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66363B1 - 사용자 기반 조건에 따른 3차원(3d) 모델링 생성과 제공 시스템 - Google Patents

사용자 기반 조건에 따른 3차원(3d) 모델링 생성과 제공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66363B1
KR101866363B1 KR1020170158443A KR20170158443A KR101866363B1 KR 101866363 B1 KR101866363 B1 KR 101866363B1 KR 1020170158443 A KR1020170158443 A KR 1020170158443A KR 20170158443 A KR20170158443 A KR 20170158443A KR 101866363 B1 KR101866363 B1 KR 1018663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user
modeling
gis
file form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584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종훈
황인규
김도윤
신재호
김주영
최윤호
Original Assignee
공간정보기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공간정보기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공간정보기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584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6636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663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663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7/00Three dimensional [3D] modelling, e.g. data description of 3D objec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9/00Manipulating 3D models or images for computer graphics
    • G06T19/20Editing of 3D images, e.g. changing shapes or colours, aligning objects or positioning par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20Image signal generato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2200/00Indexing scheme for 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2200/08Indexing scheme for 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involving all processing steps from image acquisition to 3D model gener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Geometry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Architecture (AREA)
  • Processing Or Creating Im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 기반 조건에 따른 3차원(3D) 모델링 생성과 제공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기존에 구축된 고정밀 3D 모델링 데이터를 문화장르에 최적화된 맞춤형 모델링 데이터로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동적으로 제공함으로써 데이터 낭비와 시간을 줄일 수 있고, 공간문화 콘텐츠의 다양한 부가서비스를 제공하여 영화, 게임 등의 일반적인 문화콘텐츠 뿐만 아니라 체험형 학습과 같은 교육, 정신 의학, 심리 치료 분야를 비롯하여 실 환경 구축이 필요한 연구 개발 분야로의 다양한 적용 확장성을 갖는 사용자 기반 조건에 따른 3차원(3D) 모델링 생성과 제공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사용자 기반 조건에 따른 3차원(3D) 모델링 생성과 제공 시스템{Three-dimensional (3D) modeling generation and provision system based on user-based conditions}
본 발명은 사용자 기반 조건에 따른 3차원(3D) 모델링 생성과 제공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기존에 구축된 고정밀 3D 모델링 데이터를 문화장르에 최적화된 맞춤형 모델링 데이터로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동적으로 제공함으로써 데이터 낭비와 시간을 줄일 수 있고, 공간문화 콘텐츠의 다양한 부가서비스를 제공하여 영화, 게임 등의 일반적인 문화콘텐츠 뿐만 아니라 체험형 학습과 같은 교육, 정신 의학, 심리 치료 분야를 비롯하여 실 환경 구축이 필요한 연구 개발 분야로의 다양한 적용 확장성을 갖는 사용자 기반 조건에 따른 3차원(3D) 모델링 생성과 제공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다양한 문화산업계, 이를 테면 게임계, 공연계, 관광계, AR/VR 등에서는 다양한 형태의 3D 모델링 파일이 활용된다.
이러한 3D 모델링 파일은 각기 다른 포맷으로 변환되어 해당 문화산업에 맞게 사용되게 된다.
그런데, 3D 모델링 파일은 사용자가 원하는 조건의 데이터만을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파일을 여러 형태의 다른 포맷으로 변환하기가 쉽지 않고, 제조사에서 제공하는 변환가능한 파일 포맷 외에는 변환할 수 없는 한계가 있어 데이터의 낭비가 심하게 발생된다.
즉, 게임 분야에서 사용하는 공간데이터의 3D 모델링 파일 포맷과, 공연 관광 분야에서 사용하는 공간데이터의 3D 모델링 파일 포맷이 서로 달라 호환이 안되기 때문에 이를 서로 활용하는 많은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문화산업계의 저변확대와 폭넓은 교류 및 새로운 패더라임의 콘텐츠 개발을 위해 고정밀 3D 모델링 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화 하고, 웹 서비스를 통해 사용자가 원하는 형태와 품질의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생성 및 전송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다양한 문화산업에 적절한 형태로 쉽고 빠르게 활용될 수 있는 기술개발이 필요한 시점이다.
대한민국 특허 등록번호 제10-1538014호(2015.07.14.) '3D 모델링을 통해 사진 이미지로부터 입체영상을 생성하는 방법'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상의 제반 문제점들을 감안하여 이를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 기존에 구축된 고정밀 3D 모델링 데이터를 문화장르에 최적화된 맞춤형 모델링 데이터로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동적으로 제공함으로써 데이터 낭비와 시간을 줄일 수 있고, 공간문화 콘텐츠의 다양한 부가서비스를 제공하여 영화, 게임 등의 일반적인 문화콘텐츠 뿐만 아니라 체험형 학습과 같은 교육, 정신 의학, 심리 치료 분야를 비롯하여 실 환경 구축이 필요한 연구 개발 분야로의 다양한 적용 확장성을 갖는 사용자 기반 조건에 따른 3차원(3D) 모델링 생성과 제공 시스템을 제공함에 그 주된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멀티레이어 구축을 위한 데이터를 정제 및 삽입 처리하는 3D GIS 데이터 스토어(100)와, 상기 3D GIS 데이터 스토어(100)로부터 특정 데이터를 받아 게임계ㆍ 공연계ㆍ관광계ㆍAR(증강현실)/VR(가상현실)로 특정된 문화산업계에서 원하는 파일포맷으로 변환하는 데이터 포맷 변환부(200)를 포함하는 사용자 기반 조건에 따른 3차원 모델링 생성과 제공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3D GIS 데이터 스토어(100)는 입력된 다양한 종류의 데이터들을 특정 파일 포맷으로 변환하는 포맷 변환 엔진부(110)와: 변환된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120)와: 상기 데이터베이스(120)에 사용자가 직접 접근하여 요청 자료를 특정 브라우저 형태로 볼 수 있도록 요청하는 유저 인터페이스(130)를 포함하되,
입력되는 데이터들은 GIS Data Set, 3D 원시데이터, 3D Vworld Data를 포함하며;
상기 포맷 변환 엔진부(110)는 입력되는 데이터들을 공간데이터와 텍스처 데이터로 분리 추출하는 3D 데이터 크롤러(Crawler)(112)와, 추출된 공간데이터와 텍스처 데이터의 형태 및 정보를 분석하는 원시파일 포맷분석부(114)와, 상기 원시파일 포맷분석부(114)가 분석한 정보를 바탕으로 3D GIS Data로 관리할 수 있는 대표적인 파일포맷인 DEM(Digital Elevation Model)으로 변환하는 데이터변환부(116)를 포함하고;
상기 유저 인터페이스(130)는 API(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132)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형태의 브라우저(Browser)로 볼 수 있도록 출력하되, 상기 브라우저는 HTML App(134), Javascript App(136). CSS Document(138)를 포함하며;
상기 3D GIS 데이터 스토어(100)는 사각 박스 형상의 함체(300)로 이루어지되, 상기 함체(300)의 양측면에는 내기와 외기를 열교환시킨 상태로 출입시키는 송풍유닛(310)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기반 조건에 따른 3차원 모델링 생성과 제공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기존에 구축된 고정밀 3D 모델링 데이터를 문화장르에 최적화된 맞춤형 모델링 데이터로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동적으로 제공함으로써 데이터 낭비와 시간을 줄일 수 있고, 공간문화 콘텐츠의 다양한 부가서비스를 제공하여 영화, 게임 등의 일반적인 문화콘텐츠 뿐만 아니라 체험형 학습과 같은 교육, 정신 의학, 심리 치료 분야를 비롯하여 실 환경 구축이 필요한 연구 개발 분야로의 다양한 적용 확장성을 갖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기반 조건에 따른 3차원(3D) 모델링 생성과 제공 시스템의 개념적인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3D GIS 데이터 스토어를 구성하는 함체의 예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구현된 송풍유닛의 예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내부 구조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 설명에 앞서, 이하의 특정한 구조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또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특정 실시예들은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물,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 사용자 기반 조건에 따른 3차원(3D) 모델링 생성과 제공 시스템은 멀티레이어 구축을 위한 데이터를 정제 및 삽입 처리하는 3D GIS 데이터 스토어(100)와, 상기 3D GIS 데이터 스토어(100)로부터 특정 데이터를 받아 문화산업계에서 원하는 파일포맷으로 변환하는 데이터 포맷 변환부(200)를 포함한다.
이때, 멀티레이어로 구축하는 이유는 디도스(DDos) 등과 같은 공격으로부터 시스템을 보호하여 보안성을 강화시키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3D GIS 데이터 스토어(100)는 입력된 다양한 종류의 데이터들을 특정 파일 포맷으로 변환하는 포맷 변환 엔진부(110)와, 변환된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120)와, 상기 데이터베이스(120)에 사용자가 직접 접근하여 요청 자료를 특정 브라우저 형태로 볼 수 있도록 요청하는 유저 인터페이스(130)를 포함한다.
여기에서, 입력되는 데이터들은 GIS Data Set, 3D 원시데이터, 3D Vworld Data 등 다양한 형태가 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포맷 변환 엔진부(110)는 입력되는 3D 데이터 크롤러(Crawler)(112)와, 원시파일 포맷분석부(114)와, 데이터변환부(116)를 포함하는데, 상기 3D 데이터 크롤러(112)는 데이터들을 공간데이터와 텍스처 데이터로 분리 추출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3D 데이터 크롤러(112)에서 추출된 공간데이터와 텍스처 데이터는 상기 원시파일 포맷분석부(114)에서 공간데이터의 형태, 텍스처 데이터의 형태 및 정보를 파악하게 된다.
또한, 상기 데이터변환부(116)에서는 상기 원시파일 포맷분석부(114)가 분석한 정보를 바탕으로 3D GIS Data로 관리할 수 있는 대표적인 파일포맷인 DEM(Digital Elevation Model)으로 변환한다.
이후, 공간데이터와 텍스처 데이터는 각각 링크 어드레스가 부여된 상태로 DEM 파일로 변환되고, 레이어별로 나뉘어 데이터베이스(120)에 저장된다.
이때, 데이터의 저장은 mozjpeg Guetzli와 같은 용량최소화 압축기법을 통해 압축된 상태로 저장하면 데이터베이스(120)를 경량화시킬 수 있어 효율적인 관리가 가능하게 된다.
이 경우, 상기 데이터베이스(120)는 3D GIS 데이터베이스이다.
여기에서, 3D GIS란 3차원 모형화 기술을 적용한 지리정보시스템으로서, 지형과 인공 시설물을 3차원 정보로 구축하고 증강현실 기술과 연동하여 공간 정보를 저장, 처리, 가공, 분석하는 시스템이며, 최근에는 U-시티, 전자 학습, 내비게이션 등 다양한 분야의 핵심 기술로 적용이 확대되고 있는 시스템을 말한다.
한편, 유저 인터페이스(130)는 API(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132)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형태의 브라우저(Browser)로 볼 수 있도록 출력할 수 있다.
이때, 브라우저는 HTML App(134), Javascript App(136). CSS Document(138) 등이 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API(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는 응용 프로그램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운영 체제나 프로그래밍 언어가 제공하는 기능을 제어할 수 있게 만든 인터페이스를 말하며, 주로 파일 제어, 창 제어, 화상 처리, 문자 제어 등을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인터페이스이다.
또한, 유저 인터페이스(130)의 경우, 사용자는 모델링 텍스처의 품질, 주소정보, 영역정보, 건물 높이, 층수, 크기 등과 같이 조건을 세분화하여 요청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 요청에 따라 데이터베이스(120)는 모델링 파일을 생성하기 위해 데이터베이스(120) 내에 존재하는 공간데이터와 모델링 중심점 좌표 데이터를 참조하여 파일을 생성하게 된다.
그리고, 해당 산업분야에서 직접 데이터를 요청할 경우에는 데이터 포맷 변환부(200)를 통해 직접 원하는 형태로 변환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본 발명에서는 3D GIS 데이터 스토어(100)가 포맷 변환 엔진부(110)와 데이터베이스(120)와 유저 인터페이스(130)를 포함하는 함체 형태이기 때문에 처리과정에서 함체 내부에 열이 많이 발생된다.
그런데, 종래 냉각팬은 단순히 함체에 구멍을 뚫고 송풍팬만 달아 놓은 상태이므로 내부 더스트가 송풍팬에 고착되어 송풍효과가 떨어지면서 냉각성능이 저하되는 단점이 있고, 또한 냉각을 위해 함체 내부 공기를 외부로 송풍할 때 외기의 유입이 있어야 하는데 특히 외기와 내기의 온도차가 클 경우 열충격에 의해 보드 형태의 기기들의 접속점에서 결로가 생겨 동작불량을 야기하거나 열화를 촉진하는 문제가 생길 수도 있기 때문에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까지 일소할 수 있는 방안까지 모색된 것이다.
이를 위해, 도 2의 예시와 같이, 본 발명은 3D GIS 데이터 스토어(100)를 구성하는 함체(300)의 양측면에는 송풍유닛(310)이 구비된다.
이때, 상기 송풍유닛(310)은 도 3 및 도 4의 예시와 같이, 송풍케이스(312)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송풍케이스(312)에는 함체(300)를 관통하여 내부로 노출되는 인렛(312a)과, 아웃렛(312b)이 연결된다.
또한, 상기 송풍케이스(312)의 하면에는 상기 인렛(312a) 및 아웃렛(312b)과 각각 연통되는 외기흡입구(316a)와 내기배출구(316b)가 형성된다.
덧붙여, 상기 인렛(312a)은 상기 송풍케이스(312)의 상부 일측면에 형성된 내기흡입구(314a)에 접속되며, 이와 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외기도입구(314b)에는 아웃렛(312b)이 접속된다.
따라서, 함체(300) 내부의 온도 상승된 내부 에어는 인렛(312a)과 내기흡입구(314a)를 통해 송풍케이스(312) 내부로 유입된 후 열교환되고 이어 송풍케이스(312)의 하면 일측에 형성된 내기배출구(316b)를 거쳐 외부로 배기된다.
그리고, 외부의 찬 에어는 송풍케이스(312)의 하면 타측에 형성된 외기흡입구(316a)를 통해 송풍케이스(312) 내부로 흡입된 다음 여과 및 열교환된 후 외기도입구(314b)과 아웃렛(312b)을 통해 함체(300) 내부로 도입된다.
다시 말해, 송풍케이스(312)는 내부에 도시하지 않은 두 개의 판형 열교환기가 내장되는데, 이 두 개의 판형 열교환기는 서로 유로가 겹치지 않도록 연속배치되며, 이를 위해 도 4의 예시와 같이 송풍케이스(312)의 내부는 다수의 리브를 통해 격벽이 형성된 구조를 갖는다.
이것은 판형 열교환기를 설치했을 때 에어의 유동유로가 서로 겹치지 않게 하기 위한 것이며, 화살표와 같은 공기 유동을 가지며, 제1열교환기 설치챔버(CH1)와 제2열교환기 설치챔버(CH2)에 각각 판형 열교환기가 장착된다.
다만, 판형 열교환기는 이미 널리 알려진 기기이므로 여기서는 설명을 생략하며, 예시와 같이 마름모꼴 형태로 배치됨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송풍케이스(312)는 내구성을 갖추기 위해 헥사메틸렌테트라민(Hexamethylenetetramine) 2 중량%와, 1-클로로-2,3-에폭시프로페인 5중량%와, 메틸트리메톡시실란 5중량%와, 폴리비닐알코올 10중량%와, 실리콘수지 10중량% 및 나머지 아크릴산(Acrylic acid)ㆍ스티렌(Styrene)ㆍ메타크릴산(Methacrylic acid)을 공중합시킨 공중합체로 이루어진 조성물로 성형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에서, 헥사메틸렌테트라민은 방부성을 강화시키면서 산성에서 염을 만들면서 분해되어 포름알데히드를 방출시켜 살균함과 동시에 제거하고 경화시 바인딩 효과를 높이기 위해 첨가되되며, 1-클로로-2,3-에폭시프로페인은 반응성이 강한 염소계 물질로서 조성물의 반응 안정화를 위해 첨가되고, 메틸트리메톡시실란은 소수성에 의해 유화물질들간의 결합력을 강화시켜 내구성을 증대시키기 위해 첨가된다.
또한, 폴리비닐알코올은 내산성과 내약품성을 강화시키기 위해 첨가되는 것으로 성분간 결합력을 높이기 위함이며, 실리콘수지는 규소와 산소 결합을 주체로 하는 고분자로서 접착력을 증대시켜 구성성분간 바인딩력을 강화시키기 위해 첨가되고, 아크릴산(Acrylic acid)ㆍ스티렌(Styrene)ㆍ메타크릴산(Methacrylic acid)을 공중합시킨 공중합체는 기재(base)로 사용된다.
뿐만 아니라, 상기 인렛(312a)과 아웃렛(312b)은 1-클로로-2,3-에폭시프로페인 2.5중량%와, 메틸트리메톡시실란 4.5중량%와, 폴리비닐알코올 5.5중량%와, 실리콘수지 3.5중량%와, 트리에탄올아민(Triethanolamine) 2.5중량%와, 페트롤라툼(petrolatum) 1.5중량%, 디아릴프탈레이트 1.5중량%와, 폴리이소시아네이트 1.5중량%와, 크레실 글리시드 에테르 3.5중량%와, 액화무수암모니아 1.5중량% 및 나머지 폴리카보네이트수지로 이루어진 합성수지물로 성형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에서, 1-클로로-2,3-에폭시프로페인은 반응성이 강한 염소계 물질로서 조성물의 반응 안정화를 위해 첨가되고, 메틸트리메톡시실란은 소수성에 의해 유화물질들간의 결합력을 강화시켜 내구성을 증대시키기 위해 첨가된다.
또한, 폴리비닐알코올은 내산성과 내약품성을 강화시키기 위해 첨가되는 것으로 성분간 결합력을 높이기 위함이며, 실리콘수지는 규소와 산소 결합을 주체로 하는 고분자로서 접착력을 증대시켜 구성성분간 바인딩력을 강화시키기 위해 첨가되고, 트리에탄올아민은 약알카리성으로서 산도 조절을 위해 첨가되는 완충제이며, 페트롤라툼은 비결정성인 고체탄화수소를 주성분으로 하는 연고모양의 물질로서 방수 기능이 있어 제형성을 강화시키기 위해 첨가되며, 디아릴프탈레이트는 접착성과 인성을 개선하여 부착안정성을 포함한 내열성과 치수안정성을 증대시키기 위해 첨가되고, 폴리이소시아네이트는 경화 촉진을 위해 첨가되며, 크레실 글리시드 에테르는 성분들간 바인딩력을 강화시켜 크랙 발생, 파단이나 국부적인 파손을 억제하고, 상기 액화무수암모니아는 방수성과 밀착성을 강화시키기 위해 첨가되며, 폴리카보네이트수지는 베이스수지이다.
그리고, 상기 제2열교환기 설치챔버(CH2)의 일측에는 서로 구획 분리된 상태로 배기팬설치홈(320)과 흡기팬설치홈(330)이 형성되어 각각에 도시하지 않은 배기팬과 흡기팬이 설치된다.
특히, 상기 배기팬설치홈(320)의 직하방 위치에는 외기도입구(314b)가 형성되고, 상기 외기도입구(314b)와 반대되는 쪽 송풍케이스(312)의 하면에는 외기흡입구(316a)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외기흡입구(316a)와 연통되어 외기를 상기 제1열교환기 설치챔버(CH1)로 유동시킬 때 도입되는 외기가 여과되도록 제1열교환기 설치챔버(CH1)의 측방에는 이와 연통되게 여과홈(340)이 형성되고, 상기 여과홈(340)에는 여과하우징(342)이 탈착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여과하우징(342)에는 여과재(344)를 내장한 카트리지(346)가 교체가능하게 삽입된다.
따라서, 도시를 생략했지만 배기팬이 가동되면 함체(300) 내부 공기는 인렛(312a) → 내기흡입구(314a) → 판형 열교환기 → 내기배출구(316b)의 순서로 이동하면서 외부로 배출된다.
반대로, 흡기팬이 가동되면 함체(300) 외부 공기는 외기흡입구(316a) → 여과홈(340) → 여과재(344) → 판형 열교환기 → 외기도입구(314b) → 아웃렛(312b)의 순서로 이동하면서 함체(300) 내부로 도입된다.
이와 같이, 내기와 외기가 서로 열교환된 상태로 도입 혹은 배기되는 것이므로 급격한 온도차가 없어 내부 기기에 열충격을 주지 않으면서 원활하게 냉각시킬 수 있게 된다.
뿐만 아니라, 상기 여과재(344)는 프리필터, 미디엄필터, 혜파필터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분리하고 장착하기 쉽도록 다단 걸림 구조를 갖추고 있어 사용상 편의성, 즉 여과재(344) 교체 작업이 쉽도록 하여 준다.
때문에, 수시로 교체할 수 있어 송풍압이 떨어지는 것을 막을 수 있다.
예컨대, 여과하우징(342)의 상단은 원터치식 래치 구조, 즉 한번 누르면 딸깍하고 걸리고, 다시 한번 더 누루면 걸림이 해제되는 원터치식 래치 구조를 갖도록 하여 조립을 쉽게 하도록 일측면에는 탄성편(342a)을 절개 형성하고, 상기 탄성편(342a)의 일부에는 후크(342b)를 돌출하며, 여과홈(340)의 탄성편(342a) 대응면에는 후크턱(342c)을 더 형성하여 원터치식 래치에 의한 고정해제시에는 일정거리 하강하다가 후크턱(342c)에 걸려 있다가 사용자가 탄성편(342a)을 눌러 빼면 걸림이 해제되면서 쉽게 빠지도록 구성할 수 있다.
100: 3D GIS 데이터 스토어 200: 데이터 포맷 변환부
300: 함체

Claims (1)

  1. 멀티레이어 구축을 위한 데이터를 정제 및 삽입 처리하는 3D GIS 데이터 스토어(100)와, 상기 3D GIS 데이터 스토어(100)로부터 특정 데이터를 받아 게임계ㆍ 공연계ㆍ관광계로 특정된 문화산업계에서 특정하는 AR(증강현실)/VR(가상현실)의 3D 모델링 데이터 파일포맷으로 변환하는 데이터 포맷 변환부(200)를 포함하는 사용자 기반 조건에 따른 3차원 모델링 생성과 제공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3D GIS 데이터 스토어(100)는 입력된 다양한 종류의 데이터들을 특정 파일 포맷으로 변환하는 포맷 변환 엔진부(110)와: 변환된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120)와: 상기 데이터베이스(120)에 사용자가 직접 접근하여 요청 자료를 특정 브라우저 형태로 볼 수 있도록 요청하는 유저 인터페이스(130)를 포함하되,
    입력되는 데이터들은 GIS Data Set, 3D 원시데이터, 3D Vworld Data를 포함하며;
    상기 포맷 변환 엔진부(110)는 입력되는 데이터들을 공간데이터와 텍스처 데이터로 분리 추출하는 3D 데이터 크롤러(Crawler)(112)와, 추출된 공간데이터와 텍스처 데이터의 형태 및 정보를 분석하는 원시파일 포맷분석부(114)와, 상기 원시파일 포맷분석부(114)가 분석한 정보를 바탕으로 3D GIS Data로 관리할 수 있는 대표적인 파일포맷인 DEM(Digital Elevation Model)으로 변환하는 데이터변환부(116)를 포함하고;
    상기 유저 인터페이스(130)는 API(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132)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형태의 브라우저(Browser)로 볼 수 있도록 출력하되, 상기 브라우저는 HTML App(134), Javascript App(136). CSS Document(138)를 포함하며;
    상기 3D GIS 데이터 스토어(100)는 사각 박스 형상의 함체(300)로 이루어지되, 상기 함체(300)의 양측면에는 내기와 외기를 열교환시킨 상태로 출입시키는 송풍유닛(310)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기반 조건에 따른 3차원 모델링 생성과 제공 시스템.
KR1020170158443A 2017-11-24 2017-11-24 사용자 기반 조건에 따른 3차원(3d) 모델링 생성과 제공 시스템 KR1018663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8443A KR101866363B1 (ko) 2017-11-24 2017-11-24 사용자 기반 조건에 따른 3차원(3d) 모델링 생성과 제공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8443A KR101866363B1 (ko) 2017-11-24 2017-11-24 사용자 기반 조건에 따른 3차원(3d) 모델링 생성과 제공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66363B1 true KR101866363B1 (ko) 2018-06-12

Family

ID=626224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58443A KR101866363B1 (ko) 2017-11-24 2017-11-24 사용자 기반 조건에 따른 3차원(3d) 모델링 생성과 제공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6636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05951A (ko) * 2018-07-09 2020-01-17 서울시립대학교 산학협력단 3차원 bim 객체 모델링 서버 및 이를 포함하는 3차원 bim 객체 모델링 시스템
KR102386028B1 (ko) 2021-01-06 2022-04-14 주식회사 셀바이오휴먼텍 전위차 소재를 이용한 전도성 패턴이 구비된 창상피복재 시트 및 그 제조방법

Citation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36522A (ja) * 1999-12-17 2001-08-31 Canon Inc 画像処理装置
US20020169801A1 (en) * 2001-02-16 2002-11-14 Martin Barnes Web site converter
JP2003529812A (ja) * 1999-06-11 2003-10-07 リベレイト テクノロジーズ エルエルシー マルチメディア・データを記憶、検索およびプレイするための方法、装置およびシステム
KR20070040598A (ko) * 2005-10-12 2007-04-17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일체형 포탈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과, 이를 위한 사용자단말장치
JP2007529786A (ja) * 2004-03-17 2007-10-25 シードラゴン ソフトウェア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地理情報または他のベクトルデータをイメージとして符号化および処理するための方法
KR20090002531A (ko) * 2007-06-30 2009-01-09 김창수 위치기반서비스 및 지리정보서비스 환경에서 온톨리지를기반으로 하는 개인 맞춤 생활정보 제공방법
JP2014521986A (ja) * 2011-04-15 2014-08-28 バイエル・インテレクチュアル・プロパティ・ゲゼルシャフト・ミット・ベシュレンクテル・ハフツング 現場作業者のための視覚情報システム及びコンピュータ・モビリティ・アプリケーション
KR101538014B1 (ko) 2014-01-14 2015-07-22 강기환 3d 모델링을 통해 사진 이미지로부터 입체영상을 생성하는 방법
US20160078640A1 (en) * 2010-03-10 2016-03-17 Tangentix Limited Multimedia content delivery system
JP2016540320A (ja) * 2013-12-17 2016-12-22 アルカテル−ルーセント マルチメディア資産の中のオブジェクトを注釈付けするための方法
JP2017127007A (ja) * 2013-02-21 2017-07-20 ドルビー ラボラトリーズ ライセンシング コーポレイション オーバーレイグラフィクス合成のためのアピアランスマッピングのシステムおよび装置
JP2018036972A (ja) * 2016-09-01 2018-03-08 ポップコーンサー コー リミテッド ファイルフォーマット変換装置及びその変換方法

Patent Citation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529812A (ja) * 1999-06-11 2003-10-07 リベレイト テクノロジーズ エルエルシー マルチメディア・データを記憶、検索およびプレイするための方法、装置およびシステム
JP2001236522A (ja) * 1999-12-17 2001-08-31 Canon Inc 画像処理装置
US20020169801A1 (en) * 2001-02-16 2002-11-14 Martin Barnes Web site converter
JP2007529786A (ja) * 2004-03-17 2007-10-25 シードラゴン ソフトウェア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地理情報または他のベクトルデータをイメージとして符号化および処理するための方法
KR20070040598A (ko) * 2005-10-12 2007-04-17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일체형 포탈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과, 이를 위한 사용자단말장치
KR20090002531A (ko) * 2007-06-30 2009-01-09 김창수 위치기반서비스 및 지리정보서비스 환경에서 온톨리지를기반으로 하는 개인 맞춤 생활정보 제공방법
US20160078640A1 (en) * 2010-03-10 2016-03-17 Tangentix Limited Multimedia content delivery system
JP2014521986A (ja) * 2011-04-15 2014-08-28 バイエル・インテレクチュアル・プロパティ・ゲゼルシャフト・ミット・ベシュレンクテル・ハフツング 現場作業者のための視覚情報システム及びコンピュータ・モビリティ・アプリケーション
JP2017127007A (ja) * 2013-02-21 2017-07-20 ドルビー ラボラトリーズ ライセンシング コーポレイション オーバーレイグラフィクス合成のためのアピアランスマッピングのシステムおよび装置
JP2016540320A (ja) * 2013-12-17 2016-12-22 アルカテル−ルーセント マルチメディア資産の中のオブジェクトを注釈付けするための方法
KR101538014B1 (ko) 2014-01-14 2015-07-22 강기환 3d 모델링을 통해 사진 이미지로부터 입체영상을 생성하는 방법
JP2018036972A (ja) * 2016-09-01 2018-03-08 ポップコーンサー コー リミテッド ファイルフォーマット変換装置及びその変換方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05951A (ko) * 2018-07-09 2020-01-17 서울시립대학교 산학협력단 3차원 bim 객체 모델링 서버 및 이를 포함하는 3차원 bim 객체 모델링 시스템
KR102120680B1 (ko) * 2018-07-09 2020-06-09 서울시립대학교 산학협력단 3차원 bim 객체 모델링 서버 및 이를 포함하는 3차원 bim 객체 모델링 시스템
KR102386028B1 (ko) 2021-01-06 2022-04-14 주식회사 셀바이오휴먼텍 전위차 소재를 이용한 전도성 패턴이 구비된 창상피복재 시트 및 그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66363B1 (ko) 사용자 기반 조건에 따른 3차원(3d) 모델링 생성과 제공 시스템
Tran et al. Shape grammar approach to 3D modeling of indoor environments using point clouds
CN101784989B (zh) 在逻辑分区之间分配网络适配器资源的方法和系统
KR970016991A (ko) 분산형 대화 방식의 멀티미디어 서비스 시스템
CN1947081A (zh) 用于计算设备的安全模型的方法和系统
CN1856784A (zh) 用于存储平台中的锁定和隔离的系统和方法
CN102810116A (zh) 一种基于数据库连接的自动路由和负载均衡的方法及系统
WO2011162472A1 (ko) 가상 세계 기반에서의 가상 객체 식별 체계 지원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시스템
Palmer et al. A component-based framework for smoothed particle hydrodynamics simulations of reactive fluid flow in porous media
EP1548577A2 (en) System and method for employing object-based pipelines
Shakya et al. Thermal comfort and energy analysis of a hybrid cooling system by coupling natural ventilation with radiant and indirect evaporative cooling
KR101846516B1 (ko) 3차원(3d) 모델링 데이터의 효율적인 데이터 관리방법
Zhang et al. Integrated metal‐organic framework (MOF) and pressure/vacuum swing adsorption process design: MOF matching
JP5852739B2 (ja) 複数の記憶装置へのデータの割振り
Schewe et al. Component-driven engineering of database applications
Pfoser On user-generated geocontent
CN107122031A (zh) 一种计算机服务器大数据处理保障的辅助装置
Grobler et al. Ontologies and shape grammars: communication between knowledge-based and generative systems
Park et al. Operating energy savings of a liquid desiccant and evaporative cooling-assisted air-handling system in marine applications
Schaelicke Architectural support for user-level input/output
WO2002010742A3 (en) System and method for predicting adme/tox characteristics of a compound
CN107992566A (zh) 基于Hibernate的数据映射方法及系统
CN100373389C (zh) 一种芯片仿真平台的算法仿真模型管理方法及系统
CN1839382A (zh) 动态贝叶斯网络的最可能解释生成
Garralda et al. Splitting mobility and communication in boxed ambien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