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68984B1 - 푸시 서비스 관리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푸시 서비스 관리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68984B1
KR101868984B1 KR1020160086297A KR20160086297A KR101868984B1 KR 101868984 B1 KR101868984 B1 KR 101868984B1 KR 1020160086297 A KR1020160086297 A KR 1020160086297A KR 20160086297 A KR20160086297 A KR 20160086297A KR 101868984 B1 KR101868984 B1 KR 1018689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rl
push
traffic
user device
push ser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862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06548A (ko
Inventor
이대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리엘네트웍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리엘네트웍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리엘네트웍스
Priority to KR10201600862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68984B1/ko
Publication of KR201800065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65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689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689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50Network services
    • H04L67/55Push-based network services
    • H04L67/26
    • G06Q50/30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5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communications industr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1/00User-to-user messaging in packet-switching networks, transmitted according to store-and-forward or real-time protocols, e.g. e-mail
    • H04L51/21Monitoring or handling of messages
    • H04L51/224Monitoring or handling of messages providing notification on incoming messages, e.g. pushed notifications of received messages
    • H04L51/24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푸시 서비스를 관리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푸시 서비스 관리 장치는, 푸시 서비스 대상 URL 및 상기 푸시 서비스 대상 URL에 대응하는 푸시 메시지를 저장하는 저장부; 사용자 디바이스로부터 발생한 사용자 트래픽을 분석하여, 상기 사용자 트래픽의 트래픽 URL이 푸시 서비스 대상 URL인지 확인하는 트래픽 분석부; 및 상기 트래픽 URL이 푸시 서비스 대상 URL인 경우, 상기 푸시 메시지를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푸시 메시지 발송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르면, 사용자의 의도에 부합하지 않는 푸시 메시지가 전송되지 않기 때문에, 불필요한 푸시 메시지로 인한 사용자의 스트레스를 경감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푸시 서비스 관리 장치 및 방법{Push service management method and apparatus thereof}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푸시 서비스를 관리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스마트폰 등의 각종 사용자 디바이스의 보급에 따라, 사용자들은 다양한 서비스를 이용하게 되었다. 그 중에서 서비스 제공 사업자에 의하여 제공되는 푸시 서비스가 많이 이용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푸시 메시지의 양이 점차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푸시 메시지의 증가는 네트워크 사업자의 부담을 증가시키는 문제가 있으며, 또한 푸시 서비스를 관리하는 주체가 명확하지 않아 사용자들이 스미싱 및 해킹 등의 각종 사기에 노출될 수 있는 문제가 있다.
국내 공개 특허 제 2004-0035277호 (이동 통신 단말기의 푸시 메시지 관리 및 접속 방법)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불필요한 푸시 메시지의 전송이 이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방안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사용자의 의도에 부합하지 않는 푸시 메시지가 전송되지 않도록 하는 방안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푸시 서비스 관리 장치는, 푸시 서비스 대상 URL 및 상기 푸시 서비스 대상 URL에 대응하는 푸시 메시지를 저장하는 저장부; 사용자 디바이스로부터 발생한 사용자 트래픽을 분석하여, 상기 사용자 트래픽의 트래픽 URL이 푸시 서비스 대상 URL인지 확인하는 트래픽 분석부; 및 상기 트래픽 URL이 푸시 서비스 대상 URL인 경우, 상기 푸시 메시지를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푸시 메시지 발송부를 포함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푸시 서비스 대상 URL 및 상기 푸시 서비스 대상 URL에 대응하는 푸시 메시지는, 상기 푸시 서비스 대상 URL을 관리하는 서비스 제공 서버로부터 수신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트래픽 분석부는 푸시 서비스 대상 URL로 확인된 트래픽 URL에 대한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의 푸시 알림 설정 여부를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로부터 확인하고, 상기 푸시 메시지 발송부는 상기 트래픽 URL에 대한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의 푸시 알림 설정이 있는 경우에 상기 푸시 메시지를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로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저장부는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에 대응하는 푸시 알림 허용 시간에 대한 정보를 더 저장하고, 상기 트래픽 분석는 상기 사용자 트래픽이 상기 푸시 알림 허용 시간 내에 발생한 경우에 상기 트래픽 URL이 상기 푸시 서비스 대상 URL인지 확인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푸시 알림 허용 시간은,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의 요청에 의하여 설정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저장부는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에 대응하는 푸시 알림 허용 서비스 사업자에 대한 정보를 더 저장하고, 상기 푸시 메시지 발송부는 상기 트래픽 URL이 상기 푸시 알림 허용 서비스 사업자가 관리하는 URL인 경우에 상기 푸시 메시지를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로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푸시 알림 허용 서비스 사업자에 대한 정보는,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의 요청에 의하여 설정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저장부는 상기 푸시 서비스 대상 URL에 대응하는 푸시 서비스 대상 디바이스의 식별자를 더 저장하고, 상기 트래픽 분석부는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의 식별자가 상기 푸시 서비스 대상 디바이스의 식별자인지 더 확인하며, 상기 푸시 메시지 발송부는 상기 트래픽 URL이 상기 푸시 서비스 대상 URL이고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의 식별자가 상기 푸시 서비스 대상 디바이스의 식별자인 경우에 상기 푸시 메시지를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로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푸시 서비스 대상 URL, 상기 푸시 서비스 대상 URL에 대응하는 푸시 메시지 및 상기 푸시 서비스 대상 URL에 대응하는 푸시 서비스 대상 디바이스의 식별자는, 상기 푸시 서비스 대상 URL을 관리하는 서비스 제공 서버로부터 수신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푸시 서비스 관리 방법은, 서비스 제공 서버로부터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가 관리하는 푸시 서비스 대상 URL 및 상기 푸시 서비스 대상 URL에 대응하는 푸시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사용자 디바이스로부터 발생한 사용자 트래픽을 분석하여, 상기 사용자 트래픽의 트래픽 URL이 푸시 서비스 대상 URL인지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트래픽 URL이 푸시 서비스 대상 URL인 경우, 상기 푸시 메시지를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방법은 상기 푸시 서비스 대상 URL로 확인된 트래픽 URL에 대한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의 푸시 알림 설정 여부를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로부터 확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푸시 메시지를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트래픽 URL에 대한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의 푸시 알림 설정이 있는 경우에 상기 푸시 메시지를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방법은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로부터의 요청에 따라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에 대응하는 푸시 알림 허용 시간을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트래픽 URL이 상기 푸시 서비스 대상 URL인지 확인하는 단계는 상기 트래픽이 상기 푸시 알림 허용 시간 내에 발생한 경우에 상기 트래픽 URL이 상기 푸시 서비스 대상 URL인지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방법은,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로부터의 요청에 따라,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에 대응하는 푸시 알림 허용 서비스 사업자 정보를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푸시 메시지를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트래픽 URL이 상기 푸시 알림 허용 서비스 사업자가 관리하는 URL인 경우에 상기 푸시 메시지를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방법은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로부터 상기 푸시 서비스 대상 URL에 대응하는 푸시 서비스 대상 디바이스의 식별자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의 식별자가 상기 푸시 서비스 대상 디바이스의 식별자인지 확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푸시 메시지를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트래픽 URL이 푸시 서비스 대상 URL이고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의 식별자가 상기 푸시 서비스 대상 디바이스의 식별자인 경우에 상기 푸시 메시지를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르면, 불필요한 푸시 메시지가 발생하지 않기 때문에 네트워크 사업자의 부담을 경감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르면, 사용자의 의도에 부합하지 않는 푸시 메시지가 전송되지 않기 때문에, 불필요한 푸시 메시지로 인한 사용자의 스트레스를 경감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르면, 푸시 서비스 관리 주체가 명확하기 때문에, 푸시 서비스 관련 보안성을 쉽게 향상시킬 수 있고, 이에 따라 사용자들이 스미싱 및 해킹 등의 각종 사기에 노출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이 적용되는 푸시 서비스 관리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푸시 서비스 관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 1 URL별 매핑 테이블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푸시 서비스 관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카테고리별 매핑 테이블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푸시 서비스 관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제 2 URL별 매핑 테이블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푸시 알림 허용 시간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푸시 알림 허용 서비스 사업자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이 적용되는 푸시 서비스 관리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
이하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첨부되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이 적용되는 푸시 서비스 관리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이 적용되는 푸시 서비스 관리 시스템은, 사용자 디바이스(100), 푸시 서비스 관리 장치(200) 및 서비스 제공 서버(300)를 포함한다. 실시 예에 따라, 도 1에 도시된 구성 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는 생략될 수 있다.
사용자 디바이스(100)는, 스마트폰, 태블릿 및 노트북 등의 각종 전자 기기일 수 있다. 사용자 디바이스(100)는, 각종 통신 프로토콜에 따라 통신을 수행할 수 있으며, ISP(Internet Service Provider)를 통하여 인터넷에 접속될 수 있다.
푸시 서비스 관리 장치(200)는, ISP에 의하여 운용되거나, 별도의 사업자(예를 들어, 푸시 메시지 전송을 전문적으로 관리하는 사업자)에 의하여 운용될 수 있다. 푸시 서비스 관리 장치(200)는, 사용자 디바이스(100)로부터 발생한 사용자 트래픽을 모니터링하고, 이를 분석할 수 있다. 푸시 서비스 관리 장치(200)는, 모니터링한 사용자 트래픽을 인터넷 구간으로 바이패스(bypass)시킬 수 있다. 사용자 트래픽에 대한 분석은, HTTP 리퀘스트 메시지에 대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푸시 서비스 관리 장치(200)는, HTTP(HyperText Transfer Protocol) 리퀘스트 메시지로부터 사용자 트래픽의 트래픽 URL(Uniform Resource Locator)과 사용자 디바이스(100)의 디바이스 식별자(예를 들어, 전화 번호)를 획득할 수 있다. 트래픽 URL은 사용자 디바이스(100)가 접속하고자 하는 URL을 의미할 수 있다.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서비스 제공 사업자에 의하여 운영되는 서버로서, 인터넷을 통하여 여행, 쇼핑 및 도서와 관련된 각종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푸시 서비스 관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실시 예에 따라, 도 2에 도시된 단계들 중 적어도 하나는 생략될 수 있다.
단계(201)에서,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제 1 URL별 매핑 정보를 관리할 수 있다. 제 1 URL별 매핑 정보는, 적어도 하나의 푸시 서비스 대상이 URL 및 각각의 푸시 서비스 대상 URL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푸시 메시지를 포함할 수 있다. 푸시 서비스 대상 URL은, 해당 URL에 대응하는 푸시 메시지가 설정된 URL을 의미할 수 있다. 따라서, 푸시 서비스 대상 URL에 대응하는 푸시 메시지는, 사용자 디바이스(100)가 해당 푸시 서비스 대상 URL에 접속하는 경우, 사용자 디바이스(100)에게 제공될 푸시 메시지를 의미할 수 있다.
제 1 URL별 매핑 정보는 테이블 형태로 관리될 수 있다. 도 3에 제 1 URL별 매핑 테이블의 일 예를 도시하였다. 도 3을 참조하면, 푸시 서비스 대상 URL 및 각각의 푸시 서비스 대상 URL에 대응하는 푸시 메시지가 매핑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푸시 서비스 대상 URL 또는 푸시 메시지가 생성, 수정 또는 삭제되는 경우 제 1 URL별 매핑 정보를 갱신할 수 있다. 푸시 서비스 대상 URL 또는 푸시 메시지의 생성, 수정 또는 삭제는, 서비스 제공 서버(300)를 운영하는 운영자(예를 들어, 서비스 제공 사업자 또는 서버 관리자 등)에 의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자신이 관리하는 제 1 URL별 매핑 정보를 푸시 서비스 관리 장치(200)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제공은 주기적으로 이루어지거나, 운영자의 요청에 의하여 이루어지거나, 푸시 서비스 대상 URL 또는 푸시 메시지가 생성, 수정 또는 삭제되는 경우 자동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푸시 서비스 관리 장치(200)는, 서비스 제공 서버(300)로부터 수신되는 제 1 URL별 매핑 정보를 저장하고, 이를 관리할 수 있다. 푸시 서비스 관리 장치(200) 역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테이블 형태로 제 1 URL별 매핑 정보를 저장 및 관리할 수 있다.
단계(203)에서, 푸시 서비스 관리 장치(200)는, 사용자 디바이스(100)로부터 사용자 트래픽이 발생하는 경우, 사용자 트래픽을 분석하여, 사용자 트래픽의 트래픽 URL과 사용자 디바이스(100)의 디바이스 식별자를 획득할 수 있다.
푸시 서비스 관리 장치(200)는, 획득된 트래픽 URL이 푸시 서비스 대상 URL인지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확인은, 푸시 서비스 관리 장치(200)가 관리하는 제 1 URL별 매핑 정보를 참조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푸시 서비스 관리 장치(200)는, 획득된 트래픽 URL이 푸시 서비스 대상 URL인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 제 1 URL별 매핑 정보를 참조하여, 해당 트래픽 URL에 대응하는 푸시 메시지를 사용자 디바이스(100)에게 제공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푸시 서비스 관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실시 예에 따라, 도 4에 도시된 단계들 중 적어도 하나는 생략될 수 있다.
단계(401)에서,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카테고리별 매핑 정보를 관리할 수 있다. 카테고리별 매핑 정보는, 서비스 제공 서버(300)가 제공하는 서비스와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카테고리, 각각의 카테고리에 대응하는 푸시 서비스 대상 URL, 각각의 푸시 서비스 대상 URL에 대응하는 디바이스 식별자 및 각각의 푸시 서비스 대상 URL에 대응하는 푸시 메시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카테고리별 매핑 정보는, 테이블 형태로 관리될 수 있다. 도 5에 카테고리별 매핑 테이블의 일 예를 도시하였다. 도 5를 참조하면, 서비스 카테고리, 각각의 카테고리에 대응하는 푸시 서비스 대상 URL, 각각의 푸시 서비스 대상 URL에 대응하는 디바이스 식별자 및 각각의 푸시 서비스 URL에 대응하는 푸시 메시지가 매핑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단계(403)에서,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푸시 메시지 수신을 원하는 사용자 디바이스(100)로부터 푸시 알림 설정 요청을 수신하고, 수신된 요청에 따라 사용자 디바이스(100)에 대응하는 푸시 알림 설정을 수행하고, 카테고리별 매핑 정보를 갱신할 수 있다. 푸시 알림 설정 요청에는, 사용자 디바이스(100)의 디바이스 식별자 및 푸시 메시지 수신 조건(예를 들어, 푸시 메시지 수신을 원하는 카테고리)이 포함될 수 있다. 카테고리별 매핑 정보는, 카테고리, 푸시 서비스 대상 URL 및 푸시 메시지 중 적어도 하나의 생성, 수정 또는 삭제가 이루어질 때마다 갱신될 수도 있다.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자신이 관리하는 카테고리별 매핑 정보 중 제 1 URL별 매핑 정보(적어도 하나의 푸시 서비스 대상 URL 및 각각의 푸시 서비스 대상 URL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푸시 메시지)를 푸시 서비스 관리 장치(200)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제공은 주기적으로 이루어지거나, 운영자의 요청에 의하여 이루어지거나, 카테고리, 푸시 서비스 대상 URL, 디바이스 식별자 및 푸시 메시지 중 적어도 하나가 생성, 수정 또는 삭제되는 경우에 이루어질 수 있다.
푸시 서비스 관리 장치(200)는, 서비스 제공 서버(300)로부터 수신되는 제 1 URL별 매핑 정보를 저장하고, 이를 관리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 실시 예와 마찬가지로, 제 1 URL별 매핑 정보는 도 3에 도시된 테이블 형태로 관리될 수 있다.
단계(405)에서, 푸시 서비스 관리 장치(200)는, 사용자 디바이스(100)로부터 사용자 트래픽이 발생하는 경우, 사용자 트래픽을 분석하여, 사용자 트래픽의 트래픽 URL과 사용자 디바이스(100)의 디바이스 식별자를 획득할 수 있다.
푸시 서비스 관리 장치(200)는, 획득된 트래픽 URL이 푸시 서비스 대상 URL인지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확인은, 푸시 서비스 관리 장치(200)가 관리하는 제 1 URL별 매핑 정보를 참조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단계(407)에서, 푸시 서비스 관리 장치(200)는, 트래픽 URL이 푸시 서비스 대상 URL인 경우, 트래픽 URL과 사용자 디바이스(100)의 디바이스 식별자를 서비스 제공 서버(300)에게 제공하면서, 해당 트래픽 URL에 대한 사용자 디바이스(100)의 푸시 알림 설정 여부에 대한 확인을 요청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자신이 관리하는 카테고리별 매핑 정보를 참조하여, 해당 트래픽 URL에 대한 사용자 디바이스(100)의 푸시 알림 설정 여부를 확인하고, 확인 결과를 푸시 서비스 관리 장치(200)에게 통보할 수 있다.
푸시 서비스 관리 장치(200)는, 사용자 디바이스(100)가 해당 트래픽 URL에 대한 푸시 알림을 설정한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 제 1 URL별 매핑 정보를 참조하여, 해당 트래픽 URL에 대응하는 푸시 메시지를 사용자 디바이스(100)에게 제공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푸시 서비스 관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실시 예에 따라, 도 6에 도시된 단계들 중 적어도 하나는 생략될 수 있다.
단계(601)에서,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카테고리별 매핑 정보를 관리할 수 있다. 카테고리별 매핑 정보는, 서비스 제공 서버(300)가 제공하는 서비스와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카테고리, 각각의 카테고리에 대응하는 푸시 서비스 대상 URL, 각각의 푸시 서비스 대상 URL에 대응하는 디바이스 식별자 및 각각의 푸시 서비스 대상 URL에 대응하는 푸시 메시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 실시 예와 마찬가지로, 카테고리별 매핑 정보는, 도 5에 도시된 테이블 형태로 관리될 수 있다.
단계(603)에서,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푸시 메시지 수신을 원하는 사용자 디바이스(100)로부터 푸시 알림 설정 요청을 수신하고, 수신된 요청에 따라 사용자 디바이스(100)에 대응하는 푸시 알림 설정을 수행하고, 카테고리별 매핑 정보를 갱신할 수 있다. 푸시 알림 설정 요청에는, 사용자 디바이스(100)의 디바이스 식별자 및 푸시 메시지 수신 조건(예를 들어, 푸시 메시지 수신을 원하는 카테고리)이 포함될 수 있다. 카테고리별 매핑 정보는, 카테고리, 푸시 서비스 대상 URL 및 푸시 메시지 중 적어도 하나의 생성, 수정 또는 삭제가 이루어질 때마다 갱신될 수도 있다.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자신이 관리하는 카테고리별 매핑 정보 중 제 2 URL별 매핑 정보(적어도 하나의 푸시 서비스 대상 URL, 각각의 푸시 서비스 대상 URL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푸시 메시지 및 각각의 푸시 서비스 대상 URL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 식별자)를 푸시 서비스 관리 장치(200)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제공은 주기적으로 이루어지거나, 운영자의 요청에 의하여 이루어지거나, 카테고리, 푸시 서비스 대상 URL, 디바이스 식별자 및 푸시 메시지 중 적어도 하나가 생성, 수정 또는 삭제되는 경우에 이루어질 수 있다.
푸시 서비스 관리 장치(200)는, 서비스 제공 서버(300)로부터 수신되는 제 2 URL별 매핑 정보를 저장하고, 이를 관리할 수 있다. 제 2 URL별 매핑 정보는, 테이블 형태로 관리될 수 있다. 도 7에 제 2 URL별 매핑 테이블의 일 예를 도시하였다. 도 7을 참조하면, 푸시 서비스 대상 URL, 각각의 푸시 서비스 대상 URL에 대응하는 디바이스 식별자 및 각각의 푸시 서비스 대상 URL에 대응하는 푸시 메시지가 매핑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단계(605)에서, 푸시 서비스 관리 장치(200)는, 사용자 디바이스(100)로부터 사용자 트래픽이 발생하는 경우, 사용자 트래픽을 분석하고, 사용자 트래픽의 트래픽 URL과 사용자 디바이스(100)의 디바이스 식별자를 획득할 수 있다.
푸시 서비스 관리 장치(200)는, 획득된 트래픽 URL이 푸시 서비스 대상 URL인지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확인은, 푸시 서비스 관리 장치(200)가 관리하는 제 2 URL별 매핑 정보를 참조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푸시 서비스 관리 장치(200)는, 트래픽 URL이 푸시 서비스 대상 URL인 경우, 사용자 디바이스(100)의 디바이스 식별자가 해당 푸시 서비스 대상 URL에 매핑되어 있는지 확인할 수 있다. 즉, 푸시 서비스 관리 장치(200)는, 해당 푸시 서비스 대상 URL에 대한 사용자 디바이스의 푸시 알림 설정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확인은 푸시 서비스 관리 장치(200)가 관리하는 제 2 URL별 매핑 테이블을 참조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푸시 서비스 관리 장치(200)는, 트래픽 URL이 푸시 서비스 대상 URL이고, 사용자 디바이스의 식별자가 해당 푸시 서비스 대상 URL에 매핑되어 있는 경우, 해당 트래픽 URL에 대응하는 푸시 메시지를 사용자 디바이스(100)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도 2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푸시 서비스 관리 장치가 서비스 제공 서버로부터 수신되는 정보들에 기반하여 푸시 메시지 전송 여부를 결정하는 과정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한편, 사용자 디바이스의 사용자는, 특정 시간대에서 푸시 메시지 수신을 원하지 않을 수도 있고, 특정 서비스 제공 서버에 의하여 제공되는 푸시 메시지 수신을 원하지 않을 수도 있다. 이러한 사용자의 의도가 쉽게 달성될 수 있도록 사용자 디바이스와 푸시 서비스 관리 장치 간의 협업이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디바이스는, 푸시 서비스 관리 장치에게 푸시 알림 허용 시간을 설정하여 줄 것을 요청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디바이스는, 푸시 알림이 설정된 푸시 서비스 대상 URL이라 하더라도, 특정 시간 구간 동안에는 해당 푸시 서비스 대상 URL에 대응하는 푸시 메시지가 수신되지 않도록 하여 줄 것을 푸시 서비스 관리 장치에게 요청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푸시 서비스 관리 장치는, 해당 사용자 디바이스에 대응하는 푸시 알림 허용 시간 정보를 관리할 수 있다. 푸시 알림 허용 시간에 대한 정보는 테이블 형태로 관리될 수 있으며, 그 예를 도 8에 도시하였다. 도 8을 참조하면, 디바이스 식별자별 푸시 알림 허용 시간이 설정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푸시 서비스 관리 장치는, 도 2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 트래픽 URL이 푸시 서비스 대상 URL인지 확인하는 단계 이전에, 사용자 트래픽이 푸시 알림 허용 시간 내에 발생하였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만약, 사용자 트래픽이 푸시 알림 허용 시간 내에 발생한 경우라면 트래픽 URL이 푸시 서비스 대상 URL인지 확인하고, 그렇지 않다면, 푸시 메시지 전송을 위한 절차를 종료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사용자 디바이스는, 푸시 서비스 관리 장치에게 푸시 알림 허용 서비스 사업자 정보(예를 들어, URL)를 설정하여 줄 것을 요청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디바이스는, 푸시 알림이 설정된 푸시 서비스 대상 URL이라 하더라도, 해당 푸시 서비스 대상 URL이 특정 서비스 사업자에 의하여 제공되는 경우, 해당 사업자에 의하여 제공되는 URL에 대응하는 푸시 메시지가 수신되지 않도록 하여 줄 것을 푸시 서비스 관리 장치에게 요청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푸시 서비스 관리 장치는, 해당 사용자 디바이스에 대응하는 푸시 알림 허용 서비스 사업자 URL을 관리할 수 있다. 푸시 알림 허용 서비스 사업자 정보는 테이블 형태로 관리될 수 있으며, 그 예를 도 9에 도시하였다. 도 9를 참조하면, 디바이스 식별자별 푸시 알림 허용 서비스 사업자 URL이 설정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푸시 서비스 관리 장치는, 도 2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 사용자 디바이스에게 푸시 메시지를 제공하는 단계 이전에, 트래픽 URL이 푸시 알림 허용 서비스 사업자의 URL에 해당하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만약, 트래픽 URL이 푸시 알림 허용 서비스 사업자의 URL에 해당하는 경우 푸시 메시지를 사용자 디바이스에게 제공하고, 그렇지 않다면 푸시 메시지 전송 절차를 종료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이 적용되는 푸시 서비스 관리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이 적용되는 푸시 서비스 관리 장치(200)는, 트래픽 분석부(210), 저장부(220) 및 푸시 메시지 발송부(230)를 포함한다. 실시 예에 따라, 전술한 구성 요소 중 적어도 하나는 생략될 수 있다.
트래픽 분석부(210)는, 사용자 디바이스로부터 발생한 사용자 트래픽을 모니터링하고, 이를 분석할 수 있다. 모니터링된 사용자 트래픽은 인터넷 구간으로 바이패스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트래픽 분석부(210)는, HTTP 리퀘스트 메시지에 대하여 분석을 수행할 수 있다. 트래픽 분석부(210)는, 사용자 트래픽의 분석을 통하여 사용자 디바이스의 디바이스 식별자 및 트래픽 URL을 획득할 수 있다.
트래픽 분석부(210)는, 제 1 URL별 매핑 정보를 참조하여 트래픽 URL이 푸시 서비스 대상 URL인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트래픽 분석부(210)는, 푸시 서비스 대상 URL로 확인된 트래픽 URL에 대한 사용자 디바이스의 푸시 알림 설정 여부를 서비스 제공 서버에 문의하고, 그 결과를 수신할 수 있다.
트래픽 분석부(210)는, 제 2 URL별 매핑 정보를 참조하여 트래픽 URL이 푸시 서비스 대상 URL인지 확인하고, 디바이스 식별자가 푸시 서비스 대상 디바이스인지 확인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트래픽 분석부(210)는 사용자 트래픽이 푸시 알림 허용 시간 내에 발생한 경우에만 트래픽 URL이 푸시 서비스 대상 URL인지 여부를 확인할 수도 있다.
저장부(220)는, 제 1 URL별 매핑 정보(적어도 하나의 푸시 서비스 대상 URL 및 각각의 푸시 서비스 대상 URL에 대응하는 푸시 메시지)를 저장할 수 있다. 제 1 URL별 매핑 정보는 서비스 제공 서버로부터 수신될 수 있다.
저장부(220)는, 제 2 URL별 매핑 정보(적어도 하나의 푸시 서비스 대상 URL, 각각의 푸시 서비스 대상 URL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푸시 메시지 및 각각의 푸시 서비스 대상 URL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 식별자)를 저장할 수 있다. 제 2 URL별 매핑 정보는 서비스 제공 서버로부터 수신될 수 있다.
저장부(220)는, 사용자 디바이스에 대응하는 푸시 알림 허용 시간에 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푸시 알림 허용 시간에 대한 정보는, 사용자 디바이스의 요청에 의하여 설정될 수 있다.
저장부(220)는, 사용자 디바이스에 대응하는 푸시 알림 허용 서비스 사업자에 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푸시 알림 허용 서비스 사업자에 대한 정보는, 사용자 디바이스의 요청에 의하여 설정될 수 있다.
푸시 메시지 발송부(230)는, 트래픽 URL이 푸시 서비스 대상 URL인 경우, 푸시 메시지를 사용자 디바이스에게 전송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푸시 메시지 발송부(230)는, 트래픽 URL에 대하여 사용자 디바이스가 푸시 알림 설정을 한 경우에만 푸시 메시지를 사용자 디바이스에게 전송할 수도 있다.
실시 예에 따라, 푸시 메시지 발송부(230)는, 트래픽 URL에 대하여 사용자 디바이스가 푸시 알림 설정을 한 경우라 하더라도, 해당 트래픽 URL이 푸시 알림 허용 서비스 사업자가 관리하는 URL인 경우에만, 푸시 메시지를 사용자 디바이스에게 전송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임의의 다양한 방법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그 조합을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로 구현되는 경우에, 다양한 운영 체제 또는 플랫폼을 이용하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상에서 실행되는 소프트웨어로서 구현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그러한 소프트웨어는 다수의 적합한 프로그래밍 언어들 중에서 임의의 것을 사용하여 작성될 수 있고, 또한 프레임워크 또는 가상 머신에서 실행 가능한 기계어 코드 또는 중간 코드로 컴파일 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이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상에서 실행되는 경우 이상에서 논의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을 구현하는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이 기록된 프로세서 판독 가능 매체(예를 들어, 메모리,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 콤팩트 디스크, 광학 디스크 또는 자기 테이프 등)로 구현될 수 있다.

Claims (14)

  1. 인터넷 네트워크상에서 사용자 디바이스로부터 발생한 트래픽을 모니터링하고 분석하는 푸시 서비스 관리장치에 있어서,
    푸시 서비스 대상 URL, 상기 푸시 서비스 대상 URL에 대응하는 푸시 메시지 및 상기 푸시 서비스 대상 URL에 대응하는 푸시 서비스 대상 디바이스의 식별자를 포함하는 제1 URL별 매핑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
    사용자 디바이스로부터 발생한 사용자 트래픽을 분석하여, 상기 사용자 트래픽의 트래픽 URL이 푸시 서비스 대상 URL인지 확인하는 트래픽 분석부- 상기 트래픽 URL이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가 접속하고자 하는 URL임-; 및
    상기 트래픽 URL이 푸시 서비스 대상 URL인 경우, 상기 푸시 메시지를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푸시 메시지 발송부를 포함하되,
    상기 트래픽 분석부는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로부터 사용자 트래픽 발생을 위한 HTTP 리퀘스트 메시지로부터 상기 트래픽 URL 및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의 식별자를 획득하여 상기 사용자 트래픽을 분석하고,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의 식별자가 상기 푸시 서비스 대상 디바이스의 식별자인지 더 확인하며,
    상기 푸시 메시지 발송부는, 상기 푸시 서비스 대상 URL이고,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의 식별자가 상기 푸시 서비스 대상 디바이스의 식별자인 경우에 상기 푸시 메시지를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로 전송하되,
    상기 제1 URL 별 매핑 정보는 서비스 제공 서버로부터 수신되며, 상기 제1 URL 별 매핑 정보에 포함된 상기 푸시 서비스 대상 URL은 서비스 제공 서버가 관리하는 카테고리별 매핑 정보 중 하나인 푸시 서비스 관리 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부는,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에 대응하는 푸시 알림 허용 시간에 대한 정보를 더 저장하고,
    상기 트래픽 분석부는, 상기 사용자 트래픽이 상기 푸시 알림 허용 시간 내에 발생한 경우에 상기 트래픽 URL이 상기 푸시 서비스 대상 URL인지 확인하는
    푸시 서비스 관리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푸시 알림 허용 시간은,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의 요청에 의하여 설정되는
    푸시 서비스 관리 장치.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인터넷 네트워크상에서 사용자 디바이스로부터 발생한 트래픽을 모니터링하고 분석하는 푸시 서비스 관리 장치가 푸시 서비스를 관리하는 방법으로서,
    서비스 제공 서버로부터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가 관리하는 푸시 서비스 대상 URL, 상기 푸시 서비스 대상 URL에 대응하는 푸시 메시지 및 상기 푸시 서비스 대상 URL에 대응하는 푸시 서비스 대상 디바이스의 식별자를 포함하는 제1 URL별 매핑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사용자 디바이스로부터 발생한 사용자 트래픽을 분석하여, 상기 사용자 트래픽의 트래픽 URL이 푸시 서비스 대상 URL인지 확인하는 단계- 상기 트래픽 URL이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가 접속하고자 하는 URL임-;
    상기 트래픽 URL이 푸시 서비스 대상 URL이고,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의 식별자가 상기 푸시 서비스 대상 디바이스의 식별자인 경우에 상기 푸시 메시지를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로부터 발생한 사용자 트래픽을 분석하여, 상기 사용자 트래픽의 트래픽 URL이 푸시 서비스 대상 URL인지 확인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로부터 사용자 트래픽 발생을 위한 HTTP 리퀘스트 메시지로부터 상기 트래픽 URL 및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의 식별자를 획득하여 상기 사용자 트래픽을 분석하고,
    상기 제1 URL 별 매핑 정보는 서비스 제공 서버로부터 수신되며, 상기 제1 URL 별 매핑 정보에 포함된 상기 푸시 서비스 대상 URL은 서비스 제공 서버가 관리하는 카테고리별 매핑 정보 중 하나인 푸시 서비스 관리 방법.
  11. 삭제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로부터의 요청에 따라,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에 대응하는 푸시 알림 허용 시간을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트래픽 URL이 상기 푸시 서비스 대상 URL인지 확인하는 단계는, 상기 트래픽이 상기 푸시 알림 허용 시간 내에 발생한 경우에 상기 트래픽 URL이 상기 푸시 서비스 대상 URL인지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푸시 서비스 관리 방법.
  13. 삭제
  14. 삭제
KR1020160086297A 2016-07-07 2016-07-07 푸시 서비스 관리 장치 및 방법 KR1018689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6297A KR101868984B1 (ko) 2016-07-07 2016-07-07 푸시 서비스 관리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6297A KR101868984B1 (ko) 2016-07-07 2016-07-07 푸시 서비스 관리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6548A KR20180006548A (ko) 2018-01-18
KR101868984B1 true KR101868984B1 (ko) 2018-07-24

Family

ID=610286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86297A KR101868984B1 (ko) 2016-07-07 2016-07-07 푸시 서비스 관리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68984B1 (ko)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7986B1 (ko) 2002-10-19 2009-01-12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통신 단말기의 푸시 메시지 관리 및 접속 방법
KR20130094367A (ko) * 2012-02-13 2013-08-26 주식회사 아이디어웨어 네트워크 부하 저감 기능이 구비된 무선단말장치와 무선단말장치에서의 네트워크 부하 저감 방법과 기록매체
KR20160059069A (ko) * 2014-11-17 2016-05-26 삼성전자주식회사 메시지 처리 방법 및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6548A (ko) 2018-01-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341234B (zh) 一种授权方法及装置
US11244074B2 (en) Security systems and methods for social networking
US7512973B1 (en) Wireless-access-provider intermediation to facilliate digital rights management for third party hosted content
KR101638315B1 (ko) 와이파이 망을 이용한 웹기반 광고 제공 시스템 및 방법
CN103327119B (zh) 远程控制方法、装置及系统
CN101990183A (zh) 保护用户信息的方法、装置及系统
CA2372647A1 (en) System and method for administrating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US20110275360A1 (en) Privacy gateway
CN106254319B (zh) 一种轻应用登录控制方法和装置
CN104157082A (zh) 自动取票方法及设备
CN105165035B (zh) 兼具文本消息传输的多媒体消息传输
US10929884B2 (en) System and method for preventing a delivery of advertising contents
US7086051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just-in-time provisioning application-related information at a communication device
KR102135499B1 (ko) 메시지를 이용한 보이는 에이알에스 제공 방법
CN112241544B (zh) 业务系统、访问方法、装置、计算机设备和存储介质
US20120246235A1 (en) Attribute information sharing providing system, access information management device, access information proxy management device, method and program therefor
US9900756B2 (en) Dynamically updating policy controls for mobile devices and applications via policy notifications
KR102079285B1 (ko) 사물인터넷 서비스 제공 장치 및 사물인터넷 서비스 제공 방법
WO2015073065A1 (en) Automatically transitioning a user from a call to action to an enrollment interface
EP1993245A1 (en) A system and method for realizing message service
KR101868984B1 (ko) 푸시 서비스 관리 장치 및 방법
WO2014101421A1 (zh) 实现即时通信的方法及装置
KR20100022281A (ko) 유해 사이트에 대한 접근을 차단하는 무선 인터넷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CN104993935A (zh) 网络威胁提示方法、设备和系统
CN106487776B (zh) 一种保护机器类通信设备的方法、网络实体及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