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65187B1 - 케이크 받침 - Google Patents

케이크 받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65187B1
KR101865187B1 KR1020170037592A KR20170037592A KR101865187B1 KR 101865187 B1 KR101865187 B1 KR 101865187B1 KR 1020170037592 A KR1020170037592 A KR 1020170037592A KR 20170037592 A KR20170037592 A KR 20170037592A KR 101865187 B1 KR101865187 B1 KR 1018651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hard
hard cardboard
cake
engag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375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성봉
Original Assignee
김성봉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성봉 filed Critical 김성봉
Priority to KR10201700375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6518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651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651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e.g. by casting metallic material, by moulding plastics, by blowing vitreous material, by throwing ceramic material, by moulding pulped fibrous material, by deep-drawing operations performed on sheet material
    • B65D1/34Trays or like shallow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3/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by interconnecting two or more rigid, or substantially rigid, components made wholly or mainly of the same material, other than metal, plastics, wood, or substitutes therefor
    • B65D13/04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by interconnecting two or more rigid, or substantially rigid, components made wholly or mainly of the same material, other than metal, plastics, wood, or substitutes therefor of pap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02Internal fittings
    • B65D25/10Devices to locate articles in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3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articles particularly sensitive to damage by shock or pressure
    • B65D85/36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articles particularly sensitive to damage by shock or pressure for bakery products, e.g. biscu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ackaging Frangible Art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종 재질 간의 결합 및 사용 후 재활용을 위한 분리가 간편하고 용이하게 이루어지는 케이크 받침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서는 수지제로 성형한 플레이트의 하면에 하드보드지를 부착하여 이루어지는 것으로, 상기 하드보드지의 둘레 안쪽에 그 중앙에서 사방으로 다수 개가 형성된 결합구멍과, 상기 하드보드지의 한쪽 가장자리에 상기 플레이트와의 부착 위치를 설정 및 안내하기 위해 형성된 기준홈과, 상기 플레이트의 상면 중앙 부분에 케이크를 고정하기 위해 다수 개가 일체로 형성된 고정핀과, 상기 플레이트의 하면 중앙에서 사방으로 상기 하드보드지의 결합구멍들에 끼워지도록 대응 형성된 결합돌기와, 상기 하드보드지의 하면 테두리를 잡아주도록 상기 결합돌기들의 상기 하드보드지의 테두리와 마주하는 면에 각각 돌출 형성된 걸림턱 및 상기 플레이트의 하면 한쪽에 상기 하드보드지의 기준홈과 대응 결합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하드보드지의 부착 위치를 설정 및 안내하는 기준턱을 포함하는 케이크 받침을 개시한다.

Description

케이크 받침{CAKE SUPPORTING PLATE}
본 발명은 합성수지제와 하드보드지의 이종 재질로 이루어진 케이크 받침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기계적 강도 및 성형성이 뛰어나면서 이종 재질 간의 결합 및 사용 후 재활용을 위한 분리가 간편하고 용이하게 이루어지는 케이크 받침에 관한 것이다.
오늘날 케이크는 생일, 결혼 등과 같은 각종 기념일이나 다양한 이벤트에 긴장감 및 분위기를 고조시키고 중심인물을 부각시켜 주기 위해 아주 요긴하게 사용되고 있다.
최근 들어 케이크의 소비가 증가하고 고급화현상이 뚜렷해지면서 다양한 맛과 독특한 디자인의 케이크를 제조공장에서 양산 및 포장하여 판매점으로 공급하는 이른바 프랜차이즈 판매방식이 주류를 이루고 있다.
이러한 케이크는 그 재료의 특성상 조그마한 충격에도 외형이 쉽게 파손되기 때문에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해 별도의 받침에 얹은 상태로 제조하여 포장상자에 담아 들고 가거나 운반 및 배송하고 있다.
그런데 밋밋한 형태의 케이크 받침은 케이크를 고정하는 힘이 떨어지므로 이동 과정에서 흔들림이나 기울어짐 등의 부주의한 취급 시 케이크가 쉽게 미끄러져서 포장상자의 벽면에 부딪혀 손상될 수 있고, 이로 인해 장식성과 디자인성을 최우선으로 하는 케이크의 상품가치가 현저히 떨어져 사용하거나 먹지 못하고 그냥 버려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종래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골판지로 만든 케이크 받침(1)의 상면에 얇은 철판이나 합성수지제 고정핀(2)을 부착하고, 이에 케이크(3)의 하부를 고정하는 방식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는 생일파티와 같이 특정인을 축하하는 과정에서 케이크를 가지고 장난을 치는 경우, 이를테면 케이크를 특정인의 얼굴에 던지거나 특정인의 얼굴부위를 케이크를 밀착시켜 아래로 강하게 누르면서 문지르는 등의 과도한 장난 행위시 고정핀(2)이 특정인의 얼굴을 찌르거나 상처를 내는 등 상해를 유발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고정핀(2)은 받침(1)을 운반 및 보관 시 등에 적층이 용이하도록 누워진 상태로 받침 상면에 밀착되어 있어 케이크를 만들 때에는 손톱이나 별도의 뾰족한 도구를 이용해 그 끝단을 일일이 들뜨게 한 후 수직으로 세워야 하는 번거로움과 불편함이 있는 데다 받침(1)과 별도로 제조하여 부착하기 때문에 여러 단계의 생산 공정을 거쳐야 하고, 이로 인해 제조원가가 높아질 수밖에 없는 한계가 있다.
이에 따라 요즈음은 케이크 받침의 제조원가 및 생산단가를 낮추기 위해 PVC, ABS, PP, PS 따위의 합성수지나 생분해성 수지 등으로 두께가 최대한 얇은 접시 형태로 고정핀 일체형 플레이트를 만들고, 이의 하면에 고가인 합성수지제에 비해 가격이 상대적으로 저렴한 이른바 하드보드지(종이를 여러 겹으로 눌러 붙여 단단하게 만든 판지)를 부착하여 강도를 보강하고 강성을 증대시킨 구조의 케이크 받침이 본 발명자 등에 의해 다양한 형태로 개발되어 제과제빵 업계에서 각광을 받고 있다.
그런데 이와 같은 종래의 케이크 받침은 합성수지나 생분해성 수지 등으로 성형한 수지제 플레이트의 저면 안쪽에 접착제를 도포하고 하드보드지를 수작업으로 일일이 삽입한 후 눌러서 부착하는 구조이므로 작업능률과 생산성이 상당히 떨어지는 데다 사용 후 재활용을 위한 분리 과정이 상당히 어렵고 까다로운 문제점이 있다.
여기서 상술한 기술들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것으로서,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널리 알려진 기술을 의미하는 것은 아님을 밝힌다.
KR20-0400052 Y1(2005.10.25) KR20-0428334 Y1(2006.09.30) KR20-0346356 Y1(2004.03.17) KR10-0899024 B1(2009.05.15) KR10-0819329 B1(2008.03.27)
이에 본 발명자는 상술한 제반 사항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기존의 케이크 받침이 지닌 한계 및 문제점의 해결에 역점을 두어 기계적 강도 및 성형성이 뛰어나면서 이종 재질 간의 결합 및 사용 후 재활용을 위한 분리가 간편하고 용이한 효과를 도모할 수 있는 새로운 구조의 케이크 받침을 개발하고자 각고의 노력을 기울여 부단히 연구하던 중 그 결과로써 본 발명을 창안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 및 목적은 이종 재질 간의 결합 및 사용 후 재활용을 위한 분리가 간편하고 용이할 수 있도록 하는 케이크 받침을 제공하는 데 있는 것이다.
여기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 및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 및 목적으로 국한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 및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가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 및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태양에 따른 구체적 수단은, 수지제로 성형한 플레이트의 하면에 하드보드지를 부착하여 이루어지는 것으로, 상기 하드보드지의 둘레 안쪽에 그 중앙에서 사방으로 다수 개가 형성된 결합구멍과, 상기 하드보드지의 한쪽 가장자리에 상기 플레이트와의 부착 위치를 설정 및 안내하기 위해 형성된 기준홈과, 상기 플레이트의 상면 중앙 부분에 케이크를 고정하기 위해 다수 개가 일체로 형성된 고정핀과, 상기 플레이트의 하면 중앙에서 사방으로 상기 하드보드지의 결합구멍들에 끼워지도록 대응 형성된 결합돌기와, 상기 하드보드지의 하면 테두리를 잡아주도록 상기 결합돌기들의 상기 하드보드지의 테두리와 마주하는 면에 각각 돌출 형성된 걸림턱 및 상기 플레이트의 하면 한쪽에 상기 하드보드지의 기준홈과 대응 결합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하드보드지의 부착 위치를 설정 및 안내하는 기준턱을 포함하여 채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크 받침을 제시한다.
이로써 본 발명은 기계적 강도 및 성형성이 뛰어나면서 이종 재질 간의 결합 및 사용 후 재활용을 위한 분리가 간편하고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태양으로, 상기 플레이트의 가장자리에 강도를 보강 및 강성을 증대시키기 위해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된 주름과, 상기 하드보드지의 한쪽 가장자리에 상기 플레이트로부터 분리가 간편하고 용이하도록 오목하게 패인 형태로 형성된 손가락홈 및 상기 하드보드지의 결합구멍들 둘레에 일정한 간격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어 상기 플레이트의 결합돌기들과 접촉 시 탄력적으로 변형되면서 상기 결합돌기들이 원활하게 끼워지도록 유도하는 슬릿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로써 본 발명은 이종 재질 간의 결합 및 사용 후 재활용을 위한 분리가 한층 더 간편하고 용이하면서 효율적으로 이루어지는 효과를 볼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의 달성과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및 구성을 갖춘 본 발명의 실시 태양은, 합성수지제 플레이트의 이면에 하드보드지를 종래와 달리 접착제 사용 없이 억지 끼워맞춤 방식으로 부착하므로 기계적 강도 및 성형성이 뛰어날 뿐만 아니라 이종 재질 간의 결합은 물론 사용 후 재활용을 위한 분리가 한층 간편하고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플레이트의 이면에 하드보드지를 부착 및 사용 후 분리하는 데 따른 기존의 복잡함과 불편함을 없앰은 물론 기술적 어려움과 수고로움을 덜어 작업능률과 생산성을 높일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국한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가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케이크 받침의 일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케이크 받침을 분해하여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케이크 받침을 뒤집은 상태로 분해하여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케이크 받침을 뒤집은 상태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종단면도이다.
도 6은 도 5의 "A" 부분을 나타낸 확대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이에 앞서, 후술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것으로서, 이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개념과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용 또는 통상적으로 인식되는 의미로 해석하여야 함을 명시한다.
또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여기서 첨부된 도면들은 기술의 구성 및 작용에 대한 설명과 이해의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해 일부분을 과장하거나 간략화하여 도시한 것으로, 각 구성요소가 실제의 크기 및 형태와 정확하게 일치하는 것은 아님을 밝힌다.
아울러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도 2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케이크 받침은 크게 플레이트(10)와 하드보드지(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플레이트(10)는 케이크를 안정적으로 받쳐주기 위해 각종 수지제로 두께가 얇은 마치 접시와 같은 형상으로 성형하여 형성되어 있다.
즉, 플레이트(10)는 폴리프로필렌이나 생분해성 수지 등의 인체에 무해한 합성수지제로 사출성형 등의 성형을 통해 고정핀(11), 결합돌기(12), 걸림턱(13), 기준턱(14) 및 주름(15)이 한 번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고, 아울러 상면(바닥면)이 평평하고 두께가 0.3~0.5t 정도로 얇은 원형이나 다각형 접시 형태를 이루도록 제작할 수 있다.
고정핀(11)은 케이크를 고정 지지하여 이동 과정에서 기울어지더라도 케이크가 플레이트(10)에서 미끄러지거나 어느 한쪽으로 쏠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플레이트(10) 상면의 중앙 부분에서 방사상으로 다수 개가 일체로 돌출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고정핀(11)은 케이크를 고정하는 기능 및 역할 이외에도 플레이트(10)가 외력에 의해 쉽게 뒤틀리거나 비틀어지는 것을 억제 및 저지하는 기능 및 역할을 동시에 갖는다.
즉, 플레이트(10)의 기울어짐에 따라 케이크의 자중이 플레이트(10)의 상면과 평행한 방향으로 발생할 때 케이크의 미끄러짐 현상은 일어나는데, 이때 케이크의 자중은 고정핀(11)의 측면에 전달되므로, 고정핀(11)의 측면은 높이가 높고 넓이가 넓을수록 보다 안정적으로 케이크를 고정할 수 있다.
아울러 고정핀(11)의 높이가 지나치게 낮고 넓이가 지나치게 작으면 케이크를 고정하는 효과가 미미해지며, 과도하게 높거나 크면 케이크의 외형을 파손시킬 우려가 있으므로 케이크의 크기에 맞춰 적절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고정핀(11)은 케이크가 원활하게 고정되도록 그 상부로 갈수록 단면이 좁아지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플레이트(10)의 상면 중앙에서 사방으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배열되도록 형성할 수도 있지만, 그 개수 및 배열 형태는 필요나 선택에 따라 자유롭게 변경될 수 있다.
결합돌기(12)는 하드보드지(20)의 결합구멍(21)들에 대응하여 끼워져 상호 간의 결합 상태를 유지하여 하드보드지(20)가 플레이트(10)에서 자유롭게 회전되거나 덜렁거리는 것을 방지하도록 플레이트(10)의 하면 중앙에서 사방으로 다수 개가 일체로 돌출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결합돌기(12)들은 하드보드지(20)의 결합구멍(21)들에 한결 원활하고 수월하게 끼워지도록 테두리가 곡선으로 이루어진 타원형 또는 장타원형이나 긴타원형 등과 같은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결합돌기(12)는 하드보드지(20)와의 결합력을 높이기 위해 일정한 간격을 두고 적어도 3개 이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아울러 하드보드지(20)의 결합구멍(21)들이 한층 수월하고 원활하게 삽입되도록 그 상부로 갈수록 단면이 좁아지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걸림턱(13)은 결합돌기(12)들이 하드보드지(20)의 결합구멍(21)들에 끼워진 상태에서 하드보드지(20)의 하면 테두리를 잡아주도록 결합돌기(12)들의 하드보드지(202)의 테두리와 마주하는 면에 각각 돌출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걸림턱(13)은 하드보드지(20)가 원활하게 끼워지도록 그 횡단면의 형상이 삼각형과 같이 외향으로 갈수록 뾰족하게 좁아지는 형상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기준턱(14)은 하드보드지(20)의 부착 위치를 설정(결정) 및 안내하기 위해 플레이트(10)의 하면 한쪽에 하드보드지의 기준홈(22)과 대응 결합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기준턱(14)은 하드보드지(20)의 기준홈(22)과 밀착 시 하드보드지(20)가 자유로이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드보드지(20)의 기준홈(22)과 마주하는 한쪽 면에 수직면을 갖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주름(15)은 플레이트(10)의 테두리 부분 강도를 보강 및 강성을 증대시켜 뒤틀림 등의 변형을 방지하기 위해 요철이나 파형 형태로 일정한 패턴 및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주름(15) 부분은 케이크의 가장자리를 감싸듯이 받쳐주면서 미려한 외관을 연출하기 위해 외향으로 갈수록 소정의 각도로 경사지면서 높이가 높아지는 마치 운두처럼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플레이트(10)의 바람직한 실시 예로 원형 접시 모양으로 형성된 것을 설명 및 예시하였으나, 이에 국한하지 않고, 예를 들면, 사각형, 팔각형 등의 다각형 접시 모양이나 판재 형태로 형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아울러 고정핀(11)은 플레이트(10)의 하면에서 상측 방향으로 융기되도록 성형하고, 결합돌기(12)와 기준턱(14)은 플레이트(10)의 상면에서 하측 방향으로 함몰되도록 성형함으로써, 그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을 통해 다른 플레이트를 다단으로 적층할 수 있다.
하드보드지(20)는 플레이트(10)의 강도를 보강하고 강성을 증대시켜 케이크의 무게로 인한 뒤틀림이나 휨 변형 및 처짐 현상 등을 방지하기 위해 플레이트(10)의 이면에 안정적으로 부착 가능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즉, 하드보드지(20)는 프레스 성형 등을 통해 결합구멍(21), 기준홈(22), 손가락홈(23) 및 슬릿(24)이 한 번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고, 일정한 두께를 갖는 평평한 원형이나 다각형 판지 형태를 이루도록 제작할 수 있다.
결합구멍(21)은 플레이트의 결합돌기(12)들에 대응하여 끼워져 상호 간의 결합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드보드지(20)의 둘레 안쪽에 그 중앙에서 사방으로 다수 개가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결합구멍(21)들의 넓이는 견고한 밀착력을 구현하기 위해 플레이트의 결합돌기(12)들과 동일한 크기로 형성되거나 또는 그 넓이보다 약간 작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기준홈(22)은 플레이트(10)와의 부착 위치를 신속하고 용이하게 설정(결정) 및 안내하기 위해 플레이트의 기준턱(14)과 대응하여 하드보드지(20)의 한쪽 가장자리에 오목하게 들어간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손가락홈(23)은 사용 후 플레이트(10)로부터 하드보드지(20)의 분리가 간편하고 용이하도록 하드보드지(20)의 한쪽 가장자리에 손가락의 손톱이 들어갈 정도로 오목하게 패인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손가락홈(23)은 플레이트(10)로부터 하드보드지(20)의 분리 시 적은 힘으로도 한결 쉽고 수월하게 뜯어내거나 떼어 낼 수 있도록 하드보드지(20)의 기준홈(22)과 반대쪽 가장자리에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슬릿(24)은 하드보드지의 결합구멍(21)들이 플레이트의 결합돌기(12)들과 접촉 시 자연스럽고 탄력적으로 변형되면서 결합돌기(12)들이 원활하게 끼워지도록 유도하기 위해 하드보드지의 결합구멍(21)들 둘레에 일정한 간격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씩 각각 형성되어 있다.
즉, 슬릿(24)은 플레이트의 결합돌기(12)들 자연스럽게 통과시킬 목적으로 결합구멍(21)들의 안쪽에서 바깥쪽을 향해 좁고 기다란 틈새처럼 절개된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케이크 받침의 조립 및 사용 후 재활용을 위한 분리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플레이트(10)를 뒤집은 후 그 기준턱(14)에 하드보드지(20)의 기준홈(22) 부분을 비스듬하게 기울여서 밀착시키면 상호 간의 부착 위치가 간편하고 신속하게 결정되고, 이 상태에서 플레이트(10)와 하드보드지(20)를 서로 평행을 이루도록 조정한 후, 양쪽에서 마주하는 방향을 향해 강하게 가압하면, 자연스럽게 플레이트(10)의 결합돌기(12)들이 하드보드지(20)의 결합구멍(21)들에 억지 끼워맞춤 방식으로 압입되다가 플레이트(10)와 하드보드지(20)가 완전히 밀착되면, 결합돌기(12)들 각각의 걸림턱(13)에 의해 역방향으로는 쉽게 빠지지 않으면서 덜렁거리지 않는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때, 플레이트(10)의 결합돌기(12)들은 자체 탄성에 의해 탄력적으로 변형되다가 원래대로 복귀하고, 이와 동시에 하드보드지(20)의 결합구멍(21)들은 그 각각의 슬릿(24)에 의해 유연하고 자연스럽게 벌어지면서 플레이트(10)의 결합돌기(12)들이 원활하고 수월하게 압입될 수 있다.
이렇듯 플레이트(10)에 하드보드지(20)가 결합된 케이크 받침은 그 하드보드지(20)에 의해 케이크를 안정적으로 받쳐주는 기계적 강도 및 강성을 갖는 구조를 이룰 수 있다.
그리고 케이크 받침으로 사용 후, 이를 재활용하기 위해 합성수지제 플레이트(10)와 하드보드지(20)의 이종 재질 간을 서로 분리할 때에는, 작업자나 소비자가 한 손으로 플레이트(10)만을 잡고 다른 한 손의 손가락이나 손톱 부분은 하드보드지(20)의 손가락홈(23)에 살짝 끼운 후 서로 반대 방향으로 약간의 힘을 주어 잡아당기면, 플레이트(10)의 결합돌기(12)들이 하드보드지(20)의 결합구멍(21)들에서 빠지면서 플레이트(10)와 하드보드지(20)로 쉽게 분리할 수 있다.
이때, 플레이트(10)의 결합돌기(12)들은 자체 탄성에 의해 탄력적으로 변형되고, 이와 동시에 하드보드지(20)의 결합구멍(21)들은 그 각각의 슬릿(24)에 의해 유연하고 자연스럽게 벌어지면서 플레이트(10)의 결합돌기(12)들이 훨씬 원활하고 수월하게 빠질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은 합성수지제 플레이트(10)의 이면에 하드보드지(20)를 종래와 달리 접착제 사용 없이 억지 끼워맞춤 방식으로 부착하기 때문에 기계적 강도 및 성형성이 뛰어날 뿐만 아니라 이종 재질 간의 결합은 물론 사용 후 재활용을 위한 분리가 간편하고 용이하여 작업공수를 줄이고, 그에 따른 기술적 어려움과 수고로움을 덜어 작업능률과 생산성을 높일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안에서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 변형과 응용이 가능함은 물론 구성요소의 치환 및 균등한 타 실시 예로 변경하여 폭넓게 적용할 수도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명백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특징에 대한 변형과 응용에 관계된 내용은 본 발명의 기술사상 및 범위 내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하여야 할 것이다.
10: 플레이트 11: 고정핀
12: 결합돌기 13: 걸림턱
14: 기준턱 15: 주름
20: 하드보드지 21: 결합구멍
22: 기준홈 23: 손가락홈
24: 슬릿

Claims (2)

  1. 수지제로 성형한 플레이트의 하면에 하드보드지를 부착하여 이루어지는 케이크 받침에 있어서,
    상기 하드보드지의 둘레 안쪽에 그 중앙에서 사방으로 다수 개가 형성된 결합구멍;
    상기 하드보드지의 한쪽 가장자리에 상기 플레이트와의 부착 위치를 설정(결정) 및 안내하기 위해 형성된 기준홈;
    상기 플레이트의 상면 중앙 부분에 일체로 케이크를 고정하기 위해 다수 개가 형성된 고정핀;
    상기 플레이트의 하면 중앙에서 사방으로 상기 하드보드지의 결합구멍들에 끼워지도록 대응 형성된 결합돌기;
    상기 하드보드지의 하면 테두리를 잡아주도록 상기 결합돌기들의 상기 하드보드지의 테두리와 마주하는 면에 각각 돌출 형성된 걸림턱; 및
    상기 플레이트의 하면 한쪽에 상기 하드보드지의 기준홈과 대응 결합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하드보드지의 부착 위치를 설정(결정) 및 안내하는 기준턱;
    을 포함하는 케이크 받침.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의 가장자리에 강도를 보강 및 강성을 증대시키기 위해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된 주름;
    상기 하드보드지의 한쪽 가장자리에 상기 플레이트로부터 분리가 간편하고 용이하도록 오목하게 패인 형태로 형성된 손가락홈; 및
    상기 하드보드지의 결합구멍들 둘레에 일정한 간격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어 상기 플레이트의 결합돌기들과 접촉 시 탄력적으로 변형되면서 상기 결합돌기들이 원활하게 끼워지도록 유도하는 슬릿;
    을 더 포함하는 케이크 받침.
KR1020170037592A 2017-03-24 2017-03-24 케이크 받침 KR1018651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7592A KR101865187B1 (ko) 2017-03-24 2017-03-24 케이크 받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7592A KR101865187B1 (ko) 2017-03-24 2017-03-24 케이크 받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65187B1 true KR101865187B1 (ko) 2018-06-08

Family

ID=626003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37592A KR101865187B1 (ko) 2017-03-24 2017-03-24 케이크 받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65187B1 (ko)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65640A (ko) * 1999-04-07 2000-11-15 이대영 포장용 상자
KR200346356Y1 (ko) 2004-01-15 2004-03-30 김성봉 케익용 받침판
KR200400052Y1 (ko) 2005-08-17 2005-11-01 장수정 케이크 받침판
KR200428334Y1 (ko) 2006-07-27 2006-10-11 김성봉 케익용 받침판
KR100819329B1 (ko) 2007-06-07 2008-04-03 박종식 케이크 받침판 제조방법
KR100899024B1 (ko) 2008-09-05 2009-05-21 송승민 케익용 받침대
KR20110009205U (ko) * 2010-03-22 2011-09-28 씨제이푸드빌 주식회사 접시 겸용 케익 받침대
KR20110118557A (ko) * 2010-04-23 2011-10-31 안헌상 케이크용 다용도 받침대
KR20120125844A (ko) * 2011-05-09 2012-11-19 황보현 케익 하부 지지판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65640A (ko) * 1999-04-07 2000-11-15 이대영 포장용 상자
KR200346356Y1 (ko) 2004-01-15 2004-03-30 김성봉 케익용 받침판
KR200400052Y1 (ko) 2005-08-17 2005-11-01 장수정 케이크 받침판
KR200428334Y1 (ko) 2006-07-27 2006-10-11 김성봉 케익용 받침판
KR100819329B1 (ko) 2007-06-07 2008-04-03 박종식 케이크 받침판 제조방법
KR100899024B1 (ko) 2008-09-05 2009-05-21 송승민 케익용 받침대
KR20110009205U (ko) * 2010-03-22 2011-09-28 씨제이푸드빌 주식회사 접시 겸용 케익 받침대
KR20110118557A (ko) * 2010-04-23 2011-10-31 안헌상 케이크용 다용도 받침대
KR20120125844A (ko) * 2011-05-09 2012-11-19 황보현 케익 하부 지지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379541A (en) Holder for a container
US4534475A (en) Tray stacking
EP3309092A1 (en) Environmental-friendly paper carrier for takeout cup
US2936144A (en) Knockdown stand for holding bottles
KR101221758B1 (ko) 컵 캐리어
KR101865187B1 (ko) 케이크 받침
IE922173A1 (en) Sales package
US20080202957A1 (en) Paperboard CD or DVD tray with paper hub
US20200283194A1 (en) Packaging element constructed from folded blank
EP0576325A1 (fr) Plateau gerbable en carton ou matière analogue, plus particulièrement destiné au transport de gros fromages circulaires et flan pour sa réalisation
US20080173557A1 (en) Leaf-folding article placing structure
US20120292332A1 (en) Serving assembly
JP2020521689A (ja) 資源節約型無接着エコカップキャリア
US2326014A (en) Display package
KR200471972Y1 (ko) 케이크 지지장치
JP4462920B2 (ja) 紙シート成形体の製造方法
JP2004345721A (ja) 紙製包装容器
KR100226659B1 (ko) 케이크 받침대
KR102202903B1 (ko) 벽지 고정용 행거
JP3134912U (ja) パレット
JP4319871B2 (ja) 切妻屋根型紙容器用附属容器
KR101431702B1 (ko) 케이크 고정구 및 이를 포함하는 케이크 받침대
KR200331700Y1 (ko) 케익 받침대
JPH08303Y2 (ja) フロッピーディスク等の板状体の包装容器
KR101529854B1 (ko) 케익받침대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