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64992B1 - Mri 노이즈 제거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패드 - Google Patents

Mri 노이즈 제거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패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64992B1
KR101864992B1 KR1020170060364A KR20170060364A KR101864992B1 KR 101864992 B1 KR101864992 B1 KR 101864992B1 KR 1020170060364 A KR1020170060364 A KR 1020170060364A KR 20170060364 A KR20170060364 A KR 20170060364A KR 101864992 B1 KR101864992 B1 KR 1018649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il
pad
acid
mri
noi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603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경석
Original Assignee
국립암센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국립암센터 filed Critical 국립암센터
Priority to AU2018232791A priority Critical patent/AU2018232791B2/en
Priority to EP18764330.9A priority patent/EP3593823A4/en
Priority to PCT/KR2018/002757 priority patent/WO2018164502A1/ko
Priority to RU2019131707A priority patent/RU2726200C1/ru
Priority to US16/492,082 priority patent/US20210132172A1/en
Priority to CN201880016387.6A priority patent/CN110505888B/zh
Priority to BR112019018537A priority patent/BR112019018537A2/pt
Priority to CA3055081A priority patent/CA3055081C/en
Priority to JP2019569653A priority patent/JP2020510510A/ja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649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64992B1/ko
Priority to PH12019502030A priority patent/PH12019502030A1/en
Priority to JP2021128245A priority patent/JP7112783B2/ja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9/00Preparations for testing in vivo
    • A61K49/06Nuclear magnetic resonance [NMR] contrast preparations; Magnetic resonance imaging [MRI] contrast preparations
    • A61K49/18Nuclear magnetic resonance [NMR] contrast preparations; Magnetic resonance imaging [MRI] contrast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a special physical form, e.g. emulsions, microcapsules, liposom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3/00Arrangements or instruments for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3/20Arrangements or instruments for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involving magnetic resonance
    • G01R33/44Arrangements or instruments for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involving magnetic resonance using nuclear magnetic resonance [NMR]
    • G01R33/48NMR imaging systems
    • G01R33/54Signal processing systems, e.g. using pulse sequences ; Generation or control of pulse sequences; Operator console
    • G01R33/56Image enhancement or correction, e.g. subtraction or averaging techniques, e.g. improvement of signal-to-noise ratio and resolution
    • G01R33/565Correction of image distortions, e.g. due to magnetic field inhomogeneities
    • G01R33/56536Correction of image distortions, e.g. due to magnetic field inhomogeneities due to magnetic susceptibility vari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9/00Preparations for testing in vivo
    • A61K49/06Nuclear magnetic resonance [NMR] contrast preparations; Magnetic resonance imaging [MRI] contrast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5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for diagnosis by means of electric currents or magnetic fields; Measuring using microwaves or radio waves 
    • A61B5/055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for diagnosis by means of electric currents or magnetic fields; Measuring using microwaves or radio waves  involving electronic [EMR] or nuclear [NMR] magnetic resonance, e.g. magnetic resonance imag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2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for physiological signals or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7203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for physiological signals or for diagnostic purposes for noise prevention, reduction or removal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3/00Arrangements or instruments for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3/20Arrangements or instruments for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involving magnetic resonance
    • G01R33/28Details of apparatus provided for in groups G01R33/44 - G01R33/64
    • G01R33/32Excitation or detection systems, e.g. using radio frequency signals
    • G01R33/34Constructional details, e.g. resonators, specially adapted to M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athology (AREA)
  • Surgery (AREA)
  • Biophysics (AREA)
  • High Energy & Nuclear Phys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Physiology (AREA)
  • Psychiatry (AREA)
  • Magnetic Resonance Imaging Apparatus (AREA)
  • Medicines Containing Antibodies Or Antigens For Use As Internal Diagnostic Ag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소결합이 포함된 화합물을 포함하는 MRI 노이즈 제거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패드에 관한 것으로서, 수소결합의 자화에 따른 간접적인 에너지 교환을 통하여 자연적으로 높은 신호를 발생시키고 금속으로 인해 발생하는 노이즈에 의해 영상으로 구현되지 못한 조직의 영상을 활성화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종래 MRI 검사 시 금속 임플란트 등 전자장에 영향을 미치는 물질이 체내에 있는 경우 발생하는 노이즈에 의한 문제를 효과적으로 해결할 수 있게 하며, 영상개선효과가 뛰어나면서도 인체에 독성이 없어 안전하고 동시에 가격도 저렴하므로, 기업에서 용이하게 제품화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Description

MRI 노이즈 제거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패드 {Composition for removing noise in MRI and pad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MRI 노이즈 제거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패드에 관한 것으로, 상기 조성물은 수소결합이 가능한 작용기를 갖는 화합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인구노령화와 헬스케어의 관심도 증가에 따라 MRI 검사 시에 사용되는 조영제 시장은 연간 10% 이상 지속적으로 성장하고 있으며, 2014년 국내 조영제 시장(CT, MRI조영제)은 약 2500억 원의 규모에 달할 것으로 추산되고 있으나, 현재 국내 MRI 조영제 시장의 80%는 다국적기업인 바이엘코리아의 울트라베비스트와 GE 헬스케어의 옴니스캔이 장악하고 있으며, 나머지는 동국제약의 메가레이 및 아큐젠의 아이오브릭스 등이 차지하고 있다.
신체 심부의 영상 이미지를 얻기 위해서는 조영제 사용이 필수적인데, 특히 암의 진단 및 치료에 있어서 조영제는 기본적인 수단이 된다. 그러나 이러한 조영제로 인하여 오심, 구토, 복통, 설사, 고혈압, 두통, 발열, 오한, 기침, 코막힘 등 특별한 처치가 필요 없는 가벼운 증상에서부터 어지러움, 저혈압, 서맥, 전신 두드러기, 혈관부종, 호흡곤란 등 심각한 부작용까지 발생하고 있으며, 매년 이에 따른 사망자가 발생하고 있다는 기술적 문제가 있다.
한편, 종래 환자에 대하여 MRI 검사 시 금속 임플란트 등 전자기장에 영향을 미치는 물질이 체내에 있는 경우, 인체 조직의 수소원자핵 비 균질 자화로 인한 허상이 발생함에 따라 노이즈가 발생한다. 이에 현재 주류의 기술은 영상의 결손부분을 컴퓨터 알고리즘으로 추정하여 보완하는 프로그램을 탑재하고 있으나, 이와 같은 기술은 부정확하고 재현할 수 있는 부분이 넓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MRI 조영제에 대한 연구가 거듭되고 있으며(한국 특허등록번호 KR 10-1262479 참조), 비 침습적이면서 안전하고 정확한 진단이 가능함과 동시에 인위적인 알고리즘 조절 없이 현실적인 영상개선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연구가 계속 되고 있으나, MRI 영상의 노이즈를 보다 효과적으로 제거하기 위한 방법에 대한 연구는 아직 미비한 실정이다.
이에 본 발명의 발명자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MRI 영상을 촬영하는 경우 노이즈를 제거하기 위하여 예의 노력하던 중, 수소결합이 가능한 작용기를 포함하는 물질을 통해 MRI 영상의 노이즈와 허상의 영상을 복원하여 효율적으로 금속물질 노이즈 제거와 화질개선을 할 수 있다는 점을 확인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수소결합이 가능한 작용기를 갖는 화합물을 포함하는, MRI 영상의 노이즈 제거를 위한 조성물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조성물을 이용하여 MRI 영상의 노이즈 제거를 위한 패드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조성물이 주입된 MRI 장비 코일을 제공함에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수소결합이 가능한 작용기를 갖는 화합물을 포함하는, MRI 영상의 노이즈 제거를 위한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조성물은 MRI 영상의 화질을 개선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화합물은 물(H20), 아밀알콜(C5H11OH), 부틸알콜(CH3CH2CH2OH), 에탄올(C2H5OH), 메틸알콜(CH3OH), 에틸렌글로콜(OHCH2CH2OH), 포름알데히드(HCHO), 니트로벤젠(C6H5NO2), 플로필렌글로콜(OH(CH2)3OH), 과산화수소(H2O2), 아세트산(CH3COOH), 빙초산(C4H6O3), 락산(C3H7COOH), 벤젠설폰산(C6H5SO3H), 안식향산(C6H5COOH), 크롬산(H2CrO4), 구연산(C6H8O7H2O), 불화규소산(H2SiF6), 불화붕소산(HBF4), 개미산(HCOOH), 염산(HCl), 시안화수소산(HCN), 불화수소산(HF), 차아염소산(HClO), 젖산(CH3CHOHCOOH), 말레인산(CHOOH)2, 질산(HNO3), 올레인산(C18H34O2), 인산(H3PO4), 과염소산(HClO4), 황산(H2SO4), 스테아린산(C17H35COOH), 삼염화초산(CCl3COOH), 암모니아(NH4OH), 탄산수소나트륨(NaHCO3), 탄산암모늄((NH4)2CO3), 염화암모늄((NH4)2Cl), 질산암모늄(NH4NO3), 과항산암모늄((NH4)2S2O8), 글리세린(C3H8O3), 황산암모늄((NH4)2SO4), 및 중탄산암모늄(NH4HCO3)을 포함하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물은 경수, 중수, 삼중수, 및 증류수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수소결합을 포함하는 화합물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40 중량% 이상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은 영상강화를 위하여, 조영제로 사용될 수 있는 물질을 추가적으로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조영제로 사용될 수 있는 물질은 가도세틱산이나트륨, 산화칼슘, 트로메타몰, 수산화나트륨, 염산, 주사용수, 갈테리돌 칼슘, 산화가돌리늄, 칼슘, 메글루민, 이오비-디티피에이(EOB DTPA), 가도테리톨 및 킬레트화제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노이즈는 신체에 삽입된 금속에 의해 발생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은 패드 내에 충진 되어 사용될 수 있고, 본 발명의 조성물은 신체를 덮는 패드로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MRI 장비의 주코일(main body coil), 끼움코일(shim coil), RF코일(RF coil), 배열코일(array coil), 표면코일(surface coil), 후면코일(spine coil), 두부코일(head coil), 말단코일(extremety coil) 또는 동체코일(torso coil)에 탈부착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을 MRI 장비의 주코일(main body coil), 끼움코일(shim coil), RF코일(RF coil), 배열코일(array coil), 표면코일(surface coil), 후면코일(spine coil), 두부코일(head coil), 말단코일(extremety coil), 또는 동체코일(torso coil)에 주입하는 형태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서는 상기 MRI 영상의 노이즈 제거용 조성물을 포함하는 MRI 영상의 노이즈 제거를 위한 패드를 제공한다.
상기 패드는 MRI 영상의 화질을 개선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패드는 상기 조성물을 수용하는 커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커버는 비닐 커버 일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패드는 인간의 신체 형태, 예를 들어 두부, 사지, 척추, 복부 등으로 변형 가능한 패드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패드는 MRI 장비의 주코일(main body coil), 끼움코일(shim coil), RF코일(RF coil), 배열코일(array coil), 표면코일(surface coil), 후면코일(spine coil), 두부코일(head coil), 말단코일(extremety coil), 또는 동체코일(torso coil)에 탈부착이 가능한 패드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패드 내에 충전제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충전제는 액체 젤 형과 고체형일 수 있으며, 고체형인 경우, 유동성이 적은 구슬모양, 가루형태 또는 구슬모양과 젤형의 혼합이 가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서는 상기 MRI 영상의 노이즈 제거용 조성물이 주입된 MRI 장비 코일을 제공한다.
상기 패드는 상기 MRI 장비 코일은 주코일(main body coil), 끼움코일(shim coil), RF코일(RF coil), 배열코일(array coil), 표면코일(surface coil), 후면코일(spine coil), 두부코일(head coil), 말단코일(extremety coil), 및 동체코일(torso coil) 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코일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수소결합이 가능한 작용기를 갖는 화합물은 수소결합의 자화에 따른 간접적인 에너지 교환을 통하여 자연적으로 높은 신호를 발생시키고 금속으로 인해 발생하는 노이즈에 의해 영상으로 구현되지 못한 조직의 영상을 활성화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금속물질로 인한 조직파손 영상은 이론적으로 재생 및 복구가 불가능하지만, 본 발명에 따른 패드는 결손된 영상의 촬영이 가능하여 영상결손 문제를 근본적으로 해결할 수 있으므로, 본 영상기술을 이용하는 경우 이론적으로 회복이 어려운 영상을 현실적으로 재생가능하게 한다. 또한, 본 발명은 MRI의 기본영상획득에 있어서 수소의 자화율에 따른 인체의 장기를 나타내주는 기본적인 이론을 바탕으로 하여 근본적이면서 구체화한 과학적 지식을 토대로 착안한 것이므로, 그 이론을 토대로 금속물질 노이즈 제거효과와 화질개선을 증명한 것이라 볼 수 있다.
상기로부터,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종래 MRI 검사 시 금속 임플란트 등 전자장에 영향을 미치는 물질이 체내에 있는 경우 발생하는 노이즈에 의한 문제를 효과적으로 해결할 수 있게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사용되는 수소결합이 포함된 화합물은 영상개선효과가 뛰어나면서도 인체에 독성이 없어 안전하고 동시에 가격도 저렴하므로, 기업에서 용이하게 제품화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도 1a는 아세트산 패드를 제작하기 위하여 과즙 아세트산, 점증제, 및 글리세린 (초음파젤) 용액을 준비한 것을 나타낸 것이고, 도 1b는 상기 준비한 재료를 혼합하여 젤 형태로 만드는 것을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혼합된 젤 형태의 과즙 아세트산을 위생 비닐형 용기에 담아 만든 아세트산 젤 패드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지방용기에 클립을 더하여 자체 제작한 팬텀을 나타낸 것이다.
도 4a는 일반 팬텀영상과 물 패드, 아세트산 패드의 ROI 평균값을 비교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고, 도 4b는 금속물질 노이즈 감소에 대한 비교 실험 결과, GE 헬스케어 보조패드(도 4b의 좌측)와 아세트산 패드(도 4b의 우측) 영상의 차이를 나타낸 것이다.
도 5a 및 도 5b는 금속물질 노이즈로 인한 영상을 패드를 사용 전 (도 5a 및 도 5b의 각 좌측)과 사용 후(도 5a 및 도 5b의 각 우측)를 비교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고, 도 5c는 인체의 자화율 차이에 따른 허상의 영상을 비교한 결과이며, 도 5d 내지 5l는 패드 사용 전(도 5d 내지 도 5l의 각 좌측)과 사용 후(도 5d 내지 도 5l의 각 우측) 영상의 금속물질 노이즈 개선과 화질 개선 효과를 육안으로 관찰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물 및 아세트산을 이용한 MRI 영상 노이즈 제거 효과를 확인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7은 구연산을 이용한 MRI 영상 노이즈 제거 효과를 확인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8은 탄산수소나트륨을 이용한 MRI 영상 노이즈 제거 효과를 확인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9는 에탄올을 이용한 MRI 영상 노이즈 제거 효과를 확인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10은 글리세린을 이용한 MRI 영상 노이즈 제거 효과를 확인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이하, 다음의 실시예 또는 도면을 들어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다음의 실시예 또는 도면에 대한 설명은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태양을 특정하여 설명하고자 하는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이들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하거나 제한 해석하고자 의도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실험 준비 및 실험 방법
1-1. 아세트산 패드 제작
아세트산은 구하기 용이할 뿐만 아니라 인체에 무해하므로, 이와 같은 아세트산을 사용하여 MRI 영상 노이즈 제거와 화질 개선 효과를 얻을 수 있는지 알아보고자, 과즙으로 만든 아세트산을 이용해 자연적으로 얻을 수 있는 농도의 아세트산으로 패드를 제작하였다.
과즙 아세트산에 약간의 글리세린을 혼합하고, 환자의 임플란트 부위에 손쉽게 부착하기 위한 점증제를 사용하였는데, 이때 사용된 점증제는 초음파 젤 성분 중 글리세린과 일반 점증 성분이 혼합된 것을 말하며, 상기 점증제는 초음파 젤로 대체 가능하다.
도 1a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과즙 아세트산 약 1리터, 점증제, 및 글리세린 (초음파젤) 용액을 준비한 다음, 과즙 아세트산 200ml와 점증제 및 글리세린 (초음파젤) 800ml의 비율로 점성이 있을 때까지 혼합하여 젤 형태로 만들었다(도 1b 참조).
그 다음,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혼합된 젤 형태의 과즙 아세트산을 위생 비닐형 용기에 담아 상온 (15-25℃) 보관한 후, 상기 아세트산 젤 패드를 구두동의가 완료된 환자를 대상으로 검사 마지막에 임플란트 주위에 부착시켜 검사를 1회 시행하였다.
1-2. 아세트산 패드 사용 전/후 비교 실험
인체실험의 한계를 극복하고자,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지방용기에 클립을 더하여 자체 제작한 팬텀을 사용해, 일반 팬텀, 움직임 방지 패드, 모래주머니 패드, 쌀 패드(조직등가물질), GE 헬스케어 복부 지방감소 패드, 물, 아세트산 패드 순으로, 각종 패드를 비교 실험하였다.
보다 구체적으로, 규정된 프로토콜 T1 Fat Saturation (Fov 240×207, TR 750ms, TE 12ms, Thickness 4mm, Gap 1.5mm)를 이용하여 국제 규격의 팬텀을 검사대상으로 하였으며, 과즙 아세트산성분 패드 사용 전과 후를 비교하여 관찰하였다. 검사 후 영상은 Maroview Infinitt, 버전 M-view v 5.4.10.61의 워크스테이션 ROI (대조도 HU 값) 로 관심영역 ROI (Region Of Interest) 부위를 측정하였다.
상기 팬텀 실험 후에 환자 관찰검사를 하였으며, 아세트산 패드를 사용 전과 후로 나누어 검사하여 이미지를 획득하였다.
[실시예 2] 팬텀을 대상으로 한 아세트산 패드 사용 전/후 확인
국제 규격의 QC (quality control), 즉, 기기 질 향상 점검을 위하여 상기 실시예 1-2에 기재된 방법에 따라 국제규격 QC팬텀을 이용하여 실험한 후, 일반 팬텀영상과 물 패드, 아세트산 패드의 ROI 평균값을 비교한 결과, 도 4a 및 표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아무것도 올려놓지 않은 일반 팬텀 영상의 평균값은 2029 (도 4a의 상단 좌측), 물을 올려놓은 패드는 2318 (도 4a의 상단 우측), 아세트산 패드를 올려놓은 평균값은 2364 (도 4a의 하단)로 측정되었다.
종류 ROI 평균값 (Mean)
일반 팬텀 2029
물 패드 2318
아세트산 패드 2364
또한, 도 4b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금속물질 노이즈 감소에 대한 비교 실험 결과, GE 헬스케어 보조 패드(도 4b의 좌측)와 아세트산 패드(도 4b의 우측)의 영상은 차이를 보였다.
상기로부터, 아세트산의 함유량이 높으면 높을수록 ROI 평균값이 증가하며, 노이즈 감쇠율이 상승함을 확인할 수 있는바, 이를 통하여 아세트산이 금속물질의 노이즈를 감쇠시킨다는 사실을 알 수 있으며, 이는 수소 함유율이 높고, 그 농도가 짙을수록 ROI 측정값과 노이즈 감쇠 효과가 더욱 증가된다는 사실을 시사한다.
[실시예 3] 환자를 대상으로 한 아세트산 패드 사용 전/후 확인
금속물질 노이즈로 인한 영상의 아세트산 패드 사용 전과 후를 비교하기 위하여, 상기 실시예 1-2에 기재된 방법에 따라 환자를 관찰하였다. 이때 아세트산 패드 사용 효과에 대한 객관적 측정 데이터 수치 비교를 위해 화질대조도의 최소 및 최대 표준편차의 ROI 평균값을 나타내어 비교하였다.
그 결과, 도 5a 내지 도 5c 및 표2에 나타난 바와 같이, 아세트산 패드 전과 후의 객관적 ROI 평균값을 비교하였을 때, 패드의 사용 전(도 5a 내지 도 5c의 각 좌측)에 비하여 패드 사용 후(도 5a 내지 도 5c의 각 우측)의 ROI 평균값이 모두 증가하였는바, 아세트산 패드 사용 후 영상의 대조도가 탁월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도면 ROI 평균값 (Mean)
패드 사용 전 (도면 좌측) 패드 사용 후 (도면 우측)
도 5a 380 533
도 5b 462 599
도 5c 852 1011
아울러, 도 5c는 인체의 자화율 차이에 따른 허상의 영상을 비교한 결과로서, 목 쪽의 암 병변에 있어서 허상에 의해 나타내지 못하던 부위(도 5c의 좌측)에 아세트산 패드를 사용(도 5c의 우측)하자 영상의 화질이 크게 개선되었음을 나타낸다.
또한, 도 5d 내지 5l에 나타난 바와 같이, 육안으로 관찰하였을 때 패드 사용 전(도 5d 내지 도 5l의 각 좌측)에 비하여 패드 사용 후(도 5d 내지 도 5l의 각 우측) MRI 영상의 금속물질 노이즈 개선과 화질 개선 효과가 명백하다는 것을 알 수 있으므로, 아세트산 패드를 이용하면, MRI 진단영역의 정보가 매우 넓어질 수 있다는 사실을 도출해낼 수 있다.
[ 실시예 4] 수소결합이 가능한 작용기를 갖는 화합물을 포함한 패드의 MRI 영상 노이즈 제거 효과 확인
상기 실시예 3에서와 같이, 아세트산을 구성 성분으로 하는 패드 사용 전과 후의 인체 영상을 획득하였는바, 아세트산과 같이 수소 함량이 많은 구연산, 탄산수소나트륨, 에탄올, 및 글리세린을 충진 한 각 패드의 MRI 영상 노이즈 제거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자체 제작한 팬텀을 이용해 영상에서 관심영역측정(region of interest; ROI) 평균값을 측정하였다.
각 아세트산, 구연산, 탄산수소나트륨, 에탄올, 및 글리세린의 농도 0%는 물(H20)을 의미하며, MRI 영상획득은 수소가 있는 성분을 대상으로 하는바, 영상획득을 위한 기준으로써 MRI 정기점검 및 국제 표준점검에 따라 자연 상태인 물(H20)을 표준으로 삼았다.
4-1. 물(H 2 0) 및 아세트산(CH 3 COOH)을 이용한 MRI 영상 노이즈 제거 확인
상기 실시예 1-1에 기재된 방법에 따라, 아세트산을 패드 내에 충진 하여 패드를 제작한 후, MRI 영상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도 6 및 표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도면의 좌측에서 우측으로(상단의 아세트산 농도는 좌측에서 우측으로 0% (H20) 값을 기준으로 20%, 40% 순으로 높아졌으며, 마찬가지로 하단의 아세트산 농도도 좌측에서 우측으로 60%, 80%, 100% 순으로 높아졌다.) 점차 아세트산의 농도가 높아질수록, ROI 평균값이 증가하며 MRI 영상의 노이즈 감쇠율이 상승함을 관찰할 수 있었다.
아세트산(CH 3 COOH) 농도 ROI 평균값 (Mean)
0% (H20) 1119
20% 1147
40% 1798
60% 1868
80% 1935
100% 2004
4-2. 구연산(C 6 H 8 O 7 H 2 O)을 이용한 MRI 영상 노이즈 제거 확인
또한, 상기 실시예 1-1의 방법에 따라, 구연산을 패드 내에 충진 하여 패드를 제작한 후, MRI 영상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도 7 및 표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도면의 좌측에서 우측으로(상단의 구연산 농도는 좌측에서 우측으로 0% (H20) 값을 기준으로 20%, 40% 순으로 높아졌으며, 마찬가지로 하단의 구연산 농도도 좌측에서 우측으로 60%, 80%, 100% 순으로 높아졌다.) 점차 구연산의 농도가 높아질수록, ROI 평균값이 증가하며 MRI 영상의 노이즈 감쇠율이 상승함을 관찰할 수 있었다.
구연산( C 6 H 8 O 7 H 2 O ) 농도 ROI 평균값 (Mean)
0% (H20) 1480
20% 1698
40% 1702
60% 1734
80% 1762
100% 1797
4-3. 탄산수소나트륨(NaHCO 3 )을 이용한 MRI 영상 노이즈 제거 확인
상기 실시예 1-1의 방법에 따라, 탄산수소나트륨을 패드 내에 충진 하여 패드를 제작한 후, MRI 영상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도 8 및 표 5에 나타난 바와 같이, 도면의 좌측에서 우측으로(상단의 탄산수소나트륨 농도는 좌측에서 우측으로 0% (H20) 값을 기준으로 20%, 40% 순으로 높아졌으며, 마찬가지로 하단의 탄산수소나트륨 농도도 좌측에서 우측으로 60%, 80%, 100% 순으로 높아졌다.) 점차 탄산수소나트륨의 농도가 높아질수록, ROI 평균값이 증가하며 MRI 영상의 노이즈 감쇠율이 상승함을 관찰할 수 있었다.
탄산수소나트륨( NaHCO 3 ) 농도 ROI 평균값 (Mean)
0% (H20) 1216
20% 1439
40% 1653
60% 1622
80% 1734
100% 1730
4-4. 에탄올(C 2 H 5 OH)을 이용한 MRI 영상 노이즈 제거 확인
상기 실시예 1-1의 방법에 따라, 에탄올을 패드 내에 충진 하여 패드를 제작한 후, MRI 영상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도 9 및 표 6에 나타난 바와 같이, 도면의 좌측에서 우측으로(상단의 에탄올 농도는 좌측에서 우측으로 0% (H20) 값을 기준으로 20%, 40% 순으로 높아졌으며, 마찬가지로 하단의 에탄올 농도도 좌측에서 우측으로 60%, 80%, 100% 순으로 높아졌다.) 점차 에탄올의 농도가 높아질수록, ROI 평균값이 증가하며 MRI 영상의 노이즈 감쇠율이 상승함을 관찰할 수 있었다.
에탄올(C 2 H 5 OH) 농도 ROI 평균값 (Mean)
0% (H20) 1519
20% 1636
40% 2168
60% 5691
80% 8655
100% 14979
4-5. 글리세린(C 3 H 8 O 3 )을 이용한 MRI 영상 노이즈 제거 확인
상기 실시예 1-1의 방법에 따라, 글리세린을 패드 내에 충진 하여 패드를 제작한 후, MRI 영상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도 10 및 표 7에 나타난 바와 같이, 도면의 좌측에서 우측으로(상단의 글리세린 농도는 좌측에서 우측으로 0% (H20) 값을 기준으로 20%, 40% 순으로 높아졌으며, 마찬가지로 하단의 글리세린 농도도 좌측에서 우측으로 60%, 80%, 100% 순으로 높아졌다.) 점차 글리세린의 농도가 높아질수록, ROI 평균값이 증가하며 MRI 영상의 노이즈 감쇠율이 상승함을 관찰할 수 있었다.
글리세린( C 3 H 8 O 3 ) 농도 ROI 평균값 (Mean)
0% (H20) 1397
20% 1488
40% 1503
60% 1538
80% 1702
100% 1712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 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Claims (11)

  1. 수소결합이 가능한 작용기를 갖는 화합물을 포함하고,
    상기 수소결합이 가능한 작용기를 갖는 화합물은 아세트산(CH3COOH), 구연산(C6H8O7H2O), 탄산수소나트륨(NaHCO3) 및 글리세린(C3H8O3)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인,
    MRI 영상의 노이즈 제거용 패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패드는 MRI 영상의 화질을 개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소결합이 가능한 작용기를 갖는 화합물은 물(H20), 아밀알콜(C5H11OH), 부틸알콜(CH3CH2CH2CH2OH), 에탄올(C2H5OH), 메틸알콜(CH3OH), 에틸렌글로콜(OHCH2CH2OH), 포름알데히드(HCHO), 니트로벤젠(C6H5NO2), 플로필렌글로콜(OH(CH2)3OH), 과산화수소(H2O2), 아세토아세트산(C4H6O3), 락산(C3H7COOH), 벤젠설폰산(C6H5SO3H), 안식향산(C6H5COOH), 크롬산(H2CrO4), 불화규소산(H2SiF6), 불화붕소산(HBF4), 개미산(HCOOH), 염산(HCl), 시안화수소산(HCN), 불화수소산(HF), 차아염소산(HClO), 젖산(CH3CHOHCOOH), 말레인산(CHOOH)2, 질산(HNO3), 올레인산(C18H34O2), 인산(H3PO4), 과염소산(HClO4), 황산(H2SO4), 스테아린산(C17H35COOH), 삼염화초산(CCl3COOH), 암모니아(NH4OH), 탄산암모늄((NH4)2CO3), 염화암모늄((NH4)2Cl), 질산암모늄(NH4NO3), 과황산암모늄((NH4)2S2O8), 황산암모늄((NH4)2SO4), 및 중탄산암모늄(NH4HCO3)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노이즈는 신체에 삽입된 금속에 의해 발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패드는 금속이 삽입된 신체의 MRI 검사용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드.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패드는 조성물을 수용하는 커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패드는 인간의 신체 형태로 변형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패드는 MRI 장비의 주코일(main body coil), 끼움코일(shim coil), RF코일(RF coil), 배열코일(array coil), 표면코일(surface coil), 후면코일(spine coil), 두부코일(head coil), 말단코일(extremety coil), 또는 동체코일(torso coil)에 탈부착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드.
  10. 제1항의 패드가 부착된 MRI 장비 코일.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MRI 장비 코일은 주코일(main body coil), 끼움코일(shim coil), RF코일(RF coil), 배열코일(array coil), 표면코일(surface coil), 후면코일(spine coil), 두부코일(head coil), 말단코일(extremety coil), 및 동체코일(torso coil) 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코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MRI 장비 코일.
KR1020170060364A 2017-03-09 2017-05-16 Mri 노이즈 제거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패드 KR1018649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8764330.9A EP3593823A4 (en) 2017-03-09 2018-03-08 COMPOSITION FOR NOISE REMOVAL FROM MRI AND PAD WITH IT
PCT/KR2018/002757 WO2018164502A1 (ko) 2017-03-09 2018-03-08 Mri 노이즈 제거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패드
RU2019131707A RU2726200C1 (ru) 2017-03-09 2018-03-08 Композиция для устранения шума мрт и накладка с её использованием
US16/492,082 US20210132172A1 (en) 2017-03-09 2018-03-08 Composition for removing noise from mri and pad using the same
AU2018232791A AU2018232791B2 (en) 2017-03-09 2018-03-08 Composition for removing noise from MRI and pad using same
CN201880016387.6A CN110505888B (zh) 2017-03-09 2018-03-08 用于从mri中去除噪声的组合物和使用该组合物的垫
BR112019018537A BR112019018537A2 (pt) 2017-03-09 2018-03-08 composição e almofada para remover o ruído de uma imagem de irm, bobina para um aparelho de irm, método para remover o ruído de uma imagem de irm, método para obter uma imagem de irm com redução de ruído e uso de uma composição
CA3055081A CA3055081C (en) 2017-03-09 2018-03-08 Composition for removing noise from mri and pad using same
JP2019569653A JP2020510510A (ja) 2017-03-09 2018-03-08 Mriノイズ除去用組成物及びこれを利用したパッド
PH12019502030A PH12019502030A1 (en) 2017-03-09 2019-09-06 Composition for removing noise from mri and pad using same
JP2021128245A JP7112783B2 (ja) 2017-03-09 2021-08-04 Mriノイズ除去用組成物及びこれを利用したパッド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0077 2017-03-09
KR20170030077 2017-03-09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47014A Division KR101973320B1 (ko) 2017-03-09 2018-04-23 Mri 노이즈 제거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패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64992B1 true KR101864992B1 (ko) 2018-07-04

Family

ID=62912910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60364A KR101864992B1 (ko) 2017-03-09 2017-05-16 Mri 노이즈 제거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패드
KR1020180047014A KR101973320B1 (ko) 2017-03-09 2018-04-23 Mri 노이즈 제거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패드
KR1020190045312A KR20190043511A (ko) 2017-03-09 2019-04-18 Mri 노이즈 제거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패드

Family Applications After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47014A KR101973320B1 (ko) 2017-03-09 2018-04-23 Mri 노이즈 제거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패드
KR1020190045312A KR20190043511A (ko) 2017-03-09 2019-04-18 Mri 노이즈 제거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패드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1) US20210132172A1 (ko)
EP (1) EP3593823A4 (ko)
JP (2) JP2020510510A (ko)
KR (3) KR101864992B1 (ko)
CN (1) CN110505888B (ko)
AU (1) AU2018232791B2 (ko)
BR (1) BR112019018537A2 (ko)
CA (1) CA3055081C (ko)
PH (1) PH12019502030A1 (ko)
RU (1) RU2726200C1 (ko)
WO (1) WO201816450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550321A1 (en) * 2018-04-03 2019-10-09 Centre National de la Recherche Scientifique (CNRS) Materials with high dielectric constant for magnetic resonance imaging instruments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63570B2 (ja) 1992-05-06 2001-05-08 株式会社日立製作所 核磁気共鳴イメージングにおける動画像の画質改善方法
KR101131362B1 (ko) * 2003-12-19 2012-04-04 씨엠씨 콘트라스트 에이비 경구 투여용 mri 조영제 조성물
JP2013212235A (ja) 2012-04-02 2013-10-17 Ge Medical Systems Global Technology Co Llc 磁気共鳴イメージング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17872A (en) * 1990-01-19 1991-05-21 General Electric Company NMR radio frequency coil with dielectric loading for improved field homogeneity
JP3130562B2 (ja) * 1990-06-20 2001-01-31 株式会社東芝 磁気共鳴イメージング装置
JPH0728859B2 (ja) * 1992-12-16 1995-04-05 株式会社江川 Mri口腔内測定装置およびmri口腔内測定用造影剤
US7171254B2 (en) * 2003-03-21 2007-01-30 General Electric Company RF coil embedded with homogeneity enhancing material
JP4288139B2 (ja) 2003-11-07 2009-07-01 株式会社ニデック 眼科測定装置
CA2700531A1 (en) * 2007-09-24 2009-04-02 Surgivision, Inc. Mri-compatible patches and methods for using the same
JP4507004B2 (ja) 2007-10-16 2010-07-21 株式会社三洋物産 遊技機
JP5416960B2 (ja) * 2008-12-17 2014-02-12 株式会社東芝 磁気共鳴イメージング装置
US8798719B2 (en) * 2009-12-02 2014-08-05 Qing X. Yang Method of utilization of high dielectric constant (HDC) materials for reducing SAR and enhancing SNR in MRI
KR101262479B1 (ko) 2010-12-24 2013-05-08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생체적합성이 우수한 코어/쉘 나노복합체,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mri 조영제, 암 치료용 nct 시약
BR112014017008A8 (pt) * 2012-01-11 2017-07-04 Ge Healthcare As composição de raio x, e, método de exame por raio x
KR101358427B1 (ko) * 2012-01-19 2014-02-05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자기 공명 영상 처리 방법
CN104981255B (zh) * 2012-12-11 2018-11-30 国立大学法人熊本大学 核磁共振诊断剂以及使用所述核磁共振诊断剂来检测或诊断对象中细胞、组织或器官状态的方法
CN106999610A (zh) * 2014-12-11 2017-08-01 Rf 医疗公司 包含酰肼官能基团的靶向造影剂
CN106963382B (zh) * 2017-04-25 2020-03-31 西安交通大学 头部制动消除磁共振成像运动伪影的电流变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63570B2 (ja) 1992-05-06 2001-05-08 株式会社日立製作所 核磁気共鳴イメージングにおける動画像の画質改善方法
KR101131362B1 (ko) * 2003-12-19 2012-04-04 씨엠씨 콘트라스트 에이비 경구 투여용 mri 조영제 조성물
JP2013212235A (ja) 2012-04-02 2013-10-17 Ge Medical Systems Global Technology Co Llc 磁気共鳴イメージング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20510510A (ja) 2020-04-09
CA3055081C (en) 2022-10-18
JP7112783B2 (ja) 2022-08-04
AU2018232791B2 (en) 2021-08-12
PH12019502030A1 (en) 2020-06-15
RU2726200C1 (ru) 2020-07-09
WO2018164502A1 (ko) 2018-09-13
BR112019018537A2 (pt) 2020-04-28
KR20180103777A (ko) 2018-09-19
CN110505888B (zh) 2022-03-25
EP3593823A1 (en) 2020-01-15
KR101973320B1 (ko) 2019-04-29
AU2018232791A2 (en) 2019-11-07
KR20190043511A (ko) 2019-04-26
CA3055081A1 (en) 2018-09-13
US20210132172A1 (en) 2021-05-06
EP3593823A4 (en) 2020-12-02
CN110505888A (zh) 2019-11-26
JP2021169009A (ja) 2021-10-28
AU2018232791A1 (en) 2019-10-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Bektas et al. Effect of thermocycling on the bond strength of composite resin to bur and laser treated composite resin
Soliman et al. Influence of cavity margin design and restorative material on marginal quality and seal of extended class II resin composite restorations in vitro
KR101973320B1 (ko) Mri 노이즈 제거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패드
Di Foggia et al. An in vitro study on dentin demineralization and remineralization: Collagen rearrangements and influence on the enucleated phase
CN110275123A (zh) 一种神经组织的三维核磁共振成像方法
Jang et al. Evaluation of setting time, solubility, and compressive strength of four calcium silicate-based cements
EP2829262B1 (en) Dental filling composition comprising zirconia powder
Kawano An experimental study of percutaneous absolute ethanol injection therapy for small hepatocellular carcinoma: effects of absolute ethanol on the healthy canine liver
Segal et al. A comparison of temperature increases produced by" premium" and" standard" diamond burs: An in-vitro study.
Lotfi et al. Evaluation of the changes in the shape and location of the prostate and pelvic organs due to bladder filling and rectal distension
Duncan et al. Anodization increases early integration of Osstem implants in sheep femurs
KR102381029B1 (ko) 대사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신규한 조영제 조성물
Shishehian et al. Comparison of Sorption and Solubility Behavior of Four Different Types of Glass Ionomer Luting Cements in Artificial Saliva
Javaid et al. Evaluation of blood flow in superficial arteries of face by Doppler ultrasound in young adults: Blood Flow in Superficial Arteries of Face by Doppler Ultrasound
RU2462282C1 (ru) Способ моделирования повреждающего действия ионизирующего излучения на твердые ткани зуба человека
Baradaran-Ghahfarokhi et al. Comparison of Prostate and Bladder Volume Measurements from MRI and Pre-and Post-MRI Ultrasound Images
Ide et al. Synthetic approach for iron oxide nanoparticles suitable as tracer for magnetic particle imaging
Ding et al. Intravoxel incoherent motion magnetic resonance imaging of oropharyngeal cancer in response to chemoradiation therapy
Samołyk-Kogaczewska et al. PET/MRI guided GTV delineation for radiotherapy planning in patients with locally advanced squamous cell carcinoma of the oropharynx and the oral cavity.
Sakr et al. Influence of Different Bioactive Tooth Colored Restorative Materials in Caries Detection Using Cone Beam Computed Tomography
Juárez-Orozco et al. Imaging of cardiac and renal perfusion in a rat model with 13N-ammonia microPET
Da Rosa et al. Investigação Científica
CN117860594A (zh) 一种促进牙釉质修复及牙齿清洁的牙膏及其制备方法
van Leeuwen Distribution of holmium-166 acetylacetonate microspheres after intratumoral injection in a rabbit VX-2 tumour model. A pilot study.
Hahnel et al. The effects of erroneous mixing of zinc carboxylate cemen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