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65365B1 - 휴대통신 단말의 배터리 진단장치 및 진단방법 - Google Patents

휴대통신 단말의 배터리 진단장치 및 진단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65365B1
KR101865365B1 KR1020170026314A KR20170026314A KR101865365B1 KR 101865365 B1 KR101865365 B1 KR 101865365B1 KR 1020170026314 A KR1020170026314 A KR 1020170026314A KR 20170026314 A KR20170026314 A KR 20170026314A KR 101865365 B1 KR101865365 B1 KR 1018653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tery
communication terminal
portable communication
life
determi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263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승열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서비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서비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서비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263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6536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653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653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519
    • G01R31/3679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36Arrangements for testing, measuring or monitoring the electrical condition of accumulators or electric batteries, e.g. capacity or state of charge [SoC]
    • G01R31/392Determining battery ageing or deterioration, e.g. state of health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8Accumulators combined with arrangements for measuring, testing or indicating the condition of cells, e.g. the level or density of the electrolyt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8Accumulators combined with arrangements for measuring, testing or indicating the condition of cells, e.g. the level or density of the electrolyte
    • H01M10/486Accumulators combined with arrangements for measuring, testing or indicating the condition of cells, e.g. the level or density of the electrolyte for measuring tempera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30Batteries in portable systems, e.g. mobile phone, lapto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34Microprocess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06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wireless LAN interfac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통신 단말과 전기적으로 접속하여 당해 휴대통신 단말에 설치된 배터리의 상태를 진단하는 휴대통신 단말의 배터리 진단장치에 관한 것으로, 휴대통신 단말의 단말정보를 취득하는 통신부(11)와, 취득한 단말정보로부터 배터리의 잔존수명이 남아 있는가 여부를 판단하는 배터리 잔존수명 판정부(13)를 포함하고, 배터리 잔존수명 판정부(13)는 배터리의 사용횟수 또는 충전가능전력 중 어느 하나라도 미리 정해진 값을 벗어나면 배터리를 불량으로 판정한다.

Description

휴대통신 단말의 배터리 진단장치 및 진단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DIAGNOSIS OF BATTERY OF PORTABLE COMMUNICATION TERMINAL}
본 발명은 휴대통신 단말의 배터리 진단장치 및 진단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스마트폰으로 대표되는 휴대통신 단말의 보급이 일반화되어 있고, 이들 휴대통신 단말은 그 동작용 전원으로 통상 재충전이 가능한 2차 전지, 즉, 배터리를 사용하고 있으며, 특히, 재충전율이 우수하고, 메모리현상이 없는 리튬이온전지 또는 니켈 카드뮴 전지를 사용하고 있다.
휴대통신 단말의 배터리는 배터리 자체의 결함이나 장시간 사용에 따른 잔존수명의 감소 등의 원인에 의해 휴대통신 단말이 고유의 기능을 발휘하기에 적합한 전원장치로서의 역할을 담당하지 못하는 결함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고, 휴대통신 단말의 배터리 결함은 경우에 따라서는 배터리 충전모듈의 결함이 원인이 되기도 한다.
휴대통신 단말의 배터리 결함을 진단하는 장치로 특허문헌 1에 기재된 기술이 있다.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종래의 배터리 진단방법은 배터리를 장착하고 단말기를 구동시켜서 단말기에 표시되는 배터리 잔량 아이콘의 상태변화를 주기적으로 확인하고, 배터리 잔량 아이콘이 감소한 경우 아이콘이 감소 된 시점에서의 배터리 전압 값과 배터리 잔량 아이콘이 감소하기까지 소요된 시간을 확인하고, 배터리 잔량 아이콘이 감소하기까지 소요된 시간을 배터리 전압 값과 함께 저장하며, 이 동작을 배터리 잔량 아이콘이 감소할 때마다 반복 수행한 후, 이로부터 배터리의 정상 여부를 확인하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특허문헌 1의 기술은 시간의 경과에 따른 배터리의 전압 값의 변화로부터 배터리의 정상 여부를 확인할 수 있을 뿐이며, 특히, 배터리 불량이 발생한 원인이 무엇인가에 대해서는 확인이 전혀 불가능하다는 등의 문제가 있다.
공개특허 2005-60529호 공보(2005. 6. 22. 공개)
본 발명은 종래기술의 상기 과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휴대통신 단말로부터 취득한 다양한 정보로부터 배터리의 상태를 진단하고, 진단결과 당해 배터리가 불량인 것으로 판정된 경우에는 불량이 발생한 원인까지도 확인할 수 있는 휴대통신 단말의 배터리 진단방치 및 진단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배터리 진단장치는, 휴대통신 단말과 전기적으로 접속하여 당해 휴대통신 단말에 설치된 배터리의 상태를 진단하는 휴대통신 단말의 배터리 진단장치로, 상기 휴대통신 단말의 단말정보를 취득하는 통신수단과, 취득한 상기 단말정보로부터 상기 배터리의 잔존수명이 남아 있는가 여부를 판단하는 배터리 잔존수명 판정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배터리 잔존수명 판정수단은 상기 배터리의 사용횟수 또는 충전가능전력 중 어느 하나라도 미리 정해진 값을 벗어나면 상기 배터리를 불량으로 판정한다.
또,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배터리 진단방법은, 휴대통신 단말과 전기적으로 접속하여 당해 휴대통신 단말에 설치된 배터리의 상태를 진단하는 휴대통신 단말의 배터리 진단방법으로, 상기 휴대통신 단말의 단말정보를 취득하는 단말정보 취득단계와, 취득한 상기 단말정보로부터 상기 배터리의 잔존수명이 남아 있는가 여부를 판단하는 배터리 잔존수명 판정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배터리 잔존수명 판정단계에서는 상기 배터리의 사용횟수 또는 충전가능전력 중 어느 하나라도 미리 정해진 값을 벗어나면 상기 배터리를 불량으로 판정한다.
본 발명은 진단 대상 휴대통신 단말의 배터리의 사용횟수 또는 충전가능전력 중 어느 하나라도 미리 정해진 값을 벗어나면 배터리를 불량으로 판정하도록 하고 있고, 이 판단을 진단 대상 휴대통신 단말로부터 취득한 배터리에 관한 과거의 이력정보로부터 실행하고 있으므로 종래에 비해 정확한 배터리 상태의 진단이 가능하다.
또, 본 발명은 배터리의 사용횟수 또는 충전가능전력에 관한 정보 이외에도, 배터리의 전압변동에 관한 정보, 배터리의 온도변화에 관한 정보 등에 의해서도 배터리의 불량 여부를 진단하므로 더 정확한 배터리 상태의 진단이 가능하다.
나아가, 본 발명은 진단 대상 휴대통신 단말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 정보 또는 환경설정상태 정보로부터 배터리의 수명 단축을 발생시킨 원인까지도 진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의 휴대통신 단말의 배터리 진단장치와 휴대통신 단말 간의 접속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의 휴대통신 단말의 배터리 진단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의 휴대통신 단말의 배터리 진단방법의 흐름을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대해서 첨부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의 휴대통신 단말의 배터리 진단장치와 휴대통신 단말 간의 접속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에 나타내는 것과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의 배터리 진단장치(10)는 진단의 대상이 되는 휴대통신 단말(30)에 설치되어 있는 배터리의 상태 및 당해 배터리의 불량이 발생하게 된 원인을 진단하는 장치이며, 배터리 진단장치(10)가 진단의 대상이 되는 휴대통신 단말(30)과 접속케이블(50)을 통해서 접속되어서 진단이 이루어진다.
배터리 진단장치(10)는 예를 들어 데스크 탑 컴퓨터나 퍼스널컴퓨터와 같은 컴퓨터시스템으로, 프로세서(Processor)와 RAM(Random Access Memory) 및 ROM(Read Only Memory)을 구비하며, ROM에 저장된 배터리 진단용 프로그램에 따라서 프로세서가 동작함으로써 필요한 처리를 실행하는 컴퓨터시스템이다.
휴대통신 단말(30)은 당해 휴대통신 단말(30)에 설치된 배터리에 문제가 발생하여 불량 여부의 진단 대상이 된 휴대통신 단말이며, 스마트폰을 비롯한 다양한 이동통신용 휴대단말장치일 수 있다.
접속케이블(50)은 휴대통신 단말(30)을 배터리 진단장치(10)와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접속수단이며, 예를 들어 SCU100 케이블과 같은 케이블을 이용할 수 있고, 통상은 휴대통신 단말(30)의 충전 포트(30a)와 배터리 진단장치(10)의 USB(Unversal Serial Bus) 포트(10a) 사이를 접속한다.
이어서, 도 2를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의 휴대통신 단말의 배터리 진단장치(10)의 구성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의 휴대통신 단말의 배터리 진단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배터리 진단장치(10)는 통신부(11)와 배터리 설치유형 판정부(12)와 배터리 잔존수명 판정부(13)와 배터리 전압 판정부(14)와 배터리 온도 판정부(15)와 블랙리스트 등재 애플리케이션 판정부(16)와 환경설정상태 판정부(17)와 기억부(18) 및 제어부(19)를 구비한다.
통신부(11)는 접속케이블(50)을 통해서 휴대통신 단말(30)과 전기적으로 접속되어서 배터리 진단장치(10)와 휴대통신 단말(30) 사이에 통신을 확립하고, 휴대통신 단말(30)과의 통신이 확립되면 휴대통신 단말(30)로부터 단말정보를 취득한다. 이때 취득하는 단말정보로는 진단 대상 휴대통신 단말의 배터리 설치유형에 관한 정보를 비롯하여 배터리 잔존수명에 관한 정보, 배터리의 전압변동에 관한 정보, 배터리의 온도변화에 관한 정보, 진단 대상 휴대통신 단말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에 관한 정보, 진단 대상 휴대통신 단말의 환경설정에 관한 정보 등이며, 통신부(11)는 이들 단말정보를 판독해서 수신하고, 수신한 각종 정보를 기억부(18)에 기억한다.
여기서, 배터리의 잔존수명에 관한 정보, 배터리의 전압변동에 관한 정보를 비롯한 각종 단말정보는 진단 대상 휴대통신 단말이 처음 사용되기 시작된 시점에서부터 현재까지의 기간에 걸친 정보이며, 휴대통신 단말(30)은 과거부터 현재에 이르는 모든 정보를 단말 내의 기억장치에 보관하고 있다.
배터리 설치유형 판정부(12)는 통신부(11)가 진단 대상 휴대통신 단말로부터 취득한 단말정보 중 배터리 설치유형에 관한 정보로부터 진단 대상 휴대통신 단말의 배터리가 내장형 배터리인가 아니면 외장형 배터리인가를 판단하고, 판단결과 진단 대상 휴대통신 단말의 배터리가 외장형 배터리인 때에는 진단 대상 휴대통신 단말의 배터리 진단을 종료한다.
휴대통신 단말의 배터리 설치유형으로는 사용자가 배터리를 휴대통신 단말로부터 자유롭게 분리 및 결합할 수 없도록 설치하는 이른바 내장형, 또는, 필요에 따라서 사용자가 배터리를 휴대통신 단말로부터 자유롭게 분리 및 결합할 수 있도록 설치하는 이른바 외장형 중 어느 한 방식일 수 있으며, 이 중 외장형은 사용자가 사용 중인 배터리를 언제든지 다른 배터리로 교환해서 사용할 수 있으므로, 배터리 진단장치(10)의 통신부(11)가 진단 대상 휴대통신 단말로부터 취득한 단말정보, 그 중에서도 특히 배터리에 관한 정보들이 진단시점에 진단 대상 휴대통신 단말에 장착되어 있는 배터리에 관한 정보가 아닐 수도 있으며, 이 경우에는 정확한 배터리 진단이 곤란해지게 된다. 따라서 배터리 설치유형 판정부(12)에 의한 판정결과 진단 대상 휴대통신 단말에 장착된 배터리가 외장형 배터리인 때에는 그 상태에서 진단을 종료하는 것으로 한다.
배터리 잔존수명 판정부(13)는 진단 대상 휴대통신 단말로부터 취득한 단말정보 중 배터리의 잔존수명에 관한 정보로부터 그 진단 대상 휴대통신 단말의 배터리의 잔존수명이 남아 있는가 여부, 다시 말해, 진단 대상 휴대통신 단말에 설치되어 있는 배터리가 기준수명을 초과하여 사용되었는가 여부를 판단한다.
배터리의 잔존수명은 당해 배터리의 최초 사용이 시작된 시점에서부터 시작하여 시간이 지남에 따라서 점차 감소하는 값으로서, 배터리의 종류나 용량, 휴대통신 단말의 기종 등에 따라서 미리 정해지는 값이며, 이와 같은 배터리의 잔존수명은 배터리의 사용횟수와 충전가능전력 중 어느 하나라도 미리 정해진 값을 벗어나면 진단 대상 휴대통신 단말의 배터리를 불량으로 판정한다.
배터리의 사용횟수는 예를 들어 배터리가 완전 방전 상태에서 충전을 시작하여 완전 충전상태에 이른 상태, 즉, 완전 방전에서 100% 충전까지를 1회, 예를 들어 50% 방전에서 100% 충전 또는 완전 방전에서 50% 충전까지를 0.5회와 같이 계산하는 방식으로 배터리를 처음 사용하기 시작한 때부터 배터리 진단시점까지의 충방전 횟수를 누적해서 카운트하여 산정하며, 이와 같은 방식으로 사용횟수를 누적 카운트한 결과 사용횟수가 예를 들어 500회에 도달하면 그 배터리의 수명이 종료하는(잔존수명=0) 것으로 판단하도록 하는 등, 휴대통신 단말의 기종별로 사용횟수에 의한 잔존수명의 기준은 미리 정해져 있다.
또, 배터리의 충전가능전력은 아직 사용하지 않은 정상적인 배터리를 완전충전상태로 충전할 때에 그 배터리에 충전 가능한 전력량, 즉, 진단 대상 휴대통신 단말에 장착된 배터리의 최대 충전전력의 양과 실제로 충전 가능한 전력량의 비율로 정해지는 값으로서, 예를 들어 완전충전 시의 최대 충전전압이 4.3V인 배터리를 최대 충전전압인 4.3V까지 완전히 충전한 때의 최대 충전전력이 3,000㎃·Hr이고, 상기 최대 충전전력의 양과 실제로 충전 가능한 전력량의 비율을 80%로 한 때에 이 배터리의 충전가능전력은 2,800㎃·Hr가 되며, 만일 진단 대상 휴대통신 단말의 배터리의 충전가능전력이 2,800㎃·Hr 미만이면 그 배터리를 불량으로 판정한다.
따라서 상기 예에서는 진단 대상 휴대통신 단말의 배터리의 사용횟수가 500회를 초과하였거나, 또는, 충전가능전력이 2,800㎃·Hr 미만이면 배터리 잔존수명 판정부(13)는 진단 대상 휴대통신 단말의 배터리를 불량으로 판정한다.
배터리 전압 판정부(14)는 진단 대상 휴대통신 단말로부터 취득한 단말정보 중 배터리의 전압변동에 관한 정보로부터 당해 진단 대상 휴대통신 단말의 배터리의 전압이 미리 정해진 값(설정 값) 이하로 하강한 적이 있는가 여부를 판단하고, 만일 설정 값 이하로 하강한 적이 1회라도 있으면 그 배터리를 불량으로 판정한다.
휴대통신 단말의 종류에 따라서 차이가 있으나, 현재 사용되고 있는 스마트폰은 배터리의 최대 전압이 4.3V로 정해져 있는 기종이 많으며, 배터리의 전압이 3.4V 이하로 떨어지면 그 스마트폰의 전원을 차단(OFF)하도록 설계되어 있다. 또, 배터리를 불량으로 판정하는 기준 전압이 되는 설정 값은 배터리의 전압이 당해 휴대통신 단말(스마트폰)의 전원이 자동으로 차단되는 전압 이하의 값(예를 들어 3.25V 이하)으로 설정하고 있고, 배터리의 전압이 설정 값 이하로 방전된 적이 1회라도 있으면 배터리 전압 판정부(14)는 진단 대상 휴대통신 단말의 배터리를 불량으로 판정한다.
배터리 온도 판정부(15)는 진단 대상 휴대통신 단말로부터 취득한 단말정보 중 배터리의 온도변화에 관한 정보로부터 당해 진단 대상 휴대통신 단말의 배터리의 온도가 미리 정해진 값(설정 값) 이상으로 상승한 적이 있는가 여부를 판단하고, 설정 값 이상으로 상승한 적이 1회라도 있으면 그 휴대통신 단말의 배터리를 충전하는 충전모듈(Battery Charge IC)을 불량으로 판정한다.
배터리의 과도한 온도상승은 배터리의 수명에는 물론 안전에도 중대한 영향을 미치는 요소이며, 경우에 따라서는 배터리 폭발, 나아가서는 휴대통신 단말의 폭발로 이어질 수도 있으므로 배터리의 온도상승의 범위를 엄격하게 제한하고 있고, 또, 일반적으로 배터리의 온도는 충전 시에 상승하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휴대통신 단말의 충전모듈은 배터리의 충전 시에 안전한 충전이 가능한 최대 온도 값(설정 값, 예를 들어 70℃)이 미리 설정되어 있고, 배터리의 온도가 이 설정 값 이상이 되면 자동으로 충전을 중단하도록 하고 있다.
따라서 배터리 온도 판정부(15)에 의한 판정결과 진단 대상 휴대통신 단말의 배터리 온도가 설정 값 이상으로 상승한 적이 1회라도 있으면 충전모듈이 제 기능을 발휘하지 못한 것이 되며, 이 경우 배터리 온도 판정부(15)는 진단 대상 휴대통신 단말의 배터리를 충전하는 충전모듈을 불량으로 판정한다.
당연하나, 배터리 충전모듈은 휴대통신 단말에 내장되어 있는 충전모듈이라도 좋고, 휴대통신 단말에 내장되어 있지 않은 외장형 충전모듈이라도 동일하다.
블랙리스트 등재 애플리케이션 판정부(16)는 진단 대상 휴대통신 단말로부터 취득한 단말정보 중 진단 대상 휴대통신 단말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에 관한 정보로부터 당해 휴대통신 단말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 중 예를 들어 배터리를 과도하게 소모하는 애플리케이션과 등, 사용을 권장하지 않는 애플리케이션으로서 블랙리스트에 등재되어 있는 애플리케이션이 있는가 여부를 판단한다.
판정결과, 만일 진단 대상 휴대통신 단말에 설치되어 있거나 또는 현재 설치되어 있지는 않더라도 과거에 설치된 적이 있는 애플리케이션 중에 블랙리스트에 등재된 애플리케이션이 하나라도 있는 때에는 블랙리스트 등재 애플리케이션 판정부(16)는 그 애플리케이션이 배터리의 수명 단축의 원인이 되어서 배터리가 불량이 된 것으로 판정한다.
블랙리스트는 기억부(18)에 기억하고 있어도 좋고, 기억부(18)와는 별도의 다른 데이터베이스 등에 기억해도 좋으며, 블랙리스트 등재 애플리케이션 판정부(16)는 진단 대상 휴대통신 단말로부터 취득한 단말정보 중 진단 대상 휴대통신 단말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에 관한 정보와 기억부(18) 또는 별도의 데이터베이스에 기억된 블랙리스트의 대비에 의해 불량 애플리케이션에 의한 배터리 수명 단축 여부를 판단한다.
환경설정상태 판정부(17)는 진단 대상 휴대통신 단말로부터 취득한 단말정보 중 환경설정에 관한 정보로부터, 당해 휴대통신 단말의 환경설정이 배터리의 과도한 소모를 유발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 당해 휴대통신 단말의 제조 또는 공급자가 권장하는 환경과는 다른 환경으로 설정되어서 사용되고 있는가 여부를 판단하고, 권장환경과 다른 환경으로 설정되어 사용되고 있으면 진단 대상 휴대통신 단말의 배터리의 수명 단축이 권장하지 않는 상태로 설정된 환경설정이 원인이 되어서 배터리의 불량이 발생한 문제일 수 있는 것으로 판정한다.
여기서, 환경설정의 대상은 예를 들어 와이 파이(Wi-Fi)의 설정, 블루투스(Bluetooth)의 설정, 디스플레이의 설정과 같은, 휴대통신 단말의 사용자가 예를 들어 온(ON) 또는 오프(OFF) 중 어느 하나와 같이, 2 이상의 선택지 중 어느 하나로 선택적으로 설정할 수 있는 항목이며, 평소에는 예를 들어 와이 파이나 블루투스 등은 차단(OFF)으로 설정하는 등과 같이, 휴대통신 단말의 환경설정은 배터리의 소모가 최소가 되도록 설정하고, 필요시에만 연결(ON) 상태로 전환하여 사용하는 방식을 권장하고 있다.
기억부(18)는 예를 들어 플래시메모리와 같은 전자적 정보기억수단이며, 배터리 진단장치(10)의 동작에 필요한 각종 정보 등을 기억한다.
제어부(19)는 통신부(11), 배터리 설치유형 판정부(12), 배터리 잔존수명 판정부(13)를 비롯한 상기 각 부를 제어하여 각 부가 고유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다음에,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의 휴대통신 단말의 배터리 진단방법에 대해서 도 1 내지 3을 참조하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의 휴대통신 단말의 배터리 진단방법의 흐름을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도 1과 같이, 접속케이블(50)을 통해서 진단 대상의 휴대통신 단말(30)이 배터리 진단장치(10)에 접속되면, 제어부(19)는 통신부(11)를 제어하여 휴대통신 단말(30)로부터 필요한 단말정보를 취득한다(단계 S10).
이때 취득하는 단말정보로는 진단 대상 휴대통신 단말의 배터리 설치유형에 관한 정보, 배터리 잔존수명에 관한 정보, 배터리의 전압변동에 관한 정보, 배터리의 온도변화에 관한 정보, 진단 대상 휴대통신 단말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에 관한 정보, 진단 대상 휴대통신 단말의 환경설정에 관한 정보 등이며, 필요한 경우에는 취득한 단말정보를 기억부(18)에 기억한다.
이어서, 단계 S11로 진행하여, 배터리 설치유형 판정부(12)는 단계 S10에서 취득한 단말정보 중 진단 대상 휴대통신 단말의 배터리 설치유형에 관한 정보로부터 진단 대상 휴대통신 단말의 배터리가 내장형 배터리인가 여부를 판단하고, 판정결과 내장형 배터리인 것으로 판단되면(단계 S11=YES) 단계 S12로 진행한다. 만일, 진단 대상 휴대통신 단말의 배터리가 내장형 배터리가 아닌 것으로 판단되면, 다시 말해 외장형 배터리인 것으로 판단되면(단계 S11=NO) 배터리 진단이 불가능한 것으로 판단하고 종료한다.
여기서, 진단 대상 휴대통신 단말의 배터리가 외장형 배터리인 때에 진단을 종료하는 이유는 앞에서 설명한 것과 같다.
이어서, 단계 S12로 진행하여, 배터리 잔존수명 판정부(13)는 통신부(11)가 진단 대상 휴대통신 단말로부터 취득한 단말정보 중 배터리의 잔존수명에 관한 정보로부터 배터리의 잔존수명이 남아 있는가 여부를 판단한다.
배터리 잔존수명 판정부(13)에 의한 배터리의 잔존수명이 남아 있는가 여부의 판단은 진단 대상 휴대통신 단말의 배터리의 사용횟수와 충전가능전력 중 어느 하나라도 미리 정해진 값을 벗어나면 진단 대상 휴대통신 단말의 배터리를 불량으로 판정하며, 그 구체적인 판정방법은 앞에서 설명한 것과 같으므로 여기에서는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단계 S12의 판단결과 진단 대상 휴대통신 단말의 배터리의 잔존수명이 남아 있지 않은 것으로 판정되면(단계 S12=NO) 단계 S21로 진행하여 배터리 잔존수명 판정부(13)는 그 배터리를 불량으로 판정한 후 단계 S13으로 진행하고, 만일 잔존수명이 남아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단계 S12=YES) 단계 S13으로 진행한다.
이어서, 단계 S13에서, 배터리 전압 판정부(14)는 진단 대상 휴대통신 단말로부터 취득한 단말정보 중 배터리의 전압변동에 관한 정보로부터 당해 진단 대상 휴대통신 단말의 배터리의 전압이 미리 정해진 설정 값 이하로 하강한 적이 있는가 여부를 판단하고, 만일 배터리의 전압이 설정 값 이하로 하강한 적이 1회로도 있으면(단계 S13=YES) 단계 S22로 진행하여 배터리 전압 판정부(14)는 당해 진단 대상 휴대통신 단말의 배터리를 불량으로 판정하고 단계 S14로 진행한다.
만일, 단계 S13에서의 판단결과 진단 대상 휴대통신 단말의 배터리의 전압이 설정 값 이하로 하강한 적이 없으면(단계 S13=NO) 단계 S14로 진행한다.
진단 대상 휴대통신 단말의 배터리의 전압이 설정 값 이하로 하강한 적이 있는가에 대한 구체적인 판단방법은 앞에서 설명한 것과 같으므로 여기에서는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어서, 단계 S14에서, 배터리 진단장치(10)의 배터리 온도 판정부(15)는 진단 대상 휴대통신 단말로부터 취득한 단말정보 중 배터리의 온도변화에 관한 정보로부터 그 휴대통신 단말에 설치된 배터리의 온도가 설정 값 이상으로 상승한 적이 있는가 여부를 판단하고, 판단결과 배터리의 온도가 설정 값 이상으로 상승한 적이 1회라도 있으면(단계 S14=YES) 단계 S23으로 진행하여 배터리 온도 판정부(15)는 그 배터리를 충전하는 충전모듈을 불량으로 판정한다.
만일, 단계 S14에서의 판단결과 진단 대상 휴대통신 단말의 배터리의 온도가 설정 값 이상으로 상승한 적이 없으면(단계 S14=NO) 단계 S15로 진행한다.
진단 대상 휴대통신 단말의 배터리의 온도가 설정 값 이상으로 상승한 적이 있는가에 대한 구체적인 판단방법은 앞에서 설명한 것과 같으므로 여기에서는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어서, 단계 S15로 진행하여, 블랙리스트 등재 애플리케이션 판정부(16)는 진단 대상 휴대통신 단말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에 관한 정보로부터 당해 휴대통신 단말에 설치되어 있거나 과거에 설치된 적이 있는 애플리케이션 중 배터리를 과도하게 소비하는 애플리케이션으로 블랙리스트에 등재되어 있는 애플리케이션이 있는가 여부를 판단한다. 단계 S15의 판단결과 블랙리스트에 등재된 애플리케이션이 있으면(단계 S15=YES) 단계 S24로 진행하여 배터리의 수명 단축의 원인이 불량 애플리케이션의 사용으로 인한 것으로 진단한 후 단계 S16으로 진행한다.
만일, 단계 S15의 판단결과 블랙리스트에 등재된 애플리케이션이 진단 대상 휴대통신 단말에는 설치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단계 S15=NO) 단계 S16으로 진행한다.
이어서, 단계 S16에서, 환경설정상태 판정부(17)는 진단 대상 휴대통신 단말로부터 판독한 환경설정에 관한 정보로부터 그 휴대통신 단말의 환경설정이 권장상태로 설정되어 있는가 여부를 판단하고, 판단결과 권장상태로 설정되어 있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단계 S16=NO) 단계 S25로 진행하여 배터리의 수면수명 단축의 원인이 휴대통신 단말의 환경설정의 문제인 것으로 진단하고 종료한다.
만일, 단계 S16에서의 판단결과 진단 대상 휴대통신 단말의 환경설정상태가 모두 권장상태인 것으로 판단되면 종료한다.
진단 대상 휴대통신 단말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에 블랙리스트에 등재된 애플리케이션이 있는가 여부의 판단 및 진단 대상 휴대통신 단말의 환경설정상태의 판단에 대한 상세도 앞에서 설명한 것과 같다.
이상 설명한 배터리 진단단계 중 단계 S12 내지 단계 S14의 단계는 진단 대상 휴대통신 단말의 배터리가 불량인가 여부를 진단하는 불량 여부 진단과정에 해당하고, 단계 S15 및 단계 S16은 단계 S12 내지 단계 S14의 배터리 불량 여부 진단과정에서 진단 대상 휴대통신 단말의 배터리가 불량인 것으로 판정된 경우의 배터리의 수명단축을 초래한 원인을 진단하기 위한 수명단축 원인 진단과정이라고도 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의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또는 변형이 가능함은 당연하다.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진단 대상 휴대통신 단말의 배터리가 외장형 배터리인 경우에는 배터리 진단을 하지 않는 것으로 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진단 대상 휴대통신 단말의 배터리가 외장형 배터리라고 하더라도, 예를 들어 그 배터리가 사용자에 의해 교환된 배터리가 아니라 처음부터 진단 대상 휴대통신 단말에서 계속해서 사용된 배터리라는 점이 명확한 경우, 또는, 비록 진단의 대상이 된 배터리가 교환된 배터리라고 하더라도, 진단 대상 휴대통신 단말로부터 취득한 단말정보에서 교환된 배터리에 대한 단말정보, 즉, 진단 시점에서 진단의 대상이 되는 배터리에 관련한 단말정보만을 별도로 분리해서, 분리된 단말정보에 의해서 배터리 진단을 할 수 있는 경우와 같이, 진단의 대상이 되는 배터리에 관한 정보를 진단 대상 휴대통신 단말로부터 정확하게 취득할 수 있으면 외장형 배터리도 진단을 할 수 있다.
또, 상기 실시형태의 예를 들어 단계 S21, 단계 S22 또는 단계 S23에서 진단 대상 휴대통신 단말의 배터리 또는 충전모듈이 불량인 것으로 판정된 경우에도 계속해서 그 다음의 단계를 진행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어떤 한 단계에서의 판단결과 진단 대상 휴대통신 단말의 배터리가 불량인 것으로 판정되면 다음 단계로 더 진행하지 않고 진단을 종료해도 좋다.
또는, 예를 들어 단계 S21에서 진단 대상 휴대통신 단말의 배터리가 불량인 것으로 판단되면 단계 S13 및 단계 S14를 생략하고 바로 단계 S15로 점프하여 배터리의 수명 단축의 원인을 진단하는 것으로 해도 좋다.
또, 본 발명의 휴대통신 단말의 배터리 진단장치는 배터리 설치유형 판정부(12)나 배터리 잔존수명 판정부(13)를 비롯하여 배터리 진단장치(10)를 구성하는 각 부의 판정결과 또는 단계 S11 내지 단계 S16 및 단계 S21 내지 단계 S25의 각 단계에서의 판정결과를 시각적으로 출력하여 알려주는 표시장치나 청각적으로 출력하여 알려주는 음성출력장치 중 어느 일방 또는 양방을 더 구비하는 것으로 해도 좋다.
또,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단계 S10 내지 단계 S16의 순으로 진단을 실행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반드시 이 순서에 따라서 진단을 실행해야 하는 것은 아니며, 단계 S12 내지 단계 S14, 단계 S15 및 단계 S16은 각각 그 실행순서가 바뀌어도 좋고, 또, 단계 S12 내지 단계 S14, 단계 S15 및 단계 S16은 각각 병렬로 실행해도 상관없다.
또, 상기 실시형태 및 변형 예는 각각 따로따로 실시해도 좋고, 변형 예의 일부 또는 전부를 상기 실시형태와 결합해서 실시해도 좋다.
10 배터리 진단장치
11 통신부
12 배터리 설치유형 판정부
13 배터리 잔존수명 판정부
14 배터리 전압 판정부
15 배터리 온도 판정부
16 블랙리스트 등재 애플리케이션 판정부
17 환경설정상태 판정부
18 기억부
19 제어부
30 휴대통신 단말
50 접속케이블

Claims (10)

  1. 휴대통신 단말과 전기적으로 접속하여 당해 휴대통신 단말에 설치된 배터리를 진단하는 휴대통신 단말의 배터리 진단장치로,
    상기 휴대통신 단말의 단말정보를 취득하는 통신수단과,
    취득한 상기 단말정보로부터 상기 배터리의 잔존수명이 남아 있는가 여부를 판단하는 배터리 잔존수명 판정수단과,
    취득한 상기 단말정보로부터 상기 배터리의 전압이 미리 설정된 설정전압 이하로 하강한 적이 있는가 여부를 판단하는 배터리 전압 판정수단과,
    취득한 상기 단말정보로부터 상기 휴대통신 단말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 중 배터리의 수명을 단축하는 애플리케이션으로서 블랙리스트에 등재된 애플리케이션이 있는가 여부를 판단하는 블랙리스트 등재 애플리케이션 판정수단과,
    취득한 상기 단말정보로부터 상기 휴대통신 단말의 환경설정상태가 권장상태인가 여부를 판단하는 환경설정상태 판정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배터리 잔존수명 판정수단은 상기 배터리의 사용횟수 또는 충전가능전력 중 어느 하나라도 미리 정해진 값을 벗어나면 상기 배터리를 불량으로 판정하고,
    상기 배터리 전압 판정수단은 상기 배터리의 전압이 상기 설정전압 이하로 하강한 적이 1회라도 있으면 상기 배터리를 불량으로 판정하며,
    상기 블랙리스트 등재 애플리케이션 판정수단은 상기 블랙리스트에 등재된 불량 애플리케이션이 있으면 상기 배터리의 수명이 단축된 원인을 상기 불량 애플리케이션의 사용에 의한 것으로 판정하고,
    상기 환경설정상태 판정수단은 상기 휴대통신 단말의 환경설정상태 중 권장상태로 설정되어 있지 않은 항목이 있으면 상기 배터리의 수명단축의 원인을 상기 권장상태로 설정되어 있지 않은 환경설정에 의한 것으로 판정하는 휴대통신 단말의 배터리 진단장치.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취득한 상기 단말정보로부터 상기 배터리의 온도가 미리 설정된 설정온도 이상으로 상승한 적이 있는가 여부를 판단하는 배터리 온도 판정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배터리 온도 판정수단은 상기 배터리의 온도가 상기 설정온도 이상으로 상승한 적이 1회라도 있으면 상기 배터리를 충전하는 충전모듈을 불량으로 판정하는 휴대통신 단말의 배터리 진단장치.
  4. 삭제
  5. 삭제
  6. 휴대통신 단말과 전기적으로 접속하여 당해 휴대통신 단말에 설치된 배터리를 진단하는 휴대통신 단말의 배터리 진단방법으로,
    상기 휴대통신 단말의 단말정보를 취득하는 단말정보 취득단계와,
    취득한 상기 단말정보로부터 상기 배터리의 잔존수명이 남아 있는가 여부를 판단하는 배터리 잔존수명 판정단계와,
    취득한 상기 단말정보로부터 상기 배터리의 전압이 미리 설정된 설정전압 이하로 하강한 적이 있는가 여부를 판단하는 배터리 전압 판정단계와,
    취득한 상기 단말정보로부터 상기 휴대통신 단말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 중 배터리의 수명을 단축하는 애플리케이션으로서 블랙리스트에 등재된 애플리케이션이 있는가 여부를 판단하는 블랙리스트 등재 애플리케이션 판정단계와,
    취득한 상기 단말정보로부터 상기 휴대통신 단말의 환경설정상태가 권장상태인가 여부를 판단하는 환경설정상태 판정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배터리 잔존수명 판정단계에서는 상기 배터리의 사용횟수 또는 충전가능전력 중 어느 하나라도 미리 정해진 값을 벗어나면 상기 배터리를 불량으로 판정하고,
    상기 배터리 전압 판정단계에서는 상기 배터리의 전압이 상기 설정전압 이하로 하강한 적이 1회라도 있으면 상기 배터리를 불량으로 판정하며,
    상기 블랙리스트 등재 애플리케이션 판정단계에서는 상기 블랙리스트에 등재된 불량 애플리케이션이 있으면 상기 배터리의 수명이 단축된 원인을 상기 불량 애플리케이션의 사용에 의한 것으로 판정하고,
    상기 환경설정상태 판정단계에서는 상기 휴대통신 단말의 환경설정상태 중 권장상태로 설정되어 있지 않은 항목이 있으면 상기 배터리의 수명단축의 원인을 상기 권장상태로 설정되어 있지 않은 환경설정에 의한 것으로 판정하는 휴대통신 단말의 배터리 진단방법.
  7. 삭제
  8. 청구항 6에 있어서,
    취득한 상기 단말정보로부터 상기 배터리의 온도가 미리 설정된 설정온도 이상으로 상승한 적이 있는가 여부를 판단하는 배터리 온도 판정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배터리 온도 판정단계에서는 상기 배터리의 온도가 상기 설정온도 이상으로 상승한 적이 1회라도 있으면 상기 배터리를 충전하는 충전모듈을 불량으로 판정하는 휴대통신 단말의 배터리 진단방법.
  9. 삭제
  10. 삭제
KR1020170026314A 2017-02-28 2017-02-28 휴대통신 단말의 배터리 진단장치 및 진단방법 KR1018653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6314A KR101865365B1 (ko) 2017-02-28 2017-02-28 휴대통신 단말의 배터리 진단장치 및 진단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6314A KR101865365B1 (ko) 2017-02-28 2017-02-28 휴대통신 단말의 배터리 진단장치 및 진단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65365B1 true KR101865365B1 (ko) 2018-06-05

Family

ID=626355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26314A KR101865365B1 (ko) 2017-02-28 2017-02-28 휴대통신 단말의 배터리 진단장치 및 진단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6536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23672A (ko) * 2018-08-14 2020-03-06 오토시맨틱스 주식회사 딥러닝을 이용한 전지 진단 방법
WO2023075244A1 (ko) * 2021-10-28 2023-05-04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배터리 관리 장치 및 그것의 동작 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60529A (ko) 2003-12-16 2005-06-22 주식회사 팬택 이동통신단말기의 배터리 테스트방법
KR20060088240A (ko) * 2005-02-01 2006-08-04 엘지전자 주식회사 단말기의 전력소비량 분석 시스템 및 방법
KR20160001559A (ko) * 2014-06-27 2016-01-06 김유진 이동통신 장비의 배터리 이상으로 발생 가능한 위험 관리 방법 및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60529A (ko) 2003-12-16 2005-06-22 주식회사 팬택 이동통신단말기의 배터리 테스트방법
KR20060088240A (ko) * 2005-02-01 2006-08-04 엘지전자 주식회사 단말기의 전력소비량 분석 시스템 및 방법
KR20160001559A (ko) * 2014-06-27 2016-01-06 김유진 이동통신 장비의 배터리 이상으로 발생 가능한 위험 관리 방법 및 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23672A (ko) * 2018-08-14 2020-03-06 오토시맨틱스 주식회사 딥러닝을 이용한 전지 진단 방법
KR102106775B1 (ko) * 2018-08-14 2020-05-06 오토시맨틱스 주식회사 딥러닝을 이용한 전지 진단 방법
WO2023075244A1 (ko) * 2021-10-28 2023-05-04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배터리 관리 장치 및 그것의 동작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0720157B (zh) 电池组和控制电池组的方法
TW552730B (en) Battery pack and battery pack checking method
AU2017263851A1 (en) Battery state detection system and method
US7560901B2 (en) Internal short detection apparatus for secondary-battery, internal short detection method for secondary-battery, battery-pack, and electronic equipment
US9214702B2 (en) Batteries for electric tools
JPH02299428A (ja) バッテリ駆動の無線機
JP2010539642A (ja) インテリジェントな電池の安全管理
KR20210031172A (ko) 배터리 이상 상태를 진단하기 위한 방법, 이를 위한 전자 장치 및 저장 매체
EP3288135A1 (en) Battery pack charge control device and method
JPWO2010035567A1 (ja) 携帯機器、電池パック、表示制御方法、表示制御プログラム
KR20190140268A (ko) 충전 중 배터리의 전압 변화량에 기반하여 배터리의 상태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KR101865365B1 (ko) 휴대통신 단말의 배터리 진단장치 및 진단방법
KR20210007246A (ko) 배터리 팩의 상태 진단 장치 및 방법
KR102547282B1 (ko) 배터리 충방전 시간에 기반하여 충전을 제어하는 장치 및 방법
US20120098498A1 (en) Battery pack, semiconductor device, portable apparatus and method of reporting full charge
JP2008259293A (ja) 二次電池の充電装置
CN111837290A (zh) 锂离子二次电池的控制装置以及其控制方法
CN116315184B (zh) 电池、电路板、电子设备、以及电池充电方法
JP5203270B2 (ja) 二次電池容量試験システム及び二次電池容量試験方法
JP2004289995A (ja) 充電装置および電子機器
US11462930B2 (en) Method and device for controlling charging on basis of state of battery
KR102610543B1 (ko) 전자 장치 및 그의 배터리를 진단하는 방법
CN104052136A (zh) 电池组、充电电路和充电装置
JP2006109618A (ja) 充電制御回路
CN114506220B (zh) 车辆控制装置、车辆控制方法、非暂时性存储介质和车辆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