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67309B1 - Food Garbage Processing Apparatus for Producing Solid Matter With Low Moisture Content - Google Patents

Food Garbage Processing Apparatus for Producing Solid Matter With Low Moisture Conten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67309B1
KR101867309B1 KR1020170094734A KR20170094734A KR101867309B1 KR 101867309 B1 KR101867309 B1 KR 101867309B1 KR 1020170094734 A KR1020170094734 A KR 1020170094734A KR 20170094734 A KR20170094734 A KR 20170094734A KR 101867309 B1 KR101867309 B1 KR 1018673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lid
tank
screw
solids
convey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9473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80027329A (en
Inventor
이주성
Original Assignee
이주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주성 filed Critical 이주성
Priority to KR10201700947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67309B1/en
Publication of KR201800273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2732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673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6730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3/0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 B09B3/0058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0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5/00Operations not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or by a single other group in this subcla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33/00Screw or rotary spiral conveyors
    • B65G33/08Screw or rotary spiral conveyors for fluent solid materials
    • B65G33/14Screw or rotary spiral conveyors for fluent solid materials comprising a screw or screws enclosed in a tubular housing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MAPPARATUS FOR ENZYMOLOGY OR MICROBIOLOGY; APPARATUS FOR CULTURING MICROORGANISMS FOR PRODUCING BIOMASS, FOR GROWING CELLS OR FOR OBTAINING FERMENTATION OR METABOLIC PRODUCTS, i.e. BIOREACTORS OR FERMENTERS
    • C12M27/00Means for mixing, agitating or circulating fluids in the vessel
    • C12M27/02Stirrer or mobile mixing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4Bul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812/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kind or type of conveyors
    • B65G2812/05Screw-convey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Zo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Microb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낮은 함수율을 갖는 고형분을 생성하기 위한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교반조, 분쇄물 저장탱크, 제1 고형분 분리탱크, 제1 고형분 이송장치, 제2 고형분 분리탱크, 제2 고형분 이송장치, 고형분 수거통, 및 이송용 펌프를 포함하고, 고형분 분리탱크에서 고형분을 매우 낮은 함수율로 분리하여 충분히 여과된 액상물만을 하수로 분리할 수 있기 때문에 법규에 적합한 장치로 이용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ood garbage disposal apparatus for producing a solid having a low water content, comprising a stirring tank, a pulverized material storage tank, a first solid separation tank, a first solid fraction transfer device, a second solid separation tank, The device can be used as a device complying with the law because it contains a solids sump and a transfer pump and separates solids into a very low water content in the solids separation tank and separates only the sufficiently filtered liquid sludge into sewage.

Description

낮은 함수율을 갖는 고형분을 생성하기 위한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Food Garbage Processing Apparatus for Producing Solid Matter With Low Moisture Content}TECHNICAL FIELD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ood garbage disposal apparatus for producing a solid content having a low water content,

본 발명은 낮은 함수율을 갖는 고형분을 생성하기 위한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교반장치를 구비한 교반조에서 물과 미생물과 함께 교반하여 음식물 쓰레기를 액상으로 처리한 후에 중복 침전 과정 및 이송 과정에 의하여 액상물과 고형분을 충분히 분리하여 순수한 액상물만을 하수로 배출시키기 위한 낮은 함수율을 갖는 고형분을 생성하기 위한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ood garbage disposal apparatus for producing a solid having a low water content. 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ood garbage disposal apparatus for mixing a water and a microorganism together in a stirring tank provided with a stirring apparatus, To a solid waste having a low water content for sufficiently separating the liquid and solid components and discharging only the pure liquid product to the sewage.

가정이나 식당 등에서 발생하는 음식물 쓰레기를 처리하기 위한 여러 방법 중에서 액상 소멸 방식은 처리시간의 단축에 의하여 부패를 방지할 수 있고, 미생물의 유기물 분해 과정에서 발생하는 열을 이용할 수 있어 처리 에너지를 절약할 수 있고, 배출수에 포함된 미생물에 의하여 하수의 질에 유익한 영향을 주는 등의 장점이 있어 선호되고 있다. 액상 소멸 처리 장치의 예로서 등록특허 제10-1131935호에 개시된 장치를 들 수 있다. 개시된 장치는 교반조(10) 내에 설치된 교반날(21)이 형성된 교반축(20)을 포함하고, 교반축(20)은 측면에 설치된 구동모터(40)에 의하여 교반조(10) 내에서 회전하도록 설치된다. 교반조(10)의 하측에는 하측타공부(141)를 두어 교반조(10) 하부로 낙하되는 무기질이 포함된 액체를 배출가이드(14)로 여과 배출시키게 된다. 교반조(10)의 상부에는 온수를 분사하기 위한 노즐(12)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교반조(10) 내에 마련된 산소공급수단(70)에 의하여 미생물의 분해 및 배양시 필요한 산소를 지속적으로 공급하게 된다.Among the various methods for treating food waste generated in homes and restaurants, the liquid phase extinction method can prevent the decay by shortening the processing time and can utilize the heat generated in the decomposition process of the organic matters of the microorganisms, And the microorganisms contained in the effluent water have a favorable effect on the quality of sewage water. An example of the apparatus for dissolving a liquid phase is an apparatus disclosed in Japanese Patent Registration No. 10-1131935. The disclosed apparatus includes a stirring shaft 20 provided with a stirring blade 21 provided in a stirring tank 10 and the stirring shaft 20 is rotated in the stirring tank 10 by a driving motor 40 provided on a side surface . A lower tread 141 is provided on the lower side of the stirring tank 10 so that the liquid containing the inorganic material falling down to the lower portion of the stirring tank 10 is filtered and discharged by the discharge guide 14. [ A nozzle 12 for spraying hot water is formed in an upper portion of the stirring tank 10. On the other hand, the oxygen supplying means 70 provided in the stirring tank 10 continuously supplies oxygen required for decomposing and culturing microorganisms.

이와 같이 종래의 개시된 기술은 교반조(10)에서 미생물의 발효 및 교반 과정에서 생성된 액상 분해물이 하측타공부(141)에서 1차로 여과된 상태로 그대로 하수로 투입되도록 구성된다. 그런데, 분해조(10)에서 하측타공부(141)를 통하여 1차 여과된 액상 분해물에는 여전히 완전히 분해되지 않은 슬러지를 포함하고 있고 이를 그대로 하수로 배출하는 경우 하수의 오염원이 된다. 폐기물관리법 시행규칙 제10조제3호에 의하면 고형분 유출율 준수 기준이 강화되어, 폐기물처리시설 외의 장소에서의 고형분의 유출율을 제한하고 있다. 즉, 100kg 이하의 소형처리시설에서 나오는 음식물류 폐기물의 경우에는 해당 시설의 처리과정을 거쳐 배출수와 함께 배출되는 고형분의 무게가 유입되는 고형분의 무게의 20/100 미만인 경우로 한정하고 있다. 따라서 상기 개시된 바와 같은 액상 처리장치에 의해서는 개정된 법령을 만족하지 못하여 사용에 제약이 따르게 된다.As described above, in the conventional art, the liquid decomposition product produced in the fermentation and stirring process of the microorganism in the agitating tank 10 is firstly filtered by the lower tread 141, and then is introduced into the sewage as it is. However, in the decomposition tank 10, the liquid-phase decomposed primary filtrate through the lower tread 141 includes sludge which is not completely decomposed and becomes a source of sewage when it is directly discharged into sewage. According to Article 10 (3) of the Enforcement Regulations of the Waste Management Act, the standards for adherence to the solids outflow rate are strengthened, limiting the outflow rate of solids from places other than waste disposal facilities. That is, in the case of food wastes from small-sized processing facilities of 100 kg or less, the weight of solids discharged together with the effluent after the processing of the facility is limited to 20/100 of the weight of the solids to be introduced. Therefore, the liquid processing apparatus as described above can not satisfy the revised laws and regulations, and the use thereof is restricted.

등록특허 제10-0959901호는 1차 여과된 미분해 슬러지(고형분)를 분해조로 재투입하여 순환시킴으로써 완전 분해를 달성하도록 하는 슬러지순환유닛을 포함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를 제공한다. 그런데, 후자의 개시된 기술의 경우 펌핑수단(42)을 구동하여 슬러지를 강제로 순환시키게 되는데, 강제 순환 과정에서 역류하는 슬러지에 의하여 교반조 내에 악취가 발생하여 작업 환경을 악화시키게 되는 문제뿐만 아니라 슬러지에 의하여 장치에 고장을 일으키는 문제가 있다. 교반조는 음식물 쓰레기의 투입구를 주기적으로 개방하여 음식물 쓰레기를 투입해야 하기 때문에 외부와 완전히 밀폐된 상태로 유지될 수가 없다. 따라서 슬러지의 완전 분해와 함께 교반조 내의 악취 발생을 근본적으로 방지함과 동시에 고형분이 충분히 분리된 액상물만을 하수로 제공할 수 있는 새로운 기술이 필요한 것이다.Patent No. 10-0959901 provides a food waste disposal apparatus including a sludge circulation unit for achieving complete decomposition by recycling primary filtered primary sludge (solids) into a decomposition tank and circulating it. However, in the case of the latter technique, the pumping means 42 is driven to circulate the sludge forcibly. In addition, there is a problem that the working environment is deteriorated due to the generation of bad odor in the stirring tank due to the sludge flowing backward in the forced circulation process, There is a problem of causing the device to malfunction. The stirring tank can not be kept in a completely sealed state with the outside because the food waste is periodically opened by opening the inlet of the food waste. Therefore, there is a need for a new technology capable of fundamentally preventing the generation of odor in the stirring tank together with the complete decomposition of the sludge, and at the same time, it is possible to provide only the separated liquid material with the solid content.

등록특허 제10-1131935호 (2011.03.08 공개)Registered Patent No. 10-1131935 (Published March 8, 2011) 등록특허 제10-0959901호 (2009.06.15 공개)Registration No. 10-0959901 (published on June 15, 2009)

본 발명은 교반조에서 여과판을 통하여 여과된 분쇄물로부터 고형분을 분리하기 위한 고형분 분리탱크를 포함하고, 고형분 분리탱크에서 하단에 침전되는 고형분을 이송하여 분리하기 위한 고형분 이송장치를 이중으로 포함하는 낮은 함수율을 갖는 고형분을 생성하기 위한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기타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되는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의하여 모두 달성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olid-liquid separator for separating solids from a pulverized product filtered through a filtration plate in a stirring tank, comprising a solid separating tank for separating solids transferred to the bottom of the soli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food garbage disposal apparatus for producing a solid content having a moisture content. Other obj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chieved by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교반조, 분쇄물 저장탱크, 제1 고형분 분리탱크, 제1 고형분 이송장치, 제2 고형분 분리탱크, 제2 고형분 이송장치, 고형분 수거통, 및 이송용 펌프를 포함하고, 상기 교반조는 교반장치가 구비되어 투입된 음식물과 공급된 미생물 및 물을 교반 혼합하여 액상의 분쇄물을 생성하고, 상기 분쇄물 저장탱크는 상기 교반조의 하단에 타공 형성된 여과판을 경계로 형성되어, 상기 교반조 내에서 생성된 액상의 분쇄물을 여과하여 저장하고, 상기 제1 고형분 분릴탱크는 상기 분쇄물 저장탱크로부터 액상의 분쇄물을 이송받아 침전에 의하여 액상의 분쇄물 중의 고형분을 분리하고, 상기 제1 고형분 이송장치는 상기 제1 고형분 분리탱크의 하단에 침전된 고형분을 액상물과 분리 이송하기 위하여, 내부에 제1 이송 스크류를 포함하고 지면에 대하여 경사를 갖도록 설치되고, 상기 제2 고형분 분리탱크는 상기 제1 고형분 이송장치의 후단에 설치되어 분리되지 못한 액상물을 재차 분리하고, 상기 제2 고형분 이송장치는 상기 제2 고형분 분리탱크의 하단에 침전된 고형분을 액상물과 분리 이송하기 위하여, 내부에 제2 이송 스크류를 포함하고 지면에 대하여 경사를 갖도록 설치되고, 상기 고형분 수거통은 상기 제2 고형분 이송장치의 후단에 연결되어 이송된 고형분을 최종적으로 수거하고, 상기 이송용 펌프는 상기 분쇄물 저장탱크와 상기 고형분 분리탱크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분쇄물 저장탱크에 저장된 액상의 분쇄물을 상기 고형분 분리탱크로 이송시킨다.In order to accomplish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of manufacturing a solid-liquid separating apparatus, including a stirring tank, a pulverized-material storage tank, a first solid-liquid separation tank, a first solid-component transfer device, a second solid- Wherein the stirring tank is provided with an agitating device to mix the supplied food with the supplied microorganisms and water to produce pulverized liquid in the form of a liquid, and the pulverized material storage tank is formed with a filter plate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stirring tank The first solid fraction grind tank receives the liquid product from the pulverized product storage tank and separates the solid component from the pulverized product in the liquid phase by precipitation And the first solid-component-conveying device is provided with a first conveying unit for conveying the solid matter precipitated at the lower end of the first solid- And the second solid fraction conveying device separates the liquid material that has not been separated and is installed at the rear end of the first solid fraction conveying device, 2 solid separation tank for separating solid matter precipitated at the lower end of the solid separation tank from the liquid material and having a second conveying screw therein and having a slope with respect to the paper surface, And the transferring pump finally transfers the pulverized liquid stored in the pulverized material storage tank to the solid separation tank between the pulverized material storage tank and the solid separation tank.

또한, 상기 고형분 분리탱크는 상단에 상기 분쇄물 저장탱크로부터의 분쇄물 유입구가 형성되고, 하단은 콘 형상으로 형성되어 콘 형상이 시작하는 부분에 액상물 배출구, 및 콘 형상의 말단에 고형분 배출구가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solid separation tank has a crushing water inlet port formed at the upper end thereof and a crushing water inlet port formed at the upper end thereof. The lower end of the crushing water inlet port is formed in a cone shape so that a liquid water discharge port is formed at the beginning of the cone shape, .

또한, 상기 고형분 이송장치는, 구동 모터, 상기 구동 모터의 회전축에 결합된 스크류 회전축, 및 상기 스크류 회전축의 외주에 형성된 스크류 날개로 구성된 이송 스크류, 및 상기 이송 스크류를 내부에 포함하고 하단에서 상기 고형분 배출구에 연통되고 상단에 배출구가 형성된 고형분 이송관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The solid-content conveying device may further include a conveying screw including a driving motor, a screw rotating shaft coupled to a rotating shaft of the driving motor, and a screw blade formed on an outer periphery of the screw rotating shaft, and a conveying screw including the conveying screw, And a solid fraction conveying pipe communicating with the discharge port and having an outlet at an upper end thereof.

또한, 상기 제2 고형분 분리탱크의 내부의 상부에 격벽이 형성되어, 격벽을 경계로 일측에 유입구가 형성되고 반대측에 배출구가 형성될 수 있다.Further, a partition wall may be formed on the upper part of the interior of the second solids-separation tank so that an inlet may be formed at one side of the partition wall, and an outlet may be formed at the opposite side of the partition.

또한, 상기 제2 고형분 이송장치는 내부로 열을 전달하기 위한 발열수단, 및 가온에 의하여 발생하는 수증기를 배출시키기 위한 배출팬을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econd solid conveying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a heating means for transmitting heat to the inside, and a discharge fan for discharging water vapor generated by heating.

본 발명은 교반장치가 구비되어 투입된 음식물을 교반하여 분쇄물을 생성하기 위한 교반조, 상기 교반조로부터 분쇄물을 이송받아 침전에 의하여 분쇄물로부터 고형분을 비중분리하기 위한 고형분 분리탱크, 상기 고형분 분리탱크의 하단에 침전된 고형분을 분리 이송하기 위한 고형분 이송장치, 및 상기 고형분 이송장치의 후단에 연결되어 이송된 고형분을 최종적으로 수거하기 위한 고형분 수거통을 포함하고, 상기 고형분 이송장치는 구동 모터, 지면에 대하여 경사를 갖도록 설치되고, 하단 측부에 형성된 투입구를 통하여 상기 고형분 분리탱크에 연통되고 상단에 고형분 배출구가 형성된 고형분 이송관, 상기 고형분 이송관의 내부에 형성되고, 상기 구동 모터의 회전축에 결합된 스크류 회전축, 및 상기 스크류 회전축의 외주에 형성된 스크류 날개로 구성된 이송 스크류, 및 상기 고형분 이송관의 하단 내측에서 상기 스크류 회전축에 고정되어 상기 이송 스크류와 함께 회전하도록 설치되고, 측면에 투입공이 형성되어 상기 고형분 이송관의 투입구와 주기적으로 연통되도록 구성된 투입구 개폐 부재를 포함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olid-liquid separating tank for separating a solid content from a pulverized product by transferring a pulverized product from the stirring tank to produce a pulverized product, And a solid fraction transferring device connected to a rear end of the solid transfer device for finally collecting the transferred solid component, wherein the solid fraction transfer device comprises a driving motor, A solid fraction conveying pipe provided so as to have a slope with respect to the solid fraction conveying pipe and communicating with the solid fractionating tank through an inlet formed at the lower end side portion and having a solid particle outlet at an upper end thereof, A screw rotating shaft, and a screw formed on an outer periphery of the screw rotating shaft And a feed opening fixed to the screw rotary shaft at a lower end of the solid feed pipe and rotatable with the feed screw, the feed opening being formed at a side of the feed screw so as to periodically communicate with an inlet of the solid feed pipe, Member.

이와 같은 본 발명의 낮은 함수율을 갖는 고형분을 생성하기 위한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에 의하면, 분쇄물 저장탱크에 누적되는 분쇄물을 그대로 하수에 처리하지 않고, 고형분 분리탱크에서 고형분을 매우 낮은 함수율로 분리하여 충분히 여과된 액상물만을 하수로 분리할 수 있기 때문에 법규에 적합한 장치로 이용될 수 있고, 고형분 분리탱크로의 연결이 외부와 밀폐된 구조로서 악취가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장치의 소형화 및 대형화가 능동적으로 가능하고, 비교적 간단한 구조로서 제작 비용을 낮출 수 있는 장점이 있다.According to the food garbage disposal apparatus for producing the solid content having a low water cont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ulverized material accumulated in the pulverized material storage tank is not directly treated as sewage but the solid content is separated at a very low water content in the solid fractionation tank It is possible to use only a sufficiently filtered liquid material to be separated by sewage, so that it can be used as a device conforming to the regulations, and the connection to the solid separation tank is hermetically sealed from the outside, and the odor can be prevented from leaking to the outside. Further, it is possible to actively reduce the size and size of the apparatus, and it is advantageous in that the manufacturing cost can be reduced by a relatively simple structure.

도 1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른 낮은 함수율을 갖는 고형분을 생성하기 위한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로 개량되기 이전에 개발되어 출원된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의 개략적 구성도;
도 2는 도 1의 제1 고형분 이송장치를 구체적으로 도시하는 세부 구성도;
도 3은 도 2의 투입구 개폐 부재의 동작을 도시하는 도면으로서, (a)는 투입구가 개방된 상태, (b)는 투입구가 밀폐된 상태를 도시하는 평면도;
도 4는 도 3의 투입구 개폐 부재의 구체적 구성을 도시하는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하나의 실시 예로서, 도 1에 고형분과 액상물의 분리를 위한 고형분 분리탱크와 고형분 이송장치를 이중으로 구성한 낮은 함수율을 갖는 고형분을 생성하기 위한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의 개략적 구성도;
도 6은 도 5의 제2 고형분 분리탱크의 내부에 격벽이 형성된 모습을 도시하는 구성도;
도 7은 도 5의 제2 고형분 이송장치를 구체적으로 도시하는 세부 구성도;
도 8은 도 5의 제2 고형분 이송장치를 정면에서 본 단면 구성도; 및
도 9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의 교반조 내에 설치되는 교반장치의 구성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 schematic diagram of a food garbage disposal apparatus developed before being improved into a food waste disposal apparatus for producing a solid content having a low water cont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2 is a detailed configuration diagram specifically showing the first solidifying device of FIG. 1; FIG.
Fig. 3 is a view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loading port opening / closing member of Fig. 2, wherein (a) is a state in which the charging port is opened, (b) is a plan view in which the charging port is sealed;
Fig.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pecific configuration of the entrance opening and closing member of Fig. 3; Fig.
Fig. 5 is a schematic diagram of a food garbage disposal apparatus for producing a solid content having a low water content, in which a solid separation tank and a solid fraction transfer device for separating solids and liquids from each other are double- Degree;
FIG. 6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partition wall is formed inside the second solids separation tank of FIG. 5; FIG.
FIG. 7 is a detailed configuration diagram specifically showing the second solidifying device of FIG. 5; FIG.
Fig. 8 is a sectional structural view of the second solid transfer device of Fig. 5 viewed from the front; Fig. And
9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stirring device installed in a stirring tank of a garbage disposal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본 명세서 및 특허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 의미로 한정되어 해석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항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First, the terms and words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claims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to ordinary or dictionary meanings, and should be construed in accordance with the technical meanings and concept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른 낮은 함수율을 갖는 고형분을 생성하기 위한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로 개량되기 이전에 개발되어 출원된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의 개략적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는 교반조(100), 분쇄물 저장탱크(200), 제1 고형분 분리탱크(300), 및 제1 고형분 이송장치(4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FIG. 1 is a schematic diagram of a food garbage disposal apparatus developed before a food garbage disposal apparatus for producing a solid content having a low water cont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 the apparatus for treating garbage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tirring tank 100, a crushed material storage tank 200, a first solid separation tank 300, and a first solid content transfer device 400, do.

상기 교반조(100)는 교반장치(110)가 구비되어 투입된 음식물과 공급된 미생물 및 물을 상기 교반장치(110)에 의하여 교반 혼합하여 액상의 분쇄물을 생성한다. 교반조(100)의 상단에 음식물 쓰레기가 투입될 수 있는 투입구가 구비되어, 인력이나 투입 장비에 의하여, 투입구(101)가 수동 또는 자동으로 개방되어, 음식물 쓰레기가 교반조(100) 내로 투입되도록 구성된다. 교반조(100)에는 교반장치(110)가 설치되어 음식물 쓰레기를 교반하여 별도로 공급되는 물 및 미생물과 혼합하도록 구성되는데, 교반장치(110)의 교반날개(111)에 의하여 음식물 쓰레기가 작은 크기로 분쇄되면서 혼합되어 진다. 충분한 시간 동안의 반복적인 교반장치(110)의 동작 및 미생물의 분해 작용에 의하여 최초의 덩어리 형태의 음식물 쓰레기는 액상의 분쇄물로 변화되어 간다.The stirring tank 100 is provided with a stirring device 110, and the charged foodstuff, the supplied microorganisms and water are stirred and mixed by the stirring device 110 to produce a liquid crushed product. The stirring tank 100 is provided with an inlet through which food waste can be injected so that the inlet 101 is manually or automatically opened by gravity or injection equipment so that the food waste is injected into the stirring tank 100 . The stirrer 110 is installed in the stirring tank 100 and is configured to mix the food waste with water and microorganisms separately supplied. The stirring wing 111 of the stirrer 110 allows the food waste to have a small size Mixed while being pulverized. By the operation of the repetitive stirring device 110 for a sufficient time and by the decomposing action of the microorganisms, the food waste in the form of the first lump is changed into liquid crushed material.

교반조(100)의 상단에는 물공급 노즐(102)이 형성되어 음식물 쓰레기의 액상화를 위한 물을 지속적 또는 간헐적으로 공급한다. 교반조(100)의 하단에 수통(104)을 구비하여 수통(104)의 물을 관(121)을 통하여 끌어올려 물공급 노즐(102)을 통하여 교반조(100) 내로 물을 분사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교반조(100) 내로 분사되는 물은 미생물의 증식 조건에 부합하는 온도로 데워진 온수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물공급 노즐(102)은 교반 과정에서 교반조(100) 내의 교반장치(110)를 구성하는 부품들을 세척할 수 있을 정도의 강한 압력으로 분사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따라서 물공급 노즐(102)의 분사 방향을 교반조(100) 내부의 지속적으로 세척이 필요한 부분을 향하여 배치하는 것이 중요할 것이다.A water supply nozzle 102 is formed at an upper end of the stirring tank 100 to continuously or intermittently supply water for liquefaction of food waste. The water tank 104 is provided at the lower end of the stirring tank 100 so that the water in the water bottle 104 is drawn up through the pipe 121 and water is sprayed into the stirring tank 100 through the water supply nozzle 102 . It is preferable that the water sprayed into the stirring tank 100 is heated using warm water heated to a temperature corresponding to the growth conditions of the microorganisms. The water supply nozzle 102 can be configured to be sprayed with a strong enough pressure to clean the components constituting the stirring device 110 in the stirring tank 100 in the stirring process. Therefore, it is important to arrange the spraying direction of the water supply nozzle 102 toward the portion where the washing tank 100 needs to be continuously washed.

또한, 교반조(100)의 하단에는 교반조(100)를 둘러싸도록 열선을 포함하는 온열장치(106)가 구비되어 미생물이 최적으로 증식할 수 있는 온도 조건을 만들어준다. 교반조(100) 내로 한 번 투입된 미생물은 장치의 이동 및 유지보수를 위하여 장치를 완전히 정지시켜 내용물을 완전히 제거하지 않는 동안에는 장비의 운용 중에 음식물 쓰레기의 지속적 투입에 의하여 자체 배양 및 증식에 의하여 교반조(100) 내에서 계속 생존하게 된다.In addition, at the lower end of the stirring tank 100, a warming device 106 including a hot wire is provided so as to surround the stirring tank 100, thereby providing a temperature condition in which microorganisms can be optimally grown. The microorganisms once injected into the stirring tank 100 are completely stopped for the movement and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and during the operation of the equipment, the food waste is continuously injected during the operation of the equipment, (100).

상기 분쇄물 저장탱크(200)는 상기 교반조(100)의 하단에 타공 형성된 여과판(120)을 경계로 형성되어, 상기 교반조(100) 내에서 생성된 액상의 분쇄물을 여과하여 저장한다. 교반조(100)와 분쇄물 저장탱크(200)가 접하는 경계 부분에 여과판(120)이 구비되어, 교반조(100)에서 생성되는 액상의 물질이 여과판(120)을 통하여 분쇄물 저장탱크(200)로 하강하여 저장된다. 분쇄물 저장탱크(200)의 하단 바닥면은 일측으로 경사를 이루도록 형성되어, 낮은 쪽으로 배출구(204)가 형성되어 있다. 분쇄물 저장탱크(200)에 누적되는 액상의 분쇄물은 완전한 액상의 물질로 구성되지는 않고, 여기에는 교반조(100)에서 완전히 액상화되지 못한 미세한 크기의 고형분이 혼합되어 있다. 이러한 고형분을 분쇄물 저장탱크(200)의 바닥면의 한쪽으로 누적되도록 하여 배출구(204)를 통하여 액상의 물질과 함께 쉽게 배출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고형분 중에서 비중이 액상물보다 낮은 물질은 분쇄물 저장탱크(200)로 침전되지 못하기 때문에 분쇄물 저장탱크(200)의 하단에 누적되는 고형분은 비중이 액상물보다 큰 물질이다.The pulverized material storage tank 200 is formed with a filtration plate 120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stirring tank 100 as a boundary so as to filter and store the pulverized liquid material generated in the stirring tank 100. A filtration plate 120 is provided at a boundary portion where the agitation tank 100 and the pulverized material storage tank 200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so that the liquid material generated in the agitation tank 100 is supplied to the pulverized material storage tank 200 ) And stored. The bottom surface of the lower end of the pulverized-material storage tank 200 is formed to be inclined to one side, and the discharge port 204 is formed to the lower side. The pulverized liquid accumulated in the pulverized-material storage tank 200 is not composed of a completely liquid material, but a fine-sized solid material which is not fully liquefied in the stirring tank 100 is mixed. Such solid content is accumulated on one side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pulverized material storage tank 200 and is easily discharged together with the liquid material through the discharge port 204. The solid material accumulated in the lower end of the pulverized material storage tank 200 is a substance whose specific gravity is larger than that of the liquid material because the material having a specific gravity lower than that of the liquid material is not precipitated in the pulverized material storage tank 200.

상기 제1 고형분 분리탱크(300)는 상기 분쇄물 저장탱크(200)로부터 액상의 분쇄물을 이송받아 침전에 의하여 액상의 분쇄물 중의 고형분을 분리한다. 즉 본 발명은 고형분이 분리된 액상물만이 하수로 배출되도록 구성된다. 분쇄물 저장탱크(200)의 배출구(204)를 통하여 이송받은 액상의 분쇄물은 크게는 고형분과 액상물이 혼합된 상태인데, 고형분은 액상물에 비하여 비중이 커서 제1 고형분 분리탱크(300) 내에서 아래로 침전된다. 제1 고형분 분리탱크(300)는 분쇄물 저장탱크(200)의 배출구(204) 사이에 외부와 밀폐되도록 구성되고, 장치의 동작 과정에서 분쇄물 저장탱크(200)의 배출구(204)에서 제1 고형분 분리탱크(300)로 이송되는 분쇄물에 의한 악취가 외부로 빠져나오지 못하도록 제1 고형분 분리탱크(300)는 외부와 완전히 밀폐시킬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고형분 분리탱크(300)의 상단에 유지보수용 뚜껑(320)을 설치할 수 있으나, 장치의 동작시에는 악취의 누출을 방지하기 위하여 완전히 밀폐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분쇄물 저장탱크(200)로부터 제1 고형분 분리탱크(300)로의 분쇄물의 이송은 지속적으로 또는 일정한 시간 간격을 두고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고형분 분리탱크(300)로 이송된 일정한 양의 분쇄물이 분리탱크(300) 내에서 침전이 이루어지고 있는 동안에 분쇄물 저장탱크(200)로부터 새로운 분쇄물을 공급받게 되면 유체가 흐름이 불안정하게 되고 유체의 역류가 발생하여 고형분의 분리가 효과적이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제1 고형분 분리탱크(300)에 한 번에 이송된 고형분이 모두 분리되고 액상물을 하수로 모두 배출한 이후에 다시 분쇄물 저장탱크(200)로부터 새로이 분쇄물을 이송받아 분리처리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The first solids separation tank 300 receives the pulverized liquid material from the pulverized material storage tank 200 and separates the solid matter in the liquid pulverized material by sedimentation. That is,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such that only the liquid material in which the solid component is separated is discharged to the sewage. The pulverized liquid material transferred through the discharge port 204 of the pulverized material storage tank 200 is mainly mixed with solid and liquid materials and has a specific gravity larger than that of the liquid material, And settled downward within. The first solids separation tank 300 is configured to be hermetically sealed between the discharge ports 204 of the pulverized material storage tank 200 and is connected to the discharge port 204 of the pulverized material storage tank 200, It is preferable that the first solids separation tank 300 is configured to be completely sealed with the outside so that the malodor generated by the pulverized material conveyed to the solids separation tank 300 can not escape to the outside. The maintenance lid 320 may be installed at the upper end of the first solids separation tank 300. However, it is preferable that the maintenance lid 320 is completely closed in order to prevent leakage of odor during operation of the apparatus. The transfer of the pulverized material from the pulverized-material storage tank 200 to the first solids-separation tank 300 can be performed continuously or at regular time intervals. When a certain amount of the pulverized material transferred to the first solids separation tank 300 is supplied with the new pulverized material from the pulverized material storage tank 200 during the precipitation in the separation tank 300, And the backflow of the fluid occurs, so that the separation of the solid content may not be effective. Accordingly, after the solids transferred at once in the first solids separation tank 300 are all separated and the liquid material is discharged to the sewage, freshly pulverized material is transferred again from the pulverized material storage tank 200 to be separated .

상기 분쇄물 저장탱크(200)의 분쇄물을 제1 고형분 분리탱크(300)로 이송시키는 원천은 배치에 의해서 또는 중간 이송장치에 의해서 이루어질 수 있다. 배치에 의하는 경우 분쇄물 저장탱크의 바닥면보다 낮은 위치에 제1 고형분 분리탱크(300)의 유입구를 형성하는 것으로 족하다. 이 경우에는 분쇄물 저장탱크(200)와 제1 고형분 분리탱크(300)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관에 개폐밸브를 설치하여 분쇄물의 이송을 제어할 수 있을 것이다. 배치에 의하지 않는 후자의 경우에는 사이에 이송용 펌프(700)를 설치하여 분쇄물 저장탱크(200)에 저장된 액상의 분쇄물을 상기 제1 고형분 분리탱크(300)로 이송시키도록 구성하는 것을 예로 들 수 있다. 이때는 이송용 펌프(700)의 동작 여부에 의하여 분쇄물의 이송이 제어될 것이다. 이송용 펌프(700)의 유입관(710)이 분쇄물 저장탱크(200)의 배출구(204)에 연결되고, 배출관(720)이 고형분 분리탱크(300)의 유입구(312)에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를 위해서는 장치의 크기, 특히 높이를 가능한 한 작게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기 때문에 구성요소의 불필요한 상하 배치는 바람직하지 않을 것이다. 따라서 이송용 펌프(700)에 의한 구성이 현실적으로 더 가능할 것이고, 하나의 케이스(10) 내에 본 발명의 모든 구성을 포함하여 구성하는데 효과적일 것이다.The source for transferring the pulverized material of the pulverized material storage tank 200 to the first solids separation tank 300 may be arranged by arrangement or by an intermediate transfer device. It is sufficient to form the inlet of the first solids separation tank 300 at a position lower than the bottom surface of the pulverized water storage tank. In this case, an opening / closing valve may be provided in a connection pipe connecting the crushed water storage tank 200 and the first solids separation tank 300 to control the transfer of the crushed material. In the latter case, the transfer pump 700 is provided to transfer the pulverized liquid stored in the pulverized material storage tank 200 to the first solids separation tank 300 as an example . At this time, the conveyance of the pulverized material will be controlled by the operation of the transfer pump 700. The inlet pipe 710 of the transfer pump 700 is connected to the discharge port 204 of the crushed water storage tank 200 and the discharge pipe 720 is connected to the inlet port 312 of the solidification tank 300 . For the preferred practice of the present invention, unnecessary up-and-down placement of components would be undesirable, since it is desirable to make the size, especially the height, of the device as small as possible. Therefore, the configuration by the transfer pump 700 will be more practically possible, and it will be effective to constitute all the configura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in one case 10. [

상기 제1 고형분 이송장치(400)는 상기 제1 고형분 분리탱크(300)의 하단에 침전된 고형분을 액상물과 분리 이송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1 고형분 이송장치(400)에 의하여 이송된 고형분을 최종적으로 수거하기 위한 고형분 수거통(8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고형분 수거통(800)은 내부에 누적된 고형분을 예로서, 서랍 방식으로, 배출하기 위한 배출용 서랍(810)이 형성되어 주기적으로 내부에 채워진 고형분을 수거할 수 있는데, 고형분은 가축의 사료 등으로 재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제1 고형분 분리탱크(300)로부터 액삭물 배출구(314), 배출관(318)을 통하여 고형분이 분리된 액상물은 법규에 부합하는 기준으로 하수로 버려질 것이다.The first solids conveyance device 400 separates and transfers the solid content precipitated at the lower end of the first solids separation tank 300 from the liquid phase.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solids storage box 800 for finally collecting solid matter transferred by the first solids conveying device 400. The solids collection bin 800 may include a drawer 810 for discharging the accumulated solid therein, for example, in a drawer manner, so that the solid content can be collected periodically. It could be recycled. On the other hand, the liquid matter separated from the solid solids through the liquid matter discharge port 314 and the discharge pipe 318 from the first solids separation tank 300 will be discharged to the sewage on a standard that meets the regulations.

상기 제1 고형분 분리탱크(300)는 상단에 상기 분쇄물 저장탱크(200)로부터의 분쇄물 유입구(312)가 형성되고, 하단은 콘 형상으로 형성되어 콘 형상이 시작하는 부분에 액상물 배출구(314), 및 콘 형상의 말단에 고형분 배출구(316)가 형성될 수 있는데, 상기 제1 고형분 이송장치(40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 모터(410), 제1 이송 스크류(420), 및 고형분 이송관(45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고, 상기 제1 이송 스크류(420)는 구동 모터의 회전축(412)에 결합된 스크류 회전축(422), 및 상기 스크류 회전축(422)의 외주에 형성된 스크류 날개(424)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고형분 이송관(450)은 내부에 제1 이송 스크류(420)를 포함하고 하단에서 고형분 배출구(316)에 연통되고 상단에 배출구(430)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1 고형분 이송장치(400)는 지면에 대하여 경사를 이루도록 설치되어야 한다. 따라서 제1 이송 스크류(420)의 적절한 회전속도에 의하여 고형분 이송관(450) 내의 액상물은 이동하지 않고 고형분만이 제1 이송 스크류(420)의 회전에 따라 함께 회전하면서 분리되어 지속적으로 상승하고, 제1 이송 스크류(420)는 고형분을 위쪽으로 지속적으로 밀어내어 고형분 수거통(600)으로 떨어지도록 구성된다. 한편, 구동 모터(410)와 제1 이송 스크류(420) 사이에, 예를 들면 기어 또는 벨트연결(442, 444, 446)에 의한, 감속장치를 구비할 수 있다.The first solid separating tank 300 has a crushing water inlet 312 formed at the upper end thereof and a crushing water inlet 312 formed at the upper end of the crushing water storage tank 200. The lower end of the crushing water inlet 312 is formed in a cone shape, 1 and 2, the first solid conveying device 400 may include a driving motor 410, a first solid conveying device 310, a second solid conveying device 310, A transfer screw 420 and a solid component transfer tube 450. The first transfer screw 420 may include a screw rotating shaft 422 coupled to the rotating shaft 412 of the driving motor, And a screw blade 424 formed on the outer periphery of the screw shaft 422. The solid fraction conveying pipe 450 includes a first conveying screw 420 therein and communicates with the solid outlet 316 at the lower end thereof and has an outlet 430 at the upper end thereof. In addition, the first solids conveying device 400 should be installed to be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ground. Accordingly, the liquid material in the solid material conveyance pipe 450 does not move due to the appropriate rotation speed of the first conveyance screw 420, and only the solid material is separated while rotating together with the rotation of the first conveyance screw 420, , And the first conveying screw 420 is configured to continuously push the solid material upwards and to drop into the solid material collecting container 600. On the other hand, a decelerating device may be provided between the driving motor 410 and the first conveying screw 420, for example, by gears or belt connections 442, 444 and 446.

도 3은 도 2의 투입구 개폐 부재(460)의 동작을 도시하는 도면으로서, (a)는 투입구가 개방된 상태, (b)는 투입구가 밀폐된 상태를 도시하는 평면도이고, 도 4는 도 3의 투입구 개폐 부재(460)의 구체적 구성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제1 고형분 이송장치는 또한 투입구(455)를 통하여 투입되는 고형분을 단속적으로 투입되도록 하는 투입구 개폐 부재(460)가 형성된다. 즉, 투입구 개폐 부재(46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통형의 일면에 투입공(464)이 형성되고, 투입구 개폐 부재(460)는 스크류 회전축(422)을 내부에 수용하고 일단이 스크류 회전축(422)에 고정되어 함께 회전하도록 구성된다. 스크류 수용구(466)를 통하여 스크류 회전축(422)이 수용되고, 스크류 수용구(466)의 반대측에서 스크류 회전축(422)과 고정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스크류 회전축(422)의 외주에 형성된 제1 이송 스크류(420)의 일부가 투입구 개폐 부재(460)의 내부에 포함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3 is a plan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loading port is opened, FIG. 3 (b) is a plan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loading port is sealed, and FIG. 4 is a cross-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pecific configuration of the input port opening and closing member 460 of FIG. Referring to FIGS. 3 and 4, the first solid-component transfer device is also provided with a charging port opening / closing member 460 for intermittently charging the solid component to be charged through the charging port 455. 3, a charging hole 464 is formed on a cylindrical surface, and the charging port opening / closing member 460 accommodates a screw rotating shaft 422 therein, and one end of the charging port opening / (422) and rotate together. The screw rotating shaft 422 may be received through the screw receiving port 466 and may be fixed to the screw rotating shaft 422 on the opposite side of the screw receiving port 466. In addition, a part of the first conveying screw 420 formed on the outer periphery of the screw rotating shaft 422 may be configured to be contained inside the loading port opening / closing member 460.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고형분 이송관(450)의 하단에 형성된 투입구(455)에 대하여 단속적으로 개폐되는 투입구 개폐 부재(460)의 투입공(464)에 의하여 제1 고형분 분리탱크(300) 내의 고형분이 단속적으로 제1 고형분 이송장치(400)를 통하여 이송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은 제1 고형분 분리탱크(300)에서 제1 고형분 이송장치(400)로 이송되는 물질은 고형분만이 아니고, 액상물도 함께 이송되므로, 제1 고형분 분리탱크(300)에 저장된 분쇄물에 의한 수압에 의하여 고형분이 액상물과 함께 단시간에 유입되어 상승할 수 있으므로 분리되지 않은 분쇄물이 고형분 이송장치(400)의 상단 배출구(430)로 배출될 수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제1 고형분 분리탱크(300)의 하단에 연결되는 제1 고형분 이송장치에 일종의 단속 장치로서, 투입구(455)에 대하여 회전하도록 구성하여, 단속적으로 개폐되도록 구성되는 투입공(464)을 포함하는 투입구 개폐 부재(460)를 포함하는 것이다. 도 3(a)는 투입구(455)에 대하여 투입공(464)이 일치하도록 구성되어 개방된 상태이고, 도 3(b)는 투입구(455)에 대하여 투입구 개폐 부재(460)가 회전하여 밀폐된 상태를 나타낸다. 참고로, 도 2(b) 내지 (e)는 제1 고형분 이송장치(400)에서 주요한 구성요소들을 구체적으로 보여주기 위한 전체 외관(b), 고형분 이송관(450)이 제거된 모습(c), 투입구 개폐 부재(460)까지도 제거된 모습(d)으로서, 도 2(c)에는 제1 이송 스크류(420)의 하부 말단(428)을 수용하기 위한 하단 지지부(470), 기어(442) 등이 나타나 있고, 스크류 회전축(422)에 고정된 투입구 개폐 부재(460)도 보이고, 도 2(e)는 투입구 개폐 부재(460)의 투입공(464)이 보이도록 배치된 모습을 나타낸다.With this configuration, the solid content within the first solid separation tank 300 can be uniformly held by the charging hole 464 of the charging port opening / closing member 460, which is intermittently opened and closed with respect to the charging port 455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solid fraction conveying pipe 450. Can be intermittently conveyed through the first solids conveying device (400). In this configuration, since the substance transferred from the first solids separation tank 300 to the first solids conveyance apparatus 400 is not only a solid component but also a liquid product, the powder is transferred to the pulverized product stored in the first solids separation tank 300 The solid matter can flow into the solid material conveying apparatus 400 for a short time and rise due to the water pressure caused by the liquid material. Therefore, the unsintered pulverized material can be discharged to the upper discharge port 430 of the solid material conveying apparatus 400. In order to solve such a problem, a first solids conveyance device connected to the lower end of the first solids separation tank 300 is a kind of intermittent device which is configured to rotate with respect to the charging port 455, 464, which are provided in the inlet opening / closing member 460. 3 (a) is a state in which the charging hole 464 coincides with the charging port 455, and FIG. 3 (b) is a state in which the charging port opening / closing member 460 is rotated with respect to the charging port 455, State. 2 (b) to 2 (e) illustrate an overall appearance b for showing the major constituent elements of the first solids conveyance device 400, a state c in which the solid fraction conveyance pipe 450 is removed, A lower end supporting portion 470 for receiving the lower end 428 of the first conveying screw 420, a gear 442 and the like for receiving the lower end 428 of the first conveying screw 420 And a loading opening and closing member 460 fixed to the screw rotating shaft 422 is also shown and FIG 2E shows a state in which the loading hole 464 of the loading opening and closing member 460 is seen.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하나의 실시 예로서, 도 1에 고형분과 액상물의 분리를 위한 고형분 분리탱크와 고형분 이송장치를 이중으로 구성한 낮은 함수율을 갖는 고형분을 생성하기 위한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의 개략적 구성도로서, 이송용 펌프(700) 이전의 구성은 도 1에서와 동일하여 생략하였다. 도 5에서는 도 1에서와 달리, 제2 고형분 분리탱크(500), 및 제2 고형분 이송장치(60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Fig. 5 is a schematic diagram of a food garbage disposal apparatus for producing a solid content having a low water content, in which a solid separation tank and a solid fraction transfer device for separating solids and liquids from each other are double- The configuration before the transfer pump 700 on the road is the same as in Fig. 1 and is omitted. In FIG. 5, unlike FIG. 1, it further comprises a second solids separation tank 500 and a second solids conveying device 600.

상기 제2 고형분 분리탱크(500)는 제1 고형분 이송장치(400)의 후단에 설치되어 분리되지 못한 액상물을 침전(비중분리)에 의하여 재차 분리하여 함수율을 더 낮춘 고형분을 얻는다. 제2 고형분 분리탱크(500)는 기본적으로 제1 고형분 분리탱크(300)와 유사한 구성을 갖지만, 제1 고형분 분리탱크(300)보다 액상물이 더 많이 제거된 음식물 쓰레기를 포함하고 있으므로, 용량이나 액상물 배출구(514)의 배치 높이 등에서 달리 설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이중의 고형분 분리탱크의 구성에 의하여 도 1의 장치보다 함수율이 매우 낮은, 약 30% 이하의 함수율을 갖는 고형분만이 고형분 이송장치를 통하여 이송될 수 있도록 한다.The second solids separation tank 500 is provided at the rear end of the first solids conveying device 400 and separates the unsuspended liquid material by precipitation (separation of specific gravity) to obtain a solid portion having a lower water content. The second solids separation tank 500 basically has a structure similar to that of the first solids separation tank 300 but includes food waste whose liquid matter is more removed than the first solids separation tank 300, The arrangement height of the liquid water outlet 514, and the like. By the construction of the double solids separation tank, only the solid fraction having a water content of about 30% or less, which is much lower in water content than the apparatus of FIG. 1, can be conveyed through the solid fraction conveying apparatus.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은 제2 고형분 분리탱크(500)의 내부에 격벽(530)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격벽(530)을 경계로 유입구(512)와 배출구(514)가 반대 위치에 형성되어, 유입구(512)로부터 유입되는 음식물 쓰레기의 유동성이 배출구(514) 측과 단절되도록 하여, 배출구(514)를 통하여 배출되는 액상물에 고형분이 혼입되지 않도록 한다.Referring to FIG. 6, a partition wall 530 may be formed in the interior of the second solids separation tank 500. The inlet port 512 and the outlet port 514 are formed at opposite positions with respect to the partition wall 530 so that the fluidity of the food waste introduced from the inlet port 512 is disconnected from the outlet port 514, Thereby preventing the solid matter from being mixed into the liquid material discharged through the through holes.

도 7은 도 5의 제2 고형분 이송장치를 구체적으로 도시하는 세부 구성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제2 고형분 이송장치(600)는 제2 고형분 분리탱크(500)의 하단에 침전된 고형분을 액상물과 분리 이송하기 위하여, 내부에 제2 이송 스크류(620)를 포함하고,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면에 대하여 경사를 갖도록 설치된다.FIG. 7 is a detailed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the second solid transfer device of FIG. 5 in detail. Referring to FIG. 7, the second solids conveying device 600 includes a second conveying screw 620 therein for separating and transferring the solid content precipitated at the lower end of the second solids separation tank 500 from the liquid phase And is installed so as to have an inclination with respect to the ground, as shown in Fig.

상기 제2 고형분 이송장치(600)는, 제1 고형분 이송장치(400)와 유사하게, 구동 모터(610), 상기 구동 모터(610)의 회전축에 결합된 스크류 회전축(622), 및 상기 스크류 회전축의 외주에 형성된 스크류 날개(624)로 구성된 이송 스크류(620), 및 상기 이송 스크류를 내부에 포함하고 하단 유입구(655)에서 상기 고형분 배출구(516)에 연통되고 상단에 배출구(657)가 형성된 고형분 이송관(65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구동 모터(61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스크류 회전축(622)에 직접 연결될 수도 있으나, 제1 고형분 이송장치(400)에서와 같이, 감속 구조를 포함할 수도 있다. 스크류 회전축(622)은 이송관(650)의 일면에 결합된 측벽(654)에 형성된 베어링 구조물(632)에 결합되어 구동 모터(610)의 회전 동력에 의하여 회전될 수 있는 구조를 이룬다.Similar to the first solids conveying device 400, the second solids conveying device 600 includes a driving motor 610, a screw rotating shaft 622 coupled to the rotating shaft of the driving motor 610, And a discharge port 657 formed at the upper end thereof and communicating with the solid discharge port 516 at the lower end discharge port 655. The discharge port 657 is formed at the upper end of the conveyance screw 620, And a transfer pipe 650. The drive motor 610 may be connected directly to the screw rotating shaft 622 as shown, but may include a decelerating structure, such as in the first solids conveying device 400. The screw rotating shaft 622 is coupled to a bearing structure 632 formed on the side wall 654 coupled to one side of the transfer pipe 650 and is rotatable by the rotational power of the driving motor 610.

도 7(a)를 참조하면, 고형분 이송관(650)은 반경이 상이한 두 개의 이송관(651, 652)이 연결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이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고형분 이송관(650)의 내부의 고형분에 포함된 수분을 발열수단에 의하여 증발시켜 완전히 제거할 수 있도록 고형분 이송관(650)의 내부가 충분한 체적을 갖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유입구 측의 이송관(651)은 길이가 짧고 반경이 작은 관으로 구성하고, 증발이 이루어지는 부분의 이송관(652)은 길이가 길고 반경이 큰 관으로 구성할 수 있다. 제2 고형분 이송장치(600)는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 고형분의 이송을 담당하는 구동부로서, 구동 모터(610), 베어링 구조물(632), 구동 모터(610)의 회전축에 연결된 이송 스크류(620), 이송 스크류(620)의 말단부(628)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홈(635)이 형성된 지지부(634), 및 이송 스크류(620)에 고정된 투입구 개폐 부재(660)를 포함할 수 있고, 이러한 구동부를 내부에 포함하고 고형분을 수용하여 이동시키기 위한 케이스로서, 이송관(650)을 포함한다. 기타 제2 고형분 이송장치(600)의 대부분의 구성요소들은 제1 고형분 이송장치(400)의 구성요소들과 유사하여 여기에서는 구체적 설명을 생략한다.Referring to FIG. 7 (a), the solid fraction conveying pipe 650 may be configured such that two conveying pipes 651 and 652 having different radii are connected to each other. This is for the purpose of ensuring that the inside of the solid fraction conveying pipe 650 has a sufficient volume so that moisture contained in the solid part of the solid part conveying pipe 650 can be completely removed by the heating means by evaporation as described later, The conveying pipe 651 at the side where the evaporation is performed can be constituted by a tube having a long length and a large radius. As shown in FIG. 7 (a), the second solid-state transfer device 600 is a drive unit for transferring solid matter to the inside, and includes a drive motor 610, a bearing structure 632, A supporting portion 634 in which a receiving groove 635 for receiving the distal end portion 628 of the feeding screw 620 is formed and an inlet opening and closing member 660 fixed to the feeding screw 620 are included And includes a conveying pipe 650 as a case for containing the driving part therein and accommodating and moving the solid part. Most of the other components of the second solid transfer device 600 are similar to those of the first solid transfer device 400 and will not be described in detail here.

도 7(a)를 다시 참조하면, 상기 제2 고형분 이송장치(600)는 내부로 열을 전달하기 위한 발열수단(680), 및 가온에 의하여 발생하는 수증기를 배출시키기 위한 배출팬(67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발열수단(680)은 제2 고형분 이송장치(600)의 내면 또는 외면을 둘러싸도록 하고, 열원, 예로서 열선을 배치하고 전원을 공급하여 제2 고형분 이송장치(600)의 이송관(650)을 가열하여, 내부의 온도를 높이게 되고, 내부에 포함된 고형분로 열이 전달되어 고형분에 포함된 수분을 증발시키고, 증발된 수증기는 배출팬(670)에 의하여 외부로 배출되도록 구성된다. 배출팬(670)에 배출관(미도시)을 연결하여 악취가 장치 밖으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도 있다. 도 7(e) 및 도 8에 하나의 예시로서, 제2 고형분 이송장치(600)의 외면에 부착되는 발열수단(680)의 한 예가 도시되어 있다.Referring again to FIG. 7A, the second solids conveying device 600 includes a heat generating means 680 for transferring heat to the inside, and a discharge fan 670 for discharging steam generated by heating . The heat generating means 680 surrounds the inner surface or the outer surface of the second solids conveying device 600 and arranges a heat source such as a hot wire and supplies power to the conveying pipe 650 of the second solids conveying device 600 And the heat is transferred to the solid content contained therein to evaporate water contained in the solid content, and the evaporated water vapor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by the discharge fan 670. A discharge pipe (not shown) may be connected to the discharge fan 670 to prevent odor from leaking out of the apparatus. As an example in Fig. 7 (e) and Fig. 8, an example of the heating means 680 attach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second solids conveying device 600 is shown.

이와 같은 본 발명의 낮은 함수율을 갖는 고형분을 생성하기 위한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의 동작 및 기능을 살펴보면, 교반(100)에서 생성된 액상화된 음식물 쓰레기가 제1 고형분 분리탱크(300)에서 대략 1시간 반에서 2시간 정도의 분리 및 하강 과정을 거치면서 고형분이 침전에 의하여 하강하여, 제1 고형분 이송장치(400)로 전달되고, 고형분이 분리된 상층부에 존재하는 액상물은 배출구(314)를 통하여 배출된다. 제1 고형분 이송장치(400)를 통하여 상승 이동하는 고형분은 대략 15분 정도의 이송 과정을 거치면서 제2 고형분 분리탱크(500)로 투입되고, 제2 고형분 분리탱크(500)에서 대략 1 내지 2시간 정도의 분리 및 하강 과정을 거치면서 고형분이 재차 침전에 의하여 하강하여, 제2 고형분 이송장치(600)로 전달되고, 고형분이 재차 분리된 상층부에 존재하는 액상물은 배출구(514)를 통하여 배출된다. 제2 고형분 이송장치(600)를 통하여 상승 이동하는 고형분은 대략 15분 정도의 이송 과정을 거치면서 증발에 의하여 수분이 더욱 제거되어 함수율이 약 30% 이내로 낮아진 상태로 고형분 수거통(800)으로 수거된다. 한편, 고형분 수거통(800)에도 별도의 가열수단을 장착하여 더욱 함수율을 낮춘 고형분을 획득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The operation and function of the food waste disposal apparatus for producing a solid content having a low water cont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now be described. The liquefied food waste generated in the agitation 100 is circulated in the first solids separation tank 300 for about one and a half hours The solid content is lowered by precipitation and transferred to the first solids conveying device 400. The liquid material present in the separated upper part of the solid part is discharged through the discharge port 314 do. The solid component moving upward through the first solid component transfer device 400 is introduced into the second solid component separation tank 500 while being transported for about 15 minutes and is supplied to the second solid component separation tank 500 at a rate of about 1 to 2 The solid matter is lowered again by sedimentation and transferred to the second solid-component conveying device 600, and the liquid material existing in the separated upper part of the solid material again is discharged through the discharge port 514 do. The solid material moving upward through the second solid-component conveying device 600 is transferred to the solid-collecting container 800 in a state in which water content is further reduced to about 30% or less by evaporation while being transferred for about 15 minutes . On the other hand, it is also possible to obtain a solid content lowered in water content by mounting a separate heating means in the solid content holding box 800 as well.

도 9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의 교반조 내에 설치되는 교반장치의 구성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교반장치(110)는 교반 회전축(112), 수평 날개부(113, 114, 115), 수직 날개부(111, 116, 117), 및 중간 연결부(118)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9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stirring device installed in a stirring tank of a garbage disposal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the stirring device 110 includes a stirring rotary shaft 112, horizontal wing portions 113, 114 and 115, vertical wing portions 111, 116 and 117, and an intermediate connecting portion 118 Lt; / RTI >

수평 날개부는 교반 회전축(112)에 수직으로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되어 고정된 환봉의 양측 말단에 교반날개(113, 114)가 서로 반대 방향의 경사를 갖도록 형성되고, 수직 날개부는 수평 날개부와 수직으로 교반 회전축(112) 상에 배치되어 고정된 환봉(116)의 양측 말단에 교반날개(111, 117)가 서로 반대 방향의 경사를 갖도록 형성된다. 또한, 수직 날개부의 환봉(116)과 수평 날개부의 환봉(115) 사이를 연결하는 중간 연결부(118)가 나선 스크류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The horizontal wing portions are formed at regular intervals on the agitating rotary shaft 112 so that the stirring wings 113 and 114 are formed at opposite ends of the fixed round bar so as to have inclination directions opposite to each other. The stirring vanes 111 and 117 are formed on opposite ends of the round bar 116 disposed and fixed on the stirring rotation shaft 112 so as to have inclination directions opposite to each other. Further, the intermediate connection portion 118 connecting the round bar 116 of the vertical wing portion and the round bar 115 of the horizontal wing portion is formed in the shape of a spiral screw.

수평 날개부와 수직 날개부는 상기 교반 회전축(112)의 중심에 대하여 대칭되도록 형성되고, 각각의 교반 날개의 경사 방향은 교반 회전축(112)의 중심에 대하여 같은 위치에서는 모두 동일한 방향으로 배향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교반 회전축(112)의 회전이 있을 대에 음식물 쓰레기는 교반 회전축의 중심으로 움직이면서 교반되거나, 그 반대 방향으로 움직이면서 교반되도록 제어될 수 있다. 즉, 교반 회전축(112)을 정회전 및 역회전을 반복적으로 수행함으로써 교반조(100) 내에 음식물 쓰레기가 측방향과 중심방향으로 반복하여 움직이면서 효과적으로 교반 및 분쇄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때 수평 날개부가 음식물 쓰레기를 교반 회전축의 중심으로 이동시키도록 동작할 때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 날개부는 음식물 쓰레기를 교반 회전축의 중심에서 바깥으로 향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동작하도록 서로 반대로 구성하면 음식물 쓰레기를 단시간에 효과적으로 교반 및 분쇄할 수 있게 된다.The horizontal wing portion and the vertical wing portion are configured to be symmetrical with respect to the center of the stirring rotation shaft 112 and the inclination directions of the respective stirring wings are configured to be all oriented in the same direction at the same position with respect to the center of the stirring rotation axis 112 . Therefore, when the rotation of the stirring rotary shaft 112 occurs, the food garbage can be controlled to be stirred while being moved to the center of the stirring rotary shaft, or stirred while moving in the opposite direction. That is, by performing the forward rotation and the reverse rotation of the stirring rotation shaft 112 repeatedly, the food waste can be effectively stirred and crushed in the stirring tank 100 while moving repeatedly in the lateral direction and the center direction. At this time, when the horizontal wing portion is operated to move the food waste toward the center of the agitating rotary shaft, as shown in the figure, the vertical wing portion is configured to move the food waste toward the outward direction from the center of the agitated rotary shaft, The garbage can be effectively stirred and crushed in a short time.

또한, 중간 연결부(118)는 나선형태로 구성되어 음식물 쓰레기의 분쇄 및 이송에 협력할 수 있고, 수평 날개부(114)와 수직 날개부(116)를 견고하게 고정해 주는 역할도 수행할 수 있다.The intermediate connection part 118 may be formed in a spiral shape to cooperate with the crushing and transporting of the food waste and may securely fix the horizontal wing part 114 and the vertical wing part 116 .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하다. 또한, 첨부된 도면으로부터 용이하게 유추할 수 있는 사항은 상세한 설명에 기재되어 있지 않더라도 본 발명의 내용에 포함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며, 다양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Various modifications can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in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scope of the invention. It will not.

100: 교반조 110: 교반장치
111, 113, 114, 117: 교반날개 112: 교반회전축
115, 116: 환봉 118: 중간 연결부
200: 분쇄물 저장탱크
300: 제1 고형분 분리탱크 400: 제1 고형분 이송장치
500: 제2 고형분 분리탱크 530: 격벽
600: 제2 고형분 이송장치 620: 이송 스크류
630: 베어링 구조물 634: 하단 지지부
660: 투입구 개폐부재 670: 배출팬
680: 발열수단
700: 이송용 펌프 800: 고형분 수거통
100: Stirring tank 110: Stirring apparatus
111, 113, 114, 117: stirring wing 112: stirring rotating shaft
115, 116: round bar 118: intermediate connection
200: crushed water storage tank
300: first solid separation tank 400: first solid fraction transfer device
500: second solid separation tank 530: partition wall
600: second solid component transfer device 620: transfer screw
630: Bearing structure 634: Lower support
660: input port opening / closing member 670: exhaust fan
680: Heating means
700: Feeding pump 800: Solids collector

Claims (1)

교반장치가 구비되어 투입된 음식물을 교반하여 분쇄물을 생성하기 위한 교반조;
상기 교반조로부터 분쇄물을 이송받아 침전에 의하여 분쇄물로부터 고형분을 비중분리하기 위한 고형분 분리탱크;
상기 고형분 분리탱크의 하단에 침전된 고형분을 분리 이송하기 위한 고형분 이송장치; 및
상기 고형분 이송장치의 후단에 연결되어 이송된 고형분을 최종적으로 수거하기 위한 고형분 수거통;
을 포함하고,
상기 고형분 이송장치는:
구동 모터;
지면에 대하여 경사를 갖도록 설치되고, 하단 측부에 형성된 투입구를 통하여 상기 고형분 분리탱크에 연통되고 상단에 고형분 배출구가 형성된 고형분 이송관;
상기 고형분 이송관의 내부에 형성되고, 상기 구동 모터의 회전축에 결합된 스크류 회전축, 및 상기 스크류 회전축의 외주에 형성된 스크류 날개로 구성된 이송 스크류; 및
상기 고형분 이송관의 하단 내측에서 상기 스크류 회전축에 고정되어 상기 이송 스크류와 함께 회전하도록 설치되고, 측면에 투입공이 형성되어 상기 고형분 이송관의 투입구와 주기적으로 연통되도록 구성된 투입구 개폐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A stirrer provided with an agitator to stir the charged food to produce pulverized material;
A solid separation tank for transferring the pulverized product from the stirring tank and separating the solid component from the pulverized product by precipitation;
A solid fraction conveying device for separating and transferring the precipitated solid at the lower end of the solid separation tank; And
A solid fraction collection container connected to a rear end of the solid fraction conveying device to finally collect the transferred solid fraction;
/ RTI >
The solid fraction transferring apparatus comprises:
A drive motor;
A solid fraction conveying pipe provided so as to have an inclination with respect to the paper surface and communicating with the solid separating tank through an inlet formed at the lower end side portion and having a solid outlet at an upper end;
A conveying screw formed inside the solid content conveying pipe and including a screw rotating shaft coupled to a rotating shaft of the driving motor and a screw blade formed on an outer circumference of the screw rotating shaft; And
And an inlet opening and closing member which is fixed to the screw rotary shaft at the lower end of the solid fraction conveying pipe so as to rotate together with the conveying screw and has a charging hole formed at the side thereof to periodically communicate with the charging port of the solid fraction conveying pipe Food waste disposal device characterized.
KR1020170094734A 2017-07-26 2017-07-26 Food Garbage Processing Apparatus for Producing Solid Matter With Low Moisture Content KR10186730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4734A KR101867309B1 (en) 2017-07-26 2017-07-26 Food Garbage Processing Apparatus for Producing Solid Matter With Low Moisture Conten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4734A KR101867309B1 (en) 2017-07-26 2017-07-26 Food Garbage Processing Apparatus for Producing Solid Matter With Low Moisture Content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13618A Division KR20180026836A (en) 2016-09-05 2016-09-05 Food Garbage Processing Apparatus for Producing Solid Matter With Low Moisture Conten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27329A KR20180027329A (en) 2018-03-14
KR101867309B1 true KR101867309B1 (en) 2018-06-14

Family

ID=616606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94734A KR101867309B1 (en) 2017-07-26 2017-07-26 Food Garbage Processing Apparatus for Producing Solid Matter With Low Moisture Conten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67309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436865A (en) * 2018-12-08 2019-03-08 南通丰威机械有限公司 A kind of medicinal powder device for discharging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11756B1 (en) * 2018-03-20 2019-10-21 손산 Herbal remedi seperating method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28851A (en) * 2001-10-04 2003-04-11 부국환경 주식회사 Agitator for removed waste
KR20060027737A (en) * 2004-09-23 2006-03-28 주식회사 일진도시환경 The apparatus which prevent to mix soil into washing water storage, installed in regeneration apparatus of waste aggregate
KR20100124483A (en) * 2009-05-19 2010-11-29 이명세 Garbage gathering apparatus
KR20140012816A (en) * 2012-07-23 2014-02-04 김동석 Food waste receiving canister having a discharge apparatus of sludge
KR20160039408A (en) * 2014-10-01 2016-04-11 김혜진 Dryer for disposing of food waste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9901B1 (en) 2007-12-10 2010-05-26 신세기 시스템 (주) Garbage treating apparatus
KR101131935B1 (en) 2009-08-31 2012-03-29 김숙희 Apparatus of resolving food waste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28851A (en) * 2001-10-04 2003-04-11 부국환경 주식회사 Agitator for removed waste
KR20060027737A (en) * 2004-09-23 2006-03-28 주식회사 일진도시환경 The apparatus which prevent to mix soil into washing water storage, installed in regeneration apparatus of waste aggregate
KR20100124483A (en) * 2009-05-19 2010-11-29 이명세 Garbage gathering apparatus
KR20140012816A (en) * 2012-07-23 2014-02-04 김동석 Food waste receiving canister having a discharge apparatus of sludge
KR20160039408A (en) * 2014-10-01 2016-04-11 김혜진 Dryer for disposing of food wast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436865A (en) * 2018-12-08 2019-03-08 南通丰威机械有限公司 A kind of medicinal powder device for discharging
CN109436865B (en) * 2018-12-08 2020-09-18 南通丰威机械有限公司 Powder discharge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27329A (en) 2018-03-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10516454A (en) Organic substance drying equipment
CN113082832B (en) Efficient cleaning and reducing treatment equipment for household garbage
KR101867309B1 (en) Food Garbage Processing Apparatus for Producing Solid Matter With Low Moisture Content
KR20110034232A (en) Refuse structure food sweeping for a sink
KR101625332B1 (en) Automatic garbage collecting apparatus using a food waste reduction processing equipment
KR100676729B1 (en) A device for recycling a waste
CN109201710A (en) Kitchen castoff processing unit
CN106670214A (en) Solid medical waste treatment device
CN211586900U (en) Kitchen waste treatment device
CN111269035A (en) Integrated intelligent kitchen waste treatment equipment
CN106957184A (en) A kind of rubbish treatment in situ system of energy-conserving and environment-protective
KR101771502B1 (en) Solid-liquid separation device
KR20180026836A (en) Food Garbage Processing Apparatus for Producing Solid Matter With Low Moisture Content
KR20170049730A (en) Sewage treatment plant of portable toilets
JP7132118B2 (en) Fermentation processing equipment
JP2000061432A (en) Organic waste treating method and device
KR20170006173A (en) System for reducing weight of organized sludge by fermentation and dry
CN113976001A (en) Hydrogen storage material canning and recycling device and method for hydrogen storage tank
CN213446459U (en) A decomposition device for sewage treatment
CN212669574U (en) Perishable garbage in-situ treatment integrated device with capacity and high value-added products
CN111659696B (en) Wet garbage treatment device and wet garbage treatment method
KR20160107872A (en) Apparatus for Processing Food Garbage
KR101751489B1 (en) Food waste multi processing device
CN214991196U (en) Livestock manure fermentation system
KR200166520Y1 (en) Food refuse resolve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