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68060B1 - 스마트 자세 유지 보정 시스템 - Google Patents

스마트 자세 유지 보정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68060B1
KR101868060B1 KR1020150169294A KR20150169294A KR101868060B1 KR 101868060 B1 KR101868060 B1 KR 101868060B1 KR 1020150169294 A KR1020150169294 A KR 1020150169294A KR 20150169294 A KR20150169294 A KR 20150169294A KR 101868060 B1 KR101868060 B1 KR 1018680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sture
sensor unit
person
brain lesion
sen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692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63200A (ko
Inventor
정광욱
이동성
Original Assignee
(주)맨엔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맨엔텔 filed Critical (주)맨엔텔
Priority to KR10201501692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68060B1/ko
Publication of KR201700632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632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680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680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03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testing the shape, pattern, colour, size or movement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11Measuring movement of the entire body or parts thereof, e.g. head or hand tremor, mobility of a limb
    • A61B5/1116Determining posture transi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03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testing the shape, pattern, colour, size or movement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1036Measuring load distribution, e.g. podologic studi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03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testing the shape, pattern, colour, size or movement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11Measuring movement of the entire body or parts thereof, e.g. head or hand tremor, mobility of a limb
    • A61B5/1116Determining posture transitions
    • A61B5/1117Fall detec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03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testing the shape, pattern, colour, size or movement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11Measuring movement of the entire body or parts thereof, e.g. head or hand tremor, mobility of a limb
    • A61B5/1121Determining geometric values, e.g. centre of rotation or angular range of move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68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 A61B5/6887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mounted on external non-worn devices, e.g. non-medical devices
    • A61B5/6891Furnitu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4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 A61B5/746Alarms related to a physiological condition, e.g. details of setting alarm thresholds or avoiding false alar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2562/00Details of sensors; Constructional details of sensor housings or probes; Accessories for sensors
    • A61B2562/02Details of sensors specially adapted for in-vivo measuremen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urge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ophysic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a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ntistr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Physiology (AREA)
  • Geometry (AREA)
  • Measurement Of The Respiration, Hearing Ability, Form, And Blood Characteristics Of Living Organisms (AREA)

Abstract

스마트 자세 유지 보정 시스템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자세 유지 보정 시스템은, 뇌병변 장애인의 착석 상태를 감지하는 장치와 네트워크로 연결되어 상기 뇌병변 장애인의 착석 상태를 확인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시트부재에 설치되는 제 1 센서부를 이용하여 무게를 측정하는 착석 자세 측정 장치; 및 상기 착석 자세 측정 장치로부터 측정된 상기 무게를 기초로 상기 뇌병변 장애인의 자세를 판단하는 단말기;를 포함하며, 상기 단말기는, 상기 뇌병변 장애인의 자세 변화를 디스플레이하고, 이상 자세로 판단되는 경우 알람을 출력한다.

Description

스마트 자세 유지 보정 시스템{Smart posture keep revision system}
본 발명은 자세 유지 보정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뇌병변 장애인이 의자에 착석하는 경우, 몸의 경직 또는 발작으로 인한 착석 자세의 변화를 확인함으로써 착석 자세를 보정할 수 있도록 하는 스마트 자세 유지 보정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인이 의자에 착석하는 경우, 뇌로부터 균형을 잡을 수 있도록 전달되는 신호에 의해 자세를 계속하여 수정함으로써 의자에서 이탈하지 않고 착석할 수 있다. 하지만, 뇌병변 장애인이 의자에 착석하는 경우, 뇌로부터 전달되는 신호가 정상적인 정보를 포함하지 않기 때문에 몸의 제어를 자유롭게 수행하지 못하고, 착석한 의자에서 이탈하는 일이 종종 발생한다. 따라서, 뇌병변 장애인이 의자에 착석하는 경우, 착석한 의자에서 이탈하지 않도록 이탈 방지 부재를 포함하며, 착석 자세를 확인함으로써 착석 자세에 이상이 생기는 경우, 현재 착석 자세를 알려주거나 교정해줄 수 있는 시스템가 요구된다.
이러한 시스템으로써, 착석을 감지하는 다수의 압력 센서와, 압력센서에서 수신된 감지신호와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측정 데이터를 제공하는 관리모듈을 포함하는 착석자세 측정 장치와 착석 자세를 분석하고 분석 결과를 제공하는 관리서버 및 착석 자세 분석결과를 디스플레이하는 착석 자세 분석 시스템 및 방법이 한국공개특허 제 2015-0118850호에 개시되어있다.
하지만, 이러한 착석 자세 분석 시스템 및 방법은, 지지부재가 존재하지 않으면서, 착석한 의자에서 다양한 방향으로 이탈하는 경우에 대한 대응이 불가능하며, 착석 자세에 대한 다단계 적인 자세 판단 결과가 제공되지 않는다는 문제점이 존재한다.
KR 2015-0118850 A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한 실시예는 다양한 방향에 대한 뇌병변 장애인의 착석 자세 변화를 확인할 수 있는 스마트 자세 유지 보정 시스템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한 실시예는 뇌병변 장애인의 착석 자세 변화 방향을 출력함으로써 보호자가 착석한 뇌병변 장애인의 변경된 착석 자세를 확인할 수 있는 스마트 자세 유지 보정 시스템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한 실시예는 착석 자세를 다단계로 알람함으로써 보다 효과적으로 자세를 보정할 수 있는 스마트 자세 유지 보정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위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스마트 자세 유지 보정 시스템이 제공된다. 상기 스마트 자세 유지 보정 시스템은, 뇌병변 장애인의 착석 상태를 감지하는 장치와 네트워크로 연결되어 상기 뇌병변 장애인의 착석 상태를 확인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시트부재에 설치되는 제 1 센서부를 이용하여 무게를 측정하는 착석 자세 측정 장치; 및 상기 착석 자세 측정 장치로부터 측정된 상기 무게를 기초로 상기 뇌병변 장애인의 자세를 판단하는 단말기;를 포함하며, 상기 단말기는, 상기 뇌병변 장애인의 자세 변화를 디스플레이하고, 이상 자세로 판단되는 경우 알람을 출력한다.
상기 단말기는, 초기값 설정 선택에 따라 상기 착석 자세 측정 장치에서 획득한 측정값을 초기값으로 설정하는 초기값 설정 모듈; 및 상기 초기값에 대한 상기 측정값의 변화량을 이용하여 상기 뇌병변 장애인의 자세를 판단하는 자세 판단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자세 판단 모듈은, 상기 설정된 초기값과 상기 제1센서부의 측정값을 비교하여 상기 초기값에 대한 측정값의 변화량에 따라 상기 뇌병변 장애인의 자세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자세 판단 모듈은, 상기 변화량이 일정값 이상인 경우 상기 뇌병변 장애인의 자세를 이상 자세로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자세 판단 모듈은, 상기 뇌병변 장애인의 자세를 이상 자세로 판단한 경우, 상기 이상 자세에 해당하는 알람을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착석 자세 측정 장치는, 등받이부재에 설치되어 무게를 측정하는 제 2 센서부 및 팔걸이부재의 상측에 상기 등받이부재와 연결되도록 설치되어 상기 뇌병변 장애인의 좌우 이탈을 방지하는 적어도 두 개의 지지부재에 설치되어 무게를 측정하는 제 3 센서부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자세 판단 모듈은, 상기 제 1 센서부 및 제 2 센서부에서 획득한 측정값의 변화량에 따라 상기 뇌병변 장애인의 전후 기울기를 획득함으로써 상기 이상 자세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자세 판단 모듈은, 상기 제 1 센서부 및 제 3 센서부에서 획득한 측정값의 변화량에 따라 상기 뇌병변 장애인의 좌우 기울기를 획득함으로써 상기 이상 자세를 판단하며, 상기 제3센서부의 변화량을 상기 제1센서부의 변화량에 우선하여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자세 판단 모듈은, 상기 제 1 센서부, 제 2 센서부 및 제 3 센서부에서 획득한 측정값의 변화량에 따라 상기 뇌병변 장애인의 3차원 기울기를 획득함으로써 상기 이상 자세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단말기는, 상기 자세 변화를 다단계로 디스플레이함으로써 보호자에게 상기 뇌병변 장애인의 착석 자세의 변화를 알려줄 수 있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자세 유지 보정 시스템은, 착석한 뇌병변 장애인의 착석 자세의 변화를 확인하고 알람을 제공함으로써 보호자가 보다 용이하게 뇌병변 장애인의 자세를 보정해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자세 유지 보정 시스템은, 착석한 뇌병변 장애인의 착석 이탈을 모든 방향에 대해 확인함으로써 보다 높은 착석 이탈 판단율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자세 유지 보정 시스템은, 보호자가 다단계로 뇌병변 장애인의 자세 변화를 확인함으로써 보다 효과적으로 자세 보정을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자세 유지 보정 시스템을 나타낸 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a) 제 1 센서부를 포함하는 착석 자세 측정 장치, b) 제 2 센서부를 더 포함하는 착석 자세 측정 장치 및 c) 제 3 센서부를 더 포함하는 착석 자세 측정 장치를 나타낸 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뇌병변 장애인이 착석 자세 측정 장치에 앉은 측면도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뇌병변 장애인이 착석 자세 측정 장치에 앉은 정면도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에서 디스플레이 되는 뇌병변 장애인 착석 자세를 나타낸 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였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자세 유지 보정 시스템(100)은, 뇌병변 장애인의 착석시, 의자에 포함된 센서를 이용하여 측정값을 획득하는 착석 자세 측정 장치(110) 및 착석 자세 측정 장치(110)로부터 측정값을 수신하여 착석 자세를 판단하고, 판단한 착석 자세를 보호자에게 알려줄 수 있는 단말기(13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착석 자세 측정 장치(200)는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등받이 부재(210), 지지부재(230) 및 시트 부재(250)를 포함한다. 착석 자세 측정 장치(200)는 뇌병변 장애인이 시트 부재(250)에 착석하면, 등받이 부재(210) 및 지지부재(230)를 이용하여 뇌병변 장애인의 착석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이때, 착석 자세 측정 장치(200)에 포함되는 시트 부재(250)는 제 1 센서부(271)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센서부(271)는 시트 부재(250)에 설치되어 착석한 뇌병변 장애인의 무게를 측정하여 측정값을 획득한다. 바람직하게는 제 1 센서부(271)는 적어도 4개의 무게 센서로 구성되며 각각의 센서는 시트 부재(250)에 균등 배치된다. 일 예로, 제 1 센서부(271)의 센서들은 배치에 따라 착석면의 전방, 후방, 좌측, 및 우측의 무게를 측정할 수 있고, 전방우측, 전방 좌측, 후방좌측 및 후방 우측의 무게를 측정할 수도 있다. 하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설정에 따라 다양한 방식으로 센서를 배치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착석 자세 측정 장치(200)는 등받이 부재(210)에 제 2 센서부(273)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제 2 센서부(273)는 등받이 부재(210)에 설치되어 착석한 뇌병변 장애인의 등받이 부재(210)에 작용하는 무게를 측정하여 측정값을 획득한다. 바람직하게는 제 2 센서부(273)는 적어도 6개의 무게 센서로 구성되며 각각의 센서는 등받이 부재(210)에 균등 배치된다. 일 예로 제 2 센서부(273)의 센서들은 2열로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제 2 센서부(273)는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3등분 된 등받이 부재(210) 각각에 두 개씩 설치될 수 있으며, 일체형으로 구성되는 등받이 부재(210)에 2열로 배치될 수도 있다.
또, 도 2c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서, 착석 자세 측정 장치(200)는 지지부재(230)에 제 3 센서부(275)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이때, 도 2c에 직접 도시되진 않았지만, 도 2c에 도시된 착석 자세 측정 장치(200)는 제 1 센서부(271)를 시트 부재(250)에 포함한다.
제 3 센서부(275)는 지지부재(230)에 설치되어 착석한 뇌병변 장애인의 지지부재(230)에 작용하는 무게를 측정하여 측정값을 획득한다. 지지부재(230)는 등받이 부재(210)와 연결되며, 착석한 뇌병변 장애인의 좌우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양쪽에 적어도 하나씩 설치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 3 센서부(275)는 일 예로 적어도 2개의 무게 센서로 구성되며 각각의 센서는 각각의 지지부재(230)에 하나씩 배치될 수 있다.
하지만, 본 발명의 착석 자세 측정 장치는 상술한 도 2a 내지 도 2c에 한정되지 않으며, 필요에 따라 제 1 센서부 내지 제 3 센서부를 모두 포함할 수도 있으며 착석 자세 측정 장치를 구성하는 다른 부재들에도 센서부를 더 포함시킬수 있다.
한편,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자세 유지 보정 시스템(100)에 포함되는 단말기(130)는, 착석 자세 측정 장치로부터 획득한 측정값을 이용하여 뇌병변 장애인의 착석 자세를 판단하고, 판단한 자세가 이상 자세인 경우 보호자에게 알려줄 수 있다. 이때, 단말기(130)는 초기값 설정 모듈(131) 및 자세 판단 모듈(133)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초기값 설정 모듈(131)은, 측정값을 이용하여 초기값을 설정한다. 초기값 설정 모듈(131)은 초기값 설정 상태에 따라 착석 자세 측정 장치(110)에서 획득한 측정값을 초기값으로 설정한다.
한편,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초기값 설정 모듈(131)은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착석 자세 측정 장치(200)가 제 1 센서부(271) 및 제 2 센서부(273)를 포함하는 경우, 제 1 센서부(271)에서 획득하는 측정값을 제 1 측정값으로 설정하고, 제 2 센서부(273)에서 획득하는 측정값을 제 2 측정값으로 설정함으로써 제 1 센서부(271) 및 제 2 센서부(273)에서 획득하는 측정값을 각각 독립적으로 활용할 수도 있다. 즉, 초기값 설정 모듈(131)은 제 1 센서부(271)의 최초 측정값을 제 1 초기값으로 설정할 수 있고, 제 2 센서부(273)의 최초 측정값을 제 2 초기값으로 설정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초기값 설정 모듈(131)은 도 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착석 자세 측정 장치(200)가 제 1 센서부(271) 및 제 3 센서부(275)를 포함하는 경우, 제 1 센서부(271)에서 획득하는 측정값을 제 1 측정값으로 설정하고, 제 3 센서부(275)에서 획득하는 측정값을 제 3 측정값으로 설정함으로써 제 1 센서부(271) 및 제 3 센서부(275)에서 획득하는 측정값을 각각 독립적으로 활용할 수도 있다. 즉, 초기값 설정 모듈(131)은 제 1 센서부(271)의 최초 측정값을 제 1 초기값으로 설정할 수 있고, 제 3 센서부(275)의 최초 측정값을 제 3 초기값으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초기값 설정 모듈(131)은 착석 자세 측정 장치(200)가 제 1 센서부(271), 제 2 센서부9273) 및 제 3 센서부(275)를 모두 포함하는 경우, 제 1 센서부(271)에서 획득하는 측정값을 제 1 측정값으로 설정하고, 제 2 센서부(273)에서 획득하는 측정값을 제 2 측정값으로 설정하며, 제 3 센서부(275)에서 획득하는 측정값을 제 3 측정값으로 설정함으로써 제 1 센서부(271) 내지 제 3 센서부(275)에서 획득하는 측정값을 각각 독립적으로 활용할 수도 있다.
자세 판단 모듈(133)은, 뇌병변 장애인의 현재 착석 자세의 이상 자세 여부를 판단한다. 자세 판단 모듈(133)은 이상 자세를 판단하기 위하여 초기값 설정 모듈(131)에서 획득한 초기값과 착석 자세 측정 장치(110)에서 획득한 측정값을 비교하여 이상값을 설정한다. 이때, 자세 판단 모듈(133)은 측정값과 초기값의 차이가 기 설정된 변화량보다 큰 경우, 해당 측정값을 이상값으로 설정한다. 즉, 일 예로 초기값이 10이고 기 설정된 변화량이 2인 경우, 측정값이 8 이하 또는 12 이상인 경우 해당 측정값은 이상값으로 설정될 수 있고, 이때 이상값은 초기값보다 큰 이상값과 초기값보다 작은 이상값으로 구분될 수 있다.
자세 판단 모듈(133)은 획득한 측정값이 이상값으로 설정되는 경우, 뇌병변 장애인의 자세를 이상 자세로 판단한다. 또, 자세 판단 모듈(133)은 이상 자세로 판단한 경우, 해당 이상 자세에 대응하는 알람을 출력할 수 있다. 이때, 알람은 보호자가 확인할 수 있는 방식으로 출력될 수 있고, 이러한 일 예로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는 디스플레이에 출력될 수도 있다.
또, 자세 판단 모듈(133)은 바람직하게는 제 1 센서부(271)의 무게 센서에서 획득한 무게값을 이용하여 정밀자세 제어 및 방항셩을 판단할 수 있다. 이때, 자세 판단 모듈(133)은 제 1 센서부(271)에서 측정되는 무게값의 변화를 이용하여 뇌병변 장애인의 자세가 기울어지는 방향성과 기울어지는 정도를 확인함으로써 뇌병변 장애인의 현재 착석 자세를 판단할 수도 있다.
한편, 자세 판단 모듈(133)은 이상 자세에 대한 정확한 정보를 획득하기 위해 제 2 센서부(273) 또는 제 3 센서부(275) 중 적어도 하나와 제 1 센서부(271)에서 획득하는 이상값을 더 이용할 수도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자세 판단 모듈의 판단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뇌병변 장애인이 착석 자세 측정 장치에 앉은 측면도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서, 뇌병변 장애인이 정상 자세로 착석하는 경우, 점선으로 나타난 상체(310) 및 점선으로 나타난 하체(311)의 형태로 착석할 수 있다. 이 경우, 제 1 센서부(271) 및 제 2 센서부(273)는 각각 제 1 초기값 및 제 2 초기값을 가질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도 3에 도시된 제 1 센서부(271)를 구성하는 센서를 전방 센서(271a) 및 후방 센서(271b)로 표현하고, 제 2 센서부(272)를 구성하는 센서를 상측부터 상단 센서(273a) 중단 센서(273b) 및 하단 센서(273c)로 표현하기로 한다. 하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이는 단순히 도 3을 보다 쉽게 설명하기 위해서 사용되는 단어에 불과하다.
정상 자세인 경우, 전방 센서(271a), 후방 센서(271b), 상단 센서(273a), 중단 센서(273b) 및 하단 센서(273c)는 모두 각각의 초기값을 획득할 수 있다. 하지만, 뇌병변 장애인의 착석 자세가 이상 자세로 변하는 경우, 뇌병변 장애인은 이상 자세의 일 예인 실선으로 나타난 상체(330) 및 실선으로 나타난 하체(331)의 형태로 착석할 수 있다. 이때, 제 1 센서부(271)는 전방 센서(271a)만이 측정값을 획득할 수 있고, 제 2 센서부(273)는 상단 센서(273a)만이 측정값을 획득할 수 있으므로, 전방 센서(271a) 및 상단 센서(273a)는 초기값보다 큰 이상값을 가지며, 중단 센서(273b), 하단 센서(273c) 및 후방 센서(271b)는 초기값보다 작은 이상값을 가지게 된다.
따라서, 자세 판단 모듈(133)은 도 3에 도시된 이상 자세를 판단하기 위해, 상단 센서(273a) 및 전방 센서(271b)를 연결하는 가상의 선 또는 면을 획득하고, 획득한 가상의 선 또는 면과 제 1 센서부(271) 사이의 각도를 계산함으로써 뇌병변 장에인의 착석 자세의 전후 기울기를 판단하고, 이를 이용하여 이상 자세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한편, 도 4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자세 판단 모듈의 판단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뇌병변 장애인이 착석 자세 측정 장치에 앉은 정면도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서, 뇌병변 장애인이 정상 자세로 착석하는 경우, 점선으로 나타난 상체(410) 및 점선으로 나타난 하체(411)의 형태로 착석할 수 있다. 이 경우, 제 1 센서부(271) 및 제 3 센서부(275)는 각각 제 1 초기값 및 제 2 초기값을 가질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도 4에 도시된 제 1 센서부(271)를 구성하는 센서를 좌측 센서(271a) 및 우측 센서(271d)로 표현하고, 제 3 센서부(275)를 구성하는 센서를 제 1 지지 센서(275a), 및 제 2 지지 센서(275b)로 표현하기로 한다. 하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이는 단순히 도 4를 보다 쉽게 설명하기 위해서 사용되는 단어에 불과하다.
정상 자세인 경우, 좌측 센서(271a) 및 우측 센서(271d)는 각각 초기값을 획득할 수 있다. 또, 제 1 지지 센서(275a) 및 제 2 지지 센서(275d)는 측정값이 발생하지 않은 상태를 초기값으로 획득할 수 있다. 하지만, 뇌병변 장애인의 착석 자세가 이상 자세로 변하는 경우, 뇌병변 장애인은 이상 자세의 일 예인 실선으로 나타난 상체(431)의 형태로 착석할 수 있다. 이때, 제 3 센서부(275)는 제 1 지지 센서(275a)에서 측정값이 발생하므로, 제 3 센서부(275)는 제 1 지지 센서(275a)로부터 이상값을 획득할 수 있다.
또, 제 1 센서부(271)는 상체가 우측으로 기울어진 상태이기 때문에, 우측 센서(271b)에서 측정되는 측정값이 초기값에 비하여 증가한 이상값을 획득할 수 있다. 이 경우, 제 1 센서부(271)의 좌측 센서(271a)는, 상대적으로 감지하는 무게가 감소할 수 있고, 이로 인해 초기값에 비하여 감소한 이상값을 획득할 수 있다.
따라서, 자세 판단 모듈(133)은 도 4에 도시된 이상 자세를 판단하기 위해, 제 1 지지 센서(275a)와 우측 센서(271d) 또는 좌측 센서(271a)를 연결하는 가상의 선 또는 면을 획득하고, 획득한 가상의 선 또는 면과 제 1 센서부(271) 사이의 각도를 계산함으로써 뇌병변 장에인의 착석 자세의 좌우 기울기를 판단하고, 이를 이용하여 이상 자세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서, 착석 자세 측정 장치는, 제 1 센서부, 제 2 센서부 및 제 3 센서부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자세 판단 모듈은, 제 1 센서부 및 제 2 센서부를 이용하여 전후 방향 기울기를 획득하고, 제 1 센서부 및 제 3 센서부를 이용하여 좌우 방향 기울기를 획득함으로써 뇌병변 장애인의 3차원 기울기를 획득할 수 있다.
따라서, 자세 판단 모듈은, 착석 자세 측정 장치에 착석한 뇌병변 장애인의 전 방향에 대한 이상 자세를 확인함으로써 착석한 뇌병변 장애인의 이상 자세를 보다 정확히 판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단말기(130)는 자세 판단 모듈(133)에서 판단한 이상 자세를 디스플레이를 통해 출력할 수도 있다. 이 경우, 단말기(130)는 자세 판단 모듈(133)을 이용하여 획득한 이상 자세를 이용하여 뇌병변 장애인의 자세 변화를 디스플레이하고, 이상 자세로 판단되는 경우 알람을 출력한다. 이때, 알람은 다단계로 표현될 수 있다.
일 예로, 단말기(130)는 자세 판단 모듈(133)에서 판단한 3차원 기울기가 기 설정된 1단계에 속하는 경우, 1단계에 해당하는 알람을 디스플레이 등의 형태로 출력하고, 3차원 기울기가 기 설정된 2단계에 속하는 경우, 2단계에 해당하는 알람을 디스플레이 등의 형태로 출력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보호자는 단말기(130)에서 단계별 알람을 확인함으로써 뇌병변 장애인의 착석 상태를 확인하고 자세 보정을 수행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에서 디스플레이 되는 뇌병변 장애인 착석 자세를 나타낸 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에서 디스플레이 되는 뇌병변 장애인의 착석 자세는, 각각의 센서부를 구성하는 센서에서 감지되는 이상값이 존재하는 경우, 해당 센서가 측정하는 영역의 색을 변화시킴으로써 표현될 수 있다.
일 예로, 제 3 센서부의 제 1 지지 센서의 측정값이 이상값인 경우, 단말기는 해당 위치인 뇌병변 장애인의 좌측 옆구리 부분의 색을 변화시킴으로써 보호자에게 이상 자세를 출력할 수 있다. 이때, 단말기의 자세 판단 모듈에서 이상값을 다단계로 획득하여 이상 자세를 판단하는 경우, 단말기는 제 1 지지 센서에 가해지는 무게의 크기에 따라 뇌병변 장애인의 좌측 옆구리 부분의 색을 점점 진하게 표현할 수 있다. 이로 인해, 단말기를 소지하고 있는 보호자는, 현재 뇌병변 장애인의 자세가 단순히 몸을 기댄 정도인지, 아니면 심한 무게가 작용함으로써 착석 자세 확인 장치를 이탈할 위험이 있는지를 추가로 확인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본 명세서에 제시되는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추가 등에 의해서 다른 실시 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사상범위 내에 든다고 할 것이다.
100: 스마트 자세 유지 보정 시스템
110, 200: 착석 자세 측정 장치 130: 단말기
131: 초기값 설정 모듈 133: 자세 판단 모듈
210: 등받이 부재 230: 지지 부재
250: 시트 부재 271: 제 1 센서부
271a: 전방 센서, 좌측 센서 271b: 후방 센서
271d: 우측 센서 273: 제 2 센서부
273a: 상단 센서 273b: 중단 센서
273c: 하단 센서 275: 제 3 센서부
275a: 제 1 지지 센서 275b: 제 2 지지 센서
310, 430: 정상 자세 상체 311, 410: 정상 자세 하체
330, 431: 이상 자세 상체 331, 410: 이상 자세 하체

Claims (10)

  1. 뇌병변 장애인의 착석 상태를 감지하는 장치와 네트워크로 연결되어 상기 뇌병변 장애인의 착석 상태를 확인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팔걸이 부재와, 등받이 부재와, 팔걸이 부재와 일정 거리 이격된 상측에 설치되되 등받이 부재의 양측에 연결되도록 설치되어 뇌병변 장애인의 좌우 이탈을 방지하는 적어도 두 개의 지지부재와, 등받이 부재와 연결되는 시트 부재와, 시트부재에 균등 배치되게 설치되어 무게를 측정하는 제 1 센서부와, 등받이 부재에 설치되어 무게를 측정하는 제 2 센서부와, 각 지지부재에 설치되어 무게를 측정하는 제 3 센서부를 각각 구비한 착석 자세 측정 장치; 및
    착석 자세 측정 장치로부터 측정된 무게를 기초로 뇌병변 장애인의 자세를 판단하며, 뇌병변 장애인의 자세 변화를 디스플레이하고, 이상 자세로 판단되는 경우 알람을 출력하는 단말기;를 포함하며,
    상기 단말기는,
    초기값 설정 선택에 따라 제 1 센서부, 제 2 센서부 및 제 3 센서부에서 획득한 각 측정값을 각각의 초기값으로 설정하는 초기값 설정 모듈; 및
    각 초기값에 대한 측정값의 변화량이 일정값 이상인 경우에 뇌병변 장애인의 자세를 이상 자세로 판단하는 자세 판단 모듈;를 포함하고,
    상기 자세 판단 모듈은,
    제 1 센서부 및 제 2 센서부에서 획득한 측정값의 변화량에 따라 뇌병변 장애인의 전후 기울기를 획득하고, 제 1 센서부 및 제 3 센서부에서 획득한 측정값의 변화량에 따라 뇌병변 장애인의 좌우 기울기를 획득하며, 획득된 전후 기울기 및 좌우 기울기를 이용하여 뇌병변 장애인의 3차원 기울기를 획득함으로써 상기 이상 자세를 판단하되, 제 3 센서부의 변화량을 제 1 센서부의 변화량에 우선하여 판단하는 스마트 자세 유지 보정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세 판단 모듈은,
    각 초기값에 대한 측정값의 변화량이 일정값 이상인 경우에 해당 측정값을 측정한 센서들의 위치를 확인하고, 해당 센서들을 연결하는 가상의 선 또는 면과 제 1 센서부 사이의 각도만큼 뇌병변 장애인의 자세가 전후 또는 좌우로 기울어진 것으로 판단하는 스마트 자세 유지 보정 시스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세 판단 모듈은, 상기 뇌병변 장애인의 자세를 이상 자세로 판단한 경우, 상기 이상 자세에 해당하는 알람을 출력하는 스마트 자세 유지 보정 시스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는, 상기 자세 변화를 다단계로 디스플레이함으로써 보호자에게 상기 뇌병변 장애인의 착석 자세의 변화를 알려주는 스마트 자세 유지 보정 시스템.
KR1020150169294A 2015-11-30 2015-11-30 스마트 자세 유지 보정 시스템 KR1018680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69294A KR101868060B1 (ko) 2015-11-30 2015-11-30 스마트 자세 유지 보정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69294A KR101868060B1 (ko) 2015-11-30 2015-11-30 스마트 자세 유지 보정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63200A KR20170063200A (ko) 2017-06-08
KR101868060B1 true KR101868060B1 (ko) 2018-06-18

Family

ID=592213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69294A KR101868060B1 (ko) 2015-11-30 2015-11-30 스마트 자세 유지 보정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6806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464833A (zh) * 2018-04-26 2018-08-31 恩平市鼎力音响设备有限公司 一种弱听人士用信号提醒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25880A (ko) * 2009-05-22 2010-12-01 변승환 체형교정을 위한 의자
KR101536688B1 (ko) * 2015-01-06 2015-07-29 학교법인 화신학원 건강 증진용 스마트 방석
KR20160096506A (ko) * 2015-02-05 2016-08-16 동서대학교산학협력단 Lcm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자세 교정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91912B1 (ko) * 2012-07-17 2014-05-27 한양대학교 에리카산학협력단 자세 교정 시스템
KR20150118850A (ko) 2014-04-15 2015-10-23 (주)다드림아이앤에스 착석자세 분석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25880A (ko) * 2009-05-22 2010-12-01 변승환 체형교정을 위한 의자
KR101536688B1 (ko) * 2015-01-06 2015-07-29 학교법인 화신학원 건강 증진용 스마트 방석
KR20160096506A (ko) * 2015-02-05 2016-08-16 동서대학교산학협력단 Lcm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자세 교정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63200A (ko) 2017-06-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88856B1 (ko) 자세 경고 시트 및 자세 경고 의자
KR101391912B1 (ko) 자세 교정 시스템
KR101842067B1 (ko) 스마트 섬유를 이용한 자세 제어 시스템
JP7376038B2 (ja) 着座姿勢判定装置、椅子、着座姿勢判定方法、プログラム
KR101547653B1 (ko) 압력 분포도의 비교 분석을 통한 자세 교정 시스템
KR101942264B1 (ko) 자세 교정 시스템 및 방법
KR20170050173A (ko) 플렉서블 압력분포센서를 이용한 능동형 자세 교정 시스템 및 방법
KR20160133967A (ko) 의자의 자세안정장치
KR20180092456A (ko) 압력센서를 이용한 자세측정정보기반 바른 자세 유도 시스템
KR101868060B1 (ko) 스마트 자세 유지 보정 시스템
KR101575688B1 (ko) 3-로드셀을 이용한 의자형 착석자세 및 산만도 교정시스템
US20180146908A1 (en) Device and method for measuring the perception of equilibrium in individuals
KR20170002727U (ko) 자세 교정 장치
TWI637729B (zh) 坐姿評估系統及方法
KR101694489B1 (ko) Lcm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자세 교정 방법
KR101954876B1 (ko) 착석 자세 추정 방법
CN109955740B (zh) 用于测量车辆中的驾驶员的面部的方向的系统和方法
CN106683357B (zh) 一种基于红外传感器坐姿检测座椅及其检测方法
US20240081678A1 (en) Device for determining the position of a person's pelvis
KR20140016621A (ko) 척추 변형 예방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척추 변형 예방 방법
KR20170004200U (ko) 스마트 자세 유지 보정 장치
KR20170063187A (ko) 스마트 자세 유지 보정 장치
NL2014648B1 (nl) Combinatie en werkwijze voor het registreren en verbeteren van het zitgedrag van een persoon
KR20150007575A (ko) 압력 검지 시스템
KR101937773B1 (ko) 자세 검출 장치 및 그가 적용되는 자세 교정용 방석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