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66085B1 - Towing hook assembly - Google Patents

Towing hook assembly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66085B1
KR101866085B1 KR1020160148202A KR20160148202A KR101866085B1 KR 101866085 B1 KR101866085 B1 KR 101866085B1 KR 1020160148202 A KR1020160148202 A KR 1020160148202A KR 20160148202 A KR20160148202 A KR 20160148202A KR 101866085 B1 KR101866085 B1 KR 1018660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ok
bar
shaft
distance sensor
auxilia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4820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80051194A (en
Inventor
김두현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482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66085B1/en
Publication of KR201800511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5119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660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6608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DVEHICLE CONNECTIONS
    • B60D1/00Traction couplings; Hitches; Draw-gear; Towing devices
    • B60D1/01Traction couplings or hitches characterised by their type
    • B60D1/04Hook or hook-and-hasp coupl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DVEHICLE CONNECTIONS
    • B60D1/00Traction couplings; Hitches; Draw-gear; Towing devices
    • B60D1/24Traction couplings; Hitches; Draw-gear; Towing device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s for particular functions
    • B60D1/28Traction couplings; Hitches; Draw-gear; Towing device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s for particular functions for preventing unwanted disengagement, e.g. safety applian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9/00Arrangement or adaptation of signal devices not provided for in one of main groups B60Q1/00 - B60Q7/00, e.g. haptic signalling

Abstract

본 발명은, 견인 후크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서, 일측이 개구된 후크홈을 구비하며, 차량에 고정되는 후크 파이프; 상기 후크홈에 적어도 일부분이 삽입되는 후크바를 구비하는 견인 후크; 및 상기 후크바와 함께 상기 후크홈에 삽입되어 상기 후크바와 상기 후크홈의 내측면에 사이에 위치하도록 상기 후크바의 일단에 결합되는 결합 상태 감지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결합 상태 감지 유닛은, 상기 후크바의 일단에 고정되는 기준 거리 센서; 상기 후크홈의 내측면과 가압 접촉되어 상기 기준 거리 센서를 향해 이동하도록 상기 후크홈의 내측면과 상기 기준 거리 센서 사이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샤프트; 상기 후크바의 일단 쪽을 향하도록 상기 샤프트의 일단에 설치되는 보조 거리 센서; 및 상기 기준 거리 센서와 상기 보조 거리 센서 사이의 거리를 기준으로 상기 후크홈의 내측면과 상기 후크바의 일단 사이의 거리를 측정 가능한 제어부를 구비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ulling hook assembly, comprising: a hook pipe having a hook groove with one side opened, the hook pipe being fixed to the vehicle; A pulling hook having a hook bar into which at least a portion of the hooking groove is inserted; And an engagement state sensing unit inserted into the hook groove together with the hook bar to be coupled to one end of the hook bar so as to be positioned between the hook bar and the inner side of the hook groove; The coupled state sensing unit includes: a reference distance sensor fixed to one end of the hook bar; A shaft movably installed between the inner side surface of the hook groove and the reference distance sensor so as to be pressed against the inner surface of the hook groove to move toward the reference distance sensor; An auxiliary distance sensor installed at one end of the shaft so as to face one end of the hook bar; And a controller capable of measuring a distance between an inner surface of the hook groove and one end of the hook bar based on a distance between the reference distance sensor and the auxiliary distance sensor.

Figure R1020160148202
Figure R1020160148202

Description

견인 후크 어셈블리{TOWING HOOK ASSEMBLY}[0001] TOWING HOOK ASSEMBLY [0002]

본 발명은 차량의 견인을 위한 견인 후크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raction hook assembly for traction of a vehicle.

일반적으로 차량의 견인 후크 장치는 차량의 구난 또는 견인 시 케이블을 차체에 연결하기 위한 장치로써, 크게는 차체에 고리 형상의 견인 후크가 직접 용접 고정되는 타입과 별물의 견인 후크를 차체에 선택적으로 고정 체결하는 타입으로 구분된다In general, a traction hook device of a vehicle is a device for connecting a cable to a vehicle body when a vehicle is retracted or towed. In general, a traction hook is directly welded and fixed to a vehicle body, and a tow hook of a star is selectively fixed It is divided into types to be fastened

이 가운데 후자의 경우, 차량의 범퍼 등에 고정된 후크 파이프의 후크홈에 고리 형상의 견인 후크를 분리 가능하게 삽입하여 사용하게 된다. 따라서, 견인 후크가 후크홈에 미리 정해진 깊이까지 삽입되지 않거나 소정의 각도 이상 회전된 상태로 삽입된 경우에는, 견인 작업 시 견인 후크가 후크홈으로부터 이탈된 우려가 있다.In the latter case, an annular pulling hook is detachably inserted into a hook groove of a hook pipe fixed to a bumper of a vehicle or the like. Therefore, when the pulling hook is inserted into the hook groove at a predetermined depth or rotated or rotated over a predetermined angle, the pulling hook may be detached from the hook groove during the pulling operation.

그런데, 종래의 견인 후크 장치는, 견인 후크가 후크홈에 삽입된 깊이나 견인 후크의 배치 각도를 작업자가 인식할 수 없는 구조를 갖는다. 따라서, 종래의 견인 후크 장치는, 견인 작업시 후크홈으로부터 이탈될 우려가 있고, 견인 후크에 설치 및 분리 작업에 많은 시간이 소요된다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the conventional traction hook device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operator can not recognize the depth at which the traction hook is inserted into the hook groove and the placement angle of the traction hook. Therefore, the conventional traction hook device may be detached from the hook groove at the time of pulling operation, and there is a problem that much time is required for installation and separation work on the pulling hook.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견인 후크가 후크 파이프에 삽입된 깊이를 작업자가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도록 구조를 개선한 견인 후크 어셈블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pulling hook assembly which is improved in structure so that an operator can easily recognize the depth of the pulling hook inserted into the hooking pipe.

나아가, 본 발명은, 견인 후크가 회전된 각도를 작업자가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도록 구조를 개선한 견인 후크 어셈블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Further,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pulling hook assembly improved in structure so that the operator can easily recognize the angle at which the pulling hook is rotated.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견인 후크 어셈블리는, 일측이 개구된 후크홈을 구비하며, 차량에 고정되는 후크 파이프; 상기 후크홈에 적어도 일부분이 삽입되는 후크바를 구비하는 견인 후크; 및 상기 후크바와 함께 상기 후크홈에 삽입되어 상기 후크바와 상기 후크홈의 내측면에 사이에 위치하도록 상기 후크바의 일단에 결합되는 결합 상태 감지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결합 상태 감지 유닛은, 상기 후크바의 일단에 고정되는 기준 거리 센서; 상기 후크홈의 내측면과 가압 접촉되어 상기 기준 거리 센서를 향해 이동하도록 상기 후크홈의 내측면과 상기 기준 거리 센서 사이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샤프트; 상기 후크바의 일단 쪽을 향하도록 상기 샤프트의 일단에 설치되는 보조 거리 센서; 및 상기 기준 거리 센서와 상기 보조 거리 센서 사이의 거리를 기준으로 상기 후크홈의 내측면과 상기 후크바의 일단 사이의 거리를 측정 가능한 제어부를 구비한다.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pull hook assembly comprising: a hook pipe having a hook groove with one side opened; A pulling hook having a hook bar into which at least a portion of the hooking groove is inserted; And an engagement state sensing unit inserted into the hook groove together with the hook bar to be coupled to one end of the hook bar so as to be positioned between the hook bar and the inner side of the hook groove; The coupled state sensing unit includes: a reference distance sensor fixed to one end of the hook bar; A shaft movably installed between the inner side surface of the hook groove and the reference distance sensor so as to be pressed against the inner surface of the hook groove to move toward the reference distance sensor; An auxiliary distance sensor installed at one end of the shaft so as to face one end of the hook bar; And a controller capable of measuring a distance between an inner surface of the hook groove and one end of the hook bar based on a distance between the reference distance sensor and the auxiliary distance sensor.

바람직하게, 상기 결합 상태 감지 유닛은, 상기 기준 거리 센서로부터 미리 정해진 간격만큼 이격되도록 상기 후크바의 일단에 고정되는 기준 회전 센서; 상기 샤프트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회전바; 상기 회전바가 상기 샤프트를 중심으로 회전되어 중력 방향과 평행하게 위치하도록 상기 회전바의 일단에 장착되는 무게추; 및 상기 후크바의 일단을 향함과 동시에 상기 샤프트와 상기 미리 정해진 간격만큼 이격되도록 상기 회전바에 고정되는 보조 회전 센서를 더 구비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기준 회전 센서와 상기 보조 회전 센서의 상대 위치를 기준으로 상기 후크바의 배치 각도를 측정 가능하다.Preferably, the coupled state detecting unit includes: a reference rotation sensor fixed at one end of the hook bar so as to be spaced apart from the reference distance sensor by a predetermined interval; A rotating bar rotatably mounted on the shaft; A weight attached to one end of the rotating bar such that the rotating bar is rotated about the shaft and parallel to the gravity direction; And an auxiliary rotation sensor fixed to the rotary bar so as to be spaced apart from the shaft by the predetermined interval while facing the one end of the hook bar, wherein the control unit sets the relative position of the reference rotation sensor and the auxiliary rotation sensor as reference The hook angle of the hook bar can be measured.

바람직하게, 상기 기준 거리 센서, 상기 샤프트, 및 상기 보조 거리 센서는 상기 후크바의 중심축과 일직선 상에 위치하도록 설치된다.Preferably, the reference distance sensor, the shaft, and the auxiliary distance sensor are installed so as to be positioned in line with the central axis of the hook bar.

바람직하게, 상기 결합 상태 감지 유닛은, 상기 후크홈의 내측면과 상기 후크바의 일단 사이의 거리가 미리 정해진 기준 거리에 해당하는 경우와, 상기 상기 후크바의 배치 각도가 미리 정해진 기준 각도에 해당하는 경우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경우에 알람을 표시하는 알람기를 더 구비한다.Preferably, the engagement state detection unit is configured to detect a state where a distance between an inner surface of the hook groove and one end of the hook bar corresponds to a predetermined reference distance, and a case where the arrangement angle of the hook bar corresponds to a predetermined reference angle And an alarm device for displaying an alarm in at least one of the cases.

바람직하게, 상기 알람기는, 상기 후크홈의 내측면과 상기 후크바의 일단 사이의 거리가 상기 기준 거리에 해당하는 경우와, 상기 후크바의 배치 각도가 상기 기준 각도에 해당하는 경우에 각각, 서로 상이한 알람을 표시한다.Preferably, when the distance between the inner surface of the hook groove and the one end of the hook bar corresponds to the reference distance, and when the arrangement angle of the hook bar corresponds to the reference angle, Display different alarms.

바람직하게, 상기 알람기는, 스피커와 램프 중 적어도 하나를 갖는다.Preferably, the alarm device has at least one of a speaker and a lamp.

바람직하게, 상기 기준 회전 센서는, 상기 기준 거리 센서로부터 일 방향으로 상기 간격만큼 이격되도록 마련되는 제1 기준 회전 센서와, 상기 기준 거리 센서로부터 상기 일 방향과 반대되는 타 방향으로 상기 간격만큼 이격되도록 마련되는 제2 기준 회전 센서를 갖고, 상기 보조 회전 센서는, 상기 샤프트로부터 상기 일 방향으로 상기 간격만큼 이격되도록 마련되는 제1 보조 회전 센서와, 상기 샤프트로부터 상기 타 방향으로 상기 간격만큼 이격되도록 마련되는 제2 보조 회전 센서를 갖는다.Preferably, the reference rotation sensor includes: a first reference rotation sensor that is spaced apart from the reference distance sensor by one distance in one direction; and a second reference rotation sensor that is spaced apart from the reference distance sensor in the other direction opposite to the one direction Wherein the auxiliary rotation sensor comprises a first auxiliary rotation sensor provided so as to be spaced apart from the shaft in the one direction by the interval, and a second auxiliary rotation sensor which is spaced apart from the shaft in the other direction And the second auxiliary rotation sensor.

바람직하게, 상기 결합 상태 감지 유닛은, 상기 샤프트가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는 가이드홀을 갖는 커버를 더 구비하며, 상기 샤프트는 일단은 상기 보조 거리 센서와 함께 상기 커버의 내부에 위치하고, 상기 샤프트의 타단은 상기 후크홈의 내측면과 가압 접촉될 수 있도록 상기 가이드홀을 통해 상기 커버의 외부로 연장된다.Preferably, the engagement state sensing unit further includes a cover having a guide hole into which the shaft is movably inserted, the shaft having one end located inside the cover together with the auxiliary distance sensor, and the other end Extends outwardly of the cover through the guide hole so as to be brought into pressure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hook groove.

바람직하게, 상기 샤프트는, 상기 샤프트의 일단과 상기 커버의 내측면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가이드홀에 비해 큰 직경을 갖는 제1 플렌지를 갖고, 상기 결합 상태 감지 유닛은, 상기 커버의 내측면과 상기 제1 플렌지 사이에 개재되며 상기 샤프트를 상기 후크홈의 내측면 쪽으로 탄성 바이어스 가능한 탄성 부재를 더 구비한다.Preferably, the shaft includes a first flange located between one end of the shaft and an inner surface of the cover and having a larger diameter than the guide hole, and the engagement state sensing unit includes: And an elastic member interposed between the first flanges and capable of elastically biasing the shaft toward the inner side surface of the hook groove.

바람직하게, 상기 탄성 부재는, 인장 코일 스프링이다.Preferably, the elastic member is a tension coil spring.

바람직하게, 상기 회전바는 상기 샤프트가 관통하는 관통홀을 갖고, 상기 샤프트는 상기 삽입홀에 비해 큰 직경을 갖고 상기 일단에 위치하는 제2 플렌지를 더 갖고, 상기 회전바는 상기 제1 플렌지와 상기 제2 플렌지 사이에 개재되도록 상기 샤프트에 장착된다.Preferably, the rotary bar has a through hole through which the shaft passes, the shaft further has a second flange having a larger diameter than the insertion hole and located at the one end, the rotary bar having a first flange And is mounted to the shaft to be interposed between the second flanges.

바람직하게, 상기 결합 상태 감지 유닛은, 상기 후크바의 일단에 고정 설치되며 상기 커버와 결합되어 폐공간을 형성하는 베이스를 더 구비하며, 상기 기준 거리 센서와 상기 기준 회전 센서는 상기 베이스의 내측면에 고정된다.Preferably, the coupling state detecting unit further includes a base fixedly installed at one end of the hook bar and coupled with the cover to form a closed space, and the reference distance sensor and the reference rotation sensor are disposed on an inner surface Respectively.

본 발명에 따른 견인 후크 어셈블리는, 견인 후크의 후크바가 후크 파이프의 후크홈에 기준 깊이까지 삽입되었는지 여부와 기준 각도로 삽입되었는지 여부를 각각 작업자가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차량의 견인 중에 견인 후크가 후크 파이프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견인 후크에 설치 작업에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The pulling hook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so that the operator can easily grasp whether or not the hook bar of the pulling hook is inserted up to the reference depth into the hook groove of the hook pipe and whether or not the hooking bar is inserted at the reference angle. 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can prevent the pulling hook from being detached from the hook pipe during pulling of the vehicle, and it is possible to shorten the time required for the pulling hook to be installed.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견인 후크 어셈블리의 부분 절단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견인 후크 어셈블리가 차량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도 1에 도시된 결합 상태 감지 유닛의 사시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결합 상태 감지 유닛이 견인 후크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부분 절단도.
도 5는 도 4에 도시된 베이스의 사시도.
도 6은 도 4에 도시된 커버의 사시도.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샤프트와 회전바와 탄성 부재의 결합 관계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8은 도 7에 도시된 회전바의 사시도.
도 9 및 도 10은 도 1에 도시된 후크바가 후크홈에 기준 깊이까지 삽입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후크바가 후크홈에 기준 각도로 삽입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12에 도 10에 도시된 기준바와 회전바가 서로 엇갈리게 배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ure 1 is a partially cutaway perspective view of a traction hook assembly in accordance with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pulling hook assembly shown in Fig. 1 is mounted on a vehicle; Fig.
3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coupled state sensing unit shown in Fig.
4 is a partial cutaway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coupled state detecting unit shown in Fig. 3 is mounted on the pulling hook; Fig.
Figure 5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base shown in Figure 4;
Figure 6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cover shown in Figure 4;
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upling relationship between the shaft and the rotary bar and the elastic member shown in Fig. 6;
8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rotating bar shown in Fig.
Figs. 9 and 10 are views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hook bar shown in Fig. 1 is inserted into the hook groove up to the reference depth. Fig.
11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hook bar shown in Fig. 10 is inserted into the hook groove at a reference angle; Fig.
Fig. 12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reference bar and the rotation bar shown in Fig. 10 are staggered from each other. Fig.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하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The terms and words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claims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ordinary or dictionary terms and the inventor may appropriately define the concept of the term in order to best describe its invention It should be construed as meaning and concept consistent with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the configurations shown in the drawings are only the most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do not represent all the technical idea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various alternative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equivalents and modifications are possible.

도면에서 각 구성요소 또는 그 구성요소를 이루는 특정 부분의 크기는 설명의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하여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개략적으로 도시되었다. 따라서,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은 아니다.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러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In the drawings, the size of each element or a specific part constituting the element is exaggerated, omitted or schematically shown for convenience and clarity of description. Therefore, the size of each component does not entirely reflect the actual size.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incorporated herein will be omitted when it may mak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rather unclear.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견인 후크 어셈블리의 부분 절단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견인 후크 어셈블리가 차량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FIG. 1 is a partially cutaway perspective view of a pulling hook assembly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view showing a state where the pulling hook assembly shown in FIG. 1 is mounted on a vehicle.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견인 후크 어셈블리는, 차량을 견인하기 위한 케이블이 연결되는 견인 후크(10)와, 차량의 미리 정해진 위치(A)에 고정 설치되며 견인 후크(10)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후크 파이프(20)와, 견인 후크(10)가 후크 파이프(20)에 정상 상태로 결합되었는지 여부를 감지 가능한 결합 상태 감지 유닛(30)을 포함할 수 있다.1 and 2, a pulling hook assembly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ulling hook 10 to which a cable for towing a vehicle is connected, and a pulling hook 10 fixedly install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A of the vehicle A hooking pipe 20 to which the pulling hook 10 is releasably engaged and a coupling state detecting unit 30 capable of detecting whether the pulling hook 10 is steadily coupled to the hooking pipe 20 have.

먼저, 견인 후크(10)는, 고정링(11)과, 후크바(12)를 구비할 수 있다. 고정링(11)은, 차량의 견인하기 위한 케이블을 고정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 후크바(12)는 고정링(11)으로부터 연장 형성되며 후크 파이프(20)의 후크홈(25)에 삽입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 후크바(12)는 후크 파이프(20)의 걸림 돌기(27)가 걸림되도록 외주면에 형성된 걸림홈(13)을 갖는다.First, the pulling hook 10 may include a fixing ring 11 and a hook bar 12. The stationary ring 11 is provided so as to fix a cable for towing the vehicle. The hook bar 12 extends from the stationary ring 11 and is adapted to be inserted into the hook groove 25 of the hook pipe 20. The hook bar 12 has an engagement groove 13 form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so that the engagement projection 27 of the hook pipe 20 is engaged.

다음으로, 후크 파이프(20)는, 후크 결합부(21)와, 차체 결합부(23)를 구비할 수 있다. 후크 결합부((21)는, 후크 파이프(20)의 일단에 마련되며, 후크홈(25)을 구비할 수 있다. 후크홈(25)은, 후크 파이프(20)의 일단에 일측이 개구되도록 형성된다. 후크홈(25)은, 후크바(12) 및 결합 상태 감지 유닛(30)이 삽입될 수 있도록 후크바(12) 및 결합 상태 감지 유닛(30)과 대응하는 형상을 갖는다. 차체 결합부(23)는 후크 파이프(20)의 타단에 마련되며, 차량의 미리 정해진 위치(A)에 볼트 결합될 수 있다.Next, the hook pipe 20 may include a hook engaging portion 21 and a body engaging portion 23. The hook engaging portion 21 is provided at one end of the hook pipe 20 and may have a hook groove 25. The hook groove 25 is formed at one end of the hook pipe 20 The hook groove 25 has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hook bar 12 and the coupled state sensing unit 30 so that the hook bar 12 and the coupled state sensing unit 30 can be inserted. The portion 23 is provided at the other end of the hook pipe 20 and can be bolted to a predetermined position A of the vehicle.

도 3은 도 1에 도시된 결합 상태 감지 유닛의 사시도이며, 도 4는 도 3에 도시된 결합 상태 감지 유닛이 후크바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부분 절단도이다.FIG. 3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combined state sensing unit shown in FIG. 1, and FIG. 4 is a partial cutaway view showing a state where the combined state sensing unit shown in FIG. 3 is mounted on the hook bar.

결합 상태 감지 유닛(3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40)와, 커버(50)를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결합 상태 감지 유닛(30)은, 후크바(12)를 후크홈(25)에 삽입할 때 후크홈(25)의 가장 깊은 내측면과 대면하는 후크바(12)의 일단에 고정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40)는 후크바(12)의 일단에 고정 설치되고, 커버(50)는 이러한 베이스(40)에 결합될 수 있다. 그러면, 베이스(40)와 커버(50)는, 결합 상태 감지 유닛(30)에 포함된 각종의 부재들을 수용하기 위한 폐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The coupled state detection unit 30 may include a base 40 and a cover 50, as shown in Fig. The coupling state detection unit 30 can be fixed to one end of the hook bar 12 facing the deepest inner side of the hook groove 25 when the hook bar 12 is inserted into the hook groove 25 have. 4, the base 40 is fixedly attached to one end of the hook bar 12, and the cover 50 can be coupled to such a base 40. As shown in Fig. Then, the base 40 and the cover 50 may form a closed space for accommodating various members included in the coupled state sensing unit 30. [

도 5는 도 4에 도시된 베이스의 사시도이다.5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base shown in Fig.

베이스(4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이 개구된 용기 형상을 갖는다. 이러한 베이스(40)는, 기준바(42)와, 기준 거리 센서(45)와, 기준 회전 센서(46a, 46b)와, 제어부(43)와, 알람기(44)를 구비할 수 있다.The base 40 has a container shape with one side opened as shown in Fig. The base 40 may include a reference bar 42, a reference distance sensor 45, reference rotation sensors 46a and 46b, a control unit 43, and an alarm device 44. [

기준바(42)는, 중심이 후크바(12)의 중심축(C)과 일직선 상에 위치하도록 베이스(40)의 내측면에 고정될 수 있다.The reference bar 42 may be fix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base 40 such that the center is aligned with the central axis C of the hook bar 12. [

기준 거리 센서(45)는, 후크바(12)의 중심축(C)과 일직선 상에 위치하도록 기준바(42)의 중심에 고정된다. 기준 거리 센서(45)로서 사용 가능한 센서의 종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기준 거리 센서(45)는 후술할 보조 거리 센서(56)와 연동하여 부재들 사이의 거리를 측정 가능한 센서로 구성될 수 있다.The reference distance sensor 45 is fixed to the center of the reference bar 42 so as to be positioned on a straight line with the center axis C of the hook bar 12. [ The type of the sensor that can be used as the reference distance sensor 45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the reference distance sensor 45 may be a sensor capable of measuring a distance between the members in cooperation with an auxiliary distance sensor 56 to be described later .

기준 회전 센서(46a, 46b)는, 제1 기준 회전 센서(46a)와, 제2 기준 회전 센서(46b)를 구비할 수 있다. 제1 기준 회전 센서(46a)는, 기준 거리 센서(45)로부터 상측 방향으로 미리 정해진 간격만큼 이격되도록 기준바(42)에 고정된다. 제2 기준 회전 센서(46b)는, 기준 거리 센서(45)로부터 하측 방향으로 상기 간격만큼 이격되도록 기준바(42)에 고정된다. 이러한 기준 회전 센서(46a, 46b)로서 사용 가능한 센서의 종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기준 회전 센서(46a, 46b)는 후술할 보조 회전 센서(57a, 57b)와 연동하여 부재들 사이의 각도를 측정 가능한 센서로 구성될 수 있다.The reference rotation sensors 46a and 46b may include a first reference rotation sensor 46a and a second reference rotation sensor 46b. The first reference rotation sensor 46a is fixed to the reference bar 42 so as to be spaced upward from the reference distance sensor 45 by a predetermined interval. The second reference rotation sensor 46b is fixed to the reference bar 42 such that the second reference rotation sensor 46b is spaced apart from the reference distance sensor 45 in the downward direction. The types of the sensors that can be used as the reference rotation sensors 46a and 46b are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the reference rotation sensors 46a and 46b measure the angles between the members in cooperation with the auxiliary rotation sensors 57a and 57b, It can be composed of possible sensors.

제어부(43)는 기준바(42)의 일측에 위치하도록 베이스(40)의 내측면에 고정된다. 제어부(43)는 결합 상태 감지 유닛(30)에 구비된 각종의 센서들로부터 입력된 정보를 기준으로 견인 후크(10)가 후크 파이프(20)에 결합된 상태를 측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43)는, 기준 거리 센서(45)와 보조 거리 센서(56) 사이의 거리를 기준으로 후크홈(25)의 내측면과 후크바(12)의 일단 사이의 거리를 측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43)는, 기준 회전 센서(46a, 46b)와 보조 회전 센서(57a, 57b)의 상대 위치를 기준으로 후크바(12)의 배치 각도를 측정할 수 있다. 이러한 제어부(43)를 이용해 견인 후크(10)의 결합 상태를 측정하는 더욱 자세한 방법은 후술하기로 한다.The control unit 43 is fixed to the inner side surface of the base 40 so as to be positioned at one side of the reference bar 42. The control unit 43 can measure the state where the pulling hook 10 is coupled to the hook pipe 20 based on information input from various sensors provided in the coupled state detecting unit 30. [ For example, the control section 43 measures the distance between the inner surface of the hook groove 25 and one end of the hook bar 12 based on the distance between the reference distance sensor 45 and the auxiliary distance sensor 56 can do. For example, the control section 43 can measure the arrangement angle of the hook bars 12 with reference to the relative positions of the reference rotation sensors 46a and 46b and the auxiliary rotation sensors 57a and 57b. A more detailed method of measuring the engagement state of the pulling hook 10 using the control unit 43 will be described later.

한편, 제어부(43)에는 제어부(43)와 알람기(44)를 구동하기 위한 배터리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Meanwhile, the controller 43 is preferably provided with a battery for driving the controller 43 and the alarm device 44,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알람기(44)는 기준바(42)의 타측에 위치하도록 베이스(40)의 내측면에 고정된다. 알람기(44)는 견인 후크(10)의 결합 상태가 소정의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에 알람을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알람기(44)는, 후크바(12)가 후크홈(25)에 미리 정해진 깊이까지 삽입된 경우에 알람을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기준 깊이는, 후크바(12)의 조임 토크 및 견인 작업 시 견인 후크(10)에 걸리는 하중을 고려한 후크바(12)의 최적의 조립 깊이로서, 후크바(12)의 조립 깊이 판단의 기준이 된다. 예를 들어, 알람기(44)는 후크바(12)가 중력 방향에 대해 기울어진 각도(이하, '배치 각도'라고 함)가 미리 정해진 기준 각도에 해당하는 경우에 알람을 표시할 수 있다. 기준 각도란, 후크바(12)의 조립이 완료된 후 견인 작업을 행할 시 견인 후크(10)에 연결되는 와이어, 체인 등의 연결 부재와 견인 후크(10)의 연결 상태를 원할하게 유지 가능한 후크바(12)의 최적의 배치 각도로서, 후크바(10)가 수직 방향 또는 수평 방향으로 배치되도록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alarm device 44 is fix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base 40 so as to be positioned on the other side of the reference bar 42. The alarm device 44 can display an alarm when the engagement state of the pulling hook 10 satisfies a predetermined condition. For example, the alarm device 44 can display an alarm when the hook bar 12 is inserted into the hook groove 25 to a predetermined depth. Herein, the reference depth is an optimum assembling depth of the hook bar 12 considering the tightening torque of the hook bar 12 and the load applied to the pull hook 10 during the pulling operation, Standard. For example, the alarm device 44 can display an alarm when the angle at which the hook bar 12 is tilted with respect to the gravitational direction (hereinafter referred to as the 'placement angle') corresponds to a predetermined reference angle. The reference angle refers to a hook angle of the hook bar 10 that can smoothly maintain the connection state of the connecting hook 10 with the connecting member such as a wire or a chain connected to the hook 10 when the hooking operation is performed after the hook bar 12 is assembled It is preferable that the hook bars 10 are arranged so as to be arranged in the vertical direction or the horizontal direction as the optimum arrangement angle of the hook bars 12. [

알람기(44)는, 후크바(12)가 후크홈(25)에 기준 깊이까지 삽입된 경우와, 후크바(12)가 후크홈(25)에 기준 각도로 삽입된 경우에 각각, 서로 상이한 종류의 알람을 표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면, 작업자는 알람의 종류를 통해 후크바(12)가 후크홈(25)에 기준 깊이까지 삽입되었는지 여부와 후크바(12)가 후크홈(25)에 기준 각도로 삽입되었는지 여부를 개별적으로 파악할 수 있다.When the hook bar 12 is inserted into the hook groove 25 to the reference depth and when the hook bar 12 is inserted into the hook groove 25 at the reference angle, It is preferable to display an alarm of the kind. Then, the operator can individually grasp whether or not the hook bar 12 is inserted into the hook groove 25 to the reference depth through the type of the alarm and whether the hook bar 12 is inserted into the hook groove 25 at the reference angle .

이러한 알람기(44)로서 사용 가능한 부재의 종류는 특별히 한정되는 않는다. 예를 들어, 알람기(44)는, 스피커와 램프 중 적어도 하나를 구비할 수 있다.The type of the member usable as the alarm device 44 is not particularly limited. For example, the alarm device 44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speaker and a lamp.

도 6은 도 4에 도시된 커버의 사시도이며,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샤프트와 회전바와 탄성 부재의 결합 관계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8은 도 7에 도시된 회전바의 사시도이다.Fig. 6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cover shown in Fig. 4, Fig. 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upling relationship between the shaft and the rotary bar and the elastic member shown in Fig. 6, and Fig. 8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rotary bar shown in Fig.

커버(5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이 개구된 용기 형상을 갖는다. 커버(50)는, 베이스(40)와 결합될 수 있도록 베이스(40)와 대응하는 형상을 갖는다. 이러한 커버(50)는, 가이드홀(51)과, 샤프트(55)와, 보조 거리 센서(56)와, 회전바(53)와, 무게추(58)와, 보조 회전 센서(57a, 57b)와, 탄성 부재(54)를 구비할 수 있다.The cover 50 has a container shape with one side opened as shown in Fig. The cover 50 has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base 40 so as to be able to engage with the base 40. The cover 50 includes a guide hole 51, a shaft 55, an auxiliary distance sensor 56, a rotation bar 53, a weight 58, auxiliary rotation sensors 57a and 57b, And an elastic member (54).

가이드홀(51)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크바(12)의 중심축(C)과 일직선 상에 위치하도록 커버(50)의 중심부에 천공된다.The guide hole 51 is perforated in the center portion of the cover 50 so as to be positioned in alignment with the center axis C of the hook bar 12 as shown in Fig.

샤프트(55)는 가이드홀(51)에 삽입 가능하도록 형성된다. 샤프트(55)는, 후크홈(25)의 내측면과 기준 거리 센서(45) 사이에 위치하도록 가이드홀(51)에 이동 가능하게 삽입된다. 이처럼 가이드홀(51)에 삽입된 샤프트(55)는, 후크바(12)의 중심축(C)과 일직선 상에 위치하게 된다.The shaft 55 is formed to be insertable into the guide hole 51. The shaft 55 is movably inserted into the guide hole 51 so as to be positioned between the inner side surface of the hook groove 25 and the reference distance sensor 45. The shaft 55 inserted into the guide hole 51 is positioned on the straight line with the center axis C of the hook bar 12. [

샤프트(55)의 일단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조 거리 센서(56)와 함께 커버(50)의 내부에 위치한다. 샤프트(55)의 일단과 반대되는 샤프트(55)의 타단은 후크홈(25)의 내측면과 가압 접촉될 수 있도록 가이드홀(51)을 통해 커버(50)의 외부로 연장된다. 이러한 샤프트(55)는, 제1 플렌지(55a)와, 제2 플렌지(55b)와, 접촉 돌기(55c)를 구비할 수 있다.One end of the shaft 55 is located inside the cover 50 together with the auxiliary distance sensor 56, as shown in Fig. The other end of the shaft 55 opposite to the one end of the shaft 55 is extended to the outside of the cover 50 through the guide hole 51 so as to be in press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hook groove 25. [ The shaft 55 may include a first flange 55a, a second flange 55b, and a contact projection 55c.

제1 플렌지(55a)는,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샤프트(55)의 일단과 커버(50)의 내측면 사이에 위치하며 가이드홀(51)에 비해 큰 직경을 갖는다. 이러한 제1 플렌지(55a)는 샤프트(55)가 가이드홀(51)을 통해 커버(50)의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6 and 7, the first flange 55a is located between one end of the shaft 55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cover 50, and has a larger diameter than the guide hole 51. [ The first flange 55a can prevent the shaft 55 from being released to the outside of the cover 50 through the guide hole 51. [

제2 플렌지(55b)는,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샤프트(55)의 일단에 마련되며 후술할 회전바(53)의 관통홀(59)에 비해 큰 직경을 갖는다. 이러한 제1 플렌지(55a)는 회전바(53)가 샤프트(55)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6 and 7, the second flange 55b is provided at one end of the shaft 55 and has a larger diameter than the through hole 59 of the rotation bar 53 described later. The first flange 55a can prevent the rotation bar 53 from being detached from the shaft 55. [

접촉 돌기(55c)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샤프트(55)의 타단에 형성되며 후크홈(25)의 내측면과 가압 접촉되는 샤프트(55)의 표면적이 증가하도록 마련된다. 예를 들어, 접촉 돌기(55c)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뿔 형상을 가질 수 있다.The contact protrusion 55c is provided at the other end of the shaft 55 and is provided so as to increase the surface area of the shaft 55 which is in press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hook groove 25 as shown in Fig. For example, the contact protrusions 55c may have a conical shape, as shown in Fig.

보조 거리 센서(56)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크바(12)의 일단 쪽을 향하도록 샤프트(55)의 제1 플렌지(55a)에 설치된다. 샤프트(55)는 후크바(12)의 중심축(C)과 일직선 상에 위치하므로, 보조 거리 센서(56)는 전술한 기준 거리 센서(45)와 일직선 상에 위치하게 된다. 보조 거리 센서(56)로서 사용 가능한 센서의 종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보조 거리 센서(56)는 전술한 기준 거리 센서(45)와 연동하여 부재들 사이의 거리를 측정 가능한 센서로 구성될 수 있다.The auxiliary distance sensor 56 is installed on the first flange 55a of the shaft 55 so as to face one end of the hook bar 12 as shown in Fig. The auxiliary distance sensor 56 is positioned in a straight line with the reference distance sensor 45 described above since the shaft 55 is located on the straight line with the center axis C of the hook bar 12. [ The type of the sensor that can be used as the auxiliary distance sensor 56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the auxiliary distance sensor 56 may be composed of a sensor capable of measuring the distance between the members in cooperation with the reference distance sensor 45 .

회전바(53)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샤프트(55)가 관통할 수 있도록 천공된 관통홀(59)을 구비할 수 있다. 회전바(53)는 샤프트(55)가 관통홀(59)을 관통하도록 샤프트(55)에 장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회전바(53)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플렌지(55a)와 제2 플렌지(55b) 사이에 개재되도록 샤프트(55)에 장착될 수 있다. 이러한 회전바(53)는 샤프트(55)를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8, the rotary bar 53 may have a through-hole 59 drilled so that the shaft 55 can penetrate therethrough. The rotation bar 53 can be mounted on the shaft 55 such that the shaft 55 penetrates the through hole 59. [ For example, the rotating bar 53 may be mounted on the shaft 55 so as to be interposed between the first flange 55a and the second flange 55b, as shown in Fig. This rotating bar 53 can be rotated about the shaft 55. [

무게추(58)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바(53)에 비해 중량이 크도록 마련되며, 회전바(53)의 일단에 장착된다. 이러한 무게추(58)는, 후크바(12) 및 이러한 후크바(12)에 고정된 결합 상태 감지 유닛(30)이 중력 방향과 소정의 각도를 이루도록 회전된 경우에, 회전바(53)를 중력 방향과 평행하게 위치하도록 회전시킬 수 있다. 즉, 회전바(53)는, 무게추(58)에 의해 항상 중력 방향과 평행하게 위치되는 것이다.As shown in FIG. 8, the weight 58 is provided so as to have a larger weight than the rotating bar 53, and is mounted on one end of the rotating bar 53. The weights 58 are provided so that when the hook bar 12 and the coupled state sensing unit 30 fixed to the hook bar 12 are rotated to form a predetermined angle with the gravity direction, It can be rotated so as to be positioned parallel to the direction of gravity. That is, the rotary bar 53 is always positioned parallel to the direction of gravity by the weight 58.

보조 회전 센서(57a, 57b)는, 제1 보조 회전 센서(57a)와, 제2 보조 회전 센서(57b)를 구비할 수 있다. 제1 보조 회전 센서(57a)는, 샤프트(55)가 삽입된 관통홀(59)로부터 상측 방향으로 미리 정해진 간격만큼 이격되도록 회전바(53)에 고정된다. 제2 보조 회전 센서(57b)는, 샤프트(55)가 삽입된 관통홀(59)로부터 하측 방향으로 상기 미리 정해진 간격만큼 이격되도록 회전바(53)에 고정된다. 보조 회전 센서들(57a, 57b)과 관통홀(59) 사이의 간격은, 기준 거리 센서(45)와 기준 회전 센서들(46a, 46b) 사이의 간격과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보조 회전 센서들(57a, 57b)은 후크바(12)의 일단 쪽을 향하도록 기준바(42)에 고정된다. 이러한 보조 회전 센서(57a, 57b)로서 사용 가능한 센서의 종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보조 회전 센서(57a, 57b)는 전술한 기준 회전 센서(46a, 46b)와 연동하여 부재들 사이의 각도를 측정한 가능한 센서로 구성될 수 있다.The auxiliary rotation sensors 57a and 57b may include a first auxiliary rotation sensor 57a and a second auxiliary rotation sensor 57b. The first auxiliary rotation sensor 57a is fixed to the rotation bar 53 such that the first auxiliary rotation sensor 57a is spaced upward from the through hole 59 in which the shaft 55 is inserted by a predetermined interval. The second auxiliary rotation sensor 57b is fixed to the rotation bar 53 so as to be spaced apart from the through hole 59 in which the shaft 55 is inserted by the predetermined interval in the downward direction. The distance between the auxiliary rotation sensors 57a and 57b and the through hole 59 is preferably the same as the distance between the reference distance sensor 45 and the reference rotation sensors 46a and 46b. The auxiliary rotation sensors 57a and 57b are fixed to the reference bar 42 so as to face one end of the hook bar 12. [ The types of sensors that can be used as the auxiliary rotation sensors 57a and 57b are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the auxiliary rotation sensors 57a and 57b are used to measure the angles between the members in cooperation with the reference rotation sensors 46a and 46b It can be composed of one possible sensor.

탄성 부재(54)는, 샤프트(55)를 후크홈(25)의 내측면 쪽으로 탄성 바이어스 가능하게 마련된다. 예를 들어, 탄성 부재(54)는,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플렌지(55a)와 커버(50)의 내측면 사이에 개재되며 샤프트(55)의 외주면을 둘러싸도록 설치되는 인장 코일 스프링일 수 있다. 이러한 탄성 부재(54)는 일단이 제1 플렌지(55a)에 고정되고 타단이 커버(50)의 내측면에 고정된다. 샤프트(55)는 이러한 탄성 부재(54)에 의해 후크홈(25)의 내측면 쪽으로 탄성 바이어스된다. 따라서, 보조 거리 센서(56)와 기준 거리 센서(45)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촉 돌기(55c)가 후크홈(25)의 내측면과 가압 접촉되지 않았을 때 최대 거리(L1)만큼 이격될 수 있다.The elastic member 54 is provided such that the shaft 55 can be elastically biased toward the inner side surface of the hook groove 25. [ 6 and 7, the elastic member 54 is disposed between the first flange 55a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cover 50, and is disposed so as to surroun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haft 55 Which may be a tension coil spring. One end of the elastic member 54 is fixed to the first flange 55a and the other end is fix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cover 50. [ The shaft 55 is elastically biased toward the inner side surface of the hook groove 25 by the elastic member 54. [ 4, the auxiliary distance sensor 56 and the reference distance sensor 45 are arranged so that the maximum distance L1 when the contact projection 55c is not in pressure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hook groove 25, .

도 9 및 도 10은 도 1에 도시된 후크바가 후크홈에 기준 깊이까지 삽입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9 and 10 are views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hook bar shown in FIG. 1 is inserted into the hook groove up to the reference depth.

또한,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후크바가 후크홈에 기준 각도로 삽입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12에 도 10에 도시된 기준바와 회전바가 서로 엇갈리게 배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11 is a view showing a state where the hook bar shown in FIG. 10 is inserted into the hook groove at a reference angle, and FIG. 12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reference bar and the rotation bar shown in FIG. 10 are staggered from each other.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결합 상태 감지 유닛(30)을 이용해 견인 후크(10)가 후크 파이프(20)에 정상 상태로 결합되었는지를 측정하는 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a method of measuring whether the pulling hook 10 is coupled to the hook pipe 20 in a steady state by using the coupled state detecting unit 30 will be described.

먼저, 도 1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 상태 감지 유닛(30)이 장착된 후크바(12)를 접촉 돌기(55c)가 후크홈(25)의 내측면과 가압 접촉되도록 후크홈(25)에 회전 조립한다. 이처럼 접촉 돌기(55c)가 후크홈(25)의 내측면에 가압 접촉된 상태에서 후크바(12)의 회전 조립을 계속하면,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샤프트(55)와, 이러한 샤프트(55)에 장착된 보조 거리 센서(56), 회전바(53), 보조 회전 센서(57a, 57b), 무게추(58)는 후크바(12)의 일단 쪽으로 이동된다. 이로 인해, 보조 거리 센서(56)가 후크바(12)의 일단 쪽으로 이동된 거리만큼 기준 거리 센서(45)와 보조 거리 센서(56) 사이의 거리는 줄어든다. 제어부(43)는, 기준 거리 센서(45)와 보조 거리 센서(56)로부터 입력된 거리 정보를 통해 기준 거리 센서(45)와 보조 거리 센서(56) 사이의 거리(L2)를 산출한 후, 이처럼 산출된 기준 거리 센서(45)와 보조 거리 센서(56) 사이의 거리(L2)를 기준으로 후크바(12)가 후크홈(25)에 삽입된 깊이를 측정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43)는, 이처럼 측정된 후크바(12)의 삽입 깊이가 기준 깊이에 해당하면, 후크바(12)가 후크홈(25)에 기준 깊이만큼 삽입되었음을 알리는 1차 알람이 표시되도록 알람기(44)를 구동한다. 작업자는 이러한 알람기(44)의 1차 알람을 통해 후크바(12)가 후크홈(25)에 기준 깊이까지 정상적으로 삽입되었음을 인식할 수 있다.First, as shown in Figs. 1 and 9, the hook bar 12 on which the engagement state sensing unit 30 is mounted is engaged with the hook groove 25 so that the contact projection 55c comes into pressure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hook groove 25 25). As shown in Fig. 10, when the hook assembly 12 is continued to be assembled with rotation in a state in which the contact protrusion 55c is in contact with the inner side surface of the hook groove 25, The auxiliary distance sensor 56, the rotation bar 53, the auxiliary rotation sensors 57a and 57b and the weight 58 mounted on the hook bar 12 are moved toward one end of the hook bar 12. This reduces the distance between the reference distance sensor 45 and the auxiliary distance sensor 56 by the distance that the auxiliary distance sensor 56 is moved toward one end of the hook bar 12. [ The control unit 43 calculates the distance L2 between the reference distance sensor 45 and the auxiliary distance sensor 56 through the distance information inputted from the reference distance sensor 45 and the auxiliary distance sensor 56, The depth of the hook bar 12 inserted into the hook groove 25 can be measured based on the distance L2 between the reference distance sensor 45 and the auxiliary distance sensor 56 thus calculated. The control unit 43 may also be configured to display a first alarm indicating that the hook bar 12 has been inserted by the reference depth into the hook groove 25 if the insertion depth of the hook bar 12 measured in this way corresponds to the reference depth And drives the alarm device 44. The operator can recognize that the hook bar 12 has been normally inserted into the hook groove 25 to the reference depth through the primary alarm of the alarm device 44. [

다음으로,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크바(12)가 후크홈(25)에 기준 깊이만큼 삽입된 상태에서 후크바(12)를 더 회전시키면, 보조 회전 센서(57a, 57b)가 고정된 회전바(53)는 중력 방향과 평행하도록 위치하고, 기준 회전 센서(46a, 46b)가 고정된 기준바(42)는 후크바(12)를 따라 회전된다. 따라서, 후크바(12)를 회전시킴에 따라 기준 회전 센서(46a, 46b)와 보조 회전 센서(57a, 57b)가 이루는 각도(θ)는 변화된다. 여기서, 도 12시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준 회전 센서(46a, 46b)와 보조 회전 센서(57a, 57b)가 이루는 각도(θ)란 후크바(12)의 중심축(C)을 기준으로 기준바(42)와 회전바(53)가 이루는 각도를 말한다. 제어부(43)는, 기준 회전 센서(46a, 46b)와 보조 회전 센서(57a, 57b)로부터 입력된 각도 정보를 통해 기준 회전 센서(46a, 46b)와 보조 회전 센서(57a, 57b)가 이루는 각도(θ)를 산출한 후, 이처럼 산출된 기준 회전 센서(46a, 46b)와 보조 회전 센서(57a, 57b)가 이루는 각도(θ)를 기준으로 후크바(12)의 배치 각도를 측정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43)는, 이처럼 측정된 후크바(12)의 배치 각도가 기준 각도에 해당하면, 후크바(12)가 기준 각도로 배치되었음을 알리는 2차 알람이 표시되도록 알람기(44)를 구동한다. 따라서, 작업자는 이러한 알람기(44)의 2차 알람을 통해 후크바(12)가 기준 각도로 정상적으로 배치되었음을 인식할 수 있다.11, when the hook bar 12 is further rotated while the hook bar 12 is inserted into the hook groove 25 by the reference depth, the auxiliary rotation sensors 57a and 57b are fixed And the reference bar 42 to which the reference rotation sensors 46a and 46b are fixed is rotated along the hook bar 12. [ Therefore, as the hook bar 12 is rotated, the angle? Between the reference rotation sensors 46a and 46b and the auxiliary rotation sensors 57a and 57b is changed. 12, the angle? Formed by the reference rotation sensors 46a and 46b and the auxiliary rotation sensors 57a and 57b is determined by reference to the center axis C of the hook bar 12 Refers to the angle formed between the bar 42 and the rotating bar 53. The control unit 43 controls the angle of the reference rotation sensors 46a and 46b and the auxiliary rotation sensors 57a and 57b through the angle information inputted from the reference rotation sensors 46a and 46b and the auxiliary rotation sensors 57a and 57b the angle of arrangement of the hook bars 12 can be measured based on the angle? between the reference rotation sensors 46a and 46b and the auxiliary rotation sensors 57a and 57b calculated as described above . The controller 43 controls the alarm device 44 so that the second alarm indicating that the hook bar 12 is disposed at the reference angle is displayed when the arrangement angle of the hook bars 12 measured as described above corresponds to the reference angle . Accordingly, the operator can recognize that the hook bar 12 is normally disposed at the reference angle through the secondary alarm of the alarm device 44. [

위와 같이 작업자는, 알람기(44)의 1차 알람이 표시될 때까지 후크바(12)를 후크홈(29)에 삽입한 후 알람기(44)의 2차 알람이 표시될 때까지 후크바(12)를 배치 각도를 조절함으로써, 후크바(12)를 미리 정해진 정상 상태로 후크홈(29)에 용이하게 조립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operator inserts the hook bar 12 into the hook groove 29 until the first alarm of the alarm device 44 is displayed, and then, until the second alarm of the alarm device 44 is displayed, It is possible to easily assemble the hook bar 12 into the hook groove 29 in a predetermined steady state by adjusting the disposition angle of the hook 12.

이상에서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to be limited to the details thereof and that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are possible within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10 : 견인 후크
11 : 고정링
12 : 후크바
13 : 걸림홈
20 : 후크 파이프
21 : 후크 결합부
23 : 차체 결합부
25 : 후크홈
30 : 결합 상태 감지 유닛
40 : 베이스
42 : 기준바
43 : 제어부
44 : 알람기
45 : 기준 거리 센서
46a : 제1 기준 회전 센서
46b : 제2 기준 회전 센서
50 : 커버
51 : 가이드홀
53 : 회전바
54 : 탄성 부재
55 : 샤프트
55a : 제1 플렌지
55b : 제2 플렌지
55c : 접촉 돌기
56 : 보조 거리 센서
57a : 제1 보조 회전 센서
57b : 제2 보조 회전 센서
58 : 무게추
59 : 관통홀
10: Tow hook
11: Retaining ring
12: Hook bar
13:
20: Hook pipe
21:
23:
25: Hook groove
30: Combined state detection unit
40: Base
42: Reference bar
43:
44: Alarm device
45: Reference distance sensor
46a: first reference rotation sensor
46b: second reference rotation sensor
50: cover
51: Guide hole
53: Rotary bar
54: elastic member
55: Shaft
55a: First flange
55b: second flange
55c: contact projection
56: Auxiliary distance sensor
57a: first auxiliary rotation sensor
57b: second auxiliary rotation sensor
58: Weights
59: Through hole

Claims (12)

일측이 개구된 후크홈을 구비하며, 차량에 고정되는 후크 파이프;
상기 후크홈에 적어도 일부분이 삽입되는 후크바를 구비하는 견인 후크; 및
상기 후크바와 함께 상기 후크홈에 삽입되어 상기 후크바와 상기 후크홈의 내측면에 사이에 위치하도록 상기 후크바의 일단에 결합되는 결합 상태 감지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결합 상태 감지 유닛은,
상기 후크바의 일단에 고정되는 기준 거리 센서;
상기 후크홈의 내측면과 가압 접촉되어 상기 기준 거리 센서를 향해 이동하도록 상기 후크홈의 내측면과 상기 기준 거리 센서 사이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샤프트;
상기 후크바의 일단 쪽을 향하도록 상기 샤프트의 일단에 설치되는 보조 거리 센서; 및
상기 기준 거리 센서와 상기 보조 거리 센서 사이의 거리를 기준으로 상기 후크홈의 내측면과 상기 후크바의 일단 사이의 거리를 측정 가능한 제어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견인 후크 어셈블리.
A hook pipe having a hook groove whose one side is opened, the hook pipe being fixed to the vehicle;
A pulling hook having a hook bar into which at least a portion of the hooking groove is inserted; And
And an engagement state sensing unit inserted into the hook groove together with the hook bar to be coupled to one end of the hook bar so as to be positioned between the hook bar and the inner side of the hook groove;
The coupled state sensing unit includes:
A reference distance sensor fixed to one end of the hook bar;
A shaft movably installed between the inner side surface of the hook groove and the reference distance sensor so as to be pressed against the inner surface of the hook groove to move toward the reference distance sensor;
An auxiliary distance sensor installed at one end of the shaft so as to face one end of the hook bar; And
And a controller capable of measuring a distance between an inner surface of the hook groove and one end of the hook bar based on a distance between the reference distance sensor and the auxiliary distance senso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 상태 감지 유닛은,
상기 기준 거리 센서로부터 미리 정해진 간격만큼 이격되도록 상기 후크바의 일단에 고정되는 기준 회전 센서;
상기 샤프트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회전바;
상기 회전바가 상기 샤프트를 중심으로 회전되어 중력 방향과 평행하게 위치하도록 상기 회전바의 일단에 장착되는 무게추; 및
상기 후크바의 일단 쪽을 향함과 동시에 상기 샤프트와 상기 미리 정해진 간격만큼 이격되도록 상기 회전바에 고정되는 보조 회전 센서를 더 구비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기준 회전 센서와 상기 보조 회전 센서의 상대 위치를 기준으로 상기 후크바의 배치 각도를 측정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견인 후크 어셈블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coupled state sensing unit includes:
A reference rotation sensor fixed to one end of the hook bar so as to be spaced apart from the reference distance sensor by a predetermined interval;
A rotating bar rotatably mounted on the shaft;
A weight attached to one end of the rotating bar such that the rotating bar is rotated about the shaft and parallel to the gravity direction; And
Further comprising an auxiliary rotation sensor fixed to the rotary bar so as to face the one end of the hook bar and spaced apart from the shaft by the predetermined interval,
Wherein the control unit is capable of measuring an arrangement angle of the hook bar based on a relative position between the reference rotation sensor and the auxiliary rotation senso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 거리 센서, 상기 샤프트, 및 상기 보조 거리 센서는 상기 후크바의 중심축과 일직선 상에 위치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견인 후크 어셈블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reference distance sensor, the shaft, and the auxiliary distance sensor are installed so as to be positioned on a straight line with the center axis of the hook bar.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 상태 감지 유닛은, 상기 후크홈의 내측면과 상기 후크바의 일단 사이의 거리가 미리 정해진 기준 거리에 해당하는 경우와, 상기 상기 후크바의 배치 각도가 미리 정해진 기준 각도에 해당하는 경우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경우에 알람을 표시하는 알람기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견인 후크 어셈블리.
3. The method of claim 2,
The hooked state detecting unit may detect a state where a distance between an inner surface of the hook groove and one end of the hook bar corresponds to a predetermined reference distance and a case where the hook angle of the hook bar corresponds to a predetermined reference angle Further comprising an alarm for displaying an alarm in at least one of the cases.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알람기는, 상기 후크홈의 내측면과 상기 후크바의 일단 사이의 거리가 상기 기준 거리에 해당하는 경우와, 상기 후크바의 배치 각도가 상기 기준 각도에 해당하는 경우에 각각, 서로 상이한 알람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견인 후크 어셈블리.
5. The method of claim 4,
The alarm may be different from the alarm when the distance between the inner surface of the hook groove and the one end of the hook bar corresponds to the reference distance and when the arrangement angle of the hook bar corresponds to the reference angle Wherein the pull hook assembly comprises: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알람기는, 스피커와 램프 중 적어도 하나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견인 후크 어셈블리.
5.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alarm device has at least one of a speaker and a lamp.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 회전 센서는, 상기 기준 거리 센서로부터 일 방향으로 상기 간격만큼 이격되도록 마련되는 제1 기준 회전 센서와, 상기 기준 거리 센서로부터 상기 일 방향과 반대되는 타 방향으로 상기 간격만큼 이격되도록 마련되는 제2 기준 회전 센서를 갖고,
상기 보조 회전 센서는, 상기 샤프트로부터 상기 일 방향으로 상기 간격만큼 이격되도록 마련되는 제1 보조 회전 센서와, 상기 샤프트로부터 상기 타 방향으로 상기 간격만큼 이격되도록 마련되는 제2 보조 회전 센서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견인 후크 어셈블리.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reference rotation sensor includes a first reference rotation sensor spaced apart from the reference distance sensor by one distance in a direction and a second reference rotation sensor spaced apart from the reference distance sensor in the other direction opposite to the one direction, Two reference rotation sensors,
The auxiliary rotation sensor includes a first auxiliary rotation sensor which is spaced apart from the shaft in the one direction by the gap and a second auxiliary rotation sensor which is spaced apart from the shaft by the gap in the other direction Pull hook assembly.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 상태 감지 유닛은, 상기 샤프트가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는 가이드홀을 갖는 커버를 더 구비하며,
상기 샤프트는 일단은 상기 보조 거리 센서와 함께 상기 커버의 내부에 위치하고,
상기 샤프트의 타단은 상기 후크홈의 내측면과 가압 접촉될 수 있도록 상기 가이드홀을 통해 상기 커버의 외부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견인 후크 어셈블리.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coupling state detection unit further comprises a cover having a guide hole into which the shaft is movably inserted,
The shaft is located at one end inside the cover together with the auxiliary distance sensor,
And the other end of the shaft extends outwardly of the cover through the guide hole so as to be brought into pressure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hook groove.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는, 상기 샤프트의 일단과 상기 커버의 내측면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가이드홀에 비해 큰 직경을 갖는 제1 플렌지를 갖고,
상기 결합 상태 감지 유닛은, 상기 커버의 내측면과 상기 제1 플렌지 사이에 개재되며 상기 샤프트를 상기 후크홈의 내측면 쪽으로 탄성 바이어스 가능한 탄성 부재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견인 후크 어셈블리.
9. The method of claim 8,
Wherein the shaft has a first flange located between one end of the shaft and an inner surface of the cover and having a larger diameter than the guide hole,
Wherein the coupling state detection unit further comprises an elastic member interposed between an inner surface of the cover and the first flange and capable of elastically biasing the shaft toward the inner side of the hook groove.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부재는, 인장 코일 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견인 후크 어셈블리.
10. The method of claim 9,
Wherein the elastic member is a tension coil spring.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바는 상기 샤프트가 관통하는 관통홀을 갖고,
상기 샤프트는 상기 관통홀에 비해 큰 직경을 갖고 상기 일단에 위치하는 제2 플렌지를 더 갖고,
상기 회전바는 상기 제1 플렌지와 상기 제2 플렌지 사이에 개재되도록 상기 샤프트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견인 후크 어셈블리.
9. The method of claim 8,
Wherein the rotating bar has a through hole through which the shaft passes,
The shaft further includes a second flange having a larger diameter than the through hole and located at the one end,
Wherein the rotating bar is mounted to the shaft to be interposed between the first flange and the second flange.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 상태 감지 유닛은, 상기 후크바의 일단에 고정 설치되며 상기 커버와 결합되어 폐공간을 형성하는 베이스를 더 구비하며,
상기 기준 거리 센서와 상기 기준 회전 센서는 상기 베이스의 내측면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견인 후크 어셈블리.
9. The method of claim 8,
The coupling state detecting unit may further include a base fixed to one end of the hook bar and coupled with the cover to form a closed space,
Wherein the reference distance sensor and the reference rotation sensor are fixed to an inner surface of the base.
KR1020160148202A 2016-11-08 2016-11-08 Towing hook assembly KR10186608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48202A KR101866085B1 (en) 2016-11-08 2016-11-08 Towing hook assembl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48202A KR101866085B1 (en) 2016-11-08 2016-11-08 Towing hook assembly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51194A KR20180051194A (en) 2018-05-16
KR101866085B1 true KR101866085B1 (en) 2018-06-08

Family

ID=624523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48202A KR101866085B1 (en) 2016-11-08 2016-11-08 Towing hook assembly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66085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059967A (en) * 2021-03-30 2021-07-02 湖南湘钢洪盛物流有限公司 Get rid of trailer drive mechanism voice alarm system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120084A (en) * 2021-05-20 2021-07-16 泰安昊达汽车零部件有限公司 Vehicle pipe beam assembly and manufacturing process thereof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568099A (en) 1984-08-02 1986-02-04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Secretary Of The Army Vehicle-to-vehicle connection mechanism
EP0823343A1 (en) 1996-08-08 1998-02-11 CBM S.p.A. Electronic control and safety device for the connection between a tractor and towed vehicle
KR101046168B1 (en) 2009-12-23 2011-07-04 주식회사 성우하이텍 Car Towing Hook Assembly
US8393632B2 (en) 2009-10-28 2013-03-12 Zf Friedrichshafen Ag Towing device for a towing vehicl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568099A (en) 1984-08-02 1986-02-04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Secretary Of The Army Vehicle-to-vehicle connection mechanism
EP0823343A1 (en) 1996-08-08 1998-02-11 CBM S.p.A. Electronic control and safety device for the connection between a tractor and towed vehicle
US8393632B2 (en) 2009-10-28 2013-03-12 Zf Friedrichshafen Ag Towing device for a towing vehicle
KR101046168B1 (en) 2009-12-23 2011-07-04 주식회사 성우하이텍 Car Towing Hook Assembly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059967A (en) * 2021-03-30 2021-07-02 湖南湘钢洪盛物流有限公司 Get rid of trailer drive mechanism voice alarm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51194A (en) 2018-05-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258957B2 (en) Locking device, fixed seat and electric vehicle
KR101866085B1 (en) Towing hook assembly
KR101765900B1 (en) Apparatus for measuring point displacement of bridge
EP3222129A1 (en) Towing device for an agricultural or industrial vehicle
US10273128B2 (en) Rope hoist
CN106769487B (en) Tension testing device and method
KR20160000858U (en) Tension Load Test Device for Lug
KR101765890B1 (en) Apparatus for measuring point displacement of bridge
KR101533454B1 (en) Checking device for safety of bridge structure
WO2016101842A1 (en) Glass gauge for determining installed position of fixture of automobile glass assembly
JP4166735B2 (en) Transmitter unit in tire condition monitoring device
KR101765899B1 (en) Apparatus for measuring point displacement of bridge
US11970124B2 (en) Occupancy sensor for wheeled mobility device restraint
KR102119115B1 (en) Short circuit reinforcement for distribution cable
CN215162389U (en) Limiting device, roller equipment and asphalt stirring equipment
KR100457376B1 (en) Safety diagnosis apparatus for camber measurement of bridge
KR100473480B1 (en) Measure apparatus for safety check-up of bridge
EP3364505A1 (en) Quick fit connection assembly and method for testing correct fitting
CN111928816B (en) Monitoring method and monitoring system for running safety of underground engineering
KR102133269B1 (en) Fixed state monitoring system of testing machine using proximity sensor
CN210065081U (en) Safety early warning device of aerial work platform
CN208516746U (en) The detection device that step for detecting escalator is lost
KR101854134B1 (en) Multifunctional Rachet tensionor
JP5150422B2 (en) Tank level detector
CN219587410U (en) Driving wheel supporting assembly and platform door driving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