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67412B1 - 서로 다른 장치 간 연속적인 컨텐츠 이용 시스템 및 방법, 그 단말 장치 - Google Patents

서로 다른 장치 간 연속적인 컨텐츠 이용 시스템 및 방법, 그 단말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67412B1
KR101867412B1 KR1020160127025A KR20160127025A KR101867412B1 KR 101867412 B1 KR101867412 B1 KR 101867412B1 KR 1020160127025 A KR1020160127025 A KR 1020160127025A KR 20160127025 A KR20160127025 A KR 20160127025A KR 101867412 B1 KR101867412 B1 KR 1018674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nt
information
clipping
terminal device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270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20260A (ko
Inventor
서나미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270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67412B1/ko
Publication of KR201601202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202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674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674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6Interfacing a local distribution network, e.g. communicating with another STB or one or more peripheral devices inside the home
    • H04N21/43615Interfacing a Home Network, e.g. for connecting the client to a plurality of periphera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a video clip retrieved from local storage with an incoming video stream or rendering scenes according to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 H04N21/4402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a video clip retrieved from local storage with an incoming video stream or rendering scenes according to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involving reformatting operations of video signals for household redistribution, storage or real-time displa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2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 H04N21/4722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for requesting additional data associated with the cont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5Assembly of content; Generation of multimedia applications
    • H04N21/858Linking data to content, e.g. by linking an URL to a video object, by creating a hotspo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conom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서로 다른 장치 간 연속적인 컨텐츠 이용 시스템 및 방법, 그 단말 장치에 관한 것으로, 컨텐츠 출력 중 클립핑 이벤트가 발생함을 감지하면, 컨텐츠의 최종 상태를 나타내는 클립핑 정보를 생성하며, 생성한 클립핑 정보를 전송하고, 클립핑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고, 클립핑 정보의 요청에 따라서 저장한 클립핑 정보를 전송하고, 컨텐츠 이어보기 요청에 따라서 클립핑 정보를 요청하고, 클립핑 정보를 수신하며, 수신한 클립핑 정보를 이용하여 출력하던 컨텐츠를 이어서 출력하는 하는 구성을 포함하며, 본 발명에 따르면 서로 다른 단말 장치 간에 컨텐츠의 연속성이 보장됨으로써, 웹사이트의 뉴스 기사, 음악, 동영상 등의 이용 시 동일한 사용자에 대한 서비스의 연속성이 확보될 수 있다.

Description

서로 다른 장치 간 연속적인 컨텐츠 이용 시스템 및 방법, 그 단말 장치 {System and method for using contents seamlessly in different devices, terminal device}
본 발명은 서로 다른 장치 간 연속적인 컨텐츠 이용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제1 단말 장치에서 이용하던 컨텐츠를 제2 단말 장치에서 이어서 이용할 수 있는 서로 다른 장치 간 연속적인 컨텐츠 이용 시스템 및 방법, 그 단말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스마트폰의 보급율이 증가하면서 이동 중에 인터넷 뉴스를 검색하여 보거나, MP3 음악을 다운로드하여 청취하거나, 영화나 드라마와 같은 동영상을 다운로드하여 시청하는 사용자가 늘고 있다.
다만, 사용자는 일반적으로 자투리 시간에 이동 단말기를 이용하여 해당 컨텐츠를 이용하게 되며, 이동 중에 컨텐츠를 완전히 보거나 듣지 못하고 종료하게 되는 경우가 빈번하고, 다른 단말기에서 해당 컨텐츠를 재생하기 위해서는 다시 처음부터 컨텐츠를 검색하게 되는 불편함이 있다.
현재 사용자가 컨텐츠를 이어서 이용할 수 있기 위한 다양한 N 스크린 서비스가 제공되고 있다. 이는 TV, 스마트폰 PC간의 동영상, 음악, 영화의 연속적인 재생을 지원하는 것이지만, TV와 호핀 전용단말기가 케이블로 연결되어 연속적 재생을 하도록 하는 면에서 진정한 무선을 구현하지 못했다. 이에 Home PC, 스마트폰, 회사 PC등으로 동일한 사용자가 사용하는 Device가 달라짐에 따라 발생되는 사용상의 비연속성으로 인하여 서비스 사용자에게 컨텐츠 이용에 불편함이 있다.
한국등록특허 10-0801069 A, 2008년 01월 29일 공개 (명칭: 피투피 컨텐츠 공유/유통 시스템 및 그 처리 방법)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제1 단말 장치에서 컨텐츠의 이용을 중지한 상태로 제2 단말 장치에서 이어서 동일한 컨텐츠를 이용할 수 있는 서로 다른 장치 간 연속적인 컨텐츠 이용 시스템 및 방법, 그 단말 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서로 다른 장치 간 연속적인 컨텐츠 이용 시스템은, 컨텐츠 출력 중 클립핑 이벤트가 발생함을 감지하면, 컨텐츠의 최종 상태를 나타내는 클립핑 정보를 생성하며, 생성한 클립핑 정보를 전송하는 제1 단말 장치, 클립핑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고, 클립핑 정보의 요청에 따라서 저장한 클립핑 정보를 전송하는 서비스 장치 및 컨텐츠 이어보기 요청에 따라서 서비스 장치로 클립핑 정보를 요청하고, 서비스 장치로부터 전송된 클립핑 정보를 수신하며, 수신한 클립핑 정보를 이용하여 제1 단말 장치에서 출력하던 컨텐츠를 이어서 출력하는 제2 단말 장치를 포함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단말 장치는,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단말 송수신부, 정보 입력을 위한 단말 입력부, 정보 출력을 위한 단말 출력부 및 컨텐츠 출력 중 클립핑 이벤트가 발생함을 감지하면, 컨텐츠의 최종 상태를 나타내는 클립핑 정보를 생성하며, 생성한 클립핑 정보를 서비스 장치로 전송하는 단말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단말 장치는, 클립핑 에이전트를 저장하는 단말 저장부를 더 포함하고, 단말 제어부는 클립핑 에이전트를 이용하여 클립핑 정보를 생성하며, 단말 장치의 전원이 켜지면, 클립핑 에이전트를 백그라운드에서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단말 장치에 있어서, 단말 제어부는 단말 입력부로부터 발생된 사용자의 클립핑 요청시 또는 컨텐츠의 종료 시에 발생한 클립핑 이벤트를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단말 장치에 있어서, 단말 제어부는 출력 중인 컨텐츠가 화면에 표시되는 첫번째 라인(line) 정보, 출력 중인 컨텐츠에서 클립핑 이벤트가 발생한 시점 정보, 출력중인 컨텐츠의 식별 정보 및 URL(Uniform Resource Locator)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여 클립핑 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단말 장치는,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단말 송수신부, 정보 입력을 위한 단말 입력부, 정보 출력을 위한 단말 출력부 및 단말 입력부로부터 발생된 컨텐츠 이어보기 요청에 따라서 서비스 장치로 클립핑 정보를 요청하고, 서비스 장치로부터 클립핑 정보를 수신하며, 수신한 클립핑 정보를 이용하여 단말 출력부를 통해 타 단말 장치에서 출력하던 컨텐츠를 이어서 출력하는 단말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단말 장치는, 클립핑 에이전트를 저장하는 단말 저장부를 더 포함하고, 단말 제어부는 클립핑 에이전트를 이용하여 클립핑 정보를 요청하여 수신하며, 단말 장치의 전원이 켜지면, 클립핑 에이전트를 백그라운드에서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서로 다른 장치 간 연속적인 컨텐츠 이용 방법은, 단말 장치가 컨텐츠 출력 중 클립핑 이벤트가 발생함을 감지하는 감지단계, 단말 장치가 컨텐츠의 최종 상태를 나타내는 클립핑 정보를 생성하는 생성단계 및 단말 장치가 생성한 클립핑 정보를 서비스 장치로 전송하는 전송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서로 다른 장치 간 연속적인 컨텐츠 이용 방법에 있어서, 전송단계는, 단말 장치가 단말 장치의 식별 정보, 단말 장치 사용자의 식별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정보를 클립핑 정보와 함께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서로 다른 장치 간 연속적인 컨텐츠 이용 방법은, 단말 장치가 컨텐츠 이어보기 요청에 따라서 서비스 장치로 클립핑 정보를 요청하는 요청단계, 단말 장치가 서비스 장치로부터 클립핑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단계 및 단말 장치가 수신한 클립핑 정보를 이용하여 타 단말 장치에서 출력하던 컨텐츠를 이어서 출력하는 출력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서로 다른 장치 간 연속적인 컨텐츠 이용 방법은, 수신단계 이후에, 단말 장치가 클립핑 정보에 포함된 URL(Uniform Resource Locator)에 접속하는 접속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서로 다른 장치 간 연속적인 컨텐츠 이용 방법은, 수신단계 이후에, 단말 장치가 클립핑 정보에 포함된 컨텐츠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단말 장치에서 컨텐츠를 검색하는 검색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서로 다른 장치 간 연속적인 컨텐츠 이용 방법에 있어서, 출력단계는, 단말 장치가 컨텐츠가 텍스트인 경우, 클립핑 정보를 이용하여 타 단말 장치의 화면에 표시되는 첫번째 라인(line)부터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서로 다른 장치 간 연속적인 컨텐츠 이용 방법에 있어서, 출력단계는, 단말 장치가 컨텐츠가 동영상 또는 음악인 경우 클립핑 정보를 이용하여 타 단말 장치에서 클립핑 이벤트가 발생한 시점부터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서로 다른 장치 간 연속적인 컨텐츠 이용 방법에 있어서, 요청단계는, 단말 장치가 단말 장치의 식별 정보, 단말 장치 사용자의 식별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정보를 전송하며 클립핑 정보를 요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서로 다른 단말 장치 간에 컨텐츠의 연속성이 보장됨으로써, 웹사이트의 뉴스 기사, 음악, 동영상 등의 이용 시 동일한 사용자에 대한 서비스의 연속성이 확보될 수 있다.
또한, 서로 다른 단말 장치 간에 컨텐츠를 이어보기 위하여 필요한 정보만을 송수신하기 때문에 컨텐츠 연속 보기 서비스 제공에 소요되는 데이터량과 시간을 줄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서로 다른 장치 간 연속적인 컨텐츠 이용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1 단말 장치의 구성을 기능 단위로 구분한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2 단말 장치의 구성을 기능 단위로 구분한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서로 다른 장치 간 연속적인 컨텐츠 이용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동작 원리를 상세하게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도면 전체에 걸쳐 유사한 기능 및 작용을 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어느 하나의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로 데이터 또는 신호를 '전송'하는 경우에는, 직접 데이터 또는 신호를 전송할 수 있으며 적어도 하나의 또 다른 구성요소를 통하여 데이터 또는 신호를 전송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서로 다른 장치 간 연속적인 컨텐츠 이용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지도데이터 부분 업데이트 시스템은 제1 단말 장치(100), 서비스 장치(200), 제2 단말 장치(300) 및 네트워크(4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서비스 장치(200)는 제1 단말 장치(100)에서 출력하던 컨텐츠에 대한 클립핑 정보를 수신하여 사용자 별로 구분하여 저장하고, 제2 단말 장치(300)로부터 클립핑 정보를 요청받으면 이를 전송하는 장치이다.
컨텐츠는 디지털 형태로 저장되고 유통되는 디지털 저작물로서, 텍스트, 멀티미디어, 음악, 이미지 파일 등을 포함한다. 이와 같은 컨텐츠는 컨텐츠를 출력하는 장치인 제1 단말 장치(100) 내지 제2 단말 장치(300)에 저장될 수 있으며, 또한 온라인 상에 저장되어 URL(Uniform Resource Locator)을 통해 접근할 수 있는 저작물일 수 있다.
클립핑 정보는 제1 단말 장치(100)에서 출력하던 컨텐츠를 제2 단말 장치(200)에서 이어서 출력하기 위하여 출력이 중지된 시점의 출력 상태에 대한 정보를 말하며, 컨텐츠가 저장된 위치 또는 컨텐츠의 종류에 포함되는 정보가 달라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서비스 장치(200)는 제1 단말 장치(100)로부터 클립핑 정보를 수신하면 사용자 식별 정보 내지 단말 식별 정보를 확인하여, 사용자 별로 구분하여 저장한다. 사용자는 사용자 식별 정보 내지 단말 식별 정보를 서비스 장치에 접속하여 미리 등록하고, 이때, 단말 식별 정보의 경우 사용자마다 복수의 단말에 대한 단말 식별 정보를 등록할 수 있다.
또한, 서비스 장치(200)는 복수의 컨텐츠에 대한 클립핑 정보를 저장하고, 제2 단말 장치(300)에서 클립핑 정보를 요청하는 경우 가장 최근에 저장된 클립핑 정보를 제공할 수 있으며, 제2 단말 장치(300)에서 서비스 장치(200)에 저장된 클립핑 정보의 목록을 확인하여 원하는 클립핑 정보를 요청할 수도 있다.
한편, 서비스 장치(200)는 컨텐츠를 저장할 수 있으며, 제2 단말 장치(300)에 제1 단말 장치(100)에서 출력하던 컨텐츠가 없는 경우, 제2 단말 장치(300)는 서비스 장치(200)로부터 클립핑 정보와 함께 해당 컨텐츠를 수신하여 출력할 수 있다.
제1 단말 장치(100) 및 제2 단말 장치(300)는 컨텐츠를 출력할 수 있는 사용자가 이용 가능한 통신 장치라면 어떠한 장치라도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단말 장치(100) 및 제2 단말 장치(300)는 PC(Personal Computer), 노트북 컴퓨터, 휴대폰(mobile phone), 태블릿 PC, 네비게이션(navigation) 단말기, 스마트폰(smart phone),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및 디지털방송 수신기를 포함할 수 있다. 물론 이는 예시에 불과할 뿐이며, 상술한 예 이외에도 현재 개발되어 상용화되었거나 향후 개발될 모든 통신이 가능한 장치를 포함하는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제1 단말 장치(100)는 컨텐츠를 출력하던 장치를 말하며, 제2 단말 장치(300)는 제1 단말 장치(100)에서 출력하던 컨텐츠를 이어서 출력하는 장치를 말하고, 제1 단말 장치(100)와 제2 단말 장치(300)는 동종 혹은 이종의 장치일 수 있다.
클립핑 이벤트는 출력 중인 컨텐츠의 출력을 중지하고 현재의 출력 상태를 저장하기 위해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신호를 통해 발생한 변화를 말한다. 일반적으로, 사용자로부터 컨텐츠를 재생하는 클립핑 에이전트를 통해 해당 컨텐츠를 클립핑하기 위한 클립핑 입력을 통해 발생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컨텐츠 출력 중에 전원을 끄는 경우, 컨텐츠의 출력을 강제 종료하는 경우, 동영상이나 음악의 경우 재생의 일시 정지를 하는 경우 등 컨텐츠의 출력을 중지하기 위한 사용자로부터 입력이라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클립핑 입력은 키입력 뿐만 아니라 단말 장치에서 제공하는 각종 입력 장치를 통해 수행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사용자의 제스처, 음성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단말 장치(100)는 컨텐츠를 출력하는 중에 클립핑 이벤트 발생을 감지하면 클립핑 정보를 생성하여 서비스 장치(200)에 전송하고, 제2 단말 장치(300)는 서비스 장치(200)로부터 클립핑 정보를 수신하여, 제1 단말 장치(100)에서 출력하던 컨텐츠를 클립핑 이벤트가 발생한 시점부터 이어서 출력한다. 이에 사용자는 제1 단말 장치(100)를 통해 이용하던 컨텐츠를 제2 단말 장치(300)를 통해 계속하여 이용할 수 있게 된다.
네트워크(400)는 제1 단말 장치(100)와 서비스 장치(200), 제2 단말 장치(300)와 서비스 장치(200) 간의 데이터 전송, 정보 교환을 위한 데이터 통신망을 의미하며, 그 종류에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인터넷 프로토콜(IP)을 통하여 대용량 데이터의 송수신 서비스 및 끊기는 현상이 없는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하는 아이피망으로, 아이피를 기반으로 서로 다른 망을 통합한 아이피망 구조인 올 아이피(All IP)망 일 수 있다. 또한, 네트워크(300)는 유선망, Wibro(Wireless Broadband)망, WCDMA를 포함하는 3 세대 이동통신망,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망 및 LTE망을 포함하는 3.5세대 이동통신망, LTE advanced를 포함하는 4세대 이동통신망, 위성 통신망 및 와이파이(Wi-Fi)망 중에서 하나 이상을 결합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술한 서로 다른 장치 간 연속적인 컨텐츠 이용 시스템에 있어서, 서비스 장치(200)는 서버-클라이언트 컴퓨팅 방식으로 동작할 수도 있고, 클라우드 컴퓨팅 기반으로 동작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서비스 장치(200)는 클라우드 컴퓨팅 기반으로 동작하는 하나 이상의 서버로 구현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1 단말 장치의 구성을 기능 단위로 구분한 구성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제1 단말 장치(100)는 단말 송수신부(110), 단말 저장부(130), 단말 입력부(150), 단말 출력부(170) 및 단말 제어부(19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단말 송수신부(110)는 서비스 장치(200)와 네트워크(400)를 통해서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가진다.
단말 저장부(130)는 제1 단말 장치(100)의 동작에 필요한 데이터 및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수단으로서, 기본적으로 단말 제어부(150)에 의해 실행될 운영 프로그램 및 응용 프로그램을 저장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단말 저장부(120)는 컨텐츠 또는 클립핑 에이전트를 저장하기 위한 저장소가 될 수 있다.
단말 입력부(150)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사용자 입력 신호를 발생한다. 이러한 단말 입력부(150)는 다양한 방식의 입력 수단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단말 입력부(150)는 키 입력 수단, 터치 입력 수단, 제스처 입력 수단, 음성 입력 수단 중에서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키 입력 수단은, 키 조작에 따라서 해당 키에 대응하는 신호를 발생시키는 것으로서, 키패드, 키보드가 해당된다. 터치 입력 수단은, 사용자가 특정 부분을 터치하는 동작을 감지하여 입력 동작을 인식하는 것으로서, 터치 패드, 터치 스크린, 터치 센서를 들 수 있다. 제스처 입력 수단은, 사용자의 동작, 예를 들어, 제1 단말 장치(100)를 흔들거나 움직이는 동작, 제1 단말 장치(100)에 접근하는 동작, 눈을 깜빡이는 동작 등 지정된 특정 동작을 특정 입력 신호로 인식하는 것으로서, 지자기 센서, 가속도 센서, 카메라, 고도계, 자이로 센서, 근접 센서 중에서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특히 본 실시예에서 사용자는 단말 입력부(150)를 통해 클립핑 이벤트를 발생시키기 위한 입력을 할 수 있다.
단말 출력부(170)는 단말 제어부(190)의 제어에 따라서 제1 단말 장치(100)의 동작 상태 및 동작 결과를 사용자에게 출력하는 부분으로서, 특히, 본 발명에 있어서 단말 출력부(170)는 컨텐츠를 출력할 수 있다. 이러한 단말 출력부(170)는 디스플레이 수단으로 구현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LCD((Liquid Crystal Display), TFT-LCD(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LED(Light Emitting Diodes),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AMOLED(Active Matrix 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 중에서 어느 하나가 될 수 있다.
단말 제어부(190)는 단말 송수신부(110), 단말 저장부(130), 단말 입력부(150), 단말 출력부(170)의 동작을 전반적으로 제어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단말 제어부(190)는 단말 저장부(130)에 저장되거나, 혹은 URL 주소를 이용하여 온라인 상에 저장된 컨텐츠를 단말 출력부(170)를 통해 출력하는 중에 클립핑 이벤트를 감지하면, 클립핑 정보를 생성하여 서비스 장치(200)로 전송한다.
클립핑 정보는 상술한 바와 같이 컨텐츠가 저장된 위치 또는 컨텐츠의 종류에 따라 포함되는 정보가 달라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컨텐츠가 온라인으로 접근이 가능한 컨텐츠라면 클립핑 정보는 URL 주소를 포함할 수 있고, 완전한 파일의 형태로 저장된 텍스트, 동영상, 음악이라면 클립핑 정보는 DOI(Digital Object Identifier), UCI(Universal Content Identifier), COI(Content Object Identifier), 파일 이름 등과 같은 컨텐츠의 식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텍스트의 경우 해당 텍스트가 제1 단말 장치(100)의 화면에서 출력이 중지된 시점의 출력 대로 제2 단말 장치(300)에서 출력하기 위해서 제1 단말 장치(100)에서 출력이 중지되는 시점에서 제1 단말 장치(100)에서 출력하던 페이지의 첫번째 라인(Line)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동영상이나 음악의 경우 총 재생 시간 중에서 제1 단말 장치(100)에서 출력이 중지되는 시점 즉, 클립핑 이벤트가 발생한 시점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단말 제어부(190)는 클립핑 에이전트를 이용하여 클립핑 정보를 생성할 수 있으며, 클립핑 에이전트는 제1 단말 장치(100)의 전원이 켜지면, 백그라운드에서 실행되어 사용자가 단말 출력부(170)를 통해 이용하는 컨텐츠를 언제든지 클립핑할 수 있다. 이러한 클립핑 에이전트는 단말 장치의 종류에 따라 프로그램이 달라질 수 있으며, 각 단말 장치는 서비스 장치(200)로부터 클링핍 에이전트를 다운로드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클립핑 에이전트는 단말 장치가 스마트폰(smart phone)인 경우 단말 출력부(170)를 통해 컨텐츠를 재생하거나 기타 작업 도중에 사용자가 백그라운드 프로세스를 알기 쉽도록 일반적으로 상태바를 통해 사용자가 시각적으로 인지할 수 있도록 표시할 수 있다. 즉, 제1 단말 장치(100)는 상태바의 목록에서 클립핑 에이전트를 등록하고, 사용자가 컨텐츠를 이용하는 중에 상태바의 목록에서 클립핑 에이전트를 선택함으로써 클립핑 입력을 할 수 있다. 또한, 단말 장치가 PC(Personal Computer)인 경우에는 사용자가 언제든지 접근할 수 있도록 시작 메뉴에 등록할 수 있으며, 디지털방송 수신기의 경우 전용 메뉴에 포함시킬 수도 있다.
또한, 단말 제어부(19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 식별 정보 또는 MIN(Mobile Identification Number), ESN(Electronic Serial Number)와 같은 단말기의 고유 식별 정보를 서비스 장치(200)에 등록하고, 이후 클립핑 정보를 생성하여 서비스 장치(200)로 전송할 때, 단말 장치의 식별 정보, 단말 장치 사용자의 식별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같이 전송하여 사용자 인증을 거친 후에 클립핑 정보를 서비스 장치(200)에 저장할 수도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2 단말 장치의 구성을 기능 단위로 구분한 구성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제2 단말 장치(300)는 단말 송수신부(310), 단말 저장부(330), 단말 입력부(350), 단말 출력부(370) 및 단말 제어부(39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2 단말 장치(300)는 제1 단말 장치(100)와 동종의 장치일 수 있으며, 이종의 장치일 수도 있다. 제1 단말 장치(100)와 중복되는 부분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단말 제어부(390)는 사용자로부터 단말 입력부(350)를 통해 제1 단말(100)에서 출력하던 컨텐츠 이어보기 입력을 받으면, 서비스 장치(200)로 클립핑 정보를 요청하여 수신하고, 클립핑 정보를 이용하여 제1 단말 장치(100)에서 출력하던 컨텐츠를 이어서 출력하게 된다.
단말 제어부(390)는 클립핑 정보가 URL을 포함하는 경우 URL을 이용하여 해당 웹페이지에 접속하게 되며, 컨텐츠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경우 컨텐츠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단말 저장부(330)에 저장된 컨텐츠에서 해당 컨텐츠를 검색하여 출력한다. 이때, 단말 저장부(330)에 해당 컨텐츠가 저장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서비스 장치(200)로부터 해당 컨텐츠를 요청하여 수신한 후 출력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단말 제어부(390)는 클립핑 정보가 제1 단말 장치(100)에서 출력하던 텍스트 컨텐츠의 페이지의 첫번째 라인(Line)의 정보 내지 제1 단말 장치(100)에서 출력하던 동영상이나 음악 컨텐츠의 클립핑 이벤트가 발생한 시점 정보를 포함하는 경우, 각 정보를 이용하여 제1 단말 장치(100)에서 출력이 중지되는 시점부터 단말 출력부(370)를 통해 출력하게 된다.
또한, 단말 제어부(390)는 사용자 식별 정보 또는 단말기의 고유 식별 정보를 서비스 장치(200)에 전송하여 인증 과정을 거친 이후에, 컨텐츠에 대한 클립핑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이 때, 각 사용자 별로 복수의 컨텐츠에 대한 클립핑 정보를 저장할 수 있는데, 이 경우에는 단말 제어부(390)는 클립핑 정보의 목록을 수신하여 단말 출력부(370)를 통해 출력하고, 사용자의 선택 신호를 입력 받아 선택된 컨텐츠에 대한 클립핑 정보를 요청할 수도 있다.
한편, 제2 단말 장치(300)도 제1 단말 장치(100)와 마찬가지로 단말 저장부(130)에 클립핑 에이전트를 저장할 수 있으며, 백그라운드에서 실행되는 클립핑 에이전트를 통해 클립핑 정보를 요청하는 이어보기 입력을 받을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서로 다른 장치 간 연속적인 컨텐츠 이용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 및 도 4를 참조하면, 제1 단말 장치(100)가 컨텐츠를 출력하는 중에 클립핑 이벤트를 감지한다(S51).
이때, 제1 단말 장치(100)의 백그라운드에 실행 중인 클립핑 에이전트를 에서 해당 컨텐츠를 클립핑하기 위한 클립핑 입력을 받아 감지할 수 있으며 또는 컨텐츠의 출력을 중지하기 위한 사용자로부터 입력을 통해 감지할 수 있다.
단계(S51)에서 클립핑 이벤트를 감지한 제1 단말 장치(100)는 클립핑 정보를 생성하고(S53), 생성한 클립핑 정보를 서비스 장치(200)로 전송한다(S55).
이때, 컨텐츠가 온라인으로 접근이 가능한 컨텐츠라면 클립핑 정보는 URL 주소를 포함할 수 있고, 완전한 파일의 형태로 저장된 텍스트, 동영상, 음악이라면 클립핑 정보는 DOI(Digital Object Identifier), UCI(Universal Content Identifier), COI(Content Object Identifier), 파일 이름 등과 같은 컨텐츠의 식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텍스트의 경우 제1 단말 장치(100)에서 출력이 중지되는 시점에서 제1 단말 장치(100)에서 출력하던 페이지의 첫번째 라인(Line)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동영상이나 음악의 경우 총 재생 시간 중에서 클립핑 이벤트가 발생한 시점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단계(S55)에서 클립핑 정보를 수신한 서비스 장치(200)는 내부에 클립핑 정보를 저장한다(S57).
이때, 서비스 장치(200)는 사용자 식별 정보 내지 단말 장치의 식별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 인증 과정을 거친 후에, 사용자 별로 클립핑 정보를 구분하여 저장할 수 있으며, 사용자 별로 복수의 클립핑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제2 단말 장치(300)는 제1 단말 장치(100)에서 출력하던 컨텐츠를 제2 단말 장치(300)에서 이어서 보기 위한 이어보기 입력을 받으면(S59), 서비스 장치(200)로 클립핑 정보를 요청한다(S61).
이때, 제2 단말 장치(300)의 백그라운드에 실행 중인 클립핑 에이전트를 통해 제2 단말 장치(300)는 이어보기 입력을 받을 수 있다.
단계(S61)에서 클립핑 정보를 요청 받은 서비스 장치(200)는 클립핑 정보를 제2 단말 장치(300)로 전송한다.
이때, 서비스 장치(200)는 사용자 식별 정보 내지 단말 장치의 식별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 인증 과정을 거친 후에, 클립핑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클립핑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경우, 가장 최근에 저장된 클립핑 정보를 제공할 수 있으며, 클립핑 정보의 목록을 제2 단말 장치(300)로 제공하여 요청 받은 클립핑 정보를 전송할 수도 있다.
단계(S63)에서 클립핑 정보를 수신한 제2 단말 장치(300)는 수신한 클립핑 정보를 이용하여 제1 단말 장치(100)에서 출력하던 해당 컨텐츠를 이어서 출력하게 된다(S65).
이 때, 제2 단말 장치(300)는 클립핑 정보가 URL을 포함하는 경우 URL을 이용하여 해당 웹페이지에 접속하게 되며, 컨텐츠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경우 컨텐츠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내부에 저장된 컨텐츠에서 해당 컨텐츠를 검색하고, 해당 컨텐츠가 저장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서비스 장치(200)로부터 해당 컨텐츠를 요청할 수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하고 도시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에만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기술적 사상의 범주를 일탈함 없이 본 발명에 대해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과 균등물들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서로 다른 장치간 연속적인 컨텐츠를 이용하기 위한 방안은 기존의 시스템에 비해 별도의 장치를 필요로 하지 않아 추가적인 비용 발생을 최소화한다. 특히, 스마트폰의 보급율이 높아지고 언제 어디서든 컨텐츠를 이용하고 싶은 사용자가 많아지는 추세를 감안하면, 본 발명의 서로 다른 장치간 연속적인 컨텐츠를 이용하기 위한 방안은 그 활용도가 적지 않을 것이다.
100: 제1 단말 장치 110: 단말 송수신부 130: 단말 저장부
150: 단말 입력부 170: 단말 출력부 190: 단말 제어부
200: 서비스 장치 300: 제2 단말 장치 310: 단말 송수신부
130: 단말 저장부 150: 단말 입력부 170: 단말 출력부
190: 단말 제어부 400: 네트워크

Claims (15)

  1. 서비스 장치가 사용자로부터 MIN(Mobile Identification Number) 또는 ESN(Electronic Serial Number)을 포함하는 제1, 제2단말 장치의 식별 정보를 수신하여 등록하는 단계;
    서비스 장치가 제1 단말장치로부터 상기 제1 단말장치가 생성한 텍스트 컨텐츠 클립핑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한 클립핑 정보를 상기 등록된 단말 장치의 식별 정보를 기반으로 사용자 별로 구분하여 저장하는 단계; 및
    제2 단말장치로부터 클립핑 정보 전송이 요청되면, 상기 제2 단말장치로 클립핑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에 있어서,
    상기 클립핑 정보는
    상기 컨텐츠가 온라인으로 접근이 가능한 컨텐츠라면 URL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컨텐츠가 완전한 파일의 형태로 저장된 텍스트라면, DOI(Digital Object Identifier), UCI(Universal Content Identifier), COI(Content Object Identifier)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단말 장치에서 출력하던 페이지의 첫번째 라인(Line)의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로 다른 장치 간 연속적인 컨텐츠 이용 방법.
  2. 삭제
  3. [청구항 3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하는 단계는
    가장 최근에 저장된 클립핑 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로 다른 장치 간 연속적인 컨텐츠 이용방법.
  4. [청구항 4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제2 단말장치에서 상기 서비스 장치에 저장된 클립핑 정보의 목록을 확인하여 요청한 클립핑 정보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로 다른 장치 간 연속적인 컨텐츠 이용방법.
  5. 삭제
  6. [청구항 6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컨텐츠 출력 중 클립핑 이벤트가 발생함을 감지하는 감지단계;
    상기 컨텐츠의 최종 상태를 나타내는 클립핑 정보를 생성하는 생성단계; 및
    MIN(Mobile Identification Number) 또는 ESN(Electronic Serial Number)을 포함하는 제1, 제2단말 장치의 식별 정보와 상기 생성한 클립핑 정보를 서비스 장치로 전송하는 전송단계에 있어서,
    상기 클립핑 정보는 상기 컨텐츠가 온라인으로 접근이 가능한 컨텐츠라면 URL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컨텐츠가 완전한 파일의 형태로 저장된 텍스트라면, DOI(Digital object Identifier), UCI(Universal Content Identifier), COI(Content Object Identifier)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단말 장치에서 출력하던 페이지의 첫번째 라인(Line)의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로 다른 장치 간 연속적인 컨텐츠 이용 방법을 실행 시키기 위한 클립핑 에이전트가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7. 삭제
  8. [청구항 8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컨텐츠 이어보기 요청에 따라서 MIN(Mobile Identification Number) 또는 ESN(Electronic Serial Number)을 포함하는 제1, 제2단말 장치의 식별 정보를 전송하고, 서비스 장치로 클립핑 정보를 요청하는 요청단계;
    상기 요청에 따라 상기 서비스 장치로부터 상기 클립핑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단계;
    상기 수신한 클립핑 정보를 이용하여 타 단말 장치에서 출력하던 컨텐츠를 이어서 출력하는 출력단계에 있어서,
    상기 클립핑 정보는 상기 컨텐츠가 온라인으로 접근이 가능한 컨텐츠라면 URL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컨텐츠가 완전한 파일의 형태로 저장된 텍스트라면, DOI(Digital object Identifier), UCI(Universal Content Identifier), COI(Content Object Identifier)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단말 장치에서 출력하던 페이지의 첫번째 라인(Line)의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로 다른 장치 간 연속적인 컨텐츠 이용방법을 실행 시키기 위한 클립핑 에이전트가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9. 삭제
  10. [청구항 10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단계 이후에,
    상기 클립핑 정보에 포함된 컨텐츠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단말 장치에서 상기 컨텐츠를 검색하는 검색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로 다른 장치 간 연속적인 컨텐츠 이용방법을 실행 시키기 위한 클립핑 에이전트가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KR1020160127025A 2016-09-30 2016-09-30 서로 다른 장치 간 연속적인 컨텐츠 이용 시스템 및 방법, 그 단말 장치 KR1018674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7025A KR101867412B1 (ko) 2016-09-30 2016-09-30 서로 다른 장치 간 연속적인 컨텐츠 이용 시스템 및 방법, 그 단말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7025A KR101867412B1 (ko) 2016-09-30 2016-09-30 서로 다른 장치 간 연속적인 컨텐츠 이용 시스템 및 방법, 그 단말 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54877A Division KR101826280B1 (ko) 2011-06-08 2011-06-08 서로 다른 장치 간 연속적인 컨텐츠 이용 시스템 및 방법, 그 단말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20260A KR20160120260A (ko) 2016-10-17
KR101867412B1 true KR101867412B1 (ko) 2018-06-15

Family

ID=572503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27025A KR101867412B1 (ko) 2016-09-30 2016-09-30 서로 다른 장치 간 연속적인 컨텐츠 이용 시스템 및 방법, 그 단말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6741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18358A (ko) * 2017-08-14 2019-02-22 삼성전자주식회사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제공한 컨텐츠를 이어서 제공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컨텐츠 제공 방법
EP3739490A1 (en) 2019-05-17 2020-11-18 Samsung Electronics Co., Ltd. Server and control method thereof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2716B1 (ko) * 2006-07-21 2008-08-18 (주) 엘지텔레콤 복수의 이동단말기에서 동일 컨텐츠를 설정하는 방법
KR100801069B1 (ko) 2007-07-10 2008-02-04 주식회사 미디어 웹 피투피 컨텐츠 공유/유통 시스템 및 그 처리 방법
KR100880356B1 (ko) * 2007-07-10 2009-01-23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방송 이어보기 시스템 및 상기 시스템을 수행하는 방법
KR101546280B1 (ko) * 2009-03-23 2015-08-24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동영상 컨텐츠의 심리스 서비스 제공 시스템, 사용자단말, 서버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20260A (ko) 2016-10-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439678B2 (en) Method and system for transfering data between plurality of devices
US11112942B2 (en) Providing content via multiple display devices
US9436650B2 (en) Mobile device,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JP6228676B2 (ja) 接続状態プロンプティング方法および装置
JP6442076B2 (ja) 推奨コンテンツに基づく対話方法、端末及びサーバ
JP6430656B2 (ja) コンテンツアイテムを表示するシステム、方法、及び装置
US9264528B2 (en) Mobile terminal, image display device mounted on vehicle and data processing method using the same
WO2017202348A1 (zh) 一种视频播放方法、装置及计算机存储介质
US20150304336A1 (en) Multi-screen interaction method of multimedia resource and terminal device
TWI512496B (zh) 資源分享方法和系統
CN107766358B (zh) 一种页面分享的方法及相关装置
KR20120089100A (ko) 앱스토어와 무선 ap를 활용한 모바일 기기용 기업 어플리케이션 및 콘텐츠 유통 방법 및 시스템
US20150304701A1 (en) Play control method and device
CN110224920B (zh) 一种分享方法及终端设备
US8515461B2 (en) Mobile terminal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JP2016525754A (ja) ウェブページアクセス方法、装置、サーバ、端末、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US9742900B2 (en) Method, terminal device and storage medium for displaying information
CN112312222A (zh) 视频发送方法、装置和电子设备
CN108184143B (zh) 获取资源的方法及装置
CN114168018A (zh) 数据交互方法、装置、电子设备、存储介质和程序产品
CN110825481A (zh) 页面标签对应的页面信息的展示方法、装置、电子设备
KR101867412B1 (ko) 서로 다른 장치 간 연속적인 컨텐츠 이용 시스템 및 방법, 그 단말 장치
KR101931141B1 (ko) 콘텐츠를 전송하기 위한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CN115695928B (zh) 一种投屏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KR101826280B1 (ko) 서로 다른 장치 간 연속적인 컨텐츠 이용 시스템 및 방법, 그 단말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