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64778B1 - 휴대통신 단말의 센서 진단방법 - Google Patents

휴대통신 단말의 센서 진단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64778B1
KR101864778B1 KR1020170026319A KR20170026319A KR101864778B1 KR 101864778 B1 KR101864778 B1 KR 101864778B1 KR 1020170026319 A KR1020170026319 A KR 1020170026319A KR 20170026319 A KR20170026319 A KR 20170026319A KR 101864778 B1 KR101864778 B1 KR 1018647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nsor
diagnosis
diagnostic
communication terminal
output valu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263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승열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서비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서비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서비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263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6477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647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647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522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1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sensor for measuring a physical value, e.g. temperature or mo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sting Or Calibration Of Command Recording Device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통신 단말과 전기적으로 접속하여 당해 휴대통신 단말에 설치된 복수의 센서의 상태를 진단하는 센서 진단장치에 의한 휴대통신 단말의 센서 진단방법으로, 상기 휴대통신 단말의 기종 및 모델을 포함하는 단말정보 및 상기 휴대통신 단말에 장착된 각종 센서의 센서정보를 취득하는 단말정보 및 센서정보 취득하고, 취득한 단말정보 및 센서정보로부터 상기 휴대통신 단말에 장착된 복수의 센서를 각각 센서 진단 모드별로 분류하는 진단 모드 분류하여, 진단 모드별로 분류된 센서 중 인위적인 조작 없이도 진단 대상 센서로부터 센서 값이 자동으로 출력되는 자동진단 모드에 의한 진단대상 센서의 출력 값의 x축, y축 및 z축의 값을 미리 정해진 시간간격으로 미리 정해진 횟수 만큼 샘플링하는 샘플링하고, 샘플링한 진단대상 센서의 출력 값의 x축, y축 및 z축의 값의 변화를 판단하는 출력 값 변화량 판단하며, 판단결과 진단대상 센서의 출력 값의 x축, y축 및 z축의 값의 변화가 없으면 진단 대상 센서를 불량으로 판정한다.

Description

휴대통신 단말의 센서 진단방법{METHOD FOR TESTING SENSOR OF PORTABLE COMMUNICATION TERMINAL}
본 발명은 휴대통신 단말에 장착된 각종 센서의 상태를 진단하는 휴대통신 단말의 센서 진단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스마트폰으로 대표되는 휴대통신 단말의 보급이 일반화되어 있고, 이들 휴대통신 단말은 예를 들어 주위의 밝기에 따라서 자동으로 휴대통신 단말의 밝기를 조절함으로써 소비전력의 절감을 도모하기 위한 기능의 구현을 위해 조도센서를 사용하는 등과 같은 다양한 기능 구현을 위해 예를 들어 가속도센서, 자이로센서, 지자기센서, 근접센서, 기압센서, 조도센서, HRM(Heart Rate Monitoring) 센서, 지문센서, 온도 및 습도센서와 각종 센서들을 사용하고 있다.
이와 같은 기능을 하는 각종 센서는 센서 자체의 결함이나 장시간 사용에 따른 고장 등의 원인에 의해 그 고유의 기능을 담당하지 못하는 결함이 발생하는 경우가 발생한다.
휴대통신 단말의 센서의 상태를 진단하는 기술로 특허문헌 1에 기재된 기술이 있다.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종래기술은 카메라폰의 카메라 모드 설정 시 특정한 카메라 레지스터 값을 읽어내어 메모리에 리드/라이트하고, 리드 한 값이 기설정된 특정한 값이 아니면 이미지센서 오류메시지를 출력하는 동시에 그 이미지센서와 관련된 기능의 수행을 불허하는 이미지센서 진단방법이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종래기술은 카메라폰의 이미지센서의 상태를 진단하는 방법에 대해서만 기재되어 있을 뿐으로, 휴대통신 단말과 연결되어서, 휴대통신 단말에 설치된 예를 들어 가속도센서를 비롯한 각종 센서 모두에 대해 그 상태를 진단하는 기술은 아니며, 본 발명자의 확인에 의하면 휴대통신 단말의 복수의 센서 모두를 진단하는 선행기술은 발견되지 않는다.
공개특허 2007-0000312호 공보(2007. 01. 02. 공개)
본 발명은 종래기술의 상기 문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휴대통신 단말과 연결되어서, 예를 들어 가속도센서를 비롯하여 휴대통신 단말에 설치되어 있는 각종 센서 모두에 대해 그 상태를 진단할 수 있는 센서 진단장치에 의한 휴대통신 단말의 센서 진단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휴대통신 단말의 센서 진단방법은, 휴대통신 단말과 전기적으로 접속하여 당해 휴대통신 단말에 설치된 복수의 센서의 상태를 진단하는 센서 진단장치에 의한 휴대통신 단말의 센서 진단방법으로, 상기 휴대통신 단말의 기종 및 모델을 포함하는 단말정보 및 상기 휴대통신 단말에 장착된 각종 센서의 센서정보를 취득하는 단말정보 및 센서정보 취득단계와, 단말정보 및 센서정보 취득단계에서 취득한 단말정보 및 센서정보로부터 상기 휴대통신 단말에 장착된 복수의 센서를 각각 센서 진단 모드별로 분류하는 진단 모드 분류단계와, 상기 진단 모드 분류단계에서 진단 모드별로 분류된 센서 중 인위적인 조작 없이도 진단 대상 센서로부터 센서 값이 자동으로 출력되는 자동진단 모드에 의한 진단대상 센서의 출력 값의 x축, y축 및 z축의 값을 미리 정해진 시간간격으로 미리 정해진 횟수 만큼 샘플링하는 샘플링단계와, 상기 샘플링단계에서 샘플링한 진단대상 센서의 출력 값의 x축, y축 및 z축의 값의 변화를 판단하는 출력 값 변화량 판단단계를 포함하고, 출력 값 변화량 판단단계에서의 판단결과 진단대상 센서의 출력 값의 x축, y축 및 z축의 값의 변화가 없으면 진단 대상 센서를 불량으로 판정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휴대통신 단말과 연결되어서, 진단 대상 휴대통신 단말에 설치되어 있는 복수의 각종 센서에 대해, 복수의 센서 각각의 특성에 맞는 진단방법에 의해 각각의 센서의 상태를 진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의 휴대통신 단말의 센서 진단장치와 휴대통신 단말 간의 접속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의 휴대통신 단말의 센서 진단방법의 흐름을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대해서 첨부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의 휴대통신 단말의 센서 진단장치와 휴대통신 단말 간의 접속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에 나타내는 것과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의 센서 진단장치(10)는 진단의 대상이 되는 휴대통신 단말(30)에 설치되어 있는 센서의 상태를 진단하는 장치이며, 센서 진단장치(10)가 진단의 대상이 되는 휴대통신 단말(30)과 접속케이블(50)을 통해서 접속되어서 진단이 이루어진다.
센서 진단장치(10)는 예를 들어 데스크 탑 컴퓨터나 퍼스널컴퓨터와 같은 컴퓨터시스템으로, 프로세서(Processor)와 RAM(Random Access Memory) 및 ROM(Read Only Memory)을 구비하며, ROM에 저장된 센서 진단용 프로그램에 따라서 프로세서가 동작함으로써 필요한 처리를 실행하는 컴퓨터시스템이다.
휴대통신 단말(30)은 당해 휴대통신 단말(30)에 설치된 센서에 문제가 발생하여 불량 여부의 진단 대상이 된 휴대통신 단말이며, 스마트폰을 비롯한 다양한 이동통신용 휴대단말장치일 수 있다.
접속케이블(50)은 휴대통신 단말(30)을 센서 진단장치(10)와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접속수단이며, 예를 들어 SCU100 케이블과 같은 케이블을 이용할 수 있고, 통상은 휴대통신 단말(30)의 충전 포트(30a)와 센서 진단장치(10)의 USB(Unversal Serial Bus) 포트(10a) 사이를 접속한다.
다음에,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의 센서 진단방법에 대해서 도 2를 참조하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의 휴대통신 단말의 센서 진단방법의 흐름을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먼저, 센서 진단장치(10)는 접속케이블(50)을 통해 진단 대상 휴대통신 단말(30)과 접속되어서, 휴대통신 단말(30)의 기종 및 모델을 포함한 단말정보와 드 휴대통신 단말에 설치되어 있는 센서에 관한 센서정보를 취득한다(단계 S10).
이어서, 단계 S11로 진행하여 취득한 단말정보 및 센서정보로부터 진단 대상 휴대통신 단말에 적합한 센서 진단 준비를 하는 동시에, 진단 대상 휴대통신 단말의 진동모터 및 스피커 출력을 최대로 설정하고 단계 S12로 진행한다.
이어서, 단계 S12에서 센서 진단장치(10)는 단계 S10에서 취득한 상기 단말정보 및 센서정보로부터 진단 대상 휴대통신 단말에 설치되어 있는 각 센서를 진단 모드별로, 구체적으로는 자동진단 모드에 의한 진단 대상 센서, 또는 수동진단 모드에 의한 진단 대상 센서 및 특수환경 모드에 의한 진단 대상 센서로 분류한다.
여기서, 자동진단 모드는 예를 들어 가속도센서, 자이로센서, 지자기센서, 근접센서, 기압센서 및 조도센서와 같이, 인위적으로 해당 센서를 터치하는 등에 의해 센서에 정보를 입력하거나, 또는 예를 들어 온도나 습도와 같은 진단 대상 휴대통신 단말의 주위 환경을 인위적으로 변화시키지 않고도, 예를 들어 진단 대상 휴대통신 단말의 현재 위치나 진단 대상 휴대통신 단말의 주위 밝기 또는 기압 등에 따라서 센서로부터 센서 값의 변화가 자동으로 출력되는 센서를 대상으로 하는 진단이다.
또, 수동진단 모드는 예를 들어 HRM(Heart Rate Monitoring) 센서나 지문센서와 같이, 사람의 손에 의한 터치와 같이 진단 대상 센서에 대해 인위적으로 정보를 입력함으로써 그 센서가 동작하여 센서 값의 변화를 출력하는 센서를 대상으로 하는 진단이다.
또, 특수환경 진단 모드에서 진단을 실행하는 센서로는 예를 들어 온도센서나 습도센서 등이 있고, 이 모드에서는 진단 대상 휴대통신 단말의 주위 환경을 인위적으로 변화시키면서, 다시 말해, 예를 들어 진단 대상 휴대통신 단말을 가온이나 가습을 할 수 있는 챔버 내에 넣은 상태에서 챔버 내의 온도 및 습도를 각각 변화시켜 가면서 진단을 실행한다.
단연하나, 상기 수동진단 모드 및 특수환경 진단 모드에서는 센서정보의 입력이나 진단 대상 휴대통신 단말의 주위 환경의 변화는 인위적으로 이루어지나, 인위적인 정보의 입력 또는 주위 환경의 변화에 따른 센서 출력의 확인 및 진단 대상 센서의 불량 여부의 판정은 모두 센서 진단장치(10)에 의해 자동으로 이루어진다.
이어서, 단계 S13에서 센서 진단장치(10)는 자동진단 모드에 의한 센서 진단을 실행한다.
단계 S14에서, 자동진단 모드에 의한 센서 진단이 가능한 센서, 즉, 진단 대상 휴대통신 단말에 장착된 예를 들어 가속도센서, 자이로센서, 지자기센서, 근접센서, 기압센서 및 조도센서로부터 센서 진단장치(10)로 입력되는 각 센서의 센서 값을 미리 정해진 시간 간격으로 미리 정해진 횟수만큼 샘플링하고, 샘플링한 각 센서 값의 x축, y축 및 z축의 값에 변화가 있는가 여부를 판단한다.
단계 S14에서의 판단결과 미리 정해진 시간 간격으로 미리 정해진 횟수만큼 샘플링한 각각의 센서 값의 x축, y축 및 z축의 값에 변화가 있으면(단계 S14=YES) 센서 진단장치(10)는 x축, y축 및 z축의 값에 변화가 있는 센서를 각각 정상으로 판정하고 단계 S14로 진행한다.
단계 S14에서의 판단결과 미리 정해진 시간 간격으로 미리 정해진 횟수만큼 샘플링한 각각의 센서 값의 x축, y축 및 z축의 값에 변화가 없으면(단계 S14=NO) 단계 S21로 진행하여 센서 진단장치(10)는 x축, y축 및 z축의 값에 변화가 없는 센서를 불량으로 판정하고 단계 S15로 진행한다.
여기서, 미리 정해진 시간 간격은 예를 들어 100㎳일 수 있고, 미리 정해진 횟수는 예를 들어 20회일 수 있으며, 이 경우에는 100㎳ 간격으로 20회 샘플링한 센서 값의 x축, y축 및 z축의 값의 변화 여부에 따라서 진단 대상 휴대통신 단말의 가속도센서, 자이로센서, 지자기센서, 근접센서, 기압센서 및 조도센서 등과 같은 자동진단 모드에 의한 진단 대상 센서의 불량 여부를 진단하게 된다.
이때 이루어지는, 샘플링한 센서 값의 x축, y축 및 z축의 값의 변화 여부의 판단은 가속도센서, 자이로센서, 지자기센서 및 근접센서에 대해서는 진단 대상 휴대통신 단말의 입력으로부터 샘플링된 각각의 센서의 센서 값의 x축, y축 및 z축의 값의 연속적인 변화 발생의 여부에 따라서, 또, 기압센서에 대해서는 진단 대상 휴대통신 단말의 입력으로부터 샘플링된 기압센서의 기압 값 및 고도 값의 x축, y축 및 z축의 값의 연속적인 변화의 발생 여부에 따라서, 또, 조도센서에 대해서는 진단 대상 휴대통신 단말의 입력으로부터 샘플링된 조도센서의 밝기 값의 x축, y축 및 z축의 값의 연속적인 변화의 발생 여부에 따라서 각각 진단을 한다.
이어서, 단계 S15 이후의 수동 터치에 의한 수동진단 모드를 실행한다.
진단은 단계 S16에서 예를 들어 HRM 센서나 지문센서와 같은 수동진단 모드에 의한 진단 대상 센서에 대해, 센서 진단장치(10)는 먼저 HRM 센서나 지문센서와 같은 수동진단 모드에 의한 진단 대상 센서의 온/오프 동작을 실행시켜서 온/오프 제어가 이루어지는가 여부를 확인하고, 확인 결과 온/오프 제어가 가능하면 HRM 센서나 지문센서를 터치하는 등에 의해 해당 센서로부터 심장박동 또는 지문정보와 같은 각 센서 고유의 센서 값이 출력되는가 여부를 확인한다.
단계 S16에서의 판단결과 해당 센서의 온/오프 제어가 이루어지고, 또한, 외부 터치 등에 의해 심장박동이나 지문 등과 같은 각 센서 고유의 센서 값이 출력되면 센서 진단장치(10)는 그 센서를 정상으로 판정한다.
만일, 단계 S16에서의 판단결과 해당 센서의 온/오프 제어가 이루어지지 않거나, 또는, 온/오프 제어는 이루어지더라도 터치 등에 의해 심장박동이나 지문 등과 같은 각 센서 고유의 센서 값이 출력되지 않으면 단계 S22로 진행하여 센서 진단장치(10)는 그 센서를 불량으로 판정한다.
이어서, 단계 S17로 진행하여, 대기 중의 상온상태에서는 센서의 주위 환경의 변화가 곤란한 센서에 대해, 해당 센서의 주위환경을 변화시킬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주고, 그 특수환경에서 진단을 실행한다.
진단은, 단계 S18에서 예를 들어 온도센서나 습도센서와 같은 특수환경에서만 진단 가능한 진단대상 센서에 대해 온/오프 동작을 실행시켜서 온/오프 제어가 이루어지는가 여부를 확인하고, 확인 결과 온/오프 제어가 가능하면 예를 들어 챔버 내의 온도나 습도를 변화시키는 방법으로 진단 대상 휴대통신 단말의 주위 환경을 변화시켜서 해당 센서로부터 온도 또는 습도의 변화와 같은 센서 값의 변화가 출력되는가 여부를 확인한다.
단계 S18에서의 판단결과 해당 센서의 온/오프 제어가 이루어지고, 또한, 온도나 습도와 같은 센서 값의 변화가 출력되면 센서 진단장치(10)는 그 센서를 정상으로 판정한다.
만일, 단계 S18에서의 판단결과 해당 센서의 온/오프 제어가 이루어지지 않거나, 또는, 온/오프 제어는 이루어지더라도 진단 대상 휴대통신 단말의 주위 환경을 변화에 따른 센서 값의 변화가 출력되지 않으면 단계 S23으로 진행하여 센서 진단장치(10)는 그 센서를 불량으로 판정한다.
이상, 본 발명은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의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또는 변형이 가능함은 당연하다.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자동진단 모드, 수동진단 모드 및 특수환경 진단 모드 순으로 진단을 실행하는 것으로 하였으나, 예를 들어 특수환경 모드에서의 센서 진단을 가장 먼저 실행하고 그 다음에 자동진단 모드 및 수동진단 모드를 순차 실행하는 것으로 해도 좋고, 또는 수동진단 모드, 자동진단 모드 및 특수환경에서의 진단 모드의 순으로 진단을 실행해도 상관없다.
또, 진단의 대상이 되는 센서는 상기 실시형태에서 예시한 센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진단 대상 휴대통신 단말에 장착된 센서라면 그 외의 다른 센서도 진단의 대상이 될 수 있다.
또, 상기 실시형태 및 변형 예는 각각 따로따로 실시해도 좋고, 변형 예의 일부 또는 전부를 상기 실시형태와 결합해서 실시해도 좋다.
10 센서 진단장치
30 휴대통신 단말
50 접속케이블

Claims (6)

  1. 휴대통신 단말과 전기적으로 접속하여 당해 휴대통신 단말에 설치된 복수의 센서의 상태를 진단하는 센서 진단장치에 의한 휴대통신 단말의 센서 진단방법으로,
    상기 휴대통신 단말의 기종 및 모델을 포함하는 단말정보 및 상기 휴대통신 단말에 장착된 각종 센서의 센서정보를 취득하는 단말정보 및 센서정보 취득단계와,
    단말정보 및 센서정보 취득단계에서 취득한 단말정보 및 센서정보로부터 상기 휴대통신 단말에 장착된 복수의 센서를 각각 센서 진단 모드별로 분류하는 진단 모드 분류단계와,
    상기 진단 모드 분류단계에서 진단 모드별로 분류된 센서 중 인위적인 조작 없이도 진단 대상 센서로부터 센서 값이 자동으로 출력되는 자동진단 모드에 의한 진단대상 센서의 출력 값의 x축, y축 및 z축의 값을 미리 정해진 시간간격으로 미리 정해진 횟수 만큼 샘플링하는 샘플링단계와,
    상기 샘플링단계에서 샘플링한 진단대상 센서의 출력 값의 x축, y축 및 z축의 값의 변화를 판단하는 출력 값 변화량 판단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출력 값 변화량 판단단계에서의 판단결과 진단대상 센서의 출력 값의 x축, y축 및 z축의 값의 변화가 없으면 진단 대상 센서를 불량으로 판정하는 휴대통신 단말의 센서 진단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자동진단 모드에 의한 진단대상 센서는 가속도센서, 자이로센서, 지자기센서, 근접센서, 기압센서 및 조도센서 중 어느 하나 이상인 휴대통신 단말의 센서 진단방법.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진단 모드 분류단계에서 진단 모드별로 분류된 센서 중 외부로부터의 인위적인 정보의 입력에 의해 센서 값이 출력되는 수동진단 모드에 의한 진단대상 센서에 대해, 상기 외부로부터의 인위적인 정보의 입력에 반응하여 진단 대상 센서로부터 출력 값이 출력되는가 여부를 판정하는 출력 값 판단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출력 값 판단단계에서 진단 대상 센서로부터 출력 값이 출력하지 않으면 진단 대상 센서를 불량으로 판정하는 휴대통신 단말의 센서 진단방법.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수동진단 모드에 의한 진단대상 센서는 HRM(Heart Rate Monitoring) 센서나 지문센서 중 어느 하나 이상인 휴대통신 단말의 센서 진단방법.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진단 모드 분류단계에서 진단 모드별로 분류된 센서 중 진단 대상 휴대통신 단말의 주위 환경을 인위적으로 변화시키면서 진단을 실행하는 특수환경 진단 모드에 의한 진단대상 센서에 대해, 인위적인 주위 환경의 변화에 반응하여 진단 대상 센서로부터 출력 값이 출력되는가 여부를 판정하는 출력 값 변화 판단단계를 더 포함하고,
    출력 값 변화 판단단계에서 진단 대상 센서로부터 출력되는 출력 값이 변화하지 않으면 진단 대상 센서를 불량으로 판정하는 휴대통신 단말의 센서 진단방법.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특수환경 진단 모드에 의한 진단대상 센서는 온도센서 또는 습도센서 중 어느 하나 이상이며,
    상기 인위적인 주위 환경의 변화는 온도 또는 습도의 조절이 가능한 챔버 내에서 이루어지는 휴대통신 단말의 센서 진단방법.
KR1020170026319A 2017-02-28 2017-02-28 휴대통신 단말의 센서 진단방법 KR1018647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6319A KR101864778B1 (ko) 2017-02-28 2017-02-28 휴대통신 단말의 센서 진단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6319A KR101864778B1 (ko) 2017-02-28 2017-02-28 휴대통신 단말의 센서 진단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64778B1 true KR101864778B1 (ko) 2018-06-05

Family

ID=626355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26319A KR101864778B1 (ko) 2017-02-28 2017-02-28 휴대통신 단말의 센서 진단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64778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83087A (ko) * 2004-02-21 2005-08-25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단말기를 통해 자가진단정보를 표시하는 자가진단장치
KR20050096756A (ko) * 2004-03-31 2005-10-06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육성 시뮬레이션 기능을 수행하는방법 및 장치
KR20070000312A (ko) 2005-06-27 2007-01-02 엘지전자 주식회사 카메라폰의 이미지 센서 진단방법
KR20070062849A (ko) * 2005-12-13 2007-06-18 주식회사 일진글로벌 텔레매틱스를 이용한 차량용 능동정비 시스템
KR20130000264A (ko) * 2011-06-22 2013-01-02 주식회사 멘토스 위치의 파악 및 송신 가능한 휴대용 단말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83087A (ko) * 2004-02-21 2005-08-25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단말기를 통해 자가진단정보를 표시하는 자가진단장치
KR20050096756A (ko) * 2004-03-31 2005-10-06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육성 시뮬레이션 기능을 수행하는방법 및 장치
KR20070000312A (ko) 2005-06-27 2007-01-02 엘지전자 주식회사 카메라폰의 이미지 센서 진단방법
KR20070062849A (ko) * 2005-12-13 2007-06-18 주식회사 일진글로벌 텔레매틱스를 이용한 차량용 능동정비 시스템
KR20130000264A (ko) * 2011-06-22 2013-01-02 주식회사 멘토스 위치의 파악 및 송신 가능한 휴대용 단말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896131B (zh) 蓝牙信号调整方法、装置、测试终端、系统及可读介质
CN113675636B (zh) 电子设备和电子设备识别外部设备的连接端子的方法
EP2846135B1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 with Environmental Sensor
CN108268366B (zh) 测试用例执行方法及装置
CN108055092B (zh) 蓝牙信号调整方法、装置、测试终端、系统及可读介质
US11605965B2 (en) Electronic device for adaptive power management
KR20190088744A (ko)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배터리 상태 감지 방법
CN109753425B (zh) 弹窗处理方法及装置
KR20190098602A (ko) 전자파 신호를 기반으로 외부 전자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 및 전자 장치
CN108234034B (zh) 蓝牙信号调整方法、装置、测试终端、系统及可读介质
EP3887927A1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determining task including plural actions
KR102512614B1 (ko) 오디오 개선을 지원하는 전자 장치 및 이를 위한 방법
KR20190036944A (ko)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
CN108199789B (zh) 蓝牙信号调整方法、装置、测试终端、系统及可读介质
CN110895509A (zh) 一种测试处理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US20170330326A1 (en) Obtaining calibration data of a camera
US20190285682A1 (en) Failure detecting device and method for failure testing electronic device
KR101864778B1 (ko) 휴대통신 단말의 센서 진단방법
WO2021020711A1 (ko) 불량을 예측하는 전자 장치 및 그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
CN113766127A (zh) 移动终端的控制方法及装置、存储介质及电子设备
CN109040457B (zh) 一种屏幕亮度调节方法及移动终端
CN106557403A (zh) Tpe测试方法、装置及设备
CN110717486A (zh) 文本检测方法、装置、电子设备和存储介质
US20200244750A1 (en) System for processing user data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KR20190086291A (ko) 움직임에 기반하여, 외부의 공기와 관련된 데이터 보정 및 생성하기 위한 방법 및 전자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