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68556B1 - 영상 표시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 Google Patents
영상 표시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868556B1 KR101868556B1 KR1020160142154A KR20160142154A KR101868556B1 KR 101868556 B1 KR101868556 B1 KR 101868556B1 KR 1020160142154 A KR1020160142154 A KR 1020160142154A KR 20160142154 A KR20160142154 A KR 20160142154A KR 101868556 B1 KR101868556 B1 KR 101868556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target service
- service
- information
- display device
- video display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2—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 H04N21/47202—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for requesting content on demand, e.g. video on demand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5—End-user interface for inputting end-user data, e.g. personal identification number [PIN], preference data
- H04N21/4755—End-user interface for inputting end-user data, e.g. personal identification number [PIN], preference data for defining user preferences, e.g. favourite actors or genre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82—End-user interface for program selection
- H04N21/4823—End-user interface for program selection using a channel name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85—End-user interface for client configur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디스플레이부,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 방송 신호 수신부, 프로세서, 메모리, 및 메모리에 저장되고,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들을 포함하고,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들은, 방송 신호 수신부를 통해 수신된 방송 신호를 기반으로 소정의 서비스를 제공하고, 방송 신호로부터 소정의 서비스와 관련된 서비스 연결 정보(Service Linkage Information)를 독출하고, 독출된 서비스 연결 정보와 영상 표시 장치의 사양에 기초하여, 소정의 서비스와 연결된 타겟 서비스의 제공 가능 여부를 결정하며, 타겟 서비스의 제공 가능 여부에 따라 타겟 서비스의 실행과 관련된 오브젝트를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도록 제어하기 위한 인스트럭션들을 포함하는 영상 표시 장치가 개시된다.
Description
다양한 실시예들은 영상 표시 장치 및 그 동작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현재 서비스와 연결된 타겟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영상 표시 장치 및 그 동작방법에 관한 것이다.
영상 표시 장치는 사용자가 시청할 수 있는 영상을 표시하는 기능을 갖춘 장치이다. 사용자는 영상 표시 장치를 통하여 방송을 시청할 수 있다. 영상 표시 장치는 방송국에서 송출되는 방송 신호 중 사용자가 선택한 방송을 디스플레이에 표시한다.
또한, 방송 기능에 더하여 다양한 컨텐츠를 제공하는 스마트 티브이가 제공되고 있다. 스마트 티브이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수동적으로 동작하는 것이 아니라, 사용자의 조작 없이도 사용자가 원하는 것을 분석하여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한편, 디지털 방송 규격인 ATSC 1.0에서는 현재 서비스와 연관된 다른 서비스에 대한 정보를 기술하는 사양이 없다. 이에 따라, 현재 프로그램이 연장되는 경우, 방송사는 현재 프로그램을 계속해서 송출하거나, 현재 프로그램을 중단하고 다음 프로그램을 송출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사용자의 선택권 없이 방송사 임의로 프로그램을 선택하여 송출하기 때문에, 사용자에게는 어떤 프로그램을 시청할 지에 대한 선택의 기회가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은, 현재 서비스에 연결된 타겟 서비스의 제공 가능 여부를 결정하고, 제공 가능한 경우에만, 타겟 서비스를 선택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영상 표시 장치 및 그 동작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표시 장치는, 디스플레이부,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 방송 신호 수신부, 프로세서, 메모리, 및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고,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들을 포함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들은, 상기 방송 신호 수신부를 통해 수신된 상기 방송 신호를 기반으로 소정의 서비스를 제공하고, 상기 방송 신호로부터 상기 소정의 서비스와 관련된 서비스 연결 정보(Service Linkage Information)를 독출하고, 상기 독출된 서비스 연결 정보와 상기 영상 표시 장치의 사양에 기초하여, 상기 소정의 서비스와 연결된 타겟 서비스의 제공 가능 여부를 결정하며, 상기 타겟 서비스의 제공 가능 여부에 따라 상기 타겟 서비스의 실행과 관련된 오브젝트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도록 제어하기 위한 인스트럭션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표시 장치의 동작 방법은,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방송 신호로부터, 상기 방송 신호를 기반으로 제공되는 소정의 서비스와 관련된 서비스 연결 정보(Service Linkage Information)를 독출하는 단계, 상기 독출된 서비스 연결 정보와 상기 영상 표시 장치의 사양에 기초하여, 상기 소정의 서비스와 연결된 타겟 서비스의 제공 가능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타겟 서비스의 제공 가능 여부에 따라 상기 타겟 서비스의 실행과 관련된 오브젝트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표시 장치는, 타겟 서비스가 제공 가능한 경우에만, 타겟 서비스의 실행과 관련된 오브젝트를 표시하고, 타겟 서비스를 제공할 수 없는 경우에는, 타겟 서비스의 실행과 관련된 오브젝트를 표시하지 않으므로, 사용자에게 혼동을 일으키지 않을 수 있다.
서비스 연결에 대한 불필요한 정보를 제공하지 않으므로, 사용자의 이용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표시 장치에서 연결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 는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표시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영상 표시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4 내지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표시 장치가 타겟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들이다.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표시 장치가 타겟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9 및 10은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표시 장치가 타겟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참조되는 도면들이다.
도 1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표시 장치가 서비스 연결을 위한 가이드 메시지를 표시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 2 는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표시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영상 표시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4 내지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표시 장치가 타겟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들이다.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표시 장치가 타겟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9 및 10은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표시 장치가 타겟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참조되는 도면들이다.
도 1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표시 장치가 서비스 연결을 위한 가이드 메시지를 표시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참조되는 도면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에 대해 간략히 설명하고, 본 발명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실시예들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표시 장치에서 연결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영상 표시 장치(100)는 TV일 수 있으나, 이는 일 실시예에 불과하며, 방송 신호를 수신하고, 방송 신호에 기초하여 영상을 표시할 수 있는 전자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영상 표시 장치(100)는 휴대폰, 태블릿 PC, 디지털 카메라, 캠코더,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태블릿 PC, 데스크탑, 전자책 단말기, 디지털 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MP3 플레이어, 착용형 기기(wearable device) 등과 같은 다양한 전자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특히, 실시예들은 TV와 같이 디스플레이가 대형인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용이하게 구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영상 표시 장치(100)는 고정형 또는 이동형일 수 있으며, 디지털 방송 수신이 가능한 디지털 방송 수신기일 수 있다. 또한, 영상 표시 장치(100)는 평면(flat) 디스플레이 장치뿐만 아니라, 곡률을 가지는 화면인 곡면(curved) 디스플레이 장치 또는 곡률을 조정 가능한 가변형(flexible) 디스플레이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영상 표시 장치(100)의 출력 해상도는 예를 들어, HD(High Definition), Full HD, Ultra HD, 또는 Ultra HD 보다 더 선명한 해상도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서 사용자라는 용어는 제어 장치를 이용하여 영상 표시 장치(100)의 기능 또는 동작을 제어하는 사람을 의미하며, 시청자, 관리자 또는 설치 기사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표시 장치(100)에서 제공되는 서비스는 적어도 하나의 컴포넌트들을 포함할 수 있다. 서비스는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미디어 컴포넌트들의 모음으로 컴포넌트들은 다양한 형식의 미디어일 수 있다. 또한, 하나의 서비스는 연속적 또는 간헐적으로 제공될 수 있고, 실시간 또는 비 실시간으로 제공될 수 있다. 실시간 서비스는 일련의 TV 프로그램들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는 방송 서비스를 포함할 수 있으며, 방송 서비스는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 컴포넌트들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을 참조하면, 영상 표시 장치(100)는 제1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으며, 제1 서비스는 제1 컨텐츠 컴포넌트 및 제2 컨텐츠 컴포넌트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1 컨텐츠 컴포넌트는, 야구 방송 프로그램에 대응하고, 제2 컨텐츠 컴포넌트는 뉴스 방송 프로그램에 대응할 수 있다.
영상 표시 장치(100)는 제1 서비스에 대한 서비스 연결 정보(Service Linkage Information)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영상 표시 장치(100)는 방송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방송 신호로부터, 방송 신호를 기반으로 제공되는 소정의 서비스와 관련된 서비스 연결 정보를 독출할 수 있다.
서비스 연결 정보는, 제1 서비스와 연결된 연결 서비스(타겟 서비스)에 대한 정보(예를 들어, 타겟 서비스의 BSID(Broadcast Service ID) 정보, 타겟 서비스 ID 정보를 포함할 수 있음), 타겟 서비스로 연결 가능한 시간(예를 들어, 활성화 시간 및 비 활성화 시간을 포함할 수 있음), 연결의 종류(link type), 타겟 서비스의 제공 경로 정보(예를 들어, 타겟 서비스가 방송망으로 제공되는지, 인터넷망으로 제공되는지에 대한 정보), 타겟 서비스를 재생하기 위해 요구되는 수신기의 캐퍼빌리티(capability)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영상 표시 장치(100)는 서비스 계층 시그널링(SLS:Serivce Layer Signaling)을 수신하고, 서비스 계층 시그널링(SLS)으로부터 서비스 연결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영상 표시 장치(100)는 서비스 계층 시그널링(SLS)에 포함되는 USBD(User Service Bundle Description) 프래그먼트 내의 서비스 연결(service linkage) 엘리먼트에 기초하여, 서비스 연결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서비스에서 방송 중인 야구 경기가 연장되는 경우라도, 제1 서비스의 방송 편성 스케쥴에 따라, 야구 방송 프로그램은 종료된다. 이때, 방송국은 연장된 야구 방송 프로그램을 제1 서비스와 다른 제2 서비스에서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서비스에서 오후 5시부터 오후 7시까지 야구 방송을, 오후 7시부터 오후 8시까지 뉴스 방송을 제공하는 것으로 편성되어 있는 경우, 오후 7시 이후에 진행되는 야구 방송은 제1 서비스와 다른 제2 서비스에서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표시 장치(100)는 제1 서비스에 대한 서비스 연결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이때, 제1 서비스에 대한 서비스 연결 정보에는, 제1 서비스와 연결된 제2 서비스에 대한 정보(예를 들어, 제2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송 서비스 식별 정보(BSID), 제2 서비스 식별 정보), 제2 서비스로 연결 가능한 시간 정보(활성화 시간 및 비 활성화 시간 포함), 연결 종류, 제2 서비스의 제공 경로 정보, 제2 서비스의 컨텐츠를 재생하기 위해 요구되는 수신기의 캐퍼빌리티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영상 표시 장치(100)는 제2 서비스로 연결 가능한 시간(T1) 동안 제1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화면에, 제2 서비스로 전환할 수 있는 오브젝트(50)를 포함하는UI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영상 표시 장치(100)는 제2 서비스로의 전환 입력을 수신하면, 제1 서비스를 제2 서비스로 전환하고, 제2 서비스에서 연장된 야구 방송을 제공할 수 있다.
반면에, 제2 서비스로의 전환 입력이 수신되지 않고, 제2 서비스로 연결 가능한 시간이 초과되면, 영상 표시 장치(100)는 제2 서비스로 전환할 수 있는 UI 화면 표시를 종료할 수 있다. 또한, 영상 표시 장치(100)는 제1 서비스의 방송 편성 스케쥴에 따라, 뉴스 방송을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제2 서비스로의 전환 입력이 수신되는 경우에도, 영상 표시 장치의 사양이 제2 서비스(타겟 서비스)의 제공 사양에 맞지 않으면, 제2 서비스를 제공할 수 없는 경우가 발생한다. 이러한 경우, 제2 서비스로 전환할 수 없으며, 영상 표시 장치 사용자에게 혼동을 일으킬 수 있다
도 2 는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표시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표시 장치(100)는 프로세서(120), 디스플레이부(130) 및 메모리(140)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부(130)는, 프로세서(120)에서 처리된 영상 신호, 데이터 신호, OSD 신호, 제어 신호 등을 변환하여 구동 신호를 생성한다. 디스플레이부(130)는 PDP, LCD, OLED,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등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또한,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부(130)는, 터치 스크린으로 구성되어 출력 장치 이외에 입력 장치로 사용되는 것도 가능하다.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부(130)는 현재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컨텐츠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현재 서비스에 연결된 타겟 서비스가 영상 표시 장치(100)에서 제공 가능한 경우, 디스플레이부(130)는 타겟 서비스를 나타내는 오브젝트를 표시할 수 있다. 타겟 서비스를 나타내는 오브젝트는 타겟 서비스의 실행과 관련된 오브젝트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130)는 타겟 서비스로의 전환을 나타내는 아이콘 등을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연결 아이콘이 선택되면, 현재 서비스가 타겟 서비스로 전환되고, 디스플레이부(130)는 전환된 타겟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컨텐츠를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120)는 메모리(140)에 저장되는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들을 실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싱글 코어, 듀얼 코어, 트리플 코어, 쿼드 코어 및 그 배수의 코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20)는 복수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20)는 메인 프로세서(main processor, 도시되지 아니함) 및 슬립 모드(sleep mode)에서 동작하는 서브 프로세서(sub processor, 도시되지 아니함)로 구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메모리(140)는 영상 표시 장치(100)를 구동하고 제어하기 위한 다양한 데이터, 프로그램 또는 어플리케이션을 저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메모리(140)는 검색된 채널들을 저장하는 채널 데이터 베이스를 포함할 수 있으며, 영상 표시 장치(100)의 사양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140)에 저장되는 프로그램은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들을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140)에 저장된 프로그램(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들) 또는 어플리케이션은 프로세서(120)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120)는 현재 서비스에 대한 서비스 연결 정보를 수신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수신된 방송 신호로부터, 방송 신호를 기반으로 제공되는 소정의 서비스와 관련된 서비스 연결 정보를 독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20)는 서비스에 대한 서비스 계층 시그널링(SLS: Service Layer Signaling)을 수신하고, 상기 SLS에 포함되는 USBD(User Service Bundle Description) 프래그먼트로부터 서비스 연결 정보를 획득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20)는 수신한 서비스 연결 정보와 영상 표시 장치의 사양에 기초하여, 현재 서비스와 연결된 타겟 서비스의 제공 가능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연결 정보는, 타겟 서비스의 BSID(Broadcast Service ID) 정보, 타겟 서비스의 식별 정보, 타겟 서비스의 전송 경로 정보, 타겟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요구되는 수신기의 캐퍼빌리티(capability)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타겟 서비스의 제공 가능 여부에 따라 타겟 서비스의 실행과 관련된 오브젝트를 디스플레이부(130)에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20)는 타겟 서비스를 영상 표시 장치에서 제공 가능한 경우, 타겟 서비스의 실행과 관련된 오브젝트를 표시하고, 타겟 서비스를 영상 표시 장치에서 제공할 수 없는 경우, 타겟 서비스의 실행과 관련된 오브젝트를 표시하지 않도록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타겟 서비스의 BSID 정보 및 타겟 서비스의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타겟 서비스 채널이 영상 표시 장치의 채널 데이터 베이스에 존재하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채널 데이터 베이스에 타겟 서비스 채널이 존재하는 경우, 프로세서(120)는 타겟 서비스의 실행과 관련된 오브젝트를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반면에 타겟 서비스 채널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프로세서(120)는 타겟 서비스 채널을 검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프로세서(120)는 타겟 서비스 채널이 검색되지 않는 경우, 타겟 서비스의 실행과 관련된 오브젝트를 표시하지 않도록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타겟 서비스의 전송 경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타겟 서비스가 방송망으로 제공되는지, 인터넷망으로 제공되는지를 결정하고, 타겟 서비스가 인터넷망으로 제공되고, 영상 표시 장치가 인터넷망에 연결되어 있는 경우, 타겟 서비스의 실행과 관련된 오브젝트를 상기 디스플레이부(130)에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비디오에 대응되는 그래픽 처리를 위한 그래픽 프로세서(Graphic Processing Unit, 도시되지 아니함)를 포함할 수 있다. 그래픽 프로세서는 아이콘, 이미지, 텍스트 등과 같은 다양한 객체를 포함하는 화면을 생성할 수 있으며, 생성된 화면은 디스플레이부(130)에 표시될 수 있다.
도 3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영상 표시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의 영상 표시 장치(200)는 도 1의 영상 표시 장치(100)의 일 실시예일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표시 장치(200)는 튜너부(210), 제어부(220), 디스플레이부(230), 통신부(250), 감지부(260), 비디오 처리부(270), 저장부(24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의 프로세서(120)는 도 3의 제어부(210)에, 도 2의 메모리(140)는 도 3의 저장부(290)에, 도 2의 디스플레이부(130)는 도 3의 디스플레이부(220)에 각각 대응될 수 있다. 도 2에서 설명한 내용과 동일한 내용은 도 3에서 생략하기로 한다.
통신부(250)는 제어부(210)의 제어에 의해 외부 장치 또는 서버와 데이터 또는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제어부(210)는 통신부(250)를 통해 연결된 외부 장치로 컨텐츠를 송/수신, 외부 장치로부터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을 다운로드 하거나 또는 웹 브라우징을 할 수 있다. 통신부(251)는 영상 표시 장치(200)의 성능 및 구조에 대응하여 무선랜(예를 들어, 와이- 파이(Wi-Fi)), 블루투스, 및 유선 이더넷(Ethernet) 중 적어도 하나의 방식으로 데이터 또는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부(250)는 타겟 서비스의 제공 경로가 인터넷 망인 경우, 타겟 서비스의 컨텐츠를 다운로드할 수 있다.
튜너부(240)는 유선 또는 무선으로 수신되는 방송 신호를 증폭(amplification), 혼합(mixing), 공진(resonance)등을 통하여 많은 전파 성분 중에서 영상 표시 장치(100)에서 수신하고자 하는 채널의 주파수만을 튜닝(tuning)시켜 선택할 수 있다. 방송 신호는 오디오(audio), 비디오(video) 및 부가 정보(예를 들어, ESG, EPG 등)를 포함한다.
튜너부(240)는 사용자 입력(예를 들어, 제어 장치(300)로부터 수신되는 제어 신호, 예컨대, 채널 번호 입력, 채널의 업/다운(up/down) 입력 및 EPG 화면에서 채널 입력)에 따라 채널 번호에 대응되는 주파수 대역에서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튜너부(240)는 지상파 방송, 케이블 방송, 위성 방송, 인터넷 방송 등과 같이 다양한 소스로부터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튜너부(240)는 아날로그 방송 또는 디지털 방송 등과 같은 소스로부터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도 있다.
비디오 처리부(280)는, 영상 표시 장치(200)가 수신한 비디오 데이터에 대한 처리를 수행한다. 비디오 처리부(280)에서는 비디오 데이터에 대한 디코딩, 스케일링, 노이즈 필터링, 프레임 레이트 변환, 해상도 변환 등과 같은 다양한 이미지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감지부(260)는 사용자의 음성, 사용자의 영상 또는 사용자의 인터랙션을 감지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감지부(260)는 타겟 서비스로의 전환을 나타내는 아이콘을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을 감지할 수 있다.
제어부(220)는 영상 표시 장치(200)의 전반적인 동작 및 영상 표시 장치(200)의 내부 구성 요소들 사이의 신호 흐름을 제어하고, 데이터를 처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제어부(220)는 사용자의 입력이 있거나 기 설정되어 저장된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저장부(240)에 저장된 OS(Operation System) 및 다양한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다.
저장부(290)는 제어부(210)의 제어에 의해 영상 표시 장치(200)를 구동하고 제어하기 위한 다양한 데이터, 프로그램 또는 어플리케이션을 저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저장부(240)는, 검색된 채널들을 저장하는 채널 데이터 베이스를 포함할 수 있으며, 영상 표시 장치(100)의 사양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한편, 도 2 및 3에 도시된 영상표시장치(100, 200)의 블록도는 일 실시예를 위한 블록도이다. 블록도의 각 구성요소는 실제 구현되는 영상표시장치(100, 200)의 사양에 따라 통합, 추가, 또는 생략될 수 있다. 즉, 필요에 따라 2 이상의 구성요소가 하나의 구성요소로 합쳐지거나, 혹은 하나의 구성요소가 2 이상의 구성요소로 세분되어 구성될 수 있다. 또한, 각 블록에서 수행하는 기능은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그 구체적인 동작이나 장치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제한하지 아니한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표시 장치가 타겟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표시 장치(100)는 서비스 연결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S410).
예를 들어, 영상 표시 장치(100)는 방송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방송 신호로부터, 방송 신호를 기반으로 제공되는 소정의 서비스와 관련된 서비스 연결 정보를 독출할 수 있다.
또한, 영상 표시 장치(100)는 방송망 또는 브로드 밴드(인터넷 망)를 통하여, 서비스 연결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표시 장치(100)는 서비스 계층 시그널링(SLS:Serivce Layer Signaling)을 수신하고, 서비스 계층 시그널링(SLS)으로부터 서비스 연결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영상 표시 장치(100)는 서비스 계층 시그널링(SLS)에 포함되는 USBD(User Service Bundle Description) 프래그먼트 내의 서비스 연결(service linkage) 엘리먼트에 기초하여, 서비스 연결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표시 장치(100)는 서비스 연결 정보 및 영상 표시 장치의 사양에 기초하여, 영상 표시 장치에서 현재 서비스와 연결된 타겟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지 결정할 수 있다(S420).
예를 들어, 영상 표시 장치(100)는 타겟 서비스를 제공하는 채널 정보, 타겟 서비스의 전송 경로 정보, 타겟 서비스에 포함되는 컨텐츠를 재생하기 위해 요구되는 수신기의 캐퍼빌리티 등에 기초하여, 타겟 서비스의 제공 가능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5 내지 도 7의 흐름도를 참조하여,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한편, 영상 표시 장치(100)에서 타겟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경우, 영상 표시 장치(100)는 타겟 서비스를 나타내는 오브젝트를 표시할 수 있다(S430). 타겟 서비스를 나타내는 오브젝트는 타겟 서비스의 실행과 관련된 오브젝트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타겟 서비스로의 전환을 나타내는 아이콘을 표시하거나, 타겟 서비스가 존재함을 나타내는 메시지 등을 표시할 수 있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표시 장치가 타겟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표시 장치(100)는 서비스 계층 시그널링(SLS)를 수신할 수 있다(S510).
서비스 계층 시그널링은 지상파 UHDTV 방송 수신기가 지상파 UHDTV 방송 서비스와 컴포넌트들을 발견하고 획득할 수 있도록 하는 구체적이고 기술적인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서비스 계층 시그널링은 서비스마다 부여되며, 해당 서비스의 특징들, 예를 들어, 서비스를 구성하는 컴포넌트들의 목록, 각 컴포넌트를 획득하기 위해 필요한 정보와 서비스를 재생하기 위해 요구되는 수신기 캐퍼빌리티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계층 시그널링은 서비스 간 연결성 정보를 나타내는 연결 서비스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표시 장치(100)는 서비스 계층 시그널링에 서비스 연결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지 확인할 수 있다(S520).
예를 들어, 서비스 연결 정보는, 서비스 계층 시그널링에 포함되는 USBD(User Service Bundle Description) 프래그먼트 내의 서비스 연결(service linkage) 엘리먼트로 포함될 수 있다. 서비스 연결 정보는, 해당 서비스와 연결된 타겟 서비스 정보, 타겟 서비스로 연결 가능한 시간, 연결의 종류(link type), 타겟 서비스의 전송 경로 정보, 타겟 서비스를 재생하기 위해 요구되는 수신기의 캐퍼빌리티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표시 장치(100)는 타겟 서비스 정보에 포함되는 타겟 서비스의 타겟 서비스의 BSID(Broadcast Service ID) 정보, 타겟 서비스 ID 정보에 기초하여, 타겟 서비스에 해당하는 채널이 영상 표시 장치의 채널 데이터 베이스 내에 포함되어 있는지를 결정할 수 있다(S530).
타겟 서비스에 해당하는 채널이 영상 표시 장치(100)의 채널 데이터 베이스 내에 포함되어 있는 경우, 영상 표시 장치(100)는 타겟 서비스를 나타내는 오브젝트를 표시할 수 있다(S540).
타겟 서비스를 나타내는 오브젝트는 타겟 서비스의 실행과 관련된 오브젝트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타겟 서비스로의 전환을 나타내는 아이콘을 표시하거나, 타겟 서비스가 존재함을 나타내는 메시지 등을 표시할 수 있다.
반면에, 해당하는 채널이 영상 표시 장치(100)의 채널 데이터 베이스 내에 포함되어 있지 않은 경우, 영상 표시 장치(100)는 타겟 서비스 채널을 검색할 수 있으며(S550), 타겟 서비스 채널이 검색되는 경우, 해당 채널을 채널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하고, 타겟 서비스를 나타내는 오브젝트를 표시할 수 있다(S540).
한편, 타겟 서비스 채널이 검색되지 않는 경우, 영상 표시 장치(100)는 타겟 서비스를 나타내는 오브젝트를 표시하지 않고, 타겟 서비스를 제공할 수 없다는 메시지를 표시할 수 있다(S560).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표시 장치가 타겟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표시 장치(100)는 서비스 계층 시그널링을 수신할 수 있으며(S610), 서비스 계층 시그널링에 서비스 연결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지 확인할 수 있다(S620). 610 단계(S610) 및 620 단계(S620)는 도 5의 510 단계(S510) 및 520 단계(S520)에 각각 대응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표시 장치(100)는 서비스 연결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 서비스 연결 정보 내에 포함된 타겟 서비스의 전송 경로 정보에 기초하여, 타겟 서비스가 방송망을 통해 전송되는지, 인터넷 망을 통해 전송되는지 판단할 수 있다(S630). 이때, 타겟 서비스의 전송 경로 정보는, 서비스 연결 정보 내에 포함된 엘리먼트들 중 broadcastAcessRequired 엘리먼트에 기술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타겟 서비스가 방송망을 통해 전송되는 경우, 영상 표시 장치(100)는 타겟 서비스를 나타내는 오브젝트를 표시할 수 있다(S650).
반면에, 타겟 서비스가 인터넷 망을 통해 제공되는 경우, 영상 표시 장치(100)는 영상 표시 장치(100)가 현재 인터넷에 연결 되어있는지 확인하고(S640), 인터넷에 연결되어 있는 경우, 타겟 서비스를 나타내는 오브젝트를 표시할 수 있다(S650).
한편, 영상 표시 장치(100)가 인터넷에 연결되어 있지 않은 경우, 영상 표시 장치(100)는, 영상 표시 장치(100)가 인터넷 연결을 지원하는 기기인 경우, 인터넷을 연결하라는 가이드 메시지를 표시할 수 있다(S670).
또는, 영상 표시 장치가 인터넷 연결을 지원하지 않는 기기인 경우, 영상 표시 장치(100)는 연결 서비스를 제공할 수 없음을 나타내는 메시지를 표시할 수 있다(S680).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표시 장치가 타겟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표시 장치(100)는 서비스 계층 시그널링을 수신할 수 있으며(S615), 서비스 계층 시그널링에 서비스 연결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지 확인할 수 있다(S625). 615 단계(S615) 및 625 단계(S625)는 도 5의 510 단계(S510) 및 520 단계(S520)에 각각 대응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표시 장치(100)는 서비스 연결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 타겟 서비스를 나타내는 오브젝트를 표시할 수 있다(S635).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표시 장치(100)는 서비스 연결 정보 내에 포함된 타겟 서비스의 전송 경로 정보에 기초하여, 타겟 서비스가 방송망을 통해 전송되는지, 인터넷 망을 통해 전송되는지 판단할 수 있다(S645). 이때, 타겟 서비스의 전송 경로 정보는, 서비스 연결 정보 내에 포함된 엘리먼트들 중 broadcastAcessRequired 엘리먼트에 기술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타겟 서비스가 방송망을 통해 전송되는 경우, 영상 표시 장치(100)는 영상 표시 장치(100)가 현재 인터넷에 연결 되어있는지 확인할 수 있다(S655). 영상 표시 장치(100)가 인터넷에 연결되어 있지 않은 경우, 영상 표시 장치(100)는, 영상 표시 장치(100)가 인터넷 연결을 지원하는 기기인지 확인할 수 있다(S665).
영상 표시 장치(100)가 인터넷 연결을 지원하는 기기인 경우, 인터넷을 연결하라는 가이드 메시지를 표시할 수 있다(S675). 반면에, 영상 표시 장치가 인터넷 연결을 지원하지 않는 기기인 경우, 영상 표시 장치(100)는 연결 서비스를 제공할 수 없음을 나타내는 메시지를 표시할 수 있다(S685).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표시 장치가 타겟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표시 장치(100)는 서비스 계층 시그널링을 수신할 수 있으며(S710), 서비스 계층 시그널링에 서비스 연결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지 확인할 수 있다(S720). 710 단계(S710) 및 720 단계(S720)는 도 5의 510 단계(S510) 및 520 단계(S520)에 각각 대응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표시 장치(100)는 서비스 연결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 서비스 연결 정보 내에 포함된 타겟 서비스를 재생하기 위해 요구되는 캐패빌리티 정보(서비스 캐퍼빌리티 정보)를 영상 표시 장치의 사양과 비교할 수 있다(S730). 이때, 서비스 연결 정보 내에 포함된 서비스 캐퍼빌리티 정보는, 서비스 연결 정보 내에 포함된 엘리먼트들 중 svcCapabilites 엘리먼트에 기술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서비스 캐퍼빌리티 정보는, 타겟 서비스의 컨텐츠를 디코딩하여, 유효하게 표현하기 위해 요구되는 캐퍼빌리티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타겟 서비스의 컨텐츠의 해상도 정보, 타겟 서비스의 컨텐츠에 대한 코덱(codec) 정보, 타겟 서비스의 컨텐츠를 다운로드하기 위한 프로토콜 정보, 타겟 서비스의 컨텐츠를 다운로드하기 위한 인터넷 속도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표시 장치(100)는 영상 표시 장치의 사양이 타겟 서비스의 컨텐츠를 디코딩하여, 유효하게 표현하기 위해 요구되는 캐퍼빌리티를 만족하는 경우, 타겟 서비스를 나타내는 오브젝트를 표시할 수 있다(S740).
반면에, 영상 표시 장치의 사양이 타겟 서비스의 컨텐츠를 디코딩하여, 유효하게 표현하기 위해 요구되는 캐퍼빌리티를 만족하지 못하는 경우, 타겟 서비스를 나타내는 오브젝트를 표시하지 않을 수 있다. 또는, 연결 서비스를 제공할 수 없다는 메시지를 표시할 수 있다(S750). 예를 들어, 타겟 서비스의 컨텐츠의 해상도는, 8K UHD(Ultra High Difinition)인데, 영상 표시 장치의 출력 해상도는 4K UHD인 경우, 영상 표시 장치(100)는 타겟 서비스를 나타내는 오브젝트를 표시하지 않을 수 있다.
한편, 도 5 내지 8에서는, 타겟 서비스 채널이 영상 표시 장치에 저장되거나 검색되는지 여부, 타겟 서비스가 인터넷망으로 제공되는 경우, 영상 표시 장치가 인터넷에 연결이 되어있는지 여부, 타겟 서비스의 컨텐츠를 재생하기 위해 요구되는 수신기의 캐퍼빌리티 정보가 영상 표시 장치의 사양에 매칭되는지 여부 각각에 따라, 타겟 서비스를 나타내는 오브젝트를 표시할 지 여부를 결정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타겟 서비스 채널이 저장되거나 검색되며, 타겟 서비스가 방송망으로 제공되거나, 인터넷망으로 제공되더라도 영상 표시 장치가 인터넷망에 연결되어 있으며, 타겟 서비스의 컨텐츠를 재생하기 위해 요구되는 수신기의 캐퍼빌리티 정보가 매칭되는 경우에만 타겟 서비스를 나타내는 오브젝트가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도 9 및 10은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표시 장치가 타겟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참조되는 도면들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표시 장치(100)는 제1 서비스에 대응하는 방송 신호를 수신하여, 수신된 신호를 기초로 생성된 방송 영상을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서비스에서 제1 시간(T1) 동안에 야구 방송이 제공되는 경우, 영상 표시 장치(100)는 야구 방송에 대응하는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도 9의 (a)). 또한, 제1 서비스에서 제2 시간(T2) 동안에 뉴스 방송이 제공되는 경우, 영상 표시 장치(100)는 뉴스 방송에 대응하는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한편, 제2 서비스는 제1 시간(T1) 이후에 진행되는 야구 중계 방송을 제공하기 위하여, 제1 서비스와 연결된 서비스(타겟 서비스)일 수 있다.
영상 표시 장치(100)는 제1 서비스에 대한 서비스 연결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이때, 제1 서비스에 대한 서비스 연결 정보에는, 제2 서비스에 대한 정보(예를 들어, 제2 서비스의 BSID 정보, 제2 서비스의 식별 정보 등), 제2 서비스로 연결 가능한 시간, 연결의 종류, 제2 서비스의 전송 경로 정보, 제2 서비스를 재생하기 위해 요구되는 수신기의 캐퍼빌리티(capability)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영상 표시 장치(100)는 제2 서비스에 대한 정보 및 영상 표시 장치의 사양에 기초하여, 영상 표시 장치(100)에서 제2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5 내지 도 8에서 자세히 설명하였으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영상 표시 장치(100)는 제2 서비스가 영상 표시 장치에서 제공 가능한 서비스인 경우, 제2 서비스로 연결 가능한 시간(T3) 중 제1 서비스에서 야구 방송이 끝나가는 시간 동안 제2 서비스로 전환할 수 있는 오브젝트(810)를 포함하는 UI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도 9의 (b)). 또한, 제2 서비스로 연결 가능한 시간(T3) 중 제1 서비스에서 야구 방송이 종료되고, 뉴스 방송이 진행되는 시간 동안 뉴스 방송 영상에 연결 아이콘(820)을 표시할 수 있다(도 9의 (c)). 또한, 제2 서비스에서 야구 중계 방송이 종료되면(제3 시간(T3) 이후), 제1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뉴스 방송 영상에 연결 아이콘을 표시하지 않을 수 있다.
한편, 영상 표시 장치(100)는 제2 서비스가 영상 표시 장치에서 제공 불가한 서비스인 경우, 제2 서비스로 전환할 수 있는 오브젝트를 포함하는 UI 화면을 표시하지 않고(도 9의 (d)), 연결 서비스를 나타내는 연결 아이콘도 표시하지 않을 수 있다(도 9의 (e)). 예를 들어, 제2 서비스 제공 채널이 영상 표시 장치에 저장되어 있지 않으며, 검색되지 않는 경우, 제2 서비스가 인터넷 망을 통해 제공되는데 영상 표시 장치를 인터넷에 연결할 수 없는 경우, 영상 표시 장치가 제2 서비스의 컨텐츠를 디코딩하여, 유효하게 표시할 수 없는 경우, 타겟 서비스로의 전환을 나타내는 오브젝트를 표시하지 않을 수 있다.
이에 따라, 타겟 서비스를 제공할 수 없는 경우에도 타겟 서비스의 실행과 관련된 오브젝트를 표시함으로써 사용자에게 혼동을 일으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도 10을 참조하면, 연결 아이콘(810)이 표시되는 동안, 영상 표시 장치(100)는 연결 아이콘(810)을 선택하는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영상 표시 장치(100)는 연결 아이콘(810)을 선택하는 입력에 응답하여,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현재 서비스를 타겟 서비스로 전환할지 여부를 묻는 제1 메시지(830)를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제1 메시지(830)는, 제1 타겟 서비스의 연결 가능 시작 시간에 제1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컨텐츠 정보를 포함시킬 수 있다.
영상 표시 장치(100)는 제1 메시지에 포함된 제1 오브젝트(??)를 선택하는 입력을 수신하면, 제1 타겟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컨텐츠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타겟 서비스에서 야구 경기 연장전 방송이 제공되고 있는 경우, 제1 타겟 서비스에 대응하는 방송 신호를 수신하여, 야구 경기 연장전 방송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표시 장치가 서비스 연결을 위한 가이드 메시지를 표시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영상 표시 장치(100)는 수신한 서비스 연결 정보와 영상 표시 장치의 사양에 기초하여, 영상 표시 장치(100)에서 제2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이때, 영상 표시 장치(100)에서 제2 서비스를 제공할 수 없는 경우, 영상 표시 장치(100)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활성화 된 연결 아이콘(910)을 표시할 수 있으며, 가이드 메시지(920)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서비스는 인터넷 망을 통해 제공되며, 영상 표시 장치가 현재 인터넷에 연결되어 있지 않은 경우, 영상 표시 장치(100)는 현재 인터넷이 연결되어 있지 않으며, 제2 서비스를 시청하기 위해서는 인터넷을 연결하라는 가이드 메시지(920)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가이드 메시지에 따라, 영상 표시 장치(100)가 인터넷에 연결이 되면,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영상 표시 장치(100)는 활성화된 연결 아이콘(930)을 표시할 수 있다. 활성화된 연결 아이콘(930)이 표시되면, 사용자는 활성화된 연결 아이콘(930)을 선택하여, 제1 서비스를 제2 서비스로 전환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표시 장치의 동작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이상에서 실시예들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
Claims (20)
- 영상 표시 장치에 있어서,
디스플레이부;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 방송 신호 수신부;
프로세서;
메모리; 및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고,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들을 포함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들은,
상기 방송 신호 수신부를 통해 수신된 상기 방송 신호를 기반으로 소정의 서비스를 제공하고, 상기 방송 신호로부터 상기 소정의 서비스와 관련된 타겟 서비스의 제공 경로 정보를 포함하는 서비스 연결 정보(Service Linkage Information)를 독출하고, 상기 타겟 서비스의 제공 경로 정보와 상기 영상 표시 장치의 네트워크 상태에 기초하여, 상기 소정의 서비스와 연결된 타겟 서비스의 제공 가능 여부를 결정하며, 상기 타겟 서비스의 제공 가능 여부에 따라 상기 타겟 서비스의 실행과 관련된 오브젝트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도록 제어하기 위한 인스트럭션들을 포함하는, 영상 표시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연결 정보는, 상기 타겟 서비스의 BSID(Broadcast Service ID) 정보, 상기 타겟 서비스의 식별 정보, 상기 타겟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요구되는 수신기의 캐퍼빌리티(capability)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하는, 영상 표시 장치.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들은,
상기 타겟 서비스의 BSID 정보 및 상기 타겟 서비스의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타겟 서비스 채널이 상기 영상 표시 장치의 채널 데이터 베이스에 존재하는지 여부를 결정하고, 상기 타겟 서비스 채널이 상기 채널 데이터 베이스에 존재하는 경우, 상기 타겟 서비스의 실행과 관련된 오브젝트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도록 제어하기 위한 인스트럭션들을 포함하는, 영상 표시 장치.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들은,
상기 타겟 서비스 채널이 상기 채널 데이터 베이스에 존재하는지 않는 경우, 상기 타겟 서비스 채널을 검색하도록 제어하기 위한 인스트럭션들을 포함하는 영상 표시 장치.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들은,
상기 타겟 서비스 채널이 검색되지 않는 경우, 상기 타겟 서비스의 실행과 관련된 오브젝트를 표시하지 않도록 제어하기 위한 인스트럭션들을 포함하는 영상 표시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들은,
상기 타겟 서비스의 제공 경로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타겟 서비스가 방송망으로 제공되는지, 인터넷망으로 제공되는지를 결정하고, 상기 타겟 서비스가 인터넷망으로 제공되고, 상기 영상 표시 장치가 인터넷망에 연결되어 있는 경우, 상기 타겟 서비스의 실행과 관련된 오브젝트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도록 제어하기 위한 인스트럭션들을 포함하는, 영상 표시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들은,
상기 타겟 서비스의 제공 경로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타겟 서비스가 방송망으로 제공되는지, 인터넷망으로 제공되는지를 결정하고, 상기 타겟 서비스가 인터넷망으로 제공되고, 상기 영상 표시 장치가 인터넷망에 연결되어 있지 않은 경우, 인터넷 연결을 가이드하는 메시지를 표시하도록 제어하기 위한 인스트럭션들을 포함하는 영상 표시 장치.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들은,
상기 타겟 서비스의 컨텐츠를 재생하기 위해 요구되는 수신기의 캐퍼빌리티 정보가 상기 영상 표시 장치의 사양에 매칭되는 경우, 상기 타겟 서비스의 실행과 관련된 오브젝트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도록 제어하기 위한 인스트럭션들을 포함하는 영상 표시 장치.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들은,
상기 타겟 서비스를 재생하기 위해 요구되는 수신기의 캐패빌리티 정보가 상기 영상 표시 장치의 사양에 매칭되지 않는 경우, 상기 타겟 서비스의 실행과 관련된 오브젝트를 표시하지 않도록 제어하기 위한 인스트럭션들을 포함하는 영상 표시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타겟 서비스를 나타내는 오브젝트는, 상기 타겟 서비스로의 전환을 나타내는 연결 아이콘을 포함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들은,
상기 연결 아이콘을 선택하는 입력을 수신하면, 현재 서비스를 상기 타겟 서비스로 전환하기 위한 인스트럭션들을 포함하는, 영상 표시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들은,
현재 서비스에 대한 서비스 계층 시그널링(SLS: Service Layer Signaling)을 수신하고, 상기 SLS로부터 상기 서비스 연결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인스트럭션들을 포함하는, 영상 표시 장치. -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들은,
상기 SLS에 포함되는 USBD(User Service Bundle Description) 프래그먼트 로부터 상기 서비스 연결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인스트럭션들을 포함하는, 영상 표시 장치. - 영상 표시 장치의 동작 방법에 있어서,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방송 신호로부터, 상기 방송 신호를 기반으로 제공되는 소정의 서비스와 관련된 타겟 서비스의 제공 경로 정보를 포함하는 서비스 연결 정보(Service Linkage Information)를 독출하는 단계;
상기 타겟 서비스의 제공 경로 정보와 상기 영상 표시 장치의 네트워크 상태에 기초하여, 상기 소정의 서비스와 연결된 타겟 서비스의 제공 가능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타겟 서비스의 제공 가능 여부에 따라 상기 타겟 서비스의 실행과 관련된 오브젝트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영상 표시 장치의 동작방법. -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연결 정보는, 상기 타겟 서비스의 BSID(Broadcast Service ID) 정보, 상기 타겟 서비스의 식별 정보, 상기 타겟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요구되는 수신기의 캐퍼빌리티(capability)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하는, 영상 표시 장치의 동작방법. -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타겟 서비스의 제공 가능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타겟 서비스의 BSID 정보 및 상기 타겟 서비스의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타겟 서비스 채널이 상기 영상 표시 장치의 채널 데이터 베이스에 존재하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타겟 서비스의 실행과 관련된 오브젝트를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타겟 서비스 채널이 상기 채널 데이터 베이스에 존재하는 경우, 상기 타겟 서비스의 실행과 관련된 오브젝트를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영상 표시 장치의 동작방법. -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방법은,
상기 타겟 서비스 채널이 상기 채널 데이터 베이스에 존재하는지 않는 경우, 상기 타겟 서비스 채널을 검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타겟 서비스의 실행과 관련된 오브젝트를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타겟 서비스 채널이 검색되는 경우, 상기 타겟 서비스의 실행과 관련된 오브젝트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영상 표시 장치의 동작방법. -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타겟 서비스의 제공 가능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타겟 서비스의 제공 경로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타겟 서비스가 방송망으로 제공되는지, 인터넷망으로 제공되는지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타겟 서비스의 실행과 관련된 오브젝트를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타겟 서비스가 인터넷망으로 제공되고, 상기 영상 표시 장치가 인터넷망에 연결되어 있는 경우, 상기 타겟 서비스의 실행과 관련된 오브젝트를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영상 표시 장치의 동작방법. -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타겟 서비스의 제공 가능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타겟 서비스의 제공 경로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타겟 서비스가 방송망으로 제공되는지, 인터넷망으로 제공되는지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동작방법은,
상기 타겟 서비스가 인터넷망으로 제공되고, 상기 영상 표시 장치가 인터넷망에 연결되어 있지 않은 경우, 인터넷 연결을 가이드하는 메시지를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영상 표시 장치의 동작방법. -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타겟 서비스의 제공 가능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타겟 서비스의 컨텐츠를 재생하기 위해 요구되는 수신기의 캐퍼빌리티 정보가 상기 영상 표시 장치의 사양에 매칭되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타겟 서비스의 실행과 관련된 오브젝트를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캐퍼빌리티 정보가 상기 영상 표시 장치의 사양에 매칭되는 경우, 상기 타겟 서비스의 실행과 관련된 오브젝트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영상 표시 장치의 동작방법. - 제13항의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US15/450,701 US20170272828A1 (en) | 2016-03-17 | 2017-03-06 | Image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US201662309593P | 2016-03-17 | 2016-03-17 | |
US62/309,593 | 2016-03-17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70108780A KR20170108780A (ko) | 2017-09-27 |
KR101868556B1 true KR101868556B1 (ko) | 2018-06-19 |
Family
ID=600365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60142154A KR101868556B1 (ko) | 2016-03-17 | 2016-10-28 | 영상 표시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868556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24071590A1 (ko) * | 2022-09-29 | 2024-04-04 | 삼성전자 주식회사 |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
Family Cites Familie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069530B1 (ko) * | 2003-12-30 | 2011-09-30 | 주식회사 케이티 | 차세대통신망에서 착신 통화로 제어 장치 및 그 방법과, 그를 이용한 멀티미디어 정보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
-
2016
- 2016-10-28 KR KR1020160142154A patent/KR101868556B1/ko active IP Right Gra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70108780A (ko) | 2017-09-2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754676B1 (ko) | 디지털 방송 수신 단말기의 전자 프로그램 가이드 데이터관리 장치 및 방법 | |
KR101539778B1 (ko) | 부팅 중에 사용자에게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 |
KR102387304B1 (ko) |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 |
KR20170087712A (ko) |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 | |
KR20180103504A (ko) | 영상 표시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 |
KR20160078027A (ko) |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디스플레이 방법 | |
KR101868556B1 (ko) | 영상 표시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 |
KR20200038150A (ko) | 디스플레이 장치 및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와 통신하는 서버 | |
KR20100053300A (ko) | 방송 부가정보를 제공하는 방송수신장치 및 그 방법 | |
US20120207443A1 (en) | Video outputting apparatus, video outputting method, and program | |
KR102709173B1 (ko) | 방송 수신 장치 및 그 동작방법 | |
US20090013355A1 (en) | Broadcast scheduling method and broadcast receiving apparatus using the same | |
KR101982152B1 (ko) | 방송 수신 장치에서 방송 서비스와 연동되어 부가 서비스를 제공하는 오브젝트를 처리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 |
US20170272828A1 (en) | Image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 |
CN102802058A (zh) | 信息共享系统、信息共享方法及其电视装置 | |
KR20170118546A (ko) | 영상 표시 장치 및 영상 표시 방법 | |
KR101402081B1 (ko) | 정보 제공방법 및 이를 적용한 방송 수신장치 | |
KR101770270B1 (ko) | 영상표시장치 및 그 제어 방법 | |
WO2014103390A1 (ja) | 表示装置 | |
KR20210056178A (ko) |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동작방법 | |
KR102614754B1 (ko) |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 |
JP5077951B2 (ja) | 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携帯端末装置および情報処理方法 | |
JP2007201714A (ja) | 番組情報提供システム、番組情報提供装置、及び、携帯機 | |
JP2024046666A (ja) | 受信装置、及び受信方法 | |
US20200169778A1 (en) | Broadcaster application remote control key handling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