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69592B1 - 신규 펩타이드 및 이의 용도 - Google Patents

신규 펩타이드 및 이의 용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69592B1
KR101869592B1 KR1020160044430A KR20160044430A KR101869592B1 KR 101869592 B1 KR101869592 B1 KR 101869592B1 KR 1020160044430 A KR1020160044430 A KR 1020160044430A KR 20160044430 A KR20160044430 A KR 20160044430A KR 101869592 B1 KR101869592 B1 KR 1018695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mino acid
peptide
substituted
variant
lung canc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444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21783A (ko
Inventor
남윤성
유정헌
양문영
Original Assignee
한국과학기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과학기술원 filed Critical 한국과학기술원
Publication of KR201601217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217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695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695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7/00Peptides having 5 to 20 amino acids in a fully defined sequence; Derivatives thereof
    • C07K7/04Linear peptides containing only normal peptide links
    • C07K7/06Linear peptides containing only normal peptide links having 5 to 11 amino ac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5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 A61K47/51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a modifying agent
    • A61K47/62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a modifying agent the modifying agent being a protein, peptide or polyamino acid
    • A61K47/64Drug-peptide, drug-protein or drug-polyamino acid conjugates, i.e. the modifying agent being a peptide, protein or polyamino acid which is covalently bonded or complexed to a therapeutically active ag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9/00Preparations for testing in vivo
    • A61K49/001Preparation for luminescence or biological staining
    • A61K49/0013Luminescence
    • A61K49/0017Fluorescence in vivo
    • A61K49/0019Fluorescence in vivo characterised by the fluorescent group, e.g. oligomeric, polymeric or dendritic molecules
    • A61K49/0045Fluorescence in vivo characterised by the fluorescent group, e.g. oligomeric, polymeric or dendritic molecules the fluorescent agent being a peptide or protein used for imaging or diagnosis in vivo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9/00Preparations for testing in vivo
    • A61K49/001Preparation for luminescence or biological staining
    • A61K49/0013Luminescence
    • A61K49/0017Fluorescence in vivo
    • A61K49/005Fluorescence in vivo characterised by the carrier molecule carrying the fluorescent agent
    • A61K49/0056Peptides, proteins, polyamino ac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9/00Preparations for testing in vivo
    • A61K49/06Nuclear magnetic resonance [NMR] contrast preparations; Magnetic resonance imaging [MRI] contrast preparations
    • A61K49/08Nuclear magnetic resonance [NMR] contrast preparations; Magnetic resonance imaging [MRI] contrast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arrier
    • A61K49/10Organic compounds
    • A61K49/14Peptides, e.g. protei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51/00Preparations containing radioactive substances for use in therapy or testing in vivo
    • A61K51/02Preparations containing radioactive substances for use in therapy or testing in vivo characterised by the carrier, i.e. characterised by the agent or material covalently linked or complexing the radioactive nucleus
    • A61K51/04Organic compounds
    • A61K51/08Peptides, e.g. proteins, carriers being peptides, polyamino acids, protei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50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 G01N33/53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 G01N33/574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for cancer
    • G01N33/57407Specifically defined cancers
    • G01N33/57423Specifically defined cancers of lu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Immunology (AREA)
  • Hemat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Urology & Nephrology (AREA)
  • Path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ell B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Onc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Hospice & Palliative Car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Biophysics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Peptides Or Proteins (AREA)
  • Medicines That Contain Protein Lipid Enzymes And Other Medic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380번째 내지 C-말단의 아미노산 잔기가 결실된 피브리노겐 감마 사슬 또는 이를 발현하는 폐암 세포에 결합하는 신규 펩타이드 및 이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펩타이드 또는 이의 변이체는 폐암세포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므로 폐암의 표적치료와 진단 등에 광범위하게 활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신규 펩타이드 및 이의 용도{Novel peptides and uses thereof}
본 발명은 380번째 내지 C-말단의 아미노산 잔기가 결실된 피브리노겐 감마 사슬 또는 이를 발현하는 폐암 세포에 결합하는 신규 펩타이드 및 이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폐암은 가장 흔히 발생하는 암중의 하나로, 통계에 따르면 미국에서 암으로 사망하는 환자 중 가장 많은 환자가 폐암으로 사망한다. 이는 유방암, 전립선 암, 간암, 신장암 그리고 피부암으로 사망하는 사람의 수를 모두 합한 것보다 많다. 한국에서도 2013년 중앙암등록본부의 자료에 따르면, 폐암은 전체 암 발생의 10%로 4위의 발병률을 기록하였다. 폐암은 조기 진단이 어렵고 그 예후가 매우 나쁘기 때문에, 진단 후 85% 이상의 환자들이 5년 이내에 사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검진된 암을 치료하기 위하여 폐암의 경우에도 다른 암들과 마찬가지로 화학요법치료가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하지만, 화학요법치료의 가장 큰 문제점은 세포 특이성이 많이 떨어져 여러 부작용을 야기하는 것으로, 이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 다른 세포에 영향을 미치지 않고 암세포만을 특이적으로 타겟팅 할 수 있는 바이오마커의 발굴이 대두되고 있다[1].
암세포만을 골라 치료하는 표적 치료에 가장 대표적인 방식은 단일클론항체를 이용하는 것이다[2]. 이를 이용한 많은 약물들이 활발히 개발되고 FDA 승인을 받아 실질적으로 치료에 이용되고 있다. 하지만, 단일클론항체를 기반으로 한 약물들은 비교적 큰 사이즈로 인해 혈류를 통한 암세포에 도달이 어렵고, 비특이적 결합의 발생으로 세망내피계 장기들(간, 비장, 골수 등)에 의한 손실을 입게 되는 문제점을 갖고 있다[3].
이러한 문제점의 해결을 위해 단일클론항체를 대체할 수 있는 세포 특이적 결합 펩타이드를 발굴하는 것이 암세포를 타겟팅 하여 암의 진단이나 치료에 이용할 수 있는 강력한 도구가 된다. 펩타이드는 그 크기가 작아 암세포 내부로의 투과율이 좋고 면역반응을 유발하지 않을 뿐 아니라, 화학적으로 안정하고 상대적으로 쉽게 다룰 수 있어 다양한 플랫폼에 결합시켜 사용하기 용이하다[4]. 이렇게 다양한 암세포를 이용한 세포 특이적 결합 펩타이드를 찾아내기 위한 노력이 지속되어왔다.
본 명세서 전체에 걸쳐 다수의 논문 및 특허문헌이 참조되고 그 인용이 표시되어 있다. 인용된 논문 및 특허문헌의 개시 내용은 그 전체로서 본 명세서에 참조로 삽입되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수준 및 본 발명의 내용이 보다 명확하게 설명된다.
Kolonin, M., Pasqualini, R., & Arap, W. (2001). Current opinion in chemical biology, 5(3),308-313 Zhong, L., Peng, X., Hidalgo, G. E., Doherty, D. E., Stromberg, A. J., & Hirschowitz, E. A. (2003). Proteomics, 4(4),1216-1225 Krumpe, L.R., & Mori, T. (2006). International journal of peptide research and therapeutics, 12(1),79-91 Aina, O. H., Sroka, T. C., Chen, M. L. & Lam, K. S. (2002). Peptide Science, 66(3),184-199
본 발명자들은 단일클론항체가 갖는 문제점에 주목하여, 폐암의 치료와 진단 등에 사용 가능한 폐암세포에 높은 친화력으로 결합하는 신규 펩타이드를 개발하기 위하여 연구 노력하였다. 그 결과, 파지디스플레이를 이용한 바이오패닝을 통하여 폐암세포에 높은 친화력으로 결합하는 서열목록 제1서열의 펩타이드를 스크리닝 한 후, 상기 펩타이드의 결합 파트너 분석, 분자구조에 기반한 도킹 시뮬레이션 및 분자동력학 계산을 통하여 상기 펩타이드의 생물학적 기능 균등물도 스크리닝 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또한, 본 발명자들은 스크리닝한 펩타이드가 380번째 내지 C-말단의 아미노산 잔기가 결실된 피브리노겐 감마 사슬에 결합함을 확인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서열목록 제1서열의 펩타이드 또는 이의 아미노산 치환 변이체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380번째 내지 C-말단의 아미노산 잔기가 결실된 피브리노겐 감마 사슬에 결합하는 펩타이드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펩타이드 또는 이의 변이체를 암호화하는 핵산분자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폐암세포 또는 폐암조직에 약물을 전달하기 위한 조성물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폐암 치료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이점은 하기의 발명의 상세한 설명, 청구범위 및 도면에 의해 보다 명확하게 된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하기 서열의 펩타이드 또는 이의 아미노산 치환 변이체를 제공한다:
Ile-Pro-Leu-Val-Val-Pro-Met (서열목록 제1서열)
여기서, 상기 아미노산 치환 변이체는 서열목록 제1서열 중 두 개의 프롤린 잔기는 치환되지 않고, 나머지 잔기 중 1개의 아미노산 잔기만 치환된 경우에는 프롤린 및 글리신을 제외한 아미노산으로 치환되며, 2개의 아미노산 잔기가 치환된 경우에는 알라닌, 이소류신, 류신, 발린, 페닐알라닌, 트립토판, 메티오닌 및 티로신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아미노산으로 치환되고, 3-5개의 아미노산 잔기가 치환된 경우에는 알라닌, 이소류신, 류신 및 발린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아미노산으로 치환됨.
본 발명자들은 단일클론항체가 갖는 문제점에 주목하여, 폐암의 치료와 진단 등에 사용 가능한 폐암세포에 높은 친화력으로 결합하는 신규 펩타이드를 개발하기 위하여 연구 노력하였다. 그 결과, 파지디스플레이를 이용한 바이오패닝을 통하여 폐암세포에 높은 친화력으로 결합하는 서열목록 제1서열의 펩타이드를 스크리닝 한 후, 상기 펩타이드의 결합 파트너 분석, 분자구조에 기반한 도킹 시뮬레이션 및 분자동력학 계산을 통하여 상기 펩타이드의 생물학적 기능 균등물도 스크리닝 하였다. 또한, 본 발명자들은 스크리닝한 펩타이드가 380번째 내지 C-말단의 아미노산 잔기가 결실된 피브리노겐 감마 사슬에 결합함을 확인하였다.
하기 실시예에 기재된 바와 같이, 7개의 아미노산이 무작위로 발현되어 있는 박테리오파지 라이브러리를 이용한 폐암세포에 대한 바이오패닝을 통하여, 서열목록 제1서열의 펩타이드를 선별하였고, 선별된 펩타이드의 폐암세포에 대한 결합의 민감성과 선택성을 확인하였다(도 2 내지 8 참조).
나아가, 하기 실시예에서는 서열목록 제1서열의 펩타이드의 결합 파트너 분석과 도킹 시뮬레이션 및 분자동력학 계산을 통하여, 폐암세포를 타겟팅하는데 있어 두 프롤린 잔기가 중요하며, 나머지 잔기의 경우에는, 단일 치환은 프롤린 및 글리신 이외의 잔기로 치환되어도 두 프롤린 잔기가 형성한 선형 모티프에 영향을 주지 않아 서열목록 제1서열의 펩타이드와 마찬가지의 구조 및 기능을 나타내며, 복수 치환의 경우에는 알라닌, 이소류신, 류신, 발린, 페닐알라닌, 트립토판, 메티오닌 및 티로신과 같은 소수성 아미노산으로의 치환 시 두 프롤린 잔기가 형성한 선형 모티프에 영향을 주지 않아 서열목록 제1서열의 펩타이드와 마찬가지의 구조 및 기능을 나타낼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도 9 내지 16 참조).
본 발명의 일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아미노산 치환 변이체는 1개의 아미노산 잔기가 치환된 변이체이며, 이 아미노산 치환은 아스파르트산, 류신, 아스파라긴, 이소류신, 라이신, 글루탐산, 알라닌, 발린, 트레오닌, 페닐알라닌, 트립토판, 메티오닌 및 티로신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아미노산으로의 치환이다. 보다 구체적인 일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아미노산 치환은 아스파르트산, 류신, 아스파라긴, 이소류신, 라이신, 글루탐산, 알라닌 및 발린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아미노산으로의 치환이다.
본 발명의 다른 일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아미노산 치환 변이체는 1개의 아미노산 잔기가 치환된 변이체이며, 첫 번째 아미노산 잔기인 이소류신은 아스파르트산, 류신 또는 아스파라긴으로 치환되고, 세 번째 아미노산 잔기인 류신은 트레오닌, 발린 또는 이소류신으로 치환되며, 네 번째 아미노산 잔기인 발린은 알라닌, 이소류신 또는 류신으로 치환되고, 다섯 번째 아미노산 잔기인 발린은 라이신, 이소류신 또는 류신으로 치환되며, 일곱 번째 아미노산 잔기인 메티오닌은 이소류신, 라이신 또는 글루탐산으로 치환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아미노산 치환 변이체는 2개의 아미노산 잔기가 치환된 변이체이며, 이 아미노산 치환은 알라닌, 이소류신, 류신 및 발린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아미노산으로의 치환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아미노산 치환 변이체는 3개의 아미노산 잔기가 치환된 변이체이며, 이 아미노산 치환은 알라닌, 이소류신, 류신 및 발린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아미노산으로의 치환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아미노산 치환 변이체는 서열목록 제2서열 내지 13서열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한다. 보다 구체적인 일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아미노산 치환 변이체는 서열목록 제2서열 또는 제3서열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펩타이드 또는 이의 아미노산 치환 변이체의 범위에는 본 명세서에 기재된 펩타이드 서열뿐만 아니라, 이의 생물학적 균등물들도 포함된다. 예를 들어, 펩타이드의 결합 친화도 및/또는 기타 생물학적 특성을 보다 더 개선시키기 위하여 이의 아미노산 서열에 추가적인 변화를 줄 수 있다. 이러한 변형은, 예를 들어, 아미노산 서열 잔기의 결실, 삽입 및/또는 치환을 포함한다. 이러한 아미노산 변이는 아미노산 곁사슬 치환체의 상대적 유사성, 예컨대, 소수성, 친수성, 전하, 크기 등에 기초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술한 생물학적 균등 활성을 갖는 변이를 고려한다면, 본 발명의 펩타이드 또는 이의 변이체 및 이를 코딩하는 핵산 분자는 서열목록에 기재된 서열과 실질적인 동일성(substantial identity)을 나타내는 서열도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상기의 실질적인 동일성은, 상기한 본 발명의 서열과 임의의 다른 서열을 최대한 대응되도록 얼라인하고,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얼라인된 서열을 분석한 경우에, 최소 61%의 상동성, 보다 바람직하게는 70%의 상동성,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80%의 상동성,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90%의 상동성을 나타내는 서열을 의미한다. 서열비교를 위한 얼라인먼트 방법은 당업계에 공지되어 있다. 얼라인먼트에 대한 다양한 방법 및 알고리즘은 Smith and Waterman, Adv. Appl. Math. (1981) 2:482; Needleman and Wunsch, J. Mol. Bio. (1970) 48:443; Pearson and Lipman, Methods in Mol. Biol. (1988) 24: 307-31; Higgins and Sharp, Gene (1988) 73:237-44; Higgins and Sharp, CABIOS (1989) 5:151-3; Corpet et al., Nuc. Acids Res. (1988) 16:10881-90; Huang et al., Comp. Appl. BioSci. (1992) 8:155-65 및 Pearson et al., Meth. Mol. Biol. (1994) 24:307-31에 개시되어 있다. NCBI Basic Local Alignment Search Tool(BLAST)(Altschul et al., J. Mol. Biol. (1990) 215:403-10)은 NBCI 등에서 접근 가능하며, 인터넷 상에서 blastp, blasm, blastx, tblastn 및 tblastx와 같은 서열 분석 프로그램과 연동되어 이용할 수 있다. BLSAT는 www.ncbi.nlm.nih.gov/BLAST/에서 접속 가능하다. 이 프로그램을 이용한 서열 상동성 비교 방법은 www.ncbi.nlm.nih.gov/BLAST/ blast_help.html에서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펩타이드 또는 이의 변이체는 폐암세포에 결합한다. 하나의 특정예에서, 상기 폐암세포는 비소세포성 폐암(Non small cell lung cancer) 세포이다.
본 발명의 일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펩타이드 또는 이의 변이체는 380번째부터 C-말단의 아미노산 잔기가 결실된 피브리노겐 감마 사슬에 결합한다. 피브리노겐이 피브린으로 변형될 때 380번째 잔기부터 C-말단의 아미노산 잔기가 감마 사슬에서 제거되는데, 본 발명의 펩타이드 또는 이의 변이체는 위와 같이 일부 아미노산 서열이 결실된 피브리노겐의 감마 사슬에 결합한다. 예를 들어, 상기 피브리노겐 감마 사슬은 폐암세포의 표면에 발현된 것이다.
본 발명의 일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펩타이드 또는 이의 변이체는 검출 가능한 신호를 발생시키는 레이블, 약물 및 세포막투과 펩타이드(CPP)와 같은 기능성 분자와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결합하여 결합체를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체내에 투여된 본 발명의 펩타이드 또는 이의 변이체가 폐암세포 혹은 380번째부터 C-말단의 아미노산 잔기가 결실된 피브리노겐 감마 사슬에 결합하였는지 여부를 확인, 검출 및 정량하는데 용이하도록, 본 발명의 펩타이드 또는 이의 변이체는 검출 가능한 신호를 발생시키는 레이블로 표지된 상태로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380번째 내지 C-말단의 아미노산 잔기가 결실된 피브리노겐 감마 사슬에 결합하는 펩타이드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피브리노겐 감마 사슬은 서열목록 제18서열의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다. 본 발명의 펩타이드는 상기 서열의 피브리노겐 감사 사슬에서, 380번째 내지 C-말단의 아미노산 잔기가 결실되고 남아 있는 피브로노겐 감마 사슬의 말단 부분에 결합한다.
본 발명의 일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380번째 내지 C-말단의 아미노산 잔기가 결실된 피브리노겐 감마 사슬에 결합하는 펩타이드는 상술한 서열목록 제1서열의 펩타이드 또는 이의 아미노산 치환 변이체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본 발명의 펩타이드 또는 이의 변이체를 암호화하는 핵산분자를 제공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 "핵산분자"는 DNA(gDNA 및 cDNA) 그리고 RNA 분자를 포괄적으로 포함하는 의미를 갖으며, 핵산분자에서 기본 구성단위인 뉴클레오타이드는 자연의 뉴클레오타이드 뿐만 아니라, 당 또는 염기 부위가 변형된 유사체(analogue)도 포함한다(Scheit, Nucleotide Analogs, John Wiley, New York(1980); Uhlman 및 Peyman, Chemical Reviews, (1990) 90:543-584).
본 발명의 펩타이드 또는 이의 변이체를 암호화하는 핵산분자의 서열은 변형될 수 있다. 상기 변형은 뉴클레오타이드의 추가, 결실, 또는 비보존적 치환 또는 보존적 치환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본 발명의 핵산분자를 포함하는 재조합 벡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재조합 벡터로 형질전환 된 숙주세포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재조합 벡터 시스템은 당업계에 공지된 다양한 방법을 통해 구축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구체적인 방법은 Sambrook et al., Molecular Cloning, A Laboratory Manual, Cold Spring Harbor Laboratory Press(2001)에 개시되어 있으며, 이 문헌은 본 명세서에 참조로서 삽입된다.
본 발명의 벡터는 전형적으로 클로닝을 위한 벡터 또는 발현을 위한 벡터로서 구축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벡터는 원핵 세포 또는 진핵 세포를 숙주로 하여 구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벡터를 안정되면서 연속적으로 클로닝 및 발현시킬 수 있는 숙주 세포는 당업계에 공지되어 어떠한 숙주세포도 이용할 수 있으며, 예컨대, 에스케리치아 콜라이(Escherichia coli), 바실러스 서브틸리스 및 바실러스 츄린겐시스와 같은 바실러스 속 균주, 스트렙토마이세스(Streptomyces), 슈도모나스(Pseudomonas)(예를 들면, 슈도모나스 푸티다(Pseudomonas putida)), 프로테우스 미라빌리스(Proteus mirabilis) 또는 스타필로코쿠스(Staphylococcus)(예를 들면, 스타필로코쿠스 카르노수스(Staphylocus carnosus))와 같은 원핵 숙주세포를 포함하고, 상기 벡터의 적합한 진핵세포 숙주세포는 아스페르길러스 속(Aspergillus species)과 같은 진균, 피치아 파스토리스(Pichia pastoris), 사카로마이세스 세르비시아(Saccharomyces cerevisiae), 쉬조사카로마세스(Schizosaccharomyces) 및 뉴로스포라 크라사(Neurospora crassa)와 같은 효모, 그 밖의 하등 진핵세포, 곤충-유래 세포와 같은 고등 진핵생물의 세포, 그리고 식물 또는 포유동물로부터 유래한 세포를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본 발명의 펩타이드 또는 이의 변이체를 포함하는 폐암 진단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펩타이드 또는 이의 변이체는 폐암세포와의 결합 여부 또는 결합의 세기를 확인할 수 있게 하는 검출 가능한 신호를 발생시키는 레이블로 표지된다. 다양한 레이블 및 레이블링 방법은 Ed Harlow and David Lane, Using Antibodies: A Laboratory Manual, Cold Spring Harbor Laboratory Press, 1999에 기재되어 있으며, 이 문헌은 본 명세서에 참조로서 삽입된다.
상기 검출 가능한 신호를 발생시키는 레이블은, 예를 들어, 조영물질, 방사성 동위원소, 형광물질, 화학발광단 및 효소를 포함한다.
상기 조영물질의 예에는 T1 조영물질(예컨대, Gd 킬레이트 화합물)과 T2 조영물질(예컨대, 마그네타이트, Fe3O4,γ-Fe2O3, 망간 페라이트, 코발트 페라이트 및 니켈 페라이트와 같은 초상자성 물질)이 있으며, 상기 방사성 동위원소의 예에는 11C, 15O, 13N, P32, S35, 44Sc, 45Ti, 118I, 136La, 198Tl, 200Tl, 205Bi 및 206Bi이 있고, 상기 형광물질의 예에는 플루오레세인(fluorescein), 피코에리트린(phycoerythrin), 로다민, 리사민(lissamine), 및 Cy3와 Cy5가 있다. 또한, 상기 효소는 발색반응, 형광반응, 발광반응 또는 적외선 반응을 촉매하는 효소로서, 여기에는 알칼린 포스파타아제, β-갈락토시다아제, 호스래디쉬 퍼옥시다아제, 루시퍼라아제 및 시토크롬 P450 등이 포함된다.
본 발명의 폐암 진단용 조성물은 폐암 진단용 키트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폐암 진단용 키트에는, 본 발명의 펩타이드 또는 이의 변이체가 담긴 용기와, 본 발명의 펩타이드 또는 이의 변이체가 시험관 내 또는 생체 내에서 폐암세포에 결합하였는지 여부를 확인하는데 필요한 검출 가능한 신호를 발생시키는 레이블이 담긴 용기가 별도로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본 발명의 펩타이드 또는 이의 변이체를 포함하는 폐암세포 또는 폐암조직에 약물을 전달하기 위한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약물이 결합된 본 발명의 펩타이드 또는 이의 변이체를 포함하는 폐암 치료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 "치료"는 암의 발전의 억제, 암의 경감 또는 암의 제거를 의미한다.
본 발명의 펩타이드 또는 이의 변이체는 폐암세포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므로, 약물을 폐암세포를 포함한 폐암조직에 선택적으로 전달하는 지능형 약물전달체로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펩타이드 또는 이의 변이체에 약물을 결합시켜 폐암 치료에 이용하면, 본 발명의 펩타이드에 의해 약물이 폐암세포에만 선택적으로 전달될 수 있어 약물의 효력을 증가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정상조직에 대한 약물의 작용을 최소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약물은 세포독소(cytotoxin), 방사성 동위원소, 면역조절제, 항혈관신생제, 항증식제, 아폽토시스 촉진제, 화학요법제 및 치료용 핵산을 포함한다.
상기 세포독소는 세포의 기능을 억제하거나 세포를 파괴하는 제제로서, 여기에는 항생제, 튜불린 중합 억제제, DNA에 결합하여 이를 파괴하는 알킬화제뿐만 아니라, 단백질 키나아제, 포스파타아제, 토포아이소머라아제, 효소 및 사이클린과 같은 필수적인 세포 단백질의 기능 또는 단백질 합성을 파괴하는 제제가 포함된다.
상기 면역조절제는 체액성 면역 반응 또는 세포-매개된 면역 반응과 같은 면역 반응을 유도하는 제제로서, 여기에는 사이토카인, 크산틴, 인터루킨, 인터페론 및 성장 인자(예컨대, TNF, CSF, GM-CSF 및 G-CSF)가 포함된다.
상기 화학요법제에는 알림타, 젬자, 탁솔, 탁소텔, 에토포사이드, 시스플라틴 및 카보플라킨 등의 항암제가 포함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약제학적 조성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약제학적 조성물에는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가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은 경구 또는 비경구로 투여할 수 있고, 비경구 투여인 경우에는 정맥내 주입, 피하 주입, 근육 주입, 복강 주입, 내피 투여, 국소 투여, 비내 투여, 폐내 투여 및 직장내 투여 등으로 투여할 수 있다. 경구 투여시, 단백질 또는 펩타이드는 소화가 되기 때문에 경구용 조성물은 활성 약제를 코팅하거나 위에서의 분해로부터 보호되도록 제형화 되어야 한다. 또한 약제학적 조성물은 활성 물질이 표적 세포로 이동할 수 있는 임의의 장치에 의해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의 적합한 투여량은 제제화 방법, 투여 방식, 환자의 연령, 체중, 성, 병적 상태, 음식, 투여 시간, 투여 경로, 배설 속도 및 반응 감응성과 같은 요인들에 의해 다양하며, 보통으로 숙련된 의사는 소망하는 치료 또는 예방에 효과적인 투여량을 용이하게 결정 및 처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은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방법에 따라,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및/또는 부형제를 이용하여 제제화 함으로써 단위 용량 형태로 제조되거나 또는 다용량 용기 내에 내입시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개별 치료제로 투여하거나 다른 치료제와 병용하여 투여될 수 있고 종래의 치료제와는 순차적 또는 동시에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ⅰ) 본 발명은 380번째 내지 C-말단의 아미노산 잔기가 결실된 피브리노겐 감마 사슬 또는 이를 발현하는 폐암 세포에 결합하는 신규 펩타이드 및 이의 용도를 제공한다.
(ⅱ) 본 발명의 펩타이드 또는 변이체는 폐암세포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므로 폐암의 표적치료와 진단 등에 광범위하게 활용될 수 있다.
도 1은 바이오패닝 라운드별 용리되는 박테리오파지 수를 보여준다.
도 2는 바이오패닝의 결과로 얻은 펩타이드의 염기서열을 나타낸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폐암세포 결합 펩타이드 및 이와는 다른 서열을 갖는 펩타이드의 ELISA 형광 세기를 보여준다. *과 **는 각 p > 0.05, p > 0.01을 의미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폐암세포 결합 펩타이드 및 이와는 다른 서열을 갖는 펩타이드의 형광 현미경 이미지를 보여준다. 스케일 바는 각 100 μm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폐암세포 결합 펩타이드의 폐암세포에 대한 민감성과선택성을 보여준다(공초점 현미경 이미지). 스케일 바는 각 10 μm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폐암세포 결합 펩타이드의 폐암세포에 대한 민감성과 선택성을 보여준다(FACS). (A) A549, (B) HCT116, (C) PC3, (D) HaCaT, (E) FACS의 구간별 정량(%). 빨강: 오직 세포만, 파랑: 무작위 A549 결합 펩타이드가 처리된 세포, 녹색: A549 결합 펩타이드가 처리된 세포.
도 7은 본 발명의 폐암세포 결합 펩타이드의 암세포 타겟팅 효과를 보여주는 동물 실험 결과이다(샘플 주입 후 경과 시간에 따라 측정된 Xenogen을 이용한 형광 세기 측정).
도 8은 샘플 주입 후 24시간이 경과한 후의 장기 이미지를 보여준다(각 장기에 축적된 형광 물질의 세기를 xenogen을 통하여 측정).
도 9는 정위 주사(orthotopic injection) 방식을 이용하여 제조한 동물 모델에서의 펩타이드의 A549 세포 특이적 결합을 보여준다.
도 10은 A549 결합 펩타이드 및 무작위 A549 결합 펩타이드의 피브리노겐 감마 사슬에 대한 도킹 시뮬레이션의 결과를 보여준다. (A) 피브리노겐 감마 사슬의 구조(Protein Data Bank ID: 1FID), (B) 피브리노겐이 피브린으로 변형될 때 감마 사슬의 모식구조, (C) (B)의 구조에 대한 A549 결합 펩타이드의 도킹 시뮬레이션 결과, (D) (B)의 구조에 대한 무작위 A549 결합 펩타이드의 도킹 시뮬레이션 결과. 빨강: 380번 잔기부터 C말단, 녹색: 190번 잔기부터 202번 잔기, 파랑: 상술한 잔기를 제외한 피브리노겐 감마 사슬. 빨간 점선은 각각의 펩타이드가 도킹 시뮬레이션 실시 후 감마 사슬에 위치한 부분을 나타낸다. (E) (C)의 구조를 확대한 그림. A549 결합 펩타이드와 근접한 피브리노겐의 아미노산 잔기를 주황색으로 표시하였으며, 그 외에는 이차 구조로만 표시하였다.
도 11은 임의로 제작한 다양한 구조를 갖는 A549 결합 펩타이드 구조에 대한 도킹 시뮬레이션 결과를, 펩타이드 구조의 평균 제곱근 편차(Root Mean Square Deviation; RMSD)와 결합에너지에 대한 그래프로 나타낸 결과이다. RMSD는 A549 결합 펩타이드가 결합하는 부분인 피브리노겐 감마 사슬의 383번부터 389번까지의 주사슬에 대하여 계산하였다. 펩타이드가 피브리노겐 감마 사슬의 변형된 부분(380번 잔기 이후)에 결합하여 베타 병풍구조의 형성에 관여하는 아미노산 잔기 수에 따라 빨간색(5개 이상), 주황색(4개), 노란색(3개), 파란색(2개 이하 및 베타 병풍구조를 형성하지 않는 펩타이드)으로 나타내었다.
도 12는 플라스민 처리를 통한 A549 세포의 피브린 분해를 보여준다.
도 13은 플라스민을 이용한 피브린 분해 전과 후의 결합능 변화를 보여준다.
도 14는 다른 펩타이드 변이를 가진 펩타이드 서열에 대하여, 그 프롤린 잔기의 위치가 구조에 미치는 영향을 보여주는 분자동력학 계산결과이다. (A) A549 결합 펩타이드, (B) 무작위 A549 결합 펩타이드, (C) 프롤린 잔기가 2번째와 5번째에 위치하는 펩타이드, (D) 2번째 잔기를 프롤린에서 글리신으로 치환한 펩타이드. 분홍: 펩타이드 사슬의 주사슬, 보라: 프롤린 잔기.
도 15는 펩타이드 서열에서 프롤린 잔기 이외의 변이가 구조에 미치는 영향을 보여주는 분자동력학 계산결과이다. (A) 1번째 잔기인 이소류신을 치환한 펩타이드의 서열에 대한 결과, (B) 7번째 잔기인 메티오닌을 치환한 펩타이드 서열에 대한 결과, (C) 및 (D) 3, 4, 5번째 잔기인 류신 및 발린을 치환한 펩타이드 서열에 대한 결과, (E) 및 (F) 두 개 이상의 잔기를 치환한 펩타이드 서열에 대한 결과. 분홍: 펩타이드 사슬의 주사슬, 보라: 프롤린 잔기.
도 16은 도 14 및 15에서 밝힌 서로 다른 아미노산 서열을 가진 펩타이드 변이의 대표예에 대하여, 암세포 타겟팅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한 동물실험 결과이다. cy 5.5가 표지된 각 펩타이드를 정맥 주사하였을 때 시간에 따른 형광 세기를 나타내는 동물 실험 결과이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요지에 따라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실시예
실험재료 및 실험방법
바이오패닝
6웰 플레이트에 각 웰 당 1 X 106개의 A549 세포를 깔아 하루 동안 CO2 배양기에서 키운 후, 무혈청 RPMI를 2 ㎖ 넣어 1 시간 동안 3D 쉐이커(shaker)에서 스피드 9로 맞추어(Twist Shaker, TW3) 반응시켰다. 무혈청 RPMI + 0.1 % BSA를 1 ㎖ 넣고, M13 박테리오파지가 1 X 1012 virions mL-1 들어가도록 처리하여 상온에서 1시간 동안 3D 쉐이커에서 반응하게 하였다. 결합하지 않은 M13 파지 및 세척액을 따로 수거하였다. 0.1 M HCl + 0.1% BSA 400 ㎕ 넣어 10 분간 트위스트 쉐이커(twist shaker) 위에서 반응시켜 박테리오파지의 용리를 유도하고, 수거된 용리액에 1 M Tris 버퍼를 약 75 ㎕ 정도 넣어주어 pH를 중성에 가깝게 맞추어 파지의 손상을 최소화하였다. 1,200 rpm, 4분, 25℃ 조건에서 원심분리 하여 세포를 제거한 후 상등액만 수거하고, 각 단계에서 회수한 샘플을 흡광도 269 nm, 320 nm에서 값을 측정하여 pfu로 환산하였다.
파지를 이용한 ELISA
96웰 플레이트에 100 ㎖의 RPMI 배지에 A549 세포(4.0 X 104/웰)를 넣고 37℃, CO2 인큐베이터에서 24시간 동안 배양하고, 배지와 동량(100 ㎖)의 8% 포름알데하이드 용액을 세포가 들어있는 각 웰에 넣은 뒤, 3D 쉐이커에서 상온, 15분 동안 배양하였다. 200 ㎕의 1 X Permeabilization 버퍼(0.1% Triton X-100)를 각 웰에 넣고, 3D 쉐이커에서 상온, 30분 동안 배양한 후 용액을 제거하고 200 ㎕의 2 X Blocking 버퍼(1 X PBS에 용해된 0.1% BSA)로 세척한 뒤, 200 ㎕의 2 X Blocking 버퍼를 넣고 3D 쉐이커에서 상온, 2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1차 항체로 사용할 M13 파지(야생형, NERALTL-디스플레이 파지, IPLVVPM-디스플레이 파지)를 8 X 1010 pfu mL-1이 되도록 1 X 인큐베이션 버퍼(1 X PBS에 용해된 0.05% BSA)에 희석하여 준비한 후, 용액을 제거하고 200 ㎕의 1 X 인큐베이션 버퍼로 세척한 뒤, 1차 항체용 파지를 각각 100 ㎕씩 웰에 넣고 4℃에서 하룻밤 동안 배양하였다. 2차 항체로 사용할 항-M13 파지(FITC) 항체(MyBioSource, Catalog No. MBS530991)를 100-1로 1 X 인큐베이션 버퍼에 희석하여 용액을 제거하고 200 ㎕의 1 X 세척 버퍼(0.05% Tween 20)로 세척한 후, 항체를 각각 100 ㎕씩 웰에 넣고 3D 쉐이커에서 상온, 2시간 동안 반응시킨 후 세척하여 플레이트 리더(1420 Multilabel Counter, PerkinElmer)를 이용하여 여기 480 nm와 방출 520 nm에서 형광을 측정하였다. 측정이 완료된 샘플은 형광현미경을 이용하여 이미지를 관찰하였다.
형광 비드와 펩타이드 결합
바이오패닝으로 발굴한 펩타이드 염기서열(IPLVVPM; 서열목록 제1서열)을 포함한 펩타이드(IPLVVPMGGGGK: 서열목록 제4서열)와 이를 무작위로 섞은 염기서열(VMIPPLV; 서열목록 제5서열)을 포함한 펩타이드(VMIPPLVGGGGK; 서열목록 제6서열)를 합성(Peptron, 한국)하였다. BOC-NH-PEG-SVA, MW 3400(Item# BOC-NH-PEG-SVA-3400-1g, Laysan Bio Inc.)과 각 펩타이드를 5 mg mL-1의 농도로 PBS에 녹인 후, 몰비 1:1.2로 20 시간 동안 교반하면서 반응시킨 후, 투석을 통해 결합하지 않은 반응물을 제거하였다. 결합체에 부피비 1:1의 1M HCl을 첨가한 후 상온에서 1시간 동안 반응하여 BOC을 불활성화 시키고 Fluoresbrite 카르복실화 마이크로 스피어 0.1 ㎛(Catalog No. 18719-10, Polysciences, Inc.)에 펩타이드 PEG 결합체를 합성하였다(Polyscience Inc.의 DATA Sheet#644: PolyLink - Protein Coupling Kit for COOH Microparticles의 방식을 따름).
FACS
6웰 배양 플레이트에 1 ㎖의 RPMI 배지에 A549, PC3 세포를, DMEM 배지에 HCT116, HaCaT 세포(1.0 X 106/웰)를 넣고, 37℃, CO2 인큐베이터에서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각 웰에 1 nmole의 펩타이드를 포함한 fluoresbrite 결합 펩타이드와 TAMRA형광 결합 펩타이드를 37℃에서 4시간 동안 결합하게 한 후, 1 ㎖의 PBS를 이용하여 수차례 세척하였다. 1 ㎖의 4% 포름알데하이드를 첨가하여 15분간 고정하고, 0.5 ㎖의 트립신 EDTA(Lot# 1508372, Gibco)를 첨가하여 세포를 떼어낸 후, FACS 버퍼(PBS, 1% BSA)를 이용하여 세척하였다. 샘플은 유세포 분석기(Beckman Coulter moFlo XDP)를 이용하여 형광 측정하였다.
공초점 현미경 관찰
4 챔버 배양 슬라이드를 사용하여 1 ㎖의 RPMI 배지에 A549, PC3, HCC1171, NCI-H1650, HCC95, HCC33 세포를, DMEM 배지에 HCT116, HaCaT 세포(1.0 X 106/웰)를 넣고, 37℃, CO2 인큐베이터에서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각 웰에 1 nmole의 펩타이드를 포함한 fluoresbrite 결합 펩타이드를 처리한 후, 4시간 동안 37℃, CO2 인큐베이터에서 배양하였다. 1 ㎖의 차가운 PBS를 이용하여 수차례 세척하였다. 1 ㎖의 4% 포름알데하이드를 첨가하여 15분간 고정하고, DAPI로 핵을 염색하여 샘플을 준비한 다음, IVMVL custom built confocal을 이용하여 이미지를 촬영하였다.
동물 실험
5주령의 Balb/c 누드마우스를 준비하여 배양한 A549 세포를 각 마우스에 3 X 107개의 세포씩 피하주사 하였다. 2주 동안 세포를 배양하여 마우스에서 암세포가 자랄 수 있도록 하였다. 마우스에 각 샘플을 10 nmole의 펩타이드 농도로 하여 정맥주사 하였다(PBS, TAMRA 표지한 A549 결합 펩타이드(Peptron, 한국), TAMRA 표지한 무작위 A549 결합 펩타이드). 시간 경과에 따른 형광 이미지를 측정하여 그 변화를 확인하고, 24시간 후 해부하여 각 장기를 얻은 후(심장, 폐, 간, 신장, 비장, 암), Xenogen IVIS 이미지 시스템을 이용하여 형광의 세기를 측정하였다.
정위 주사(orthotopic injection)를 이용한 동물 실험
5주령의 Balb/c 누드마우스를 준비하여 배양한 GFP-A549 세포를 각 마우스에 1 x 106개의 세포씩 50 ㎕의 마트리겔에 섞어 폐로 직접 정위 주사(Orthotopic injection) 하였다. 2주 동안 세포를 배양하여 마우스에서 암세포가 자랄 수 있도록 하였다. 마우스에 cy5.5 표지된 A549 결합 펩타이드를 10 nmole의 펩타이드 농도로 하여 정맥주사 하였다. 24시간 후 해부하여 각 장기를 얻은 후(심장, 폐, 간, 신장, 비장, 암), Xenogen IVIS 이미지 시스템을 이용하여 형광의 세기를 측정하였다.
피브린 분해 전후의 결합능 변화 측정
먼저, A549 세포를 RPMI 배지 상에서 96웰에 각 1 x 104 세포씩 분주하여 이산화탄소 배양기에서 24시간 동안 세포 부착을 유도하였다. 플라스민(Plasmin) 처리 그룹에서 배지를 제거하고, 섭씨 37도로 데운 pH 8.5 무혈청 배지(플라스민의 작용 최적화 pH 조건)에 최종 농도가 0.01 units mL-1이 되도록 플라스민이 첨가된 용액을 처리하고, 대조군은 플라스민이 없는 무혈청 배지로 갈아주어 37도 이산화탄소 배양기에서 2시간 동안 피브린 분해를 유도하였다. 섭씨 37도로 데운 무혈청 배지를 이용하여 3회 세척하여 분해된 피브린(fibrin degradation product)을 모두 제거하였다. 각 TAMRA형광이 표지된 펩타이드 샘플(IPLVVPMGGGK-TAMRA 혹은 VMIPPLVGGGK-TAMRA)을 10, 50 및 100 nmoles씩 각 웰에 처리되도록 첨가하여 4시간 동안 이산화탄소 배양기에서 배양하였다. PBS를 이용하여 5회 세척한 후 멀티플레이트 리더기를 이용하여 형광 세기를 측정하였다(Ex. 540/ Em. 575 nm).
분자동력학 계산
분자동력학 계산은 GROMACS 4.6.5 버전을 사용하여 실시하였다. 계산모델은 펩타이드와 용매를 포함하며, 펩타이드와 용매에는 각각 ABER99SB-ILDN force field와 TIP3P 물분자 모델이 적용되었다. 분자동력학 계산은 등온등압(NPT) 앙상블 하에서 실행하였으며, 모든 방향에 주기적 경계조건이 적용되었다. 하나의 펩타이드 서열에 대하여 1만 개의 구조를 얻어 이를 통계적으로 분석하였다.
도킹 시뮬레이션
도킹 시뮬레이션은 AutoDock Vina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수행하였다. 피브리노겐 감마 사슬(Protein Data Bank ID: 1FID)에 대하여, WT 모델 및 380번 잔기부터 C-말단까지 절단된 모델을 제작하여 도킹 시뮬레이션을 시도하였다. 리간드는 AutoDockTools 1.5.6 버전을 사용하여 모델링하였으며, 각각의 펩타이드 서열에 대하여 분자동력학 계산을 통해 얻은 구조를 사용하였다.
실험결과
총 4 라운드에 걸친 바이오패닝의 결과로 폐암 세포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펩타이드를 발굴하였다. 총 7개의 아미노산이 무작위로 발현되어 있는 M13 박테리오파지 라이브러리를 이용하여 세포를 이용한 스크리닝을 진행하였다. 각 라운드가 진행됨에 따라, 용리되는 박테리오파지의 수가 증가하는 양상을 보이는데 이를 통해 바이오패닝의 진행에 따라 결합력이 약한 박테리오파지는 세척되고 특이적 결합력을 가지는 박테리오파지가 스크리닝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표 1 및 도 1, 2). 세 번째 및 네 번째 라운드 후에 얻은 박테리오파지의 펩타이드의 염기서열을 분석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하여 반복되는 펩타이드 염기서열을 발견할 수 있었다. 같은 위치에 가장 많이 반복되어 발견되는 아미노산 잔기들을 추려 비슷한 구조로 반복되어 나타나는 염기서열 중에 IPLVVPM(서열목록 제1서열)을 후보 펩타이드로 선별하였다.
바이오패닝을 통해 찾아낸 펩타이드 서열의 특이적 결합력을 확인하기 위해 ELISA를 진행한 결과, 펩타이드를 포함하지 않은 박테리오파지나 에폭시 결합 펩타이드인 NERALTL(서열목록 제7서열)을 포함하고 있는 경우와 비교하여, IPLVVPM의 시퀀스를 발현하고 있는 경우, 폐암세포에 대해 강한 결합력을 가지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도 3 및 4).
Figure 112016034832922-pat00001
바이오패닝을 이용하여 발굴한 펩타이드의 결합 민감성(sensitivity)과 선택성(selectivity)을 확인하기 위하여, 후보 펩타이드(IPLVVPM) 및 후보 펩타이드 염기서열을 구성하는 아미노산을 무작위로 합성한 펩타이드 염기서열 VMIPPLV(서열목록 제5서열)를 합성하여 형광비드에 결합한 후 세포에 처리하였다. 후보 펩타이드 및 무작위 펩타이드를 각각 A549 세포에 처리한 결과를 미루어 보아, IPLVVPM의 염기서열 자체가 가지는 결합력을 확인할 수 있었다(도 5). 뿐만 아니라, HCT116(대장암 세포), PC3(전립선암 세포) 및 HaCaT(피부 세포)를 이용하여, 형광비드 처리한 A549 결합 펩타이드의 결합력이 세포의 종류에 따라 영향을 받는지 확인하였다. 그 결과, 공초점 현미경을 통해 얻은 이미지를 통하여, 폐암세포 외의 다른 종류의 세포에서는 결합력을 보이지 않음을 확인하였다(도 5).
위의 민감성 및 선택성 실험은 유세포 분석(FACS)을 이용하여 한 번 더 확인되었는데, 이 경우에는 형광 비드의 이용 대신 펩타이드를 합성하고 말단에 TAMRA를 결합시켜 세포에 처리하는 방식을 이용하였다. 유세포 분석에서도 공초점 현미경 이미지와 상응하는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도 6).
이상의 결과는 바이오패닝을 통해 발굴한 A549 결합 펩타이드가 다른 세포와는 결합하지 않고, 폐암세포 특이적으로 결합하여 세포 안으로 흡수됨을 보여준다.
동물 실험을 통하여, 발굴한 A549 결합 펩타이드의 암세포 특이적 결합력을 확인함으로써 생체 환경에서의 결합력을 확인하였다. A549 세포를 이종 이식한 Balb/c 누드마우스에 PBS 혹은 형광 표지한 A549 결합 펩타이드 및 무작위 A549 펩타이드를 꼬리 정맥 주사하여, 24시간 후 장기에 축적된 형광을 확인한 결과, 정맥으로 주사된 펩타이드는 혈관을 통해 온몸으로 균질하게 퍼져 나가다가 시간이 지나면서 암조직으로 축적되었다. PBS 혹은 무작위 A549 펩타이드를 이용한 경우와 비교하여, A549 결합 펩타이드가 강한 A549 암세포 결합력을 가짐을 확인할 수 있었다(도 7). 정맥주사 24시간 후 각 장기를 이미징 하였을 때 암 조직에서만 강한 형광을 가짐을 확인하였다(도 8). 이러한 결과는 본 발명의 폐암세포 결합 펩타이드를 폐암의 진단과 치료에 응용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암세포의 생체 내 미세환경을 고려하기 위해, A549 폐암 세포를 폐에 직접 주입하는 정위(orthotopic) 주사 방식을 이용한 동물 모델을 만들었다. 이때 암세포의 위치를 확인하기 위하여 GFP 형광이 표지된 A549 세포를 사용하였다. 실험 결과, 꼬리 정맥으로 투여된 cy5.5 형광이 표지된 A549 결합 펩타이드가 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것을 확인하였다(도 9). 이러한 결과를 통하여, 생체 내 미세환경을 고려하여서도 펩타이드가 A549 세포 특이적으로 결합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후, 유전자 발현 수준이 단백질의 발현량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각 세포주의 발현 유전자 수준을 조사하여 A549 세포에 특이적으로 높게 발현되는 유전자와 관련 단백질을 조사함으로써, 폐암세포에 높은 결합력을 가진 A549 결합 펩타이드의 결합 파트너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Figure 112016034832922-pat00002
그 결과, 표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A549 세포에서 피브리노겐의 발현량이 상대적으로 높았다. 이러한 결과는 A549 세포에서 발현된 피브리노겐이 피브린으로 변형되었을 때, 변형된 피브리노겐에 A549 결합 펩타이드가 결합함을 시사해준다. 피브리노겐이 피브린으로 변형될 때에는 감마 사슬의 380번 잔기부터 C-말단 부분이 바깥 부분으로 빠져나가는 것으로 보고된 바 있다(Mossesson, Journal of Thrombosis and Haemostatis, (2005) 3:1894-1904; Yakovlev, Litvinovich, Loukinov 및 Medved, Biochemistry, (2000) 39:15721-15729). 이에, 피브리노겐 감마 사슬의 WT 모델 및 380번 아미노산 잔기부터 C-말단 부분이 제거된 모델에 대하여 도킹 시뮬레이션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도 10에 나타난 바와 같이, 도킹 시뮬레이션으로 A549 결합 펩타이드가 피브리노겐이 피브린으로 변형되는 과정에서 380번 이후의 아미노산 잔기가 감마 사슬에서 빠져나간 후, 그 부분에 결합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변형된 감마 사슬에 펩타이드가 결합하기 위해서는 선형 구조가 요구되며, 선형 구조를 갖지 않는 무작위 A549 결합 펩타이드는 강한 결합을 하지 못한다는 사실 역시 확인할 수 있었다(도 10의 A-D). 결합한 펩타이드의 아미노산 잔기 중에서 첫 번째, 세 번째, 다섯 번째, 일곱 번째 잔기는 곁사슬이 단백질 바깥으로 향하고, 두 번째, 네 번째, 여섯 번째 잔기는 곁사슬이 안쪽을 향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도 10의 E). 또한, 펩타이드와 변형된 피브리노겐 감마 사슬의 결합은 아미노산 특이성으로 인한 것이 아니기 때문에, 선형 구조를 갖는 한에서 펩타이드 서열의 부분적인 치환이 가능하다.
펩타이드 구조가 변형된 피브리노겐 감마 사슬에의 결합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기 위하여, 임의로 제작한 다양한 구조의 A549 결합 펩타이드에 대하여 추가적인 도킹 시뮬레이션을 실행하였다. 그 결과, RMSD가 작을수록, 즉 선형구조에 가까울수록 높은 결합력을 보였으며, 또한 변형된 피브리노겐 감마 사슬과 결합해 베타 병풍구조를 형성하는 펩타이드가 높은 결합력을 보였다. 이 결과를 통하여, A549 결합 펩타이드는 변형된 피브리노겐 감마 사슬에 결합하며, 높은 결합력을 위해서는 선형구조가 중요하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도 11).
생체 분자 피브린에 결합한다는 내용을 뒷받침하기 위하여, 피브린을 분해하는 효소 플라스민(plamin)을 처리하여 피브린을 피브린 분해산물(fibrin degradation product)로 제거한 후 펩타이드를 처리하여 그 결합능을 확인하였다. 먼저, 플라스민 처리 후, 세포 배양 배지를 고성능액체크로마토그래피(HPLC,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이때, 플라스민을 처리한 이후에는 새로운 피크들이 관찰되었다(도 12). 이와 같은 실험에서 플라스민 처리 후, 세척을 통해 피브린 분해산물을 제거한 세포에 펩타이드를 처리하였을 때, A549 결합 펩타이드의 경우 결합능이 약 절반으로 감소하였다(도 13). 반면, 무작위 A549 결합 펩타이드를 처리한 경우에는 피브린 분해 전과 후에 결합능의 차이가 없이 낮게 유지되었다(도 13). 이상의 결과는, A549 결합 펩타이드가 피브린에 특이적으로 결합함을 보여준다.
이후, 분자동력학 계산을 이용하여 A549 결합 펩타이드 및 무작위 A549 펩타이드를 포함한 여러 펩타이드 변이체들의 각각의 펩타이드 잔기가 구조적으로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하였다. 그 결과, 도 14에 나타난 바와 같이, 2번째 및 6번째에 위치한 프롤린 잔기가 7개의 아미노산으로 이루어진 펩타이드를 선형 구조로 유지시키는 역할을 하며, 이들 프롤린 잔기의 치환 및 펩타이드 서열 내의 위치 변경은 펩타이드가 선형 구조를 형성 또는 유지할 수 없게 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도 14).
또한, 도 15에 나타난 바와 같이, 프롤린 잔기를 제외한 나머지 아미노산 잔기의 변화(치환)가 아미노산 곁사슬의 상대적 유사성 및 치환된 잔기의 수에 따라 구조에 영향을 미치거나 미치지 않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도 15). 단일 치환의 경우에는 펩타이드 구조에 큰 영향을 끼치지 않았으며, A549 결합 펩타이드와 유사한 구조를 나타내었다(도 15의 A 내지 C). 곁사슬을 갖지 않는 글리신으로의 치환은 펩타이드 구조에 유연성을 주어 선형 구조를 유지하지 못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도 15의 D). 복수 치환의 경우에는, A549 결합 펩타이드와 생물학적 기능 균등물로의 치환(소수성 아미노산으로의 치환)은 구조에 큰 영향을 끼치지 않았다(도 15의 E). 그러나, 두 개 이상의 아미노산 치환에서, 생물학적 기능 균등물이 아닌 변이의 도입이 구조에 영향을 미쳤으며, 선형 구조를 형성하지 못하였다(도 15의 F). 이상의 결과를 통하여, 폐암세포를 타겟팅 하는데 있어 두 프롤린 잔기가 중요하며, 나머지 잔기의 경우에는 단일 치환은 프롤린 및 글리신 이외의 잔기로 치환되어도 A549 결합 펩타이드와 마찬가지의 구조 및 기능을 나타내며, 복수 치환의 경우에는 알라닌, 이소류신, 류신, 발린, 페닐알라닌, 트립토판, 메티오닌 및 티로신과 같은 소수성 아미노산으로의 치환 시 A549 결합 펩타이드와 마찬가지의 구조 및 기능을 나타낼 수 있음을 보여준다.
또한, 도 16에 나타난 바와 같이, 이러한 펩타이드 서열에 따른 구조적 차이가 기능적으로도 암세포를 타겟팅 하는데 영향을 미침을 확인할 수 있었다(도 16).
이상으로 본 발명의 특정한 부분을 상세히 기술하였는바,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이러한 구체적인 기술은 단지 바람직한 구현 예일 뿐이며, 이에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이 아닌 점은 명백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질적인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과 그의 등가물에 의하여 정의된다고 할 것이다.
<110> Korea Advanced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120> Novel peptides and uses thereof <130> PN140590P <150> KR10-2015-0050114 <151> 2015-04-09 <160> 18 <170> KopatentIn 2.0 <210> 1 <211> 7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eptide <400> 1 Ile Pro Leu Val Val Pro Met 1 5 <210> 2 <211> 7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eptide variant 1 <400> 2 Leu Pro Leu Val Val Pro Met 1 5 <210> 3 <211> 7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eptide variant 2 <400> 3 Ile Pro Val Leu Val Pro Met 1 5 <210> 4 <211> 7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eptide variant 3 <400> 4 Asp Pro Leu Val Val Pro Met 1 5 <210> 5 <211> 7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eptide variant 4 <400> 5 Asn Pro Leu Val Val Pro Met 1 5 <210> 6 <211> 7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eptide variant 5 <400> 6 Ile Pro Leu Val Val Pro Ile 1 5 <210> 7 <211> 7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eptide variant 6 <400> 7 Ile Pro Leu Val Val Pro Lys 1 5 <210> 8 <211> 7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eptide variant 7 <400> 8 Ile Pro Leu Val Val Pro Glu 1 5 <210> 9 <211> 7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eptide variant 8 <400> 9 Ile Pro Leu Val Lys Pro Met 1 5 <210> 10 <211> 7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eptide variant 9 <400> 10 Ile Pro Leu Ala Val Pro Met 1 5 <210> 11 <211> 7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eptide variant 10 <400> 11 Ile Pro Leu Ile Ile Pro Met 1 5 <210> 12 <211> 7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eptide variant 11 <400> 12 Leu Pro Ile Val Leu Pro Met 1 5 <210> 13 <211> 7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eptide variant 12 <400> 13 Ile Pro Thr Val Val Pro Met 1 5 <210> 14 <211> 12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eptide containing SEQ ID NO:1 <400> 14 Ile Pro Leu Val Val Pro Met Gly Gly Gly Gly Lys 1 5 10 <210> 15 <211> 7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randomized peptide <400> 15 Val Met Ile Pro Pro Leu Val 1 5 <210> 16 <211> 12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eptide containing randomized peptide <400> 16 Val Met Ile Pro Pro Leu Val Gly Gly Gly Gly Lys 1 5 10 <210> 17 <211> 7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epoxy-binding peptide <400> 17 Asn Glu Arg Ala Leu Thr Leu 1 5 <210> 18 <211> 411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amino acid sequece of fibrinogen gamma chain <400> 18 Tyr Val Ala Thr Arg Asp Asn Cys Cys Ile Leu Asp Glu Arg Phe Gly 1 5 10 15 Ser Tyr Cys Pro Thr Thr Cys Gly Ile Ala Asp Phe Leu Ser Thr Tyr 20 25 30 Gln Thr Lys Val Asp Lys Asp Leu Gln Ser Leu Glu Asp Ile Leu His 35 40 45 Gln Val Glu Asn Lys Thr Ser Glu Val Lys Gln Leu Ile Lys Ala Ile 50 55 60 Gln Leu Thr Tyr Asn Pro Asp Glu Ser Ser Lys Pro Asn Met Ile Asp 65 70 75 80 Ala Ala Thr Leu Lys Ser Arg Lys Met Leu Glu Glu Ile Met Lys Tyr 85 90 95 Glu Ala Ser Ile Leu Thr His Asp Ser Ser Ile Arg Tyr Leu Gln Glu 100 105 110 Ile Tyr Asn Ser Asn Asn Gln Lys Ile Val Asn Leu Lys Glu Lys Val 115 120 125 Ala Gln Leu Glu Ala Gln Cys Gln Glu Pro Cys Lys Asp Thr Val Gln 130 135 140 Ile His Asp Ile Thr Gly Lys Asp Cys Gln Asp Ile Ala Asn Lys Gly 145 150 155 160 Ala Lys Gln Ser Gly Leu Tyr Phe Ile Lys Pro Leu Lys Ala Asn Gln 165 170 175 Gln Phe Leu Val Tyr Cys Glu Ile Asp Gly Ser Gly Asn Gly Trp Thr 180 185 190 Val Phe Gln Lys Arg Leu Asp Gly Ser Val Asp Phe Lys Lys Asn Trp 195 200 205 Ile Gln Tyr Lys Glu Gly Phe Gly His Leu Ser Pro Thr Gly Thr Thr 210 215 220 Glu Phe Trp Leu Gly Asn Glu Lys Ile His Leu Ile Ser Thr Gln Ser 225 230 235 240 Ala Ile Pro Tyr Ala Leu Arg Val Glu Leu Glu Asp Trp Asn Gly Arg 245 250 255 Thr Ser Thr Ala Asp Tyr Ala Met Phe Lys Val Gly Pro Glu Ala Asp 260 265 270 Lys Tyr Arg Leu Thr Tyr Ala Tyr Phe Ala Gly Gly Asp Ala Gly Asp 275 280 285 Ala Phe Asp Gly Phe Asp Phe Gly Asp Asp Pro Ser Asp Lys Phe Phe 290 295 300 Thr Ser His Asn Gly Met Gln Phe Ser Thr Trp Asp Asn Asp Asn Asp 305 310 315 320 Lys Phe Glu Gly Asn Cys Ala Glu Gln Asp Gly Ser Gly Trp Trp Met 325 330 335 Asn Lys Cys His Ala Gly His Leu Asn Gly Val Tyr Tyr Gln Gly Gly 340 345 350 Thr Tyr Ser Lys Ala Ser Thr Pro Asn Gly Tyr Asp Asn Gly Ile Ile 355 360 365 Trp Ala Thr Trp Lys Thr Arg Trp Tyr Ser Met Lys Lys Thr Thr Met 370 375 380 Lys Ile Ile Pro Phe Asn Arg Leu Thr Ile Gly Glu Gly Gln Gln His 385 390 395 400 His Leu Gly Gly Ala Lys Gln Ala Gly Asp Val 405 410

Claims (16)

  1. 하기 서열의 펩타이드 또는 이의 아미노산 치환 변이체:
    Ile-Pro-Leu-Val-Val-Pro-Met (서열목록 제1서열)
    여기서, 상기 아미노산 치환 변이체는 서열목록 제1서열 중 두 개의 프롤린 잔기는 치환되지 않고, 나머지 잔기 중 1개의 아미노산 잔기만 치환된 경우에는 프롤린 및 글리신을 제외한 아미노산으로 치환되며, 2개의 아미노산 잔기가 치환된 경우에는 알라닌, 이소류신, 류신, 발린, 페닐알라닌, 트립토판, 메티오닌 및 티로신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아미노산으로 치환되고, 3-5개의 아미노산 잔기가 치환된 경우에는 알라닌, 이소류신, 류신 및 발린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아미노산으로 치환됨.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아미노산 치환 변이체는 1개의 아미노산 잔기가 치환된 변이체이며, 이 아미노산 치환은 아스파르트산, 류신, 아스파라긴, 이소류신, 라이신, 글루탐산, 알라닌, 발린, 트레오닌, 페닐알라닌, 트립토판, 메티오닌 및 티로신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아미노산으로의 치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펩타이드 또는 이의 변이체.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아미노산 치환 변이체는 1개의 아미노산 잔기가 치환된 변이체이며, 첫 번째 아미노산 잔기인 이소류신은 아스파르트산, 류신 또는 아스파라긴으로 치환되고, 세 번째 아미노산 잔기인 류신은 트레오닌, 발린 또는 이소류신으로 치환되며, 네 번째 아미노산 잔기인 발린은 알라닌, 이소류신 또는 류신으로 치환되고, 다섯 번째 아미노산 잔기인 발린은 라이신, 이소류신 또는 류신으로 치환되며, 일곱 번째 아미노산 잔기인 메티오닌은 이소류신, 라이신 또는 글루탐산으로 치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펩타이드 또는 이의 변이체.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아미노산 치환 변이체는 2개의 아미노산 잔기가 치환된 변이체이며, 이 아미노산 치환은 알라닌, 이소류신, 류신 및 발린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아미노산으로의 치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펩타이드 또는 이의 변이체.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아미노산 치환 변이체는 3개의 아미노산 잔기가 치환된 변이체이며, 이 아미노산 치환은 알라닌, 이소류신, 류신 및 발린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아미노산으로의 치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펩타이드 또는 이의 변이체.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아미노산 치환 변이체는 서열목록 제2서열 내지 13서열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펩타이드 또는 이의 변이체.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펩타이드 또는 이의 변이체는 폐암세포에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펩타이드 또는 이의 변이체.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펩타이드 또는 이의 변이체는 380번째부터 C-말단의 아미노산 잔기가 결실된 피브리노겐 감마 사슬에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펩타이드 또는 이의 변이체.
  9. 삭제
  10.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의 펩타이드 또는 이의 변이체를 암호화하는 핵산분자.
  11.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의 펩타이드 또는 이의 변이체를 포함하는 폐암 진단용 조성물.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펩타이드 또는 이의 변이체는 조영물질, 방사성 동위원소, 형광물질, 화학발광단 및 효소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검출 가능한 신호를 발생시키는 레이블로 표지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13.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의 펩타이드 또는 이의 변이체를 포함하는 폐암세포 또는 폐암조직에 약물을 전달하기 위한 조성물.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약물은 세포독소(cytotoxin), 방사성 동위원소, 면역조절제, 항혈관신생제, 항증식제, 아폽토시스 촉진제, 화학요법제 및 치료용 핵산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15. 약물이 결합된,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의 펩타이드 또는 이의 변이체를 포함하는 폐암 치료용 조성물.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약물은 세포독소(cytotoxin), 방사성 동위원소, 면역조절제, 항혈관신생제, 항증식제, 아폽토시스 촉진제, 화학요법제 및 치료용 핵산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KR1020160044430A 2015-04-09 2016-04-11 신규 펩타이드 및 이의 용도 KR10186959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50114 2015-04-09
KR20150050114 2015-04-0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21783A KR20160121783A (ko) 2016-10-20
KR101869592B1 true KR101869592B1 (ko) 2018-06-21

Family

ID=572513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44430A KR101869592B1 (ko) 2015-04-09 2016-04-11 신규 펩타이드 및 이의 용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69592B1 (ko)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8045976A2 (en) * 2006-10-10 2008-04-17 Squicor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treating and diagnosing cancer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21783A (ko) 2016-10-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Liu et al. Tumor-targeting peptides from combinatorial libraries
Sugahara et al. Tissue-penetrating delivery of compounds and nanoparticles into tumors
Yang et al. Virus-derived peptides for clinical applications
Hölig et al. Novel RGD lipopeptides for the targeting of liposomes to integrin-expressing endothelial and melanoma cells
Teesalu et al. C-end rule peptides mediate neuropilin-1-dependent cell, vascular, and tissue penetration
EP2431383B1 (en) Polypeptides
KR101669203B1 (ko) 신규 세포투과성 펩타이드 및 이의 용도
Maruta et al. Identification of FGF receptor-binding peptides for cancer gene therapy
CN108473541A (zh) 通过受体介导的化学疗法治疗癌症的肽化合物和肽缀合物
Nemudraya et al. Phage peptide libraries as a source of targeted ligands
Feng et al. SPECT and near-infrared fluorescence imaging of breast cancer with a neuropilin-1-targeting peptide
Singh et al. Dimerization of a phage-display selected peptide for imaging of αvβ6-integrin: two approaches to the multivalent effect
US10370410B2 (en) Cancer cell-targeting peptide and use thereof
Zhang et al. Panning and identification of a colon tumor binding peptide from a phage display peptide library
Díaz‐Perlas et al. Phage display as a tool to discover blood–brain barrier (BBB)‐shuttle peptides: panning against a human BBB cellular model
Morris et al. Enhanced pulmonary absorption of a macromolecule through coupling to a sequence-specific phage display-derived peptide
US10421780B2 (en) Peptide for targeting autophagic cells and use thereof
US20070264191A1 (en) Materials and Methods Relating to the Treatment of Glioblastomas
JP6103832B2 (ja) Egfr結合性ペプチド
W Gillespie et al. Selection of lung cancer-specific landscape phage for targeted drug delivery
CN102395599A (zh) 铜氧还蛋白衍生肽的修饰及其使用方法
KR101869592B1 (ko) 신규 펩타이드 및 이의 용도
Koivistoinen et al. A novel peptide (Thx) homing to non-small cell lung cancer identified by ex vivo phage display
JP6479088B2 (ja) 薬物担体とするために酸化修飾による膜透過性ペプチドの創薬可能性の改善方法
CN110746489B (zh) 一种特异性靶向三阴乳腺癌的多肽及其应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