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68777B1 - Door latch apparatus - Google Patents

Door latch apparatu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68777B1
KR101868777B1 KR1020160121736A KR20160121736A KR101868777B1 KR 101868777 B1 KR101868777 B1 KR 101868777B1 KR 1020160121736 A KR1020160121736 A KR 1020160121736A KR 20160121736 A KR20160121736 A KR 20160121736A KR 101868777 B1 KR101868777 B1 KR 1018687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portion
cable
holder
stroke adjusting
strok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2173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80032462A (en
Inventor
이진복
석재현
예재경
Original Assignee
평화정공(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평화정공(주) filed Critical 평화정공(주)
Priority to KR10201601217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68777B1/en
Publication of KR201800324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3246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687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6877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79/00Mounting or connecting vehicle locks or parts thereof
    • E05B79/10Connections between movable lock parts
    • E05B79/20Connections between movable lock parts using flexible connections, e.g. Bowden cabl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79/00Mounting or connecting vehicle locks or parts thereof
    • E05B79/02Mounting of vehicle locks or parts thereof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5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 E05Y2900/53Type of wing
    • E05Y2900/531Doors

Landscapes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도어 래치 장치에 대한 발명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도어 래치 장치는: 래치 바디에 결합되고, 결합 프레임부가 형성되는 고정 브라켓; 및 케이블이 고정되고, 결합 프레임부에 위치 조정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가이드홀부가 형성되는 스트로크 조정 부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n invention for a door latch device is disclosed. A door latch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xing bracket coupled to a latch body and having a coupling frame portion; And a stroke adjusting bush having a cable fixed and a guide hole formed to be positionally adjustably coupled to the coupling frame.

Description

도어 래치 장치{DOOR LATCH APPARATUS}[0001] DOOR LATCH APPARATUS [0002]

본 발명은 도어 래치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조립 현장에서 케이블의 스트로크 조정이 가능한 도어 래치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oor latch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door latch device capable of adjusting a stroke of a cable at an assembly site.

일반적으로 차량에는 도어가 설치되고, 도어에는 도어를 잠금 및 해제할 수 있도록 도어 래치가 설치된다. 도어 래치에는 케이블의 일측에 연결되는 외력 전달 레버를 포함한다. 케이블의 타측은 도어 핸들에 연결된다. 도어 핸들이 당겨지면, 케이블이 외력 전달 레버를 당김에 의해 도어 래치가 도어의 스트라이커를 해제시키므로, 도어가 개방될 수 있는 상태가 된다.Generally, the vehicle is provided with a door, and the door is provided with a door latch for locking and unlocking the door. The door latch includes an external force transmission lever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cable. The other end of the cable is connected to the door handle. When the door handle is pulled, the door releases the striker of the door by pulling the external force transmitting lever by the cable, so that the door can be opened.

그러나, 종래의 도어 래치는 케이블의 조립 후 스트로크 검사를 수행하여 케이블의 조립 공차를 측정한다. 케이블의 조립 공차가 발생되는 경우, 케이블의 스트로크 변화에 의해 도어의 개방 시점의 변화가 발생되므로, 케이블의 스트로크 검사를 수행한다. 이때, 도어 래치가 스트로크 불량으로 판정되면, 도어 래치의 조립 공정에서 도어 래치의 스트로크 조정을 할 수 없다. 따라서, 불량으로 판정된 도어 래치를 일괄 수거하여 케이블을 재조립해야 하므로, 도어 래치의 조립 공정이 복잡해지고, 조립 시간이 증가될 수 있다.However, the conventional door latch measures the assembly tolerance of the cable by performing stroke inspection after assembly of the cable. When an assembly tolerance of the cable is generated, a change in the opening timing of the door occurs due to a change in the stroke of the cable, so that the stroke of the cable is inspected. At this time,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door latch is faulty in stroke, it is not possible to adjust the stroke of the door latch in the assembling process of the door latch. Therefore, since the door latches determined to be defective are collectively collected and the cables are reassembled, the assembling process of the door latch is complicated, and the assembling time can be increased.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16-0090731호(2016. 08. 01 공개, 발명의 명칭: 차량용 잠금 방지 도어래치)에 개시되어 있다.BACKGROUND ART [0002] The background ar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isclosed in 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2016-0090731 (published on Mar. 08, 01, entitled Locking prevention door latch for vehicle).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조립 현장에서 케이블의 스트로크 조정이 가능한 도어 래치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door latch device capable of adjusting a stroke of a cable at an assembly site.

본 발명에 따른 도어 래치 장치는: 래치 바디에 결합되고, 결합 프레임부가 형성되는 고정 브라켓; 및 케이블이 고정되고, 상기 결합 프레임부에 위치 조정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가이드홀부가 형성되는 스트로크 조정 부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 door latch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xing bracket coupled to a latch body and having a coupling frame portion; And a stroke adjusting bush having a cable fixed thereto and a guide hole formed therein to be positionally adjustably coupled to the coupling frame portion.

상기 결합 프레임부에는 스토퍼가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스트로크 조정 부시는, 상기 케이블이 고정되고, 상기 스토퍼가 위치 조정 가능하게 구속되도록 요철부가 형성되는 홀더부; 및 상기 홀더부의 외측면에 상기 가이드홀부를 둘러싸도록 형성되고, 상기 결합 프레임부를 상기 홀더부 측으로 가압하는 가이드 프레임부를 포함할 수 있다.A stopper protruding from the coupling frame portion, the stroke adjusting bush comprising: a holder portion in which the cable is fixed and the concave / convex portion is formed so that the stopper is positionally adjustable; And a guide frame portion formed on an outer surface of the holder portion so as to surround the guide hole portion and pressing the engagement frame portion toward the holder portion.

상기 결합 프레임부에는 이탈방지홀부가 형성되고, 상기 홀더부 또는 상기 가이드 프레임부에는 상기 이탈방지홀부에 삽입되도록 이탈방지돌기부가 형성될 수 있다.A separation preventing hole is formed in the coupling frame part and a separation preventing protrusion may be formed in the holder part or the guide frame part to be inserted into the separation preventing hole part.

상기 결합 프레임부에서 상기 이탈방지홀부의 폭방향 양측에는 상기 이탈방지돌기부를 지지하도록 이탈방지리브가 형성될 수 있다.In the coupling frame portion, on both sides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separation preventing hole portion, a separation preventing rib may be formed to support the separation preventing projection.

상기 홀더부 또는 상기 가이드 프레임부에는 상기 결합 프레임부가 상기 가이드홀부에 삽입될 때에 상기 홀더부와 상기 가이드 프레임부의 간격을 증가시키도록 조립 돌기부가 형성되고, 상기 조립 돌기부는 상기 결합 프레임부의 삽입방향을 따라 테이퍼지게 형성될 수 있다.Wherein the holder portion or the guide frame portion is provided with an assembling protrusion portion for increasing a distance between the holder portion and the guide frame portion when the engaging frame portion is inserted into the guide hole portion, And may be formed to be tapered along.

상기 결합 프레임부에는 요철부가 형성되고, 상기 스트로크 조정 부시는, 상기 케이블이 고정되는 홀더부; 및 상기 홀더부의 외측면에 상기 가이드홀부를 둘러싸도록 형성되고, 상기 결합 프레임부를 상기 홀더부 측으로 가압하는 가이드 프레임부를 포함하고, 상기 홀더부 또는 상기 가이드 프레임부에는 상기 요철부에서 구속되는 위치에 따라 상기 스트로크 조정 부시의 위치가 조정되도록 이탈방지 스토퍼가 형성될 수 있다.A concave portion is formed in the coupling frame portion, the stroke adjusting bush includes a holder portion to which the cable is fixed; And a guide frame part which is formed on an outer side surface of the holder part so as to surround the guide hole part and presses the engagement frame part toward the holder part side, wherein the holder part or the guide frame part A release preventing stopper may be formed to adjust the position of the stroke adjusting bush.

상기 요철부는 상기 이탈방지 스토퍼의 양측을 지지하도록 상기 결합 프레임부에서 상기 이탈방지홀부의 내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The concave-convex portion may be formed to protrude inward of the separation preventing hole portion in the coupling frame portion to support both sides of the separation preventing stopper.

상기 홀더부 또는 상기 가이드 프레임부에는 상기 결합 프레임부가 상기 가이드홀부에 삽입될 때에 상기 홀더부와 상기 가이드 프레임부의 간격을 증가시키도록 조립 돌기부가 형성되고, 상기 조립 돌기부는 상기 결합 프레임부의 삽입방향을 따라 테이퍼지게 형성될 수 있다.Wherein the holder portion or the guide frame portion is provided with an assembling protrusion portion for increasing a distance between the holder portion and the guide frame portion when the engaging frame portion is inserted into the guide hole portion, And may be formed to be tapered along.

본 발명에 따르면, 스트로크 조정 부시가 결합 프레임부에 위치 조정 가능하게 결합되므로, 케이블의 스트로크 검사시 조립 공차가 발생되더라도 스트로크 조정 부시의 위치를 조정하여 케이블의 스트로크를 다시 조정할 수 있다. 따라서, 도어 래치 장치의 조립 공정이 단순화되고, 조립 시간이 단축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stroke adjusting bush is positionally adjustably coupled to the engaging frame portion, even if an assembling tolerance is generated in the stroke inspection of the cable, the stroke of the cable can be adjusted by adjusting the position of the stroke adjusting bush. Therefore, the assembly process of the door latch device is simplified, and the assembly time can be shortened.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이탈방지돌기부가 결합 프레임부의 이탈방지홀부에 삽입되므로, 이탈방지돌기부가 결합 프레임부에 걸려 빠지지 않게 된다. 따라서, 스트로크 조정 부시가 결합 프레임부에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Furth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separation preventing protrusion is inserted into the separation preventing hole of the coupling frame part, the separation preventing protrusion is not caught by the coupling frame part. Therefore,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stroke adjusting bush from separating from the engagement frame portion.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도어 래치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도어 래치 장치의 고정 브라켓과 스트로크 조정 부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도어 래치 장치의 고정 브라켓과 스트로크 조정 부시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도어 래치 장치의 고정 브라켓과 스트로크 조정 부시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도어 래치 장치의 스트로크 조정 부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도어 래치 장치의 스트로크 조정 부시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도어 래치 장치의 스트로크 조정 부시가 일측으로 1 피치 이동된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도어 래치 장치의 스트로크 조정 부시가 타측으로 1 피치 이동된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도어 래치 장치의 고정 브라켓과 스트로크 조정 부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도어 래치 장치의 고정 브라켓과 스트로크 조정 부시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도어 래치 장치의 스트로크 조정 부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2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도어 래치 장치의 스트로크 조정 부시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도어 래치 장치에서 스트로크 조정 부시의 이탈방지 스토퍼가 요철부의 중심부에 위치된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도어 래치 장치에서 스트로크 조정 부시의 이탈방지 스토퍼가 요철부의 중심부에서 일측으로 이동된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도어 래치 장치에서 스트로크 조정 부시의 이탈방지 스토퍼가 요철부의 중심부에서 타측으로 이동된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door latch devic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fixing bracket and a stroke adjusting bush of the door latch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fixing bracket and a stroke adjusting bush of the door latch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front view showing a fixing bracket and a stroke adjusting bush of the door latch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roke adjusting bush of the door latch apparatus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front view showing a stroke adjusting bush of the door latch apparatus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front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stroke adjusting bush of the door latch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hifted one pitch by one pitch.
8 is a front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stroke adjusting bush of the door latch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hifted by one pitch toward the other side.
9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fixing bracket and a stroke adjusting bush of a door latch devic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fixing bracket and a stroke adjusting bush of a door latch devic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roke adjusting bush of a door latch apparatus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 front view showing a stroke adjusting bush of a door latch devic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3 is a plan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departure prevention stopper of the stroke adjusting bush is located at the center of the concave-convex portion in the door latch devic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4 is a plan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departure prevention stopper of a stroke adjusting bush in a door latch devic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oved from a central portion of a concave / convex portion to one side.
15 is a plan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departure prevention stopper of a stroke adjusting bush in a door latch devic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oved from the center portion of the concavo-convex portion to the other side.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도어 래치 장치의 실시예들을 설명한다. 도어 래치 장치를 설명하는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a door latch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course of describing the door latch device, the thickness of the lines and the size of the components shown in the drawings may be exaggerated for clarity and convenience of explanation. In addition, the terms described below are defined in consideration of the func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may vary depending on the intention or custom of the user, the operator. Therefore, definitions of these terms should be made based on the contents 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도어 래치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도어 래치 장치의 고정 브라켓과 스트로크 조정 부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FIG. 1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door latch devic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fixing bracket and a stroke adjusting bush of the door latch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도어 래치 장치(100)는 고정 브라켓(120) 및 스트로크 조정 부시(130)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S. 1 and 2, the door latch device 10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xing bracket 120 and a stroke adjusting bush 130.

고정 브라켓(120)은 래치 바디(110)에 결합된다. 고정 브라켓(120)에는 결합 프레임부(123)가 형성된다. 고정 브라켓(120)은 래치 바디(110)에 결합되는 브라켓 바디(121)와, 브라켓 바디(121)의 둘레부에 형성되는 결합 프레임부(123)를 포함한다. 결합 프레임부(123)는 브라켓 바디(121)의 둘레부에서 일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고정 브라켓(120)은 금속성 패널로 제작될 수 있다.The fixing bracket 120 is coupled to the latch body 110. The fixing bracket 120 is formed with a coupling frame portion 123. The fixing bracket 120 includes a bracket body 121 coupled to the latch body 110 and a coupling frame part 123 formed at the periphery of the bracket body 121. [ The coupling frame part 123 is formed to protrude to one side from the periphery of the bracket body 121. The fixing bracket 120 may be made of a metallic panel.

스트로크 조정 부시(130)에는 케이블(115)이 고정되고, 결합 프레임부(123)에 위치 조정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가이드홀부(136)가 형성된다. 결합 프레임부(123)에는 돌출되게 형성되는 스토퍼(124)가 형성된다.A cable 115 is fixed to the stroke adjusting bush 130 and a guide hole 136 is formed to be positionally adjustably coupled to the engaging frame 123. A stopper 124 formed to protrude from the coupling frame part 123 is formed.

케이블(115)은 도어 래치 장치(100)의 외력 전달 레버(112)에 연결되고, 외력 전달 레버(112)는 복수의 레버(미도시)들과 연동되도록 설치된다. 케이블(115)의 와이어(117)가 당겨짐에 따라 외력 전달 레버(112)가 회전되고, 외력 전달 레버(112)가 회전됨에 따라 복수의 레버가 연동되어 스트라이크(미도시)의 구속을 해제한다. 외력 전달 레버(112)와 연동되는 복수의 레버는 다양한 구조로 서로 연결된다. 스트로크 조정 부시(130)가 결합 프레임부(123)에 위치 조정 가능하게 결합되므로, 케이블(115)의 스트로크 검사시 조립 공차가 발생되더라도 스트로크 조정 부시(130)의 위치를 조정하여 케이블(115)의 스트로크를 다시 조정할 수 있다. 따라서, 도어 래치 장치(100)의 조립 공정이 단순화되고, 조립 시간이 단축될 수 있다.The cable 115 is connected to the external force transmission lever 112 of the door latch device 100 and the external force transmission lever 112 is installed to be interlocked with a plurality of levers (not shown). As the wire 117 of the cable 115 is pulled, the external force transmission lever 112 is rotated. As the external force transmission lever 112 is rotated, a plurality of levers are interlocked to release the restraint of the strike (not shown). The plurality of levers interlocked with the external force transmission lever 112 are connected to each other in various structures. Since the stroke adjusting bush 130 is positionally adjustably coupled to the engaging frame portion 123, even if an assembling tolerance occurs during the stroke inspection of the cable 115, the position of the stroke adjusting bush 130 is adjusted, The stroke can be adjusted again. Therefore, the assembly process of the door latch device 100 is simplified, and the assembly time can be shortened.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도어 래치 장치의 고정 브라켓과 스트로크 조정 부시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도어 래치 장치의 고정 브라켓과 스트로크 조정 부시를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도어 래치 장치의 스트로크 조정 부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도어 래치 장치의 스트로크 조정 부시를 도시한 정면도이다.FIG.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fixing bracket and a stroke adjusting bush of the door latch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fixing bracket and the stroke adjustment of the door latch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roke adjusting bush of a door latch apparatus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perspective view of a stroke adjusting apparatus of a door latch apparatus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front view showing Bush.

도 3 내지 6을 참조하면, 스트로크 조정 부시(130)는 홀더부(131)와 가이드 프레임부(135)를 포함한다. 스트로크 조정 부시(130)는 합성수지를 사출 성형하여 제작할 수 있다. 3 to 6, the stroke adjusting bush 130 includes a holder 131 and a guide frame 135. The stroke adjusting bush 130 can be manufactured by injection molding a synthetic resin.

홀더부(131)에는 케이블(115)이 고정되고, 스토퍼(124)가 위치 조정되도록 요철부(132)가 형성된다. 요철부(132)는 복수의 걸림홈부(132a)와 복수의 걸림돌기부(132b)가 순차적으로 형성되는 구조를 갖는다. 예를 들면, 걸림홈부(132a)는 3개 형성되고, 걸림돌기부(132b)는 걸림홈부(132a) 사이에 형성된다. 걸림홈부(132a)는 대략 2mm 정도의 간격마다 형성된다.The cable portion 115 is fixed to the holder portion 131 and the concavo-convex portion 132 is formed so that the stopper 124 is positioned. The concave and convex portion 132 has a structure in which a plurality of engagement groove portions 132a and a plurality of engagement protrusions 132b are sequentially formed. For example, three locking groove portions 132a are formed, and the locking projection portion 132b is formed between the locking groove portions 132a. The engaging groove portions 132a are formed at intervals of about 2 mm.

홀더부(131)에는 케이블 외피(116)가 고정되고, 케이블 외피(116)의 내부에는 와이어(117)가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이때, 케이블 외피(116)는 인서트 사출 공법, 코킹 공법 등 다양한 공법에 의해 홀더부(131)에 고정될 수 있다. 케이블 외피(116)의 일측은 홀더부(131)에 의해 위치 고정된다. 와이어(117)의 일측은 외력 전달 레버(112)에 연결되고, 와이어(117)의 타측은 도어 핸들(미도시)에 연결된다.A cable enclosure 116 is fixed to the holder 131 and a wire 117 is movably installed inside the cable enclosure 116. [ At this time, the cable sheath 116 can be fixed to the holder 131 by various methods such as an insert injection method and a caulking method. One side of the cable jacket 116 is fixed by the holder 131. One side of the wire 117 is connected to the external force transmission lever 112 and the other side of the wire 117 is connected to a door handle (not shown).

가이드 프레임부(135)는 홀더부(131)의 외측면에 가이드홀부(136)를 둘러싸도록 형성되고, 결합 프레임부(123)를 홀더부(131) 측으로 가압한다. 결합 프레임부(123)의 스토퍼(124)가 요철부(132)의 걸림홈부(132a)에 삽입됨에 따라 걸림돌기부(132b)에 구속된다. 도어 래치 장치(100)의 최초 조립시에 결합 프레임부(123)의 스토퍼(124)는 중심부에 위치되는 걸림홈부(132a)에 삽입된다. The guide frame portion 135 is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holder portion 131 so as to surround the guide hole portion 136 and presses the coupling frame portion 123 toward the holder portion 131 side. The stopper 124 of the engaging frame portion 123 is restrained by the engaging protrusion 132b as it is inserted into the engaging groove 132a of the recess 132. [ The stopper 124 of the engaging frame portion 123 is inserted into the engaging groove portion 132a located at the center portion when the door latch device 100 is initially assembled.

스토퍼(124)가 요철부(132)에서 구속되는 위치에 따라 스트로크 조정 부시(130)의 위치가 조정되므로, 케이블(115)의 조립시 스트로크 조정 부시(130)의 위치를 조정하여 케이블(115)의 스트로크를 조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걸림홈부(132a)가 3개 설치되고, 걸림홈부(132a)의 간격이 2mm인 경우, 결합 프레임부(123)의 스토퍼(124)는 중심부의 걸림홈부(132a)에서 대략 ±2mm의 스트로크 조절이 가능하다. 따라서, 케이블(115)의 스트로크가 ±2mm 범위 내에서 조정될 수 있다.Since the position of the stroke adjusting bush 130 is adjusted according to the position where the stopper 124 is restrained by the concave and convex portion 132, the position of the stroke adjusting bush 130 is adjusted when the cable 115 is assembled, Can be adjusted. The stopper 124 of the engaging frame portion 123 is formed to be approximately ± 2 mm in the engaging groove portion 132a in the central portion when three engaging groove portions 132a are provided and the distance between the engaging groove portions 132a is 2 mm, Stroke adjustment is possible. Therefore, the stroke of the cable 115 can be adjusted within a range of 占 2 mm.

결합 프레임부(123)에는 이탈방지홀부(125)가 형성되고, 홀더부(131) 또는 가이드 프레임부(135)에는 이탈방지홀부(125)에 삽입되도록 이탈방지돌기부(137)가 형성된다. 이탈방지홀부(125)는 홀더부(131)의 길이방향을 따라 나란하게 형성되는 장공 형태로 형성된다. 이때, 이탈방지돌기부(137)는 브라켓 바디(121)의 둘레부와 결합 프레임부(123)에 의해 구속되도록 가이드 프레임부(135)에서 홀더부(131) 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또한, 이탈방지돌기부(137)는 홀더부(131)에서 가이드 프레임부(135) 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이탈방지돌기부(137)는 원형, 다각형 등 다양한 형태로 형성된다. 이탈방지돌기부(137)가 결합 프레임부(123)의 이탈방지홀부(125)에 삽입되므로, 이탈방지돌기부(137)가 결합 프레임부(123)에 걸려 빠지지 않게 된다. 따라서, 스트로크 조정 부시(130)가 결합 프레임부(123)에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e detachment preventing protrusion 137 is formed in the holder 131 or the guide frame 135 so as to be inserted into the detachment hole 125. [ The separation preventing hole portions 125 are formed in the shape of a long hole formed in parallel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holder portion 131. The detachment prevention protrusion 137 protrudes from the guide frame 135 to the holder 131 so as to be constrained by the circumference of the bracket body 121 and the engagement frame 123. In addition, the separation preventing protrusion 137 may be formed so as to protrude from the holder 131 to the guide frame 135 side. The separation preventing protrusion 137 is formed in various shapes such as a circular shape and a polygonal shape. The separation preventing protrusion 137 is inserted into the separation preventing hole 125 of the coupling frame part 123 so that the separation preventing protrusion 137 is not hooked to the coupling frame part 123. Therefore,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stroke adjusting bush 130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engaging frame portion 123.

이탈방지홀부(125)의 폭방향 양측에는 이탈방지돌기부(137)를 지지하도록 이탈방지리브(126)가 형성된다. 이탈방지리브(126)가 이탈방지돌기부(137)를 지지하므로, 이탈방지리브(126)가 이탈방지돌기부(137) 사이에서 유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On both sides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separation preventing hole portion 125, a separation preventing rib 126 is formed to support the separation preventing protrusion 137. Since the separation preventing rib 126 supports the separation preventing protrusion 137,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separation preventing rib 126 from being spaced apart from the separation preventing protrusion 137.

홀더부(131) 또는 가이드 프레임부(135)에는 결합 프레임부(123)가 가이드홀부(136)에 삽입될 때에 홀더부(131)와 가이드 프레임부(135)의 간격을 증가시키도록 조립 돌기부(138)가 형성된다. 조립 돌기부(138)의 양측은 결합 프레임부(123)의 삽입방향을 따라 테이퍼지게 형성된다. 조립 돌기부(138)의 높이(H1)는 이탈방지돌기부(137)의 높이(H2) 보다 높게 형성된다. When the engaging frame portion 123 is inserted into the guide hole portion 136, the assembly protrusion portion 135 or the guide frame portion 135 may be formed with a protrusion 138 are formed. Both sides of the assembling protruding portion 138 are formed to be tapered along the inserting direction of the engaging frame portion 123. The height H1 of the assembling protrusion 138 is formed to be higher than the height H2 of the separation preventing protrusion 137. [

조립 돌기부(138)가 결합 프레임부(123)의 삽입방향을 따라 테이퍼지게 형성되므로, 결합 프레임부(123)가 가이드홀부(136)의 내부로 삽입될 때에 조립 돌기부(138)가 가이드 프레임부(135)를 외측으로 밀어낸다. 이때, 가이드 프레임부(135)는 플랙시블한 합성수지 재질로 형성되므로, 가이드 프레임부(135)가 조립 돌기부(138)의 가압력에 의해 외측으로 밀려남에 따라 홀더부(131)와 가이드 프레임부(135) 사이의 간격이 증가된다. 따라서, 이탈방지돌기부(137)가 결합 프레임부(123)에 걸리지 않고 이탈방지홀부(125)에 원활하게 삽입될 수 있다.When the engaging frame portion 123 is inserted into the guide hole portion 136, the assembling protrusion portion 138 is tapered along the inserting direction of the engaging frame portion 123, 135 to the outside. Since the guide frame part 135 is formed of a flexible synthetic resin material and the guide frame part 135 is pushed outward by the urging force of the assembling protrusion part 138, the holder part 131 and the guide frame part 135 Is increased. Therefore, the separation preventing protrusion 137 can be smoothly inserted into the separation preventing hole 125 without being caught by the coupling frame part 123.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도어 래치 장치의 조립 공정 및 작동에 관해 설명하기로 한다.The assembling process and operation of the door latch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도어 래치 장치의 스트로크 조정 부시가 일측으로 1 피치 이동된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도어 래치 장치의 스트로크 조정 부시가 타측으로 1 피치 이동된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다.FIG. 7 is a front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stroke adjusting bush of the door latch apparatus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hifted by one pitch to one side, and FIG. 8 is a front view of the stroke adjusting bush of the door latch apparatus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front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adjustment bush is moved by one pitch toward the other side.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고정 브라켓(120)이 래치 바디(110)에 결합된 후 고정 브라켓(120)의 결합 프레임부(123)에 스트로크 조정 부시(130)가 결합된다. 이때, 스트로크 조정 부시(130)의 가이드홀부(136)에 고정 브라켓(120)이 삽입되면, 가이드 프레임부(135)의 조립 돌기부(138)가 결합 프레임부(123)에 밀착된다. 조립 돌기부(138)가 가이드 프레임부(135)를 외측으로 밀어내므로, 가이드 프레임부(135)가 홀더부(131)에서 멀어지도록 변형된다. 조립 돌기부(138)의 가압력에 의해 가이드 프레임부(135)와 홀더부(131) 사이의 간격이 증가되므로, 이탈방지돌기부(137)가 결합 프레임부(123)에 걸리지 않고 이탈방지홀부(125)에 원활하게 삽입된다. 이때, 이탈방지돌기부(137)는 결합 프레임부(123)의 이탈방지리브(126)에 의해 구속되어 스트로크 조정 부시(130)가 결합 프레임부(123)에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한다.7 and 8, after the stationary bracket 120 is coupled to the latch body 110, the stroke adjusting bush 130 is coupled to the engaging frame portion 123 of the stationary bracket 120. At this time, when the fixing bracket 120 is inserted into the guide hole 136 of the stroke adjusting bush 130, the assembling protrusion 138 of the guide frame 135 is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engaging frame 123. The guide protrusion part 138 pushes the guide frame part 135 outward so that the guide frame part 135 is deformed away from the holder part 131. [ The gap between the guide frame portion 135 and the holder portion 131 is increased by the urging force of the assembling protrusion 138 so that the escape preventing protrusion 137 is not caught by the engaging frame portion 123, As shown in FIG. At this time, the separation preventing protrusion 137 is restrained by the separation preventing rib 126 of the coupling frame part 123 to prevent the stroke adjusting bush 130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coupling frame part 123.

또한, 결합 프레임부(123)의 스토퍼(124)가 홀더부(131)의 요철부(132)에 구속된다. 이때, 스토퍼(124)가 요철부(132)의 중심부에 위치되는 걸림홈부(132a)에 삽입된다. 스토퍼(124)가 중심부에 위치하지 않은 걸림홈부(132a)에 삽입되는 경우, 스트로크 조정 부시(130)를 가압하여 스토퍼(124)가 중심부의 걸림홈부(132a)에 삽입되도록 조정한다.The stopper 124 of the engaging frame portion 123 is restrained by the concave-convex portion 132 of the holder portion 131. Further, At this time, the stopper 124 is inserted into the latching groove portion 132a located at the center of the concavo-convex portion 132. [ When the stopper 124 is inserted into the locking groove portion 132a which is not located at the center, the stroke adjusting bush 130 is pressed so that the stopper 124 is inserted into the locking groove portion 132a at the central portion.

고정 브라켓(120)에 스트로크 조정 부시(130)가 조립된 후 케이블(115)이 도어에 조립된다. 케이블(115)의 조립 공차는 대략 ±1.5mm 범위 내에서 발생될 수 있다. After the stroke adjusting bush 130 is assembled to the fixing bracket 120, the cable 115 is assembled to the door. The assembly tolerance of the cable 115 can be generated within a range of approximately +/- 1.5 mm.

케이블(115)의 조립이 완료된 후 케이블(115)의 스트로크 검사가 실시된다. 케이블(115)의 스트로크가 설계 범위를 벗어나 불량으로 판정되면, 스트로크 조정 부시(130)의 위치를 조정하여 케이블(115)의 스트로크를 조정할 수 있다. 케이블(115)의 조립시 케이블(115)의 스트로크가 현장에서 조절되므로, 도어 래치 장치(100)의 조립 시간이 단축될 수 있다.After assembly of the cable 115 is completed, stroke inspection of the cable 115 is performed.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stroke of the cable 115 is out of the design range and is defective, the stroke of the cable 115 can be adjusted by adjusting the position of the stroke adjusting bush 130. Since the stroke of the cable 115 is adjusted in the field when the cable 115 is assembled, the assembly time of the door latch device 100 can be shortened.

이러한 케이블(115)의 스트로크 조절에 관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The stroke control of the cable 115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s follows.

케이블(115) 조립시 케이블(115)의 스트로크가 짧게 조립된 경우, 도어 핸들이 약간만 조작되더라도 도어가 개방된다. 이처럼, 케이블(115)의 스트로크가 짧게 조립된 것으로 판정되면, 스트로크 조정 부시(130)를 외력 전달 레버(112)의 반대측으로 이동시킨다. 이때, 결합 프레임부(123)의 스토퍼(124)는 걸림돌기부(132b)를 넘어 중심부에 위치된 걸림홈부(132a)에서 일측의 걸림홈부(132a)로 이동된다. 따라서, 케이블 외피(116)가 외력 전달 레버(112)의 반대측으로 대략 2mm 정도 이동됨에 따라 케이블(115)의 스트로크가 상대적으로 길게 조정된다.When the stroke of the cable 115 is shortened when the cable 115 is assembled, the door is opened even if the door handle is slightly manipulated. When the stroke of the cable 115 is determined to be short, the stroke adjusting bush 130 is moved to the opposite side of the external force transmitting lever 112. [ At this time, the stopper 124 of the engaging frame portion 123 is moved from the engaging groove portion 132a located at the center beyond the engaging projection 132b to the engaging groove portion 132a at one side. Therefore, the stroke of the cable 115 is adjusted to be relatively long as the cable sheath 116 is moved approximately 2 mm to the opposite side of the external force transmitting lever 112. [

반면, 케이블(115) 조립시 케이블(115)의 스트로크가 길게 조립된 경우, 도어 핸들을 과도하게 조작해야만 도어가 개방된다. 케이블(115)의 스트로크가 길게 조립된 것으로 판정되면, 스트로크 조정 부시(130)를 외력 전달 레버(112) 측으로 이동시킨다. 이때, 스토퍼(124)는 걸림돌기부(132b)를 넘어 중심부에 위치된 걸림홈부(132a)에서 타측의 걸림홈부(132b)로 이동된다. 따라서, 케이블 외피(116)가 외력 전달 레버(112) 측으로 대략 2mm 정도 이동됨에 따라 케이블(115)의 스트로크가 상대적으로 짧게 조정된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cable 115 is assembled with a long stroke of the cable 115, the door is opened only when the door handle is excessively operated.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stroke of the cable 115 is long, the stroke adjusting bush 130 is moved toward the external force transmitting lever 112 side. At this time, the stopper 124 is moved from the engagement groove portion 132a located at the center beyond the engagement projection 132b to the engagement groove portion 132b at the other side. Therefore, the stroke of the cable 115 is adjusted to be relatively short as the cable sheath 116 is moved by about 2 mm toward the external force transmitting lever 112 side.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도어 래치 장치에 관해 설명하기로 한다.Next, a door latch devic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도어 래치 장치의 고정 브라켓과 스트로크 조정 부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도어 래치 장치의 고정 브라켓과 스트로크 조정 부시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도어 래치 장치의 스트로크 조정 부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2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도어 래치 장치의 스트로크 조정 부시를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1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도어 래치 장치에서 스트로크 조정 부시의 이탈방지 스토퍼가 요철부의 중심부에 위치된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다.FIG. 9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fixing bracket and a stroke adjusting bush of a door latch devic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0 is a perspective view of a fixing bracket and a stroke adjusting bush of a door latch devic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1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roke adjusting bush of a door latch apparatus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2 is a perspective view of a stroke adjusting bush of the door latch apparatus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3 is a plan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departure prevention stopper of the stroke adjusting bush is located at the center of the concave-convex portion in the door latch devic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 내지 도 1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도어 래치 장치(200)는 고정 브라켓(220) 및 스트로크 조정 부시(230)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S. 9 to 13, the door latch device 200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xing bracket 220 and a stroke adjusting bush 230.

고정 브라켓(220)은 래치 바디(110: 도 1 참조)에 결합된다. 고정 브라켓(220)에는 결합 프레임부(223)가 형성된다. 고정 브라켓(220)은 래치 바디(110)에 결합되는 브라켓 바디(221)와, 브라켓 바디(221)의 둘레부에 형성되는 결합 프레임부(223)를 포함한다. 결합 프레임부(223)는 브라켓 바디(221)의 둘레부에서 일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고정 브라켓(220)은 금속성 패널로 제작될 수 있다.The fixing bracket 220 is coupled to the latch body 110 (see FIG. 1). The fixing bracket 220 is formed with a coupling frame portion 223. The fixing bracket 220 includes a bracket body 221 coupled to the latch body 110 and a coupling frame portion 223 formed at the periphery of the bracket body 221. The coupling frame portion 223 is formed to protrude to one side from the periphery of the bracket body 221. The fixing bracket 220 may be made of a metallic panel.

결합 프레임부(223)에는 요철부(226)가 형성된다. 요철부(226)는 복수의 걸림홈부(226a)와 복수의 걸림돌기부(226b)가 순차적으로 형성되는 구조를 갖는다. 예를 들면, 걸림홈부(226a)는 3개 형성되고, 걸림돌기부(226b)는 걸림홈부(226a) 사이에 형성된다. 걸림홈부(226a)는 대략 2mm 정도의 간격마다 형성된다.The concave / convex portion 226 is formed on the coupling frame portion 223. The concave and convex portion 226 has a structure in which a plurality of engagement groove portions 226a and a plurality of engagement protrusions 226b are sequentially formed. For example, three locking groove portions 226a are formed, and the locking projection portions 226b are formed between the locking groove portions 226a. The engaging groove portions 226a are formed at intervals of about 2 mm.

요철부(226)는 이탈방지 스토퍼(237)의 양측을 지지하도록 이탈방지홀부(225)의 내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요철부(226)가 이탈방지 스토퍼(237)의 양측을 지지하므로, 이탈방지 스토퍼(237)가 결합 프레임부(223)에 걸려 빠지지 않게 된다. 따라서, 스트로크 조정 부시(230)가 결합 프레임부(223)에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e recessed / protruding portion 226 is formed so as to protrude inward of the release preventing hole portion 225 so as to support both sides of the release preventing stopper 237. Since the recessed / protruding portion 226 supports both sides of the escape preventing stopper 237, the escape preventing stopper 237 is not caught by the engaging frame portion 223 and does not come off. Therefore,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stroke adjusting bush 230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engaging frame portion 223.

스트로크 조정 부시(230)에는 케이블(215)이 고정되고, 결합 프레임부(223)에 위치 조정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가이드홀부(236)가 형성된다. 케이블(215)은 도어 래치 장치(100: 도 1 참조)의 외력 전달 레버(112: 도 1 참조)에 연결되고, 외력 전달 레버(112)는 복수의 레버들(미도시)과 연동되도록 설치된다. 케이블(215)의 와이어(217)가 당겨짐에 따라 외력 전달 레버(112)가 회전되고, 외력 전달 레버(112)가 회전됨에 따라 복수의 레버가 연동되어 스트라이크(미도시)의 구속을 해제한다. 외력 전달 레버(112)와 연동되는 복수의 레버는 다양한 구조로 서로 연결된다. 스트로크 조정 부시(230)가 결합 프레임부(223)에 위치 조정 가능하게 결합되므로, 케이블(215)의 스트로크 검사시 조립 공차가 발생되더라도 스트로크 조정 부시(230)의 위치를 조정하여 케이블(215)의 스트로크를 다시 조절할 수 있다. 따라서, 도어 래치 장치(100)의 조립 공정이 단순화되고, 조립 시간이 단축될 수 있다.A cable 215 is fixed to the stroke adjusting bushing 230 and a guide hole 236 is formed to be positionally adjustably coupled to the engaging frame portion 223. The cable 215 is connected to the external force transmission lever 112 (see FIG. 1) of the door latch device 100 (see FIG. 1), and the external force transmission lever 112 is installed to interlock with a plurality of levers . As the wire 217 of the cable 215 is pulled, the external force transmission lever 112 is rotated. As the external force transmission lever 112 is rotated, a plurality of levers are interlocked to release the restraint of the strike (not shown). The plurality of levers interlocked with the external force transmission lever 112 are connected to each other in various structures. Since the stroke adjusting bush 230 is positionally adjustably coupled to the engaging frame portion 223, even if an assembling tolerance occurs during the stroke inspection of the cable 215, the position of the stroke adjusting bushing 230 is adjusted, The stroke can be adjusted again. Therefore, the assembly process of the door latch device 100 is simplified, and the assembly time can be shortened.

스트로크 조정 부시(230)는 홀더부(231)와 가이드 프레임부(235)를 포함한다. 스트로크 조정 부시(230)는 합성수지를 사출 성형하여 제작할 수 있다. The stroke adjusting bushing 230 includes a holder portion 231 and a guide frame portion 235. The stroke adjusting bush 230 can be manufactured by injection molding synthetic resin.

홀더부(231)에는 케이블(215)이 고정된다. 홀더부(231)에는 케이블 외피(216)가 고정되고, 케이블 외피(216)의 내부에는 와이어(217)가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케이블 외피(216)는 인서트 사출 공법, 코킹 공법 등 다양한 공법에 의해 홀더부(231)에 고정될 수 있다. 케이블 외피(216)의 일측은 홀더부(231)에 의해 위치 고정된다. 와이어(217)의 일측은 외력 전달 레버(112: 도 1 참조)에 연결되고, 와이어(217)의 타측은 도어 핸들(미도시)에 연결된다.A cable 215 is fixed to the holder portion 231. A cable enclosure 216 is fixed to the holder portion 231 and a wire 217 is movably installed inside the cable enclosure 216. The cable sheath 216 may be fixed to the holder portion 231 by various methods such as an insert injection method and a caulking method. One side of the cable mantle 216 is fixed by the holder portion 231. One side of the wire 217 is connected to the external force transmission lever 112 (see Fig. 1), and the other side of the wire 217 is connected to the door handle (not shown).

가이드 프레임부(235)는 홀더부(231)의 외측면에 가이드홀부(236)를 둘러싸도록 형성되고, 결합 프레임부(223)를 홀더부(231) 측으로 가압한다. 홀더부(231) 또는 가이드 프레임부(235)에는 요철부(226)에서 구속되는 위치에 따라 스트로크 조정 부시(230)의 위치가 조정되도록 이탈방지 스토퍼(237)가 형성된다. 이탈방지 스토퍼(237)는 요철부(226)의 걸림홈부(226a)에 삽입됨에 따라 걸림돌기부(226b)에 걸리게 된다. 도어 래치 장치(100: 도 1 참조)의 최초 조립시에 이탈방지 스토퍼(237)는 중심부에 위치되는 걸림홈부(226a)에 삽입된다.The guide frame portion 235 is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holder portion 231 so as to surround the guide hole portion 236 and presses the coupling frame portion 223 toward the holder portion 231 side. A release preventing stopper 237 is formed on the holder portion 231 or the guide frame portion 235 to adjust the position of the stroke adjusting bush 230 according to the position confined by the concave and convex portion 226. The release preventing stopper 237 is caught by the latching protrusion 226b as it is inserted into the latching groove 226a of the recessed portion 226. [ At the time of initial assembly of the door latch device 100 (see FIG. 1), the escape prevention stopper 237 is inserted into the latching groove portion 226a positioned at the center portion.

이탈방지 스토퍼(237)가 요철부(226)에서 구속되는 위치에 따라 스트로크 조정 부시(230)의 위치가 조정되므로, 케이블(215)의 조립시 스트로크 조정 부시(230)의 위치를 조정하여 케이블(215)의 스트로크를 조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걸림홈부(226a)가 3개 설치되고, 걸림홈부(226a)의 간격이 2mm인 경우, 이탈방지 스토퍼(237)는 중심부의 걸림홈부(226a)에서 대략 ±2mm의 스트로크 조절이 가능하다. 따라서, 케이블(215)의 스트로크가 ±2mm 범위 내에서 조정될 수 있다.Since the position of the stroke adjusting bushing 230 is adjusted according to the position where the escape preventing stopper 237 is restrained by the recessed portion 226, the position of the stroke adjusting bushing 230 is adjusted when the cable 215 is assembled, 215 can be adjusted. For example, when three locking grooves 226a are provided and the interval between the locking grooves 226a is 2 mm, the releasing prevention stopper 237 can adjust the stroke of approximately ± 2 mm in the locking groove portion 226a at the center Do. Therefore, the stroke of the cable 215 can be adjusted within a range of 占 2 mm.

이탈방지 스토퍼(237)는 가이드 프레임부(235)에서 홀더부(231) 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거나 홀더부(231)에서 가이드 프레임부(235) 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또한, 이탈방지 스토퍼(237)는 원형, 다각형 등 다양한 형태로 형성된다.The escape prevention stopper 237 is formed to protrude from the guide frame part 235 toward the holder part 231 or protrude from the holder part 231 toward the guide frame part 235. The release prevention stopper 237 is formed in various shapes such as a circular shape and a polygonal shape.

결합 프레임부(223)에는 이탈방지홀부(225)가 형성된다. 이탈방지홀부(225)는 홀더부(131)의 길이방향을 따라 나란하게 형성되는 장공 형태로 형성된다. A separation preventing hole 225 is formed in the coupling frame part 223. The separation preventing holes 225 are formed in the shape of a long hole formed in parallel with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holder 131.

홀더부(231) 또는 가이드 프레임부(235)에는 결합 프레임부(223)가 가이드홀부(236)에 삽입될 때에 홀더부(231)와 가이드 프레임부(235)의 간격을 증가시키도록 조립 돌기부(238)가 형성된다. 조립 돌기부(238)의 양측은 결합 프레임부(223)의 삽입방향을 따라 테이퍼지게 형성된다. 조립 돌기부(238)의 높이(H1)는 이탈방지 스토퍼(237)의 높이(H2) 보다 높게 형성된다. When the engaging frame portion 223 is inserted into the guide hole portion 236 in the holder portion 231 or the guide frame portion 235, the distance between the holder portion 231 and the guide frame portion 235 is increased, 238 are formed. Both sides of the assembling protrusion 238 are tapered along the inserting direction of the engaging frame portion 223. The height H1 of the assembling protrusion 238 is formed to be higher than the height H2 of the escape preventing stopper 237. [

조립 돌기부(238)가 결합 프레임부(223)의 삽입방향을 따라 테이퍼지게 형성되므로, 결합 프레임부(223)가 가이드홀부(236)의 내부로 삽입됨에 따라 조립 돌기부(238)가 가이드 프레임부(235)를 밀어내게 된다. 이때, 가이드 프레임부(235)는 플랙시블한 합성수지 재질로 형성되므로, 가이드 프레임부(235)가 조립 돌기부(238)의 가압력에 의해 외측으로 밀려남에 따라 홀더부(231)와 가이드 프레임부(235) 사이의 간격이 증가된다. 따라서, 이탈방지 스토퍼(237)가 결합 프레임부(223)에 걸리지 않고 요철부(226)에 원활하게 삽입될 수 있다.The assembling protrusion 238 is tapered along the inserting direction of the engaging frame 223. As the engaging frame 223 is inserted into the guide hole 236, 235). Since the guide frame part 235 is formed of a flexible synthetic resin material and the guide frame part 235 is pushed outward by the urging force of the assembling protrusion part 238, the holder part 231 and the guide frame part 235 Is increased. Therefore, the separation preventing stopper 237 can be smoothly inserted into the concave / convex portion 226 without being caught by the engagement frame portion 223.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도어 래치 장치의 조립 공정 및 작동에 관해 설명하기로 한다.The assembling process and operation of the door latch devic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도 1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도어 래치 장치에서 스트로크 조정 부시의 이탈방지 스토퍼가 요철부의 중심부에서 일측으로 이동된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1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도어 래치 장치에서 스트로크 조정 부시의 이탈방지 스토퍼가 요철부의 중심부에서 타측으로 이동된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다.Fig. 14 is a plan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departure prevention stopper of the stroke adjusting bush in the door latch devic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oved from the central portion of the concavo-convex portion to one side, and Fig. Fig. 7 is a plan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departure prevention stopper of the stroke adjusting bush is moved from the central portion of the concave / convex portion to the other side in the door latch apparatus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도 14 및 도 15를 참조하면, 고정 브라켓(220)이 래치 바디(110: 도 1 참조)에 결합된 후 고정 브라켓(220)의 결합 프레임부(223)에 스트로크 조정 부시(230)가 결합된다. 이때, 스트로크 조정 부시(230)의 가이드홀부(236)에 고정 브라켓(220)이 삽입되면, 가이드 프레임부(235)의 조립 돌기부(238)가 결합 프레임부(223)에 밀착된다. 조립 돌기부(238)가 가이드 프레임부(235)를 외측으로 밀어내므로, 가이드 프레임부(235)가 홀더부(231)에서 멀어지도록 변형된다. 조립 돌기부(238)의 가압력에 의해 가이드 프레임부(235)와 홀더부(231) 사이의 간격이 증가되므로, 이탈방지 스토퍼(237)가 결합 프레임부(223)에 걸리지 않고 요철부(226) 원활하게 삽입된다. 이때, 이탈방지 스토퍼(237)는 결합 프레임부(223)의 요철부(226)에 의해 구속되어 스트로크 조정 부시(230)가 결합 프레임부(223)에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한다.14 and 15, after the fixing bracket 220 is coupled to the latch body 110 (see FIG. 1), the stroke adjusting bush 230 is coupled to the fitting frame portion 223 of the fixing bracket 220 . At this time, when the fixing bracket 220 is inserted into the guide hole portion 236 of the stroke adjusting bush 230, the assembling protrusion 238 of the guide frame portion 235 is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engaging frame portion 223. The assembly projecting portion 238 pushes the guide frame portion 235 outward so that the guide frame portion 235 is deformed away from the holder portion 231. [ The gap between the guide frame portion 235 and the holder portion 231 is increased by the urging force of the assembling protruding portion 238 so that the escape preventing stopper 237 is not caught by the engaging frame portion 223, . At this time, the release preventing stopper 237 is restrained by the protrusions 226 of the engagement frame portion 223 to prevent the stroke regulating bush 230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engagement frame portion 223.

이때, 이탈방지 스토퍼(237)가 요철부(226)의 중심부에 위치되는 걸림홈부(226a)에 삽입된다. 이탈방지 스토퍼(237)가 중심부에 위치하지 않은 걸림홈부(226a)에 삽입되는 경우, 스트로크 조정 부시(230)를 가압하여 이탈방지 스토퍼(237)가 중심부의 걸림홈부(226a)에 삽입되도록 조정한다.At this time, the release preventing stopper 237 is inserted into the engagement groove portion 226a positioned at the center of the concave / convex portion 226. [ When the escape prevention stopper 237 is inserted into the engagement groove portion 226a which is not positioned at the center portion, the stroke adjustment bush 230 is pressed so that the escape prevention stopper 237 is inserted into the engagement groove portion 226a at the central portion .

고정 브라켓(220)에 스트로크 조정 부시(230)가 조립된 후 케이블(215)이 도어에 조립된다. 케이블(215)의 조립 공차는 대략 ±1.5mm 범위 내에서 발생된다. After the stroke adjusting bush 230 is assembled to the fixing bracket 220, the cable 215 is assembled to the door. The assembly tolerance of the cable 215 is generated within a range of approximately 占 1.5 mm.

케이블(215)의 조립이 완료된 후 케이블(215)의 스트로크 검사가 실시된다. 케이블(215)의 스트로크가 설계 범위를 벗어나 불량으로 판정되면, 스트로크 조정 부시(230)의 위치를 조정하여 케이블(215)의 스트로크를 조정할 수 있다. 케이블(215)의 조립시 케이블(215)의 스트로크가 현장에서 조절되므로, 도어 래치 장치(100)의 조립 시간이 단축될 수 있다.After assembly of the cable 215 is completed, stroke inspection of the cable 215 is performed.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stroke of the cable 215 is out of the design range and is defective, the stroke of the cable 215 can be adjusted by adjusting the position of the stroke adjusting bushing 230. Since the stroke of the cable 215 is adjusted in the field when the cable 215 is assembled, the assembly time of the door latch device 100 can be shortened.

이러한 케이블(115)의 스트로크 조절에 관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The stroke control of the cable 115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s follows.

케이블(215) 조립시 케이블(215)의 스트로크가 짧게 조립된 경우, 도어 핸들이 약간만 조작되더라도 도어가 개방된다. 이처럼 케이블(215)의 스트로크가 짧게 조립된 것으로 판정되면, 스트로크 조정 부시(230)를 외력 전달 레버(112: 도 1 참조)의 반대측으로 이동시킨다. 이때, 이탈방지 스토퍼(237)는 걸림돌기부(226b)를 넘어 중심부에 위치된 걸림홈부(226a)에서 일측의 걸림홈부(226a)로 이동된다. 따라서, 케이블 외피(216)가 외력 전달 레버(112)의 반대측으로 대략 2mm 정도 이동됨에 따라 케이블(215)의 스트로크가 상대적으로 길게 조정된다.When the stroke of the cable 215 is shortened when the cable 215 is assembled, the door is opened even if the door handle is slightly manipulated.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stroke of the cable 215 is short assembled, the stroke adjusting bush 230 is moved to the opposite side of the external force transmitting lever 112 (see Fig. 1). At this time, the departure prevention stopper 237 is moved from the engagement groove portion 226a located at the center beyond the engagement projection 226b to the engagement groove portion 226a at one side. Therefore, the stroke of the cable 215 is adjusted to be relatively long as the cable sheath 216 is moved approximately 2 mm to the opposite side of the external force transmitting lever 112. [

반면, 케이블(215) 조립시 케이블(215)의 스트로크가 길게 조립된 경우, 도어 핸들을 과도하게 조작해야만 도어가 개방된다. 이처럼 케이블(215)의 스트로크가 길게 조립된 것으로 판정되면, 스트로크 조정 부시(230)를 외력 전달 레버(112) 측으로 이동시킨다. 이때, 이탈방지 스토퍼(237)는 걸림돌기부(226b)를 넘어 중심부에 위치된 걸림홈부(226a)에서 타측의 걸림홈부(226a)로 이동된다. 따라서, 케이블 외피(216)가 외력 전달 레버(112) 측으로 대략 2mm 정도 이동됨에 따라 케이블(215)의 스트로크가 상대적으로 짧게 조정된다.On the other hand, if the stroke of the cable 215 is long when the cable 215 is assembled, the door is opened only when the door handle is excessively operated.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stroke of the cable 215 is long, the stroke adjusting bush 230 is moved to the external force transmitting lever 112 side. At this time, the departure prevention stopper 237 is moved from the engagement groove portion 226a located at the center beyond the engagement projection 226b to the engagement groove portion 226a at the other side. Therefore, the stroke of the cable 215 is adjusted to be relatively short as the cable sheath 216 is moved by approximately 2 mm toward the external force transmitting lever 112 side.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I will understand.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Accordingly, the tru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fined by the claims.

100: 도어 래치 장치 110: 래치 바디
112: 외력 전달 레버 115: 케이블
120: 고정 브라켓 121: 브라켓 바디
123: 결합 프레임부 124: 스토퍼
125: 이탈방지홀부 126: 이탈방지리브
130: 스트로크 조정 부시 131: 홀더부
132: 요철부 135: 가이드 프레임부
136: 가이드홀부 137: 이탈방지돌기부
138: 조립 돌기부 215: 케이블
220: 고정 브라켓 221: 브라켓 바디
223: 결합 프레임부 225: 이탈방지홀부
226: 요철부 126a: 걸림홈부
226b: 걸림돌기부 230: 스트로크 조정 부시
231: 홀더부 235: 가이드 프레임부
236: 가이드홀부 237: 이탈방지 스토퍼
238: 조립 돌기부
100: door latch device 110: latch body
112: external force transmission lever 115: cable
120: Fixing bracket 121: Bracket body
123: engaging frame portion 124: stopper
125: separation preventing hole portion 126:
130: Stroke adjustment bush 131:
132: concave / convex portion 135: guide frame portion
136: guide hole portion 137:
138: Assembly projecting part 215: Cable
220: Fixing bracket 221: Bracket body
223: coupling frame part 225:
226: concave / convex portion 126a:
226b: a stopping protrusion 230: a stroke adjusting bush
231: holder part 235: guide frame part
236: guide hole portion 237:
238: Assembly projection

Claims (8)

래치 바디에 결합되고, 결합 프레임부가 형성되는 고정 브라켓; 및
케이블이 고정되고, 상기 결합 프레임부에 위치 조정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가이드홀부가 형성되는 스트로크 조정 부시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 프레임부에는 스토퍼가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스트로크 조정 부시는,
상기 케이블이 고정되고, 상기 스토퍼가 위치 조정 가능하게 구속되도록 요철부가 형성되는 홀더부; 및
상기 홀더부의 외측면에 상기 가이드홀부를 둘러싸도록 형성되고, 상기 결합 프레임부를 상기 홀더부 측으로 가압하는 가이드 프레임부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 프레임부에는 이탈방지홀부가 형성되고,
상기 홀더부 또는 상기 가이드 프레임부에는 상기 이탈방지홀부에 삽입되도록 이탈방지돌기부가 형성되며,
상기 홀더부 또는 상기 가이드 프레임부에는 상기 결합 프레임부가 상기 가이드홀부에 삽입될 때에 상기 홀더부와 상기 가이드 프레임부의 간격을 증가시키도록 조립 돌기부가 형성되고,
상기 조립 돌기부는 상기 결합 프레임부의 삽입방향을 따라 테이퍼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래치 장치.
A fixing bracket coupled to the latch body and having a coupling frame portion; And
And a stroke adjusting bush having a cable fixed and formed with a guide hole to be positionally adjustably coupled to the coupling frame,
A stopper protruding from the coupling frame portion,
Wherein the stroke adjusting bush comprises:
A holder portion in which the cable is fixed and the concave / convex portion is formed so that the stopper is positionally adjustable; And
And a guide frame portion formed on an outer side surface of the holder portion so as to surround the guide hole portion and pressing the engagement frame portion toward the holder portion,
The engagement frame portion is provided with a separation preventing hole portion,
The holder portion or the guide frame portion is provided with a detachment protrusion to be inserted into the detachment-
Wherein the holder portion or the guide frame portion is provided with an assembling protrusion portion for increasing a distance between the holder portion and the guide frame portion when the engaging frame portion is inserted into the guide hole portion,
Wherein the assembling protruding portion is formed to be tapered along the inserting direction of the engaging frame portion.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 프레임부에서 상기 이탈방지홀부의 폭방향 양측에는 상기 이탈방지돌기부를 지지하도록 이탈방지리브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래치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 release preventing rib is formed on both sides of the engagement frame portion in a width direction of the release preventing hole so as to support the release preventing protrusion.
삭제delete 래치 바디에 결합되고, 결합 프레임부가 형성되는 고정 브라켓; 및
케이블이 고정되고, 상기 결합 프레임부에 위치 조정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가이드홀부가 형성되는 스트로크 조정 부시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 프레임부에는 요철부가 형성되고,
상기 스트로크 조정 부시는,
상기 케이블이 고정되는 홀더부; 및
상기 홀더부의 외측면에 상기 가이드홀부를 둘러싸도록 형성되고, 상기 결합 프레임부를 상기 홀더부 측으로 가압하는 가이드 프레임부를 포함하고,
상기 홀더부 또는 상기 가이드 프레임부에는 상기 요철부에서 구속되는 위치에 따라 상기 스트로크 조정 부시의 위치가 조정되도록 이탈방지 스토퍼가 형성되고,
상기 요철부는 상기 이탈방지 스토퍼의 양측을 지지하도록 상기 결합 프레임부에 형성된 이탈방지홀부의 내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며,
상기 홀더부 또는 상기 가이드 프레임부에는 상기 결합 프레임부가 상기 가이드홀부에 삽입될 때에 상기 홀더부와 상기 가이드 프레임부의 간격을 증가시키도록 조립 돌기부가 형성되고,
상기 조립 돌기부는 상기 결합 프레임부의 삽입방향을 따라 테이퍼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래치 장치.
A fixing bracket coupled to the latch body and having a coupling frame portion; And
And a stroke adjusting bush having a cable fixed and formed with a guide hole to be positionally adjustably coupled to the coupling frame,
The engaging frame portion is provided with a recessed portion,
Wherein the stroke adjusting bush comprises:
A holder portion to which the cable is fixed; And
And a guide frame portion formed on an outer side surface of the holder portion so as to surround the guide hole portion and pressing the engagement frame portion toward the holder portion,
The holder portion or the guide frame portion is provided with a release preventing stopper to adjust the position of the stroke adjusting bush according to the position confined by the concave / convex portion,
The concavo-convex portion is formed so as to protrude inward of an escape prevention hole portion formed in the engagement frame portion to support both sides of the escape prevention stopper,
Wherein the holder portion or the guide frame portion is provided with an assembling protrusion portion for increasing a distance between the holder portion and the guide frame portion when the engaging frame portion is inserted into the guide hole portion,
Wherein the assembling protruding portion is formed to be tapered along the inserting direction of the engaging frame portion.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160121736A 2016-09-22 2016-09-22 Door latch apparatus KR10186877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1736A KR101868777B1 (en) 2016-09-22 2016-09-22 Door latch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1736A KR101868777B1 (en) 2016-09-22 2016-09-22 Door latch apparatu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32462A KR20180032462A (en) 2018-03-30
KR101868777B1 true KR101868777B1 (en) 2018-06-19

Family

ID=619000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21736A KR101868777B1 (en) 2016-09-22 2016-09-22 Door latch apparatu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68777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9111928A1 (en) * 2018-05-08 2019-11-14 Magna Closures Inc. VEHICLE LOCKING SOCKET WITH CABLE CONNECTION
FR3102520B1 (en) * 2019-10-28 2022-03-11 U Shin France End cap for vehicle opening cabl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09946A (en) * 2002-06-10 2004-01-15 Mitsubishi Automob Eng Co Ltd Cable holding structure
CN103711783A (en) * 2012-09-28 2014-04-09 重庆长安汽车股份有限公司 Stroke adjusting mechanism for automobile shift control cabl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09946A (en) * 2002-06-10 2004-01-15 Mitsubishi Automob Eng Co Ltd Cable holding structure
CN103711783A (en) * 2012-09-28 2014-04-09 重庆长安汽车股份有限公司 Stroke adjusting mechanism for automobile shift control cab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32462A (en) 2018-03-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55212B1 (en) Bowden cable
KR101425565B1 (en) Back set adjustable door zoom up latch and digital door lock aparratus having the same
KR101868777B1 (en) Door latch apparatus
KR101594235B1 (en) Substrate storing container
KR101369145B1 (en) Lever type connector
FR3035744A1 (en) ELECTRICAL CONNECTOR
JP5749850B1 (en) cable clamp
JP4970894B2 (en) the mall
EP3536884B1 (en) Vehicle handle device
JP6447744B2 (en) Connector device
EP3536883A1 (en) Vehicle inside handle device
JP2014009708A (en) Control cable connection structure
JP2008112675A (en) Connector
CN113227593B (en) Vehicle interior component for fitting to a vehicle body
KR20210017388A (en) Tension clamp apparatus
JP5499848B2 (en) connector
JP6707229B2 (en) connector
CN112272726A (en) Vehicle handle device and rotary operation clamp
KR100996831B1 (en) Stop Lamp switch
KR20200123789A (en) Binding device
JP2010113302A (en) Optical fiber-holding metal fitting
KR20110052387A (en) Towing cab apparatus
AU761315B2 (en) Device for adjusting shoulder anchor height
GB2289171A (en) Stirrup lever connector
JP2011124018A (en) Connec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