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64396B1 - golf training plate - Google Patents

golf training plat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64396B1
KR101864396B1 KR1020100000033A KR20100000033A KR101864396B1 KR 101864396 B1 KR101864396 B1 KR 101864396B1 KR 1020100000033 A KR1020100000033 A KR 1020100000033A KR 20100000033 A KR20100000033 A KR 20100000033A KR 101864396 B1 KR101864396 B1 KR 1018643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balance
upper frame
frame
horizont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0003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60124426A (en
Inventor
조길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카카오브이엑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카카오브이엑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카카오브이엑스
Priority to KR10201000000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64396B1/en
Publication of KR201601244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2442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643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6439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36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golf
    • A63B69/3661Mats for golf practice, e.g. mats having a simulated turf, a practice tee or a green area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7/00Sporting games or accessories therefor,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3B1/00 - A63B65/00
    • A63B67/02Special golf games, e.g. miniature golf or golf putting games played on putting tracks; putting practice apparatus having an elongated platform as a putting track
    • A63B2067/025Special golf games, e.g. miniature golf or golf putting games played on putting tracks; putting practice apparatus having an elongated platform as a putting track with incorporated means acting on the track surface for varying its topography, e.g. slop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5/00Miscellaneous features of sport apparatus, devices or equipment
    • A63B2225/09Adjustable dimensions
    • A63B2225/093Heigh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Photovoltaic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골프연습판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골프연습시설에서 타격연습을 위한 매트의 경사각 조절을 위한 장치로써, 경사각의 변화가 가능한 상부프레임; 상부프레임과 간격을 두고 설치된 베이스프레임; 베이스프레임의 방사형 외곽으로는 다수개의 구동체를 구비하고,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golf practice plate, and more particularly, to an apparatus for adjusting the inclination angle of a mat for batting practice in a golf practice facility, A base frame spaced apart from the upper frame; The radial outer frame of the base frame includes a plurality of driving bodies,

상기 구동체는 모터; 모터의 회전력을 받으며 상향으로 작동하는 스크류; 스크류의 회전으로 상하로 작동하는 작동블럭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The driving body comprising: a motor; A screw operating in an upward direction in response to the rotational force of the motor; And an operating block which is operated up and down by rotation of the screw,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중앙부에는 다수개의 벨런스스프링에 의해 하부가 지지되고, 상부프레임의 균형과 작동의 안정성을 높이도록 상부프레임을 지지하는 벨런스모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nd a balance module that supports the upper frame to support the lower part of the base frame by a plurality of balance springs and to improve stability and stability of the upper frame.

베이스프레임, 벨런스모듈, 구동체, 작동블럭 Base frame, balance module, driving body, operating block

Description

골프연습판{golf training plate}Golf training plate {golf training plate}

본 발명은 골프연습판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매트를 다양한 경사 위치로 형성시켜 스트로크 또는 스윙연습에 도움을 줄 수 있는 골프연습판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golf practice plate, and more particularly, to a golf practice plate capable of forming a mat at various inclined positions to assist in stroke or swing practice.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번호 제20-0298887(2002.12.10) "골프연습기의 경사유지장치"Korean Registered Utility Model No. 20-0298887 (Dec. 10, 2002) "Gradient Retention Device for Golf Exercise Machine"

골퍼들은 그들의 스트로크 또는 스윙 연습을 위해서 다양한 방법을 찾고 있으나 통상적으로 평편한 플랫 위에서 하는 연습방법은 실제 필드에서 발생될 수 있는 여러 가지 변수들을 모두 수용할 수 없었다.Golfers are looking for a variety of ways to practice their strokes or swings, but practice methods on flat flats in general have not been able to accommodate a variety of variables that can arise in the field.

근래에 들어 골프의 대중화로 인해 스트로크 또는 스윙 연습은 실제 필드와 극히 유사하게 주변 환경이 설정된 실내 또는 간이골프장을 이용하고 있는 추세이다.In recent years, due to the popularization of golf, stroke or swing practice is very similar to actual field, and indoor or indoor golf course using the surrounding environment is used.

이러한 환경은 통상 비거리를 향상시키거나 단순한 스트로크 연습을 향상시 키기 위한 장치들을 이용하여 시각적인 필드환경을 보강하는데 주안점을 두고 있다.These environments typically focus on enhancing visual field conditions using devices to improve distance or to improve simple stroke practice.

공지의 예로서,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번호 제20-0298887(2002.12.10) "골프연습기의 경사유지장치"는 매트를 다양한 기울기로 조절하기 위한 경사조절장치를 제공하여 실제 필드에서 발생할 수 있는 경사면 등에서의 퍼팅, 스윙 등을 연습하도록 하고 있다.As a known example, Korean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20-0298887 (Dec. 10, 2002) entitled " a slope holding device of a golf simulator "provides an inclination adjusting device for adjusting a mat at various slopes, Putting in the back, and swing.

상기 공지의 경사조절장치는 전동모터 등을 사용한 구동수단의 일방향에 스크류를 적용하여 구동수단이 동작하면 상기 스크류가 회전하고 스크류에 연동되게 장착한 구동모듈로 이루어진 잭킹부가 스크류의 동작에 따라 상하운동하며 경사조절장치를 상승 또는 하강시켜 매트의 경사를 조절하고 있다.In the known tilt adjustment device, a screw is applied to one direction of a driving means using an electric motor or the like. When the driving means is operated, a jacking portion composed of a driving module, which is rotated by the screw and interlocked with a screw, And the inclination of the mat is adjusted by raising or lowering the inclination adjusting device.

그러나 상기의 구조는 스크류와 연동하는 구동수단인 모터의 지지수단이 불안정한 구조이어 고유진동에 의해 전반적인 부품 수명이 단축되어 장기간 사용하면 필연적으로 잦은 고장이 발생할 수 밖에 없고, 또한 링크절로 이루어진 잭킹부에 스크루의 구동을 통해 동력을 전달하는 구조이므로 구조가 복잡해지는 한계가 있었다.However, in the above structure, since the supporting means of the motor, which is a driving means for interlocking with the screw, is structurally unstable, the overall service life of the component is shortened due to natural vibration, so that frequent failures necessarily occur when used for a long period of time. There is a limitation in that the structure is complicated because the structure transmits the power through the driving of the screw.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간단한 구조를 갖으면서 신뢰성 있는 작동상태를 제공하여 골퍼에게 최적인 연습환경을 마련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order to solve such a problem,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working environment that is optimal for a golfer by providing a reliable operating state while having a simple structure.

이를 위한 본 발명은 경사각의 변화가 가능한 상부프레임; 상부프레임과 간 격을 두고 설치된 베이스프레임; 베이스프레임의 방사형 외곽으로는 다수개의 구동체를 구비하고,To this end,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upper frame capable of changing a tilt angle; A base frame spaced apart from the upper frame; The radial outer frame of the base frame includes a plurality of driving bodies,

상기 구동체는 모터; 모터의 회전력을 받으며 상향으로 작동하는 스크류; 스크류의 회전으로 상하로 작동하는 작동블럭을 포함하는 승강부로 이루어지고,The driving body comprising: a motor; A screw operating in an upward direction in response to the rotational force of the motor; And an elevating portion including an operating block which is operated up and down by rotation of the screw,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중앙부에는 다수개의 벨런스스프링에 의해 하부가 지지되고, 상부프레임의 균형과 작동의 안정성을 높이도록 상부프레임을 지지하는 벨런스모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nd a balance module that supports the upper frame to support the lower part of the base frame by a plurality of balance springs and to improve stability and stability of the upper frame.

또한, 본 발명에 적용된 상기 작동블럭을 포함하는 승강부는 내벽과 외벽을 포함하고, 내벽과 외벽의 하부를 가로막는 이탈방지판이 일체로 형성되되,In addition, the elevating portion including the operating block applied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inner wall and an outer wall, and an escape preventing plate for blocking the inner wall and the lower portion of the outer wall is integrally formed,

내벽과 외벽 사이에는 복원스프링이 삽입되는 공간을 형성하고, 내벽의 내측으로는 스크류와 나사결합되는 스크류홈이 일체로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 space for inserting a restoring spring is formed between the inner wall and the outer wall, and a screw groove screwed with the screw is integrally formed on the inner side of the inner wall.

한편, 상기 작동블럭은, 작동블럭의 하부와 결합된 가이드판;On the other hand, the operating block includes a guide plate coupled to a lower portion of the operating block;

가이드판을 지지하면서 안내하는 한쌍의 가이드축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nd a pair of guide shafts guiding and guiding the guide plate.

또한, 상기 작동블럭은,In addition,

상기 복원스프링의 상부에 위치하는 승강판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nd a lifting plate positioned above the restoring spring.

더하여, 상기 벨런스모듈은,In addition,

베이스프레임의 상면에 위치하는 벨런스스프링들;A balance spring position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base frame;

상기 벨런스스프링들의 상단에 각기 위치하고, 하부를 이루는 좌우양단에 회전자가 설치되며, 격자형으로 배치된 벨런스판들;A plurality of balancing plates disposed at the upper ends of the balance springs and disposed at left and right ends of the lower portion of the balance springs, respectively;

상기 회전자와 접촉하고 벨러스판이 상하로 작동시 회전자를 안내하는 슬라이더들;Sliders which contact the rotor and guide the rotor when the bellows plate is operated up and down;

상기 벨런스판들의 상단에 위치하여 격자형으로 배치된 벨러스판들을 고정하는 수평판;A horizontal plate which is positioned at an upper end of the bending plates and fixes the bellows plates arranged in a lattice form;

상기 수평판의 중앙부에 설치된 관통홀을 관통하여 설치되고, 상부프레임의 저면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경사조절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nd a tilt adjusting means installed to penetrate a through hole provided at a central portion of the horizontal plate and rotatably installed on a bottom surface of the upper frame.

또한, 상기 경사조절수단은 수평판의 관통홀을 기준으로 일단 및 타단이 상하로 연장된 수평지지봉;In addition, the inclination adjusting means may include a horizontal support rod having one end and the other end extended vertically with respect to the through hole of the horizontal plate;

상기 수평지지봉의 일단 및 타단과 결합되는 스페이서;A spacer coupled to one end and the other end of the horizontal support rod;

상기 수평지지봉의 일단이 관통한 후 설치된 스페이서와 결합되는 균형판;A balance plate coupled with a spacer installed after the one end of the horizontal support bar penetrates;

상기 수평지지봉의 타단에 설치된 스페이서가 수평판의 저면에 고정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nd a spacer provided at the other end of the horizontal support rod is fix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horizontal plate.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 및 효과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확하게 되고,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나타내는 상세한 설명 및 실시 예는 본 발명의 범주를 제한하는 것이 아니다.Other object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apparent from the detailed description given hereinafter and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the examples that illustrate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따른 골프연습판에 의하면, 견고한 구조와 신뢰성 있는 구조로 인 해 장기간 사용하여도 구조상에 무리가 없는 골프연습판을 제공하여 실제 필드에서와 같이 매트를 다양한 경사 위치로 형성시켜 골퍼의 스트로크 또는 스윙연습에 도움을 줄 수 있는 효과가 발생한다.According to the golf practice plate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 golf practice plate which is easy to structure even when it is used for a long time due to its solid structure and reliable structure, so that the mat is formed at various inclined positions as in the actual field, Or an effect that can aid in swing practice.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하나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도면에 걸쳐 기능적으로 동일하거나, 유사한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한다.Hereinafter, one preferred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First, functionally identical or similar portions are give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throughout the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골프연습판의 설치상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골프연습판의 매트가 제거된 상태이다.FIG. 1 is a view showing an installation state of a golf exercise plat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state in which a mat of the golf practice plat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removed.

특히 도 2는 상부프레임(C)을 구성하는 일부 판재류를 제거하여 구조를 보다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한 도면으로 상부프레임(C)의 표면은 전체적으로 평평한 상태를 갖는다.Particularly, FIG. 2 is a view in which a part of the planar members constituting the upper frame C is removed so that the structure can be more easily understood. The surface of the upper frame C is entirely flat.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매트(M1,M2)는 인조잔디를 포함한 연질의 재질로 이루어져 있으며, 장방형의 판으로 이루어져 있다.As shown in FIG. 1, the mat (M1, M2) is made of a soft material including artificial turf and is made of a rectangular plate.

매트(M)는 크기가 다른 2부분으로 나뉘어져 있으며, 상대적으로 작은 크기로 이루어진 매트(M1) 상에 골프공이 위치하고, 보다 큰 매트(M2)의 상에 골퍼가 위치한다.The mat (M) is divided into two parts having different sizes. A golf ball is placed on a relatively small-sized mat (M1), and a golfer is placed on a larger mat (M2).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매트(M1,M2)의 하부에는 상부프레임(C)이 위치하고 있다. 상부프레임(C)은 매트(M1,M2)가 이탈되지 않도록 매트(M1,M2)가 안착되며, 내부로는 후술할 구동체(P), 벨런스모듈(B) 등이 결합된다.As shown in FIG. 2, an upper frame C is positioned below the mats M1 and M2. The upper frame C is seated with the mat members M1 and M2 so that the mat members M1 and M2 are not separated and the driving member P and the balance module B to be described later are coupled to the inside.

이러한 상부프레임(C)의 하측으로 일정한 공간을 두고 베이스프레임(F)이 더 설치된다.A base frame (F) is further provided with a certain space below the upper frame (C).

도 2는 상태로서 상부프레임(C)과 베이스프레임(F)의 구체적인 구조를 보여주고 있으며, 도 3은 상부프레임(C)이 제거된 상태에서 구동체(P)와 벨런스모듈(B)의 구체적인 설치상태를 보여주고 있다.3 shows the specific structure of the driving body P and the balance module B in a state in which the upper frame C is removed. Fig. 3 shows a detailed structure of the upper frame C and the base frame F, It shows the installation status.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프레임(C)과 베이스프레임(F)의 일정공간 사이에는 구동체(P)가 설치되어 있으며, 이 구동체(P)는 베이스프레임(F) 내부에서 각 모서리에 4개가 설치되어 있다. 이때 구동체(P)의 배치는 힘의 전달을 고려하여 좌우대칭이 되도록 적용하는 것이 좋다2 and 3, a driving body P is provided between the upper frame C and a certain space of the base frame F, and the driving body P is fixed to the inside of the base frame F Four in each corner. 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o arrange the driving body P so as to be symmetrical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in consideration of the transmission of the force

구동체(P)의 상부로는 상부프레임(C)과 결합되는 승강판(210)이 설치되고, 구동체(P)의 저면으로는 구동베이스(300)가 설치되며, 구동베이스(300)는 베이스프레임(F)과 결합되어 있다.The drive base 300 is install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drive body P and the drive base 300 is mount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drive body P, And is coupled to the base frame (F).

베이스프레임(F) 중앙부에는 벨런스모듈(B)이 더 설치되어 있으며, 벨런스모듈(B)의 상부에는 균형판(510)이 설치되어 있으며 균형판(500)은 상부프레임(C)과 결합된다.A balance module B is further provided at a central portion of the base frame F and a balance plate 510 is provid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balance module B and the balance plate 500 is coupled to the upper frame C. [

이때, 균형판(500)이 상부프레임(C)과 결합되는 위치는 대략적으로 상부프레임(C)의 중앙부이며, 상부프레임(C)과 베이스프레임(F)의 중앙부는 동일 축선상에 위치하게 된다.At this time, the position where the balance plate 500 is engaged with the upper frame C is approximately the center portion of the upper frame C, and the center portion of the upper frame C and the base frame F are located on the same axis line .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구동체(P)의 조립도이며 작동블럭(250)은 하강한 상태이며, 도 5는 발명에 따른 구동체(P)의 조립도이며, 작동블럭(250)은 상승한 상 태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시의 편의상 지지판(295)을 제거한 상태를 보여주고 있다.5 is an assembled view of the driving body 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actuating block 250 is moved in the upward direction And shows a state in which the support plate 295 is removed for convenience of illustration.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프레임(F)으로는 구동베이스(300)가 설치되어 있으며, 이 구동베이스(300) 상에는 구동체(P)의 모터(100)가 설치되어 있다.4 and 5, a base frame F is provided with a drive base 300, and a motor 100 of the drive body P is mounted on the drive base 300. As shown in FIG.

모터(100)에는 수직상방으로 향하도록 작동하는 스크류(150)의 하단부가 모터(100)의 작동축에 결합되어 모터(100)의 회전력을 전달받도록 결합되어 있으며, 타측으로 연장된 스크류(150)는 작동블럭(250)의 미도시된 스크류홈(255)에 삽입되어 있다.The motor 100 has a screw 150 coupled to the operating shaft of the motor 100 to receive the rotational force of the motor 100 and a screw 150 extending to the other side of the screw 150, Is inserted into the unillustrated screw groove 255 of the actuating block 250.

작동블럭(250)은 스크류(150)와 나사결합되어 있으며, 스크류(150)는 모터(100)에 의해서 정, 역회전하고, 작동블럭(250)과 스크류(150)는 일체로 연동되어야만 스크류(150)의 정 또는 역회전에 따라 작동블럭(250)이 상하로 작동하게 된다.The operation block 250 is screwed to the screw 150. The screw 150 is rotated in the forward and reverse directions by the motor 100 and the operation block 250 and the screw 150 are integrally linked. 150, the actuating block 250 is operated up and down.

한편, 스크류(150)의 정, 역회전에 따라 작동블럭(250)이 연동되어 회동하지 않도록 하여야만 작동블럭(250)이 상하로 움직일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작동블럭(250)에는 수평으로 연장되고, 작동블럭(250)과 일체화되는 가이드판(260)이 설치된다.Meanwhile, the actuating block 250 can be moved up and down only when the actuating block 250 interlocks with the screw 150 so as not to pivot. Thus, the actuating block 250 is provided with a guide plate 260 extending horizontally and integrated with the actuating block 250.

이러한 가이드판(260)을 관통하여 가이드축(290)이 설치되고, 다시 가이드판(260)과 일체화된 작동블럭(250)은 가이드축(290)의 안내를 받으며 회동하지 않고 상하로 움직인다.An operation block 250 integrally formed with the guide plate 260 is guided by the guide shaft 290 and moves up and down without turning.

이때 가이드축(290)의 하단은 구동베이스(300) 상에 고정되고 상단은 지지판(295)에 고정되며, 또한 지지판(295)은 양측면이 하방으로 연장되어 구동베이스(300)에 고정되도록 하여 가이드축(290)의 유동을 방지한다.At this time, the lower end of the guide shaft 290 is fixed on the driving base 300, the upper end is fixed to the supporting plate 295, and the supporting plate 295 is extended downward to be fixed to the driving base 300, Thereby preventing the flow of the shaft 290.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구동체(P)에 구성되는 승강부(200)의 분해 사시도로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동블럭(250)에는 이탈방지판(240)이 더 설치되어 있고, 이탈방지판(240)에는 일정한 길이를 가지는 고정파이프(230)가 결합된다.FIG. 6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lifting unit 200 constituting the driving body 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6, the operation blocking member 250 further includes a separation preventing plate 240 And the fixing pipe 230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is coupled to the separation preventing plate 240.

고정파이프(230)의 내부로는 복원스프링(220)이 삽입되며, 복원스프링(220)의 바닥면은 이탈방지판(240)에 안착되고, 복원스프링(220)은 고정파이프(230)의 상단을 지나 적당한 길이로 연장된다.The restoring spring 220 is inserted into the fixed pipe 230 and the bottom surface of the restoring spring 220 is seated on the escape prevention plate 240. The restoring spring 220 is disposed on the upper side of the fixed pipe 230, To a suitable length.

자세히 설명하면, 고정파이프(230)의 내부면으로 외벽을 형성하고 작동블럭(250)의 외부면으로는 내벽을 이루어, 외벽의 하부를 가로막으며 내벽과 결합되는 이탈방지판(240)이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의 내벽과 외벽 사이에는 복원스프링(220)이 삽입되는 공간을 형성하고, 내벽의 내측으로는 스크류(150)와 나사결합되는 미도시된 스크류홈(255)이 일체로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구조이다.In detail, an outer wall is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fixed pipe 230, an inner wall is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actuating block 250, a detachment prevention plate 240 which intercepts a lower portion of the outer wall, A space for inserting the restoring spring 220 is formed between the inner wall and the outer wall, and a screw groove 255, which is screwed with the screw 150, is integrally formed on the inner side of the inner wall. Structure.

복원스프링(220)의 상부에는 승강판(210)이 결합되어 있으며, 승강판(210)은 본 발명인 '골프연습판'에서 경사도를 구현하게 되는 상부프레임(C)과 결합된다.A lifting plate 210 is coupl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restoring spring 220. The lifting plate 210 is engaged with an upper frame C which is to be inclined in the golf practice plate of the present invention.

상부프레임(C) 상부에는 매트(M1,M2)가 장착되고, 매트(M1,M2) 상부는 골퍼가 서게 되는 위치이다.Mats M1 and M2 are mount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upper frame C and upper portions of the mats M1 and M2 are where the golfer stands.

나중에 설명하겠지만 전술한 구조로 인해 복원스프링(220)에는 상부프레임(C)에서 하중과 경사도가 전해지므로 복원스프링(220)은 일정한 길이와 탄성력을 가지고 있어야 한다.As will be described later, the restoring spring 220 must have a certain length and elasticity because the load and the tilt are transmitted from the upper frame C to the restoring spring 220 due to the above-described structure.

고정파이프(230)의 내부 직경은 복원스프링(220)의 복원력과 탄성력을 저해하지 않는 범위에서 복원스프링(220)의 수평 유동이 제한되도록 설정되어야 한다.The inner diameter of the fixing pipe 230 should be set so that the horizontal flow of the restoring spring 220 is limited within a range that does not hinder the restoring force and the elastic force of the restoring spring 220.

이때, 고정파이프(230)의 길이는 복원스프링(220)에 전해지는 충격이나 경사를 구현할 때의 휨 등을 고려하여 설정하여야 한다.At this time, the length of the fixed pipe 230 should be set in consideration of the shock transmitted to the restoring spring 220 or the warp when the tilting is implemented.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벨런스모듈(B)의 사시도이고, 도 3 및 도 7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벨런스모듈(B)의 상부에는 균형판(500)이 설치되어 있으며, 균형판(500)은 상부프레임(C)과 결합되는 구조로서 벨런스모듈(B)은 베이스프레임(F) 상에 설치된다.3 and 7, a balancing plate 500 is installed on an upper portion of the balancing module B, and the balancing plate 500 is disposed on the upper side of the balancing module B, The balance module B is mounted on the base frame F as a structure to be coupled with the upper frame C. [

도 3에도 도시된 바와 같이, 벨런스스프링(520)의 하단은 베이스프레임(F)에 고정되어 있다. 또한 벨런스스프링(520)의 상단은 벨런스판(550)의 수평부분에 접하여 벨런스스프링(520)의 탄성력이 벨런스판(550)에 전달되도록 구성되어 있다.3, the lower end of the balance spring 520 is fixed to the base frame F. As shown in Fig. The upper end of the balance spring 520 is configured to be in contact with the horizontal portion of the balance plate 550 so that the elastic force of the balance spring 520 is transmitted to the balance plate 550.

벨런스판(550)은 높이방향 즉, 수직상방으로 적절한 높이로 연장되어 있으며 그 상단은 전체적으로 수평 형상을 가진 수평판(530)과 결합된다.The balancing plate 550 extends at a suitable height in the height direction, that is, vertically upward, and the upper end thereof is joined to the horizontal plate 530 having a generally horizontal shape.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벨런스모듈(B)에 적용되는 경사조절수단의 분해사시도이다.8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tilt adjusting means applied to the balance module B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경사조절수단을 포함하고 있으며, 경사조절수단은 수평지지봉(520) 및 아래와 같은 구성들을 선택적으로 포함하고 있다.As shown in FIG. 8,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inclination adjusting means, which selectively include a horizontal support rod 520 and the following components.

수평지지봉(520)의 하단부는 수평판(530)을 관통하고 아래로 연장되어 경사조절이나 과도한 충격 등으로 인하여 균형판(500)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막이판(525)과 결합되어 있다.The lower end of the horizontal support rod 520 penetrates through the horizontal plate 530 and extends downward to be coupled with the plate 525 to prevent the balance plate 500 from being detached due to inclination adjustment or excessive impact.

수평지지봉(520)의 일단인 상단부는 스페이서(510)를 관통한 후 다시 비교적 넓은 수평 면적은 가지고 있는 균형판(500)과 결합된다. 이때 수평지지봉(520)은 단면을 원형으로 하는 것이 간단하며, 수평판(530)에는 수평지지봉(520)의 원형단면에 대응하는 원형의 관통홀(535)을 둔다.The upper end, which is one end of the horizontal support rod 520, is coupled with the balance plate 500 having a relatively large horizontal area after passing through the spacer 510. At this time, it is simple that the horizontal support rod 520 has a circular cross section, and a circular through hole 535 corresponding to the circular cross section of the horizontal support rod 520 is placed in the horizontal plate 530.

수평판(530)을 관통한 관통홀(535)은 수평지지봉(520)의 직경에 대응하는 일정한 유격을 유지하고 있다.The through holes 535 passing through the horizontal plate 530 maintain a constant clearance corresponding to the diameter of the horizontal support rods 520. [

수평판(530)을 관통한 관통홀(535)을 중심으로 수평지지봉(520)이 수평으로 움직일 수 있는 유동간극이 설정되어 있으며, 수평판(530)과 결합된 수평지지봉(520)은 위아래로 움직일 수 있는 상하간극을 가지고 있다.A horizontal gap between the horizontal support rods 520 is set so that the horizontal support rods 520 can move horizontally around the through holes 535 passing through the horizontal plate 530. The horizontal support rods 520 coupled with the horizontal plates 530 are moved up and down It has up and down clearance that can move.

상기에서 설명한 수평지지봉(520)의 유동간극과 상하간극은 스페이서(510)의 높이 및 직경과 함께 작용하여 상부프레임(C)과 결합된 균형판(500)이 기울어지며 자연스럽게 여러 방향으로의 경사를 구현할 수 있다.The above-described flow gap and upper and lower gap of the horizontal support rod 520 together with the height and diameter of the spacer 510 cause the balance plate 500 coupled with the upper frame C to be inclined and naturally slope in various directions Can be implemented.

벨런스판(550)의 높이 방향으로 연장된 수직부분은 좌우로 상호 대칭되는 형상으로 연장되어 양단에 회전운동을 하는 회전자(555)가 각각 부착된다.Vertical portions extending in the height direction of the balance plate 550 are attached to the rotors 555 that extend in mutually symmetrical shapes so as to rotate at both ends.

이때 회전자(555)의 외부 직경은 벨런스판(550) 종단부의 바깥부분에 위치하여 회전자(555)의 회전운동에 간섭이 발생하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다.At this time, the outer diameter of the rotor 555 is located at the outer portion of the end portion of the balancing plate 550, so that no interference is generated in the rotational motion of the rotor 555.

회전자(555)에는 회전자(555)와 접하는 슬라이더(590)가 베이스프레임(F) 상에서 수직 상향으로 더 설치되어 있으며, 슬라이더(590)의 표면으로는 벨런스판(550)의 양단에 위치한 회전자(555)가 수직상하로 유동할 수 있는 간격을 이루며 회전자(555)의 원주 외경과 접하고 있다.A slider 590 which is in contact with the rotor 555 is further vertically upwardly disposed on the base frame F. The surface of the slider 590 is provided with The electrons 555 are in contact with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circumference of the rotor 555 at an interval at which the electrons 555 can flow vertically up and down.

따라서, 슬라이더(590)의 표면으로는 회전자(555)가 유동하므로 수직방향의 길이는 회전자(555)의 움직임에 따라 일정한 높이를 가지고 있으며, 표면 상태는 회전자(555)의 회전운동을 고려한 매끄러운 평면 상태이다.Therefore, since the rotor 555 flows on the surface of the slider 590, the length in the vertical direction has a constant height in accordance with the movement of the rotor 555, and the surface state is a rotational movement of the rotor 555 It is a smooth flat state considering.

다시, 수평판(530)에는 상기 벨런스판(550)과 슬라이더(590)가 최소 3개 이상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벨런스모듈(B) 내부를 기준으로 보면 다각형의 구조를 갖고 있다.The flat plate 530 is formed of at least three pieces of the balance plate 550 and the slider 590 and has a polygonal structure when viewed from the inside of the balance module B. [

각각의 슬라이더(590)가 배치된 부위를 다각형의 꼭지점으로 하여 그 다각형의 각각의 선상에 각각 회전자(555)가 부착된 벨런스판(550)을 배치하며, 회전자(555)는 슬라이더(590)에 접하여 유동할 수 있는 구조를 이룸으로써, 벨런스모듈(B)의 평면형상이 삼각형, 사각형 오각형 등의 폐쇄되어 있는 도형의 형태를 취하도록 배치되는 것이다.The balancer 550 having the rotor 555 attached thereto is disposed on each line of the polygon while the portion where each slider 590 is disposed is a vertex of the polygon. So that the plane shape of the balance module B is arranged to take the form of a closed figure such as a triangle or a quadrangular pentagon.

평면으로 보면 상기에서 설명한 폐쇄되어 있는 도형인 다각형의 모서리에 해당하는 부분에 설치된 슬라이더(590)를 기준으로 벨런스모듈(B)의 다른 구성품이 슬라이더(590)의 내부공간에 위치하는 형상이다.The other components of the balance module B are located in the inner space of the slider 590 on the basis of the slider 590 provided on a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corner of the polygon which is the closed figure described above.

또한, 측면에서 보면 벨런스스프링(520)이 벨런스판(550) 아래에서 지지하며 탄성력을 가지는 형태로써, 벨런스판(550)의 양쪽 종단에 구성된 회전자(555)가 외부에 위치한 슬라이더(590)의 표면을 따라 상하로 유동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The balancer spring 520 is supported under the balancer plate 550 and has a resilient force so that the rotor 555 disposed at both ends of the balancer plate 550 is positioned on the outer side of the slider 590 And is vertically movable along the surface.

더불어 벨런스모듈(B) 상부에 위치한 균형판(500)은 상부프레임(C)과 결합된 형태이다.In addition, the balance plate 500 located above the balance module B is coupled with the upper frame C.

벨런스모듈(B)이 이러한 다각형 형상의 구성을 이루는 이유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벨런스판(550)에 배치되어 있는 여러 개의 회전자(555)들이 슬라이더(590) 내부에서 유동하는 구조를 이루어서 상부프레임(C)을 통해 전달되는 하중에서 기인한 압축력을 최대한 이용하여 벨런스스프링(520)의 복원력으로 활용하기 위함이다.The reason why the balance module B has such a polygonal configuration is that a plurality of rotors 555 disposed on the balance plate 550 flow inside the slider 590 as described later, C as a restoring force of the balance spring 520 by maximally utilizing the compressive force due to the load transmitted through the balance spring 520. [

위와 같은 복원력으로 상부프레임(C)과 결합되어 있는 벨런스모듈(B)이 상부프레임(C)의 경사조절시 발생하는 이상동작을 최소화하여 이용자의 안정감을 최대화하기 위함이다.The balance module B coupled to the upper frame C with the above restoring force minimizes an anomalous operation caused when the upper frame C is inclined, thereby maximizing the user's sense of security.

이 실시 예에서 벨런스모듈(B)의 형상을 사각형의 형상으로 택한 것은 실시의 편의성이 극대화되기 때문이다. 즉 벨런스모듈(B)의 전체적인 평면 모습을 사각형상으로 실시하면 전체적인 부분품들이 대부분 수직을 이루므로 제작이 비교적 쉽고 실시 오차측정이 단순하기 때문이다.This is because, in this embodiment, the shape of the balance module B is selected as a rectangular shape because the convenience of implementation is maximized. That is, if the entire flat surface of the balance module (B) is formed in a rectangular shape, since the entire parts are mostly vertical, the manufacturing is relatively easy and the measurement of the operating error is simple.

전술한 복원스프링(220)과 벨런스스프링(520)은 상부프레임(C)을 통해 전달되는 하중에 따른 압축력이 가해지면 원래의 형상으로 복귀하는 탄성력과 복원력을 가지고 있어야하며, 바람직한 형상은 하중을 가하지 않은 상태에서 상부면와 하부면의 형상이 가급적 평평한 수평상태로 이루어져 있어 지표면에 세웠을 때 수직상태로 직립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좋다.The restoring spring 220 and the balance spring 520 must have elasticity and restoring force to return to the original shape when a compressive force is applied according to the load transmitted through the upper frame C, It is preferable that the upper surface and the lower surface are formed in a horizontal state as flat as possible so that they can stand upright in a vertical state when standing on the ground surface.

복원스프링(220)과 벨런스스프링(520)에 적용하는 각각의 스프링 복원력 크기는 상부프레임(C)의 크기, 구동체(P)의 적용위치, 벨런스스프링(520)의 적용수량 등에 따라 적절하게 선정되어야 한다.The spring restoring forces applied to the restoring spring 220 and the balance spring 520 are appropriately selected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upper frame C, the application position of the driving body P, the applicable amount of the balance spring 520, .

이제 구동체(P)의 동작을 통해 매트(M1,M2)를 포함한 상부프레임(C)이 경사 가 조절되는 작동과정을 도 9 및 도 10을 통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9 and 10, an operation of the upper frame C including the mats M1 and M2 through the operation of the driving body P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체(P)는 하강된 상태이며 본 발명인 '골프연습판'은 수평상태이고, 상부프레임(C) 역시 수평상태를 이루고 있다.As shown in FIG. 9, the driving body P is in a lowered state, and the 'golf practice plat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 a horizontal state, and the upper frame C is also in a horizontal state.

전술하였지만 본 실시 예에서 베이스프레임(F)의 모서리에는 4개의 구동체(P)가 구동베이스(300) 상에 설치되어 있으며, 구동베이스(300)는 베이스프레임(F)에 결합되어 있다.In the present embodiment, four driving bodies P are provided on the driving base 300 at the corners of the base frame F and the driving base 300 is coupled to the base frame F.

구동베이스(300)에 설치된 지지판(295)은 가이드축(290)의 수직상태를 유지하고 있으며, 작동블럭(250)과 일체화되어있는 가이드판(260)은 가이드축(290)에 관통되어 가이드축(290)의 안내에 따라 작동블럭(250)을 포함하고 있는 승강부(200)를 상향으로 안내한다.The guide plate 260 installed in the drive base 300 maintains the vertical state of the guide shaft 290 and the guide plate 260 integrated with the operation block 250 is passed through the guide shaft 290, The lifting unit 200 including the actuating block 250 is guided upward according to the guidance of the lifting unit 290.

이때, 구동베이스(300) 상에 설치된 모터(100)가 회전하면 스크류(150)는 모터(100)의 회전력으로 회전을 시작하고, 스크류(150)와 스크류홈(255)을 통하여 나사 결합되어 있는 작동블럭(250)은 상향으로 이동하게 되며, 작동블럭(250)의 이동에 따라 승강부(200)는 상향으로 이동하게 된다.At this time, when the motor 100 installed on the driving base 300 rotates, the screw 150 starts to rotate by the rotational force of the motor 100 and is screwed through the screw 150 by the screw 150 The actuating block 250 is moved upward and the lifting part 200 is moved upward as the actuating block 250 moves.

모터(100)가 작동을 멈추면 스크류(150)도 작동을 멈추게 되고, 작동블럭(250)과 함께 승강부(200)도 정지하게 된다. 이 상태는 승강부(200)가 일정한 거리가 이동된 상태이다.When the motor 100 stops operating, the screw 150 also stops operating, and the elevating portion 200 stops with the operating block 250. This state is a state in which the lifting unit 200 is moved a certain distance.

승강부(200)가 일정한 거리가 이동된 상태는 도 10에 도시되어 있으며, 작동블럭(250)의 수직 상방 운동에 따라 작동블럭(250)을 포함하고 있는 승강부(200)가 일정한 거리를 상향으로 이동한 상태이다.10 shows a state in which the lifting unit 200 is moved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the lifting unit 200 including the lifting unit 250 is lifted up by a predetermined distance in accordance with the vertical upward movement of the lifting unit 250 As shown in FIG.

전술하였지만, 승강부(200)에는 복원스프링(220)이 장착되어 있고, 복원스프링(220)의 상단에는 승강판(210)이 위치하고 있으며, 승강판(210)은 상부에 다시 상부프레임(C)과 결합되어 있어 승강부(200)가 일정한 거리를 상향으로 이동하면 장방형인 상부프레임(C)의 일측이 상승하게 되어 전체적으로 보면 상부프레임(C)의 경사가 변화하게 된다.The recovery spring 220 is mounted on the lifting part 200 and the lifting plate 210 is positioned on the upper end of the restoring spring 220. The lifting plate 210 is further provided with the upper frame C, So that one side of the rectangular upper frame C rises and the inclination of the upper frame C changes as a whole when the elevating part 200 moves upward by a certain distance.

이 작동 예에서 상부프레임(C)의 경사가 없는 수평상태를 전제로 하였으므로 위와 같은 작동이 가능하다.In this operation example, since the horizontal state in which the upper frame C is not inclined is assumed, the above operation is possible.

승강부(200)가 일정한 거리를 상승하여 상부프레임(C)이 경사를 가지게 되면, 상부프레임(C)에 결합되어 있는 승강판(210)도 상부프레임(C)과 평행하게 경사를 가지게 된다.The lifting plate 210 coupled to the upper frame C also has a slope in parallel with the upper frame C when the lifting part 200 ascends a certain distance and the upper frame C is inclined.

전술한 바와 같이, 복원스프링(220)은 이탈방지판(240)으로 하부가 지지되고 있고, 일정한 길이를 가지는 고정파이프(230)로 수평방향으로의 유동이 제한되어 있으므로, 승강판(210)의 하부에 체결되어 있는 복원스프링(220)은 스프링이 가지는 고유의 탄성 특성 때문에 승강판(210)과 함께 상부프레임(C)의 경사 방향으로 경사를 가지게 된다.As described above, the restoration spring 220 is supported by the detachment prevention plate 240 and the flow of the restoration spring 220 in the horizontal direction is limited by the fixed pipe 230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Therefore, The restoration spring 220 fastened to the lower portion has an inclination in an oblique direction of the upper frame C together with the lift plate 210 because of the inherent elastic characteristics of the spring.

또한, 상부프레임(C)이 승강판(210)과 함께 다시 수평상태로 복귀하면 스프링의 고유한 탄성 특성 때문에 복원스프링(220)은 수평상태로 복원하게 된다.When the upper frame C is returned to the horizontal state together with the lifting plate 210, the restoring spring 220 is restored to the horizontal state due to the inherent elastic characteristics of the spring.

상부프레임(C)은 도 2와 도 3에서와 같이 베이스프레임(F)에 안착된 4개의 구동체(P)에 의해 지지되어 있으며 전체적으로 장방형으로 구성된 베이스프레임을 지지하고 있으므로, 각 구동체(P)에 장착된 승강부(200)의 상승 높이를 달리함으로 써 베이스프레임(F)의 경사도를 만들어 낼 수 있어 결과적으로 본 발명의 목적에 따라 매트(M1,M2)의 경사를 조절하게 된다.The upper frame C is supported by the four driving bodies P seated on the base frame F as shown in FIGS. 2 and 3 and supports the entirely rectangular base frame, The inclination of the base frame F can be produced by varying the elevation height of the elevating part 200 mounted on the elevating part 200. As a result, the inclination of the mat M1 and M2 can be adjusted according to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물론 상승된 상태의 구동체(P)에 장착된 승강부(200)를 하강시키는 동작은 상승의 동작과 역방향의 동작을 수행하면 된다.Of course, the operation of lowering the lifting part 200 mounted on the driven body P in an elevated state may be performed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the lifting operation.

이제 구동체(P)의 동작에 통해 매트(M1,M2)를 포함한 상부프레임(C)이 경사조절 될 때 벨런스모듈(B)의 동작을 다시 도 9 및 도 10을 통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The operation of the balance module B will now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9 and 10 again when the upper frame C including the mat (M1, M2) is inclined through the operation of the driving body P.

전술하였지만 벨런스모듈(B)의 하부는 베이스프레임(F)의 중앙부에 결합되어 있으며, 벨런스모듈(B)의 상부에는 균형판(500)이 위치하고 있으며, 균형판(500)은 상부프레임(C)의 중앙부과 결합되어 있다.The lower part of the balance module B is coupled to the central part of the base frame F and the balance plate 500 is positioned on the upper part of the balance module B, As shown in FIG.

도 9에서 베이스프레임(F)에 설치된 구동체(P)는 모두 하강한 상태이며 본 발명인 '골프연습판'은 수평상태이다.In FIG. 9, all the driving bodies P provided on the base frame F are in a descended state, and the golf practice plat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 a horizontal state.

이러한 수평상태는 상부프레임(C) 역시 마찬가지이며, 벨런스모듈(B)은 상부프레임(C)에서 가해지는 하중에 의해 아래로 하강하였으며 수평상태이다.This horizontal state is also the same for the upper frame C, and the balance module B is lowered by the load applied to the upper frame C and is in a horizontal state.

이때 벨런스스프링(520)은 상부프레임(C)의 하중에 의해 압축되어 있는 상태이다. 따라서 벨런스스프링(520)의 길이와 탄성력의 선정은 중요하다.At this time, the balance spring 520 is in a state of being compressed by the load of the upper frame (C). Therefore, the selection of the length and elastic force of the balance spring 520 is important.

벨런스스프링(520)이 최대한 압축되었을 때의 길이는 구동체(P) 모두가 최하부까지 이동했을 때이며, 이때의 길이가 벨런스모듈(B)이 베이스프레임(F)과 상부프레임(C)의 변형을 유발하지 않는 길이이어야 한다.The length when the balance spring 520 is compressed to the maximum is the time when all the driving bodies P have moved to the lowermost portion and the length of the balance spring 520 is set such that the balance module B deforms the base frame F and the upper frame C It should be a length that does not induce.

또한 벨런스스프링(520)이 최대한 신장되었을 때의 길이는 베이스프레임(F) 에 모서리에 4개가 설치된 구동체(P) 모두가 최상부까지 이동했을 때이며, 이때의 길이가 벨런스모듈(B)과 베이스프레임(F) 사이에 이격공간이 생기거나, 벨런스스프링(520)이 최초에 생산된 길이 이상으로 늘어나지 않도록 길이가 선정되어야한다.The length when the balance spring 520 is maximally stretched is when all the driving bodies P having four corners on the base frame F are moved to the uppermost position, The spacing space should be provided between the ball springs 520 and the ball springs 520 so that the ball springs 520 do not extend beyond the initially produced length.

벨런스모듈(B)은 별도의 동력원이 내장되어 있지 않고 모터(100)라는 동력원이 있는 구동체(P)의 동작에 의하여 상부프레임(C)이 경사를 가질 때 유동하는 구조이다.The balance module B is a structure in which a separate power source is not built and flows when the upper frame C is inclined by the operation of the driving body P having the power source of the motor 100. [

구체적으로 벨런스모듈(B)의 유동은 벨런스모듈(B)의 구성품인 벨런스스프링(520)이 벨런스판(550) 하부에서 벨런스모듈(B)을 지지하며 상부프레임(C)의 유동에 따른 압축에 따른 탄성으로 유동한다.The balance spring 520 which is a component of the balance module B supports the balance module B under the balance plate 550 and is compressed in accordance with the flow of the upper frame C As shown in Fig.

도 9의 상부프레임(C)과 벨런스모듈(B)이 수평인 상태에서 구동체(P)가 동작하면, 도 10의 상태인 상부프레임(C)과 벨런스모듈(B)에 있는 균형판(500)이 경사를 가지는 상태로 변화하게 된다.When the driving body P operates in a state in which the upper frame C and the balance module B in Fig. 9 are horizontal, the upper frame C in the state of Fig. 10 and the balance plate 500 in the balance module B ) Changes in a state having an inclination.

다시 말하면 도 10의 상태는 구동체(P)의 승강부(200)가 상승하여 상부프레임(C)이 경사를 가지어 벨런스모듈(B)의 구성품인 균형판(500)은 상부프레임(C)의 경사 변화에 따라 경사도가 변화하게 된 상태이다.10 is a state in which the lifting part 200 of the driving body P rises and the upper frame C is inclined so that the balance plate 500, which is a component of the balance module B, The inclination is changed in accordance with the inclination change of the inclination.

상부프레임(C)이 경사가 변화할 때 벨런스모듈(B)에서의 변화는 다음과 같다.The change in the balance module B when the inclination of the upper frame C changes is as follows.

균형판(500)과 상부프레임(C)이 경사가 변화하면 높이의 변화가 발생하며 수평지지봉(520)은 균형판(500)과 함께 경사의 변화가 일어나고, 균형판(500)과 결합된 수평지지봉(520)의 유동간극과 상하간극 그리고 스페이서(510)의 높이 및 직경 이 함께 작용되기 때문에 균형판(500)은 경사변화가 가능하다.When the inclination of the balance plate 500 and the upper frame C is varied, the height of the horizontal support bar 520 changes along with the balance plate 500, The balance plate 500 can be changed in inclination since the flow gap and the upper and lower gap of the support rod 520 and the height and diameter of the spacer 510 work together.

이때 수평지지봉(520) 아래에 위치한 수평판(530)에는 4개의 벨런스판(550)이 사방에 결합되어 있으며, 압축되어 있던 벨런스스프링(520)은 벨런스판(550)의 하부에서 탄성력으로 벨런스판(550)을 위로 밀어 올리는 작용을 한다.At this time, four balance plates 550 are attached to the horizontal plate 530 located below the horizontal support rods 520 and the compressed balance spring 520 is pressed against the balance plate 550 by the elastic force at the lower portion of the balance plate 550, (550).

벨런스판(550) 양단의 회전자(555)는 회전자(555) 외부에 위치한 슬라이더(590)의 표면을 따라 움직이며 벨런스판(550)과 결합된 수평판(530)이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여 벨런스스프링(520)의 탄성력이 벨런스모듈(B)에 충분히 전달되게 한다.The rotor 555 at both ends of the balancing plate 550 moves along the surface of the slider 590 located outside the rotor 555 and the horizontal plate 530 coupled with the balancing plate 550 is detached from the outside So that the elastic force of the balance spring 520 is sufficiently transmitted to the balance module B.

벨런스모듈(B)은 수직상하로 운동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상부프레임(C)의 중앙부에 결합되어 있으므로, 벨런스모듈(B)은 상부프레임(C)의 전체적인 위치를 고정하며 상부프레임(C)의 균형을 유지하는 역할을 더 수행한다.The balance module B is configured to move vertically up and down and is coupled to the center of the upper frame C so that the balance module B fixes the overall position of the upper frame C, As shown in Fig.

즉 상부프레임(C)이 경사를 가지게 되면, 상부프레임(C)의 하중이 어느 한쪽으로 작용하여 상부프레임(C)전체가 이탈되는 현상이 생길 수 있으므로, 수직상하로 운동을 하는 벨런스모듈(B)은 중앙에서 상부프레임(C)을 구속하여 이탈되는 현상을 방지한다.That is, when the upper frame C is inclined, the load of the upper frame C may be exerted on one side of the upper frame C, Prevent the phenomenon that the upper frame C is detached from the center.

통상적으로 모터(100)는 사용시간이나 제작특성 등 여러 변수에 따라 동일한 속도를 가지기 어려운 것이 현실이고, 본 발명에서는 상부프레임(C)이 경사를 가지기 위해서는 최소 2개의 모터(100)가 동시에 구동되므로 구동되는 모터(100)의 속도차이가 발생하면 상부프레임(C)의 상승과 하강동작은 불안정한 모습을 가지게 되어 매트(M1,M2) 위에 있는 이용자로 하여금 불안감을 유발시킨다.In the present invention, at least two motors 100 are simultaneously driven so that the upper frame C has an inclination. In this case, When the speed difference of the driven motor 100 is generated, the upward and downward movements of the upper frame C become unstable, which causes the user on the mat (M1, M2) to feel uneasy.

그러나, 본 발명에 적용된 복원스프링(220)은 상부프레임(C)과 매트(M1,M2)의 하중으로 일정정도 압축되어 있는 상태이고, 승강부(200)의 상승하강의 속도차이가 발생하면 압축되었던 복원스프링(220)은 신장되며 상부프레임(C)의 상승하강시의 전술한 모터(100)의 속도차이에 의한 불안정함을 일정부분 상쇄시킨다.However, the restoring spring 220 applied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 a state of being compressed to a certain degree by the load of the upper frame C and the mats M1 and M2. When the difference in speed of the ascending and descending of the ascending part 200 occurs, The restoring spring 220 is elongated and compensates for the instability due to the speed difference of the motor 100 at the time of the rising and falling of the upper frame C by a certain amount.

또한 벨런스스프링(520)은 벨런스모듈(B)에 구성되어 있고 벨런스모듈(B)은 상부프레임(C)의 중앙부에 결합되어있고, 벨런스스프링(520)은 상부프레임(C)의 하중을 일부 흡수하고 있는 상태로서, 벨런스스프링(520)은 일종의 보조동력의 역할을 수행하며 상부프레임(C)이 하강할 때는 상부프레임(C)의 부드러운 움직임을 만들고 상부프레임(C)이 상승할 때는 구동체(P)에 있는 모터(100)의 구동력을 보조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이러한 동작은 구동체(P)의 승강부(200) 상승속도 차이에서 발생하는 불안감도 어느정도 감소시키는 부수적인 효과도 있다.Also, the balance spring 520 is configured in the balance module B, the balance module B is coupled to the center of the upper frame C, and the balance spring 520 partially absorbs the load of the upper frame C The balance spring 520 plays a role of auxiliary power and acts to smooth motion of the upper frame C when the upper frame C descends and to smooth motion of the upper frame C when the upper frame C ascends P to assist the driving force of the motor 100. This operation also has a side effect of reducing the anxiety caused by the difference in the rising speed of the lifting part 200 of the driving body P to some extent.

따라서 본 발명에 적용된 복원스프링(220)과 벨런스스프링(520)의 상호 작용은 상부프레임(C)의 상승과 하강동작에서의 불안감을 최소화시킨다.Therefore, the interaction between the restoring spring 220 and the balance spring 520 applied to the present invention minimizes anxiety in the upward and downward movements of the upper frame C.

본 발명은 그 정신 또는 주요한 특징으로부터 일탈하는 일없이, 다른 여러 가지 형태로 실시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해서 나타내는 것으로써, 명세서 본문에 의해서는 아무런 구속도 되지 않는다. 다시, 특허청구범위의 균등 범위에 속하는 변형이나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범위 내의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other form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essential characteristics thereof,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dicated by the appended claims,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restricted by the specification.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falling within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all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골프연습판의 설치상태도FIG. 1 is a view showing an installation state of a golf practice plat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매트(M1,M2)가 제거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2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mat (M1, M2) is removed

도 3은 상부프레임(C)이 제거된 상태에서 구동체(P)와 벨런스모듈(B)의 설치상태도Fig. 3 is a view showing an installation state of the driving body P and the balance module B in a state where the upper frame C is removed

도 4와 도 5는 본 발명에 적용된 구동체(P)의 도면4 and 5 are diagrams of the driving body P applied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구동체(P)에 구성되는 승강부의 분해 사시도Fig. 6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elevation portion constituting the driving body P. Fig.

도 7은 벨런스모듈(B)의 사시도7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balance module B,

도 8은 도 5의 벨런스모듈(B)에 적용되는 경사조절수단의 분해사시도FIG. 8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inclination adjusting means applied to the balance module B of FIG.

도 9과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골프연습판이 경사조절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측면도9 and 10 are side views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golf practice plat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clined.

*도면의 주요부호에 대한 설명*DESCRIPTION OF THE RELATED ART [0002]

P: 구동체 B: 벨런스모듈P: Actuator B: Balance module

220: 복원스프링 520: 벨런스스프링220: restoring spring 520:

Claims (6)

경사각의 변화가 가능한 상부프레임; 상부프레임과 간격을 두고 설치된 베이스프레임; 베이스프레임의 방사형 외곽으로는 다수개의 구동체를 구비하고,An upper frame capable of changing the inclination angle; A base frame spaced apart from the upper frame; The radial outer frame of the base frame includes a plurality of driving bodies, 상기 구동체는 모터; 모터의 회전력을 받으며 상향으로 작동하는 스크류; 스크류의 회전으로 상하로 작동하는 작동블럭을 포함하는 승강부로 이루어지고,The driving body comprising: a motor; A screw operating in an upward direction in response to the rotational force of the motor; And an elevating portion including an operating block which is operated up and down by rotation of the screw,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중앙부에는 다수개의 벨런스스프링에 의해 하부가 지지되고, 상부프레임의 균형과 작동의 안정성을 높이도록 상부프레임을 지지하는 벨런스모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And a balance module for supporting the upper frame to support the lower part by a plurality of balance springs in the central part of the base frame and to enhance the balance and stability of operation of the upper frame, 상기 작동블럭을 포함하는 승강부는The elevating part including the actuating block 내벽과 외벽을 포함하고, 상기 내벽과 외벽 사이에는 복원스프링이 삽입되는 공간을 형성하고,Wherein a space for inserting a restoring spring is formed between the inner wall and the outer wall, 상기 복원스프링의 상부에 위치하는 승강판을 더 포함하고, 상기 승강판은 상부프레임과 결합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연습판.Further comprising a lifting plate positioned above the restoring spring, wherein the lifting plate is engaged with the upper frame.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상기 작동블럭을 포함하는 승강부는 상기 내벽과 외벽의 아래 부분을 가로막는 이탈방지판이 일체로 형성되되,Wherein the elevating portion including the actuating block has a detachment prevention plate integrally formed to block the inner wall and the lower portion of the outer wall, 내벽의 내측으로는 스크류와 나사결합되는 스크류홈이 일체로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연습판.And a screw groove that is screwed with the screw is integrally formed on the inner side of the inner wall.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상기 작동블럭을 포함하는 승강부는The elevating part including the actuating block 작동블럭의 하부와 결합된 가이드판;A guide plate coupled with a lower portion of the actuating block; 가이드판을 지지하면서 안내하는 가이드축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연습판.And a guide shaft for guiding and guiding the guide plat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상기 벨런스모듈은,The balance module includes: 베이스프레임의 상면에 위치하는 벨런스스프링들;A balance spring position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base frame; 상기 벨런스스프링들의 상단에 각기 위치하고, 하부를 이루는 좌우양단에 회전자가 설치되며, 격자형으로 배치된 벨런스판들;A plurality of balancing plates disposed at the upper ends of the balance springs and disposed at left and right ends of the lower portion of the balance springs, respectively; 상기 회전자와 접촉하고 벨러스판이 상하로 작동시 회전자를 안내하는 슬라이더들;Sliders which contact the rotor and guide the rotor when the bellows plate is operated up and down; 상기 벨런스판들의 상단에 위치하여 격자형으로 배치된 벨러스판들을 고정하는 수평판;A horizontal plate which is positioned at an upper end of the bending plates and fixes the bellows plates arranged in a lattice form; 상기 수평판의 중앙부에 설치된 관통홀을 관통하여 설치되고, 상부프레임의 저면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경사조절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연습판.And a tilt adjusting means installed to penetrate a through hole provided at a central portion of the horizontal plate and rotatably installed on a bottom surface of the upper frame. 제5항에 있어서,6. The method of claim 5, 상기 경사조절수단은,Wherein the inclination adjusting means comprises: 수평판의 관통홀을 기준으로 일단 및 타단이 상하로 연장된 수평지지봉;A horizontal support rod having one end and the other end extending vertically with respect to the through hole of the horizontal plate; 상기 수평지지봉의 일단 및 타단과 결합되는 스페이서;A spacer coupled to one end and the other end of the horizontal support rod; 상기 수평지지봉의 일단이 관통한 후 설치된 스페이서와 결합되는 균형판;A balance plate coupled with a spacer installed after the one end of the horizontal support bar penetrates; 상기 수평지지봉의 타단에 설치된 스페이서가 수평판의 저면에 고정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연습판.And a spacer provided at the other end of the horizontal support bar is fix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horizontal plate.
KR1020100000033A 2010-01-04 2010-01-04 golf training plate KR10186439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0033A KR101864396B1 (en) 2010-01-04 2010-01-04 golf training plat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0033A KR101864396B1 (en) 2010-01-04 2010-01-04 golf training plat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24426A KR20160124426A (en) 2016-10-28
KR101864396B1 true KR101864396B1 (en) 2018-06-04

Family

ID=572475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00033A KR101864396B1 (en) 2010-01-04 2010-01-04 golf training plat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64396B1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72896B1 (en) 2006-05-30 2007-01-22 (주)미립기술 Golf training machine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04753Y2 (en) * 1993-12-24 1996-07-10 株式会社久満製作所 Golf practice equipment
KR100484280B1 (en) * 2002-12-20 2005-04-20 김영래 a golf putting practice system
KR100946011B1 (en) * 2008-01-29 2010-03-09 주혜순 The golf practice machine possible for regulating the tilt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72896B1 (en) 2006-05-30 2007-01-22 (주)미립기술 Golf training machin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24426A (en) 2016-10-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78960B1 (en) Waistline slimming exercise machine
WO1999002225A1 (en) Powered tiltable platform
KR101130390B1 (en) golf training plate
CN111963609A (en) Damping-adjustable friction pendulum type cultural relic shock isolation device
KR101766949B1 (en) Golf Training Apparatus Having Gradient Controlling Function
KR101864396B1 (en) golf training plate
CN214274253U (en) Supporting device for placing air floating table
KR200469149Y1 (en) A motion chair
KR101180510B1 (en) Jumping machine for inforcement of muscular strength and lower limb joint
CN202507265U (en) Automatic adjusting device of operating platform
KR102082432B1 (en) Golf ball tie-up device
KR101053715B1 (en) Folding swing plate
CN113750488B (en) Basketball player auxiliary training device and using method thereof
CN109341630A (en) A kind of efficient spring heights cambered surface detection device
CN211181252U (en) Display device for education and teaching
WO2014178109A1 (en) Gravity-balancing seismic base isolation device
CN202117194U (en) Damper structure with damping function
KR102635221B1 (en) Structure of tripod for geodetic survey
KR101159017B1 (en) pivot type golf training plate
KR101379834B1 (en) Elevating module and elevating apparatus using the same
CN208026447U (en) A kind of bunk beds Mechanics Performance Testing equipment
CN219921956U (en) Lower limb frequency combined training device
CN116698333B (en) Steel construction building antidetonation check out test set
CN218992874U (en) Spring arm structure
CN220224614U (en) Base for dyeing equip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