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68361B1 - 자석을 갖는 체결구 - Google Patents

자석을 갖는 체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68361B1
KR101868361B1 KR1020150144965A KR20150144965A KR101868361B1 KR 101868361 B1 KR101868361 B1 KR 101868361B1 KR 1020150144965 A KR1020150144965 A KR 1020150144965A KR 20150144965 A KR20150144965 A KR 20150144965A KR 101868361 B1 KR101868361 B1 KR 1018683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ng member
receiving groove
groove
coupling ring
magn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449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45049A (ko
Inventor
손정희
우승완
Original Assignee
(주)파인드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파인드몰드 filed Critical (주)파인드몰드
Priority to KR10201501449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68361B1/ko
Publication of KR201700450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450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683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683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39/00Locking of screws, bolts or nu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35/00Screw-bolts; Stay-bolts; Screw-threaded studs; Screws; Set screws
    • F16B35/04Screw-bolts; Stay-bolts; Screw-threaded studs; Screws; Set screws with specially-shaped head or shaft in order to fix the bolt on or in an object
    • F16B35/06Specially-shaped hea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37/00Nuts or like thread-engaging memb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37/00Nuts or like thread-engaging members
    • F16B37/04Devices for fastening nuts to surfaces, e.g. sheets, plates
    • F16B37/041Releasable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tails Of Spanners, Wrenches, And Screw Drivers And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너트 또는 볼트 등의 체결구에 피결합물과의 결합력 향상을 위해 자석을 결합시키는 구조에서 용이하게 자석과 체결구를 결합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결합후에도 자석과 체결구의 결합을 견고하게 유지시킬 수 있도록 그 구조가 개선된 자석을 갖는 체결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자석을 갖는 체결구는, 헤드부와, 상기 헤드부의 일측으로부터 연장 형성되는 내측헤드부와, 상기 내측헤드부의 일측으로부터 연장 형성되는 나사부와, 상기 헤드부와 나사부 연결부위의 외측으로 연장 형성되고 나사부측 방향의 단부가 피결합물과 면접촉하도록 형성되는 플랜지부 및 상기 플랜지부의 일측에 상기 내측헤드부의 외주를 감싸도록 오목하게 형성되는 수용홈부를 갖는 볼트와; 상기 수용홈부에 수용되도록 결합되는 자석부재와; 상기 자석부재의 외주면에 끼워져 결합되고 상기 수용홈부에 수용되도록 수용홈부의 내주면에 결합수단을 매개로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결합링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내측헤드부는 상기 나사부의 외경보다 큰 외경을 갖도록 헤드부와 일체로 형성되고, 나사부측 방향의 단부가 피결합물과 면접촉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결합링부재는 중앙에 상기 자석부재의 외주연이 끼워지는 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통공의 내측면으로부터 중앙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상기 자석부재의 테두리부위와 간섭되는 걸림턱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자석을 갖는 체결구{FASTENERS WITH A MAGNET}
본 발명은 자석을 갖는 체결구에 관한 것으로, 특히 너트 또는 볼트 등의 체결구에 피결합물과의 결합력 향상을 위해 자석을 결합시키는 구조에서 용이하게 자석과 체결구를 결합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결합후에도 자석과 체결구의 결합을 견고하게 유지시킬 수 있도록 그 구조가 개선된 자석을 갖는 체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생활주변이나 산업현장에는 복수의 부재들을 볼트와 너트로 결합시켜 목표물을 만들어 가는 작업이 흔하기 때문에 부재들의 볼트결합으로 완성되는 피결합물의 결합구조유지와 안전문제를 위해 볼트/너트의 풀림현상을 방지하고자 노력하고 있다.
이를 위한 선행기술로는 공개번호 10-2008-0007062 "너트풀림방지장치"도 이에 관한 개발로 볼 수 있다.
이뿐만 아니라, 많은 발명과 고안 그리고 볼트/너트풀림현상을 방지하는 볼트와 너트가 제품으로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볼트와 너트의 풀림현상은 주로 길이가 짧고 눌림을 받지 않는 너트가 진동 등에 의해 볼트로부터 풀려나가는 현상이다.
따라서 볼트와 너트를 붙여 놓으면 둘이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하므로 볼트/너트의 풀림현상은 억제할 수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한 다른 선행기술로는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8-0021745호 "볼트/너트 고정용 자석"(공개일자 : 2008.03.07)에 개시된 바와 같이, 중앙에는 볼트를 끼울 볼트구멍이 형성된 환형자석의 환형면 일측에 띠 또는 점 또는 화살표 중 하나의 위치표식을 한 것과, 볼트 머리 뒤편 또는 너트 뒤편에 환형자석을 접착제로 붙이거나, 자석삽입공간을 만들어 환형자석을 삽입하여서 자화된 볼트 또는 너트를 형성한 것이다.
한편, 자석이 결합된 체결구의 또 다른 선행기술은 한국 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제20-0395383호 "자석을 이용한 체결구"(등록일자 : 2005.09.02)에 개시된 바와 같이, 머리부와 나사부로 이루어진 볼트와, 상기 나사부에 체결되는 너트로 이루어진 체결구에 있어서, 상기 볼트 및 상기 너트 중 어느 하나에는 자석이 함유되는 것이다.
또한, 볼트머리부의 하부면 상에는 자석이 끼워지도록 안치부가 형성되고, 상기 안치부의 입구측에는 상기 자석이 빠지지 않도록 걸림턱이 형성된다.
그런데, 기존 선행기술은 자석을 볼트 또는 너트에 결합시키는 과정에서 접착제를 사용할 경우 접착부위에 이물질이 들어가거나 온도 변화에 따른 부피 변화에 따라 분리될 우려가 있고, 자석을 걸림턱이 형성된 홈 부위에 결합시키는 과정에서 걸림턱 부위에 대한 자석의 진입성이 저하되어 조립이 용이하지 못할 뿐만 아니라, 자석이 홈 부위로부터 쉽게 이탈될 우려가 있다.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8-0021745호 "볼트/너트 고정용 자석"(공개일자 : 2008.03.07) 한국 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제20-0395383호 "자석을 이용한 체결구"(등록일자 : 2005.09.02)
본 발명은 상기한 제반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를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너트 또는 볼트 등의 체결구에 피결합물과의 결합력 향상을 위해 자석을 결합시키는 구조에서 용이하게 자석과 체결구를 결합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결합후에도 자석과 체결구의 결합을 견고하게 유지시킬 수 있도록 그 구조가 개선된 자석을 갖는 체결구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헤드부와, 상기 헤드부의 일측으로부터 연장 형성되는 내측헤드부와, 상기 내측헤드부의 일측으로부터 연장 형성되는 나사부와, 상기 헤드부와 나사부 연결부위의 외측으로 연장 형성되고 나사부측 방향의 단부가 피결합물과 면접촉하도록 형성되는 플랜지부 및 상기 플랜지부의 일측에 상기 내측헤드부의 외주를 감싸도록 오목하게 형성되는 수용홈부를 갖는 볼트와; 상기 수용홈부에 수용되도록 결합되는 자석부재와; 상기 자석부재의 외주면에 끼워져 결합되고 상기 수용홈부에 수용되도록 수용홈부의 내주면에 결합수단을 매개로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결합링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내측헤드부는 상기 나사부의 외경보다 큰 외경을 갖도록 헤드부와 일체로 형성되고, 나사부측 방향의 단부가 피결합물과 면접촉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결합링부재는 중앙에 상기 자석부재의 외주연이 끼워지는 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통공의 내측면으로부터 중앙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상기 자석부재의 테두리부위와 간섭되는 걸림턱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헤드부의 외주면은 다각형으로 형성된다.
상기 결합수단은 상기 수용홈부의 내주면에 형성되는 암나사산과, 상기 결합링부재의 외주연 둘레에 상기 암나사산과 대응되도록 형성되는 수나사산으로 구성된 것이다.
상기 결합수단은 상기 수용홈부의 내주면에 오목하게 형성되고 외측과 개구되도록 형성되는 수직홈과, 상기 수직홈의 단부로부터 횡방향으로 개구되게 형성되는 수평홈으로 구성된 끼움홈과; 상기 결합링부재의 외주연에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결합링부재가 상기 수용홈부 내로 진입시 상기 끼움홈의 수직홈에 진입되고, 상기 결합링부재의 회전시 상기 수평홈내로 끼움 결합되는 걸림돌기;를 구비한다.
상기 결합링부재는 일측면에 돌출되도록 형성된 손잡이부를 더 구비한다.
상기 결합링부재는 일측에 오목하게 형성된 파지홈을 더 구비한다.
상기 결합링부재는 상기 자석부재의 자력에 반응하는 금속소재로 구성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특징은 나사부측 방향의 단부가 피결합물과 면접촉하도록 형성되는 헤드부와, 상기 헤드부의 일측으로부터 연장 형성되는 내측헤드부와, 상기 내측헤드부의 일측으로부터 연장 형성된 나사부 및 상기 헤드부의 일측에 상기 내측헤드부의 외주를 감싸도록 오목하게 형성되는 수용홈부를 갖는 볼트와; 상기 수용홈부에 수용되도록 결합되는 자석부재와; 상기 자석부재의 외주면에 끼워져 결합되고 상기 수용홈부에 수용되도록 수용홈부의 내주면에 결합수단을 매개로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결합링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내측헤드부)는 상기 나사부의 외경보다 큰 외경을 갖도록 헤드부와 일체로 형성되고, 나사부측 방향의 단부가 피결합물과 면접촉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결합링부재는 중앙에 상기 자석부재의 외주연이 끼워지는 통공 형성되고, 상기 통공의 내측면으로부터 중앙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상기 자석부재의 테두리부위와 간섭되는 걸림턱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적인 요소로는 중앙에 볼트의 단부가 관통되어 체결되도록 암나사가 형성된 체결공을 가지며, 일측면에 외측으로 연장되는 연장돌부를 갖는 너트와; 상기 연장돌부의 일측에 오목하게 형성되는 안치홈부와; 상기 안치홈부에 수용되도록 결합되는 자석부재와; 상기 자석부재의 외주면에 끼워져 결합되고 상기 안치홈부의 내주면에 결합수단을 매개로 결합되는 결합링부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적인 요소로는 중앙에 볼트의 단부가 관통되어 체결되도록 암나사가 형성된 체결공을 갖는 너트와; 상기 너트의 일측에 오목하게 형성되는 안치홈부와; 상기 안치홈부에 수용되도록 결합되는 자석부재와; 상기 자석부재의 외주면에 끼워져 결합되고 상기 안치홈부의 내주면에 결합수단을 매개로 결합되는 결합링부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피결합물(P)로부터 전달되는 진동에 의한 피결합물(P)과 볼트(100)의 풀림을 방지하기 위하여 피결합물(P)의 표면과 마주보는 볼트(100) 또는 너트의 일측면에 형성된 수용홈부(210) 또는 안치홈부(12) 내에 자석부재(300)와 결합된 결합링부재(400)를 나사 체결방식으로 결합시킴으로써, 자석부재(300)를 결합링부재(400)를 매개로 볼트(100) 또는 너트(10)등의 체결구에 결합시켜 자석부재(300)에 나사산을 형성시키지 않고도 결합이 가능하므로 자석부재(300)에 나사산 형성시 발생되는 자석부재(300)의 파손을 예방할 수 있고, 자석부재(300)를 볼트(100) 또는 너트(10)에 용이하고 견고하게 결합시킬 수 있으며, 자석부재(300)의 자력을 이용하여 체결구를 피결합물(P)의 표면에 견고하게 밀착시킬 수 있게 되어 진동이 발생되더라도 볼트(100)의 풀림 현상을 예방할 수 있는 유용한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석을 갖는 체결구의 제1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단면도.
도 3은 도 1의 결합상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결합링부재에 걸림턱이 형성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 결합링부재에 파지홈이 형성된 변형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도 5의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 변형예의 사용상태도.
도 8은 본 발명 변형예에 해당하는 결합링부재에 걸림턱과 파지홈이 형성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자석을 갖는 체결구의 제2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10은 도 9의 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자석을 갖는 체결구의 제3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12는 도 11의 단면도.
도 13 및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자석을 갖는 체결구의 제4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및 단면도.
도 15 및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자석을 갖는 체결구의 제5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및 단면도.
본 발명에 따른 자석을 갖는 체결구의 제1실시예는,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헤드부(110)와, 상기 헤드부(110)의 일측으로부터 연장 형성되는 내측헤드부(111)와, 상기 내측헤드부(111)의 일측으로부터 연장 형성되는 나사부(120)와, 상기 헤드부(110)와 나사부(120) 연결부위의 외측으로 연장 형성되고 나사부(120) 측 방향의 단부가 피결합물(P)과 면접촉하도록 형성되는 플랜지부(130) 및 상기 플랜지부(130)의 일측에 상기 내측헤드부(111)의 외주를 감싸도록 오목하게 형성되는 수용홈부(210)를 갖는 볼트(100)와; 상기 수용홈부(210)에 수용되도록 결합되는 자석부재(300)와; 상기 자석부재(300)의 외주면에 끼워져 결합되고 상기 수용홈부(210)에 수용되도록 수용홈부(210)의 내주면에 결합수단을 매개로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결합링부재(400);로 구성된다.
더 상세히 설명하면,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볼트(100)는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나사부(120)와, 나사부(120)의 직경보다 더 큰 직경의 헤드부(110)와, 헤드부(110)보다 더 직경이 큰 플랜지부(130)로 구성된 플랜지볼트로서, 플랜지부(130)의 일측(나사부(120)를 향하는 방향측)면에 수용홈부(210)가 오목하게 요홈형태로 형성되는 구조를 갖는다. 또한 상기 헤드부(110)의 하부와 나사부(120) 사이에는 나사부(120)의 외경보다 큰 외경을 갖도록 헤드부(110)의 일측을 향해 일체로 형성되고 나사부(120)측 방향의 단부가 피결합물(P)과 면접촉하는 내측헤드부(111)가 형성되는 것이며, 상기 헤드부(110)의 외주면은 다각형으로 형성된다.
자석부재(300)는 볼트(100)의 나사부(120)가 관통되도록 중앙에 중공이 형성되는 환형 구조로 구성된다.
결합링부재(400)는 중앙에 상기 자석부재(300)의 외주연이 끼워지는 통공(405)이 형성된 구조를 갖는다.
결합링부재(400)는 자석부재(300)의 두께와 대응되는 두께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결합링부재(400)에 의해 수용홈부(210) 내에 배치된 자석부재(300)의 일측면을 볼트(100)가 관통되어 결합되는 피결합물(P)의 표면과 근접된 위치에 위치하도록 함으로써, 자석부재(300)의 자력을 금속소재인 피결합물(P)에 반응시켜 피결합물(P)로부터 진동이 발생하더라도 볼트(100)의 풀림을 방지할 수 있게 한다.
또한, 도 4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링부재(400)는 상기 통공(405)의 내측면으로부터 중앙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상기 자석부재(300)의 테두리부위와 간섭되는 걸림턱(420)이 형성될 수 있으며, 이 걸림턱(420)은 수용홈부(210) 내에 결합된 자석부재(300)의 외측 이탈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결합링부재(400)는 자석부재(300)의 자력에 반응할 수 있는 금속소재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에는 금속소재인 결합링부재(400)가 자석부재(300)의 자력에 의해 자석부재(300)에 부착되어 자석부재(300)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결합수단은 상기 수용홈부(210)의 내주면에 형성되는 암나사산(215)과, 상기 결합링부재(400)의 외주연 둘레에 상기 암나사산(215)과 대응되도록 형성되는 수나사산(415)으로 구성되어서, 상기 결합링부재(400)를 수용홈부(210) 내에 회전시키면서 진입시킴에 따라 나사 체결 방식으로 결합링부재(400)가 수용홈부(210) 내에 결합되면서 자석부재(300)를 수용홈부(210) 내에 수용되도록 조립시키게 된다.
결합링부재(400)는 상기한 결합수단을 이용한 결합링부재(400)의 회전을 위해 일측면에 돌출되도록 형성된 손잡이부(410)를 더 구비하여, 사용자가 손잡이부(410)를 파지한 상태로 회전시킬 수 있다.
한편, 결합링부재(400)는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잡이부(410)가 아닌 일측에 오목하게 형성된 파지홈(450)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파지홈(450)은 일측면에 오목하게 형성되어 별도의 공구를 이용하여 파지홈(450) 내에 진입시킨 상태에서 별도의 공구를 회전시킴에 따라 결합링부재(400)를 회전시켜 수용홈부(210) 내에 조립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은 결합링부재(400)의 통공(405) 내에 자석부재(300)의 외주연 둘레가 끼워지도록 결합시키면, 통공(405)의 내측면에 걸림턱(420)이 형성된 경우 자석부재(300)의 일측면 테두리가 걸림턱(420)에 밀착되어 자석부재(300)의 일방향 이동을 제한하도록 결합된다.
이후에, 자석부재(300)가 결합된 결합링부재(400)를 수용홈부(210) 내에 진입시키면서 회전시키면, 결합링부재(400)의 외주연에 형성된 수나사산(415)이 수용홈부(210)의 내주면에 형성된 암나사산(215)에 나사 체결됨에 따라, 결합링부재(400)가 볼트(100)의 수용홈부(210) 내에 체결 결합시키면, 자석부재(300)가 결합링부재(400)에 끼워진 상태로 수용홈부(210) 내에 수용되도록 조립된다.
이에 따라, 환형의 자석부재(300)는 외주연이 결합링부재(400)에 통공(405) 내에 끼워진 상태로 수용홈부(210)내에 수용되도록 조립되고, 자석부재(300)의 일측면이 수용홈부(210)의 개구된 방향을 향해 노출되도록 배치된다.
이후에, 볼트(100)를 피결합물(P)에 관통되도록 체결시키면, 자석부재(300)의 일측면이 피결합물(P)의 표면에 근접된 위치에 배치되고, 자석부재(300)의 자력이 금속소재인 피결합물(P)에 반응하여 자석부재(300)가 피결합물(P)에 달라붙게 되면서 볼트(100)의 수용홈부(210)에 결합된 자석부재(300)가 볼트(100)와 피결합물(P)의 결합력을 향상시킴으로써, 피결합물(P)을 통해 볼트(100)측에 진동이 전달되더라도 볼트(100)의 풀림을 방지하여 견고하게 볼트(100)와 피결합물(P)의 결합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피결합물(P)로부터 전달되는 진동에 의한 피결합물(P)과 볼트(100)의 풀림을 방지하기 위하여 피결합물(P)의 표면과 마주보는 볼트(100)의 플랜지부(130)의 일측면에 형성된 수용홈부(210) 내에 자석부재(300)와 결합된 결합링부재(400)를 나사 체결방식으로 결합시킴으로써, 자석부재(300)를 결합링부재(400)를 매개로 볼트(100)의 플랜지부(130)에 결합시켜 자석부재(300)에 나사산을 형성시키지 않고도 나사 결합이 가능하므로 자석부재(300)에 나사산 형성시 발생되는 자석부재(300)의 파손을 예방할 수 있고, 자석부재(300)를 플랜지부(130)의 수용홈부(210)내에 용이하고 견고하게 결합시킬 수 있으며, 자석부재(300)의 자력을 이용하여 볼트(100)의 플랜지부(130)를 피결합물(P)의 표면에 밀착시킬 수 있게 되어 진동이 발생되더라도 볼트(100)의 풀림 현상을 예방할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 자석을 갖는 체결구의 제2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앞서 설명한 선 실시예의 나사 체결식 결합수단과는 다른 결합수단을 가지며, 이에 따른 결합수단은 수용홈부(210)의 내주면에 오목하게 형성되고 외측과 개구되도록 형성되는 수직홈(222)과, 상기 수직홈(222)의 단부로부터 횡방향으로 개구되게 형성되는 수평홈(224)으로 구성된 끼움홈(220)과; 상기 결합링부재(400)의 외주연에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결합링부재(400)가 상기 수용홈부(210) 내로 진입시 상기 끼움홈(220)의 수직홈(222)에 진입되고, 상기 결합링부재(400)의 회전시 상기 수평홈(224)내로 끼움 결합되는 걸림돌기(430);로 구성된다.
본 발명 제2실시예의 결합수단은 결합링부재(400)가 수용홈부(210) 내에 수평방향으로 진입되는 과정에서 결합링부재(400)의 외주연에 형성된 걸림돌기(430)가 끼움홈(220)의 수직홈(222) 내로 진입되고, 이어서 결합링부재(400)를 회전시켜 걸림돌기(430)가 수평홈(224) 내부로 결합시키면, 걸림돌기(430)가 수평홈(224) 내에서 결합된 상태에서는 볼트(100)의 길이방향에 대한 결합링부재(400)의 유동을 억제시킬 수 있게 되어 결합링부재(400)의 수용홈부(210) 이탈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로 인해 본 발명의 제2실시예는 나사 체결방식이 아닌 걸림돌기(430)의 끼움 결합방식으로 결합링부재(400)와 수용홈부(210)의 결합을 견고하게 유지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도 11 및 도 12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앞의 선 실시예와는 달리 플랜지볼트가 아닌 볼트에도 적용 가능하며, 이를 위한 구성은 나사부(120)측 방향의 단부가 피결합물(P)과 면접촉하도록 형성되는 헤드부(110)와, 상기 헤드부(110)의 일측으로부터 연장 형성되는 내측헤드부(111)와, 상기 내측헤드부(111)의 일측으로부터 연장 형성된 나사부(120) 및 상기 헤드부(110)의 일측에 상기 내측헤드부(111)의 외주를 감싸도록 오목하게 형성되는 수용홈부(210)를 갖는 볼트(100A)와; 상기 수용홈부(210)에 수용되도록 결합되는 자석부재(300)와; 상기 자석부재(300)의 외주면에 끼워져 결합되고 상기 수용홈부(210)에 수용되도록 수용홈부(210)의 내주면에 결합수단을 매개로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결합링부재(400);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헤드부(110)의 하부와 나사부(120) 사이에는 나사부(120)의 외경보다 큰 외경을 갖도록 헤드부(110)의 일측을 향해 일체로 형성되고 나사부(120)측 방향의 단부가 피결합물(P)과 면접촉하는 내측헤드부(111)가 형성되는 것이며, 상기 헤드부(110)의 외주면은 다각형으로 형성된다.
상기한 결합수단의 구성은 앞서 설명한 선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하며, 자석부재(300)를 이용하여 피결합물(P)에 결합된 볼트(100)의 체결상태를 견고하게 유지시키는 것도 앞의 선 실시예들과 동일하다.
도 13 및 도 14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중앙에 볼트(100)의 단부가 관통되어 체결되도록 암나사가 형성된 체결공(11)이 형성되고 일측면에 외측으로 연장되는 연장돌부(13)를 갖는 너트(10)와; 상기 연장돌부(13)의 일측에 오목하게 형성되는 안치홈부(12)와; 상기 안치홈부(12)에 수용되도록 결합되는 자석부재(300)와; 상기 자석부재(300)의 외주면에 끼워져 결합되고 상기 안치홈부(12)의 내주면에 결합수단을 매개로 결합되는 결합링부재(400);로 구성된 것이다.
본 발명의 제4실시예는 선 실시예의 볼트(100)가 아닌 플랜지너트(10)에도 자석부재(300)가 결합되도록 적용될 수 있음을 나타낸 것이다.
상기 결합수단은 안치홈부(12)의 내주면에 암나사부(12a)가 형성되고, 결합링부재(400)의 외주연 둘레에 수나사가 형성되어 나사 체결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4실시예는 앞서 설명한 구성요소들(걸림턱(420), 걸림돌기(430) 및 끼움홈(220))이 적용될 수 있다.
도 15 및 도 16은 본 발명의 제5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이를 위한 구성은 중앙에 볼트(100)의 단부가 관통되어 체결되도록 암나사가 형성된 체결공(11)을 갖는 너트(10)와; 상기 너트(10)의 일측에 오목하게 형성되는 안치홈부(12)와; 상기 안치홈부(12)에 수용되도록 결합되는 자석부재(300)와; 상기 자석부재(300)의 외주면에 끼워져 결합되고 상기 안치홈부(12)의 내주면에 결합수단을 매개로 결합되는 결합링부재(400);로 구성된 것이다.
본 발명의 제5실시예는 플랜지너트가 아닌 일반 너트(10)에도 자석부재(300)가 결합되도록 적용될 수 있음을 나타낸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피결합물(P)로부터 전달되는 진동에 의한 피결합물(P)과 볼트(100)의 풀림을 방지하기 위하여 피결합물(P)의 표면과 마주보는 볼트(100) 또는 너트(10)의 일측면에 형성된 수용홈부(210) 또는 안치홈부(12) 내에 자석부재(300)와 결합된 결합링부재(400)를 나사 체결방식으로 결합시킴으로써, 자석부재(300)를 결합링부재(400)를 매개로 볼트 및 너트 등의 체결구에 결합시킬 수 있으므로, 자석부재(300)의 자력을 이용하여 체결구를 피결합물(P)의 표면에 견고하게 밀착시킬 수 있게 되어 진동이 발생되더라도 체결구의 풀림 현상을 예방할 수 있는 유용한 효과를 갖는다.
10 : 너트 11 : 체결공
12 : 안치홈부 12a : 암나사부
13 : 연장돌부 100 : 볼트
110 : 헤드부 120 : 나사부
130 : 플랜지부 210 : 수용홈부
215 : 암나사산 300 : 자석부재
400 : 결합링부재 405 : 통공
410 : 손잡이부 415 : 수나사산
420 : 걸림턱 430 : 걸림돌기
450 : 파지홈 P : 피결합물

Claims (10)

  1. 헤드부(110)와, 상기 헤드부(110)의 일측으로부터 연장 형성되는 내측헤드부(111)와, 상기 내측헤드부(111)의 일측으로부터 연장 형성되는 나사부(120)와, 상기 헤드부(110)와 나사부(120) 연결부위의 외측으로 연장 형성되고 나사부(120) 측 방향의 단부가 피결합물(P)과 면접촉하도록 형성되는 플랜지부(130) 및 상기 플랜지부(130)의 일측에 상기 내측헤드부(111)의 외주를 감싸도록 오목하게 형성되는 수용홈부(210)를 갖는 볼트(100)와;
    상기 수용홈부(210)에 수용되도록 결합되는 자석부재(300)와;
    상기 자석부재(300)의 외주면에 끼워져 결합되고 상기 수용홈부(210)에 수용되도록 수용홈부(210)의 내주면에 결합수단을 매개로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결합링부재(400);를 포함하고,
    상기 내측헤드부(111)는 상기 나사부(120)의 외경보다 큰 외경을 갖도록 헤드부(110)와 일체로 형성되고, 나사부(120)측 방향의 단부가 피결합물(P)과 면접촉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결합링부재(400)는 중앙에 상기 자석부재(300)의 외주연이 끼워지는 통공(405)이 형성되고, 상기 통공(405)의 내측면으로부터 중앙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상기 자석부재(300)의 테두리부위와 간섭되는 걸림턱(420)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석을 갖는 체결구.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헤드부(110)의 외주면은 다각형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석을 갖는 체결구.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결합수단은 상기 수용홈부(210)의 내주면에 형성되는 암나사산(215)과,
    상기 결합링부재(400)의 외주연 둘레에 상기 암나사산(215)과 대응되도록 형성되는 수나사산(415)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석을 갖는 체결구.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결합수단은 상기 수용홈부(210)의 내주면에 오목하게 형성되고 외측과 개구되도록 형성되는 수직홈(222)과, 상기 수직홈(222)의 단부로부터 횡방향으로 개구되게 형성되는 수평홈(224)으로 구성된 끼움홈(220)과;
    상기 결합링부재(400)의 외주연에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결합링부재(400)가 상기 수용홈부(210) 내로 진입시 상기 끼움홈(220)의 수직홈(222)에 진입되고, 상기 결합링부재(400)의 회전시 상기 수평홈(224)내로 끼움 결합되는 걸림돌기(430);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석을 갖는 체결구.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결합링부재(400)는 일측면에 돌출되도록 형성된 손잡이부(410)를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석을 갖는 체결구.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결합링부재(400)는 일측에 오목하게 형성된 파지홈(450)을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석을 갖는 체결구.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결합링부재(400)는 상기 자석부재(300)의 자력에 반응하는 금속소재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석을 갖는 체결구.
  8. 나사부(120)측 방향의 단부가 피결합물(P)과 면접촉하도록 형성되는 헤드부(110)와, 상기 헤드부(110)의 일측으로부터 연장 형성되는 내측헤드부(111)와, 상기 내측헤드부(111)의 일측으로부터 연장 형성된 나사부(120) 및 상기 헤드부(110)의 일측에 상기 내측헤드부(111)의 외주를 감싸도록 오목하게 형성되는 수용홈부(210)를 갖는 볼트(100A)와;
    상기 수용홈부(210)에 수용되도록 결합되는 자석부재(300)와;
    상기 자석부재(300)의 외주면에 끼워져 결합되고 상기 수용홈부(210)에 수용되도록 수용홈부(210)의 내주면에 결합수단을 매개로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결합링부재(400);를 포함하고,
    상기 내측헤드부(111)는 상기 나사부(120)의 외경보다 큰 외경을 갖도록 헤드부(110)와 일체로 형성되고, 나사부(120)측 방향의 단부가 피결합물(P)과 면접촉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결합링부재(400)는 중앙에 상기 자석부재(300)의 외주연이 끼워지는 통공(405) 형성되고, 상기 통공(405)의 내측면으로부터 중앙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상기 자석부재(300)의 테두리부위와 간섭되는 걸림턱(420)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석을 갖는 체결구.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결합수단은 상기 수용홈부(210)의 내주면에 형성되는 암나사산(215)과,
    상기 결합링부재(400)의 외주연 둘레에 상기 암나사산(215)과 대응되도록 형성되는 수나사산(415)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석을 갖는 체결구.
  10.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결합수단은 상기 수용홈부(210)의 내주면에 오목하게 형성되고 외측과 개구되도록 형성되는 수직홈(222)과, 상기 수직홈(222)의 단부로부터 횡방향으로 개구되게 형성되는 수평홈(224)으로 구성된 끼움홈(220)과;
    상기 결합링부재(400)의 외주연에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결합링부재(400)가 상기 수용홈부(210) 내로 진입시 상기 끼움홈(220)의 수직홈(222)에 진입되고, 상기 결합링부재(400)의 회전시 상기 수평홈(224)내로 끼움 결합되는 걸림돌기(430);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석을 갖는 체결구.
KR1020150144965A 2015-10-16 2015-10-16 자석을 갖는 체결구 KR1018683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4965A KR101868361B1 (ko) 2015-10-16 2015-10-16 자석을 갖는 체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4965A KR101868361B1 (ko) 2015-10-16 2015-10-16 자석을 갖는 체결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45049A KR20170045049A (ko) 2017-04-26
KR101868361B1 true KR101868361B1 (ko) 2018-06-18

Family

ID=587051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44965A KR101868361B1 (ko) 2015-10-16 2015-10-16 자석을 갖는 체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6836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67470B1 (ko) * 2017-11-17 2020-01-17 (주)파인드몰드 풀림방지 기능을 갖는 체결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84119Y1 (ko) * 2000-01-08 2000-06-01 주식회사대길통상 육각플랜지 ts 볼트
KR200395383Y1 (ko) * 2005-06-30 2005-09-08 윤재일 자석을 이용한 체결구
KR101166673B1 (ko) * 2012-04-20 2012-07-24 주식회사 비엠티 부분 열처리용 페럴 방호링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02693Y1 (en) * 1994-04-30 1997-04-01 Samsung Heavy Ind Indexing equipment
KR970014203U (ko) * 1995-09-27 1997-04-28 용기가 자유로운 볼트
KR200449191Y1 (ko) * 2007-11-21 2010-06-23 한진복 진공 흡착구
KR20080021745A (ko) 2008-02-18 2008-03-07 임성황 볼트/너트 고정용 자석
KR20120014723A (ko) * 2010-08-10 2012-02-20 윤재일 볼트와 너트를 이용한 기밀형 체결구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84119Y1 (ko) * 2000-01-08 2000-06-01 주식회사대길통상 육각플랜지 ts 볼트
KR200395383Y1 (ko) * 2005-06-30 2005-09-08 윤재일 자석을 이용한 체결구
KR101166673B1 (ko) * 2012-04-20 2012-07-24 주식회사 비엠티 부분 열처리용 페럴 방호링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45049A (ko) 2017-04-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734883B (zh) 周向鎖止機構、包括此周向鎖止機構的電池鎖定裝置、動力電池包及車輛
US9732783B2 (en) Anti-loosening bolt assembly
KR101880805B1 (ko) 릴 구조
JP2014523829A5 (ko)
JP2009520165A (ja) ファスナアセンブリ
US20120237315A1 (en) Floating fastener
TW201404980A (zh) 組合強化聯結器及柱對準裝置
US11077538B2 (en) Torque retaining apparatus and method of production
KR101868361B1 (ko) 자석을 갖는 체결구
KR20170009762A (ko) 체결구, 체결구조 및 체결 방법
JP6104372B2 (ja) 少なくとも1つのねじロックを有する締付けリングクロージャ
US9239072B1 (en) Secure fastener assembly
US20160146235A1 (en) Quarter-turn adapter for flush mount receptacle bases
US8845255B2 (en) Guide apparatuses for use with fasteners
US20110302759A1 (en) Floating captive screw installation method
TW201703900A (zh) 粉末沖壓組合
KR20160078046A (ko) 토크 쉐어 볼트 및 볼트 조립체
TW201636516A (zh) 螺紋緊固組件及其螺合件
JP2010019393A (ja) 締付けボルトの回り止め装置
JP2015105755A (ja) 車輪用締結具
KR20140093501A (ko) 체결부재
JP6213325B2 (ja) 雄螺子
KR101918149B1 (ko) 소방용 플렉시블조인트의 체결식 연결구 체결장치
JP2010121770A (ja) 緊締具
TWI693130B (zh) 具有防脫落裝置的手持工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