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70270B1 - 영상표시장치 및 그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영상표시장치 및 그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70270B1
KR101770270B1 KR1020100089220A KR20100089220A KR101770270B1 KR 101770270 B1 KR101770270 B1 KR 101770270B1 KR 1020100089220 A KR1020100089220 A KR 1020100089220A KR 20100089220 A KR20100089220 A KR 20100089220A KR 101770270 B1 KR101770270 B1 KR 1017702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tem
image
information data
user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892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27576A (ko
Inventor
김민준
이승계
윤강식
백성호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892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70270B1/ko
Publication of KR201200275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275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702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702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445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for displaying additional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client for facilitating the reception of or the interaction with the content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the end-user or to the client device itself, e.g.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resolving scheduling conflicts
    • H04N21/462Content or additional data management, e.g. creating a master electronic program guide from data received from the Internet and a Head-end, controlling the complexity of a video stream by scaling the resolution or bit-rate based on the client capabilities
    • H04N21/4622Retrieving content or additional data from different sources, e.g. from a broadcast channel and the Interne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8Supplemental services, e.g. displaying phone caller identification, shopping appl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1Monomedia components thereof
    • H04N21/8126Monomedia components thereof involving additional data, e.g. news, sports, stocks, weather forecasts
    • H04N21/8133Monomedia components thereof involving additional data, e.g. news, sports, stocks, weather forecasts specifically related to the content, e.g. biography of the actors in a movie, detailed information about an article seen in a video program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8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8
    • G06F2203/04804Transparency, e.g. transparent or translucent window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는 영상 신호와, 상기 영상과 관련되는 아이템에 대한 정보 데이터 신호를 수신하는 데이터 수신부, 상기 정보 데이터를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는 형태로 변환하는 제어부 및 상기 영상 및 상기 변환된 정보 데이터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영상표시장치의 제어방법은 영상 신호와, 상기 영상 신호와 관련되는 아이템에 대한 정보 데이터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정보 데이터를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는 형태로 변환하는 단계 및 동기화된 영상 신호와 정보 데이터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영상표시장치 및 영상표시장치의 제어방법은 사용자에게 영상을 제공함과 동시에 영상에 포함되어 있는 각종 아이템들에 대한 정보를 동시에 제공하여, 사용자 입장에서는 관심 물품에 대한 정보를 별도의 노력없이 획득할 수 있게 되고, 해당 아이템의 판매자 혹은 생산자 입장에서는 아이템에 대한 직접 광고 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영상표시장치 및 그 제어 방법{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화면에 디스플레이되는 영상 및 영상에 포함되어 있는 여러 아이템들에 대한 정보를 증강현실 기법을 활용하여 동시에 표시할 수 있는 영상표시장치 및 그 동작 방법에 관한 것이며, 더욱 상세하게는 영상에 포함되어 있는 여러 아이템들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가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사용자지향적 영상표시장치 및 그 동작 방법에 관한 것이다.
영상표시장치는 사용자가 시청할 수 있는 방송영상을 수신하여 처리하는 기능을 갖춘 장치이다. 영상표시장치는 방송국에서 송출되는 방송신호 중 사용자가 선택한 방송을 디스플레이에 표시한다. 현재 방송은 전세계적으로 아날로그 방송에서 디지털 방송으로 전환하고 있는 추세이다.
디지털 방송은 디지털 영상 및 음성 신호를 송출하는 방송을 의미한다. 디지털 방송은 아날로그 방송에 비해, 외부 잡음에 강해 데이터 손실이 작으며, 에러 정정에 유리하며, 해상도가 높고, 선명한 화면을 제공한다. 또한, 디지털 방송은 아날로그 방송과 달리 양방향 서비스가 가능하다.
한편, 증강현실(Augmented Reality)은 가상현실(Virtual Reality)의 한 분야로, 실제 환경에 가상 사물을 합성하여 원래의 환경에 존재하는 사물처럼 보이도록 하는 컴퓨터 그래픽 기법이다.
증강현실은 가상의 공간과 사물만을 대상으로 하는 기존의 가상현실과 달리, 현실세계의 기반위에 가상의 사물을 합성하여 현실세계 만으로는 얻기 어려운 부가적인 정보들을 보강해 제공할 수 있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즉, 가상현실기술은 일반적으로 사용자로 하여금 가상의 환경에 몰입하게 하므로 사용자는 실제 환경을 볼 수 없는 반면, 증강현실기술에서는 사용자가 실제 환경을 볼 수 있으며, 실제 환경과 가상의 객체가 혼합된 형태를 띤다. 다시 말하면, 가상현실은 현실세계를 대체하여 사용자에게 보여주지만 증강현실은 현실세계에 가상의 물체를 중첩함으로서 현실세계를 보충하여 사용자에게 보여준다는 차별성을 가지며, 가상현실에 비해 사용자에게 보다 나은 현실감을 제공한다는 특징이 있다. 이러한 특징 때문에 단순히 게임과 같은 분야에만 한정된 적용이 가능한 기존 가상현실과 달리 다양한 현실환경에 응용이 가능하며 특히, 유비쿼터스 환경에 적합한 차세대 디스플레이 기술로 각광받고 있다.
상기와 같은 증강현실 기법도 상기와 같은 디지털 방송과 결합하려는 시도가 계속되고 있다. 즉, 디지털 방송 영상 신호에 결합하여, 영상 신호에 포함되어 있는 여러 다양한 아이템들에 대한 정보 및 이미지들을 동시에 영상표시장치를 통해서 사용자에게 제공하려는 시도가 계속되고 있다.
상기와 같은 영상표시장치를 통해서 영상을 시청하는 사용자들은 영상에 등장하는 인물들이 사용하거나 착용하고 있는 아이템(의상, 액세서리, 차량 등등)에 대해서 관심을 가질 수밖에 없다. 특히, 등장인물이 유명 배우인 경우에는 더욱 그러하다. 하지만, 영상을 시청하고 있는 도중에 등장인물이 사용중인 아이템에 대해서 알고 싶어하는 시청자들은 별도로 아이템의 정보를 검색하는 것이 쉽지 않으며, 직접 정보를 검색하는 경우에는 시간과 노력이 많이 들게 마련이다.
한편, 상기와 같은 아이템의 생산자 혹은 판매자 입장에서도 직접 영상 내부에 이러한 아이템에 대해서 홍보하거나 광고하는 것이 사실상 불가능하기 때문에 별도의 광고 시간을 이용하여 홍보하거나 광고하는 수밖에 없다.
따라서 영상표시장치의 사용자에게 영상을 제공함과 동시에 영상에 포함되어 있는 각종 아이템들에 대한 정보를 동시에 제공한다면, 사용자 입장에서는 관심 물품에 대한 정보를 별도의 노력없이 획득할 수 있게 되고, 아이템의 판매자 혹은 생산자 입장에서는 아이템에 대한 직접 광고 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는 영상 신호와, 상기 영상과 관련되는 아이템에 대한 정보 데이터 신호를 수신하는 데이터 수신부, 상기 정보 데이터 신호를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는 형태로 변환하는 제어부 및 상기 영상 및 상기 변환된 정보 데이터를 화면에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영상이 화면에 표시되는 동안 특정 시점에 상기 정보 데이터가 수신되었음을 알려주는 알람 메세지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화면에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특정 시점은 상기 영상에 상기 아이템이 최초로 등장하는 시점이 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의 입력 신호를 상기 제어부로 전달하는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로부터 알람내용 확인요청신호를 입력받아 상세 정보 데이터를 표시하는 정보표시창을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화면에 생성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정보표시창에는, 대표사진, 모델명, 가격, 제원, 판매처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정보항목이 표시되고, 상기 판매처 목록은 상기 아이템에 대한 판매자의 웹사이트로 하이퍼링크된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정보항목은 상기 아이템에 대한 추가정보검색을 위해 특정 검색엔진으로 하이퍼링크된 추가정보검색항목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이퍼링크된 항목은 하이퍼링크된 텍스트이거나, 하이퍼링크된 이미지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정보표시창은 투명도가 조절가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화면은 영상이 디스플레이되는 제1 영역 및 정보표시창이 디스플레이되는 제2 영역으로 분할가능하며, 상기 제1 영역 및 제2 영역은 상호간 중첩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영역 및 제2 영역의 크기는 조절가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정보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저장부는 사용자의 관심 키워드를 저장하고,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의 관심 키워드와 관련성이 있는 정보 데이터가 수신되는 경우에만 상기 알람 메시지를 생성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저장부는 상기 정보 데이터를 해당 영상별로 분류하여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저장부는 사용자의 관심 키워드를 저장하고, 상기 저장부는 상기 정보 데이터를 상기 관심 키워드별로 분류하여 저장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영상표시장치의 제어방법은 영상 신호와, 상기 영상과 관련되는 아이템에 대한 정보 데이터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정보 데이터를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는 형태로 변환하는 단계 및 상기 영상과 상기 변환된 정보 데이터를 화면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영상이 화면에 표시되는 동안 특정 시점에 정보 데이터가 수신되었음을 알려주는 알람 메세지를 화면에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특정 시점은 상기 영상에 상기 아이템이 최초로 등장하는 시점이 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의 알람내용확인 요청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된 요청신호를 입력받아 상세 정보 데이터를 표시하는 정보표시창을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정보표시창에는, 대표사진, 모델명, 가격, 제원, 판매처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정보항목이 표시되고, 상기 판매처 목록은 상기 아이템에 대한 판매자의 웹사이트로 하이퍼링크된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정보항목은 상기 아이템에 대한 추가정보검색을 위해 특정 검색엔진으로 하이퍼링크된 추가정보검색항목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이퍼링크된 항목은 하이퍼링크된 텍스트이거나, 하이퍼링크된 이미지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정보표시창은 투명도가 조절가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정보 데이터를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의 관심 키워드를 저장하는 단계 및 상기 저장된 관심 키워드와 수신된 정보 데이터 사이의 관련성을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판단결과 관련성이 있는 경우에만 상기 알람 메시지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정보 데이터를 저장하는 단계는, 상기 정보 데이터를 해당 영상별로 분류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의 관심 키워드를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저장부는 상기 정보 데이터를 상기 관심 키워드별로 분류하여 저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는 사용자에게 영상을 제공함과 동시에 영상에 포함되어 있는 각종 아이템들에 대한 정보를 동시에 제공하여, 사용자 입장에서는 관심 물품에 대한 정보를 별도의 노력없이 획득할 수 있게 되고, 해당 아이템의 판매자 혹은 생산자 입장에서는 아이템에 대한 직접 광고 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게 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영상표시장치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영상표시장치의 내부 블록도이다.
도 3 내지 6은 본 발명에 따라 영상 데이터와 함께 아이템 정보 데이터를 처리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EPG에 특정 영상 컨텐츠에 아이템 정보 데이터가 포함되어 있음을 디스플레이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 내지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아이템 정보 데이터가 수신되었음을 사용자에게 알려주는 알람 메세지 및 상세 아이템 정보가 영상표시장치의 화면에 표시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 내지 1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특정 영상 컨텐츠에 복수의 아이템에 대한 정보 데이터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에 상세 아이템 정보를 포함하는 정보표시창이 영상표시장치의 화면에 표시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사용자가 해당 아이템의 판매처 및 추가정보검색을 위한 웹브라우져를 실행시키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5 및 1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저장된 아이템 정보 데이터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7(a) 및 17(b)은 영상 컨텐츠 및 해당 아이템 정보 데이터를 데이터 베이스화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단순히 본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특별히 중요한 의미 또는 역할을 부여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상기 "모듈" 및 "부"는 서로 혼용되어 사용될 수도 있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기술되는 영상표시장치는, 방송 수신 기능에 컴퓨터 지원 기능을 추가한 지능형 영상표시장치로서, 방송 수신 기능에 충실하면서도 인터넷 기능 등이 추가되어, 수기 방식의 입력 장치, 터치 스크린 또는 공간 리모콘 등 보다 사용에 편리한 인터페이스를 갖출 수 있다. 그리고 유선 또는 무선 인터넷 기능의 지원으로 인터넷 및 컴퓨터에 접속되어, 이메일, 웹브라우징, 뱅킹 또는 게임 등의 기능도 수행가능하다. 이러한 다양한 기능을 위해 표준화된 범용 OS가 사용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서 기술되는 영상표시장치는, 범용의 OS 커널 상에, 다양한 애플리케이션이 자유롭게 추가되거나 삭제 가능하므로, 사용자 친화적인 다양한 기능이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마트 TV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영상표시장치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영상표시장치 시스템은, 방송 송출자 기준으로 컨텐츠 서비스의 제공 측면에서 볼 때, 컨텐츠 제공자(Content Provider;CP)(10), 서비스 제공자(Service Provider;SP)(20), 네트워크 제공자(Network Provider; NP)(30) 및 사용자(Customer)(40)로 구분될 수 있다.
컨텐츠 제공자(10)는, 각종 컨텐츠를 제작하여 제공한다. 컨텐츠 제공자(10)에는 도 1에서와 같이 지상파 방송 송출자(terrestrial broadcaster), 케이블 방송 사업자(cable SO(System Operator) 또는 MSO(Multiple System Operator), 위성 방송 송출자(satellite broadcaster), 인터넷 방송 송출자(Internet broadcaster) 등이 예시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 각종 영상 컨텐츠에 포함되어 있는 여러 아이템들에 대한 정보 데이터는 컨텐츠와 별도로 상기 컨텐츠 제공자(10)가 직접 제작할 수 있고, 혹은 아이템들에 대한 정보 데이터만을 제작하는 제작자가 제작할 수도 있다.
서비스 제공자(20)는, 컨텐츠 제공자(10)가 제공하는 컨텐츠들을 서비스 패키지화하여 제공할 수 있고, 더불어 상기 여러 아이템들에 대한 정보 데이터를 컨텐츠와 결합하여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의 서비스 제공자(20)는, 제1 지상파 방송, 제2 지상파 방송, 케이블 MSO, 위성 방송, 다양한 인터넷 방송, 애플리케이션 등을 패키지화하고, 이들 영상 컨텐츠와 관련되는 아이템 정보 데이터를 영상 컨텐츠와 결합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컨텐츠 제공자(10)에 의해서 사전에 관련 아이템 정보 데이터가 합체된 영상 컨텐츠를 제공할 수도 있다
한편, 서비스 제공자(20)는, 유니캐스트(unicast) 또는 멀티캐스트(multicast) 방식을 이용하여 사용자(40) 측에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유니캐스트 방식은 하나의 송신자와 하나의 수신자 사이에 데이터를 1:1로 전송하는 방식이다. 예를 들어, 유니캐스트 방식의 경우 수신기에서 서버에 데이터를 요청하면, 서버는 요청에 따라 데이터를 수신기에 전송할 수 있다. 멀티캐스트 방식은 특정한 그룹의 다수의 수신자에게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식이다. 예를 들어, 서버는 데이터를 미리 등록된 다수의 수신기에 한꺼번에 전송할 수 있다.
네트워크 제공자(30)는, 서비스를 사용자(40)에게 제공하기 위한 네트워크 망을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40)는 홈 네트워크(Home Network End User; HNED)를 구축하여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은 영상표시장치 시스템에서 전송되는 컨텐츠 및 아이템 정보 데이터를 보호하기 위한 수단으로, 제한 수신(Conditional Access) 또는 컨텐츠 보호(Content Protection)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제한 수신이나 컨텐츠 보호를 위한 하나의 예로서, 케이블카드(CableCARD), DCAS(Downloadable Conditional Access System)와 같은 방식이 사용될 수 있다.
한편, 사용자(40)도 네트워크를 통해, 컨텐츠 및 아이템 정보 데이터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경우, 상술한 바와 달리, 역으로, 사용자(40)가 컨텐츠 제공자가 될 수 있으며, 컨텐츠 제공자(10)가 사용자(40)로부터의 컨텐츠를 수신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양방향 컨텐츠 서비스 또는 데이터 서비스가 가능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의 내부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영상표시장치(100)는 영상 신호와, 상기 영상과 관련되는 아이템에 대한 정보 데이터 신호를 수신하는 데이터 수신부(105), 상기 정보 데이터를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는 형태로 변환하는 제어부(170) 및 상기 영상과 상기 변환된 정보 데이터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180)를 포함한다. 한편, 상기 데이터 수신부(105)는 튜너(110), 복조부(120),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0) 및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를 포함할 수 있다. 그외에도 상기 영상표시장치(100)는 저장부(140),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 OSD 제어부(160), 오디오 출력부(185) 및 전원공급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영상 컨텐츠 및 아이템 정보 데이터를 포함하는 데이터 신호는 서비스 제공자(20)로부터 다양한 형태로 사용자의 영상표시장치(100)로 전달될 수 있다. 즉, 상기 데이터 신호는 안테나를 수신되는 RF(Radio Frequency) 방송 신호로 수신될 수 있고, DVD(Digital Versatile Disk), 블루레이(Blu ray) 등과 같은 저장매체에 저장된 상태에서 영상표시장치(100)로 수신되거나 셋탑 박스등과 같은 외부장치를 통해서 수신될 수 있으며, 인터넷망을 포함하는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해서 수신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은 다양한 형태로 수신될 수 있는 영상 컨텐츠 및 아이템 정보 데이터를 효과적으로 수신하기 위해서 수신부(105)는 튜너(110),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0),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를 포함할 수 있다.
튜너(110)는, 안테나를 통해 수신되는 RF(Radio Frequency) 방송 신호 및 아이템 정보 데이터 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채널 또는 기저장된 모든 채널에 해당하는 RF 방송 신호를 선택한다. 또한, 선택된 RF 컨텐츠 신호를 중간 주파수 신호 혹은 베이스 밴드 영상 또는 음성신호로 변환하여 복조부(120)로 전송한다,
복조부(120)는, 튜너(110)에서 변환된 디지털 IF 신호(DIF)를 수신하여 복조 동작 및 채널 복호화를 수행한다. 또한, 복조부(120)는, 복조 및 채널 복호화를 수행한 후 스트림 신호(TS)를 출력할 수 있다. 이때, 스트림 신호는 영상 신호와 음성 신호를 포함하는 컨텐츠 신호 및 아이템 정보 데이터 신호가 다중화된 신호일 수 있다. 또한, 복조부(120)에서는 영상 신호와 음성 신호를 포함하는 컨텐츠 신호만을 스트림 신호로 출력하여 제어부로 전송하고, 아이템 정보 데이터를 튜너(110)를 통해서 바로 제어부로 전송될 수도 있다.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는 DVD(Digital Versatile Disk), 블루레이(Blu ray) 등과 같은 저장매체에 저장된 영상 콘텐츠 및 아이템 정보 데이터를 수신하거나, 셋탑 박스등을 통해서 영상 콘텐츠 및 아이템 정보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해서 외부 장치와 영상표시장치(100)를 접속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는, A/V 입출력부(미도시) 또는 무선 통신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는, DVD(Digital Versatile Disk) 플레이어, 블루레이(Blu ray) 플레이어, 셋탑 박스 등과 같은 외부 장치와 유/무선으로 접속될 수 있다.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는 연결된 외부 장치를 통하여 외부에서 입력되는 영상, 음성을 포함하는 콘텐츠 및 아이템 정보 데이터 신호를 영상표시장치(100)의 제어부(170)로 전달한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0)는 인터넷망을 포함하는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해서 영상 컨텐츠 및 아이템 정보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도록 영상표시장치(100)를 유/무선 네트워크와 연결하는 역할을 한다. 네트워크를 통해 소정 웹 페이지에 접속하여, 해당 서버와 데이터를 송신 또는 수신할 수 있고, 컨텐츠 제공자 또는 네트워크 운영자가 제공하는 컨텐츠 또는 데이터들을 수신할 수 있다. 즉, 네트워크를 통하여 컨텐츠 제공자 또는 네트워크 제공자로부터 제공되는 영화, 광고, 게임, VOD, 방송 신호 등의 컨텐츠 및 그와 관련된 아이템 정보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후술하는 바와 같이 영상 컨텐츠와 함께 제공되는 아이템 정보 데이터외의 추가적인 데이터를 획득하길 원하는 경우에 미리 지정된 검색 브라우저를 구동하여 추가 정보를 획득할 수 있으며, 아이템을 구매하길 원하는 경우에 아이템 정보 데이터에 포함된 판매처 정보를 클릭하여 판매자의 웹사이트에 접속할 수도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14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한편,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0)는, 접속된 네트워크 또는 접속된 네트워크에 링크된 다른 네트워크를 통해, 다른 사용자 또는 다른 전자 기기와 데이터를 송신 또는 수신할 수 있다. 특히, 영상표시장치(100)에 미리 등록된 다른 사용자 또는 다른 전자 기기 중 선택된 사용자 또는 선택된 전자기기에, 영상표시장치(100)에 저장된 일부의 컨텐츠 데이터 및 아이템 정보 데이터를 송신하거나 수신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0)는, 유선 네트워크와의 접속을 위해, 이더넷(Ethernet) 단자 등을 구비할 수 있으며, 무선 네트워크와의 접속을 위해, WLAN(Wireless LAN)(Wi-Fi),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통신 규격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데이터 수신부(105)를 통해서 수신된 컨텐츠 신호 및 아이템 정보 데이터는 제어부(170)로 전송된다.
제어부(170)는, 수신된 아이템 정보 데이터를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는 형태로 변환하기 위해서 수신된 데이터를 파싱(parsing)하고, 영상 및 음성 컨텐츠와 파싱된 아이템 정보 데이터 동기화한다.
한편, 제어부(170)는 스트림 신호의 역다중화, 영상/음성 신호 처리 등을 수행한 후, 디스플레이부(180)에 영상을 출력하고, 오디오 출력부(185)로 음성을 출력한다. 그외에도 영상표시장치(100) 내에 저장된 컨텐츠를 재생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컨텐츠는, 전술한 바와 같이 방송 영상, 외부 입력 영상뿐만 아니라 오디오 파일, 정지 영상, 접속된 웹 화면, 및 문서 파일을 포함하는 적어도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또한, 제어부(170)는 영상 컨텐츠가 디스플레이부(180)에 표시되는 과정 중에, 해당 아이템이 화면에 표시되는 특정 시점에 해당 아이템에 대한 아이템 정보 데이터가 수신되었음을 알리는 알람 메세지를 생성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 경우에 상기 특정 시점은 상기 영상 신호의 재생과정 중에 해당 아이템이 최초로 등장하는 시점이 될 수 있다. 한편, 사용자가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부(150)를 통해서 아이템 정보 데이터를 확인하길 원하는 신호를 보내게 되면 상세 아이템 정보 데이터를 화면에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70)는 데이터 수신부(105)로부터 입력되는 영상 컨텐츠 및 아이템 정보 데이터의 임시 저장을 위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서 내부 메모리(171)를 포함할 수 있다.
저장부(140)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180)에 표시되는 영상 컨텐츠에 포함되는 특정 아이템에 대한 새로운 정보 데이터가 수신되는 경우에 영상 컨텐츠와 아이템 정보 데이터를 함께 저장하고, 사용자의 관심 키워드를 저장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저장되는 아이템 정보 데이터를 해당 영상 컨텐츠별로 디렉토리화하여 저장되거나, 관심 키워드별로 디렉토리화되어 저장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17(a) 및 도 17(b)을 참조하여 후술한다.
이러한 저장부(14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 롬(EEPROM 등)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도 2는 저장부(140)가 제어부(170)와 별도로 구비된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저장부(140)는 제어부(170) 내에 포함되는 구성을 취할 수도 있다.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는, 사용자가 입력한 신호를 제어부(170)로 전달하거나, 제어부(170)로부터의 신호를 사용자에게 전달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는, RF(Radio Frequency) 통신 방식, 적외선(IR) 통신 방식 등 다양한 통신 방식에 따라, 원격제어장치(200)로부터 전원 온/오프, 채널 선택, 화면 설정 등의 제어 신호를 수신하여 처리하거나, 제어부(170)로부터의 제어 신호를 원격제어장치(200)로 송신하도록 처리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제어부(170)는,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를 통하여 수신한 외부장치 영상 재생 명령에 따라,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를 통하여 입력되는 외부 장치, 예를 들어, 카메라 또는 캠코더로부터의, 영상 신호 또는 음성 신호가 디스플레이부(180) 또는 오디오 출력부(185)를 통해 출력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도면에 도시하지 않았지만 채널 신호 또는 외부 입력 신호에 대응하는 썸네일 이미지를 생성하는 채널 브라우징 처리부가 더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 채널 브라우징 처리부는, 복조부(120)에서 출력한 신호 또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에서 출력한 신호 등을 입력받아, 입력되는 신호로부터 영상을 추출하여 썸네일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다. 이때, 추출되는 썸네일 이미지는 해당 영상 컨텐츠에 아이템 정보 데이터가 최초로 등장하게 되는 시점에 맞추어 아이템 영상 데이터가 함께 표시되도록 추출되고, 저장부(140)에 저장될 수 있다. 이에 관해서는 도 15 및 도 16을 참조하여 후술한다.
OSD(on screen display) 처리부(160)는 제어부의 제어 신호에 따라 OSD 신호를 디스플레이부(180)에 출력한다. 본 발명에 따라 OSD 처리부(160)는 제어부(170)에 의해서 파싱된 아이템 정보 데이터가 팝업창의 형태로 영상 컨텐츠와 함께 디스플레이될 수 있도록 OSD 영상 신호를 디스플레이부(180)에 출력한다.
또한, OSD 제어부(160)는 제어부(170)의 제어신호를 입력받아 디스플레이부(180)에 아이템 정보 데이터가 수신되었음을 사용자에게 알리는 알림 메세지를 아이콘 혹은 텍스트화된 이미지 형태로 표시하기 위한 OSD 영상 신호를 디스플레이부(180)에 출력한다.
디스플레이부(180)는, 제어부(170)에서 처리된 영상 신호, 데이터 신호, OSD 영상 신호 또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에서 수신되는 영상 신호, 데이터 신호 등을 각각 R,G,B 신호로 변환하여 구동 신호를 생성한다.
디스플레이부(180)는 PDP, LCD, OLED,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등이 가능할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부(180)는, 터치 스크린으로 구성되어 출력 장치 이외에 입력 장치로 사용되는 것도 가능하다.
오디오 출력부(185)는, 제어부(170)에서 음성 처리된 신호, 예를 들어, 스테레오 신호, 3.1 채널 신호 또는 5.1 채널 신호를 입력 받아 음성으로 출력한다. 음성 출력부(185)는 다양한 형태의 스피커로 구현될 수 있다.
전원 공급부(미도시)는, 영상표시장치(100) 전반에 걸쳐 해당 전원을 공급한다. 특히, 시스템 온 칩(System On Chip,SOC)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는 제어부(170)와, 영상 표시를 위한 디스플레이부(180), 및 오디오 출력을 위한 오디오 출력부(185)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원격제어장치(200)는, 사용자 입력신호를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로 송신한다. 이를 위해, 원격제어장치(200)는, 블루투스(Bluetooth), RF(Radio Frequency) 통신, 적외선(IR) 통신, UWB(Ultra Wideband), 지그비(ZigBee) 방식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원격제어장치(200)는,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에서 출력한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 신호 등을 수신하여, 이를 원격제어장치(200)에서 표시하거나 음성 또는 진동을 출력할 수 있다.
한편, 도 2에 도시된 영상표시장치(100)의 블록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위한 블록도이다. 블록도의 각 구성요소는 실제 구현되는 영상표시장치(100)의 사양에 따라 통합, 추가, 또는 생략될 수 있다. 즉, 필요에 따라 2 이상의 구성요소가 하나의 구성요소로 합쳐지거나, 혹은 하나의 구성요소가 2 이상의 구성요소로 세분되어 구성될 수 있다. 또한, 각 블록에서 수행하는 기능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그 구체적인 동작이나 장치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제한하지 아니한다.
상술한 구조를 갖는 영상표시장치(100)의 아이템 정보 데이터를 처리하는 방법에 대해서 제어부(170)의 동작을 중심으로 하여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 내지 6은 본 발명에 따라 영상 데이터와 함께 아이템 정보 데이터를 처리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아이템 정보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한 제어부(170)의 기능은 아이템 정보 데이터를 디스플레이부(180)에 표시하고 이를 저장부(140)에 저장하는 루틴(S100) 및 기존 저정부(140)에 저장되어 있던 아이템 정보 데이터를 호출하는 루틴(S200)을 포함한다. 도 3은 이러한 제어부(170)의 두 가지 루틴을 도시하고 있다.
도 4는 상기 아이템 정보 데이터를 디스플레이부(180)에 표시하고 이를 저장부(140)에 저장하는 루틴(S100)의 서부 루틴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제어부(170)는 수신된 아이템 정보 데이터를 디스플레이부(180)에 표시하고 이를 저장부(140)에 저장하기 위해서, 먼저 전술한 데이터 수신부(105)로부터 입력되는 데이터 신호를 판독하는 단계(S110)를 거친다.
다음으로, 제어부(170)는 수신된 데이터 신호에 영상 컨텐츠 신호뿐만 아니라 관련되는 아이템 정보 데이터 신호가 포함되어 있는지를 판단하게 된다.(S120)
이 경우에 수신된 데이터 신호에 아이템 정보 데이터 신호가 포함되어 있지 않다면, 상기 데이터 수신부(105)로부터 입력되는 데이터 신호를 판독하는 단계(S110) 이전의 대기 상태로 복귀한다. 한편, 수신된 데이터 신호에 아이템 정보 데이터 신호가 포함되어 있다면, 제어부(170)는 수신되 아이템 정보 데이터를 저장부(140) 혹은 내부 메모리(171)에 일시적으로 저장한다.(S130)
이후에, 상기 수신된 아이템 정보 데이터와 관련되어 있는 특정 아이템이 디스플레이부(180)의 화면에 최초로 표시되는 시간에 동기화하여, 제어부(170)는 특정 아이템 정보 데이터가 수신되었음을 사용자에게 알리는 알람 메세지를 디스플레이부(180)의 화면에 표시하도록 OSD 제어부(160)에 제어신호를 출력한다.(S140)
후술하는 바와 같이 이러한 알람 메세지는 특정 아이콘 형태를 취하거나 특정한 내용을 담은 텍스트 형태 및 이미지가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아이템 XXX에 대한 정보가 수신되었습니다"라는 텍스트 및 이미지가 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80)에 상기 알람 메세지가 출력된 후에 제어부(170)는 사용자 입력인터페이스부(150)로부터 사용자가 상기 알람 메세지의 상세 내용을 확인하고자 하는 입력 신호가 수신되었는지를 판독(S150)한다.
사용자가 상세 아이템 정보를 확인하고자 하는 신호를 입력(S160)한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부(170)는 저장부(140) 혹은 내부 메모리(171)에 일시 저장되어 있던 상세 아이템 정보 데이터를 판독하고, 이를 정보표시창의 형태로 디스플레이부(180)에 출력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OSD제어부(160)로 출력하여 상세 아이템 정보가 표시된 정보표시창이 디스플레이부(180)에 표시된다.(S170)
상기 표시된 상세 아이템 정보와 해당 아이템이 등장하였던 영상은 함께 저장부(140)로 저장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영상 이미지와 아이템 정보 데이터가 함께 포함된 썸네일 이미지형태로 저장될 수 있다.
한편, 사용자가 상세 아이템 정보를 확인하고자 하는 신호를 입력(S160)하지 않으면, 상기 알람 메세지가 디스플레이부(180)에 표시되는 시간이 사전에 설정되어 있던 시간을 초과하였는지를 판단(S191)하여, 사전 설정 시간을 초과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알람 메세지를 계속 표시하기 위해 상기 알람 메세지를 디스플레이부(180)에 출력하는 단계(S140)로 복귀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설정 시간은 해당 아이템이 최초로 디스플레이되는 시점으로부터 영상이 전환되어 해당 아이템이 영상에서 배제되는 시점까지가 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사전 설정 시간을 초과한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부(170)는 알람 메세지 표시를 중단하는 신호를 디스플레이부(180)에 출력한다.(S192) 이 경우에는 다시 상기 S110 이전의 단계로 복귀한다.
도 5는 상기 S130 단계와 상기 S140 단계 사이에 추가될 수 있는 단계로서, 저장부(140)에 저장되어 있던 사용자의 관심 키워드와 수신된 아이템 정보 데이터 사이의 관련성을 판단하여, 관련성이 있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에만 알람 메세지를 출력하도록 설정하기 위한 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S130 단계와 상기 S140 단계 사이에 저장된 사용자의 관심 키워드를 호출하는 단계(S131)에 포함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70)는 호출된 관심 키워드와 수신된 아이템 정보 데이터 사이의 관련성을 판단(S132)하여 관련성이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만 S140 단계로 진행하여 알람 메세지를 출력하도록 하는 제어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 한편, 관련성이 없는 것으로 판단되면 S131 단계 이전으로 복귀하거나, 알람 메세지를 표시하지 않도록 설정할 수 있다. 이렇게 함으로써 사용자는 자신이 관심있는 분야의 아이템에 대해서만 알람 메세지를 출력할 수 있도록 설정할 수 있다.
도 6은, 기존 저정부(140)에 저장되어 있던 아이템 정보 데이터를 호출하는 루틴(S200)의 서브 루틴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먼저 제어부(170)는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를 통해서 입력된 사용자의 명령신호를 판독하고(S210), 그 결과 명령신호가 데이터 호출신호인지 여부를 판단한다.(S220) 즉, 사용자의 명령신호가 저장부(140)에 저장되어 있는 아이템 정보 데이터를 호출하기 위한 신호인지, 호출신호가 맞다면 어떤 특정 아이템 정보 데이터를 호출하기 위한 신호인지를 판단한다.
데이터 호출신호가 아니라면, 상기 S210 단계이전의 대기 상태를 유지한다. 데이터 호출신호에 해당한다고 판단되면, 저장부(140)에 저장되어 있는 해당 아이템 정보 데이터를 판독한다.(S230)
다음으로, 제어부(170)는 사용자가 확인하길 원하는 해당 아이템 정보 데이터를 호출하여, 해당 아이템 정보 리스트를 표시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디스플레이부(180)에 출력한다.(S240) 한편, OSD 제어부(160)가 제어부(170)와 별도로 구비되는 구성의 경우에는 상기와 같은 제어 신호를 OSD 제어부(160)로 출력하고, OSD 제어부(160)는 수신된 제어 신호에 따라 선택된 아이템 정보 데이터 리스트를 생성하도록 하는 신호를 디스플레이부(180)에 전송한다.
다음으로, 디스플레이부(180)에 해당 아이템 정보 데이터 리스트를 표시한 후에 제어부(170)는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로부터 입력된 사용자의 입력 신호를 판독한다.(S250)
제어부(170)는 상기 입력 신호가 해당 아이템 정보 데이터 리스트 중에서 특정한 아이템 정보 데이터를 확인하길 원하는 신호인지 여부를 판독한다.(S260)
판독 결과 상기 아이템 정보 데이터 리스트에 사용자가 원하는 특정 아이템 정보 데이터가 포함되어 있지 않은 것으로서 상기 리스트 중에서 사용자가 선택하길 원하는 아이템 데이터가 없는 것으로 판독되면 상기 S210 이전 단계로 복귀한다.
한편, 판독 결과 사용자가 원하는 특정 아이템 정보 데이터가 포함되어 있는 것으로서 사용자가 특정 아이템 정보를 선택하길 원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부(170)는 선택된 아이템에 대한 상세 정보를 저장부(140)에 호출하는 제어신호를 출력하고, 디스플레이부(180)에 상세 아이템 정보를 출력하도록 하는 제어 신호를 출력한다.(S280) 이 경우에도 상기 S240 단계와 마찬가지로, OSD 제어부(160)가 제어부(170)과 별도로 구비되는 구성의 경우에는 상기와 같은 제어 신호를 OSD 제어부(160)로 출력하고, OSD 제어부(160)는 수신된 제어 신호에 따라 상세 아이템 정보 데이터를 표시하기 위한 정보표시창을 생성하도록 하는 신호를 디스플레이부(180)에 전송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Electronic Program Guide(이하 EPG라 함.)에 특정 영상 컨텐츠에 아이템 정보 데이터가 포함되어 있음을 디스플레이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 내지 도 6의 단계에 따라 영상 컨텐츠가 디스플레이부의 화면에 표시됨과 동시에 수신된 아이템 정보 데이터를 화면에 표시할 수 있지만, 영상 컨텐츠가 사용자에게 제공되기 전에 특정한 영상 컨텐츠에 아이템 정보 데이터가 포함되어 있음을 사용자게 확인하게 할 수도 있다. 한편, 기존에 저장된 사용자의 관심 아이템 키워드에 부합하는 아이템 정보 데이터가 특정한 컨텐츠에 포함되어 있음을 사용자가 사전에 확인하게 할 수도 있다.
도 7에는 현재 날자 및 시간의 표시란(511, 512), 채널표시란(520, 521, 522, 523), 컨텐츠 제공자 표시란(530), 컨텐츠 정보 표시란(540, 550)으로 구성된 EPG(500)의 예가 도시되어 있다.
특히, 기존 EPG의 컨텐츠 정보 표시란에는 방송사에서 제공하는 제한된 방송정보만이 포함될 수 있지만, 본 발명에 따라 방송정보만이 아니라 방송이 예정된 영상 컨텐츠에 포함되어 있는 특정한 아이템들에 대한 아이템 정보 데이터가 포함되어 있는 아이템 정보 표시란(560)이 포함될 수 있다. 이 경우에 아이템 정보 표시란(560)에는 컨텐츠 제공자로부터 제공되는 모든 아이템 정보 데이터가 포함되어 있음을 표시할 수도 있고,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이미 저장되어 있는 사용자의 관심 키워드에 부합하는 아이템 정보 데이터가 포함되어 있음을 사용자에게 미리 알려줄 수도 있다.
예시적으로 도 7은 "Soccer-World Cup"이라는 컨텐츠에 사용자의 관심 키워드 "AA"와 관련되어 있는 아이템 정보 데이터가 포함되어 있는 것으로 도시하고 있다. 상기 아이템 정보 표시란(560)의 세부 정보를 사용자가 확인하면 관심 키워드 "AA"와 관련되어 있는 4개의 아이템에 대한 정보 리스트(561 내지 564)가 팝업형태로 보여질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은 아이템 정보 데이터외에도 인터넷 서치 엔진등을 이용한 부가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이 같은 부가정보는 영상 컨텐츠 자체의 정보뿐만 아니라 아이템 정보 데이터 이외의 아이템에 대한 부가적인 서치 데이터가 될 수 있다.
도 8 내지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아이템 정보 데이터가 수신되었음을 사용자에게 알려주는 알람 메세지 및 상세 아이템 정보가 영상표시장치(600)의 화면에 표시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어부(170)에 의해서 파싱되고 동기화된 아이템 정보 데이터를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특정한 시간, 바람직하게는 해당 아이템이 영상 컨텐츠에 최초로 등장하게 되는 시점에 알람 메세지(620)를 생성하도록 제어한다. 즉,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은 자동차에 대한 정보 데이터가 수신되었음을 사용자에게 알리기 위해서 영상 컨텐츠에 해당 자동차가 최초로 등장하게 되는 시점에 알람 메세지(620)가 생성된다.
이러한 알람 메세지(62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저장부에 저장된 사용자의 특정한 관심 키워드와 관련된 아이템의 정보 데이터만이 수신되었을 경우에만 화면에 표시되도록 설정하거나, 관심 키워드와 무관하게 아이템 정보가 수신되는 경우에도 알람 메세지(620)를 표시하도록 사용자가 설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알람 메세지(620)의 형태는 도시된 바와 같이 아이콘 형태가 될 수 있으며, 또한 "새로운 아이템 정보가 수신되었습니다"와 같은 텍스트 형태가 될 수도 있다. 한편, 영상이 디스플레이되는 화면(610)에 상기와 같이 알람 메세지(620)가 표시되는 동시에 알람음이 생성되도록 설정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알람 메세지(62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전체 영상을 시청하는데 방해가 되지 않도록 화면 하단에 표시되도록 한다. 또한, 이러한 위치가 적절치 않은 경우에는 등장하는 해당 아이템 및 등장 인물과 중첩되지 않는 위치에 알람 메세지가 표시되도록 설정할 수도 있다.
한편, 사용자는 해당 자동차에 대한 상세 정보를 확인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원격제어장치(200)의 방향키등을 이용하여 커서 혹은 포인터를 상기 알람 메세지(620)로 이동시켜서 선택하면 하기의 도 9과 같은 상세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도 2의 원격제어장치(200) 내에 별도의 아이템 정보 데이터 확인키를 구비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상기와 같이 사용자의 입력을 받게 되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은 자동차에 대한 상세 정보 데이터를 표시하는 정보표시창(630)이 생성된다. 예시적으로, 정보표시창(630)은 대표 사진(631), 명칭(632), 모델명(633), 가격(634), 주요 제원(635)등과 같은 정보항목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정보표시창(630)의 위치와 크기, 투명도는 조절가능하다. 따라서 정보표시창(630)이 현재 표시되고 있는 영상 컨텐츠를 표시하는 화면과 중첩되는 경우에는 배경에 되는 영상을 시청하는데 방해가 되지 않도록 정보표시창(630)의 크기, 위치 및 투명도가 조절되도록 설정할 수 있다. 이러한 상세 정보 데이터 표시창(630)의 크기, 위치 및 투명도는 사전에 미리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전체 화면을 영상 컨텐츠가 표시되는 영역(610) 및 상세 정보표시창(630)으로 분할하여, 상호간 중첩되는 영역이 발생하지 않도록 설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에도 영상 컨텐츠가 표시되는 영역(610) 및 상세 정보표시창(630)의 크기는 조절가능하며, 둘 중에서 어느 하나의 사이즈가 변경되면 다른 하나의 사이즈도 전체 화면 사이즈에 맞게 자동으로 조절될 수 있다. 이렇게 설정함으로써 상세 아이템 정보 데이터를 확인하는 중에도 영상 컨텐츠의 시청이 방해받지 않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의 설정값 또는 선택에 따라 수신되거나 확인된 아이템 정보 데이터의 전체 혹은 일부가 저장부에 저장될 수 있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사용자는 저장부에 저장된 아이템 정보 데이터를 현재 시청중인 영상 컨텐츠가 종료된 이후에 재확인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15와 도 16을 참조하여 후술한다.
도 11 내지 1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특정 영상 컨텐츠에 복수의 아이템에 대한 정보 데이터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에 상세 아이템 정보를 포함하는 정보표시창이 영상표시장치의 화면에 표시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과 같이 영상 컨텐츠에 복수개의 아이템(641, 642, 643, 644)이 포함되어 있고, 이들 아이템이 해당 영상 컨텐츠에 최초로 등장하고, 이때 제어부는 도 8과 같이 복수의 아이템 정보 데이터가 수신되었음을 알리는 알람 메세지를 생성하도록 제어할 것이며, 사용자가 상세 내용을 확인하길 원하는 신호를 제어부로 입력했다고 가정한다.
사용자의 입력신호를 받아 영상이 표시되는 화면에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개의 아이템의 상세 내용을 확인할 수 있는 아이콘들(650)이 표시된다. 아이템 A, B, C 및 D에 대한 아이콘들(651, 652, 653, 654)은 영상 컨텐츠에 포함되어 있는 각각의 아이템들(641, 642, 643, 644)에 대한 상세 아이템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아이콘들이다.
다음으로,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상기 복수의 아이템 중에서 제1 아이템(641)의 상세 정보를 확인하고자 하는 경우에 원격제어장치의 방향키등을 사용하여 아이템 A에 대한 아이콘을 선택가능한 상태가 되도록 할 수 있다. 즉, 아이템 A에 대한 아이콘 (651)가 선택가능한 상태가 되면, 나머지 아이콘들(652, 653, 654)과는 달리 색상이 달라지도록 설정하거나, 커서가 아이템 A에 대한 아이콘(651)으로 이동되게 할 수 있다. 그외에도 다른 방법으로 나머지 아이콘들(652, 653, 654)과는 구별되는 형상이나 구성이 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도 13에는 예시적으로 아이템 A에 대한 아이콘(651)의 색상이 반전되는 구성이 도시되어 있다.
다음으로, 사용자가 제1 아이템(641)의 상세 정보를 확인하기 위해서 아이템 A에 대한 아이콘(651)을 선택하는 신호를 입력하면, 도 13과 같이 아이템 A 대한 상세 정보를 포함하는 상세 정보표시창(660)이 팝업형태로 화면에 표시된다.
다른 실시예로서, 화면(610)에 표시되는 각각의 아이템(641 내지 644)이 커서 입력 혹은 포인터 입력을 받을 수 있는 상태로 표시될 수 있는 경우에 사용자는 원격제어장치(200)의 방향키등을 이용하여 커서 혹은 포인터를 관심있는 아이템으로 이동시키게 되면 해당 아이템의 상세 정보표시창(660)이 화면에 팝업형태로 바로 표시되게 구성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 사용자가 화면에 표시된 아이템 A(641)으로 커서등을 이동시키면 즉시 상세 정보표시창(660)이 표시되거나, 사용자가 화면에 표시된 아이템 A(641)로 커서등을 이동시켜 입력신호를 전송하여 상세 정보표시창(660)이 표시되도록 선택할 수도 있다.
또 다른 실시예로서, DVR(Digital Video Recorder)기능을 구비한 영상표시장치의 경우에는 사용자가 전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관심 아이템(예를 들면, 아이템 A)에 대한 상세 정보를 확인하고자 하는 경우에 화면에 표시되고 있는 영상을 일시정지 후에 상세 정보표시창(660)의 내용을 확인할 수 있고, 다른 한편으로는 관심 아이템 혹은 관심 아이템에 대한 아이콘들(650)중에서 어느 하나에 커서등을 이동시켜서 그 상세 정보표시창(660)이 화면에 표시되도록 하면 동시에 화면(610)에 표시되는 영상이 일시정지되도록 설정할 수도 있다.
도 13에 도시된 상세 정보표시창(660)은 해당 아이템에 대한 판매처항목(664) 및 추가정보검색항목(666)을 구비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도 9 및 도 10의 구성과 동일하다. 따라서 상기 판매처항목(663) 및 추가정보검색항목(666)을 제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3의 상세 정보표시창(660)에는 사용자 편의를 위해서 해당 아이템에 대한 판매처항목(664)을 포함하고 있다. 이러한 판매처항목(664)은 해당 물품의 판매처 웹사이트에 하이퍼링크된 텍스트 또는 이미지로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원격제어장치를 이용하여 해당 판매처항목(664)을 선택하고자 하는 신호를 입력하게 되면, 도 14a, 1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터넷 웹브라우져(670)를 실행시키게 되고, 해당 판매처의 웹사이트를 표시하는 웹브라우져창(671)이 화면에 표시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이러한 웹브라우져창(671)을 통해서 해당 아이템에 대한 정확한 판매정보를 획득할 수 있으며, 더 나아가 해당 아이템을 바로 구매할 수도 있을 것이다.
한편, 도 13의 상세 정보표시창(660)에는 사용자 편의를 위해서 해당 아이템에 대한 추가정보검색항목(666)을 포함하고 있다. 상기와 마찬가지로 이러한 추가정보검색항목(666)은 미리 지정된 인터넷 검색 엔진에 하이퍼링크된 텍스트 또는 이미지로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원격제어장치를 이용하여 해당 추가정보검색항목(666)을 선택하고자 하는 신호를 입력하게 되면, 도 14a, 1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터넷 웹브라우져(670)를 실행시키게 되고, 해당 아이템에 대한 인터넷 검색 엔진을 이용한 검색 결과를 표시하는 검색창(672)이 표시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이러한 웹브라우져 검색창(672)을 통해서 해당 아이템에 대한 추가적인 정보를 용이하게 획득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서 화면(610)에 웹브라우져창(670)이 표시되는 경우에 화면에 현재 표시중인 영상은 도 14(a)와 같이 웹브라우져창(670) 및 정보표시창(660)의 배경이 되는 상태에서 계속 진행되거나, 혹은 진행이 중지될 수 있다. 이 경우에 현재 표시중인 영상의 시청에 방해가 되지 않도록 웹브라우져창(670) 및 정보표시창(660)의 투명도가 조절되도록 설정할 수도 있다.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와 같이 영상의 시청중에 웹브라우져창(670) 및 정보표시창(660)이 화면(610)에 표시되는 경우에 현재 시청중인 영상을 표시하기 위한 별도의 영상표시창(611)이 도 1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면에 표시될 수 있다. 이때, 전술한 바와 같이 영상표시창(611), 웹브라우져창(670) 및 정보표시창(660)은 상호간 중첩되는 영역이 발생하지 않도록 각각의 크기 및 위치가 조절될 수 있다.
도 15 및 1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저장된 아이템 정보 데이터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아이템 정보 데이터는 해당 아이템이 영상 컨텐츠에 최초로 등장하는 시점에 알람 메세지가 생성된다. 그리고 최초 등장시점으로부터 특정 시점, 바람직하게는 약 10초 정도 분량 또는 해당 아이템이 화면으로부터 배제되는 시점까지의 영상과 함께 해당 아이템 정보가 저장부에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일정 시간의 영상 및 아이템 정보 데이터는 하나의 영상 컨텐츠에 복수개 존재할 수 있다. 도 15에는 하나의 영상 컨텐츠에 복수개의 영상 및 아이템 정보 데이터가 저장되고 이를 일괄적으로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방법을 도시한다.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해당 영상 컨텐츠와 관련하여 저장된 영상 및 아이템 정보 데이터가 복수개인 경우에 각각의 해당 영상을 썸네일(thumbnail) 이미지(680)로 표시한다. 예시적으로 도 15에는 6개의 썸네일 이미지들(681 내지 686)이 도시되어 있다.
상기 썸네일 이미지들(681 내지 686) 중에서 사용자가 어느 하나에 대한 상세 내용을 확인하고자 하는 경우에, 예시적으로 제3 썸네일 이미지(683)를 확인하고자 하는 경우에 사용자가 원격제어장치등을 이용하여 제3 썸네일 이미지(683)를 선택하면, 도 16과 같이 저장된 일정 시간분량의 영상 컨텐츠 및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아이콘이 표시될 수 있다. 표시된 적어도 하나의 아이콘을 사용자가 선택하면 도 13과 같은 상세 정보창(660)이 표시되어 상세 정보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
한편, 해당 영상 컨텐츠 및 아이템 정보 데이터를 저장하면서, 관련되는 영상 이미지 자체에 사용자 입력을 받을 수 있도록 좌표를 삽입하여 저장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 좌표가 삽입되는 위치는 사용자의 설정에 따를 수 있으며,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가장 특징적인 위치, 예를 들면 중심점, 최상단부, 최하단부 등이 될 수 있다. 이렇게 삽입되어 저장되는 위치에는 커서가 표시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원격제어장치의 방향키등을 사용하여 커서를 이동시키고 원하는 아이템에 대한 정보를 확인하고자 커서가 특정 위치된 상태에서 입력신호를 보내게 되면 상기와 도 13의 상세 정보표시창(660)이 화면에 표시되어 상세 정보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커서등을 이동시키면 커서등이 이동된 아이콘이 바로 선택되어 상세 정보표시창(660)이 표시되도록 설정할 수도 있을 것이다.
도 17(a) 및 17(b)은 영상 컨텐츠 및 해당 아이템 정보 데이터를 데이터 베이스화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7(a) 및 17(b)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영상표시장치의 저장부(140)는 아이템 정보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디렉토리(141)를 구비한다. 사용자는 영상표시장치로 수신된 아이템 정보 데이터를 각각의 영상 컨텐츠별로 분류하여 저장파일(143, 144, 145)을 생성할 수 있다. 도 1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제1 컨텐츠, 제2 컨텐츠 및 제3 컨텐츠와 관련되어 있는 아이템 정보 데이터를 각각의 컨텐츠 별로 파일을 생성하여 이를 통합하여 관리할 수 있고, 언제든지 영상 컨텐츠별로 저장되어 있는 아이템 정보 데이터를 호출하여 확인할 수 있다.
도 17(b)은 본 발명에 따라 사용자의 관심 키워드별로 아이템 정보 데이터를 분류하는 예를 도시한다. 사용자는 제1 키워드, 제2 키워드 및 제3 키워드와 관련되어 있는 아이템 정보 데이터를 각각의 키워드별로 파일(146, 147, 148)을 생성하여 이를 통합하여 관리할 수 있다. 이 경우에도 각각의 아이템 정보 데이터에는 관련되는 영상 컨텐츠 및 시청일시, 저장일시 등 부가적인 데이터를 포함하여 저장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디렉토리에는 사용자의 관심 키워드를 저장할 수 있는 파일(142)이 별도로 존재할 수 있다. 이에 따라서 전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는 관심 키워드와 관련성이 있는 아이템 정보 데이터만을 수신하거나 확인할 수 있도록 설정가능하다.
이와 같이, 상술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가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컨텐츠 제공자
20: 서비스 제공자
30: 네트워크 제공자
40: 사용자
100: 영상표시장치
105: 영상 데이터 수신부
500: EPG
600: 영상표시장치
610: 화면
620: 알람 메시지
630: 정보표시창
660: 정보표시창
670: 웹브라우져창
680: 썸네일(thumbnail) 이미지

Claims (26)

  1. 영상 신호와, 상기 영상과 관련되는 아이템에 대한 정보 데이터 신호를 수신하는 데이터 수신부;
    상기 영상 신호에 대응하는 썸네일(thumbnail) 이미지를 생성하는 채널 브라우징 처리부;
    상기 정보 데이터 신호를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는 형태로 변환하는 제어부; 및
    상기 영상 및 상기 변환된 정보 데이터를 화면에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를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영상이 화면에 표시되는 동안 특정 시점에 상기 정보 데이터가 수신되었음을 알려주는 알람 메세지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화면에 표시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영상 신호에 상기 정보 데이터가 최초로 등장하는 시점에 상기 썸네일 이미지를 상기 영상과 함께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화면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시점은 상기 영상에 상기 아이템이 최초로 등장하는 시점이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사용자의 입력 신호를 상기 제어부로 전달하는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로부터 알람내용 확인요청신호를 입력받아 상세 정보 데이터를 표시하는 정보표시창을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화면에 생성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표시창에는, 대표사진, 모델명, 가격, 제원, 판매처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정보항목이 표시되고,
    상기 판매처 목록은 상기 아이템에 대한 판매자의 웹사이트로 하이퍼링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항목은 상기 아이템에 대한 추가정보검색을 위해 특정 검색엔진으로 하이퍼링크된 추가정보검색항목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
  7.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하이퍼링크된 항목은 하이퍼링크된 텍스트이거나, 하이퍼링크된 이미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표시창은 투명도가 조절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
  9.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화면은 영상이 디스플레이되는 제1 영역 및 정보표시창이 디스플레이되는 제2 영역으로 분할가능하며,
    상기 제1 영역 및 제2 영역은 상호간 중첩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영역 및 제2 영역의 크기는 조절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부는 사용자의 관심 키워드를 저장하고,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의 관심 키워드와 관련성이 있는 정보 데이터가 수신되는 경우에만 상기 알람 메시지를 생성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부는 상기 정보 데이터를 해당 영상별로 분류하여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부는 사용자의 관심 키워드를 저장하고,
    상기 저장부는 상기 정보 데이터를 상기 관심 키워드별로 분류하여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21. 삭제
  22. 삭제
  23. 삭제
  24. 삭제
  25. 삭제
  26. 삭제
KR1020100089220A 2010-09-13 2010-09-13 영상표시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17702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89220A KR101770270B1 (ko) 2010-09-13 2010-09-13 영상표시장치 및 그 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89220A KR101770270B1 (ko) 2010-09-13 2010-09-13 영상표시장치 및 그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27576A KR20120027576A (ko) 2012-03-22
KR101770270B1 true KR101770270B1 (ko) 2017-08-22

Family

ID=461326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89220A KR101770270B1 (ko) 2010-09-13 2010-09-13 영상표시장치 및 그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7027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137343A1 (ko) * 2020-01-03 2021-07-08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12102A (ko) * 2014-03-26 2015-10-07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상품 제공 방법, 이를 위한 시스템 및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137343A1 (ko) * 2020-01-03 2021-07-08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27576A (ko) 2012-03-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201627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transferring content between user equipment and a wireless communications device
US9250927B2 (en) Digital receiver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DK2522127T3 (en) SYSTEMS AND PROCEDURES FOR PROVIDING A GUIDE TO A MEDIA USE FUNCTIONALITY WITH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US20120114303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subtitles on a wireless communications device
US20130167170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detecting unauthorized use of a user equipment device
KR101877390B1 (ko) 영상표시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102499124B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
US20090235309A1 (en) Methods and devices for presenting an interactive media guidance application
US20020056104A1 (en) Folder-style program guide with categories and sub-categories
EP1954049A1 (en) Video system
KR101770270B1 (ko) 영상표시장치 및 그 제어 방법
US9532107B2 (en) Content distribution
CN102595232B (zh) 数字电视节目相关信息搜索方法及数字电视接收终端
EP2605512B1 (en) Method for inputting data on image display device and image display device thereof
KR20150000649A (ko) 방송 영상과 관련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방송 영상 표시 장치 및 방법
KR20130077328A (ko) 컨텐츠 부가 정보 제공 장치 및 방법과 이에 관한 기록매체, 그리고 개인 스토리지 장치 및 제어 방법
KR20100053300A (ko) 방송 부가정보를 제공하는 방송수신장치 및 그 방법
US20090013346A1 (en) Method for restricting viewing access to broadcast program and broadcast receiving apparatus using the same
JP2002125168A (ja) ディジタル放送システム及びディジタル放送受信装置
KR20120045622A (ko) 큐알 코드를 이용하여 아이피티브이 콘텐츠에 대한 링크정보를 이기종의 단말에 제공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KR101988038B1 (ko) 서비스 정보와 방송신호를 결합하는 장치 및 시스템
KR101534508B1 (ko) 디지털 방송 프로그램을 이용한 상품 정보 제공장치 및 방법
AU2013202967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Media Guidance Application Functionality Using a Wireless Communications Device
KR20120005090A (ko) 방송 수신기에서의 방송 정보 공유 장치 및 방법
CN104540006A (zh) 数字电视节目相关信息的搜索方法及数字电视接收终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