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66887B1 - 환자의 주시안을 결정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환자의 주시안을 결정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66887B1
KR101866887B1 KR1020137026609A KR20137026609A KR101866887B1 KR 101866887 B1 KR101866887 B1 KR 101866887B1 KR 1020137026609 A KR1020137026609 A KR 1020137026609A KR 20137026609 A KR20137026609 A KR 20137026609A KR 101866887 B1 KR101866887 B1 KR 1018668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tient
image
target
mask
ey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266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12716A (ko
Inventor
티에리 보닌
파비앙 디보
세실 페티노
이자벨 풀랭
필립 피놀트
로랑 로셀
Original Assignee
에씰로 앙터나시오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씰로 앙터나시오날 filed Critical 에씰로 앙터나시오날
Publication of KR201400127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127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668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668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3/00Apparatus for testing the eyes;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 A61B3/10Objective types, i.e.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independent of the patients' perceptions or reac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3/00Apparatus for testing the eyes;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 A61B3/10Objective types, i.e.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independent of the patients' perceptions or reactions
    • A61B3/113Objective types, i.e.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independent of the patients' perceptions or reactions for determining or recording eye movemen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ophysic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easurement Of The Respiration, Hearing Ability, Form, And Blood Characteristics Of Living Organisms (AREA)
  • Eye Examination Apparatus (AREA)
  • Eyeglas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환자(10)의 주시안을 결정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라, 상기 장치는 목표(120), 환자의 얼굴 이미지를 획득하기 위한 카메라(110), 및 환자의 얼굴 앞에 위치되는 마스크(200)를 포함한다. 상기 마스크는 카메라가 환자의 얼굴을 볼 수 있게 하는 동안 환자로부터 목표를 가리기에 적합한 차단 패널(210), 및 환자가 자신의 양쪽 눈 중에 한쪽 눈으로만 목표를 관측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차단 패널을 통해 위치되고 환자로 하여금 목표를 관측하게 하는 관측 윈도우(220)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환자의 주시안을 결정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DEVICE AND PROCESS FOR DETERMINING THE DOMINANT EYE OF A PATIENT}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안경류 분야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환자의 주시안(dominant eye)을 확인하기 위한 측정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안경의 제조는 6개의 주요 작업으로 나누어진다:
- 환자에 관련된 파라미터를 획득하는 단계;
- 이러한 획득된 파라미터에 따라, 렌즈의 광학적 표면의 형상을 계산하는 단계;
- 렌즈의 광학적 표면을 성형 및 기계 가공하는 단계;
- 특히 안경테의 아이와이어(eyewire)의 윤곽의 형상을 포함하는, 환자에 의해 선택된 안경테에 관련된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
- 안과용 렌즈가 아이와이어 윤곽의 형상으로 기계 가공되고 이후에 안경테에 장착되면, 이들 렌즈가 또한 예상될 수 있는 바와 같이 안과용 렌즈가 설계된 광학적 기능을 수행하도록 각각의 렌즈 상에 아이와이어의 윤곽을 적절히 위치 설정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안과용 렌즈를 센터링(centering)하는 단계; 및
- 렌즈를 다듬는(trimming) 단계.
현재 환자들의 시각적 안락감을 개선하는 것에 관련하여, 렌즈의 광학적 형상 및 성능, 특히 누진 굴절력(progressive power) 변화를 나타내는 렌즈(통상적으로 "누진 다초점 렌즈(progressive lenses)"로 지칭됨)의 광학적 형상 및 성능을 최적화하는 것 그리고 안과용 렌즈가 안경테의 아이와이어 내에 얼마나 잘 센터링 되었는지를 개선하는 것이 추구되고 있다.
이를 수행하기 위해서는, 환자에 관련된 더 많은 파라미터가 고려되어야만 한다.
이러한 파라미터들 중에서, 현재는 특히 환자의 렌즈의 기계 가공 및 계산을 개인의 필요에 맞추기 위하여, 환자의 주시안을 결정하는 것이 추구된다.
환자의 주시안을 결정하기 위한 다양한 실험적 방법이 공지되어 있으며, 이 실험적 방법들은 전적으로 환자가 이를 실시할 수 있는 용이성 및 기술을 기초로 하기 때문에, 실제로 신뢰할만하지 않은 것으로 판명될 것이다.
한 가지 매우 일반적인 방법은 "홀-인-더-카드 테스트(hole-in-the-card test)" 또는 돌먼 방법(Dolman method)으로도 지칭되는 "홀-인-카드(hole-in-card)" 방법이다.
상기 방법은 개인의 주시안을 확인하는 가장 확실한 방법들 중 하나로 판명된다. 이 방법은:
- 중앙에 홀을 구비한 카드를 환자에게 제공하는 단계;
- 환자에게 팔을 뻗어 양손으로 이 카드를 잡고 있을 것을 요구하는 단계, 그리고 이후에
- 환자에게 양쪽 눈을 뜬 채로 유지하고 양쪽 눈 앞에 일정한 거리를 두고 위치한 목표를 홀을 통해 관측할 것을 요청하는 단계(이 관측 위치에서 피험자는 홀 내부에 센터링 된 목표를 감지함)로 이루어진다.
이후에 환자는 실제로 목표 및 홀과 함께 정렬되는 눈인 주시안을 확인하기 위하여 양쪽 눈 각각을 교대로 감는다. 따라서, 환자가 자신의 좌측 눈을 감을 때에 목표가 여전히 홀의 중앙에 위치하는 경우에는 환자의 우측 눈이 주시안이다. 반대로, 환자가 자신의 우측 눈을 감을 때에 목표가 여전히 홀의 중앙에 위치하는 경우에는 환자의 좌측 눈이 주시안이다.
따라서, 상기 방법이 목표에 대한 환자의 지각(perception)에 관하여 환자로부터의 구두 피드백(verbal feedback)에 의존하기 때문에, 상기 방법을 이용하는 주시안의 확인은 주관적이다.
환자로부터의 주관적 응답을 기초로 한 결과의 불충분함을 개선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환자의 주시안이 결정되게 하는 객관적인 측정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며, 이는 주관적인 측정으로부터 초래되는 에러의 위험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적어도 부분적으로 자동화되었다.
더 상세하게는, 본 발명에 따라, 환자의 주시안을 결정하기 위한 장치가 제공되며, 이 장치는:
- 측정 위치에 있는 환자에 의해서 보이는 목표;
- 측정 위치에 있는 환자의 얼굴 이미지를 획득하기 위한 수단; 및
- 한편으로 측정 위치에 있는 환자의 얼굴과 다른 한편으로 목표 및 획득 수단 사이에 위치되는 마스크를 포함하며,
상기 마스크는:
a) 차단 패널을 포함하고:
a1) 상기 차단 패널은 측정 위치에 있는 환자의 양쪽 눈과 목표 사이에 삽입될 수 있는 치수를 가지며;
a2) 상기 차단 패널은 측정 위치에 있는 환자로부터 목표를 가리기 위하여 목표로부터 환자를 향하여 전파되는 광의 최대(at most) 일부만을 적어도 일시적으로 전달하며; 그리고
a3) 상기 차단 패널은 획득 수단이 측정 위치에 있는 환자의 얼굴의 이미지를 획득하도록 하기 위하여 환자로부터 상기 획득 수단을 향하여 전파되는 광의 적어도 일부를 적어도 일시적으로 전달하며, 그리고
b) 목표를 관측하기 위해서 환자에 의해 사용되는 관측 윈도우를 포함하고:
b1) 상기 관측 윈도우는 차단 패널 내에 위치되며;
b2) 상기 관측 윈도우는 환자가 목표를 관측하도록 하기 위하여 목표로부터 환자를 향하여 전파되는 광을 전달하며; 그리고
b3) 상기 관측 윈도우는 목표가 측정 위치에 있는 환자의 한쪽 눈에 의해서만 보일 정도의 치수를 갖는다.
본 발명에 따라, 환자의 주시안을 결정하기 위한 방법이 또한 제공되며, 상기 방법은:
- 이미지를 획득하기 위한 수단의 필드 내에 환자 및 마스크를 위치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며, 이때 상기 마스크는 환자의 양쪽 눈 앞에 있으며;
- 상기 환자가 관측 윈도우를 통하여 목표를 관측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 상기 획득 수단이 목표를 관측하는 환자의 이미지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이때 상기 이미지 내에는 적어도 환자의 얼굴 및 마스크의 부분이 나타나며; 그리고
- 획득된 이미지 내에서의 환자의 얼굴에 대한 마스크의 위치에 따라 환자의 주시안을 추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환자의 주시안을 결정하기 위해 본 출원서에서 사용된 원리는, 바람직하게 환자가 양쪽 눈을 뜬 상태를 유지하면서 환자의 양쪽 눈 중에 어느 하나를 이용해서 환자가 마스크 내의 관측 윈도우를 통하여 자연스럽게 목표를 관측하게 하는 것이다. 목표를 관측하기 위해서 자연스럽게 사용되는 눈이 실제로 환자의 주시안이다.
이후에 상기 방법의 자동화는 환자가 상기 목표를 관측하는 동안 환자의 이미지를 획득하는 것이다.
상세하게는, 목표가 환자에 의해서 정확하게 관측되면, 그리고 환자의 양쪽 눈 중에 적어도 하나가 계속해서 마스크의 차단 패널 뒤에 가려지는 동안, 상기 차단 패널의 광 투과 특성 때문에, 획득 수단은 마스크 및 환자의 양쪽 눈이 그 내부에 나타나는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이미지 내에서 환자의 양쪽 눈에 대한 마스크 내의 관측 윈도우의 위치를 설정함으로써, 이와 같은 위치 설정으로부터 환자의 양쪽 눈 중에 어느 쪽 눈이 환자의 주시안인지를 추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추정 단계가 환자 자신에 의해서 수행되지 않기 때문에, 목표를 관측할 때에는 환자가 더 자연스러운 행동에 적응한다는 사실 그리고 환자의 양쪽 눈 사이에 실제의 경쟁이 존재하는 것을 보장하기 위하여 양쪽 눈을 계속해서 뜨고 있는 이상적인 상태를 유지하면서 환자가 관측 과제를 수행할 것이라는 사실이 관찰되었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다른 유리하고 비제한적인 특징들이 이하에서 기술된다:
- 차단 패널 및 관측 윈도우가 시간에 따라 변화되지 않는 광 투과 특성을 갖는다는 의미에서 상기 차단 패널 및 관측 윈도우는 수동형(passive)이며;
- 차단 패널은 광을 직선형으로 또는 원형으로 편광시키고, 측정 위치에서 환자에게 장착되는 안경 또는 등가물이 제공되며, 상기 안경 또는 등가물은 각각 직선형으로 또는 원형으로 편광되는 안경알(glasses)을 포함하고, 상기 안경알 및 차단 패널은 직교 방향으로 직선형으로 편광되거나 반대 방향으로 원형으로 편광되며;
- 차단 패널은 가변적인 광 투과 특성을 갖는다는 의미에서 능동형(active)이며;
- 차단 패널 및 관측 윈도우는 함께 하나의 액정 스크린을 형성하며;
- 관측 윈도우는 변화되지 않는 광 투과 특성을 갖는다는 의미에서 비-능동형(inactive)이고, 차단 패널은 완전한 불투명도 또는 투명도를 나타내도록 제어된 작동 가능한 층을 포함하며;
- 디스플레이 스크린이 제공되며,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은 측정 위치에 있는 환자의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고, 상기 이미지는 획득 수단에 의해서 획득되며;
- 정보 처리 유닛이 제공되며, 상기 정보 처리 유닛은 측정 위치에 있는 환자의 이미지를 처리할 수 있고 이로부터 환자의 주시안을 추정할 수 있으며, 상기 이미지는 획득 수단에 의해서 획득되며; 그리고
- 마스크는 적어도 하나의 조종 핸들이 구비된 섀시를 포함하고, 환자에 의해서 휴대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다른 장점들 및 비 제한적인 특징들이 이하에서 기술된다:
- 추정 단계는 디스플레이 스크린 상에 획득된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는 것으로 이루어지며;
- 추정 단계에서는, 한편으로 환자의 양쪽 눈의 위치 및 다른 한편으로 환자의 양쪽 눈에 대한 관측 윈도우의 위치를 계산하기 위하여 획득된 이미지가 처리되며,
- 추정 단계에서는 환자에게 안경이 장착되고, 한편으로 안경의 두 개의 아이와이어의 위치 및 다른 한편으로 두 개의 아이와이어에 대한 관측 윈도우의 위치를 계산하기 위하여 획득된 이미지가 처리되며;
- 마스크는 가시적인 기준 마크(visible reference mark)를 포함하고, 상기 기준 마크에 대한 환자 얼굴의 위치를 계산하기 위하여 획득된 이미지가 처리되며;
- 이미지 획득이 수동으로 제어되며;
- 이미지 획득은 연속으로 또는 일정한 간격으로 수행되며, 추정 단계에서 상기 획득된 이미지들 중 하나가 선택되며;
- 마스크에 대한 환자의 얼굴 위치가 안정화되었을 때 이미지가 선택되며; 그리고
- 획득된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가 제공된다.
비제한적인 예로서 주어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는 아래의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 및 상기 요지가 어떻게 실시될 수 있는지가 더욱 잘 이해되도록 해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환자의 주시안을 결정하기 위한 장치의 개략적인 측면도이며;
도 2는 환자 얼굴의 개략도이며;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장치의 개략적인 평면도이며; 그리고
도 4 및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장치의 마스크의 두 가지 변형 실시예의 개략도이다.
우선, 다양한 도면에 도시된 본 발명의 다양한 변형 실시예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요소는 가급적 동일한 도면 부호로 나타내고 매번 기재되지 않을 것이라는 점에 주목해야 한다.
도 1은 환자(10)의 주시안을 결정하기 위한 장치(1)를 보여준다.
이러한 결정 장치(1)는 3개의 주요 요소, 즉 환자(10)가 관측하는 목표(120), 환자(10)의 얼굴 이미지를 획득하기 위한 수단(110), 및 한편으로 환자(10)의 얼굴과 다른 한편으로 목표(120) 및 획득 수단(110) 사이에 배치되는 마스크(200)를 포함한다.
이때에는 환자가 볼 수 있는 획득 수단이 관측될 목표를 형성할 수 있다는 의미에서 목표(120) 및 획득 수단(110)이 통합될 수 있다는 점에 주의하여야 한다.
상세하게는, 환자(10)가 관측해야만 하는 목표(120)는 물체, 패턴, 광 또는 더욱 일반적으로는 환자(10)가 볼 수 있는 임의의 수단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목표(120)는 광원, 본 발명의 경우에는 발광 다이오드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목표(120)는 측정 동안에 환자(10)가 착석하는 좌석(20)과 마주하여 배치된 토템(totem; 100)으로 지칭되는 칼럼(column) 상에 위치된다.
목표(120)는 더욱 정확하게는 실질적으로 환자(10)의 눈(12)과 동일한 높이에 환자로부터 1.2 내지 1.5 미터의 거리를 두고 위치된다.
여기서 획득 수단(110)은 또한 토템(100) 상에, 실질적으로는 환자(10)의 눈(12)과 동일한 높이에 위치된다.
여기서 획득 수단은 목표(120) 아래에 그리고 목표 근처에 위치된다.
획득 수단(110)은 환자(10)의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는 임의의 시스템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러한 획득 수단은 광학 축(A1)의 디지털 캠코더(110)이다. 획득 수단은 또한 디지털 카메라에 의해서 형성될 수 있다.
도 5에 더 잘 도시된 바와 같이, 마스크(200)는 적어도 하나의 차단 패널(210) 및 상기 차단 패널(210) 내에 위치되는 관측 윈도우(220)를 포함한다.
도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관측 윈도우(220)는 환자(10)가 자신의 양쪽 눈(12) 중에 단지 한쪽 눈만을 이용하여 목표(120)를 관측하도록 설계된다. 여기서는 목표를 관측하기 위해서 가장 자연스럽게 사용되는 눈이 실제로 환자(10)의 주시안이라는 점을 주목하여야 한다.
마스크의 부분을 위한 마스크(200)의 차단 패널(210)은 목표(120)가 환자(10)의 다른 쪽 눈으로부터 가려지도록 설계된다. 또한, 환자가 목표(120)를 관측하는 동안, 획득 수단(110)이 환자(10)의 얼굴의 적어도 일부의 이미지를 획득하게 하는 방식으로 유리하게 설계된다(이러한 얼굴의 일부는 환자의 양쪽 눈(12) 중에 어느 눈이 환자의 주시안인지를 획득된 이미지로부터 추정하기에 충분하다).
이러한 경우, 마스크(200)는 또한 차단 패널(210)을 둘러싸고 환자가 마스크(200)를 더 용이하게 조종하도록 하는 프레임의 형태를 취하는 섀시(240)를 포함한다.
도 5가 보여주는 바와 같이, 마스크(200)의 차단 패널(210)은 목표(120)와 환자(10)의 양쪽 눈(12) 사이에 배치될 수 있는 치수를 가진다.
특히 환자(10)의 양쪽 눈(12) 중에 한쪽 눈으로부터 목표(120)를 가릴 수 있는 한편, 환자는 다른 쪽 눈을 이용하여 관측 윈도우(220)를 통해서 목표(120)를 관측한다.
도 3 및 도 5에 도시된 예에서, 차단 패널은 100 내지 300 밀리미터의 폭(L1) 및 100 내지 300 밀리미터의 높이를 갖는 직사각형의 형상을 가진다.
환자(10)의 양쪽 눈(12) 중에 적어도 하나로부터 목표(120)를 가리기 위하여, 목표(120)로부터 환자(10)를 향하여 전파되는 광의 최대 일부만을 적어도 일시적으로 전달하도록 차단 패널(210)이 제공된다.
캠코더(110)가 환자(10)의 얼굴 이미지를 획득하도록 하기 위하여, 환자(10) 얼굴로부터 캠코더(110)를 향하여 전파되는 광의 적어도 일부를 적어도 일시적으로 전달하도록 차단 패널(210)이 제공된다.
이러한 차단 패널(210)의 상세한 실시예들은 본 명세서의 나머지 부분에서 제시될 것이다.
환자(10)가 한쪽 눈으로 목표(120)를 관측하는 동안에는 환자의 다른 쪽 눈이 마스크(200)의 차단 패널(210) 뒤에 가려진 상태로 유지된다는 것을 보증하기 위하여, 환자(10)가 목표(120)를 관측하도록 하기 위해 제공된 관측 윈도우(220)는 차단 패널(210)의 에지로부터 거리를 두고 떨어져 위치된다.
관측 윈도우(220)는 바람직하게 차단 패널(210) 내의 중간 폭에 위치된다.
환자(10)가 팔 길이에서 마스크(200)를 쥐고 있을 때에(도 1), 목표(120)는 환자(10)의 양쪽 눈(12) 중에 단지 한쪽 눈에 의해서만 보일 정도의 치수를 가진다.
도면에 도시된 예에서, 관측 윈도우(220)는 10 내지 40 밀리미터 그리고 바람직하게는 25 밀리미터의 직경(L2)을 갖고, 차단 패널(210)의 중앙에 센터링 된 디스크의 형태를 취한다.
프레임의 형태를 취하는 섀시(240)는 자체 부분을 위해 두 개의 길이 방향 암(241) 및 두 개의 측 방향 암(242)을 포함한다. 상기 섀시의 두 개의 측 방향 암(242)은 상당한(substantial) 폭을 가지며, 환자(10)가 마스크(200)를 용이하게 조종할 수 있도록 하는 두 개의 핸들(245)을 형성하는 장공(long aperture)이 뚫려 있다.
따라서, 마스크(200)의 휴대 가능한 특성은 환자의 주시안과 목표(120) 사이의 마스크(200) 내에 관측 윈도우(220)를 배치할 수 있는 방식으로 환자(10)가 상기 마스크(200)의 위치를 수동으로 조정하게 한다.
물론, 변형예로서, 마스크(200)는 고정되도록 제공될 수 있으며, 이 경우 환자(10)는 마스크(200) 내의 관측 윈도우(220)를 통해 목표(120)를 관측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자신의 얼굴을 이동하도록 강요될 것이다.
마스크(200)의 제1 실시예에서는, 차단 패널(210) 및 관측 윈도우(220)는 시간에 따라 변화되지 않는 광 투과 특성을 갖는다는 의미에서 수동형이다.
차단 패널(210)이 환자(10)의 양쪽 눈(12) 중에 적어도 한쪽 눈으로부터 목표(120)를 가리도록 하기 위하여, 캠코더(110)가 환자의 얼굴 이미지를 캡처(capture)하도록 하는 동안, 차단 패널(210)은 특정한 광학 특성을 갖도록 제공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단 패널(210)은 광을 제1 방향으로 편광시키는 편광 시트의 형태로 형성된 한편, 관측 윈도우(220)는 편광되지 않는다(또는, 수직으로 또는 반대 방향으로 선택적으로 편광된다).
마스크(200)의 차단 패널(210)이 환자(10)의 양쪽 눈 중에 적어도 한쪽 눈으로부터 목표(120)를 가리는 것을 보증하기 위하여, 환자에게 안경(400)이 장착되며, 상기 안경은 두 개의 아이와이어(402)가 장착된 프레임 및 두 개의 렌즈(401)를 포함하며, 상기 렌즈는 아이와이어(402) 내에 장착되고 제2 방향(제1 방향에 대하여 반대 또는 수직인 방향)으로 편광된다.
따라서, 환자(110)는 단지 마스크(200) 내의 관측 윈도우(220)만을 통해 목표(120)를 보게 된다.
차단 패널(210) 및 렌즈(401)의 편광은 직선형일 수 있다. 차단 패널(210)은 이후에 수직 방향으로 편광될 수 있는 한편, 렌즈(401)는 (환자에 의해 착용된 위치에서) 수평 방향으로 편광될 것이다. 이와 같은 타입의 편광의 독특성은 환자(10)가 자신의 머리 또는 마스크를 기울일 때에 렌즈(401) 및 차단 패널(201)의 편광 방향이 더 이상 완전히 직교하지 않음으로써 차단 패널(201)이 환자(10)에게는 약간 투명하게 된다는 것이다.
차단 패널(210) 및 렌즈(401)의 편광은 또한 원형일 수도 있다. 차단 패널(210)은 이후에 시계 방향으로 편광될 수 있는 한편, 렌즈(401)는 반 시계 방향으로 편광될 것이다. 이러한 방식으로, 환자(10) 머리의 기울기는 환자(10)가 보는 차단 패널(210)의 불투명성에 전혀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도 4가 보여주는 바와 같이, 관측 위치에서 환자(10)는 자신의 양쪽 눈(12) 중에 단지 한쪽 눈으로만 목표를 볼 수 있는 한편, 캠코더(110)는 안경(400)의 두 개의 렌즈(401) 및 환자(10)의 주시안이 그 내부에 나타나는 환자의 얼굴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변형예로서, 안경(400)이 두 개의 편광 안경알(glasses)을 포함하는 장비로 그리고 환자에게 장착되는 종래 안경에 이러한 두 개의 편광 안경알을 고정하기 위한 수단으로 대체될 수 있다.
다른 변형예로서, 안경(400)이 예를 들어 직사각형의 편광판을 포함하는 장비로 그리고 환자에게 장착되는 종래의 안경에 이러한 편광판을 고정하기 위한 수단으로 대체될 수 있다.
차단 패널(210) 및 관측 윈도우(220)가 그 내부에서 수동적인 마스크(200)인 다른 변형예로서, 차단 패널(210)은 다른 방향에서보다 하나의 방향에서 적어도 3배 더 높은 광 투과 수준을 가질 수 있다.
심지어 하나의 방향(환자로부터 캠코더를 향한 방향)에서는 0이 아닌 광 투과 수준을 가질 수 있고, 다른 방향(목표로부터 환자를 향한 방향)에서는 0의 광 투과 수준을 가질 수 있다. 예로서, 차단 패널(210)은 이에 따라 절반 반사형의 (또는 절반 은도금 된) 거울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캠코더(110)는 환자(10)의 얼굴을 촬영할 수 있게 되는 한편, 차단 패널(110)은 환자의 양쪽 눈(12) 중에 적어도 한쪽 눈으로부터 목표(120)를 가리게 된다.
마스크(200)의 제2 실시예에서, 차단 패널(210)은 시간에 따라 변화될 수 있는 광 투과 특성을 갖는다는 의미에서 능동형이다.
이 실시예에서, 차단 패널(210)의 광학적 특성은 차단 패널(210)이 환자(10)의 양쪽 눈(12) 중에 적어도 한쪽 눈으로부터 목표(120)를 가리는 어두워진 상태와 차단 패널(210)이 환자의 얼굴이 캠코더(110)에 의해 보이도록 하는 투명한 상태 사이에서 제어된다.
도 5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차단 패널(210)은 관측 윈도우(220)를 구비하여 액정 스크린에 의해서 형성된다.
관측 윈도우(220)는 이후에 연속으로 투명한 상태를 유지하도록 제어된다. 그에 반해, 환자가 목표(120)를 관측하려고 하는 동안에는 차단 패널(210)의 불투명도가 어두워진 상태로 제어되고, 이후에 환자의 가시선(line of sight) 내에 목표(120)가 있을 때에는 투명한 상태로 제어된다. 따라서, 차단 패널(210)이 투명한 상태로 넘어갈 때의 정확한 순간에 환자의 얼굴 이미지를 획득함으로써, 목표(120)를 관측하는 환자(10)를 보여주는 사진이 얻어진다.
차단 패널(210)이 능동적이든지 아니면 수동적이든지 상관없이, 특히 캠코더(110)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수단이 제공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어 수단은:
- 마스크(200)의 섀시(240) 상에서 핸들(245) 중에 하나 옆에 위치되기 때문에, 환자(10)가 용이하게 접근할 수 있는 트리거(231; trigger);
- 트리거(231)가 눌려진 위치에 있는지 아니면 해제된 위치에 있는지의 여부에 관련된 신호를 전달하기 위해, 마스크(200)의 섀시(240) 상에 위치되는 적외선 트랜스시버(230; transceiver);
- 트리거(231)가 눌려진 위치에 있는지 아니면 해제된 위치에 있는지의 여부에 관련된 신호를 수신하기 위해, 토템(100) 상에 위치되는 적외선 트랜스시버(130); 및
- 트리거(231)의 위치에 따라 캠코더(110)를 제어하기 위한 정보 처리 유닛(140)을 포함한다.
차단 패널(210)이 비능동적인 타입의 경우에, 정보 처리 유닛(140)은 환자가 트리거(231)를 누르자마자 캠코더가 환자(10)의 이미지를 획득하는 방식으로 캠코더(110)를 제어하도록 더욱 정밀하게 구성된다.
차단 패널(210)이 능동적인 타입의 경우에, 정보 처리 유닛(140)은 환자(10)가 트리거(231)를 누르자마자 차단 패널(210)이 어두워진 상태로부터 투명한 상태로 넘어가도록 상기 차단 패널(210)을 제어하고, 이후에 캠코더(110)가 환자(10)의 이미지를 획득하는 방식으로 상기 캠코더(110)를 제어하도록 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또한 이하에서 기술되는 바와 같이, 정보 처리 유닛(140)은 더욱이 또한 환자(120)의 양쪽 눈(12) 중에 어느 쪽 눈이 환자의 주시안인지를 획득된 이미지로부터 추정하도록 구성될 것이다.
도 1에 도시된 결정 장치(1)는 마지막으로 캠코더(110)에 의해 획득된 환자의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도록 구성된, LCD 스크린과 같은 디스플레이 스크린(300)을 포함한다.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300)은 이후에 정보 처리 유닛(140)에 의해서 제어된다.
디스플레이 스크린 상에 디스플레이된 환자의 얼굴 이미지는 더욱이 선택적으로 사전에 (예를 들어 밝아진 상태로) 처리되었을 수 있으며 그리고/또는 이미지의 "좌"측 및 "우"측을 특정하거나 환자(10)의 양쪽 눈(12) 중에 어느 쪽 눈이 환자의 주시안인지를 특정하는 인디케이터(indicator)와 같은 부가 정보가 스크린 상에 겹쳐질 수 있다.
위에서 언급된 결정 장치(1)를 이용하여 환자(10)의 주시안을 결정하기 위한 방법은 이하의 방식으로, 5개의 주요 단계로 실행된다:
- 목표(120)가 마스크(200)의 차단 패널(210)에 의해 환자(10)의 양쪽 눈(12) 중에 적어도 한쪽 눈으로부터 가려지는 방식으로, 환자(10) 및 마스크(200)가 캠코더(110)의 필드(field) 내에 위치되는 단계;
- 환자(10)가 마스크(200) 내의 관측 윈도우(220)를 통해 목표(120)를 관측하는 단계;
- 환자(10)의 얼굴 이미지가 캠코더(110)에 의해서 획득되는 단계;
- 획득된 이미지 내의 환자(10)의 얼굴 및 마스크(200)의 위치에 따라 환자(10)의 주시안이 추정되는 단계; 및
- 디스플레이 스크린(300) 상에 획득된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위치를 설정하는 제1 단계에서, 안경사는 환자(10)를 토템(100)과 직면하는 의자(20) 상에 앉히고 목표를 환자에게 확인시키기 위하여 목표(120)의 위치를 환자에게 표시한다.
의자(20)의 위치는 이후에 이상적으로는 환자(10)의 얼굴이 캠코더(110)의 대물 렌즈 앞에 위치되는 방식으로 조정될 수 있다.
상기 이상적인 위치는 서로 직교하도록 놓인 3개의 평면(P1, P2, P3)을 이용하여 환자(10) 얼굴의 기준 프레임을 특징화함으로써 더욱 정밀하게 규정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따라서 환자의 하안와연(inferior orbital margin) 및 포리온(porion)을 통과하는 프랑크푸르트 평면(P1)을 규정하는 것이 가능하다(포리온은 귀의 트라기온(tragion)에 대응하는 외이도의 두개골(skull) 내 최고점이다). 상기 프랑크푸르트 평면(P1)은 이후에 실질적으로 수평 방향으로 이상적으로 위치되어야만 하고 캠코더(110)의 광학 축(A1)을 통과해야만 한다.
정중면(P2; sagittal plane)을 프랑크푸르트 평면(P1)에 대해 수직이고 환자(10)의 양쪽 눈(12)의 수직 이등분선을 통과하는 평면으로서 규정하는 것이 또한 가능하다(상기 수직 이등분선은 양쪽 눈(12)의 회전 중심에 의해 규정된 세그먼트의 중앙을 통과하고, 프랑크푸르트 평면(P1)에 대해 평행하게 놓이는 축선이다). 이러한 정중면(P2)은 이후에 이상적으로는 수직 방향으로 위치되어야만 하고 캠코더(110)의 광학 축(A1)을 통과해야만 한다.
마지막으로, 전두면(P3; frontal plane)은 프랑크푸르트 평면(P1) 및 정중면(P2)에 대해 수직이고 환자(10) 머리의 정점을 통과하는 평면으로서 규정될 수 있다. 이러한 전두면(P3)은 이후에 이상적으로는 캠코더(110)의 광학 축(A1)에 대해 직교 방향으로 위치되어야만 한다.
물론, 환자의 머리가 상기 이상적인 위치에 대해 약간 기울어져 있거나 이동된 때에 환자(10)의 얼굴 이미지가 획득될 수 있다.
그러나 바람직하게는 어떠한 측정 오류도 방지하기 위하여, 캠코더(110)의 광학 축(A1)이 환자(10) 머리의 전두면(P3)과 -20 내지 +20도의 각도를 형성할 때에는 이미지가 획득된다.
이후에 안경사는 환자(10)가 마스크의 핸들(245)을 이용하여 마스크(200)를 잡도록, 그 다음에는 환자의 얼굴과 목표(120) 사이에 마스크가 위치하도록 마스크를 팔 길이로 유지할 것을 요구한다. 이에 따라 위치가 설정되면, 마스크(200)는 목표(120)에 의해서 환자를 향해 방사되는 광의 광학 경로 상에 놓이게 된다.
관측하는 제2 단계는 바람직하게 환자(10)가 양쪽 눈을 뜬 상태를 유지하면서 관측 윈도우(220)를 통해 자신의 가시선 내에 목표(120)가 들어오는 위치로 마스크(200)를 이동시키는 것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단계는 환자(10)가 자신의 주시안으로 목표(120)를 관측할 수 있는 위치에 마스크(200)를 자연스럽게 배치하도록 해야만 한다.
실제로 환자(10)는 관측 윈도우(220)를 통해 목표(120)를 관측하기 위하여 자연스럽게 자신의 양쪽 눈(12) 중에 한쪽 눈 또는 다른 쪽 눈, 즉 자신의 주시안을 선택한다.
환자(10)가 확신이 없는 경우, 안경사는 환자(10)가 자신의 얼굴 근처에 마스크(200)를 위치 설정하도록 그리고 그 다음에는 환자의 양쪽 눈(12) 중에 한쪽 눈, 이후에는 다른 쪽 눈으로 목표를 자신의 가시선내에 유지하면서 마스크를 천천히 환자의 얼굴로부터 멀어지게 이동시키도록 요구할 수 있다. 환자(10)는 일반적으로 자신의 양쪽 눈(12) 중에 한쪽 눈으로는 이러한 조작을 수행하는 데 어려움을 겪는 한편, 자신의 양쪽 눈(12) 중에 다른 쪽 눈으로 이러한 조작을 수행하기는 용이하다는 것을 발견하게 것이며, 이 눈이 실제로 환자의 주시안이다.
환자(10)의 이미지를 획득하는 제3 단계는 여기서 목표(120)가 환자의 가시선 내에 있을 때 환자 자신에 의해서 제어된다.
따라서, 정보 처리 유닛(140)은 환자(10)가 트리거(231)를 누를 때에 환자의 얼굴 사진의 획득을 제어하도록 프로그래밍 되었다(선택적으로는 차단 패널(210)을 자체의 투명한 상태로 제어한 후에).
변형예로서, 환자(10)가 정확한 위치에 있다고 안경사가 생각할 때에, 안경사 본인이 상기 이미지 획득을 제어하기 위해 임의로 원격 제어를 할 수 있다.
다른 변형예로서, 캠코더(110)가 연속으로 또는 정규 간격으로 환자(10)의 얼굴 이미지를 획득하고, 이들 이미지로부터 환자(10)의 양쪽 눈(12) 중에 어느 쪽 눈이 환자의 주시안인지를 결정하기 위하여 정보 처리 유닛(140)이 상기 이미지들 중에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물론, 이러한 이미지는 무작위로 선택되지 않을 것이다.
예로서, 캠코더(110)가 1초에 한 번씩 환자(10)의 얼굴 이미지를 획득하고, 그 다음에 정보 처리 유닛(140)이 각각의 이미지에서 마스크(200)에 대한 환자(10)의 얼굴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정보 처리 유닛(140)은 이후에 마스크(200)에 대한 환자(10)의 얼굴 위치가 실질적으로 안정된 상태로 유지된 제5 연속 이미지(consecutive image)를 선택할 수 있다. 다른 말로 표현하자면, 환자(10)가 여기서 5초에 해당하는 사전에 설정된 시간 동안 동일한 눈으로 자신의 가시선 내에 목표(120)를 유지했을 때에 이미지가 선택될 것이다.
상기 변형예에서, 스크린이 능동적인 타입인 경우에는, 어두워진 상태로부터 투명한 상태로의 상태 변화를 환자가 감지할 수 없을 정도로 짧지만 캠코더(110)가 환자(10) 얼굴의 명료한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을 정도로 충분히 긴 시간 동안, 차단 패널(210)이 정기적으로(본 경우에는 매 초마다) 어두워진 상태로부터 투명한 상태로 넘어갈 수 있다.
이미지가 획득되는 방식과 관계없이, 이러한 이미지는 이후에 바람직하게는 환자(10)에 의해 착용된 안경(400)의 두 개의 아이와이어(402) 또는 환자(10)의 양쪽 눈(12) 및 (투명한) 마스크(200)를 포함할 것이다(도 4 참조).
이후에 제4 단계는 상기 단일 이미지로부터 환자(10)의 양쪽 눈(12) 중에 어느 쪽 눈이 환자의 주시안인지를 추정하는 것으로 이루어진다.
넓은 범위의 이미지 처리 기술은 이하의 네 가지 기술 중에 하나와 같이, 상기 목적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제1 기술은 환자(10)의 양쪽 눈(12)이 획득된 이미지에서 나타날 때에만 적용될 수 있다.
상기 제1 기술은 이미지 평면에서 한편으로는 환자(10)의 양쪽 눈(12)의 동공(또는 교련(commissure))의 좌표를 그리고 다른 한편으로는 마스크(200) 내 관측 윈도우(220)의 중심의 좌표를 계산하는 것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주시안은 관측 윈도우(220)의 중심의 좌표에 가장 근접한 좌표를 갖는 눈이다.
단지 환자(10)에 의해 착용 된 안경(400)의 두 개의 아이와이어(402)(도 4 참조)가 획득된 이미지 내에 나타날 때에만 상기 제1 기술과 유사한 제2 기술이 적용될 수 있다.
이후에 상기 제2 기술은 한편으로는 안경(400)의 두 개 아이와이어(402)의 각각의 무게 중심의 좌표를 그리고 다른 한편으로는 마스크(200) 내에서 관측 윈도우(220)의 중심의 좌표를 계산하는 것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주시안은 관측 윈도우(220)의 중심 좌표에 가장 근접한 무게 중심 좌표를 갖는 아이와이어(402) 뒤에 위치된 눈이다.
제3 기술은 더 융통적인데, 그 이유는 환자(10)의 양쪽 눈이 획득된 이미지 내에서 보일 수 있든지 아니면 보일 수 없는지와 상관없이 적용될 수 있기 때문이다.
상기 기술은 바람직하게 획득된 이미지가 특히 어둡고 환자(10)의 양쪽 눈(12)이 상기 이미지 내에서 겨우 보일 수 있을 때에만 사용될 것이다.
상기 제3 기술은 한편으로는 마스크(200)의 섀시(240) 상에 형성된 마크(250)에 의해 마스크(200)의 중심의 좌표(이 좌표는 관측 윈도우(220)의 중심의 좌표에 대응함)를 그리고 다른 한편으로는 환자(10)의 얼굴 윤곽의 무게 중심의 좌표를 계산하는 것으로 이루어진다. 특히, 상기 윤곽은 환자(10)의 눈(12)보다 더 용이하게 보일 수 있다.
이때 환자(10)의 얼굴 윤곽의 무게 중심이 마스크(200)의 중심에 대해 좌측으로 이동된 경우에 환자의 주시안은 환자의 좌측 눈이다. 그에 반해, 환자(10)의 얼굴 윤곽의 무게 중심이 마스크(200)의 중심에 대해 우측으로 이동된 경우에 환자의 주시안은 환자의 우측 눈일 것이다.
환자(10)의 양쪽 눈(12) 중에 단지 한쪽 눈(도 4), 즉 환자의 주시안만이 획득된 이미지 내에 나타날 때 제4 기술이 적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4 기술은 환자의 눈 형상의 계산, 눈의 안구 결막의 좌측 또는 우측 위치의 관측, 그리고 이로부터 환자(10)의 주시안이 각각 환자의 좌측 눈인지 아니면 우측 눈인지를 추정하는 것으로 이루어진다.
디스플레이하는 제5 단계는 정보 처리 유닛(140)이 디스플레이 스크린(300) 상에서 획득된 이미지의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것으로 이루어진다.
물론, 상기 이미지는 예를 들면 이미지를 밝게 하기 위하여 사전에 처리될 수 있다.
정보 처리 유닛(140)은 또한 획득된 이미지상에 겹쳐진 인디케이터의 디스플레이를 제어할 수 있는데, 이때 상기 인디케이터는 이미지의 측부 중에 어느 측부가 우측인지 그리고 좌측인지를 신호로 보낸다(이와 같은 과정은 디스플레이된 이미지가 거울 이미지인 경우에 특히 유용하다).
정보 처리 유닛(140)은 또한 획득된 이미지 외에 환자(10)의 양쪽 눈(12) 중에 어느 쪽 눈이 환자의 주시안인지를 지시하는 메시지의 디스플레이를 제어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 디스플레이 단계에 의해서 환자(10)는 양쪽 눈(12) 중에 어느 쪽 눈이 자신의 주시안인지를 쉽게 확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결코 설명되고 도시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당업자는 다수의 변형예를 구상할 수 있을 것이다.
특히, 환자의 주시안을 추정하는 단계는 안경사에 의해서 또는 환자 자신에 의해서 수행될 수 있으며, 정보 처리 유닛에 의해서는 수행될 수 없다.
디스플레이 단계와 조합된 상기 추정 단계는 이후에 한편으로는 디스플레이 스크린(300) 상에 획득된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는 그리고 선택적으로 다른 한편으로는 이미지의 좌측 및 우측을 지시하는 인디케이터를 디스플레이하는 정보 처리 유닛(140)으로 간단하게 이루어질 것이다. 따라서, 이로부터 안경사 및 환자는 환자(10)의 양쪽 눈(12) 중에 어느 쪽 눈이 환자의 주시안인지를 용이하게 추정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변형예로서, 캠코더(110)의 대물 렌즈의 윤곽이 빨간색으로 도색되고 이에 따라 목표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방식으로, 환자(10)가 목표(120)를 관측할 때에 환자는 캠코더(110)의 광학 축을 따라서 자신의 시선(gaze)을 향할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변형예로서, 위에서 설명된 위치 설정, 관측 및 획득 단계에서, 환자(10)는 앉아 있지 않고 서있을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변형예로서, 목표(120)가 캠코더(110)의 대물 렌즈 평면에 위치되지 않고 오히려 상기 대물 렌즈 평면의 전방 또는 후방에 위치될 수 있으며, 이러한 위치는 기술된 방법의 실행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차단 패널(210)이 능동적으로 형성된 마스크(200)의 일 변형예로서, 마스크가 관측 윈도우(220) 내부를 제외하고, 어두운 상태와 투명한 상태 사이에서 제어되도록 구성된 광학적으로 작동할 수 있는 층으로 커버된 투명한 시트를 포함할 수 있다.

Claims (18)

  1. 환자(10)의 주시안을 결정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 측정 위치에 있는 환자(10)가 볼 수 있는 목표(120);
    - 측정 위치에 있는 환자(10)의 얼굴 이미지를 획득하기 위한 획득 수단(110); 및
    - 한편으로 측정 위치에 있는 환자(10)의 얼굴과 다른 한편으로 상기 목표(120) 및 상기 획득 수단(110) 사이에 위치되는 마스크(200)를 포함하며,
    상기 마스크는:
    a) 차단 패널(210)을 포함하고;
    a1) 상기 차단 패널은 측정 위치에 있는 환자(10)의 양쪽 눈과 목표(120) 사이에 위치될 수 있는 치수를 가지며;
    a2) 상기 차단 패널은 측정 위치에 있는 환자(10)로부터 목표(120)를 가리기 위하여 상기 목표(120)로부터 환자(10)를 향하여 전파되는 광의 일부만을 일시적으로 또는 항상 전달하며; 그리고
    a3) 상기 차단 패널은 획득 수단(110)이 측정 위치에 있는 환자(10)의 얼굴 이미지를 획득하도록 하기 위하여 환자(10)로부터 상기 획득 수단(110)을 향하여 전파되는 광의 일부 또는 전부를 일시적으로 또는 항상 전달하며, 그리고
    b) 목표(120)를 관측하기 위해서 환자(10)에 의해 사용되는 관측 윈도우(220)를 포함하고,
    b1) 상기 관측 윈도우는 차단 패널(210) 내에 위치되며;
    b2) 상기 관측 윈도우는 환자(10)가 목표(120)를 관측하도록 하기 위하여 목표(120)로부터 환자(10)를 향하여 전파되는 광을 전달하며; 그리고
    b3) 상기 관측 윈도우는 목표(120)가 측정 위치에 있는 환자(10)의 한쪽 눈에 의해서만 보일 수 있는 치수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 패널(210) 및 상기 관측 윈도우(220)는 시간에 따라 변화되지 않는 광 투과 특성을 갖는다는 의미에서 수동형(passive)인,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 패널(210)은 광을 직선형으로 또는 원형으로 편광시키고, 측정 위치에서 환자(10)에게 장착되는 안경(400) 또는 등가물이 제공되며, 상기 안경 또는 등가물은 각각 직선형으로 또는 원형으로 편광되는 안경알(401)을 포함하고, 상기 안경알(401) 및 차단 패널(210)은 직교 방향으로 직선형으로 편광되거나 반대 방향으로 원형으로 편광되는,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 패널(210)은 가변적인 광 투과 특성을 갖는다는 의미에서 능동형(active)인,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 패널(210) 및 상기 관측 윈도우(220)는 함께 액정 스크린을 형성하는, 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관측 윈도우(220)는 변화되지 않는 광 투과 특성을 갖는다는 의미에서 비-능동형(inactive)이며, 상기 차단 패널(210)은 완전한 불투명도 또는 투명도를 나타내도록 제어된 작동 가능한 층을 포함하는,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디스플레이 스크린(300)이 제공되며,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300)은 측정 위치에 있는 환자(10)의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고, 상기 이미지는 획득 수단(110)에 의해서 획득되는,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정보 처리 유닛(140)이 제공되며, 상기 정보 처리 유닛(140)은 측정 위치에 있는 환자(10)의 이미지를 처리할 수 있고 이로부터 환자(10)의 주시안을 추정할 수 있으며, 상기 이미지는 획득 수단(110)에 의해서 획득되는,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크(200)는 적어도 하나의 조종 핸들(245)이 구비된 섀시(240)를 포함하고, 환자(10)에 의해서 휴대 가능한, 장치.
  10. 목표(120), 이미지를 획득하기 위한 수단(110), 및 관측 윈도우(220)에 의해 구멍이 형성된 차단 패널(210)을 포함하는 마스크(200)를 포함하는 장치를 사용하여 환자(10)의 주시안을 결정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 마스크(200)가 목표(120)와 환자(10)의 양쪽 눈 사이에 위치되는 방식으로, 이미지를 획득하기 위한 수단(110)의 필드 내에 환자(10) 및 마스크(200)를 위치시키는 단계;
    - 상기 환자(10)가 관측 윈도우(220)를 통하여 목표(120)를 관측하는 단계;
    - 상기 획득 수단(110)이 목표(120)를 관측하는 환자(10)의 이미지를 획득하는 단계로서, 이때 상기 이미지 내에는 환자(10)의 얼굴 및 마스크(200)의 적어도 일부가 나타나는 단계; 및
    - 획득된 이미지 내에서의 환자(10)의 얼굴에 대한 마스크(200)의 위치에 따라 환자(10)의 주시안을 추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추정 단계는 디스플레이 스크린(300)상에 획득된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는 것으로 이루어지는, 방법.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추정 단계에서는, 한편으로 환자(10)의 양쪽 눈의 위치 및 다른 한편으로 환자(10)의 양쪽 눈에 대한 관측 윈도우(220)의 위치를 계산하기 위하여 획득된 이미지가 처리되는, 방법.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추정 단계에서는 환자(10)에게 안경(400)이 장착되고, 한편으로 안경(400)의 두 개의 아이와이어(402)의 위치 및 다른 한편으로 두 개의 아이와이어(402)에 대한 관측 윈도우(220)의 위치를 계산하기 위하여 획득된 이미지가 처리되는, 방법.
  14.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크(200)는 적어도 하나의 가시적인 기준 마크(250)를 포함하고, 상기 가시적인 기준 마크(250)에 대한 환자(10) 얼굴의 위치를 계산하기 위하여 획득된 이미지가 처리되는, 방법.
  15. 제10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 획득이 수동으로 제어되는, 방법.
  16. 제10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 획득은 연속으로 또는 일정한 간격으로 수행되며, 상기 추정 단계에서 상기 획득된 이미지들 중 하나가 선택되는, 방법.
  17.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크(200)에 대한 환자(10)의 얼굴 위치가 안정화되었을 때 이미지가 선택되는, 방법.
  18.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획득된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가 제공되는, 방법.
KR1020137026609A 2011-03-25 2012-03-08 환자의 주시안을 결정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KR10186688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1100896 2011-03-25
FR1100896A FR2972911B1 (fr) 2011-03-25 2011-03-25 Dispositif et procede de determination de l'oeil directeur d'un patient
PCT/FR2012/000083 WO2012131182A1 (fr) 2011-03-25 2012-03-08 Dispositif et procédé de détermination de l'œil directeur d'un patien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12716A KR20140012716A (ko) 2014-02-03
KR101866887B1 true KR101866887B1 (ko) 2018-06-15

Family

ID=442478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26609A KR101866887B1 (ko) 2011-03-25 2012-03-08 환자의 주시안을 결정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140016090A1 (ko)
EP (1) EP2688462B1 (ko)
KR (1) KR101866887B1 (ko)
CN (1) CN103547210B (ko)
FR (1) FR2972911B1 (ko)
WO (1) WO201213118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972339B1 (fr) * 2011-03-11 2013-04-19 Essilor Int Procede de determination de l'oeil directeur
FR3003460B1 (fr) * 2013-03-21 2015-03-27 Essilor Int Equipement pour la determination de l'œil directeur
CN104367320B (zh) * 2014-11-07 2016-10-05 北京智谷睿拓技术服务有限公司 主导眼确定方法和设备
US10016131B2 (en) * 2014-11-14 2018-07-10 Sensomotoric Instruments Gesellschaft Fur Innovative Sensorik Mbh Eye tracking system and method to detect the dominant eye
US9345400B1 (en) * 2015-04-14 2016-05-24 Donald W. Benefield Ocular dominance testing apparatus and method
CN109349999B (zh) * 2018-10-10 2021-04-02 施川南 一种主观验光方法
KR102194816B1 (ko) * 2019-01-29 2020-12-23 박준용 주시안 테스트 장치 및 주시안 테스트 방법
KR102165807B1 (ko) * 2019-09-04 2020-10-14 주식회사 브이터치 우세안을 결정하는 방법, 시스템 및 비일시성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
KR102331051B1 (ko) * 2020-03-19 2021-11-25 춘해보건대학교 산학협력단 우위안 검사장치
IT202000022120A1 (it) * 2020-09-18 2020-12-18 Univ Degli Studi Di Trento Sistema e procedimento di quantificazione della dominanza ocular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147670A (zh) * 2007-08-29 2008-03-26 中国人民解放军第三军医大学第一附属医院 斜视测试仪
JP2009047912A (ja) * 2007-08-20 2009-03-05 Fujifilm Corp 立体画像撮影装置
US20100245768A1 (en) 2009-03-28 2010-09-30 Andrew Peter Davis viewing device to minimize parallax
WO2011021936A1 (en) 2009-08-20 2011-02-24 Technische Universiteit Delft Apparatus and method for automatically determining a strabismus angle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SE8703636D0 (sv) * 1987-09-21 1987-09-21 Udden Eye movement measuring and supervising device
JPH074343B2 (ja) * 1992-09-29 1995-01-25 株式会社エイ・ティ・アール視聴覚機構研究所 奥行き知覚分析装置
US5349397A (en) * 1993-06-29 1994-09-20 Monahan Patrick W Apparatus and method for determining a patient's dominant eye
US6157382A (en) * 1996-11-29 2000-12-05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display method and apparatus therefor
EP1731120B1 (de) * 2005-06-09 2008-05-07 SIE AG, Surgical Instrument Engineering Ophthalmologische Vorrichtung für die Auflösung von Augengewebe
US7854511B2 (en) * 2007-10-03 2010-12-21 Eye Marker Systems, Inc. Apparatus, methods and systems for non-invasive ocular assessment of neurological function
US7854509B2 (en) * 2007-12-13 2010-12-21 David Johns Vision screener
JP2009229752A (ja) * 2008-03-21 2009-10-08 Toshiba Corp 表示装置、表示方法及びヘッドアップディスプレイ
KR101580184B1 (ko) * 2009-03-17 2015-12-24 엘지전자 주식회사 입체 영상 필터 및 그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EP2329761A1 (en) * 2009-12-02 2011-06-08 RetCorr AB An apparatus and method for establishing and/or improving binocular vision
US8416277B2 (en) * 2009-12-10 2013-04-09 Apple Inc. Face detection as a metric to stabilize video during video chat session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047912A (ja) * 2007-08-20 2009-03-05 Fujifilm Corp 立体画像撮影装置
CN101147670A (zh) * 2007-08-29 2008-03-26 中国人民解放军第三军医大学第一附属医院 斜视测试仪
US20100245768A1 (en) 2009-03-28 2010-09-30 Andrew Peter Davis viewing device to minimize parallax
WO2011021936A1 (en) 2009-08-20 2011-02-24 Technische Universiteit Delft Apparatus and method for automatically determining a strabismus ang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FR2972911B1 (fr) 2013-04-05
CN103547210B (zh) 2017-02-15
CN103547210A (zh) 2014-01-29
FR2972911A1 (fr) 2012-09-28
KR20140012716A (ko) 2014-02-03
WO2012131182A1 (fr) 2012-10-04
EP2688462B1 (fr) 2016-08-31
EP2688462A1 (fr) 2014-01-29
US20140016090A1 (en) 2014-0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66887B1 (ko) 환자의 주시안을 결정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JP6612831B2 (ja) 眼鏡を着用する人物の行動特性、姿勢特性、又は幾何形態特性を判定する方法
JP6212115B2 (ja) 人物の他覚的眼屈折及び少なくとも1つの幾何学的形態パラメータを測定する装置及び方法
CA2914696C (fr) Procede de determination d'au moins une valeur d'un parametre de personnalisation d'un equipement de compensation visuelle
JP6556133B2 (ja) 自覚屈折力を測定する装置及び方法
CN109922707B (zh) 用于确定显示装置的使用者的眼睛参数的方法
US9841615B2 (en) Method for determining at least one optical design parameter for a progressive ophthalmic lens
JP4676476B2 (ja) 検眼枠
US9928421B2 (en) Method for helping determine the vision parameters of a subject
JP5311601B1 (ja) 双眼ルーペの製作方法
US10775624B2 (en) Binocular device comprising a monocular display device
JP6515542B2 (ja) 眼鏡装用画像解析装置、眼鏡装用画像解析方法、及び眼鏡装用画像解析プログラム
KR101075972B1 (ko) 렌즈처방을 위한 매개변수 측정장치
CN111417893B (zh) 用于检验眼科镜片在镜架中的安装的方法和组件
JP2017181657A (ja) 眼鏡装用画像解析装置、眼鏡装用画像解析方法、及び眼鏡装用画像解析プログラム
JP3201342U (ja) 累進眼鏡設計用シートマスク測定治具及び累進眼鏡設計用シートマスク貼り付け装置
KR20200141230A (ko) 스테레오 비전을 이용한 안경 제작용 인체 데이터 측정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