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65789B1 - 마이크로웨이브를 이용하여 미세조류로부터 지질을 추출하는 방법 - Google Patents

마이크로웨이브를 이용하여 미세조류로부터 지질을 추출하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65789B1
KR101865789B1 KR1020160073179A KR20160073179A KR101865789B1 KR 101865789 B1 KR101865789 B1 KR 101865789B1 KR 1020160073179 A KR1020160073179 A KR 1020160073179A KR 20160073179 A KR20160073179 A KR 20160073179A KR 101865789 B1 KR101865789 B1 KR 1018657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id
microalgae
microwave
content
minut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731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40634A (ko
Inventor
함정엽
최재영
박영태
김태정
황병수
최필주
윤현식
Original Assignee
한국과학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과학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과학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600731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65789B1/ko
Publication of KR201701406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406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657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657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PFERMENTATION OR ENZYME-USING PROCESSES TO SYNTHESISE A DESIRED CHEMICAL COMPOUND OR COMPOSITION OR TO SEPARATE OPTICAL ISOMERS FROM A RACEMIC MIXTURE
    • C12P7/00Preparation of oxygen-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C12P7/64Fats; Fatty oils; Ester-type waxes; Higher fatty acids, i.e. having at least seven carbon atoms in an unbroken chain bound to a carboxyl group; Oxidised oils or fat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00Microorganisms, e.g. protozoa;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opagating, maintaining or preserving microorganisms or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eparing or isolating a composition containing a microorganism; Culture media therefor
    • C12N1/12Unicellular algae; Culture media therefor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3/00Treatment of microorganisms or enzymes with electrical or wave energy, e.g. magnetism, sonic wave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PFERMENTATION OR ENZYME-USING PROCESSES TO SYNTHESISE A DESIRED CHEMICAL COMPOUND OR COMPOSITION OR TO SEPARATE OPTICAL ISOMERS FROM A RACEMIC MIXTURE
    • C12P7/00Preparation of oxygen-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C12P7/64Fats; Fatty oils; Ester-type waxes; Higher fatty acids, i.e. having at least seven carbon atoms in an unbroken chain bound to a carboxyl group; Oxidised oils or fats
    • C12P7/6436Fatty acid esters
    • C12P7/649Biodiesel, i.e. fatty acid alkyl es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2521/00Culture proces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hydrostatic pressure, flow or shear forces
    • C12N2521/10Sound, e.g. ultrasound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50/00Technologies for the production of fuel of non-fossil origin
    • Y02E50/10Biofuels, e.g. bio-diesel
    • Y02E50/13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Biotechnology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chemistry (AREA)
  • Microb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Cell Bi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Tropical Medicine & Parasitology (AREA)
  • Virology (AREA)
  • Organic Low-Molecular-Weight Compounds And Preparation Thereof (AREA)
  • Preparation Of Compounds By Using Micro-Organisms (AREA)
  • Fats And Perfum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마이크로웨이브 조사 방법을 이용한 미세조류 지질함량 및 지방산 증대기술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미세조류 지질 및 지방산의 수득효율을 높이는데 있어 마이크로웨이브 조사법을 이용하고 이때 생산되는 미세조류 내 존재하는 지질의 함량을 증대 및 고부가 가치 지방산 함량을 증대시키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마이크로웨이브를 이용하여 미세조류로부터 지질을 추출하는 방법{Method for extracting lipid from microalgae using microwave}
본 발명은 마이크로웨이브를 이용하여 미세조류로부터 지질을 추출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미세조류에 마이크로웨이브를 조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미세조류내 지질을 고수율로 추출하는 방법, 미세조류에 마이크로웨이브를 조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미세조류로부터 추출한 오일 내의 지방산의 함량을 증가시키는 방법 및 미세조류에 마이크로웨이브를 조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미세조류에서 지방산을 추출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고도 산업화에 의한 화석연료의 사용은 다량의 온실가스를 배출하였으며 지구온난화의 주범으로 작용하고 있다. 또한 과도한 화석연료의 사용은 그 양이 한정되어 있는 만큼 에너지원이 고갈될 것이라는 우려는 끊임없이 제기되고 있으며 이에 국내외 많은 연구자들은 화석연료를 대체할 수단으로 대체에너지를 개발하여왔다.
대체에너지는 화석연료의 대체뿐만 아니라 환경오염을 유발하지 않는 대체에너지원으로 신재생 에너지를 포함 할 수 있으며 그 종류는 태양열, 바이오, 풍력, 수력, 해양, 폐기물, 지역, 연료전지, 수소이다. 이중 바이오 에너지는 원료물질이 다양하며 현재 3세대 원료로는 미세조류를 들 수 있다.
미세조류내에는 지질과 지방산을 포함하고 있으며 이는 바이오 디젤의 원료로 사용될 수 있으며 타 원료에 비해 단위면적당 생산량이 매우 우수하다. 미세조류의 장점으로는 1) 빛과 물, 대기 이산화탄소 혹은 인위적 탄소원만을 이용하여 생산이 가능하고 2) 광합성작용으로 인해 지구 온실가스의 주요인인 이산화탄소를 고정하고 산소를 배출하며 3) 1세대 목질계 2세대 사탕수수의 바이오 매스에 비해 단위 면적당 생산량이 매우 우수하고 4) 미세조류의 건조중량 대비 지질의 함량이 매우 고농도로 (20~70%)이루어져있어 생산 효율이 우수하다.
최근 미세조류의 지질과 지방산은 바이오디젤뿐만 아니라 화장품 및 건강식품의 원료로의 연구가 많이 진행되고 있으며 이를 산업화를 하기 위해서는 바이오매스 대량생산뿐만 아니라 지질과 지방산을 효율적으로 확보할 수 있는 기술이 필요하다.
이에 따라, 상기 미세조류로부터 고수율로 지질을 추출할 수 있는 방법을 개발하기 위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예를 들어, 한국등록특허 제1394649호에는 높은 이산화탄소 고정능과 지질 생산능, 그리고 카로테노이드 물질 생산능을 가진 에틀리아 속 YC001(KCTC 12109BP) 및 이의 용도가 개시되어 있고, 한국등록특허 제1606291호에는 지질 함량이 높으면서 성장 속도가 빠른 신규한 미세조류가 개시되어 있으며, 한국등록특허 제1625074호에는 미세조류인 클로렐라 속 균주에 산화 스트레스를 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세포내 지질함량이 증가된 클로렐라 속 균주의 제조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이와 같이, 미세조류로부터 고수율로 지질을 추출하는 방법은 대부분 미세조류내 지질의 함량을 증가시키고, 이처럼 지질함량이 증가된 미세조류로부터 지질을 추출하는 방법이 주류를 이루고 있을 뿐, 미세조류로부터 지질자체를 고수율로 추출하는 방법에 대하여는 별다른 성과가 보고되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배경하에서, 본 발명자들은 미세조류내 지질과 지방산을 보다 효과적으로 추출하는 방법을 개발하기 위하여 예의 연구노력한 결과, 미세조류에 마이크로웨이브를 조사하면, 미세조류내 지질을 높은 수율로 추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마이크로웨이브의 조사조건에 따라 미세조류로부터 추출한 오일 내의 지방산의 함량을 변화시킬 수 있음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의 하나의 목적은 미세조류에 마이크로웨이브를 조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미세조류내 지질을 고수율로 추출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미세조류에 마이크로웨이브를 조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미세조류로부터 추출한 오일 내의 지방산의 함량을 증가시키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미세조류에 마이크로웨이브를 조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미세조류에서 지방산을 추출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자들은 미세조류로부터 지질과 지방산을 보다 효과적으로 추출하는 방법을 개발하고자 다양한 연구를 수행하던 중, 미세조류로부터 지질을 추출하는 과정에서 마이크로웨이브를 미세조류에 조사하면, 미세조류내 지질을 높은 수율로 추출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아울러, 상기 미세조류에 마이크로웨이브를 조사하면, 마이크로웨이브의 조사온도 및 시간에 따라 미세조류로부터 추출한 오일 내의 지방산의 함량이 변화됨을 확인하였다. 상기 마이크로웨이브의 조사에 의하여 미세조류 추출 오일 내 함량이 증가되는 지방산으로는 언데카노인산(Undecanoic acid), 라우린산(Lauraic acid), 트리데카노인산(Tridecanoic acid), 미리스틴산(Myristic acid), 미리스톨레인산(Myristoleic acid), 펜타데카노인산(Pentadecanoic acid), 시스-10-펜타데카노인산(cis-10-Pentadecanoic acid), 팔미톨레인산(Palmitoleic acid), 헵타데카노인산(Heptadecanoic acid), 시스-10-헵타데카노인산(Cis-10-Heptadecanoic acid), 올레산(Oleic acid), 스테아르산(stearate acid), 엘라이딘산(Elaidic acid), 리놀레인산(Linoleic acid), 리놀렐라이딘산(Linolelaidic acid), 알파-리놀레인산(α-Linolenic acid), 감마-리놀레닌산(γ-Linolenic acid), 아라키딘산(Arachidic acid), 시스-11-에이코세노인산(cis-11-Eicosenoic acid), 시스-11,14,17-에이코사트리노인산(cis-11,14,17-Eicosatrinoic acid), 아라키도닌산(Arachidonic acid), 도코사헥사노인산(docosa hexaenoic acid, DHA), 도코사노인산(Docosanoic acid), 트리코사노인산(Tricosanoic acid), 리그노세린산(Lignoceric acid), 네르보닌산(Nervonic acid), 카프로인산(Caproic acid), 헤네이코사노인산(Heneicosanoic acid), 에이코사디에노인산(Eicosadienoic acid) 등을 들 수 있다. 예를 들어, 70 내지 90℃에서 25 내지 35분, 90 내지 110℃에서 5 내지 15분, 90 내지 110℃에서 25 내지 35분 또는 110 내지 130℃에서 5 내지 15분의 조건으로 마이크로웨이브를 조사하면, 미세조류 추출 오일 내 팔미트산의 함량이 증가하고, 70 내지 90℃에서 25 내지 35분의 조건으로 마이크로웨이브를 조사하면, 미세조류 추출 오일 내 올레산의 함량이 증가하였으며, 110 내지 130℃에서 5 내지 15분의 조건으로 마이크로웨이브를 조사하면, 미세조류 추출 오일 내 도코사헥사노인산의 함량이 증가함을 확인하였다.
미세조류에 마이크로웨이브를 처리하여 지질의 추출수율을 증가시키고, 미세조류로부터 추출한 오일 내의 지방산의 함량을 증가시키는 방법은 지금까지 알려져 있지 않고, 본 발명자에 의하여 최초로 개발되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일 실시양태로서, 본 발명은 미세조류에 마이크로웨이브를 조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미세조류내 지질을 고수율로 추출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명세서에서 “마이크로웨이브 조사”는 미세조류 지질 추출물에 마이크로웨이브를 조사하여 가열하는 열적 반응(Thermal reaction)을 의미한다. 마이크로웨이브는 1m 내지 1mm의 파장을 갖는 라디오파, 또는 300MHz 내지 300GHz의 주파수를 갖는 라디오일 수 있다. 마이크로웨이브의 조사조건은 반응물의 양이나 상태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는데, 일 예로서, 마이크로웨이브 조사는 80 내지 180℃에서 10 내지 60분동안 수행될 수 있고, 다른 예로서, 마이크로웨이브 조사는 80 내지 120℃에서 10 내지 30분동안 수행될 수 있으며, 또 다른 예로서, 마이크로웨이브 조사는 80 내지 100℃에서 10 내지 30분동안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미세조류에 마이크로웨이브를 조사하여 지질을 추출하는 방법을 이용하면, 종래에 사용되었던 미세조류를 물리적으로 파쇄하고 상기 파쇄물로부터 지질을 추출하는 방법, 미세조류에 초음파를 처리하여 파쇄하고 상기 파쇄물로부터 지질을 추출하는 방법, 미세조류를 냉동 및 해동을 반복하여 파쇄하고 상기 파쇄물로부터 지질을 추출하는 방법 등과 같은 공지된 방법 보다도 고수율로 지질을 추출하는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미세조류”는 광합성 색소를 가지고 광합성을 하는 단세포생물을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담수 및/또는 해수에 생존하는 조류를 제한 없이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본 명세서의 미세조류는 산성의 환경 또는 염도가 높은 환경에서 잘 생존하는 종일 수 있다. 예컨대, 본 명세서의 미세조류는 pH 2 ~7의 환경에서 우수한 생존력을 보이는 종일 수 있다. 일 예로서, 네프로셀미스 속 균주(Nephroselmis sp.)가 될 수 있다.
상기 미세조류는 BBM 배지(KH2PO4, CaCl2·2H2O, MgSO4·7H2O, NaNO3, K2HPO4, NaCl, H3BO3, Na2EDTA 및 미량원소를 함유하는 배지)에서 배양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미량원소는 ZnSO4·7H2O, MnCl2·4H2O, MoO3, CuSO4·5H2O 및 Co(NO3)2·6H2O 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일 수 있다. 또한, 배양온도는 15 내지 35℃, pH 5 내지 8에서 배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조류의 지질을 분석하는 방법으로는 Bligh and Dyer (CHCl3 + MeOH) 법 등을 실시하여 추출된 지질을 분석해 낼 수 있다. 본 발명의 차이점은 통상 지질 분석법에서 sonication이 아닌 마이크로웨이브 조사를 통해 지질을 분석하였다.
또한, 이렇게 분리한 지질을 황산과 메탄올을 이용하여 메틸레이션시켜 지방산 메틸이써 (fatty acid methyl ester)화 하여 GC-FID (BRUKER) 를 이용하여 지방산을 분석하고 지질 (지방산)을 사용하여 바이오 디젤을 생산할 수 있는 바, 본 발명은 상기 지질을 이용한 바이오 디젤 생산방법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양태로서, 본 발명은 미세조류에 마이크로웨이브를 조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미세조류로부터 추출한 오일 내의 지방산의 함량을 증가시키는 방법을 제공한다.
이때, 마이크로웨이브의 조사에 의하여 미세조류 추출 오일 내 함량이 변화되는 지방산은 특별히 이에 제한되지 않으나, 언데카노인산, 라우린산, 트리데카노인산, 미리스틴산, 미리스톨레인산, 펜타데카노인산, 시스-10-펜타데카노인산, 팔미트산(Palmitoleic acid), 헵타데카노인산, 시스-10-헵타데카노인산, 올레산, 스테아르산, 엘라이딘산, 리놀레인산, 리놀렐라이딘산, 알파-리놀레인산, 감마-리놀레닌산, 아라키딘산, 시스-11-에이코세노인산, 시스-11,14,17-에이코사트리노인산, 아라키도닌산, 도코사헥사노인산, 도코사노인산, 트리코사노인산, 리그노세린산(Lignoceric acid), 네르보닌산, 카프로인산, 헤네이코사노인산, 에이코사디에노인산 등이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방산의 함량을 증가시킬 수 있는 마이크로웨이브의 조사조건은 지방산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시스-10-펜타데카노인산과 리놀렐라이딘산은 70 내지 90℃에서 5 내지 15분동안 미세조류에 마이크로웨이브를 조사할 경우 최대 함량을 나타내고; 미리스틴산, 리그노세린산, 네르보닌산 및 카프로인산은 70 내지 90℃에서 25 내지 35분동안 미세조류에 마이크로웨이브를 조사할 경우 최대 함량을 나타내며; 트리데카노인산, 팔미트산, 시스-10-헵타데카노인산, 올레산, 스테아르산, 감마-리놀레닌산, 아라키도닌산, 도코사노인산, 헤네이코사노인산 및 에이코사디에노인산은 90 내지 110℃에서 5 내지 15분동안 미세조류에 마이크로웨이브를 조사할 경우 최대 함량을 나타내고; 라우린산, 미리스틴산, 헵타데카노인산, 엘라이딘산, 리놀레인산, 알파-리놀레인산, 아라키딘산, 시스-11-에이코세노인산, 시스-11,14,17-에이코사트리노인산 및 트리코사노인산은 90 내지 110℃에서 25 내지 35분동안 미세조류에 마이크로웨이브를 조사할 경우 최대 함량을 나타내며; 미리스톨레인산, 펜타데카노인산 및 도코사헥사노인산은 110 내지 130℃에서 5 내지 15분동안 미세조류에 마이크로웨이브를 조사할 경우 최대 함량을 나타내고; 언데카노인산은 140 내지 160℃에서 25 내지 35분동안 미세조류에 마이크로웨이브를 조사할 경우 최대 함량을 나타낸다.
또 다른 실시양태로서, 본 발명은 미세조류에 마이크로웨이브를 조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미세조류에서 지방산을 추출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자들은 미세조류에서는 추출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된 지방산 중의 일부는 상기 미세조류에 마이크로웨이브를 조사함에 의하여 추출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때, 상기 마이크로웨이브의 조사에 의하여 추출될 수 있는 지방산은 특별히 이에 제한되지 않으나, 일 예로서, 라우린산, 시스-10-펜타데카노인산, 알파-리놀레인산, 시스-11-에이코세노인산, 아라키도닌산, 도코사헥사노인산(DHA), 트리코사노인산, 카프로인산, 헤네이코사노인산, 에이코사디에노인산 등이 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마이크로웨이브 가공을 통해 단시간 내 미세조류 내 유용 지방산 생산효율 증대를 기대할 수 있으며 기존 미세조류를 이용한 바이오디젤 생산 기술에서 기존 설비에 적용이 용이한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미세조류 마이크로웨이브 가공 방법은 같은 바이오 매스량을 가지고 유용 지방산 생산량을 1.5배 이상 증대시키고 필요한 지방산을 만듦으로서 생산성이 높은 바이오디젤 원료 및 고혈압 및 각종 기능성 의약품에 사용할 수 있는 원료를 생산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미세조류 KGE 8을 이용한 마이크로웨이브 온도와 반응시간 조건에 따른 지질 추출 함량변화를 비교한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2는 미세조류 KGE 8을 이용한 마이크로웨이브 온도와 반응시간 조건에 따른 palmitic acid 함량변화를 비교한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3는 미세조류 KGE 8을 이용한 마이크로웨이브 온도와 반응시간 조건에 따른 oleic acid 함량변화를 비교한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4는 미세조류 KGE 8을 이용한 마이크로웨이브 온도와 반응시간 조건에 따른 DHA 함량변화를 비교한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를 통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이들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미세조류 종의 선별
고함량의 지질 및 지방산을 보유하고 있는 미세조류를 선별하기 위한 실험을 진행하였다. 기본 배지인 Bold Basal Media (이하 BBM) 에서 미세조류를 배양하여 선별 실험을 진행하여 Nephroselmis sp. KGE 8을 선별하였다. 이때 배양조건은 온도 27 ℃, pH 6.0-6.5, 교반은 150 rpm, 조도는 100 μmol/㎡-sec를 유지 하였다.
실시예 2: 지질 함량 분석
배양액에서 4일간 잘 배양된 미세조류 KGE8 를 회수하여 스윙타입원심분리기(Hanil, 한국)에서 3500rpm 으로 원심분리한다. 원심분리된 미세조류를 동결건조기를 이용하여 3일간 동결건조하고 그 중 500mg 를 채취하여 지질 추출용 용기(원심분리가 가능한 유리용기 및 뚜껑에 테프론 라이너가 삽입된)에 넣은 후, 용매 클로로포럼 1.25 ml 과 메탄올 2.5 ml 를 유리 피펫을 이용하여 첨가하였다. 그 후, 미세조류에 용매를 첨가한 시료를 고속교반기로 5분 동안 잘 섞어주고, 각 조건으로 마이크로웨이브 조사를 하여 파쇄시켜서 추출을 시작하였다. 파쇄된 미세조류를 150 rpm, 30℃의 조건에서 항온수평진탕기로 하루 동안 교반(30℃, 150 rpm) 추출하였다. 이렇게 추출된 시료에 클로로포럼 1.25 ml를 유리피펫을 이용하여 첨가하고 2시간 동안 항온수평진탕기에서 추가 교반하였다. 추출한 시료에 증류수 1.25 ml를 마이크로피펫을 이용하여 첨가하여 원심분리시켜후 유기층과 물층을 분리하였다. 유기층 (1차 추출물)을 파스췌피펫을 이용하여 새로운 용기(원심분리가 가능한 유리용기 및 뚜껑에 테프론 라이너가 삽입된)에 옮기고 남은 물질에 증류수 1.25 ml를 첨가하여 한 번 더 원심분리시킨다. 유기층 (2차 추출물)과 물층을 분리하고 유기층을 파스췌피펫을 이용하여 분리하여 1차 추출물과 2차 추출물을 합하여 지질 추출물을 얻었다. 이렇게 얻어진 지질 추출물에 NaCl(5%) 5ml 첨가하여 혼합한 후 원심분리하여 유기층만 옮겨 담은 후, 유기층을 회전 진공 증발 농축기를 이용하여 증발시켜 순수 지질을 분리하였다. 분리한 지질의 무게를 측정하여 지질의 무게 240~304 mg를 산출하였고, 사용된 미세조류의 무게는 500 mg이었다. 이를 수학식 1에 대입하여 미세조류 KGE 8 총지질함량을 계산하였다. 이때, 대조군으로는 상기 미세조류를 물리적으로 파쇄한 후, 추출하여 수득한 총지질함량을 사용하였다.
[수학식 1]
지질함량(%)=지질추출물의 건조중량(mg)/미세조류 건조중량(mg) X 100
도 1에서 보듯이, 마이크로웨이브를 이용한 KGE 8의 지질 함량이 기존의 물리적 파쇄방법으로 추출한 대조군에 비하여 약 15% 증가함을 확인하였다. 이는 추후 지질 생산에 있어서 지질 생산성이 우수한 추출방법이 될 수 있다.
실시예 3: 지방산 추출 및 분석
지방산 함량 및 조성은 Lepage와 Roy [Lepage, G., C.C. Roy (1984) Improved recovery of fatty acid through direct transesterification without prior extraction or purification, Journal of Lipid Research, 25, 1391-1396]의 방법을 변형하여 분석하였다.
표준물질로 지방산 메틸 에스테르 혼합물인 FAME Quantitative Standard Mix 37 comps.[accuStandard, USA]를 사용하였다. 테프론 마개를 가진 유리 튜브[11 mL, DH.GL28020, Daihan Scientific, Korea]에 질량을 측정한 미세조류 지질 시료 넣고 클로로포름-메탄올(2:1, vol/vol) 2 mL을 주입한 후 상온에서 10분간 볼텍스 믹서(vortex mixer)[Vorex Genius 3. Ika, Italy]로 섞었다.
내부표준물질인 노나데칸산(nonadecanoic acid)[Sigma Co., USA]를 함유한 클로로포름 1 mL (500 ㎍/L), 메탄올 1 mL, 황산 300 ㎕를 순차적으로 유리튜브에 첨가한 후 5분간 믹서로 섞었다. 튜브를 항온수조에 넣고 100 ℃에서 10분간 반응시켰다. 튜브를 상온까지 냉각시킨 후 증류수 1 mL을 주입하고, 믹서로 5분 정도 격렬히 섞은 후 4,000 rpm에서 10분간 원심분리하여 층분리를 시켰다. 아래층 (유기상)을 1회용 PP 재질 주사기(Norm-ject, Germany)로 뽑아 1회용 0.22 ㎛ PVDF 실린지 필터[(Millex-Gv, Millipore, USA)로 여과 후 자동 주입기를 가진 가스크로마토그래피[Bruker]로 분석하였다(표 1).
Figure 112016056453015-pat00001
상기 표 1에서 보듯이, 마이크로웨이브 미처리군(control) 대비, 마이크로웨이브 처리에 의하여 가장 높은 수준으로 증가된 지방산은 네르본산(약 95배)이고, 다음으로는 아라키딘산(약 79배), 엘라이딘산(약 42배), 스테아르산(약 34배), 감마-리놀레인산(약 30배), 리놀레인산(약 17배), 팔미톨레인산(약 10배), 도코사노인산(약 9배), 시스-10-헵타데카노인산(약 8배), 트리데카노인산(약 4배), 리놀레라이딘산(약 4배), 리그노세린산(약 3배), 헵타데카노인산(약 3배) 등의 순서를 나타냄을 확인하였다.
이들 지방산이 증가되는 마이크로웨이브 조건은 80℃ 30분, 100℃ 10분 및 100℃ 30분이 주류를 이루었고, 특히, 100℃의 조건(10분 및 30분)으로 마이크로웨이브를 조사할 경우, 지방산의 함량이 현저하게 증가됨을 알 수 있었다.
이에 반하여, 카프린산의 경우에는 마이크로웨이브의 처리에 의하여 오히려 추출량이 감소됨을 확인하였다.
한편, 라우린산, 시스-10-펜타데카노인산, 알파-리놀레인산, 시스-11-에이코세노인산, 아라키도닌산, 도코사헥사노인산(DHA), 트리코사노인산, 카프로인산, 헤네이코사노인산 및 에이코사디에노인산의 경우에는, 마이크로웨이브를 조사하지 않을 때에는 추출되지 않았으나, 마이크로웨이브를 조사하였을 경우에는 추출됨을 확인하였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도면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도면들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6)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미세조류에 마이크로웨이브를 조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미세조류로부터 추출한 오일 내의 지방산의 함량을 증가시키는 방법으로서, 상기 미세조류는 네프로셀미스 속 균주(Nephroselmis sp.)이고, 상기 지방산은 올레산이고, 상기 마이크로웨이브 조사는 70 내지 90℃에서 25 내지 35분 동안 수행되는 것인 방법.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미세조류에 마이크로웨이브를 조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미세조류로부터 추출한 오일 내의 지방산의 함량을 증가시키는 방법으로서, 상기 미세조류는 네프로셀미스 속 균주(Nephroselmis sp.)이고, 상기 지방산은 팔미트산이고, 상기 마이크로웨이브 조사는 90 내지 110℃에서 5 내지 15분 동안 수행되는 것인, 방법.
  11. 삭제
  12. 미세조류에 마이크로웨이브를 조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미세조류로부터 추출한 오일 내의 지방산의 함량을 증가시키는 방법으로서, 상기 미세조류는 네프로셀미스 속 균주(Nephroselmis sp.)이고, 상기 지방산은 도코사헥사노인산이고, 상기 마이크로웨이브 조사는 110 내지 130℃에서 5 내지 15분 동안 수행되는 것인, 방법.
  13. 삭제
  14. 미세조류에 마이크로웨이브를 조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미세조류에서 지방산을 추출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미세조류는 네프로셀미스 속 균주(Nephroselmis sp.)이고, 상기 지방산은 올레산이고, 상기 마이크로웨이브 조사는 70 내지 90℃에서 25 내지 35분 동안 수행되는 것인 방법.
  15. 미세조류에 마이크로웨이브를 조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미세조류에서 지방산을 추출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미세조류는 네프로셀미스 속 균주(Nephroselmis sp.)이고, 상기 지방산은 팔미트산이고, 상기 마이크로웨이브 조사는 90 내지 110℃에서 5 내지 15분 동안 수행되는 것인 방법.
  16. 미세조류에 마이크로웨이브를 조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미세조류에서 지방산을 추출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미세조류는 네프로셀미스 속 균주(Nephroselmis sp.)이고, 상기 지방산은 도코사헥사노인산이고, 상기 마이크로웨이브 조사는 110 내지 130℃에서 5 내지 15분동안 수행되는 것인 방법.
KR1020160073179A 2016-06-13 2016-06-13 마이크로웨이브를 이용하여 미세조류로부터 지질을 추출하는 방법 KR1018657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73179A KR101865789B1 (ko) 2016-06-13 2016-06-13 마이크로웨이브를 이용하여 미세조류로부터 지질을 추출하는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73179A KR101865789B1 (ko) 2016-06-13 2016-06-13 마이크로웨이브를 이용하여 미세조류로부터 지질을 추출하는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40634A KR20170140634A (ko) 2017-12-21
KR101865789B1 true KR101865789B1 (ko) 2018-06-11

Family

ID=609361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73179A KR101865789B1 (ko) 2016-06-13 2016-06-13 마이크로웨이브를 이용하여 미세조류로부터 지질을 추출하는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65789B1 (ko)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202425B2 (en) * 2010-04-06 2012-06-19 Heliae Development, Llc Extraction of neutral lipids by a two solvent method
KR101264543B1 (ko) * 2011-07-29 2013-05-14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미세조류로부터 바이오디젤용 원료유를 추출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바이오디젤 생산방법
US8591912B1 (en) * 2013-02-28 2013-11-26 Kiran L. Kadam Algae extraction proces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40634A (ko) 2017-1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Piasecka et al. Physical methods of microalgal biomass pretreatment
Mishra et al. Comprehensive characterization of microalgal isolates and lipid-extracted biomass as zero-waste bioenergy feedstock: an integrated bioremediation and biorefinery approach
Kita et al. Thermal pre-treatment of wet microalgae harvest for efficient hydrocarbon recovery
Reddy et al. Subcritical water extraction of lipids from wet algae for biodiesel production
KR101264543B1 (ko) 미세조류로부터 바이오디젤용 원료유를 추출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바이오디젤 생산방법
US9745537B2 (en) Process for the extraction of lipids from algal biomass
US20130206571A1 (en) Process for obtaining oils, lipids and lipid-derived materials from low cellulosic biomass materials
Wang et al. Characterization and pyrolysis behavior of the green microalga Micractinium conductrix grown in lab-scale tubular photobioreactor using Py-GC/MS and TGA/MS
KR101615409B1 (ko) 나비큘라속에 속하는 미세 조류, 그 미세 조류의 배양에 의한 유분의 제조 방법, 및 그 미세 조류로부터 채취한 유분
ITMI20081203A1 (it) Procedimento per l'estrazione di acidi grassi da biomassa algale
Chatsungnoen et al. Optimization of oil extraction from Nannochloropsis salina biomass paste
Narayanan et al. Isolation, identification and outdoor cultivation of thermophilic freshwater microalgae Coelastrella sp. FI69 in bubble column reactor for the application of biofuel production
US20120198758A1 (en) Hydrothermal Processing (HTP) of Algae Grown in HTP Waste Streams
KR101563148B1 (ko) 감마선 조사에 의해 바이오매스, 전분 및 지질 함량이 증진된 미세조류 클라미도모나스 레인하드티아이 변이체 및 이의 용도
ES2759017T3 (es) Variante de levadura oleaginosa, método para obtener la misma y uso de la misma para la producción de lípidos
KR101424852B1 (ko) 바이오디젤을 생산하는 클로렐라 불가리스 cv-16 및 이를 이용한 바이오디젤의 생산방법
KR101865789B1 (ko) 마이크로웨이브를 이용하여 미세조류로부터 지질을 추출하는 방법
US20120065416A1 (en) Methods for Production of Biodiesel
Mishra et al. Assessment of a novel algal strain Chlamydomonas debaryana NIREMACC03 for mass cultivation, biofuels production and kinetic studies
CN103045353A (zh) 一种微藻油脂的提取方法
US8252561B2 (en) Production of biofuel using molluscan pseudofeces derived from algal cells
CN104560375B (zh) 一种微藻油脂的提取方法
KR101232279B1 (ko) 고함량의 지질을 포함하는 신규한 균주
KR101761768B1 (ko) 배기가스 내성의 미세조류 및 그 배양방법
KR101114426B1 (ko) 신균주 클라미도모나스 피트쉬만니 ysl03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