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64583B1 - 퇴행성 척추 후만증 보조기 - Google Patents

퇴행성 척추 후만증 보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64583B1
KR101864583B1 KR1020160070904A KR20160070904A KR101864583B1 KR 101864583 B1 KR101864583 B1 KR 101864583B1 KR 1020160070904 A KR1020160070904 A KR 1020160070904A KR 20160070904 A KR20160070904 A KR 20160070904A KR 101864583 B1 KR101864583 B1 KR 1018645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tient
air
degenerative
air pump
cush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709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38729A (ko
Inventor
김경태
Original Assignee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600709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64583B1/ko
Publication of KR201701387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387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645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645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3Corsets or bandages for abdomen, teat or breast support, with or without pa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4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specially adapted for the breast or abdomen
    • A61F13/148Abdomen bandages or bandaging gar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30Pressure-pads
    • A61F5/32Adjustable pressure pa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30Pressure-pads
    • A61F5/34Pressure pads filled with air or liquid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Nursing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퇴행성 척추 후만증 보조기는, 환자의 복부 부분에 부착되어 팽창됨으로써 복부 부분에 압력을 가하는 전방 팽창 부재 및 전방 팽창 부재에 연결되고, 환자가 전방 팽창 부재를 착용 가능하도록 환자의 몸통을 둘러싸는 밴드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퇴행성 척추 후만증 보조기 {A BRACE FOR LUMBAR DEGENERATIVE KYPHOSIS}
본 발명은 퇴행성 척추 후만증 보조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 환자의 신체를 둘러싸는 팽창 부재의 팽창 정도를 조절하여 척추 후만증을 치료하는 퇴행성 척추 후만증 보조기에 관한 것이다.
척추 후만증은 정상적인 시상면에서는 흉추부와 천추부가 생리적인 후만각을 가지나 추체, 추간판 및 주위 근육의 이상으로 인해 흉추부의 후만이 정상보다 증가되어 있거나 정상적인 전만이 보여할 부위에서 전만이 소실된 경우를 말한다. SRS(Scoliosis Research Society)에서는 45도 이상을 후만증으로 정의한다. 이러한 척추 후만증으로는 선천성 후만증, 퇴행성 후만증, 결핵성 후만증 및 강직성 척후염에 의한 후만증이 있으며, 이중에서 퇴행성 척추 후만증은 퇴행성 변화에 의해 허리 뒷부분을 지탱해주는 근육, 인대 등이 약해져서 나타나며 주로 팔꿈치를 이용하여 몸을 받치게 되므로 이곳에 굳은살이 생기는 것이 특징이다.
종래에는 퇴행성 척추 후만증 치료를 위해 척추 고정술(한국특허출원 제10-2013-0151363호 참조)을 이용하여 척추의 모든 뼈에 나사를 삽입하는 수술을 수행하였으나 이 수술은 수술 후 사망률 및 합병률이 50% 이상이 되어 수술의 위험성이 대단히 높다는 문제점이 있어왔다. 또한, 수술이 성공한다고 하더라도 영원히 허리를 굽히지 못할 수도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수술의 문제점이 있기에 일부 환자는 수술 대신에 보행기 또는 유모차를 지지대로 삼아 이동을 하는 불편함을 감수해야 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수술적 치료를 하지 않고도 퇴행성 척추 후만증을 치료할 수 있는 퇴행성 척추 후만증 보조기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과제는, 척추뼈에 나사못을 고정시키는 나사못 고정술을 시행하지 않고서도 단지 착용한 후 간단한 조작만으로 퇴행성 척추 후만증을 치료할 수 있는 퇴행성 척추 후만증 보조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퇴행성 척추 후만증 보조기는, 환자의 복부 부분에 부착되어 팽창됨으로써 복부 부분에 압력을 가하는 전방 팽창 부재 및 전방 팽창 부재에 연결되고, 환자가 전방 팽창 부재를 착용 가능하도록 환자의 몸통을 둘러싸는 밴드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척추뼈에 나사못을 고정시키는 나사못 고정술을 시행하지 않고서도 단지 착용한 후 간단한 조작만으로 퇴행성 척추 후만증을 치료할 수 있는 퇴행성 척추 후만증 보조기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 은 퇴행성 척추 후만증이 있는 환자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퇴행성 척추 후만증 보조기의 본체의 측면도이다.
도 3 및 4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퇴행성 척추 후만증 보조기의 공기 펌프의 사시도이다.
도 5 는 환자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퇴행성 척추 후만증 보조기를 착용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 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퇴행성 척추 후만증 보조기의 측면도이다.
도 7 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퇴행성 척추 후만증 보조기의 측면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및 동작은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및 동작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도 1 내지 5 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퇴행성 척추 후만증 보조기를 설명한다. 도 1 은 퇴행성 척추 후만증이 있는 환자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퇴행성 척추 후만증 보조기의 본체의 측면도이다. 도 3 및 4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퇴행성 척추 후만증 보조기의 공기 펌프의 사시도이다. 도 5 는 환자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퇴행성 척추 후만증 보조기를 착용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내지 5 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퇴행성 척추 후만증 보조기는 본체(10) 및 공기 펌프(90)를 포함한다.
본체(10)는 환자의 신체에 착용되어 퇴행성 척추 후만증이 있는 환자의 허리가 펴지도록 하는 부재이다. 이를 위해 본체(10)는 전방 팽창 부재(30), 후방 팽창 부재(50) 및 밴드(80)를 포함할 수 있다. 전방 팽창 부재(30)는 환자의 복부 부분에 부착되어 팽창됨으로써 복부 부분에 압력을 가하는 부재로서, 이 전방 팽창 부재(30)는 전방 지지 부재(20)에 지지되면서 환자의 복부 부분에 부착될 수 있으며, 전방 지지 부재(20)는 전방 팽창 부재(30)를 기준으로 복부 부분의 반대편, 즉 전방 팽창 부재(30)의 앞에 위치하면서 전방 팽창 부재(30)를 지지할 수 있다.
후방 팽창 부재(50)는 환자의 등부분에 부착되어 팽창됨으로써 등부분에 압력을 가하는 부재로서, 이 후방 팽창 부재(50)는 후방 지지 부재(60)에 지지되면서 환자의 등부분에 부착될 수 있으며, 후방 지지 부재(60)는 후방 팽창 부재(50)를 기준으로 등부분의 반대편, 즉 후방 팽창 부재(50)의 뒤에 위치하면서 후방 팽창 부재(50)를 지지할 수 있다.
밴드(80)는 전방 팽창 부재(30)와 후방 팽창 부재(50)를 연결하는 부재로서, 밴드(80)가 전방 팽창 부재(30)와 후방 팽창 부재(50)에 직접 부착되면서 전방 팽창 부재(30)와 후방 팽창 부재(50)를 연결할 수 있고, 또는 전방 팽창 부재(30) 및 후방 팽창 부재(50)는 각각 전방 지지 부재(20) 및 후방 지지 부재(60)에 결합되어 있는 상태에서 밴드(80)는 전방 지지 부재(20) 및 후방 지지 부재(60)와 연결되어 전방 팽창 부재(30)와 후방 팽창 부재(50)를 간접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다르게는, 밴드(80)가 전방 지지 부재(20), 전방 팽창 부재(30), 후방 지지 부재(60) 및 후방 챙창 부재 모두에 연결되면서 전방 팽창 부재(30)와 후방 팽창 부재(50)를 연결할 수도 있다.
이러한 밴드(80)는 폐곡선을 이루는 대신에 절단 부분(A)이 존재할 수 있으며, 이 절단 부분(A)은 벨크로(또는 찍찍이) 접착 방식으로 연결되거나 똑딱이 단추 체결 방식으로 연결될 수 있다. 그에 따라 환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퇴행성 척추 후만증 보조기를 자신의 몸통에 찬 후에 벨크로 접착을 하거나 단추 체결을 하여 척추 후만증 보조기를 몸체에 부착시켜 사용할 수 있다.
공기 펌프(90)는 전방 팽창 부재(30) 및 후방 팽창 부재(50)에 공기를 주입하거나 전방 팽창 부재(30) 및 후방 팽창 부재(50)로부터 공기를 배출시키는 부재이다. 환자가 본체(10)를 착용한 후에 척후 후만 정도를 고려하여 전방 팽창 부재(30) 및 후방 팽창 부재(50) 중 하나 이상에 공기를 주입할 수 있다. 이럴 경우 전방 팽창 부재(30) 및 후방 팽창 부재(50)는 부피가 팽창하여 커지면서 환자의 복부 부분 및 등부분 중 하나 이상에 압력을 가하게 되고(V1<V3, V2<V4), 그에 따라 환자는 허리가 굽은 상태에서 허리가 펴지게 된다(도 4 참조).
공기 펌프(90)로 팽창 부재를 팽창시킬 때, 환자의 척추 후만의 정도 및 형태를 고려하여 공기 펌프(90)로 전방 팽창 부재(30)에만 공기를 주입하거나 전방 팽창 부재(30)와 후방 팽창 부재(50) 모두에 공기를 주입할 수 있으며, 이 때 전방 팽창 부재(30)와 후방 팽창 부재(50)에 주입되는 공기 양은 다를 수 있다. 또한, 환자가 식사를 할 경우와 같이 팽창 부재가 다소 수축되어 있을 필요가 있을 경우에는 공기 펌프(90)를 이용하여 팽창 부재에 수용되어 있던 공기를 배출시킬 수 있다. 즉, 사용자가 공기 펌프를 이용하여 상황에 맞게 전방 팽창 부재(30)와 후방 팽창 부재(50)의 공기 양을 조절할 수 있는 바, 척추 후만증을 용이하게 치료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퇴행성 척추 후만증 보조기를 사용하더라도 일상 생활에 지장을 거의 주지 않을 수 있다.
한편, 공기 펌프(90)가 전방 팽창 부재(30) 및 후방 팽창 부재(50)에 공기를 주입하거나 주입된 공기를 배출하는 방식을 보면, 전방 팽창 부재(30) 및 후방 팽창 부재(50)에는 공기 출입구(35, 65)가 형성되어 있을 수 있으며 이 공기 출입구(35, 65)에 공기 펌프(90)를 연결하여 공기를 주입하거나 배출시킨다.
다르게는, 도 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 펌프(150)는 전자식 공기 펌프일 수도 있으며, 이 경우 사용자가 공기 펌프(150)의 IN 버튼을 누를 경우 공기 주입구(159)로부터 팽창 부재(30, 50)로 공기를 주입시킬 수 있고, 사용자가 공기 펌프(150)의 OUT 버튼을 누를 경우 팽창 부재(30, 50)에 있던 공기가 팽창 부재(30, 50)에서 공기 배출구(157)로 이동할 수 있다. 이러한 공기 펌프(150)는 건전지 또는 각종 전력원에 의해 동력을 공급받아 작동될 수 있다.
종래에는 퇴행성 척추 후만증 치료를 위해 척추 고정술을 이용하여 척추의 모든 뼈에 나사를 삽입하는 수술을 수행하였으나 이 수술은 수술 후 사망률 및 합병률이 50% 이상이 되어 수술의 위험성이 대단히 높다는 문제점이 있어왔다. 또한, 수술이 성공한다고 하더라도 영원히 허리를 굽히지 못할 수도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퇴행성 척추 후만증 보조기는 척추 뼈에 나사를 삽입하지 않고 또한 어떠한 외과적 수술을 하지 않고도 단지 장착하는 것만으로 굽은 허리를 펼 수 있다. 따라서, 환자에게 신체적, 정신적 및 경제적 부담을 주지 않고 성공적인 척추 후만증 치료를 할 수 있다.
아울러, 공기 펌프(90)는 공기 주입량 및 공기 배출량을 제어하는 제어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 장치는 환자의 척추 후만 정도와 관련된 정보를 획득한 후, 획득한 정보에 따라 공기 펌프(90)가 전방 팽창 부재(30) 및 후방 팽창 부재(50)에 공기를 주입하도록 하거나, 전방 팽창 부재(30) 및 후방 팽창 부재(50)로부터 공기를 배출하도록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환자에 대한 X-RAY 촬영 등을 통해 환자의 척추 후만 정도 정보를 확보한 후, 이 정보는 무선 통신을 통해 제어 장치로 전달되거나 사용자가 직접 제어 장치에 입력하는 등의 방법으로 제어 장치는 척추 후만 정도와 관련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이후 제어 장치는 환자의 척추 후만 정도 정보를 근거로 요구되는 전방 팽창 부재(30)와 후방 팽창 부재(50)의 팽창 정도를 산출하게 되고, 산출값에 근거하여 공기 펌프(90)가 전방 팽창 부재(30) 및 후방 팽창 부재(50)에 공기를 주입하도록 하거나, 전방 팽창 부재(30) 및 후방 팽창 부재(50)로부터 공기를 배출하도록 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전술한 제어 장치를 통한 팽창 부재의 팽창 정도 조정 후에 의사 또는 환자 자신이 직접 공기 펌프(90)를 사용하여 미세 조정을 수행할 수도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퇴행성 척추 후만증 보조기를 설명했으며, 이하 도 5 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퇴행성 척추 후만증 보조기를 설명한다. 도 5 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퇴행성 척추 후만증 보조기의 측면도이다.
도 5 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퇴행성 척추 후만증 보조기는 본체(100)의 밴드(110)에 절단 부분에 존재하지 않으며 밴드(110)가 전체적으로 폐곡선을 이루는 형상일 수 있다. 이 경우 밴드(110)는 탄력이 있는 재질로 제조되며 그에 따라 환자는 보조기를 배둘레에 착용 후 별도의 밴드 체결 과정이 없이 보조기를 용이하게 착용할 수 있으며, 또한 환자의 배둘레 사이즈에 관계없이 보조기를 착용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퇴행성 척추 후만증 보조기를 설명했으며, 이하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퇴행성 척추 후만증 보조기를 설명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퇴행성 척추 후만증 보조기의 경우 후방 팽창 부재 대신에 쿠션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이 쿠션 부재는 공기가 주입되어 팽창되지 않으며, 충격을 흡수하는 등받이 또는 전방 팽창 부재의 팽창에 대하여 환자의 등부분을 지지하는 지지대 역할을 할 수 있다. 이러한 쿠션 부재는 쿠션 지지 부재에 의해 지지될 수 있으며, 쿠션 지지 부재는 쿠션 부재의 뒤에 위치하면서 쿠션 부재를 지지할 수 있다.
따라서, 쿠션 부재의 지지 하에서 전방 팽창 부재의 팽창 또는 수축으로만 환자의 복부 부분에 압력을 가하거나 제거하게 되며, 이를 통해 척추 후만증을 치료하게 된다.
이상 본 발명에 따른 퇴행성 척추 후만증 보조기를 설명했으며, 이하 도 7 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퇴행성 척추 후만증 보조기를 설명한다. 도 7 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퇴행성 척추 후만증 보조기의 측면도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퇴행성 척추 후만증 보조기의 경우, 본체(120)와 공기 펌프(140)는 일체형일 수 있으며 그에 따라 공기 펌프(140)를 본체(120)에 별도로 연결할 필요 없이 본체(120)와 일체형인 공기 펌프(140)를 작동시킴으로써 공기를 주입하거나 배출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일체형 공기 펌프(140)는 펌핑부(130) 및 배출 나사(125)를 포함할 수 있으며, 환자 또는 의료진이 손으로 펌핑부(130)를 펌핑함으로써 공기가 팽창 부재(30, 50)로 주입될 수 있고, 반대로 배출 나사(125)를 풀어서 팽창 부재(30, 50)에 주입된 공기가 배출되도록 할 수 있다.
이렇게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퇴행성 척추 후만증 보조기는 일체형 공기 펌프(140)를 사용함으로써 별도로 공기 펌프를 가지고 다닐 필요가 없으며, 그 결과 척추 후만증 보조기의 구비 및 작동이 편리하다는 효과가 발생한다.
물론, 경우에 따라서는 도 7 에 도시된 것과는 다르게, 전방 팽창 부재(30) 및 후방 팽창 부재(50) 중 어느 하나의 팽창 부재에만 일체형 공기 펌프(140)가 존재할 수도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 100, 120: 본체 20: 전방 지지 부재
30: 전방 팽창 부재 35, 65: 공기 출입구
40: 전방 본체 50: 후방 팽창 부재
60: 후방 지지 부재 70: 후방 본체
80, 110: 밴드 90, 140, 150: 공기 펌프

Claims (15)

  1. 환자의 복부 부분에 부착되어 팽창됨으로써 상기 복부 부분에 압력을 가하는 전방 팽창 부재;
    상기 전방 팽창 부재를 지지하는 전방 지지 부재; 및
    상기 전방 팽창 부재에 연결되고, 상기 환자가 상기 전방 팽창 부재를 착용 가능하도록 상기 환자의 몸통을 둘러싸는 밴드를 포함하는 퇴행성 척추 후만증 보조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환자의 등부분에 부착되어 팽창됨으로써 상기 등부분에 압력을 가하는 후방 팽창 부재를 더 포함하는 퇴행성 척추 후만증 보조기.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 지지 부재는 상기 전방 팽창 부재의 앞에 위치하면서 상기 전방 팽창 부재를 지지하는 퇴행성 척추 후만증 보조기.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후방 팽창 부재를 지지하는 후방 지지 부재를 더 포함하는 퇴행성 척추 후만증 보조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후방 지지 부재는 상기 후방 팽창 부재의 뒤에 위치하면서 상기 후방 팽창 부재를 지지하는 퇴행성 척추 후만증 보조기.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밴드는 절단 부분이 존재하고, 상기 절단 부분은 벨크로 접착 방식으로 연결되는 퇴행성 척추 후만증 보조기.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밴드는 절단 부분이 존재하고, 상기 절단 부분은 똑딱이 단추 체결 방식으로 연결되는 퇴행성 척추 후만증 보조기.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밴드는 폐곡선을 형성하며 탄력이 있는 퇴행성 척추 후만증 보조기.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 팽창 부재 및 후방 팽창 부재에 공기를 주입하거나 상기 전방 팽창 부재 및 후방 팽창 부재로부터 공기를 배출시키는 공기 펌프를 더 포함하는 퇴행성 척추 후만증 보조기.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펌프는 공기 주입량 및 공기 배출량을 제어하는 제어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환자의 척추 후만 정도와 관련된 정보를 획득한 후, 획득한 정보에 따라 상기 공기 펌프가 상기 전방 팽창 부재 및 후방 팽창 부재에 공기를 주입하도록 하거나 상기 전방 팽창 부재 및 후방 팽창 부재로부터 공기를 배출하도록 하는 퇴행성 척추 후만증 보조기.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펌프와 일체형으로 이루어진 퇴행성 척추 후만증 보조기.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환자의 등부분에 부착되어 상기 등부분을 지지하는 쿠션 부재를 더 포함하는 퇴행성 척추 후만증 보조기.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쿠션 부재를 지지하는 쿠션 지지 부재를 더 포함하는 퇴행성 척추 후만증 보조기.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쿠션 지지 부재는 상기 쿠션 부재의 뒤에 위치하면서 상기 쿠션 부재를 지지하는 퇴행성 척추 후만증 보조기.
KR1020160070904A 2016-06-08 2016-06-08 퇴행성 척추 후만증 보조기 KR1018645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70904A KR101864583B1 (ko) 2016-06-08 2016-06-08 퇴행성 척추 후만증 보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70904A KR101864583B1 (ko) 2016-06-08 2016-06-08 퇴행성 척추 후만증 보조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38729A KR20170138729A (ko) 2017-12-18
KR101864583B1 true KR101864583B1 (ko) 2018-06-05

Family

ID=609230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70904A KR101864583B1 (ko) 2016-06-08 2016-06-08 퇴행성 척추 후만증 보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64583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97745A (ko) 2020-12-31 2022-07-08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고체전해질과 열적 인발공정을 이용한 슈퍼캐패시터, 액추에이터, 및 그 제조방법
KR20220116617A (ko) 2021-02-15 2022-08-23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척추보조유닛 및 인체 모사 척추 후만증 보조 장치
KR20220117357A (ko) 2021-02-15 2022-08-24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탄성에너지를 이용한 공압인공근육 유닛 및 그 작동방법
KR20240080996A (ko) 2022-11-30 2024-06-07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열적인발 공정과 열유도 상분리를 이용한 다공성 구조 섬유 제조방법 및 다공성 구조 슈퍼커패시터 제조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49325Y1 (ko) 2001-06-08 2001-11-16 박기상 척추 보조기
JP2010227322A (ja) * 2009-03-27 2010-10-14 Nobuyuki Tsuzuki 腰痛治療用軟性機能装具
KR101377915B1 (ko) 2012-01-18 2014-03-25 최상준 에어주입식 보호대
KR101612378B1 (ko) 2015-05-26 2016-04-26 (주)힐닉스 조절식 척추보조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49325Y1 (ko) 2001-06-08 2001-11-16 박기상 척추 보조기
JP2010227322A (ja) * 2009-03-27 2010-10-14 Nobuyuki Tsuzuki 腰痛治療用軟性機能装具
KR101377915B1 (ko) 2012-01-18 2014-03-25 최상준 에어주입식 보호대
KR101612378B1 (ko) 2015-05-26 2016-04-26 (주)힐닉스 조절식 척추보조기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97745A (ko) 2020-12-31 2022-07-08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고체전해질과 열적 인발공정을 이용한 슈퍼캐패시터, 액추에이터, 및 그 제조방법
KR20220116617A (ko) 2021-02-15 2022-08-23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척추보조유닛 및 인체 모사 척추 후만증 보조 장치
KR20220117357A (ko) 2021-02-15 2022-08-24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탄성에너지를 이용한 공압인공근육 유닛 및 그 작동방법
KR20240080996A (ko) 2022-11-30 2024-06-07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열적인발 공정과 열유도 상분리를 이용한 다공성 구조 섬유 제조방법 및 다공성 구조 슈퍼커패시터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38729A (ko) 2017-12-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64583B1 (ko) 퇴행성 척추 후만증 보조기
US8911497B2 (en) Minimally invasive spine augmentation and stabilization system and method
US11439449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distraction
US8226585B2 (en) Brace having inflatable support
US20080234617A1 (en) Spinal brace
JP2001514047A (ja) 四肢圧迫装置
JP2010527720A (ja) 再手術をせずに長さを変更できるj字型の埋め込み可能なディストラクタ
JP2009535118A (ja) 調節式棘突起間固定器
JP2011502711A (ja) 椎骨の圧迫骨折を安定化する多孔質収容装置及び関連する方法
US20060195115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kyphoplasty
US20120101418A1 (en) Semi-rigid compression splint for application of three-dimensional force
RU2485904C1 (ru) Способ моносегментарной транспедикулярной стабилизации переломов тел нижних грудных и поясничных позвонков
Iida et al. Clinical and radiological results of calcium phosphate cement-assisted balloon osteoplasty for Colles’ fractures in osteoporotic senile female patients
CN110636807B (zh) 可自主调整的漏斗胸重建系统
CN101708128A (zh) 一种棘突撑开装置
CN107440892A (zh) 一种多功能可调节式防旋鞋
US20100217272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ositioning implant between spinous processes
CN201168078Y (zh) 棘突间非融合装置
CN201572171U (zh) 一种棘突撑开装置
RU2456947C1 (ru) Способ восстановления тела позвонка при компрессионных переломах
RU2370232C2 (ru) Способ лечения деформаций тазового кольца
Lee et al. Traumatic thoracic spondyloptosis: a case report
RU2152187C1 (ru) Способ лечения множественных переломов таза и позвоночника
JP2005305079A (ja) 椎間板牽引治療器
RU2306895C1 (ru) Способ комбинированного остеосинтеза нестабильного повреждения таза с разрывом крестцово-подвздошного сочленения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