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68370B1 - 가습기 - Google Patents

가습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68370B1
KR101868370B1 KR1020110036908A KR20110036908A KR101868370B1 KR 101868370 B1 KR101868370 B1 KR 101868370B1 KR 1020110036908 A KR1020110036908 A KR 1020110036908A KR 20110036908 A KR20110036908 A KR 20110036908A KR 101868370 B1 KR101868370 B1 KR 1018683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water tank
guide
vibrator
pedest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369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119135A (ko
Inventor
김완수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369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68370B1/ko
Publication of KR201201191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191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683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683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6/00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 F24F6/12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forming water dispersions in the air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23/00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6/00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 F24F2006/008Air-humidifier with water reservoir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r Humidific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청소와 물공급이 용이한 가습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습기는, 물이 저장되는 수조; 상기 수조의 바닥측에 구비되어 상기 수조에 저장되는 물에 진동을 일으키는 진동자; 상기 수조와 결합되며 상기 진동자 위치에 대응하여 상하방향의 관형상의 분무관이 형성되는 가이드; 및 상기 수조가 안착되는 받침대를 포함하고, 상기 받침대는 공기를 유동하는 공기펌프를 포함하고, 상기 수조는 바닥면으로부터 상측방향으로 형성되어 상기 공기펌프가 유동하는 공기가 통과하는 송풍관이 형성된다.

Description

가습기 {Humidifier}
본 발명은 가습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청소와 물공급이 용이한 가습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습기는 건조한 곳에 습기를 제공하여 실내상태를 쾌적하게 유지하도록 습도조절을 위해서 사용되는 장치이다.
이러한 가습기는 수증기를 만들어 내는 방식에 따라, 물을 초음파로 진동시켜 미세 입자화 하여 분무하는 초음파식과, 가열에 의하여 물을 수증기화하여 분무하는 히터식, 초음파식과 히터식을 병행하는 복합식등의 형태가 있다.
그런데, 가열식 가습기의 경우 전력소모가 크고, 분무되는 수증기가 눈에 잘 보이지 않는 문제가 있어 최근에는 초음파식을 사용한 가습기가 많이 사용되고 있다.
한편, 초음파식 가습기는 물을 저장하는 물탱크와, 상기 물탱크와 연결되어 일정한 수위를 유지하는 수조와, 상기 수조의 저면에 설치되어 수조내의 물분자를 진동시켜 미세 수분입자를 만드는 진동자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초음파식 가습기는 물탱크의 저면으로 물을 담을 수 있어 사용자가 물탱크를 뒤집어 물을 담아야하는 불편함이 있으며, 구조가 복잡하여 청소가 용이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물 공급이 용이한 가습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과제는 구조가 간단하여 청소가 용이한 가습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습기는, 물이 저장되는 수조; 상기 수조의 바닥측에 구비되어 상기 수조에 저장되는 물에 진동을 일으키는 진동자; 상기 수조와 결합되며 상기 진동자 위치에 대응하여 상하방향의 관형상의 분무관이 형성되는 가이드; 및 상기 수조가 안착되는 받침대를 포함하고, 상기 받침대는 공기를 유동하는 공기펌프를 포함하고, 상기 수조는 바닥면으로부터 상측방향으로 형성되어 상기 공기펌프가 유동하는 공기가 통과하는 송풍관이 형성된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가습기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하나 혹은 그 이상 있다.
첫째, 사용자가 수조에 물을 공급시 뒤집지 않고 물을 공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둘째, 구조가 간단하여 청소가 용이한 장점도 있다.
셋째, 물을 저장하는 수조에 물을 분무하는 장치가 구비되어 구조가 간단해지는 장점도 있다.
넷째, 물이 분무되는 통로가 수조와 분리되어 청소가 용이한 장점도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습기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가습기의 수조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가습기의 가이드에 대한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여 가습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습기에 대한 단면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가습기의 수조에 대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에 도시된 가습기의 가이드에 대한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습기는, 물이 저장되는 수조(110)와, 수조(110)의 바닥측에 구비되어 수조(110)에 저장되는 물에 진동을 일으키는 진동자(115)와, 수조(110)와 결합되며 진동자(115) 위치에 대응하여 상하방향의 관형상의 분무관(122)이 형성되는 가이드(120)와, 수조(110)가 안착되는 받침대(130)를 포함한다.
수조(110)는 물이 저장된다. 수조(110)는 투명한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수조(110)는 물이 저장되는 수조 본체(111)를 포함한다.
수조 본체(111)는 상면 일부가 개구되어 가이드(120)가 결합되는 가이드홀(111a)이 형성된다. 가이드홀(111a)은 가이드(120)의 가이드 커버(121)의 형상에 대응하여 형성된다. 가이드홀(111a)은 송풍관(112)의 상측에 형성된다. 가이드홀(111a)을 통하여 사용자는 수조 본체(111)에 물을 공급할 수 있다.
수조(110)에는 바닥면으로부터 상측방향으로 송풍관(112)이 형성된다. 송풍관(112)은 받침대(130)의 공기펌프(132)에 대응하여 배치된다. 송풍관(112)에서는 공기펌프(132)가 유동하는 공기가 송풍관홀(112a)을 따라 하측에서 상측으로 통과된다. 송풍관(112)의 상측에는 가이드(120)의 가이드 커버(121)가 이격하여 배치된다. 송풍관(112)의 송풍관홀(112a)을 통과한 공기는 가이드 커버(121)에 의하여 하측으로 이동하여 가이드(120)의 분무관(122)에 형성된 송풍홀(122b)로 유입된다.
수조(110)의 상면에는 손잡이(113)가 구비된다. 사용자는 손잡이(113)를 파지하여 수조(110)를 받침대(130)로부터 분리하여 이동시킬 수 있다. 사용자는 손잡이(113)를 파지하고 물을 가이드홀(111a)로 공급할 수 있다.
수조(110)의 바닥면에는 받침대 단자(133)에 접촉되어 진동자(115)에 전원을 공급하는 수조 단자(116)가 구비된다.
진동자(115)는 초음파 진동을 발생하여 수조(110)에 저장되는 물에 진동을 일으킨다. 진동자(115)는 수조(110)의 바닥측에 구비된다. 진동자(115)는 진동자(115)에 전원을 공급하는 수조 단자(116) 위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진동자(115)는 가이드(120)의 분무관(122)의 위치에 대응하여 배치된다. 진동자(115)는 물을 진동시켜 수분입자로 만들고, 생성된 수분입자는 분무관(122)을 따라 이동된다.
가이드(120)는 수조(110)와 탈착가능하도록 결합된다. 가이드(120)에는 상하방향의 관형상의 분무관(122)이 형성된다. 분무관(122)은 수조(110)와의 결합시 진동자(115) 위치에 대응하여 배치된다. 분무관(122)은 중공의 관형상으로서 내부에 분무관홀(122a)이 형성된다. 분무관(122)의 측면에는 송풍관(112)의 송풍관홀(112a)을 통과하는 공기가 유입되는 송풍홀(122b)이 형성된다. 진동자(115) 의하여 생성된 수분입자는 분무관(122)의 분무관홀(122a)을 따라 상측으로 이동되고, 물의 표면으로 튀어오른 수분입자는 분무관홀(122a)로 유입되는 공기에 의하여 상측으로 이동하여 외부로 분무된다.
가이드(120)에는 수조(110)의 가이드홀(111a)과 결합되는 가이드 커버(121)가 형성된다. 가이드 커버(121)는 가이드홀(111a)에 대응되도록 형성된다. 가이드 커버(121)는 수조(110)의 가이드홀(111a)에 에 탈착가능하도록 결합된다. 가이드 커버(121)의 일측에는 상하방향으로 분무관(122)이 형성된다. 가이드 커버(121)에는 분무관홀(122a)이 형성되어 수분입자가 분무된다. 가이드 커버(121)는 가이드홀(111a)에 결합시 수조(110)의 송풍관(112)의 상측에 이격하여 배치된다.
받침대(130)는 가습기가 놓여지는 바닥에 놓여져 수조(110)를 지지한다. 받침대(130)의 상면에는 수조(110)가 안착된다. 받침대(130)는 공기를 유동하는 공기펌프(132)를 포함한다. 공기펌프(132)는 수조(110)의 송풍관(112)에 공기를 공급한다. 공기펌프(132)는 수조(110)의 안착시 송풍관(112)이 위치하는 곳에 대응되어 받침대(130)에 배치된다. 공기펌프(132)는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으며, 회전하여 공기를 유동하는 팬 또는, 공기를 압축하여 분사하는 피스톤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받침대(130)는 진동자(115)에 전원을 공급하는 받침대 단자(133)를 포함한다. 받침대 단자(133)는 수조(110)의 수조 단자(116)와 접촉되어 전원을 공급한다. 받침대 단자(133)와 수조 단자(116)는 금속으로 형성되어 전기를 직접 흘려보낼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는 전자기유도를 이용하여 받침대 단자(133)는 자기장을 생성하고, 수조 단자(116)는 받침대 단자(133)가 생성한 자기장에 의하여 유도 전류를 생성하여 진동자(115)에 전원을 공급한다.
받침대(130)는 수조(110)에 저장되는 물의 수위를 측정하는 수위센서(131)를 포함한다. 수위센서(131)는 수조(110)의 측면에 대응되도록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수위센서(131)는 다양한 방법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적외선 센서, 광센서 등으로 구현되어 투명한 수조(110) 내에 저장되는 물의 수위를 측정한다. 수위센서(131)는 물의 수위가 진동자(115) 이하로 내려가지 않도록 물의 수위를 측정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가습기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사용자는 수조(110)로부터 가이드(120)를 분리하고, 손잡이(113)를 잡고 수조(110)를 받침대(130)로부터 분리하여 가이드홀(111a)을 통하여 수조 본체(111)에 물을 공급한다. 수조 본체(111)에 물이 저장되면 사용자는 가이드(120)를 가이드홀(111a)에 결합하고, 수조(110)를 받침대에 안착시킨다.
사용자가 가습기를 작동시키면, 진동자(115)가 물에 진동을 일으키고, 공기펌프(132)가 공기를 유동한다. 진동자(115)가 물에 진동을 일으키면 진동자(115)는 물을 진동시켜 수분입자로 만들고, 생성된 수분입자는 분무관(122)의 분무관홀(122a)을 따라 상측으로 이동되고, 물의 표면으로 튀어오른다. 공기펌프(132)가 공기를 유동하면 공기가 송풍관(112)의 송풍관홀(112a)을 통과한 후 가이드 커버(121)에 의하여 하측으로 이동하여 가이드(120)의 분무관(122)에 형성된 송풍홀(122b)로 유입된다. 분무관(122)에서 물의 표면으로 튀어오른 수분입자는 분무관홀(122a)로 유입되는 공기에 의하여 상측으로 이동하여 외부로 분무된다.
사용자는 가습기의 청소시 수조(110)와 가이드(120)를 분리하여 각각 세척한다. 특히 이물질이 많이 끼는 분무관(122) 내부를 편리하게 세척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110: 수조 111: 수조 본체
111a: 가이드홀 112: 송풍관
112a: 송풍관홀 113: 손잡이
115: 진동자 116: 수조 단자
120: 가이드 121: 가이드 커버
122: 분무관 122a: 분무관홀
122b: 송풍홀 130: 받침대
131: 수위센서 132: 공기펌프
133: 받침대 단자

Claims (9)

  1. 물이 저장되는 수조;
    상기 수조의 바닥측에 구비되어 상기 수조에 저장되는 물에 진동을 일으키는 진동자;
    상기 수조와 탈착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진동자 위치에 대응하여 상하방향의 관형상의 분무관이 형성되는 가이드; 및
    상기 수조가 안착되는 받침대를 포함하고,
    상기 받침대는 공기를 유동하는 공기펌프를 포함하고,
    상기 수조는 바닥면으로부터 상측방향으로 형성되어 상기 공기펌프가 유동하는 공기가 통과하는 송풍관이 형성되고,
    상기 수조는 상면 일부가 개구되어 상기 가이드가 결합되는 가이드홀이 상기 송풍관의 상측에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는 상기 가이드홀에 대응하여 결합되는 가이드 커버가 형성되고,
    상기 송풍관은 상단이 상기 가이드 커버까지 상측으로 연장되어 배치되고,
    상기 가이드 커버는 상기 송풍관의 상기 상단과 이격하여 배치되고,
    상기 분무관은 측면에 상기 송풍관을 통과하는 공기가 유입되는 송풍홀이 형성되고,
    상기 송풍홀은 상기 송풍관의 상기 상단보다 하측에 배치되고,
    상기 수조는 상기 상면에 형성된 상기 가이드홀을 통하여 물이 공급되는 가습기.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대는 상기 진동자에 전원를 공급하는 받침대 단자를 포함하는 가습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대 단자는 자기장을 생성하고,
    상기 수조는 상기 받침대 단자가 생성하는 자기장에 의하여 유도 전류를 생성하여 상기 진동자에 전원을 공급하는 수조 단자를 포함하는 가습기.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분무관은 상기 진동자에 의하여 생성된 물입자가 상기 송풍홀로 유입되는 공기에 의하여 분무되는 가습기.
  8. 삭제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대는 상기 수조에 저장되는 물의 수위를 측정하는 수위센서를 포함하는 가습기.
KR1020110036908A 2011-04-20 2011-04-20 가습기 KR1018683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36908A KR101868370B1 (ko) 2011-04-20 2011-04-20 가습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36908A KR101868370B1 (ko) 2011-04-20 2011-04-20 가습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19135A KR20120119135A (ko) 2012-10-30
KR101868370B1 true KR101868370B1 (ko) 2018-06-18

Family

ID=472864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36908A KR101868370B1 (ko) 2011-04-20 2011-04-20 가습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6837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457109A (zh) * 2017-08-07 2017-12-12 日照捷杰工具制造有限公司 一种智能型喷雾器
KR102296602B1 (ko) * 2019-11-27 2021-08-31 광운대학교 산학협력단 플라즈마-증기 방출 가습기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26633B1 (ko) * 2005-03-11 2006-09-25 (주)거상테크놀로지 초음파 식기세척기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10210U (ko) * 1990-02-28 1991-11-12
KR940007843Y1 (ko) * 1992-04-02 1994-10-24 문희동 초음파 가습기
KR100221648B1 (ko) * 1997-05-20 1999-09-15 정 담 가습기의 분무노즐캡 착탈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26633B1 (ko) * 2005-03-11 2006-09-25 (주)거상테크놀로지 초음파 식기세척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19135A (ko) 2012-10-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70065143A1 (en) Surface cleaning apparatus
KR101523837B1 (ko) 분리형 복합식 가습기
US20130079733A1 (en) Surface Treatment Device and Method
US20110280767A1 (en) Device for decontamination by misting
JP2008039382A (ja) 上部給水式加湿器
KR101789048B1 (ko) 초음파 가습기
KR101217366B1 (ko) 로봇청소기
CN108653785A (zh) 一种香味生成装置、香薰装置及电子蜡烛
KR101154823B1 (ko) 타격부재 및 이를 이용한 진공청소기
KR20160083171A (ko) 기화식 및 초음파식 겸용 가습기
KR101868370B1 (ko) 가습기
US10081035B2 (en) Directional atomizer system for cleaning chandeliers
US9353960B2 (en) Humidifier
KR20110102606A (ko) 진공청소기
US8402596B2 (en) Directional atomizer system for cleaning chandeliers
KR101154822B1 (ko) 진공청소기
KR101248557B1 (ko) 휴대용 초음파 세척기
KR100784315B1 (ko) 가습기
JP2011156528A (ja) 振動素子及びそれを含む携帯用水分供給装置
KR102423719B1 (ko) 분리가 가능한 가열식 간편세척 가습기
KR20210046288A (ko) 3차원 분무 인젝터가 구비된 로봇 스팀 청소기
KR100436763B1 (ko) 청소기용 스팀분사장치
KR101677677B1 (ko) 분리형 살균 가습기
KR102253583B1 (ko) 물통에 결합되는 초음파 가습기
KR101679577B1 (ko) 상부급수식 초음파 가습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