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68753B1 - Circuit breaker - Google Patents

Circuit break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68753B1
KR101868753B1 KR1020170111866A KR20170111866A KR101868753B1 KR 101868753 B1 KR101868753 B1 KR 101868753B1 KR 1020170111866 A KR1020170111866 A KR 1020170111866A KR 20170111866 A KR20170111866 A KR 20170111866A KR 101868753 B1 KR101868753 B1 KR 1018687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plate
side terminal
circuit breaker
quick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1186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70104131A (en
Inventor
가즈마사 와타나베
도모야 데구치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701041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0413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687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6875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71/00Details of the protective switches or relays covered by groups H01H73/00 - H01H83/00
    • H01H71/08Terminals; Connec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71/00Details of the protective switches or relays covered by groups H01H73/00 - H01H83/00
    • H01H71/02Housings; Casings; Bases; Mountings
    • H01H71/0207Mounting or assembling the different parts of the circuit break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71/00Details of the protective switches or relays covered by groups H01H73/00 - H01H83/00
    • H01H71/02Housings; Casings; Bases; Mountings
    • H01H71/0264Mountings or coverplates for complete assembled circuit breakers, e.g. snap mounting in pane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73/00Protective overload circuit-breaking switches in which excess current opens the contacts by automatic release of mechanical energy stored by previous operation of a hand reset mechanism
    • H01H73/02Details
    • H01H73/06Housings; Casings; Bases; Mount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73/00Protective overload circuit-breaking switches in which excess current opens the contacts by automatic release of mechanical energy stored by previous operation of a hand reset mechanism
    • H01H73/02Details
    • H01H73/20Terminals; Connec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71/00Details of the protective switches or relays covered by groups H01H73/00 - H01H83/00
    • H01H71/08Terminals; Connections
    • H01H2071/086Low power connections for auxiliary switches, e.g. shunt trip

Landscapes

  • Breakers (AREA)

Abstract

[과제] 전선의 접속 신뢰성이 높고, 작업성이 뛰어난, 속결 단자 유닛을 이용한 회로 차단기를 얻는다.
[해결 수단] 본 발명의 회로 차단기는, 나사 구멍을 형성한 전원측 단자판(2a)과 나사 구멍을 형성한 부하측 단자판(2b)을 구비하며, 일면에 조작면판(1a)을 가지는 케이스(1f)와, 전선(7)을 접속 가능한 속결 단자의 구성 부재를 유닛화하고, 제1 면에 전선 삽입 구멍(3a)을, 제2 면에 전원측 단자판(2a) 또는 부하측 단자판(2b)과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접속면을 구비한 속결 단자 유닛(3)을 구비하며, 전원측 단자판(2a) 상(上) 또는 부하측 단자판(2b) 상(上)에 접속면(4c)을 적층하고, 전원측 단자판(2a) 또는 부하측 단자판(2b)의 측으로부터, 고정 나사(8)를 삽입하여 전원측 단자판(2a) 또는 부하측 단자판(2b)과 접속면(4c)을 고정하는 것이다.
[PROBLEMS] To provide a circuit breaker using a quick-connect terminal unit with high connection reliability of a wire and excellent workability.
[MEANS FOR SOLVING PROBLEMS] A circuit breaker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case (1f) having a power supply side terminal plate (2a) with screw holes and a load side terminal plate (2b) And the constituent members of the fastening terminals connectable to the electric wire 7 are unitized and the electric wire inserting hole 3a is formed on the first face and the electric wire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power face side terminal board 2a or the load side terminal plate 2b on the second face And a connecting surface 4c is laminated on the upper side of the power source side terminal plate 2a or the upper side of the load side terminal plate 2b and the power terminal side terminal plate 2a or The fixing screw 8 is inserted from the side of the load side terminal plate 2b to fix the power supply side terminal plate 2a or the load side terminal plate 2b and the connection face 4c.

Description

회로 차단기{CIRCUIT BREAKER}Circuit breaker {CIRCUIT BREAKER}

본 발명은, 배선용 차단기나 누전 차단기 등의 회로 차단기에 관한 것이며, 상세하게는 전선의 장착이나 분리가 용이한 속결(速結) 단자 접속을 구비한 회로 차단기에 관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ircuit breaker such as a wiring breaker or an earth leakage break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circuit breaker having a fast connection terminal connection that facilitates installation and disconnection of electric wires.

회로 차단기에 전선을 접속하는 수단으로서는, 단자판에 나사 구멍을 형성하고, 전선에 접속한 압착(壓着) 단자를 단자 나사를 이용하여 고정하는 방법이 일반적이다. 또, 나사를 이용하지 않기 때문에 체결 토크의 관리가 불필요하여, 단시간에 장착ㆍ분리를 행할 수 있는 속결 단자를 단자판을 대신하여 이용하는 접속 방법도 알려져 있다. As means for connecting the electric wire to the circuit breaker, a screw hole is formed in the terminal board, and a pressing terminal connected to the electric wire is fixed by using a terminal screw. It is also known to use a fastening terminal in place of the terminal plate in which the fastening torque is not required because no screw is used and the fastening terminal capable of mounting and dismounting in a short time is used.

게다가, 예를 들면 특허 문헌 1의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회로 차단기의 단자판을 대신하여 속결 단자를 형성하여 이용하는 것이 아니라, 속결 단자와 주변 부재를 유닛 모양으로 조합시켜 속결 단자 유닛을 구성하고, 전선을 접속하는 단자판에 고정하는 방법도 알려져 있다. In addition, as shown in Fig. 1 of Patent Document 1, for example, a quick-connect terminal unit is formed by combining a quick-connect terminal and a peripheral member in unit form instead of forming a quick-connect terminal in place of the terminal plate of the circuit breaker, There is also known a method of fixing the terminal to the terminal board to which the electric wire is connected.

특허 문헌 1 : 일본특허 제3433631호 공보(제1도)Patent Document 1: Japanese Patent No. 3433631 (FIG. 1)

이러한 종래의 회로 차단기에서는, 회로 차단기의 단자판에 전선을 고정하기 위한 단자 나사를 속결(速結) 단자 유닛의 고정 나사로서 이용하여, 단자판에 형성된 나사 구멍에 속결 단자 유닛을 고정한다. 즉, 회로 차단기의 단자판 상(上)에, 단자 나사의 크기에 맞춘 나사 구멍을 형성하고, 한편, 회로 차단기와의 전기 회로를 형성하는 속결 단자 유닛의 접속면에 단자 나사 보다 약간 큰 삽입 구멍을 형성한다. 그리고, 회로 차단기의 단자판 상(上)에 속결 단자 유닛의 접속면을 겹쳐 배치하고, 상부로부터 고정 나사를 이용하여 고정한다. In such a conventional circuit breaker, a terminal screw for fixing the electric wire to the terminal plate of the circuit breaker is used as a fastening screw of the fastening terminal unit, and the quick terminal unit is fixed to the screw hole formed in the terminal plate. That is, a screw hole corresponding to the size of the terminal screw is formed on the terminal board of the circuit breaker, and an insertion hole slightly larger than the terminal screw is formed on the connection face of the quick-connect terminal unit forming the electric circuit with the circuit breaker . Then, the connecting surface of the quick-connect terminal unit is placed on the terminal plate of the circuit breaker so as to overlap with the fastening terminal unit, and the fastening terminal unit is fixed from above by using a fixing screw.

이 때, 고정 나사의 나사 머리가 회로 차단기의 조작면측이 되고, 조작면측으로부터 행하는 작업, 예를 들면, 조작반에의 회로 차단기의 고정 작업 등에 의해, 잘못하여 고정 나사가 느슨해지는 것이 생각되어진다. 속결 단자 유닛을 회로 차단기에 고정하는 고정 나사가 느슨해지면, 회로 차단기의 단자판과 속결 단자 유닛의 접속면과의 사이에서 충분한 접촉 압력을 얻지 못하고, 통전시에 발열 등을 일으킬 가능성이 있었다. At this time, the screw head of the fixing screw becomes the operation surface side of the circuit breaker, and it is conceivable that the fixing screw is erroneously loosened by the operation performed from the operation surface side, for example, the operation of fixing the circuit breaker to the operation panel. If the fastening screw for fastening the fastening terminal unit to the circuit breaker is loosened, a sufficient contact pressure can not be obtained between the terminal plate of the circuit breaker and the connection surface of the quick-connect terminal unit, and heat may be generated in the passage.

또, 이 속결 단자 유닛의 접속 구조 그대로 고정 나사의 오조작을 금지하려고 하면, 커버 등의 새로운 부재를 이용하여 나사 머리를 덮던지, 접착제 등을 이용하여 고정 나사를 접착할 필요가 있어, 코스트를 증가시키고, 또 작업성의 저하를 초래했다. In order to prevent erroneous operation of the fastening screw as it is in connection with the fastening terminal unit, it is necessary to cover the screw head with a new member such as a cover or to fix the fastening screw using an adhesive or the like, And the workability is lowered.

본 발명은, 상술과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이루어진 것으로, 회로 차단기의 단자판에 장착한 속결 단자 유닛을 잘못하여 분리하는 것을 방지하고, 또는 고정 나사를 느슨하게 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 결과, 속결 단자 유닛의 접속면과 회로 차단기의 단자판과의 사이에 충분한 접착 압력이 얻어지지 않기 때문에 생기는 통전시의 발열을 방지할 수 있다. 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event erroneous separation of a quick-connect terminal unit mounted on a terminal board of a circuit breaker or to prevent loosening of a fastening screw. As a result, since sufficient adhesive pressure can not be obtained between the connection surface of the quick-connection terminal unit and the terminal plate of the circuit breaker, heat generation in the communication can be prevented.

본 발명의 회로 차단기는, 나사 구멍을 형성한 전원측 단자판과 나사 구멍을 형성한 부하측 단자판을 구비하며, 일면에 조작면판을 가지는 케이스와, 전선을 접속 가능한 속결(速結) 단자의 구성 부재를 유닛화하고, 제1 면에 전선 삽입 구멍을, 상기 제1 면의 반대측에 있는 제2 면에 상기 전원측 단자판 또는 상기 부하측 단자판과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접속면을 구비한 속결 단자 유닛을 구비하며, 상기 전원측 단자판 상(上) 또는 상기 부하측 단자판 상(上)에 상기 접속면을 적층하고, 상기 전원측 단자판 또는 상기 부하측 단자판의 측으로부터, 고정 나사를 삽입하여 상기 전원측 단자판 또는 상기 부하측 단자판과 상기 접속면을 고정하며, 상기 조작면판의 측으로부터 상기 전선 삽입 구멍에 전선을 삽입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속결 단자 유닛은, 상기 케이스에 고정되었을 때에, 상기 케이스의 외형으로부터 돌출하는 부분이 없고, 상기 제1 면과 상기 제2 면과의 사이의 제3 면이 소호 장치에 대향하며, 상기 제1 면이 상기 조작면판 보다 낮고, 상기 소호 장치의 배기구가 상기 속결 단자 유닛의 상기 제1 면과 상기 조작면판과의 사이에 형성되고, 또한 상기 속결 단자 유닛은, 상기 제1 면과 상기 제3 면과 상기 제2 면을 2분하도록 분할되는 2개의 케이스에 의해 외부가 덮여 있음과 아울러 상기 2개의 케이스는, 상기 분할을 방지하는 방향으로 장착 나사에 의해 체결되어 있으며, 상기 제2 면에서 저면에 이르는 상기 고정 나사를 삽입하는 공간의 외주는, 상기 케이스에 의해 둘러싸여져 있다.A circuit break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case having a power source side terminal plate on which a threaded hole is formed and a load side terminal plate on which a screw hole is formed, a case having a manipulating face plate on one side, And a fastening terminal unit having a wire insertion hole on a first surface and a connection surfac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power source side terminal board or the load side terminal board on a second surface opposite to the first surface, The connecting surface is laminated on the terminal plate top or the load side terminal plate, and a fixing screw is inserted from the side of the power source side terminal plate or the load side terminal plate to fix the power source side terminal plate or the load side terminal plate and the connecting surface Wherein the fastening terminal unit is configured to insert a wire into the wire insertion hole from the side of the operating face plate, Wherein when the first face is fixed to the case, there is no part protruding from the outer shape of the case, and the third face between the first face and the second face is opposed to the soccer apparatus and the first face is lower , And an exhaust port of the SOH apparatus is formed between the first face of the quick-connect terminal unit and the manipulating face plate, and the quick-access terminal unit is provided with the first face, the third face, And the two cases are fastened by a mounting screw in a direction to prevent the division, and the fixing screw extending from the second surface to the bottom surface is inserted The outer periphery of the space is surrounded by the case.

본 발명의 회로 차단기에 의하면, 회로 차단기에의 속결 단자 유닛의 고정을, 회로 차단기 본체 저면측으로부터의 고정 나사의 삽입에 의해 행하기 때문에, 회로 차단기가 조작반 등에 설치된 상태에서는 고정 나사의 조작이 불가능하여, 잘못하여 고정 나사를 느슨하게 하지는 않는다. 따라서, 통전시의 발열을 방지할 수 있고, 또, 고정 나사의 조작을 금지하기 위한 나사 머리를 덮는 커버 등의 제작이나 고정 나사의 접착 등이 불필요해진다. According to the circuit breake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astening terminal unit is fixed to the circuit breaker by inserting the fixing screw from the bottom side of the circuit breaker main body. Therefore, when the circuit breaker is installed on the operation panel, etc., Therefore, the fixing screw is not loosened by mistake. Therefore, it is possible to prevent heat generation from flowing out, and it becomes unnecessary to manufacture a cover or the like for covering the screw head to inhibit the operation of the fixing screw, or to adhere the fixing screw.

도 1은 본 발명에 관한 회로 차단기의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관한 회로 차단기의 외형도(조작면측)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관한 회로 차단기의 외형도(전원측 단면(端面)의 측)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관한 속결 단자 유닛의 3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관한 속결 단자 유닛의 단면도(검전(檢電) 구멍 부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관한 속결 단자 유닛의 단면도(해제 조작 구멍 부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관한 속결 단자 유닛의 전선 해정(解錠) 레버의 동작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관한 회로 차단기의 단면도이다.
1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circuit break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n external view (operation surface side) of the circuit break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n external view (side of the power source side end face) of the circuit break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three-view drawing of a quick-access terminal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quick-access terminal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spection hole portion).
6 is a cross-sectional view (release operation hole portion) of the quick-access terminal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operation of a wire unlocking lever of a quick-access terminal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sectional view of a circuit break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실시 형태의 설명 및 각 도면에서, 동일한 부호를 부여한 부분은, 동일 또는 상당하는 부분을 나타내는 것이다. In the description of the embodiments and the drawings, the same reference numerals denote the same or corresponding parts.

실시 형태 1.Embodiment 1

<회로 차단기의 구조><Structure of circuit breaker>

도 1 ~ 3은 본 발명에서의 회로 차단기(1)의 구조를 나타내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관한 회로 차단기(1)의 전원측 단자판(2a)과 부하측 단자판(2b)을 연결하는 방향의 단면도, 도 2는 회로 차단기(1)의 조작면측으로부터 관찰한 외형도, 도 3은 전원측 단자의 방향으로부터 관찰한 외형도이다. 또 도 4 ~ 7은 속결(速結) 단자 유닛(3)의 구조를 나타내는 것으로, 도 4는 속결 단자 유닛(3)의 3면도, 도 5는 속결 단자 유닛(3)의 검전(檢電) 구멍(3b)을 포함하는 방향의 단면도, 도 6은 해제 조작 구멍(3c)을 포함하는 방향의 단면도, 도 7은 전선 해정(解錠) 레버(6) 조작시의 동작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여기서, 속결 단자 유닛(3)은, 전선을 나사 등을 이용하지 않고 간편하게 장착, 분리할 수 있는 속결 단자와, 그 주변 부재를 유닛화한 것으로, 전원측 단자판(2a) 또는 부하측 단자판(2b)에 유닛 단위로서 장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1 to 3 show the structure of the circuit breaker 1 in the present invention. Fig. 1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direction in which the power-side terminal plate 2a and the load-side terminal plate 2b of the circuit breaker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connected to each other. Fig. 2 is an external view observed from the operation surface side of the circuit breaker 1, Is an external view observed from the direction of the power source side terminal. 4 to 7 show the structure of the quick-connect terminal unit 3, Fig. 4 shows three views of the quick-connect terminal unit 3, Fig. 5 shows the quick connect terminal unit 3, 6 is a sectional view in the direction including the release operation hole 3c, and Fig. 7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operation when the wire release lever 6 is operated. Here, the quick-connect terminal unit 3 is a unit in which the fastening terminal capable of being easily mounted and dismounted without using screws or the like, and its peripheral members are formed as a unit, and is provided with a power supply side terminal plate 2a or a load side terminal plate 2b So that it can be mounted as a unit unit.

도 1에 나타낸 회로 차단기(1)의 단면도를 이용하여, 먼저 본 실시 형태의 회로 차단기(1)의 개략 구성을 설명한다. 도면에 나타낸 회로 차단기(1)의 조작면부분을 조작면판(1a)이라고 부른다. 또, 회로 차단기(1)를 형성하는 케이스(1f)의 우측 단부의 면을 전원측 단면(端面)(1b), 좌측 단부의 면을 부하측 단면(端面)(1d)이라고 부르며, 회로 차단기의 조작면의 반대면을 케이스의 저면(1c)이라고 부른다. 전원측 단면(1b)의 내측 부분에는 전원측 단자판(2a)이, 부하측 단면(1d)의 내측에는 부하측 단자판(2b)이 형성되어 있다. 전원측 단자판(2a)과 부하측 단자판(2b)에는, 속결 단자 유닛(3)을 저면(1c)의 방향으로부터 고정 나사(8)에 의해 고정하여 장착하고 있다. First, the schematic configuration of the circuit breaker 1 of the present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circuit breaker 1 shown in Fig. The operating surface portion of the circuit breaker 1 shown in the drawing is referred to as an operating surface plate 1a. The surface of the right end of the case 1f forming the circuit breaker 1 is referred to as a power source side end surface 1b and the surface of the left end side is referred to as a load side end surface 1d, Is referred to as the bottom surface 1c of the case. The power source side terminal plate 2a is formed on the inner side of the power source side end face 1b and the load side terminal board 2b is formed on the inner side of the load side end face 1d. The fastening terminal unit 3 is fixed to the power supply side terminal plate 2a and the load side terminal plate 2b by fixing screws 8 from the direction of the bottom surface 1c.

회로 차단기(1)의 중앙 부근의 아래 부분에는 가동 접점(10)과 고정 접점(11)의 투입/차단을 행하는 가동 접촉자(9)가 마련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가동 접점(10)과 고정 접점(11)이 각각 1개로 구성되는 1극(極) 1점(点) 차단 접점 구성을 이용하고 있다. A movable contact 9 is provided at a lower portion of the circuit breaker 1 in the vicinity of the center thereof for inputting / interrupting the movable contact 10 and the fixed contact 11. In the present embodiment, a single-pole (single-pole) point-to-point contact configuration in which the movable contact 10 and the stationary contact 11 are respectively provided is used.

가동 접점(10)과 고정 접점(11)으로 이루어지는 접점의 윗 부분에는 구동 장치(13)(파선의 동그라미로 둘러싸인 부분)가 형성되어 있으며, 조작 핸들(14)의 동작을 가동 접촉자(9)에 전하여, 가동 접점(10)과 고정 접점(11)과의 투입/차단의 구동을 행한다. 이들의 구동 장치(13)의 우측 부분에는 접점의 차단을 행했을 때에 발생하는 아크를 단시간에 소호(消弧)하기 위한 소호 장치(15)가 형성된다. 좌측 부분에는 과전류 등이 인가되었을 때에 가동 접점(10), 고정 접점(11)의 차단을 행하기 위한 트리핑(tripping) 장치(16)(1점 쇄선으로 둘러싸인 부분)이 구비되어 있다. A driving device 13 (a portion surrounded by a broken line) is form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contact made up of the movable contact 10 and the fixed contact 11 and the operation of the operation handle 14 is provided on the movable contact 9 And the driving / closing operation of the movable contact 10 and the fixed contact 11 is carried out. In the right side portion of these drive devices 13, an SOH apparatus 15 for arc extinguishing an arc generated when the contact is cut off is formed in a short time. And a tripping device 16 (a portion enclosed by a chain line) for blocking the movable contact 10 and the fixed contact 11 when an overcurrent or the like is applied to the left side portion.

도 2는 회로 차단기(1)의 조작면측으로부터 관찰한 외형도이며, 도면의 우측과 좌측에 각 3개소, 조작면판(1a)에 절입(切入) 부분이 형성되어 있고, 그 부분으로부터 전원측 단자판(2a), 부하측 단자판(2b)을 관찰할 수 있다. 또, 우측과 좌측의 절입의 내부, 맨 아래의 절입 부분의 전원측 단자판(2a)과 부하측 단자판(2b)에는 속결 단자 유닛(3)이 장착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Fig. 2 is an external view of the circuit breaker 1 viewed from the operating surface side. In the drawing, three portions are formed on the right and left sides of the drawing, and a cut-in portion is formed in the operating face plate 1a. 2a and the load side terminal plate 2b can be observed. In addition, a state in which the quick-connect terminal unit 3 is mounted on the power supply side terminal plate 2a and the load side terminal plate 2b in the insides of the right and left cutouts and the bottom cut-out portion.

도 3은 회로 차단기(1)의 외형도이며, 전원측 단면(1b)의 방향으로부터 관찰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전원측 단면(1b)측에는 3개의 전원측 단자판(2a)이 형성되어 있고, 그 중 제일 좌측의 전원측 단자판(2a)에는 속결 단자 유닛(3)이 장착되어 있다. 속결 단자 유닛(3)의 상면과 회로 차단기(1)의 조작면판(1a)의 사이에는 배기구(1e)가 형성되어 있으며, 가동 접점(10)과 고정 접점(11)과의 투입/차단시에 발생하는 아크의 소호의 효과를 높이는 기능을 가진다. 3 is an external view of the circuit breaker 1 and shows a state observed from the direction of the power source side end face 1b. Three power supply side terminal plates 2a are formed on the power supply side end face 1b side, and the quick access terminal unit 3 is mounted on the leftmost power supply side terminal plate 2a. An exhaust port 1e is formed between the upper surface of the quick access terminal unit 3 and the operation face plate 1a of the circuit breaker 1. When the movable contact 10 and the fixed contact 11 are closed And has a function of enhancing the effect of the arc of generated arc.

<속결 단자 유닛의 구조><Structure of Quick Terminal Unit>

다음으로 속결 단자 유닛(3)의 구조를 설명한다. 도 4는 속결 단자 유닛(3)의 3면도이며, 3개의 방향으로부터 속결 단자 유닛(3)을 관찰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속결 단자 유닛(3)은, 2개의 케이스(3d, 3e)에 의해 외부가 덮여 있으며, 장착 나사(3f)에 의해 2개의 케이스(3d, 3e)를 고정하고 있다. Next, the structure of the quick-connect terminal unit 3 will be described. 4 is a three-sided view of the quick-connect terminal unit 3, and shows a state in which the quick-connect terminal unit 3 is observed from three directions. The fastening terminal unit 3 is covered by two cases 3d and 3e and fixes the two cases 3d and 3e by a mounting screw 3f.

속결 단자 유닛(3)의 상면(제1 면)에는, 전선을 삽입하여 각 단자판(2a, 2b)과 전기적으로 접속시키는 전선 삽입 구멍(3a)이 형성되어 있다. 또 내부에 형성된 속결 단자 전극(4)이 통전(通電)하고 있는지를 점검하기 위한 검전(檢電) 구멍(3b), 전원측 단자판(2a) 및 부하측 단자판(2b)과 접속한 전선을 분리하기 위한 해정(解錠) 조작을 행하기 위한 해정 조작 구멍(3c)도 상면에 형성되어 있다. 이들의 조작을 행하기 위한 구멍은, 모두 속결 단자 유닛(3)의 상면에 형성되어 있으며, 고정 나사(8)를 삽입하는 반대 방향인, 회로 차단기(1)의 조작면 방향으로부터 조작을 행할 수 있다. The front surface (first surface) of the quick-connect terminal unit 3 is provided with a wire insertion hole 3a for inserting electric wires and electrically connecting the terminal boards 2a and 2b. A check hole 3b for checking whether or not the quick-response terminal electrode 4 formed therein is energized, a power supply side terminal plate 2b for separating the electric wire connected to the power supply side terminal plate 2a and the load side terminal plate 2b A detaching operation hole 3c for performing an unlocking operation is also formed on the upper surface. All the holes for performing these operations are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quick access terminal unit 3 and can be operated from the direction of the operation surface of the circuit breaker 1 in the opposite direction of inserting the fastening screw 8 have.

도 5는, 속결 단자 유닛(3)의 검전 구멍(3b) 부분을 포함하는 방향의 단면도를 나타내고 있다. 속결 단자 유닛(3)의 내부에는, 전선(7)과 접속하는 전선 접촉부(4a), 전원측 단자판(2a) 또는 부하측 단자판(2b)과 접속하는 접속면(4c), 전선 접촉부(4a)와 접속면(4c)과의 사이를 연결하는 도전 부재(4b)로 이루어지는 속결 단자 전극(4)이 배치되어 있다. 접속면(4c)은 속결 단자 유닛(3)의 하면(제2 면)에 위치하고, 또 전선의 빠짐을 방지하는 쇄정부(鎖錠部)(5a)와 전선을 억제하는 접압부(接壓部)(5b)를 가지는 판 스프링(5)도 배치되어 있다. 또, 회로 차단기(1)에 속결 단자 유닛(3)을 장착한 상태에서, 속결 단자 유닛(3)의 상면/하면은, 각각 회로 차단기(1)의 조작면/저면에 대응한다. Fig. 5 show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quick access terminal unit 3 in the direction including the probe hole 3b. The fastening terminal unit 3 is provided therein with a wire contact portion 4a connected to the wire 7, a connection face 4c connected to the power source terminal board 2a or the load terminal board 2b, And a quick-release terminal electrode 4 made of a conductive member 4b connecting between the surface 4c and the surface 4c. The connection face 4c is located on the lower face (second face) of the quick-connect terminal unit 3 and includes a chain lock 5a for preventing the wire from coming off and a contact portion And a leaf spring 5 having a pair of leaf springs 5b. The upper surface / lower surface of the quick-connect terminal unit 3 corresponds to the operation surface / bottom surface of the circuit breaker 1, respectively, with the quick-release terminal unit 3 mounted on the circuit breaker 1.

도 6은, 속결 단자 유닛(3)의 전선 해정 레버(6)를 포함하는 방향의 단면도를 나타내고 있다. 또, 도 7은 도 6과 마찬가지로 속결 단자 유닛(3)의 전선 해정 레버(6)를 포함하는 방향의 단면도이며, 전선 해정 레버(6)가 조작되어, 전선(7)이 분리되는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6 show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fastening terminal unit 3 in the direction including the wire breaking lever 6. 7 is a sectional view of the fastening terminal unit 3 including the wire breaking lever 6 in the same manner as in Fig. 6,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wire breaking lever 6 is operated to disconnect the wire 7 have.

전선 해정 레버(6)는, 해정 조작부(6a)와 회전축(6b), 판 스프링 조작부(6c)를 가지고 있다. 해정 조작부(6a)를 해정 조작 구멍(3c)으로부터 우측 방향으로 밀면, 전선 해정 레버가 회전축(6b)을 중심으로 하여 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도 7의 화살표 방향). 이 때, 판 스프링 구동부(6c)가 판 스프링(5)의 쇄정부(5a)를 들어 올려 판 스프링(5)과 전선 접촉부(4a)를 떼어 놓는다. 이 상태에서는, 전선(7)을 속결 단자 유닛(3)으로부터 용이하게 빼낼 수 있다. The wire unlocking lever 6 has a unlocking operating portion 6a, a rotating shaft 6b, and a plate spring operating portion 6c. When the unlocking operation portion 6a is pushed rightward from the unlocking operation hole 3c, the wire unlocking lever rotates clockwise about the rotating shaft 6b (the direction of the arrow in Fig. 7). At this time, the plate spring driving section 6c lifts the clamping section 5a of the leaf spring 5 to separate the leaf spring 5 and the wire contact section 4a. In this state, the electric wire 7 can be easily pulled out from the quick-connect terminal unit 3.

<회로 차단기ㆍ속결 단자 유닛의 특징에 대해><Features of circuit breaker and quick-connect terminal unit>

통상의 회로 차단기(1)에서는, 전선(7)을 전원측 단자판(2a) 및 부하측 단자판(2b)에 접속하기 위해서는 고정 나사(8)를 이용하여, 윗 방향으로부터 전원측 단자판(2a) 및 부하측 단자판(2b)에 전선(7)을 나사 고정한다. 그러나 본 실시 형태에서는, 앞에서도 기술한 바와 같이, 속결 단자 유닛(3)을 전원측 단자판(2a) 및 부하측 단자판(2b)의 위에 배치하고, 아래 방향으로부터 고정 나사(8)를 이용하여 전원측 단자판(2a) 및 부하측 단자판(2b)과 속결 단자 유닛(3)의 접속면(4c)을 고정하고 있다. In order to connect the electric wire 7 to the power supply side terminal plate 2a and the load side terminal plate 2b in the conventional circuit breaker 1, the power supply side terminal plate 2a and the load side terminal plate 2a 2b). However, in the present embodiment, as described above, the quick-connect terminal unit 3 is disposed on the power supply side terminal plate 2a and the load side terminal plate 2b and the power supply side terminal plate 2a and the connecting surface 4c of the load side terminal board 2b and the quick charge terminal unit 3 are fixed.

더 상세하게는, 속결 단자 유닛(3)의 접속면(4c)과 전원측 단자판(2a) 및 부하측 단자판(2b)에는 나사 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전원측 단자판(2a) 및 부하측 단자판(2b)의 나사 구멍은 고정 나사(8)의 직경 보다 약간 크게 형성되어 있다. 한편, 접속면(4c)의 나사 구멍은 고정 나사(8)에 맞추어 나사가 잘려진 상태로 되어 있다. 그 때문에, 아래 방향으로부터 고정 나사(8)를 끼워 넣으면, 접속면(4c)의 나사 구멍과 고정 나사(8)와의 사이에, 전원측 단자판(2a) 및 부하측 단자판(2b)은 강하게 끼워 넣어 고정되어, 전원측 단자판(2a) 및 부하측 단자판(2b)과 접속면(4c)은 전기적으로 안정적으로 접속된다. More specifically, a screw hole is formed in the connection surface 4c of the quick-connect terminal unit 3, and in the power supply side terminal plate 2a and the load side terminal plate 2b. The screw holes of the power source side terminal plate 2a and the load side terminal plate 2b are formed to be slightly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e fixing screw 8. [ On the other hand, the threaded hole of the connecting surface 4c is in a state in which the thread is screwed to the fastening screw 8. The power side terminal board 2a and the load side terminal board 2b are firmly fitted and fixed between the screw hole of the connecting surface 4c and the fixing screw 8 when the fixing screw 8 is inserted from the downward direction The power source side terminal plate 2a and the load side terminal plate 2b and the connection face 4c are electrically and stably connected.

본 실시 형태에서 나타낸 속결 단자 유닛(3)은 1상분(相分)의 전선의 접속에 대응하고 있으며, 회로 차단기(1)의 전원측 단자판(2a)은 동일 형상이기 때문에, 모두 전원측 단자판(2a)에는 공통된 속결 단자 유닛(3)을 이용할 수 있다. 또, 도 1 등에는 3극(極)의 회로 차단기를 나타냈지만, 1극품(極品) 내지 4극품(極品)의 회로 차단기(1)를 얻는 것이 가능하다. The fast-access terminal unit 3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corresponds to the connection of the electric wires of one phase and the power terminal-side terminal plate 2a of the circuit breaker 1 has the same shape, A common quick-charge terminal unit 3 can be used. Although the circuit breaker of three poles is shown in Fig. 1 and the like, it is possible to obtain the circuit breaker 1 of one to four poles.

회로 차단기(1)의 부하측 단자판(2b)은 전원측 단자판(2a)과 동일 형상이기 때문에, 속결 단자 유닛(3)은 부하측 단자판(2b)과 전원측 단자판(2a)에 대해서 공통으로 이용할 수 있다. Since the load side terminal plate 2b of the circuit breaker 1 has the same shape as the power source side terminal plate 2a, the quick access terminal unit 3 can be commonly used for the load side terminal plate 2b and the power source side terminal plate 2a.

속결 단자 유닛(3)의 장착에 있어서, 속결 단자 유닛(3)은, 회로 차단기(1)의 조작면판(1a) 보다 낮은 위치에 구성하고, 회로 차단기(1)의 케이스(1f)의 전원측 단면(1b), 부하측 단면(1d)으로부터 돌출하지 않도록 구성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 회로 차단기(1)의 소형화가 가능해진다. The fastening terminal unit 3 is configured to be lower in position than the operating face plate 1a of the circuit breaker 1 in mounting the quick-access terminal unit 3, (1b) and the load side end surface (1d). As a result, the circuit breaker 1 can be downsized.

또, 속결 단자 유닛(3)의 회로 차단기(1)에의 장착에 있어서는,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조작면판(1a)과 속결 단자 유닛(3)과의 사이에는, 회로 차단기(1)의 접점 부분에서 발생한 아크의 배출을 방해하지 않도록 배기구(1e)가 마련되어 있다. 3, the fastening terminal unit 3 is fastened to the circuit breaker 1 by means of the contact of the circuit breaker 1 with the fastening terminal unit 3, An exhaust port 1e is provided so as not to interfere with the discharge of the arc generated in the portion.

<본 실시 형태의 회로 차단기의 효과>&Lt; Effect of Circuit Breaker of Present Embodiment >

이상과 같이, 본 실시 형태에 나타낸 회로 차단기(1)는, 속결 단자 유닛(3)을 회로 차단기(1)의 하면으로부터 고정 나사(8)를 이용하여 고정하고 있다. 따라서, 회로 차단기(1)의 조작을 행하는 조작면측으로부터 고정 나사(8)에 의해 전선(7)을 고정하는 구조와 비교하여, 잘못하여 고정 나사(8)를 느슨하게 하지는 않는다. 그 때문에, 항상 충분한 접촉 압력으로 전선(7)과, 전원측 단자판(2a) 및 부하측 단자판(2b)과의 전기적 접속을 확보할 수 있어, 고정 나사(8)의 느슨해짐에 의한 발열 등을 일으키지 않는다. As described above, the circuit breaker 1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fixes the quick-connect terminal unit 3 from the lower surface of the circuit breaker 1 by using the fixing screw 8. Therefore, the fixing screw 8 is not loosened by mistake as compared with the structure in which the electric wire 7 is fixed by the fixing screw 8 from the operation surface side for operating the circuit breaker 1. Therefore, the electrical connection between the electric wire 7 and the power supply side terminal plate 2a and the load side terminal plate 2b can be ensured with sufficient contact pressure at all times, and heat generation due to loosening of the fixing screw 8 is not caused .

또, 조작면측으로부터 고정 나사(8)를 이용하여 전선(7)을 고정하는 구조에서, 과오에 의한 고정 나사(8)의 느슨해짐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나사 머리를 덮는 커버를 이용하거나, 고정 나사(8)를 접착하는 것이 필요했다. 그러나, 본 실시 형태의 회로 차단기(1)에서는 이들은 불필요하여, 코스트가 증가하지 않고, 작업성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In order to prevent the fixing screw 8 from being loosened by a mistake in the structure of fixing the electric wire 7 by using the fixing screw 8 from the operation surface side, 8). However, in the circuit breaker 1 of the present embodiment, these are unnecessary, the cost is not increased, and the deterioration of the workability can be prevented.

본 실시 형태의 회로 차단기(1)에서는, 전원측 단자판(2a) 및 부하측 단자판(2b)을 모두 공통의 크기로 했기 때문에, 공통의 속결 단자 유닛(3)을 이용할 수 있다. 또, 속결 단자 유닛(3)이 회로 차단기(1)의 전원측 단면(1b), 부하측 단면(1d)으로부터 돌출하지 않는 구조로 하고, 조작면부(1a) 보다 낮은 위치에 형성했기 때문에, 소형화를 달성할 수 있어, 1극품 내지 4극품의 회로 차단기(1)를 얻을 수 있다. In the circuit breaker 1 of the present embodiment, since the power source side terminal plate 2a and the load side terminal plate 2b are made common in size, a common quick terminal unit 3 can be used. Since the fastening terminal unit 3 is formed so as not to protrude from the power source side end face 1b and the load side end face 1d of the circuit breaker 1 and at a position lower than the operating face portion 1a, So that the circuit breaker 1 of one to four poles can be obtained.

게다가 본 실시 형태의 회로 차단기(1)에 이용한 속결 단자 유닛(3)은, 전선 삽입 구멍(3a), 검전 구멍(3b), 해정 조작 구멍(3c)을 모두 조작면측에 가지고 있다. 그 때문에, 상부 조작면측으로부터의 조작만으로 전선의 삽입, 검전, 해정 대응 등을 행할 수 있어, 작업성을 높일 수 있다. The quick-access terminal unit 3 used in the circuit breaker 1 of the present embodiment has the wire insertion hole 3a, the detection hole 3b, and the unlocking operation hole 3c all on the operation surface side. Therefore, it is possible to perform insertion, detection, and release of the electric wire by only the operation from the upper operation surface side, and workability can be improved.

실시 형태 2.Embodiment 2 Fig.

본 실시 형태에서 기술한 회로 차단기(17)는, 실시 형태 1에서 기술한 회로 차단기(1)와 기본적인 구성은 동일하다. 그러나, 실시 형태 1에 기재한 회로 차단기(1)에서는 전류의 투입/차단을 1조(組)의 접점간에서 행하는데 대해, 본 실시 형태에서 기술하는 회로 차단기(17)에서는 2조(組)의 접점간에서 행하는 점이 다르다. The circuit breaker 17 described in this embodiment is basically the same as the circuit breaker 1 described in the first embodiment. However, in the circuit breaker 1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the input / interruption of the current is performed between one pair of contacts. In the circuit breaker 17 described in this embodiment, The point of contact is different.

도 8은, 본 실시 형태에서 기술하는 회로 차단기(17)의 단면도를 나타내고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2조(組)의 접점으로 이루어지는, 이른바 1극(極) 2점 차단 구조를 이용하고 있다. 1극(極) 2점 차단 구조에서는, 전원측 단자판(2a)과 부하측 단자판(2b)과의 사이에, 조작 핸들(14)의 움직임에 기인하여 회전하는 대략 원통형의 로터(19)가 배치되어 있다. 이 원통형의 로터(19)의 거의 대각(對角) 위치에, 로터(19)의 외주로부터 돌출한 도면 우측의 제1 가동 접촉자(20)와 도면 좌측의 제2 가동 접촉자(21)가 마련되어 있다. 게다가 제1 가동 접촉자(20)의 선단 근방에는 제1 가동 접점(22)이 형성되고, 제2 가동 접촉자(21)의 선단 근방에는 제2 가동 접점(23)이 형성되어 회전 전극(18)을 구성하고 있다. 한편, 회로 차단기(17) 본체의 전원측 단자판(2a)에는 제1 고정 접촉자(24)가 접속되고, 표면에 제1 고정 접점(25)이 형성되어 있다. 또, 부하측 단자판(2b)에는 제2 고정 접촉자(26)가 접속되고, 표면에 제2 고정 접점(27)이 형성되어 있다. Fig. 8 show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circuit breaker 17 described in this embodiment. In the present embodiment, a so-called one-pole, two-point shielding structure made up of two pairs of contacts is used. A substantially cylindrical rotor 19 that rotates due to the movement of the operation handle 14 is disposed between the power source side terminal plate 2a and the load side terminal plate 2b . The first movable contactor 20 on the right side and the second movable contactor 21 on the left side of the figure are provided at the approximate diagonal positions of the cylindrical rotor 19 from the outer periphery of the rotor 19 . A first movable contact 22 is formed in the vicinity of the tip of the first movable contact 20 and a second movable contact 23 is formed in the vicinity of the tip of the second movable contact 21, Respectively. On the other hand, the first stationary contact 24 is connected to the power supply side terminal plate 2a of the main body of the circuit breaker 17, and the first stationary contact 25 is formed on the surface thereof. A second fixed contact 26 is connected to the load side terminal plate 2b, and a second fixed contact 27 is formed on the surface.

조작 핸들(14)의 움직임에 기인하여, 로터(19)가 회전한다. 그러면, 제1 고정 접촉자(24) 상(上)의 제1 고정 접점(25)과 제1 가동 접촉자(20) 상(上)의 제1 가동 접점(22), 제2 고정 접촉자(26) 상의 제2 고정 접점(27)과 제2 가동 접촉자(21) 상의 제2 가동 접점(23)이 동시에 폐극(閉極) 또는 개극(開極)한다. 이것에 의해, 전원측 단자판(2a)과 부하측 단자판(2b)과의 사이의 전류의 투입/차단을 행할 수 있다. Due to the movement of the operation handle 14, the rotor 19 rotates. The first fixed contact 25 on the first fixed contact 24 and the first movable contact 22 on the first movable contact 20 and the second movable contact 22 on the second fixed contact 26 The second fixed contact 27 and the second movable contact 23 on the second movable contact 21 simultaneously open or open. As a result, it is possible to switch on / off the current between the power source side terminal plate 2a and the load side terminal plate 2b.

본 실시 형태에서는, 1극(極) 2점 차단 구조를 이용하여, 2조(組)의 전극의 개폐를 행하기 때문에, 1극(極) 1점(点) 차단 구조의 회로 차단기(1)와 비교하여, 구조가 약간 복잡하게 된다. 그러나, 차단 특성이 뛰어나고, 고차단 용량품(容量品)에의 적용이 가능한 특장(特長, 특별한 장점)을 가진다. 또, 실시 형태 1에 나타낸 발명의 효과에 대해서는, 본 실시 형태에 나타낸 1극(極) 2점 차단 구조의 회로 차단기(17)라도, 1극(極) 1점(点) 차단 구조의 회로 차단기(1)와 마찬가지로, 과오에 의한 고정 나사(8)의 느슨해짐을 없애 발열을 방지할 수 있어, 양호한 특성의 회로 차단기(17)를 얻을 수 있다. In the present embodiment, since the two pairs of electrodes are opened and closed by using the one-pole, two-point blocking structure, the circuit breaker 1 having the one-pole, one- The structure becomes slightly complicated. However, it has a feature (special feature, special advantage) that is excellent in blocking characteristics and applicable to a high-breakdown-capacity product (capacitive product). As for the effect of the invention shown in Embodiment 1, the circuit breaker 17 of the one-pole (two-pole) cut-off structure shown in the present embodiment is also applicable to the circuit breaker of the one- It is possible to prevent heat generation by eliminating loosening of the fastening screw 8 due to a mistake and obtain a circuit breaker 17 of good characteristics.

본 실시 형태에 나타내는 회로 차단기(17)와, 실시 형태 1에 나타내는 회로 차단기(1)에서는, 접점 구조 이외는 동일한 구조를 이용하고 있다. 즉, 속결 단자 유닛(3)을 전원측 단자판(2a), 부하측 단자판(2b)에 아래 방향으로부터 고정 나사(8)를 이용하여 고정하는 점은 동일하다. 또 속결 단자 유닛(3)의 구조도 동일하기 때문에, 속결 단자 유닛(3)의 상면에 전선 삽입 구멍(3a), 검전 구멍(3b), 해정 조작 구멍(3c)이 형성되어 있는 점도 동일하다. In the circuit breaker 17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and the circuit breaker 1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the same structure is used except for the contact structure. That is, the fastening terminal unit 3 is fixed to the power source side terminal plate 2a and the load side terminal plate 2b from below by using a fixing screw 8. The same is also true for the fastening terminal unit 3 in that the wire insertion hole 3a, the probe hole 3b and the unlocking operation hole 3c are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quick-connect terminal unit 3.

<본 실시 형태의 회로 차단기의 효과>&Lt; Effect of Circuit Breaker of Present Embodiment >

이상과 같이, 본 실시 형태에 나타낸 회로 차단기(17)는, 속결 단자 유닛(3)을 회로 차단기(1)의 저면으로부터 고정 나사(8)를 이용하여 고정하고 있다. 따라서, 회로 차단기(17)의 조작을 행하는 조작면측으로부터 고정 나사(8)에 의해 전선(7)을 고정하는 구조와 비교하여, 잘못하여 고정 나사(8)를 느슨하게 하지는 않는다. 그 때문에, 항상 충분한 접촉 압력으로 전선(7)과 각 단자판(2a, 2b)과의 전기적 접속을 확보할 수 있어, 고정 나사(8)의 느슨해짐에 의한 발열 등을 방지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circuit breaker 17 shown in the present embodiment fixes the quick-release terminal unit 3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circuit breaker 1 by using the fixing screw 8. [ Therefore, the fixing screw 8 is not loosened by mistake as compared with the structure in which the electric wire 7 is fixed by the fixing screw 8 from the operation surface side for operating the circuit breaker 17. Therefore, electrical connection between the electric wire 7 and each of the terminal plates 2a and 2b can always be ensured with sufficient contact pressure, and heat generation due to loosening of the fixing screw 8 can be prevented.

또, 조작면측으로부터 고정 나사(8)를 이용하여 전선(7)을 고정하는 구조에서, 과오에 의한 고정 나사(8)의 느슨해짐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나사 머리를 덮는 커버를 이용하거나, 고정 나사(8)를 접착하는 것이 필요했다. 그러나, 본 실시 형태의 회로 차단기(17)에서는 이들은 불필요하여, 코스트의 증가를 방지하고, 작업성의 악화를 방지할 수 있다. In order to prevent the fixing screw 8 from being loosened by a mistake in the structure of fixing the electric wire 7 by using the fixing screw 8 from the operation surface side, 8). However, in the circuit breaker 17 of the present embodiment, these are unnecessary, thereby preventing an increase in cost and preventing deterioration in workability.

본 실시 형태의 회로 차단기(17)에서는, 전원측 단자판(2a) 및 부하측 단자판(2b)이 모두 공통의 크기로 했기 때문에, 공통의 속결 단자 유닛(3)을 이용할 수 있다. 또, 속결 단자 유닛(3)이 회로 차단기의 전원측 단면(17b), 부하측 단면(17d)으로부터 돌출하지 않는 구조로 하고, 조작면판(17a) 보다 낮은 위치에 형성했기 때문에, 소형화를 달성할 수 있어, 1극품 내지 4극품의 회로 차단기를 얻을 수 있다. In the circuit breaker 17 of the present embodiment, since both the power source side terminal plate 2a and the load side terminal plate 2b are made common in size, a common quick terminal unit 3 can be used. Since the quick-winding terminal unit 3 is formed so as not to protrude from the power supply side end face 17b and the load side end face 17d of the circuit breaker and at a position lower than the operating face plate 17a, miniaturization can be achieved , Circuit breakers of 1 to 4 pole products can be obtained.

게다가 본 실시 형태의 회로 차단기(17)에 이용한 속결 단자 유닛(3)은, 전선 삽입 구멍(3a), 검전 구멍(3b), 해정 조작 구멍(3c)을 모두 상면측에 가지고 있다. 그 때문에, 상면측으로부터의 조작만으로 전선의 삽입, 검전, 해정 대응 등을 행할 수 있어, 작업성을 높일 수 있다. The quick-access terminal unit 3 used in the circuit breaker 17 of the present embodiment has the wire insertion hole 3a, the detection hole 3b, and the unlocking operation hole 3c on the upper surface side. For this reason, it is possible to perform the insertion of the electric wire, the inspection of the electric power, the countermeasure against the electric discharge, and the like by only the operation from the upper surface side, and the workability can be improved.

이상에 더하여, 본 실시 형태의 회로 차단기(17)는, 그 접점 구조가 1극(極) 2점 차단 구조를 이용하고 있기 때문에, 차단 특성이 뛰어나고, 고차단 용량품에의 적용이 가능한 특장을 가진다. In addition to the above, the circuit breaker 17 of the present embodiment uses a one-pole, two-point cut-off structure for its contact structure, so that the circuit breaker 17 of this embodiment is excellent in breaking characteristics and applicable to high- I have.

1 : 회로 차단기 1a : 조작면판
1b : 전원측 단면 1c : 저면
1d : 부하측 단면 1e : 배기구
1f : 케이스 2a : 전원측 단자판
2b : 부하측 단자판 3 : 속결 단자 유닛
3a : 전선 삽입 구멍 3b : 검전 구멍
3c : 해정 조작 구멍 3d : 제1 케이스
3e : 제2 케이스 3f : 장착 나사
4 : 속결 단자 전극 4a : 전선 접촉부
4b : 도전 부재 4c : 접속면
5 : 판 스프링 5a : 쇄정부
5b : 접압부 6 : 전선 해정 레버
6a : 해정 조작부 6b : 회전축
6c : 판 스프링 구동부 7 : 전선
8 : 고정 나사 9 : 가동 접촉자
10 : 가동 접점 11 : 고정 접점
13 : 구동 장치 14 : 조작 핸들
15 : 소호 장치 16 : 트리핑 장치
17 : 회로 차단기 18 : 회전 전극
19 : 로터 20 : 제1 가동 접촉자
21 : 제2 가동 접촉자 22 : 제1 가동 접점
23 : 제2 가동 접점 24 : 제1 고정 접점
25 : 제1 고정 접촉자 26 : 제2 고정 접촉자
27 : 제2 고정 접점
1: circuit breaker 1a: operating face plate
1b: Power side section 1c: Bottom
1d: load side end surface 1e: exhaust port
1f: Case 2a: Power supply side terminal plate
2b: load side terminal plate 3: quick charge terminal unit
3a: wire insertion hole 3b: probe insertion hole
3c: opening operation hole 3d: first case
3e: Second case 3f: Mounting screw
4: fastening terminal electrode 4a: wire contact portion
4b: conductive member 4c: connection face
5: leaf spring 5a:
5b: contact portion 6: wire break lever
6a: Sea control unit 6b:
6c: Plate spring driving unit 7:
8: set screw 9: movable contact
10: movable contact 11: fixed contact
13: Driving device 14: Operation handle
15: Loop device 16: Tripping device
17: circuit breaker 18: rotating electrode
19: rotor 20: first movable contact
21: second movable contactor 22: first movable contact
23: second movable contact point 24: first fixed contact point
25: first fixed contact 26: second fixed contact
27: second fixed contact

Claims (7)

나사 구멍을 형성한 전원측 단자판과 나사 구멍을 형성한 부하측 단자판을 구비하며, 일면에 조작면판을 가지는 케이스와,
전선을 접속 가능한 속결(速結) 단자의 구성 부재를 유닛화하고, 제1 면에 전선 삽입 구멍을, 상기 제1 면의 반대측에 있는 제2 면에 상기 전원측 단자판 또는 상기 부하측 단자판과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접속면을 구비한 속결 단자 유닛을 구비하며,
상기 전원측 단자판 상(上) 또는 상기 부하측 단자판 상(上)에 상기 접속면을 적층하고, 상기 전원측 단자판 또는 상기 부하측 단자판의 측으로부터, 고정 나사를 삽입하여 상기 전원측 단자판 또는 상기 부하측 단자판과 상기 접속면을 고정하며, 상기 조작면판의 측으로부터 상기 전선 삽입 구멍에 전선을 삽입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속결 단자 유닛은,
상기 케이스에 고정되었을 때에, 상기 케이스의 외형으로부터 돌출하는 부분이 없고,
상기 제1 면과 상기 제2 면과의 사이의 제3 면이 소호 장치에 대향하며,
상기 제1 면이 상기 조작면판 보다 낮고, 상기 소호 장치의 배기구가 상기 속결 단자 유닛의 상기 제1 면과 상기 조작면판과의 사이에 형성되고,
또한 상기 속결 단자 유닛은, 상기 제1 면과 상기 제3 면과 상기 제2 면을 2분하도록 분할되는 2개의 케이스에 의해 외부가 덮여 있음과 아울러 상기 2개의 케이스는, 상기 분할을 방지하는 방향으로 장착 나사에 의해 체결되어 있으며,
상기 제2 면에서 저면에 이르는 상기 고정 나사를 삽입하는 공간의 외주는, 상기 케이스에 의해 둘러싸여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로 차단기.
A case having a power side terminal plate on which a screw hole is formed and a load side terminal plate on which a screw hole is formed,
A fastening terminal unit for fastening the electric wire to a unit is formed as a unit and a wire insertion hole is formed in a first surface and a second surface opposite to the first surface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power source side terminal plate or the load side terminal plate And a quick-connect terminal unit having a connection surface to be connected,
Wherein the connecting surface is laminated on the power source side terminal plate (upper side) or the load side terminal plate (upper side), and a fixing screw is inserted from the side of the power source side terminal plate or the load side terminal plate to connect the power source side terminal plate, And is configured to insert a wire into the wire insertion hole from the side of the operation face plate,
The quick-charge terminal unit includes:
Wherein when the case is fixed to the case, there is no part protruding from the outer shape of the case,
A third surface between the first surface and the second surface is opposed to the SOHO device,
Wherein the first face is lower than the operating face plate, and an exhaust port of the SOH apparatus is formed between the first face of the quick-connect terminal unit and the operating face plate,
The fastening terminal unit may be configured such that the outside is covered by two cases that are divided so as to divide the first surface, the third surface and the second surface into two, and the two cases are arranged in a direction Which is fastened by a mounting screw,
And an outer periphery of a space for inserting the fixing screw from the second surface to the bottom surface is surrounded by the cas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속결 단자 유닛에는, 삽입된 전선의 고정을 해제하기 위한 전선 해제 레버가 상기 조작면판의 측으로부터 조작하도록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로 차단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quick-release terminal unit is provided with an electric wire release lever for releasing the inserted electric wire from the side of the operation face plate.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속결 단자 유닛은 1상분(相分)의 접속에 상당하며, 상(相)마다 독립하여 장착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로 차단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Wherein the quick-connect terminal unit corresponds to a connection of one phase and is mountable independently for each phase.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속결 단자 유닛은, 상기 전원측 단자판 및 상기 부하측 단자판 중 어느 것에도 공통으로 장착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로 차단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Wherein the quick-release terminal unit is commonly mountable to both the power-source-side terminal plate and the load-side terminal plate.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조작면판의 측으로부터 검전(檢電)하는 검전 구멍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로 차단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And a detection hole for detecting electric power from the side of the operating face plate.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조작면판의 측으로부터 검전(檢電)하는 검전 구멍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로 차단기.
The method of claim 3,
And a detection hole for detecting electric power from the side of the operating face plate.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조작면판의 측으로부터 검전(檢電)하는 검전 구멍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로 차단기.
The method of claim 4,
And a detection hole for detecting electric power from the side of the operating face plate.
KR1020170111866A 2015-06-29 2017-09-01 Circuit breaker KR101868753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5-129641 2015-06-29
JP2015129641A JP6409694B2 (en) 2015-06-29 2015-06-29 Circuit breaker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31442A Division KR20170002260A (en) 2015-06-29 2015-09-17 Circuit break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04131A KR20170104131A (en) 2017-09-14
KR101868753B1 true KR101868753B1 (en) 2018-06-18

Family

ID=57650518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31442A KR20170002260A (en) 2015-06-29 2015-09-17 Circuit breaker
KR1020170111866A KR101868753B1 (en) 2015-06-29 2017-09-01 Circuit breaker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31442A KR20170002260A (en) 2015-06-29 2015-09-17 Circuit breaker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6409694B2 (en)
KR (2) KR20170002260A (en)
CN (1) CN106298383A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041610A (en) * 2006-08-10 2008-02-21 Mitsubishi Electric Corp Circuit breaker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21595U (en) * 1982-07-31 1984-02-09 岩崎電気株式会社 Socket with quick connection terminal
JPS639768U (en) * 1986-07-07 1988-01-22
JP3433631B2 (en) * 1996-12-19 2003-08-04 松下電工株式会社 Quick connection terminal device
JP4147347B2 (en) * 2003-03-11 2008-09-10 富士電機機器制御株式会社 Circuit breaker for wiring
JP5538650B2 (en) * 2010-10-20 2014-07-02 三菱電機株式会社 Circuit breake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101241561B1 (en) * 2011-07-06 2013-03-11 윤흥식 Terminal block
CN202196725U (en) * 2011-09-06 2012-04-18 施耐德电器工业公司 Plug-in circuit breaker and plug-in base used for plug-in circuit breaker
KR101522268B1 (en) * 2013-11-06 2015-05-21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Circuit braker
CN104979141B (en) * 2014-04-08 2017-09-26 三菱电机株式会社 Breaker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041610A (en) * 2006-08-10 2008-02-21 Mitsubishi Electric Corp Circuit break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04131A (en) 2017-09-14
JP2017016767A (en) 2017-01-19
CN106298383A (en) 2017-01-04
JP6409694B2 (en) 2018-10-24
KR20170002260A (en) 2017-01-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814133B1 (en) Circuit breaking apparatus
KR20080059503A (en) Earth leakage circuit breaker
JP6103489B2 (en) Arc extinguishing mechanism of DC switch, DC switch and DC circuit breaker having the arc extinguishing mechanism
JP2007317361A (en) Earth leakage circuit breaker
WO2015084711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ensing the status of a circuit interrupter
JP2007115572A (en) Switch for withstand voltage test and earth leakage breaker
KR102053070B1 (en) Rotary double breakpoint switch contact system connection improvement structure
KR20220115910A (en) Vacuum circuit breaker equipped with a function of realtime monitoring and the monitoring method
KR20150052648A (en) Circuit braker
JP4507944B2 (en) Earth leakage breaker
KR101868753B1 (en) Circuit breaker
JP2010009919A (en) Earth leakage breaker
EP3690907A1 (en) Narrow profile circuit breaker with arc interruption
EP3379553B1 (en) Circuit breaker including single pole breaking unit
EP3242302A1 (en) Current limiting device of circuit breaker
JP2013008613A (en) Plug-in connection device of switch
CA2934037C (en) Electrical switching apparatus and housing assembly therefor
KR20140091934A (en) Current limiting apparatus of molded case circut breaker
KR20180113899A (en) Circuit breaker
JP2014056730A (en) Dc switch and dc breaker
JP2009296827A (en) Current-test terminal device
JP6412368B2 (en) DC circuit breaker
KR200487464Y1 (en) Molded Case Circuit Breaker
KR101373933B1 (en) Circuit breaker
KR200430940Y1 (en) Instant trip controller for molded case circuit break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