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69849B1 - 웨어러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방법 - Google Patents

웨어러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69849B1
KR101869849B1 KR1020170027357A KR20170027357A KR101869849B1 KR 101869849 B1 KR101869849 B1 KR 101869849B1 KR 1020170027357 A KR1020170027357 A KR 1020170027357A KR 20170027357 A KR20170027357 A KR 20170027357A KR 101869849 B1 KR101869849 B1 KR 1018698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asurement
speed
predetermined
rotation angle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273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재현
윤상영
Original Assignee
(주)유투 시스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유투 시스템 filed Critical (주)유투 시스템
Priority to KR10201700273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6984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698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698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093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with means for monitoring data relating to the user, e.g. head-tracking, eye-tracking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7Head mounted
    • G02B27/0176Head mounted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Wearable computers, e.g. on a bel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1Arrangements for interaction with the human body, e.g. for user immersion in virtual reality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7Head mounted
    • G02B2027/0178Eyeglass type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스플레이 장치는 센서 정보를 수집하는 센서 정보 수집부, 영상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센서 정보에 따른 측정 속도, 측정 방향 및 측정 회전각을 산출하고, 상기 측정 속도, 측정 방향 및 측정 회전각에 따른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제어부, 고정부, 상기 영상 신호에 따라 화면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고정부와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연결하는 몸체부 및 상기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몸체부를 회전 또는 이동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웨어러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방법{WEARABLE DISAPLAY DEVICE AND METHOD FOR DISPLAYING}
본 발명은 웨어러블 디스플레이 기술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상황에 따라 사용자의 시야를 가리지 않는 웨어러블 디스플레이 기술에 관한 것이다.
웨어러블 디스플레이(wearable display)는 일상 생활에서 다양하게 이용될 수 있다. 특히, 웨어러블 디스플레이 장치는 스포츠 보조 용도로 사용되는 경우가 많다. 예를 들어, 사이클링 등 손의 사용이 제한적인 스포츠의 경우, 웨어러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활용도는 높다.
다만, 웨어러블 디스플레이 장치는 구조상 사용자의 시야에서 디스플레이하도록 되어 있어, 상황에 따라 디스플레이 화면 또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지지하는 몸체부로 인해 시야를 가리게 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사용자의 움직임에 따라 디스플레이 화면의 위치를 이동시키는 웨어러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센서 정보를 수집하는 센서 정보 수집부; 영상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센서 정보에 따른 측정 속도, 측정 방향 및 측정 회전각을 산출하고, 상기 측정 속도, 측정 방향 및 측정 회전각에 따른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제어부; 고정부; 상기 영상 신호에 따라 화면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고정부와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연결하는 몸체부; 및 상기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몸체부를 회전 또는 이동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웨어러블 디스플레이 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측정 속도가 미리 지정된 제1 속도 이상이고, 상기 측정 방향이 미리 지정된 기준 방향으로부터 미리 지정된 각도 미만에 해당하는 방향이고, 지정된 시간 구간 내의 측정 회전각이 미리 지정된 각도 미만인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몸체부가 기본 위치로 이동하거나 기본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상기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측정 속도가 미리 지정된 제1 속도 이상이고, 상기 측정 방향이 기준 방향으로부터 상측으로 미리 지정된 각도 이상의 방향인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몸체부가 하측 위치로 이동하거나 하측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상기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측정 속도가 미리 지정된 제1 속도 이상이고, 상기 측정 방향이 기준 방향으로부터 하측으로 미리 지정된 각도 이상의 방향인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몸체부가 상측 위치로 이동하거나 상측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상기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측정 속도가 미리 지정된 제2 속도 이상이고, 상기 측정 방향이 기준 방향으로부터 하측으로 미리 지정된 각도 이상의 방향인 경우, 상기 제어부는 화면이 화면 표시 가능 영역의 일측으로 이동하도록 상기 영상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제2 속도는 상기 제1 속도를 초과할 수 있다.
상기 측정 속도가 미리 지정된 제1 속도 이상이고, 미리 지정된 시간 구간 내 상기 측정 회전각이 지정된 일측 방향으로 미리 지정된 각도 이상인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몸체부가 시야 확보 위치로 이동하거나 시야 확보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상기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고정부, 화면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고정부와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연결하는 몸체부를 포함하는 웨어러블 디스플레이 장치가 디스플레이하는 방법에 있어서, 센서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상기 센서 정보에 따른 측정 속도, 측정 방향 및 측정 회전각을 산출하는 단계; 상기 측정 속도, 측정 방향 및 측정 회전각에 따라 상기 몸체부를 회전 또는 이동시키는 단계; 및 상기 화면을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측정 속도, 측정 방향 및 측정 회전각에 따라 상기 몸체부를 회전 또는 이동시키는 단계는, 상기 측정 속도가 미리 지정된 제1 속도 이상이고, 상기 측정 방향이 미리 지정된 기준 방향으로부터 미리 지정된 각도 미만에 해당하는 방향이고, 지정된 시간 구간 내의 측정 회전각이 미리 지정된 각도 미만인 경우, 상기 몸체부가 기본 위치로 이동하거나 기본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하는 단계일 수 있다.
상기 측정 속도, 측정 방향 및 측정 회전각에 따라 상기 몸체부를 회전 또는 이동시키는 단계는, 상기 측정 속도가 미리 지정된 제1 속도 이상이고, 상기 측정 방향이 기준 방향으로부터 상측으로 미리 지정된 각도 이상의 방향인 경우, 상기 몸체부가 하측 위치로 이동하거나 하측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하는 단계일 수 있다.
상기 측정 속도, 측정 방향 및 측정 회전각에 따라 상기 몸체부를 회전 또는 이동시키는 단계는, 상기 측정 속도가 미리 지정된 제1 속도 이상이고, 상기 측정 방향이 기준 방향으로부터 하측으로 미리 지정된 각도 이상의 방향인 경우, 상기 몸체부가 상측 위치로 이동하거나 상측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하는 단계일 수 있다.
상기 측정 속도, 측정 방향 및 측정 회전각에 따라 상기 몸체부를 회전 또는 이동시키는 단계는, 상기 측정 속도가 미리 지정된 제2 속도 이상이고, 상기 측정 방향이 기준 방향으로부터 하측으로 미리 지정된 각도 이상의 방향인 경우, 상기 화면이 화면 표시 가능 영역의 일측으로 이동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측정 속도, 측정 방향 및 측정 회전각에 따라 상기 몸체부를 회전 또는 이동시키는 단계는, 상기 측정 속도가 미리 지정된 제1 속도 이상이고, 미리 지정된 시간 구간 내 상기 측정 회전각이 지정된 일측 방향으로 미리 지정된 각도 이상인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몸체부가 시야 확보 위치로 이동하거나 시야 확보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하는 단계일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상황에 따라 사용자가 인지하기 용이하게 화면을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황에 따라 사용자의 주 시야 방향 상에 디스플레이 화면 및 몸체부가 위치하여 사용자의 시야를 방해하는 경우를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스플레이 장치를 예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기본 동작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상향 동작을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하향 동작을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시야 확보 동작을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스플레이 장치가 화면 이동을 수행하는 것을 예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스플레이 장치가 디스플레이하는 과정을 예시한 순서도.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이를 상세한 설명을 통해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스플레이 장치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스플레이 장치는 디스플레이부(110), 몸체부(120), 고정부(130), 구동부(140), 제어부(150), 전원부(160) 및 센서 정보 수집부(170)를 포함한다.
디스플레이부(110)는 영상 신호를 입력 받아 디스플레이한다. 디스플레이부(110)는 공지된 광학계를 포함하고, 영상 신호에 따른 영상을 광학계로 투사하여 사용자에게 시각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몸체부(120)는 디스플레이부(110)와 고정부(130) 간을 전기적으로 연결하고, 전원부(160)으로부터 인가 받은 전원을 디스플레이부(110)로 전달하고, 제어부(150)로부터 수신한 영상 신호를 디스플레이부(110)로 전송한다.
고정부(130)는 당해 웨어러블 디스플레이 장치를 고정할 접점에 고정한다. 고정부(130)는 접점에 고정하기 위한 공지된 수단(예를 들어, 접착 소재, 집게 구조물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발명의 간결하고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고정부(130)는 안경 상에 고정되는 것으로 가정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물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스플레이 장치는 헬멧, 귀 등의 신체 등 안경 이외 타 물체에 고정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구동부(140)는 제어부(150)로부터 제어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디스플레이부(110) 및 몸체부(120)를 회전 또는 이동시킨다. 예를 들어, 몸체부(120) 및 고정부(130)는 회전축으로 연결되고, 구동부(140)는 회전축을 회전시켜 몸체부(120) 및 디스플레이부(110)를 회전시킬 수 있다. 또는 몸체부(120)는 고정부(130) 상에서 평행 이동 가능한 공지된 구조로 연결되어 있고, 구동부(140)는 제어 신호에 따라 몸체부(120)를 평행이동 시킬 수 있다.
구동부(140)가 디스플레이부(110) 및 몸체부(120)를 회전 또는 이동시키는 과정은 추후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제어부(150)는 지정된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도록 하는 영상 신호를 생성하여 몸체부(120)를 통해 디스플레이부(110)로 전송한다. 또한, 제어부(150)는 센서 정보 수집부(170)로부터 속도 및 방향을 산정하기 위해 필요한 정보(이하, 센서 정보)를 수신하고, 센서 정보에 따른 웨어러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속도, 방향 및 회전 중 하나 이상이 미리 지정된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디스플레이부(110) 및 몸체부(120)의 회전 또는 이동을 지시하는 제어 신호를 구동부(140)로 전송한다. 이하, 웨어러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속도, 방향, 회전 각도를 각각 측정 속도, 측정 방향 및 측정 회전각이라 지칭하도록 한다. 또한, 측정 방향은 사용자가 상측 또는 하측을 보기 위해 머리를 들거나 숙이는 동작에 따라 측정되는 웨어러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방향을 의미하고, 측정 회전각은 사용자가 머리를 일측면으로 돌리는 동작에 따라 웨어러블 디스플레이 장치가 회전되는 각도를 의미한다.
제어부(150)가 측정 속도 및 측정 방향 중 하나 이상에 따라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과정은 추후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전원부(160)는 배터리, 발전 장치 등의 전원을 생성 또는 축전하는 모듈을 포함하고, 전원을 필요로 하는 디스플레이부(110), 구동부(140), 제어부(150), 전원부(160), 센서 정보 수집부(170)로 제공한다.
센서 정보 수집부(170)는 측정 속도 및 측정 방향을 산정하기 위해 필요한 센서 정보를 획득하기 위해 필요한 센서 모듈 또는 통신 모듈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센서 정보 수집부(170)는 측정 속도를 산정하기 위해 GPS 모듈을 포함하고, 측정 방향을 산정하기 위해 필요한 자이로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센서 정보 수집부(170)는 센서 정보를 생성하는 타 장치와 연결되어 센서 정보를 수신하는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센서 정보 수집부(170)는 자체적으로 센서 정보를 생성하거나, 타 장치로부터 센서 정보를 수신하여 센서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센서 정보 수집부(170)는 수집한 센서 정보를 제어부(150)로 전송한다.
이 때, 상술한 구동부(140), 제어부(150), 전원부(160) 및 센서 정보 수집부(170)는 몸체부(120) 또는 고정부(130) 내에 위치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기본 동작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제어부(150)는 센서 정보 수집부(170)로부터 수신한 센서 정보에 따라 웨어러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측정 속도, 측정 방향 및 측정 회전각을 산출한다. 제어부(150)는 속도가 미리 지정된 제1 속도(예를 들어, a km/h, a는 0 이상의 자연수) 이상이고, 측정 방향이 미리 지정된 기준 방향으로부터 미리 지정된 각도 미만에 해당하는 방향이고, 지정된 시간 구간 내에 측정 회전각이 지정된 각도 미만일 경우, 디스플레이부(110) 및 몸체부(120)의 위치 또는 방향을 미리 지정된 위치(이하, 기본 위치라 지칭) 또는 미리 지정된 방향(이하, 기본 방향)으로 설정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구동부(140)로 전송한다.
구동부(140)는 제어 신호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10) 및 몸체부(120)의 위치를 기본 위치로 이동시키거나, 디스플레이부(110) 및 몸체부(120)의 방향을 기본 방향이 되도록 회전시키는 기본 동작을 수행한다.
즉, 도 2의 210과 같이 웨어러블 디스플레이 장치는 사용자의 시야 내에 영상이 디스플레이 되도록 기본 방향으로 디스플레이부(110) 및 몸체부(120)를 회전시키는 기본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이 때, 구동부(140)는 디스플레이부(110) 및 몸체부(120)를 회전 시킬 수 있는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즉, 도 2의 220과 같이 웨어러블 디스플레이 장치는 사용자의 시야 내에 영상이 디스플레이 되도록 기본 위치에 디스플레이부(110) 및 몸체부(120)를 이동시키는 기본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이 때, 구동부(140)는 디스플레이부(110) 및 몸체부(120)를 평행 이동시킬 수 있는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상향 동작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제어부(150)는 속도가 미리 지정된 제1 속도 이상이고, 측정 방향이 기준 방향으로부터 하측으로 지정된 각도 이상에 해당하는 방향인 경우, 디스플레이부(110) 및 몸체부(120)의 위치를 기본 위치로부터 상측의 미리 지정된 위치(이하, 상측 위치라 지칭)로 설정하거나, 방향을 기본 방향에 비해 상측을 향하는 방향(이하, 상측 방향이라 지칭)으로 설정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구동부(140)로 전송한다.
구동부(140)는 제어 신호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10) 및 몸체부(120)의 위치를 상측 위치로 이동시키거나, 디스플레이부(110) 및 몸체부(120)의 방향을 상측 방향이 되도록 회전시키는 상향 동작을 수행한다.
즉, 도 3의 310과 같이 웨어러블 디스플레이 장치는 사용자가 내리막 길을 이동하거나 빠르게 이동하기 위해 상체를 숙인 경우, 사용자의 시야 내에 영상이 디스플레이 되도록 상측 위치에 디스플레이부(110) 및 몸체부(120)를 이동시키는 상향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또는 도 3의 320과 같이 웨어러블 디스플레이 장치는 사용자가 내리막을 이동하거나 빠르게 이동하기 위해 상체를 숙인 경우, 사용자의 시야 내에 영상이 디스플레이 되도록 상측 방향으로 디스플레이부(110) 및 몸체부(120)를 회전시키는 상향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내리막 길을 이동하는 경우에 눈의 움직임을 통해 시야를 상측 방향으로 이동시키더라도, 웨어러블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디스플레이 되는 영상을 정상적으로 인지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속도를 높이기 위해 상체를 앞으로 숙이는 경우, 눈의 움직임을 통해 시야를 상측 방향으로 이동시키더라도, 웨어러블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디스플레이 되는 영상을 정상적으로 인지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하향 동작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제어부(150)는 속도가 미리 지정된 제1 속도 이상이고, 측정 방향이 기준 방향으로부터 상측으로 지정된 각도 이상에 해당하는 방향인 경우, 디스플레이부(110) 및 몸체부(120)의 위치를 기본 위치에 비해 하측의 미리 지정된 위치(이하, 하측 위치라 지칭)로 설정하거나, 방향을 기본 방향에 비해 하측을 향하는 방향(이하, 하측 방향이라 지칭)으로 설정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구동부(140)로 전송한다. 이 때, 측정 방향 및 기준 방향의 수직 방향 성분은 수평면을 기준으로 상측 방향을 양의 값으로 가지고, 수평면을 기준으로 하측 방향을 음의 값을 가진다고 가정한다.
구동부(140)는 제어 신호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10) 및 몸체부(120)의 위치를 하측 위치로 이동시키거나, 디스플레이부(110) 및 몸체부(120)의 방향을 하측 방향이 되도록 회전시키는 하향 동작을 수행한다.
즉, 도 4의 410과 같이 웨어러블 디스플레이 장치는 사용자가 오르막 길을 이동하거나 천천히 편하게 이동하기 위해 상체를 든 경우, 사용자의 시야 내에 영상이 디스플레이 되도록 하측 방향으로 디스플레이부(110) 및 몸체부(120)를 회전시키는 하향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또는, 도 4의 420과 같이 웨어러블 디스플레이 장치는 사용자가 오르막 길을 이동하거나 천천히 편하게 이동하기 위해 상체를 든 경우, 사용자의 시야 내에 영상이 디스플레이 되도록 하측 위치에 디스플레이부(110) 및 몸체부(120)를 이동시키는 하향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오르막 길을 이동하는 경우에 눈의 움직임을 통해 시야를 하측 방향으로 이동시키더라도, 웨어러블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디스플레이 되는 영상을 정상적으로 인지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속도를 높이기 위해 상체를 든 경우, 눈의 움직임을 통해 시야를 하측 방향으로 이동시키더라도, 웨어러블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디스플레이 되는 영상을 정상적으로 인지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시야 확보 동작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제어부(150)는 속도가 제1 속도 이상이고, 시간 구간 내 측정 회전각이 지정된 일측 방향(사용자의 미간을 지나는 수직선을 기준으로 웨어러블 디스플레이가 장착된 방향)으로 미리 지정된 각도 이상인 경우, 디스플레이부(110) 및 몸체부(120)의 위치를 미리 설정된 시야 확보 위치로 이동시키거나, 디스플레이부(110) 및 몸체부(120)를 미리 설정된 시야 확보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구동부(140)로 전송한다. 이 때, 시야 확보 위치는 사용자가 눈을 움직이더라도 몸체부(120)를 볼 수 없도록 몸체부(120)가 이동된 위치를 의미하고, 시야 확보 방향은 사용자가 눈을 움직이더라도 몸체부(120)를 볼 수 없도록 몸체부(120)가 회전된 방향을 의미한다.
구동부(140)는 제어 신호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10) 및 몸체부(120)의 위치를 시야 확보 위치로 이동시키거나, 디스플레이부(110) 및 몸체부(120)를 시야 확보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시야 확보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즉, 도 5의 510과 같이 웨어러블 디스플레이 장치는 사용자가 측면 또는 후면을 보기 위해 머리를 일측으로 돌리는 경우, 몸체부(120)로 인해 사용자의 시야가 가리지 않도록 디스플레이부(110) 및 몸체부(120)를 이동시키는 시야 확보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또는 도 5의 520과 같이 웨어러블 디스플레이 장치는 사용자가 측면 또는 후면을 보기 위해 머리를 일측으로 돌리는 경우, 몸체부(120)로 인해 사용자의 시야가 가리지 않도록 측면 방향으로 디스플레이부(110) 및 몸체부(120)를 회전시키는 시야 확보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웨어러블 디스플레이 장치는 사용자가 측면을 보기 위해 머리를 일측으로 돌리고 눈을 일측으로 움직이는 경우, 몸체부(120)에 시야가 가려 측면을 보지 못하는 경우를 방지하여 안전을 확보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스플레이 장치가 화면 이동을 수행하는 것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웨어러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부(150)는 속도가 미리 지정된 제2 속도(이 때, 제2 속도는 제1 속도를 초과하는 속도) 이상이고, 측정 방향이 기준 방향으로부터 하측으로 지정된 각도 이상에 해당하는 방향인 경우, 상향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구동부(140)로 전송하고, 디스플레이 되는 화면의 위치가 변경되도록 영상 신호를 생성하여 디스플레이부(110)로 전송한다.
즉, 도 6과 같이 제어부(150)는 원 위치(610)에 표시되는 화면을 미리 지정된 위치(620)에 표시되도록 영상 신호를 생성하여 디스플레이부(110)로 전송할 수 있다.
따라서, 웨어러블 디스플레이 장치는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표시되는 화면을 사용자의 시야 내 일측으로 이동시켜, 속도가 매우 빠른 상황에서 사용자가 좀더 시야를 확보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즉, 웨어러블 디스플레이 장치는 사용자가 이동된 화면으로 인해 시야 내 중앙 영역의 시야를 좀 더 확보하도록 함으로써, 디스플레이부(110)의 화면으로 인해 인지 오류가 발생할 가능성을 낮출 수 있다.
반대로, 제2 속도 미만의 저속에서는 사용자가 시야 내 환경을 인지하고 판단하는 시간에 여유가 있기 때문에, 웨어러블 디스플레이 장치는 화면 이동을 수행하지 않도록 하여, 사용자가 화면을 좀 더 쉽게 인지하도록 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상술한 바와 같이 웨어러블 디스플레이 장치는 측정 속도가 제1 속도 이상인 경우, 상황에 맞게 디스플레이를 수행한다. 이 때, 측정 속도가 제1 속도 미만인 경우, 웨어러블 디스플레이 장치는 사용자가 디스플레이부(110) 및 몸체부(120)를 사용자의 시야에서 벗어난 위치로 이동 또는 회전시키는 파킹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즉, 제1 속도 미만의 경우, 웨어러블 디스플레이 장치는 사용자가 디스플레이 화면을 주시할 필요가 없는 상황으로 인지하고, 파킹 동작을 수행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스플레이 장치가 디스플레이하는 과정을 예시한 순서도이다. 이하 설명하는 각 단계는 웨어러블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성하는 각 기능부를 통해 수행하는 과정이나, 발명의 간결하고 명확한 설명을 위해 각 단계의 주체를 웨어러블 디스플레이 장치로 통칭하도록 한다.
도 7을 참조하면, 단계 705에서 웨어러블 디스플레이 장치는 센서 정보를 수집한다. 이 때, 웨어러블 디스플레이 장치는 센서 정보 수집부(170)를 통해 직접 센서 정보를 생성하거나, 외부 장치로부터 센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단계 710에서 웨어러블 디스플레이 장치는 센서 정보에 따라 측정 속도, 측정 방향 및 측정 회전각을 산출한다. 예를 들어, 웨어러블 디스플레이 장치는 센서 정보에 포함된 GPS 정보를 참조하여 측정 속도를 산출하고, 자이로 센서의 측정값을 통해 측정 방향 및 측정 회전각을 산출할 수 있다.
단계 715에서 웨어러블 디스플레이 장치는 측정 속도가 제1 속도 이상인지 판단한다.
단계 715에서 측정 속도가 제1 속도 미만인 경우, 단계 720에서 웨어러블 디스플레이 장치는 파킹 동작을 수행한다.
단계 715에서 측정 속도가 제1 속도 이상인 경우, 단계 725에서 웨어러블 디스플레이 장치는 측정 방향이 기준 방향으로부터 상측으로 지정된 각도 이상에 해당하는 방향인지 판단한다.
단계 725에서 측정 방향이 기준 방향으로부터 상측으로 지정된 각도 이상에 해당하는 방향인 경우, 단계 730에서 웨어러블 디스플레이 장치는 하향 동작을 수행한다.
단계 725에서 측정 방향이 기준 방향으로부터 상측으로 지정된 각도 미만에 해당하는 방향인 경우, 단계 735에서 웨어러블 디스플레이 장치는 측정 방향이 기준 방향으로부터 하측으로 지정된 각도 이상에 해당하는 방향인지 판단한다.
단계 735에서 측정 방향이 기준 방향으로부터 하측으로 지정된 각도 이상에 해당하는 방향인 경우, 단계 740에서 웨어러블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향 동작을 수행한다.
단계 745에서 웨어러블 디스플레이 장치는 측정 속도가 제2 속도 이상인지 판단한다. 이 때, 제2 속도는 제1 속도를 초과하는 속도일 수 있다.
단계 745에서 측정 속도가 제2 속도 미만인 경우, 웨어러블 디스플레이 장치는 단계 705부터의 과정을 반복 수행한다.
단계 745에서 측정 속도가 제2 속도 이상인 경우, 단계 750에서 웨어러블 디스플레이 장치는 화면을 원 위치에서 디스플레이 가능한 영역상 측면으로 이동시켜 표시한다.
단계 735에서 측정 방향이 기준 방향으로부터 하측으로 지정된 각도 미만에 해당하는 방향인 경우, 단계 755에서 웨어러블 디스플레이 장치는 측정 회전각이 일측 방향(사용자의 미간을 지나는 수직선을 기준으로 웨어러블 디스플레이가 장착된 방향)으로 지정된 각도 이상인지 판단한다.
단계 755에서 측정 회전각이 일측 방향으로 지정된 각도 이상인 경우, 단계 760에서 웨어러블 디스플레이 장치는 시야 확보 동작을 수행한다.
단계 755에서 측정 회전각이 일측 방향으로 지정된 각도 이상인 아닌 경우, 단계 765에서 웨어러블 디스플레이 장치는 기본 동작을 수행한다.
단계 770에서 웨어러블 디스플레이 장치는 사용자로부터 종료 입력을 받았는지 확인한다. 이 때, 웨어러블 디스플레이 장치는 종료 입력을 받기 위한 버튼 등의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으며, 해당 인터페이스를 통해 종료 입력을 받을 수 있다.
단계 770에서 사용자로부터 종료 입력을 받았을 경우, 웨어러블 디스플레이 장치는 디스플레이 과정을 종료한다. 이 때, 웨어러블 디스플레이 장치는 파킹 동작을 수행 후 디스플레이 과정을 종료할 수 있다.
단계 770에서 사용자로부터 종료 입력을 받지 않은 경우, 웨어러블 디스플레이 장치는 단계 705부터의 과정을 반복 수행한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실시 예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전술한 실시 예 외의 많은 실시 예들이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 내에 존재한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 예는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2)

  1. 센서 정보를 수집하는 센서 정보 수집부;
    영상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센서 정보에 따른 측정 속도, 측정 방향 및 측정 회전각을 산출하고, 상기 측정 속도, 측정 방향 및 측정 회전각에 따른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제어부;
    고정부;
    상기 영상 신호에 따라 화면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고정부와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연결하는 몸체부; 및
    상기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몸체부를 회전 또는 이동시키는 구동부
    를 포함하는 웨어러블 디스플레이 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 속도가 미리 지정된 제1 속도 이상이고, 상기 측정 방향이 미리 지정된 기준 방향으로부터 미리 지정된 각도 미만에 해당하는 방향이고, 지정된 시간 구간 내의 측정 회전각이 미리 지정된 각도 미만인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몸체부가 기본 위치로 이동하거나 기본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상기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어러블 디스플레이 장치.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 속도가 미리 지정된 제1 속도 이상이고, 상기 측정 방향이 기준 방향으로부터 상측으로 미리 지정된 각도 이상의 방향인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몸체부가 하측 위치로 이동하거나 하측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상기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어러블 디스플레이 장치.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 속도가 미리 지정된 제1 속도 이상이고, 상기 측정 방향이 기준 방향으로부터 하측으로 미리 지정된 각도 이상의 방향인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몸체부가 상측 위치로 이동하거나 상측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상기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어러블 디스플레이 장치.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 속도가 미리 지정된 제2 속도 이상이고, 상기 측정 방향이 기준 방향으로부터 하측으로 미리 지정된 각도 이상의 방향인 경우, 상기 제어부는 화면이 화면 표시 가능 영역의 일측으로 이동하도록 상기 영상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제2 속도는 상기 제1 속도를 초과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어러블 디스플레이 장치.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 속도가 미리 지정된 제1 속도 이상이고, 미리 지정된 시간 구간 내 상기 측정 회전각이 지정된 일측 방향으로 미리 지정된 각도 이상인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몸체부가 시야 확보 위치로 이동하거나 시야 확보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상기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어러블 디스플레이 장치.
  7. 고정부, 화면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고정부와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연결하는 몸체부를 포함하는 웨어러블 디스플레이 장치가 디스플레이하는 방법에 있어서,
    센서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상기 센서 정보에 따른 측정 속도, 측정 방향 및 측정 회전각을 산출하는 단계;
    상기 측정 속도, 측정 방향 및 측정 회전각에 따라 상기 몸체부를 회전 또는 이동시키는 단계; 및
    상기 화면을 표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방법.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 속도, 측정 방향 및 측정 회전각에 따라 상기 몸체부를 회전 또는 이동시키는 단계는,
    상기 측정 속도가 미리 지정된 제1 속도 이상이고, 상기 측정 방향이 미리 지정된 기준 방향으로부터 미리 지정된 각도 미만에 해당하는 방향이고, 지정된 시간 구간 내의 측정 회전각이 미리 지정된 각도 미만인 경우, 상기 몸체부가 기본 위치로 이동하거나 기본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방법.
  9.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 속도, 측정 방향 및 측정 회전각에 따라 상기 몸체부를 회전 또는 이동시키는 단계는,
    상기 측정 속도가 미리 지정된 제1 속도 이상이고, 상기 측정 방향이 기준 방향으로부터 상측으로 미리 지정된 각도 이상의 방향인 경우, 상기 몸체부가 하측 위치로 이동하거나 하측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방법.
  10.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 속도, 측정 방향 및 측정 회전각에 따라 상기 몸체부를 회전 또는 이동시키는 단계는,
    상기 측정 속도가 미리 지정된 제1 속도 이상이고, 상기 측정 방향이 기준 방향으로부터 하측으로 미리 지정된 각도 이상의 방향인 경우, 상기 몸체부가 상측 위치로 이동하거나 상측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방법.
  11.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 속도, 측정 방향 및 측정 회전각에 따라 상기 몸체부를 회전 또는 이동시키는 단계는,
    상기 측정 속도가 미리 지정된 제2 속도 이상이고, 상기 측정 방향이 기준 방향으로부터 하측으로 미리 지정된 각도 이상의 방향인 경우, 상기 화면이 화면 표시 가능 영역의 일측으로 이동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방법.
  12.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 속도, 측정 방향 및 측정 회전각에 따라 상기 몸체부를 회전 또는 이동시키는 단계는,
    상기 측정 속도가 미리 지정된 제1 속도 이상이고, 미리 지정된 시간 구간 내 상기 측정 회전각이 지정된 일측 방향으로 미리 지정된 각도 이상인 경우, 상기 몸체부가 시야 확보 위치로 이동하거나 시야 확보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방법.
KR1020170027357A 2017-03-02 2017-03-02 웨어러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방법 KR1018698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7357A KR101869849B1 (ko) 2017-03-02 2017-03-02 웨어러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7357A KR101869849B1 (ko) 2017-03-02 2017-03-02 웨어러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69849B1 true KR101869849B1 (ko) 2018-06-22

Family

ID=627682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27357A KR101869849B1 (ko) 2017-03-02 2017-03-02 웨어러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69849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16192A (ko) * 2015-08-03 2017-02-13 엘지전자 주식회사 웨어러블 디바이스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16192A (ko) * 2015-08-03 2017-02-13 엘지전자 주식회사 웨어러블 디바이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213163B2 (en) Aligning inter-pupillary distance in a near-eye display system
US9025252B2 (en) Adjustment of a mixed reality display for inter-pupillary distance alignment
US10591735B2 (en) Head-mounted display device and image display system
US9213185B1 (en) Display scaling based on movement of a head-mounted display
US10534184B2 (en) Auxiliary device for head-mounted displays
JP6076099B2 (ja) 眼鏡型操作デバイス及び眼鏡型操作システム
US20140375540A1 (en) System for optimal eye fit of headset display device
JP6378781B2 (ja) 頭部装着型表示装置、及び映像表示システム
CN109324413A (zh) 近眼显示系统及其操作方法
WO2013067230A1 (en) See-through display brightness control
EP3014339A1 (en) Camera auto-focus based on eye gaze
KR20220093213A (ko) 안경류의 nfc 통신 및 qi 무선 충전
CN111630477A (zh) 提供增强现实服务的设备及其操作方法
TW201721228A (zh) 反應眼睛凝視的虛擬實境頭戴式組件
JP6405991B2 (ja) 電子機器、表示装置、及び、電子機器の制御方法
KR101203921B1 (ko) 안구 추적과 위치 기반 서비스를 이용한 정보 제공 장치
KR101467529B1 (ko) 착용형 정보 제공 시스템
CN111213375B (zh) 信息处理装置、信息处理方法以及程序
JP2016101498A (ja) 可視映写手段を有する、眼球運動を測定する頭部装着可能デバイス
US9751607B1 (en) Method and system for controlling rotatable device on marine vessel
KR101869849B1 (ko) 웨어러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방법
WO2012161639A1 (en) Exercise glasses
WO2017056445A1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JP2023554490A (ja) 眼鏡に適応可能な視線追跡キット
CN210324103U (zh) 显示系统和头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