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68415B1 - 진공관을 이용한 음향 출력 장치, 음향 기기 및 음향 출력 방법 - Google Patents

진공관을 이용한 음향 출력 장치, 음향 기기 및 음향 출력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68415B1
KR101868415B1 KR1020120039037A KR20120039037A KR101868415B1 KR 101868415 B1 KR101868415 B1 KR 101868415B1 KR 1020120039037 A KR1020120039037 A KR 1020120039037A KR 20120039037 A KR20120039037 A KR 20120039037A KR 101868415 B1 KR101868415 B1 KR 1018684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cuum tube
audio signal
unit
output
amplify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390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12910A (ko
Inventor
이재철
김병수
윤주문
조기영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EP12174126.8A priority Critical patent/EP2552019B1/en
Priority to US13/553,984 priority patent/US8841966B2/en
Priority to CN201210261591.9A priority patent/CN102905211B/zh
Publication of KR201300129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129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684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684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3/00Circuits for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5/00Amplifiers with both discharge tubes and semiconductor devices as amplifying el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60/00Details of hearing devices, i.e. of ear- or headphones covered by H04R1/10 or H04R5/033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their subgroups, or of hearing aids covered by H04R25/00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H04R2460/03Aspects of the reduction of energy consumption in hear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Amplifiers (AREA)

Abstract

음향 출력 장치가 제공된다. 본 음향 출력 장치는 오디오 신호를 증폭하는 진공관, 진공관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부, 전원 공급부와 진공관을 연결하는 스위칭부 및 진공관의 사용 여부에 따라, 스위칭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이에 의해, 진공관을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전원 공급을 오프시켜, 진공관의 수명을 최대한 연장시킬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진공관을 이용한 음향 출력 장치, 음향 기기 및 음향 출력 방법{SOUND OUTPUT DEVICE USING VACUUM TUBE, AUDIO APPARATUS AND METHOD FOR SOUND OUTPUT THEREOF}
본 발명은 진공관을 이용한 음향 출력 장치, 음향 기기 및 음향 출력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진공관의 수명을 향상시키고, 진공관의 정상 동작 여부를 감지하여 진공관이 정상 동작하지 않는 경우에도 음향을 출력할 수 있는 음향 출력 장치, 음향 기기 및 음향 출력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 산업이 고도화함에 따라, 모든 전자기기가 아날로그에서 디지털화되고 있으며, 음향 기기의 경우에도 디지털화가 급속히 보급되어 음질의 향상을 추구하고 있다.
그러나 음향의 영역에 있어서는 디지털 기술이 갖는 증폭방식의 차이로 인하여, 음질 측면에서 아날로그형인 진공관 앰프가 우위에 있는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구체적으로, 트랜지스터를 이용한 디지털 방식은 트랜지스터가 증폭할 때 바로 증폭되는 것이 아니라 약간의 지연이 존재하며, 이 지연에 의하여 증폭되는 파형은 증폭 과정에서 파형에 약간의 변형이 생기므로 원 신호를 그대로 증폭하는 진공관을 이용한 아날로그 방식과 차이가 있다. 이러한 점에서, 하이앤드 오디오에서는 진공관 앰프를 이용하여 오디오 신호를 증폭한다.
한편, 진공관 앰프는 보다 좋은 음질의 오디오를 들을 수 있다는 장점이 있으나, 수명이 수천 시간에 불과하여, 그 수명이 다른 오디오 증폭 장치보다 짧다.
특히, 종래의 진공관의 경우, 진공관을 사용하고 있지 않더라도 진공관에 항상 전원을 공급하여 진공관에 전류를 흐르게 한다. 이에 따라 사용하지 않는 순간에도 진공관에 전류가 흘러서 진공관의 수명이 점차 짧아지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진공관에 공급되는 전원을 제어하여 진공관의 수명을 연장하기 위한 방안의 모색이 요청된다.
또한, 진공관 앰프는 수명이 수천 시간에 불과하여, 그 수명이 짧아 소켓을 사용하여 사용자가 수동으로 교체할 수 있도록 제작된다.
그러나 종래에는 진공관의 수명이 다되었는지 여부를 사용자가 직접 오디오의 출력 사운드를 청음 하여 판단하였다는 점에서 불편함이 존재하였다. 또한, 진공관의 수명이 다되어, 진공관이 교체되기까지 음향 기기를 사용하지 못하게 된다는 불편함이 존재하였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진공관의 사용 여부에 따라, 진공관과 전원 공급부 사이를 연결하는 스위칭부를 스위칭하는 음향 출력 장치 및 음향 기기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진공관의 정상 동작 여부를 감지하고, 진공관이 정상 동작하지 않는 경우에도 음향을 출력할 수 있는 음향 출력 장치, 음향 기기 및 음향 출력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이상과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음향 출력 장치는, 오디오 신호를 증폭하는 진공관, 상기 진공관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부, 상기 전원 공급부와 상기 진공관을 연결하는 제1 스위칭부, 및, 상기 진공관의 사용 여부에 따라, 상기 스위칭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이 경우, 상기 진공관은, 캐소드(cathode)를 가열하여 전자를 방출하도록 하는 히터, 및, 상기 캐소드에서 방출된 전자를 수집하는 플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 스위칭부는, 상기 전원 공급부와 상기 플레이트를 연결하는 제1 스위치, 및, 상기 전원 공급부와 상기 히터를 연결하는 제2 스위치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진공관을 사용할 경우, 상기 제1 스위치 및 제2 스위치를 온 시키고, 상기 진공관을 사용하지 않을 경우, 상기 제1 스위치 및 제2 스위치 중 적어도 하나를 오프시킬 수 있다.
한편, 본 음향 출력 장치는, 오디오 신호를 입력받는 입력부, 및, 상기 입력된 오디오 신호 또는 상기 진공관의 출력 오디오 신호를 선택적으로 증폭하는 증폭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진공관의 정상 동작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진공관이 정상 동작하면, 상기 진공관에서 출력된 증폭된 오디오 신호를 증폭하고, 상기 진공관이 비정상 동작하면, 상기 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오디오 신호가 증폭되도록 상기 증폭부를 제어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진공관에 입력된 오디오 신호와 상기 진공관의 출력 오디오 신호를 비교하여 상기 진공관의 증폭비를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증폭비에 따라 상기 진공관의 정상 동작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한편, 본 음향 출력 장치는, 상기 진공관의 출력 오디오 신호 및 상기 입력된 오디오 신호 중 하나의 오디오 신호를 선택적으로 상기 증폭부에 제공하는 제2 스위칭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진공관이 정상 동작하면, 상기 진공관의 출력 오디오 신호가 상기 증폭부에 제공되도록 상기 제2 스위칭부를 제어하고, 상기 진공관이 비정상 동작하면, 상기 입력된 오디오 신호가 상기 증폭부에 제공되도록 상기 제2 스위칭부를 제어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산출된 진공관의 증폭비에 따라 상기 증폭부의 증폭비를 조정할 수 있다.
한편, 본 음향 출력 장치는, 상기 입력된 오디오 신호를 증폭하는 보조 진공관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진공관이 비정상 동작하면 상기 입력된 오디오 신호가 상기 보조 진공관 및 상기 증폭부에서 2단 증폭되도록 할 수 있다.
이 경우, 본 음향 출력 장치는, 상기 진공관의 출력 오디오 신호 및 상기 보조 진공관의 출력 오디오 신호 중 하나의 오디오 신호를 선택적으로 상기 증폭부에 제공하는 제2 스위칭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진공관이 정상 동작하면, 상기 진공관의 출력 오디오 신호가 상기 증폭부에 제공되도록 상기 제2 스위칭부를 제어하고, 상기 진공관이 비정상 동작하면, 상기 보조 진공관의 출력 오디오 신호가 상기 증폭부에 제공되도록 상기 제2 스위칭부를 제어할 수 있다.
이 경우, 본 음향 출력 장치는, 상기 입력된 오디오 신호를 선택적으로 상기 보조 진공관에 제공하는 제3 스위칭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진공관이 비정상 동작하면, 상기 입력된 오디오 신호가 상기 보조 진공에 제공되도록 상기 제3 스위칭부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본 음향 출력 장치는, 상기 입력된 오디오 신호를 증폭하는 보조 진공관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진공관에 입력된 오디오 신호와 상기 진공관의 출력 오디오 신호를 비교하여 상기 진공관의 증폭비를 산출하고, 상기 보조 진공관에 입력된 오디오 신호와 상기 보조 진공관의 출력 오디오 신호를 비교하여 상기 보조 진공관의 증폭비를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진공관의 증폭비 및 상기 산출된 보조 진공관의 증폭비에 따라 상기 증폭부에서 증폭될 오디오 신호를 결정할 수 있다.
이 경우, 본 음향 출력 장치는, 상기 진공관의 출력 오디오 신호, 상기 보조 진공관의 출력 오디오 신호 및 상기 입력된 오디오 신호 중 하나의 오디오 신호를 선택적으로 상기 증폭부에 제공하는 제2 스위칭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진공관이 정상 동작하면, 상기 진공관의 출력 오디오 신호가 상기 증폭부에 제공되도록 상기 제2 스위칭부를 제어하고, 상기 진공관이 비정상 동작하고 상기 보조 진공관이 정상 동작하면, 상기 보조 진공관의 출력 오디오 신호가 상기 증폭부에 제공되도록 상기 제2 스위칭부를 제어하고, 상기 진공관이 비정상 동작하고 상기 보조 진공관이 비정상 동작하면, 상기 입력된 오디오 신호가 상기 증폭부에 제공되도록 상기 제2 스위칭부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 예에 따른, 음향 기기는, 오디오 컨텐츠를 입력받는 통신 인터페이스, 상기 오디오 컨텐츠를 복수의 오디오 신호로 처리하는 오디오 처리부, 및, 상기 분리된 오디오 신호를 선택적으로 증폭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진공관, 상기 진공관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부, 상기 전원 공급부와 상기 진공관을 연결하는 제1 스위칭부, 및, 상기 진공관의 사용 여부에 따라, 상기 제1 스위칭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이 경우, 상기 진공관은, 캐소드(cathode)를 가열하여 전자를 방출하도록 하는 히터, 및, 상기 캐소드에서 방출된 전자를 수집하는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스위칭부는, 상기 전원 공급부와 상기 플레이트를 연결하는 제1 스위치, 및, 상기 전원 공급부와 상기 히터를 연결하는 제2 스위치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진공관을 사용할 경우, 상기 제1 스위치 및 제2 스위치를 온시키고, 상기 진공관을 사용하지 않을 경우, 상기 제1 스위치 및 제2 스위치 중 적어도 하나를 오프시킬 수 있다.
한편, 본 음향 기기는, 상기 오디오 처리부에서 분리된 오디오 신호 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진공관에서 출력된 증폭된 신호를 선택적으로 증폭하여 출력하는 증폭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하나 이상의 진공관의 정상 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증폭기로 입력되는 신호를 결정할 수 있다.
이 경우, 본 음향 기기는, 상기 진공관이 정상 동작하지 않으면, 진공관이 정상 동작하지 않음을 사용자에 알리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진공관은 하나의 진공관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진공관의 증폭비에 따라 상기 진공관의 정상 동작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진공관이 정상 동작하면 상기 입력된 오디오 신호가 상기 진공관 및 상기 증폭부에서 2단 증폭되도록 하고, 상기 진공관이 비정상 동작하면, 상기 입력된 오디오 신호가 상기 증폭부에서 1단 증폭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본 음향 기기는, 상기 진공관의 출력 오디오 신호 및 상기 입력된 오디오 신호 중 하나의 오디오 신호를 선택적으로 상기 증폭부에 제공하는 제2 스위칭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진공관이 정상 동작하면, 상기 진공관의 출력 오디오 신호가 상기 증폭부에 제공되도록 상기 스위칭부를 제어하고, 상기 진공관이 비정상 동작하면, 상기 입력된 오디오 신호가 상기 증폭부에 제공되도록 상기 스위칭부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 예에 따른 적어도 하나 이상의 진공관을 이용하여 입력된 오디오 신호를 선택적으로 증폭하는 음향 출력 장치에서의 음향 출력 방법은, 오디오 신호를 입력받는 단계, 상기 진공관을 이용하여, 상기 입력된 오디오 신호를 선택적으로 증폭하는 단계, 상기 진공관의 정상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진공관이 정상이면, 상기 진공관을 통해 증폭된 오디오 신호가 증폭기를 통해 2단 증폭되도록 하고, 상기 진공관이 비정상이면, 상기 분리된 오디오 신호가 진공관으로 입력되지 않고 상기 증폭기를 통해서 1단 증폭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음향 기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음향 출력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음향 출력 장치의 회로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음향 출력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음향 출력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에 따른 음향 출력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그리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음향 출력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음향 기기의 블록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음향 기기(100)는 통신 인터페이스부(110),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20), 저장부(130), 오디오 처리부(140), 제어부(150), 및 복수의 음향 출력 장치(200)를 포함한다.
여기서 음향 기기(100)는 진공관을 구비하는 HTS(Home Theather System), 앰프 등의 음향 증폭장치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오디오 신호를 입력받아, 입력된 오디오 신호를 처리하여 출력하는 음향 기기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적용될 수 있다.
통신 인터페이스부(110)는 적어도 하나의 외부 장치(예를 들어, 컴퓨터, 텔레비전, 셋탑 박스, 디지털 위상 방송 수신기, VTR, DVD 플레이어 등)와 연결되기 위해 형성되며, 외부 장치로부터 오디오 컨텐츠를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오디오 컨텐츠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오디오 신호를 포함하는 컨텐츠로, 아날로그 컨텐츠 또는 디지털 컨텐츠일 수 있다. 여기서 오디오 신호는 하나의 음파 채널에 대한 전기 신호이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20)는 음향 기기(100)에서 지원하는 각종 기능을 사용자가 설정 또는 선택할 수 있는 다수의 기능키를 구비하며, 음향 기기(100)에서 제공되는 각종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20)는 터치패드 등과 같이 입력과 출력이 동시에 구현되는 장치로 구현될 수 있고, 마우스, 키보드 등과 같은 입력 장치 및 복수의 LED, LCD와 같은 표시 장치를 결합하여 구현될 수도 있다. 사용자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20)를 이용하여 제공되는 사운드의 볼륨을 조정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20)는 진공관이 정상 동작하지 않는 경우, 이를 사용자에게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20)는 진공관의 교체를 알리는 메시지를 표시하거나, 진공관의 교체를 알리는 LED 등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20)는 진공관 사용 여부에 따라, 진공관과 전원 공급부 사이의 스위칭 여부에 대한 정보를 표시할 수도 있다.
저장부(130)는 통신 인터페이스부(110)를 통하여 수신된 오디오 컨텐츠를 저장할 수 있다. 이 경우, 저장부(130)는 수신된 오디오 컨텐츠가 아날로그 컨텐츠인 경우, 디지털 컨텐츠로 변환하여 저장할 수 있다. 한편, 저장부(130)는 하드디스크, 비휘발성 메모리, 휘발성 메모리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오디오 처리부(140)는 입력된 오디오 컨텐츠 또는 저장부(130)에 저장된 오디오 컨텐츠에 대해 오디오 디코딩 등의 신호 처리를 수행한다. 그리고 오디오 처리부(140)는 신호 처리된 오디오 컨텐츠를 복수의 오디오 신호로 분리한다.
예를 들어, 오디오 컨텐츠가 스테레오 오디오 신호인 경우, 오디오 처리부(140)는 좌측 오디오 신호 및 우측 오디오 신호로 분리할 수 있다. 그리고 오디오 컨텐츠가 2.1채널 오디오 컨텐츠인 경우, 오디오 처리부(140)는 좌측 오디오 신호, 우측 오디오 신호 및 우퍼 오디오 신호로 분리할 수 있다. 그리고 오디오 컨텐츠가 5.1채널 오디오 컨텐츠인 경우, 오디오 처리부(140)는 전면 좌측 오디오 신호, 전면 우측 오디오 신호, 후면 좌측 오디오 신호, 후면 우측 오디오 신호 및 우퍼 오디오 신호로 분리할 수 있다.
그리고 오디오 처리부(140)는 분리된 오디오 신호를 대응되는 음향 출력 장치(200)에 전송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음향 출력 장치(200)는 특정 스피커와 연결되어 있는바, 특정 스피커와 연결된 음향 출력 장치(200)에 '해당 스피커에 대응되는 오디오 신호'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오디오 처리부(140)가 스테레오 오디오 컨텐츠를 좌측 오디오 신호와 우측 오디오 신호로 분리한 경우, 좌측 스피커와 연결된 음향 출력 장치에 좌측 오디오 신호를 제공하고, 우측 스피커와 연결된 음향 출력 장치에 우측 오디오 신호를 제공할 수 있다.
복수의 음향 출력 장치(200)는 분리된 오디오 신호 각각을 진공관을 이용하여 증폭하고, 증폭된 오디오 신호를 연결된 스피커에 출력한다. 구체적으로, 음향 출력 장치(200) 각각은 오디오 처리부(140)에서 제공되는 오디오 신호를 진공관을 이용하여 증폭하고, 증폭된 오디오 신호를 연결된 스피커에 제공한다.
그리고 음향 출력 장치(200) 각각은 진공관 사용 여부에 따라, 진공관과 진공관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부 사이의 제1 스위칭부를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음향 출력 장치(200)에 오디오 신호가 입력되어 진공관을 사용할 경우, 진공관과 전원 공급부 사이의 제1 스위칭부를 온 시키고, 음향 출력 장치(200)에 오디오 신호가 입력되지 않아 진공관을 사용하지 않을 경우, 진공관과 전원 공급부 사이의 제1 스위칭부를 오프시킬 수 있다. 진공관의 사용 여부에 따라 스위칭 동작을 하는 음향 출력 장치(200)의 구체적인 구성 및 동작에 대해서는 도 2 및 도 3을 참고하여 후술한다.
또한, 음향 출력 장치(200) 각각은 진공관에 입력된 오디오 신호와 진공관의 출력 오디오 신호를 비교하여 진공관의 증폭비를 산출하여 진공관의 정상 동작 여부를 판단한다. 그리고 음향 출력 장치(200') 각각은 진공관이 정상 동작하면 오디오 신호에 대한 2단 증폭을 수행하여 2단 증폭된 오디오 신호를 스피커에 제공하고, 진공관이 정상 동작하지 않으면, 별도의 보조 진공관을 이용하여 2단 증폭하거나, 1단 증폭을 수행하여 증폭된 오디오 신호를 스피커에 제공할 수 있다. 음향 출력 장치(200')의 구체적인 구성 및 동작에 대해서는 도 4를 참고하여 후술한다.
또한, 음향 출력 장치(200)는 다른 구성들과는 별도의 케이스로 외부에 구비될 수 있으며, 다른 구성들과 함께 하나의 케이스에 포함될 수 있다. 만약, 음향 출력 장치(200)가 별도의 유닛으로 외부에 구비된 경우, 처리된 오디오 신호를 무선으로 수신하여, 이를 증폭하고, 출력할 수 있다.
제어부(150)는 음향 기기(100)에 포함된 각 구성을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50)는 통신 인터페이스부(110)를 통하여 오디오 컨텐츠를 수신하면, 수신된 오디오 컨텐츠가 복수의 오디오 신호로 변환되도록 오디오 처리부(140)를 제공하고, 분리된 오디오 신호가 복수의 스피커에 제공되도록 복수의 음향 출력 장치(200)를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50)는 진공관의 수명이 다한 경우, 진공관 수명이 다했다는 메시지 또는 진공관의 교체 메시지를 표시하도록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2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50)는 음향 출력 장치(200)의 진공관(220)의 사용 유무에 따라, 음향 출력 장치(200)에 포함된 진공관(220)과 진공관(220)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부(205) 사이에 위치하는 제1 스위칭부(215)의 스위칭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도 1을 도시하고 설명함에 있어서, 하나의 채널(즉, 하나의 오디오 신호)에 대해서 하나의 음향 출력 장치가 처리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하나의 음향 출력 장치가 복수의 채널을 처리하는 형태로도 구현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음향 출력 장치(200)에 대해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음향 출력 장치(200)의 블럭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음향 출력 장치(200)는 전원 공급부(205), 제1 스위칭부(215), 진공관(220), 출력부(260) 및 제어부(230)를 포함한다.
전원 공급부(205)는 음향 출력 장치(200)의 각 구성에 전원을 공급한다. 특히, 전원 공급부(205)는 진공관(220)의 히터(221) 및 플레이트(224)에 전원을 공급하여, 입력된 오디오 신호가 진공관(220)을 통해 증폭될 수 있게 한다.
제1 스위칭부(215)는 전원 공급부(205)와 진공관(220) 사이에 위치하여, 제어부(230)의 제어에 따라 스위칭 동작을 수행한다.
진공관(220)은 입력된 오디오 신호를 증폭하는 역할을 한다. 특히, 진공관(220)은 히터(Heater), 캐소드(Cathode), 그리드(Grid) 및 플레이트(Plate)의 4 개의 전극을 포함한다.
이때, 히터는 가는 금속선 등을 이용하여 열을 발생시켜 캐소드를 가열시키는 역할을 하며, 캐소드는 히터에 의해 가열되어 전자를 방출하는 역할을 하며, 그리드는 캐소드에서 방출된 전자를 통제하는 역할을 하며, 플레이트는 금속판으로 캐소드를 둘러싼 구조로서 전자를 흡수하는 역할을 한다. 특히, 그리드가 캐소드에서 방출되는 전자를 통제함으로써, 진공관의 증폭 기능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출력부(260)는 스피커와 연결된다. 구체적으로, 출력부(260)는 음향 출력 장치(200)를 스피커와 연결하기 위해 형성되고, 진공관(220)의 출력 신호를 스피커에 제공한다.
제어부(230)는 음향 출력 장치(2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특히, 제어부(230)는 진공관(220)의 사용 유무에 따라, 진공관(220)과 전원 공급부(205) 사이에 위치하는 제1 스위칭부(215)를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제어부(230)는 진공관(220)을 사용하는지 여부, 즉, 진공관(220)이 입력된 오디오 신호를 증폭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오디오 신호가 입력되어 진공관(220)을 사용하는 경우, 제어부(230)는 진공관(220)에 전원이 공급되도록 제1 스위칭부(215)를 온 시킨다. 그러나 외부로부터 오디오 신호가 입력되지 않아 진공관(220)을 사용하지 않는 경우, 제어부(230)는 진공관(220)에 전원이 차단되도록 제1 스위칭부(215)를 오프 시킨다.
따라서, 진공관(220)을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전원 공급을 차단시켜 진공관(220)에 전류를 흐르지 않게 함으로써, 진공관의 수명을 최대한 연장시킬 수 있게 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음향 출력 장치(200)의 회로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음향 출력 장치(200)는 히터(221), 캐소드(222), 그리드(223) 및 플레이트(224)의 전극을 포함하는 진공관(220), 진공관(220)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부(205-1, 205-2) 및 전원 공급부(205-1, 205-2)와 진공관(220)을 연결하는 제1 스위치(215-1) 및 제2 스위치(215-2)를 포함한다. 특히, 전원 공급부(205-1,205-2)는 진공관(220)의 구성 중 플레이트(224)와 히터(221)에 연결된다.
제어부(230)는 진공관의 사용 여부에 따라, 전원 공급부(205-1)와 플레이트(224)를 연결하는 제1 스위치(215-1) 및 전원 공급부(205-2)와 히터(221)를 연결하는 제2 스위치(215-2)를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음향 출력 장치(200)에 오디오 신호가 입력되어 진공관(220)을 사용하는 경우, 제어부(230)는 히터(221) 및 플레이트(224)에 전류가 공급되도록 제1 스위치(215-1) 및 제2 스위치(220-2)를 온 시킨다. 따라서, 히터(221) 및 플레이트(224)에 전류가 공급됨으로써, 진공관(220)은 입력된 오디오 신호를 증폭시켜 출력부(260)로 출력한다.
그러나 음향 출력 장치(200)에 오디오 신호가 입력되지 않아 오디오 신호를 증폭할 필요가 없어 진공관(220)을 사용하지 않는 경우, 제어부(230)는 히터(221) 및 플레이트(224)에 전류가 공급되지 않도록 제1 스위치(215-1) 및 제2 스위치(215-2)를 오프 시킨다. 따라서, 진공관(220)을 사용하지 않는 경우, 진공관(220)에 전류를 차단하여, 진공관의 불필요한 소모를 막을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3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진공관(220)을 사용하지 않는 경우, 제1 스위치(215-1) 및 제2 스위치(215-2)를 모두 오프시키는 것은 일 실시 예에 불과할 뿐, 제1 스위치(215-1) 및 제2 스위치(215-2) 중 하나만을 오프시킬 수도 있다.
또한, 도 3에서는 히터(221) 및 플레이트(224)에 전류를 공급하는 전원 공급부(205-1, 205-2)가 별도로 존재하는 것으로 상정하였으나, 이는 일 실시 예에 불과할 뿐, 동일한 전원 공급부(205)를 이용하여, 히터(221) 및 플레이트(224)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 예에 따른, 음향 출력 장치는 진공관에 불필요하게 전류가 공급되는 것을 막을 수 있어 진공관(220)을 종래보다 오래 사용할 수 있게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음향 출력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4를 참고하면, 음향 출력 장치(200')는 입력부(210), 제1 진공관(220), 제어부(230'), 제2 스위칭부(240), 증폭부(250) 및 출력부(260)로 구성된다.
입력부(210)는 오디오 신호를 입력받는다. 구체적으로, 입력부(210)는 오디오 처리부(140)로부터 오디오 신호를 입력받을 수 있다.
제1 진공관(220)은 오디오 신호를 선택적으로 증폭한다. 구체적으로, 제1 진공관(220)은 입력부(210)를 통하여 입력받은 오디오 신호를 기설정된 증폭비로 증폭할 수 있다. 여기서 기설정된 증폭비는 제1 진공관(220)이 지원하는 증폭비이다.
제어부(230')는 제1 진공관(220)의 정상 동작 여부를 판단한다. 구체적으로, 진공관은 수명이 다하거나 오동작을 하면 기존 출력과 다르게 그 크기가 변하는 특징이 있다. 따라서, 제어부(230)는 제1 진공관(220)에 입력된 오디오 신호와 제1 진공관(220)에서 출력된 오디오 신호를 비교하여, 제1 진공관(220)의 증폭비를 산출하고, 산출된 증폭비가 정상 범위 내에 있는지 여부로 제1 진공관(220)의 정상 동작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제어부(230')는 제1 진공관(220)이 정상 동작하면, 제1 진공관(220)에서 증폭된 오디오 신호가 스피커에 전달되도록 제2 스위칭부(240) 및 증폭부(250)를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제어부(230')는 제1 진공관(220)이 정상 동작하면, 제1 진공관(220)에서 증폭된 오디오 신호가 증폭부(250)에 전달 되도록 제2 스위칭부(240)를 제어하여, 2단 증폭된 오디오 신호가 스피커에 전달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230')는 증폭부(250)의 기설정된 증폭비가 1이 되도록 증폭부(250)를 제어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는 증폭비가 1이 되도록 증폭부(250)를 제어하는 것만은 설명하였으나, 구현시에 이러한 증폭비는 변경할 수 있다.
반면에 제1 진공관(220)이 비정상 동작하면, 제어부(230')는 제1 진공관(220)을 경유하지 않은 오디오 신호(또는 바이패스된 오디오 신호, 이하에서는 바이패스된 오디오 신호라고 칭한다)가 증폭부(250)를 통하여 증폭되어 스피커에 전달되도록 제2 스위칭부(240) 및 증폭부(250)를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230')는 바이패스된 오디오 신호가 증폭부(250)에 전달되도록 제2 스위칭부(240)를 제어하고, 제1 진공관(220)이 정상 동작시에 증폭해야 하는 증폭비만큼 바이패스된 오디오 신호가 증폭되도록 증폭부(250)를 제어할 수 있다. 즉, 제어부(230')는 입력된 오디오 신호가 1단 증폭되도록 제2 스위칭부(240) 및 증폭부(250)를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230')는 제1 진공관(220)이 정상동작하지 않으면, 제1 진공관(220)이 정상 동작하지 않음을 제어부(150)에 통지할 수 있다.
제2 스위칭부(240)는 제1 진공관(220)의 출력 및 바이패스된 오디오 신호 중 하나의 오디오 신호를 선택적으로 증폭부(250)에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제2 스위칭부(240)는 제어부(230')의 제어에 따라 제1 진공관(220)이 정상 동작하면, 제1 진공관(220)에서 증폭된 오디오 신호를 증폭부(250)에 제공하고, 제1 진공관(220)이 비정상 동작하면, 바이패스된 오디오 신호를 증폭부(250)에 제공할 수 있다.
증폭부(250)는 오디오 신호를 기설정된 증폭비로 증폭하여 출력부(260)에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증폭부(250)는 제어부(230)의 제어에 따라 제1 진공관(220)이 정상 동작하면 제1 진공관(220)에서 증폭된 오디오 신호를 증폭비 1로 증폭하여 출력부(260)에 제공하고(즉, 추가적이 증폭 없이 출력부(260)에 제공한다), 제1 진공관(220)이 비정상 동작하면, 제1 진공관(220)이 정상동작하는 경우의 증폭비로 바이패스된 오디오 신호를 증폭하여 출력부(260)에 제공할 수 있다.
출력부(260)는 스피커와 연결된다. 구체적으로, 출력부(260)는 음향 출력 장치(200')를 스피커와 연결하기 위해 형성되고, 증폭부(250)의 출력 신호를 스피커에 제공한다. 본 실시 예에서는 출력부(260)를 이용하여 증폭된 오디오 신호를 스피커에 제공하는 예만을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구현시에는 증폭된 오디오 신호는 직접 스피커에 제공될 수도 있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 예에 따른 음향 출력 장치(200')는 진공관의 고장 유무를 용이하게 판단할 수 있으며, 바이패스된 오디오 신호를 증폭하여 스피커에 제공하는바 진공관의 수명이 다하거나 에러가 발생한 경우에도 정상적인 동작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도 4를 설명함에 있어서, 증폭부(250)가 제2 스위칭부(240)의 후단에 연결되어 있는 형태만을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구현시에 증폭부(250)는 제1 증폭부(250)의 전 단에 연결되는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음향 출력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5를 참고하면, 음향 출력 장치(200")는 입력부(210), 제1 진공관(220), 제어부(230"), 제2 스위칭부(240'), 증폭부(250), 출력부(260) 및 제2 진공관(270)으로 구성된다.
입력부(210)는 오디오 신호를 입력받는다. 구체적으로, 입력부(210)는 오디오 처리부(140)로부터 오디오 신호를 입력받을 수 있다.
제1 진공관(220)은 오디오 신호를 증폭한다. 구체적으로, 제1 진공관(220)은 입력부(210)를 통하여 입력받은 오디오 신호를 기설정된 증폭비로 증폭할 수 있다.
제어부(230")는 제1 진공관(220)의 정상 동작 여부를 판단한다. 구체적으로, 제어부(230")는 제1 진공관(220)에 입력되는 오디오 신호와 제1 진공관(220)에서 출력되는 오디오 신호를 비교하여, 제1 진공관(220)의 증폭비를 산출하고, 산출된 증폭비가 정상 범위 내에 있는지 여부로 제1 진공관(220)의 정상 동작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제어부(230")는 제1 진공관(220)이 정상 동작하면, 제1 진공관(220)에서 증폭된 오디오 신호가 스피커에 전달되도록 제2 스위칭부(240') 및 증폭부(250)를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제어부(230")는 제1 진공관(220)이 정상 동작하면, 제1 진공관(220)에서 증폭된 오디오 신호가 스피커에 전달 되도록 제2 스위칭부(240')를 제어한다.
반면에 제1 진공관(220)이 비정상 동작하면, 제어부(230")는 제2 진공관(270)에서 증폭된 오디오 신호가 스피커에 전달되도록 제2 스위칭부(240')를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230")는 제1 진공관(220)이 정상동작하지 않으면, 제1 진공관(220)이 정상 동작하지 않음을 제어부(150)에 통지할 수 있다.
제2 스위칭부(240')는 제1 진공관(220)에서 출력되는 오디오 신호 및 제2 진공관에서 출력되는 오디오 신호를 선택적으로 증폭부(250)에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제2 스위칭부(240')는 제어부(230")의 제어에 따라 제1 진공관(220)이 정상동작하면, 제1 진공관(220)의 출력 오디오 신호를 증폭부(250)에 제공하고, 제1 진공관(220)이 비정상 동작하면, 제2 진공관(270)의 출력을 증폭부(250)에 제공할 수 있다.
증폭부(250)는 오디오 신호를 기설정된 증폭비로 증폭하여 출력부(260)에 제공한다.
출력부(260)는 스피커와 연결된다. 구체적으로, 출력부(260)는 음향 출력 장치(200')를 스피커와 연결하기 위해 형성되고, 증폭부(250)의 출력 신호를 스피커에 제공한다. 본 실시 예에서는 출력부(260)를 이용하여 증폭된 오디오 신호를 스피커에 제공하는 예만을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구현시에는 증폭된 오디오 신호는 직접 스피커에 제공될 수도 있다.
제2 진공관(270, 또는 보조 진공관)은 오디오 신호를 증폭한다. 구체적으로, 제2 진공관(270)은 입력부(210)를 통하여 입력받은 오디오 신호를 기설정된 증폭비로 증폭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 예에 따른 음향 출력 장치(200')는 진공관의 고장 유무를 제어부(230")를 통하여 용이하게 판단할 수 있으며, 하나의 진공관이 고장난 경우에도 다른 진공관을 이용하여 정상적인 동작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도 5를 설명함에 있어서, 증폭부(250)가 제2 스위칭부(240')의 후단에 연결되어 있는 형태를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구현시에 증폭부(250)는 생략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에 따른 음향 출력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6을 참고하면, 음향 출력 장치(200"')는 입력부(210), 제1 진공관(220), 제어부(230"'), 제2 스위칭부(240"), 증폭부(250), 출력부(260), 제2 진공관(270), 및 제3 스위칭부(280)로 구성된다.
입력부(210)는 오디오 신호를 입력받는다. 구체적으로, 입력부(210)는 오디오 처리부(140)로부터 오디오 신호를 입력받을 수 있다.
제1 진공관(220)은 오디오 신호를 증폭한다. 구체적으로, 제1 진공관(220)은 입력부(210)를 통하여 입력받은 오디오 신호를 기설정된 증폭비로 증폭할 수 있다.
제어부(230"')는 제1 진공관(220)의 정상 동작 여부를 판단한다. 구체적으로, 진공관은 수명이 다하거나 오동작을 하면 기존 출력과 다르게 그 크기가 변하는 특징이 있다. 따라서, 제어부(230"')는 제1 진공관(220)에 입력된 오디오 신호와 제1 진공관(220)에서 출력된 오디오 신호를 비교하여, 제1 진공관(220)의 증폭비를 산출하고, 산출된 증폭비가 정상 범위 내에 있는지 여부로 제1 진공관(220)의 정상 동작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제어부(230"')는 제1 진공관(220)이 정상 동작하면, 제1 진공관(220)에서 증폭된 신호가 스피커에 전달되도록 제2 스위칭부(240") 및 증폭부(250)를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제어부(230"')는 제1 진공관(220)이 정상 동작하면, 제1 진공관(220)에서 증폭된 오디오 신호가 스피커에 전달 되도록 제2 스위칭부(240")를 제어하고, 증폭부(250)의 증폭비가 1(즉, 추가적인 증폭 없이)이 되도록 증폭부(250)를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230"')는 제2 진공관(270)이 동작하지 않도록 제3 스위칭부(280)를 제어할 수 있다.
반면에 제1 진공관(220)이 비정상 동작하면, 제어부(230"')는 제2 진공관(270)에서 증폭된 오디오 신호가 스피커에 전달되도록 제3 스위칭부(280), 제2 스위칭부(240") 및 증폭부(250)를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제어부(230"')는 제1 진공관(220)이 비정상 동작하면, 입력된 오디오 신호가 제2 진공관(270)에 제공되도록 제3 스위칭부(280)를 제어하고, 제2 진공관(270)에서 증폭된 신호가 스피커에 전달 되도록 제2 스위칭부(240")를 제어하고, 증폭부(250)의 증폭비가 1(즉, 추가적인 증폭 없이)이 되도록 증폭부(250)를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230"')는 제2 진공관(270)의 정상 동작 여부를 판단한다. 구체적으로, 제2 진공관(270)에 입력된 오디오 신호와 제2 진공관(270)에서 출력된 오디오 신호를 비교하여, 제2 진공관(270)의 증폭비를 산출하고, 산출된 증폭비가 정상 범위 내에 있는지 여부로 제2 진공관(270)의 정상 동작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판단결과, 제2 진공관(270)이 정상 동작하지 않는 경우(즉, 제1 진공관(220) 및 제2 진공관(270) 모두가 정상 동작하지 않는 경우), 제어부(230"')는 제1 진공관(220) 및 제2 진공관(270)을 경유하지 않은 오디오 신호(바이패스 오디오 신호)가 증폭되어 스피커에 전달되도록 제2 스위칭부(240") 및 증폭부(250)를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230"')는 바이패스된 오디오 신호가 증폭부(250)에 전달되도록 제2 스위칭부(240")를 제어하고, 제1 진공관(220)에서 증폭해야 하는 증폭비로 바이패스된 오디오 신호가 증폭되도록 증폭부(250)를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230"')는 제1 진공관(220) 및 제2 진공관(270) 중 적어도 하나가 정상 동작하지 않으면, 제1 진공관(220) 또는 제2 진공관(270)이 정상 동작하지 않음을 제어부(150)에 통지할 수 있다.
제2 스위칭부(240")는 제1 진공관(220)의 출력, 제2 진공관(270)의 출력 및 바이패스된 오디오 신호(입력부로부터 입력된 오디오 신호)를 선택적으로 증폭부(250)에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제2 스위칭부(240")는 제어부(230"')의 제어에 따라 제1 진공관(220)이 정상 동작하면, 제1 진공관(220)의 출력 오디오 신호를 증폭부(250)에 제공하고, 제1 진공관(220)이 비정상 동작하고, 제2 진공관(270)이 정상동작하면, 제2 진공관(270)의 출력 오디오 신호를 증폭부(250)에 제공하고, 제1 진공관(220) 및 제2 진공관(270) 모두가 비정상 동작하면, 바이패스된 오디오 신호를 증폭부(250)에 제공할 수 있다.
제1 진공관(220)의 출력, 제2 진공관(270)의 출력 및 바이패스된 오디오 신호(입력부로부터 입력된 오디오 신호)를 선택적으로 증폭부(250)에 제공한다.
증폭부(250)는 오디오 신호를 기설정된 증폭비로 증폭하여 출력부(260)에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증폭부(250)는 제어부(230"')의 제어에 따라 제1 진공관(220)이 정상 동작하면 제1 진공관(220)에서 증폭된 오디오 신호를 증폭비 1로 증폭하여 출력부(260)에 제공할 수 있다(즉, 추가적이 증폭 없이 출력부(260)에 제공한다). 그리고 증폭부(250)는 제어부(230"')의 제어에 따라 제1 진공관(220)이 비정상 동작하고 제2 진공관(270)이 정상 동작하면, 제2 진공관(270)에서 증폭된 오디오 신호를 증폭비 1로 증폭하여 출력부(260)에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증폭부(250)는 제어부(230"')의 제어에 따라 제1 진공관(220) 및 제2 진공관(270) 모두가 비정상 동작하면, 제1 진공관(220)이 정상동작하는 경우의 증폭비로 바이패스된 오디오 신호를 증폭하여 출력부(260)에 제공할 수 있다.
출력부(260)는 스피커와 연결된다. 구체적으로, 출력부(260)는 음향 출력 장치(200')를 스피커와 연결하기 위해 형성되고, 증폭부(250)의 출력 신호를 스피커에 제공한다. 본 실시 예에서는 출력부(260)를 이용하여 증폭된 오디오 신호를 스피커에 제공하는 예만을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구현시에는 증폭된 오디오 신호는 직접 스피커에 제공될 수도 있다.
제2 진공관(270, 또는 보조 진공관)은 오디오 신호를 증폭한다. 구체적으로, 제2 진공관(270)은 제3 스위칭부(280)를 통하여 입력받은 오디오 신호를 기설정된 증폭비로 증폭할 수 있다.
제3 스위칭부(280)는 입력된 오디오 신호를 선택적으로 제2 진공관(270)에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제3 스위칭부(280)는 제어부(230"')의 제어에 따라 제1 진공관(220)이 정상 동작하면, 제2 진공관(270)에 오디오 신호가 입력되는 것을 차단하고, 제2 진공관이 정상 동작하지 않으면, 제2 진공관(270)에 오디오 신호가 입력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제3 스위칭부(280)에 의하여 제2 진공관(270)의 수명이 단축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 예에 따른 음향 출력 장치(200')는 진공관의 고장 유무를 제어부(230"')를 통하여 용이하게 판단할 수 있으며, 하나의 진공관이 고장된 경우에도 다른 진공관을 이용하여 정상적인 동작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두 개의 진공관이 모두 고장난 경우에도 바이패스된 오디오 신호를 증폭하여 스피커에 제공하는바, 진공관의 수명이 다하거나 에러가 발생한 경우에도 정상적인 동작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도 6을 설명함에 있어서, 증폭부(250)가 제2 스위칭부(240")의 후단에 연결되어 있는 형태를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구현시에 증폭부(250)는 제2 스위칭부(240") 전단에 입력부(210)의 오디오 신호를 입력받아 제2 스위칭부(240")에 제공하는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한편, 도 5 및 도 6을 설명함에 있어서, 진공관이 두 개 구비되는 것만을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구현시에는 세 개 이상의 진공관이 이용되는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음향 출력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을 참고하면, 먼저, 오디오 신호를 입력받고(S710), 진공관을 이용하여 입력된 오디오 신호를 증폭한다.
그리고 입력된 오디오 신호와 진공관을 통하여 증폭된 오디오 신호를 비교하여 상기 진공관의 정상 동작 여부를 판단한다(S720). 구체적으로, 진공관은 수명이 다하거나 오동작을 하면 기존 출력과 다르게 그 크기가 변하는 특징이 있다. 따라서, 진공관에 입력된 오디오 신호와 진공관에서 출력된 오디오 신호를 비교하여, 진공관의 증폭비를 산출하고, 산출된 증폭비가 정상 범위 내에 있는지 여부로 진공관의 정상 동작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판단결과 진공관이 정상 동작하면(S730-Y), 진공관에서 증폭된 오디오 신호를 기설정된 증폭비로 증폭하여(S740), 스피커에 출력한다(S760). 구체적으로, 진공관이 정상 동작하면, 진공관에서 증폭된 오디오 신호를 스피커에 전달할 수 있다. 여기서 기설정된 증폭비는 1일 수 있다.
판단 결과, 진공관이 정상 동작하지 않으면(S730-Y), 입력된 오디오 신호를 기설정된 증폭비로 증폭하여(S750), 스피커에 출력한다(S760). 구체적으로, 진공관이 정상 동작하지 않으면, 입력된 오디오 신호를 기설정된 증폭비로 증폭하여 스피커에 전달할 수 있다. 여기서 기설정된 증폭비는 진공관이 정상 동작시에 증폭해야 하는 증폭비일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 예에 따른 음향 출력 방법은 진공관이 수명이 다하거나 에러가 발생되는 경우에도 바이패스된 오디오 신호를 증폭하여 스피커에 제공하여 정상적인 동작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도 7과 같은 음향 출력 방법은 도 1의 구성을 가지는 음향 기기 또는 도 4의 구성을 가지는 음향 출력 장치(200') 상에서 실시될 수 있으며, 그 밖의 구성을 가지는 음향 기기 또는 음향 출력 장치상에서도 실행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 져서는 안 될 것이다.
100: 음향 기기 110: 통신 인터페이스부
120: 사용자 인터페이스부 130: 저장부
140: 오디오 처리부 150: 제어부
200: 음향 출력 장치

Claims (20)

  1. 음향 출력 장치에 있어서,
    오디오 신호를 증폭하는 진공관;
    상기 진공관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부;
    상기 전원 공급부와 상기 진공관을 연결하는 제1 스위칭부; 및
    상기 진공관의 사용 여부에 따라, 상기 제1 스위칭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진공관은,
    캐소드(cathode)를 가열하여 전자를 방출하도록 하는 히터;및
    상기 캐소드에서 방출된 전자를 수집하는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스위칭부는,
    상기 전원 공급부와 상기 플레이트를 연결하는 제1 스위치;및
    상기 전원 공급부와 상기 히터를 연결하는 제2 스위치;를 포함하는 음향 출력 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진공관을 사용할 경우, 상기 제1 스위치 및 제2 스위치를 온 시키고, 상기 진공관을 사용하지 않을 경우, 상기 제1 스위치 및 제2 스위치 중 적어도 하나를 오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 출력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오디오 신호를 입력받는 입력부; 및
    상기 입력된 오디오 신호 또는 상기 진공관의 출력 오디오 신호를 선택적으로 증폭하는 증폭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진공관의 정상 동작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진공관이 정상 동작하면, 상기 진공관에서 출력된 증폭된 오디오 신호를 증폭하고, 상기 진공관이 비정상 동작하면, 상기 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오디오 신호가 증폭되도록 상기 증폭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 출력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진공관에 입력된 오디오 신호와 상기 진공관의 출력 오디오 신호를 비교하여 상기 진공관의 증폭비를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증폭비에 따라 상기 진공관의 정상 동작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 출력 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진공관의 출력 오디오 신호 및 상기 입력된 오디오 신호 중 하나의 오디오 신호를 선택적으로 상기 증폭부에 제공하는 제2 스위칭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진공관이 정상 동작하면, 상기 진공관의 출력 오디오 신호가 상기 증폭부에 제공되도록 상기 제2 스위칭부를 제어하고,
    상기 진공관이 비정상 동작하면, 상기 입력된 오디오 신호가 상기 증폭부에 제공되도록 상기 제2 스위칭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 출력 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산출된 진공관의 증폭비에 따라 상기 증폭부의 증폭비를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 출력 장치.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된 오디오 신호를 증폭하는 보조 진공관;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진공관이 비정상 동작하면 상기 입력된 오디오 신호가 상기 보조 진공관 및 상기 증폭부에서 2단 증폭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 출력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진공관의 출력 오디오 신호 및 상기 보조 진공관의 출력 오디오 신호 중 하나의 오디오 신호를 선택적으로 상기 증폭부에 제공하는 제2 스위칭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진공관이 정상 동작하면, 상기 진공관의 출력 오디오 신호가 상기 증폭부에 제공되도록 상기 제2 스위칭부를 제어하고,
    상기 진공관이 비정상 동작하면, 상기 보조 진공관의 출력 오디오 신호가 상기 증폭부에 제공되도록 상기 제2 스위칭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 출력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된 오디오 신호를 선택적으로 상기 보조 진공관에 제공하는 제3 스위칭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진공관이 비정상 동작하면, 상기 입력된 오디오 신호가 상기 보조 진공에 제공되도록 상기 제3 스위칭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 출력 장치.
  12.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된 오디오 신호를 증폭하는 보조 진공관;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진공관에 입력된 오디오 신호와 상기 진공관의 출력 오디오 신호를 비교하여 상기 진공관의 증폭비를 산출하고, 상기 보조 진공관에 입력된 오디오 신호와 상기 보조 진공관의 출력 오디오 신호를 비교하여 상기 보조 진공관의 증폭비를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진공관의 증폭비 및 상기 산출된 보조 진공관의 증폭비에 따라 상기 증폭부에서 증폭될 오디오 신호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 출력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진공관의 출력 오디오 신호, 상기 보조 진공관의 출력 오디오 신호 및 상기 입력된 오디오 신호 중 하나의 오디오 신호를 선택적으로 상기 증폭부에 제공하는 제2 스위칭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진공관이 정상 동작하면, 상기 진공관의 출력 오디오 신호가 상기 증폭부에 제공되도록 상기 제2 스위칭부를 제어하고,
    상기 진공관이 비정상 동작하고 상기 보조 진공관이 정상 동작하면, 상기 보조 진공관의 출력 오디오 신호가 상기 증폭부에 제공되도록 상기 제2 스위칭부를 제어하고,
    상기 진공관이 비정상 동작하고 상기 보조 진공관이 비정상 동작하면, 상기 입력된 오디오 신호가 상기 증폭부에 제공되도록 상기 제2 스위칭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 출력 장치.
  14. 음향 기기에 있어서,
    오디오 컨텐츠를 입력받는 통신 인터페이스;
    상기 오디오 컨텐츠를 복수의 오디오 신호로 분리하는 오디오 처리부;및
    상기 분리된 오디오 신호를 선택적으로 증폭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진공관;
    상기 진공관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부;
    상기 전원 공급부와 상기 진공관을 연결하는 제1 스위칭부;및
    상기 진공관의 사용 여부에 따라, 상기 제1 스위칭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진공관은,
    캐소드(cathode)를 가열하여 전자를 방출하도록 하는 히터;및
    상기 캐소드에서 방출된 전자를 수집하는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스위칭부는,
    상기 전원 공급부와 상기 플레이트를 연결하는 제1 스위치;및
    상기 전원 공급부와 상기 히터를 연결하는 제2 스위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 기기.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진공관을 사용할 경우, 상기 제1 스위치 및 제2 스위치를 온시키고, 상기 진공관을 사용하지 않을 경우, 상기 제1 스위치 및 제2 스위치 중 적어도 하나를 오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 기기.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오디오 처리부에서 분리된 오디오 신호 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진공관에서 출력된 증폭된 신호를 선택적으로 증폭하여 출력하는 증폭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하나 이상의 진공관의 정상 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증폭부로 입력되는 신호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 기기.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진공관이 정상 동작하지 않으면, 진공관이 정상 동작하지 않음을 사용자에 알리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를 더 포함하는 음향 기기.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진공관은 하나의 진공관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진공관의 증폭비에 따라 상기 진공관의 정상 동작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진공관이 정상 동작하면 상기 분리된 오디오 신호가 상기 진공관 및 상기 증폭부에서 2단 증폭되도록 하고,
    상기 진공관이 비정상 동작하면, 상기 분리된 오디오 신호가 상기 증폭부에서 1단 증폭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 기기.
  19.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진공관의 출력 오디오 신호 및 상기 분리된 오디오 신호 중 하나의 오디오 신호를 선택적으로 상기 증폭부에 제공하는 제2 스위칭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진공관이 정상 동작하면, 상기 진공관의 출력 오디오 신호가 상기 증폭부에 제공되도록 상기 제2 스위칭부를 제어하고,
    상기 진공관이 비정상 동작하면, 상기 분리된 오디오 신호가 상기 증폭부에 제공되도록 상기 제2 스위칭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 기기.
  20. 적어도 하나 이상의 진공관을 이용하여 입력된 오디오 신호를 선택적으로 증폭하는 음향 출력 장치에서의 음향 출력 방법에 있어서,
    오디오 신호를 입력받는 단계;
    상기 진공관을 이용하여, 상기 입력된 오디오 신호를 선택적으로 증폭하는 단계;
    상기 진공관의 정상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진공관이 정상이면, 상기 진공관을 통해 증폭된 오디오 신호가 증폭부를 통해 2단 증폭되도록 하고, 상기 진공관이 비정상이면, 상기 입력된 오디오 신호가 진공관으로 입력되지 않고 상기 증폭부를 통해서 1단 증폭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음향 출력 방법.
KR1020120039037A 2011-07-26 2012-04-16 진공관을 이용한 음향 출력 장치, 음향 기기 및 음향 출력 방법 KR1018684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2174126.8A EP2552019B1 (en) 2011-07-26 2012-06-28 Sound output device using vacuum tube, audio apparatus and method for sound output thereof
US13/553,984 US8841966B2 (en) 2011-07-26 2012-07-20 Sound output device using vacuum tube, audio apparatus and method for sound output thereof
CN201210261591.9A CN102905211B (zh) 2011-07-26 2012-07-26 声音输出设备和用于其声音输出的音频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10074124 2011-07-26
KR1020110074124 2011-07-26
KR1020110078958 2011-08-09
KR20110078958 2011-08-0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12910A KR20130012910A (ko) 2013-02-05
KR101868415B1 true KR101868415B1 (ko) 2018-06-21

Family

ID=478934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39037A KR101868415B1 (ko) 2011-07-26 2012-04-16 진공관을 이용한 음향 출력 장치, 음향 기기 및 음향 출력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6841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196101A2 (ko) * 2016-05-13 2017-11-16 주식회사 아모그린텍 방수통음시트
KR102477975B1 (ko) 2021-12-07 2022-12-15 주식회사 도담엠에스 진공관 앰프를 구비한 오디오 출력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946014A (en) * 1957-11-04 1960-07-19 Motorola Inc Warm up noise silencer
US3051788A (en) * 1961-05-12 1962-08-28 Altec Lansing Corp Amplifier interconnecting circuit
US3995226A (en) * 1976-06-10 1976-11-30 Berning David W Audio amplifier
US7173488B2 (en) * 2004-07-19 2007-02-06 Mesa Boogie Vacuum tube power amplifier switchable between push-pull and single ended configuration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12910A (ko) 2013-0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620133B2 (en) Audio amplifier
US8345886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cting malfunctioning speaker
US9860642B2 (en) Audio wireless transmission system, speaker device, and source device
JP5578229B2 (ja) 音響処理装置
JP2008072206A (ja) マルチチャンネル音声増幅装置
WO2007040053A1 (ja) 映像音出力装置、及び外部スピーカ制御装置
JP2014121055A5 (ko)
WO2005071953A1 (en) Selectable audio output configuration
KR101868415B1 (ko) 진공관을 이용한 음향 출력 장치, 음향 기기 및 음향 출력 방법
US7978865B2 (en) Audio processing apparatus
US8841966B2 (en) Sound output device using vacuum tube, audio apparatus and method for sound output thereof
US9888310B2 (en) Audio equipment
KR101284058B1 (ko) Pll 회로를 이용한 전관방송 시스템
KR20070056709A (ko) 이어폰 임피던스에 따른 이어폰 출력보상장치 및 방법
KR101519435B1 (ko) 엑티브스피커용 대기전력 차단 장치
US10879855B1 (en) Configurable dual vacuum tube triode amplifier
KR102142182B1 (ko) 음성인식을 이용한 통합 av 로컬방송 시스템
JP3122764U (ja) 音声出力装置およびテレビジョン放送受信装置
JP2011035529A (ja) 音声出力装置
KR101536982B1 (ko) 앰프의 바이패스용 볼륨 조절이 가능한 방송시스템
JP4675943B2 (ja) 高周波増幅器
KR100601288B1 (ko) 홈시어터 시스템에서의 오동작 방지 방법
JP2005065111A (ja) スピーカシステム
KR20150106134A (ko) 구내 방송 장치
JP2005080114A (ja) オーディオ信号増幅機能付き装置及びオーディオ放送受信機用増幅器制御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