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69607B1 - increased productivity is improved scraper - Google Patents

increased productivity is improved scrap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69607B1
KR101869607B1 KR1020160130469A KR20160130469A KR101869607B1 KR 101869607 B1 KR101869607 B1 KR 101869607B1 KR 1020160130469 A KR1020160130469 A KR 1020160130469A KR 20160130469 A KR20160130469 A KR 20160130469A KR 101869607 B1 KR101869607 B1 KR 1018696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rk
ground
adjusting
receiving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3046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80039319A (en
Inventor
전도석
Original Assignee
전도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도석 filed Critical 전도석
Priority to KR10201601304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69607B1/en
Publication of KR201800393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3931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696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6960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1/00Hand tools
    • A01B1/06Hoes; Hand cultivato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9/00Fork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oil Sciences (AREA)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 Soil Working Imp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면(1)의 흙덩이를 찍어 잘게 부수고, 고르기 위한 쇠스랑에 있어서: 상기 지면(1)을 찍을 수 있도록 다수개의 날(11)을 갖는 포크(12)를 구비하고, 포크(12)의 후단에 손잡이(14)와 일체로 형성되게 연결부(13)를 구비하는 포크부(10); 상기 포크부(10)의 하부에 장착되어 지면(1)에 지지되면서 지렛대 원리로 포크부(10)가 지면(1)의 흙덩이를 찍어 퍼 올릴 수 있도록 구비하는 지지부(20); 상기 포크부(10)와 지지부(20) 사이에 날(11)을 수용하면서 지지부(20)의 위치를 조절함으로 지면(1)을 파는 깊이를 조절하게 지지부(20)의 위치를 조절 가능하게 이송판(30)의 후면에 장착되어 수평방향으로 형성되는 나사산부(32)와, 포크부(10)의 연결부(13) 상에 나사산부(32)를 삽설하는 수용부(33)와, 나사산부(32) 상에 체결되어 수용부(33)를 고정하는 한쌍의 고정너트(34)를 갖는 이송수단(31)을 구비하는 이송판(30); 및 상기 지지부(20)와 이송판(30) 사이에 지면(1)으로부터 포크부(10)의 높이를 조절하여 포크부(10)의 회전 각도를 조절하게 이송판(30)의 전면에 일체로 수용공간(42)과 통공(43)을 구비하는 수용대(41)와, 지지부(20) 상에 이송판(30)의 수용공간(42)으로 삽설되어 포크부(10)의 높이를 조절하게 통공(43)과 서로 대응되는 다수개의 조절공(45)을 갖는 조절판(44)과, 통공(43)과 조절공(45) 상에 삽설하여 고정하는 체결볼트(46)와 체결너트(47)를 구비하는 조절수단(4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지렛대의 원리를 이용하여 지면의 흙덩이를 찍어 잘게 부수고 고르도록 하고, 포크가 지면에 삽설되는 깊이를 조절하면서 회전 각도를 조절할 수 있어 작업율의 향상이 가능하고, 적은 힘으로도 작업을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awl for punching and chopping a pile of paper (1) comprising: a fork (12) having a plurality of blades (11) for taking a picture of the paper (1) A fork portion 10 having a connecting portion 13 integrally formed with the handle 14 at a rear end thereof; A supporting part 20 mounted on the lower part of the fork part 10 and supported on the ground 1 so that the fork part 10 can be lifted up and removed from the ground 1 by a lever principle; The position of the support portion 20 is adjusted to adjust the depth of digging the ground 1 by adjusting the position of the support portion 20 while receiving the blade 11 between the fork portion 10 and the support portion 20, A receiving portion 33 for inserting a threaded portion 32 on the connecting portion 13 of the fork portion 10 and a threaded portion 32 form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plate 30, (30) having conveying means (31) having a pair of fixing nuts (34) which are fastened on the supporting portion (32) and fix the receiving portion (33);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rotation angle of the fork unit 10 by adjusting the height of the fork unit 10 from the ground 1 between the support unit 20 and the feed plate 30, A receiving space 41 provided with a receiving space 42 and a through hole 43 and a receiving space 41 provided in the receiving space 42 of the conveying plate 30 on the supporting part 20 to adjust the height of the fork part 10 A fastening bolt 46 and a fastening nut 47 which are inserted and fixed on the through hole 43 and the adjusting hole 45, And adjusting means (40) for adjusting the temperature of the fluid.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adjust the rotation angle while adjusting the depth of insertion of the fork into the ground surface by using the principle of the lever, So that the work can be smoothly performed.

Description

작업율이 향상되는 쇠스랑{increased productivity is improved scraper}Increased productivity is improved scraper,

본 발명은 작업율이 향상되는 쇠스랑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지렛대의 원리를 이용하여 지면의 흙덩이를 찍어 잘게 부수고 고르도록 하고, 포크가 지면에 삽설되는 깊이를 조절하면서 회전 각도를 조절할 수 있어 작업율의 향상이 가능하고, 적은 힘으로도 작업을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는 작업율이 향상되는 쇠스랑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ork wrench with improved working efficiency, more specifically, by using the principle of a leverage, it is possible to dip and chop the ground so that the rotation angle can be adjusted while adjusting the depth of insertion of the fork into the ground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hoelace which is capable of improving the work rate and improving the work rate capable of performing the work smoothly even with a small force.

통상적으로, 쇠스랑은 갈퀴모양을 띄고 있어 마치 손가락을 긁는 시늉으로 밭을 갈고 고를 때 쓰는 농기구이다. 밭농사의 경우 매번 흙을 뒤집어주어야 하기 때문에 쟁기 등으로 갈아엎어서 거칠게 된 것을 다듬어주거나 표토를 긁어서 파종할 수 있도록 흙을 평평하게 할 수 있도록 한다.Normally, the crest is shaped like a rake, and it is a farming tool used when picking and polishing a field with a finger scratching. In case of field farming, it is necessary to turn over the soil every time, so it should be plowed and turned over to make rough soil or flatten soil so that the soil can be sowed and planted.

일예로,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2016-0100456호에 따르면, ‘길이가 서로 다른 2개의 고정축의 양끝단이 수직으로 절곡되어 날이 형성되고, 고정축의 중앙에는 체결공이 구비된 고정판이 형성되되, 2개의 날부 중 길이가 긴 고정축에 형성된 고정판은 날의 반대방향으로 형성되고, 길이가 짧은 고정축에 형성된 고정판은 날과 동일한 방향으로 형성된 날부와; 상기 날부의 고정판이 삽입·고정되도록 전면에는 날부고정홈이 형성되고, 후면에는 자루고정공이 형성된 고정부재와; 상기 고정부재의 자루고정공에 삽입·고정되는 자루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크 겸용 쇠스랑.’을 제시한다. For example, according to 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2016-0100456, two fixed axes having different lengths are vertically bent to form a blade, and a fixed plate having a fastening hole is formed at the center of the fixed shaft. A fixing plate formed on a fixed shaft having a long length of the blade and formed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blade; A fixing member having a blade fixing groove formed on a front surface thereof and a sack fixing hole formed on a rear surface thereof so that the fixing plate of the blade portion is inserted and fixed; And a bag which is inserted and fixed in the bag fixing hole of the fixing member.

하지만, 이러한 포크 겸용 쇠스랑의 경우 일반적인 포크 형태로 형성되어 있어 겨울철 얼어붙은 땅을 파거나, 일반적인 땅을 파기에 많은 힘이 발생하여야 하기 때문에 작업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발생한다.However, in the case of such a fork and a fork, it is formed in the form of a general fork, so that it is necessary to generate a lot of force for digging the frozen ground in winter or destroying general land.

또, 다른 예로 한국 공개실용신안 제2015-0004453호에 따르면, ‘중앙에 자루(101)가 연결되는 자루연결부(102)를 형성하고, 상기 자루연결부(102)와 직각을 이루게 형성하는 쇠스랑바디(103)와; 상기 쇠스랑바디(103)에 등 간격을 유지시켜 자루연결부(102)와는 반대방향으로 고정하는 다수 개의 쇠스랑날(104)과; 상기 쇠스랑날(104)에 일체로 형성하여 쇠스랑날(104)이 지면을 파고들어 땅을 파헤칠 때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는 보강엠보싱(106)과; 상기 쇠스랑바디(103)와 연결되는 부위의 쇠스랑날(104)에 고정하여 쇠스랑날(104)이 인접한 위치의 쇠스랑날(104) 방향으로 휘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보강림(107)과; 상기 쇠스랑날(104)과 쇠스랑날(104) 사이의 솨스랑바디(103)에 결합하여 쇠스랑날(104)이 지면에 박힌 상태에서 회전하여 흙을 파헤치면서 부술 수 있도록 지레역할을 수행하는 버팀수단(110)으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쇠스랑.’을 제시한다.Another example is disclosed in Korean Utility Model No. 2015-0004453 wherein a bag connecting portion 102 connecting a bag 101 at the center is formed and a fork body 102 formed at a right angle to the bag connecting portion 102 103); A plurality of forging blades (104) for holding the fork body (103) at an equal interval and fixing the same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at of the bag connecting portion (102); A reinforcement embossing 106 formed integrally with the wrench blade 104 to prevent the wax blade 104 from being deformed when digging the ground and digging the ground; A reinforcement 107 which is fixed to a wrench blade 104 at a portion connected to the wrench body 103 to prevent the wrench blade 104 from bending in the vicinity of the wrench blade 104 at an adjacent position; And a supporting means for engaging with the shank body 103 between the shank blade 104 and the shank blade 104 to rotate the shank blade 104 in a state where the shank blade 104 is stuck on the ground, (110). ≪ / RTI >

하지만, 이러한 쇠스랑은 일정한 지면 내부에 동일한 깊이로만 사용하여야 하기 때문에 한정된 사용이 될 수 밖에 없었다.However, the use of such a pawl was limited because it had to be used at the same depth inside a certain ground.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2016-0100456호 “포크 겸용 쇠스랑”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2016-0100456 " 한국 공개실용신안 제2015-0004453호 “쇠스랑”Korean Public Utility Model No. 2015-0004453 "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근본적으로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지렛대의 원리를 이용하여 지면의 흙덩이를 찍어 잘게 부수고 고르도록 하고, 포크가 지면에 삽설되는 깊이를 조절하면서 회전 각도를 조절할 수 있어 작업율의 향상이 가능하고, 적은 힘으로도 작업을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는 작업율이 향상되는 쇠스랑을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Accordingly,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fundamentally solve the above-described conventional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ethod and apparatus for slidably and finely dividing a ground surface by using the principle of a lever,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provide a shoelace which can improve the work rate and improve the work rate which can smoothly carry out the work even with a small force.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지면의 흙덩이를 찍어 잘게 부수고, 고르기 위한 쇠스랑에 있어서: 상기 지면을 찍을 수 있도록 다수개의 날을 갖는 포크를 구비하고, 포크의 후단에 손잡이와 일체로 형성되게 연결부를 구비하는 포크부; 상기 포크부의 하부에 장착되어 지면에 지지되면서 지렛대 원리로 포크부가 지면의 흙덩이를 찍어 퍼 올릴 수 있도록 구비하는 지지부; 상기 포크부와 지지부 사이에 날을 수용하면서 지지부의 위치를 조절함으로 지면을 파는 깊이를 조절하게 지지부의 위치를 조절 가능하게 이송판의 후면에 장착되어 수평방향으로 형성되는 나사산부와, 포크부의 연결부 상에 나사산부를 삽설하는 수용부와, 나사산부 상에 체결되어 수용부를 고정하는 한쌍의 고정너트를 갖는 이송수단을 구비하는 이송판; 및 상기 지지부와 이송판 사이에 지면으로부터 포크부의 높이를 조절하여 포크부의 회전 각도를 조절하게 이송판의 전면에 일체로 수용공간과 통공을 구비하는 수용대와, 지지부 상에 이송판의 수용공간으로 삽설되어 포크부의 높이를 조절하게 통공과 서로 대응되는 다수개의 조절공을 갖는 조절판과, 통공과 조절공 상에 삽설하여 고정하는 체결볼트와 체결너트를 구비하는 조절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complish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fork-stop for slicing and chopping a clay of ground, comprising: a fork having a plurality of blades for taking a picture of the ground; ; A support portion mounted on a lower portion of the fork portion and supported on the ground so that the fork portion can be lifted up by the leverage principle; A threaded portion form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conveyance plate so as to adjust the position of the support portion so as to adjust the depth of digging the ground by adjusting the position of the support portion while receiving the blade between the fork portion and the support portion, A conveying plate having a receiving portion for inserting a threaded portion on the threaded portion and a conveying means having a pair of fixing nuts which are fastened on the threaded portion to fix the receiving portion; And a receiving space integrally form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conveying plate for adjusting a rotation angle of the fork part by adjusting the height of the fork part from the ground surface between the supporting part and the conveying plate, And a control unit including a throttle plate having a plurality of control holes corresponding to the through holes to control the height of the fork portion and a fastening bolt and a fastening nut to be inserted and fixed in the through hole and the control hole. do.

이때, 상기 포크부의 포크는 양측에 작업자가 발을 밟기 용이하게 연장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t this time, the fork of the fork part is further provided with an extension stand on both sides so that an operator can easily step on his foot.

삭제delete

삭제delete

한편,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특허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It should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terminology or words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claims should not be construed in an ordinary sense or in a dictionary, and that the inventors shall not be limited to the concept of a term It should be construed in accordance with the meaning and concept consistent with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based on the principle that it can be properly defined. Therefore,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the configurations shown in the drawings are merely the most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not all of the technical idea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described. Therefore, It is to be understood that equivalents and modifications are possible.

이상의 구성 및 작용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지렛대의 원리를 이용하여 지면의 흙덩이를 찍어 잘게 부수고 고르도록 하고, 포크가 지면에 삽설되는 깊이를 조절하면서 회전 각도를 조절할 수 있어 작업율의 향상이 가능하고, 적은 힘으로도 작업을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As described in the above construction and opera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capable of adjusting the rotation angle while adjusting the depth at which the fork is inserted into the ground by dividing and chopping the clay of the ground using the principle of the lever, It is possible to perform work smoothly even with a small forc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작업율이 향상되는 쇠스랑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작업율이 향상되는 쇠스랑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작업율이 향상되는 쇠스랑의 주요구성을 확대하여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작업율이 향상되는 쇠스랑의 주요구성을 확대하여 나타내는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작업율이 향상되는 쇠스랑의 이송수단을 나타내는 사용상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작업율이 향상되는 쇠스랑의 조절수단을 나타내는 사용상태도,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작업율이 향상되는 쇠스랑의 주요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작업율이 향상되는 쇠스랑의 작업과정을 나타내는 사용상태도.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wedge with improved working efficienc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wedge in which an operation ratio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mproved,
FIG. 3 is a perspective view enlarging and showing a main configuration of a fork wrench in which an operation rat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mproved;
FIG. 4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a main structure of a fork wrench in which an operation rate is improv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state diagram showing the feeding means of the wedge which improves the working ratio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6 is a state of use showing the adjusting means of the brake shoe in which the working rat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mproved;
FIG. 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main configuration of a fork wrench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use state diagram showing a work process of a fork wrench in which an operation rat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mproved.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작업율이 향상되는 쇠스랑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작업율이 향상되는 쇠스랑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작업율이 향상되는 쇠스랑의 주요구성을 확대하여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작업율이 향상되는 쇠스랑의 주요구성을 확대하여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작업율이 향상되는 쇠스랑의 이송수단을 나타내는 사용상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작업율이 향상되는 쇠스랑의 조절수단을 나타내는 사용상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작업율이 향상되는 쇠스랑의 주요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작업율이 향상되는 쇠스랑의 작업과정을 나타내는 사용상태도이다.FIG. 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wedge with improved working efficienc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wedge with improved working efficienc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nlarged main configuration of a fork wrench in which an operation ra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mproved, and FIG.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nlarged main body configuration of a wrench FIG. 6 is a use state diagram showing the adjustment means of the wedge for improving the work efficienc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7 is a view showing a state where the operation ratio of the wedge is improve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8 is a state diagram illustrating a working process of a tongue lug in which an operation rat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mproved.

본 발명은 지면(1)의 흙덩이를 찍어 잘게 부수고, 고르기 위한 쇠스랑에 관련되며, 포크부(10), 지지부(20), 이송판(30), 조절수단(40)을 주요 구성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mainly relates to a fork tongue for scraping and chopping up the ground of the ground 1 and includes a fork portion 10, a support portion 20, a feed plate 30, and a regulating means 40.

본 발명에 따른 포크부(10)는 상기 지면(1)을 찍을 수 있도록 다수개의 날(11)을 갖는 포크(12)를 구비하고, 포크(12)의 후단에 손잡이(14)와 일체로 형성되게 연결부(13)를 구비한다. 포크부(10)는 다수개의 날(11)이 서로 동일한 방향으로 등간격 형성되어 포크(12)를 형성한다. 이러한 포크(12)는 지면(1)에 삽설되어 흙덩이를 찍어 잘게 부수거나 고를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포크(12)의 후단에는 작업자가 파지하여 작업이 가능하도록 손잡이(14)가 연결되도록 연결부(13)가 형성하게 된다. 도면 상에 파지의 용이함이 발생할 수 있도록 원형의 손잡이(14)가 형성되고, 이러한 원형의 손잡이(14)가 장착하기 위하여 연결부(13) 또한 원형으로 형성되지만, 이러한 형상은 제한하지 않는다.The fork part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ork 12 having a plurality of blades 11 to allow the user to take a picture of the paper 1. The fork part 10 is formed integrally with the handle 14 at the rear end of the fork 12, And has a connecting portion 13 formed therein. The fork portion 10 has a plurality of blades 11 formed at equal intervals in the same direction to form a fork 12. The fork 12 is inserted into the ground 1 so that it can be crushed and crushed. The connecting portion 13 is formed at the rear end of the fork 12 so that the handle 14 is connected to the worker so that the operator can grasp the work. A circular handle 14 is formed on the drawing so that it is easy to grasp. The connecting portion 13 is also formed in a circular shape for mounting the circular handle 14, but the shape is not limited.

이때, 상기 포크부(10)의 포크(12)는 양측에 작업자가 발을 밟기 용이하게 연장대(15)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포크부(10)의 포크(12)는 상술한 바와 같이 작업자가 작업 시 지면(1)에 삽설이 용이하게 포크(12)의 양측에 일체로 연장되는 연장대(15)를 구비하게 된다. 연장대(15)는 작업자가 발로 밟을 면적을 확보함에 따라 포크(12)가 지면(1)에 손쉽게 삽설될 수 있도록 한다.At this time, the fork 12 of the fork portion 10 is further provided with an extension 15 on both sides so that an operator can easily step on the foot. The fork 12 of the fork portion 10 is provided with the extension portion 15 which is integrally extended on both sides of the fork 12 so that the operator can easily insert it on the ground 1 during the operation as described above. The extension 15 allows the fork 12 to be easily inserted into the ground 1 as the operator secures an area for the operator to step on.

또, 본 발명에 따른 지지부(20)는 상기 포크부(10)의 하부에 장착되어 지면(1)에 지지되면서 지렛대 원리로 포크부(10)가 지면(1)의 흙덩이를 찍어 퍼 올릴 수 있도록 구비한다. 지지부(20)는 포크부(10)의 하부에 후술하는 이송판(30)에 의해 장착되는 바, 이는 후술하여 설명토록 한다. 그리고, 지지부(20)는 지렉대 원리를 통해 지면(1)에 삽설된 포크(12)의 날(11)이 회전하여 손쉽게 지면(1)의 흙덩이를 퍼 올릴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러한, 지지부(20)는 원형으로 회전이 쉽도록 구성되는 것이 적합하다.The supporting part 2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mounted on the lower part of the fork part 10 and supported on the ground 1 so that the fork part 10 can be lifted up Respectively. The supporting portion 20 is attach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fork portion 10 by a transfer plate 30 to be described later. The supporting portion 20 allows the blade 11 of the fork 12 inserted in the ground 1 to rotate and easily lift the clay of the ground 1 through the principle of the jaw. It is preferable that the support portion 20 is configured to be easily rotated in a circular shape.

또, 본 발명에 따른 이송판(30)은 상기 포크부(10)와 지지부(20) 사이에 날(11)을 수용하면서 지지부(20)의 위치를 조절함으로 지면(1)을 파는 깊이를 조절하게 이송수단(31)을 구비한다. 이송판(30)은 상술한 포크부(10)와 지지부(20) 사이에 서로를 연결하도록 구성되고, 하부에 형성된 지지부(20)의 위치를 이송수단(31)을 통해 전후방으로 조절하여 작업 시 지면(1)에 삽설될 날(11)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즉, 이송판(30)이 날(11)에 장착된 상태로 전방인 날(11)의 끝단부 방향으로 갈수록 지면(1)에 삽설되는 깊이는 작아지게 되고, 연결부(13) 방향으로 갈수록 날(11)이 지면(1)에 삽설되는 깊이는 깊어지게 된다. 이는, 작업자가 상황에 맞게 적절히 설정하여 작업하면 된다.The conveying plate 3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djusts the depth of digging the ground 1 by adjusting the position of the support portion 20 while receiving the blades 11 between the fork portion 10 and the support portion 20, And conveying means (31). The transfer plate 30 is configured to connect the fork portion 10 and the support portion 20 to each other and adjust the position of the support portion 20 formed at the lower portion thereof to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through the transfer means 31, The length of the blade 11 to be inserted into the ground 1 can be adjusted. That is, the depth of insertion of the feed plate 30 into the paper 1 becomes smaller as it goes toward the end of the forward-facing blade 11 with the blade 11 mounted on the blade 11, The depth of insertion of the sheet 11 into the paper surface 1 becomes deeper. This can be done by setting the operator appropriately according to the situation.

이때, 상기 이송수단(31)은 지지부(20)의 위치를 조절 가능하게 이송판(30)의 후면에 장착되어 수평방향으로 형성되는 나사산부(32)와, 포크부(10)의 연결부(13) 상에 나사산부(32)를 삽설하는 수용부(33)와, 나사산부(32) 상에 체결되어 수용부(33)를 고정하는 한쌍의 고정너트(34)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송수단(31)은 이송판(30)의 후면에 용접 등으로 일체로 수평되게 형성되는 나사산부(32)가 연결부(13)의 하부에 형성된 수용부(33)를 수용한 상태로 지지하게 되고, 수용부(33)를 중심으로 전, 후방에 한쌍의 고정너트(34)가 나사산부(32)를 고정함에 따라 이송판(30)은 이동하지 않고 고정하게 된다. 이는, 작업자가 이송판(30)을 상황에 맞게 적절히 조절하여 원활한 작업이 가능하도록 하게 된다.The conveying means 31 includes a threaded portion 32 which is horizontally mount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conveyance plate 30 so as to adjust the position of the support portion 20 and a connection portion 13 of the fork portion 10 And a pair of fixing nuts 34 which are fastened on the threaded portion 32 and fix the receiving portion 33. The fixing portion 32 is provided with a threaded portion 32 on the threaded portion 32, The conveying means 31 is supported in a state in which the threaded portion 32 formed integrally with the rear surface of the conveyance plate 30 by welding or the like is accommodated in the receiving portion 33 form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connecting portion 13 , The feed plate 30 is fixed without moving as the pair of fixing nuts 34 fix the threaded portion 32 on the front and rear sides of the receiving portion 33. This makes it possible for the operator to smoothly adjust the conveying plate 30 appropriately according to the situation.

또, 본 발명에 따른 조절수단(40)은 상기 지지부(20)와 이송판(30) 사이에 지면(1)으로부터 포크부(10)의 높이를 조절하여 포크부(10)의 회전 각도를 조절한다. 조절수단(40)은 지지부(20)와 이송판(30) 사이에 지지부(20)와 이송판(30)을 서로 연결하면서 이송판(30)의 높이를 조절함에 따라 포크부(10)의 높이를 조절하여 지지부(20)를 중심으로 포크(12)의 날(11)이 지면(1) 상에 삽설되어 회전되는 각도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이는, 지지부(20)로부터 포크부(10)의 높이를 높게 설정할수록 회전 각도는 넓어 많은 양의 지면(1)의 흙덩이를 퍼 올릴 수 있도록 하고, 지렛대 원리를 통해 많은 양의 흙덩이를 손쉽게 작업할 수 있게 된다.The adjustment means 4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djusts the height of the fork portion 10 from the ground 1 between the support portion 20 and the conveyance plate 30 to adjust the rotation angle of the fork portion 10 do. The adjusting means 40 adjusts the height of the fork portion 10 by adjusting the height of the conveying plate 30 while connecting the supporting portion 20 and the conveying plate 30 between the supporting portion 20 and the conveying plate 30, So that the angle at which the blade 11 of the fork 12 is inserted and rotated on the ground 1 can be adjusted around the support portion 20. This is because, as the height of the fork portion 10 from the support portion 20 is set higher, the rotation angle is widened so that a large amount of the ground 1 can be plowed up and a large amount of clay can be easily worked through the lever principle .

이때, 상기 조절수단(40)은 포크부(10)의 높이를 조절하여 포크부(10)의 회전 각도를 조절하게 이송판(30)의 전면에 일체로 수용공간(42)과 통공(43)을 구비하는 수용대(41)와, 지지부(20) 상에 이송판(30)의 수용공간(42)으로 삽설되어 포크부(10)의 높이를 조절하게 통공(43)과 서로 대응되는 다수개의 조절공(45)을 갖는 조절판(44)과, 통공(43)과 조절공(45) 상에 삽설하여 고정하는 체결볼트(46)와 체결너트(47)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수용대(41)는 이송판(30)의 전면에 일체로 형성되고, 조절판(44)은 지지부(20)의 상부에 형성되어 조절판(44)이 수용대(41)의 수용공간(42)으로 하부에서부터 삽설하게 되고, 작업자가 원하는 높이를 설정하도록 조절판(44)의 다수개의 조절공(45) 중 어느 하나를 수용대(41)의 통공(43)과 서로 일치시켜 체결볼트(46)와 체결너트(47)를 통해 서로 고정하여 높이를 설정하게 된다.The adjusting means 40 adjusts the height of the fork portion 10 to adjust the rotational angle of the fork portion 10 so that the receiving space 42 and the through hole 43 are integrally form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conveying plate 30, And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43 corresponding to the through holes 43 so as to adjust the height of the fork portion 10 by being inserted into the receiving space 42 of the conveyance plate 30 on the support portion 20, A control plate 44 having a control hole 45 and a fastening bolt 46 and a fastening nut 47 for inserting and fixing the through hole 43 and the control hole 45. The accommodation plate 41 is integrally form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conveyance plate 30 and the accommodation plate 44 is form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support portion 20 so that the accommodation plate 44 is accommodated in the accommodation space 42 And one of the plurality of control holes 45 of the throttle plate 44 is aligned with the through hole 43 of the receiving table 41 so as to set a desired height by the operator and is fastened with the fastening bolt 46 And they are fixed to each other via a nut 47 to set the height.

그리고, 상술한 수용대(41)는 이송판(30) 상에 일체로 고정되어 형성되었지만,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용대(41)를 제외한 상태로 이송판(30)의 양측을 절곡하여 수용공간(42)을 형성하고, 조절판(44)을 넓게 형성하여 수용공간(42)에 삽설시켜 조절수단(40)의 통공(43)과 조절공(45)을 일치시킨 다음, 체결볼트(46)와 체결너트(47)를 통해 서로 고정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The above-described receiving stand 41 is integrally fixed on the conveying plate 30. However, as shown in Fig. 7, both sides of the conveying plate 30 are bent while excluding the receiving stand 41 The accommodation space 42 is formed and the throttle plate 44 is formed to be wider and inserted into the accommodation space 42 so that the through hole 43 of the adjustment means 40 is aligned with the adjustment hole 45, And a fastening nut 47, as shown in FIG.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사용에 있어서, 먼저 작업자는 지면(1)에 삽설되는 날(11)을 길이를 조절하기 위하여 이송수단(31)을 통해 이송판(30)을 이송시켜주고, 수용부(33)에 삽설된 나사산부(32)에 고정너트(34)로 고정하여 조절한다. 그리고, 포크부(10)의 높이를 조절수단(40)을 통해 조절하는 바, 날(11)의 회전 반경을 조절하게 수용대(41)의 수용공간(42)으로 삽설된 조절판(44)의 조절공(45)과 수용대(41)의 통공(43)과 서로 일치시킨 상태로 체결볼트(46)와 체결너트(47)로 고정하여 포크부(10)의 높이를 설정하여 작업하게 된다. In the use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 reference to Figs. 1 to 8, first, the operator transfers the feed plate 30 through the feed means 31 to adjust the length of the blade 11 inserted in the paper 1 And is fixed to the threaded portion 32 inserted in the accommodating portion 33 by fixing with a fixing nut 34. The height of the fork portion 10 is adjusted by the adjusting means 40 and the height of the fork portion 10 is adjusted by adjusting the height of the fork portion 10 The height of the fork portion 10 is set by fixing the fastening bolt 46 and the fastening nut 47 in a state where the through hole 45 and the through hole 43 of the receiving table 41 are aligned with each other.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지렛대의 원리를 이용하여 지면의 흙덩이를 찍어 잘게 부수고 고르도록 하고, 포크가 지면에 삽설되는 깊이를 조절하면서 회전 각도를 조절할 수 있어 작업율의 향상이 가능하고, 적은 힘으로도 작업을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adjust the rotation angle while adjusting the depth of insertion of the fork into the ground surface by dicing and crushing the ground clay by using the principle of the lever, So that the work can be smoothly performed.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변형예 또는 수정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in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It is therefore intended that such variations and modifications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1: 지면 10: 포크부
11: 날 12: 포크
13: 연결부 14: 손잡이
15: 연장대 20: 지지부
30: 이송판 31: 이송수단
32: 나사산부 33: 수용부
34: 고정너트 40: 조절수단
41: 수용대 42: 수용공간
43: 통공 44: 조절판
45: 조절공 46: 체결볼트
47: 체결너트
1: ground 10: fork portion
11: Day 12: Fork
13: connection part 14: handle
15: extension 20: support
30: conveying plate 31: conveying means
32: threaded portion 33: receiving portion
34: fixing nut 40: adjusting means
41: receptacle 42: receptacle space
43: through hole 44: throttle
45: adjusting ball 46: fastening bolt
47: Fastening nut

Claims (4)

지면(1)의 흙덩이를 찍어 잘게 부수고, 고르기 위한 쇠스랑에 있어서:
상기 지면(1)을 찍을 수 있도록 다수개의 날(11)을 갖는 포크(12)를 구비하고, 포크(12)의 후단에 손잡이(14)와 일체로 형성되게 연결부(13)를 구비하는 포크부(10);
상기 포크부(10)의 하부에 장착되어 지면(1)에 지지되면서 지렛대 원리로 포크부(10)가 지면(1)의 흙덩이를 찍어 퍼 올릴 수 있도록 구비하는 지지부(20);
상기 포크부(10)와 지지부(20) 사이에 날(11)을 수용하면서 지지부(20)의 위치를 조절함으로 지면(1)을 파는 깊이를 조절하게 지지부(20)의 위치를 조절 가능하게 이송판(30)의 후면에 장착되어 수평방향으로 형성되는 나사산부(32)와, 포크부(10)의 연결부(13) 상에 나사산부(32)를 삽설하는 수용부(33)와, 나사산부(32) 상에 체결되어 수용부(33)를 고정하는 한쌍의 고정너트(34)를 갖는 이송수단(31)을 구비하는 이송판(30); 및
상기 지지부(20)와 이송판(30) 사이에 지면(1)으로부터 포크부(10)의 높이를 조절하여 포크부(10)의 회전 각도를 조절하게 이송판(30)의 전면에 일체로 수용공간(42)과 통공(43)을 구비하는 수용대(41)와, 지지부(20) 상에 이송판(30)의 수용공간(42)으로 삽설되어 포크부(10)의 높이를 조절하게 통공(43)과 서로 대응되는 다수개의 조절공(45)을 갖는 조절판(44)과, 통공(43)과 조절공(45) 상에 삽설하여 고정하는 체결볼트(46)와 체결너트(47)를 구비하는 조절수단(4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율이 향상되는 쇠스랑.
For the shoelace to cut and chop the ground clay of the ground (1):
Which is provided with a fork 12 having a plurality of blades 11 to allow the user to take a picture of the paper 1 and has a connecting portion 13 formed integrally with the handle 14 at the rear end of the fork 12. [ (10);
A supporting part 20 mounted on the lower part of the fork part 10 and supported on the ground 1 so that the fork part 10 can be lifted up and removed from the ground 1 by a lever principle;
The position of the support portion 20 is adjusted to adjust the depth of digging the ground 1 by adjusting the position of the support portion 20 while receiving the blade 11 between the fork portion 10 and the support portion 20, A receiving portion 33 for inserting a threaded portion 32 on the connecting portion 13 of the fork portion 10 and a threaded portion 32 form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plate 30, (30) having conveying means (31) having a pair of fixing nuts (34) which are fastened on the supporting portion (32) and fix the receiving portion (33); And
The height of the fork portion 10 is adjusted between the support portion 20 and the conveyance plate 30 so as to adjust the rotation angle of the fork portion 10 from the paper surface 1, A receiving space 41 provided with a space 42 and a through hole 43 and a receiving space 41 which is inserted into the receiving space 42 of the conveying plate 30 on the supporting part 20 to adjust the height of the fork part 10, And a fastening bolt 46 and a fastening nut 47 which are inserted and fixed on the through hole 43 and the adjusting hole 45. The adjusting plate 44 has a plurality of adjusting holes 45, And adjusting means (40) for adjusting the operating speed of the knee join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포크부(10)의 포크(12)는 양측에 작업자가 발을 밟기 용이하게 연장대(15)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율이 향상되는 쇠스랑.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Characterized in that the fork (12) of the fork portion (10) further includes an extension (15) on both sides to easily allow a worker to step on the foot.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160130469A 2016-10-10 2016-10-10 increased productivity is improved scraper KR10186960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30469A KR101869607B1 (en) 2016-10-10 2016-10-10 increased productivity is improved scrap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30469A KR101869607B1 (en) 2016-10-10 2016-10-10 increased productivity is improved scrap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39319A KR20180039319A (en) 2018-04-18
KR101869607B1 true KR101869607B1 (en) 2018-06-20

Family

ID=620826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30469A KR101869607B1 (en) 2016-10-10 2016-10-10 increased productivity is improved scrap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69607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8824Y1 (en) 2018-11-29 2019-03-22 정동환 Tuber harvester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871058A (en) * 1996-12-16 1999-02-16 Leverage Digger Incorporated Lever action yard and garden implement
JP3121083U (en) * 2006-01-30 2006-04-27 吉幸 太田 Comb-toothed kite with a treadle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96601A (en) * 1998-01-16 1999-07-27 Shigetoshi Igei Farming tool for manual work
US7052058B2 (en) * 2003-08-11 2006-05-30 Olinski Matthew J Tool leverage attachment
KR101496548B1 (en) 2013-07-01 2015-02-26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 Warmer for artificial insemination gun
KR20160100456A (en) 2015-02-14 2016-08-24 박형규 Fork combination fork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871058A (en) * 1996-12-16 1999-02-16 Leverage Digger Incorporated Lever action yard and garden implement
JP3121083U (en) * 2006-01-30 2006-04-27 吉幸 太田 Comb-toothed kite with a treadle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일본 등록실용신안공보 실용신안등록 제 3121083호(2006.04.27.) 1부. *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8824Y1 (en) 2018-11-29 2019-03-22 정동환 Tuber harvest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39319A (en) 2018-04-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69607B1 (en) increased productivity is improved scraper
US3011235A (en) Clamp for attaching cultivator tools to tool carrying bars
JP2014171429A (en) Tillage apparatus
EP2242350B1 (en) Agricultural machine with a double-tine
JP2013055892A (en) Rotary tiller
CN205546497U (en) Electronic hill -drop planter with adjustable
CN217308206U (en) Soil loosening device for agricultural planting
CN207766811U (en) A kind of trench digging loosening device
KR102346534B1 (en) Homi-hoe
CZ297806B6 (en) Tool for cultivation of soil
KR102240053B1 (en) Agricultural implement
JP6291293B2 (en) Manual cultivator
CN208691679U (en) A kind of pomegranate plantation tool of digging
KR101932215B1 (en) high position cultivation rotary apparatus
CN217037846U (en) A field divides ditch equipment for sweet potato is planted
CN103703881A (en) Agricultural rotary tilling mechanism
CN220858831U (en) Seedbed leveler
CN204578977U (en) Anti-soil adhesion lawn shovel spade
KR102041094B1 (en) Walking type movable agricultural machine
CN210808140U (en) Millet seedling thinning adjustable shovel
CN203563303U (en) Forward-pushing type hoe
JPH11196601A (en) Farming tool for manual work
JP6162301B2 (en) Tillage equipment
JP2008167733A (en) Weeder of sawtoothed blade for shaving off weed by pushing handle
CN207476171U (en) Seeder seeding body trench digging is sowed fork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