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67497B1 - 그림 처리 방법 및 전자 설비 - Google Patents

그림 처리 방법 및 전자 설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67497B1
KR101867497B1 KR1020167035999A KR20167035999A KR101867497B1 KR 101867497 B1 KR101867497 B1 KR 101867497B1 KR 1020167035999 A KR1020167035999 A KR 1020167035999A KR 20167035999 A KR20167035999 A KR 20167035999A KR 101867497 B1 KR101867497 B1 KR 1018674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cture
quality parameter
focal point
weighting factor
noi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359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10826A (ko
Inventor
구오치 얀
Original Assignee
지티이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지티이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지티이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1700108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108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674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674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04N5/232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765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 H04N5/77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between a recording apparatus and a television camera
    • H04N5/772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between a recording apparatus and a television camera the recording apparatus and the television camera being placed in the same enclosure
    • G06F17/30244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06T7/0002Inspection of images, e.g. flaw det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127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 H04N1/00281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with a telecommunication apparatus, e.g. a switched network of teleprinters for the distribution of text-based information, a selective call terminal
    • H04N1/00307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with a telecommunication apparatus, e.g. a switched network of teleprinters for the distribution of text-based information, a selective call terminal with a mobile telephone apparatu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21Intermediate information storage
    • H04N1/2104Intermediate information storage for one or a few pictures
    • H04N1/2112Intermediate information storage for one or a few pictures using still video cameras
    • H04N1/2125Display of information relating to the still picture record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21Intermediate information storage
    • H04N1/2166Intermediate information storage for mass storage, e.g. in document filing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32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ntrol or supervision between transmitter and receiver or between image input and image output device, e.g.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its memory or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a printer device
    • H04N1/32101Display, printing, storage or transmission of additional information, e.g. ID code, date and time or title
    • H04N1/32128Display, printing, storage or transmission of additional information, e.g. ID code, date and time or title attached to the image data, e.g. file header, transmitted message header, information on the same page or in the same computer file as the imag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3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by using electronic viewfind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4Computer-aided capture of images, e.g. transfer from script file into camera, check of taken image quality, advice or proposal for image composition or decision on when to take imag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222Studio circuitry; Studio devices; Studio equipment
    • H04N5/262Studio circuits, e.g. for mixing, switching-over, change of character of image, other special effects ; Cameras specially adapted for the electronic generation of special effects
    • H04N5/2621Cameras specially adapted for the electronic generation of special effects during image pickup, e.g. digital cameras, camcorders, video cameras having integrated special effects capabil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765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 H04N5/77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between a recording apparatus and a television camera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2207/00Indexing scheme for image analysis or image enhancement
    • G06T2207/30Subject of image; Context of image processing
    • G06T2207/30168Image quality insp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1/00Still video camera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32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ntrol or supervision between transmitter and receiver or between image input and image output device, e.g.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its memory or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a printer device
    • H04N2201/3201Display, printing, storage or transmission of additional information, e.g. ID code, date and time or title
    • H04N2201/3212Display, printing, storage or transmission of additional information, e.g. ID code, date and time or title of data relating to a job, e.g. communication, capture or filing of an imag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32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ntrol or supervision between transmitter and receiver or between image input and image output device, e.g.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its memory or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a printer device
    • H04N2201/3201Display, printing, storage or transmission of additional information, e.g. ID code, date and time or title
    • H04N2201/3225Display, printing, storage or transmission of additional information, e.g. ID code, date and time or title of data relating to an image, a page or a document
    • H04N2201/3226Display, printing, storage or transmission of additional information, e.g. ID code, date and time or title of data relating to an image, a page or a document of identification information or the like, e.g. ID code, index, title, part of an image, reduced-size imag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32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ntrol or supervision between transmitter and receiver or between image input and image output device, e.g.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its memory or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a printer device
    • H04N2201/3201Display, printing, storage or transmission of additional information, e.g. ID code, date and time or title
    • H04N2201/3225Display, printing, storage or transmission of additional information, e.g. ID code, date and time or title of data relating to an image, a page or a document
    • H04N2201/3252Image capture parameters, e.g. resolution, illumination conditions, orientation of the image capture devi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32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ntrol or supervision between transmitter and receiver or between image input and image output device, e.g.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its memory or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a printer device
    • H04N2201/3201Display, printing, storage or transmission of additional information, e.g. ID code, date and time or title
    • H04N2201/3274Storage or retrieval of prestored additional information
    • H04N2201/3277The additional information being stored in the same storage device as the image dat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age Processing (AREA)
  • Image Analysi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서는 그림 처리 방법 및 전자 설비를 제공하는 바, 그 중에서, 방법에는, 그림을 채집할 때, 상기 그림에 대응되는 초점 좌표를 상기 그림에 대응되는 교환 이미지 파일 EXIF 정보에 추가하여 확장 EXIF 정보를 취득하며; 상기 확장 EXIF 정보에 의하여 상기 그림의 본체 구역을 결정하며; 상기 본체 구역에 대응되는 첨예도 평규값을 계산하고, 또한 상기 본체 구역의 노이즈 수량을 측정하며; 상기 첨예도 평균값 및 상기 노이즈 수량을 이용하여 상기 그림에 대응되는 품질 파라미터를 산출하고, 상기 품질 파라미터에 의하여 상기 그림에 대하여 저장 또는 디스플레이를 진행하는 것이 포함된다.

Description

그림 처리 방법 및 전자 설비 {PICTURE PROCESSING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본 발명은 통신 분야의 그림 처리 기술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그림 처리 방법 및 전자 설비에 관한 것이다.
스마트폰이 날로 발전함에 따라, 카메라의 성능과 체험이 모두 크게 향상되었다. 근래 스마트 단말의 보급과 카메라 촬영의 편리성으로 인하여, 날로 많은 사용자들이 핸드폰 카메라를 이용하여 생활 속의 사진을 찍고, 적시적으로 생활 속의 장면을 기록해 둔다. 사용 과정에 있어서, 시간이 지남에 따라 사용자들은 일반적으로 몇 백장 내지는 몇 천장의 사진을 찍게 된다. 사용자로 하여금 어떻게 수많은 사진 중에서 빠르게 자기가 원하는 사진을 찾도록 하는가 하는 것은 주목하여야 할 사항이 되었다.
구글사의 카메라 앨범은 시간과 장소에 의하여 사진에 대하여 분류를 진행하는 체험을 제공하고 있다. 하지만 실제상에서 단일하게 시간과 장소에 의하여 분류하는 체험은 사용자의 수요를 만족시킬 수 없다. 다른 일 방면으로, 핸드폰으로 사진을 찍는 대부분의 사용자들은 프로가 아니기 때문에, 촬영 기교와 촬영의 무작위성으로 인하여, 각 사진마다 모두 최적의 품질을 갖도록 확보할 수 없다. 예를 들면 이동 장면에서, 쉽게 포커싱이 되지 않아 어렴풋한 사진을 찍게 된다. 실외에서 촬영을 진행할 때, 날씨와 광선의 원인으로 인하여 쉽게 과다 노광, 노이즈가 있는 사진을 찍게 된다. 사용자들은 사진을 고를 때 일반적으로 비교적 잘 찍어진 사진을 고르기를 원한다. 그리고 사용자들은 한 장의 사진을 찍은 후 사진이 만족스러운지 확인한 후, 장면을 조절하여 다음 한 장의 사진을 찍게 된다. 개별적인 상황에서, 사용자는 연속적으로 한 그룹의 사진을 찍은 후 하나씩 확인 후, 그 중의 만족스럽지 못한 사진을 삭제하게 된다. 통상적으로 한 그룹의 근사한 사진을 한 장씩 확인하는 것은 사용자의 일정한 시간과 정력을 소모하게 된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는 그림 처리 방법 및 전자 설비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그림 처리 방법을 제공하는 바, 상기 방법에는,
그림을 채집할 때, 상기 그림에 대응되는 초점 좌표를 상기 그림에 대응되는 교환 이미지 파일 EXIF 정보에 추가하여 확장 EXIF 정보를 취득하며;
상기 확장 EXIF 정보에 의하여 상기 그림의 본체 구역을 결정하며;
상기 본체 구역에 대응되는 첨예도 평균값을 계산하고, 또한 상기 본체 구역의 노이즈 수량을 측정하며;
상기 첨예도 평균값 및 상기 노이즈 수량을 이용하여 상기 그림에 대응되는 품질 파라미터를 산출하고, 상기 품질 파라미터에 의하여 상기 그림에 대하여 저장 또는 디스플레이를 진행하는 것이 포함된다.
상기 방안에서, 상기 방법에는 또한, 지정된 초점 좌표를 취득하거나, 또는 상기 그림의 중심 좌표를 초점 좌표로 설정하는 것이 포함된다.
상기 방안에서, 상기 첨예도 평균값 및 상기 노이즈 수량을 이용하여 상기 그림에 대응되는 품질 파라미터를 산출하는 것에는,
상기 첨예도 평균값을 첨예도 득점값으로 전환하고, 상기 노이즈 수량을 노이즈 득점값으로 전환하며, 상기 확장 EXIF 정보에 의하여 대응되는 가중 인자를 결정하고, 상기 가중 인자, 첨예도 득점값, 노이즈 득점값에 의하여 상기 그림에 대응되는 품질 파라미터를 산출하는 것이 포함된다.
상기 방안에서, 상기 확장 EXIF 정보에 의하여 대응되는 가중 인자를 결정하는 것에는, 상기 확장 EXIF 중의 플래시 파라미터를 추출하고, 상기 플래시 파라미터에 의하여 플래시가 켜지지 않았다고 판단하면, 상기 가중 인자를 제1 그룹 가중 인자로 하며; 그렇지 않으면, 상기 가중 인자를 제2 그룹 가중 인자로 하는 것이 포함된다.
상기 방안에서, 상기 방법에는 또한, 상기 품질 파라미터에 의하여 상기 그림에 대하여 등급을 나누어, 상기 그림에 대응되는 등급을 취득하는 것이 포함되며;
상응하게, 상기 품질 파라미터에 의하여 상기 그림에 대하여 저장을 진행하는 것은, 상기 품질 파라미터를 그림의 식별자를 인덱스로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거나, 또는 상기 품질 파라미터와 상기 그림의 등급을 그림의 식별자를 인덱스로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것이며;
상기 품질 파라미터에 의하여 상기 그림에 대하여 디스플레이를 진행하는 것은, 그림을 디스플레이할 때, 품질 파라미터 또는 상기 그림의 등급에 따라 상기 그림을 디스플레이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또한 전자 설비를 제공하는 바, 상기 전자 설비에는,
그림을 채집할 때, 상기 그림에 대응되는 초점 좌표를 상기 그림에 대응되는 EXIF 정보에 추가하여 확장 EXIF 정보를 취득하며; 상기 확장 EXIF 정보에 의하여 상기 그림의 본체 구역을 결정하며; 상기 품질 파라미터에 의하여 상기 그림에 대하여 저장 또는 디스플레이를 진행하는 처리 유닛;
상기 본체 구역에 대응되는 첨예도 평균값을 계산하고, 또한 상기 본체 구역의 노이즈 수량을 측정하며; 상기 첨예도 평균값 및 상기 노이즈 수량을 이용하여 상기 그림에 대응되는 품질 파라미터를 산출하는 계산 유닛이 포함된다.
상기 방안에서, 상기 처리 유닛은 또한 지정된 초점 좌표를 취득하거나, 또는 상기 그림의 중심 좌표를 초점 좌표로 설정한다.
상기 방안에서, 상기 계산 유닛은 구체적으로 상기 첨예도 평균값을 첨예도 득점값으로 전환하고, 상기 노이즈 수량을 노이즈 득점값으로 전환하며, 상기 확장 EXIF 정보에 의하여 대응되는 가중 인자를 결정하고, 상기 가중 인자, 첨예도 득점값, 노이즈 득점값에 의하여 상기 그림에 대응되는 품질 파라미터를 산출한다.
상기 방안에서, 상기 계산 유닛은 또한 상기 확장 EXIF 중의 플래시 파라미터를 추출하고, 상기 플래시 파라미터에 의하여 플래시가 켜지지 않았다고 판단하면, 상기 가중 인자를 제1 그룹 가중 인자로 하며; 그렇지 않으면, 상기 가중 인자를 제2 그룹 가중 인자로 한다.
상기 방안에서, 상기 계산 유닛은 또한 상기 품질 파라미터에 의하여 상기 그림에 대하여 등급을 나누어, 상기 그림에 대응되는 등급을 취득하며;
상응하게, 상기 처리 유닛은 구체적으로 상기 품질 파라미터를 그림의 식별자를 인덱스로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거나, 또는 상기 품질 파라미터와 상기 그림의 등급을 그림의 식별자를 인덱스로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며; 그림을 디스플레이할 때, 품질 파라미터 또는 상기 그림의 등급에 따라 상기 그림을 디스플레이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그림 처리 방법 및 전자 설비는 확장 EXIF 정보를 통하여, EXIF 정보에 그림의 초점 좌표를 기록하며; 초점 좌표를 읽어 들이는 것을 통하여, 이를 중심으로 그림 본체 구역을 잘라내며; 그 후 본체 구역의 첨예도와 노이즈 수량을 계산하고, 나아가 그림에 대응되는 품질 파라미터를 결정하며, 또한 품질 파라미터에 의하여 저장 및 디스플레이를 진행한다. 이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방안을 이용하면 빠르게 그림의 품질을 결정할 수 있고, 나아가 사용자를 도와 그림의 선택을 진행할 수 있어, 사용자에게 편리를 제공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그림 처리 방법 흐름도.
도2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본체 구역 위치 도면1.
도3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본체 구역 위치 도면2.
도4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그림 첨예도를 결정하는 도면.
도5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노이즈를 측정하는 도면.
도6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전자 설비 구조도.
아래, 첨부된 도면 및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더욱 상세한 설명을 진행하도록 한다.
실시예1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그림 처리 방법은,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기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101 단계: 그림을 채집할 때, 상기 그림에 대응되는 초점 좌표를 상기 그림에 대응되는 교환 이미지 파일(Exchangeable Image File, EXIF) 정보에 추가하여 확장 EXIF 정보를 취득한다.
102 단계: 상기 확장 EXIF 정보에 의하여 상기 그림의 본체 구역을 결정한다.
103 단계: 상기 본체 구역에 대응되는 첨예도 평균값을 계산하고, 또한 상기 본체 구역의 노이즈 수량을 측정한다.
104 단계: 상기 첨예도 평균값 및 상기 노이즈 수량을 이용하여 상기 그림에 대응되는 품질 파라미터를 산출하고, 상기 품질 파라미터에 의하여 상기 그림에 대하여 저장 또는 디스플레이를 진행한다.
여기에서, 상기 그림을 채집하는 것은 사용자가 전자 설비 상에 구비된 카메라를 통하여 그림을 촬영하는 것일 수 있고, 상기 전자 설비는 스마트폰 또는 태블릿 PC 또는 디지털 카메라 등일 수 있다.
상기 그림에 대응되는 초점 좌표를 상기 그림에 대응되는 EXIF 정보에 추가하는 것에는, HAL 계층의 카메라 코드를 수정하는 것을 통하여 상기 그림에 대응되는 초점 좌표를 EXIF 정보에는 추가하는 것이 포함될 수 있다.
디폴트의 상기 EXIF 정보에는 그림의 채집 시간, 크기, 플래시를 켰는지 여부 등 정보가 포함된다.
상기 초점 좌표의 취득 방법에는, 사용자가 지정한 초점 좌표를 취득하거나, 또는 상기 그림의 중심 좌표를 초점 좌표로 설정하는 것이 포함될 수 있다. 그 중에서, 상기 사용자가 지정한 초점 좌표는 사용자의 조작을 탐지하는 것을 통하여 결정할 수 있는 바, 예를 들면 스마트폰을 사용하여 촬영을 진행할 때, 사용자는 스크린을 터치하는 것을 통하여 초점 좌표를 지정할 수 있다.
상기 확장 EXIF 정보에 의하여 상기 그림의 본체 구역을 결정하는 것에는, 상기 초점 좌표의 상기 그림의 네 변두리와 떨어진 거리가 모두 사전 설정된 거리값 이상일 때, 상기 초점 좌표를 중심점으로 하고 지정된 길이와 너비값의 사각형을 본체 구역으로 하며; 예를 들면,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리지널 그림 너비를 W, 높이를 H, 초점 좌표(21)가 중심점 P이며; P를 중심점으로 취한 본체 구역은 지정된 너비값은 W1=1/3*W, 지정된 길이값은 H1=1/3*H인 사각형이며;
상기 초점 좌표의 상기 그림의 네 변두리 중의 임의의 변두리와 떨어진 거리가 사전 설정된 거리값 보다 작을 때, 상기 좌표 초점을 중심점으로 하고 지정된 길이와 너비값의 사각형을 제1 구역으로 하고, 상기 제1 구역과 상기 그림이 중첩된 구역을 본체 구역으로 하며; 예를 들면,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초점 좌표가 그림의 한 모서리에 근접하면, 우선 상기 초점(31)을 중심점으로 하고, 지정된 길이 너비값의 사각형을 제1 구역(321)으로 하는 바, 즉 도3의 점선으로 표시된 구역이고, 상기 제1 구역의 지정된 너비값은 W1=1/3*W, 지정된 길이값은 H1=1/3*H일 수 있으며; 이어 상기 제1 구역(321)과 오리지널 그림의 중첩된 구역을 결정하는 바, 즉 도3 중의 색상이 짙은 사각형 구역을 본체 구역(322)으로 하는 것이 포함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본체 구역에 대응되는 첨예도 평균값을 계산하는 것에는, 변두리 첨예도 계산 방법을 이용하여 상기 본체 구역 네 변두리 및 두 대각선에 각각 대응되는 첨예도 값을 계산하여, 첨예도 평균값을 계산하는 것이 포함될 수 있다.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체적으로 말하면, 본체 구역의 네 변두리 및 두 대각선을 선택하여 진행하며; 각각 그림의 상기 네 변두리 및 두 대각선 상의 그레이 스케일 변화값을 계산하고, 상기 그레이 스케일 변화값을 상기 첨예도 값으로 하며, 그레이 스케일 변화가 심할 수록 그럼이 선명하며, 그 후 상기 네 변두리 및 두 대각선 상의 첨예도 값을 평균 내어 본체 구역의 첨예도 값으로 한다. 첨예도는 그림의 첨예한 정도로서, 이미지의 선명도를 평가하는 중요한 지표이다.
그림의 상기 네 변두리 및 두 대각선 상의 그레이 스케일 변화값을 계산하는 공식은 하기와 같다.
Figure 112016126273259-pct00001
그 중에서, df/dx는 변두리 방향 상의 그레이 스케일 변화율이고, f(b)-f(a)는 해당 방향 상의 전체적인 변화이며, 그 중에서 a와 b는 각각 현재 계산한 선의 두 끝점을 나타내는 바, 예를 들면 하나의 대각선을 계산할 때, a와 b는 각각 대각선의 두 끝점이다.
그림 노이즈는 어느 한 점의 픽셀값이 주변과 차이가 아주 큰 것을 말하며, 역시 그림의 품질을 평가하는 하나의 요소이다. 도5를 참조하면, 노이즈 수량이 많을 수록 득점이 적다. 만일 픽셀점 A점과 주변의 8개 근접 구역 픽셀값의 차이가 아주 크면 노이즈로 판정되고, 노이즈를 측정할 때 변두리 점의 측정을 무시한다.
상기 노이즈의 수량을 측정하는 공식은 하기와 같다.
Figure 112016126273259-pct00002
그 중에서, Lp(c)는 노이즈 벡터 합을 표시하고, c는 중심점 A 주변의 8개의 근접 구역을 표시하며; xo(c)는 중심 픽셀점의 그레이 스케일 값을 표시하고, xk(c)는 줌심점 A 주변의 근접 구역 픽셀점을 표시하며, N=8이다. 만일 Lp(c)가 사전 설정된 판정 역치보다 크면, 이 중심점을 노이즈로 판정한다. 하나의 그림에서 노이즈 수량이 적을 수록, 그림이 더욱 아름답고 품질이 높음을 나타낸다.
상기 첨예도 평균값 및 상기 노이즈 수량을 이용하여 상기 그림에 대응되는 품질 파라미터를 산출하는 것에는, 상기 첨예도 평균값을 첨예도 득점값으로 전환하고, 상기 노이즈 수량을 노이즈 득점값으로 전환하며, 상기 확장 EXIF 정보에 의하여 대응되는 가중 인자를 결정하고, 상기 가중 인자, 첨예도 득점값, 노이즈 득점값에 의하여 상기 그림에 대응되는 품질 파라미터를 산출하는 것이 포함된다. 예를 들면, 첨예도 득점값이 S1, 노이즈 득점값이 S2이고, 대응되는 가중 인자는 첨예도 득점값은 a와 대응되고, 노이즈 득점값은 b와 대응된다면, 그림의 최종 득점값은 S=a*S1+b*S2로 표시된다.
그 중에서, 상기 첨예도 평균값을 첨예도 득점값으로 전환시키는 것은, 대량의 그림을 시뮬레이션하는 것을 통하여, 만일 첨예도 값이 [1100,1200] 구간이라면 5점으로 하고, [1000,1100] 구간이라면 4점으로 하며, [900,1000] 구간이라면 3점으로 하고, [700,900] 구간이라면 2점으로 하며, 첨예도가 700 이하이면 1점으로 할 수 있다.
상기 노이즈 수량을 노이즈 득점값으로 전환시키는 것에는, 만일 본체 구역 노이즈 수량이 [0,10]이면 5점으로 하고, [11,20]이면 4점으로 하며, [21,35]이면 3점으로 하고, [36,45]이면 2점으로 하며, 노이즈 수량이 45를 초과하면 1점으로 하는 것이 포함될 수 있다.
그 중에서, 상기 확장 EXIF 정보에 의하여 대응되는 가중 인자를 결정하는 것에는, 상기 확장 EXIF 중의 플래시 파라미터(TAG_FLASH)를 추출하고, 상기 플래시 파라미터에 의하여 플래시가 켜지지 않았다고 판단하면, 상기 가중 인자를 제1 그룹 가중 인자로 하며; 그렇지 않으면, 상기 가중 인자를 제2 그룹 가중 인자로 하며; 예를 들면, 만일 0이라면 플래시가 켜지지 않았고, 1이라면 플래시가 켜졌으며; 만일 플래시가 켜지지 않았다면, 제1 그룹 가중 인자를 a=0.6, b=0.4로 결정하며; 만일 플래시가 켜졌다면, 정상적인 상황에 비하여, 사진이 더욱 쉽게 노이즈 문제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제2 그룹 가중 인자는 a=0.4, b=0.6인 것이 포함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또한 상기 품질 파라미터에 의하여 상기 그림에 대하여 등급을 나누어, 상기 그림에 대응되는 등급을 취득하는 것이 포함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품질 파라미터 득점값이 [4.5,5] 구간인 것을 우수로 하고, [3.5,4.4] 구간인 것을 양호로 하며, [2.5,3.4] 구간인 것을 일반으로 하고, [1,2.4] 구간인 것을 나쁜 것으로 한다.
상기 품질 파라미터에 의하여 상기 그림에 대하여 저장을 진행하는 것은, 상기 품질 파라미터를 그림의 식별자를 인덱스로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거나, 또는 상기 품질 파라미터와 상기 그림의 등급을 그림의 식별자를 인덱스로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것일 수 있으며; 그 중에서, 상기 그림의 식별자는 상기 그림의 명칭 또는 상기 그림의 촬영 시간 등일 수 있다.
상기 품질 파라미터에 의하여 상기 그림에 대하여 디스플레이를 진행하는 것은, 그림을 디스플레이할 때, 품질 파라미터 또는 상기 그림의 등급에 따라 상기 그림을 디스플레이하는 것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가 앨범을 열고 그림을 볼 때, 수요에 의하여 품질 파라미터에 따라 등급을 나눈 결과에 따라, 데이터베이스 중의 전부 그림에 대하여 등급을 나누어 사용자에게 보여줄 수 있다.
나아가, 사용자는 또한 그림을 디스플레이할 때, 상기 그림의 등급에 의하여 그림에 대하여 선택, 삭제 등 조작을 진행할 수 있다.
실시예2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전자 설비를 제공하는 바,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림을 채집할 때, 상기 그림에 대응되는 초점 좌표를 상기 그림에 대응되는 (Exchangeable Image File, EXIF) 정보에 추가하여 확장 EXIF 정보를 취득하며; 상기 확장 EXIF 정보에 의하여 상기 그림의 본체 구역을 결정하는 처리 유닛(61);
상기 본체 구역에 대응되는 첨예도 평균값을 계산하고, 또한 상기 본체 구역의 노이즈 수량을 측정하며; 상기 첨예도 평균값 및 상기 노이즈 수량을 이용하여 상기 그림에 대응되는 품질 파라미터를 산출하고, 상기 품질 파라미터에 의하여 상기 그림에 대하여 저장 또는 디스플레이를 진행하는 계산 유닛(62)이 포함된다.
여기에서, 상기 전자 설비는 스마트폰 또는 태블릿 PC 또는 디지털 카메라 등일 수 있다.
상기 처리 유닛(61)은 구체적으로 HAL 계층의 카메라 코드를 수정하는 것을 통하여 상기 그림에 대응되는 초점 좌표를 EXIF 정보에는 추가한다.
디폴트의 상기 EXIF 정보에는 그림의 채집 시간, 크기, 플래시를 켰는지 여부 등 정보가 포함된다.
상기 처리 유닛(61)은 또한 사용자가 지정한 초점 좌표를 취득하거나, 또는 상기 그림의 중심 좌표를 초점 좌표로 설정한다.
상기 처리 유닛(61)은 또한 상기 초점 좌표의 상기 그림의 네 변두리와 떨어진 거리가 모두 사전 설정된 거리값 이상일 때, 상기 좌표 초점을 중심으로 지정된 길이와 너비값의 사각형을 본체 구역으로 하며; 예를 들면,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리지널 그림 너비를 W, 높이를 H, 초점 좌표(21)가 중심점 P이며; P를 중심점으로 취한 본체 구역은 지정된 너비값은 W1=1/3*W, 지정된 길이값은 H1=1/3*H인 사각형이며;
상기 초점 좌표의 상기 그림의 네 변두리 중의 임의의 변두리와 떨어진 거리가 사전 설정된 거리값 보다 작을 때, 상기 초점 좌표를 중심점으로 하고 지정된 길이와 너비값의 사각형을 제1 구역으로 하고, 상기 제1 구역과 상기 그림이 중첩된 구역을 본체 구역으로 하며; 예를 들면,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초점 좌표와 그림의 한 모서리에 근접하면, 우선 상기 초점(31)을 중심점으로 하고, 지정된 길이와 너비값의 사각형을 제1 구역(321)으로 하는 바, 즉 도3의 점선으로 표시된 구역이고, 상기 제1 구역의 지정된 너비값은 W1=1/3*W, 지정된 길이값은 H1=1/3*H일 수 있으며; 이어 상기 제1 구역(321)과 오리지널 그림의 중첩된 구역을 결정하는 바, 즉 도3 중의 색상이 짙은 사각형 구역을 본체 구역(322)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계산 유닛(62)은 또한 변두리 첨예도 계산 방법을 이용하여 상기 본체 구역 네 변두리 및 두 대각선에 각각 대응되는 첨예도 값을 계산하여, 첨예도 평균값을 계산한다.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체적으로 말하면, 본체 구역의 네 변두리 및 두 대각선을 선택하여 진행하며; 각각 그림의 상기 네 변두리 및 두 대각선 상의 그레이 스케일 변화값을 계산하고, 상기 그레이 스케일 변화값을 상기 첨예도 값으로 하며, 그레이 스케일 변화가 심할 수록 그럼이 선명하며, 그 후 상기 네 변두리 및 두 대각선 상의 첨예도 값을 평균 내어 본체 구역의 첨예도 값으로 한다. 첨예도는 그림의 첨예한 정도로서, 그림의 선명도를 평가하는 중요한 지표이다.
그림의 상기 네 변두리 및 두 대각선 상의 그레이 스케일 변화값을 계산하는 공식은 하기와 같다.
Figure 112016126273259-pct00003
그 중에서, df/dx는 변두리 방향 상의 그레이 스케일 변화율이고, f(b)-f(a)는 해당 방향 상의 전체적인 변화이며, 그 중에서 a와 b는 각각 현재 계산한 선의 두 끝점을 나타내는 바, 예를 들면 하나의 대각선을 계산할 때, a와 b는 각각 대각선의 두 끝점이다.
그림 노이즈는 어느 한 점의 픽셀값과 주변의 차이가 아주 큰 것을 말하며, 역시 그림의 품질을 평가하는 하나의 요소이다. 도5를 참조하면, 노이즈 수량이 많을 수록 득점이 적다. 만일 픽셀점 A점과 주변의 8개 근접 구역 픽셀값의 차이가 아주 크면 노이즈로 판정되고, 노이즈를 측정할 때 변두리 점의 측정을 무시한다.
상기 노이즈의 수량을 측정하는 공식은 하기와 같다.
Figure 112016126273259-pct00004
그 중에서, Lp(c)는 노이즈 벡터 합을 표시하고, c는 중심점 A 주변의 8개의 근접 구역을 표시하며; xo(c)는 중심 픽셀점의 그레이 스케일 값을 표시하고, xk(c)는 줌심점 A 주변의 근접 구역 픽셀점을 표시하며, N=8이다. 만일 Lp(c)가 사전 설정된 판정 역치보다 크면, 이 중심점을 노이즈로 판정한다. 하나의 그림에서 노이즈 수량이 적을 수록, 그림이 더욱 아름답고 품질이 높음을 나타낸다.
상기 계산 유닛(62)은 또한 상기 첨예도 평균값을 첨예도 득점값으로 전환하고, 상기 노이즈 수량을 노이즈 득점값으로 전환하며, 상기 확장 EXIF 정보에 의하여 대응되는 가중 인자를 결정하고, 상기 가중 인자, 첨예도 득점값, 노이즈 득점값에 의하여 상기 그림에 대응되는 품질 파라미터를 산출한다. 예를 들면, 첨예도 득점값이 S1, 노이즈 득점값이 S2이고, 대응되는 가중 인자는 첨예도 득점값은 a와 대응되고, 노이즈 득점값은 b와 대응된다면, 그림의 최종 득점값은 S=a*S1+b*S2로 표시된다.
그 중에서, 상기 첨예도 평균값을 첨예도 득점값으로 전환시키는 것은, 대량의 그림을 시뮬레이션하는 것을 통하여, 만일 첨예도 값이 [1100,1200] 구간이라면 5점으로 하고, [1000,1100] 구간이라면 4점으로 하며, [900,1000] 구간이라면 3점으로 하고, [700,900] 구간이라면 2점으로 하며, 첨예도가 700 이하이면 1점으로 할 수 있다.
상기 계산 유닛(62)은 또한 만일 본체 구역 노이즈 수량이 [0,10]이면 5점으로 하고, [11,20]이면 4점으로 하며, [21,35]이면 3점으로 하고, [36,45]이면 2점으로 하며, 노이즈 수량이 45를 초과하면 1점으로 한다.
그 중에서, 상기 계산 유닛(62)은 또한 상기 확장 EXIF 중의 플래시 파라미터(TAG_FLASH)를 추출하고, 상기 플래시 파라미터에 의하여 플래시가 켜지지 않았다고 판단하면, 상기 가중 인자를 제1 그룹 가중 인자로 하며; 그렇지 않으면, 상기 가중 인자를 제2 그룹 가중 인자로 하며; 예를 들면, 만일 0이라면 플래시가 켜지지 않았고, 1이라면 플래시가 켜졌으며; 만일 플래시가 켜지지 않았다면, 제1 그룹 가중 인자를 a=0.6, b=0.4로 결정하며; 만일 플래시가 켜졌다면, 정상적인 상황에 비하여, 사진이 더욱 쉽게 노이즈 문제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제2 그룹 가중 인자는 a=0.4, b=0.6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계산 유닛(62)은 또한 상기 품질 파라미터에 의하여 상기 그림에 대하여 등급을 나누어, 상기 그림에 대응되는 등급을 취득하는 것이 포함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품질 파라미터 득점값이 [4.5,5] 구간인 것을 우수로 하고, [3.5,4.4] 구간인 것을 양호로 하며, [2.5,3.4] 구간인 것을 일반으로 하고, [1,2.4] 구간인 것을 나쁜 것으로 한다.
상기 계산 유닛(62)은 상기 품질 파라미터에 의하여 상기 그림에 대하여 등급을 나누어, 상기 그림에 대응되는 등급을 취득하며; 상응하게, 상기 처리 유닛은 구체적으로 상기 품질 파라미터를 그림의 식별자를 인덱스로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거나, 또는 상기 품질 파라미터와 상기 그림의 등급을 그림의 식별자를 인덱스로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며; 그림을 디스플레이할 때, 품질 파라미터 또는 상기 그림의 등급에 따라 상기 그림을 디스플레이한다.
상기 품질 파라미터에 의하여 상기 그림에 대하여 저장을 진행하는 것은, 상기 품질 파라미터를 이미지의 식별자를 인덱스로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거나, 또는 상기 품질 파라미터와 상기 그림의 등급을 그림의 식별자를 인덱스로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것일 수 있으며; 그 중에서, 상기 그림의 식별자는 상기 그림의 명칭 또는 상기 그림의 촬영 시간 등일 수 있다.
상기 품질 파라미터에 의하여 상기 그림에 대하여 디스플레이를 진행하는 것은, 그림을 디스플레이할 때, 품질 파라미터 또는 상기 그림의 등급에 따라 상기 그림을 디스플레이하는 것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가 앨범을 열고 그림을 볼 때, 수요에 의하여 품질 파라미터에 따라 등급을 나눈 결과에 따라, 데이터베이스 중의 전부 그림에 대하여 등급을 나누어 사용자에게 보여줄 수 있다. 나아가, 사용자는 또한 그림을 디스플레이할 때, 상기 그림의 등급에 의하여 그림에 대하여 선택, 삭제 등 조작을 진행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제공하는 몇 개의 실시예에 있어서, 개시된 설비와 방법은 기타 방식을 통하여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상기 기재된 설비 실시예는 단지 예시적인 것으로서, 예를 들면 상기 유닛의 분할은 단지 논리적 분할이고, 실제로 구현할 때 다른 분할 방식이 있을 수 있는 바, 예를 들면 다수의 유닛 또는 어셈블리가 결합되거나 또는 다른 한 시스템에 집적되거나 또는 일부 특징이 무시되거나 실행되지 않을 수 있다. 그리고 디스플레이되거나 언급된 각 구성 부분 사이의 결합 또는 직접적인 결합 또는 통신 연결은 일부 인터페이스, 설비 또는 유닛 사이의 결합 또는 통신 연결을 통할 수 있는 바, 전기적, 기계적 또는 기타 형식일 수 있다.
상기 분리 부품으로 설명한 유닛은 물리적으로 분리된 것이거나 분리되지 않는 것일 수 있고, 유닛으로 표시된 부품은 물리 유닛일 수도 있고 또는 아닐 수도 있는 바, 즉 한 위치에 있을 수도 있고 또는 다수의 네트워크 유닛 상에 분포될 수 있으며; 실제 수요에 의하여 그 중의 일부 또는 전부를 선택하여 본 실시예 방안의 목적을 구현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각 실시예 중의 각 기능 유닛은 모두 하나의 처리 유닛에 집적될 수도 있고, 또는 각 유닛이 각각 단독으로 하나의 유닛을 수 있고, 또는 두 개 또는 두 개 이상의 유닛이 하나의 유닛에 집적될 수 있으며; 상기 집적된 유닛은 하드웨어 형식을 이용하여 구현될 수도 있고, 또한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를 결합시키는 방식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당업계의 기술자들은 상기 방법 실시예에 포함된 전부 또는 일부 단계는 프로그램을 통하여 관련 하드웨어를 명령하여 구현할 수 있고, 상기 프로그램은 일종의 컴퓨터 판독가능한 저장 매체에 저장될 수 있고, 해당 프로그램이 실행될 때, 상기 방법 실시예의 단계를 포함하여 실행됨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상기 저장 매체에는 이동 저장 설비,롬(ROM, Read-Only Memory), 램(RAM, Random Access Memory), 자기 디스크 또는 광 디스크 등 여러 가지 프로그램 코드를 저장할 수 있는 매체일 수 있다.
또는 본 발명의 상기 집적된 유닛이 소프트웨어 기능 모듈의 형식으로 구현되고 독립적인 제품으로 판매 또는 사용될 때, 컴퓨터 판독가능한 저장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이를 기반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의 기술방안의 본질적이나 또는 종래 기술에 대하여 공헌이 있는 부분은 소프트웨어 제품의 형식으로 구현될 수 있고, 해당 컴퓨터 소프트웨어 제품은 하나의 저장 매체에 저장될 수 있는 바, 일부 명령이 포함되어 컴퓨터 설비(개인 컴퓨터, 서버 또는 네트워크 설비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음)로 하여금 본 발명의 각 실시예의 상기 방법의 전부 또는 일부를 구현하게 할 수 있다. 상기 저장 매체에는 이동 저장 설비, 롬(ROM, Read-Only Memory), 램(RAM, Random Access Memory), 자기 디스크 또는 광 디스크 등 여러 가지 프로그램 코드를 저장할 수 있는 매체일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특정의 실시예에 대해서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상기 청구항의 보호 범위를 기준으로 하여야 한다.
본 발명에서는 그림 처리 방법 및 전자 설비를 제공하는 바, 확장EXIF 정보를 통하여, EXIF 정보에 그림의 초점 좌표를 기록하며; 초점 좌표를 읽어들이는 것을 통하여, 이를 중심으로 그림 본체 구역을 잘라내며; 그 후 본체 구역의 첨예도와 노이즈 수량을 계산하고, 나아가 그림에 대응되는 품질 파라미터를 결정하며, 또한 품질 파라미터에 의하여 저장 및 디스플레이를 진행한다. 이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방안을 이용하면 빠르게 그림의 품질을 결정할 수 있고, 나아가 사용자를 도와 그림의 선택을 진행할 수 있어, 사용자에게 편리를 제공한다.

Claims (10)

  1. 그림 처리 방법에 있어서,
    그림을 채집할 때, 상기 그림에 대응되는 초점 좌표를 상기 그림에 대응되는 교환 이미지 파일 EXIF 정보에 추가하여 확장 EXIF 정보를 취득하며;
    상기 확장 EXIF 정보에 의하여 상기 그림의 본체 구역을 결정하며;
    상기 본체 구역에 대응되는 첨예도 평균값을 계산하고, 또한 상기 본체 구역의 노이즈 수량을 측정하며;
    상기 첨예도 평균값 및 상기 노이즈 수량을 이용하여 상기 그림에 대응되는 품질 파라미터를 산출하고, 상기 품질 파라미터에 의하여 상기 그림에 대하여 저장 또는 디스플레이를 진행하는 것이 포함되며;
    상기 방법에는 또한, 지정된 초점 좌표를 취득하거나, 또는 상기 그림의 중심 좌표를 초점 좌표로 설정하는 것이 포함되며;
    상기 확장 EXIF 정보에 의하여 상기 그림의 본체 구역을 결정하는 것에는,
    상기 초점 좌표의 상기 그림의 네 변두리와 떨어진 거리가 모두 사전 설정된 거리값 이상일 때, 상기 초점 좌표를 중심점으로 하고 지정된 길이와 너비값의 사각형을 본체 구역으로 하며;
    또는, 상기 초점 좌표의 상기 그림의 네 변두리 중의 임의의 한 변두리와 떨어진 거리가 사전 설정된 거리값보다 작을 때, 상기 초점 좌표를 중심점으로 하고 지정된 길이와 너비값의 사각형을 제1구역으로 하고, 상기 제1구역과 상기 그림이 중첩된 구역을 본체 구역으로 하는 것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림 처리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첨예도 평균값 및 상기 노이즈 수량을 이용하여 상기 그림에 대응되는 품질 파라미터를 산출하는 것에는,
    상기 첨예도 평균값을 첨예도 득점값으로 전환하고, 상기 노이즈 수량을 노이즈 득점값으로 전환하며, 상기 확장 EXIF 정보에 의하여 대응되는 가중 인자를 결정하고, 상기 가중 인자, 첨예도 득점값, 노이즈 득점값에 의하여 상기 그림에 대응되는 품질 파라미터를 산출하는 것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림 처리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확장 EXIF 정보에 의하여 대응되는 가중 인자를 결정하는 것에는,
    상기 확장 EXIF 중의 플래시 파라미터를 추출하고, 상기 플래시 파라미터에 의하여 플래시가 켜지지 않았다고 판단하면, 상기 가중 인자를 제1 그룹 가중 인자로 하며;
    그렇지 않으면, 상기 가중 인자를 제2 그룹 가중 인자로 하는 것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림 처리 방법.
  4. 제1항 내지 제3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에는 또한,
    상기 품질 파라미터에 의하여 상기 그림에 대하여 등급을 나누어, 상기 그림에 대응되는 등급을 취득하는 것이 포함되며;
    상응하게, 상기 품질 파라미터에 의하여 상기 그림에 대하여 저장을 진행하는 것은, 상기 품질 파라미터를 그림의 식별자를 인덱스로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거나, 또는 상기 품질 파라미터와 상기 그림의 등급을 그림의 식별자를 인덱스로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것이며;
    상기 품질 파라미터에 의하여 상기 그림에 대하여 디스플레이를 진행하는 것은, 그림을 디스플레이할 때, 품질 파라미터 또는 상기 그림의 등급에 따라 상기 그림을 디스플레이하는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림 처리 방법.
  5. 전자 설비에 있어서,
    그림을 채집할 때, 상기 그림에 대응되는 초점 좌표를 상기 그림에 대응되는 EXIF 정보에 추가하여 확장 EXIF 정보를 취득하며; 상기 확장 EXIF 정보에 의하여 상기 그림의 본체 구역을 결정하며; 품질 파라미터에 의하여 상기 그림에 대하여 저장 또는 디스플레이를 진행하는 처리 유닛;
    상기 본체 구역에 대응되는 첨예도 평균값을 계산하고, 또한 상기 본체 구역의 노이즈 수량을 측정하며; 상기 첨예도 평균값 및 상기 노이즈 수량을 이용하여 상기 그림에 대응되는 상기 품질 파라미터를 산출하는 계산 유닛이 포함되며;
    상기 처리 유닛은 지정된 초점 좌표를 취득하거나, 또는 상기 그림의 중심 좌표를 초점 좌표로 설정하며;
    상기 확장 EXIF 정보에 의하여 상기 그림의 본체 구역을 결정하는 것에는,
    상기 초점 좌표의 상기 그림의 네 변두리와 떨어진 거리가 모두 사전 설정된 거리값 이상일 때, 상기 초점 좌표를 중심점으로 하고 지정된 길이와 너비값의 사각형을 본체 구역으로 하며;
    또는, 상기 초점 좌표의 상기 그림의 네 변두리 중의 임의의 한 변두리와 떨어진 거리가 사전 설정된 거리값보다 작을 때, 상기 초점 좌표를 중심점으로 하고 지정된 길이와 너비값의 사각형을 제1구역으로 하고, 상기 제1구역과 상기 그림이 중첩된 구역을 본체 구역으로 하는 것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설비.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계산 유닛은 상기 첨예도 평균값을 첨예도 득점값으로 전환하고, 상기 노이즈 수량을 노이즈 득점값으로 전환하며, 상기 확장 EXIF 정보에 의하여 대응되는 가중 인자를 결정하고, 상기 가중 인자, 첨예도 득점값, 노이즈 득점값에 의하여 상기 그림에 대응되는 품질 파라미터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설비.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계산 유닛은 상기 확장 EXIF 중의 플래시 파라미터를 추출하고, 상기 플래시 파라미터에 의하여 플래시가 켜지지 않았다고 판단하면, 상기 가중 인자를 제1 그룹 가중 인자로 하며; 그렇지 않으면, 상기 가중 인자를 제2 그룹 가중 인자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설비.
  8. 제5항 내지 제7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계산 유닛은 상기 품질 파라미터에 의하여 상기 그림에 대하여 등급을 나누어, 상기 그림에 대응되는 등급을 취득하며;
    상응하게, 상기 처리 유닛은 상기 품질 파라미터를 그림의 식별자를 인덱스로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거나, 또는 상기 품질 파라미터와 상기 그림의 등급을 그림의 식별자를 인덱스로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며; 그림을 디스플레이할 때, 품질 파라미터 또는 상기 그림의 등급에 따라 상기 그림을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설비.
  9. 삭제
  10. 삭제
KR1020167035999A 2014-06-24 2014-10-30 그림 처리 방법 및 전자 설비 KR10186749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410290250.3A CN104113687A (zh) 2014-06-24 2014-06-24 一种图片处理方法及电子设备
CN201410290250.3 2014-06-24
PCT/CN2014/089902 WO2015196681A1 (zh) 2014-06-24 2014-10-30 一种图片处理方法及电子设备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10826A KR20170010826A (ko) 2017-02-01
KR101867497B1 true KR101867497B1 (ko) 2018-07-19

Family

ID=517103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35999A KR101867497B1 (ko) 2014-06-24 2014-10-30 그림 처리 방법 및 전자 설비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0212363B2 (ko)
EP (1) EP3163865A4 (ko)
KR (1) KR101867497B1 (ko)
CN (1) CN104113687A (ko)
WO (1) WO201519668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113687A (zh) 2014-06-24 2014-10-22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图片处理方法及电子设备
CN108024004A (zh) * 2016-10-28 2018-05-11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信息处理方法和装置
CN107346332A (zh) * 2017-06-23 2017-11-14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图像处理方法以及移动终端
CN112381767B (zh) * 2020-10-27 2023-09-01 深圳大学 角膜反射图像的筛选方法、装置、智能终端及存储介质
CN116205982B (zh) * 2023-04-28 2023-06-30 深圳零一生命科技有限责任公司 基于图像分析的微生物计数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116713A1 (en) * 2007-10-18 2009-05-07 Michelle Xiao-Hong Yan Method and system for human vision model guided medical image quality assessment
JP4396766B2 (ja) * 2007-01-12 2010-01-13 三菱電機株式会社 画像劣化検出装置、及び画像劣化検出方法、並びに画像劣化検出方法を実行させる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535636B1 (en) 1999-03-23 2003-03-18 Eastman Kodak Company Method for automatically detecting digital images that are undesirable for placing in albums
JP4281311B2 (ja) * 2001-09-11 2009-06-17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被写体情報を用いた画像処理
CN1311404C (zh) * 2002-09-20 2007-04-18 精工爱普生株式会社 使用了图像生成历史信息的图像的逆光处理
JP4228641B2 (ja) * 2002-09-20 2009-02-25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出力対象画像データ選択
US7512286B2 (en) * 2003-10-27 2009-03-31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Assessing image quality
US7860332B2 (en) * 2005-01-07 2010-12-28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Method and system for determining an indication of focus of an image
US7751622B2 (en) * 2005-08-22 2010-07-06 Carestream Health, Inc. Method and system for detection of undesirable images
JP2008141740A (ja) 2006-11-07 2008-06-19 Fujifilm Corp 撮影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US8081227B1 (en) * 2006-11-30 2011-12-20 Adobe Systems Incorporated Image quality visual indicator
CN101216881B (zh) * 2007-12-28 2011-07-06 北京中星微电子有限公司 一种图像自动获取方法和装置
CN102375649A (zh) * 2010-08-11 2012-03-14 乐金电子(中国)研究开发中心有限公司 图像显示方法及移动终端
CN102622741B (zh) * 2011-01-30 2015-04-29 联想(北京)有限公司 一种检测图像文件的方法及装置
CN102867179A (zh) 2012-08-29 2013-01-09 广东铂亚信息技术股份有限公司 一种数字证件照片采集质量检测的方法
US8928772B2 (en) * 2012-09-21 2015-01-06 Eastman Kodak Company Controlling the sharpness of a digital image
CN103780899B (zh) * 2012-10-25 2016-08-17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检测摄像机是否被干扰的方法、装置及视频监控系统
CN103595914B (zh) * 2013-11-04 2018-06-15 华为终端(东莞)有限公司 一种拍照方法和移动终端
CN103826064A (zh) * 2014-03-06 2014-05-28 华为技术有限公司 图像处理方法、装置及手持电子设备
CN104113687A (zh) * 2014-06-24 2014-10-22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图片处理方法及电子设备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396766B2 (ja) * 2007-01-12 2010-01-13 三菱電機株式会社 画像劣化検出装置、及び画像劣化検出方法、並びに画像劣化検出方法を実行させる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US20090116713A1 (en) * 2007-10-18 2009-05-07 Michelle Xiao-Hong Yan Method and system for human vision model guided medical image quality assessment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일본 특허공보 특허 제 4396766호(2010.01.13.) 1부.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70163904A1 (en) 2017-06-08
EP3163865A4 (en) 2017-07-12
CN104113687A (zh) 2014-10-22
US10212363B2 (en) 2019-02-19
WO2015196681A1 (zh) 2015-12-30
EP3163865A1 (en) 2017-05-03
KR20170010826A (ko) 2017-0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67497B1 (ko) 그림 처리 방법 및 전자 설비
KR101379066B1 (ko) 화상 처리 장치, 화상 처리 방법, 및, 기록 매체
US8953895B2 (en) Image classification apparatus, image classification method, program, recording medium, integrated circuit, and model creation apparatus
CN109889724B (zh) 图像虚化方法、装置、电子设备及可读存储介质
WO2013031096A1 (ja)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プログラム、集積回路
US9607394B2 (en)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CN104333748A (zh) 获取图像主体对象的方法、装置及终端
US20160179846A1 (en) Method, system, and computer readable medium for grouping and providing collected image content
CN106027902B (zh) 一种拍照方法及移动终端
WO2020010561A1 (zh) 测量物体参数的方法及装置
CN112017137B (zh) 图像处理方法、装置、电子设备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106372068A (zh) 一种图像查找方法及装置、终端
CN111353965B (zh) 图像修复方法、装置、终端及存储介质
CN108958592B (zh) 视频处理方法及相关产品
CN108132935B (zh) 图像分类方法及图像展示方法
US11595584B2 (en) Imaging apparatus, method of controlling imaging apparatus and computer-readable medium
US20140108405A1 (en) User-specified image grouping systems and methods
CN113989387A (zh) 相机拍摄参数调整方法、装置及电子设备
CN104954688A (zh) 图像处理方法以及图像处理装置
JP5871293B2 (ja) 携帯端末及び画像分類方法
CN108882023B (zh) 视频处理方法及相关产品
WO2017016452A1 (zh) 一种图片处理装置及其方法
CN110222207B (zh) 图片的整理方法、装置和智能终端
JP5626444B2 (ja) 撮像装置、プログラム及び撮像支援方法
JP2017184021A (ja) コンテンツ提供装置及びコンテンツ提供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