정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라이언트의 소프트웨어 정의 네트워크 모니터링 방법.
  11.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관심정보 수신요청에 대응되는 네트워크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수신 설정 정보에 포함된 수신 주기에 따라 상기 관심정보 수신요청에 대응되는 네트워크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클라이언트의 소프트웨어 정의 네트워크 모니터링 방법.
  12. 서버의 소프트웨어 정의 네트워크 모니터링 장치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클라이언트로부터 관심 객체 정보 및 수신 설정 정보를 포함하는 관심정보 수신요청을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관심정보 수신요청을 이용하여 관심정보 테이블을 생성하는 관심정보 테이블 생성부;
    네트워크 장비, 네트워크 정보 수집 서버 또는 데이터베이스 중 어느 하나에서 네트워크 정보를 획득하는 네트워크 정보 수집부;
    임의의 네트워크 정보가 변경되면, 상기 관심정보 테이블을 이용하여 상기 변경된 네트워크 정보가 송신 대상인지 판단하는 제어부;
    상기 변경된 네트워크 정보가 송신 대상인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변경된 네트워크 정보를 수신요청한 관심 클라이언트에 상기 변경된 네트워크 정보를 송신하는 송신부를 포함하며,
    상기 관심 객체 정보는 상기 클라이언트가 모니터링 하고자 하는 관심 객체의 식별 정보 또는 상기 관심 객체에 대한 모니터링 대상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수신 설정 정보는 상기 변경된 네트워크 정보의 송신 적합성을 판단하기 위해 클라이언트에 의해 설정된 상기 모니터링 대상 정보의 수신 기준 또는 수신 주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서버의 소프트웨어 정의 네트워크 모니터링 장치.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관심정보 테이블 생성부는
    상기 관심정보 수신요청에 포함된 클라이언트의 식별 정보, 상기 관심 객체 정보 및 상기 수신 설정 정보를 이용하여 관심정보 테이블 엔트리를 생성하고, 상기 관심정보 테이블 엔트리를 상기 관심정보 테이블에 추가하는 서버의 소프트웨어 정의 네트워크 모니터링 장치.
  14. 삭제
  15.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임의의 네트워크 정보가 변경되면 상기 관심정보 테이블에서 상기 변경된 네트워크 정보에 대응되는 관심정보 테이블 엔트리를 탐색하고, 상기 탐색 결과 상기 관심정보 테이블에 상기 관심정보 테이블 엔트리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관심정보 테이블 엔트리에 포함된 제 1 수신 설정 정보와 상기 변경된 네트워크 정보를 비교하고, 상기 비교 결과 상기 변경된 네트워크 정보가 상기 제 1 수신 설정 정보에 포함된 모니터링 대상 정보의 수신 기준을 만족하면 상기 변경된 네트워크 정보를 송신 대상으로 결정하는 서버의 소프트웨어 정의 네트워크 모니터링 장치.
  16.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변경된 네트워크 정보에 대응되는 관심정보 테이블 엔트리에 포함된 제 1 클라이언트 및 제 1 수신 주기를 확인하고, 상기 송신부가 상기 제 1 수신 주기에 따라 상기 변경된 네트워크 정보를 상기 제 1 클라이언트에 송신하도록 제어하는 서버의 소프트웨어 정의 네트워크 모니터링 장치.
  17.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클라이언트로부터 관심정보 해제요청이 수신되면, 상기 관심정보 테이블에서 상기 관심정보 해제요청에 대응되는 관심 객체 정보 및 수신 설정 정보를 삭제하는 서버의 소프트웨어 정의 네트워크 모니터링 장치.
  18.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기 설정된 시간 내에 상기 관심정보 테이블에 포함된 임의의 클라이언트로부터 연결 확인 메시지가 수신되지 않으면, 상기 관심정보 테이블에서 상기 연결 확인 메시지를 송신하지 않은 클라이언트에 대응되는 관심 객체 정보 및 수신 설정 정보를 삭제하는 서버의 소프트웨어 정의 네트워크 모니터링 장치.
  19. 클라이언트의 소프트웨어 정의 네트워크 모니터링 장치에 있어서,
    사용자로부터 조회 신호를 입력받는 입력부;
    사용자가 임의의 관심 객체를 조회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관심 객체에 대한 관심 객체 정보 및 수신 설정 정보를 이용하여 관심정보 수신요청을 생성하는 제어부;
    상기 관심정보 수신요청을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관심정보 수신요청에 대응되는 네트워크 정보를 수신하는 통신부를 포함하며,
    상기 관심 객체 정보는 상기 클라이언트가 모니터링 하고자 하는 관심 객체의 식별 정보 또는 상기 관심 객체에 대한 모니터링 대상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수신 설정 정보는 상기 네트워크 정보의 송신 적합성을 판단하기 위해 클라이언트에 의해 설정된 상기 모니터링 대상 정보의 수신 기준 또는 수신 주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클라이언트의 소프트웨어 정의 네트워크 모니터링 장치.
  20. 삭제
  21.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로부터 수신하는 상기 관심정보 수신요청에 대응되는 네트워크 정보는
    상기 서버가 네트워크 장비, 네트워크 정보 수집 서버 또는 데이터베이스 중 어느 하나에서 획득한 네트워크 정보 중 변경된 임의의 네트워크 정보로, 상기 서버가 관심정보 테이블을 이용하여 송신 대상으로 판단한 것이며,
    상기 관심정보 테이블은 상기 관심정보 수신요청을 이용하여 서버가 생성한 클라이언트별 관심 객체 정보 및 수신 설정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라이언트의 소프트웨어 정의 네트워크 모니터링 장치.
  22.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상기 수신 설정 정보에 포함된 수신 주기에 따라 상기 관심정보 수신요청에 대응되는 네트워크 정보를 수신하는 클라이언트의 소프트웨어 정의 네트워크 모니터링 장치.
  23. 소프트웨어 정의 네트워크 모니터링 응용 프로그램에 있어서,
    제1항, 제2항, 제4항 내지 제8항, 제10항 내지 제11항의 방법 중 어느 하나의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저장된 소프트웨어 정의 네트워크 모니터링 응용 프로그램.
KR1020160092525A 2016-07-21 2016-07-21 소프트웨어 정의 네트워크 모니터링 방법,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 KR1018701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2525A KR101870144B1 (ko) 2016-07-21 2016-07-21 소프트웨어 정의 네트워크 모니터링 방법,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2525A KR101870144B1 (ko) 2016-07-21 2016-07-21 소프트웨어 정의 네트워크 모니터링 방법,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10439A KR20180010439A (ko) 2018-01-31
KR101870144B1 true KR101870144B1 (ko) 2018-06-25

Family

ID=610833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92525A KR101870144B1 (ko) 2016-07-21 2016-07-21 소프트웨어 정의 네트워크 모니터링 방법,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70144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10439A (ko) 2018-01-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774697B2 (en) Method, apparatus, and system for pushing notification
CN110351385B (zh) 一种家庭网关系统及数据转发方法
JP5625217B2 (ja) ネットワーク管理システム、及び管理計算機
CN103326882B (zh) 一种视频监控网络管理方法及装置
CN101635657B (zh) 全ip化网络视频监控告警控制方法和业务管理服务器
KR100513277B1 (ko) 개별적으로 존재하는 네트워크를 연결하는 장치 및 방법
TWI397871B (zh) 事件自動化整合系統
KR101518472B1 (ko) 인터넷 접속 요청을 하는 클라이언트 단말의 인터넷 접속 요청 트래픽으로부터 동일한 공인 ip를 이용하는 사설 네트워크상의 복수개의 클라이언트 단말 중에서 추가 비지정 도메인 네임을 구비한 웹서버에 의해 선별된 디바이스의 대수를 검출하는 방법 및 공인 ip 공유 상태의 디바이스의 선별적인 검출 시스템
US7620723B2 (en) Network management
US20050198242A1 (en) System and method for detection/interception of IP collision
JP6616733B2 (ja) 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およびサーバ装置
KR101870144B1 (ko) 소프트웨어 정의 네트워크 모니터링 방법,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
KR101518470B1 (ko) 인터넷 접속 요청을 하는 클라이언트 단말의 인터넷 접속 요청 트래픽으로부터 동일한 공인 ip를 이용하는 사설 네트워크상의 복수개의 클라이언트 단말 중에서 웹서버에 의해 선별된 디바이스의 대수를 검출하는 방법 및 공인 ip 공유 상태의 디바이스의 선별적인 검출 시스템
CN113810509A (zh) 用于使用网络业务比较来重新配置网络的系统和方法
TWI619031B (zh) 詮釋資料伺服器、網路裝置及自動資源管理方法
KR20110134774A (ko) 단문메시지를 이용하여 주변 기기를 제어하는 무선전화기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030003981A (ko) 망 관리장치 및 그 방법
KR101518469B1 (ko) 인터넷 접속 요청을 하는 클라이언트 단말의 인터넷 접속 요청 트래픽으로부터 동일한 공인 ip를 이용하는 사설 네트워크상의 복수개의 클라이언트 단말 중에서 선별된 디바이스의 대수를 검출하는 방법 및 공인 ip 공유 상태의 디바이스의 선별적인 검출 시스템
KR101993875B1 (ko) 소프트웨어 정의 네트워킹 환경에서의 서버 은닉 방법, 시스템 및 컴퓨터 프로그램
KR102000199B1 (ko) 사물 인터넷 플랫폼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서버장치
KR101241736B1 (ko) 포트 포워딩 설정 방법, 이를 이용한 네트워크 단말장치 및 네트워크 시스템
JP4735972B2 (ja) 情報配信システムおよびユーザ装置ならびに情報配信方法
JP7393264B2 (ja) ネットワーク装置およびネットワーク構成判別方法
CN212812046U (zh) 基于多维采集的移动通信设备
CN114157587B (zh) 网络装置及网络构成判定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