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66976B1 - 다기능 수처리용 여재 및 이를 이용한 수처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다기능 수처리용 여재 및 이를 이용한 수처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66976B1
KR101866976B1 KR1020170023547A KR20170023547A KR101866976B1 KR 101866976 B1 KR101866976 B1 KR 101866976B1 KR 1020170023547 A KR1020170023547 A KR 1020170023547A KR 20170023547 A KR20170023547 A KR 20170023547A KR 101866976 B1 KR101866976 B1 KR 1018669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treatment
tubular body
outer tube
tube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235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인환
Original Assignee
정일이앤지(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일이앤지(주) filed Critical 정일이앤지(주)
Priority to KR10201700235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6697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669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669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02Aerobic processes
    • C02F3/10Packings; Fillings; Grids
    • C02F3/109Characterized by the shape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28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sorption
    • C02F1/283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sorption using coal, charred products, or inorganic mixtures containing them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003/001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using granular carriers or supports for the microorganisms
    • C02F2003/003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using granular carriers or supports for the microorganisms using activated carbon or the lik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10/00Technologies for wastewater treatment
    • Y02W10/1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Biological Treatment Of Waste Water (AREA)
  • Water Treatment By Sor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처리용 부재 및 이를 이용한 수처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필요에 따라 기능 확장이 가능한 새로운 다기능 수처리용 부재와 이를 이용한 다양한 수처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수처리용 부재는 관형 몸체부, 여기서 상기 관형 몸체부의 표면에는 다수의 통기구들이 있으며, 내측에는 소정 형상의 흡착판을 고정할 수 있는 돌기들이 있으며, 및 관형 몸체부의 입구와 출구에 다른 부재에 결합할 수 있는 결합부를 포함하는 다기능 수처리용 부재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다기능 수처리용 여재 및 이를 이용한 수처리 시스템{Mulitfunctional water treatment media and water treatment system}
본 발명은 수처리용 부재 및 이를 이용한 수처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필요에 따라 기능 확장이 가능한 새로운 다기능 수처리용 부재와 이를 이용한 다양한 수처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수처리는 상수 또는 우수 처리부터 오폐수처리에 이르기까지 넓은 범위가 포함된다. 상수 또는 우수 처리에는 활성탄과 같은 여과 및 흡착 방식이 사용될 수 있으며, 오폐수처리에는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진 접촉 여재에 성장된 미생물이 주로 이용된다. 오폐수 처리의 한 공법으로는 섬유상 여재를 이용한 HBC 방법도 있다. 따라서, 하나의 여재를 이용해서 다양하게 적용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한 요구가 계속되고 있다.
종래 대한민국 특허 제1195412호에서는 수처리용 여재를 예시한다.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수처리용 미생물 접촉 여재로 사용될 수 있고, 필요에 따라서 수처리용 여과 흡착재로 사용될 수 있으며, 또한 필요에 따라서 HBC링의 고정부재로 사용될 수 있는 다기능 부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다기능 부재를 이용할 수 있는 다양한 수처리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관형 몸체부, 여기서 상기 관형 몸체부의 표면에는 다수의 통기구들이 있으며, 내측에는 소정 형상의 흡착판을 고정할 수 있는 고정수단이 있으며, 및
관형 몸체부의 입구와 출구에 동일 형상의 다른 부재와 결합할 수 있는 결합부를 포함하는 수처리용 부재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입구'는 관형 몸체부의 일단에 형성된 개구부이며, '출구'는 관형 몸체부의 타단에 상기 입구에 대향하여 형성된 개구부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관형 몸체부는 길이 방향을 따라서 지름이 변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관형 몸체부는 길이방향을 따라서 일단에서부터 중심까지 지름이 점점 줄어들다가 중심부터 타단까지 지름이 점점 증가하는 오목 형태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에 있어서, 상기 관형 몸체부는 이중관형 몸체일 수 있다. 상기 이중관형 몸체의 내부 관은 일정한 지름의 관형 몸체일 수 있으며, 내부관은 외부관의 내측에 고정 부재를 통해서 고정될 수 있다. 상기 고정 부재는 내부관의 외면과 외부관의 내면에 일체로 형성되고, 관형 몸체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서 길계 연장된 하나 이상의 연결편일 수 있다. 상기 연결편은 90도 간격으로 네 개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은 관형 몸체부의 내측에 돌출된 돌기들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에 있어서, 관형 몸체부가 이중 관형 몸체부일 경우, 돌기들은 내부관의 내측에서 돌출된 돌기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일 실시에 있어서, 상기 흡착판은 돌기에 끼워지는 홈이 형성되어 돌기에 끼워져 고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에 있어서, 상기 흡착판은 두 개의 돌기부가 서로 대향하여 돌출되고, 돌기 사이에 흡착판이 고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에 있어서, 상기 돌기부는 입구에 2개가 대향하여 형성되고, 출구에 2개가 대향하여 형성되어, 흡착판의 일측이 입구에 형성된 2개의 돌기부 사이에 끼워져 고정되고, 흡착판의 타측이 출구에 형성된 2개의 돌기부 사이에 끼워져 고정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관형 몸체부의 내부에 삽입되는 흡착판은 활성탄을 압착해서 가공한 얇은 직육면체 형태의 흡착판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입구에 형성된 결합부는 출구에 형성된 결합부와 쌍을 이루어, 수처리용 부재의 입구에 형성된 결합부는 동일한 형상의 다른 수처리용 부재의 출구에 형성된 결합부에 결합될 수 있으며, 수처리용 부재의 출구에 형성된 결합부는 동일한 형상의 다른 수처리용 부재의 입구에 형성된 결합부에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에 있어서, 상기 입구에 형성된 결합부는 입구 내면에 형성된 고리형 홈일 수 있으며, 출구에 형성된 결합부는 입구 외면에 형성된 고리형 돌기일 수 있다. 수처리용 부재의 출구를 다른 수처리용 부재의 입구에 압착하여 억지 끼움식으로 결합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에 있어서, 상기 입구에 형성된 결합부는 입구 내면에 형성된 나산산일 수 있으며, 출구에 형성된 결합부는 출구 외면에 형성된 나사산일 수 있다. 수처리용 부재의 출구를 다른 수처리용 부재의 입구에 나사 결합하여 상호 결합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에 있어서, 상기 수처리용 부재에는 필요에 따라서 흡착판이 삽입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다른 실시에 있어서, 상기 수처리용 부재들은 상호 결합되어 길게 연장된 관형 부재를 형성할 수 있다. 수처리용 부재들이 길게 연장되어 형성된 관형 부재는 HBC 링의 지지부재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일 측면에서, 관형 몸체부, 여기서 상기 관형 몸체부의 표면에는 다수의 통기구들이 있으며, 내측에는 소정 형상의 흡착판을 고정할 수 있는 돌기들이 있으며, 및 관형 몸체부의 입구와 출구에 다른 부재에 결합할 수 있는 결합부를 포함하는 수처리용 부재를 포함하는 수처리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에 있어서, 상기 수처리 시스템은 수처리용 부재가 미생물 접촉 여재로 사용되는 오폐수 처리 시스템일 수 있다.
본 발명은 일 측면에 있어서, 관형 몸체부, 여기서 상기 관형 몸체부의 표면에는 다수의 통기구들이 있으며, 내측에는 소정 형상의 흡착판을 고정할 수 있는 돌기들이 있으며, 및 관형 몸체부의 입구와 출구에 다른 부재에 결합할 수 있는 결합부를 포함하는 수처리용 부재와 상기 수처리용 부재의 내측에 결합되는 흡착판을 포함하는 수처리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에 있어서, 상기 수처리 시스템은 수처리용 부재와 흡착판이 흡착 및/또는 여과재로 사용되는 우수 처리 시스템일 수 있다.
본 발명은 일 측면에 있어서, 관형 몸체부, 여기서 상기 관형 몸체부의 표면에는 다수의 통기구들이 있으며, 내측에는 소정 형상의 흡착판을 고정할 수 있는 돌기들이 있으며, 및 관형 몸체부의 입구와 출구에 다른 부재에 결합할 수 있는 결합부를 포함하는 수처리용 부재들이 상호 연결된 관형 지지체와, 상기 관형 지지체에 결합된 HBC링을 포함하는 수처리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에 있어서, 상기 수처리 시스템은 HBC링을 포함하는 현수미생물 접촉 폭기조일 수 있다. 필요에 따라서, 수처리용 부재의 내측에 활성탄으로 성형된 흡착판이 고정되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여재의 표면에는 미생물의 접촉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엠포싱이 추가로 형성될 수 있다.
본원 발명에 따라서 하나의 수처리용 부재를 다양하게 사용할 수 있는 새로운 다기능 수처리용 부재가 개시되었다.
본 발명에 따른 수처리용 부재는 미생물 접촉 여재, 현수미생물 접촉 폭기조의 HBC링 지지체, 활성탄을 이용한 흡착판의 고정지지대와 같은 다양한 기능을 가질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에 따른 수처리용 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에 따른 수처리용 부재의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에 따른 수처리용 부재의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에 따른 수처리용 부재의 측단면도이다.
도 5은 본 발명의 실시에 따른 수처리용 부재에 흡착판이 삽입된 상태를 나타내는 측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에 따른 수처리용 부재들이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측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에 따른 수처리용 부재들이 결합된 상태에서 HBC링이 끼워진 상태를 보여주는 측단면도이다.
이하, 실시예를 통해서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한정하기 위한 것은 아니면,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이다.
도 1 내지 도 4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수처리용 부재(10)는 절구형태의 외부관(110)과, 상기 외부관의 중심부에 동심원 형태로 위치하는 원형 파이프 형태의 내부관(120)과, 일측은 상기 내부관(120)의 외면에 일체로 결합되며, 타측은 상기 외부관(110)의 내면에 일체로 결합되며, 내부관(120)의 길이방향으로 따라서 길게 연장되는 내부관의 둘레를 따라 90도 간격으로 이격된 4개의 결합편(130)을 포함하는 이중관형 몸체부(100)를 가진다.
상기 이중관형 몸체부(100)에서 외부관(110)의 길이가 내부관(120)의 길이보다 양쪽으로 약간 길게 형성되며, 상기 외부관(110) 상단의 외면에는 둘레를 따라서 형성된 링 형태의 홈으로 이루어진 제1 결합부(140)을 형성하며, 상기 외부관(110) 하단의 내면에는 둘레를 따라서 형성된 링 형태의 돌기로 이루어진 제2 결합부(150)를 형성한다.
상기 제1 결합부(140)의 외면 형상과 상기 제2 결합부의 내면 형상에 서로 일치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제1 결합부(140)가 동일 형상의 다른 수처리용 부재(10)의 제2 결합부(150)에 삽입되어 억지 끼움식으로 고정된다.
이중 관형 몸체부(100)의 외부관(110)에는 외부관의 둘레를 따라서 길게 연장되는 다수의 통공(160)들이 형성된다.
이중 관형 몸체부(100)의 내부관(120)에는 일측 입구 내측에 한 쌍의 부채꼴 형태의 돌기(121)들이 대칭되게 형성되며, 돌기(121)들 사이에는 판재가 끼워질 수 있도록 소정 간격의 고정홈(122)가 형성된다. 상기 돌기(121)들은 타측 입구의 내측에도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도 5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수처리용 부재(10)의 내부에는 활성탄을 압착한 흡착판(200)이 길이 방향으로 끼워질 수 있다. 흡착판(200)의 상단은 수처리용 부재(10)의 제1 돌기(121)들 사이의 고정홈(122)에 고정된다.
한편, 도 6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결합부(140)의 내부 형상은 제2 결합부(150)의 외부 형상에 상응하도록 구성되어, 이중 관형 몸체부(100)의 제2 결합부(150)가 다른 수처리용 부재의 이중 관형 몸체부(100)의 제1 결합부(140)에 삽입되어 억지끼움 형태로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서, 도 7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수처리용 부재들이 제1 결합부(140)와 제2 결합부(150)가 결합되어 하나의 긴 지지대(1000)를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수처리용 부재(10)들은 다양한 수처리 공정에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 내지 도 7에 도시된 수처리용 부재(10)들은 오수를 생물학적 분해 및 여과 처리하기 위한 오수처리 시설에 사용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수처리시설(100)은 유량 조정조(1)와 제1 폭기조(2)와 제2 폭기조(3) 및 침전조(4)로 이루어진다. 수처리용 부재들은 폴리에틸렌으로 만들어져 물에 부유되며, 혐기성 미생물 반응조에서 폭기조와 여과조에 사용될 수 있다.
도 9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수처리용 부재(10)들은 흡착판(200)이 삽입되어 끼워진 상태로 오수 처리 후단에서 처리되지 않고 방출되는 미세플록을 흡착하는 흡착재로 사용될 수 있다. 흡착판(200)이 삽입된 여과용 부재(10)들은 도 9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유량 조정조(1)와 제1 폭기조(2)와 제2 폭기조(3) 및 침전조(4)와 여과조(5)로 이루어진 고도 폐수처리 공정에서 여과조(5) 내부에서 미세 플록을 흡착할 수 있도록 사용된다.
도 10 및 도 11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수처리용 부재(10)들이 연결된 지지대(1000)는 현수미생물(HBC)링(300)의 지지대로 사용된다. 수처리용 부재(10)들이 연결된 지지대(1000)에 HBC링(300)을 끼워져 삽입하고, HBC링이 삽입된 지지대(1000)를 HBC링 고정대(2000) 사이에 끼워져 고정하고, 이를 오폐수 처리조(3000)에 삽입하여 사용하게 된다.
10: 수처리용 부재
100: 이중관형 몸체부
110: 외부관
120: 내부관
130: 결합편
140: 제1 결합부
150; 제2 결합부
200: 흡착판

Claims (4)

  1. 이중관형 몸체부, 여기서
    상기 이중 관형 몸체부는 절구형태의 외부관(110)과, 상기 외부관의 중심부에 동심원 형태로 위치하는 원형 파이프 형태의 내부관(120)과, 일측은 상기 내부관(120)의 외면에 일체로 결합되며, 타측은 상기 외부관(110)의 내면에 일체로 결합되는 다수의 결합편(130)을 가지며,
    상기 이중 관형 몸체부(100)의 외부관(110)에는 외부관의 둘레를 따라서 길게 연장되는 다수의 통공(160)들을 가지며, 그리고
    이중 관형 몸체부(100)의 내부관(120)에는 일측 입구 내측에 한 쌍의 돌기(121)들이 대칭되게 형성되며, 돌기(121)들 사이에는 판재가 끼워질 수 있도록 소정 간격의 고정홈(122)가 형성되며; 및
    이중 관형 몸체부의 입구와 출구에 동일 형상의 다른 부재와 결합할 수 있는 결합부, 여기서,
    상기 외부관(110)의 길이가 내부관(120)의 길이보다 양쪽으로 약간 길게 형성되며, 상기 외부관(110) 상단의 외면에는 둘레를 따라서 형성된 링 형태의 홈으로 이루어진 제1 결합부(140)을 형성하며, 상기 외부관(110) 하단의 내면에는 둘레를 따라서 형성된 링 형태의 돌기로 이루어진 제2 결합부(150)를 가지며, 그리고
    상기 제1 결합부(140)가 동일 형상의 다른 수처리용 부재(10)의 제2 결합부(150)에 삽입되어 억지 끼움식으로 고정되도록, 상기 제1 결합부(140)의 외면 형상과 상기 제2 결합부의 내면 형상에 서로 일치하도록 형성됨;으로 이루어진 다기능 수처리용 부재이며,
    상기 다기능 수처리용 부재는 폭기조에 부유되어 미생물 접촉 여재로 사용되거나, 내부관에 흡착판이 삽입되어 여과용 부재로 사용되거나, 상호간에 길게 결합되어 HBC링 지지 부재로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유성 다기능 수처리용 부재.
  2. 제1항에 따른 부유성 다기능 수처리용 부재들을 미생물 접촉 여재로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처리 시스템.
  3. 제1항에 따른 부유성 다기능 수처리용 부재들에 흡착판을 고정하여 여과용 부재로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처리 시스템.
  4. 제1항에 따른 부유성 다기능 수처리용 부재들은 연결하여 HBC링을 결합시켜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처리 시스템.
KR1020170023547A 2017-02-22 2017-02-22 다기능 수처리용 여재 및 이를 이용한 수처리 시스템 KR1018669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3547A KR101866976B1 (ko) 2017-02-22 2017-02-22 다기능 수처리용 여재 및 이를 이용한 수처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3547A KR101866976B1 (ko) 2017-02-22 2017-02-22 다기능 수처리용 여재 및 이를 이용한 수처리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66976B1 true KR101866976B1 (ko) 2018-07-19

Family

ID=630582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23547A KR101866976B1 (ko) 2017-02-22 2017-02-22 다기능 수처리용 여재 및 이를 이용한 수처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6697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051181A1 (pt) * 2019-09-19 2021-03-25 SISTI, Flávio Fernandes Disposição construtiva introduzida em meio suporte para estações de tratamento de efluentes
KR20210001242U (ko) * 2019-11-27 2021-06-04 김이순 정화조용 고정형 메디아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18122U (ko) * 1997-11-07 1999-06-05 강대권 현수 미생물 접촉 폭기 정화조
KR200188811Y1 (ko) * 1999-12-27 2000-07-15 오상도 정화조용 미생물 접촉여재
KR100829882B1 (ko) * 2007-04-02 2008-05-16 주식회사 차세대환경 폐수처리용 미생물 담체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18122U (ko) * 1997-11-07 1999-06-05 강대권 현수 미생물 접촉 폭기 정화조
KR200188811Y1 (ko) * 1999-12-27 2000-07-15 오상도 정화조용 미생물 접촉여재
KR100829882B1 (ko) * 2007-04-02 2008-05-16 주식회사 차세대환경 폐수처리용 미생물 담체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051181A1 (pt) * 2019-09-19 2021-03-25 SISTI, Flávio Fernandes Disposição construtiva introduzida em meio suporte para estações de tratamento de efluentes
KR20210001242U (ko) * 2019-11-27 2021-06-04 김이순 정화조용 고정형 메디아
KR200494559Y1 (ko) * 2019-11-27 2021-11-03 김이순 정화조용 고정형 메디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66976B1 (ko) 다기능 수처리용 여재 및 이를 이용한 수처리 시스템
US8931763B2 (en) Modular diffuser body and aeration system
JPS6087804A (ja) 濾過装置
US5092993A (en) Fluid filter having enhanced adaptability to environmental conditions
CN204093323U (zh) 烧结管式超滤膜
AU2003271636A1 (en) Reactor with two gas traps and method for the anaerobic treatment of liquids
GB0116358D0 (en) Preparation of polymer particles
KR101324795B1 (ko) 산기관
KR101831728B1 (ko) 활성탄소섬유필터가 구비된 샤워기
KR101394127B1 (ko) 수처리시설용 터널형 통기관
CN108079787A (zh) 一种软片膜用缓冲设备及具有该缓冲设备的污水过滤模组
CN220520222U (zh) 一种核孔膜污水净化装置
KR200188811Y1 (ko) 정화조용 미생물 접촉여재
CN207684947U (zh) 污水处理用过滤膜组固定机构
CN214060094U (zh) 一种连接滤芯和多路阀头的结构
CN110104911B (zh) 一种mbbr高标准污水处理系统及处理工艺
CN219984061U (zh) 一种易接管净水器滤瓶
WO2019059345A1 (ja) 中空糸膜モジュール及び中空糸膜モジュールの取付構造及び排水処理装置
KR101972589B1 (ko) 활성탄소섬유필터를 구비하는 정수기
CN209778548U (zh) 一种房建施工雨水和废水循环利用设备
US20240116690A1 (en) Flexible tank
CN219072271U (zh) 一种方便操作的智慧型一体化污水处理设备
CN209967863U (zh) 一种陶瓷滤芯专用出水封头
CN207748942U (zh) 一种医疗用多级净化污水处理设备
KR102032253B1 (ko) 폐수 정화를 위한 봉형 산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